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74757B1 - 치과용 핸드피스 - Google Patents

치과용 핸드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74757B1
KR102774757B1 KR1020220106701A KR20220106701A KR102774757B1 KR 102774757 B1 KR102774757 B1 KR 102774757B1 KR 1020220106701 A KR1020220106701 A KR 1020220106701A KR 20220106701 A KR20220106701 A KR 20220106701A KR 102774757 B1 KR102774757 B1 KR 102774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le
ball
compressed air
supply pi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6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4013A (ko
Inventor
야마토 이노우에
히로시 아야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나카니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나카니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나카니시
Publication of KR20230084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4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74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7475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2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 A61C1/05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with turbine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07Control devices or systems
    • A61C1/0038Pneumatic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2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 A61C1/05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with turbine drive
    • A61C1/052Ducts for supplying driving or cooling fluid, e.g. air,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2Angle 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4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 A61C1/141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in an angled handpie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과제) 제조 비용을 억제하면서, 급기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게다가, 소형화가 가능한 치과용 핸드피스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치과 처치 공구(15)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바 슬리브(35)를 갖고, 공급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바 슬리브(35)를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31)를 구비한 헤드부(13)와, 헤드부(13)가 선단에 설치되며, 회전 기구(31)에 압축 공기를 보내는 급기관(17)을 갖는 통 형상의 파지부(11)를 구비하고, 급기관(17)은, 압축 공기를 조압하는 조압부(50)를 갖고, 조압부(50)는, 압축 공기가 지나는 관체(51)와, 관체(51)에 있어서의 관벽을 관통하는 구멍부(67)와, 구멍부(67)에 수용되어 구멍부(67)를 폐색하는 볼(53)과, 관체(51)에 끼워져 볼(53)을 관체(51)의 외주 측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압압하는 환상 탄성 부재(55)를 갖는다.

Description

치과용 핸드피스{DENTAL HANDPIECE}
본 발명은, 치과용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2에는, 압축 공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에어 터빈이나 에어 모터 등의 회전 기구를 구비한 치과용 핸드피스에 있어서, 회전 기구의 높은 회전 속도에 의한 치과 처치 공구의 파손이나 윤활유 소진에 의한 마모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압축 공기의 압력을 적정 범위로 조정하는 조압(調壓)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압 기구는, 원통 형상의 피스톤(1)을 구비하고 있으며, 피스톤(1)의 내측에 급기관(3)이 배치되고, 피스톤(1)의 외측에 케이스(5)가 배치되어 있다. 피스톤(1)은, 급기관(3)과 케이스(5)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케이스(5) 내에 수용된 코일 스프링(7)에 의해 축방향의 한쪽 측으로 탄성 가압되고 있다. 이 조압 기구에서는, 피스톤(1)에 있어서의 코일 스프링(7)과 반대 측의 단면에 압축 공기의 압력이 부여되고, 그 압력이 코일 스프링(7)의 탄성 가압력보다 커졌을 때에, 피스톤(1)이 코일 스프링(7)에 의한 탄성 가압력에 반하여 축방향의 다른 쪽 측으로 슬라이딩한다. 그러면, 통상 시에 피스톤(1)에 의해 막혀 있는 케이스(5)에 형성된 구멍부(5a)가 급기관(3)에 형성된 구멍부(3a)와 연통하여, 급기관(3) 내로 보내지는 압축 공기가 구멍부(3a, 5a)를 통해 케이스(5)의 외측으로 빠져 압력이 조정된다.
일본국 특허 제4147231호 공보 중국 특허 출원 공개 제106491217호 명세서
그런데, 상기의 조압 기구를 구성하는 피스톤(1), 급기관(3) 및 케이스(5) 등의 부품은, 공기의 누설을 억제하기 위해, 예를 들면, 각각의 부품의 간극이 10μm 이하가 되도록 고정밀도의 가공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제조 비용이 커져 버린다.
또, 고정밀도로 부품을 가공해도, 각 부품간의 간극으로부터의 공기의 누설을 완전히 없애는 것은 곤란하며, 압축 공기의 에너지 손실이 생겨, 회전 기구에 있어서의 토크나 회전 속도의 저하를 초래해 버린다.
게다가, 원통 형상의 피스톤(1)을 축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구조이므로, 전체 길이가 길어진다. 이 때문에, 큰 수용 공간이 필요해지고, 핸드피스 전체의 대형화를 초래해 버린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제조 비용을 억제하면서, 급기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게다가, 소형화가 가능한 치과용 핸드피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치과 처치 공구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바 슬리브를 갖고, 공급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상기 바 슬리브를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를 구비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가 선단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 기구에 압축 공기를 보내는 급기관을 갖는 통 형상의 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급기관은, 압축 공기를 조압하는 조압부를 갖고,
상기 조압부는,
상기 압축 공기가 지나는 관체와,
상기 관체에 있어서의 관벽을 관통하는 구멍부와,
상기 구멍부에 수용되어 상기 구멍부를 폐색하는 볼과,
상기 관체에 끼워져 상기 볼을 상기 관체의 외주 측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압압(押壓)하는 환상 탄성 부재를 갖는, 치과용 핸드피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 비용을 억제하면서, 급기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게다가,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핸드피스의 파지부를 축방향을 따라 단면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2는, 치과용 핸드피스의 헤드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치과용 핸드피스의 파지부의 후단 부근에 있어서의 축방향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조압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조압 기구의 축방향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변형예 1에 따른 조압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변형예 1에 따른 조압 기구의 축방향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IX-IX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변형예 2에 따른 조압 기구의 축방향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조압 기구를 나타내는 치과용 핸드피스의 파지부의 후단 부근에 있어서의 축방향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핸드피스(100)의 파지부(11)를 축방향을 따라 단면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치과용 핸드피스(100)는, 파지부(11)와, 헤드부(13)를 갖고 있다. 헤드부(13)는, 파지부(11)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헤드부(13)에, 치과 처치 공구(15)가 장착된다. 본 실시 형태의 치과용 핸드피스(100)는, 압축 공기에 의해 치과 처치 공구(15)를 회전시키는 에어 터빈식 핸드피스이다.
파지부(11)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12)를 갖고 있으며, 이 케이스(12)의 내부에, 급기관(17), 급수관(19)이 설치되어 있다. 급기관(17)은, 그 후단 측에 조압 기구(21)를 구비하고 있다. 급수관(19)은, 그 후단 측에 역지 밸브(23)를 구비하고 있다. 또, 파지부(11)는, 케이스(12)의 내부 공간이 배기 유로(25)로 되어 있다.
파지부(11)의 후단은, 접속부(27)로 되어 있으며, 이 접속부(27)에는, 커플링(도시 생략)이 접속된다. 커플링에는, 압축 공기 및 물을 송출하는 치과용 유닛(도시 생략)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요성 튜브(도시 생략)가 접속된다. 파지부(11)의 급기관(17)에는, 치과용 유닛으로부터 송출되는 압축 공기가 공급된다. 급기관(17)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는, 조압 기구(21)를 지나, 헤드부(13)를 향해 보내진다. 또, 파지부(11)의 급수관(19)에는, 치과용 유닛으로부터 송출되는 물이 공급된다. 급수관(19)에 공급되는 물은, 역지 밸브(23)를 지나, 헤드부(13)를 향해 보내진다. 급수관(19)에서는, 역지 밸브(23)에 의해 물의 역류가 억제된다.
도 2는, 치과용 핸드피스(100)의 헤드부(13)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부(13)는, 내부에 회전 기구(31)를 수용하는 헤드 하우징(33)을 갖고 있다. 회전 기구(31)는, 바 슬리브(35)와, 로터(37)와, 한 쌍의 볼 베어링(39)과, 카트리지 케이스(41)를 갖고 있다.
바 슬리브(35)는, 막대 형상의 치과 처치 공구(15)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것으로, 그 외주에 로터(37)가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볼 베어링(39)은, 카트리지 케이스(41)에 설치되어 있다. 바 슬리브(35)는, 볼 베어링(39)에 의해 양단 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헤드부(13)에서는, 급기관(17)으로부터 보내지는 압축 공기가 로터(37)에 내뿜어진다. 이로 인해, 치과 처치 공구(15)를 유지하는 바 슬리브(35)가 회전된다. 로터(37)에 내뿜어진 압축 공기는, 헤드부(13)로부터 파지부(11)의 케이스(12)의 내부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배기 유로(25)로 배출된다.
또, 파지부(11)에 있어서의 헤드부(13)의 근방 부분에는, 급수관(19)에 연통하는 토출구(43)가 형성되고, 급수관(19)으로부터 보내지는 물이 토출구(43)로부터 토출된다. 또, 토출구(43)에 인접한 위치에는, 급기관(17)으로부터 분기한 분기로(45)에 연통하는 분출구(47)가 형성되어 있으며, 분기로(45)로부터 보내지는 압축 공기가 분출구(47)로부터 분출된다. 이로 인해, 치과용 핸드피스(100)에서는, 헤드부(13)의 선단 근방에 있어서, 토출구(43)로부터 토출되는 물과 함께 분출구(47)로부터 압축 공기를 분출시킴으로써, 물을 스프레이 형상으로 하여 분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은, 치과용 핸드피스(100)의 파지부(11)의 후단 부근에 있어서의 축방향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조압 기구(21)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조압 기구(21)의 축방향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3~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기관(17)에 설치된 조압 기구(21)는, 조압부(50)를 갖는 관체(51)를 구비하고 있다. 관체(51)의 조압부(50)는, 볼(53)과, 환상 탄성 부재(55)를 갖고 있다.
관체(51)는, 유로(57)를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관체(51)는, 한쪽 단부(51a)에 급기관(17)이 접속되고, 다른 쪽 단부(51b)에 압축 공기를 송출하는 치과용 유닛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요성 튜브의 단부의 접속부(도시 생략)가 접속된다. 관체(51)는, 다른 쪽 단부(51b)가 파지부(11)의 접속부(27)를 구성하는 어댑터(28)에 유지되어 있다.
관체(51)는, 한쪽 단부(51a) 측에, 유로(57)보다 내경이 큰 끼움 구멍부(59)를 갖고 있으며, 이 끼움 구멍부(59)에 급기관(17)의 단부가 끼워 넣어져 접속된다. 이 끼움 구멍부(59)에는, O링(61)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O링(61)에 의해 급기관(17)과의 사이가 시일된다.
관체(51)는, 한쪽 단부(51a) 측이 대직경부(63)가 되고, 다른 쪽 단부(51b) 측이, 대직경부(63)보다 소직경으로 형성된 소직경부(65)로 되어 있다.
관체(51)에는, 대직경부(63)에 있어서의 소직경부(65) 측의 근방 위치에, 조압부(50)가 설치되어 있다. 조압부(50)는, 관체(51)의 관벽을 표리로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부(67)를 갖고 있다. 본 예에서는, 관체(51)는, 3개의 구멍부(67)를 갖고 있으며, 이들 구멍부(67)가 둘레 방향의 등간격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구멍부(67)에는, 각각 볼(53)이 수용되어 있다.
또, 관체(51)의 조압부(50)에는, 대직경부(63)의 외주에, 홈부(69)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69)는, 구멍부(67)의 형성 개소를 지나는 위치에 있어서, 둘레 방향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69)는, 구멍부(67)에 수용된 볼(53)의 직경보다 좁은 폭을 갖고 있다.
환상 탄성 부재(55)는, 예를 들면,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것으로,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환상 탄성 부재(55)는, 단면에서 봤을 때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환상 탄성 부재(55)로서는, 예를 들면, O링을 사용할 수 있다. 환상 탄성 부재(55)는, 관체(51)의 외주에 끼워져 있으며, 대직경부(63)에 형성된 홈부(69)에 수용되어 있다. 관체(51)의 외주에 끼워져 홈부(69)에 수용된 환상 탄성 부재(55)는, 관체(5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홈부(69) 내에 수용되어, 관체(51)의 축방향에 대한 위치 어긋남이 억제된다.
그리고, 홈부(69)에 환상 탄성 부재(55)가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관체(51)의 외주에 있어서의 구멍부(67)의 형성 개소에서는, 홈부(69)에 수용된 환상 탄성 부재(55)와 구멍부(67)의 내주면 사이에 클리어런스(C)가 형성된다.
도 6은, 도 5의 VI-V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51)의 조압부(50)에 형성된 구멍부(67)는, 관체(51)의 내주 측에, 볼(53)의 직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소직경 구멍부(67a)를 갖고 있다. 이 구멍부(67)에는, 관체(51)의 외주 측으로부터 볼(53)이 수용된다. 구멍부(67)에 수용되는 볼(53)은, 구멍부(67)에 있어서의 관체(51)의 내주 측의 소직경 구멍부(67a)에 걸려, 관체(51)의 내주 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각 구멍부(67)에 수용된 볼(53)은, 관체(51)의 외주에 끼워져 홈부(69)에 수용된 환상 탄성 부재(55)의 탄성력에 의해 관체(51)의 내주 측을 향해 압압되고 있다. 이로 인해, 각 구멍부(67)에 수용된 볼(53)은, 구멍부(67)의 소직경 구멍부(67a)의 가장자리부에 맞대어진 상태가 되어, 각 구멍부(67)는, 볼(53)에 의해 폐색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구조의 조압 기구(21)를 구비한 치과용 핸드피스(100)에서는, 커플링에 의해 접속된 가요성 튜브를 통해 치과용 유닛으로부터 압축 공기가 공급된다. 이 공급되는 압축 공기는, 조압 기구(21)를 구성하는 관체(51)를 지나, 급기관(17)으로 보내진다. 그리고, 헤드부(13)에서는, 급기관(17)으로부터 압축 공기가 로터(37)에 내뿜어져, 치과 처치 공구(15)를 유지한 바 슬리브(35)가 회전된다. 로터(37)에 내뿜어진 압축 공기는, 헤드부(13)로부터 파지부(11)의 케이스(12)의 내부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배기 유로(25)로 배출되고, 가요성 튜브의 배기로를 통해 치과용 유닛 측으로 배출된다.
이 때, 치과용 유닛으로부터 적정 범위를 넘은 압력으로 압축 공기가 공급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조압 기구(21)에서는, 급기관(17)의 내압의 상승에 따라, 관체(51)의 조압부(50)의 각 구멍부(67)에 수용된 볼(53)이 환상 탄성 부재(55)에 의한 탄성 가압력에 반하여 관체(51)의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변위한다. 그러면, 이들 볼(53)이 구멍부(67)의 소직경 구멍부(67a)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이격되어, 관체(51) 내의 압축 공기가 구멍부(67)와 볼(53)의 간극으로부터 관체(51)의 외주 측의 배기 유로(25)로 유출되고, 급기관(17)의 내압이 적정 범위로 유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치과용 핸드피스(100)에 의하면, 급기관(17)에 설치된 조압 기구(21)의 조압부(50)에 의해,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이 적정 범위로 유지되므로, 회전 기구(31)에 있어서, 바 슬리브(35)의 회전 속도가 높은 것에 따른 치과 처치 공구(15)의 파손이나 윤활유 소진에 의한 마모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 조압 기구(21)의 조압부(50)는, 관체(51)에 형성된 구멍부(67)에 볼(53)이 수용되고, 이 볼(53)이 관체(51)에 끼워진 환상 탄성 부재(55)에 의해 외주 측으로부터 탄성 가압된 구조이다. 따라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피스톤에 의해 압축 공기를 조압하는 종래 구조의 조압 기구에 비해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고, 또, 부품 자체의 비용이 억제된다.
게다가,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부품이 없기 때문에, 축방향의 길이를 짧게 하여 소형화가 도모되고, 파지부(11) 내의 좁은 공간에 용이하게 수용시킬 수 있다.
또, 부품끼리의 간극으로부터의 압축 공기의 누설에 의한 급기 에너지의 손실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급기관(17)과 별도인 관체(51)에 조압부(50)를 설치했는데, 급기관(17)으로 이루어지는 관체에 조압부(50)를 설치하여 조압 기구(21)를 구성해도 된다. 이 구조에 의하면, 부품 점수의 삭감이 한층 더 도모된다.
다음에, 치과용 핸드피스(100)에 구비되는 조압 기구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조압 기구(21)와 동일 구성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변형예 1)
도 7은, 변형예 1에 따른 조압 기구(21A)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변형예 1에 따른 조압 기구(21A)의 축방향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IX-IX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예 1에 따른 조압 기구(21A)는, 2개의 조압부(50A)를 갖는 관체(71)를 구비하고 있다.
관체(71)는, 유로(77)를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관체(71)는, 한쪽 단부(71a)에 급기관(17)이 접속되고, 다른 쪽 단부(71b)에, 압축 공기를 송출하는 치과용 유닛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요성 튜브의 접속부가 접속된다.
관체(71)는, 한쪽 단부(71a) 측에, O링(61)이 설치된 끼움 구멍부(79)를 갖고 있으며, 이 끼움 구멍부(79)에 급기관(17)의 단부가 끼워 넣어져 접속된다. 또, 관체(71)의 유로(77)는, 끼움 구멍부(79) 측이 소직경 유로부(77a)로 되어 있다.
관체(71)는, 한쪽 단부(71a) 측이 중간 직경부(73)가 되고, 다른 쪽 단부(71b) 측이, 중간 직경부(73)보다 소직경으로 형성된 소직경부(75)로 되어 있다. 또, 관체(71)는, 중간 직경부(73)에 있어서의 축방향의 중간부가, 또한 대직경으로 형성된 대직경부(74)로 되어 있다. 2개의 조압부(50A)는, 관체(71)에 있어서의 대직경부(74)에 설치되고,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관체(71)의 대직경부(74)에는, 급수관(19) 측이 되는 부분에, 급수관(19)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릴리프부(74a)가 형성되어 있다.
조압부(50A)는, 볼(53)을 수용하는 1개의 구멍부(67)를 갖고 있으며, 이 1개의 구멍부(67)의 형성 개소를 지나는 위치에, 볼(53)의 직경보다 좁은 폭을 갖는 홈부(6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홈부(69)에, 환상 탄성 부재(55)가 수용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71)에 형성된 구멍부(67)는, 관체(71)의 내주 측에 소직경 구멍부(67a)를 갖고, 또한, 관체(71)의 외주 측에 대직경 구멍부(67b)를 갖고 있다. 이 구멍부(67)에 관체(71)의 외주 측으로부터 수용된 볼(53)은, 구멍부(67)에 있어서의 관체(71)의 내주 측의 소직경 구멍부(67a)에 걸려, 관체(71)의 내주 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조압부(50A)에서는, 환상 탄성 부재(55)의 탄성력에 의해 볼(53)이 압압되어 구멍부(67)의 소직경 구멍부(67a)의 가장자리부에 맞대어지고, 이로 인해, 구멍부(67)는, 볼(53)에 의해 폐색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변형예 1에 따른 조압 기구(21A)에서는, 치과용 유닛으로부터 적정 범위를 넘은 압력으로 압축 공기가 공급되면, 조압 기구(21A)의 각 조압부(50A)의 구멍부(67)에 수용된 볼(53)이 환상 탄성 부재(55)에 의한 탄성 가압력에 반하여 관체(71)의 외주 방향으로 변위한다. 이로 인해, 볼(53)이 구멍부(67)의 소직경 구멍부(67a)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이격되어, 관체(71) 내의 압축 공기가 구멍부(67)와 볼(53)의 간극으로부터 관체(71)의 외주 측의 배기 유로(25)로 유출된다.
또한, 각 조압부(50A)는, 볼(53)을 수용하는 1개의 구멍부(67)에 있어서 조압이 행해진다. 이 때문에, 구멍부(67)에 있어서의 관체(71)의 외주 측에 대직경 구멍부(67b)를 형성하여, 조압 시에 공기가 빠지기 쉽게 하고 있다. 또, 동일한 목적으로, 환상 탄성 부재(55)의 재질을 선택하여 탄성력을 조정함으로써, 조압 시에 공기가 빠지기 쉽게 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변형예 1에 따른 조압 기구(21A)의 경우도, 압축 공기가 적정 범위를 넘으면, 관체(71)에 설치된 각 조압부(50A)로부터 압축 공기가 배출됨으로써, 급기관(17)의 내압이 적정 범위로 유지된다. 이로 인해, 회전 기구(31)에 있어서, 바 슬리브(35)의 회전 속도가 높은 것에 따른 치과 처치 공구(15)의 파손이나 윤활유 소진에 의한 마모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 변형예 1에 따른 조압 기구(21A)는, 각 조압부(50A)에 있어서, 1개의 구멍부(67)에, 환상 탄성 부재(55)에 의해 탄성 가압되는 볼(53)을 수용시키고 있으므로, 구조의 간략화가 도모된다.
게다가, 복수의 조압부(50A)가 관체(71)의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압 기능에 리던던시를 갖게 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변형예 2)
도 10은, 변형예 2에 따른 조압 기구(21B)의 축방향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예 2에 따른 조압 기구(21B)는, 급기관(17)에 설치된 분기관(81)에 장착된다. 분기관(81)은, 일단이 급기관(17)에 접속되어 있으며, 중간부가 굴곡되어 급기관(17)을 따라 연장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분기관(81)의 타단에, 조압 기구(21B)가 접속되어 있다.
조압 기구(21B)는, 관체(91)를 갖고 있으며, 이 관체(91)에, 조압부(50)가 설치되어 있다. 관체(91)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관체(91)는, O링(61)을 구비한 끼움 구멍부(93)를 갖고 있으며, 끼움 구멍부(93)에, 급기관(17)으로부터 분기한 분기관(81)의 단부가 끼워 넣어져 접속된다. 관체(91)는, 분기관(81)과의 접속 측과 반대 측의 단부 측에 대직경부(95)를 갖고 있으며, 이 대직경부(95)에, 3개의 구멍부(67)에 볼(53)이 수용되며, 각 볼(53)이 환상 탄성 부재(55)에 의해 탄성 가압된 조압부(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변형예 2에 따른 조압 기구(21B)에서는, 치과용 유닛으로부터 적정 범위를 넘은 압력으로 압축 공기가 공급되면, 분기관(81)에 접속된 조압 기구(21B)의 관체(91)의 내압이 상승하고, 조압부(50)의 각 구멍부(67)에 수용된 볼(53)이 환상 탄성 부재(55)에 의한 탄성 가압력에 반하여 관체(51)의 외주 방향으로 각각 변위한다. 이로 인해, 각 볼(53)이 구멍부(67)의 소직경 구멍부(67a)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이격되고, 관체(91) 내의 압축 공기가 구멍부(67)와 볼(53)의 간극으로부터 관체(91)의 외주 측의 배기 유로(25)로 유출되어, 급기관(17)의 내압이 적정 범위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변형예 2에 따른 조압 기구(21B)의 경우도, 압축 공기가 적정 범위를 넘으면, 관체(91)에 설치된 조압부(50)로부터 압축 공기가 배출됨으로써, 급기관(17)의 내압이 적정 범위로 유지된다. 이로 인해, 회전 기구(31)에 있어서, 바 슬리브(35)의 회전 속도가 높은 것에 따른 치과 처치 공구(15)의 파손이나 윤활유 소진에 의한 마모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 변형예 2에 따른 조압 기구(21B)는, 급기관(17)으로부터 분기하는 분기관(81)에 설치되므로, 압축 공기의 공급 경로를 단축할 수 있어, 치과용 핸드피스(100)의 전체 길이를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변형예 2에 있어서, 조압부(50)는, 급기관(17)으로부터 분기하고, 또한 급기관(17)에 합류하는 분기관에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급기관(17)으로부터 분기관(25)으로 분기한 압축 공기가, 분기관의 조압부(50)를 통과하여 급기관(17)에 합류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시 형태의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것이나, 명세서의 기재, 및 주지의 기술에 의거하여, 당업자가 변경, 응용하는 것도 본 발명이 예정하는 것이며, 보호를 요구하는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에는 다음 사항이 개시되어 있다. (1) 치과 처치 공구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바 슬리브를 갖고, 공급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상기 바 슬리브를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를 구비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가 선단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 기구에 압축 공기를 보내는 급기관을 갖는 통 형상의 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급기관은, 압축 공기를 조압하는 조압부를 갖고,
상기 조압부는,
상기 압축 공기가 지나는 관체와,
상기 관체에 있어서의 관벽을 관통하는 구멍부와,
상기 구멍부에 수용되어 상기 구멍부를 폐색하는 볼과,
상기 관체에 끼워져 상기 볼을 상기 관체의 외주 측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압압하는 환상 탄성 부재를 갖는, 치과용 핸드피스.
이 치과용 핸드피스에 의하면, 급기관에 설치된 조압부에 있어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이 적정 범위를 넘으면, 그 압력에 의해 구멍부에 수용된 볼이 환상 탄성 부재에 의한 탄성 가압력에 반하여 관체의 외주 방향으로 각각 변위한다. 이로 인해, 관체 내의 압축 공기가 구멍부와 볼의 간극으로부터 관체의 외주 측으로 유출되어, 압축 공기의 압력이 적정 범위로 유지된다. 이로 인해, 회전 기구에 있어서, 바 슬리브의 회전 속도가 높은 것에 따른 치과 처치 공구의 파손이나 윤활유 소진에 의한 마모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 조압부는, 관체에 형성된 구멍부에 볼이 수용되고, 이 볼이 관체에 끼워진 환상 탄성 부재에 의해 외주 측으로부터 탄성 가압된 구조이다. 따라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피스톤에 의해 압축 공기를 조압하는 종래 구조의 조압 기구에 비해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고, 또, 부품 자체의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부품이 없기 때문에, 축방향의 길이를 짧게 하여 소형화가 도모되고, 파지부 내의 좁은 공간에 용이하게 수용시킬 수 있다.
또, 부품끼리의 간극으로부터의 압축 공기의 누설에 의한 급기 에너지의 손실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치과용 핸드피스에 의하면, 제조 비용을 억제하면서, 급기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게다가, 소형화할 수 있다.
(2) 상기 조압부를 갖는 조압 기구가 상기 급기관에 접속되어 있는, (1)에 기재된 치과용 핸드피스.
이 치과용 핸드피스에 의하면, 급기관에 접속된 조압 기구의 조압부에 의해, 급기관으로 하여금 조압 기능을 용이하게 갖게 할 수 있다.
(3) 상기 관체에 복수의 상기 구멍부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구멍부에 상기 볼이 수용되며,
상기 볼이 상기 환상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관체의 외주 측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압압되고 있는, (1) 또는 (2)에 기재된 치과용 핸드피스.
이 치과용 핸드피스에 의하면, 둘레 방향으로 간격 두고 형성된 복수의 구멍부에 볼이 수용되고, 이들 볼이 환상 탄성 부재에 의해 관체의 외주 측으로부터 압압되고 있다. 따라서, 압축 공기의 압력이 적정 범위를 넘었을 때에, 각 구멍부의 볼이 변위하여, 압축 공기의 압력을 신속하게 억제할 수 있다.
(4) 상기 구멍부는, 상기 관체의 내주 측에, 상기 볼의 직경보다 소직경인 소직경 구멍부를 갖고,
상기 볼은, 상기 구멍부에 대해 상기 관체의 외주 측으로부터 수용되어 상기 소직경 구멍부에 걸리는,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치과용 핸드피스.
이 치과용 핸드피스에 의하면, 구멍부에 수용한 볼이 소직경 구멍부에서 걸림으로써, 구멍부의 적정 위치에 볼을 배치할 수 있다.
(5) 상기 관체의 외주에는, 상기 구멍부의 형성 개소를 지나는 위치에, 상기 볼의 직경보다 좁은 폭의 홈부가 둘레 방향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 상기 환상 탄성 부재가 수용되어 있는,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치과용 핸드피스.
이 치과용 핸드피스에 의하면, 관체의 외주에 있어서의 구멍부의 형성 개소에 있어서, 홈부에 수용된 환상 탄성 부재와 구멍부의 내주면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이 클리어런스로부터 압축 공기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6) 복수의 상기 조압부가 상기 관체에 있어서의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치과용 핸드피스.
이 치과용 핸드피스에 의하면, 복수의 조압부가 관체의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압 기능에 리던던시를 갖게 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7) 상기 조압부는, 상기 급기관으로부터 분기하는 분기관에 설치되어 있는,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치과용 핸드피스.
이 치과용 핸드피스에 의하면, 급기관으로부터 분기하는 분기관에 조압부가 설치되므로, 압축 공기의 공급 경로를 단축할 수 있어, 치과용 핸드피스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11: 파지부 13: 헤드부
15: 치과 처치 공구 17: 급기관
21, 21A, 21B: 조압 기구 31: 회전 기구
35: 바 슬리브 50, 50A: 조압부
51, 71, 91: 관체 53: 볼
55: 환상 탄성 부재 67: 구멍부
67a: 소직경 구멍부 69: 홈부
81: 분기관 100: 치과용 핸드피스

Claims (7)

  1. 치과 처치 공구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바 슬리브를 갖고, 공급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상기 바 슬리브를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를 구비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가 선단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 기구에 압축 공기를 보내는 급기관을 갖는 통 형상의 파지부
    를 구비하고,
    상기 급기관은, 상기 급기관 내의 압축 공기를 조압하는 조압부를 갖고,
    상기 조압부는,
    상기 압축 공기가 지나는 관체와,
    상기 관체에 있어서의 관벽을 관통하는 구멍부와,
    상기 구멍부에 수용되어 상기 구멍부를 폐색하는 볼과,
    상기 관체에 끼워져 상기 볼을 상기 관체의 외주 측으로부터 탄성 가압하는 환상 탄성 부재를 갖고,
    상기 관체의 외주에는, 상기 구멍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볼의 직경보다 좁은 폭의 홈부가 둘레 방향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 상기 환상 탄성 부재가 수용되어 있는, 치과용 핸드피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압부를 갖는 조압 기구가 상기 급기관에 접속되어 있는, 치과용 핸드피스.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체에 복수의 상기 구멍부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구멍부에 상기 볼이 수용되며,
    상기 볼이 상기 환상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관체의 외주 측으로부터 탄성 가압되고 있는, 치과용 핸드피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멍부는, 상기 관체의 내주 측에, 상기 볼의 직경보다 소직경인 소직경 구멍부를 갖고,
    상기 볼은, 상기 구멍부에 대해 상기 관체의 외주 측으로부터 수용되어 상기 소직경 구멍부에 걸리는, 치과용 핸드피스.
  5.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조압부가 상기 관체에 있어서의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치과용 핸드피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압부는, 상기 급기관으로부터 분기하는 분기관에 설치되어 있는, 치과용 핸드피스.
  7. 삭제
KR1020220106701A 2021-12-03 2022-08-25 치과용 핸드피스 Active KR1027747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97173 2021-12-03
JP2021197173A JP7258993B1 (ja) 2021-12-03 2021-12-03 歯科用ハンドピー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4013A KR20230084013A (ko) 2023-06-12
KR102774757B1 true KR102774757B1 (ko) 2025-03-04

Family

ID=82492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6701A Active KR102774757B1 (ko) 2021-12-03 2022-08-25 치과용 핸드피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4190274B1 (ko)
JP (1) JP7258993B1 (ko)
KR (1) KR102774757B1 (ko)
CN (1) CN116211496A (ko)
ES (1) ES2993540T3 (ko)
PL (1) PL4190274T3 (ko)
TW (1) TWI8483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537786A1 (de) 2023-10-10 2025-04-16 W & H Dentalwerk Bürmoos GmbH Fluidleitendes verbindungselement eines fluidbetriebenen, medizinischen, insbesondere dentalen, handstücks und ein derartiges handstück
CN119184889B (zh) * 2024-11-27 2025-03-14 德州市红拳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植牙定位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9144A (ja) * 2001-07-10 2003-01-21 Nakanishi:Kk 減圧機構を備えた歯科用ハンドピース
KR101955327B1 (ko) 2018-01-17 2019-06-24 주식회사 덴탈로이드 공기압 조절이 가능한 치과용 핸드피스
KR102128387B1 (ko) 2018-12-26 2020-07-08 (주)세신정밀 에어 터빈식 핸드피스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729110U1 (de) * 1977-09-20 1979-01-04 Kaltenbach & Voigt Gmbh & Co, 7950 Biberach Zahnärztliches Handstück
US4521189A (en) * 1983-11-03 1985-06-04 Lares Research Dental handpiece
JPH03110273U (ko) * 1990-02-27 1991-11-12
US5417527A (en) * 1994-08-12 1995-05-23 Wienhold; James L. Quick change chuck assembly for tool bits
JP4147231B2 (ja) * 2005-06-16 2008-09-10 株式会社ナカニシ 調圧機構を備えた歯科用ハンドピース
KR101861877B1 (ko) * 2010-09-22 2018-05-28 가부시끼가이샤 요시다세이사쿠쇼 에어 터빈 핸드피스
DE102014226640A1 (de) * 2014-12-19 2016-06-23 Sirona Dental Systems Gmbh Zahnärztliches Handstück mit Entlüftung
CN106491217A (zh) 2016-11-29 2017-03-15 桂林市啄木鸟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过载保护装置及含其的高速牙科手机
CN110179557A (zh) * 2018-12-18 2019-08-30 贝思德迩医疗器材(广州)有限公司 一种可调主工作气流量的牙科高速手机
KR20210061790A (ko) * 2019-11-20 2021-05-28 김병환 공기압 조절형 치과용 핸드피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9144A (ja) * 2001-07-10 2003-01-21 Nakanishi:Kk 減圧機構を備えた歯科用ハンドピース
KR101955327B1 (ko) 2018-01-17 2019-06-24 주식회사 덴탈로이드 공기압 조절이 가능한 치과용 핸드피스
KR102128387B1 (ko) 2018-12-26 2020-07-08 (주)세신정밀 에어 터빈식 핸드피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27525A (zh) 2023-07-16
TWI848312B (zh) 2024-07-11
ES2993540T3 (en) 2025-01-02
EP4190274B1 (en) 2024-10-16
KR20230084013A (ko) 2023-06-12
JP7258993B1 (ja) 2023-04-17
PL4190274T3 (pl) 2025-02-24
JP2023083065A (ja) 2023-06-15
CN116211496A (zh) 2023-06-06
EP4190274A1 (en) 202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74757B1 (ko) 치과용 핸드피스
EP1907169B1 (en) Rotary tool
US5078323A (en) Air valve for portable paint gun
EP2393602B1 (en) Self regulating fluid bearing high pressure rotary nozzle
US7677325B2 (en) Pneumatic tool
AU2005244248B2 (en) Surgical pneumatic motor
US5050804A (en) Shaft seal for portable paint gun
US5261233A (en) Brake device of pneumatic rotational tool
US20190003330A1 (en) Stop valve and steam turbine
US7044477B2 (en) Chuck assembly with a cooling mechanism
CN111344068A (zh) 高压喷嘴
EP0634224B1 (en) Shaft seal for portable paint gun
RU2002128132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идродинам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поверхностей
US20060153721A1 (en) Dual inlet rotary tool
RU1142928C (ru) Наконечник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угловой
EP1254721B1 (en) Washing gun
CN104153797A (zh) 一种操纵阀组的阀芯组件
CA1113745A (en) Dental handpiece
GB2275971A (en) Speed controller for an air mo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6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2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