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01767B1 - Robotic Linked Elevator Control System and Method - Google Patents
Robotic Linked Elevator Control System and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01767B1 KR102701767B1 KR1020220089424A KR20220089424A KR102701767B1 KR 102701767 B1 KR102701767 B1 KR 102701767B1 KR 1020220089424 A KR1020220089424 A KR 1020220089424A KR 20220089424 A KR20220089424 A KR 20220089424A KR 102701767 B1 KR102701767 B1 KR 1027017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vator
- autonomous vehicle
- boarding
- control unit
- do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5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06 monitoring devi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19 correlation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07 loca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8—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43—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 B66B13/146—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method or algorithm for controlling do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06—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a wireless system for controlling one or several manipul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66B13/165—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electric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2—Devices monitoring the users of the elevator syste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11—Waiting time, i.e. response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로봇 연동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건물 내 층간 이동을 위한 로봇의 엘리베이터 이용시 승하차 단계에서 발생하는 실패모드, 특히 로봇의 승차 또는 하차 동작이 개시되었으나 승차완료 또는 하차완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상황에 대한 대응방안을 수립하여 제시함으로써, 실패모드 발생시에도 승객 서비스 지연 없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원활한 운용이 가능하게 하고 로봇과 연동 제어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전반적인 서비스성을 높이고 운용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A robot-linked elevator control system is disclosed. The present invention establishes and proposes a countermeasure for a failure mode that occurs during the boarding and disembarking stage when a robot uses an elevator for moving between floors in a building, particularly, a situation in which the robot's boarding or disembarking operation is initiated but a boarding or disembarking completion signal is not received, thereby enabling smooth operation of the elevator system without delay in passenger service even when a failure mode occurs, thereby enhancing the overall serviceability of an elevator system controlled in conjunction with a robot, and significantly improving operational efficiency.
Description
본 발명은 로봇 연동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로봇의 건물 내 층간 이동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로봇의 승차 또는 하차 동작이 개시되었으나 승차완료 또는 하차완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상황에 대한 대응방안을 수립하여 제시하는 로봇과 엘리베이터 시스템 간의 연동 제어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linked elevator control system and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to a robot-linked control technology for providing a service of moving between floors in a building using an elevator, by a robot, which establishes and presents a response measure for a situation in which a robot's boarding or disembarking operation is initiated but a boarding or disembarking completion signal is not received.
주거용이나 업무용, 상업용 등으로 건축되는 다양한 건물에는 해당 건물을 출입하는 승객들의 원활한 층간 이동을 위해 엘리베이터가 구비된다.In various buildings constructed for residential, business, or commercial purposes, elevators are installed to facilitate smooth movement between floors for passengers entering and exiting the building.
통상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건물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승강로를 따라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카, 엘리베이터 카를 승강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와 권상기 등으로 구성되는 기계부, 엘리베이터의 운행과 관련된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ypically, an elevator is composed of an elevator car that moves along a vertical shaft formed inside a building, a mechanical part including a motor unit and a traction machine that generate power to raise and lower the elevator car, and a control unit that performs control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최근에는 건물 내 로봇에 의한 서비스가 활성화되면서 건물 내 로봇의 층간 이동을 위해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Recently, as services provided by robots within buildings become more active, the need to use elevators to move robots between floors within buildings is increasing.
예컨대, 건물 내를 이동하면서 물건의 운반, 청소, 고객 안내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로봇들이 많이 개발되어 실적용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상용화된 로봇은 바닥이 평평한 복도나 실내에서 수평방향으로는 무리없이 이동이 가능하지만, 로봇이 복수의 층에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다른 층으로 이동하고자 할 때에는 층간 이동을 위한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For example, many robots that perform tasks such as transporting objects, cleaning, and guiding customers while moving around in buildings have been developed and are being put into practical use. Currently, commercialized robots can move horizontally without difficulty in flat hallways or indoors, but when a robot wants to move to a different floor to perform tasks on multiple floors, a means of moving between floors is required.
현재는 엘리베이터가 로봇의 층간 이동을 위한 가장 바람직한 수단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로봇을 목적층까지 효과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로봇과 엘리베이터 시스템 간의 다양한 연동 제어기술이 개발되고 있다.Currently, elevators are considered the most desirable means of transporting robots between floors, and various linkage control technologies between robots and elevator systems are being developed to effectively move robots to their destination floors.
한편, 종래에는 인간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로봇과 인간이 같은 엘리베이터에 탑승하지 않도록 제어하기도 하였으나, 최근 건물 내 서비스 로봇의 적용이 확대됨에 따라 동일한 엘리베이터에 로봇과 인간의 동승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게 되었다.Meanwhile, in the past, in order to ensure human safety, robots and humans were controlled so that they would not ride in the same elevator, but recently, as the application of service robots in buildings has expanded, there have been many cases where robots and humans are required to ride in the same elevator.
이와 같은 승합 방식은 무엇보다 로봇에 대한 서비스로 인해 승객에 대한 편리성이나 서비스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성이 크게 요구되지만, 점점 실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로봇에 대한 서비스를 마냥 후순위로 배제할 수는 없는 노릇이므로, 인간과 로봇 모두에 대한 엘리베이터 서비스 품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조화로운 연동 제어기술이 필요하다.This type of shared transportation system requires, above all, a strong need to prevent the convenience or service quality for passengers from deteriorating due to robot services. However, since robot services, which are increasingly having a positive impact on real life, cannot be completely excluded as a second priority, a harmonious linkage control technology is needed so that the quality of elevator services for both humans and robots can be improved.
엘리베이터를 통한 로봇의 건물 내 층간 이동은, 로봇이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는 것으로부터 로봇이 출발층에 도착한 엘리베이터에 탑승하여 목적층으로 이동 후 하차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수행된다.The movement of a robot between floors in a building via an elevator is performed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from the robot calling the elevator, to the robot boarding the elevator that arrives at the starting floor, moving to the destination floor, and then getting off.
이때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와 로봇 간에 신호를 주고 받으면서 로봇의 승/하차 절차가 단계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그 구체적인 절차 및 과정은 다음과 같다.At this time, the robot's boarding/disembarking procedure is carried out in stages by exchanging signals between the elevator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and the robot, and the specific procedures and processes are as follows.
로봇이 원격으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면,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해당 호출에 대해 특정 엘리베이터 호기를 할당하고, 할당된 호기를 출발층으로 이동시킨다.When the robot calls an elevator remotely, the elevator control unit assigns a specific elevator car to the call and moves the assigned car to the departure floor.
할당된 엘리베이터가 출발층에 도착하면,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도어를 개방하고 로봇에게 '승차허가' 신호를 보내어 승차가 가능한 상태임을 알린다. 승차허가 신호를 받은 로봇은 엘리베이터 카에 올라타는 승차 동작을 개시할 수 있고, 승차 동작을 개시한 로봇은 승차가 완료될 때까지 엘리베이터 제어부로 '승차중' 신호를 지속적으로 보내어 승차 동작이 진행되고 있는 도중임을 알릴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의 승차가 완료되면 로봇은 엘리베이터 제어부로 '승차완료' 신호를 전송하게 되며, 로봇으로부터 승차완료 신호까지 수신되어야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도어를 폐쇄하고 엘리베이터 카를 로봇의 목적층으로 이동시킨다.When the assigned elevator arrives at the departure floor, the elevator control unit opens the door and sends a 'boarding permission' signal to the robot to notify that boarding is possible. The robot that has received the boarding permission signal can initiate a boarding motion by getting on the elevator car, and the robot that has initiated the boarding motion can continuously send a 'boarding in progress' signal to the elevator control unit until boarding is complete to notify that the boarding motion is in progress. When boarding of the elevator car is complete, the robot transmits a 'boarding complete' signal to the elevator control unit, and only when the boarding complet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robot does the elevator control unit close the door and move the elevator car to the robot's destination floor.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로봇이 하차하는 과정도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로봇을 실은 엘리베이터 카가 목적층에 도착하면,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도어를 개방하고 로봇에게 '하차허가' 신호를 보내어 하차가 가능한 상태임을 알린다. 하차허가 신호를 받은 로봇은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내리는 하차 동작을 개시할 수 있고, 하차 동작을 개시한 로봇은 하차가 완료될 때까지 엘리베이터 제어부로 '하차중' 신호를 지속적으로 보내어 하차 동작이 진행되고 있는 도중임을 알릴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하차가 완료되면 로봇은 엘리베이터 제어부로 '하차완료' 신호를 전송하게 되며, 로봇으로부터 하차완료 신호까지 수신되어야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도어를 폐쇄하고 엘리베이터 카의 다른 서비스 수행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process of a robot getting off from an elevator car can be performed similarly. When an elevator car carrying a robot arrives at a destination floor, the elevator control unit opens the door and sends a 'get off' signal to the robot to notify that it is ready to get off. The robot that has received the get off signal can initiate an getting off operation from the elevator car, and the robot that has initiated the getting off operation can continuously send a 'get off' signal to the elevator control unit until the getting off is complete to notify that the getting off operation is in progress. When getting off from the elevator car is complete, the robot transmits a 'get off complete' signal to the elevator control unit, and only when the getting off complet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robot, does the elevator control unit close the door and enable the elevator car to perform other services.
한편, 상기와 같은 서비스 절차가 단계적으로 수행됨에 있어서, 각 단계별로 실패모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할당된 엘리베이터 호기가 출발층에 도착하였으나 로봇이 승강장에 없는 경우라던지 또는 로봇으로부터 승/하차와 관련된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등의 실패가 발생할 수 있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실패모드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방안이 수립되어 있지 않았고, 실패모드 발생시 엘리베이터 관리자가 상황을 판단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고 있을 뿐이었다.Meanwhile, when the above service procedure is performed step by step, there are cases where failure modes occur at each step. For example, failures may occur when the assigned elevator arrives at the departure floor but the robot is not on the platform, or when signals related to boarding/disembarking are not received from the robot. However, in the past, specific countermeasures for such failure modes were not established, and when a failure mode occurred, the elevator manager simply judged the situation and took appropriate measures.
특히, 기존에는 로봇으로부터 엘리베이터로 승차하거나 하차하는 동작이 개시되고 있음을 알리는 '승차중' 또는 '하차중'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로봇으로부터 '승차완료' 혹은 '하차완료'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엘리베이터의 도어닫힘버튼(DCB: Door Close Button)을 무효화하고 도어를 열림 구속시키고 있는데, 로봇의 승차 및 하차와 관련된 절차의 진행 중에 어떠한 원인으로 인해 실패가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도어의 닫힘을 무효화(도어 열림 구속)하고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중단한다면, 함께 탑승하고 있는 승객이나 다른 층에서 대기하고 있는 승객에 대한 서비스 지연을 초래하고 그로 인한 불편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in the past, when a 'boarding' or 'disembarking' signal was received to indicate that the robot was starting to board or disembark the elevator, the door close button (DCB: Door Close Button) of the elevator was disabled and the door was held open until a 'boarding complete' or 'disembarking complete' signal was received from the robot. However, if the door closing is continuously disabled (door opening is disabled) and the elevator car operation is stopped even when a failure occurs for some reason during the procedure related to the robot's boarding or disembark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is causes a delay in service for passengers riding together or waiting on other floors, causing inconvenience thereto.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서, 로봇의 엘리베이터 승/하차 절차 진행 중 실패모드 발생시, 특히 로봇의 승차 또는 하차 동작이 개시되었으나 승차완료 또는 하차완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방안을 수립하여 제시함으로써, 승객 서비스의 장시간 지연을 방지하고 로봇과 연동 제어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전반적인 서비스성과 운용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로봇 연동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bot-linked elevator control system that can prevent long-term delays in passenger service and significantly improve the overall serviceability and operational efficiency of an elevator system that is linked and controlled with a robot by establishing and presenting a specific response plan for a situation in which a failure mode occurs during a robot's elevator boarding/disembarking procedure, particularly a situation in which a robot's boarding or disembarking operation is initiated but a boarding or disembarking completion signal is not received.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건물 내에서 자율 이동하는 자율이동체; 및 상기 자율이동체와 통신하며 상기 건물 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운행 및 상기 자율이동체의 엘리베이터 승하차시 엘리베이터 도어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율이동체가 상기 건물 내에서 층을 이동하기 위해 상기 엘리베이터를 이용함에 있어서, 상기 자율이동체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로 승차를 개시한다는 승차중 신호가 수신된 이후 상기 자율이동체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로 승차를 완료하였다는 승차완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및 상기 자율이동체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로부터 하차를 개시한다는 하차중 신호가 수신된 이후 상기 자율이동체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로부터 하차를 완료하였다는 하차완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실패모드 발생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상기 승차중 신호 또는 상기 하차중 신호가 수신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엘리베이터의 도어닫힘버튼(Door Close Button) 무효화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연동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robot-linked elevator control system can be provided, comprising: an autonomous mobile body that moves autonomously within a building; and an elevator control un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autonomous mobile body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an elevator installed within the building and the elevator door when the autonomous mobile body gets on or off the elevator; and, when the autonomous mobile body uses the elevator to move between floors within the building, when a boarding signal indicating that boarding has been completed is not received from the autonomous mobile body after a boarding signal indicating that boarding has been initiated from the autonomous mobile body into the elevator; and when an disembarkation signal indicating that disembarkation has been completed is not received from the autonomous mobile body after a disembarkation signal indicating that disembarkation has been initiated from the elevator is received from the autonomous mobile body; in which case any one of the following failure modes occurs: the elevator control unit releases the invalidation of a door close button of the elevator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has elapsed since the boarding signal or the disembarkation signal is received.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도어존(door zone) 내에 상기 자율이동체가 감지되지 않는 조건으로 상기 도어닫힘버튼 무효화를 해제할 수 있다.The above elevator control unit can disable the door close button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autonomous moving object is not detected within the door zone of the elevator.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상기 도어닫힘버튼 무효화는 해제하되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를 자동으로 폐쇄하지는 않을 수 있다.The above elevator control unit may disable the door close button but may not automatically close the elevator door.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건물 내에서 자율 이동하는 자율이동체 및 상기 자율이동체와 통신하며 상기 건물 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운행 및 상기 자율이동체의 엘리베이터 승하차시 엘리베이터 도어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를 포함하는 로봇 연동 엘리베이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로부터 승차를 허가받은 상기 자율이동체가 상기 할당된 엘리베이터에 승차 동작을 개시하며, 승차 동작이 진행되는 도중에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로 승차중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자율이동체가 상기 할당된 엘리베이터에 승차를 완료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로 승차완료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가 상기 자율이동체의 승차가 완료된 상기 할당된 엘리베이터를 상기 자율이동체의 목적층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할당된 엘리베이터가 상기 목적층에 도착한 후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로부터 하차를 허가받은 상기 자율이동체가 상기 할당된 엘리베이터로부터 하차 동작을 개시하며, 하차 동작이 진행되는 도중에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로 하차중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자율이동체가 상기 할당된 엘리베이터로부터 하차를 완료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로 하차완료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자율이동체로부터 상기 승차중 신호가 수신된 이후 상기 승차완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및 상기 자율이동체로부터 상기 하차중 신호가 수신된 이후 상기 하차완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실패모드 발생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상기 승차중 신호 또는 상기 하차중 신호가 수신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엘리베이터의 도어닫힘버튼(Door Close Button) 무효화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연동 엘리베이터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robot-linked elevator control method including an autonomous mobile body that moves autonomously within a building and an elevator control un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autonomous mobile body and controls operation of an elevator installed within the building and an elevator door when the autonomous mobile body gets on or off the elevator, comprising: a step in which the autonomous mobile body, which has been permitted to get on from the elevator control unit, initiates a getting on operation in the assigned elevator and transmits a getting on signal to the elevator control unit while the getting on operation is in progress; a step in which the autonomous mobile body completes getting on the assigned elevator and transmits a getting on completion signal to the elevator control unit; a step in which the elevator control unit moves the assigned elevator in which the autonomous mobile body has completed getting on to the destination floor of the autonomous mobile body; a step in which the autonomous mobile body, which has been permitted to get off from the elevator control unit after the assigned elevator has arrived at the destination floor, initiates an getting off operation from the assigned elevator and transmits an getting off signal to the elevator control unit while the getting off operation is in progress; And a step of the autonomous vehicle completing disembarking from the assigned elevator and transmitting a disembarkation completion signal to the elevator control unit, wherein when a failure mode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following occurs: when the boarding completion signal is not received after the board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autonomous vehicle; and when the disembarkation completion signal is not received after the disembark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autonomous vehicle; a robot-linked elevator control method can be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vator control unit releases the invalidation of the door close button of the elevator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ince the boarding signal or the disembarkation signal is received.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도어존(door zone) 내에 상기 자율이동체가 감지되지 않는 조건으로 상기 도어닫힘버튼 무효화를 해제할 수 있다.The above elevator control unit can disable the door close button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autonomous moving object is not detected within the door zone of the elevator.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상기 도어닫힘버튼 무효화는 해제하되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를 자동으로 폐쇄하지는 않을 수 있다.The above elevator control unit may disable the door close button but may not automatically close the elevator door.
본 발명은 건물의 층간 이동을 위해 로봇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로봇의 승/하차 절차 진행 중에 발생하는 실패모드, 특히 로봇의 승차 또는 하차 동작이 개시되었으나 승차완료 또는 하차완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방안을 수립하여 제시함으로써, 실패모드 발생시에도 장시간의 서비스 지연 없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원활한 운용이 가능하게 하고, 로봇과 연동 제어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전반적인 서비스성과 운용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establishes and proposes a specific response plan for a failure mode that occurs during the boarding/disembarking procedure of a robot while the robot uses an elevator to move between floors in a building, particularly a situation where the boarding or disembarking operation of the robot is initiated but a boarding or disembarking completion signal is not received, thereby enabling smooth operation of the elevator system without a long-term service delay even when a failure mode occurs, and significantly improving the overall serviceability and operational efficiency of the elevator system controlled in conjunction with the robo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연동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율이동체가 건물 내 층간 이동을 위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robot-linked elevato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rawing showing a process in which an autonomous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n elevator to move between floors in a building.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및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The purpose and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tailed operation and effect thereof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drawings attached to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을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추가적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used herein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various steps described in the invention, but should be construed as not including some of the components or some of the steps,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In addition, the singular expression used herei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다양한 응용을 가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thereby, and it is obvious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application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연동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율이동체가 건물 내 층간 이동을 위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robot-linked elevato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rawing showing a process in which an autonomous mov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n elevator to move between floors in a building.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연동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은, 건물 내에서 자율 이동하는 자율이동체(10)와, 자율이동체(10)와의 통신을 통해 건물 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20)를 포함하여, 자율이동체(10)와 엘리베이터의 연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robot-linked elevato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tonomous moving body (10) that moves autonomously within a building, and an elevator control unit (20)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an elevator installed within the building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autonomous moving body (10), thereby enabling linked control of the autonomous moving body (10) and the elevator.
본 발명에서 자율이동체(10)는 로봇을 포함하여 건물 내에서 인간의 조작없이 자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모든 이동기기를 총칭한다. 예컨대, 자율이동체(10)는 택배와 같은 물건의 운반, 청소, 고객 안내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서비스 로봇일 수 있으며, 건물 내에서 이동하는 모든 로봇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로봇관리시스템(미도시)과 연동되어 건물 내 승객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nomous mobile device (10) collectively refers to all mobile devices, including robots, that can move autonomously within a building without human manipulation. For example, the autonomous mobile device (10) may be a service robot that performs tasks such as transporting items such as parcels, cleaning, and guiding customers, and may be linked to a robot management system (not shown) that controls and manages all robots moving within a building to provide necessary services to passengers within the building.
자율이동체(10)는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20)와 통신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 제어부(20)와의 연동 제어를 통해 자율이동체(10)의 건물 내 층간 이동이 구현될 수 있다. 자율이동체(10)는 엘리베이터 제어부(20)와 엘리베이터 호출, 목적층 등록, 승하차 동작 등에 관련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데 해당 내용은 뒤에서 보다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The autonomous vehicle (10) can communicate with the elevator control unit (20)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and movement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between floors within the building can be implemented through interlocking control with the elevator control unit (20). The autonomous vehicle (10) can exchange signals related to elevator calling, destination floor registration, boarding and disembarking operations, etc. with the elevator control unit (20), and the contents thereof will be examined in more detail later.
자율이동체(10)와 엘리베이터 제어부(20) 및 로봇관리시스템과의 통신은 블루투스, WiFi, CAN, WAN 등의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Communication between the autonomous vehicle (10), the elevator control unit (20), and the robot management system can be implemente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WiFi, CAN, or WAN, or wired communication.
자율이동체(10)는 라이다(Lidar), 근거리센서, 초음파센서 및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수집한 정보들을 기초로 한 자기위치 추정기법(SLAM: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을 통해 건물 내의 공간을 인지할 수 있고 자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An autonomous vehicle (10) can recognize space within a building and move autonomously through a self-location estimation technique (SLAM: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based on information collected using Lidar, a short-range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d a camera.
또한, 자율이동체(10)는 건물 내/외부 구조 및 건물 내 엘리베이터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자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저장할 수 있고, 자기위치 추정기법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산출된 현재 위치로부터 엘리베이터까지의 최적거리 및 이동경로를 내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tonomous vehicle (10) can store information about the internal/external structure of the building and the location of the elevator within the building through its own database, and can obtain the optimal distance and movement path from the current location calculated in real time to the elevator using a self-location estimation technique using an internal algorithm.
엘리베이터 제어부(20)는 엘리베이터의 전반적인 운행 및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승객의 버튼 입력이나 원격 호출 혹은 자율이동체(10)에 의해 수신되는 호출을 포함하여 건물 내 각 층으로부터 입력되는 호출에 대해 최적으로 엘리베이터 카를 할당하고 할당된 엘리베이터 카를 호출이 입력된 층으로 이동시키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elevator control unit (2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and behavior of the elevator, and can perform control to optimally allocate an elevator car for calls input from each floor in the building, including calls received by a passenger's button input, a remote call, or an autonomous vehicle (10), and to move the allocated elevator car to the floor where the call was input.
엘리베이터 제어부(20)는, 승객 혹은 자율이동체(10)에 의해 생성된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호출수신부(21); 수신된 호출 신호에 대응하여 건물 내에 설치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 중 최적의 엘리베이터 카를 결정하여 할당하는 할당부(22); 엘리베이터 카에 대한 자율이동체(10)의 승하차 동작을 제어하는 승하차제어부(23); 및 엘리베이터 카의 주행을 제어하는 주행제어부(2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elevator control unit (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all receiving unit (21) that receives and processes an elevator call signal generated by a passenger or an autonomous vehicle (10); an allocation unit (22) that determines and allocates an optimal elevator car among a plurality of elevator cars installed in a building in response to the received call signal; a boarding/disembarking control unit (23) that controls the boarding/disembarking operation of an autonomous vehicle (10) for an elevator car; and a driving control unit (24) that controls the driving of the elevator car.
엘리베이터 제어부(20)는 승객의 버튼 입력이나 원격 호출에 응답하여 최적의 엘리베이터 카를 할당하고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키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나, 이는 기존의 공지된 기술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자율이동체(10)와 연관된 제어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하도록 한다.The elevator control unit (20) can provide a service of allocating an optimal elevator car and moving the elevator car in response to a passenger's button input or remote call. However, since this can utilize existing known technology, the following description focuses on the control associated with the autonomous vehicle (10).
호출수신부(21)는 자율이동체(10)로부터 엘리베이터 탑승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탑승요청에 포함되는 정보에는 현재 자율이동체(10)가 위치하고 있는 층인 출발층 정보와 자율이동체(10)가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층 정보가 포함됨과 아울러 자율이동체(10)가 승강장에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이동시간에 관한 정보, 중량, 부피 및 엘리베이터 이용목적 등의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call receiving unit (21) can receive an elevator boarding request from an autonomous vehicle (10). Information included in the elevator boarding request includes information on the departure floor, which is the floor where the autonomous vehicle (10) is currently located, and information on the destination floor to which the autonomous vehicle (10) is to move, and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on the travel time required for the autonomous vehicle (10) to arrive at the platform, weight, volume, and purpose of elevator use.
할당부(22)는 자율이동체(10)에 의한 엘리베이터 탑승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건물 내 교통량과 복수의 가용 엘리베이터 카 및 자율이동체(10)의 위치 정보에 대한 상관 분석을 통하여 가장 효율적인 엘리베이터 카를 결정하여 할당할 수 있다.When an elevator boarding request by an autonomous vehicle (10) is received, the allocation unit (22) can determine and allocate the most efficient elevator car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of the traffic volume within the building, multiple available elevator cars,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보다 구체적으로, 할당부(22)는 건물 내에서 운행중인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점유율 혹은 잔존용량에 관한 상태정보를 검출하고, 자율이동체(10)로부터 수신되는 탑승요청 정보에 포함되는 자율이동체(10)의 중량, 부피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자율이동체(10)의 탑승이 가능한 가용 엘리베이터 카들을 추출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allocation unit (22) detects status information on the occupancy rate or remaining capacity of multiple elevator cars operating in the building, and extracts available elevator cars that can be boarded by the autonomous vehicle (10) based on information such as the weight and volume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included in the boarding reques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utonomous vehicle (10).
그리고 추출된 가용 엘리베이터 카들의 위치 및 자율이동체(10)의 위치를 고려하여 최적의 엘리베이터 카를 할당할 수 있다. 이때, 자율이동체(10)가 탑승을 요청한 호출층의 정보 뿐만 아니라 자율이동체(10)가 현재 위치로부터 승강장으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관한 정보도 최적의 카를 선정하는데 함께 고려될 수 있다.And, considering the locations of the extracted available elevator cars and the loc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the optimal elevator car can be allocated. At this time, not only the information on the floor where the autonomous vehicle (10) requested to board, but also the information on the time required for the autonomous vehicle (10) to move from its current location to the platform can be considered together in selecting the optimal car.
또한, 자율이동체(10)가 스스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대신에 자율이동체(10)에서 발신하는 신호를 근거로 자율이동체(10)의 층 내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자율이동체(10)의 현재 위치로부터 승강장으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하는 자율이동체 위치수집부(미도시)를 별도로 구비하여도 된다.In addition, instead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calculating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an autonomous vehicle location collection unit (not shown) may be separately provided to track the loc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within a floor in real time based on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utonomous vehicle (10) and calculate the time required to move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to the platform.
승하차제어부(23)는 엘리베이터 탑승을 요청한 자율이동체(10)가 할당된 엘리베이터 카로 승차하고 하차하는데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을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다. The boarding and disembarking control unit (23) can manage and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s related to the boarding and disembarking of the assigned elevator car by an autonomous mobile device (10) that has requested to board the elevator.
예컨대, 자율이동체(10)는 승강장으로 이동중인 경우 '이동중' 신호를, 승강장에 이미 도착한 경우에는 '대기중' 신호를 승하차제어부(23)에게 보내어 승강장에 대기하고 있는 상태임을 알릴 수 있다. 그러면 승하차제어부(23)는 자율이동체(10)에서 보내오는 정보를 기초로 자율이동체(10)의 엘리베이터 탑승 가부를 판단하고,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자율이동체(10)에게 해당 엘리베이터 카에 승차할 것을 지시하는 신호를 보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autonomous vehicle (10) is moving to a platform, it can send a 'moving' signal to the boarding/disembarking control unit (23) to inform that it is waiting at the platform, and when it has already arrived at the platform, it can send a 'waiting' signal. Then, the boarding/disembarking control unit (23) can determine whether the autonomous vehicle (10) can board the elevator based on the information sent from the autonomous vehicle (1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it can, it can send a signal to the autonomous vehicle (10) to instruct it to board the corresponding elevator car.
또한, 자율이동체(10)의 하차 동작과 관련하여, 승하차제어부(23)는 자율이동체(10)가 엘리베이터 카에 승차를 완료한 이후 목적층에 도착한 경우 자율이동체(10)에게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하차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disembarkation oper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the boarding/disembarkation control unit (23) can instruct the autonomous vehicle (10) to disembark from the elevator car when it has arrived at the destination floor after completing boarding the elevator car.
자율이동체(10)가 엘리베이터 카에 타고 내리는 승하차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승하차제어부(23)는 서비스 층에 정차된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 및 해당 승강장의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제어부(25)와 연계될 수 있다.In order to implement the boarding and disembarking mo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getting on and off the elevator car, the boarding and disembarking control unit (23) can be linked to the door control unit (25) that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of the elevator car stopped at the service floor and the door of the corresponding platform.
주행제어부(24)는 건물 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승강로 내에서 엘리베이터 카를 승강시키는 주행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엘리베이터 카의 주행을 개시하기 위해 권상기 모터를 구동하거나 엘리베이터 카를 정지시키기 위해 브레이크를 구동하는 등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driving control unit (24) controls the driving operation of raising and lowering an elevator car within a vertically formed elevator shaft within a building, and can perform control such as driving a hoisting machine motor to start driving the elevator car or driving a brake to stop the elevator car.
또한, 본 실시예에서 주행제어부(24)는 자율이동체(10)의 탑승요청에 대해 할당된 엘리베이터 카를 자율이동체(10)가 위치한 층으로 이동시키는 명령 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자율이동체(10)가 탑승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카를 자율이동체(10)의 목적층으로 이동시키는 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driving control unit (24)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ar by generating a command signal to move the assigned elevator car to the floor where the autonomous vehicle (10) is located in response to a boarding request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or by generating a command signal to move the elevator car in which the autonomous vehicle (10) is boarding to the destination floor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자율이동체(10)가 건물 내 층간 이동을 위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프로세스를 일련의 과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살펴본다.Below, with reference to Fig. 2, the process of an autonomous vehicle (10) using an elevator to move between floors within a building will be examined sequentially according to a series of steps.
자율이동체(10)는 엘리베이터 제어부(20)와의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원격으로 엘리베이터 카를 호출할 수 있다. 자율이동체(10)는 건물 내 층간 이동이 필요한 경우 엘리베이터 카의 호출을 요청하는 '탑승요청' 신호를 엘리베이터 제어부(20)로 전송할 수 있다.The autonomous vehicle (10) can remotely call an elevator car through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with the elevator control unit (20). When movement between floors within a building is required, the autonomous vehicle (10) can transmit a 'boarding request' signal requesting the calling of an elevator car to the elevator control unit (20).
엘리베이터 제어부(20)의 호출수신부(21)가 자율이동체(10)로부터 '탑승요청' 신호를 수신받고, 할당부(22)는 '탑승요청' 신호에 포함된 정보와 건물 내 가용 엘리베이터 카들의 위치 정보 등을 고려하여 복수의 가용 엘리베이터 카 중에서 최적의 엘리베이터 카를 할당한다. 할당부(22)는 할당된 엘리베이터 카 및 그에 대응되는 승강장 정보를 자율이동체(10)에 제공할 수 있다.The call receiving unit (21) of the elevator control unit (20) receives a 'boarding request' signal from the autonomous vehicle (10), and the allocation unit (22) consider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oarding request' signal and location information of available elevator cars in the building to allocate an optimal elevator car from among a plurality of available elevator cars. The allocation unit (22) can provide the allocated elevator car and corresponding platform information to the autonomous vehicle (10).
자율이동체(10)는 할당된 엘리베이터 카에 대응되는 승강장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승강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동하는 동안 주기적으로 엘리베이터 제어부(20)에 이동 상황을 보고할 수 있다. 또한, 자율이동체(10)가 해당 승강장에 도착한 경우에는 승강장에서 대기하고 있다는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The autonomous vehicle (10) can receive platfor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ssigned elevator car and move to the corresponding platform, and can periodically report the movement status to the elevator control unit (20) while moving. In addition, when the autonomous vehicle (10) arrives at the corresponding platform, it can transmit a signal that it is waiting at the platform.
엘리베이터 제어부(20)는 할당된 엘리베이터 카에 대응되는 승강장에 자율이동체(10)가 도착하였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자율이동체(10)가 승강장에 도착하였는지 여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자율이동체(10)가 자기위치 추정기법을 통해 스스로 취득한 위치 정보 혹은 별도의 자율이동체 위치수집부(미도시)에 의해 수집되는 자율이동체(10)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판단할 수 있다.The elevator control unit (20) can detect whether the autonomous vehicle (10) has arrived at the platform corresponding to the assigned elevator car. Here, whether the autonomous vehicle (10) has arrived at the platform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autonomous vehicle (10) through the self-location estimation technique as described above o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collected by a separate autonomous vehicle location collection unit (not shown).
자율이동체(10)가 승강장에서 검출되는 경우, 엘리베이터 제어부(20)의 승하차제어부(23)는 해당 자율이동체(10)에 할당된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를 개방하고 자율이동체(10)에게 '승차허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When an autonomous vehicle (10) is detected on a platform, the boarding/disembarking control unit (23) of the elevator control unit (20) can open the door of the elevator car assigned to the autonomous vehicle (10) and transmit a 'boarding permission' signal to the autonomous vehicle (10).
한편, 자율이동체(10)가 엘리베이터 카보다 늦게 도착하는 경우에는, 자율이동체(10)의 도착 예상시간이 소정의 설정값 이하라면 자율이동체(10)가 도착할 때까지 엘리베이터 카 및 승강장 도어를 개방한 상태로 대기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자율이동체(10)의 도착이 소정의 설정시간을 초과하여 지연된다면, 자율이동체(10)에게 현재 호출을 취소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취소 신호를 수신받은 자율이동체(10)는 엘리베이터를 재호출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제어부(20)는 자율이동체(10)의 재호출에 대해 최적 호기를 다시 할당하고 서비스 층으로 엘리베이터 카를 주행시키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case where the autonomous vehicle (10) arrives later than the elevator car, if the expected arrival time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et value, the elevator car and the platform door can be controlled to wait in an open state until the autonomous vehicle (10) arrives, and if the arrival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is delayed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set time, a signal to cancel the current call can be transmitted to the autonomous vehicle (10). The autonomous vehicle (10) that receives the cancellation signal can re-call the elevator, and the elevator control unit (20) can perform control to re-allocate the optimal time for the re-call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and drive the elevator car to the service floor.
승하차제어부(23)로부터 '승차허가' 신호를 수신받은 자율이동체(10)는 할당된 엘리베이터 카에 올라타는 승차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자율이동체(10)는 승차 동작이 개시된 시점으로부터 완료되는 시점까지 지속적으로 승하차제어부(23)에 '승차중' 신호를 보내어 승차 동작이 수행되고 있는 도중임을 알릴 수 있다. 승하차제어부(23)는 도어제어부(25)와의 연계를 통해 자율이동체(10)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를 통과하는 동안은 도어가 닫히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autonomous vehicle (10) that receives the 'boarding permission' signal from the boarding/disembarking control unit (23) performs a boarding action of getting on the assigned elevator car. The autonomous vehicle (10) can continuously send a 'boarding' signal to the boarding/disembarking control unit (23) from the time the boarding action is started to the time it is completed, thereby notifying that the boarding action is being performed. The boarding/disembarking control unit (23) can control the door not to close while the autonomous vehicle (10) passes through the elevator entrance/exit by linking with the door control unit (25).
엘리베이터 카 내에 자율이동체(10)의 승차가 완료되면, 자율이동체(10)는 승차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승차완료' 신호를 승하차제어부(23)에 전송할 수 있다.When boarding of an autonomous vehicle (10) in an elevator car is completed, the autonomous vehicle (10) can transmit a 'boarding completion' signal indicating that boarding is complete to the boarding/disembarkation control unit (23).
자율이동체(10)의 '승차완료' 신호를 수신한 엘리베이터 제어부(20)는 엘리베이터 도어를 폐쇄하고 자율이동체(10)의 목적층을 자동 등록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자율이동체(10)의 목적층으로의 이동시키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elevator control unit (20) that receives the 'boarding completion' signal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can close the elevator door, automatically register the destination floor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and perform control to move the elevator car to the destination floor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엘리베이터 카가 자율이동체(10)의 목적층에 도착하면, 엘리베이터 제어부(20)는 엘리베이터 카 및 도착층(목적층)의 승강장 도어를 개방하고, 승하차제어부(23)를 통해 자율이동체(10)에 하차를 지시하는 '하차허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elevator car arrives at the destination floor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the elevator control unit (20) can open the elevator car and the landing door of the arrival floor (destination floor) and transmit an 'alighting permission' signal to the autonomous vehicle (10) to instruct the vehicle to alight through the boarding/disembarking control unit (23).
'하차허가' 신호를 수신받은 자율이동체(10)는 엘리베이터 카에서 내리는 하차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자율이동체(10)는 하차 동작이 개시된 시점으로부터 완료되는 시점까지 지속적으로 승하차제어부(23)에 '하차중' 신호를 보내어 하차 동작이 수행되고 있는 도중임을 알릴 수 있으며, 승하차제어부(23)는 도어제어부(25)와의 연계를 통해 자율이동체(10)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를 통과하는 동안은 도어가 닫히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autonomous vehicle (10) that receives the 'getting off permission' signal performs an getting off action from the elevator car. At this time, the autonomous vehicle (10) can continuously send a 'getting off' signal to the boarding/disembarking control unit (23) from the time the getting off action is started to the time it is completed to notify that the getting off action is being performed, and the boarding/disembarking control unit (23) can control the door not to close while the autonomous vehicle (10) passes through the elevator's entrance/exit through linkage with the door control unit (25).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자율이동체(10)의 하차가 완료되면, 자율이동체(10)는 하차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하차완료' 신호를 승하차제어부(23)에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autonomous vehicle (10) has completed disembarking from the elevator car, the autonomous vehicle (10) can transmit a 'disembarkation complete' signal indicating that disembarkation has been completed to the boarding/disembarkation control unit (23).
자율이동체(10)의 '하차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엘리베이터 제어부(20)는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폐쇄하고 해당 자율이동체(10)에 대한 층간 이동 서비스를 종료한다.When the ‘getting off complete’ signal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is received, the elevator control unit (20) closes the elevator door and ends the inter-floor movement service for the autonomous vehicle (10).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일련의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과정에서 자율이동체(10)의 승차 및 하차와 관련하여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various problems may occur in relation to boarding and disembarking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during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above series of processes. For example,
1) 자율이동체(10)의 호출에 의해 할당된 엘리베이터 카가 호출층에 도착한 시점에 자율이동체(10)의 승강장 대기 상태가 인지되지 않는 경우로서, 즉 자율이동체(10) 탑승 요청(호출)이 발생하였고 해당 호출에 대해 할당된 엘리베이터 카가 출발층에 도착하였으나 자율이동체(10)로부터 승강장 대기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1) In the case where the platform standby status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is not recognized when the elevator car assigned by the call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arrives at the called floor, i.e., a request (call) to board the autonomous vehicle (10) has occurred and the elevator car assigned for the call has arrived at the departure floor, but a platform standby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autonomous vehicle (10);
2) 자율이동체(10)의 호출에 의해 할당된 엘리베이터 카가 호출층에 도착한 후 소정 시간 이상 자율이동체(10)의 승차가 시작되지 않는 경우로서, 즉 자율이동체(10)로부터 승강장 대기 신호가 수신되었고 엘리베이터 제어부(20)가 자율이동체(10)에게 승차허가 신호를 전송하였으나 자율이동체(10)로부터 승차중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2) In the case where boarding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does not start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elevator car assigned by the call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arrives at the called floor, i.e., a platform wait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autonomous vehicle (10) and the elevator control unit (20) transmits a boarding permission signal to the autonomous vehicle (10), but a boarding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autonomous vehicle (10);
3) 자율이동체(10)가 할당된 엘리베이터 카로 승차중인 것은 인지하였으나 다음 단계인 승차완료가 되지 않는 경우로서, 즉 자율이동체(10)로부터 승차중 신호는 수신되었으나 승차완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3) In the case where it is recognized that an autonomous vehicle (10) is boarding the assigned elevator car, but the next step, boarding completion, has not been reached, i.e., a signal for boarding has been received from the autonomous vehicle (10), but a signal for boarding completion has not been received;
4) 자율이동체(10)의 승차가 완료된 엘리베이터 카가 목적층에 도착하였으나 소정 시간 이상 자율이동체(10)의 하차가 시작되지 않는 경우로서, 즉 자율이동체(10)로부터 승차완료 신호가 수신되었고 자율이동체(10)를 실은 엘리베이터 카가 목적층에 도착한 이후 엘리베이터 제어부(20)가 자율이동체(10)에게 하차허가 신호를 전송하였으나 자율이동체(10)로부터 하차중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및4) In the case where the elevator car in which the autonomous vehicle (10) has completed boarding has arrived at the destination floor, but the autonomous vehicle (10) has not started to disembark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e., a boarding completion signal has been received from the autonomous vehicle (10) and after the elevator car carrying the autonomous vehicle (10) has arrived at the destination floor, the elevator control unit (20) transmits a disembarkation permission signal to the autonomous vehicle (10), but a disembarkation signal has not been received from the autonomous vehicle (10); and
5) 자율이동체(10)가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하차중인 것은 인지하였으나 다음 단계인 하차완료가 되지 않는 경우로서, 즉 자율이동체(10)로부터 하차중 신호는 수신되었으나 하차완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5) A case where it is recognized that the autonomous vehicle (10) is getting off from the elevator car, but the next step, getting off, is not completed, i.e., a signal for getting off is received from the autonomous vehicle (10), but a signal for completing getting off is not received;
상기와 같은 각 단계에서 발생하는 실패모드(failure mode) 중에서 특히 3) 및 5) 케이스는 자율이동체(10)가 엘리베이터 카로 승차 또는 하차임을 알린 이후에 발생하는 실패모드이기 때문에, 자율이동체(10)가 엘리베이터 카에 승/하차하는 도중에 고장이 발생하거나 전도되어 더 이상 승하차 동작을 진행할 수 없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자율이동체(10)가 엘리베이터 도어존(door zone) 내에 위치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만큼 보다 적극적인 대응방안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Among the failure modes occurring at each step as described above, cases 3) and 5) in particular are failure modes occurring after the autonomous vehicle (10) notifies the elevator car of boarding or disembarking, and thus may include a case where the autonomous vehicle (10) fails or falls while boarding or disembarking the elevator car and can no longer proceed with the boarding or disembarking operation. Accordingly, a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autonomous vehicle (10) is located within the elevator door zone, a more active response plan needs to be devised.
다만, 자율이동체(10)로부터 승차완료 신호 또는 하차완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더라도 그것이 바로 자율이동체(10)의 고장이나 전도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자율이동체(10)의 승/하차 중 자율이동체(10)와 엘리베이터 제어부(20) 간의 통신 문제로 자율이동체(10)의 승차가 완료된 상태 또는 하차가 완료된 상태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일 수도 있다.However, even if a boarding completion signal or an alighting completion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autonomous vehicle (10), this does not immediately mean that the autonomous vehicle (10) is broken or has fallen over. It may be that the boarding completion or alighting completion state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is not recognized due to a communication problem between the autonomous vehicle (10) and the elevator control unit (20) during boarding/alighting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단순 통신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까지 포함하여 자율이동체(10)로부터 승차완료 또는 하차완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실패모드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방안을 수립하여 제시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establish and propose specific countermeasures for failure modes in which a boarding or disembarkation completion signal is not received from an autonomous vehicle (10), including cases in which such failures occur due to simple communication problems as described above.
한편, 이하 제시되는 대응방안에서는, 자율이동체(10)가 이용하는 엘리베이터가 로봇과 인간이 함께 탑승 가능한 '승합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또는 로봇만 이용 가능하도록 '로봇전용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에 따라 대응방법이 달리 설정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response measures presented below, the response method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the elevator used by the autonomous vehicle (10) is set to a 'passenger mode' in which both robots and humans can ride, or a 'robot-only mode' in which only robots can use 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연동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열림 대기시간을 미리 정해진 소정의 시간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엘리베이터 도어의 열림 대기시간'이란 도어가 개방된 상태로 대기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즉, 도어가 열리거나 닫히는 동작에 소요되는 시간을 제외하고 완전히 개방된 시점으로부터 폐쇄가 개시되기 직전까지의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bot-linked elevato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t the opening waiting time of the elevator door to a predetermined time value. Here, the 'opening waiting time of the elevator door' means the time for which the door waits in an open state. In other words, it can mean the time from the time when the door is completely opened to just before the closing is initiated, excluding the time required for the door to open or close.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연동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의 설정모드에 따라 엘리베이터 도어의 열림 대기시간을 일반 승객(인간 승객)의 승하차를 위한 '일반 열림 대기시간'과 자율이동체(로봇)의 승하차를 위한 '로봇 열림 대기시간'의 두 가지 값으로 설정하여 운용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robot-linked elevato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by setting the opening waiting time of the elevator door to two values, a 'general opening waiting time' for boarding and alighting of general passengers (human passengers) and a 'robot opening waiting time' for boarding and alighting of autonomous vehicles (robots), depending on the setting mode of the elevator.
'일반 열림 대기시간'은 자율이동체(10)의 이용이 예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시 적용되는 통상적인 설정값으로서, 일반 열림 대기시간의 적용시 엘리베이터 도어는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짧은 시간(예컨대, 대략 2~4초)동안만 열림 상태를 유지한 후 닫힘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The 'normal opening waiting time' is a typical setting value applied when opening and closing an elevator door when the use of an autonomous vehicle (10) is not scheduled. When the normal opening waiting time is applied, the elevator door can be switched to a closed state after maintaining the open state for only a short time (e.g., approximately 2 to 4 seconds) in a fully open state.
'로봇 열림 대기시간'은 자율이동체(10)가 승하차할 때의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시 적용되는 설정값으로서, 일반 열림 대기시간 대비 긴 시간값(예컨대, 40초)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반 열림 대기시간과 로봇 열림 대기시간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출입 환경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임의의 설정값이다.The 'robot opening waiting time' is a setting value applied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elevator door when an autonomous vehicle (10) gets on or off, and can be set to a longer time value (e.g., 40 seconds) than the general opening waiting time. The general opening waiting time and the robot opening waiting time are arbitrary setting values that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elevator door entry and exit environment.
또한, 상기에서 일반 열림 대기시간 및 로봇 열림 대기시간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도어'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car door)와 승강장 도어(landing door)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도어 열림시간의 설정 및 도어의 개폐 제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제어부(25)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vator door' to which the general opening waiting time and the robot opening waiting time are applied above can be understood as a concept that includes both the elevator car door and the landing door, and the setting of the door opening time and the control of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can be performed by the door control unit (25) as described above.
이하에서는 자율이동체로부터 '승차완료' 또는 '하차완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실패모드 발생시에 대한 대응방법에 해당하는 제어 로직을 엘리베이터의 설정모드 별로 살펴본다.Below, we will examine the control logic corresponding to the response method for the failure mode in which the ‘boarding complete’ or ‘disembarkation complete’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the elevator setting mode.
Ⅰ. 승차완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Ⅰ. If the boarding completion signal is not received
A. 정상 상태에서의 동작A. Operation in normal state
먼저, 실패모드에서의 대응과 비교하기 위해 정상 상태에서의 동작을 간략히 살펴본다. 자율이동체(10)로부터 승차중 신호가 수신된 이후 승차완료 신호까지 수신되면 자율이동체(10)의 엘리베이터 카 내 탑승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의미하므로, 엘리베이터 제어부(20)는 엘리베이터 도어를 폐쇄하고 자율이동체(10)의 목적층으로 엘리베이터 카를 출발시킬 수 있다.First, let's briefly look at the operation in the normal state in order to compare it with the response in the failure mode. When the board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autonomous vehicle (10) and the boarding completion signal is received, it means that the autonomous vehicle (10) has successfully boarded the elevator car, so the elevator control unit (20) can close the elevator door and start the elevator car to the destination floor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B. 승합모드에서의 대응방법B. How to respond in the ride mode
자율이동체(10)의 승차중 신호가 수신되면 엘리베이터 제어부(20)는 도어닫힘버튼(DCB: Door Close Button)을 무효화하고 엘리베이터 도어를 개방 상태로 유지한다. 그런데 이 상태에서 자율이동체(10)의 승차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자율이동체(10)로부터 승차완료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엘리베이터 카를 대기시킨다면 다른 승객의 큰 불편을 야기할 수 있다.When a signal is received during boarding of an autonomous vehicle (10), the elevator control unit (20) invalidates the door close button (DCB: Door Close Button) and keeps the elevator door open. However, if the elevator car is kept waiting until a boarding comple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autonomous vehicle (10) despite a problem in boarding the autonomous vehicle (10) in this state, it may cause great inconvenience to other passengers.
따라서, 본 발명은 자율이동체(10)의 승차중 신호가 수신된 이후 소정의 시간(바람직하게는 로봇 열림 대기시간) 경과시까지 자율이동체(10)로부터 승차완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다면 도어닫힘버튼 무효화를 해제함으로써, 승객의 도어닫힘버튼 입력에 의해 도어가 폐쇄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disables the door close button if a boarding completion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autonomous vehicle (10) until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preferably a robot opening standby time) has elapsed after the boarding signal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is received, thereby allowing the door to be closed by a passenger's input of the door close button.
다만, 이 경우는 자율이동체(10)의 승차중 신호가 수신된 상태이기 때문에 자율이동체(10)가 엘리베이터 도어존 내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소정의 시간 또는 로봇 열림 대기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엘리베이터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지는 않도록 한다. 즉, 도어닫힘버튼 무효화는 해제하되 엘리베이터 도어를 자동으로 폐쇄시키지는 않는 것인데, 이는 엘리베이터 도어존 내에 자율이동체(10)가 존재하는 경우 도어 닫힘에 의해 파손을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signal is received while the autonomous vehicle (10) is on boar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autonomous vehicle (10) may be present within the elevator door zone, so the elevator door is not automatically closed ev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or robot opening waiting time has elapsed. In other words, the door close button is disabled, but the elevator door is not automatically closed. This is to prevent damage to the autonomous vehicle (10) due to door closing when it is present within the elevator door zone.
엘리베이터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지는 않지만, 도어닫힘버튼 무효화가 해제되므로 해당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다른 승객이 도어를 닫을 수 있는 상황인지를 확인하고, 닫을 수 있는 상황이라면 도어닫힘버튼을 조작하여 도어를 닫고 다른 층으로 엘리베이터 카를 출발시킬 수 있다.The elevator doors do not close automatically, but the door close button is disabled, so other passengers using the elevator can check whether the door can be closed, and if so, they can operate the door close button to close the door and send the elevator car to another floor.
다만, 이때 엘리베이터 도어존에 설치되는 감시장치(예컨대, 카메라 또는 물체감지센서 등)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도어존에 자율이동체(10)가 없는 것으로 판정되는 조건에서만 도어닫힘버튼 무효화를 해제할 수 있으며, 만약 엘리베이터 도어존 내에 자율이동체(10)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도어닫힘버튼 무효화를 해제하지 않는다.However, at this time, the door close button can be disabled on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autonomous moving object (10) in the elevator door zone using a surveillance device (e.g., a camera or object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elevator door zone. If an autonomous moving object (10) is detected in the elevator door zone, the door close button is not disabled.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부(20)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도어닫힘버튼 무효화를 해제함과 동시에, 상기 감시장치에 의해 엘리베이터 도어존에 자율이동체(10)나 기타 다른 물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도어를 직접 폐쇄시킬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도어존 내에 자율이동체(10) 뿐만 아니라 다른 어떠한 물체도 감지되지 않는 클린한 상태여야 한다.In addition, the elevator control unit (20) can disable the door close button of the elevator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has elapsed, and can also directly close the elevator door if the autonomous moving body (10) or any other object is not detected in the elevator door zone by the monitoring device. However, in this case, the elevator door zone must be in a clean state where not only the autonomous moving body (10) but also any other object is not detected.
C. 로봇전용모드에서의 대응방법C. How to respond in robot-only mode
로봇전용모드에서도 마찬가지로 자율이동체(10)의 승차중 신호가 수신되면 엘리베이터 제어부(20)는 도어닫힘버튼을 무효화하고 엘리베이터 도어를 개방 상태로 유지한다.Likewise, in the robot-only mode, when a signal is received while the autonomous vehicle (10) is on board, the elevator control unit (20) disables the door closing button and maintains the elevator door in the open state.
다만, 로봇전용모드는 다른 인간 승객이 함께 이용하지 않는 모드이므로, 소정의 시간 경과시까지 자율이동체(10)의 승차완료 신호 수신이 없더라도 도어닫힘버튼 무효화를 유지하면서 계속 도어의 열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robot-only mode is a mode that is not used by other human passengers, the door can be kept open while the door close button is disabled even if a boarding completion signal from the autonomous vehicle (10) is not received until a specified period of time has elapsed.
이 경우에는 필요시 자율이동체(10)의 고장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고, 자율이동체(10)의 고장 처리가 완료된 후, 엘리베이터 제어부(20)는 자율이동체(10)를 관리하는 로봇관리시스템으로부터 특정 지령을 전송받아 도어닫힘버튼 무효화를 해제하고 엘리베이터 도어를 닫고 다른 층 서비스를 위해 엘리베이터 카를 출발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if necessary, a failure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can be handled, and after the failure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is completed, the elevator control unit (20) can receive a specific command from the robot management system that manages the autonomous vehicle (10) to disable the door close button, close the elevator door, and start the elevator car to service another floor.
Ⅱ. 하차완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Ⅱ. If the disembarkation completion signal is not received
A. 정상 상태에서의 동작A. Operation in normal state
자율이동체(10)의 하차중 신호가 수신된 이후 하차완료 신호까지 수신되면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자율이동체(10)의 하차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의미하므로, 엘리베이터 제어부(20)는 엘리베이터 도어를 폐쇄하고 자율이동체(10)의 층간 이동 서비스를 종료할 수 있다.When the signal for disembarking from the autonomous vehicle (10) is received and the signal for completing disembarkation is received, it means that the autonomous vehicle (10) has successfully disembarked from the elevator car, so the elevator control unit (20) can close the elevator door and terminate the interfloor movement service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B. 승합모드에서의 대응방법B. How to respond in the ride mode
이 경우의 대응방법은 "승차완료 신호가 수시되지 않는 경우"와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자율이동체(10)의 하차중 신호가 수신되면 엘리베이터 제어부(20)는 도어닫힘버튼을 무효화하고 엘리베이터 도어를 개방 상태로 유지한다. 그런데 이 경우에도 자율이동체(10)로부터 하차완료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계속 엘리베이터 카를 대기시키는 것은 다른 승객의 큰 불편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자율이동체(10)의 하차중 신호가 수신된 이후 소정의 시간(바람직하게는 로봇 열림 대기시간) 경과시까지 하차완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다면 도어닫힘버튼 무효화를 해제하여 승객 입력에 의해 도어가 폐쇄될 수 있도록 한다.The response method in this case can be similar to the "case where the boarding completion signal is not received." When the disembarking signal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is received, the elevator control unit (20) invalidates the door close button and keeps the elevator door open. However, even in this case, since keeping the elevator car waiting until the disembarkation comple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autonomous vehicle (10) may cause great inconvenience to other passengers, the present invention releases the invalidation of the door close button so that the door can be closed by passenger input if the disembarkation completion signal is not received until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preferably, the robot opening waiting time) has elapsed after the disembarkation signal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is received.
다만, 이 경우는 자율이동체(10)의 하차중 신호가 수신된 상태이기 때문에 자율이동체(10)가 엘리베이터 도어존 내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소정의 시간 또는 로봇 열림 대기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엘리베이터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지는 않도록 한다.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signal for the autonomous vehicle (10) to disembark has been receiv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autonomous vehicle (10) may be present within the elevator door zone, so the elevator door is not automatically closed even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the robot opening waiting time has elapsed.
엘리베이터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지는 않지만, 도어닫힘버튼 무효화가 해제되므로 해당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다른 승객이 도어를 닫을 수 있는 상황인지를 확인하고, 닫을 수 있는 상황이라면 도어닫힘버튼을 조작하여 도어를 닫고 다른 층으로 엘리베이터 카를 출발시킬 수 있다.The elevator doors do not close automatically, but the door close button is disabled, so other passengers using the elevator can check whether the door can be closed, and if so, they can operate the door close button to close the door and send the elevator car to another floor.
다만, 이때 엘리베이터 도어존에 설치되는 감시장치(예컨대, 카메라 또는 물체감지센서 등)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도어존에 자율이동체(10)가 없는 것으로 판정되는 조건에서만 도어닫힘버튼 무효화를 해제할 수 있으며, 만약 엘리베이터 도어존 내에 자율이동체(10)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도어닫힘버튼 무효화를 해제하지 않는다.However, at this time, the door close button can be disabled on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autonomous moving object (10) in the elevator door zone using a surveillance device (e.g., a camera or object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elevator door zone. If an autonomous moving object (10) is detected in the elevator door zone, the door close button is not disabled.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부(20)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도어닫힘버튼 무효화를 해제함과 동시에, 상기 감시장치에 의해 엘리베이터 도어존에 자율이동체(10)나 기타 다른 물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도어를 직접 폐쇄시킬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도어존 내에 자율이동체(10) 뿐만 아니라 다른 어떠한 물체도 감지되지 않는 클린한 상태여야 한다.In addition, the elevator control unit (20) can disable the door close button of the elevator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has elapsed, and can also directly close the elevator door if the autonomous moving body (10) or any other object is not detected in the elevator door zone by the monitoring device. However, in this case, the elevator door zone must be in a clean state where not only the autonomous moving body (10) but also any other object is not detected.
C. 로봇전용모드에서의 대응방법C. How to respond in robot-only mode
이 경우의 대응방법도 "승차완료 신호가 수시되지 않는 경우"와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로봇전용모드에서도 마찬가지로 자율이동체(10)의 하차중 신호가 수신되면 엘리베이터 제어부(20)는 도어닫힘버튼을 무효화하고 엘리베이터 도어를 개방 상태로 유지한다.The response method in this case can also be similar to the case where the boarding completion signal is not received. Similarly, in the robot-only mode, when a signal for the autonomous vehicle (10) to disembark is received, the elevator control unit (20) disables the door closing button and maintains the elevator door in the open state.
다만, 로봇전용모드는 다른 인간 승객이 함께 이용하지 않는 모드이므로, 소정의 시간 경과시까지 자율이동체(10)의 하차완료 신호 수신이 없더라도 도어닫힘버튼 무효화를 유지하면서 계속 도어의 열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robot-only mode is a mode that is not used by other human passengers, the door can be kept open while the door close button is disabled even if a signal for completion of disembarkation from the autonomous vehicle (10) is not received until a specified period of time has elapsed.
이 경우에는 필요시 자율이동체(10)의 고장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고, 자율이동체(10)의 고장 처리가 완료된 후, 엘리베이터 제어부(20)는 자율이동체(10)를 관리하는 로봇관리시스템으로부터 특정 지령을 전송받아 도어닫힘버튼 무효화를 해제하고 엘리베이터 도어를 닫고 다른 층 서비스를 위해 엘리베이터 카를 출발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if necessary, a failure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can be handled, and after the failure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is completed, the elevator control unit (20) can receive a specific command from the robot management system that manages the autonomous vehicle (10) to disable the door close button, close the elevator door, and start the elevator car to service another floor.
자율이동체(10)로부터 '승차완료' 또는 '하차완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의 엘리베이터의 설정모드 별 대응방법을 아래 [표 1]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The response methods for each setting mode of the elevator in the case where the ‘boarding complete’ or ‘disembarkation complete’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autonomous vehicle (10) can be summarized as shown in [Table 1] below.
로봇 열림 대기시간 경과시 엘리베이터 도어존 내에 자율이동체가 감지되지 않는 조건으로 DCB 무효화 해제DCB invalidation during robot open waiting time
DCB invalidation is released when the robot opening waiting time elapses and no autonomous vehicle is detected within the elevator door zone.
로봇관리시스템의 특정 지령에 의해서만 DCB 무효화 해제Maintain DCB invalidation
DCB invalidation is only released by specific instructions from the robot management system.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연동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은, 건물의 층간 이동을 위해 로봇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로봇의 승/하차 절차 진행 중에 실패 발생시, 특히 로봇의 승차 또는 하차 동작이 개시되었으나 승차완료 또는 하차완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소정의 조건 하에서 엘리베이터 도어를 제어하고 열림 구속을 해제(도어닫힘버튼 무효화 해제)하는 대응절차를 수립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서비스 지연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obot-linked elevato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failure occurs during the robot's boarding/disembarking procedure while the robot is using the elevator to move between floors in a building, and particularly when a situation occurs in which the robot's boarding or disembarking operation is initiated but a boarding or disembarking completion signal is not received, the system establishes a response procedure for controlling the elevator door and releasing the opening constraint (releasing the door close button invalidation) under predetermined conditions,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elevator service delays and enabling efficient operation.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연동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은, 자율이동체(10)와 엘리베이터 제어부(2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그에 대응되는 명령을 생성 및 출력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데이터가 저장 및 기록되는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The robot-linked elevato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server corresponding to a computer or program that processes signals received from an autonomous moving body (10) and an elevator control unit (20) and generates and outputs commands corresponding thereto. In addition, it may include a recording medium in which data is stored and recorded during the process, and examples of th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자율이동체
20: 엘리베이터 제어부
21: 호출수신부
22: 할당부
23: 승하차제어부
24: 주행제어부
25: 도어제어부10: Autonomous Vehicles
20: Elevator Control Unit
21: Call receiver
22: Allocation Department
23: Boarding and disembarking control unit
24: Driving Control Unit
25: Door control unit
Claims (6)
상기 자율이동체와 통신하며 상기 건물 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운행 및 상기 자율이동체의 엘리베이터 승하차시 엘리베이터 도어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율이동체가 상기 건물 내에서 층을 이동하기 위해 상기 엘리베이터를 이용함에 있어서, 상기 자율이동체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로 승차를 개시한다는 승차중 신호가 수신된 이후 상기 자율이동체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로 승차를 완료하였다는 승차완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및 상기 자율이동체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로부터 하차를 개시한다는 하차중 신호가 수신된 이후 상기 자율이동체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로부터 하차를 완료하였다는 하차완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실패모드 발생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상기 승차중 신호 또는 상기 하차중 신호가 수신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엘리베이터의 도어닫힘버튼 무효화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Autonomous vehicles that move autonomously within a building; and
It includes an elevator control un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autonomous vehicle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an elevator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the elevator door when the autonomous vehicle gets on and off the elevator.
An elevator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failure mode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following occurs: when, when the autonomous vehicle uses the elevator to move between floors in the building, a boarding completion signal indicating that boarding has been completed is not received from the autonomous vehicle after a boarding signal indicating that boarding has begun from the autonomous vehicle is received; and when, when an disembarking completion signal indicating that disembarking from the elevator has been completed is not received from the autonomous vehicle after an disembarking signal indicating that disembarking from the elevator has been initiated from the autonomous vehicle is received; the elevator control unit releases the door close button of the elevator from being disabled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has elapsed since the boarding signal or the disembarking signal is received.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도어존 내에 상기 자율이동체가 감지되지 않는 조건으로 상기 도어닫힘버튼 무효화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In claim 1,
An elevator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vator control unit disables the door close button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autonomous moving object is not detected within the door zone of the elevator.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상기 도어닫힘버튼 무효화는 해제하되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를 자동으로 폐쇄하지는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In claim 2,
An elevator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vator control unit disables the door close button but does not automatically close the elevator door.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로부터 승차를 허가받은 상기 자율이동체가 할당된 엘리베이터에 승차 동작을 개시하며, 승차 동작이 진행되는 도중에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로 승차중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자율이동체가 상기 할당된 엘리베이터에 승차를 완료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로 승차완료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가 상기 자율이동체의 승차가 완료된 상기 할당된 엘리베이터를 상기 자율이동체의 목적층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할당된 엘리베이터가 상기 목적층에 도착한 후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로부터 하차를 허가받은 상기 자율이동체가 상기 할당된 엘리베이터로부터 하차 동작을 개시하며, 하차 동작이 진행되는 도중에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로 하차중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자율이동체가 상기 할당된 엘리베이터로부터 하차를 완료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로 하차완료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자율이동체로부터 상기 승차중 신호가 수신된 이후 상기 승차완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및 상기 자율이동체로부터 상기 하차중 신호가 수신된 이후 상기 하차완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실패모드 발생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상기 승차중 신호 또는 상기 하차중 신호가 수신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엘리베이터의 도어닫힘버튼 무효화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방법.An elevator control method including an autonomous mobile device that moves autonomously within a building and an elevator control un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autonomous mobile device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an elevator installed within the building and the elevator door when the autonomous mobile device gets on and off the elevator.
A step of the autonomous vehicle, which has been granted permission to board from the elevator control unit, initiating a boarding operation in the assigned elevator, and transmitting a boarding signal to the elevator control unit while the boarding operation is in progress;
A step in which the autonomous vehicle completes boarding the assigned elevator and transmits a boarding completion signal to the elevator control unit;
A step in which the elevator control unit moves the assigned elevator, in which the autonomous vehicle has completed boarding, to the destination floor of the autonomous vehicle;
A step of the autonomous vehicle, which has been granted permission to disembark from the elevator control unit after the assigned elevator has arrived at the destination floor, initiating an disembarkation operation from the assigned elevator and transmitting an disembarkation signal to the elevator control unit while the disembarkation operation is in progress; and
Including a step of the autonomous vehicle completing disembarkation from the assigned elevator and transmitting a disembarkation completion signal to the elevator control unit;
An elevator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failure mode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following occurs: when the boarding completion signal is not received after the board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autonomous vehicle; and when the disembarkation completion signal is not received after the disembark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autonomous vehicle; the elevator control unit releases the door close button of the elevator from being invalidated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has elapsed since the boarding signal or the disembarkation signal is received.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도어존 내에 상기 자율이동체가 감지되지 않는 조건으로 상기 도어닫힘버튼 무효화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방법.In claim 4,
An elevator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vator control unit disables the door close button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autonomous moving object is not detected within the door zone of the elevator.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상기 도어닫힘버튼 무효화는 해제하되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를 자동으로 폐쇄하지는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방법.In claim 5,
An elevator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vator control unit disables the door close button but does not automatically close the elevator door.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9424A KR102701767B1 (en) | 2022-07-20 | 2022-07-20 | Robotic Linked Elevator Control System and Method |
EP23172021.0A EP4296209A1 (en) | 2022-06-23 | 2023-05-08 | Robot interlocking elevator control system and method |
CN202310527396.4A CN117284890A (en) | 2022-06-23 | 2023-05-11 | Robot interlock elevator control system and method |
JP2023085520A JP7577788B2 (en) | 2022-06-23 | 2023-05-24 | Robot-linked elevator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
US18/326,817 US20230416053A1 (en) | 2022-06-23 | 2023-05-31 | Robotic interlocking elevator control system and method |
JP2024186563A JP2025003593A (en) | 2022-06-23 | 2024-10-23 | Robot-linked elevator control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9424A KR102701767B1 (en) | 2022-07-20 | 2022-07-20 | Robotic Linked Elevator Control System and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12024A KR20240012024A (en) | 2024-01-29 |
KR102701767B1 true KR102701767B1 (en) | 2024-09-04 |
Family
ID=89246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89424A Active KR102701767B1 (en) | 2022-06-23 | 2022-07-20 | Robotic Linked Elevator Control System and Method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701767B1 (en) |
CN (1) | CN117284890A (en)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21999B1 (en) * | 2019-10-25 | 2021-11-04 |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elevator for which robot boards |
-
2022
- 2022-07-20 KR KR1020220089424A patent/KR102701767B1/en active Active
-
2023
- 2023-05-11 CN CN202310527396.4A patent/CN117284890A/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12024A (en) | 2024-01-29 |
CN117284890A (en) | 2023-12-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87915B1 (en) | Robotic Linked Elevator Control System and Method | |
JP6619760B2 (en) | Elevator apparatus, elevator system, and autonomous robot control method | |
KR102786908B1 (en) | Robot linked elevator system in which robot boarding parameters are set | |
JP7081704B1 (en) | Autonomous mobile body management device | |
JP2025029137A (en) | Robot-linked elevator control system | |
KR102701767B1 (en) | Robotic Linked Elevator Control System and Method | |
JP7577788B2 (en) | Robot-linked elevator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 |
KR102630551B1 (en) | Robotic Interlocking Elevator Control System | |
KR102813222B1 (en) | Operation mode conversion system of robot-linked elevator | |
JP2024085617A (en) | Elevator control device, elevator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JP5833158B2 (en) | Elevator group management device and elevator group management method | |
KR102745310B1 (en) | Robot Linked Elevator System | |
JP6696520B2 (en) | elevator | |
JP7435888B1 (en) | Elevator coordination control device, elevator system, elevator coordination control method, and elevator coordination control program | |
KR102726239B1 (en) | Elevator operating system for humans and robots | |
JP7563642B1 (en) | Group management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 |
JP7693903B1 (en) | Elevator control system, elevator control device, and elevator control method | |
JP7661415B2 (en) | Elevator control device, elevator control system, and elevator control method | |
JP7485475B1 (en) | Elevator control device and elevator control method | |
JP7568043B1 (en) | Elevator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 |
KR102318839B1 (en) | Elevator interlocking agv filling control apparatus | |
JP2025095653A (en) | Elevator System | |
JP2025523285A (en) | Elevato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2024057651A (en) | Elevator robot cooperation system and elevator robot cooperation method | |
JP2025023737A (en) | Elevator control device, elevator control system, and elevator control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8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8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