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77569B1 -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77569B1
KR102777569B1 KR1020190116932A KR20190116932A KR102777569B1 KR 102777569 B1 KR102777569 B1 KR 102777569B1 KR 1020190116932 A KR1020190116932 A KR 1020190116932A KR 20190116932 A KR20190116932 A KR 20190116932A KR 102777569 B1 KR102777569 B1 KR 102777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ransmission speed
frames
display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4946A (ko
Inventor
강진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6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77569B1/ko
Priority to US17/012,341 priority patent/US11297293B2/en
Publication of KR20210034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77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7756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9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for generating different ver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81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altering the temporal resolution, e.g. decreasing the frame rate by frame skipp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7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or network components
    • H04N21/6373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or network components for rate control, e.g. request to the server to modify its transmiss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2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by changing the field or frame frequency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e.g. frame rate conver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 H04N7/0152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using spatial or temporal subsampling
    • H04N7/015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using spatial or temporal subsampling using pixel blocks
    • H04N7/0157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using spatial or temporal subsampling using pixel blocks with motion estimation, e.g. involving the use of motion v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4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f one television signal, i.e. both picture and sound, by a single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 H04N7/102Circuits therefor, e.g. noise reducers, equalisers,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3Hue control means, e.g. flesh tone contro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lour parameters, e.g. colour tempera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6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image enhancement, e.g. vertical detail restoration, cross-colour elimination, contour correction, chrominance trapping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장치로부터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비디오 신호를 제1전송속도 보다 빠른 제2전송속도로 수신하고, 제2전송속도로 수신된 복수의 프레임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복수의 프레임 중에서 제1프레임 이후에 재생될 제2프레임의 특성을 식별하고, 식별된 제2프레임의 특성에 기초하여 제1프레임을 표시하는 전자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ELECTRONIC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비디오 신호를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출시되는 TV는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UHD(Utra-High Definition) 급의 고화질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되어, 보다 나은 화질을 원하는 사용자의 요청에 부응하고 있다. 일 예로, UHD TV는 4K 120Hz 등의 고화질 비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FHD(Full-HD) TV에 비해 16배 이상 선명한 화질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생동감 및 현장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소스 장치가 고화질 비디오 신호를 소정 전송속도로 TV로 전송하면, TV는 상기 전송속도에 따라 고화질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고화질 비디오 신호를 미리 정해진 재생속도로 재생함으로써, 상기한 고화질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고화질 비디오 신호의 전송속도가 TV의 재생속도에 맞춰져 있으므로, 다시 말해, 전송속도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TV가 전송속도에 따라 수신한 고화질 비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고화질 영상을 정상적으로 재생할 수는 있지만, 고화질 영상을 통해 좀더 나은 시청 환경을 제공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일 예로, 고화질 영상이 정상적으로 표시되는 중 영상 특성이 변하는 경우, 예컨대, 휘도가 급격하게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경우, 사용자는 영상 특성의 변동으로 인해 시각적으로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시각적 불쾌감은, 시청 환경의 질을 급격하게 떨어뜨리게 되고, 결국 고화질 영상을 통해 제공하려는 생동감 및 현장감을 반감 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전송속도를 가변하여 고화질 비디오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시청 환경의 질을 향상시키고, 고화질 영상을 통한 생동감 및 현장감을 오롯이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송속도를 가변하여 고화질 비디오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시청 환경의 질을 향상시키고, 고화질 영상을 통한 생동감 및 현장감을 제공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부; 디스플레이; 외부장치가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비디오 신호를 제1전송속도 보다 빠른 제2전송속도로 전송하도록 상기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2전송속도로 전송된 상기 복수의 프레임을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저장된 복수의 프레임 중에서 제1프레임 이후에 재생될 제2프레임의 특성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제2프레임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1프레임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송속도는, 상기 비디오 신호의 수직 주파수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클럭 주파수를 증가시켜 상기 제2전송속도로 상기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전송속도를 결정하고, 상기 외부장치에 상기 결정된 제2전송속도로 상기 프레임을 전송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간의 특성의 차이가 저감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의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간에는 복수의 프레임이 존재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프레임에서 상기 제2프레임까지의 특성이 점차적으로 조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프레임의 전후로 특성의 변화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프레임의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특성은, 휘도, 채도, 색상, 잡음, 움직임벡터, 주파수분포, 또는 히스토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제2프레임의 특성에 기초한 화질 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상기 화질 조정을 위한 정보에 대한 상기 사용자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입력에 따라 조정된 화질을 갖는 상기 제2프레임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장치로부터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비디오 신호를 제1전송속도 보다 빠른 제2전송속도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전송속도로 수신된 상기 복수의 프레임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복수의 프레임 중에서 제1프레임 이후에 재생될 제2프레임의 특성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제2프레임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1프레임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송속도는, 상기 비디오 신호의 수직 주파수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클럭 주파수를 증가시켜 상기 제2전송속도로 상기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송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장치에 상기 결정된 제2전송속도로 상기 프레임을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간의 특성의 차이가 저감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의 특성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간에는 복수의 프레임이 존재하고, 상기 제1프레임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프레임에서 상기 제2프레임까지의 특성을 점차적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2프레임의 전후로 특성의 변화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프레임의 특성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특성은, 휘도, 채도, 색상, 잡음, 움직임벡터, 주파수분포, 또는 히스토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제2프레임의 특성에 기초한 화질 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을 수행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외부장치로부터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비디오 신호를 제1전송속도 보다 빠른 제2전송속도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전송속도로 수신된 상기 복수의 프레임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복수의 프레임 중에서 제1프레임 이후에 재생될 제2프레임의 특성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제2프레임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1프레임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송속도를 가변하여 고화질 비디오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시청 환경의 질을 향상시키고, 고화질 영상을 통한 생동감 및 현장감을 제공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전자장치에 관한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전자장치에 대한 제어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동작 S31과 관련하여, 제1전송속도보다 빠른 제2전송속도로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3의 동작 S31과 관련하여, 결정된 제2전송속도로 프레임을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의 동작 S51과 관련하여, 전자장치가 제2전송속도를 결정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의 동작 S66과 관련하여, 전자장치에 의해 결정된 제2전송속도에 기초하여 프레임을 전송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3의 동작 S33과 관련하여, 제2프레임의 특성을 식별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사용자입력에 따라 프레임의 특성을 조정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9의 전자장치가 프레임의 특성의 조정 전후의 프레임을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들의 설명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사항들을 참조하는 바,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의 복수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는, 복수의 구성 전부뿐만 아니라, 복수의 구성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1)는 비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전자장치(1)가 디스플레이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전자장치(1)는 TV, 컴퓨터, 스마트 폰, 태블릿,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비디오 월, 전자액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1)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지 않는 셋탑박스 등의 영상처리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장치(1)는 처리된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에 제공하여 영상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전자장치(1)는 셋탑박스 등의 영상처리장치 이외에, 냉장고, 세탁기 등의 생활가전, 컴퓨터본체와 같은 정보처리장치 등 다양한 종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자장치(1)가 TV로 구현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전자장치(1)는 외부장치(2)로부터 비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2)가 전자장치(1)로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면, 전자장치(1)는 수신된 비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외부장치(2)는 비디오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셋탑박스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비디오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저장장치, 블루레이(Blue-Ray) 플레이어, 스마트폰, 태블릿, 퍼스널 컴퓨터, 전자액자, 서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외부장치(2)가 셋탑박스로 구현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전자장치(1)는 케이블(4)을 통해 외부장치(2)로부터 비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케이블(4)은, 예컨대, 고화질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2.1 규격에 따르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전송 규격이 HDMI 2.1 규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DMI 2.1 규격을 따르는 경우, 케이블(4)을 통해 최대 48Gbps 이상의 광대역폭으로 비디오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일 예로, 외부장치(2)는 광대역폭을 활용하여 4K 120Hz, 8K 60Hz 등의 고화질 비디오 신호를 전자장치(1)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전자장치(1)는 케이블(4)을 통해 수신한 고화질 비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4K 120Hz, 8K 60Hz 등의 고화질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특히, 전자장치(1)는, 예컨대, HDMI 2.1 규격 등이 제공하는 Fast Vactive(FVA) 기능을 이용하여 가변된 전송속도로 비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장치(2)는 제1전송속도(S1)로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거나, 제1전송속도(S1)보다 빠른 제2전송속도(S2)로 비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전송속도는 단위시간 당 전송되는 프레임 수로 나타낼 수 있다. 비디오 신호가 n개의 복수의 프레임(3)을 포함하는 경우, 외부장치(2)는 제1전송속도(S1)에 따라 단위시간(t1) 당 n개의 프레임을 전송하거나, 제2전송속도(S2)에 따라 단위시간(t2) 당 n개의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전송속도(S2)는 제1전송속도(S1)보다 t1/t2 배만큼 빠를 수 있다.
전자장치(1)는 미리 정의된 재생속도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재생속도는 단위시간 당 표시되는 프레임 수로 나타낼 수 있으며, 예컨대, 제1전송속도(S1)와 같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전송속도(S1)와 재생속도가 같다는 것은, 단위시간 당 전송되는 프레임의 수와, 단위시간 당 표시되는 프레임의 수가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전자장치(1)는 단위시간(t1) 당 제1전송속도(S1)의 경우와 같은 개수인 n개의 프레임을 표시할 수 있다. 만일, 제1전송속도(S1)가 비디오 신호의 수직 주파수에 대응하는 경우, 전자장치(1)는 비디오 신호의 수직 주파수에 대응하는 재생속도로 n개의 프레임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장치(1)가 제1전송속도(S1)와 같은 재생속도로, 즉, 단위시간(t1) 당 n개의 프레임을 표시하는 경우, 외부장치(2)가 제1전송속도(S1)보다 빠른 제2전송속도(S2)로, 즉, 단위시간(t2) 당 n개의 프레임을 전송하면, 전자장치(1)는 단위시간(t1) 당 n개보다 많은 (n×t1/t2)개의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전자장치(1)는 재생속도보다 빠른 제2전송속도(S2)로 비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비디오 신호의 복수의 프레임(3)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예컨대, 재생 예정인 복수의 프레임(3)을 일단 저장하고, 저장된 복수의 프레임(3)에 기초하여 프레임을 재생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전자장치(1)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프레임(3) 중에서 제1프레임 이후에 재생될 제2프레임의 특성을 식별하고, 식별된 제2프레임의 특성에 기초하여 제1프레임을 표시할 수 있다. 프레임의 특성은, 휘도, 채도, 색상, 잡음, 움직임벡터, 주파수분포, 또는 히스토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1)는 제2전송속도(S2)에 따라 복수의 프레임(3)을 미리 저장할 수 있으며, 예컨대, 복수의 프레임(3) 중에서 제2프레임(32) 이후 재생될 제3프레임(33) 등의 특성을 식별하고, 식별된 제3프레임(33) 등의 특성에 기초하여 제2프레임(32)을 표시할 수 있다.
만일, 제2프레임(32)과 제3프레임(33) 사이에서 휘도가 급격하게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경우, 사용자는 휘도의 급격한 변동에 의해 시각적으로 불쾌감을 느낄 수 있지만, 전자장치(1)는 미리 저장된 제2프레임(32)과 제3프레임(33) 간의 휘도 차이를 식별하고, 식별된 휘도 차이에 기초하여 제2프레임(32)을 표시함으로써, 휘도의 급격한 변동을 완화하고, 시각적으로 불쾌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1)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프레임(3)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시청 환경의 질을 향상시키고, 고화질 영상을 통한 생동감 및 현장감을 오롯이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전자장치에 관한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1)은 통신부(11), 신호입출력부(12), 디스플레이(13), 사용자입력부(14), 저장부(15), 및 프로세서(17)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전자장치(1)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서는 전자장치(1)가 TV인 경우에 관해 설명하지만, 전자장치(1)는 다양한 종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가 전자장치(1)의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전자장치(1)가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되지 않는 경우도 가능하며, 이 경우의 전자장치(1)는 디스플레이(13)와 같은 영상 표시를 위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전자장치(1)가 셋탑박스로 구현되는 경우에, 전자장치(1)는 신호입출력부(12)를 통해 외부의 TV에 영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11)는 다양한 종류의 유선 및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통신모듈, 통신칩 등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양방향 통신회로이다. 유선 통신의 경우, 통신부(11)는 케이블(4)에 연결되어 외부장치(2)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케이블(4)은 HDMI 2.1 규격에 따를 수 있으며, 이 경우, 통신부(11)는 케이블(4)을 통해 최대 48Gbps 이상의 광대역폭으로, 예컨대, 4K 120Hz, 8K 60Hz 등의 고화질 비디오 신호를 외부장치(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케이블(4)은 HDMI 2.1 규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USB(Universal Serial Bus) 3.1 규격 또는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1.4 규격을 따르도록 마련될 수 있다. 무선 통신의 경우, 통신부(11)는 다양한 무선 통신 규격, 예컨대, 5G (5th-Generation) 통신, 와이파이(WiFi), WiHD(Wireless HD), WiGig(Wireless Gigabit Alliance), 블루투스 등에 따라 외부장치(2)와 고속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신호입출력부(12)는 케이블(4)이 접속되는 포트, 예컨대, HDMI 2.1 포트, USB 3.1 포트, 디스플레이포트 1.4, DVI 포트, 썬더볼트 등과 같이 기 설정된 전송규격에 따른 커넥터 또는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입출력부(12)는 설계 방법에 따라 통신부(11)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는 화면 상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방식과 같은 수광 구조 또는 OLED 방식과 같은 자발광 구조로 마련된다. 디스플레이(13)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일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방식이라면, 디스플레이(13)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정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을 포함한다. 다만, 디스플레이(13)는 전자장치(1)가 셋탑박스 등으로 구현되는 경우 생략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4)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된 다양한 종류의 입력 인터페이스 관련 회로를 포함한다. 사용자입력부(14)는 전자장치(1)의 종류에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의 구성이 가능하며, 일 예로, 전자장치(1)의 기계적 또는 전자적 버튼부, 터치패드, 디스플레이(13)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등이 있다.
저장부(15)는 디지털화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15)는 전원의 제공 유무와 무관하게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는 비휘발성 속성의 스토리지(storage)와, 프로세서(17)에 의해 처리되기 위한 데이터가 로딩되며 전원이 제공되지 않으면 데이터를 보존할 수 없는 휘발성 속성의 메모리(memory)를 포함한다. 스토리지에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HDD(hard-disc drive), SSD(solid-state drive) ROM(Read Only Memory) 등이 있으며, 메모리에는 버퍼(buffer),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이 있다.
저장부(15)는 외부장치(2)로부터 제2전송속도(S2)로 수신된 복수의 프레임(3)을 영상으로 표시하기 전에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5)는 버퍼(16)를 포함할 수 있으며, 버퍼(16)는 재생될 복수의 프레임(3) 중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임시로 저장함으로써, 전자장치(1)의 각 구성 간의 처리 속도의 차이를 완화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되는 CPU, 칩셋, 버퍼, 회로 등으로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7)는 전자장치(1)가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되는 경우에 디멀티플렉서, 디코더, 스케일러, 오디오 DSP(Digital Signal Processor), 앰프 등의 다양한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모듈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러한 모듈들 중 일부 또는 전체가 SOC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멀티플렉서, 디코더, 스케일러 등 영상처리와 관련된 모듈이 영상처리 SOC로 구현되고, 오디오 DSP는 SOC와 별도의 칩셋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17)는 외부장치(2)로부터 복수의 프레임(3)으로 구성된 비디오 신호를 제1전송속도(S1)보다 빠른 제2전송속도(S2)로 수신하도록 통신부(11)를 제어하고, 제2전송속도(S2)로 수신된 복수의 프레임(3)이 저장부(15)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는 저장된 복수의 프레임(3) 중에서 제1프레임 이후에 재생될 제2프레임의 특성을 식별하고, 식별된 제2프레임의 특성에 기초하여 제1프레임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3)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1)의 프로세서(17)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프레임(3)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시청 환경의 질을 향상시키고, 고화질 영상을 통한 생동감 및 현장감을 오롯이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전자장치(1)는 상기한 구성 중 일부를 제외하거나, 상기한 구성 이외의 구성, 예컨대,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전원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외부장치(2)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외부장치(2)는 제2통신부(21), 제2저장부(22), 및 제2프로세서(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통신부(21)는 다양한 종류의 유선 및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통신모듈, 통신칩 등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양방향 통신회로이다. 유선 통신의 경우, 제2통신부(21)는 HDMI 2.1 규격에 따라 케이블(4)을 통해 고화질 비디오 신호를 전자장치(1)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의 경우, 제2통신부(21)는 5G 통신 등을 비롯한 다양한 무선 통신 규격에 따라 전자장치(1)와 고속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저장부(22)는 제2프로세서(23)에 의해 데이터의 독취, 기록, 수정, 삭제, 갱신 등의 동작이 수행된다. 제2저장부(22)는 플래시메모리, HDD, SSD, 버퍼, 램 등의 다양한 비휘발성 메모리 및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제2프로세서(23)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되는 CPU, 칩셋, 버퍼, 회로 등으로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SOC로 구현될 수도 있다. 특히, 제2프로세서(23)는 전자장치(1)로 복수의 프레임(3)을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를 제1전송속도(S1)보다 빠른 제2전송속도(S2)로 전송하도록 제2통신부(21)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자장치(1)의 프로세서(17)는 복수의 프레임(3)을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를 제1전송속도(S1)보다 빠른 제2전송속도(S2)로 수신하거나, 수신된 복수의 프레임(3)을 저장하거나, 저장된 복수의 프레임(3) 중에서 제1프레임 이후에 재생될 제2프레임의 특성을 식별하거나, 식별된 제2프레임의 특성에 기초하여 제1프레임을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 처리, 및 결과 정보 생성 중 적어도 일부를 규칙 기반 또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알고리즘으로서 기계학습, 신경망 네트워크(neural network), 또는 딥러닝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7)는 학습부 및 인식부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학습부는 학습된 신경망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인식부는 학습된 신경망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인식(또는, 추론, 예측, 추정,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학습부는 신경망 네트워크를 생성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학습부는 신경망 네트워크를 생성하기 위해서 학습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학습부는 학습 데이터를 저장부(15) 또는 제2저장부(22)로부터 획득하거나, 외부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학습 데이터는, 신경망 네트워크의 학습을 위해 이용되는 데이터일 수 있으며, 상기한 동작을 수행한 데이터를 학습데이터로 이용하여 신경망 네트워크를 학습시킬 수 있다.
학습부는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경망 네트워크를 학습시키기 전에, 획득된 학습 데이터에 대하여 전처리 작업을 수행하거나, 또는 복수 개의 학습 데이터들 중에서 학습에 이용될 데이터를 선별할 수 있다. 일 예로, 학습부는 학습 데이터를 기 설정된 포맷으로 가공하거나, 필터링하거나, 또는 노이즈를 추가/제거하여 학습에 적절한 데이터의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 학습부는 전처리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신경망 네트워크를 생성할 수 있다.
학습된 신경망 네트워크는, 복수의 신경망 네트워크(또는, 레이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신경망 네트워크의 노드들은 가중치를 가지며, 복수의 신경망 네트워크들은 일 신경망 네트워크의 출력 값이 다른 신경망 네트워크의 입력 값으로 이용되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신경망 네트워크의 예로는,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DNN (Deep Neural Network), RNN (Recurrent Neural Network), RBM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 (Deep Belief Network), BRDNN (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및 심층 Q-네트워크 (Deep Q-Networks)과 같은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인식부는 상기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타겟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타겟 데이터는 저장부(15) 또는 제2저장부(22)로부터 획득하거나, 외부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타겟 데이터는 신경망 네트워크의 인식 대상이 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인식부는 타겟 데이터를 학습된 신경망 네트워크에 적용하기 전에, 획득된 타겟 데이터에 대하여 전처리 작업을 수행하거나, 또는 복수 개의 타겟 데이터들 중에서 인식에 이용될 데이터를 선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인식부는 타겟 데이터를 기 설정된 포맷으로 가공하거나, 필터링 하거나, 또는 노이즈를 추가/제거하여 인식에 적절한 데이터의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 인식부는 전처리된 타겟 데이터를 신경망 네트워크에 적용함으로써, 신경망 네트워크로부터 출력되는 츨력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인식부는 출력값과 함께, 확률값 또는 신뢰도값을 획득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전자장치에 대한 제어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의 각 동작은 전자장치(1)의 프로세서(17)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7)는 외부장치(2)로부터 복수의 프레임(3)으로 구성된 비디오 신호를 제1전송속도(S1)보다 빠른 제2전송속도(S2)로 수신할 수 있다(S31).
또한, 프로세서(17)는 제2전송속도(S2)로 수신된 복수의 프레임(3)을 저장할 수 있다(S32).
또한, 프로세서(17)는 저장된 복수의 프레임(3) 중에서 제1프레임 이후에 재생될 제2프레임의 특성을 식별할 수 있다(S33).
또한, 프로세서(17)는 식별된 제2프레임의 특성에 기초하여 제1프레임을 표시할 수 있다(S34).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7)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프레임(3)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시청 환경의 질을 향상시키고, 고화질 영상을 통한 생동감 및 현장감을 오롯이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동작 S31과 관련하여, 제1전송속도보다 빠른 제2전송속도로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외부장치(2)의 제2프로세서(23)는 제1전송속도(S1)로 복수의 프레임(3)을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를 전자장치(1)로 전송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프로세서(23)는 제1클럭 주파수(c1)에 맞춰 복수의 프레임(3)을 전자장치(1)로 전송함으로써, 제1전송속도(S1)로 복수의 프레임(3)을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클럭 주파수와, 프레임의 수가 1:1로 대응하는 예를 도시하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다른 예로서, 클럭 주파수가, 프레임의 배수이거나, 혹은 그 역의 경우와 같이, 클럭 주파수와, 프레임의 대응 개수 관계는 다양할 수 있다.
전자장치(1)의 프로세서(17)는 제1전송속도(S1)에 따라, 즉, 제1클럭 주파수(c1)에 따라 수신한 복수의 프레임(3)을 표시할 수 있다. 복수의 프레임(3)은 제1전송속도(S1)와 동일한 재생속도, 예컨대, 수직 주파수에 대응하는 속도로 재생되어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제2프로세서(23)는 복수의 프레임(3)에 대한 전송속도를 가변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프로세서(23)는 제1클럭 주파수(c1)보다 빠른 제2클럭 주파수(c2)로 변경하고, 제2클럭 주파수(c2)에 맞춰 복수의 프레임(3)을 전자장치(1)로 전송함으로써, 재생속도보다 빠른 제2전송속도(S2)로 복수의 프레임(3)을 전송할 수 있다.
전자장치(1)의 프로세서(17)는 제2전송속도(S2)로, 즉, 제2클럭 주파수(c2)에 따라 복수의 프레임(3)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7)는 비디오 신호의 수직 주파수에 대응하는 원래의 재생속도보다 빠른 제2전송속도(S2)로 복수의 프레임(3)을 수신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프레임(3)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동작 S31과 관련하여, 결정된 제2전송속도로 프레임을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1)의 프로세서(17)는 제2전송속도(S2)를 결정할 수 있다(S51).
또한, 프로세서(17)는 결정된 제2전송속도(S2)로 복수의 프레임(3)을 전송해 줄 것을 외부장치(2)로 요청할 수 있다(S52).
도 6은 도 5의 동작 S51과 관련하여, 전자장치가 제2전송속도를 결정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1)의 프로세서(17)는 외부장치(2)로 FVA 기능의 수행을 요청할 수 있다(S61). 프로세서(17)는 FVA 요청을 통해 전자장치(1)의 장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장치 정보는, 예컨대, 디스플레이(13)의 가용 화질, 해상도, 화면 비율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의 형태로 저장부(15)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다만, 장치 정보가 FVA 요청을 통해서만 제공되는 것은 아니므로, 외부장치(2)의 제2프로세서(23)는 다양한 방법으로 장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잇다.
또한, 제2프로세서(23)는 FVA 요청에 대응하여 FVA 기능을 인에이블 하고(S62), 전자장치(1)로 FVA 요청에 대한 응답을 할 수 있다(S63). FVA 요청에 대한 응답은, 예컨대, FVA 기능이 인에이블 되어 FVA 기능을 수행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는 외부장치(2)로부터의 FVA 응답에 대응하여, 제2전송속도(S2)를 결정하고(S64), 결정된 제2전송속도(S2)에 관한 정보를 외부장치(2)로 전송함으로써(S65), 결정된 제2전송속도(S2)로 복수의 프레임(3)을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장치(1)의 프로세서(17)는 영상 특성 조정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표시 예정인 영상에 대하여 영상 특성 조정 여부를 식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표시 중인 영상에 대해서도 영상 특성 조정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만일, 영상 특성 조정이 필요하다고 식별한 경우, 프로세서(17)는 영상 특성 조정에 필요한 예측 분석을 위하여 이후에 표시될 프레임을 미리 확보하기에 충분한 최적의 제2전송속도(S2)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7)는 영상의 해상도, 크기, 영상 특성의 종류, 영상 특성의 조정 범위 등을 고려하여 제2전송속도(S2)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는 저장부(15) 또는 버퍼(16)의 용량을 고려하여, 최적의 제2전송속도(S2)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영상 특성의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영상 특성의 조정을 위해 제2전송속도(S2)를 사용자입력부(14)를 통해 입력한 경우, 프로세서(17)는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설정한 제2전송속도(S2)에 관한 정보를 외부장치(2)로 전송함으로써, 제2전송속도(S2)로 데이터를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2프로세서(23)는 전자장치(1)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장치(1)에 의해 요청된 제2전송속도(S2)로 복수의 프레임(3)을 전자장치(1)로 전송할 수 있다(S66).
도 7은 도 6의 동작 S66과 관련하여, 전자장치에 의해 결정된 제2전송속도에 기초하여 프레임을 전송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1)의 프로세서(17)는 FVA 기능에 따라 복수의 프레임(3)에 대한 제2전송속도(S2)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가 결정된 제2전송속도(S2)에 관한 정보를 외부장치(2)로 전송하면, 외부장치(2)의 제2프로세서(23)는 전자장치(1)에 의해 요청된 제2전송속도(S2)에 따라 복수의 프레임(3)을 전자장치(1)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7)가 제1전송속도(S1)보다 빠른 제2전송속도(S2)에 관한 정보를 외부장치(2)로 전송한 경우, 제2프로세서(23)는, 제2전송속도(S2)에 따라 제1클럭 주파수(c1)보다 빠른 제2클럭 주파수(c2)로 복수의 프레임(3)을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를 전자장치(1)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동작 S33과 관련하여, 제2프레임의 특성을 식별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신호가 복수의 프레임(3)을 포함하는 경우, 전자장치(1)의 프로세서(17)는 제1전송속도(S1)보다 빠른 제2전송속도(S2)로 복수의 프레임(3)을 수신하고, 수신한 복수의 프레임(3)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제2프레임(32)의 특성이 조정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프로세서(17)는 저장된 복수의 프레임(3)에 대하여, 제2프레임(32) 이후에 재생될 제3프레임(33)의 특성을 식별하고, 식별된 제3프레임(33)의 특성에 기초하여 제2프레임(32)을 표시할 수 있다. 프레임 특성이 휘도인 경우라면, 프로세서(17)는 복수의 프레임(3)의 각 휘도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예컨대, 복수의 프레임(3) 각각의 휘도값 또는 휘도값의 경향을 나타내는 휘도 그래프를 통해 복수의 프레임(3)의 각 휘도를 식별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프레임(3)의 휘도가 제2프레임(32)까지 제1휘도(w1)로 밝게 유지되다가 제3프레임(33)부터 급격하게 어두워진 제2휘도(w2)로 변하는 것으로 식별된 경우, 즉, 제2프레임(32)과 제3프레임(33) 간에 휘도가 급격하게 변동된 경우, 프로세서(17)는 제2프레임(32)의 제1휘도(w1)과 제3프레임(33)의 제2휘도(w2)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제2프레임(32)이 제3휘도(w3)을 갖도록 제2프레임(32)의 휘도를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2프레임(32)의 조정된 제3휘도(w3)는, 조정 전의 제1휘도(w1)과 제3프레임(33)의 제2휘도(w2) 사이의 중간 휘도가 되도록 조정될 수 있으므로, 제2프레임(32)과 제3프레임(33) 사이에 휘도 차이가 저감되어 휘도가 완만하게 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7)는 저장된 복수의 프레임(3)에 대하여, 제2프레임(32) 이후에 재생될 제3프레임(33)의 특성을 식별하고, 식별된 제3프레임(33)의 특성에 기초하여 제2프레임(32)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 특성의 급격한 변동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시각적 불쾌감을 느끼지 않도록 영상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시청 환경의 질을 향상시키고, 고화질 영상을 통한 생동감 및 현장감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도 8에서는, 제2프레임(32)과 제3프레임(33)이 바로 이웃하는 프레임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제2프레임(32)과 제3프레임(33)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이 포함된 경우에도 저장된 프레임의 특성에 기초하여 제2프레임(32)과 제3프레임(33) 사이에 특성의 차이가 저감되도록, 예컨대, 제2프레임(32)과 제3프레임(33) 사이에 휘도 차이가 완만해지도록, 제2프레임(32), 제2프레임(32)과 제3프레임(33) 사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및 제3프레임(33) 중 적어도 하나의 휘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2프레임(32)과 후속하는 제3프레임(33) 간의 특성의 차이뿐만 아니라, 이미 표시된, 예컨대, 제2프레임(32)과 선행하는 제1프레임(31) 간의 특성의 차이에 기초하여 제2프레임(32), 제2프레임(32) 이후의 프레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7)는 제2프레임(32)의 전후로 특성의 변화가 있는 경우, 예컨대, 특성의 변화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에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사용자입력에 따라 프레임의 특성을 조정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전자장치(1)의 프로세서(17)는 복수의 프레임(3)을 제1전송속도(S1)보다 빠른 제2전송속도(S2)로 수신하고, 수신한 복수의 프레임(3)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7)는 저장된 복수의 프레임(3) 각각을 제1영역(91)에 표시할 수 있다. 제1영역(91)은 디스플레이(18) 화면의 임의의 영역일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7)는 복수의 프레임(3)을 미리 저장한 경우, 미리 저장된 복수의 프레임(3)이 있다거나, 미리 저장된 복수의 프레임(3)의 표시 여부를 묻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프레임(3)의 표시를 요청하는 사용자입력이 수신된 경우, 저장된 복수의 프레임(3) 각각을 제1영역(91)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는 저장된 복수의 프레임(3)에 대한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2영역(92)에 표시할 수 있다. 제2영역(92)은 디스플레이(18) 화면의 임의의 영역일 수 있다. 저장된 복수의 프레임(3)에 대한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92)는 복수의 프레임(3) 각각의 특성값 또는 특성값의 경향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는 저장된 복수의 프레임(3)에 대한 특성을 조정할 수 있는 조정 메뉴를 제3영역(93)에 표시할 수 있다. 조정 메뉴(9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프레임(32)에 대응하는 조정 메뉴를 통해 제2프레임(32)의특성을 조정하는 경우, 조정된 특성에 따라 제1영역(91)에 표시된 제2프레임(32)의 화질이 변경되거나, 제2영역(92)에 표시된 제2프레임(32)의 특성값 또는 그래프가 변경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전자장치가 프레임의 특성의 조정 전후의 프레임을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7)는 제3영역(93)에 표시된 조정 메뉴를 사용하여 미리 저장된 복수의 프레임(3)에 대한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프레임(32)에 대응하는 조정 메뉴를 통해 제2프레임(32)의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특성의 조정 전과 후의 화질 차이를 가늠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프로세서(17)는, 특성의 조정 전의 제2프레임(101)과 조정 후의 제2프레임(102)을 함께 표시함으로써, 특성의 조정 전과 후의 화질 차이를 용이하게 가늠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장치(1)와 같은 기기(Machine)가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장치(1)의 프로세서(17)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전자장치(1)와 같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예컨대,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예로,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컨대,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컨대,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컨대,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컨대,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 전자장치
2: 외부장치
4: 케이블

Claims (20)

  1. 전자장치에 있어서,
    저장부;
    디스플레이;
    외부장치가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비디오 신호를 제1전송속도 보다 빠른 제2전송속도로 전송하도록 상기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2전송속도로 전송된 상기 복수의 프레임을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저장된 복수의 프레임 중에서 제1프레임 이후에 재생될 제2프레임의 특성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제2프레임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1프레임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송속도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단위시간 당 표시되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의 수에 대응하는 전자장치.
  2. 전자장치에 있어서,
    저장부;
    디스플레이;
    외부장치가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비디오 신호를 제1전송속도 보다 빠른 제2전송속도로 전송하도록 상기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2전송속도로 전송된 상기 복수의 프레임을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저장된 복수의 프레임 중에서 제1프레임 이후에 재생될 제2프레임의 특성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제2프레임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1프레임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송속도는, 상기 비디오 신호의 수직 주파수에 대응하는 전자장치.
  3. 전자장치에 있어서,
    저장부;
    디스플레이;
    외부장치가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비디오 신호를 제1전송속도 보다 빠른 제2전송속도로 전송하도록 상기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2전송속도로 전송된 상기 복수의 프레임을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저장된 복수의 프레임 중에서 제1프레임 이후에 재생될 제2프레임의 특성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제2프레임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1프레임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클럭 주파수를 증가시켜 상기 제2전송속도로 상기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전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전송속도를 결정하고, 상기 외부장치에 상기 결정된 제2전송속도로 상기 프레임을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전자장치.
  5. 전자장치에 있어서,
    저장부;
    디스플레이;
    외부장치가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비디오 신호를 제1전송속도 보다 빠른 제2전송속도로 전송하도록 상기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2전송속도로 전송된 상기 복수의 프레임을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저장된 복수의 프레임 중에서 제1프레임 이후에 재생될 제2프레임의 특성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제2프레임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1프레임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간의 특성의 차이가 저감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의 특성을 조정하는 전자장치.
  6. 삭제
  7. 전자장치에 있어서,
    저장부;
    디스플레이;
    외부장치가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비디오 신호를 제1전송속도 보다 빠른 제2전송속도로 전송하도록 상기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2전송속도로 전송된 상기 복수의 프레임을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저장된 복수의 프레임 중에서 제1프레임 이후에 재생될 제2프레임의 특성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제2프레임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1프레임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프레임의 전후로 특성의 변화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프레임의 특성을 조정하는 전자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특성은, 휘도, 채도, 색상, 잡음, 움직임벡터, 주파수분포, 또는 히스토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제2프레임의 특성에 기초한 화질 조정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정보에 대한 상기 사용자입력에 따라 조정된 화질을 갖는 상기 제2프레임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장치.
  10. 삭제
  11.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외부장치로부터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비디오 신호를 제1전송속도 보다 빠른 제2전송속도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전송속도로 수신된 상기 복수의 프레임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복수의 프레임 중에서 제1프레임 이후에 재생될 제2프레임의 특성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제2프레임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1프레임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송속도는, 단위시간 당 표시되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의 수에 대응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을 수행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은,
    외부장치로부터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비디오 신호를 제1전송속도 보다 빠른 제2전송속도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전송속도로 수신된 상기 복수의 프레임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복수의 프레임 중에서 제1프레임 이후에 재생될 제2프레임의 특성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제2프레임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1프레임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송속도는, 단위시간 당 표시되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의 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190116932A 2019-09-23 2019-09-23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Active KR102777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932A KR102777569B1 (ko) 2019-09-23 2019-09-23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7/012,341 US11297293B2 (en) 2019-09-23 2020-09-04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932A KR102777569B1 (ko) 2019-09-23 2019-09-23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946A KR20210034946A (ko) 2021-03-31
KR102777569B1 true KR102777569B1 (ko) 2025-03-10

Family

ID=74882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932A Active KR102777569B1 (ko) 2019-09-23 2019-09-23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297293B2 (ko)
KR (1) KR1027775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3210160A1 (ko) * 2022-04-25 2023-11-02
CN115083326A (zh) * 2022-06-15 2022-09-2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4195A (ja) * 2004-03-31 2005-10-13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システム
US8214857B2 (en) * 2008-05-29 2012-07-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enerating a combined video stream from multiple input video streams
CN104603763B (zh) * 2012-08-23 2018-06-05 三星电子株式会社 信息传输方法和系统、装置及其计算机可读记录介质
KR20150133037A (ko) * 2014-05-19 2015-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KR20170019819A (ko) * 2015-08-12 2017-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 재생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90065792A (ko) * 2017-12-04 2019-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
TW201929489A (zh) * 2017-12-13 2019-07-16 新漢股份有限公司 高速網路設備及其自體測試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946A (ko) 2021-03-31
US11297293B2 (en) 2022-04-05
US20210092340A1 (en) 2021-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10272B2 (ja) 電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1638060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53092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11635802B2 (en) Combined light intensity based CMOS and event detection sensor for high speed predictive tracking and latency compensation in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HMD systems
US11429339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37328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training a learning model for contrast ratio of an image
KR102777569B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41630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698687B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162215B2 (en) Automatic backlight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200025481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765379B1 (ko) 디스플레이의 리프레쉬 레이트를 동적으로 조정하는 전자 장치
US20230237632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40152250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240377895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688330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240331259A1 (en) Display control chip,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comprising the same
US12120433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739601B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40161752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250069566A1 (en) Display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hanging screen sett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5003472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40045952A (ko)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로의 송신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20133724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87273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9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9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3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3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