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79452B1 - 정전 용량식 스위치 - Google Patents
정전 용량식 스위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79452B1 KR102779452B1 KR1020200085377A KR20200085377A KR102779452B1 KR 102779452 B1 KR102779452 B1 KR 102779452B1 KR 1020200085377 A KR1020200085377 A KR 1020200085377A KR 20200085377 A KR20200085377 A KR 20200085377A KR 102779452 B1 KR102779452 B1 KR 1027794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protrusion
- moving
- moving surface
- press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6—Measuring inductance or capacitance; Measuring quality factor, e.g. by using the resonance method; Measuring loss factor; Measuring dielectric constants ; Measuring impedance or related variables
- G01R27/2605—Measuring capacitan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5—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 H03K17/975—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using a capacitive movabl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Abstract
[해결 수단] 제1 전극(171) 및 제1 전극(171)과는 절연하여 배치된 제2 전극(172)으로 이루어진 고정 전극(17)과,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판으로 형성된 가동 전극(16)을 구비한다. 나아가,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부를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가동 전극(16)과 고정 전극(17)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는 러버 부재(11)를 구비한다. 가동 전극(16)은 제1 영역(P1)과 제2 영역(P2)를 구비하고, 돌기부는 러버 부재(11)의 제1 가압에 의해 변위하여 제1 영역(P1)을 고정 전극(17)에 접근시키는 중앙 돌기부(113)와, 제1 가압보다 큰 제2 가압에 의해 변위하여 제2 영역(P2)을 고정 전극(17)에 접근시키는 주위 돌기부(114)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도 2]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전 용량식 스위치에 사용되는 러버(rubber)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전 용량식 스위치에 사용되는 러버 부재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전 용량식 스위치에 사용되는 고정 전극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전 용량식 스위치에 사용되는 가동 전극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전 용량식 스위치에 사용되는 고정 전극 상에 가동 전극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전 용량식 스위치가 1 단계 째까지 조작되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전 용량식 스위치가 2 단계 째까지 조작되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 도 9는 정전 용량식 스위치를 일단 구조로 한 경우 및 이단 구조로 한 경우의 스트로크와 정전 용량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11: 러버 부재(가압 부재)
12: 플런저
13: 상부 하우징
14: 하부 하우징
15: 스페이서
16: 가동 전극(이동 부재)
17: 고정 전극(전극부)
18: 기판
20: 스페이스
111: 가압부
112: 지지 다리부(변형 부재)
113: 중앙 돌기부(제1 돌기부)
114: 주위 돌기부(제2 돌기부)
115: 러버 베이스
116: 하단면
121: 원통형부
122: 평판부
123: 다리부
131: 돌기
132: 상단 이면
141: 노치
161a: 컷아웃부
161b: 컷아웃부
161c: 컷아웃부
171: 제1 전극
172: 제2 전극
173: 공간부
p1: 곡선부
p2: 반원 형상부
P1: 제1 영역(제1 이동면)
P2: 제2 영역(제2 이동면)
q1: 스프링부(제1 탄력부)
q2: 스프링부(제2 탄력부)
Claims (5)
- 제1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절연하여 배치된 제2 전극으로 이루어진 전극부와,
도체 또는 유전체로 형성된 이동 부재와,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부를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이동 부재와 상기 전극부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는 가압 부재를 가지며,
상기 이동 부재는 제1 이동면 및 상기 제1 이동면과는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제2 이동면을 구비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가압 부재의 제1 가압에 의해 변위하여 상기 제1 이동면을 상기 전극부에 접근시키는 제1 돌기부와, 상기 제1 가압보다 큰 제2 가압에 의해 변위하여 상기 제2 이동면을 상기 전극부에 접근시키는 제2 돌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 부재는 평면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1 돌기부의 변위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상기 제1 이동면을 상기 전극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 탄력부와, 상기 제2 돌기부의 변위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상기 제2 이동면을 상기 전극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 탄력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식 스위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력부 및 제2 탄력부는 나선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식 스위치. - 제1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절연하여 배치된 제2 전극으로 이루어진 전극부와,
도체 또는 유전체로 형성된 이동 부재와,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부를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이동 부재와 상기 전극부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는 가압 부재를 가지며,
상기 이동 부재는 제1 이동면 및 상기 제1 이동면과는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제2 이동면을 구비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가압 부재의 제1 가압에 의해 변위하여 상기 제1 이동면을 상기 전극부에 접근시키는 제1 돌기부와, 상기 제1 가압보다 큰 제2 가압에 의해 변위하여 상기 제2 이동면을 상기 전극부에 접근시키는 제2 돌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압 부재는 가요성을 가지고 변형하는 변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돌기부는 상기 가압 부재의 평면에서 볼 때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 부재가 가압되지 않은 통상 시에는 상기 이동 부재와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1 가압 시에는 상기 변형 부재가 변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이동면에 접촉하며,
상기 제2 돌기부는 상기 가압 부재의 평면에서 볼 때의, 상기 제1 돌기부에서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통상 시에는 상기 이동 부재와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2 가압 시에는 상기 변형 부재가 변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이동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식 스위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기부는 상기 가압 부재의 평면에서 볼 때의, 상기 제1 돌기부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2 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식 스위치.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9210973A JP7366706B2 (ja) | 2019-11-22 | 2019-11-22 | 静電容量式スイッチ |
JPJP-P-2019-210973 | 2019-11-2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63204A KR20210063204A (ko) | 2021-06-01 |
KR102779452B1 true KR102779452B1 (ko) | 2025-03-12 |
Family
ID=75945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5377A Active KR102779452B1 (ko) | 2019-11-22 | 2020-07-10 | 정전 용량식 스위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1621710B2 (ko) |
JP (1) | JP7366706B2 (ko) |
KR (1) | KR102779452B1 (ko) |
CN (1) | CN112837958A (ko) |
TW (1) | TWI840611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866491B (zh) * | 2023-09-22 | 2024-12-11 | 康忠輝 | 電容式開關裝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73068A (ja) * | 2005-12-22 | 2007-07-05 | Tokai Rika Co Ltd | スイッチ装置 |
WO2012153587A1 (ja) | 2011-05-10 | 2012-11-15 | 株式会社コバック | 2段式スイッチ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49111174A (ko) * | 1973-02-23 | 1974-10-23 | ||
US4408252A (en) * | 1982-02-16 | 1983-10-04 |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 Low profile keyboard switch |
US4584444A (en) * | 1984-09-21 | 1986-04-22 | Topre Corporation | Keyboard switch |
US4736076A (en) * | 1986-03-27 | 1988-04-05 |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 Capacitance switching device for keyboard |
JP2003282359A (ja) * | 2002-03-25 | 2003-10-03 | Murata Mfg Co Ltd | 可変容量素子 |
CN1310374C (zh) * | 2003-09-08 | 2007-04-11 | 株式会社村田制作所 | 可变电容元件 |
KR100952905B1 (ko) * | 2007-10-23 | 2010-04-16 | 에이디반도체(주) | 정전용량 스위치 모듈 |
JP2011175839A (ja) | 2010-02-24 | 2011-09-08 | Shin Etsu Polymer Co Ltd | 静電容量検出スイッチ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
JP5716135B2 (ja) * | 2012-06-12 | 2015-05-13 | 株式会社フジクラ | 入力装置 |
JP6309498B2 (ja) * | 2015-09-11 | 2018-04-11 | 株式会社鷺宮製作所 | 静電容量検出式圧力スイッチ及び圧力センサ |
-
2019
- 2019-11-22 JP JP2019210973A patent/JP7366706B2/ja active Active
-
2020
- 2020-07-10 KR KR1020200085377A patent/KR102779452B1/ko active Active
- 2020-08-26 US US17/003,897 patent/US11621710B2/en active Active
- 2020-09-15 TW TW109131619A patent/TWI840611B/zh active
- 2020-09-17 CN CN202010981061.6A patent/CN112837958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73068A (ja) * | 2005-12-22 | 2007-07-05 | Tokai Rika Co Ltd | スイッチ装置 |
WO2012153587A1 (ja) | 2011-05-10 | 2012-11-15 | 株式会社コバック | 2段式スイッチ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1082543A (ja) | 2021-05-27 |
US20210159900A1 (en) | 2021-05-27 |
US11621710B2 (en) | 2023-04-04 |
CN112837958A (zh) | 2021-05-25 |
KR20210063204A (ko) | 2021-06-01 |
JP7366706B2 (ja) | 2023-10-23 |
TWI840611B (zh) | 2024-05-01 |
TW202121150A (zh) | 2021-06-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66813B2 (en) | Multistep switch having capacitive type sensor | |
JP5415970B2 (ja) | スイッチ機構並びに入力装置 | |
CN105847499B (zh) | 电子装置的埋入式按键 | |
KR100986954B1 (ko) | 방향 검지 스위치 | |
JP2004006095A (ja) | スイッチ | |
EP1310967A2 (en) | Input device which varies output value in accordance with pressing force | |
KR102779452B1 (ko) | 정전 용량식 스위치 | |
US9715976B2 (en) | Keyboard device | |
JP2002107245A (ja) | 力検出装置 | |
JP4169130B2 (ja) | 方向検知スイッチにおける操作キーの操作方向判定方法 | |
KR102251234B1 (ko) | 스트로크 거리가 증가된 포스 센서 스위치 | |
JP7422560B2 (ja) | 静電容量式スイッチ | |
JP3842016B2 (ja) | 入力装置 | |
JP7369206B2 (ja) | プッシュスイッチの押圧機構、及び、プッシュスイッチ | |
KR101713861B1 (ko) |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 |
JPH0883532A (ja) | キースイッチのラバースプリング | |
KR102187092B1 (ko) | 포스 센서 스위치를 이용한 제스처 감지 장치 | |
EP4278436A1 (en) | Haptic button assembly and a keypad containing such button assembly | |
JP3923789B2 (ja) | 多方向入力装置 | |
JP2017123229A (ja) | プッシュスイッチおよび入力装置 | |
JP2000173397A (ja) | スイッチ装置 | |
JP2003131800A (ja) | 座標入力装置 | |
KR20160088230A (ko) | 박형 키보드 누름 구조체 | |
JP6230119B2 (ja) | 入力装置 | |
JP2022182190A (ja) | スイッ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1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05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07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25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