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81211B1 - 공기 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81211B1 KR102781211B1 KR1020200014227A KR20200014227A KR102781211B1 KR 102781211 B1 KR102781211 B1 KR 102781211B1 KR 1020200014227 A KR1020200014227 A KR 1020200014227A KR 20200014227 A KR20200014227 A KR 20200014227A KR 102781211 B1 KR102781211 B1 KR 1027812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conditioner
- mode
- time
- vane
- win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8000009529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007 arousal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27940 Mood altered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978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10 mood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2—Position of occupa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4—Activity of occupa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통신부, 풍량 제어부, 풍향 제어부,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 상기 풍량 제어부, 및 상기 풍향 제어부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공기 조화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의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의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각도의 조절을 통한 풍향, 온도 및 풍량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로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와 이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공간을 복수의 가상 영역으로 정의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모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직접풍과 간접풍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베인각, 설정온도 및 풍량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개/폐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인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각 모드에서의 베인의 각도와 각 각도에서의 동작 시간을 서로 다른 값으로 설정한 예시도이다.
도 12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각 모드에서의 베인의 각도와 각 각도에서의 동작 시간을 서로 다른 값으로 설정한 이후의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집중력 향상 모드를 실행하기 전과 실행한 이후의 뇌파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320: 통신부 321: 온도측정 센서부
330: 풍량 제어부 340: 풍향 제어부
350: 통신부 360: 입력부
370: 저장부
Claims (29)
-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통신부;
풍량 제어부;
풍향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 상기 풍량 제어부, 및 상기 풍향 제어부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공기 조화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의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의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각도의 조절을 통한 풍향, 온도 및 풍량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로 제어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공기 조화기가 미리 결정된 제1 시간 이후, 제1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를 동작시키고,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제1 모드로 동작시킨 후, 상기 제1 시간 이후의 제2 시간 동안 제2 모드 및 제3 모드를 순차적으로 반복 적용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를 동작시키며,
상기 제1 모드는, 미리 결정된 제2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이 제1 각도 내에서 움직이고, 상기 미리 결정된 제2 시간 이후, 미리 결정된 제3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이 상기 제1 각도보다 큰 제2 각도 내에서 움직이고, 상기 미리 결정된 제3 시간 이후, 미리 결정된 제4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이 오토 스윙하도록 상기 풍향 제어부를 제어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제1 온도를 미리 결정된 온도만큼 높은 제2 온도로 조절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를 동작시키고, 제1 풍량보다 약한 제2 풍량이 되도록 상기 풍량 제어부를 제어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3 모드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풍량을 상기 제1 풍량이 되도록 상기 풍량 제어부를 제어하는 모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 제1 항에 있어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와, 상기 공기 조화기가 위치한 장소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풍향 제어부를 통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 중 각각의 베인의 각도, 상기 공기 조화기에 설정된 온도, 및 상기 풍량 제어부를 통한 풍량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로 제어하도록 설정된 공기 조화기.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상기 각 베인의 각도, 상기 설정된 온도 및 상기 풍량을 조절하도록 설정된 공기 조화기.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신호의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피사체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움직임에 기반하여 상기 피사체가 졸고 있는지 판단하도록 설정된 공기 조화기.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신호는, 상기 공기 조화기가 동작하는 총 동작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총 동작 시간을 복수의 시간들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시간들 중 각 시간에서 상기 각각의 베인의 각도, 상기 공기 조화기에 설정된 온도, 및 상기 피사체를 향하는 풍량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각 시간의 이전 시간과 다르게 제어하도록 설정된 공기 조화기.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분할된 복수의 시간들 중에서 제1 시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를 제1 온도로 동작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을 오토 스윙하도록 상기 풍향 제어부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공기 조화기.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을 상기 제1 시간 중 미리 결정된 제1 시간 동안 오토 스윙하도록 상기 풍향 제어부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공기 조화기.
- 삭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공기 조화기가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제2 모드 및 상기 제3 모드로 반복적으로 동작한 후, 상기 제2 시간 이후의 제3 시간 동안 상기 제1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를 동작시키도록 설정된 공기 조화기.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공기 조화기가 동작하는 총 동작 시간 동안, 상기 제1 모드 내지 상기 제3 모드를 순차적으로 반복 적용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를 동작시키도록 설정된 공기 조화기.
- 장치에 있어서,
통신부;
풍량 제어부;
풍향 제어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통신부, 상기 풍량 제어부, 상기 풍향 제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동작가능 하도록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공기 조화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의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의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각도, 온도 및 풍량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로 제어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가 동작되도록 하는 명령어들; 및
상기 공기 조화기가 미리 결정된 제1 시간 이후, 제1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를 동작시키고,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제1 모드로 동작시킨 후, 상기 제1 시간 이후의 제2 시간 동안 제2 모드 및 제3 모드를 순차적으로 반복 적용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를 동작시키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며,
상기 제1 모드는, 미리 결정된 제2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이 제1 각도 내에서 움직이고, 상기 미리 결정된 제2 시간 이후, 미리 결정된 제3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이 상기 제1 각도보다 큰 제2 각도 내에서 움직이고, 상기 미리 결정된 제3 시간 이후, 미리 결정된 제4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이 오토 스윙하도록 상기 풍향 제어부를 제어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제1 온도를 미리 결정된 온도만큼 높은 제2 온도로 조절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를 동작시키고, 제1 풍량보다 약한 제2 풍량이 되도록 상기 풍량 제어부를 제어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3 모드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풍량을 상기 제1 풍량이 되도록 상기 풍량 제어부를 제어하는 모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13 항에 있어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와, 상기 공기 조화기가 위치한 장소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장치.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풍향 제어부를 통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 중 각각의 베인의 각도, 상기 공기 조화기에 설정된 온도, 및 상기 풍량 제어부를 통한 풍량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로 제어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장치.
-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각 베인의 각도, 상기 설정된 온도 및 상기 풍량을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조절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장치.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신호의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피사체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움직임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장치.
-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신호는, 상기 공기 조화기가 동작하는 총 동작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총 동작 시간을 복수의 시간들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시간들 중 각 시간에서 상기 각각의 베인의 각도, 상기 공기 조화기에 설정된 온도, 및 상기 피사체를 향하는 풍량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각 시간의 이전 시간과 다르게 제어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장치.
- 통신부, 풍량 제어부, 풍향 제어부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의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각도, 온도 및 풍량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로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로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공기 조화기가 미리 결정된 제1 시간 이후, 제1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를 동작시키고,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제1 모드로 동작시킨 후, 상기 제1 시간 이후의 제2 시간 동안 제2 모드 및 제3 모드를 순차적으로 반복 적용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를 동작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드는, 미리 결정된 제2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이 제1 각도 내에서 움직이고, 상기 미리 결정된 제2 시간 이후, 미리 결정된 제3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이 상기 제1 각도보다 큰 제2 각도 내에서 움직이고, 상기 미리 결정된 제3 시간 이후, 미리 결정된 제4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이 오토 스윙하도록 상기 풍향 제어부를 제어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제1 온도를 미리 결정된 온도만큼 높은 제2 온도로 조절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를 동작시키고, 제1 풍량보다 약한 제2 풍량이 되도록 상기 풍량 제어부를 제어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3 모드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풍량을 상기 제1 풍량이 되도록 상기 풍량 제어부를 제어하는 모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상기 풍향 제어부를 통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 중 각각의 베인의 각도, 상기 공기 조화기에 설정된 온도, 및 상기 풍량 제어부를 통한 풍량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로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 제20 항에 있어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상기 각 베인의 각도, 상기 설정된 온도 및 상기 풍량을 조절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과정은,
상기 신호의 수신에 기반하여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피사체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움직임에 기반하여 상기 피사체가 졸고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상기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총 동작 시간을 복수의 시간들로 분할하는 과정과,
상기 분할된 시간들 중 각 시간에서 상기 각각의 베인의 각도, 상기 공기 조화기에 설정된 온도, 및 피사체를 향하는 풍량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각 시간의 이전 시간과 다르게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상기 분할된 복수의 시간들 중에서 제1 시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를 제1 온도로 동작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을 오토 스윙하도록 상기 풍향 제어부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을 상기 제1 시간 중 미리 결정된 제1 시간 동안 오토 스윙하도록 상기 풍향 제어부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상기 미리 결정된 제1 시간 이후, 제1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를 동작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풍량이 제1 풍량이 되도록 상기 풍량 제어부를 제어하고, 미리 결정된 제2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각도가 제1 각도가 되고, 상기 미리 결정된 제2 시간 이후, 미리 결정된 제3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각도가 상기 제1 각도보다 큰 제2 각도가 되고, 상기 미리 결정된 제3 시간 이후, 미리 결정된 제4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이 오토 스윙하도록 상기 풍향 제어부를 제어하는 모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상기 공기 조화기가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한 후, 상기 제1 시간 이후의 제2 시간 동안 제2 모드 및 제3 모드를 순차적으로 반복 적용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를 동작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온도를 상기 제1 온도보다 미리 결정된 온도만큼 높은 제2 온도로 조절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를 동작시키고, 상기 제1 풍량보다 약한 제2 풍량이 되도록 상기 풍량 제어부를 제어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3 모드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풍량을 상기 제1 풍량이 되도록 상기 풍량 제어부를 제어하는 모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상기 공기 조화기가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제2 모드 및 상기 제3 모드로 반복적으로 동작한 후, 상기 제2 시간 이후의 제3 시간 동안 상기 제1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를 동작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상기 공기 조화기의 총 동작 시간 동안, 상기 제1 모드 내지 상기 제4 모드를 순차적으로 반복 적용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를 동작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4227A KR102781211B1 (ko) | 2020-02-06 | 2020-02-06 | 공기 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US17/016,684 US20210247095A1 (en) | 2020-02-06 | 2020-09-10 |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PCT/KR2020/018219 WO2021157843A1 (en) | 2020-02-06 | 2020-12-14 |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EP21155282.3A EP3862647A3 (en) | 2020-02-06 | 2021-02-04 |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4227A KR102781211B1 (ko) | 2020-02-06 | 2020-02-06 | 공기 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00354A KR20210100354A (ko) | 2021-08-17 |
KR102781211B1 true KR102781211B1 (ko) | 2025-03-12 |
Family
ID=74553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14227A Active KR102781211B1 (ko) | 2020-02-06 | 2020-02-06 | 공기 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210247095A1 (ko) |
EP (1) | EP3862647A3 (ko) |
KR (1) | KR102781211B1 (ko) |
WO (1) | WO202115784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310200B (zh) * | 2020-02-26 | 2024-07-02 |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 空调器、空调器的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
US20240151414A1 (en) * | 2021-04-27 | 2024-05-09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Air-conditioning apparatus |
KR20230015147A (ko) * | 2021-07-22 | 2023-01-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
KR20230015146A (ko) * | 2021-07-22 | 2023-01-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
CN117628654B (zh) * | 2023-11-29 | 2024-07-19 | 武汉本物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温度调控系统的控制方法、装置及温度调控系统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0953B1 (ko) * | 2018-04-10 | 2019-11-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영역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공기 조화기, 클라우드 서버, 및 이들의 동작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807305B2 (ja) * | 2001-12-28 | 2006-08-09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空気調和機 |
JP4337427B2 (ja) * | 2003-06-27 | 2009-09-30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空気調和装置 |
KR101282035B1 (ko) * | 2008-03-11 | 2013-07-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
JP5312055B2 (ja) * | 2009-01-07 | 2013-10-09 | 三菱電機株式会社 | 空気調和システム |
KR101086956B1 (ko) * | 2009-04-14 | 2011-11-29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심박동을 이용한 pmv 기반 냉난방 제어 방법 |
JP5696307B2 (ja) * | 2009-12-02 | 2015-04-08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空気調和機 |
JP5729367B2 (ja) | 2012-10-25 | 2015-06-03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シリンダヘッドの冷却構造 |
US20160071293A1 (en) | 2013-05-14 | 2016-03-10 | Koninklijke Philips N.V. | Artifact-reduction for x-ray image reconstruction using a geometry-matched coordinate grid |
WO2017207634A1 (en) * | 2016-06-03 | 2017-12-07 | Belimo Holding Ag | Method and computer system for monitoring an hvac system |
JP6821687B2 (ja) * | 2016-09-12 | 2021-01-27 | 三菱電機株式会社 | 空気調和システム |
JP6387173B1 (ja) * | 2017-10-30 | 2018-09-05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眠気推定装置 |
-
2020
- 2020-02-06 KR KR1020200014227A patent/KR102781211B1/ko active Active
- 2020-09-10 US US17/016,684 patent/US2021024709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20-12-14 WO PCT/KR2020/018219 patent/WO2021157843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
- 2021-02-04 EP EP21155282.3A patent/EP3862647A3/en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0953B1 (ko) * | 2018-04-10 | 2019-11-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영역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공기 조화기, 클라우드 서버, 및 이들의 동작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10247095A1 (en) | 2021-08-12 |
KR20210100354A (ko) | 2021-08-17 |
EP3862647A2 (en) | 2021-08-11 |
WO2021157843A1 (en) | 2021-08-12 |
EP3862647A3 (en) | 2021-1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781211B1 (ko) | 공기 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
CN107013978B (zh) | 空调室内机及其送风方法 | |
EP2407728B1 (en) | Air conditioner | |
CN108151150B (zh) | 一种嵌入式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 |
JP5300793B2 (ja) | 空気調和機 | |
CN101561174B (zh) | 一种空调及其温度调控方法 | |
CN103574853B (zh) | 空气调节机 | |
JP6739218B2 (ja) | 空気調和機 | |
JP6501973B2 (ja) | 空気調和システム | |
WO2018190334A1 (ja) | 空調装置、制御装置、空調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7126569B2 (ja) | 空気調和制御システム | |
JP2012026654A (ja) | 空調機 | |
CN109751737A (zh) | 用于风管式空调器的控制方法、装置及风管式空调器 | |
JPH1183113A (ja) | 空気調和機 | |
JP4592599B2 (ja) | 空気調和機 | |
JPH0749879B2 (ja) | 空気調和装置 | |
EP2868990A1 (en) |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
WO2021181486A1 (ja) | 空調システム、空調制御装置、空調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US20240060674A1 (en) |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er | |
JP2016145650A (ja) | 空気調和機 | |
JP7374227B2 (ja) | 空調システム | |
KR200391777Y1 (ko) | 공기조화 시스템 | |
KR102306163B1 (ko) | 천장형 에어컨의 베인 제어 장치 및 방법 | |
US20250172312A1 (en) | Air conditioner for providing sleep mod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 |
EP4153918B1 (en) | Electrical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 control of an electrical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0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01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02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3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3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