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78999B1 - 플로팅 b2b 커넥터의 리셉터클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로팅 b2b 커넥터의 리셉터클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78999B1
KR102778999B1 KR1020190113695A KR20190113695A KR102778999B1 KR 102778999 B1 KR102778999 B1 KR 102778999B1 KR 1020190113695 A KR1020190113695 A KR 1020190113695A KR 20190113695 A KR20190113695 A KR 20190113695A KR 102778999 B1 KR102778999 B1 KR 102778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receptacle
floating
insertion groove
body pa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9557A (ko
Inventor
박수환
이수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39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9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78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7899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45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strain relief being achieved by molding parts around cable an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플로팅 B2B 커넥터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는, 바(bar) 형상의 제1 몸체부(111), 상기 제1 몸체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 삽입부(113) 및 상기 제1 삽입부(113)의 삽입면에 형성되는 삽입홈(112)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receptacle insulator, 110); 및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10)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 몸체부(111)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 몸체부(141) 및 상기 제1 삽입부(113)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 삽입부(143)를 포함하는 커버쉘(cover shell, 14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부(111) 및 제2 몸체부(141)를 결합하여 몸체부(10)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삽입부(113) 및 제2 삽입부(143)를 결합하여 삽입부(20)를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로팅 B2B 커넥터의 리셉터클 커넥터 {receptacle connector for floating board to board connector}
본 출원은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로팅(floating) B2B(board to board) 커넥터로 사용할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기판용 커넥터는 PCB(printed circuit board)나 도선이 패터닝된 전자 요소(electronic component)들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B2B 커넥터(board to board connector)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는데,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 각각은 서로 다른 기판에 연결되며,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결합됨으로써, 서로 다른 기판을 통한 신호의 전달이 가능해질 수 있다.
종래에는 기판 사이의 RF(Radio Frequency) 연결을 위하여 원형의 동축 커넥터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동축 커넥터의 경우 암형과 수형을 정합한 후 원통형의 스크류를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고정시키므로, 암형과 수형을 정확하게 위치하지 않으면 신호가 연결되지 않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실질적인 제조 공차에 대한 오차가 허용되지 않아 제조공정 상 어려움이 있었으며, 원통형의 스크류의 경우 반복적인 사용에 따라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미국 등록특허 8,989,042에서는 스퀘어 형태의 RF 커넥터가 제안되었다. 즉, 도9 및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80)에 플러그 커넥터(60)를 삽입하는 형태로 RF 연결을 구현하였으므로, 기존의 동축 커넥터를 이용하는 방식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미국 등록특허 8,989,042에서 제안하고 있는 스퀘어 형태의 RF 커넥터의 경우, 리셉터클 커넥터(80)와 플러그 커넥터(60)의 4면이 직접 접촉하고 있으므로, 진동에 취약한 단점이 존재한다. 즉, 커넥터에 진동이나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쉽게 파손될 위험이 존재하므로 차량용 커넥터 등으로 활용하기에는 어려운 단점이 존재한다.
본 출원은, 진동이나 외부충격에 강인한 플로팅 B2B 커넥터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은, 체결이 용이하면서도 충분한 플로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플로팅 B2B 커넥터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는, 플로팅 B2B 커넥터(Floating Board to Board Connector)에 관한 것으로, 바(bar) 형상의 제1 몸체부(111), 상기 제1 몸체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 삽입부(113) 및 상기 제1 삽입부(113)의 삽입면에 형성되는 삽입홈(112)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receptacle insulator, 110) 및, 상기 제1 몸체부(111)에 대응하여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10)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결합하는 제2 몸체부(141) 및 상기 제1 삽입부(113)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 삽입부(143)를 포함하는 커버쉘(cover shell, 140)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1 삽입부(113)는 상기 삽입홈(112) 내부로 돌출되는 돌기부(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몸체부(111) 및 제2 몸체부(141)를 결합하여 몸체부(10)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삽입부(113) 및 제2 삽입부(143)를 결합하여 삽입부(20)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삽입부(113)는 상기 삽입면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112)에 삽입되는 상대물을 지지하는 돌출지지면(A1); 상기 돌출지지면(A1)으로부터 연결되며, 상기 삽입홈(112) 방향으로 휘어진 경사면을 가지는 돌출가이드면(A2); 및 상기 돌출가이드면(A2)으로부터 연결되며, 상기 삽입홈(112) 내에 위치하는 돌기부(A)까지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평탄면을 형성하는 돌출걸림부면(A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삽입부(143)는 상기 제1 삽입부(113)의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결합하여, 상기 커버쉘(140)을 상기 제1 삽입부(113)에 고정시키는 복수의 결합편(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편(B)은 상기 돌출지지면(A1) 상에 위치하는 결합지지면(B1); 상기 결합지지면(B1)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삽입홈(112) 방향으로 휘어진 경사면을 가지는 결합가이드면(B2); 및 상기 결합가이드면(B2)으로부터 연장되며, 길이방향과 평행한 평탄면을 형성하며, 상기 돌출걸림부면(A3)에 고정되는 결합걸림부면(B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홈(112)은, 상기 돌기부(A)에 의하여, 상기 삽입홈(112)의 입구 단면적이 상기 삽입홈(112) 내 형성되는 내부공간의 단면적보다 좁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홈(112) 내의 내부공간 내에 플러그 커넥터(200)가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의 삽입시,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와 상기 삽입홈(112) 사이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의 변위를 위한 플로팅(floating)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는 삽입부(210)와 몸체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과의 체결시 상기 삽입부(210)부터 상기 삽입홈(112)으로 삽입되며, 상기 삽입부(210)는 상기 몸체부(220) 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셉터클과 상기 플러그의 결합시, 상기 리셉터클의 몸체부(10)와 플러그의 삽입부(210)과의 간격(X)과 상기 리셉터클의 삽입부(20)와 플러그 몸체부(220)와의 간격(Y)을 이용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의 변위를 위한 플로팅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플로팅 구간(f)의 가동범위는 상기 간격(X)와 상기 간격(Y)중에서, 더 작은 값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삽입홈(112) 내에 복수개 위치하며, 속이 빈 다각기둥 또는 원통 형상의 이너쉘(inner shell, 120); 및 상기 이너쉘(120) 내에 각각 포함되며,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시 전기적 접점을 형성하는 컨텍트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 쉘(140)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와의 접촉을 위해 돌출되는 접촉돌기(1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로팅 B2B 커넥터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의하면, 상대물과의 체결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충분한 플로팅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로팅 B2B 커넥터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플로팅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진동이나 외부충격에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접점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차량용 RF(Radio Frequency) 커넥터의 리셉터클로 활용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로팅 B2B 커넥터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로팅 B2B 커넥터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버 쉘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버 쉘의 삽입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로팅 B2B 커넥터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로팅 B2B 커넥터의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결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9 및 도10은 종래의 스퀘어 형태의 RF 커넥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로팅 B2B 커넥터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로팅 B2B 커넥터의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 100)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receptacle insulator, 110), 이너쉘(inner shell, 120), 컨텍트부(130) 및 커버 쉘(cover shell, 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로팅 B2B 커넥터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로팅 B2B 커넥터(Floating Board to Board Connector)는 서로 다른 기판에 연결된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를 포함하며, 플러그 커넥터(200)와 리셉터클 커넥터(100)가 결합되며 전기적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8을 참조하면, 플로팅 B2B 커넥터(Floating Board to Board Connector)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플러그 커넥터(200)가 삽입되면서 결합되고,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부(130)와 플러그 커넥터(200)의 플러그 컨택트부가 접속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도 1과 도 2를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인슐레이터(receptacle insulator, 110) 및 커버쉘(cover shell, 140)을 포함할 수 있다.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10)는 너비와 길이 및 폭(두께)을 가지는 바(bar) 형상의 제1 몸체부(111), 제1 몸체부(111)의 길이방향의 일단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 삽입부(113) 및 제1 삽입부(113)의 길이방향 측 일면인 삽입면에서 제1 몸체부(111)의 내부로 형성되는 삽입홈(112)을 포함하고, 삽입홈(112) 내에 복수의 컨택트부(1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삽입부(113)는 내주면을 따라 삽입홈(112)의 내부로 돌출되는 돌기부(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쉘(140)은 제1 몸체부(111)에 대응하여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10)의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결합하는 제2 몸체부(141) 및, 제1 삽입부(113)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 삽입부(143)를 포함하고, 제2 몸체부(141)의 길이방향 일단을 따라 탄성 재질의 접촉돌기(145)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구조에 따라, 도 8을 참조하면, 제1 삽입부(113)의 삽입면을 통해 삽입홈(112) 내의 내부공간으로 플러그 커넥터(20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플러그 커넥터(200)는 접촉돌기(145)와 접촉하며 지지되고, 플러그 커넥터(200)와 삽입홈(112)의 내주면 사이에는 플러그 커넥터(200)의 변위를 위한 플로팅(floating)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B2B 커넥터의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플러그 커넥터(200)와 삽입홈(112)의 내주면 사이에 플러그 커넥터(200)의 변위를 위한 플로팅(floating) 간격(X, Y ; 도8)을 형성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200)와의 체결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충분한 플로팅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플로팅(floating) 간격(X, Y ; 도8)을 통해 진동이나 외부충격에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접점을 유지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몸체부(10)와 삽입부(20)로 구별할 수 있다. 몸체부(10)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부(20)는 몸체부(10)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0)에는 플러그 커넥터(미도시)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10)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10)의 제1 몸체부(111)와 커버 쉘(140)의 제2 몸체부(141)을 결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삽입부(20)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10)의 제1 삽입부(113)와 커버쉘(140)의 제2 삽입부(143)을 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부(20)는 길이 L, 두께 D를 가질 수 있으며, 몸체부(10)와 비교할 때 길이는 짧고 두께는 두꺼울 수 있다.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10)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소재로 구현할 수 있으며, 내부에 플러그 커넥터(미도시) 등 상대물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11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10)의 삽입홈(112)은 입구의 면적이 좁고 삽입홈(112) 내부의 내부공간의 면적은 상대적으로 넓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플러그 커넥터 등을 삽입홈(112) 내에 삽입하는 경우, 입구를 타이트하게 통과할 수 있으며, 이후 내부공간 내에서는 상대적으로 공간상의 여유가 있을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10)는 제1 몸체부(111), 삽입홈(112) 및 제1 삽입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부(111)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삽입부(113)는 제1 몸체부(111)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삽입부(113)는 도 2에서와 같이 제1 몸체부(111)의 길이방향의 일단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삽입면은 상대물(플러그 커넥터(200))이 삽입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것으로 제1 삽입부(113)의 길이방향 측 일면일 수 있으며, 상대물인 플러그 커넥터(200)는 도 8에서와 같이 삽입면부터 삽입될 수 있다. 삽입홈(112)은 제1 삽입부(113)의 삽입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삽입홈(112)은 제1 삽입부(133)의 길이방향 측 일면인 삽입면에서 제1 몸체부(111)의 내부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12)은 삽입면 상에 플러그 커넥터 등의 상대물이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홈(112)의 단면적은 일정한 크기와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이후, 삽입홈(112) 내에는 이너쉘(120) 및 컨텍트부(13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삽입부(113)의 삽입면을 통해 삽입홈(112) 내의 내부공간으로 플러그 커넥터(200)가 삽입될 수 있다.
제1 삽입부(113)는 내주면을 따라 삽입홈(112) 내부로 돌출되는 돌기부(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삽입부(113)와 제1 몸체부(111)는 돌기부(A)의 위치를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도3을 참조하면, 제1 삽입부(113)는 돌출지지면(A1), 돌출가이드면(A2) 및 돌출걸림부면(A3)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지지면(A1)은 삽입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홈(112)에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미도시) 등 상대물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지지면(A1)에는 커버 쉘(140)과의 결합을 위한 가이드부(G1, G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G1, G2)는 제1 삽입부(113)의 삽입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삽입부(143)의 결합편(B)이 제1 삽입부(113) 상에 고정되도록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G1, G2)는 위치가이드부(G1) 및 고정용돌기(G2)로 구별할 수 있다.
위치가이드부(G1)는 결합편(B)이 삽입되는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용돌기(G2)는 위치가이드부(G1)의 양단에 위치하여 결합편(B)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위치가이드부(G1)에 의하여 커버쉘(143)이 셀프얼라인(self align)될 수 있다.
돌출가이드면(A2)은 돌출지지면(A1)으로부터 연결되는 것으로, 삽입홈 방향으로 휘어진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즉, 돌출가이드면(A2)은 경사면으로 형성되므로, 삽입홈(112) 내에 삽입되는 상대물들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돌출걸림부면(A3)은 돌출가이드면(A2)으로부터 연결되며, 삽입홈(112) 내에 위치하는 돌기부(A)까지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돌출걸림부면(A3)은, 커버 쉘(140)의 결합시 결합편(B)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부(20)에 의하여, 삽입구의 단면적이 삽입홈(112) 내 형성되는 내부공간의 단면적보다 좁아질 수 있다. 즉, 삽입부(20)를 이용하여, 입구는 좁고 내부공간은 넓은 형상의 리셉터클 커넥터(100)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입구의 크기는 삽입부(20)의 두께(D)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너쉘(120)은 도전성 재질로 구현할 수 있으며, 복수의 이너쉘(120)들이 삽입홈(112)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너쉘(120)은 속이 빈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다각기둥 또는 원통형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너쉘(120)은 도전성 재질로 구현되므로, 이너쉘(120) 내부에 포함되는 컨텍트부(130)에 대한 전자기 차폐(electromagnetic shield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너쉘(120)은 삽입홈(112) 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일단이 삽입홈(112)의 바닥면이 고정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너쉘(120)은 속이 빈 다각기둥 또는 원통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삽입홈(112)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개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10)의 삽입홈(112)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컨텍트부(130)는 이너쉘(120) 내에 각각 포함될 수 있으며,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100) 내에 삽입되는 경우, 플러그 커넥터와 전기적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컨텍트부(130)는 몸체부(111)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텍트부(130)는 이너쉘(120) 내에서 일측으로 밀착되도록 조립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너쉘(120) 내부에는 빈 공간(S)이 형성될 수 있으며, 플러그 커넥터의 컨텍트부가 상기 빈 공간(S) 내에 삽입되어 컨텍트부(130)와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컨텍트부(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RF(Radio Frequency) 신호용 단자로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텍트부(130)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텍트핀(131)과 몰딩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텍트핀(131)은 금속 등 도전성 재질로 구현된 선형의 금속 핀일 수 있으며, 몰딩부(132)는 컨텍트핀(131)을 감싸도록 형성된 인슐레이터(insulator)일 수 있다. 이너쉘(120)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므로,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컨텍트핀(131)이 이너쉘(120)과 접촉하는 경우, 누전이나 단락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몰딩부(132)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텍트핀(131)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컨텍트핀(131)을 이너셀(120)로부터 절연시킬 수 있다. 다만,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100)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에는 컨텍트핀(131)이 전기적 접점을 형성할 필요가 있으므로, 몰딩부(132)는 컨텍트핀(131)이 노출되는 접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즉, 컨텍트부(130)는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하는 경우, 접촉부를 통하여 전기적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몰딩부(132)는 이너쉘(120) 내의 일측에 밀착하도록 조립될 수 있으며, 컨텍트핀(131)은 몰딩부(132)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커버 쉘(140)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10)의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2에서는 상부커버가 하부커버의 2개의 부재를 결합하여 커버쉘(140)을 형성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외에도 커버 쉘(140)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재를 결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커버 쉘(140)은 금속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결합되어,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10)를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10)는 가공이 용이한 플라스틱 등을 사출성형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이는 강도가 약하므로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파손될 위험이 크다. 따라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10)를 보호하기 위하여, 커버 쉘(140)을 플러그 인슐레이터(110)의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추가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 쉘(140)은 접지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플러그 커넥터의 커버 쉘과도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2를 참조하면, 커버 쉘(140)은 제1 몸체부(111)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 몸체부(141)와, 제1 삽입부(113)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 삽입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4 내지 도6을 참조하면, 제2 삽입부(143)는 커버쉘(140)을 제1 삽입부(113)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복수개 결합편(B)으로 나뉠 수 있으며, 각각의 결합편(B)들은 복수의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삽입부(143)는 제1 삽입부(113)의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결합하는데, 커버쉘(140)을 제1 삽입부(113)에 고정시키도록, 제2 몸체부(141)의 길이방향 일단을 따라 돌출되게 복수의 결합편(B)을 형성하며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편(B)들은 결합지지면(B1), 결합가이드면(B2) 및 결합걸림부면(B3)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지지면(B1)은 돌출지지면(A1)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삽입홈(112)에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미도시) 등 상대물을 지지할 수 있다.
결합가이드면(B2)은 결합지지면(B1)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삽입홈(112) 방향으로 휘어진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즉, 결합가이드면(B2)은 경사면으로 형성되므로, 삽입홈(112) 내에 삽입되는 상대물들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결합걸림부면(B3)은 결합가이드면(B2)으로부터 연장되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걸림부면(B3)은, 돌출걸림부면(A3)에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편(B)은 너비방향에 위치하는 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커버 쉘(140)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와의 접촉을 위해 돌출되는 접촉돌기(14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홈(112)에 삽입되는 경우, 커버 쉘(140)은 접촉돌기(145)를 이용하여 플러그 커넥터와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부 커버 쉘(140)과 하부 커버 쉘(140)에 각각 2개의 접촉돌기(145)를 구비하여, 총 4개의 지점에서 플러그 커넥터와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의 결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여기서, 도8(a)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00) 내에 플러그 커넥터(200)를 삽입할 수 있으며, 이 경우 B-B 단면은 도8(b)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플로팅 B2B 커넥터의 경우, 커넥터를 플로팅시키기 위해 리셉터클 커넥터의 삽입홈 내에 플로팅 간격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로팅 간격에 의해 삽입홈의 개구가 넓어지게 되므로, 작업자는 체결시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 상에 정확하게 정렬되었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확히 정렬되지 않은 상태에서 체결을 시도하는 경우에는, 충돌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나 플러그 커넥터 등이 파손될 위험도 존재한다.
반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00)의 삽입부(210)가 타이트하게 삽입되도록, 삽입구의 크기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플러그 커넥터(200)가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삽입구 상에 정확하게 위치하지 않으면 체결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삽입구의 크기에 의하여 삽입가능한 위치가 용이하게 특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정확하게 플러그 커넥터(200)를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삽입홈(112) 내에 삽입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용이하게 플러그 커넥터(200)를 리셉터클 커넥터(100) 내에 체결할 수 있으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위치 등을 정확하게 확인하기 어려운 블라인드(blind) 체결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내부공간의 단면적을 삽입구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넓은 내부공간만큼 플러그 커넥터(200)의 플로팅 간격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플로팅 간격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몸체부(10)와 플러그 커넥터(200)의 삽입부(210) 사이의 간격(X)과,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삽입부(20)와 플러그 커넥터(200)의 몸체부(220) 사이의 간격(Y)을 이용하여, 플러그 커넥터(200)의 변위를 위한 플로팅 구간의 가동범위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플로팅 구간의 가동범위는 상기 간격 X, Y 중에서 더 작은 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8을 참조하면, 플러그 커넥터(200)는 몸체부(220)와 삽입부(210)로 구분될 수 있으며, 삽입부(210)는 몸체부(220)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플러그 커넥터(200)는 설정된 너비와 길이 및 폭(두께)을 가지는 바 형상으로 내부에 플러그 컨택트부가 실장된 몸체부(220); 및, 몸체부(220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결합되는 길이방향의 단부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삽입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플러그 커넥터(200)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와의 체결시 삽입부(210)부터 삽입홈(112)으로 삽입되며, 삽입부(210)는 몸체부(220)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다시 말해, 삽입부(210)는 몸체부(220)의 외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플러그 커넥터(200)가 리셉터클 커넥터(100) 내에 삽입되어 체결되면,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접촉돌기(145)가 플러그 커넥터(200)의 삽입부(210)와 접촉될 수 있으며, 플러그 커넥터(200)는 접촉돌기(145)의 탄성에 의하여 플로팅될 수 있다. 즉,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접촉돌기(145)에 의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 사이에 플로팅 구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 각각의 이너쉘에 삽입된 컨택트 단자도 플로팅 될 수 있다.
만약,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 사이에 플로팅 구간이 제공되지 않는다면, 각각의 이너쉘들은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고정되어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 내부에 부딪혀 파손될 위험이 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플러그 커넥터(200)와의 체결시 플로팅 구간을 형성하여 이너쉘이 플로팅되도록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이너쉘의 플로팅에 의하여, 이너쉘 내부의 컨택트부도 함께 플로팅되도록 할 수 있다. 플로팅 구간은 플러그, 이너쉘, 컨택트부가 플로팅될 수 있도록 하고, 외부 진동에 따른 충격을 완화활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주기도 한다.
플로팅 B2B 커넥터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플러그 커넥터(200)와 리셉터클 커넥터(100)가 체결된 이후 진동이나 외부 충격 등이 인가되더라도,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컨텍트부(130)과 플러그 커넥터(200)의 컨텍트부 사이의 전기적 접점을 유지하면서 외부 진동에 따라 컨텍트부(130)가 같이 플로팅되는 것이다. 따라서, 컨택트부가 삽입된 이너쉘이 플로팅될 수 있도록, 플러그 커넥터(200)와 리셉터클 커넥터(100) 사이에 플로팅 구간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0: 리셉터클 커넥터 110: 리셉터클 인슐레이터
111: 몸체부 112: 삽입홈
113: 삽입부 120: 이너쉘
130: 컨텍트부 131: 컨텍트핀
132: 몰딩부 140: 커버 쉘
200: 플러그 커넥터 210: 삽입부
220: 몸체부

Claims (11)

  1. 플로팅 B2B 커넥터(Floating Board to Board Connector)의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있어서,
    너비와 길이 및 폭(두께)을 가지는 바(bar) 형상의 제1 몸체부(111), 상기 제1 몸체부(111)의 길이방향의 일단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 삽입부(113) 및 상기 제1 삽입부(113)의 길이방향 측 일면인 삽입면에서 상기 제1 몸체부(111)의 내부로 형성되는 삽입홈(112)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112) 내에 복수의 컨택트부(130)가 설치되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receptacle insulator, 110); 및
    상기 제1 몸체부(111)에 대응하여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10)의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결합하는 제2 몸체부(141) 및, 상기 제1 삽입부(113)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 삽입부(143)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부(141)의 길이방향 일단을 따라 탄성 재질의 접촉돌기(145)가 돌출되게 형성된 커버쉘(cover shell, 14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삽입부(113)는 내주면을 따라 상기 삽입홈(112)의 내부로 돌출되는 돌기부(A)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삽입부(113)의 삽입면을 통해 상기 삽입홈(112) 내의 내부공간으로 플러그 커넥터(200)가 삽입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는 상기 접촉돌기(145)와 접촉하며 지지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와 상기 삽입홈(112)의 내주면 사이에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의 변위를 위한 플로팅(floating)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B2B 커넥터의 리셉터클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111) 및 제2 몸체부(141)를 결합하여 몸체부(10)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삽입부(113) 및 제2 삽입부(143)를 결합하여 삽입부(2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B2B 커넥터의 리셉터클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부(113)는
    상기 삽입면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112)에 삽입되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를 지지하는 돌출지지면(A1);
    상기 돌출지지면(A1)으로부터 연결되며, 상기 삽입홈(112)의 방향으로 휘어진 경사면을 가지는 돌출가이드면(A2); 및
    상기 돌출가이드면(A2)으로부터 연결되며, 상기 삽입홈(112) 내에 위치하는 돌기부(A)까지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평탄면을 형성하는 돌출걸림부면(A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B2B 커넥터의 리셉터클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삽입부(143)는
    상기 제1 삽입부(113)의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결합하여, 상기 커버쉘(140)을 상기 제1 삽입부(113)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2 몸체부(141)의 길이방향 일단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의 결합편(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B2B 커넥터의 리셉터클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B)은
    상기 돌출지지면(A1) 상에 위치하는 결합지지면(B1);
    상기 결합지지면(B1)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삽입홈(112) 방향으로 휘어진 경사면을 가지는 결합가이드면(B2); 및
    상기 결합가이드면(B2)으로부터 연장되며, 길이방향과 평행한 평탄면을 형성하며, 상기 돌출걸림부면(A3)에 고정되는 결합걸림부면(B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B2B 커넥터의 리셉터클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112)은
    상기 돌기부(A)에 의하여, 상기 삽입홈(112)의 입구 단면적이 상기 삽입홈(112) 내 형성되는 내부공간의 단면적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B2B 커넥터의 리셉터클 커넥터.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는
    설정된 너비와 길이 및 폭(두께)을 가지는 바 형상으로, 내부에 플러그 컨택트부가 실장된 몸체부(220);
    상기 몸체부(220에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결합되는 길이방향의 단부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삽입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과의 체결시 상기 삽입부(210)부터 상기 삽입홈(112)으로 삽입되며, 상기 삽입부(210)는 상기 몸체부(220)의 외측면 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B2B 커넥터의 리셉터클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속이 빈 다각기둥 또는 원통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삽입홈(112)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개가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10)의 상기 삽입홈(112) 내에 설치되는 이너쉘(inner shell, 120);을 포함하고,
    상기 컨택트부(130)는,
    상기 이너쉘(120) 내에 각각 포함되며,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시 전기적 접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B2B 커넥터의 리셉터클 커넥터.
  11. 삭제
KR1020190113695A 2018-10-05 2019-09-16 플로팅 b2b 커넥터의 리셉터클 커넥터 Active KR1027789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19279 2018-10-05
KR1020180119279 2018-10-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557A KR20200039557A (ko) 2020-04-16
KR102778999B1 true KR102778999B1 (ko) 2025-03-12

Family

ID=70454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695A Active KR102778999B1 (ko) 2018-10-05 2019-09-16 플로팅 b2b 커넥터의 리셉터클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789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34051A (zh) * 2020-09-24 2020-12-25 东莞立讯技术有限公司 板端连接器和连接器组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2939A (ja) * 2002-12-11 2004-07-0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US20180175561A1 (en) * 2016-12-21 2018-06-21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Shielded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15696B2 (ja) * 2004-08-27 2009-01-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多極コネクタ
WO2016196649A1 (en) * 2015-06-03 2016-12-08 Molex, Llc Electrical connec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2939A (ja) * 2002-12-11 2004-07-0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US20180175561A1 (en) * 2016-12-21 2018-06-21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Shielded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557A (ko) 202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1033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1534446B1 (ko) 차동 신호쌍 사이에서 스큐를 감소시킬 수 있는 차동 신호 커넥터
KR102111728B1 (ko) 전기 커넥터
CN205900840U (zh) 基板连接用电连接器
US20220052468A1 (en) Receptacle connector
US20170033511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good anti-emi perfprmance
US20090029592A1 (en) Connector
US11837811B2 (en) Plug connector, receptacle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or
KR101539873B1 (ko) 기판 접속용 단자
CN111244654A (zh) 连接器
JP7266513B2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US6135816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construction for fixing shield plates to a receptacle connector
US20200328540A1 (en) Connector, header, and socket
KR20180111144A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CN107834252B (zh) 电连接器
KR102778999B1 (ko) 플로팅 b2b 커넥터의 리셉터클 커넥터
KR102611241B1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
KR101488891B1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KR101089789B1 (ko) 커넥터
KR100756163B1 (ko) 커넥터 조립체, 인쇄회로기판, 조정가능한 핀 헤더 조립체 및 생산방법
KR102778998B1 (ko) 플로팅 b2b 커넥터의 플러그 커넥터
CN109428193B (zh) 垂直式高速连接器
KR102165739B1 (ko) 커넥터의 홀드다운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KR20210117457A (ko) 플러그 커넥터
US706674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pac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7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9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0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03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