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82457B1 - Real estate transaction system using block chain and the method of real estate transaction - Google Patents
Real estate transaction system using block chain and the method of real estate transa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82457B1 KR102782457B1 KR1020230105968A KR20230105968A KR102782457B1 KR 102782457 B1 KR102782457 B1 KR 102782457B1 KR 1020230105968 A KR1020230105968 A KR 1020230105968A KR 20230105968 A KR20230105968 A KR 20230105968A KR 102782457 B1 KR102782457 B1 KR 1027824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al estate
- transaction
- association
- blockchain
- contrac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9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200 validation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427 ir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41001425718 Vagrans egist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102100032467 Transmembrane protease serine 13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765 microspectrophot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799 monosodium phos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23 data manag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1475 halogen functiona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44 ada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28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75 auth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05022 metad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JUMYIBMBTDDLNG-UHFFFAOYSA-N methylphenidate 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1C=CC=CC=1C(C(=O)OC)C1CCCC[NH2+]1 JUMYIBMBTDDLN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65 m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06Q50/167—Clos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3—User 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블록체인을 이용한 부동산거래 방법은 공인중개사협회시스템, 대한법무사협회(등기소)시스템, 은행시스템 및 시·군·구청부동산종합시스템 4개의 시스템으로 구성하고, 스마트 컨트랙트가 가능한 블록체인 중에서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Ethereum)과 같은 암호통화를 사용하지 않는 하이퍼레저 패브릭(Hyperledger Fabric)을 이용하는 부동산거래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인중개사협회시스템을 통해 매도인(임대인)과 매수인(임차인)이 개인 PC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공인중개사협회시스템의 Peer에 연결하는 단계; 매도인(임대인)과 매수인(임차인) 모두 디지털 공인인증서(Certificate Authority, CA)를 사용하여 본인 확인을 하는 단계; 부동산 매매 상품에 대한 트랜잭션 생성 단계, 부동산거래 매매를 보증하는 단계; 매매계약서(Read/Write set) 작성 및 서명에 대한 시뮬레이션과 디지털 인증서를 통한 확인 단계; 상기 부동산거래 매매에 관한 블록 생성 단계, 생성된 블록들의 최신블록 검증 단계; 분산원장 기록 및 업데이트 단계, 매매대금 지급과 등기이전 완료 단계 및 취득세 납부와 실거래 신고 단계를 포함한다. The real estate transaction method using the blockchai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four systems, namely, the Real Estate Brokerage Association System, the Korean Association of Legal Scriveners (Registry Office) System, the Banking System, and the City, County, and District Office Real Estate Integrated System, and, in the real estate transaction method using Hyperledger Fabric, which does not use cryptocurrencies such as Bitcoin or Ethereum among the blockchains capable of smart contracts, comprises the steps of: a seller (landlord) and a buyer (tenant) connecting to a peer of the Real Estate Brokerage Association System through a personal PC or mobile application; a step in which both the seller (landlord) and the buyer (tenant) verify their identities using a digital certificate authority (CA); a step in which a transaction is created for a real estate sale product and a step in which a real estate transaction is guaranteed; a step in which a simulation is performed for writing and signing a sales contract (Read/Write set) and a confirmation step is performed using a digital certificate; a step in which a block is created for the real estate sale and purchase and a step in which the latest block of the created blocks is verified; It includes the distributed ledger recording and update stages, the stages of payment of purchase price and completion of registration transfer, and the stages of payment of acquisition tax and reporting of actual transactions.
Description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부동산거래 시스템 및 부동산거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계약서의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고, 부동산 거래 시 판매자와 구매자가 온라인을 통해 직접 거래를 수행할 수 있고, 중개업자의 부재로 인해 거래 수수료를 절감시킬 수 있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부동산거래 시스템 및 부동산거래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l estate transaction system and a real estate transaction method using blockchain technology.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l estate transaction system and a real estate transaction method using blockchain technology that can prevent forgery and alteration of contracts, enable sellers and buyers to conduct transactions directly online during real estate transactions, and reduce transaction fees due to the absence of brokers.
대표적인 부동산으로 오피스텔이나 지식산업센터 같은 수익형 부동산이다. 수익형 부동산을 투자하려는 대부분의 투자자는 분양상담사로부터 프리미엄의 상승이나 안전한 월세수익을 보장한다는 등의 상담내용만으로 잘못된 투자를 결정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 인터넷을 이용한 부동산 거래 정보의 활용이 증대됨에 따라, 부동산 매도자와 매수자 간의 매칭을 중개하는 다양한 부동산 거래 관리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최근 블록체인(Block Chain) 기술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노드들이 모두 동일한 원장을 공유하게 되는 기술로서 해커가 원장에 기록된 거래내역을 변조하려고 하면 공유된 모든 원장을 변조해야하는 어려움이 있게 되어 거의 변조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블록체인에 기록된 데이터는 신뢰할 수 있다.Representative real estates include income-generating real estate such as officetels and knowledge industry centers. Most investors who want to invest in income-generating real estate often make wrong investment decisions based only on the advice from sales consultants, such as increased premiums or guaranteed safe monthly rental income. Recently, as the use of real estate transaction information via the Internet has increased, various real estate transaction management services that mediate matches between real estate sellers and buyers have emerged. Recently, blockchain technology is a technology in which all nodes connected to the network share the same ledger, so if a hacker tries to tamper with the transaction history recorded in the ledger, he or she has to tamper with all the shared ledgers, making tampering almost impossible. Therefore, data recorded in the blockchain is trustworthy.
이러한 신뢰할 수 있는 블록체인 원장(Chain Ledger)에 콘텐츠의 유통이력을 기록하게 되면 콘텐츠 유통에 참여하는 모든 주체들이 서로를 신뢰할 수 있고 수익을 공유할 수 있는 생태계 구축이 가능하다. 따라서, 콘텐츠 제작자들이 정당한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recording the distribution history of content on this trustworthy blockchain ledger, it is possible to build an ecosystem where all entities participating in content distribution can trust each other and share profits. Therefore, it has the effect of allowing content creators to obtain fair profits.
최근 소정의 데이터를 체인화된 블록으로 구성하여 중앙 서버가 아닌 노드들에 분산 저장함으로써, 해당 데이터에 대한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술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Recently, blockchain technology has been widely used to ensure the integrity of certain data by organizing it into chained blocks and storing it in distributed manners on nodes rather than a central server.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52629호(공고일: 2019. 12. 5)"디지털 콘텐츠 파일의 유통을 위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공개되었다.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052629 (Announcement date: December 5, 2019) “Dat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on of digital content files” was disclosed.
상기 발명은 온-오프 하이브리드 블록체인(Block Chain)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대량의 데이터 거래 내역을 오프-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처리하고 그 총합 결과만을 온-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한번에 기록함으로써 초당 처리할 수 있는 트랜잭션수를 늘려서 대용량 데이터의 유통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송기여분에 따라 보상을 가능하게 해서 누구나 전송자로 참여할 수 있고 이를 통한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유통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The above invention is based on an on-off hybrid blockchain network, processes a large amount of data transaction history in an off-blockchain network, and records only the total result at once in an on-blockchain network, thereby increasing the number of transactions that can be processed per second, thereby enabling the distribution of large amounts of data. In addition, it provides a distribution structure in which anyone can participate as a transmitter and obtain profits through it by enabling compensation according to transmission contribu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22983호(공고일: 2021. 11. 9)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현물 자산의 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자산 거래 플랫폼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이 이 공개되었다. 자산 거래 플랫폼 서버와 그 동작 방법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현물 자산 거래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온라인을 통해서 현물 자산 매도자와 매수자가 손쉽게 현물 자산 정보를 조회하고 거래까지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322983 (Publication Date: November 9, 2021) "Asset Trading Platform Server and its Operating Method for Enabling Trading of Spot Assets Based on Blockchain" has been disclosed. The asset trading platform server and its operating method can store and manage data related to spot asset trading information based on blockchain, thereby supporting sellers and buyers of spot assets to easily search for spot asset information and conduct transactions online.
본 발명의 목적은 정보의 탈중앙화가 이루어져 문서 및 기록의 손실을 줄이고 보안성을 확대할 수 있고,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계약서의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고, 부동산 거래 시 판매자와 구매자가 온라인을 통해 직접 거래를 수행할 수 있고, 중개업자의 부재로 인해 거래 수수료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부동산의 매도인과 매수인이 중개인 없이도 안전하게 직접 거래를 수행할 수 있고, 온라인으로 계약을 할 수 있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부동산거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al estate transaction system using blockchain, which allows the seller and buyer of real estate to safely conduct direct transactions without a broker and to conclude contracts online, thereby reducing the loss of documents and records and increasing security by decentralizing information, preventing forgery and falsification of contracts by using blockchain technology, and reducing transaction fees due to the absence of broker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전하고 과학적인 부동산거래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투명하고 안전한 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부동산거래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al estate transaction method using blockchain that enables transparent and safe transactions by providing a safe and scientific real estate transaction platform.
본 발명의 블록체인을 이용한 부동산거래 시스템은 부동산거래 매매는 채널1과 부동산거래 임대는 채널2로 구분하여 각 채널을 분리 구성하고, 스마트 컨트랙트가 가능한 블록체인 중에서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Ethereum)과 같은 암호통화를 사용하지 않는 하이퍼레저 패브릭(Hyperledger Fabric)을 이용하는 부동산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부동산거래 시스템은 공인중개사협회시스템, 대한법무사협회(등기소)시스템, 은행시스템, 시·군·구청부동산종합시스템 4개의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암호 화폐 개념이 필요하지 않도록 상기 시스템은 각각 프라이빗 방식 기반으로 구성되며; 각 이해관계자들 내의 사용자와 노드를 독립적으로 관리하고; The real estate transaction system using blockchain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real estate transaction sales into
다수의 거래를 빠른 속도로 처리할 수 있고, 병렬로 운영이 가능하도록 상기 노드는 일부 노드만 체인코드(Chaincode)를 실행하며; 상기 사용자는 분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peer 네트워크에 설치된 상기 체인코드(Chaincode)를 실행할 수 있도록, 두 종류의 함수인 읽기(query)와 쓰기(write/update)로 구분하며; 트랜잭션의 요청에 따라 실행되는 체인코드(Chaincode)는 스테이트(state) DB를 읽고 쓰기나 과거의 기록된 내역을 조회할 수 있으며, 상기 체인코드(System chaincode)는In order to process a large number of transactions at a high speed and operate in parallel, the above nodes execute only some of the chaincode; the above users can execute the above chaincode installed on the peer network through a distributed application, and it is divided into two types of functions: read (query) and write (write/update); the chaincode executed according to the transaction request can read and write the state DB or inquire past recorded history, and the above chaincode (System chaincode)
블록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올 때 사용되는 QSCC(Query System ChainCode)와, QSCC (Query System ChainCode) used when reading data stored in a block,
보증정책을 담당하는 ESCC(Endorsement System ChainCode)와, 블록을 검증할 때 사용하는 VSCC(Validation System ChainCode)와, 채널을 설정할 때 사용하는 CSCC(Configuration System ChainCode) 및 체인코드 설치부터 적용까지 수행하는 LSCC(Lifecycle System ChainCod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the ESCC (Endorsement System ChainCode) that is responsible for the guarantee policy, the VSCC (Validation System ChainCode) that is used when verifying blocks, the CSCC (Configuration System ChainCode) that is used when setting up channels, and the LSCC (Lifecycle System ChainCode) that performs everything from chaincode installation to application.
또한 본 발명의 블록체인을 이용한 부동산거래 시스템에서 상기 채널1의 상기 부동산거래 매매에는 상기 공인중개사협회시스템, 상기 대한법무사협회(등기소)시스템, 상기 은행시스템 및 상기 시·군·구청부동산종합시스템을 포함하고; In addition, in the real estate transaction system using the blockchai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l estate transaction of the
상기 채널2의 상기 부동산거래 임대에는 상기 공인중개사협회시스템 및 상기 시·군·구청부동산종합시스템이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bove real estate transaction rental of the above channel 2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above real estate agent association system and the city/county/district office real estate comprehensive system.
또한 본 발명의 블록체인을 이용한 부동산거래 시스템에서 상기 체인코드(System chaincode)중 상기 QSCC, 상기 CSCC 및 상기 LSCC는 CLI 명령어로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ESCC 및 상기 VSCC는 트랜잭션의 보증을 담당하는 Endorsing peer와 블록의 검증을 담당하는 Committing peer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real estate transaction system using the blockchai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QSCC, the CSCC, and the LSCC among the chaincodes (system chaincode)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executed by the user as CLI commands; and the ESCC and the VSCC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executed by the Endorsing peer responsible for guaranteeing the transaction and the Committing peer responsible for verifying the block.
본 발명의 블록체인을 이용한 부동산거래 방법은 공인중개사협회시스템, 대한법무사협회(등기소)시스템, 은행시스템 및 시·군·구청부동산종합시스템 4개의 시스템으로 구성하고, 상기 4개의 시스템 중 특정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을 해당 조직일 경우에만 호출할 수 있도록 제한하기 위하여, 각 시스템은 다른 시스템과의 연결을 위한 Peer, 본인 확인을 위한 CA, 관련 데이터 호출을 위한 MSP, 데이터 저장을 위한 DApp를 구성하고; 스마트 컨트랙트가 가능한 블록체인 중에서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Ethereum)과 같은 암호통화를 사용하지 않는 하이퍼레저 패브릭(Hyperledger Fabric)을 이용하는 부동산거래 방법에 있어서,The real estate transaction method using the blockchai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four systems: the Certified Real Estate Brokers Association system, the Korean Association of Legal Scriveners (registration office) system, the banking system, and the city, county, and district office real estate comprehensive system. In order to limit access to data provided by a specific system among the four systems so that it can be called only by the relevant organization, each system configures a Peer for connection with other systems, a CA for identity verification, an MSP for calling related data, and a DApp for data storage; In the real estate transaction method using Hyperledger Fabric, which does not use cryptocurrencies such as Bitcoin or Ethereum among the blockchains capable of smart contracts,
상기 공인중개사협회시스템을 통해 매도인(임대인)과 매수인(임차인)이 개인 PC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공인중개사협회시스템의 Peer에 연결하는 단계; 매도인(임대인)과 매수인(임차인) 모두 디지털 공인인증서(Certificate Authority, CA)를 사용하여 본인 확인을 하는 단계; 부동산 매매 상품에 대한 트랜잭션 생성 단계, 부동산거래 매매를 보증하는 단계; 매매계약서(Read/Write set) 작성 및 서명에 대한 시뮬레이션과 디지털 인증서를 통한 확인 단계; A step for the seller (landlord) and the buyer (tenant) to connect to the peer of the above-mentioned Real Estate Brokerage Association system through a personal PC or mobile application; a step for both the seller (landlord) and the buyer (tenant) to verify their identity using a digital certificate authority (CA); a step for creating a transaction for a real estate sale product, a step for guaranteeing a real estate transaction; a step for simulating the writing and signing of a sales contract (Read/Write set) and a step for confirmation using a digital certificate;
상기 부동산거래 매매에 관한 블록 생성 단계, 생성된 블록들의 최신블록 검증 단계; 분산원장 기록 및 업데이트 단계, 매매대금 지급과 등기이전 완료 단계 및 취득세 납부와 실거래 신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block generation step for the above real estate transaction, a latest block verification step of the generated blocks, a distributed ledger recording and update step, a purchase price payment and registration transfer completion step, and an acquisition tax payment and actual transaction report step.
또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부동산거래 방법에서 상기 부동산 매매 상품에 대한 트랜잭션 생성 단계, 상기 부동산거래 매매를 보증하는 단계 및 상기 계약서 작성 및 서명에 대한 시뮬레이션과 디지털 인증서를 통한 확인 단계에서, 계약서(Read/Write set), 신분증, 사진, 지문 등 이미지의 선명도와 전체적인 샤프닝 및 배경을 위하여 필터를 사용하고; 상기 공인중개사협회시스템, 대한법무사협회(등기소)시스템, 은행시스템 및 시·군·구청부동산종합시스템 4개의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은 리눅스 패키지 매니저(apt-get)를 이용하여 Docker를 설치하는 단계; Curl, Node.js, Go 언어를 설치하는 단계; Hyperledger fabric를 설치하는 단계; Docker 이미지를 설치하는 단계 및 클라이언트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lso, in a real estate transaction method using blockchain, in the step of creating a transaction for the real estate sale product, the step of guaranteeing the real estate transaction, and the step of simulating the writing and signing of the contract and the step of confirming it using a digital certificate, a filter is used for the clarity and overall sharpening and background of images such as the contract (Read/Write set), identification card, photo, and fingerprint; and the method of constructing four systems, the Certified Real Estate Brokerage Association System, the Korean Association of Legal Scriveners (Registry Office) System, the banking system, and the city/county/district real estate comprehensive system,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steps of installing Docker using a Linux package manager (apt-get); installing Curl, Node.js, and Go languages; installing Hyperledger fabric; installing a Docker image, and installing a client.
본 발명에 의하면, 현행 부동산 전자계약 시스템의 단점이었던 제3자를 통한 정보의 중앙 집중 관리 형태가 아닌, 정보의 탈중앙화가 이루어져 문서 및 기록의 손실을 줄이고 보안성을 확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centralizing information management through a third party, which was a shortcoming of the current real estate electronic contract system, decentralization of information is achieved, thereby reducing the loss of documents and records and increasing security.
또한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계약서의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고, 부동산 거래 시 판매자와 구매자가 온라인을 통해 직접 거래를 수행할 수 있고, 중개업자의 부재로 인해 거래 수수료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dditionally, blockchain technology can be used to prevent forgery and falsification of contracts, allow sellers and buyers to conduct real estate transactions directly online, and reduce transaction fees due to the absence of broker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현행 부동산 전자계약의 단점인 공인중개사를 필요로 하는 복잡한 절차, 관련 데이터의 중앙집중형 공전소 보관 등의 개선이 단계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confirm that the shortcomings of the current real estate electronic contract, such as the complicated procedure requiring a certified real estate agent and the centralized storage of related data, are improved in stag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술은 그 특징으로 인하여 소액으로도 투자할 수 있고, 정보의 접근이나 열람 역시 쉽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blockchain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investment in small amounts due to its characteristics, and also making it easy to access or view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으므로 해외 상품에 대한 투자도 기존의 복잡한 절차가 아닌 간소화된 프로세스로 거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동산 투자 분야 역시 블록체인 도입을 통해 개선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can be traded like stocks, investment in overseas products can also be traded through a simplified process rather than the existing complicated procedures. In this way, the real estate investment sector can also be improve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blockchai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신용도가 높은 네트워크를 운영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참여자의 신원을 확인하기 때문에 문제 발생 시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network with high credibility can be operated, and since the identity of network participants is verified, responsibility can be clearly determined when a problem occur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일부 노드만 체인코드를 실행하기 때문에 병렬로 운영이 가능하며 다수의 거래를 빠른 속도로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ly some nodes execute the chain cod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parallel operation is possible and a large number of transactions can be processed at a high speed.
도 1은 인공지능 부동산 가치평가의 개념 블록도.
도 2는 부동산 전자계약 흐름의 1차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부동산 전자계약 흐름의 2차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동산거래 모델시스템 구축도.
도 5는 보증(Peer)에 설치된 시스템 체인코드 실행예시도.
도 6은 하이퍼레저 패브릭 블록의 구조도.
도 7은 소프트웨어 및 도구 설치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실행할 파일들을 나타낸 사례.
도 9는 Docker 프로그램 설치 예시도.
도 10은 체인코드 개발과정 실행도.
도 11은 부동산임대차 전자계약서.
도 12는 부동산거래 전자계약시스템 로그인 화면.
도 13은 거래 당사자 본인 신원확인 및 공인중개사 신원확인 도면.
도 14는 신분증 및 지문생체등록정보 확인을 나타낸 도면Figure 1 is a conceptual block diagram of artificial intelligence real estate valua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first change in the real estate electronic contract flow.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second change in the real estate electronic contract flow.
Figure 4 is a diagram of a real estate transaction model system constru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ample of system chain code execution installed on a guarantee (Peer).
Figure 6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Hyperledger Fabric block.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of software and tools.
Figure 8 is an example showing files to be executed.
Figure 9 is an example of Docker program installation.
Figure 10 is an execution diagram of the chain code development process.
Figure 11 is an electronic contract for real estate lease.
Figure 12 is the login screen for the real estate transaction electronic contract system.
Figure 13 is a diagram for verifying the identity of the parties to a transaction and the identity of a certified broker.
Figure 14 is a drawing showing the verification of identification and fingerprint biometric registration information.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인공지능 부동산 가치평가의 개념 블록도이고,도 2는 부동산 전자계약 흐름의 1차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부동산 전자계약 흐름의 2차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동산거래 모델시스템 구축도이고, 도 5는 보증(Peer)에 설치된 시스템 체인코드 실행예시도다.Figure 1 is a conceptual block diagram of artificial intelligence real estate valua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first change in the flow of real estate electronic contracts, and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second change in the flow of real estate electronic contracts.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real estate transaction mode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n example of the execution of a system chain code installed in a guarantor (Peer).
도 6은 하이퍼레저 패브릭 블록의 구조도이고, 도 7은 소프트웨어 및 도구 설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실행할 파일들을 나타낸 사례이고, 도 9는 Docker 프로그램 설치 예시도이고, 도 10은 체인코드 개발과정 실행도이다..Figure 6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Hyperledger Fabric block, and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software and tool installation. Figure 8 is an example of files to be executed, Figure 9 is an example diagram of Docker program installation, and Figure 10 is an execution diagram of the chain code development process.
블록체인 기술은 트랜잭션이라고 하는 소정의 데이터가 생성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있는 복수의 노드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의 노드 장치가 여러 블록들이 체인으로 연결되어 있는 블록체인 데이터에 포함된 이전 블록을 기초로 상기 트랜잭션이 포함된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블록을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에 체인으로 연결한 후 상기 블록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노드 장치들로 배포함으로써, 소정의 데이터가 복수의 노드 장치들에 분산 저장되도록 하는 기술을 의미한다.Blockchain technology refers to a technology in which, when a certain data called a transaction is generated, one of multiple node devices participating in a blockchain network generates a new block containing the transaction based on a previous block included in blockchain data in which multiple blocks are linked into a chain, links the block to the blockchain data into a chain, and then distributes the block to other node devices via the blockchain network, thereby allowing the specified data to be distributed and stored in multiple node devices.
도 1은 인공지능 부동산 가치평가의 개념도이다.Figure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rtificial intelligence real estate valuation.
도 1에 도시된 블록들이나 흐름도의 단계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등 데이터 프로세싱이 가능한 장비의 프로세서나 메모리에 탑재되어 지정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instructions)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은 컴퓨터 장치에 구비된 메모리 또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블록도의 블록들 또는 흐름도의 단계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이를 수행하는 명령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물로 생산될 수도 있다. The blocks illustrated in FIG. 1 or the steps of the flowchart may be interpreted as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that are loaded onto a processor or memory of a data processing capable device such as a general-purpose computer, a special-purpose computer, a portable notebook computer, a network computer, and perform designated functions. Since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an be stored in a memory equipped on a computer device or a computer-readable memory,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blocks of the block diagram or the steps of the flowchart may also be produced as a manufactured product that includes a command means for performing the same.
정보기술의 발달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동으로 부동산의 가치를 평가하는 자동가치평가모델(Automated Valuation Model,이하 "AVM" 이라 한다)이 등장했다. 부동산 산업 관계 기관이나 언론은 미국이나 유럽국가에서 사용하는 AVM을 ‘자동가치산정모형’, ‘자동평가모형’ 또는 ‘시세자동산정기법’이라 한다.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 automated valuation mod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VM") has emerged that automatically evaluates the value of real estate using computer programs. Real estate industry organizations and the media refer to the AVM used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an countries as an "automatic valuation model," "automatic valuation model," or "automatic market price calculation technique."
AVM은 회귀(Regression)와 적응 추정(Adaptive Estimation), 신경망, 전문가 추론(Expert Reasoning),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 AVM can use regression, adaptive estimation, neural networks, expert reason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s.
AVM을 시장 분석가가 사전에 별도로 수집한 정보에서 입지와 시장조건, 부동산 특성 등을 기반으로 시장가치의 추정치를 산출하는 데 사용하는 수학 기반의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다. 인공지능 부동산 가치평가는 부동산의 실거래 가격 정보와 함께 부동산의 물리적 특성, 주변 환경, 입지 등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부동산의 가격이나 지수를 자동으로 산정하여 정보를 제공한다.AVM is a mathematical computer software program that market analysts use to estimate market value based on location, market conditions, and real estate characteristics from information collected separately in advance. AI real estate valuation automatically calculates the price or index of a real estate using AI based on data such as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al estat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location along with the actual transaction price information of the real estate.
도 2는 부동산 전자계약 흐름의 1차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부동산 전자계약 흐름의 2차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first change in the real estate electronic contract flow, and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second change in the real estate electronic contract flow.
부동산 전자계약 흐름의 변화는 도 2와 도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단계별로 도 2는 1차, 도 3은 2차 변화를 나타낸다.The changes in the flow of real estate electronic contracts are shown in Figures 2 and 3, with Figure 2 showing the first change and Figure 3 showing the second change in stages.
도 2를 통해 볼 수 있는 1차 변화는 공인전자문서보관소의 폐지와 본인 인증 절차의 간소화이다. 블록체인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인 탈중앙화로 인해 공인전자문서보관소와 같은 개념이 사라지게 된다. The first change that can be seen in Figure 2 is the abolition of the public electronic document repository and the simplification of the identity verification process. The concept of a public electronic document repository will disappear due to decentralization, which is the biggest feature of blockchain technology.
이에 따라 현행 부동산 전자계약 시스템의 단점이었던 제3자를 통한 정보의 중앙 집중 관리 형태가 아닌, 정보의 탈중앙화가 이루어져 문서 및 기록의 손실을 줄이고 보안성을 확대할 수 있다. 본인 확인에 대한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다.Accordingly, instead of the centralized management of information through a third party, which was a shortcoming of the current real estate electronic contract system, decentralization of information is achieved, which can reduce the loss of documents and records and increase security. The identity verification process can be simplified.
현재는 2단계에서 개인 명의의 휴대폰이나 공인인증서 등의 방법으로 본인 확인을 실시하지만, 개인정보 유출과 같은 위험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안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Currently, in Step 2, personal identification is carried out using methods such as a personal cell phone or public certificate, but there is a risk of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so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security for this.
따라서 ‘블록’에 저장된 개인과 개인의 정보를 바탕으로 분산원장의 특징을 갖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다면 거래 당사자들의 본인 인증 절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소유주의 서명을 통해 매물이 등록되어 거래 시 참여자 모두 확인할 수 있어 허위 매물 및 ‘정보의 비대칭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Therefore, if blockchain technology, which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distributed ledger, is utilize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individuals and individuals stored in a ‘block’, the authentication procedures of transaction parties can be reduced. Finally, since the property is registered through the owner’s signature and can be confirmed by all participants during the transaction, false properties and ‘information asymmetry’ can be minimized.
도 3은 부동산 전자계약 흐름의 2차 변화를 나타낸다.Figure 3 shows the second change in the real estate electronic contract flow.
부동산 전자계약 흐름의 2차 변화는 로그인(1-1 단계), 매도인(임대인), 매수인(임차인) 사이에서 계약서 작성(1-2단계), 전자패드 서명(1-3단계), 타임스탬프 반영(1-4단계), 실거래신고 및 확정일자 부여(1-5단계)로 구성된다. The second change in the real estate electronic contract flow consists of login (step 1-1), contract writing between the seller (lessor) and buyer (lessee) (step 1-2), electronic pad signature (step 1-3), timestamp reflection (step 1-4), actual transaction report and confirmation date assignment (step 1-5).
상기 1-5단계에 해당하는 실거래신고 및 확정일자 부여는 정부 주체로 이루어진다. 정부가 계약에 전혀 개입하지 않는 것은 아니며, 개인 사이에 이루어진 계약은 정부에 신고하여 관련 내용을 정부가 파악하고 제도적, 정책적 측면에서 더욱 적절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한다. The actual transaction report and confirmation date assignment corresponding to the above steps 1-5 are carried out by the government. The government does not intervene in the contract at all, and contracts made between individuals are reported to the government so that the government can understand the relevant contents and make more appropriate choices in terms of institutional and policy.
정부 주체의 신고 및 확정일자 부여 과정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존의 공인전자문서센터(이하 공전소)에 데이터를 보관하는 중앙집중식 데이터 관리에서 매도(임대인), 매수인(임차인), 정부 모두에 저장되는 분산원장 형태로 저장되므로 탈중앙화의 성격을 갖는다. Since the process of reporting and granting a confirmation date by the government entity is based on blockchain, it has a decentralized nature as it is stored in the form of a distributed ledger that is stored by all parties including the seller (lessor), buyer (lessee), and the government, rather than the centralized data management that stores data in the existing Certified Electronic Document Cen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ublic Electronic Document Center).
현행 부동산 전자계약 절차와 블록체인 도입이 가져올 부동산 전자계약 절차 흐름의 1차, 2차 변화에 대한 비교는 [표 1]에 나타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현행 부동산 전자계약의 단점인 공인중개사를 필요로 하는 복잡한 절차, 관련 데이터의 중앙집중형 공전소 보관 등의 개선이 단계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 comparison of the current real estate electronic contract process and the first and second changes in the real estate electronic contract process flow brought about by the introduction of blockchain is shown in [Table 1]. As mentioned above, it can be confirmed that improvements are being made in stages, such as the complex procedures requiring a licensed real estate agent, and the centralized storage of related data.
아래 [표 1]은 부동산 전자계약 절차 흐름의 변화 비교를 나타낸 것이다.Table 1 below shows a comparison of changes in the real estate electronic contract procedure flow.
블록체인 기술 도입은 부동산 전자계약 시스템뿐만 아니라 투자 분야에서도 변화를 보일 수 있다. The introduction of blockchain technology can bring about changes not only in the real estate electronic contract system but also in the investment field.
블록체인 기술 도입 전과 후의 투자 방식에 대한 특징은 [표 2]와 같다.The characteristics of investment methods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blockchain technology are as shown in [Table 2].
기존의 부동산 투자에서 거래 금액은 비교적 고액이다. 부동산 관련 정보 역시 제한적으로 정보의 비대칭성이 강한 특징을 가지며 부동산 투자는 소수만을 위한 서비스였다. 마찬가지로, 기존의 부동산 투자 프로세스는 복잡하고 지연될 요소가 많다. 특히 해외 상품의 경우 투자 상품에 관한 확인 절차와 거래 기간이 매우 길고, 현금 유동화 절차가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다.In the existing real estate investment, the transaction amount is relatively high. Real estate-related information is also limited and has strong information asymmetry, and real estate investment is a service for only a few. Likewise, the existing real estate investment process is complicated and has many elements that can delay i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overseas products, there are disadvantages such as the confirmation procedure and transaction period for investment products are very long, and the cash liquidation procedure is complicated.
그러나 블록체인 기술이 도입되면 그 특징으로 인하여 소액으로도 투자할 수 있고, 정보의 접근이나 열람 역시 쉽다는 장점이 있다. However, the introduction of blockchain technology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investment in small amounts due to its characteristics, and it is also easy to access and view information.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으므로 해외 상품에 대한 투자도 기존의 복잡한 절차가 아닌 간소화된 프로세스로 거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동산 투자 분야 역시 블록체인 도입을 통해 개선될 수 있다.Since it can be traded like stocks, investments in overseas products can also be traded through a simplified process rather than the existing complex procedures. In this way, the real estate investment sector can also be improve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blockchain.
다음 [표 2]는 블록체인 도입 전후의 부동산 투자 시스템 비교를 나타낸 것이다.The following [Table 2] shows a comparison of real estate investment systems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blockchain.
본 발명의 모델은 프라이빗 방식 기반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지정된 이해관계자들인 공인중개사협회, 대한법무사협회(등기소), 은행, 시·군·구청(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의 조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부동산거래에 있어 매매와 임대를 구분하기 위해 각 채널을 분리하여 작동하도록 구축하였다.The mode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private method, so it is composed of organizations of designated stakeholders such as the Association of Certified Real Estate Brokers, the Korean Association of Legal Scriveners (registration office), banks, and city, county, and district offices (comprehensive real estate study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to operate by separating each channel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sales and rentals in real estate transactions.
본 발명에서 제시한 모델은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이므로 암호 화폐 개념이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각 이해관계자들 내의 사용자와 노드를 독립적으로 관리하게 되며, 네트워크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신원 확인 및 허가 절차가 추가로 필요하다. The model presented in this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not requiring the concept of cryptocurrency because it is a private blockchain platform. Users and nodes within each stakeholder are managed independently, and additional identity verification and authorization procedures are required to participate in the network.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신용도가 높은 네트워크를 운영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참여자의 신원을 확인하기 때문에 문제 발생 시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network with high credibility can be operated, and since the identity of network participants is verified, responsibility can be clearly determined when a problem occurs.
또한 일부 노드만 체인코드를 실행하기 때문에 병렬로 운영이 가능하며 다수의 거래를 빠른 속도로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dditionally, since only some nodes execute the chaincod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operate in parallel and process a large number of transactions at high speed.
또한 체인코드에는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언어 사용이 가능하다. 정보는 네트워크 참여자들에게만 공개되기 때문에 개인 데이터 처리에 유리하며 기밀성을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에 참여하지 않더라도 공시지가, 매도인 및 매수인 모집 과정에서의 관련 정보 등 각 기관에서 공개하고자 하는 정보는 다른 플랫폼을 이용하여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할 수 있다In addition, general programming languages can be used in chain code. Since information is disclosed only to network participants, it is advantageous for personal data processing and can provide confidentiality. Even if you do not participate in the network, information that each organization wants to disclose, such as public notice pric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cess of recruiting sellers and buyers, can be disclosed to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using other platforms.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동산거래 모델시스템 구축도이다.Figure 4 is a diagram of a real estate transaction model system constru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거래 모델시스템은 채널1과 채널2로 구성한다. 부동산 임대와 매매는 거래 절차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채널1과 채널2로 분리하여 채널1은 매매, 채널2는 임대를 위해 사용되도록 구축한다.The blockchain-based real estate transaction model system consists of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공인중개사협회, 대한법무사협회(등기소), 은행, 시·군·구청(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의 총 4개 기관이 연결되어 구성한다.As shown in Figure 4, it is composed of four organizations: the Association of Certified Real Estate Brokers, the Korean Association of Legal Scriveners (registration office), banks, and city/county/district offices (comprehensive real estate study system).
매도인(임대인) 또는 매수인(임차인)이 공인중개사협회에 부동산 상품에 대하여 매매 또는 임대의 거래를 의뢰한다.A seller (lessor) or buyer (lessee) requests the Association of Certified Real Estate Brokers to conduct a transaction for the sale or lease of a real estate product.
공인중개사협회를 통해 매도인(임대인)과 매수인(임차인)이 협의한 후 계약조건에 동의하면 블록체인 모델시스템에 의해 계약이 진행된다. After the seller (lessor) and buyer (lessee) negotiate through the Real Estate Brokers Association and agree on the contract terms, the contract is processed through the blockchain model system.
계약 날짜에 맞추어 매도인(임대인)과 매수인(임차인)이 개인 PC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공인중개사협회의 보증(Peer)에 연결된다.On the contract date, the seller (lessor) and buyer (lessee) connect to the Real Estate Brokers Association's guarantee (Peer) through a personal computer or mobile application.
계약이 진행됨과 동시에 공인중개사협회와 블록체인 상에서 노드로 연결된 대한법무사협회(등기소), 은행, 시·군·구청(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을 통해 one-stop으로 계약이 이루어지며 부동산 실거래 신고 및 취득세 납부 등 계약 후 프로세스까지 동시에 이루어진다.As the contract is processed, the contract is made in one stop through the Korea Association of Certified Real Estate Brokers (registration office), bank, city/county/district office (comprehensive real estate study system) connected as nodes on the blockchain, and even post-contract processes such as real estate transaction reporting and acquisition tax payment are carried out simultaneously.
본 모델시스템은 매도인 및 매수인 모두 디지털 공인인증서(Certificate Authority, CA)를 사용하여 본인 확인을 한다. 따라서 사기, 신분 도용과 같은 문제로부터 안전하다.This model system uses a digital certificate authority (CA) for both the seller and the buyer to verify their identity. Therefore, it is safe from problems such as fraud and identity theft.
컴포넌트는 MSP(Membership Service Provider)를 사용하며, 각 조직의 인증서 발행 및 검증, 사용자 인증에 관한 암호적 메커니즘에 관한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The component uses MSP (Membership Service Provider), which refers to a protocol for issuing and verifying certificates for each organization and a cryptographic mechanism for user authentication.
특정 조직에서 제공하는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을 해당 조직일 경우에만 호출할 수 있도록 제한한다.Restricts access to data provided by a specific organization so that calls can only be made by that organization.
따라서 각 조직은 다른 조직과의 연결을 위한 Peer, 본인 확인을 위한 CA, 관련 데이터 호출을 위한 MSP, 데이터 저장을 위한 DApp으로 구성된다.Therefore, each organization consists of a Peer for connecting with other organizations, a CA for identity verification, an MSP for calling related data, and a DApp for storing data.
가. 채널1(부동산 매매거래)는 공인중개사협회, 대한법무사협회(등기소), 은행, 시·군·구청(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 총 4개의 기관이 참가해서 구성된다.A. Channel 1 (real estate transaction) is comprised of four organizations: the Association of Certified Real Estate Brokers, the Korean Association of Legal Scriveners (registration office), banks, and city/county/district offices (comprehensive real estate study system).
부동산 매래거래는 거래 절차는 매매 상품에 대한 트랜잭션 생성 단계, 부동산 매매거래를 보증하는 단계, 계약서 작성 및 서명에 대한 시뮬레이션과 디지털 인증서를 통한 확인 단계, 부동산 매매거래에 관한 블록 생성 및 생성된 블록들의 최신블록 검증 단계, 분산원장 기록 및 업데이트와 타임스탬프 반영 단계 및 매매대금 지급과 등기이전 완료를 통한 취득세 납부 및 실거래 신고 단계로 구성된다.The real estate transaction process consists of the transaction creation stage for the product to be sold, the stage for guaranteeing the real estate transaction, the simulation stage for writing and signing a contract and the confirmation stage through digital certificates, the block creation stage for the real estate transaction and the verification stage for the latest block of the created blocks, the stage for recording and updating the distributed ledger and reflecting the timestamp, and the stage for paying the acquisition tax and reporting the actual transaction through payment of the purchase price and completion of the registration transfer.
나. 채널2(부동산 임대차거래)는 부동산 매매거래의 채널1과 다르게 공인중개사협회와 시·군·구청(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 총 2개의 기관이 참가한다.B. Channel 2 (real estate lease transactions) is different from
은행은 필요에 따라 연결될 수 있으며 계약단계는 채널1과 유사하게 진행된다. Banks can be connected as needed and the contracting phase proceeds similarly to
부동산 임대차거래는 채널 임대차 상품에 대한 트랜잭션 생성 단계, 부동산 임대차거래를 보증하는 단계, 임대차계약서 작성 및 서명에 대한 시뮬레이션과 디지털 인증서를 통한 확인 단계, 부동산 임대차거래에 관한 블록 생성 및 생성된 블록들의 최신블록 검증 단계, 분산원장 기록 및 업데이트와 타임스탬프 반영 단계 및 임대차 대금 지급과 필요에 따른 주소 이전 등의 단계로 구성된다.Real estate lease transactions consist of the following stages: transaction creation for channel lease products, guarantee of real estate lease transactions, simulation of writing and signing lease agreements and verification using digital certificates, block creation for real estate lease transactions and verification of the latest block of the created blocks, distributed ledger recording and update and timestamp reflection, and lease payment and address transfer as needed.
다. 상기한 바와 같이 채널1은 부동산 매매거래, 채널2는 부동산 임대차거래를 담당한다. 따라서 채널1은 부동산 매매거래에 필요한 4개의 기관(공인중개사협회, 대한법무사협회, 은행, 시·군·구청)이 참여한다. As mentioned above,
반면에 채널2에는 부동산 임대차거래에 필요한 2개의 기관(공인중개사협회, 시·군·구청)만이 참여한다. On the other hand, only two organizations necessary for real estate rental transactions (Certified Real Estate Brokers Association and city/county/district office) participate in Channel 2.
거래 단계는 블록체인 도입으로 인해 전부 전산상으로 이루어진다. The transaction process is entirely computerized due to the introduction of blockchain.
트랜잭션 생성 단계, 거래보증 단계, 계약서 시뮬레이션 및 인증서 확인 단계, 블록 생성 및 최신블록 검증 단계, 분산원장 기록 및 타임스탬프 반영 단계까지는 채널1과 채널2 모두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The transaction creation stage, transaction guarantee stage, contract simulation and certificate verification stage, block creation and latest block verification stage, and distributed ledger recording and timestamp reflection stage are performed identically on both
이후 채널1은 매매대금 지급 및 등기이전 단계 및 취득세 납부 및 실거래 신고단계를 포함한다. Afterwards,
반대로 채널2는 임대차대금 지급 및 주소이전 단계를 포함하며, 모든 과정에서 채널1과 채널2에 참여한 기관이 협력하여 모든 부동산 매매거래 및 임대차거래가 이루어진다.Conversely, Channel 2 includes the stages of rent payment and address change, and all real estate sales and rental transactions are carried out through cooperation between institutions participating in
라. 사용자는 분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보증(peer) 네트워크에 설치된 체인코드를 실행할 수 있다, 체인코드는 크게 두 종류의 함수인 읽기(query)와 쓰기(write/update)로 구분할 수 있다.A. Users can execute chaincode installed on the peer network through distributed applications. Chaincode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wo types of functions: read (query) and write (write/update).
체인코드(Chaincode)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며, 스마트 컨트랙트라는 용어를 하이퍼레저 패브릭에서는 체인코드(Chaincode)라는 용어로 사용하고 전용 컨테이너에서 실행된다.Chaincode is a program for implementing smart contracts. In Hyperledger Fabric, the term smart contract is used as chaincode and is executed in a dedicated container.
트랜잭션의 요청에 따라 실행되는 체인코드는 스테이트 DB를 읽고 쓰기나 과거의 기록된 내역을 조회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레벨에서 원장에 접근하는 일반적인 체인코드와는 달리 시스템 레벨에서 다음과 같은 체인코드(System chaincode)가 사용된다. Chaincodes that are executed upon request of a transaction can read and write the state DB or query past recorded history, and unlike general chaincodes that access the ledger at the application level, the following chaincodes (system chaincodes) are used at the system level.
- 블록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올 때 사용되는 QSCC(Query System ChainCode).- QSCC (Query System ChainCode) used when reading data stored in a block.
- 보증정책을 담당하는 ESCC(Endorsement System ChainCode).- ESCC (Endorsement System ChainCode) responsible for the guarantee policy.
- 블록을 검증할 때 사용하는 VSCC(Validation System ChainCode).- VSCC (Validation System ChainCode) used when verifying blocks.
- 채널을 설정할 때 사용하는 CSCC(Configuration System ChainCode).- CSCC (Configuration System ChainCode) used when setting up a channel.
- 체인코드 설치부터 적용까지 수행하는 LSCC(Lifecycle System ChainCode).- LSCC (Lifecycle System ChainCode) that performs everything from chaincode installation to application.
도 5는 peer에 설치된 시스템 체인코드 실행예시를 나타낸다.Figure 5 shows an example of executing a system chaincode installed on a peer.
이중에서 CSCC, LSCC, QSCC는 CLI 명령어로 사용자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ESCC, VSCC는 트랜잭션의 보증을 담당하는 Endorsing peer와 블록의 검증을 담당하는 Committing peer에 의해 실행된다.Among them, CSCC, LSCC, and QSCC can be executed by users as CLI commands, and ESCC and VSCC are executed by the Endorsing peer, which is responsible for guaranteeing transactions, and the Committing peer, which is responsible for verifying blocks.
가. Peer : 하이퍼레저 패브릭 블록체인의 조직(Organization) 내의 노드(Node)를 나타내는 단위이고, Endorser(보증인)과 Committer의 역할을 하며, 체인코드, world state 데이터베이스(DB), 블록체인을 가지고 있다. A. Peer: A unit representing a node within the organization of a Hyperledger Fabric blockchain, acting as an Endorser and Committer, and having a chain code, world state database (DB), and blockchain.
Peer 종류는 보증인 역할의 Endorser Peer, 검증인 역할의 Committer Peer, 오더러로부터 받은 블록을 조직 내 공유시키는 대표 Leader Peer, 조직 간의 피어들에 대한 정보교환 역할을 하는 Anchor peer가 있는데 역할을 중복할 수도 있고, 성능과 속도 측면을 고려해서 한 가지 역할만 하는 Peer를 둘 수도 있다.There are different types of peers, such as Endorser Peer, which acts as a guarantor, Committer Peer, which acts as a validator, Leader Peer, which shares blocks received from the orderer within the organization, and Anchor Peer, which acts as an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peers between organizations. The roles can overlap, and depending on performance and speed, there can be a peer that plays only one role.
나. 분산원장 기술과 원장(Ledger) : 동일한 정보(원장)을 참가자끼리 공유하게 하는 기술과 원장을 분산원장 기술이라 하며, 원장보관은 world state DB와 Blockchain으로 한다.B.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and ledger: The technology and ledger that allows participants to share the same information (ledger) is called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and the ledger is stored using the world state DB and Blockchain.
다. 월드 스테이트 DB(World State DB) : 트랜잭션을 실행한 결과의 현재 값을 관리하는 데이터 저장소이다. 기본적으로 Key-value 저장 방식을 사용하는 Level DB를 사용하지만 JSON 포맷의 저장 방식을 사용하는 Apache의 Couch DB를 이용하기도 한다.D. World State DB: This is a data storage that manages the current value of the result of executing a transaction. Basically, it uses Level DB, which uses a key-value storage method, but it also uses Apache's Couch DB, which uses a JSON format storage method.
라. Peer는 World state DB에 update하기 전 트랜잭션과 버젼(version)값을 비교하는 작업을 하는데, 트랜잭션의 버전 값과 world state DB의 버전 값이 같아야만 해당 트랜잭션의 내용이 update 된다.A. Peer compares the transaction and version value before updating the world state DB. The content of the transaction is updated only when the transaction's version value and the world state DB's version value are the same.
마. 하이퍼레저 패브릭의 블록(block)은 일정시간 동안 또는 정해진 용량만큼의 발생한 트랜잭션이 하나의 블록이 되고, 이것이 합의 과정을 거친 후 암호학적 해시(Hash) 방법을 통해 생성된 순서로 연결되어 저장되는 데이터를 블록체인이라고 한다. 도 6은 하이퍼레저 패브릭 블록의 구조도이다.Ma. A block in Hyperledger Fabric is a block in which transactions that have occurred ove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a certain amount of space are connected in the order generated through a cryptographic hash method after going through a consensus process and stored as data called blockchain. Figure 6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Hyperledger Fabric block.
하이퍼레저 패브릭의 블록체인도 다른 일반 블록체인과 비슷한 구조이지만 차이점은 체인코드(Chaincode)를 실행할 때 world state DB에 저장된 Read/Write set 이력을 블록체인 내에 저장한다는 점이다. 그래서 체인코드를 이용해서 DB에 저장된 과거 기록의 이력을 블록체인에서 조회해 볼 수 있다. 블록체인은 여러 블록의 연결로 이루어지며, 그중 1번 Block의 구조를 보면 도 6, [표 3]과 같이 Header, Date, Metadate 필드로 구성되어 있다. Hyperledger Fabric's blockchain has a similar structure to other general blockchains, but the difference is that when executing chaincode, the Read/Write set history stored in the world state DB is stored in the blockchain. Therefore, the history of past records stored in the DB can be searched in the blockchain using chaincode. Blockchain is made up of several blocks connected, and if you look at the structure of
바. PKI(Public Key Infrastructure)와 Identity : 하이퍼레저 패브릭에는 있는 peer, orderer, client 등 여러 종류의 네트워크 노드들은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기반의 디지털 인증서를 이용하여 서로의 신원을 확인한다.B. PKI (Public Key Infrastructure) and Identity: In Hyperledger Fabric, various types of network nodes such as peers, orderers, and clients use digital certificates based on PKI (Public Key Infrastructure) to verify each other's identity.
CA(Certificate Authority)라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PKI는 디지털 인증서를 안전하게 제공, 생성, 관리하는 기술이다.PKI, managed by a network node called CA (Certificate Authority), is a technology that securely provides, creates, and manages digital certificates.
PKI의 구성요소로 디지털 인증서, 공개키/비밀키, CA, CRL(Certificate Revocation Authority)이 있다. 디지털 인증서에 대하여, PKI는 국제 전기통신 표준화부문 ITU-T81)에서 정의한 디지털 인증서 생성 관련 국제 표준인 X.50982 디지털 인증서를 사용하는데, 전 세계 네트워크 노드들은 세계적으로 약속된 X.509 국제 표준을 방식으로 디지털 ID를 생성하여 서로의 신원을 증명할 수 있으며, 하이퍼레저 패브릭뿐만 아니라 현재 인터넷의 많은 분야에서 신원 확인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디지털 신원 증명 방식이다.The components of PKI include digital certificates, public/private keys, CA, and CRL (Certificate Revocation Authority). For digital certificates, PKI uses X.50982 digital certificates, an international standard for digital certificate creation defined by th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T81). Network nodes around the world can create digital IDs using the globally agreed X.509 international standard to prove each other's identities. It is a digital identity verification method widely used for identity verification in many fields of the Internet, not just in Hyperledger Fabric.
사. 공개키와 비밀키 : 통신에서 중요한 무결성은 데이터가 위조 또는 변조되지 않음을 보증하는 것으로, 신원 인증과 데이터 암호화가 무결성을 입증하는데, 공개키(Public Key)와 비밀키(Private Key)를 사용하여 무결성을 증명할 수 있다. 비밀키로 암호화를 하면 신원 인증을 할 수 있고, 공개키로 암호화하면 관련자에게만 데이터를 공개할 수 있다.4. Public Key and Private Key: Integrity, which is important in communication, guarantees that data is not falsified or modified, and identity authentication and data encryption prove integrity. Integrity can be proven using public keys and private keys. Encryption with a private key can be used for identity authentication, and encryption with a public key can be used to disclose data only to relevant parties.
아. CA(Certificate Authority) : 해커의 중간자 공격(MITM)을 방지하기 위해 인증 노드인 CA(Certificate Authority)를 사용하며, 하이퍼레저 패브릭에서 Fabric-CA가 CA 역할을 한다. CA에 사용자 A가 자신의 공개키를 등록한 후 다른 사용자 B가 사용자 A의 공개키가 필요할 때 사용자 A의 공개키를 CA에 요청하면 CA는 암호화 기법으로 안전하게 사용자 A의 공개키를 사용자 B에게 전달한다. 한국정보보호진흥원에서 CA를 운영하며, 디지털 인증서 생성 및 발행과 공개키 등록 시 본인인증 등의 업무를 하고 있다.Ah. CA(Certificate Authority): To prevent man-in-the-middle attacks (MITM) by hackers, a CA(Certificate Authority) is used as an authentication node, and Fabric-CA plays the role of CA in Hyperledger Fabric. When user A registers his/her public key in CA and another user B needs user A's public key, he/she requests user A's public key from CA, and CA securely transfers user A's public key to user B using encryption techniques.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operates CA, and performs tasks such as creating and issuing digital certificates and authenticating users when registering public keys.
자. CRL(Certificate Revocation Lists) : CRL은 폐기된 인증서에 대한 목록이며, CA가 폐기된 인증서를 CRL로 관리하고 있다.CRL (Certificate Revocation Lists): CRL is a list of revoked certificates, and CA manages revoked certificates using CRL.
차. MSP(Membership Service Provider) : MSP는 peer, orderer, Fabric-CA, Admin 등의 역할과 소속, 권한 등 하이퍼레저 패브릭 멤버쉽을 관리한다.Tea. MSP(Membership Service Provider): MSP manages Hyperledger Fabric membership, including roles, affiliations, and permissions, such as peer, orderer, Fabric-CA, and Admin.
MSP는 노드의 역할을 부여할 때 사용하는 local MSP와 채널 구성원들의 대한 멤버쉽 정의와 권한을 부여할 때 사용하는 channel MSP로 구분된다.MSP is divided into local MSP, which is used when assigning node roles, and channel MSP, which is used when defining membership and granting authority to channel members.
하이퍼레저 패브릭의 모든 네트워크 노드는 하나 이상의 local MSP가 정의되어야 하고, local MSP를 통해 어떤 노드가 client, peer 또는 order인지 정의되고, 그리고 client가 Admin인지 일반 유저인지 등의 노드별 권한도 정의된다.Every network node in Hyperledger Fabric must have at least one local MSP defined, which defines whether a node is a client, peer, or order, and also defines the permissions for each node, such as whether the client is an Admin or a general user.
각자의 local MSP를 이용해서 채널에 참여한 구성원들은 하나의 channel MSP를 생성하며, 어떤 조직에서 채널에 참여하고자 할 때 channel MSP를 참고하여 채널 구성원들은 보증 또는 거절을 하게 된다. 그리고 채널 구성원들의 역할과 권한도 channel MSP에 따라서 부여 받게 된다.Members who participate in a channel using their own local MSP create a channel MSP, and when an organization wants to participate in a channel, channel members refer to the channel MSP to guarantee or reject it. In addition, the roles and authority of channel members are granted according to the channel MSP.
MSP는 9가지 종류의 인정서로 구성돤다. 각 조직의 사용자는 인증서를 조직의 CA를 통해 생성하고, peer를 통해서 조직이 속한 채널에 체인코드를 설치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조직별로 MSP를 만들 수 있고, MSP 및 CA는 조직 내에서 중복 구성이 가능하다.MSP consists of 9 types of certificates. Users of each organization can generate certificates through the organization's CA, and install or run chaincode on the channel to which the organization belongs through peers. In addition, MSPs can be created for each organization, and MSPs and CAs can be configured redundantly within the organization.
차. 오더러(Orderer) : 오더러는 분산 메시지 시스템(Kafka, Raft 등)을 이용해 하이퍼레저 패브릭 네트워크의 모든 트랜잭션을 정렬한 후 최신블록을 생성한다. 그 과정은 보증 피어(Endorsing Peer)가 Chaincode를 실행하고 Transaction의 보증여부를 판단하여 오더러에게 보내면 오더러는 수신되는 순서대로 단순 정렬작업을 한 블록을 만든다. 이렇게 만든 최신블록을 다시 커미터 피어(Committer Peer)에게 보내면 받은 각 조직의 Committer Peer는 블록을 검증한 후 문제가 없을 때 자신의 로컬 저장소의 블록체인과 World state DB에 최신블록을 추가하고 업데이트한다.Tea. Orderer: The orderer uses a distributed messaging system (Kafka, Raft, etc.) to sort all transactions in the Hyperledger Fabric network and then generates the latest block. The process is that the endorsing peer executes the chaincode, determines whether the transaction is endorsed, and sends it to the orderer. The orderer then creates a block that simply sorts the blocks in the order they are received. The latest block created in this way is then sent to the committer peer. The committer peer of each organization that receives it verifies the block, and if there are no problems, it adds and updates the latest block to the blockchain and world state DB of its local storage.
타. 조직(Organization) : 조직은 하이퍼레저 패브릭 네트워크에서 이해관계가 맞는 다수의 기관이나 기업 등이 협의하여 참여하는 단위이고, Transaction 보증과 Block에 대한 검증을 하는 각 Peer와 최신 Block을 생성하는 Orderer는 조직에 소속한다.TA. Organization: An organization is a unit in which multiple institutions or companies with similar interests participate through consultation in the Hyperledger Fabric network. Each peer that performs transaction guarantee and block verification and the orderer that creates the latest block belong to the organization.
하. 채널(Channel) : 하나의 Network 내에 독립된 여러 채널이 존재할 수 있고, 각 채널마다 채널에 참여한 구성원만이 접근할 수 있는 동일한 분산원장(Blockchain과 World state DB)이 하나씩 존재한다. 조직의 일부분도 채널에의 참가와 구성이 가능하고, 채널을 통해서만이 Peer 간의 통신이 가능하기에 데이터의 기밀성도 제공된다.A. Channel: There can be multiple independent channels within a single network, and each channel has an identical distributed ledger (Blockchain and World state DB) that only the member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channel can access. Part of the organization can also participate in and configure the channel, and since communication between peers is only possible through the channel, data confidentiality is also provided.
모델시스템은 스마트 컨트랙트가 가능한 블록체인 중에서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Ethereum)같은 암호통화를 사용하지 않고도 전국의 많은 업무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는 하이퍼레저 패브릭(Hyperledger Fabric)을 이용한다.The model system uses Hyperledger Fabric, a blockchain that supports smart contracts and can simultaneously execute many tasks across the country without using cryptocurrencies such as Bitcoin or Ethereum.
이더리움은 각 트랜잭션 처리마다 처리비용으로 가스(gas)를 지불해야 하며 수수료를 지불하지 않으면 작업 진행이 중지되지만, 하이퍼레저 패브릭은 채굴이 없어서 수수료가 필요 없고 허가된 참가자만 관여하고 작업도 각각 다르게 할 수 있어서 경제적이고 책임문제도 확실히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하이퍼레저 패브릭 방식을 사용한다.Ethereum requires payment of gas as a processing fee for each transaction, and if the fee is not paid, the work progress is stopped, but Hyperledger Fabric does not require fees because there is no mining, and only authorized participants can participate and each task can be performed differently, so it is economical and the responsibility issue can be clearly resolved. For this reason, the Hyperledger Fabric method i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하이퍼레저 패브릭은 Chaincode(스마트 컨트랙트의 기능)의 작동으로 블록체인(Blockchain)과 데이터베이스(World state DB)에 거래과정과 결과가 자동 저장되어 채무불이행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거래 후 원인무효나 취소사유 등으로 거래를 해제(해지) 또는 철회하는 문제가 있을 때 하이퍼레저 패브릭은 거래과정을 기록하는 블록체인은 비가역성의 성질로 변경할 수 없지만 결과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는 변경할 수 있어서 거래 후의 문제를 유연하게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더리움은 블록체인의 비가역성 성질 때문에 변경이 불가능하고 하드포크 등 변칙적인 방법이 있지만 어려운 일이다.Hyperledger Fabric automatically saves the transaction process and results in the blockchain and database (World state DB) by operating Chaincode (a function of smart contracts), so there is no problem of default, and when there is a problem of canceling (terminating) or withdrawing the transaction due to invalidity or cancellation after the transaction, Hyperledger Fabric can flexibly solve the problem after the transaction because the blockchain that records the transaction process cannot be changed due to the irreversible nature, but the database that stores the results can be changed. However, Ethereum cannot be changed due to the irreversible nature of the blockchain, and it is difficult although there are irregular methods such as hard forks.
매도자 매수자가 중개법인 또는 중개협회의 각 지역 중개사에게 매매 또는 임대차를 의뢰하여 서로간의 협의 후 계약조건에 동의하면, 계약날짜에 매도인과 매수인 또는 임대인과 임차인이 PC나 모바일 앱의 어플리케이션 DApp을 거쳐 중개사 Peer에게 연결되고, 블록체인 모델시스템에 의해서 계약이 진행되며, 매매의 경우 실행 조건이 이루어졌을 때 등기까지 one-stop으로 종결되고, 도 4와 같이 취·등록세 납부와 부동산거래 실거래 신고까지 동시에 처리된다.When a seller or buyer requests a sale or lease to a brokerage corporation or a local brokerage of a brokerage association and agrees to the contract terms after mutual consultation, the seller and buyer or the lessor and lessee are connected to the brokerage peer through the PC or mobile app application DApp on the contract date, and the contract is processed by the blockchain model system. In the case of a sale, when the execution conditions are met, the registration is concluded in one-stop, and the payment of acquisition and registration tax and the actual real estate transaction report are processed at the same time, as shown in Figure 4.
<실시예 1><Example 1>
블록체인 기반의 부동산거래 모델시스템은 2개의 채널로 구성된다.The blockchain-based real estate transaction model system consists of two channels.
채널1은 매매를 위한 채널이고, 채널2는 임대차를 위한 채널이다.
채널1 모델은 매매거래를 위해 중개법인(협회), 은행, 법무사협회(등기소), 시·군·구청(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의 4개 조직(Organization)이 컨소시엄(Consortium)으로 구성되고, 매매용도의 채널1로 이루어지며, 부동산 매매거래의 처리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부동산 매매의 트랜잭션 생성 단계(1) Transaction creation stage for real estate transactions
부동산거래 모델시스템의 조직 중 중개법인 또는 중개협회 조직은 전국 각 지역의 중개법인 또는 중개협회 내의 고객으로부터 의뢰를 받은 부동산 중개사무소가 각각 보증(Peer) 노드가 된다.Among the organizations of the real estate transaction model system, the real estate brokerage corporation or brokerage association organization becomes a guarantee (peer) node for each real estate brokerage office that receives a request from a customer within the brokerage corporation or brokerage association in each region of the country.
매도자와 매수자는 각자 선택한 중개사업자의 도움으로 부동산 중개법인 또는 협회에서 설치해 놓은 중개 어플리케이션(DApp)에 매도와 매수를 요청을 하고, 요청받은 어플리케이션(DApp)에서는 CA(Certificate Authority)를 통해 국제 ITU-T 표준인 X.509를 이용해 매도자와 매수자의 디지털 인정서를 생성하고 거래내용의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중개법인(협회)의 보증(Peer)에게 보낸다.Sellers and buyers, with the help of their chosen brokers, request sales and purchases to the brokerage application (DApp) installed by the real estate brokerage corporation or association. The requested application (DApp) uses the international ITU-T standard X.509 through the CA (Certificate Authority) to create digital certificates of the seller and buyer, create a transaction of the transaction details, and send it to the guarantor (peer) of the brokerage corporation (association).
(2) 부동산 매매거래의 보증 단계(2) Guarantee stage of real estate transaction
중개법인(협회) 소속의 각 지역 해당 매도자와 매수자의 중개부동산 Peer는 보증피어(Endorsing Peer)가 되어서, 매도인과 매수인 MSP의 유효여부와 분산원장을 update할 권한이 있는지 여부, 그리고 이중 지불 방지를 위해 동일한 거래가 있었는지 트랜잭션 버전을 확인한다.Each regional real estate brokerage peer belonging to the brokerage corporation (association) becomes an endorsing peer and checks whether the seller and buyer MSP are valid, whether they have the authority to update the distributed ledger, and whether there was an identical transaction version to prevent double spending.
계약내용의 시뮬레이션 결과 값으로 생성된 계약서(Read/Write set)를 확인하여 트랜잭션의 보증여부를 결정한다. 이런 과정을 거쳐 이상이 없으면 보증 피어 중개사는 계약서의 Read/Write set와 중개사 자신의 Identity로 서명한 디지털 인증서를 매도자와 매수자의 DApp에 전송한다.The contract (Read/Write set) generated as the simulation result value of the contract content is checked to determine whether the transaction is guaranteed. If there is no problem through this process, the guarantee peer broker sends the Read/Write set of the contract and the digital certificate signed by the broker's own identity to the seller and buyer DApps.
계약서(Read/Write set), 신분증, 사진, 지문 등 이미지의 선명도 전체적인 샤프닝 및 배경을 위하여 일실시예로, 아래와 같은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overall sharpening and background clarity of images such as contracts (Read/Write set), ID cards, photos, fingerprints, etc., it is recommended to use the following filters as an example.
<필터><filter>
ASHARP(0.44,8,0,false)ASHARP(0.44,8,0,false)
FilterRangeEX(0,3884,3903,37380,"SORA_SA(L=4.2,F=12,W=1,HQBF=false,SS=1.01)")FilterRangeEX(0,3884,3903,37380,"SORA_SA(L=4.2,F=12,W=1,HQBF=false,SS=1.01)")
→ L. 너무 크게 줄 경우 라인에 계단 및 헤일로와, 라인 어긋남이 생긴다(안정값 0~3, 소스에 따라 5도 가능).→ L. If it is too large, steps and halos will appear on the line, and the line will be misaligned (stable value 0~3, 5 is possible depending on the source).
→ F. L 값에 대해 블락킹을 해준다. 0이면 L 효과가 최대치이고, 그 뒤로 1부터 16까지 올라갈수록 L 효과 감소가 약해진다. 즉, 16에 가까울수록 L 효과가 극대화된다. 전체적 질감 샤프닝이 상승한다.→ Blocking is applied to the F. L value. When it is 0, the L effect is maximum, and as it goes up from 1 to 16, the reduction in the L effect becomes weaker. In other words, the closer it is to 16, the more the L effect is maximized. The overall texture sharpening increases.
만약 샤프닝 극대화를 위해 0이나 14 이상을 하면 상당한 찌꺼기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으므로 유의한다. 8 이하를 주게 되면 블러가 발생한다. 버덥과 연동해놓은 ASHARP(AVS) 필터로 프리뷰잉하는 것이 좋다(추천값 8~12 / 소스에 따라 14 가능함).→ SS는 해상도 x의 ss값이다. SS값이 크면 클수록 해당 필터의 세기는 떨어진다. SS 작으면 커진다(추천값 1.01).Be careful because if you set it to 0 or 14 or higher to maximize sharpening, it can cause side effects such as significant residue. If you set it to 8 or lower, blur occurs. It is recommended to preview with the ASHARP (AVS) filter linked to the buzzer (recommended value 8~12 / 14 is possible depending on the source). → SS is the ss value of the resolution x. The larger the SS value, the lower the strength of the corresponding filter. It increases when SS is small (recommended value 1.01).
(3) 매매계약서 시뮬레이션과 디지털 인증서 확인 단계(3) Sales contract simulation and digital certificate verification steps
매도자와 매수자는 분산 어플리케이션(DApp)을 통해 보증피어(Endosing Peer)인 중개사로부터 계약서, 시뮬레이션의 결과로 작성된 계약서(Read/Write set)를 전달받아 내용을 검토하고, 해당 중개사의 디지털 인증서 유무도 확인하고, 또한 각 중개사의 도움으로 매도자와 매수자가 전자서명을 한 뒤에 오더러(Orderer)에게 전달해서 블록을 생성하게 한다.The seller and buyer receive a contract and a contract (Read/Write set) created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from an endorsing peer (an intermediary) through a decentralized application (DApp), review the contents, check whether the intermediary has a digital certificate, and with the help of each intermediary, the seller and buyer electronically sign the contract and then send it to the orderer to create a block.
(4) 부동산 매매거래에 관한 블록 생성 단계(4) Block creation stage for real estate transaction
부동산 거래 계약내용에 관한 Read/Write set와 거래 당사자의 디지털 인증서, 보증피어인 중개사의 디지털 인증서가 담긴 트랜잭션을 수신한 오더러(Orderer)는 최신 블록을 만든다.The orderer, who receives a transaction containing a Read/Write set of the real estate transaction contract, digital certificates of the transaction parties, and digital certificates of the broker who is the guarantor peer, creates the latest block.
오더러는 트랜잭션의 내용은 보지 않고 타임스탬프(Timestamp) 필드 등을 확인하여 블록에 포함될 트랜잭션을 단순히 순서대로 정렬하여 부동산 거래의 블록을 만든다. 이렇게 만든 최신블록을 오더러는 중개법인(협회), 법무사협회(등기소), 은행, 시/군/구청의 Peer에게 보내 검증하게 한다.The orderer does not look at the contents of the transaction, but simply sorts the transactions to be included in the block in order by checking the timestamp field, etc., to create a block of real estate transactions. The orderer then sends the latest block created in this way to peers such as brokerage firms (associations), law associations (registry offices), banks, and city/county/district offices for verification.
(5) 부동산 매매거래의 최신블록 검증 단계(5) Latest block verification stage for real estate transaction
오더러로부터 최신블록을 전달받은 각 조직의 커미터 피어(committer peer)는 VSCC(Validation System ChainCode)를 실행하여 부동산거래의 최신블록에 포함된 각각의 트랜잭션마다 보증피어(Endorsing Peer)의 디지털 인증서가 보증규정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또 최신블록에 포함된 각 트랜잭션마다 계약서의 내용(Read/Write set 결과 값)을 확인한다.The committer peer of each organization that receives the latest block from the orderer executes VSCC (Validation System ChainCode) to check whether the digital certificate of the endorsing peer for each transaction included in the latest block of the real estate transaction complies with the guarantee regulations, and also checks the contents of the contract (Read/Write set result value) for each transaction included in the latest block.
Read set에 포함된 key 값이 사용될 때의 World State DB의 블록버전과 현재 블록체인의 버전이 일치하는지 확인한다.Checks whether the block version of the World State DB and the current blockchain version match when the key value included in the Read set is used.
이러한 것을 확인한 후 만약 부적합(Invalid) 판정을 받으면 최신블록에는 부적합한 트랜잭션의 내용이 반영되지 않는다.After verifying this, if it is judged as invalid, the contents of the invalid transaction will not be reflected in the latest block.
검증피어(Committing Peer)는 이런 검사를 마친 후 트랜잭션의 검증여부에 따라서 각 트랜잭션의 유효(Valid), 또는 무효(Invalid) 태그(tag)를 표시하는 작업을 한다.After completing this check, the committing peer marks each transaction with a valid or invalid tag, depending on whether the transaction has been verified.
(6)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 기록과 업데이트 단계(6) Distributed Ledger Recording and Update Step
부동산 매매거래의 최신블록이 검증단계까지 통과하면 해당지역의 지역 중개법인(협회), 은행, 법무사협회(등기소), 시/군/구청의 Peer는 부동산거래의 최신블록을 자신의 로컬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블록체인에 추가하여 계약과정을 저장하며 비가역성의 성질 때문에 블록체인은 변경 불가이고, 계약의 결과는 DB에 기록 저장하기 때문에 수정 변경가능하다. 검증과정에서 유효한 태그를 가진 트랜잭션의 내용만 데이터베이스(World State DB)에 결과를 업데이트한다.When the latest block of a real estate transaction passes the verification stage, the local real estate brokerage firm (association), bank, law association (registry office), and city/county/district office peers in the area add the latest block of the real estate transaction to the blockchain stored in their local storage and save the contract process. Because of the irreversible nature, the blockchain cannot be changed, but the result of the contract is recorded and saved in the DB, so it can be modified and changed. During the verification process, only the contents of transactions with valid tags are updated as a result in the database (World State DB).
블록체인은 모든 과정을 기록 보관하기 때문에 무효태그(Invalid tag)의 트랜잭션 내용도 블록체인에는 저장되지만, DB에는 유효한 트랜잭션의 결과만 저장된다.Since the blockchain records all processes, transaction contents of invalid tags are also stored in the blockchain, but only the results of valid transactions are stored in the DB.
(7) 매매대금 지급과 등기이전 완료 단계(7) Payment of purchase price and completion of registration transfer stage
최종적으로 중개법인(협회)와 법무사협회(등기소), 은행, 시/군/구청의 각 조직의 월드 스테이트 DB에 부동산 거래 트랜잭션이 최종적으로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등기소에 매도자의 소유권은 매수자에게 이전 기록되고, 매매대금도 매수자의 은행통장에서 매도자의 은행통장으로 입금된 것과 시/군/구청에 실거래 신고가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Finally, when the real estate transaction is finally updated in the World State DB of each organization of the brokerage firm (association), the law association (registry office), the bank, and the city/county/district office, the seller's ownership is transferred to the buyer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urchase price has been deposited from the buyer's bank account to the seller's bank account and that the actual transaction has been reported to the city/county/district office.
(8) 부동산 매매거래가 수정 또는 해제되었을 경우(8) When a real estate transaction is modified or cancelled
계약이 완료된 계약 건에 대해 일부 내용을 수정할 필요가 있거나 또는 해제 사유가 발생하였을 때, 하이퍼레저 패브릭 방식에 기초한 본 모델시스템은 계약 과정만 기록하는 블록체인은 비가역성의 성질상 변경할 수 없지만, 결과를 기록 보관하는 World state DB는 변경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블록체인과 달리 계약내용 수정이나 계약해제 등의 결과를 변경할 수 있다.When it is necessary to modify some of the contents of a completed contract or a reason for termination occurs, this model system based on the Hyperledger Fabric method cannot change the blockchain that records only the contract process due to its irreversible nature, but the World state DB that records and stores the results can be changed, so unlike other blockchains, the results such as modification of the contract contents or termination of the contract can be changed.
중개법인(협회) 소속 관련 중개업자(Endorsing Peer)는 해제 또는 수정계약서를 작성하고 다시 DApp을 통해 매도자와 매수자의 서명을 거쳐 오더러(Orderer)에게 전달되어져 부동산 거래 해제 또는 수정의 블록을 만든다. 이렇게 만든 최신블록을 오더러는 중개법인(협회), 법무사협회(등기소), 은행, 시/군/구청의 Peer에게 보내 검증하게 한다.The relevant broker (Endorsing Peer) belonging to the brokerage corporation (association) writes a termination or modification contract, and then has the seller and buyer sign it through DApp and sends it to the orderer to create a block for the termination or modification of the real estate transaction. The orderer then sends the latest block created in this way to the peers of the brokerage corporation (association), the law association (registry office), the bank, and the city/county/district office for verification.
계약해제 또는 수정의 최신블록을 전달받은 각 조직의 커미터 피어(committer peer)는 VSCC(Validation System ChainCode)를 실행하여 부동산거래의 최신블록에 포함된 각각의 트랜잭션마다 보증피어(Endorsing Peer)의 디지털 인증서가 보증규정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또 최신블록에 포함된 각 트랜잭션마다 해제 또는 수정계약서의 내용(Read/Write set 결과 값)을 확인한다.The committer peer of each organization that receives the latest block of contract termination or modification executes VSCC (Validation System ChainCode) to check whether the digital certificate of the endorsing peer for each transaction included in the latest block of real estate transactions complies with the guarantee regulations, and also checks the contents of the termination or modification contract (Read/Write set result value) for each transaction included in the latest block.
부동산 매매 해제 또는 수정의 최신블록이 검증단계까지 통과하면 해당지역의 지역 중개법인(협회), 은행, 법무사협회(등기소), 시/군/구청의 커미터 피어(committer peer)는 부동산거래의 해제 또는 수정계약 최신블록을 자신의 로컬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블록체인에 해제 또는 수정계약 과정을 추가하여 저장하며, 검증과정에서 유효한 태그를 가진 해제 또는 수정계약 트랜잭션의 내용만 데이터베이스(World State DB)에 해제 또는 수정계약 결과를 업데이트한다.When the latest block of real estate transaction release or modification passes the verification stage, the local real estate brokerage (association), bank, law association (registry office), and city/county/district office's committer peers add the release or modification contract process to the blockchain stored in their local storage and save the latest block of the real estate transaction release or modification contract, and only the contents of the release or modification contract transaction with a valid tag in the verification process update the release or modification contract result in the database (World State DB).
<실시예 2><Example 2>
블록체인 기반의 부동산거래 모델시스템은 2개의 채널로 구성된다.The blockchain-based real estate transaction model system consists of two channels.
채널1은 매매를 위한 채널이고, 채널2는 임대차를 위한 채널이다.
임대차를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부동산거래 모델시스템은 중개법인(협회)과 시군/구청의 2개 조직(Organization)이 컨소시엄(Consortium)을 맺어 구성되고, 필요시 은행은 카우치 데이터베이스(Couch DB)를 통해 외부와 연결한다. The blockchain-based real estate transaction model system for rental is composed of a consortium of two organizations: a brokerage firm (association) and a city/county/district office, and when necessary, the bank connects to the outside world through the Couch DB.
임대차 용도의 채널2로 실행된다. 임대차거래의 처리 과정은 다음과 같다.It is executed as Channel 2 for rental purposes. The rental transaction processing process is as follows.
(1) 부동산 임대차 트랜잭션 생성 단계(1) Real estate lease transaction creation step
부동산거래 시스템의 조직 중 중개법인 또는 중개협회 조직은 전국 각 지역의 중개법인 또는 중개협회 내의 부동산 중개사무소가 각각 Peer 노드가 된다.Among the organizations of the real estate transaction system, the real estate brokerage corporation or brokerage association organization has real estate brokerage offices within each region of the country as peer nodes.
임대인과 임차인은 각자 선택한 전속 중개부동산의 도움으로 부동산중개법인 또는 협회에서 설치해 놓은 중개어플리케이션(DApp)에 임대와 임차를 요청을 하며, 요청 받은 어플리케이션(DApp)에서 CA(Certificate Authority)를 통해 국제 ITU-T표준인 X.509를 이용해 임대인과 임차인의 디지털 인정서를 생성하고, 임대차할 거래내용의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중개법인(협회)의 보증 Peer에게 보낸다.The landlord and tenant request a lease or rental to the brokerage application (DApp) installed by the real estate brokerage corporation or association with the help of the exclusive real estate brokerage of their choice, and the requested application (DApp) creates a digital certificate of the landlord and tenant using the international ITU-T standard X.509 through the CA (Certificate Authority), creates a transaction of the lease transaction details, and sends it to the guarantor peer of the brokerage corporation (association).
(2) 부동산 거래 보증 단계(2) Real estate transaction guarantee stage
중개법인(협회) 소속의 각 지역 해당의 임대인과 임차인의 중개부동산 Peer는 보증피어(Endorsing Peer)가 되어서, 매도인과 매수인 MSP의 유효여부와 분산원장을 update할 권한이 있는지 여부, 그리고 이중 지불방지를 위해 동일한 거래가 있었는지 트랜잭션 버전을 확인한다. 또한 계약내용의 시뮬레이션 결과 값으로 생성된 계약서안(Read/Write set)을 확인하여 트랜잭션의 보증여부를 결정한다. 이런 과정을 거쳐 이상이 없으면 보증피어 중개사는 계약서의 Read/Write set와 중개사 자신의 Identity로 서명한 디지털 인증서를 임대인과 임차인의 어플리케이션 DApp에 전송한다.계약서안(Read/Write set), 신분증, 사진, 지문 등 이미지의 선명도 전체적인 샤프닝 및 배경을 위하여 일실시예로, 아래와 같은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al estate peers of each region belonging to the brokerage corporation (association) become endorsing peers and check whether the seller and buyer MSPs are valid, whether they have the authority to update the distributed ledger, and whether there was an identical transaction to prevent double spending. In addition, the contract draft (Read/Write set) generated as the simulation result value of the contract content is checked to determine whether the transaction is guaranteed. If there is no problem through this process, the endorsing peer broker transmits the contract Read/Write set and the digital certificate signed with the broker's own Identity to the landlord and tenant application DApp. For the overall sharpening and background of the image such as the contract draft (Read/Write set), ID card, photo, fingerprint, etc., it is desirable to use the following filter as an example.
<필터><filter>
ASHARP(0.44,8,0,false)ASHARP(0.44,8,0,false)
FilterRangeEX(0,3884,3903,37380,"SORA_SA(L=4.2,F=12,W=1,HQBF=false,SS=1.01)")FilterRangeEX(0,3884,3903,37380,"SORA_SA(L=4.2,F=12,W=1,HQBF=false,SS=1.01)")
→ L. 너무 크게 줄 경우 라인에 계단 및 헤일로와, 라인 어긋남이 생긴다(안정값 0~3, 소스에 따라 5도 가능).→ L. If it is too large, steps and halos will appear on the line, and the line will be misaligned (stable value 0~3, 5 is possible depending on the source).
→ F. L 값에 대해 블락킹을 해준다. 0이면 L 효과가 최대치이고, 그 뒤로 1부터 16까지 올라갈수록 L 효과 감소가 약해진다. 즉, 16에 가까울수록 L 효과가 극대화된다. 전체적 질감 샤프닝이 상승한다.→ Blocking is applied to the F. L value. When it is 0, the L effect is maximum, and as it goes up from 1 to 16, the reduction in the L effect becomes weaker. In other words, the closer it is to 16, the more the L effect is maximized. The overall texture sharpening increases.
만약 샤프닝 극대화를 위해 0이나 14 이상을 하면 상당한 찌꺼기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으므로 유의한다. 8 이하를 주게 되면 블러가 발생한다. 버덥과 연동해 놓은 ASHARP(AVS) 필터로 프리뷰잉하는 것이 좋다(추천값 8~12 / 소스에 따라 14 가능함).If you set it to 0 or 14 or higher to maximize sharpening, be careful as it can cause significant side effects such as residue. If you set it to 8 or lower, blurring occurs. It is recommended to preview with the ASHARP (AVS) filter linked to the buzzer (recommended value: 8~12 / 14 is possible depending on the source).
→ SS는 해상도 x의 ss값이다. SS값이 크면 클수록 해당 필터의 세기는 떨어진다. SS 작으면 커진다(추천값 1.01).→ SS is the ss value of resolution x. The larger the SS value, the lower the strength of the filter. The smaller the SS, the greater it becomes (recommended value: 1.01).
(3) 임대차 계약서 시뮬레이션과 디지털 인증서 확인 단계(3) Lease contract simulation and digital certificate verification steps
임대인과 임차인의 분산 어플리케이션(DApp)은 보증피어(Endosing Peer)인 중개사로부터 시뮬레이션의 결과로 작성된 계약서(Read/Write set)를 전달 받아 내용을 검토하고, 해당 중개사의 디지털 인증서 유무도 확인하여 이상이 없고, 또한 각 중개사의 도움으로 임대인과 임차인의 전자서명을 받은 뒤에 오더러(Orderer)에게 전달해서 블록을 생성하게 한다.The decentralized applications (DApps) of the landlord and tenant receive the contract (Read/Write set) created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from the endorsing peer, the broker, and review the contents. They also check for the presence of the broker's digital certificate to ensure that there are no abnormalities. After receiving the electronic signatures of the landlord and tenant with the help of each broker, they send it to the orderer to create a block.
(4) 부동산 임대차 거래에 관한 블록 생성 단계(4) Block creation step for real estate lease transactions
부동산 임대차 거래 계약내용에 관한 Read/Write set와 거래 당사자의 디지털 인증서, 보증피어인 중개사의 디지털 인증서가 담긴 트랜잭션을 수신한 오더러(Orderer)는 최신 블록을 만든다. 이때 오더러는 트랜잭션의 내용은 보지 않고 타임스탬프(Timestamp) 필드 등을 확인하여 블록에 포함될 트랜잭션을 단순히 순서대로 정렬하여 부동산 거래의 블록을 만든다. 이렇게 만든 최신블록을 오더러는 중개법인(협회), 구.시.군의 커미터 Peer에게 보내 검증하게 한다.The orderer, which receives a transaction containing the Read/Write set of the real estate lease transaction contract, the digital certificates of the transaction parties, and the digital certificates of the brokerage firm as the guarantor peer, creates the latest block. At this time, the orderer does not look at the contents of the transaction, but simply sorts the transactions to be included in the block in order by checking the timestamp field, etc., to create a block of real estate transactions. The orderer sends the latest block created in this way to the brokerage firm (association) and the committer peer of the old city/county for verification.
(5) 부동산 거래의 최신블록 검증 단계(5) Latest block verification stage for real estate transactions
오더러(Orderer)로부터 최신블록을 전달받은 각 조직의 커미터 피어(committing peer)는 VSCC(Validation System ChainCode)를 실행하여 부동산거래의 최신블록에 포함된 각각의 트랜잭션마다 보증피어(Endorsing Peer)의 디지털 인증서가 보증규정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또 최신블록에 포함된 각 트랜잭션마다 임대차 계약서의 내용(Read/Write set 결과 값)을 확인한다.The committing peer of each organization that receives the latest block from the Orderer executes VSCC (Validation System ChainCode) to check whether the digital certificate of the Endorsing Peer for each transaction included in the latest block of the real estate transaction complies with the guarantee regulations, and also checks the contents of the lease agreement (Read/Write set result value) for each transaction included in the latest block.
Read set에 포함된 key값이 사용될 때의 World State DB의 블록버전과 현재 블록체인의 버전이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이러한 것을 확인한 후 만약 부적합(Invalid) 판정을 받으면 최신블록에 부적합한 트랜잭션의 내용은 반영되지 않는다.Check if the block version of the World State DB and the current blockchain version match when the key value included in the Read set is used. After checking this, if it is judged as invalid, the contents of the invalid transaction will not be reflected in the latest block.
커미터 피어(Committing Peer)는 이런 검사를 마친 후 트랜잭션의 검증여부에 따라서 각 트랜잭션의 유효(Valid), 또는 무효(Invalid) 태그(tag)를 표시하는 작업을 한다.After completing this check, the committing peer marks each transaction with a valid or invalid tag, depending on whether the transaction has been verified.
(6) 분산원장에 기록과 업데이트 단계(6) Recording and updating steps in the distributed ledger
부동산 거래의 최신블록이 검증단계까지 통과하면 해당지역의 지역중개법인(협회), 시/군/구청의 Peer는 부동산거래의 최신블록을 자신의 로컬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블록체인에 추가하여 저장하며, 검증과정에서 유효한 태그를 가진 트랜잭션의 내용만 데이터베이스(World State DB)에 업데이트 한다. 무효태그(Invalid tag)의 트랜잭션 내용은 블록체인에는 저장되지만, DB에는 저장되지 않는다.When the latest block of a real estate transaction passes the verification stage, the local real estate brokerage (association) and city/county/district office peers in the area add and store the latest block of the real estate transaction to the blockchain stored in their local storage, and only the contents of transactions with valid tags are updated in the database (World State DB) during the verification process. The transaction contents of invalid tags are stored in the blockchain, but not in the DB.
(7) 임대차 대금지급과 Key 이전 단계(7) Lease payment and key transfer stage
최종적으로 중개법인(협회)과 시/군/구청의 각 조직의 월드 스테이트 DB에 부동산 거래 트랜잭션이 최종적으로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임대차계약서에 시/군/구청의 확정일자가 기록되고, 임대차 대금도 외부연결 은행에서 입금이 확인되면 임대차 대상 부동산의 전자 Key가 자동적으로 임대인에게서부터 임차인에게 이전되어진다.Finally, when the real estate transaction is finally updated in the World State DB of the brokerage corporation (association) and each organization of the city/county/district office, the city/county/district office's confirmation date is recorded in the lease agreement, and when the lease payment is confirmed to have been deposited in an externally linked bank, the electronic key of the leased property is automatically transferred from the lessor to the lessee.
임대인은 계약약정 기간 동안 키를 사용할 수 없고, 임차인은 계약내용에 위반하는 일이 없으면 계약기간 동안 자유롭게 임대대상 부동산을 사용할 수 있다.The lessor cannot use the key during the contract period, and the lessee can freely use the leased property during the contract period as long as there is no violation of the terms of the contract.
(8) 부동산 임대차 거래가 수정 또는 해지되었을 경우(8) When a real estate lease transaction is modified or terminated
계약이 완료된 계약 건에 대해 일부 내용을 수정할 필요가 있거나 또는 해지 사유가 발생하였을 때, 하이퍼레저 패브릭 방식에 기초한 본 모델시스템은 계약 과정만 기록하는 블록체인은 비가역성의 성질 상 변경할 수 없지만, 결과를 기록 보관하는 World state DB는 변경 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블록체인과 달리 계약내용 수정이나 계약해지 등의 결과를 변경할 수 있다.When it is necessary to modify some of the contents of a completed contract or a reason for termination arises, this model system based on the Hyperledger Fabric method cannot change the blockchain that records only the contract process due to its irreversible nature, but the World state DB that records and stores the results can be changed, so unlike other blockchains, the results such as modification of the contract contents or termination of the contract can be changed.
중개법인(협회) 소속 관련 중개업자(Endorsing Peer)는 해지 또는 수정계약서를 작성하고 다시 DApp을 통해 매도자와 매수자의 서명을 거쳐 오더러(Orderer)에게 전달되어져 부동산 거래 해지 또는 수정 블록을 만든다. 이렇게 만든 최신블록을 오더러는 중개법인(협회), 시/군/구청의 Peer에게 보내 검증하게 한다.The relevant broker (Endorsing Peer) belonging to the brokerage corporation (association) writes a termination or modification contract, and then has the seller and buyer sign it through DApp and sends it to the orderer to create a real estate transaction termination or modification block. The orderer then sends the latest block created in this way to the brokerage corporation (association) and city/county/district office peers for verification.
계약해지 또는 수정의 최신블록을 전달받은 각 조직의 커미터 피어(committer peer)는 VSCC(Validation System ChainCode)를 실행하여 부동산거래의 최신블록에 포함된 각각의 트랜잭션마다 보증피어(Endorsing Peer)의 디지털 인증서가 보증규정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또 최신블록에 포함된 각 트랜잭션마다 해지 또는 수정계약서의 내용(Read/Write set 결과 값)을 확인한다.The committer peer of each organization that receives the latest block of contract termination or modification executes VSCC (Validation System ChainCode) to check whether the digital certificate of the endorsing peer for each transaction included in the latest block of real estate transactions complies with the guarantee regulations, and also checks the contents of the termination or modification contract (Read/Write set result value) for each transaction included in the latest block.
부동산 임대차 해지 또는 수정의 최신블록이 검증단계까지 통과하면 해당지역의 지역 중개법인(협회), 시/군/구청의 커미터 피어(committer peer)는 부동산거래의 해지 또는 수정계약 최신블록을 자신의 로컬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블록체인에 해지 또는 수정계약 과정을 추가하여 저장하며, 검증과정에서 유효한 태그를 가진 해지 또는 수정계약 트랜잭션의 내용만 데이터베이스(World State DB)에 해지 또는 수정계약 결과를 업데이트한다.When the latest block of real estate lease termination or modification passes the verification stage, the local real estate brokerage (association) or city/county/district office committer peer adds the termination or modification contract process to the blockchain stored in their local storage and stores the latest block of the real estate transaction termination or modification contract, and updates the termination or modification contract result in the database (World State DB) only for the contents of the termination or modification contract transaction with a valid tag during the verification process.
임대차 계약이 해지된 경우, DB에 부동산 거래 트랜잭션이 최종적으로 해지계약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임대차 계약서 상의 시/군/구청의 확정일자가 기록이 취소되고, 그리고 임대차 대금이 외부연결 은행에서 임차인에게 환금이 되고 임대차 대상 부동산의 전자 Key도 자동적으로 임차인에게서부터 임대인에게 이전되어져 임차인은 사용할 수 없다.When a lease agreement is terminated, once the real estate transaction in the DB is finally updated with the termination agreement, the date of confirmation by the city/county/district office on the lease agreement is canceled, the lease payment is refunded to the lessee from an external bank, and the electronic key of the leased property is automatically transferred from the lessee to the lessor, so the lessee cannot use it.
<실시예 3><Example 3>
도 7은 소프트웨어 및 도구 설치방법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시스템 구현에 을 위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Figure 7 shows a method for installing software and tools. Hereinafter, a method for implementing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모델시스템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로는 ① 버추얼박스와 베이그런트 설치 소프트웨어 : VirtualBox와 Vagrant 2.0, ② 리눅스 게스트 OS 우분투 설치 : Ubuntu 16.04.3 LTS, ③ 우분투에 설치할 도구 및 소프트웨어 : Docker, Python 2.7, GO, Node.js 로 구성된다.The software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model system consists of ① VirtualBox and Vagrant installation software: VirtualBox and Vagrant 2.0, ② Ubuntu Linux guest OS installation: Ubuntu 16.04.3 LTS, ③ Tools and software to be installed on Ubuntu: Docker, Python 2.7, GO, Node.js.
(1) 버추얼박스와 베이그런트 설치: 버추얼박스(Oracle VM VirtualBox)에 들어가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다. 버추얼박스는 다양한 게스트 OS를 가상 머신으로 사용할 수 있고 오라클에서 개발한 x86 가상화 소프트웨어이다.(1) Install VirtualBox and Vagrant: Go to VirtualBox (Oracle VM VirtualBox) and download and install. VirtualBox is an x86 virtualization software developed by Oracle that can use various guest OSs as virtual machines.
베이그런트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으며, 버추얼박스 등의 가상화 소프트웨어 및 구성 관리 도구를 다루기 쉽게 하는 도구이다.Vagrant can be downloaded and installed from the official website, and is a tool that makes it easier to handle virtualization software and configuration management tools such as VirtualBox.
우분투(Ubuntu) 설치: 우분투 공식 홈페이지에서 리눅스 게스트 OS인 우분투 16.04.3를 다운받아 설치한다.Install Ubuntu: Download and install Ubuntu 16.04.3, a Linux guest OS, from the official Ubuntu website.
(2) Docker 커뮤니티 에디션(CE)과 Docker Compose 설치 : 도커는 컨테이너 기반의 오픈소스 가상화 플랫폼이며, 도커 소프트웨어와 도커 컴포즈 도구로 실행되고, 본 모델시스템의 각종 구성 요소는 도커 사용을 전제로 해서 컨테이너 형태로 제공된다. 도커의 사용 중 ‘이미지’는 컨테이너 실행에 필요한 파일과 설정 값 등을 포함하고 있다. ‘컨테이너’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으로 하나의 프로세스를 말하며, ‘볼륨’은 컨테이너에 마운트해서 사용할 수 있는 디렉토리이고, ‘Docker-compose'는 컨테이너 간 실행 순서나 의존성을 관리하는 자동화 도구이다.(2) Docker Community Edition (CE) and Docker Compose Installation: Docker is an open source virtualization platform based on containers, and is executed with Docker software and the Docker Compose tool. Various components of this model system are provided in the form of containers assuming the use of Docker. When using Docker, the ‘image’ includes files and settings necessary for container execution. A ‘container’ refers to a single process as a running program, a ‘volume’ is a directory that can be mounted and used in a container, and ‘Docker-compose’ is an automation tool that manages the execution order and dependencies between containers.
(3) Node.js 설치 : Node.js는 하이퍼레저 패브릭 SDK에서 사용한다.(3) Node.js installation: Node.js is used in the Hyperledger Fabric SDK.
GO언어 설치 : 스마트계약(Chaincode)을 개발할 때 GO 언어를 사용하고, GO 공식 홈페이지에서 URL을 확인한 후 wget을 사용해 설치한다.Installing the GO language: When developing a smart contract (Chaincode), use the GO language. After checking the URL on the official GO homepage, install it using wget.
파이썬 2.7 설치.Install Python 2.7.
(4) 하이퍼레저 패브릭 설치의 실행할 파일들:(4) Files to run for Hyperledger Fabric installation:
도 8은 실행할 파일들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8 shows the files to be executed.
#generate.sh#generate.sh
-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들의 암호정보 디렉토리 생성- Create a directory of password information for components included in the network
- 네트워크 시작에 필요한 제네니스파일 및 채널, 앵커피어 트랜잭션 생성- Generate genesis file and channel, anchor peer transaction required to start the network
#start.sh#start.sh
패브릭 컨테이너 실행: CA, Orderer, Peer, couchdbRunning Fabric Containers: CA, Orderer, Peer, couchdb
채널생성, 채널조인Create channel, join channel
#stop.sh#stop.sh
teardown.shteardown.sh
실행중인 컨테이너 종료, 컨테이너들간 네트워크 종료, 새로 생성된 체인코드 이미지 삭제Terminate running containers, terminate network between containers, delete newly created chaincode image
(5) 모델시스템 구현(5) Model system implementation
(54.1) 리눅스 패키지 매니저(apt-get)를 이용하여 Docker 설치(54.1) Installing Docker using the Linux package manager (apt-get)
- sudo apt install docker.io- sudo apt install docker.io
- sudo apt install docker-compose - sudo apt install docker-compose
- sudo apt install software-properties-common - sudo apt install software-properties-common
- sudo usermod-aG docker $USER #현재 접속중인 사용자에게 권한주기- sudo usermod-aG docker $USER #Give permission to the currently logged in user
- rebooting하기- rebooting
- rebooting 후 docker version 수행- After rebooting, run docker version
도 9는 Docker 프로그램 설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9 shows an example of Docker program installation.
Curl, Node.js, Go 언어 설치Installing Curl, Node.js, and Go languages
(1) Curl 설치(1) Install Curl
- sudo apt-get install curl- sudo apt-get install curl
(2) Node.js 설치(2) Node.js installation
-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 build-es ential libssl-dev- sudo apt-get install build-es ential libssl-dev
- curl-sL ht ps:/ raw.githubusercontent.com/ reationix/nvm/v0.31.0/- curl-sL ht ps:/raw.githubusercontent.com/reationix/nvm/v0.31.0/
install.sh -o install_nvm.sh install.sh -o install_nvm.sh
- bash instal _nvm.sh- bash install _nvm.sh
- source ~/.profile- source ~/.profile
- nvm install v8.11.1- nvm install v8.11.1
(3) Go 언어 설치(3) Go language installation
- curl -O- curl -O
https://storage.googleapis.com/golang/go1.11.2.linux-amd64.tar.gz https://storage.googleapis.com/golang/go1.11.2.linux-amd64.tar.gz
- tar -xvf go1.11.2.linux-amd64.tar.gz- tar -xvf go1.11.2.linux-amd64.tar.gz
- sudo mv go /usr/local- sudo mv go /usr/local
- sudo ln -s /usr/local/go/bin/go /usr/local/bin/go- sudo ln -s /usr/local/go/bin/go /usr/local/bin/go
- gedit ~/.profile- gedit ~/.profile
export GOPATH=$HOME/goexport GOPATH=$HOME/go
export PATH=$PATH:/usr/local/go/bin:$GOPATH/bin export PATH=$PATH:/usr/local/go/bin:$GOPATH/bin
- source ~/.profile- source ~/.profile
(4) Hyperledger fabric 설치(4) Hyperledger fabric installation
하이퍼레저 패브릭은 패브릭 네트워크(Network), 체인코드(Chaincode, 스마트컨트랙트),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구성된다.Hyperledger Fabric consists of a fabric network, chaincode (smart contract), and application.
패브릭 이미지는 수행시킬 수 있는 패브릭 프로그램 docker images로 확인할 수 있고, 컨테이너는 수행중인 패브릭 구성요소를 docker ps로 확인할 수 있다.Fabric images can be checked with the executable fabric program docker images, and containers can be checked with the running fabric components docker ps.
(5) Docker 이미지 설치(5) Installing Docker image
<Run script를 포함한 virtual box 이미지><virtual box image including run script>
- Ubuntu 16.04 LTS- Ubuntu 16.04 LTS
- cURL, node.js, python, go-language, docker, docker-compose- cURL, node.js, python, go-language, docker, docker-compose
- Hyperledger v1.4- Hyperledger v1.4
- Image Name : ubuntu1604_fabric.ova- Image Name: ubuntu1604_fabric.ova
- ID: bstudent Passwd:1234- ID: bstudent Passwd:1234
(6) 클라이언트 설치와 네트워크 시작 : /startFabric.sh(6) Install client and start network: /startFabric.sh
#체인코드 개발#chaincode development
- Chaincode interface 구현- Chaincode interface implementation
- Init, Invoke- Init, Invoke
- 기타 구성 Function- Other configuration functions
#네트워크 실행 때 Script에 체인코드, 이름, 정책 등을 구성.#Configure chaincode, name, policy, etc. in the script when running the network.
or 실행 중인 네트워크의 CLI에 접속하여 배포.or connect to the CLI of a running network and deploy.
#CLI명령 or Web Interface로 네트워크 내 체인코드 호출.#Call chaincode within the network using CLI commands or Web Interface.
상기와 같은, 체인코드 개발과 실행, 부동산 매매 전자계약서, 부동산거래 전자계약시스템 로그인 화면, 거래 당사자 본인 신원확인 및 공인중개사 신원확인, 신분증 및 지문생체등록정보 확인은 도 10 내지 도 14에 나타내고 있다. The development and execution of the chain code, the electronic contract for real estate purchase and sale, the login screen for the electronic contract system for real estate transactions, the identity verification of the parties to the transaction and the identity verification of the certified real estate agent, and the verification of identification and fingerprint biometric registration information are shown in Figures 10 to 14.
도 10은 체인코드 개발과 실행도를 나타낸다.Figure 10 shows the chaincode development and execution diagram.
도 10에 의하면, 체인코드 개발 단계는 체인코드 인터페이스 개발 등이고, 네트워크를 실행할 단계는 체인코드, 이름, 정책 등을 구성하거나 실행중인 네트워크의 CLI에 접속하여 배포한다. 마지막 단계는 CLI 명령 또는 Web Interface로 네트워크 내 체인코드를 호출한다. According to Figure 10, the chaincode development stage includes developing a chaincode interface, etc., and the stage for running the network includes configuring the chaincode, name, policy, etc. or accessing the CLI of the running network to deploy it. The final stage is calling the chaincode within the network with a CLI command or web interface.
도 11은 부동산임대차 전자계약서를 나타낸다.Figure 11 shows an electronic real estate lease contract.
도 11은 부동산 임대차 전세 계약을 전자계약하는 사례이다.Figure 11 is an example of an electronic contract for a real estate lease.
타임스탬프(TSA) 기술과 공인전자서명 기술을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It features the application of timestamp (TSA) technology and certified electronic signature technology.
도 12는 부동산거래 전자계약시스템 로그인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12 shows the login screen for the real estate transaction electronic contract system.
도 12는 부동산거래 전자계약시스템 로그인은 공인인증서 로그인과 휴대폰인증 로그인이 있다. Figure 12. Login to the real estate transaction electronic contract system includes a public certificate login and a mobile phone authentication login.
도 13은 거래 당사자 본인 신원확인 및 공인중개사 신원확인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컴퓨터 화면을 캡처한 사진으로 거래당사자 정보확인과 공인중개사 신원확인을 할 수 있다. Figure 13 is a diagram showing the identity verification of the parties to a transaction and the identity verification of a certified broker. Figure 13 is a captured photo of a computer screen, and can be used to verify the information of the parties to a transaction and the identity verification of a certified broker.
도 14는 신분증 및 지문생체등록정보 확인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14 shows the verification of identification and fingerprint biometric registration information.
도 14는 컴퓨터 화면을 캡처한 사진으로 신분증 사진첨부(앞면)와 지문생체정보 등록(선택사항)을 나타낸다. Figure 14 is a photo captured from a computer screen showing the attachment of an ID photo (front) and registration of fingerprint biometric information (optional).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가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obv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which are written to include such many modifications.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부동산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은 현행 부동산 전자계약 시스템의 단점이었던 제3자를 통한 정보의 중앙 집중 관리 형태가 아닌, 정보의 탈중앙화가 이루어져 문서 및 기록의 손실을 줄이고 보안성을 확대할 수 있고,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계약서의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고, 부동산 거래 시 판매자와 구매자가 온라인을 통해 직접 거래를 수행할 수 있고, 중개업자의 부재로 인해 거래 수수료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l estate transaction system using blockchain technology and a method thereof, which reduces the loss of documents and records and enhances security by decentralizing information rather than the centralized management of information through a third party, which was a shortcoming of the current real estate electronic contract system, and can prevent forgery and alteration of contracts by using blockchain technology, and can reduce transaction fees by allowing sellers and buyers to conduct transactions directly online during real estate transactions and eliminating the need for brokers. Therefore, it has industrial applicability.
Claims (8)
상기 4개의 시스템 중 특정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을 해당 조직일 경우에만 호출할 수 있도록 제한하기 위하여, 각 시스템은 다른 시스템과의 연결을 위한 Peer, 본인 확인을 위한 CA, 관련 데이터 호출을 위한 MSP, 데이터 저장을 위한 DApp를 구성하고; 스마트 컨트랙트가 가능한 블록체인 중에서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Ethereum)과 같은 암호통화를 사용하지 않는 하이퍼레저 패브릭(Hyperledger Fabric)을 이용하는 부동산거래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인중개사협회시스템을 통해 매도인(임대인)과 매수인(임차인)이 개인 PC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공인중개사협회시스템의 Peer에 연결하는 단계;
매도인(임대인)과 매수인(임차인) 모두 디지털 공인인증서(Certificate Authority, CA)를 사용하여 본인 확인을 하는 단계;
부동산 매매 상품에 대한 트랜잭션 생성 단계;
부동산거래 매매를 보증하는 단계;
매매계약서(Read/Write set) 작성 및 서명에 대한 디지털 인증서를 통한 확인 단계;
상기 부동산거래 매매에 관한 블록 생성 단계;
생성된 블록들의 최신블록 검증 단계;
분산원장 기록 및 업데이트 단계, 매매대금 지급과 등기이전 완료 단계 및 취득세 납부와 실거래 신고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디지털 인증서를 통한 확인 단계에서, 상기 계약서(Read/Write set)의 이미지 선명도를 위하여 필터를 사용하며, 상기 필터는,
FilterRangeEX(0,3884,3903,37380,"SORA_SA(L=4.2,F=12,W= 1,HQBF=false,SS=1.0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부동산거래 방법.
It consists of four systems: the Certified Real Estate Brokerage Association System, the Korean Association of Legal Scriveners (Registration Office) System, the Bank System, and the City, County, and District Office Real Estate Integrated System.
In order to limit access to data provided by a specific system among the above four systems so that it can only be called by the relevant organization, each system configures a Peer for connection with other systems, a CA for identity verification, an MSP for calling related data, and a DApp for data storage; in a real estate transaction method that uses Hyperledger Fabric, which does not use cryptocurrencies such as Bitcoin or Ethereum among blockchains that enable smart contracts,
A step in which the seller (lessor) and buyer (lessee) connect to the peer of the above-mentioned real estate agent association system through a personal PC or mobile application;
A step in which both the seller (lessor) and buyer (lessee) use a digital certificate (Certificate Authority, CA) to verify their identity;
Transaction creation step for real estate transaction products;
Steps to guarantee real estate transaction sales;
Verification step through digital certificate for writing and signing the sales contract (Read/Write set);
Block creation step for the above real estate transaction;
The latest block verification step of the generated blocks;
Distributed ledger recording and update stage, purchase price payment and registration transfer completion stage, acquisition tax payment and actual transaction reporting stag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In the verification step using the above digital certificate, a filter is used to improve the image clarity of the contract (Read/Write set), and the filter is:
FilterRangeEX(0,3884,3903,37380,"SORA_SA(L=4.2,F=12,W= 1,HQBF=false,SS=1.01)")
A real estate transaction method using blockchain, characterized by:
리눅스 패키지 매니저(apt-get)를 이용하여 Docker를 설치하는 단계;
Curl, Node.js, Go 언어를 설치하는 단계;
Hyperledger fabric를 설치하는 단계; Docker 이미지를 설치하는 단계 및 클라이언트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부동산거래 방법.
In claim 6, a method for constructing four systems, namely, the Certified Real Estate Brokerage Association System, the Korean Association of Legal Scriveners (Registration Office) System, the Bank System, and the City, County, and District Office Real Estate Integrated System
Steps to install Docker using the Linux package manager (apt-get);
Steps to install Curl, Node.js, and Go languages;
A real estate transaction method using blockchain,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tep of installing Hyperledger fabric; a step of installing a Docker image; and a step of installing a clien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05968A KR102782457B1 (en) | 2023-08-12 | 2023-08-12 | Real estate transaction system using block chain and the method of real estate transa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05968A KR102782457B1 (en) | 2023-08-12 | 2023-08-12 | Real estate transaction system using block chain and the method of real estate transac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50024702A KR20250024702A (en) | 2025-02-19 |
KR102782457B1 true KR102782457B1 (en) | 2025-03-18 |
Family
ID=94822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05968A Active KR102782457B1 (en) | 2023-08-12 | 2023-08-12 | Real estate transaction system using block chain and the method of real estate transa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82457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49711B1 (en) * | 2018-06-29 | 2019-02-19 | (주) 와이즈엠글로벌 | A Method to Unify Multiple Tokens to A Single Token by Using Multiple Block Chains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57909A (en) * | 2017-11-21 | 2019-05-29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Real estate contract method and broker system based on block chain |
KR102052629B1 (en) | 2018-11-26 | 2019-12-05 | (주)마크애니 | Data management system for distribution of digital content files and method thereof |
KR102302954B1 (en) | 2019-09-06 | 2021-09-16 | 주식회사 한컴위드 | Real estate investment and transaction management server that enables real estate transactions based on blockchai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KR102322983B1 (en) | 2020-01-08 | 2021-11-09 | 주식회사 한컴위드 | Asset trading platform server that enables trading of real assets based on blockchai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KR20220122418A (en) | 2021-02-26 | 2022-09-02 | 주식회사 알이스탠다드 | Blockchain-based real estate contract and follow-up management system |
-
2023
- 2023-08-12 KR KR1020230105968A patent/KR10278245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49711B1 (en) * | 2018-06-29 | 2019-02-19 | (주) 와이즈엠글로벌 | A Method to Unify Multiple Tokens to A Single Token by Using Multiple Block Chain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50024702A (en) | 2025-02-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Xu et al. | Architecture for blockchain applications | |
US20210042836A1 (en) |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ompliance Aware Tokenization and Control of Asset Value | |
US11062294B2 (en) | Cognitive blockchain for customized interchange determination | |
CN107993047B (en) | Policy sales commission rights and interests management method based on block chain | |
Ali et al. | A transparent and trusted property registration system on permissioned blockchain | |
Carvalho et al. | When good blocks go bad: Managing unwanted blockchain data | |
CA3149850A1 (en) |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 blockchain-based recordation process | |
KR20180074655A (en) | Systems and methods for trading, authorizing and settlement of securities transactions using block-chain technology | |
Jani | Smart contracts: Building blocks for digital transformation | |
CA3036725A1 (en) | Credit score platform | |
US11488271B2 (en) | System and method for supplier information management | |
US12361488B2 (en) |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ompliance aware tokenization and control of asset value | |
KR102450412B1 (en) | Service level agreement-based sharing economy service provision system and method in the Internet of Things | |
US20200250778A1 (en)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atent Risk | |
GB2578168A (en) |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signing of transactions | |
US20220284508A1 (en) | A distributed computing architecture with settlement mechanism to enable traceability of credit tokenization, disbursement and repayment | |
US12354098B2 (en) | Transaction and settlement validation service | |
US20230083351A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atent title insurance with centralized and distributed data architectures | |
US20230098169A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atent title insurance with centralized and distributed data architectures | |
KR102782457B1 (en) | Real estate transaction system using block chain and the method of real estate transaction | |
US20230113947A1 (en) |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Patent Risk | |
CN110910252A (en)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ecurity units associated with intellectual property assets | |
US20220084128A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atent title insurance with centralized and distributed data architectures | |
Kabanda | Model Structure for Block Chain Technology and Cryptocurrency for the financial services sector in Zimbabwe | |
Kibet | Designing A Blockchain Based Smart Contract Model: A Case of Real Estate Industr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8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08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1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3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3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