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86326B1 - 높은 분산 안정성을 갖는 이오노머 분산액,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막 - Google Patents
높은 분산 안정성을 갖는 이오노머 분산액,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막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86326B1 KR102786326B1 KR1020200126960A KR20200126960A KR102786326B1 KR 102786326 B1 KR102786326 B1 KR 102786326B1 KR 1020200126960 A KR1020200126960 A KR 1020200126960A KR 20200126960 A KR20200126960 A KR 20200126960A KR 102786326 B1 KR102786326 B1 KR 1027863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onomer
- dispersion
- polymer electrolyte
- electrolyte membrane
- shear r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41—Polymer electrolyte composites, mixtures or blends
- H01M8/1046—Mixtures of at least one polymer and at least one additive
- H01M8/1048—Ion-conducting additives, e.g. ion-conducting particles, heteropolyacids, metal phosphate or polybenzimidazole with phosphoric acid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tetrafluoroethen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4—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membrane-electrode assemblies [MEA]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25—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only carbon and oxygen, e.g. polyethers, sulfonated polyetheretherketones [S-PEEK], sulfonated polysaccharides, sulfonated celluloses or sulfonated polyest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3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halogenated, e.g. sulfonated polyvinylidene fluori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41—Polymer electrolyte composites, mixtures or blends
- H01M8/1053—Polymer electrolyte composites, mixtures or blends consisting of layers of polym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ionically conductiv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7—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porosity, ionic conductivity or thicknes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플로우 스윕(flow sweep)을 수행하면서 측정한 실시예 1a의 이오노머 분산액의 점도 및 전단응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2는 플로우 스윕을 수행하면서 측정한 실시예 2a의 이오노머 분산액의 점도 및 전단응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도 3은 플로우 스윕을 수행하면서 측정한 비교예 1a의 이오노머 분산액의 점도 및 전단응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η1 (Pa·s) | η2 (Pa·s) | η2/η1 | σ1 (Pa) | σ2 (Pa) | σ2/σ1 | |
실시예 1a | 0.402 | 0.507 | 1.26 | 0.400 | 0.434 | 1.09 |
실시예 2a | 0.226 | 0.228 | 1.01 | 0.226 | 0.228 | 1.01 |
실시예 3a | 0.620 | 0.965 | 1.56 | 0.625 | 0.875 | 1.40 |
비교예 1a | 0.515 | 3.000 | 5.83 | 0.523 | 1.305 | 2.50 |
비교예 2a | 0.610 | 1.067 | 1.75 | 0.605 | 0.968 | 1.60 |
In-Plane 이온 전도도 (S/cm) | Through-Plane 저항 (Ω) | 함수율 (%) | 수소 투과도 (cm2/sec) | |
실시예 1b | 0.049 | 0.25 | 15 | 6.40E-05 |
실시예 2b | 0.055 | 0.19 | 15 | 4.47E-05 |
실시예 3b | 0.050 | 0.27 | 16 | 7.00E-05 |
비교예 1b | 0.040 | 0.34 | 15 | 2.02E-04 |
비교예 2b | 0.041 | 0.35 | 16 | 1.58E-04 |
Claims (14)
- 이오노머 분산액에 있어서,
분산매(disperse medium); 및
상기 분산매 내의 이오노머 고형물(ionomer solids)
을 포함하고,
상기 이오노머 분산액 내 상기 이오노머 고형물의 농도는 20 중량% 이상이고,
유동계(Rheometer)를 이용하여 전단속도(shear rate)를 0.001 s-1로부터 1000 s-1까지 증가시킨 다음 1000 s-1로부터 0.001 s-1까지 감소시키면서 상기 이오노머 분산액의 점도를 측정할 때, 하기의 식 1로 정의되는 상기 이오노머 분산액의 점도비(viscosity ratio)가 1.7 이하인,
이오노머 분산액:
* 식 1: 점도비 = η2/η1
여기서,
η1은 전단속도 증가 과정 중에 측정된, 전단속도가 1 s-1일 때의 상기 이오노머 분산액의 제1 점도이고,
η2는 전단속도 감소 과정 중에 측정된, 전단속도가 1 s-1일 때의 상기 이오노머 분산액의 제2 점도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점도는 모두 1 Pa·s 이하인,
이오노머 분산액. - 제1항에 있어서,
유동계를 이용하여 전단속도를 0.001 s-1로부터 1000 s-1까지 증가시킨 다음 1000 s-1로부터 0.001 s-1까지 감소시키면서 상기 이오노머 분산액의 전단응력을 측정할 때, 하기의 식 2로 정의되는 상기 이오노머 분산액의 전단응력비(shear stress ratio)가 1.5 이하인,
이오노머 분산액:
* 식 2: 전단응력비 = σ2/σ1
여기서,
σ1은 전단속도 증가 과정 중에 측정된, 전단속도가 1 s-1일 때의 전단응력인 제1 전단응력이고,
σ2는 전단속도 감소 과정 중에 측정된, 전단속도가 1 s-1일 때의 전단응력인 제2 전단응력임.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단응력은 모두 1 Pa 이하인,
이오노머 분산액.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오노머 고형물은 불소계 이오노머(fluorinated ionomer), 탄화수소계 이오노머(hydrocarbon-based ionomer),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이오노머 분산액.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오노머 고형물은 과불화술폰산계 이오노머(perfluorinated sulfonic acid-based ionomer: PFSA-based ionomer)를 포함하는,
이오노머 분산액.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오노머 분산액 내 상기 이오노머 고형물의 농도는 20 내지 50 중량%인,
이오노머 분산액. - 이오노머 고형물의 함량이 20 중량% 이상이 되도록 분산매에 이오노머를 첨가하는 단계; 및
제1항의 이오노머 분산액을 얻기 위하여 공명음파방식(resonant acoustic method)으로 상기 분산매와 상기 이오노머를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오노머 분산액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매와 상기 이오노머를 혼합하는 단계는 상기 분산매와 상기 이오노머에 10 내지 100 Hz 주파수의 음향 에너지를 가하여 50G 내지 100G의 가속도로 상기 분산매와 상기 이오노머를 공진(resonant vibration)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 여기서, G는 중력가속도임 -,
이오노머 분산액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매와 상기 이오노머를 혼합하는 단계는 5 내지 60 분 동안 수행되는,
이오노머 분산액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매와 상기 이오노머를 혼합하는 단계를 통해 얻어진 상기 분산매와 상기 이오노머의 혼합물에 500 내지 1000 bar의 압력을 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오노머 분산액 제조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은 상기 혼합물이 유동할 때 상기 혼합물에 가해지는,
이오노머 분산액 제조방법. - 다수의 기공들을 갖는 다공성 지지체; 및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이오노머 분산액으로 상기 다공성 지지체를 함침 및 코팅한 후 상기 분산매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된 이오노머
를 포함함으로써 0.049 S/cm 이상의 면방향 이온 전도도, 0.27 Ω 이하의 두께방향 저항, 및 7.00E-05 cm2/sec 이하의 수소 투과도를 갖는,
고분자 전해질막. - 애노드;
캐소드; 및
상기 애노드와 상기 캐소드 사이에 배치된 제13항의 고분자 전해질막
을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1034 | 2019-09-30 | ||
KR20190121034 | 2019-09-3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8388A KR20210038388A (ko) | 2021-04-07 |
KR102786326B1 true KR102786326B1 (ko) | 2025-03-26 |
Family
ID=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356075A (ja) | 2003-03-28 | 2004-12-16 | Sumitomo Chem Co Ltd | 高分子電解質複合膜の連続的製造方法及び装置 |
JP2014127257A (ja) | 2012-12-25 | 2014-07-07 | Toyota Motor Corp | 燃料電池電極 |
KR101764068B1 (ko) | 2016-10-26 | 2017-08-03 |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 과불소계 이오노머 나노분산액을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막 |
KR101851643B1 (ko) * | 2017-02-20 | 2018-04-25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연료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 및 그 제조 방법 |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356075A (ja) | 2003-03-28 | 2004-12-16 | Sumitomo Chem Co Ltd | 高分子電解質複合膜の連続的製造方法及び装置 |
JP2014127257A (ja) | 2012-12-25 | 2014-07-07 | Toyota Motor Corp | 燃料電池電極 |
KR101764068B1 (ko) | 2016-10-26 | 2017-08-03 |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 과불소계 이오노머 나노분산액을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막 |
KR101851643B1 (ko) * | 2017-02-20 | 2018-04-25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연료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 및 그 제조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11694B2 (en) | Polymer electrolyte for a direct oxidation fuel cell,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direct oxidation fuel cell comprising the same | |
JP6707519B2 (ja) | 膜 | |
CN112335083B (zh) | 聚合物电解质膜、其制造方法及包括其的膜电极组件 | |
KR100684730B1 (ko) | 직접 산화형 연료 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직접 산화형 연료 전지 장치 | |
KR102431198B1 (ko) | 고분자 전해질막,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기화학 장치 | |
KR101630212B1 (ko) | Pai-ptm 부직포에 탄화수소계 고분자 전해질을 함침시켜 제조한 복합막 및 이의 용도 | |
KR102786326B1 (ko) | 높은 분산 안정성을 갖는 이오노머 분산액,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막 | |
JP4419396B2 (ja) | 高分子固体電解質およびそれを用いた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 |
EP4040549B1 (en) | Ionomer dispersion having high dispersion stability,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produced using same | |
KR102424779B1 (ko) | 고분자 전해질막,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기화학 장치 | |
JP2015153573A (ja) | 高分子電解質膜、膜電極接合体、及び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 | |
KR102125412B1 (ko) | 연료전지용 탄화수소계 강화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강화 고분자 전해질막 | |
JP2006190627A (ja) | 補強材を有する高分子固体電解質膜 | |
KR102701793B1 (ko) | 고분자 전해질막,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기화학 장치 | |
KR102786315B1 (ko) | 고분자 전해질막,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기화학 장치 | |
CN115104207A (zh) | 聚合物电解质膜、其制造方法和包括其的电化学装置 | |
JP2024544577A (ja) | 高分子電解質膜、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む電気化学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1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09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319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