KR102786908B1 - Robot linked elevator system in which robot boarding parameters are set - Google Patents
Robot linked elevator system in which robot boarding parameters are s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86908B1 KR102786908B1 KR1020220115412A KR20220115412A KR102786908B1 KR 102786908 B1 KR102786908 B1 KR 102786908B1 KR 1020220115412 A KR1020220115412 A KR 1020220115412A KR 20220115412 A KR20220115412 A KR 20220115412A KR 102786908 B1 KR102786908 B1 KR 1027869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bot
- elevator
- robots
- elevators
- boar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717 excl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19 correlation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07 loca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85 targe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07—Setting or modification of parameters of the control syste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11—Waiting time, i.e. response tim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15—Transportation capacit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30—Details of the elevator system configuration
- B66B2201/308—Ganged elevator ca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61—Call registering systems for priority 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건물 내에서 자율 이동하는 로봇; 및 건물 내에 설치되며 로봇에 대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설정되는 호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포함하고,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각 호기에 대한 만원율 설정시 로봇에 대한 만원율과 인간에 대한 만원율이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탑승 파라미터가 설정되는 로봇 연동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개시된다.A robot-linked elevator system is disclosed, wherein robot boarding parameters are set, including a robot that moves autonomously within a building; and a plurality of elevators installed within the building and configured to provide service to the robot, and wherein when setting the occupancy rates for each elevator of the plurality of elevators, the occupancy rates for the robot and the human are set differently.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물 내에서 층간 이동하는 로봇과 연동되어 운영되는 로봇 연동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로봇의 엘리베이터 이용에 따른 일반승객의 불편함을 최대한 억제하고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로봇의 이용이 가능하게 설정되는 엘리베이터 호기의 로봇 탑승 관련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로봇 연동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linked elevator system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 robot moving between floors in a building, and more specifically, to a robot-linked elevator system that specifically proposes a method for setting robot boarding-related parameters of an elevator that is set to allow robot use, so as to minimize inconvenience to general passengers due to robot use of the elevator and enable efficient operation.
주거용, 업무용 또는 상업용 등으로 건축되는 다양한 건물에는 해당 건물을 출입하는 승객들의 원활한 층간 이동을 위해 엘리베이터가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건물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승강로를 따라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카와 엘리베이터 카를 승강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권상기 등으로 구성되는 기계부 그리고 엘리베이터의 운행과 관련된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Various buildings constructed for residential, business, or commercial purposes are equipped with elevators to facilitate the smooth movement between floors of passengers entering and exiting the building. Typically, an elevator is composed of an elevator car that moves along a vertical shaft formed inside the building, a mechanical part including a motor and a traction machine that generate power to raise and lower the elevator car, and a control part that performs control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최근에는 건물 내 로봇에 의한 서비스가 활성화되면서 건물 내 로봇의 층간 이동을 위해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예컨대, 건물 내를 이동하면서 물건의 운반, 청소, 고객 안내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서비스 로봇들이 많이 개발되어 실적용되고 있다.Recently, as the use of robot services within buildings has become more active, the need to use elevators to move robots between floors within buildings has increased. For example, many service robots that move within buildings and perform tasks such as transporting items, cleaning, and guiding customers have been developed and put into practical use.
이때, 복수의 층에서 업무를 수행해야 하는 경우 건물 내 로봇의 층간 이동이 필요하게 되는데, 현재로서는 엘리베이터가 로봇의 층간 이동을 위한 가장 바람직한 수단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로봇을 목적층으로 효과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로봇과 엘리베이터 시스템 간의 다양한 연동 제어기술이 개발되고 있다.At this time, when work needs to be performed on multiple floors, the robot within the building needs to move between floors. Currently, the elevator is considered the most desirable means for moving the robot between floors, and various linkage control technologies between the robot and the elevator system are being developed to effectively move the robot to the destination floor.
최근 로봇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많은 서비스 영역이 로봇에 의해 대체되고 있다. 특히 호텔이나 레지던스와 같이 고객 서비스업을 영위하는 건물에서 로봇을 이용한 무인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로봇을 이용한 무인화 서비스 기능 확장을 위해서는 건물 내 수직 이동(층간 이동)이 가능해야 하며, 이에 따라 로봇과 건물 내 엘리베이터 시스템 간의 연동이 필수불가결한 사항으로 떠오르게 되었다.Recently, with the rapid growth of the robot market, many service areas are being replaced by robots. In particular, unmanned operation using robots is rapidly progressing in buildings that operate customer service businesses such as hotels and residences. In order to expand the unmanned service function using robots, vertical movement (movement between floors) within the building must be possible, and accordingly, the linkage between robots and the elevator system within the building has emerged as an essential requirement.
로봇 연동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건물 내에 설치되는 다수의 엘리베이터의 운용모드를 각 호기의 운행 목적이나 운행 특성에 따라 로봇 전용모드, 일반승객 전용모드, 로봇과 일반승객의 동시 이용이 가능한 동승모드 등으로 구분하여 운용할 수 있다. 로봇 전용모드로 설정된 엘리베이터는 오직 로봇을 대상으로만 호출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일반승객 전용모드로 설정된 엘리베이터는 오직 일반승객(인간)을 대상으로만 호출 서비스가 이루어지며, 동승모드로 설정된 엘리베이터는 로봇과 일반승객 모두를 대상으로 호출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다.A robot-linked elevator system can operate multiple elevators installed in a building by dividing them into a robot-only mode, a general passenger-only mode, and a shared mode that allows simultaneous use by robots and general passengers, depending on the operation purpose or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each elevator. Elevators set to a robot-only mode can provide call services only to robots, elevators set to a general passenger-only mode can provide call services only to general passengers (humans), and elevators set to a shared mode can provide call services to both robots and general passengers.
그런데, 이와 같은 로봇의 엘리베이터 이용은 일반승객(인간)의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안전상의 이유 또는 기술적인 한계로 인해 로봇의 승하차 시간이 일반승객에 비해 더 길게 소요되기 때문이다. 예컨대, 승강장에서 엘리베이터 서비스를 대기하고 있는 로봇과 출발층이 동일한 일반승객은 로봇으로 인해 승차 지연을 경험할 수 있고, 동일 엘리베이터에 탑승하고 있는 로봇과 목적층이 동일한 일반승객은 로봇으로 인해 하차 지연을 경험할 수 있다.However, such robots using elevators may cause inconvenience to general passengers (humans). This is because the robots take longer to get on and off than general passengers due to safety reasons or technical limitations. For example, a general passenger who is waiting for elevator service on the platform and has the same departure floor as a robot may experience a delay in boarding due to the robot, and a general passenger who is riding the same elevator and has the same destination floor as a robot may experience a delay in getting off due to the robot.
또한, 로봇의 승하차에 긴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주행이 늦어져서 다른 층 승강장에서 해당 엘리베이터를 대기하고 있는 일반승객의 대기시간이 길어질 수 있고, 같은 이유로 동일 엘리베이터에 탑승하고 있는 로봇과 목적층이 다른 일반승객의 목적층 도착 시간이 늦어질 수 있다.In addition, since it takes a long time for the robot to get on and off, the elevator operation may be delayed, which may lengthen the waiting time of general passengers waiting for the elevator on other floors. For the same reason, the arrival time on the destination floor of general passengers who are riding the same elevator but have a different destination from the robot may be delayed.
특히, 로봇의 이용이 가능하게 설정되는 엘리베이터 호기 하나에 여러대의 로봇이 탑승할 경우, 승강장 또는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일반승객과 로봇 간의 충돌 또는 로봇과 로봇 간의 충돌과 같은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 있고, 일반승객에 비해 상대적으로 늦은 로봇의 승하차 시간으로 인하여 일반승객의 승강장 대기시간 및 엘리베이터 탑승시간이 증가하여 상기한 서비스 지연의 문제가 더욱 심각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건물 내 엘리베이터 교통량 처리 효율성이 저하됨에 따라 일반승객이 느끼는 불편함이 더욱 커질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multiple robots board an elevator where the use of robots is enabled, safety accidents such as collisions between robots and general passengers or between robots on the platform or inside the elevator may occur, and the problem of service delay may become more serious as the boarding and disembarking times of robots are relatively late compared to general passengers, increasing the waiting time on the platform and the boarding time of general passengers. As a result, the efficiency of handling elevator traffic within the building may decrease, which may further increase the inconvenience felt by general passengers.
상기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로봇의 이용이 가능하게 설정되는 엘리베이터 호기의 로봇 탑승 관련 파라미터(만원율, 서비스 가능한 최대 로봇 수 등)를 설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일반승객은 물론 건물 내에서 제공되는 로봇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에게 보다 편리하고 안락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궁극적으로는 로봇과 연동되어 운영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전반적인 운영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에 목적이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pecific method for setting robot boarding-related parameters (fullness rate, maximum number of robots that can service, etc.) of an elevator in which robot use is enabled, thereby providing more convenient and comfortable service to not only general passengers but also customers using robot services provided within a building, and ultimately improving the overall operating efficiency of an elevator system that is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robots.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건물 내에서 자율 이동하는 로봇; 및 상기 건물 내에 설치되며 상기 로봇에 대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설정되는 호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각 호기에 대한 만원율 설정시 로봇에 대한 만원율과 인간에 대한 만원율이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탑승 파라미터가 설정되는 로봇 연동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robot-linked elevator system can be provided, which comprises a robot that moves autonomously within a building; and a plurality of elevators installed within the building and configured to provide service to the robot, wherein when setting the occupancy rate for each elevator of the plurality of elevators, the occupancy rate for the robot and the occupancy rate for a human are set differently, and in which robot boarding parameters are set.
상기 로봇에 대한 만원율이 상기 인간에 대한 만원율보다 낮게 설정될 수 있다.The rate for the above robot may be set lower than the rate for the above human.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중 로봇의 호출에 대해서만 서비스가 가능한 로봇 전용모드로 설정되는 호기에는 상기 로봇에 대한 만원율이 적용되고,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중 인간의 호출에 대해서만 서비스가 가능한 일반승객 전용모드로 설정되는 호기에는 상기 인간에 대한 만원율이 적용되며,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중 로봇과 인간의 호출 모두에 대해 서비스가 가능한 동승모드로 설정되는 호기에는 상기 로봇에 대한 만원율과 상기 인간에 대한 만원율이 동시 적용될 수 있다.Among the plurality of elevators, the robot occupancy rate is applied to an elevator set to a robot-only mode that can only service calls from robots, the human occupancy rate is applied to an elevator set to a general passenger-only mode that can only service calls from humans, and the robot occupancy rate and the human occupancy rate can be applied simultaneously to an elevator set to a shared passenger mode that can service calls from both robots and humans.
상기 동승모드로 설정되는 엘리베이터 호기의 경우, 상기 로봇에 의한 호출에 대해서는 상기 로봇에 대한 만원율을 기준으로 할당 대상이 되고, 상기 인간에 의한 호출에 대해서는 상기 인간에 대한 만원율을 기준으로 할당 대상이 될 수 있다.In the case of an elevator set to the above-mentioned ride-sharing mode, for calls by the robot, the allocation target may be based on the full occupancy rate for the robot, and for calls by the human, the allocation target may be based on the full occupancy rate for the human.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는 각 호기 별로 설정된 만원율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 만원 상태로 전환되는 동시에 신규로 발생하는 호출에 대하여 할당 억제 또는 할당 배제되고, 상기 할당 억제는 신규 호출에 대해 할당 알고리즘을 수행할 때 해당 호기에 대하여 할당 억제 패널티를 부과하여 우선순위를 낮추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할당 배제는 신규 호출에 대해 해당 호기를 할당에서 완전히 배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When the above-described plurality of elevators exceed the fullness rate set for each unit, they are switched to a full state and, at the same time, allocation suppression or allocation exclusion is applied to newly occurring calls. The allocation suppression may mean imposing an allocation suppression penalty on the unit to lower the priority when performing an allocation algorithm for a new call, and the allocation exclusion may mean completely excluding the unit from allocation for new calls.
상기 만원율은 엘리베이터 카 내에 탑승하고 있는 객체의 하중을 기준으로 하는 로드 만원율과 상기 엘리베이터 카 내에 탑승하고 있는 객체의 공간 점유율을 기준으로 하는 공간 만원율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각 호기 별로 상기 로드 만원율과 상기 공간 만원율이 선택적으로 또는 함께 적용될 수 있다.The above fullness rate includes a load fullness rate based on the load of an object riding in an elevator car and a space fullness rate based on the space occupancy rate of an object riding in the elevator car, and the load fullness rate and the space fullness rate may be applied selectively or together to each unit of the plurality of elevators.
상기 로봇 전용모드 및 상기 동승모드로 설정되는 엘리베이터 호기는 각 호기 별로 서비스 가능한 최대 로봇 수가 설정될 수 있다.For elevators set to the above robot-only mode and the above ride-sharing mode, the maximum number of robots that can service each elevator can be set.
상기 로봇 전용모드로 설정된 엘리베이터 호기의 서비스 가능한 최대 로봇 수가 상기 동승모드로 설정된 엘리베이터 호기의 서비스 가능한 최대 로봇 수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The maximum number of serviceable robots in an elevator set to the robot-only mode may be set to be greater than the maximum number of serviceable robots in an elevator set to the shared mode.
상기 건물 내에서 발생하는 엘리베이터 호출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중 최적의 호기를 선정하여 할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군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군관리부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정격용량 및 내부 면적을 포함하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제원 정보,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각 호기 별로 설정된 만원율,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각 호기 별로 등록되어 있는 호출 요청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각 호기 별로 탑승 중이거나 탑승 예정인 객체 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 및 분석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각 호기 별로 추가 탑재 가능한 하중을 의미하는 탑승 가능 용량, 추가 점유 가능한 공간 면적을 의미하는 탑승 가능 공간 및 해당 호기가 서비스 중인 로봇의 수를 나타내는 서비스 로봇 수에 관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The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group management unit that performs a function of selecting and allocating an optimal elevator among the plurality of elevators for an elevator call occurring within the building, wherein the group management unit collects and analyzes in real time information on specifications of the elevator including the rated capacity and the internal area of the elevator, the fullness rate set for each elevator among the plurality of elevators, the call request information registered for each elevator among the plurality of elevators, and the number of objects currently on board or scheduled to board each elevator among the plurality of elevators, thereby deriving information on the boarding capacity meaning the additional load that can be loaded into each elevator among the plurality of elevators, the boarding space meaning the additional space area that can be occupied, and the number of service robots indicating the number of robots being serviced by the corresponding elevator.
상기 군관리부는, 상기 건물 내에서 로봇에 의한 호출 발생시, 상기 탑승 가능 용량 및 상기 탑승 가능 공간이 호출을 요청한 로봇의 제원에 부합하는 엘리베이터 호기를 선별하여 1차적으로 할당 가능한 후보군을 구성하고, 1차 후보군 중에서 상기 서비스 로봇 수가 상기 서비스 가능한 최대 로봇 수를 초과하지 않는 호기를 선별하여 할당 가능한 후보군으로 재구성하며, 재구성된 후보군에 대해 할당 알고리즘을 실시하여 최적의 호기를 선정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military management unit, when a call by a robot occurs within the building, selects an elevator unit whose boarding capacity and boarding space match the specifications of the robot requesting the call, and forms a group of candidates that can be allocated primarily, and selects an elevator unit whose number of service robots does not exceed the maximum number of serviceable robots from among the primary candidates, and reconfigures it into a group of candidates that can be allocated, and performs an allocation algorithm on the reconfigured group of candidates to select an optimal elevator.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중 어느 호기의 현재 서비스 중인 로봇 수가 해당 호기에 설정된 서비스 가능한 최대 로봇 수 이상인 경우, 해당 호기를 신규로 발생하는 로봇 호출에 대해 할당 배제 처리할 수 있다.If the number of robots currently in service of any of the above multiple elevator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aximum number of robots that can be serviced set for that elevator, that elevator can be excluded from allocation for new robot calls.
2 이상의 로봇의 호출로서 동일 호출층 또는 동일 목적층이 입력되는 경우 동일한 엘리베이터 호기에 할당되는 로봇의 대수를 소정치 이하로 제한하고 복수의 호기로 분산 할당할 수 있다.When the same call floor or the same destination floor is input as a call for two or more robots, the number of robots assigned to the same elevator car can be limited to a specified number or less and distributed to multiple cars.
본 발명은 로봇 전용모드, 일반승객 전용모드 및 동승모드로 구분되어 운용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로봇에 대한 만원율과 일반승객에 대한 만원율을 달리 설정하고, 로봇의 이용이 가능하게 설정되는 엘리베이터 호기에 의해 서비스 가능한 최대 로봇 수를 제한하는 등, 로봇의 엘리베이터 탑승과 관련된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proposes a method for setting parameters related to robot boarding of an elevator, such as setting different occupancy rates for robots and occupancy rates for general passengers in an elevator system that is operated by dividing into a robot-only mode, a general passenger-only mode, and a shared ride mode, and limiting the maximum number of robots that can be serviced by an elevator unit in which robot use is enabled.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로봇과 일반승객 간의 충돌 또는 로봇 간의 충돌 발생에 따른 서비스 지연을 최대한 억제하고, 이로써 일반승객은 물론이고 건물 내에서 로봇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에게 보다 편리하고 안락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로봇과 연동 제어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전반적인 운영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ervice delays due to collisions between robots and general passengers or between robots are minimized, thereby providing more convenient and comfortable services to not only general passengers but also customers using robot services in buildings, and ultimately, significantly improving the overall operating efficiency of an elevator system controlled in conjunction with a robo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연동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략도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robot-linked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및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The purpose and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tailed operation and effect thereof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drawings attached to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을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추가적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used herein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various steps described in the invention, but should be construed as not including some of the components or some of the steps,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In addition, the singular expression used herei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다양한 응용을 가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thereby, and it is obvious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application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연동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연동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건물 내에서 자율 이동하는 로봇(Robot)의 운행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로봇 시스템부(10); 및 건물 내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Elevator)의 운행을 제어하고 관리하며 로봇과 통신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robot-linked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1, the robot-linked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obot system unit (10) that controls and manages the operation of a robot (Robot) that moves autonomously within a building; and an elevator system unit (20) that controls and manages the operation of an elevator (Elevator) installed within a building and communicates with the robot.
로봇 시스템부(10)와 엘리베이터 시스템부(20)는 상호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로봇의 건물 내 층간 이동이 필요한 경우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서로 통신할 수 있다.The robot system unit (10) and the elevator system unit (20) operat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nd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use the elevator when the robot needs to move between floors within the building.
로봇 시스템부(10)는 건물 내에서 자율 이동하는 모든 로봇을 제어할 수 있고, 이를 위해 각각의 로봇들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로봇 시스템부(10)는 건물 내에서 발생하는 로봇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에 대응하여 해당 서비스를 제공할 특정 로봇을 지정할 수 있다. 여기서 '로봇 서비스'란 로봇에 의해 수행되는 서비스로서 로봇이 직접 고객을 방문하여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The robot system unit (10) can control all robots that move autonomously within the building, and can communicate with each robot for this purpose. In addition, the robot system unit (10) can receive robot service requests occurring within the building, and designate a specific robot to provide the corresponding service in response to the received request. Here, the 'robot service' can mean a service performed by a robot, and a service provided by the robot directly visiting a customer.
본 발명에서 로봇은 건물 내에서 인간의 조작없이 자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모든 자율이동체를 총칭할 수 있다. 예컨대, 로봇은 건물 내에서 택배 등의 물건을 운반하여 배송하는 업무 또는 청소나 고객 안내 등과 같이 특정 업무를 수행하는 서비스 로봇일 수 있으며, 로봇 시스템부(10)의 제어를 받아 건물 내 고객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bot may collectively refer to all autonomous mobile devices that can move autonomously within a building without human intervention. For example, the robot may be a service robot that carries and delivers items such as parcels within a building, or performs specific tasks such as cleaning or customer guidance, and may provide necessary services to customers within the building under the control of the robot system unit (10).
로봇은 라이다(Lidar), 근거리센서, 초음파센서 또는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수집한 정보들을 기초로 한 자기위치 추정기법(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SLAM)을 통해 건물 내의 공간을 인지하고 자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Robots can recognize spaces within buildings and move autonomously using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SLAM) techniques based on information collected using Lidar, proximity sensors, ultrasonic sensors, or cameras.
또한, 로봇은 건물 내/외부 구조 및 건물 내 엘리베이터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자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저장할 수 있고, 자기위치 추정기법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산출된 현재 위치로부터 엘리베이터까지의 최적거리 및 이동경로를 내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bot can store information about the internal/external structure of the building and the location of the elevator within the building through its own database, and can use an internal algorithm to obtain the optimal distance and movement path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elevator, calculated in real time using a self-localization technique.
로봇은 원격으로 엘리베이터의 호출을 요청할 수 있다. 건물 내에서 고객의 로봇 서비스 요청이 접수되면 로봇 시스템부(10)는 건물 내에서 운용 중인 다수의 로봇 중에서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특정 로봇을 지정하며, 지정된 로봇은 현재 자신이 위치한 층과 서비스가 요청된 층이 다를 경우 서비스 층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시스템부(20)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는 '탑승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The robot can remotely request an elevator call. When a customer's request for robot service is received within the building, the robot system unit (10) designates a specific robot to provide the service among a number of robots operating within the building, and the designated robot can transmit a 'boarding request' signal to the elevator system unit (20) to call an elevator to move to the service floor if the floor on which it is currently located is different from the floor on which the service is requested.
상기 '탑승요청'에 포함되는 정보에는 현재 로봇이 위치하고 있는 출발층 정보와 최종적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층 정보가 포함됨과 아울러, 로봇이 승강장에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이동시간에 관한 정보, 로봇의 중량 및 부피,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목적 등의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로봇이 승강장에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이동시간은 로봇의 현재 위치에 기반하여 산출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bove 'boarding request' includes information on the departure floor where the robot is currently located and the final destination floor to which it is ultimately intended to move, and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on the travel time required for the robot to arrive at the platform, the weight and volume of the robot, the purpose of using the elevator, etc. The travel time required for the robot to arrive at the platform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robot's current location.
로봇의 원격 호출이 접수되면 후술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부(20)의 군관리부(21)에서 로봇에게 탑승 서비스를 제공할 최적의 엘리베이터 호기를 결정하여 할당한다.When a remote call from a robot is received, the group management unit (21) of the elevator system unit (20) described later determines and allocates the optimal elevator unit to provide boarding service to the robot.
엘리베이터 시스템부(20)는, 건물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군관리를 수행하는 군관리부(21); 및 엘리베이터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elevator system unit (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group management unit (21) that performs group management of multiple elevators installed in a building; and a control unit (22) that performs control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s.
군관리부(21)는 건물 내에 설치되는 다수의 엘리베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그룹 제어(group control)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건물 내 각 층 승강장에 설치되는 호출버튼이나 엘리베이터 카 내에 설치되는 행선층 입력버튼을 통해 입력되는 호출, 행선층예약시스템(Destination Selecting System, DSS)과 같은 다른 시스템이나 단말기를 통해 원격으로 입력되는 호출, 로봇에 의한 원격 호출에 대하여 최적의 엘리베이터 호기를 결정하여 할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group management unit (21) performs group control to operate multiple elevators installed in a building more efficiently. It basically performs the function of determining and allocating the optimal elevator number for calls entered through call buttons installed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or destination floor input buttons installed in the elevator car, calls entered remotely through other systems or terminals such as the destination selection system (DSS), and remote calls by robots.
참고로, 승강장에서 승객 또는 로봇이 행선층(목적층)으로 가기 위해 요청한 호출에 대해 배정(할당)된 엘리베이터 호기를 해당 승객 또는 로봇이 대기 중인 층으로 이동 지령하는 호출을 홀콜(hall call)이라 하고, 홀콜에 의해 도착한 엘리베이터 호기를 해당 승객 또는 로봇이 가고자하는 행선층으로 이동 지령하는 호출을 카콜(car call)이라 한다.For reference, a call that instructs an elevator assigned (allocated) to move to the floor where the passenger or robot is waiting in response to a call requested by a passenger or robot on the platform to go to the destination floor (destination floor) is called a hall call, and a call that instructs an elevator that arrives through a hall call to move to the destination floor where the passenger or robot wants to go is called a car call.
또한, 군관리부(21)는 로봇의 호출 요청에 대하여 건물 내 교통량과 복수의 가용 엘리베이터 호기 및 로봇의 위치 정보에 대한 상관 분석을 통하여 가장 효율적인 엘리베이터 호기를 결정하여 할당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군관리부(21)는 건물 내에서 운행중인 복수의 엘리베이터 호기의 점유율 또는 잔존용량에 관한 상태정보를 검출하고, 로봇으로부터 수신되는 탑승요청 정보에 포함되는 로봇의 중량, 부피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로봇의 탑승 가능한 가용 엘리베이터 호기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가용 엘리베이터 호기들의 위치 및 로봇의 위치를 고려하여 최적의 엘리베이터 호기를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로봇의 위치를 고려함에 있어서는 로봇이 탑승을 요청한 호출층(출발층)의 층 위치 뿐만 아니라 로봇이 현재 위치로부터 승강장으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관한 정보도 함께 고려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oup management unit (21) can determine and allocate the most efficient elevator unit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of the traffic volume within the building, multiple available elevator units,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obot in response to the call request of the robot. More specifically, the group management unit (21) can detect status information on the occupancy rate or remaining capacity of multiple elevator units operating within the building, extract available elevator units that the robot can board based on information such as the weight and volume of the robot included in the boarding reques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obot, and allocate the optimal elevator unit by considering the locations of the extracted available elevator units and the location of the robot. Here, when considering the location of the robot, not only the floor location of the call floor (departure floor) at which the robot requested boarding, but also information on the time required for the robot to move from its current location to the platform can be considered.
군관리부(21)는 할당된 엘리베이터 호기 및 그에 대응되는 승강장 정보를 호출 서비스를 요청한 로봇 및 로봇 시스템부(10)로 제공할 수 있다.The military management department (21) can provide assigned elevator number and corresponding platform information to the robot and robot system department (10) that requested the call service.
제어부(22)는 엘리베이터의 전반적인 운행 및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군관리부(21)에 의해 할당된 엘리베이터 호기를 호출이 입력된 층으로 이동시키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2)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and behavior of the elevator, and can perform control to move the elevator unit assigned by the military management unit (21) to the floor where the call was entered.
제어부(22)는 엘리베이터 카의 주행 동작을 제어하는 주행제어부와, 승객 및 로봇의 승하차를 위해 특정 층에 정차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제어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2) may include a driving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driving operation of the elevator car, a door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an elevator door that stops at a specific floor for boarding and disembarking passengers and robots, etc.
주행제어부는 건물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승강로 내에서 엘리베이터 카를 승강시키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특정 명령 신호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의 주행을 개시하거나 정지시키기 위하여 권상기 모터 및 브레이크 등의 구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driving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raising and lowering an elevator car within a hoistway formed vertically inside a building, and can perform driving control of a winding machine motor and brake, etc., to start or stop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ar by a specific command signal.
도어제어부는 승강장 측에 설치되는 홀 도어(hall door)와 엘리베이터 카 측에 설치되는 카 도어(car door)를 포함하여 엘리베이터 도어의 전반적인 개폐 동작을 제어하며, 이를 위해 도어 모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door control unit controls the overall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elevator doors, including the hall door installed on the platform side and the car door installed on the elevator car side, and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oor motor for this purpos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연동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건물 내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의 운용모드를 '로봇 전용모드', '일반승객 전용모드' 그리고 '로봇/일반승객 동승모드'(이하 '동승모드'라 함)로 구분하여 운영할 수 있다.Meanwhile, the robot-linked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an elevator installed in a building by dividing the operation modes into 'robot-only mode', 'general passenger-only mode', and 'robot/general passenger shared m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hared mode').
로봇 전용모드는 엘리베이터 내에 로봇만 탑승 가능하게 설정되는 모드로서, 로봇 전용모드로 설정된 엘리베이터는 오직 로봇만을 대상으로 호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Robot-only mode is a mode in which only robots can board the elevator, and an elevator set to robot-only mode can only perform call services targeting robots.
일반승객 전용모드는 오직 일반승객만을 대상으로 호출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모드이다. 이때 일반승객이 소지한 물건이나 물체 또는 동물 등이 엘리베이터 내에 합께 탑재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general passenger-only mode is a mode set to perform call services only for general passengers. At this tim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ems, objects, or animals carried by general passengers may be loaded into the elevator.
동승모드는 엘리베이터 내에 로봇과 일반승객(인간)의 동승을 허용하는 모드로서, 동승모드로 설정된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는 일반승객과 로봇 모두를 대상으로 호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The shared ride mode is a mode that allows robots and general passengers (humans) to ride together in an elevator. In the case of an elevator set to the shared ride mode, call services can be performed for both general passengers and robots.
건물 내에 설치되는 다수의 엘리베이터들은 각 호기 별로 운용모드가 설정될 수 있으며, 각 호기의 운용모드는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건물 내 교통량 특성을 반영하여 엘리베이터 호기의 운용모드를 설정하되, 교통량 모니터링을 통해 운용모드의 전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시스템의 자체 판단에 의해 자동으로 또는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특정 호기의 운용모드가 전환될 수 있다.The operation mode of each elevator installed in a building can be set for each unit, and the operation mode of each unit can be set automatically or manually as needed. For example, the operation mode of each elevator unit is set to reflect the traffic characteristics in the building, and when the operation mode needs to be switched through traffic monitoring, the operation mode of a specific unit can be switched automatically by the system's own judgment or manually by the manager.
또한, 건물 내 시간대별 교통량 특성 등을 반영하여 엘리베이터 호기의 운용모드 설정을 타임 스케쥴(time schedule)에 따라 미리 계획하여 둘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mode of the elevator can be planned in advance according to a time schedul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raffic volume by time zone within the building.
한편, 상기와 같이 로봇 전용모드, 일반승객 전용모드, 동승모드 등으로 구분되어 운행되는 엘리베이터는 각 운용모드 별로 이용하는 주체가 다르기 때문에 운행 특성 또한 다르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for elevators that are operated in a robot-only mode, a general passenger-only mode, and a shared ride mode as described above, it is desirable to apply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differently because the users of each operating mode are different.
그러나 현재까지는 엘리베이터의 운용모드와 상관없이 일관적인 기준을 적용하고 있었으며, 따라서 운용모드에 따른 상이한 운행 특성이 엘리베이터의 제어 및 운영에 전혀 반영되고 있지 못하며, 따라서 다양한 상황에서 엘리베이터 운행에 차질이 발생하고 효율적인 엘리베이터의 운영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However, up to now, consistent standards have been applied regardless of the elevator operation mode, and therefore, different operat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are not reflected at all in the control and operation of the elevator, which causes problems in elevator operation in various situations and becomes a factor hindering efficient elevator operation.
특히, 로봇의 이용이 가능하게 설정되는 엘리베이터 호기 하나에 여러대의 로봇이 탑승할 경우, 승강장 또는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일반승객과 로봇 간의 충돌 또는 로봇과 로봇 간의 충돌과 같은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 있고, 일반승객에 비해 상대적으로 늦은 로봇의 승하차 시간으로 인하여 일반승객의 승강장 대기시간 및 엘리베이터 탑승 시간이 증가하여 일반승객의 불편감을 야기할 수 있으며, 건물 내 엘리베이터 교통량 처리 효율성의 저하 및 서비스 지연으로 이어질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multiple robots board an elevator where robot use is enabled, safety accidents such as collisions between robots and general passengers or between robots on the platform or inside the elevator may occur, and the boarding and disembarkation times of robots are relatively late compared to general passengers, which may increase general passengers' waiting time on the platform and elevator boarding time, causing inconvenience to general passengers, and may lead to a decrease in the efficiency of handling elevator traffic within the building and delays in service.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물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각 호기 별로 운용모드를 로봇 전용모드, 일반승객 전용모드 및 동승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여 운영함에 있어서, 운용모드 별로 로봇과 일반승객(인간)의 다른 특성이 엘리베이터의 운영에 잘 반영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호기의 로봇 탑승 관련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며, 이로써 로봇의 엘리베이터 이용에 따른 일반승객의 불편함을 최대한 억제하고 엘리베이터의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In order to prevent such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pecific method for setting parameters related to robot boarding of an elevator so that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robots and general passengers (humans) can be well reflected in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when operating a plurality of elevators installed in a building by setting the operation mode for each elevator to one of the robot-only mode, the general passenger-only mode, and the shared ride mode, as follows, thereby minimizing inconvenience to general passengers due to robot use of the elevator as much as possible and enabling efficient operation of the elevator.
1. 만원율 설정1. Set the ten thousand won rate
첫째로,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연동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로봇에 대한 만원율과 일반승객(인간)에 대한 만원율을 달리 설정할 수 있다. 이는 대체로 일반승객 개개인이 차지하는 공간보다 로봇 한 대가 차지하는 공간이 넓고 일반승객의 무게보다 로봇의 무게가 무겁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서, 로봇의 만원 검출 기준을 일반승객의 만원 검출 기준보다 낮게 설정함으로써 승객이 차지 가능한 공간과 로봇이 차지 가능한 공간 확보에 차등을 두겠다는 의미이다.First, the robot-linked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ull occupancy rate for robots and for general passengers (humans) can be set differently. This is because the space occupied by a robot is generally larger than that occupied by an individual general passenger, and the weight of a robot is heavier than that of a general passenger. This means that by setting the full occupancy detection standard for robots lower than that for general passengers,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securing the space that passengers can occupy and the space that robots can occupy.
본 발명은 로봇의 무게, 부피, 행동반경, 안전거리 등을 감안하여 로봇에 대한 만원율을 일반승객보다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만원율은 하중 또는 공간 점유율을 기준으로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보다 자세히 다룬다. 로봇의 만원율 기준과 일반승객의 만원율 기준은 로봇의 제원이나 각 엘리베이터 호기의 제원 정보에 따라 변경 가능한 값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set the occupancy rate for robots lower than that for general passengers by considering the weight, volume, radius of action, safety distance, etc. of the robot. Here, the occupancy rate can be based on the load or space occupancy rate, which will be discussed in more detail later. The occupancy rate standard for robots and the occupancy rate standard for general passengers are values tha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robot or the specifications information of each elevator unit.
즉, 본 발명은 건물 내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의 각 호기에 대하여 어떤 모드로 운용되고 있는지에 따라 '로봇 만원율' 또는 '일반승객 만원율'을 적용할 수 있다. 아래에서 엘리베이터의 운용모드 별 만원율 적용 기준을 살펴본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a 'robot fullness rate' or a 'general passenger fullness rate' to each elevator installed in a building depending on the mode in which it is being operated. Below, we will examine the criteria for applying fullness rat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elevator.
먼저, 로봇 전용모드로 설정되는 엘리베이터 호기는 이용주체가 로봇으로 한정되므로 '로봇 만원율'이 적용되어 운용될 수 있다. 로봇 전용모드로 설정되는 엘리베이터 호기는 로봇 만원율을 기준으로 로봇 호출에 대한 할당 대상이 된다. 예컨대 로봇 만원율이 60%로 적용되는 경우, 탑승 중인 로봇에 의한 하중 또는 공간 점유율이 60%를 초과하는 엘리베이터 호기는 신규로 발생하는 로봇 호출에 대해 할당이 억제 또는 배제될 수 있다. 또한, 해당 호기는 로봇 전용모드로 운용 중이므로 일반승객 호출에 대해서는 당연히 할당 배제된다.First, elevators set to robot-only mode can be operated with the 'robot occupancy rate' applied since the users are limited to robots. Elevator units set to robot-only mode are allocated for robot calls based on the robot occupancy rate. For example, if the robot occupancy rate is applied as 60%, elevator units with a load or space occupancy rate exceeding 60% due to robots on board can be suppressed or excluded from allocation for new robot calls. In addition, since the unit is operating in robot-only mode, it is naturally excluded from allocation for general passenger calls.
참고로 상기에서 '할당 억제'란 신규로 발생하는 호출에 대해 100% 배제하겠다는 것이 아니고, 신규 호출에 대한 할당 알고리즘을 수행할 때 해당 호기에 할당 억제 패널티를 부과하는 등의 방식으로 우선순위를 낮추어 웬만하면 할당이 되지 않도록 하겠다는 것이다.For reference, the 'allocation suppression' mentioned above does not mean 100% exclusion of newly occurring calls, but rather lowering the priority by imposing an allocation suppression penalty on the corresponding slot when performing the allocation algorithm for new calls, thereby preventing allocation as much as possible.
일반승객 전용모드로 설정되는 엘리베이터 호기는 이용주체가 일반승객(인간)으로 한정되므로 '일반승객 만원율'이 적용되어 운용될 수 있다. 일반승객 전용모드로 설정되는 엘리베이터 호기는 일반승객 만원율을 기준으로 일반승객 호출에 대한 할당 대상이 된다. 예컨대 일반승객 만원율이 80%로 적용되는 경우, 탑승 중인 일반승객에 의한 하중 또는 공간 점유율이 80%를 초과하는 엘리베이터 호기는 신규로 발생하는 일반승객 호출에 대해 할당이 억제 또는 배제될 수 있다. 또한, 해당 호기는 일반승객 전용모드로 운용 중이므로 로봇 호출에 대해서는 당연히 할당 배제된다.Elevator units set to general passenger-only mode can be operated by applying the 'general passenger occupancy rate' since the users are limited to general passengers (humans). Elevator units set to general passenger-only mode are allocated for general passenger calls based on the general passenger occupancy rate. For example, if the general passenger occupancy rate is applied as 80%, elevator units with a load or space occupancy rate exceeding 80% due to general passengers on board can be suppressed or excluded from allocation for new general passenger calls. In addition, since the unit is operating in general passenger-only mode, it is naturally excluded from allocation for robot calls.
마지막으로, 동승모드로 설정되는 엘리베이터 호기는 로봇과 일반승객(인간) 모두에 대한 서비스가 가능하므로 '로봇 만원율'과 '일반승객 만원율'이 함께 적용되어 운용될 수 있다. 동승모드로 설정되는 엘리베이터 호기는 로봇 호출에 대해서는 로봇 만원율을 기준으로 할당 대상이 되고, 일반승객 호출에 대해서는 일반승객 만원율을 기준으로 할당 대상이 될 수 있다.Finally, elevators set to the shared mode can serve both robots and general passengers (humans), so the 'robot occupancy rate' and the 'general passenger occupancy rate' can be applied and operated together. Elevator units set to the shared mode can be allocated based on the robot occupancy rate for robot calls, and can be allocated based on the general passenger occupancy rate for general passenger calls.
또한, 본 발명에서 엘리베이터의 '만원율'은 하중(무게)을 기준으로 하는 '로드 만원율'과 차지하는 공간 면적을 기준으로 하는 '공간 만원율'의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 로드 만원율은 엘리베이터 호기 내에 탑승한 객체들의 총 하중이 일정 수준을 초과하지 않도록 제한하기 위한 값이고, 공간 만원율은 엘리베이터 호기 내에 탑승한 객체들이 차지하는 공간 면적의 총합이 일정 수준을 초과하지 않도록 제한하기 위한 값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ullness rate' of the elevator may include the concept of a 'load fullness rate' based on the load (weight) and a 'space fullness rate' based on the space area occupied. The load fullness rate is a value for limiting the total load of objects boarding an elevator car so that it does not exceed a certain level, and the space fullness rate is a value for limiting the total space area occupied by objects boarding an elevator car so that it does not exceed a certain level.
엘리베이터 내에 탑승한 객체들의 하중에 관한 정보는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되는 로드셀(load cell)에 의해 검출이 가능하고, 엘리베이터 내에 탑승한 객체들이 차지하는 공간 면적에 관한 정보는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설치되는 카메라나 CCTV와 같은 비전장치에 의해 검출 가능하다.Information about the load of objects riding in an elevator can be detected by a load cell installed in the elevator car, and information about the space area occupied by objects riding in the elevator can be detected by a vision device such as a camera or CCTV installed inside the elevator car.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호기의 '로드 만원율'이 60%로 설정되는 것을 가정하면, 로드셀에 의해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탑승 하중(탑승 객체들의 무게 총 합)이 정격용량(최대 설계 하중)의 60%를 초과하는 것으로 감지는 경우, 해당 호기가 만원 상태로 전환되고, 해당 호기의 탑승 하중이 다시 60% 이하가 될 때까지 새로운 탑승을 제한하고 신규로 발생하는 호출에 대한 할당 억제 또는 배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load fullness rate' of an elevator is set to 60%, if the boarding load (sum of the weight of boarding objects) measured in real time by the load cell is detected to exceed 60% of the rated capacity (maximum design load), the elevator will be switched to a full state, and new boarding will be restricted and allocation of newly occurring calls can be suppressed or excluded until the boarding load of the elevator becomes 60% or less again.
유사하게, 엘리베이터 호기의 '공간 만원율'이 60%로 설정되는 것을 가정하면, 비전장치에 의해 검출되는 공간 점유 면적(탑승 객체들이 차지하는 면적)이 해당 호기의 내부 총 면적의 60%를 초과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해당 호기가 만원 상태로 전환되고, 해당 호기의 내부 공간 점유율이 다시 60% 이하가 될 때까지 새로운 탑승을 제한하고 신규로 발생하는 호출에 대한 할당 억제 또는 배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Similarly, assuming that the 'space occupancy rate' of an elevator car is set to 60%, if the space occupancy area (the area occupied by boarding objects) detected by the vision device exceeds 60% of the total interior area of the car, the car may be switched to a full state, new boarding may be restricted until the interior space occupancy rate of the car becomes 60% or lower again, and allocations for newly occurring calls may be suppressed or excluded.
상기한 '로드 만원율'과 '공간 만원율'은 둘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두 가지가 함께 적용될 수 있다. 두 가지가 함께 적용되는 경우에는 로드 만원율과 공간 만원율 중 어느 하나만을 초과하더라도 해당 호기는 만원 상태로 전환될 것이다.The above-mentioned 'load occupancy rate' and 'space occupancy rate' can be applied selectively either by one or both. In the case where both are applied together, even if either the load occupancy rate or the space occupancy rate is exceeded, the relevant unit will be converted to occupancy status.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연동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만원율 설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살펴보도록 한다.Below, we will examine a more specific example of the 'full capacity rate setting' of the robot-linked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건물 내에 설치되는 5대의 엘리베이터 호기를 포함하여 군관리를 수행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환경을 가정한다. 이때 1~5호기 중에서 2호기와 4호기가 로봇 호출과 일반승객 호출에 대해 모두 서비스 가능한 동승모드로 설정된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로봇 만원율은 60%로 설정하고 일반승객 만원율은 80%로 설정한다.First, let's assume an elevator system environment that performs group management, including five elevators installed in a building. At this time, let's assume that among elevators 1 to 5, elevators 2 and 4 are set to a shared mode that can service both robot calls and general passenger calls. In addition, the robot occupancy rate is set to 60%, and the general passenger occupancy rate is set to 80%.
엘리베이터의 운행 중에 2호기의 탑승 객체(로봇과 일반승객 모두 포함)에 의한 카 내 총 하중이 70%로 검출되는 경우, 해당 호기는 일반승객에 대한 만원율은 아직 10% 여유가 있는 상태인 반면 로봇에 대한 만원율은 초과한 상태이다. 이 경우 군관리부(21)는 2호기에 대하여 일반승객의 호출에 대한 할당은 가능하게 하되, 로봇 호출에 대한 할당은 배제 처리할 수 있다. 2호기는 아직 일반승객의 호출에 대한 서비스가 가능한 상태이므로 만원 바이패스는 적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신규로 발생하는 로봇 호출에 대해서는 2호기를 제외한 1, 3, 4, 5호기 중 서비스 효율이 가장 높은 호기를 선정하여 할당한다.If the total load inside the car due to the boarding objects (including both robots and general passengers) of elevator No. 2 is detected as 70%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the corresponding elevator still has 10% of the fullness rate for general passengers, but the fullness rate for robots has been exceeded. In this case, the military management department (21) can allow allocation of calls for general passengers to elevator No. 2, but can exclude allocation of calls for robots. Since elevator No. 2 can still service calls for general passengers, the fullness bypass is not applied. In addition, for newly occurring robot calls, the elevator with the highest service efficiency among elevators 1, 3, 4, and 5, excluding elevator No. 2, is selected and allocated.
즉, 로봇 만원율을 기준으로는 만원에 해당하지만 일반승객 만원율을 기준으로는 만원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더 이상 해당 엘리베이터 호기를 로봇 호출에 할당하지 않되 만원 바이패스는 적용하지 않는다.In other words, if the elevator is 10,000 won based on the robot 10,000 won rate but not 10,000 won based on the general passenger 10,000 won rate, the elevator is no longer assigned to robot calls, but the 10,000 won bypass is not applied.
한편, 4호기의 카 내 총 하중(탑승 하중)이 81%로 검출되는 경우, 해당 호기는 로봇에 대한 만원율과 일반승객에 대한 만원율을 모두 초과한 상태이므로, 4호기의 주행 방향으로 기할당된 홀콜(승강장 호출)을 바이패스한다. 이 상황에서 신규 호출이 발생하면 4호기를 제외한 나머지 호기 중에서 해당 호출을 입력한 주체(로봇 또는 일반승객)에 대한 만원율을 초과하지 않는 호기를 대상으로 가장 효율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는 호기를 선정하여 할당한다. 또한, 4호기가 바이패스하는 홀콜은 옵션에 따라 다른 호기로 재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if the total load (boarding load) in the car of Unit 4 is detected as 81%, the unit has exceeded both the fullness rate for robots and the fullness rate for general passengers, so the hold call (platform call) assigned to the driving direction of Unit 4 is bypassed. In this situation, when a new call occurs, the most efficient car that can service the call is selected and allocated among the remaining cars except for car 4, with the car not exceeding the full capacity for the subject (robot or general passenger) who entered the call. In addition, the hold call that car 4 bypasses can be reassigned to another car depending on the option.
즉, 일반승객 만원율을 기준으로 만원인 경우(이 경우 당연히 로봇 만원율을 기준으로도 만원에 해당)에는 해당 엘리베이터 호기에 만원 바이패스를 적용한다. 만원 바이패스 적용시 해당 엘리베이터 호기에 대한 할당 억제 또는 배제를 함께 수행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f the general passenger occupancy rate is 10,000 (in this case, of course, it is also 10,000 based on the robot occupancy rate), the occupancy bypass is applied to the relevant elevator unit. When the occupancy bypass is applied, allocation suppression or exclusion for the relevant elevator unit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로봇과 일반승객의 만원 검출 기준을 차등 적용함으로써, 일반승객에 대한 만원 바이패스를 완화하고 서비스 효율 저하를 방지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요지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main technical 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eviate full capacity bypass for general passengers and prevent service efficiency degradation by differentially applying full capacity detection criteria for robots and general passengers.
2. 서비스 가능 로봇 수 제한2. Limit the number of robots available for service
또한, 본 발명은 한 기의 엘리베이터 당 서비스 가능한 로봇의 수를 제한함으로써,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일반승객과 로봇 간의 충돌 또는 로봇과 로봇 간의 충돌을 최대한 억제하고, 건물 내 엘리베이터 교통량 처리 효율성의 저하 및 서비스 지연을 방지함에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limiting the number of robots that can service one elevator, thereby maximally suppressing collisions between robots and general passengers using the elevator or between robots, and preventing a decrease in the efficiency of handling elevator traffic within a building and service delays.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수동적으로 또는 자동적으로 감지된 교통량 패턴을 고려하여 한 기의 엘리베이터 당 서비스 가능한 로봇 수의 최대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최대값은 로봇 시스템부(10)에서 군관리부(21) 측으로 요청하여 설정하거나 또는 군관리부(21) 측에서 자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엘리베이터의 운용모드에 따라 각 모드 별로 서비스 가능한 최대 로봇 수가 달리 설정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set the maximum number of robots that can be serviced per elevator by considering the traffic pattern detected manually or automatically. This maximum value can be set by requesting the robot system unit (10) to the group management unit (21) or can be set by the group management unit (21) itself. In this case, the maximum number of robots that can be serviced can be set differently for each mode depending on the operation mode of the elevator described abo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연동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로봇의 이용이 가능하게 설정되는 운용모드로서 '로봇 전용모드'와 '동승모드'를 제시하고 있는데, 이때 로봇 전용모드의 제한 로봇 대수를 동승모드의 제한 로봇 대수보다 더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즉, 로봇 전용모드로 설정되는 엘리베이터 호기에 동승모드로 설정되는 엘리베이터 호기보다 더 많은 대수의 로봇을 수용(탑승) 가능하게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bot-linked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sents 'robot-only mode' and 'passenger mode' as operation modes in which the use of robots is enabled. In this case, the number of robots limited in the robot-only mode can be set to be larger than the number of robots limited in the passenger mode. In other words, a larger number of robots can be accommodated (boarded) in an elevator set to the robot-only mode than in the passenger mode.
상기와 같이 건물 내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각 호기 별로 서비스 가능한 최대 로봇 수가 설정된 상태에서, 군관리부(21)는 정격용량 및 내부 면적과 같은 엘리베이터의 제원 정보, 수동적으로 또는 자동적으로 감지되는 교통량 패턴 별 일반승객 대상 로드 만원율 및/또는 공간 만원율, 수동적으로 또는 자동적으로 감지된 교통량 패턴 별 로봇 대상 로드 만원율 및/또는 공간 만원율, 각 엘리베이터 호기에 기등록된 홀콜/카콜 정보, 각 엘리베이터 호기에 탑승 중인 로봇 및/또는 일반승객의 객체 수 정보, 각 엘리베이터 호기의 주행 방향을 따른 탑승 예정 로봇 및/또는 일반승객 객체 수 정보, 각 엘리베이터 호기에 탑승 중이거나 탑승 예정인 로봇의 제원 정보(부피, 무게 등) 등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 및 분석하여, 해당 엘리베이터 호기의 주행경로 상의 층 별 '탑승 가능 용량', '탑승 가능 공간' 및 '서비스 로봇 수'를 산출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state, with the maximum number of robots that can service each elevator in a building set, the group management unit (21) collects and analyzes information in real time about the specifications of the elevator, such as the rated capacity and the internal area, the load occupancy rate and/or the space occupancy rate for general passengers according to the traffic pattern detected manually or automatically, the load occupancy rate and/or the space occupancy rate for robots according to the traffic pattern detected manually or automatically, the holl call/car call information registered in each elevator unit, the number of robots and/or general passengers riding in each elevator unit, the number of robots and/or general passengers scheduled to ride along the driving direction of each elevator unit, and the specifications information (volume, weight, etc.) of the robots riding or scheduled to ride in each elevator unit, so as to calculate the 'boarding capacity', 'boarding space', and 'number of service robots' for each floor on the driving route of the corresponding elevator unit.
여기서 '탑승 가능 용량'은 엘리베이터 호기 내에 추가로 탑재 가능한 하중을 의미하고, '탑승 가능 공간'은 엘리베이터 호기 내에 추가로 점유 가능한 공간의 면적을 의미한다. 그리고 '서비스 로봇 수'는 엘리베이터 호기가 홀콜/카콜 서비스 중인 로봇의 대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해당 호기 내에 탑승하고 있는 로봇 뿐만 아니라 승강장에서 대기하고 있는 로봇의 수까지 포함하여 산출될 수 있다.Here, the 'boarding capacity' refers to the additional load that can be loaded inside the elevator car, and the 'boarding space' refers to the area of the additional space that can be occupied inside the elevator car. In addition, the 'number of service robots' refers to the number of robots that the elevator car is providing hollcall/carcall service, and can be calculated by including not only the robots that are on board the elevator car, but also the number of robots waiting on the platform.
또한, 상기에서 '교통량 패턴 별'의 의미는 동일한 운용모드라 하더라도 교통량 패턴에 따라 엘리베이터 호기의 만원율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컨대, 시간대 별로 건물 내 교통량 패턴이 다르게 형성되는 특성을 엘리베이터의 만원율 설정에 반영할 수 있다는 것이다.In addition, the meaning of 'by traffic pattern' above means that even in the same operating mode, the occupancy rate of an elevator can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raffic pattern. For example, the characteristic of different traffic patterns within a building depending on time zone can be reflected in the occupancy rate setting of the elevator.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출근시간, 퇴근시간, 중식시간과 같은 특수한 상황의 시간대 별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승객 교통량에 차이가 발생하고, 또 출근시간에는 윗방향으로의 교통량이 많은 반면 퇴근시간에는 아랫방향으로의 교통량이 많은 등 주행 방향을 따라서도 교통량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시간대 및 주행 방향에 따른 교통량 패턴에 관한 정보를 미리 파악하여 보유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로봇과 일반승객에 대한 만원율을 다르게 설정하는 것 뿐만 아니라 교통량 패턴 별로도 만원율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건물 내 설치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탄력적 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As a more specific exampl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assenger traffic volume using the elevator depending on the time zone such as commuting hours, commuting hours, and lunch hours, and there is also a difference in the traffic volume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ravel such as a large amount of upward traffic during commuting hours and a large amount of downward traffic during commuting hours. The present invention grasps and retains information on the traffic volume pattern according to such time zones and driving directions in advance, and not only sets different occupancy rates for robots and general passengers as described above, but also sets different occupancy rates depending on the traffic pattern, thereby enabling flexible operation of multiple elevators installed in a building.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군관리부(21)는 상술한 여러가지 정보들을 토대로 건물 내에서 운행 중인 각 엘리베이터 호기의 주행경로 상의 층 별 '탑승 가능 용량', '탑승 가능 공간' 및 '서비스 로봇 수'를 산출하여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있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ilitary management unit (2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alculate and monitor in real time the 'boarding capacity', 'boarding space' and 'number of service robots' for each floor on the driving path of each elevator unit operating in the building based on the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described above.
이 상태에서 로봇의 호출 요청 발생시 군관리부(21)는 로봇 전용모드 또는 동승모드로 설정되어 있고 해당 로봇의 출발층과 목적층을 서비스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중에서 탑승 가능 용량 및 탑승 가능 공간이 호출을 요청한 로봇의 제원에 모두 부합하는 호기를 선별하여 1차적으로 할당 가능한 후보군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로봇의 제원을 고려하여 건물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중에서 호출을 요청한 로봇의 탑승을 수용할 수 있는 호기 후보군을 추출하는 것이다.In this state, when a call request from a robot occurs, the group management unit (21) can select an elevator that is set to robot-only mode or ride-sharing mode and can service the departure and destination floors of the robot, and has a boarding capacity and boarding space that both meet the specifications of the robot requesting the call, and configure it as a candidate group that can be allocated primarily. In other words, considering the specifications of the robot, a candidate group of elevators that can accommodate the boarding of the robot requesting the call is extracted from among multiple elevators installed in the building.
또한, 군관리부(21)는 1차적으로 도출된 엘리베이터 호기 후보군 중에서 현재 호출을 요청한 로봇이 가고자 하는 목적층으로의 주행 방향을 따른 출발층의 직전 층에서 예상되는 서비스 로봇 수가 각 호기 별로 설정된 서비스 가능한 최대 로봇 수를 초과하지 않는 호기를 선별하여 할당 가능한 엘리베이터 후보군을 재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승객과는 달리 로봇의 호출은 시스템을 통해 원격으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중간에 예기치 않은 호출이 발생할 우려가 없고, 따라서 호출을 요청한 로봇의 출발층의 직전 층에서의 서비스 중인 로봇 수 예측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military management department (21) can reconstruct the group of elevator candidates that can be allocated by selecting a group of elevator candidates that is initially derived, in which the number of expected service robots on the floor immediately preceding the departure floor along the direction of travel to the destination floor that the robot that has currently requested a call wants to go does not exceed the maximum number of serviceable robots set for each unit. Here, unlike general passengers, since the robot call is made remotely only through the system, there is no concern that an unexpected call will occur in the middle, an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number of robots in service on the floor immediately preceding the departure floor of the robot that has requested a call.
그리고 군관리부(21)는 최종적으로 자체적으로 수립되어 있는 할당 알고리즘 수행을 통해 상기에서 재구성된 할당 가능한 엘리베이터 호기 후보군 중 가장 효율적인 엘리베이터를 결정하고 이를 호출을 요청한 로봇에게 할당한다.And the military management department (21) finally determines the most efficient elevator among the candidates for assignable elevators reconstructed above through the execution of its own established allocation algorithm and assigns it to the robot that requested the call.
군관리부(21)는 현재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주행 경로 상의 층 별 및 방향 별 탑승 가능 로봇 수를 산정하고, 탑승 가능 로봇 수가 '0'인 층에서는 해당 호기를 신규 로봇 호출에 대해 할당 배제할 수 있다.The military management department (21) calculates the number of robots that can be boarded on each floor and direction on the driving route based on the current status information, and can exclude the corresponding space from being allocated to new robot calls on floors where the number of robots that can be boarded is '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연동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건물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각 호기 별로 서비스 가능한 로봇의 최대 수를 설정하고, 건물 내에서 운행 중인 각 엘리베이터 호기의 탑승 가능 용량, 탑승 가능 공간 및 서비스 로봇 수를 파악하며, 이러한 정보를 참조하여 로봇 호출에 대한 엘리베이터 할당을 수행함으로써, 일반승객이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 범위 내에서 건물 내 교통량 패턴에 유연하게 대응하면서 효과적으로 로봇 연동 엘리베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obot-linked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ts the maximum number of robots that can service each of a plurality of elevators installed in a building, determines the boarding capacity, boarding space, and number of service robots of each elevator operating in the building, and performs elevator allocation for robot calls by referring to this information, thereby providing a robot-linked elevator service effectively while flexibly responding to traffic patterns within the building within a range where general passengers do not feel inconvenienced.
또한, 본 발명은 1차적으로 로봇의 제원에 부합하는 엘리베이터 호기 후보군을 추출한 후 그 중에서 서비스 중인 로봇 수가 호기 별로 설정되어 있는 서비스 가능 최대 로봇 수를 넘지 않는 호기에 대하여 할당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서로 다른 제원을 가지는 각양각색의 로봇에 대해서도 차질없이 엘리베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irst extracts a group of elevator candidates that meet the specifications of the robots, and then performs an allocation algorithm on a unit in which the number of robots in service does not exceed the maximum number of robots that can be serviced set for each unit, thereby having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ovide elevator service without a hitch even for various robots with different specifications.
한편, 로봇이 이용 가능하게 설정되는 로봇 호기(즉, 로봇 전용모드 및 동승모드로 설정되는 엘리베이터 호기)가 현재 서비스 중인 로봇의 총 대수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해당 엘리베이터 호기는 신규로 발생하는 로봇 호출에 대한 할당 배제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재 서비스 중'이라는 의미는 로봇 호출에 의한 홀콜/카콜을 서비스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서, 즉 로봇이 해당 엘리베이터 호기 내에 탑승하고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승강장에서 할당된 엘리베이터 호기를 기다리고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Meanwhile, if the total number of robots currently in service in a robot cabin (i.e., an elevator cabin set to robot-only mode and shared mode) that is set to be available to robots exceeds a preset threshold, the elevator cabin can be excluded from allocation for newly occurring robot calls. Here, the meaning of "currently in service" includes all cases where a hold call/car call is serviced by a robot call, and should be interpreted to mean not only cases where a robot is on board the elevator cabin but also cases where the robot is waiting for the assigned elevator cabin on the platform.
그리고 해당 엘리베이터 호기가 로봇 호출에 의한 1개층 이상의 카콜 서비스를 완료하거나 1개층 이상의 홀콜 서비스 요청이 취소되는 경우에는 다시 신규로 입력되는 로봇 호출에 대한 할당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levator in question completes car call service for one or more floors by robot call or when a hall call service request for one or more floors is canceled, it can be set so that allocation for a newly input robot call is possible.
즉, 현재 한 대의 엘리베이터 호기에 몇 기의 로봇이 서비스 받고 있는지를 검출하고, 홀콜/카콜 서비스를 받고 있는 로봇의 대수가 사전 설정치 이상으로 검출되는 경우 해당 엘리베이터 호기를 신규 로봇 호출에 더 이상 할당하지 않을 수 있다.That is, it is possible to detect how many robots are currently being serviced in one elevator car, and if the number of robots receiving hold call/car call service is detected to be greater than a preset number, the elevator car can no longer be assigned to new robot calls.
또한, 2 이상의 로봇의 호출로서 동일 호출층 및/또는 목적층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동일 엘리베이터 호기에 할당되는 로봇의 대수를 소정치 이하로 제한하고 복수의 호기로 분산 할당할 수 있다. 이때, 로봇 호출에 대해 할당 가능한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각 호기의 로봇 점유율을 고려하여 점유율이 낮은 호기 순으로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할당을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ame call floor and/or destination floor are input as calls for two or more robots, the number of robots assigned to the same elevator car can be limit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r less and distributed to multiple cars. At this time, the robot occupancy rate of each car among multiple elevators that can be assigned to the robot call can be considered and the allocation can be performed by giving priority in order of the car with the lowest occupancy rate.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연동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하며, 예컨대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The robot-linked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implemented to execute computer-readable command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such as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로봇 시스템부
20: 엘리베이터 시스템부
21: 군관리부
22: 제어부10: Robot System Department
20: Elevator System Section
21: Military Management Department
22: Control Unit
Claims (12)
상기 건물 내에 설치되며 상기 로봇에 대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설정되는 호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각 호기에 대한 만원율 설정시 로봇에 대한 만원율과 인간에 대한 만원율이 다르게 설정되고,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중 동승모드로 설정된 호기의 경우, 상기 로봇의 호출에 대해서는 상기 로봇에 대한 만원율을 적용하여 할당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인간의 호출에 대해서는 상기 인간에 대한 만원율을 적용하여 할당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탑승 파라미터가 설정되는 로봇 연동 엘리베이터 시스템.
Robots that move autonomously within buildings; and
A plurality of elevators are installed within the building and include elevators configured to service the robot,
When setting the full occupancy rate for each elevator of the above multiple elevators, the full occupancy rate for robots and humans is set differently.
In the case of an elevator set to a shared ride mode among the above plurality of elevators, for a call from a robot, the allocation is determined by applying the full capacity rate for the robot, and for a call from a human, the allocation is determined by applying the full capacity rate for the human.
A robot-linked elevator system in which robot boarding parameters are set.
상기 로봇에 대한 만원율이 상기 인간에 대한 만원율보다 낮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탑승 파라미터가 설정되는 로봇 연동 엘리베이터 시스템.
In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rate of return for the robot is set lower than the rate of return for the human.
A robot-linked elevator system in which robot boarding parameters are set.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중 로봇 전용모드로 설정된 호기에는 상기 로봇에 대한 만원율이 적용되고,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중 일반승객 전용모드로 설정된 호기에는 상기 인간에 대한 만원율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탑승 파라미터가 설정되는 로봇 연동 엘리베이터 시스템.
In claim 1,
Among the above multiple elevators, the full occupancy rate for the robot is applied to the elevators set to robot-only mo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ull occupancy rate for humans is applied to the elevators set to the general passenger-only mode among the above plurality of elevators.
A robot-linked elevator system in which robot boarding parameters are set.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는 각 호기 별로 설정된 만원율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 만원 상태로 전환되는 동시에 신규로 발생하는 호출에 대하여 할당 억제 또는 할당 배제되는,
로봇 탑승 파라미터가 설정되는 로봇 연동 엘리베이터 시스템.
In claim 1,
When the above multiple elevators exceed the fullness rate set for each elevator, they are converted to a full state and, at the same time, allocation is suppressed or excluded for new calls.
A robot-linked elevator system in which robot boarding parameters are set.
상기 만원율은 엘리베이터 카 내에 탑승하고 있는 객체의 하중을 기준으로 하는 로드 만원율과 상기 엘리베이터 카 내에 탑승하고 있는 객체의 공간 점유율을 기준으로 하는 공간 만원율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각 호기 별로 상기 로드 만원율과 상기 공간 만원율이 선택적으로 또는 함께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탑승 파라미터가 설정되는 로봇 연동 엘리베이터 시스템.
In claim 3,
The above occupancy rate includes a load occupancy rate based on the load of objects riding in the elevator car and a space occupancy rate based on the space occupancy rate of objects riding in the elevator ca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ad occupancy rate and the space occupancy rate are applied selectively or together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elevators.
A robot-linked elevator system in which robot boarding parameters are set.
상기 건물 내에 설치되며 상기 로봇에 대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설정되는 호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중, 로봇 전용모드로 설정되는 호기 및 동승 모드로 설정되는 호기는, 각 호기 별로 서비스 가능한 최대 로봇 수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탑승 파라미터가 설정되는 로봇 연동 엘리베이터 시스템.
Robots that move autonomously within buildings; and
A plurality of elevators are installed within the building and include elevators configured to service the robot,
Among the above multiple elevators, the elevator set to robot-only mode and the elevator set to shared mode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ximum number of robots that can be serviced is set for each elevator.
A robot-linked elevator system in which robot boarding parameters are set.
상기 로봇 전용모드로 설정된 엘리베이터 호기의 서비스 가능한 최대 로봇 수가 상기 동승모드로 설정된 엘리베이터 호기의 서비스 가능한 최대 로봇 수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탑승 파라미터가 설정되는 로봇 연동 엘리베이터 시스템.
In claim 7,
Characterized in that the maximum number of serviceable robots in the elevator unit set to the robot-only mode is set to be greater than the maximum number of serviceable robots in the elevator unit set to the shared mode.
A robot-linked elevator system in which robot boarding parameters are set.
엘리베이터 호출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중 최적의 호기를 할당하는 군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군관리부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정격용량 및 내부 면적을 포함하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제원 정보;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각 호기 별로 설정된 만원율;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각 호기 별로 등록되어 있는 호출 요청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각 호기 별로 탑승 중이거나 탑승 예정인 객체 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실시간으로 수집 및 분석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각 호기 별로, '추가 탑재 가능한 하중', '추가 점유 가능한 공간 면적', 및 '해당 호기가 서비스 중인 로봇의 수' 중 하나 이상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탑승 파라미터가 설정되는 로봇 연동 엘리베이터 시스템.
In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group management unit that allocates the optimal elevator among the plurality of elevators for an elevator call;
The above military management department,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vator, including the rated capacity and internal area of the elevator;
Full occupancy rate set for each of the above multiple elevators;
Call request information registered for each unit of the above multiple elevators; and
By collecting and analyzing in real time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objects currently on board or scheduled to board each of the above multiple elevator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elevators, at least one of the 'additional load that can be loaded', 'additional occupied space area', and 'the number of robots that the corresponding elevator is servicing' is derived.
A robot-linked elevator system in which robot boarding parameters are set.
상기 군관리부는, 상기 건물 내에서 로봇에 의한 호출 발생시,
상기 '추가 탑재 가능한 하중' 및 상기 '추가 점유 가능한 공간 면적'이 호출을 요청한 로봇의 제원에 부합하는 엘리베이터 호기를 선별하여 1차 후보군을 구성하고,
상기 1차 후보군 중에서, 상기 호출을 요청한 로봇의 목적층으로의 주행 방향을 고려한 출발층 직전 층에서 예상되는 상기 '해당 호기가 서비스 중인 로봇의 수'가 상기 서비스 가능한 최대 로봇 수를 초과하지 않는 호기를 선별하여 2차 후보군을 구성하며,
상기 2차 후보군에 대해 할당 알고리즘을 실시하여 최적의 호기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탑승 파라미터가 설정되는 로봇 연동 엘리베이터 시스템.
In claim 9,
The above military management department, when a call is made by a robot within the above building,
The first group of candidates is formed by selecting elevators that match the specifications of the robot requesting the call, including the 'additional load that can be loaded' and the 'additional occupied space area'.
Among the first group of candidates mentioned above, a second group of candidates is formed by selecting a robot whose expected 'number of robots being serviced by the robot' on the floor immediately before the departure floor considering the direction of travel to the destination floor of the robot requesting the call does not exceed the maximum number of robots that can be serviced.
It is characterized by selecting the optimal opportunity by performing an allocation algorithm on the above second candidate group.
A robot-linked elevator system in which robot boarding parameters are set.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중 어느 호기의 현재 서비스 중인 로봇 수가 해당 호기에 설정된 서비스 가능한 최대 로봇 수 이상인 경우, 해당 호기를 신규로 발생하는 로봇 호출에 대해 할당 배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탑승 파라미터가 설정되는 로봇 연동 엘리베이터 시스템.
In claim 7,
If the number of robots currently in service of any of the above multiple elevator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aximum number of robots that can be serviced set for the elevator, the eleva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llocation is excluded from new robot calls.
A robot-linked elevator system in which robot boarding parameters are set.
2 이상의 로봇의 호출로서 동일 호출층 또는 동일 목적층이 입력되는 경우 동일한 엘리베이터 호기에 할당되는 로봇의 대수를 소정치 이하로 제한하고 복수의 호기로 분산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탑승 파라미터가 설정되는 로봇 연동 엘리베이터 시스템.In claim 11,
In case the same call floor or the same destination floor is input as a call for two or more robots, the number of robots assigned to the same elevator car is limit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r less and distributed to multiple cars.
A robot-linked elevator system in which robot boarding parameters are set.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5412A KR102786908B1 (en) | 2022-09-14 | 2022-09-14 | Robot linked elevator system in which robot boarding parameters are set |
CN202310135835.7A CN117699593A (en) | 2022-09-14 | 2023-02-20 | Robot linkage elevator system |
US18/356,151 US20240083710A1 (en) | 2022-09-08 | 2023-07-20 | Robot interlocking elevator control system |
EP23186963.7A EP4335803B1 (en) | 2022-09-08 | 2023-07-21 | Robot interlocking elevator control system |
JP2023123084A JP7600321B2 (en) | 2022-09-08 | 2023-07-28 | Robot-linked elevator control system |
CN202311029668.4A CN117657904A (en) | 2022-09-08 | 2023-08-16 | Robot interlocking elevator control system |
JP2024211763A JP2025029137A (en) | 2022-09-08 | 2024-12-04 | Robot-linked elevator control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5412A KR102786908B1 (en) | 2022-09-14 | 2022-09-14 | Robot linked elevator system in which robot boarding parameters are se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36859A KR20240036859A (en) | 2024-03-21 |
KR102786908B1 true KR102786908B1 (en) | 2025-03-27 |
Family
ID=90077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15412A Active KR102786908B1 (en) | 2022-09-08 | 2022-09-14 | Robot linked elevator system in which robot boarding parameters are set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786908B1 (en) |
CN (2) | CN117699593A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33992B1 (en) * | 2023-12-07 | 2024-11-25 | 네이버 주식회사 | Method and system for allocating elevator and controling robot in an environment where people and robots coexist |
JP7582537B1 (en) * | 2024-03-12 | 2024-11-13 | フジテック株式会社 | ROBOT MANAGEMENT DEVICE, ROBOT, AND PROGRAM |
JP7582539B1 (en) * | 2024-03-12 | 2024-11-13 | フジテック株式会社 | ROBOT MANAGEMENT DEVICE, ROBOT, AND PROGRAM |
JP7582538B1 (en) * | 2024-03-12 | 2024-11-13 | フジテック株式会社 | ROBOT MANAGEMENT DEVICE, ROBOT, AND PROGRAM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0128279A (en) * | 2019-02-08 | 2020-08-27 |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 Elevator system,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and elevator number allocation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693980A (en) * | 2019-10-23 | 2021-04-23 | 奥的斯电梯公司 | Robot elevator taking control method, system, elevator, robot system and storage medium |
-
2022
- 2022-09-14 KR KR1020220115412A patent/KR102786908B1/en active Active
-
2023
- 2023-02-20 CN CN202310135835.7A patent/CN117699593A/en active Pending
- 2023-08-16 CN CN202311029668.4A patent/CN117657904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0128279A (en) * | 2019-02-08 | 2020-08-27 |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 Elevator system,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and elevator number allocation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7657904A (en) | 2024-03-08 |
CN117699593A (en) | 2024-03-15 |
KR20240036859A (en) | 2024-03-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786908B1 (en) | Robot linked elevator system in which robot boarding parameters are set | |
JP7600321B2 (en) | Robot-linked elevator control system | |
FI111929B (en) | Operation of a lift group | |
US5022497A (en) |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crowd sensing system for elevator car assignment | |
KR920011080B1 (en) | Group management device of elevator | |
KR102558417B1 (en) | Robot dedicated mode setting system of elevator reflecting traffic volume | |
JP2014504998A (en) | Automation in elevator call and supply car allocation | |
KR102687915B1 (en) | Robotic Linked Elevator Control System and Method | |
US9365392B2 (en) | System having multiple cabs in an elevator shaft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00132515A (en) | Group management device of elevator | |
JPH0712891B2 (en) | Elevator group management device | |
EP2986546B1 (en) | A call allocating method, a group controller and an elevator group | |
US5239142A (en) | Selection of an elevator for service based on passenger location and elevator travel time | |
KR102813222B1 (en) | Operation mode conversion system of robot-linked elevator | |
JP7359340B1 (en) | Elevator system and elevator car assignment method | |
KR102515719B1 (en) | Vision recognition interlocking elevator control system | |
KR102726239B1 (en) | Elevator operating system for humans and robots | |
JPH0680324A (en) | Operation control device of vertical and horizontal self-traveling elevator | |
KR102630551B1 (en) | Robotic Interlocking Elevator Control System | |
KR102701767B1 (en) | Robotic Linked Elevator Control System and Method | |
JP6799161B2 (en) | Elevator device | |
KR102745310B1 (en) | Robot Linked Elevator System | |
JP7577788B2 (en) | Robot-linked elevator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 |
KR102706972B1 (en) | Robotic Linked Elevator Group Control System Including Disabled Elevator | |
JPH0798619B2 (en) | Elevator group management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26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