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81211B1 - 공기 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81211B1
KR102781211B1 KR1020200014227A KR20200014227A KR102781211B1 KR 102781211 B1 KR102781211 B1 KR 102781211B1 KR 1020200014227 A KR1020200014227 A KR 1020200014227A KR 20200014227 A KR20200014227 A KR 20200014227A KR 102781211 B1 KR102781211 B1 KR 102781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mode
time
vane
wi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0354A (ko
Inventor
이정훈
이주연
최재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4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81211B1/ko
Priority to US17/016,684 priority patent/US20210247095A1/en
Priority to PCT/KR2020/018219 priority patent/WO2021157843A1/en
Priority to EP21155282.3A priority patent/EP3862647A3/en
Publication of KR20210100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81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8121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2Position of occup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4Activity of occup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통신부, 풍량 제어부, 풍향 제어부,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 상기 풍량 제어부, 및 상기 풍향 제어부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공기 조화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의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의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각도의 조절을 통한 풍향, 온도 및 풍량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로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FOR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air conditioner)은 스탠드형, 벽걸이형, 천장형으로 나뉘어지며 베인(vane)에 의해 풍향을 조절하여 냉동사이클 장치를 통해 냉/난방을 수행하게 되고,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 온도 및 베인 자동 회전에 기반하여 풍량을 실내에 공급한다.
종래 제1 선행 기술(일본 특허 출원: 2011-284705)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재실자가 없는 방향으로 기류를 토출하고, 상하 바람 방향판을 스윙시켜 재실자를 포함한 방향으로 일시적으로 스윙 운전을 반복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으나, 종래 제1 선행 기술은 전체적인 온도, 풍량, 및 풍향을 변동시키기 위한 기술적 특징이 없다.
또한, 제2 선행 기술(일본 특허 출원: 2016-517789)은 공조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방내에 존재하는 재실자의 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재실자의 수에 따라 최적으로 운전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으나, 종래 제2 선행 기술은 재실자의 상태에 따라 전체적인 온도, 풍량, 및 풍향을 변동시키기 위한 기술적 특징이 없다.
또한, 제3 선행 기술(일본 특허 출원: 2014-084828)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실내의 벽 위치 및 사람의 위치에 기반하여 기류를 변경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으나, 종래 제3 선행 기술은 재실자의 상태에 따라 전체적인 온도, 풍량, 및 풍향을 변동시키기 위한 기술적 특징이 없다.
따라서,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 맞게 적응적으로 에어컨의 온도, 풍량 및 풍향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사용자에게 쾌적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일본 특허 출원: 2011-284705 일본 특허 출원: 2016-517789 일본 특허 출원: 2014-084828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 조화기의 설정 온도, 풍량 및 풍향 중 적어도 하나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상기 사용자가 쾌적감을 느낄 수 있도록 설정 온도, 풍량 및 풍향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학습중인 상태에서 졸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공기 조화기의 설정 온도, 풍량 및 풍향 중 적어도 하나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공기 조화기의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로부터 토출되는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사용자가 기 설정한 총 동작 시간을 복수개의 시간들로 구분하고, 각각의 시간에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설정 온도, 풍량 및 풍향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시간과 다르도록 상기 공기 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복수개의 시간들 각각에 대해 상기 공기 조화기의 설정 온도, 풍량 및 풍향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르게 동작되는 복수 개의 모드에 기반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통신부, 풍량 제어부, 풍향 제어부,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 상기 풍량 제어부, 및 상기 풍향 제어부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공기 조화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의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의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각도의 조절을 통한 풍향, 온도 및 풍량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로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장치는, 통신부, 풍량 제어부, 풍향 제어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통신부, 상기 풍량 제어부, 상기 풍향 제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동작가능 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공기 조화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의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의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각도, 온도 및 풍량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로 제어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가 동작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공기 조화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의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각도, 온도 및 풍량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로 제어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공기 조화기의 설정 온도, 풍량 및 풍향 중 적어도 하나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사용자가 학습중인 상태에서 졸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공기 조화기의 설정 온도, 풍량 및 풍향 중 적어도 하나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뇌각성을 활성화시키고, 학습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사용자가 기 설정한 총 동작 시간을 복수개의 시간들로 구분하고, 각각의 시간에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설정 온도, 풍량 및 풍향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시간과 다르도록 상기 공기 조화기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보다 빨리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방사이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와 이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공간을 복수의 가상 영역으로 정의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모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직접풍과 간접풍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베인각, 설정온도 및 풍량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개/폐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인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각 모드에서의 베인의 각도와 각 각도에서의 동작 시간을 서로 다른 값으로 설정한 예시도이다.
도 12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각 모드에서의 베인의 각도와 각 각도에서의 동작 시간을 서로 다른 값으로 설정한 이후의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집중력 향상 모드를 실행하기 전과 실행한 이후의 뇌파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방사이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방사이클 장치(100)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 상태로 변환시키는 압축기(110)와, 상기 압축기(110)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 상태의 냉매를 액상으로 변환시키면서 내부 잠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응축기(120)와, 상기 응축기(120)에서 액상으로 변환된 냉매의 압력을 저하시키는 팽창기구(130)와, 상기 팽창기구(130)에서 팽창된 액체 상태의 냉매를 기체로 증발시키면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120)와 상기 증발기(140)는 외부와의 열 교환을 이루게 하므로 열 교환기라고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냉방 사이클 장치(100)는 응축기(120)에서 방출시키는 열과 증발기(140)에서 형성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실내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공기 조화기(예: 에어컨)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와 이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200)는 4개의 베인(210, 220, 230, 240)들을 포함하고, 원격 제어 장치(270)의 제어 하에 동작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200)는 벽 또는 천장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벽 또는 천장에 부착될 수 있는 부착형 공기 조화기(200)에 한정하지 않고, 바닥에 놓여질 수 있는 스탠트형 공기 조하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기(200)는 상기 제1 내지 제4 베어(210, 220, 230, 24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예: 개/폐)을 제어하는 스테핑 모터(251), 기어 트레인(252) 및 유니버설 조인트(2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200)는 상기 스테핑 모터(251), 기어 트레인(252) 및 유니버설 조인트(253)를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4 베어(210, 220, 230, 24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예: 개/폐)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200)는 피사체(예: 사람)를 식별하기 위한 움직임 감지 센서(2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260)는 상기 피사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피사체의 움직임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260)는 비전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원격 제어 장치(270)는 상기 공기 조화기(200)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장치로서, 상기 공기 조화기(200)를 통한 온도 설정 및 제어, 제1 내지 제4 베어(210, 220, 230, 240) 중 적어도 하나의 베어 제어, 및 시간 설정에 대한 명령(또는 신호)을 상기 원격 제어 장치(27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원격 제어 장치(270)는, 상기 공기 조화기(200)가 다양한 환경(예: 집중력 향상 모드, 수면 모드, 기분 전환 모드 등)에 따라 동작되도록 하는 명령을 상기 원격 제어 장치(270)의 버튼(271)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원격 제어 장치(270)는 상기 수신된 입력에 기반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상기 공기 조화기(200)로 전송하면, 상기 공기 조화기(200)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에 기반하여 동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기(200)의 상기 제1 베인 내지 제4 베인(210, 220, 230, 240)의 개/폐는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해 동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베인 내지 제4 베인(210, 220, 230, 240) 각각은 기 설정된 각도로 개/폐 됨으로써, 실내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기(200)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270)의 집중력 향상 모드의 버튼(271)을 통한 입력에 기반한 명령의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200)의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각도, 실내 온도 및 풍량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200)는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을 움직임 감지 센서(260)를 통해 식별하고,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200)의 각 베인의 각도, 기 설정된 온도, 상기 피사체를 향한 풍향 및 풍량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200)의 제어 장치(300)는 센서부(320), 풍량 제어부(330), 풍향 제어부(340), 통신부(350), 입력부(360), 저장부(370) 및 타이머(311)가 포함된 프로세서(3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제어 장치(300)의 구성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요소들이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300)는 공기 조화기(100)에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360)는 사용자로부터 공기조화기(200)의 운전에 관한 데이터, 예컨대 운전설정, 운전모드, 온도, 풍량, 풍향 등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프로세서(3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360)는 스위치, 버튼 등의 물리적인 조작부재를 포함하거나 터치키,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등의 전기적인 조작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360)는 사용자로부터 운전모드(예컨대, 후술되는 쾌속모드, 쾌적모드, 인체순응모드 등)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프로세서(310)에 제공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3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운전모드로 공기조화기(200)를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350)는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부(350)는 실외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거나 다른 공기 조화기(구체적으로, 실내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통신부(350)는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장치(예: TV, 환기 시스템, 선풍기, 냉장도 등)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350)는 원격 제어 장치(270)로부터 공기 조화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저장부(370)에는 공기 조화기(2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 데이터, 프로그램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370)에는 후술되는 인체순응시간, 활동량, 가상영역 등에 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310)는 저장부(370)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370)는 상기 프로세서(31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370)는 다양한 플랫폼(platform)을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37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풍량 제어부(330)는 토출부(미도시)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풍량 제어부(330)는 프로세서(310)에서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송풍팬의 회전수를 조절함으로써 토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풍향 제어부(340)는 제1 내지 제4 베어(210, 220, 230, 240) 중 적어도 하나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토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풍향 제어부(340)는 상기 프로세서(310)에서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1 내지 제4 베어(210, 220, 230, 240) 중 적어도 하나의 회동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260)에 의해 재실자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풍향 제어부(340)는 프로세서(31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예: 재실자)를 향하도록 제1 내지 제4 베어(210, 220, 230, 240) 중 적어도 하나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320)는 온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온도 측정 센서부(321)와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온도 측정 센서부(321)는 복수의 온도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각 온도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공기 조화기(20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 공기 조화기(200)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 실내공간의 온도, 냉매를 흡입하는 배관 온도, 냉매를 토출하는 배관 온도 등을 감지하여 프로세서(31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측정 센서부(321)는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적외선 카메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부(260)는 공기조화기(200)가 설치된 실내공간의 사용자(예: 재실자)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부(260)는 공기 조화기(200)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부(260)는 상기 공기 조화기(200)가 설치된 실내공간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 정도에 해당되는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31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사용자가 현재 졸고 있는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부(260)는 프로세서(310)의 제어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실내공간을 스캔할 수 있고, 실내공간에 위치한 사용자(예: 재실자)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부(260)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부(260)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고, 사용자에서 발산되는 복사열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감지할 수도 있으며,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부(260)는 비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부(260)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부(260)의 감지 동작은 미리 설정된 감지주기(예: 10초)마다 수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예: 재실자)의 감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상기 프로세서(31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부(260)에 의해 감지된 재실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재실자의 활동량을 산출하고, 산출 결과에 기반하여 공기조화기(100)의 온도를 타이머(31)를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또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활동량은 재실자가 이동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로서, 재실자의 이동거리로 정의될 수도 있고, 재실자의 이동거리에 비례하는 파라미터로 정의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는 매 감지주기마다 감지되는 재실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재실자의 위치 변화를 식별할 수 있고, 재실자의 위치 변화를 통해 재실자의 활동량을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부(260)에 의해 감지된 재실자의 위치를 식별하고, 기준주기 내에서 발생한 재실자의 위치 변화량에 기초하여 재실자의 활동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는 이러한 산출 결과를 통해 재실자가 현재 졸고 있는 상태인지 또는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부(26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 머리)가 주기적으로 움직임을 식별할 수 있고, 이러한 식별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현재 졸고 있는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는 후술하는 방법에 따라 실내환경을 스스로 감지하여 공기조화기(200)를 집중력 향상 모드로 구동할 수도 있고, 사용자로부터 집중력 향상 모드에 관한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에 한해 공기조화기(200)를 집중력 향상 모드로 구동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310)는 다양한 모드들(예: 집중력 향상 모드, 수면 모드, 기분 전환 모드 등) 중에서 선택된 모드(예: 집중력 향상 모드에 기반하여 공기 조화기(2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는 온도 측정 센서부(321)에서 측정된 각 공간의 온도 변화를 이용하여 각 공간별 온도 변화율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는 일정한 시간 단위, 예를 들면, 1시간 단위로 온도 변화율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는 온도 측정 센서부(321)에서 측정된 온도 변화율을 기반으로 해당 공간의 공간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감지되는 공간 정보는 온도 변화율에 따라 미리 대응되는 공간 정보를 저장한 후, 저장된 공간 정보 중 감지된 공간 정보와 매칭되는 공간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공간 정보는 개방된 창가인지, 차단되어 밀폐된 벽인지, 넓은 공간을 갖는 거실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27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통신부(35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신호는, 상기 공기 조화기가 동작하는 총 동작 시간(total operating time periods)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총 동작 시간을 복수의 시간들(time periods)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시간들 중 각 시간(each period)에서 상기 각각의 베인의 각도, 상기 공기 조화기(200)에 설정된 온도, 및 상기 피사체를 향하는 풍량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각 시간(each period)의 이전 시간(previous time period)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분할된 복수의 시간들(time periods) 중에서 제1 시간(first time period)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200)를 제1 온도로 동작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을 오토 스윙하도록 상기 풍향 제어부(34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을 상기 제1 시간(first time period) 중 미리 결정된 제1 시간(20분) 동안 오토 스윙하도록 상기 풍향 제어부(34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200)의 적어도 하나의 베인(210, 220, 230, 240)의 각도, 온도 및 풍량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200)는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부(260)와, 상기 공기 조화기가 위치한 장소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센서부(321)를 포함하는 센서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풍향 제어부(330)를 통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210, 220, 230, 240) 중 각각의 베인의 각도, 상기 공기 조화기에 설정된 온도, 및 상기 풍량 제어부(330)를 통한 풍량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상기 각 베인의 각도, 상기 설정된 온도 및 상기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부(260)를 통해 상기 피사체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움직임에 기반하여 상기 피사체가 졸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미리 결정된 제1 시간(20분) 이후, 제1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2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풍량이 제1 풍량(예: 강풍)이 되도록 상기 풍량 제어부(330)를 제어하고, 미리 결정된 제2 시간 동안(예: 3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각도가 제1 각도가 되고, 상기 미리 결정된 제2 시간 이후, 미리 결정된 제3 시간 동안(예: 5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각도가 상기 제1 각도보다 큰 제2 각도가 되고, 상기 미리 결정된 제3 시간 이후, 미리 결정된 제4 시간 동안(예: 7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이 오토 스윙하도록 상기 풍향 제어부(330)를 제어하는 모드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공기 조화기(200)가 상기 제1 시간(first time period) 동안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한 후, 상기 제1 시간 이후의 제2 시간 동안 제2 모드 및 제3 모드를 순차적으로 반복 적용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온도를 상기 제1 온도보다 미리 결정된 온도(예: 1도)만큼 높은 제2 온도로 조절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를 동작시키고, 상기 제1 풍량(예: 강풍)보다 약한 제2 풍량(예: 약풍)이 되도록 상기 풍량 제어부(330)를 제어하는 모드이다. 그리고, 상기 제3 모드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풍량을 상기 제1 풍량이 되도록 상기 풍량 제어부(330)를 제어하는 모드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공기 조화기(200)가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제2 모드 및 상기 제3 모드로 반복적으로 동작한 후, 상기 제2 시간 이후의 제3 시간 동안 상기 제1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2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총 동작 시간 동안, 상기 제1 모드 내지 상기 제4 모드를 순차적으로 반복 적용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2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공간을 복수의 가상 영역으로 정의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세서(310)는 실내공간을 분할하는 가상영역(400)에, 움직임 감지 센서(260)에 의해 감지된 재실자의 위치를 매핑(mapping)하고, 매핑된 가상영역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재실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가상영역(400)은 그 위치에 따라 식별자(예컨대, VA1 내지 VA24)가 미리 설정될 수 있고, 재실자는 어느 하나 또는 두 개의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가상영역(400)과 그 식별자에 대한 정보는 저장부(38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는 움직임 감지 센서(260)에서 감지된 재실자의 위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위치를 가상영역(400)에 매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310)는 감지주기에 따라 감지되는 재실자의 위치를 매 감지주기마다 가상영역(400)에 매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공기 조화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S510). 상기 수신된 신호는, 상기 공기 조화기(200)가 동작하는 총 동작 시간(total operating time periods)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총 동작 시간(예: 5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신호의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부(260)를 통해 피사체(예: 사람)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피사체의 일부(예: 머리)가 주기적으로 움직이는지 식별하고, 상기 식별에 기반하여 상기 피사체(예: 사람)가 졸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로 공기 조화기의 베인 각도의 조절을 통한 풍향, 온도 및 풍량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S512).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풍향 제어부(340)를 통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210, 220, 230, 240) 중 각각의 베인의 각도, 상기 공기 조화기(200)에 설정된 온도, 및 상기 풍량 제어부(330)를 통한 풍량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상기 각 베인의 각도, 상기 설정된 온도 및 상기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총 동작 시간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총 동작 시간(예: 5시간)을 복수의 시간들(time periods)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시간들 중 각 시간(each period)(예: 1시간)에서 상기 각각의 베인의 각도, 상기 공기 조화기에 설정된 온도, 및 상기 피사체를 향하는 풍량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각 시간의 이전 시간(previous time period)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분할된 복수의 시간들 중에서 제1 시간(예: 5시간 중에서 0분에서 60분 사이)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200)를 제1 온도로 동작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을 오토 스윙하도록 상기 풍향 제어부(34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을 상기 제1 시간(예: 5시간 중에서 0분에서 60분 사이) 중 미리 결정된 제1 시간(20분) 동안 오토 스윙하도록 상기 풍향 제어부(3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원격 제어 장치(27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집중력 향상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명령이 입력되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S610). 예를 들면, 사용자가 공기 조화기(200)를 집중력 향상 모드로 동작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70)에 포함된 버튼(271)을 통해 집중력 향상 모드로의 동작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원격 제어 장치(270)는 상기 버튼(271)에 대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공기 조화기(200)로 전송하고, 상기 공기 조화기(200는 통신부(350)를 통해 상기 명령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200)는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현재 집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모드를 선택했음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상기 공기 조화기(200)가 동작하는 총 동작 시간(total operating time periods)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총 동작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집중력 향상 모드를 활성화시키고, 비전 카메라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S612).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200)를 집중력 향상 모드로 동작시키고, 움직임 감지 센서(260)에 포함된 비전 카메라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S614).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온도 측정 센서부(321)에 포함된 적외선 센서, 및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부(26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식별된 사용자가 현재 졸고 있는지 식별할 수 있다(S616).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 머리)가 주기적으로 끄덕이는지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부(260)를 통해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 머리)가 주기적으로 끄덕이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사용자가 현재 졸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 머리)가 주기적으로 끄덕이지 않고 있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사용자가 현재 졸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로 공기 조화기의 베인 각도의 조절을 통한 풍향, 온도 및 풍량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S618). 상기 과정(S614)에서 상기 사용자가 식별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과정(S616)에서 상기 사용자가 졸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풍향 제어부(340)를 통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210, 220, 230, 240) 중 각각의 베인의 각도, 상기 공기 조화기(200)에 설정된 온도, 및 상기 풍량 제어부(330)를 통한 풍량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총 동작 시간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총 동작 시간(예: 5시간)을 복수의 시간들(예: 제1 시간(0분~60분), 제2 시간(60분~120분), 제3 시간(120분~180분), 제4 시간(180분~240분), 및 제5 시간(240분~300분))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시간들 중 각 시간(each period)(예: 1시간)에서 상기 각각의 베인의 각도, 상기 공기 조화기에 설정된 온도, 및 상기 피사체를 향하는 풍량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각 시간의 이전 시간(previous time period)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반하여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로 공기 조화기의 베인 각도의 조절을 통한 풍향, 온도 및 풍량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S620). 상기 과정(S616)에서 상기 사용자가 졸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풍향 제어부(340)를 통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210, 220, 230, 240)을 졸고 있는 사용자로 향하도록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공기 조화기(200)에 설정된 온도를 조절하고, 및 상기 풍량 제어부(330)를 통한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이러한 조절을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총 동작 시간(예: 5시간)을 복수의 시간들(예: 제1 시간(0분~60분), 제2 시간(60분~120분), 제3 시간(120분~180분), 제4 시간(180분~240분), 및 제5 시간(240분~300분))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시간들 중 각 시간(each period)(예: 1시간)에서 상기 각각의 베인의 각도, 상기 공기 조화기에 설정된 온도, 및 상기 피사체를 향하는 풍량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각 시간의 이전 시간(previous time period)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피사체의 현재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각 베인의 각도, 상기 설정된 온도 및 상기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집중력 향상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S710).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원격 제어 장치(270)의 집중력 향상 모드에 대한 버튼(271)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원격 제어 장치(270)로부터 집중력 향상 모드에 대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상기 공기 조화기(200)가 동작하는 총 동작 시간(total operating time periods)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총 동작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일정한 시간 동안(예: 5시간) 집중력 향상 모드로 공기 조화기(200)가 동작되기를 원하는 경우, 상기 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총 동작 시간(예: 5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동작 시간이 제1 또는 제5 구간인지 식별할 수 있다(S712).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공기 조화기(200)가 집중력 향상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시간(time period)이 상기 총 동작 시간(예: 5시간)에서 제1 구간(예: 0분~60분)인지 또는 제5 구간(예: 240분~300분)인지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공기 조화기를 제1 온도로 설정시킬 수 있다(S714). 상기 공기 조화기(200)의 동작 시간이 상기 제1 구간 또는 제5 구간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공기 조화기(200)의 온도를 제1 온도(예: 27도)로 설정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온도는 초기 설정 온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주기적으로 현재 온도를 체크하고, 상기 체크된 현재 온도가 상기 제1 온도와 동일하지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동작 시간이 제1 구간에 해당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S716).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제1 온도가 되도록 동작되고 있는 중에, 상기 동작 시간이 상기 총 동작 시간(예: 5시간)에서 상기 제1 구간(예: 0분~60분)에 해당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베인을 오토 스윙할 수 있다(S718). 상기 과정(S716)에서 상기 동작 시간이 상기 총 동작 시간(예: 5시간)에서 상기 제1 구간(예: 0분~60분)에 해당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미리 결정된 시간(예: 20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200)의 적어도 하나의 베인(210, 220, 230, 240)의 풍향을 오토 스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오토 스윙은 상기 공기 조화기(200)의 적어도 하나의 베인(210, 220, 230, 240)의 각도를 00부터 900까지 스윙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공기 조화기를 제1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S720).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예: 20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200)의 적어도 하나의 베인(210, 220, 230, 240)을 오토 스윙한 후, 상기 공기 조화기(200)가 제1 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210, 220, 230, 240)을 통해 토출되는 풍량이 제1 풍량(예: 강풍)이 되도록 상기 풍량 제어부(330)를 제어하고, 미리 결정된 제2 시간 동안(예: 60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이 제1 각도 범위(예: 00~300이내) 내에서 움직이고, 상기 미리 결정된 제2 시간 이후, 미리 결정된 제3 시간 동안(예: 60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이 상기 제1 각도 범위 보다 큰 제2 각도 범위(예: 300~800이내) 내에서 움직이고, 상기 미리 결정된 제3 시간 이후, 미리 결정된 제4 시간 동안(예: 90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이 오토 스윙하도록 상기 풍향 제어부(340)를 제어하는 모드이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예: 20분) 이후, 상기 제1 구간(예: 0분~60분) 중에서 나머지 시간(예: 40분) 동안 이러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동작 시간이 상기 제1 구간에 해당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S722).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공기 조화기(200)가 상기 제1 모드로 동작되고 있는 중에, 상기 공기 조화기(200)의 동작 시간을 추기적으로 체크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200)가 동작한 시간이 상기 제1 구간(예: 0분~60분) 내인지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동작 시간이 제5 구간에 해당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S724).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공기 조화기(200)가 상기 제1 모드로 동작되고 있는 중에, 상기 공기 조화기(200)의 동작 시간을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200)의 동작 시간이 상기 제1 구간이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공기 조화기(200)가 동작한 시간이 제5 구간(예: 240분~300분) 내인지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동작 시간이 제3 구간에 해당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S726).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공기 조화기(200)가 동작한 시간이 상기 제5 구간이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공기 조화기(200)가 지금까지 동작한 시간이 기 설정된 총 동작 시간(예: 5시간)을 초과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S736).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공기 조화기(200)가 지금까지 동작 시간이 총 동작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동작(S712)으로 회귀하여 상기 동작 시간이 상기 제5 구간 (예: 240분~300분) 내인지 식별할 수 있다(S712).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공기 조화기(200)의 동작 시간이 상기 제5 구간이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공기 조화기(200)의 동작 시간이 제3 구간 (예: 120분~180분) 내인지 식별할 수 있다(S726).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공기 조화기를 제2 온도로 동작시킬 수 있다(S728).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공기 조화기(200)의 동작 시간이 상기 제3 구간 내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공기 조화기(200)의 온도를 제2 온도(예: 28도)로 설정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온도(예: 28도)는 상기 제1 온도(예: 27도) 보다 미리 설정된 온도(예: 1도)만큼 높은 온도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주기적으로 현재 온도를 체크하고, 상기 체크된 현재 온도가 상기 제2 온도와 동일하지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공기 조화기를 제2 모드 및 제3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S730).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공기 조화기(200)가 제2 모드 및 제3 모드로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되도록 상기 공기 조화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온도(예: 27도)를 상기 제1 온도보다 미리 결정된 온도(예: 1도)만큼 높은 제2 온도(예: 28도)로 조절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를 동작시키고, 상기 제1 풍량(예: 강풍)보다 약한 제2 풍량(예: 약풍)이 되도록 상기 풍량 제어부(330)를 제어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3 모드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풍량을 상기 제1 풍량이 되도록 상기 풍량 제어부(330)를 제어하는 모드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210, 220, 230, 240)을 통해 토출되는 풍량이 제2 풍량(예: 약풍)이 되도록 상기 풍량 제어부(330)를 제어하고, 미리 결정된 제2 시간 동안(예: 60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이 제1 각도 범위(예: 00~300이내) 내에서 움직이고, 상기 미리 결정된 제2 시간 이후, 미리 결정된 제3 시간 동안(예: 60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이 상기 제1 각도 범위보다 큰 제2 각도 범위(예: 300~800이내) 내에서 움직이고, 상기 미리 결정된 제3 시간 이후, 미리 결정된 제4 시간 동안(예: 90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이 오토 스윙하도록 상기 풍향 제어부(340)를 제어하는 모드이다.
그리고, 상기 제3 모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210, 220, 230, 240)을 통해 토출되는 풍량이 제1 풍량(예: 강풍)이 되도록 상기 풍량 제어부(330)를 제어하고, 미리 결정된 제2 시간 동안(예: 60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이 제1 각도 범위(예: 00~300이내) 내에서 움직이고, 상기 미리 결정된 제2 시간 이후, 미리 결정된 제3 시간 동안(예: 60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이 상기 제1 각도 범위보다 큰 제2 각도 범위(예: 300~800이내) 내에서 움직이고, 상기 미리 결정된 제3 시간 이후, 미리 결정된 제4 시간 동안(예: 90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이 오토 스윙하도록 상기 풍향 제어부(340)를 제어하는 모드이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제2 모드와 상기 제3 모드를 교대로하여 상기 제2 구간(예: 60분~120분) 동안 이러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동작 시간이 제2 구간에 해당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S732).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공기 조화기(200)가 상기 제2 모드 및 상기 제3 모드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중에, 상기 공기 조화기(200)의 동작 시간을 추기적으로 체크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200)가 동작한 시간이 상기 제2 구간(예: 60분~120분) 내인지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동작 시간이 제4 구간에 해당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S734).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공기 조화기(200)가 상기 제2 모드 및 상기 제3 모드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중에, 상기 공기 조화기(200)의 동작 시간을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200)의 동작 시간이 상기 제2 구간(예: 60분~120분)이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공기 조화기(200)가 동작한 시간이 제4 구간(예: 180분~240분) 내인지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동작 시간이 총 동작 시간보다 큰지 식별할 수 있다(S736).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공기 조화기(200)가 동작한 시간이 상기 제4 구간이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공기 조화기(200)가 지금까지 동작한 시간이 기 설정된 총 동작 시간(예: 5시간)을 초과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S736).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공기 조화기(200)가 지금까지 동작 시간이 총 동작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동작(S712)으로 회귀하여 상기 동작 시간이 상기 제5 구간 (예: 240분~300분) 내인지 식별할 수 있다(S712).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공기 조화기(200)의 동작 시간이 상기 제5 구간이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공기 조화기(200)의 동작 시간이 제3 구간 (예: 120분~180분) 내인지 식별할 수 있다(S726).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공기 조화기를 제3 온도로 동작시킬 수 있다(S738).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공기 조화기(200)의 동작 시간이 상기 제3 구간이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공기 조화기(200)의 온도를 제3 온도(예: 29도)로 설정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제3 온도(예: 29도)는 상기 제2 온도(예: 28도) 보다 미리 설정된 온도(예: 1도)만큼 높은 온도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주기적으로 현재 온도를 체크하고, 상기 체크된 현재 온도가 상기 제3 온도와 동일하지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공기 조화기를 상기 제1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S740). 상기 과정(S740)에서의 제1 모드는 상기 과정(S720)에서의 제1 모드 대비 설정된 시간과 각 베인의 각도 범위가 같을 수 있다. 또는, 상기 과정(S740)에서의 제1 모드는 상기 과정(S720)에서의 제1 모드 대비 설정된 시간이 다르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베인 각도 범위가 다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동작 시간이 제3 구간에 해당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S742).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공기 조화기(200)가 상기 제1 모드로 동작되고 있는 중에, 상기 공기 조화기(200)의 동작 시간을 추기적으로 체크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200)가 동작한 시간이 상기 제3 구간(예: 120분~180분) 내인지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집중력 향상 모드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S744).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공기 조화기(200)의 동작 시간이 상기 제3 구간이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공기 조화기(200)가 지금까지 동작한 시간이 상기 공기 조화기(200)가 동작하기 위해 설정된 총 동작 시간(예: 5시간)을 초과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공기 조화기(200)가 지금까지 동작한 시간이 상기 총 동작 시간(예: 5시간)을 초과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집중력 향상 모드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활성화된 집중력 향상 모드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집중력 향상 모드가 비활성화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공기 조화기(200)의 동작을 종료시키거나, 또는 통상적인 냉난방에 따라 상기 공기 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다.
위에 기술한 시간 및 각도 범위 중 적어도 하나는 실시 예일 뿐이며, 가변적으로 다른 시간 또는 다른 각도 범위로 설정되거나 또는 조절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모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모드의 동작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 8의 과정들은 도 7의 과정들(S820, S830, 및 S84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적어도 하나의 베인을 제1 각도 범위 내에서 제1 시간 동안 동작시킬 수 있다(S810).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미리 결정된 제1 시간 동안(예: 60초) 상기 공기 조화기(200)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210, 220, 230, 240)이 제1 각도 범위(예: 00~300이내) 내에서 움직이도록 간접풍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각도 범위(예: 00~300이내)는 내실자(또는 사용자)에게 바람이 직접 향하지 않고, 내실자 주변(예: 머리 위, 또는 내실자를 향하지 않는 방향)으로 향하는 각도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공기 조화기(200)의 외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움직임 감지 센서(미도시))를 통해 내실자의 존재 유무 및 상기 내실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예: 60초) 동안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각도 범위가 00에서 300도로 점차 크도록 풍향 제어부(340)를 제어하고, 다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각도 범위가 300에서 00도로 점차 작아지도록 풍향 제어부(34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예: 60초) 동안에 상기 제1 각도 범위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베인을 움직이도록 상기 풍향 제어부(340)를 제어하고, 상기 풍량 제어부(330)를 제어하여 풍량을 미풍, 약풍, 또는 강풍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을 제2 각도 범위 내에서 제2 시간 동안 동작시킬 수 있다(S810).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미리 결정된 제2 시간 동안(예: 60초) 상기 공기 조화기(200)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210, 220, 230, 240)이 제2 각도 범위(예: 300~900이내) 내에서 움직이도록 직접풍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각도 범위(예: 300~900이내)는 내실자(또는 사용자)에게 바람이 직접 향하는 각도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예: 60초) 동안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각도 범위가 300에서 900도로 점차 크도록 풍향 제어부(340)를 제어하고, 다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각도 범위가 900에서 300도로 점차 작아지도록 풍향 제어부(34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예: 60초) 동안에 상기 제2 각도 범위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베인을 움직이도록 상기 풍향 제어부(340)를 제어하고, 상기 풍량 제어부(330)를 제어하여 풍량을 미풍, 약풍, 또는 강풍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을 오토 스윙하여 제3 시간 동안 동작시킬 수 있다(S814).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제3 시간(예: 90초)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200)의 적어도 하나의 베인(210, 220, 230, 240)의 각도를 오토 스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오토 스윙은 상기 공기 조화기(200)의 적어도 하나의 베인(210, 220, 230, 240)의 각도를 00부터 900까지 스윙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미리 설정된 시간(예: 1시간) 단위로 상기 과정들(S810, S812, S814)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직접풍과 간접풍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제1 위치(910)에 위치하는 경우, 직접풍(911, 912)은 상기 공기 조화기(200)의 적어도 하나의 베인(210, 220, 230, 240) 중에서 제1 베인(210)으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이 상기 사용자로 직접적으로 향하는 것이다. 그리고, 간접풍(913)은 상기 공기 조화기(200)의 적어도 하나의 베인(210, 220, 230, 240) 중에서 제1 베인(210)으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이 상기 사용자로 간접적으로 향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제2 위치(920)에 위치하는 경우, 직접풍(913)은 상기 공기 조화기(200)의 적어도 하나의 베인(210, 220, 230, 240) 중에서 제1 베인(210)으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이 상기 사용자로 직접적으로 향하는 것이다. 그리고, 간접풍(911, 912)은 상기 공기 조화기(200)의 적어도 하나의 베인(210, 220, 230, 240) 중에서 제1 베인(210)으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이 상기 사용자로 간접적으로 향하는 것이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공기 조화기(200)의 적어도 하나의 베인(210, 220, 230, 240)이 상기 사용자로 향하도록 풍향 제어부(340)를 제어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으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을 상기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예: 직접풍) 향하게 할 수 있거나, 또는 간접적으로(예: 간접풍) 향하게 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공기 조화기(200)의 외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 머리)가 주기적으로 움직이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 머리)가 주기적으로 움직이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현재 졸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사용자가 현재 졸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집중력 향상 모드를 자동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위치, 공기 조화기와의 거리, 상기 공기 조화기와의 방향 등에 따라, 각각의 베인의 각도, 상기 공기 조화기에 설정된 온도, 및 상기 피사체를 향하는 풍량 중 적어도 하나는 기 설정된 값 대비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베인각, 설정온도 및 풍량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개/폐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인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 도 11의 (a), 및 도 11의 (b)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원격 제어 장치(27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통신부(350)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총 동작 시간에 대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총 동작 시간은 공기 조화기(200)가 집중력 향상 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총 동작 시간(예: 5시간)을 복수의 시간들(1010, 1020, 1030, 1040, 1050)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시간들 중 각 시간 단위(예: 1시간 단위)에서 각 베인의 각도, 상기 공기 조화기(200)에 설정된 온도, 각 베인의 각도 및 사용자로 향하는 풍량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각 시간(each period)에서 수행되고 있는 베인의 각도, 설정된 온도, 및 풍량 중 적어도 하나를 이전 시간(previous time period)과 다르게 제어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2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총 동작 시간(예: 5시간) 중에서 제1 시간(1010)은 풍량을 강풍으로 하고, 온도를 설정 온도(T0)로 하고, 및 제1 패턴(1011)과 같이 베인의 각도를 200에서 800로 하여 공기 조화기(200)를 집중력 향상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총 동작 시간(예: 5시간) 중에서 제2 시간(1020)은 풍량을 강풍과 약풍으로 하고, 온도를 설정 온도(T0+1)로 하고, 및 제2 패턴(1021)과 같이 베인의 각도를 200에서 800로 하여 공기 조화기(2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총 동작 시간(예: 5시간) 중에서 제3 시간(1030)은 풍량을 강풍으로 하고, 온도를 설정 온도(T0+2)로 하고, 및 제3 패턴(1031)과 같이 베인의 각도를 200에서 800로 하여 공기 조화기(2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총 동작 시간(예: 5시간) 중에서 제4 시간(1020)은 풍량을 강풍과 약풍으로 하고, 온도를 설정 온도(T0+1)로 하고, 및 베인의 각도를 제4 패턴(1041)과 같이 200에서 800로 하여 공기 조화기(2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시간(1020)에서의 공기 조화기(200)의 동작 패턴과 상기 제4 시간(1040)에서의 동작 패턴을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총 동작 시간(예: 5시간) 중에서 제5 시간(1050)은 풍량을 강풍으로 하고, 온도를 설정 온도(T0)로 하고, 및 베인의 각도를 제5 패턴(1051)과 같이 200에서 800로 하여 공기 조화기(2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각 베인의 각도는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기 조화기(200)에서 토출되는 바람이 간접풍일 경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각도는 제1 각도(1110)에서 제2 각도(1120)로 점차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기(200)에서 토출되는 바람이 직접풍일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각도는 제3 각도(1130), 제4 각도(1140) 제5 각도(1150), 제6 각도(1160) 및 제7 각도(1170)로 점차 조절될 수 있고, 상기 제7 각도 이후, 역순으로 상기 제3 각도(1130)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7 각도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2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각 모드에서의 베인의 각도와 각 각도에서의 동작 시간을 서로 다른 값으로 설정한 예시도이다. 도 12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각 모드에서의 베인의 각도와 각 각도에서의 동작 시간을 서로 다른 값으로 설정한 이후의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의 (a) 및 도 12의 (b)를 참조하면, 제1 실험(1210)은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각도를 200로 하여 90초 동안 동작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각도를 450로 하여 90초 동안 동작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각도를 400에서 800로 하여 180초 동안 동작시키는 실험이다. 제2 실험(1220)은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각도를 200로 하여 60초 동안 동작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각도를 450로 하여 60초 동안 동작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각도를 400에서 800로 하여 120초 동안 동작시키는 실험이다.
제3 실험(1230)은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각도를 200로 하여 60초 동안 동작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각도를 450로 하여 60초 동안 동작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각도를 400에서 800로 하여 90초 동안 동작시키는 실험이다. 제4 실험(1240)은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각도를 200로 하여 60초 동안 동작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각도를 400로 하여 60초 동안 동작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각도를 200에서 800로 하여 90초 동안 동작시키는 실험이다. 위와 같은 조건에 기반하여 실험한 결과, 도 12의 (b)와 같이 제4 실험에서의 자극이 가장 높음에 따라 집중력이 좋음을 알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집중력 향상 모드를 실행하기 전과 실행한 이후의 뇌파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집중력 향상 모드를 실행하기 전보다 실행한 이후의 알파 및 베타가 많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상기 알파는 사람의 쾌적함을 나타내기 위해 참조되는 것이고, 상기 베타는 사람의 집중력, 각성을 나타내기 위해 참조된 것이다. 상기 알파가 높을수록 높은 쾌적함을 느낀 것을 의미하고, 상기 베타가 높을수록 높은 집중력 또는 각성력을 느낀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상기 집중력 향상 모드를 실행하기 전의 알파는 12.4% 였으나, 상기 집중력 향상 모드를 실행한 이후의 알파는 15%로 향상되어 사용자의 쾌적함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집중력 향상 모드를 실행하기 전의 베타파는 17.6% 였으나, 상기 집중력 향상 모드를 실행한 이후의 베타는 24.1%로 향상되어 사용자의 집중력과 각성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각각의 순서도에서의 각 단계는 도시된 순서에 무관하게 동작될 수 있거나,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 가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310: 프로세서 311: 타이머
320: 통신부 321: 온도측정 센서부
330: 풍량 제어부 340: 풍향 제어부
350: 통신부 360: 입력부
370: 저장부

Claims (29)

  1.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통신부;
    풍량 제어부;
    풍향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 상기 풍량 제어부, 및 상기 풍향 제어부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공기 조화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의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의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각도의 조절을 통한 풍향, 온도 및 풍량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로 제어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공기 조화기가 미리 결정된 제1 시간 이후, 제1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를 동작시키고,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제1 모드로 동작시킨 후, 상기 제1 시간 이후의 제2 시간 동안 제2 모드 및 제3 모드를 순차적으로 반복 적용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를 동작시키며,
    상기 제1 모드는, 미리 결정된 제2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이 제1 각도 내에서 움직이고, 상기 미리 결정된 제2 시간 이후, 미리 결정된 제3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이 상기 제1 각도보다 큰 제2 각도 내에서 움직이고, 상기 미리 결정된 제3 시간 이후, 미리 결정된 제4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이 오토 스윙하도록 상기 풍향 제어부를 제어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제1 온도를 미리 결정된 온도만큼 높은 제2 온도로 조절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를 동작시키고, 제1 풍량보다 약한 제2 풍량이 되도록 상기 풍량 제어부를 제어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3 모드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풍량을 상기 제1 풍량이 되도록 상기 풍량 제어부를 제어하는 모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2. 제1 항에 있어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와, 상기 공기 조화기가 위치한 장소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풍향 제어부를 통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 중 각각의 베인의 각도, 상기 공기 조화기에 설정된 온도, 및 상기 풍량 제어부를 통한 풍량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로 제어하도록 설정된 공기 조화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상기 각 베인의 각도, 상기 설정된 온도 및 상기 풍량을 조절하도록 설정된 공기 조화기.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신호의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피사체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움직임에 기반하여 상기 피사체가 졸고 있는지 판단하도록 설정된 공기 조화기.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신호는, 상기 공기 조화기가 동작하는 총 동작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총 동작 시간을 복수의 시간들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시간들 중 각 시간에서 상기 각각의 베인의 각도, 상기 공기 조화기에 설정된 온도, 및 상기 피사체를 향하는 풍량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각 시간의 이전 시간과 다르게 제어하도록 설정된 공기 조화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분할된 복수의 시간들 중에서 제1 시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를 제1 온도로 동작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을 오토 스윙하도록 상기 풍향 제어부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공기 조화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을 상기 제1 시간 중 미리 결정된 제1 시간 동안 오토 스윙하도록 상기 풍향 제어부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공기 조화기.
  9. 삭제
  10. 삭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공기 조화기가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제2 모드 및 상기 제3 모드로 반복적으로 동작한 후, 상기 제2 시간 이후의 제3 시간 동안 상기 제1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를 동작시키도록 설정된 공기 조화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공기 조화기가 동작하는 총 동작 시간 동안, 상기 제1 모드 내지 상기 제3 모드를 순차적으로 반복 적용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를 동작시키도록 설정된 공기 조화기.
  13. 장치에 있어서,
    통신부;
    풍량 제어부;
    풍향 제어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통신부, 상기 풍량 제어부, 상기 풍향 제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동작가능 하도록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공기 조화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의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의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각도, 온도 및 풍량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로 제어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가 동작되도록 하는 명령어들; 및
    상기 공기 조화기가 미리 결정된 제1 시간 이후, 제1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를 동작시키고,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제1 모드로 동작시킨 후, 상기 제1 시간 이후의 제2 시간 동안 제2 모드 및 제3 모드를 순차적으로 반복 적용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를 동작시키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며,
    상기 제1 모드는, 미리 결정된 제2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이 제1 각도 내에서 움직이고, 상기 미리 결정된 제2 시간 이후, 미리 결정된 제3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이 상기 제1 각도보다 큰 제2 각도 내에서 움직이고, 상기 미리 결정된 제3 시간 이후, 미리 결정된 제4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이 오토 스윙하도록 상기 풍향 제어부를 제어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제1 온도를 미리 결정된 온도만큼 높은 제2 온도로 조절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를 동작시키고, 제1 풍량보다 약한 제2 풍량이 되도록 상기 풍량 제어부를 제어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3 모드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풍량을 상기 제1 풍량이 되도록 상기 풍량 제어부를 제어하는 모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와, 상기 공기 조화기가 위치한 장소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풍향 제어부를 통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 중 각각의 베인의 각도, 상기 공기 조화기에 설정된 온도, 및 상기 풍량 제어부를 통한 풍량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로 제어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각 베인의 각도, 상기 설정된 온도 및 상기 풍량을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조절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장치.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신호의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피사체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움직임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장치.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신호는, 상기 공기 조화기가 동작하는 총 동작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총 동작 시간을 복수의 시간들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시간들 중 각 시간에서 상기 각각의 베인의 각도, 상기 공기 조화기에 설정된 온도, 및 상기 피사체를 향하는 풍량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각 시간의 이전 시간과 다르게 제어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장치.
  19. 통신부, 풍량 제어부, 풍향 제어부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의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각도, 온도 및 풍량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로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로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공기 조화기가 미리 결정된 제1 시간 이후, 제1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를 동작시키고,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제1 모드로 동작시킨 후, 상기 제1 시간 이후의 제2 시간 동안 제2 모드 및 제3 모드를 순차적으로 반복 적용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를 동작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드는, 미리 결정된 제2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이 제1 각도 내에서 움직이고, 상기 미리 결정된 제2 시간 이후, 미리 결정된 제3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이 상기 제1 각도보다 큰 제2 각도 내에서 움직이고, 상기 미리 결정된 제3 시간 이후, 미리 결정된 제4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이 오토 스윙하도록 상기 풍향 제어부를 제어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제1 온도를 미리 결정된 온도만큼 높은 제2 온도로 조절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를 동작시키고, 제1 풍량보다 약한 제2 풍량이 되도록 상기 풍량 제어부를 제어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3 모드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풍량을 상기 제1 풍량이 되도록 상기 풍량 제어부를 제어하는 모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상기 풍향 제어부를 통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 중 각각의 베인의 각도, 상기 공기 조화기에 설정된 온도, 및 상기 풍량 제어부를 통한 풍량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로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1. 제20 항에 있어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상기 각 베인의 각도, 상기 설정된 온도 및 상기 풍량을 조절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과정은,
    상기 신호의 수신에 기반하여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피사체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움직임에 기반하여 상기 피사체가 졸고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3.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상기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총 동작 시간을 복수의 시간들로 분할하는 과정과,
    상기 분할된 시간들 중 각 시간에서 상기 각각의 베인의 각도, 상기 공기 조화기에 설정된 온도, 및 피사체를 향하는 풍량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각 시간의 이전 시간과 다르게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상기 분할된 복수의 시간들 중에서 제1 시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를 제1 온도로 동작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을 오토 스윙하도록 상기 풍향 제어부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을 상기 제1 시간 중 미리 결정된 제1 시간 동안 오토 스윙하도록 상기 풍향 제어부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상기 미리 결정된 제1 시간 이후, 제1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를 동작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풍량이 제1 풍량이 되도록 상기 풍량 제어부를 제어하고, 미리 결정된 제2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각도가 제1 각도가 되고, 상기 미리 결정된 제2 시간 이후, 미리 결정된 제3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각도가 상기 제1 각도보다 큰 제2 각도가 되고, 상기 미리 결정된 제3 시간 이후, 미리 결정된 제4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이 오토 스윙하도록 상기 풍향 제어부를 제어하는 모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상기 공기 조화기가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한 후, 상기 제1 시간 이후의 제2 시간 동안 제2 모드 및 제3 모드를 순차적으로 반복 적용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를 동작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온도를 상기 제1 온도보다 미리 결정된 온도만큼 높은 제2 온도로 조절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를 동작시키고, 상기 제1 풍량보다 약한 제2 풍량이 되도록 상기 풍량 제어부를 제어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3 모드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풍량을 상기 제1 풍량이 되도록 상기 풍량 제어부를 제어하는 모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상기 공기 조화기가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제2 모드 및 상기 제3 모드로 반복적으로 동작한 후, 상기 제2 시간 이후의 제3 시간 동안 상기 제1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를 동작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9.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상기 공기 조화기의 총 동작 시간 동안, 상기 제1 모드 내지 상기 제4 모드를 순차적으로 반복 적용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를 동작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200014227A 2020-02-06 2020-02-06 공기 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 Active KR102781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227A KR102781211B1 (ko) 2020-02-06 2020-02-06 공기 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17/016,684 US20210247095A1 (en) 2020-02-06 2020-09-10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CT/KR2020/018219 WO2021157843A1 (en) 2020-02-06 2020-12-14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1155282.3A EP3862647A3 (en) 2020-02-06 2021-02-04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227A KR102781211B1 (ko) 2020-02-06 2020-02-06 공기 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354A KR20210100354A (ko) 2021-08-17
KR102781211B1 true KR102781211B1 (ko) 2025-03-12

Family

ID=74553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227A Active KR102781211B1 (ko) 2020-02-06 2020-02-06 공기 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247095A1 (ko)
EP (1) EP3862647A3 (ko)
KR (1) KR102781211B1 (ko)
WO (1) WO20211578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10200B (zh) * 2020-02-26 2024-07-0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空调器的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40151414A1 (en) * 2021-04-27 2024-05-0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conditioning apparatus
KR20230015147A (ko) * 2021-07-22 2023-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30015146A (ko) * 2021-07-22 2023-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CN117628654B (zh) * 2023-11-29 2024-07-19 武汉本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温度调控系统的控制方法、装置及温度调控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953B1 (ko) * 2018-04-10 2019-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영역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공기 조화기, 클라우드 서버, 및 이들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07305B2 (ja) * 2001-12-28 2006-08-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4337427B2 (ja) * 2003-06-27 2009-09-3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KR101282035B1 (ko) * 2008-03-11 2013-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JP5312055B2 (ja) * 2009-01-07 2013-10-09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1086956B1 (ko) * 2009-04-14 2011-11-2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심박동을 이용한 pmv 기반 냉난방 제어 방법
JP5696307B2 (ja) * 2009-12-02 2015-04-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5729367B2 (ja) 2012-10-25 2015-06-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リンダヘッドの冷却構造
US20160071293A1 (en) 2013-05-14 2016-03-10 Koninklijke Philips N.V. Artifact-reduction for x-ray image reconstruction using a geometry-matched coordinate grid
WO2017207634A1 (en) * 2016-06-03 2017-12-07 Belimo Holding Ag Method and computer system for monitoring an hvac system
JP6821687B2 (ja) * 2016-09-12 2021-01-27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
JP6387173B1 (ja) * 2017-10-30 2018-09-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眠気推定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953B1 (ko) * 2018-04-10 2019-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영역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공기 조화기, 클라우드 서버, 및 이들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47095A1 (en) 2021-08-12
KR20210100354A (ko) 2021-08-17
EP3862647A2 (en) 2021-08-11
WO2021157843A1 (en) 2021-08-12
EP3862647A3 (en) 202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81211B1 (ko) 공기 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7013978B (zh) 空调室内机及其送风方法
EP2407728B1 (en) Air conditioner
CN108151150B (zh) 一种嵌入式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JP5300793B2 (ja) 空気調和機
CN101561174B (zh) 一种空调及其温度调控方法
CN103574853B (zh) 空气调节机
JP6739218B2 (ja) 空気調和機
JP6501973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WO2018190334A1 (ja) 空調装置、制御装置、空調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26569B2 (ja) 空気調和制御システム
JP2012026654A (ja) 空調機
CN109751737A (zh) 用于风管式空调器的控制方法、装置及风管式空调器
JPH1183113A (ja) 空気調和機
JP4592599B2 (ja) 空気調和機
JPH0749879B2 (ja) 空気調和装置
EP2868990A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WO2021181486A1 (ja) 空調システム、空調制御装置、空調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40060674A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er
JP2016145650A (ja) 空気調和機
JP7374227B2 (ja) 空調システム
KR200391777Y1 (ko) 공기조화 시스템
KR102306163B1 (ko) 천장형 에어컨의 베인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250172312A1 (en) Air conditioner for providing sleep mod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EP4153918B1 (en) Electrical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 control of an electrical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01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02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3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3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