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3861B1 -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 Google Patents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13861B1 KR101713861B1 KR1020150187496A KR20150187496A KR101713861B1 KR 101713861 B1 KR101713861 B1 KR 101713861B1 KR 1020150187496 A KR1020150187496 A KR 1020150187496A KR 20150187496 A KR20150187496 A KR 20150187496A KR 101713861 B1 KR101713861 B1 KR 1017138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eycap
- outer frame
- connection
- circuit board
- fra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60 trigge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676 Phragmites commu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프레임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프레임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프레임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박형 키보드 구조체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로서 눌린 상태의 키캡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로서 눌린 상태의 키캡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박형 키보드 구조체의 분해도이다.
Claims (18)
- 키보드 커맨드를 생성하도록 각각이 접촉을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트리거부들을 구비하는 회로 기판; 및
회로 기판 위에 적층되고, 일체로 형성되는 외부 프레임과, 복수의 내부 프레임들과, 복수의 키캡들을 구비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외부 프레임은 트리거부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홀딩 영역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키캡은 하나의 트리거부에 대응하는 하나의 홀딩 영역에 배치되며,
외부 프레임과 키캡은 하나의 내부 프레임에 의해 연결되고,
각각의 내부 프레임은 외부 프레임에 연결되는 둘 이상의 제1 연결부들과 키캡에 연결되는 둘 이상의 제2 연결부들을 구비하며,
각각의 제1 연결부와 각각의 제2 연결부는 키캡이 트리거부로 이동할 경우 변형 탄성력을 생성하는 지지부에 의해 연결되고,
지지부는 절곡부와, 제1 연결부 및 절곡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연결 섹션과, 제2 연결부 및 절곡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연결 섹션을 포함하며,
홀딩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연결부는 제1 연결부보다 더 높은 높이에 위치하고, 절곡부는 제1 연결부보다 더 낮거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 제1 항에 있어서,
키캡들은 홀딩 영역들에서 수평 또는 수직으로 고정되고,
프레임은 두 개의 인접한 홀딩 영역들을 연결하도록 지지 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 제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 연결부는 외부 프레임과 제1 연결부의 교차점으로부터 지지부를 향하여 그 폭이 점점 증가하도록 형성되며,
각각의 제2 연결부는 지지부와 제2 연결부의 교차점으로부터 키캡과의 교차점을 향하여 그 폭이 점점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 제1 항에 있어서,
각각의 키캡과 회로 기판 사이에는 회로 기판에 대한 키캡의 운동을 보조하도록 탄성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운동 간격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 제4 항에 있어서,
각각의 트리거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주 트리거 스위치와 복수의 부 트리거 스위치들을 구비하며,
각각의 탄성 지지 부재는 주 트리거 스위치 및 부 트리거 스위치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접촉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 제1 항에 있어서,
제2 연결 섹션은 만곡된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 키보드 커맨드를 생성하도록 각각이 접촉을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트리거부들을 구비하는 회로 기판; 및
회로 기판 위에 적층되고, 일체로 형성되는 외부 프레임과, 복수의 내부 프레임들과, 복수의 키캡들을 구비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외부 프레임은 트리거부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홀딩 영역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키캡은 하나의 트리거부에 대응하는 하나의 홀딩 영역에 배치되며,
외부 프레임과 키캡은 하나의 내부 프레임에 의해 연결되고,
각각의 내부 프레임은 외부 프레임에 연결되는 둘 이상의 제1 연결부들과 키캡에 연결되는 둘 이상의 제2 연결부들을 구비하며,
각각의 제1 연결부와 각각의 제2 연결부는 키캡이 트리거부로 이동할 경우 변형 탄성력을 생성하는 지지부에 의해 연결되고,
지지부는 절곡부와, 제1 연결부 및 절곡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연결 섹션과, 제2 연결부 및 절곡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연결 섹션을 포함하며,
홀딩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연결부는 제1 연결부보다 더 높거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절곡부는 제2 연결부보다 더 낮은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 제7 항에 있어서,
키캡들은 홀딩 영역들에서 수평 또는 수직으로 고정되고,
프레임은 두 개의 인접한 홀딩 영역들을 연결하도록 지지 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 제7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 연결부는 외부 프레임과 제1 연결부의 교차점으로부터 지지부를 향하여 그 폭이 점점 증가하도록 형성되며,
각각의 제2 연결부는 지지부와 제2 연결부의 교차점으로부터 키캡과의 교차점을 향하여 그 폭이 점점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 제7 항에 있어서,
각각의 키캡과 회로 기판 사이에는 회로 기판에 대한 키캡의 운동을 보조하도록 탄성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운동 간격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 제10 항에 있어서,
각각의 트리거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주 트리거 스위치와 복수의 부 트리거 스위치들을 구비하며,
각각의 탄성 지지 부재는 주 트리거 스위치 및 부 트리거 스위치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접촉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 제7 항에 있어서,
제2 연결 섹션은 만곡된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 키보드 커맨드를 생성하도록 각각이 접촉을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트리거부들을 구비하는 회로 기판; 및
회로 기판 위에 적층되고, 일체로 형성되는 외부 프레임과, 복수의 내부 프레임들과, 복수의 키캡들을 구비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외부 프레임은 트리거부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홀딩 영역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키캡은 하나의 트리거부에 대응하는 하나의 홀딩 영역에 배치되며,
외부 프레임과 키캡은 하나의 내부 프레임에 의해 연결되고,
각각의 내부 프레임은 외부 프레임에 연결되는 둘 이상의 제1 연결부들과 키캡에 연결되는 둘 이상의 제2 연결부들을 구비하며,
각각의 제1 연결부와 각각의 제2 연결부는 키캡이 트리거부로 이동할 경우 변형 탄성력을 생성하는 지지부에 의해 연결되고,
지지부는 절곡부와, 제1 연결부 및 절곡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연결 섹션과, 제2 연결부 및 절곡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연결 섹션을 포함하며,
홀딩 영역에 배치되는 내부 프레임은, 제2 연결부가 절곡부보다 더 높거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절곡부가 제1 연결부보다 더 높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순서로 높이 변화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 제13 항에 있어서,
키캡들은 홀딩 영역들에서 수평 또는 수직으로 고정되고,
프레임은 두 개의 인접한 홀딩 영역들을 연결하도록 지지 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 제13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 연결부는 외부 프레임과 제1 연결부의 교차점으로부터 지지부를 향하여 그 폭이 점점 증가하도록 형성되며,
각각의 제2 연결부는 지지부와 제2 연결부의 교차점으로부터 키캡과의 교차점을 향하여 그 폭이 점점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 제13 항에 있어서,
각각의 키캡과 회로 기판 사이에는 회로 기판에 대한 키캡의 운동을 보조하도록 탄성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운동 간격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 제16 항에 있어서,
각각의 트리거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주 트리거 스위치와 복수의 부 트리거 스위치들을 구비하며,
각각의 탄성 지지 부재는 주 트리거 스위치 및 부 트리거 스위치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접촉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 제13 항에 있어서,
제2 연결 섹션은 만곡된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TW104101295A TWI536418B (zh) | 2015-01-15 | 2015-01-15 | The instruction of the thin keyboard triggers the structure |
TW104101295 | 2015-01-1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8231A KR20160088231A (ko) | 2016-07-25 |
KR101713861B1 true KR101713861B1 (ko) | 2017-03-09 |
Family
ID=56616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87496A Expired - Fee Related KR101713861B1 (ko) | 2015-01-15 | 2015-12-28 |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713861B1 (ko) |
TW (1) | TWI536418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46756A (ko) * | 2021-09-30 | 2023-04-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키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3204549U (zh) | 2013-03-27 | 2013-09-18 | 新巨企业股份有限公司 | 薄形键盘的指令产生结构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82003A (ja) * | 1989-12-08 | 1991-08-08 | Tokyo Electric Co Ltd | 照明器具 |
TWI220213B (en) | 2003-03-04 | 2004-08-11 | Darfon Electronics Corp | Keyboard structure |
TWI434979B (zh) | 2010-06-09 | 2014-04-21 | Tse Shan Hsu | 保護裝置及其安裝方法 |
TWI445471B (zh) | 2011-12-08 | 2014-07-11 | Unimicron Technology Corp | 線路板及其製作方法 |
-
2015
- 2015-01-15 TW TW104101295A patent/TWI536418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5-12-28 KR KR1020150187496A patent/KR101713861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3204549U (zh) | 2013-03-27 | 2013-09-18 | 新巨企业股份有限公司 | 薄形键盘的指令产生结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8231A (ko) | 2016-07-25 |
TW201626417A (zh) | 2016-07-16 |
TWI536418B (zh) | 2016-06-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005392B1 (en) | Low travel switch assembly | |
US9715978B2 (en) | Low travel switch assembly | |
US8212167B2 (en) | Depressible key structure | |
CN204360974U (zh) | 按键结构 | |
US8710383B2 (en) | Thin film switch and press key/keyboard using the same | |
CN108346539A (zh) | 具有按压段落感的薄型键盘 | |
JPH08124453A (ja) | キースイッチ | |
US11670465B2 (en) | Key structure | |
US9715976B2 (en) | Keyboard device | |
US9236206B1 (en) | Thin keyboard command trigger structure | |
KR101713861B1 (ko) |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 |
CN110364383B (zh) | 可平衡下压的发声键盘开关 | |
KR101808220B1 (ko) | 박형 키보드 누름 구조체 | |
US9368299B1 (en) | Thin keyboard having keycaps including integrated inner frames | |
TWM482153U (zh) | 按鍵結構 | |
TWI687845B (zh) | 鍵盤裝置及其按鍵結構 | |
JP7369206B2 (ja) | プッシュスイッチの押圧機構、及び、プッシュスイッチ | |
CN105990064B (zh) | 薄型键盘的指令触发结构 | |
JP5890923B1 (ja) | 薄型キーボードのコマンドトリガ構成 | |
CN105990061B (zh) | 薄型键盘的按压结构 | |
TW202338879A (zh) | 鍵盤裝置及其按鍵結構 | |
US20120160656A1 (en) | Keyboard with eccentrical triggering mechanism | |
CN108565162B (zh) | 弹性接触件及输入装置 | |
CN106847596A (zh) | 按键连接模块及具有该按键连接模块的键盘 | |
KR101711548B1 (ko) | 다지점 누름 위치를 구비하는 키보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