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83922B1 - 화상 상담 지원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상담 지원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83922B1
KR102783922B1 KR1020240148350A KR20240148350A KR102783922B1 KR 102783922 B1 KR102783922 B1 KR 102783922B1 KR 1020240148350 A KR1020240148350 A KR 1020240148350A KR 20240148350 A KR20240148350 A KR 20240148350A KR 102783922 B1 KR102783922 B1 KR 102783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er
terminal
video consultation
information related
consult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148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재
Original Assignee
한화손해보험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손해보험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손해보험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0148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839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83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8392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제1 단말을 통한 제1 고객의 접속을 확인하는 단계, 제1 단말을 통한 제2 고객의 접속을 확인하는 단계 및 제1 단말을 통해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상담 지원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화상 상담 지원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METHOD FOR SUPPORTING VIDEO CONSULTA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본 개시는 화상 상담 지원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복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단말을 통해 화상 상담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험 서비스를 위한 화상 상담 프로그램은 보험사와 고객 간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설계된 기술로, 고화질의 영상 통화 기능을 중심으로 한다. 이 프로그램은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고객의 보험 계약에 대한 업무의 진행 과정 전반에 도움을 주는 상담사와 고객이 서로의 얼굴을 보며 상담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특히, 고객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한 영상 인증 기능이 통합되어 있어, 보안성이 높은 인증 절차를 통해 신뢰할 수 있는 상담 환경을 구현한다. 이를 통해 비대면 상황에서도 고객이 보험 서비스를 진행하는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원한다.
한편 계약자, 피보험자 및 수익자 등 다수의 계약 당사자가 관련되어 있는 보험 계약의 경우나 보험 계약자가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이 취약한 고객의 경우 다른 사람이 해당 고객의 디바이스를 조작하여 화상 상담을 진행해야 하며, 저사양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소유하고 있는 고객의 경우 화상 상담이 아닌 다른 방안을 통해 보험 관련 업무를 진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고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하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화상 상담 지원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고객이 하나의 디바이스를 통해 화상 상담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이 화상 상담을 통해 계약에 필요한 서류를 편리하게 작성할 수 있는 방법 및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화상 상담 지원 방법은, 제1 단말을 통한 제1 고객의 접속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을 통한 제2 고객의 접속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을 통해 상기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객의 접속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로부터 획득된 상기 제2 고객을 추가하는 제1 요청을 기반으로 상기 제2 고객의 접속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상 상담 지원 방법은, 상기 제1 단말에 정보를 획득할 대상 고객을 지정하는 제2 요청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요청을 기반으로 확인된 대상 고객이 상기 제2 고객인 경우, 상기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객의 접속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을 통해 수신한 상기 제2 고객의 인증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고객의 접속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을 통해 수신한 상기 제2 고객의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제2 고객 상담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고객 상담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객 상담 관리 정보는, 상기 제2 고객이 이용하는 단말의 식별 정보, 상기 제2 고객이 이용하는 단말의 화상 정보, 상기 제2 고객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고객의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객이 이용하는 단말의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2 고객이 이용하는 단말의 화상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의 화상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화상 상담 지원 방법은, 상기 제1 고객과 관련된 정보, 상기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 및 복수개의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한 화상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상 상담 지원 방법은, 상기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한 이후, 상기 제1 단말에 제공되는 제1 고객과 관련된 정보 중 일부를 상기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 중 일부로 변경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상 상담 지원 방법은, 상기 제2 고객과 관련한 제1 보험 계약에 대한 제1 업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업무와 관련한 제1 서식을 상기 제1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상 상담 지원 방법은, 상기 제1 단말에 상기 제1 고객의 서명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1 단말을 통해 상기 제1 고객의 서명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에 상기 제2 고객의 서명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1 단말을 통해 상기 제2 고객의 서명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고객의 서명 및 상기 제2 고객의 서명을 상기 제1 서식 상에 병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상 상담 지원 방법은, 상기 제1 단말을 통해 상기 제1 업무와 관련한 제2 고객 제출 필요 서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고객 제출 필요 서류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객 제출 필요 서류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에 상기 제2 고객 제출 필요 서류에 대한 안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고객 제출 필요 서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상 상담 지원 방법은, 상기 제1 단말에 제공되는 화상 상담 영상 및 화상 상담 음성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을 통해 화상 상담이 진행된 시간 정보,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바인딩(binding)하여 상기 화상 상담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상 상담 지원 방법은, 상담사 단말을 통해 상기 제2 고객의 접속 확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고객의 접속 확인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객의 접속 확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상담사 단말이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객의 접속 확인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상담사 단말이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고객의 접속 확인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담사 단말을 통해 상기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의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 상담 지원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제1 단말을 통한 제1 고객의 접속을 확인하고, 상기 제1 단말을 통한 제2 고객의 접속을 확인하고, 및 상기 제1 단말을 통해 상기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따를 경우 다음과 같은 효과를 하나 혹은 그 이상 기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할 경우, 다수의 계약 당사자가 존재하는 보험 계약과 관련된 업무를 비대면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객 편의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할 경우, 보험 계약 당사자가 디지털 취약 계층과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의 조작이 어려울 수 있는 상황에서 가족이나 지인 또는 대리인 등이 동일 디바이스로 동시 상담을 진행하여 화상 상담을 도울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할 경우, 보험 계약 당사자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비대면 화상 상담이 불가능한 기종이거나 통신 장애 등의 문제로 접속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에도 동일 공간에 있는 타인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화상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할 경우, 보험 계약 당사자들이 같은 공간에 있는 경우에 각각의 보험 계약 당사자들이 자신들의 모바일 디바이스 각각을 통해 일일이 화상 상담 프로그램에 접속하지 않더라도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화상 상담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상담 지연 발생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할 경우, 보험 계약 당사자들이 오프라인으로 내방하여 보험 계약 관련 업무를 진행하는 경우에 작성하게 되는 서식의 형태가 유지된 서식을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 받을 수 있어 실제 고객 지원 센터 또는 대면 창구에 내방하여 보험 계약 관련 업무를 진행하는 것과 유사한 상황에서 화상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할 경우, 복수의 보험 계약 당사자들의 상담 관리 정보와 화상 상담 내역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고, 화상 상담의 종료 이후 특정인의 보험 계약 관련 업무에 관한 부인을 방지할 수 있어 화상 상담 지원 서비스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화상 상담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들의 연동 관계를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상담 지원 방법에서 제1 단말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들을 전반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상담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들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상담 지원 방법에서 제1 고객 상담 관리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상담 지원 방법에서 제2 고객 상담 관리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상담 지원 방법에서 제2 고객의 접속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고객 단말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상담 지원 방법에서 제2 고객과 관련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고객 단말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상담 지원 방법에서 제2 고객의 접속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상담사 단말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상담 지원 방법에서 제2 고객과 관련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상담사 단말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기재된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은, 'a 단독', 'b 단독', 'c 단독',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 b, 및 c 모두'를 포괄할 수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통신 기반 단말,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화상 상담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들의 연동 관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 상담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100)는 제1 고객이 이용하는 제1 단말(200)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또한 화상 상담 지원을 위해 제1 단말(200)과 연동하는 상담사 단말(300)과도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단말(200)과 상담사 단말(300)로부터 접속할 수 있는 화상 상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고, 제1 단말(200)과 상담사 단말(300)로부터 접속이 확인되면, 이들에 화상 상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단말(200)과 상담사 단말(300)의 각각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실시간 영상을 이와 같은 화상 상담 인터페이스 상에 제공함으로써, 제1 단말(200)과 상담사 단말(300)이 실시간으로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이와 같이 전반적인 화상 상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화상 상담 인터페이스 중 실시간 영상 공유와 관련된 다양한 추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제공하는 화상 상담 인터페이스는, 제1 단말(200)에 대해 제공되는 것과 상담사 단말(300)에 대해 제공되는 것이, 큰 틀에서는 유사하나, 세부적인 부분에서 상이할 수 있다. 일례로, 상담사 단말(300)에 대해 제공되는 화상 상담 인터페이스에는, 고객 단말별 인증 절차 진행 상황 또는 고객 단말별 발언 및 서명 권한 부여 여부와 관련된 별도의 인터페이스가 더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담사 단말(300)에 대해 제공되는 화상 상담 인터페이스는, 상담사 단말(300)화면의 크기에 맞추어, 제1 단말(200)에 대해 제공되는 것에 비해 한번에 더 많은 영역을 표시할 수 있으며, 상담사 단말(300) 화면의 일반적인 형태에 따라 다소 다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화상 상담 지원과 관련한 보험 계약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계약 관련 필요한 서류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보험 계약 업무와 관련된 절차가 완료되는 중심 서버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상담사 단말(300)로부터 보험 계약에 대한 업무의 선택을 확인함에 응답하여,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던, 해당 업무와 관련하여 서명이 필요한 서식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차후 설명할 과정을 통해 해당 서식에 대한 고객들의 서명이 전달되면, 해당 서식 상에 서명을 결합하고, 이를 해당 업무와 관련된 서류 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단말(200)과 상담사 단말(300)의 화상 상담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는 서식과 관련된 동기화 제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즉, 상담사 단말(300)이 제1 단말(200)에 동시에 표시하고자 하는 내용을 동기화하여 표시하여 주고, 제1 단말(200)을 이용하는 고객 중 서명 권한이 부여된 고객 단말로부터 서명 정보가 확인되면, 이를 동기화하여 제1 단말(200)과 상담사 단말(300)에 전달 및 표시하고, 전자 장치(100)가 저장하고 있던 서식 상에 서명 정보가 결합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와 연동되는 제1 단말(200)은 데스크탑 피시, 태블릿 피시, 모바일 단말 등 보험 관련 업무의 처리를 위해 화상 상담을 필요로 하는 고객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이외에도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전자 장치(예: 모바일 디바이스)들이 제1 단말(200)로 이용될 수 있다. 제1 단말(200)을 이용하는 고객은 제1 단말(200)을 소유하고 제1 단말(200)의 사용에 능숙한 제1 고객 및 제1 고객으로부터 도움을 받아 보험 관련 업무를 처리하려는 제2 고객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고객은 보험 관련 업무의 처리를 위해 화상 상담 기능 지원이 가능한 : 모바일 디바이스를 소유하고 있지 않은 고객 또는 : 모바일 디바이스의 조작이 미숙한 디지털 취약 고객과 같이 화상 상담 프로그램 접속이 어려워 제1 고객이 이용하는 제1 단말(200)을 통해 보험 관련 업무의 처리를 위한 도움을 받아야 하는 고객에 해당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계약자, 피보험자 및 수익자 등 다수의 계약 당사자가 관련되어 있는 보험 계약의 특성을 고려하여, 제1 고객 및 제2 고객은 같은 공간에 있는 보험 계약 당사자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객 및 제2 고객은 각각의 :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지 않고 제1 고객이 이용하는 제1 단말(200) 하나만으로 보험 관련 업무의 처리를 같은 공간에서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에서 제1 고객 및 제2 고객이 언급한 경우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와 연동되는 상담사 단말(300)은 데스크탑 피시, 태블릿 피시, 모바일 단말 등 보험 관련 업무의 처리를 위해 화상 상담을 필요로 하는 고객에게 화상 상담을 제공하기 위한 전문 상담사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상담사 단말(300)은 네트워크(150)를 통해 전자 장치(100) 및 제1 단말(200)과 통신을 수행하면서 제1 단말(200)에 제공되어야 할 자료 및 인터페이스를 적절하게 전자 장치(100)로 요청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가 상담사 단말(300)이 반드시 전자 장치(100)와 연동되는 경우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에서 살필 바와 같은 화상 상담 지원 방법 과정과 관련된 실시 예에서 상담사 단말(300)을 통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통해 인공 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는 CPU, AP,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과 같은 범용 프로세서, GPU, VPU(vision processing unit)와 같은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 또는 NPU와 같은 인공 지능 전용 프로세서일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기 정의된 동작 규칙 또는 인공 지능 모델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가 인공 지능 전용 프로세서인 경우, 인공 지능 전용 프로세서는 특정 인공 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로 설계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 제1 단말(200) 및 상담사 단말(300)은 네트워크(150)내에서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15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및 이들의 상호 조합을 포함하며, 도 1에 도시된 각 주체가 서로 원활하게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포괄적인 의미의 데이터 통신망이며,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및 모바일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무선 랜(Wi-Fi),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을 위한 다양한 모듈들이 제공될 수 있다. 모듈들은 콘텐츠 제공 방법이 구현되는(또는, 물리적 장치에 포함되는) 물리적 장치(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지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된 컴퓨터 코드 내지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콘텐츠 제공 방법이 구현되는 물리적 장치는 복수 개의 모듈들을 컴퓨터 코드 형태로 스토리지에 저장하고, 스토리지에 저장된 복수 개의 모듈들이 실행되는 경우 복수 개의 모듈들은 물리적 장치가 복수 개의 모듈들에 대응하는 지정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상담 지원 방법에서 제1 단말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들을 전반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고객이 제1 단말(200)을 이용하여 화상 상담 프로그램에 접속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화상 상담을 시작하기 위해 제1 단말(200)에서 인터페이스(21)를 제공하여 1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고객은 URL에 접속함을 통해 화상 상담 프로그램에 접속할 수 있으며, 카메라, 마이크 접속 권한 허용 및 상태 테스트를 마친 후 인터페이스(21)를 통해 신분증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고객이 인터페이스(21)를 통해 신분증 인증을 완료한 이후, 전자 장치(100)는 인터페이스(22)를 통해 화상 상담을 시작하기 위해 대기해야 하는 상담 대기 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고객은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예약 대기가 끝난 경우 화상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스(22)의 제공 이후 화상 상담이 시작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1 단말(200)에 인터페이스(23)와 같이 상담사 및 제1 고객이 모두 드러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고객이 제1 단말(200)을 통해서가 아닌 실제로 상담사와 상담하고 있다고 체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제1 단말(200)을 이용하는 제1 고객의 계약 목록과 특정 보험 계약인 제1 계약에 대한 정보를 제1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고객은 인터페이스(25)를 통해 제2 고객과 관련한 보험 계약에 대한 업무 또는 제1 고객 및 제2 고객 모두와 관련한 보험 계약에 대한 업무의 진행에 필요한 고객 제출 필요 서류에 대한 안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1 고객은 인터페이스(26)를 통해 보험 계약과 관련한 업무와 관련한 서식에 대한 안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1 고객은 인터페이스(27)를 통해 보험 계약과 관련한 업무와 관련한 서식에 필요한 서명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고객은 인터페이스(28)를 통해 화상 상담의 종료 이후 보험 계약과 관련한 업무의 차후 진행 현황 및 상담사 서비스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통해 살핀 바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른 화상 상담 지원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100)는 고객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고객의 화상 상담 프로그램 접속 대기 이후 화상 상담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보험 계약에 대한 업무의 진행에 필요한 고객 제출 필요 서류, 관련 서식에 대한 안내 및 고객 서명에 대한 수신 이후 보험 계약과 관련한 업무를 마치기까지의 전반에 과정에서 수행되는 화상 상담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고객 및 제2 고객이 같은 공간에서 제1 단말(200)을 통해 화상 상담 프로그램에 접속한 뒤 화상 상담을 진행하는 과정 전반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제1 고객 및 제2 고객 각각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에 능숙한 고객 및 능숙하지 않은 고객에 해당할 수 있다. 그러나 해당 경우뿐 아니라, 제1 고객 및 제2 고객 각각은 특정 보험 계약 당사자들에 해당하며, 동일 공간에서 동일 제1 단말(200)을 통해 보험 계약과 관련한 화상 상담을 진행하는 당사자들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보험 계약은 보험 계약자 변경 계약, 보험금 수익자 변경 계약, 환급금 수익자 변경 계약, 담보의 추가, 삭제, 감액, 알릴 사항 관련 계약, 보험료 납입 방법 변경 계약, 보험자 부활 업무 관련 계약, 제지급 업무 계약, 보험자 사망 소멸 시 관련 보험 계약과 같이 복수의 고객이 계약에 관련된 다양한 보험 계약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상담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들이다. 한편 실시예 전반에서 제1 단말(200)이 상담사 단말(300)에 요청 정보를 직접적으로 송신하는 것으로 기재되었으나, 이와 같은 방법에 따라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전자 장치(100)의 중개에 의해서도 제1 단말(200)과 상담사 단말(300)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단계S31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단말(200)을 통한 제1 고객의 접속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고객이 화상 상담 프로그램 접속과 관련된 접속 안내 메시지 또는 초대 메시지를 수신하고, 접속 안내 메시지 또는 초대 메시지 상의 URL 정보에 기반하여 화상 상담 프로그램에 접속하면, 제1 단말(200)을 통해 접속 요청을 수신하고, 제1 단말(200)로 인증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고객의 신분증 인증과 같은 인증이 완료된 이후, 제1 고객이 정상적으로 화상 상담 프로그램에 접속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단계S31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단말(200)을 통해 접속한 제1 고객의 상담 내역 관리를 위한 제1 고객 상담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 도 4에서 구체적으로 살핀다.
단계S32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단말(200)을 통한 제2 고객의 접속을 확인할 수 있다. 제2 고객의 접속을 확인하는 단계는 제1 단말(200)로부터 획득된 제2 고객을 추가하는 제1 요청을 기반으로 제2 고객의 접속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요청은, 화상 상담 프로그램 상에서 제1 단말(200)을 이용하는 제1 고객이 상담사 단말(300)을 이용하는 상담사에게 제2 고객을 추가해 달라는 구두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요청은, 제1 단말(200)에 제공되는 제2 고객 추가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입력에 기반하여 제2 고객을 추가해 달라는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32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단말(200)을 통해 수신한 제2 고객의 인증 정보에 기반하여 제2 고객의 접속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고객의 인증 정보는 제2 고객 신분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1 단말(200)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2 고객의 신분증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2 고객 신분증 정보를 획득하여 제2 고객의 접속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상담사 단말(300)을 통해 제2 고객의 접속 확인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에 응답하여 제2 고객의 접속 확인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단계S33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단말(200)을 통해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상담사 단말(300)을 통해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의 입력을 수신하여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는 제2 고객 상담 관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 도 5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핀다.
도 3b를 참조하면, 단계S310-1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단말(200)은 화상 상담 프로그램 상에서 상담사 단말(300)에 제1 고객의 접속 확인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제1 단말(200)은 상담사와 화상 상담을 진행하는 제1 고객이 신분증 인증과 같은 인증을 마친 뒤의 구두 요청 또는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에 기반한 요청에 따라 상담사 단말(300)에 제1 고객의 접속 확인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단계S310-2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담사 단말(300)은 전자 장치(100)에 제1 고객의 접속 확인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상담사 단말(300)은 제1 고객과 화상 상담을 진행하는 상담사의 입력에 기반하여 제1 고객의 접속 확인 요청을 전자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단계S310-3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단말(200)에 제1 고객의 접속 확인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고객의 신분증 인증을 통해 제1 고객의 접속이 확인된 경우, 제1 단말(200)에 제1 고객의 접속 확인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단계S315-1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단말(200)은 상담사 단말(300)에 제2 고객을 추가하는 제1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제1 요청은 화상 상담 프로그램 상에서 제1 단말(200)을 이용하는 제1 고객이 상담사 단말(300)을 이용하는 상담사에게 제2 고객을 추가해 달라는 구두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요청은, 제1 단말(200)에 제공되는 제2 고객 추가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입력에 기반하여 제2 고객을 추가해 달라는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315-2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담사 단말(300)은 제2 고객 접속 확인 요청을 전자 장치(100)에 송신할 수 있다. 상담사 단말(300)은 보험 계약과 관련한 업무의 당사자에 해당하는 제2 고객이 제1 단말(200)을 통해 제1 고객과 동시에 화상 상담 프로그램에 접속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는 상담사의 입력에 기반하여 제2 고객 접속 확인 요청을 전자 장치(100)에 송신할 수 있다.
단계S32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2 고객의 접속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상담사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제2 고객 접속 확인 요청에 기반하여 확인된 제2 고객이 보험 계약과 관련한 업무의 당사자에 해당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2 고객의 접속을 확인할 수 있다.
단계S330-1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단말(200)에 제2 고객과 관련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고객과 관련된 인터페이스는 제1 단말(200)을 통해 화상 상담 프로그램에 접속한 제1 고객과 관련된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제1 고객 정보의 일부가 제2 고객 정보로 변경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단계S310-1 내지 단계S310-3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단말(200), 상담사 단말(300) 및 전자 장치(100) 각각은 앞서 도 3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고객의 접속 확인 요청에 기반하여 제1 고객의 접속을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S315-3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담사 단말(300)은 제1 단말(200)에 정보를 획득할 대상 고객을 지정하는 제2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제2 요청은 화상 상담 프로그램 상에서 상담사 단말(300)을 이용하는 상담사가 제1 단말(200)을 이용하는 제1 고객에게 보험 계약의 당사자인 제2 고객을 추가해 달라는 구두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요청은, 상담사 단말(300)에 제공되는 제2 고객 추가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입력에 기반하여 제2 고객을 추가해 달라는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요청은 복수 접속 고객 중 어떤 고객의 정보를 획득할지 지정하는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315-4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단말(200)은 제2 요청 응답을 상담사 단말(300)에 송신할 수 있다. 상담사 단말(300)은 제1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제2 요청 응답에 포함된 제2 고객과 관련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고객과 관련한 정보는 예를 들면 제2 고객의 이름,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개인 정보 및 제2 고객과 관련한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315-5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담사 단말(300)은 제2 고객 확인 요청을 전자 장치(100)에 송신할 수 있다. 상담사 단말(300)은 제2 고객과 관련한 정보를 기반으로 확인된 대상 고객이 제2 고객에 해당하는 지에 관한 확인 요청을 전자 장치(100)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담사 단말(300)을 통해 제2 고객의 접속 확인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에 응답하여 제2 고객의 접속 확인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상담사 단말(300)이 제1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제2 고객과 관련한 정보를 수신하여 제2 고객의 접속 확인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상담사 단말(300)이 제1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제2 고객의 접속 확인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단계S33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2 요청을 기반으로 확인된 대상 고객이 제2 고객인 경우, 해당 대상 고객과 관련된 정보를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단계S330-1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단말(200)에 제2 고객과 관련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고객과 관련된 인터페이스는 제1 단말(200)을 통해 화상 상담 프로그램에 접속한 제1 고객과 관련된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제1 고객 정보의 일부가 제2 고객 정보로 변경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 도 6에서 구체적으로 살핀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상담 지원 방법에서 제1 고객 상담 관리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단말(200)을 통한 제1 고객의 접속을 확인하고, 제1 고객 상담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고객 상담 관리 정보(410)는 제1 고객 단말 관리 정보(411), 제1 고객 식별 정보(412), 제1 고객 1차 인증 정보(413) 및 제1 고객 2차 인증 정보(41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고객 단말 관리 정보(411)는 제1 단말 식별 정보 및 제1 화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고객의 접속 확인 이후, 제1 단말의 고유 식별자(ID), 네트워크 정보(IP 주소 등) 및 제1 단말 기기 사양에 기반하여 제1 단말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고객의 접속 확인 이후, 제1 단말(200)의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을 수집하고, 해당 영상의 압축 및 암호화 과정을 통해 제1 화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고객 식별 정보(412)는 제1 고객 이름 및 제1 고객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객 이름 및 제1 고객 번호 각각은 전자 장치(100)상에 기 등록된 제1 고객의 이름에 관한 정보와 제1 고객의 고객 식별 번호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1차 인증 정보(413)는 제1 고객 신분증 정보 및 제1 고객 신분증의 진위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객 신분증 정보는, 제1 고객의 접속 확인 시 이용된 신분증에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객 신분증의 진위 여부에 대한 정보는, 상담사 단말(300)을 이용하는 상담사가 제1 단말(200)을 통해 고객으로부터 획득한 신분증의 진위 여부 입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2차 인증 정보(414)는 제1 고객 핸드폰 인증 정보 및/또는 제1 고객 신용 카드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2차 인증 정보(414)는 예를 들어 본 개시에 따른 화상 상담 지원 방법을 전자 장치(100)가 제공하는 과정에서 보험 관련 계약의 신뢰도 향상을 위해 제1 고객의 접속 확인 이후 추가적으로 수행되는 핸드폰 인증 및/또는 신용 카드 인증을 통해 획득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단말(200)을 통한 제1 고객의 접속 확인 이후 제1 고객 상담 관리 정보(410)를 위 같이 생성하여 해당 상담 내역과 관련한 정보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상담 지원 방법에서 제2 고객 상담 관리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단말(200)을 통해 수신한 제2 고객의 인증 정보에 기반하여 제2 고객의 접속을 확인한 뒤, 제1 단말(200)을 통해 수신한 제2 고객의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제2 고객 상담 관리 정보(510)를 생성하고, 제2 고객 상담 관리 정보(510)를 포함하는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고객 상담 관리 정보(510)는, 제2 고객 단말 관리 정보(511), 제2 고객 식별 정보(512), 제2 고객 1차 인증 정보(513) 및 제2 고객 2차 인증 정보(5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2 고객 식별 정보(512)는 앞서 설명한 제1 고객 식별 정보(511)와, 제2 고객 1차 인증 정보(513)는 앞서 설명한 제1 고객 1차 인증 정보(413)와, 제2 고객 2차 인증 정보(514)는 앞서 설명한 제1 고객 2차 인증 정보(414)와 중복되는 범위에서 설명을 생략한다.
제2 고객 단말 관리 정보(511)는 제2 고객이 이용하는 단말의 식별 정보, 제2 고객이 이용하는 단말의 화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객이 이용하는 단말의 제2 단말 식별 정보는, 제1 단말(200)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고, 제2 고객이 이용하는 단말의 제2 화상 정보는, 제1 단말(200)의 화상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200)을 통해 제1 고객 및 제2 고객이 동시에 접속하고 있으므로, 제2 고객이 이용하는 제2 단말 식별 정보는 제1 단말 식별 정보와 동일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제2 고객이 이용하는 단말의 제2 화상 정보는 제1 화상 정보와 동일하게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화상 상담 프로그램에서 제1 고객 및 제2 고객이 제1 단말(200)을 통해 동시 접속한 상황에서 제1 고객 상담 관리 정보(410)에 포함된 제1 고객 단말 관리 정보(411)와 제2 고객 상담 관리 정보(510)에 포함된 제2 고객 단말 관리 정보(511)를 동기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상담 지원 방법에서 제2 고객의 접속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고객 단말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고객과 관련된 정보,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 및 복수개의 제1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화상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1 단말(200)을 통한 제1 고객의 접속을 확인한 이후, 제1 단말(200)에 인터페이스(601)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601)는 상담사 단말(300)을 통해 획득된 영상이 제공되는 영역과 제1 단말(200)을 통해 획득된 영상이 제공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단말(200)을 통한 제1 고객의 접속이 확인되고, 제1 단말(200)을 통한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가 획득되기 이전, 전자 장치(100)는 제1 단말(200)을 통해 획득된 영상이 제공되는 영역 상에서 제1 고객과 관련된 정보(61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제1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화상 영상이 하나만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가 도시된 경우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단말(200)을 통해 접속한 고객의 수에 기반하여 복수개의 제1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화상 영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단말(200)을 통한 제2 고객의 접속이 확인되고, 제1 단말(200)을 통한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가 획득된 이후, 전자 장치(100)는 제1 단말(200)을 통해 획득된 영상이 제공되는 영역 상에서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602)를 제공하여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620)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한 이후, 제1 단말(200)에 제공되는 제1 고객과 관련된 정보 중 일부를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 중 일부로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자 장치(100)는 제1 단말(200)을 통한 제1 고객의 접속을 확인한 이후 인터페이스(601)의 제1 단말(200)을 통해 획득된 영상이 제공되는 영역 상에서 제공되는 제1 고객과 관련된 정보(610)를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620)로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상담 지원 방법에서 제2 고객과 관련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고객 단말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2 고객과 관련한 제1 보험 계약에 대한 제1 업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제1 업무와 관련한 제1 서식을 제1 단말(200)로 제공한 뒤 제1 단말(200)에 제1 고객의 서명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제2 고객의 서명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제1 단말(200)을 통해 제1 업무와 관련한 제2 고객 제출 필요 서류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단말(200)에 인터페이스(701)를 제공하여 제2 고객 제출 필요 서류 입력란(710)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고객 제출 필요 서류 입력란(710)은 제2 고객 보험 자료 제출에 대한 안내 문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단말(200)을 이용하는 제1 고객 및 제2 고객 각각은 화상 상담의 진행에 따라 제1 단말(200)을 통해 제공되어야 하는 보험 고객 자료가 제1 고객에 대한 것인지 제2 고객에 대한 것인지를 구별하여 상담사의 안내에 따라 보험 고객 자료를 제출할 수 있다. 한편 도면 상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고객의 사진이 각각 표시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구현시 고객들의 화상은 고객이 사용하는 단말이 획득한 이미지 정보일 수 있으며, 일 예로 제1 고객과 제2 고객이 한자리에 있는 경우 고객이 접속한 단말이 촬영한 화면이 고객의 단말 및 상담사 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화상 상담을 통한 계약 진행에서 각 고객이 참여한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고객의 단말이 촬영하는 영상에 접속한 제1 고객과 제2 고객이 나오고 있는지 확인되는 절차가 수행될 수도 있다.
도 7에서는 제2 고객 제출 필요 서류에 대해 제2 고객 보험 자료 제출에 대한 안내 문구가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가 도시된 경우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단말(200)에 제1 고객의 서명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제1 단말(200)을 통해 제1 고객의 서명을 수신하는 단계에서 제1 고객의 서명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1 고객의 서명을 위한 것이라는 안내 문구를 포함하도록 제1 고객의 서명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보험 계약 유형에 따라 제1 고객 제출 필요 서류가 존재하는 경우, 제1 단말(200)을 통해 제1 업무와 관련한 제1 고객 제출 필요 서류를 수신하고 제1 고객 제출 필요 서류를 저장하는 단계에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제1 고객 제출 필요 서류 입력란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고객 제출 필요 서류 입력란은 제1 고객 보험 자료 제출에 대한 안내 문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고객이 하나의 제1 단말(200)을 통해 화상 상담에 접속한 경우, 접속한 제1 단말(200)을 통해 자료를 제출할 때 어떤 고객에 대한 자료 제출인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정은 상담사 단말(300) 또는 전자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제1 단말(200)에 표시되는 정보와 대응되게 제출되는 자료가 전자 장치(100)에 저장될 때 어떤 고객이 제출한 자료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자료가 같이 저장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d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상담 지원 방법에서 제2 고객의 접속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상담사 단말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담사 단말(300)에 상담사 인터페이스(801)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고객의 접속의 확인 이후 상담사 인터페이스(801)의 영역(810)을 통해 상담사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화상 영상(813), 제1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화상 영상(811) 및 제1 고객과 관련된 정보(812)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담사 인터페이스(801)의 영역(820)을 통한 상담사 단말(300)의 입력에 기반하여 제1 단말(200)에 정보를 획득할 대상 고객을 지정하는 제2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담사 인터페이스(801)의 영역(830)을 통해 상담사 단말(300)에 고객과 관련한 인증 정보 또는 보험 계약에 대한 업무에 대한 정보, 업무와 관련한 서식 정보 전반 및 보험 상담 진행 현황 전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담사 인터페이스(801)의 영역(840)을 통해 상담사 단말(300)에 제1 고객 상담 관리 정보 및 제2 고객 상담 관리 정보를 제공하고, 제1 고객 제출 필요 서류 및 제2 고객 제출 필요 서류를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담사 인터페이스(801)의 영역(850)을 통해 상담사 단말(300)에 화상 상담과 관련한 스크린 샷 기능, 웹 페이지 공유 기능, 화면 공유 기능, 경고 메시지 전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담사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스크린 샷 기능에 대한 입력에 기반하여 제1 단말(200) 및/또는 상담사 단말(300)에 제공되는 화상 상담 영상 및 화상 상담 음성을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단말(200)을 통해 화상 상담이 진행된 시간 정보,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바인딩(binding)하여 화상 상담 영상을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고객 또는 제2 고객의 보험 관련 계약 부인 방지를 도모하고, 제1 고객 및 제2 고객이 제1 단말(200)을 통해 해당 보험 관련 계약에 관한 업무 전반을 수행했음을 증빙하는 자료로 해당 화상 상담 영상이 이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담사 단말(300)에 상담사 인터페이스(802)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고객의 접속의 확인 이후 상담사 인터페이스(801)의 영역(830)을 통해 상담사 단말(300)로부터 제1 단말(200)에 정보를 획득할 대상 고객을 지정하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상담사 인터페이스(801)의 영역(830)을 통해 상담사 단말(300)은 화상 상담 프로그램에 접속된 고객 중 동일 단말을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접속할 고객을 추가하는 요청을 전자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요청을 기반으로 확인된 대상 고객이 제2 고객인 경우,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담사 단말(300)에 상담사 인터페이스(803)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상담사 인터페이스(801)의 영역(830)을 통해 상담사 단말(300)에 제2 고객의 인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담사 인터페이스(803)의 영역(830)을 통해 상담사 단말(300)은 화상 상담 프로그램에 접속된 제2 고객의 신분증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1차 인증 정보에 기반하여 제2 고객의 접속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한 이후 인터페이스(803)의 영역(820)을 통해 제1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화상 영상 및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d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담사 단말(300)에 상담사 인터페이스(804)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상담사 인터페이스(801)의 영역(830)을 통해 상담사 단말(300)에 제2 고객의 2차 인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담사 인터페이스(803)의 영역(830)을 통해 상담사는 화상 상담 프로그램에 접속된 제2 고객의 제2 고객 핸드폰 인증 정보 및/또는 제2 고객 신용 카드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정보에 기반하여 제2 고객의 접속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2 고객의 접속 확인 이후 상담사 인터페이스(801)의 영역(840)을 통해 상담사 단말(300)에 제2 고객 상담 관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d에서는 제2 고객의 1차 인증이 수행된 이후, 화상 상담의 진행 과정(예: 고객 제출 필요 서류의 수신 이후부터 고객의 서명을 수신하기 이전)중 어느 단계에서 제2 고객의 2차 인증이 수행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가 도시된 경우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고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상담사 인터페이스(801)의 영역(830)을 통해 상담사 단말(300)에 제1 고객의 2차 인증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상담사 인터페이스(803)의 영역(830)을 통해 상담사 단말(300)은 화상 상담 프로그램에 접속된 제1 고객의 제1 고객 핸드폰 인증 정보 및/또는 제1 고객 신용 카드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정보에 기반하여 제1 고객의 접속을 확인할 수도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상담 지원 방법에서 제2 고객과 관련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상담사 단말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담사 단말(300)에 상담사 인터페이스(901)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상담사 인터페이스(801)의 영역(830)을 통해 상담사 단말(300)에 제2 고객과 관련한 제1 보험 계약에 대한 제1 업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제1 업무와 관련한 제1 서식을 제공 할 수 있다. 상담사 인터페이스(801)의 영역(830)을 통해 상담사 단말(300)에 제공되는 제1 업무에 대한 정보 및 제1 업무와 관련한 제1 서식은, 제1 단말(200)에 제공되는 정보 및 서식과 내용은 동일하나, 상담사 단말(300)의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맞추어 변경된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서식은 고객이 오프라인으로 고객 지원 센터 또는 대면 창구에 방문 했을 때 이용하게 되는 하드카피(hard copy)서식을 스캔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서식에 해당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는 해당 제1 서식을 제1 단말(200) 및 상담사 단말(300)에 제공하여 화상 상담을 진행하는 고객이 실제 고객 지원 센터 또는 대면 창구에 방문하여 보험 관련 업무를 처리하는 것과 유사한 느낌을 받도록 사용자 경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담사 단말(300)에 상담사 인터페이스(902)를 제공하여 제1 단말(200)에 제공되는 제1 고객의 서명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제2 고객의 서명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고객의 서명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제2 고객의 서명을 위한 인터페이스 각각은 제1 단말(200)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와 동기화된 것으로, 상담사 단말(300)의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맞추어 변경된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상담사 단말(300)에 제공되는 각각의 고객의 서명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담사는 제1 단말(200)을 이용하는 제1 고객 및/또는 제2 고객의 서명이 제1 단말(200)을 통해 적절하게 획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안내를 제1 고객 및/또는 제2 고객 각각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담사 단말(300)에 상담사 인터페이스(903)를 제공하여 제1 고객의 서명 및 제2 고객의 서명이 제1 서식상에 병합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자 장치(100)는 앞서 설명한 인터페이스(801) 내지 인터페이스(804) 및 인터페이스(901)를 통해 제1 단말(200)에 제공되는 제1 고객과 관련된 정보,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 및 복수개의 제1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화상 영상 및 상담사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상담사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한 이후, 상담사 단말(300)에 제공되는 제1 고객과 관련된 정보 중 일부를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 중 일부로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2 고객과 관련한 제1 보험 계약에 대한 제1 업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제1 업무와 관련한 제1 서식을 상담사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상담사 단말(300)에 제1 단말(200)에 제공된 것과 동일한 제1 고객의 서명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제2 고객의 서명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제1 고객의 서명 및 제2 고객의 서명을 수신하여 제1 서식에 병합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 장치(100)는 제1 단말(200)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및 해당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단말(200)로부터 획득한 제1 고객 및/또는 제2 고객의 보험 계약과 관련한 업무의 진행 과정에서 획득된 정보들을 상담사 단말(300)에 공유할 수 있어, 더욱 원활한 화상 상담 지원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전자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101) 및 프로세서(processor)(10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의 블록도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제어부(controller)에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의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 및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는 메모리(101)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여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는 바, 프로세서(102)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여 전자 장치(100)의 전반의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 및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제1 단말(200)을 통한 제1 고객의 접속 및/또는 상담사 단말(300)의 접속을 확인하고, 제1 단말(200) 및 상담사 단말(300)에 화상 상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제1 단말(200) 및 상담사 단말(300) 각각으로부터 촬영된 화상 영상을 제1 단말(200) 및 상담사 단말(300)로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자 장치(100)는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트랜시버(transceiver)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트랜시버를 이용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외부의 전자 장치는 단말 또는 서버가 될 수 있다. 또한, 트랜시버가 이용하는 통신 기술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5G,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101),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도 10 및 이와 관련된 이상의 내용은 전자 장치(100)를 기준으로 설명되었지만, 제1 단말(200) 및 상담사 단말(300) 역시 유사한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유추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실시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일 예시일 뿐 후술하는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화상 상담 지원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을 통한 제1 고객의 접속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을 통한 제2 고객의 접속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을 통해 상기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고객과 관련된 정보, 상기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 및 복수개의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한 화상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한 이후, 상기 제1 단말에 제공되는 제1 고객과 관련된 정보 중 일부를 상기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 중 일부로 변경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상담 지원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객의 접속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로부터 획득된 상기 제2 고객을 추가하는 제1 요청을 기반으로 상기 제2 고객의 접속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상담 지원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
    상기 화상 상담 지원 방법은,
    상기 제1 단말에 정보를 획득할 대상 고객을 지정하는 제2 요청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요청을 기반으로 확인된 대상 고객이 상기 제2 고객인 경우, 상기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상담 지원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객의 접속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을 통해 수신한 상기 제2 고객의 인증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고객의 접속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상담 지원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을 통해 수신한 상기 제2 고객의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제2 고객 상담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고객 상담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상담 지원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객 상담 관리 정보는,
    상기 제2 고객이 이용하는 단말의 식별 정보, 상기 제2 고객이 이용하는 단말의 화상 정보, 상기 제2 고객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고객의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 상담 지원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객이 이용하는 단말의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2 고객이 이용하는 단말의 화상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의 화상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화상 상담 지원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상담 지원 방법은,
    상기 제2 고객과 관련한 제1 보험 계약에 대한 제1 업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업무와 관련한 제1 서식을 상기 제1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 상담 지원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상담 지원 방법은,
    상기 제1 단말에 상기 제1 고객의 서명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1 단말을 통해 상기 제1 고객의 서명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에 상기 제2 고객의 서명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1 단말을 통해 상기 제2 고객의 서명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고객의 서명 및 상기 제2 고객의 서명을 상기 제1 서식 상에 병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 상담 지원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상담 지원 방법은,
    상기 제1 단말을 통해 상기 제1 업무와 관련한 제2 고객 제출 필요 서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고객 제출 필요 서류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 상담 지원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객 제출 필요 서류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에 상기 제2 고객 제출 필요 서류에 대한 안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고객 제출 필요 서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상담 지원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상담 지원 방법은,
    상기 제1 단말에 제공되는 화상 상담 영상 및 화상 상담 음성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 상담 지원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을 통해 화상 상담이 진행된 시간 정보,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바인딩(binding)하여 상기 화상 상담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상담 지원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상담 지원 방법은,
    상담사 단말을 통해 상기 제2 고객의 접속 확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고객의 접속 확인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 상담 지원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객의 접속 확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상담사 단말이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객의 접속 확인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상담사 단말이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고객의 접속 확인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상담 지원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담사 단말을 통해 상기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의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상담 지원 방법.
  19. 제1항 내지 제7항 및 제10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서버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기록매체.
  20. 화상 상담 지원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제1 단말을 통한 제1 고객의 접속을 확인하고,
    상기 제1 단말을 통한 제2 고객의 접속을 확인하고,
    상기 제1 단말을 통해 상기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고객과 관련된 정보, 상기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 및 복수개의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한 화상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단말에 제공하고, 및
    상기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한 이후, 상기 제1 단말에 제공되는 제1 고객과 관련된 정보 중 일부를 상기 제2 고객과 관련된 정보 중 일부로 변경하여 제공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KR1020240148350A 2024-10-28 2024-10-28 화상 상담 지원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Active KR102783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148350A KR102783922B1 (ko) 2024-10-28 2024-10-28 화상 상담 지원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148350A KR102783922B1 (ko) 2024-10-28 2024-10-28 화상 상담 지원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83922B1 true KR102783922B1 (ko) 2025-03-21

Family

ID=95197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148350A Active KR102783922B1 (ko) 2024-10-28 2024-10-28 화상 상담 지원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8392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8452A (ko) * 2013-01-02 2014-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화상 통화 방법
KR102699451B1 (ko) * 2024-05-07 2024-08-30 한화생명보험 (주) 보험 업무 관련 다인 화상 상담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8452A (ko) * 2013-01-02 2014-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화상 통화 방법
KR102699451B1 (ko) * 2024-05-07 2024-08-30 한화생명보험 (주) 보험 업무 관련 다인 화상 상담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9555B2 (en) Mobile device-based system for automated, real time health record exchange
US9871920B1 (en) Securely and efficiently transferring sensitive information via a telephone
US11416859B2 (en) Methods of authenticating a user for data exchange
KR101863882B1 (ko) 카드사 시스템을 이용한 의료 보험금 간편 청구 대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RE49716E1 (en) Method for processing solicited multimedia files
JP6991421B2 (ja) 不動産仲介支援システム、物件管理サーバ、不動産仲介方法及び不動産仲介プログラム
US201500950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ring workers
JP2020166601A (ja) 仲介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102699451B1 (ko) 보험 업무 관련 다인 화상 상담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783922B1 (ko) 화상 상담 지원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20130262281A1 (en) Facilitated dispute processing by utilizing an e-receipt
JP2009217747A (ja) 契約管理装置、電子契約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984375B2 (en) Client for securely and efficiently transferring sensitive information via a telephone
JP2022138699A (ja) 情報管理サーバ、情報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217462A (ja) 契約システム
US12067635B2 (en) Social media final notification system
JP7113883B2 (ja) 本人認証システム、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20125748A (ko) 휴대용 컴퓨터를 이용한 보험계약 서비스 시스템
WO2024135341A1 (ja) サービス制御システム、サービス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が格納された記録媒体
KR20230166181A (ko) 보험 관리와 비교분석이 가능한 플랫폼 시스템
JP2024177928A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店舗端末、および管理サーバ
JP2022179175A (ja) 銀行手続支援方法
JP2024024147A (ja) 取引フロー管理方法、取引フロー管理プログラム及び取引フロー管理システム
KR20220075312A (ko)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및 정보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10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2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3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3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3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