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74664B1 - 다기능 창호 조립체 - Google Patents

다기능 창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74664B1
KR102774664B1 KR1020220116037A KR20220116037A KR102774664B1 KR 102774664 B1 KR102774664 B1 KR 102774664B1 KR 1020220116037 A KR1020220116037 A KR 1020220116037A KR 20220116037 A KR20220116037 A KR 20220116037A KR 102774664 B1 KR102774664 B1 KR 102774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engaging
section
guide body
pass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6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37483A (ko
Inventor
박윤표
박준하
Original Assignee
박윤표
박준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표, 박준하 filed Critical 박윤표
Priority to KR1020220116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74664B1/ko
Publication of KR20240037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7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74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7466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로의 양방향 스크린 구조와 잠금 구조를 이용해 방범, 방진, 방충 성능 및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기능 창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벽체의 전후로 관통되는 통로와, 통로의 상면에 결합되어 좌우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하면에 제1안내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측 레일과, 통로의 하면에 결합되어 좌우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상면에 제2안내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하측 레일과, 상단과 하단이 제1안내홈과 제2안내홈의 좌우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외측 창틀과, 상단과 하단이 제1안내홈과 제2안내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외측 창틀의 후방에 어긋나게 배치되는 내측 창틀과, 통로를 기준으로 좌우방향에 각각 배치되고, 내부의 수납공간이 관통홀에 의해 통로로 수평하게 연통되는 한 쌍의 하우징과, 수납공간의 수직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권취 또는 풀림 방향으로 수평회전 가능하게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권취부 및, 권취부의 외주면에 수평하게 권취되고, 일측의 자유단이 관통홀을 통해 외측 창틀과 내측 창틀의 반대되는 일측에 각각 결합되며, 외측 창틀과 내측 창틀을 개방시 통로를 커버하는 한 쌍의 스크린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창호 조립체{Multi-functional Window Assembly}
본 발명은 다기능 창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범, 방진, 방충 성능과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기능 창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건축물 등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실내와 실외를 차단 및 개방시키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며, 창호는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창틀 및, 창틀의 내부에 설치되는 유리창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종래의 창호에는 창틀을 개방시 개구부를 차단하여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 및, 창틀을 폐쇄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록킹부재 등이 적용되고 있으며, 록킹부재를 잠금 해지 상태로 전환시켜 창틀을 개방시키는 경우 방충망이 개구부의 개방된 영역을 커버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종래의 창호는 환기를 위해 양측의 창틀을 모두 개방시키는 개방시키는 경우 창틀을 기준으로 개구부의 일방향에만 방충망이 위치되므로, 방충망이 없는 부분을 통해 실내측으로 해충이 들어올 염려가 있었고, 창틀을 일부 또는 모두 개방시키는 경우 창틀이 잠금 해지 상태로 전환되므로, 창호를 개방시킨 상태에서는 방범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구조였다.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154664호(2021년 12월 21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여닫이창에 설치되는 방충망 창호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범, 방진, 방충 성능과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기능 창호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창호 조립체는 벽체의 전후로 관통되는 통로와, 상기 통로의 상면에 결합되어 좌우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하면에 제1안내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측 레일과, 상기 통로의 하면에 결합되어 좌우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상면에 제2안내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하측 레일과, 상단과 하단이 상기 제1안내홈과 상기 제2안내홈의 좌우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외측 창틀과, 상단과 하단이 상기 제1안내홈과 상기 제2안내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외측 창틀의 후방에 어긋나게 배치되는 내측 창틀과, 상기 통로를 기준으로 좌우방향에 각각 배치되고, 내부의 수납공간이 관통홀에 의해 상기 통로로 수평하게 연통되는 한 쌍의 하우징과, 상기 수납공간의 수직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권취 또는 풀림 방향으로 수평회전 가능하게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권취부 및, 상기 권취부의 외주면에 수평하게 권취되고, 일측의 자유단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외측 창틀과 상기 내측 창틀의 반대되는 일측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외측 창틀과 상기 내측 창틀을 개방시 상기 통로를 커버하는 한 쌍의 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측 창틀의 후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통로의 좌우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상측 걸림홈과, 상기 제2안내홈의 하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통로의 좌우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하측 걸림홈과, 상기 내측 창틀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내부의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가이드 몸체와, 상기 설치공간의 내부에서 길이방향 일측의 제1걸림단이 상기 가이드 몸체의 전방으로 수평하게 관통되어 상기 상측 걸림홈과 삽탈 가능하고, 상기 제1걸림단과 직각으로 절곡된 타측의 제1조작단이 상기 가이드 몸체의 외부로 조작 가능하게 돌출되는 제1래치 및, 상기 설치공간의 내부에서 길이방향 일측의 제2걸림단이 상기 가이드 몸체의 하방으로 수직하게 관통되어 상기 하측 걸림홈과 삽탈 가능하고, 상기 제2걸림단과 직각으로 절곡된 타측의 제2조작단이 상기 가이드 몸체의 외부로 조작 가능하게 돌출되는 제2래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걸림단이 통과되도록 상기 가이드 몸체의 전면에 전후로 관통되는 상측 출몰홀과, 상기 제2걸림단이 통과되도록 상기 가이드 몸체의 하면에 상하로 관통되는 하측 출몰홀과, 상기 제1조작단이 통과되도록 상기 설치공간과 상기 가이드 몸체의 외부로 관통되고, 상기 제1조작단이 걸림 또는 걸림 해지 위치로 이동되도록 양측으로 길이를 갖는 제1위치조절홀 및, 상기 제2조작단이 통과되도록 상기 설치공간과 상기 가이드 몸체의 외부로 관통되고, 상기 제2조작단이 걸림 또는 걸림 해지 위치로 이동되도록 양측으로 길이를 갖는 제2위치조절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위치조절홀은 상기 설치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가이드 몸체의 일측면으로 수평하게 관통되는 제1이동구간과, 상기 제1이동구간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회피구간 및, 상기 제1이동구간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몸체의 상면으로 수평하게 절곡 연장되는 제1걸림구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래치는 상기 제1조작단을 상기 가이드 몸체의 측방으로 수평하게 회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회피구간으로 후퇴시키는 경우 상기 제1걸림단이 상기 상측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제1조작단을 전진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걸림구간으로 수직하게 회동시키는 경우 상기 제1걸림단이 상기 상측 걸림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위치조절홀은 상기 설치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가이드 몸체의 일측면으로 수평하게 관통되는 제2이동구간과, 상기 제2이동구간의 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2회피구간 및, 상기 제2이동구간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몸체의 후면으로 수평하게 절곡 연장되는 제2걸림구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래치는 상기 제2조작단을 상기 가이드 몸체의 측방으로 수평하게 회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회피구간으로 상승시키는 경우 상기 제2걸림단이 상기 하측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제2조작단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걸림구간으로 수평하게 회동시키는 경우 상기 제2걸림단이 상기 하측 걸림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창틀의 양방향을 개방시 스크린에 의해 통로가 모두 커버되므로, 통로의 양방향을 모두 개방시킨 상태에서도 방범, 방진, 방충 기능을 유지시킬 수 있고, 스크린을 인출시킨 상태에서도 공기의 소통이 가능하므로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측 창틀과 내측 창틀이 개방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외력에 의해 통로의 개방된 면적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측 창틀을 내측 창틀에 결속시킬 수 있어 방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창호 조립체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창호 조립체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창호 조립체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창호 조립체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창호 조립체의 내측 창틀을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창호 조립체의 내측 창틀을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창호 조립체의 외측 창틀을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창호 조립체의 외측 창틀을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창호 조립체의 제1래치와 제2래치를 걸림 상태로 전환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창호 조립체의 제1래치와 제2래치를 걸림 상태로 전환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창호 조립체의 제1래치와 제2래치를 걸림 해지 상태로 전환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창호 조립체의 제1위치조절홀과 제2위치조절홀을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창호 조립체에 제1체결홀과 제2체결홀 및 체결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창호 조립체에 보조 걸림홈과 이탈방지돌기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창호 조립체에 보조 걸림홈과 이탈방지돌기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창호 조립체에 보조 걸림홈과 이탈방지돌기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창호 조립체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조립체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창호 조립체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창호 조립체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창호 조립체의 내측 창틀을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창호 조립체의 내측 창틀을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창호 조립체의 외측 창틀을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창호 조립체의 외측 창틀을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창호 조립체의 제1래치와 제2래치를 걸림 상태로 전환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창호 조립체의 제1래치와 제2래치를 걸림 상태로 전환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창호 조립체의 제1래치와 제2래치를 걸림 해지 상태로 전환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창호 조립체의 제1위치조절홀과 제2위치조절홀을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창호 조립체에 제1체결홀과 제2체결홀 및 체결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창호 조립체에 보조 걸림홈과 이탈방지돌기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창호 조립체에 보조 걸림홈과 이탈방지돌기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창호 조립체에 보조 걸림홈과 이탈방지돌기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창호 조립체는 통로(11)와, 상측 레일(20)과, 하측 레일(30)과, 외측 창틀(40)과, 내측 창틀(50)과, 하우징(110)과, 한 쌍의 권취부(120) 및, 한 쌍의 스크린(130)을 포함한다.
통로(11)는 후술 될 외측 창틀(40)과 내측 창틀(50)에 의해 개폐되는 부분으로, 벽체(10)의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관통되고, 상단과 하단이 좌우방향으로 수평하게 길이를 갖고, 좌측단과 우측단이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길이를 갖는 사각 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측 레일(20)은 외측 창틀(40)과 내측 창틀(50)의 상단을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측 레일(20)의 하면에는 외측 창틀(40)과 내측 창틀(50)의 상단이 삽입된 상태로 안내되도록 제1안내홈(21)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고, 제1안내홈(21)은 상측 레일(20)의 좌우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안내홈(21)은 실외 창틀(40)과 실내 창틀(50)이 전후방향에 엇갈리게 위치될 수 있도록 상측 레일(20)의 폭방향 양측에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고, 제1안내홈(21)의 바닥면과 외측 창틀(40) 및 내측 창틀(50)의 상단에는 암수로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삽입돌기 또는 삽입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돌기와 삽입홈은 제1안내홈(21)의 좌우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하측 레일(30)은 외측 창틀(40)과 내측 창틀(50)의 하단을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하측 레일(30)의 상면에는 외측 창틀(40)과 내측 창틀(50)의 하단이 삽입된 상태로 안내되도록 제2안내홈(31)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고, 제2안내홈(31)은 제1안내홈(21)과 대응되도록 상측 레일(20)의 좌우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2안내홈(31)은 실외 창틀(40)과 실내 창틀(50)이 전후방향에 엇갈리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측 레일(30)의 폭방향 양측에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고, 제2안내홈(31)의 바닥면과 외측 창틀(40) 및 내측 창틀(50)의 하단에는 암수로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삽입돌기 또는 삽입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돌기와 삽입홈은 제2안내홈(31)의 좌우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외측 창틀(40)은 통로(11)의 좌측영역 또는 우측영역에서 개방위치와 폐쇄위치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후술 될 내측 창틀(50)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통로(11)의 좌측영역 또는 우측영역을 개폐시키며, 후술 될 내측 창틀(50)의 전방에 엇갈리게 교차되어 통로(11)의 좌측영역과 우측영역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여기서, 외측 창틀(40)은 상단과 하단이 좌우방향으로 수평하게 길이를 갖고, 좌측단과 우측단이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길이를 갖는 사각 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단과 하단이 제1안내홈(21)과 제2안내홈(31)의 좌우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외측 창틀(40)의 내부에는 유리(glass) 소재로 구비되는 유리창이 결합될 수 있고, 유리창의 가장자리가 외측 창틀(40)의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외측 창틀(40)은 후술 될 내측 창틀(50)과 엇갈리게 위치될 수 있도록 통로(11)의 전후방향측 중심위치를 기준으로 실외측에 위치되고, 외측 창틀(40)의 후면이 내측 창틀(50)의 전면과 교차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으며, 외측 창틀(40)을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내측 창틀(50)과 교차되는 폭이 증가된다.
내측 창틀(50)은 통로(11)의 좌측영역 또는 우측영역에서 개방위치와 폐쇄위치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외측 창틀(40)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통로(11)의 좌측영역 또는 우측영역을 개폐시키며, 외측 창틀(40)의 후방에 엇갈리게 교차되어 통로(11)의 좌측영역과 우측영역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여기서, 내측 창틀(50)은 상단과 하단이 좌우방향으로 수평하게 길이를 갖고, 좌측단과 우측단이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길이를 갖는 사각 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단과 하단이 제1안내홈(21)과 제2안내홈(31)의 좌우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내측 창틀(50)의 내부에는 유리(glass) 소재로 구비되는 유리창이 결합될 수 있고, 유리창의 가장자리가 내측 창틀(50)의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측 창틀(50)은 외측 창틀(40)과 엇갈리게 위치될 수 있도록 통로(11)의 전후방향측 중심위치를 기준으로 내외측에 위치되고, 내측 창틀(50)의 후면이 외측 창틀(40)의 전면과 교차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으며, 내측 창틀(50)을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외측 창틀(40)와 교차되는 폭이 증가된다.
예를 들어, 외측 창틀(40)을 통로(11)의 좌측영역에 배치시키고, 내측 창틀(50)을 통로(11)의 우측영역에 배치시키는 경우, 외측 창틀(40)의 우측단과 내측 창틀(50)의 좌측단이 전후방향에 교차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외측 창틀(40)을 우측방향 또는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통로(11)의 좌측영역이 개폐될 수 있고, 내측 창틀(50)을 우측방향 또는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통로(11)의 우측영역이 개폐될 수 있다.
한 쌍의 하우징(110)은 통로(11)를 기준으로 좌우방향에 각각 배치되고, 내부의 수납공간(111)이 일측의 관통홀(112)에 의해 통로(11)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통된다. 여기서 관통홀(112)은 후술 될 스크린(130)이 통로(11)를 통해 돌출되거나 수납공간(111)으로 삽입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갖는다.
한 쌍의 권취부(120)는 수납공간(111)의 수직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권취 또는 풀림 방향으로 수평회전 가능하게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권취부(120)는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권취부(120)의 상단과 하단은 수납공간(111)의 상단과 하단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수납공간(111)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고, 권취부(120)를 권취방향으로 탄성 회전시키기 위한 탄성부재(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21)는 권취부(120)의 하단 또는 상단을 외부에서 수평하게 감싸고, 권취부(120)의 반경방향으로 권취되는 비틀림 스프링(torsion spring)을 사용할 수 있으나 탄성부재(121)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틀림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121)를 사용하는 경우 탄성부재(121)가 권취부(120)의 외부에 권취되고, 탄성부재(121)의 길이방향 일단이 권취부(120)에 결합되며, 반대되는 타측이 수납공간(111)의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탄성부재(121)의 일단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 탄성력에 의해 권취부(120)가 권취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크린(130)은 방충과 방진 및 방범을 위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권취부(120)의 외주면에 수평하게 권취되고, 일측의 자유단이 관통홀(112)을 통해 외측 창틀(40)과 내측 창틀(50)의 반대되는 일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130)은 먼지 또는 해충의 유입은 방지하면서 공기가 소통되도록 다수의 통기홀이 형성되는 방충망 또는 방진망 구조 또는 외부 침입자의 출입은 방지하면서 공기가 소통되도록 다수의 개방홀이 형성되는 방범창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크린(130)은 외측 창틀(40)과 내측 창틀(50)을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관통홀(112)을 통해 통로(11)의 내부로 수평하게 돌출되는 반면, 외측 창틀(40)과 내측 창틀(50)을 폐쇄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관통홀(112)을 통해 수평하게 삽입되면서 권취부(120)의 외부에 권취될 수 있으며, 외측 창틀(40)과 내측 창틀(50)을 폐쇄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탄성부재(121)의 회전 탄성력에 의해 권취부(120)가 회전되면서 스크린(130)을 외부에 권취시킬 수 있다.
또한, 외측 창틀(40)의 후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통로(11)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을 향하는 일측에 단턱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거치홈(42)과, 내측 창틀(50)의 후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거치홈(52)과, 스크린(130)의 자유단으로부터 통로(11)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제1거치홈(42)과 제2거치홈(52)의 후방을 통해 각각 삽입되어 좌우방향으로 걸림 위치되는 거치단(131) 및,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스크린(130)의 자유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파지구(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거치홈(42)은 외측 창틀(40)의 유리창을 기준으로 폐쇄방향에 편심되게 위치될 수 있고, 외측 창틀(40)의 상하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으며, 외측 창틀(40)의 폐쇄방향 일측에는 거치단(131)이 걸림 위치되도록 제1단턱이 돌출될 수 있다.
제2거치홈(52)은 내측 창틀(50)의 유리창을 기준으로 폐쇄방향에 편심되게 위치될 수 있고, 내측 창틀(50)의 상하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으며, 내측 창틀(50)의 폐쇄방향에 위치된 일측면에는 거치단(131)이 걸림 위치되도록 제2단턱이 돌출될 수 있다.
거치단(131)의 전단은 통로(11)로 돌출되는 스크린(130)의 자유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후 스크린(130)의 권취방향으로 절곡 연장될 수 있고, 거치단(131)을 제1거치홈(42)에 삽입 후 스크린(130)의 권취방향으로 이동시 거치단(131)의 절곡된 끝단이 제1단턱의 전면에 교차된 상태로 위치되므로 거치단(131)을 제1단턱의 전단에 걸림 위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1단턱이 거치단(131)의 전단을 후방에서 걸림 위치시키므로 거치단(131)이 제1거치홈(42)의 후방으로 분리되지 않으며, 거치단(131)을 스크린(130)의 풀림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제1거치홈(42)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반면, 거치단(131)을 제2거치홈(52)에 삽입 후 스크린(130)의 권취방향으로 이동시 거치단(131)의 절곡된 끝단이 제2단턱의 전면에 교차된 상태로 위치되므로 거치단(131)을 제2단턱의 전단에 걸림 위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2단턱이 거치단(131)의 전단을 후방에서 걸림 위치시키므로 거치단(131)이 제2거치홈(52)의 후방으로 분리되지 않으며, 거치단(131)을 스크린(130)의 풀림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제2거치홈(52)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즉 스크린(130)의 거치단(131)을 외측 창틀(40)과 내측 창틀(50)에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어 스크린(130)의 설치 및 설치 해제 과정이 용이하므로 사용 및 관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창호 조립체는 외측 창틀(40)의 후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통로(11)의 좌우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상측 걸림홈(210)과, 제2안내홈(31)의 하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통로(11)의 좌우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하측 걸림홈(220)과, 내측 창틀(50)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내부의 설치공간(311)이 형성되는 가이드 몸체(310)와, 설치공간(311)의 내부에서 길이방향 일측의 제1걸림단(321)이 가이드 몸체(310)의 전방으로 수평하게 관통되어 상측 걸림홈(210)과 삽탈 가능하고, 제1걸림단(321)과 직각으로 절곡된 타측의 제1조작단(322)이 가이드 몸체(310)의 외부로 조작 가능하게 돌출되는 제1래치(320) 및, 설치공간(311)의 내부에서 길이방향 일측의 제2걸림단(331)이 가이드 몸체(310)의 하방으로 수직하게 관통되어 하측 걸림홈(220)과 삽탈 가능하고, 제2걸림단(331)과 직각으로 절곡된 타측의 제2조작단(332)이 가이드 몸체(310)의 외부로 조작 가능하게 돌출되는 제2래치(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걸림단(321)이 통과되도록 가이드 몸체(310)의 전면에 전후로 관통되는 상측 출몰홀(312)과, 제2걸림단(331)이 통과되도록 가이드 몸체(310)의 하면에 상하로 관통되는 하측 출몰홀(313)과, 제1조작단(322)이 통과되도록 설치공간(311)과 가이드 몸체(310)의 외부로 관통되고, 제1조작단(322)이 걸림 또는 걸림 해지 위치로 이동되도록 양측으로 길이를 갖는 제1위치조절홀(323) 및, 제2조작단(322)이 통과되도록 설치공간(311)과 가이드 몸체(310)의 외부로 관통되고, 제2조작단(322)이 걸림 또는 걸림 해지 위치로 이동되도록 양측으로 길이를 갖는 제2위치조절홀(3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걸림단(321)은 상측 출몰홀(312)에 수평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제1조작단(322)이 가이드 몸체(310)의 일측면과 상면 방향으로 90도 회동 가능하도록 전후방향으로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한다. 즉 제1걸림단(321)이 형성하는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제1조작단(322)을 회전 조작할 수 있고, 제1조작단(322)은 회전 조작 가능하도록 제1위치조절홀(323)을 통해 가이드 몸체(3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제1걸림단(321)의 전단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제1테이퍼부(321a)가 더 형성될 수 있고, 제1테이퍼부(321a)의 전단은 상측 걸림홈(210)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테이퍼부(321a)가 상측 걸림홈(21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므로 제1걸림단(321)을 상측 걸림홈(210)에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제2걸림단(331)은 하측 출몰홀(313)에 수직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제2조작단(332)이 가이드 몸체(310)의 일측면과 후면 방향으로 90도 회동 가능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수직회전중심을 형성한다. 즉 제2걸림단(331)이 형성하는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제2조작단(332)을 회전 조작할 수 있고, 제2조작단(332)은 회전 조작 가능하도록 제2위치조절홀(324)을 통해 가이드 몸체(3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제2걸림단(331)의 전단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제2테이퍼부(331a)가 더 형성될 수 있고, 제2테이퍼부(331a)의 하단은 하측 걸림홈(220)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테이퍼부(331a)가 하측 걸림홈(22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므로 제2걸림단(331)을 하측 걸림홈(220)에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제1위치조절홀(323)은 도 12에서처럼 설치공간(311)과 연통되도록 가이드 몸체(310)의 일측면으로 수평하게 관통되는 제1이동구간(323a)과, 제1이동구간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회피구간(323b) 및, 제1이동구간의 상단으로부터 가이드 몸체(310)의 상면으로 수평하게 절곡 연장되는 제1걸림구간(323c)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와 10에서처럼 제1조작단(322)을 가이드 몸체(310)의 측방으로 수평하게 회동시킨 상태에서 제1회피구간(323b)으로 후퇴시키는 경우 제1걸림단(321)이 상측 걸림홈(210)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때 외측 창틀(40)과 내측 창틀(650)의 걸림 상태가 해지되므로 외측 창틀(40)과 내측 창틀(50)을 개별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반면, 도 11에서처럼 제1조작단(322)을 전진시킨 상태에서 제1걸림구간(323c)으로 수직하게 회동시키는 경우 제1걸림단(321)이 상측 걸림홈(21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외측 창틀(40)이 내측 창틀(50)에 걸림 위치되므로 외측 창틀(40)이 내측 창틀(5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2위치조절홀(324)은 도 12에서처럼 설치공간(311)과 연통되도록 가이드 몸체(310)의 일측면으로 수평하게 관통되는 제2이동구간(324a)과, 제2이동구간(324a)의 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2회피구간(324b) 및, 제2이동구간(324a)의 후단으로부터 가이드 몸체(310)의 후면으로 수평하게 절곡 연장되는 제2걸림구간(324c)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서처럼 제2조작단(332)을 가이드 몸체(310)의 측방으로 수평하게 회동시킨 상태에서 제2회피구간(324b)으로 상승시키는 경우 제2걸림단(331)이 하측 걸림홈(220)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때 내측 창틀(50)과 하측 레일(30)의 걸림 상태가 해지되므로 내측 창틀(50)을 제2안내홈(31)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반면, 도 9와 10에서처럼 제2조작단(332)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제2걸림구간(324c)으로 수평하게 회동시키는 경우 제2걸림단(332)이 하측 걸림홈(22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내측 창틀(50)이 하측 레일(30)에 걸림 위치되므로 내측 창틀(50)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내측 창틀(50)이 개방 또는 폐쇄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외력에 의해 통로(11)의 개방된 면적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창호 조립체는 도 10과 11에서처럼 설치공간(311)의 내부에서 제1걸림단(321)의 외부에 결합되고, 양단이 설치공간(311)의 전면과 제1조작단(322)을 전후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1복귀 스프링(340) 및, 설치공간(311)의 내부에서 제2걸림단(331)의 외부에 결합되고, 양단이 설치공간(311)의 하면과 제2조작단(332)을 상하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2복귀 스프링(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복귀 스프링(340)은 제1걸림단(321)의 외부를 감싸고 양단이 설치공간(311)과 제1조작단(322)의 일측에 각각 걸림 위치되는 코일 스프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복귀 스프링(340)의 압축 탄성력에 의해 제1래치(320)가 후방의 걸림 해지 위치로 탄성 복귀될 수 있고, 제1조작단(322)이 제1걸림구간(323c)으로 수직하게 회동되는 경우 제1복귀 스프링(340)의 압축 탄성력에 의해 제1걸림구간(323c)의 후단과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복귀 스프링(350)은 제2걸림단(331)의 외부를 감싸고 양단이 설치공간(311)과 제2조작단(332)의 일측에 각각 걸림 위치되는 코일 스프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제2복귀 스프링(350)의 압축 탄성력에 의해 제2래치(330)가 상방의 걸림 해지 위치로 탄성 복귀될 수 있고, 제2조작단(332)이 제2걸림구간(324c)으로 수직하게 회동되는 경우 제2복귀 스프링(350)의 압축 탄성력에 의해 제2걸림구간(324c)의 상단과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창호 조립체는 도 14 내지 16에서처럼 상측 걸림홈(210)은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측 걸림홈(210)의 전방에 형성되고, 상측 걸림홈(210)의 폭방향보다 더 큰 폭으로 형성되는 보조 걸림홈(211) 및, 제1걸림단(321)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돌출되고, 제1조작단(322)을 제1걸림구간(323c)으로 수직하게 회동시키는 경우 상측 걸림홈(210)의 길이방향을 향하며, 제1조작단(322)을 가이드 몸체(310)의 일측면으로 수평하게 회동시키는 경우 상측 걸림홈(210)의 폭방향을 향하는 한 쌍의 이탈방지돌기(32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이탈방지돌기(321b)는 제1걸림단(321)을 상측 걸림홈(210)의 내부에 걸림 위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15에서처럼 제1조작단(322)을 가이드 몸체(310)의 측방으로 수평하게 회동시키는 경우 이탈방지돌기(321b)들이 상측 걸림홈(2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위치되고, 제1조작단(322)을 전방의 걸림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제1걸림단(321)과 이탈방지돌기(321b)가 상측 걸림홈(210)을 통해 보조 걸림홈(211)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후, 제1걸림구간(323c)으로 수직하게 회동시키는 경우, 도 16에서처럼 제1조작단(322)이 제1걸림단(321)을 기준으로 90도 회동되면서 상측 걸림홈(210)에 수직하게 삽입되고, 이탈방지돌기(321b)들이 90도 회동되면서 상측 걸림홈(210)의 전방에 걸림 위치된다. 이때 이탈방지돌기(321b)들이 보조 걸림홈(211)의 내부에 걸림 위치되므로 외측 창틀(40)의 후면이 내측 창틀(50)에 결속된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제1조작단(322)을 가이드 몸체(310)의 측방으로 수평하게 회동시키는 경우 이탈방지돌기(321b)들이 상측 걸림홈(2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위치되고, 제1조작단(322)을 후방의 걸림 해지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제1걸림단(321)과 이탈방지돌기(321b)가 상측 걸림홈(210)의 후방으로 이탈된다. 이때 이탈방지돌기(321b)들이 보조 걸림홈(211)의 후방으로 분리되므로 외측 창틀(40)을 통로(11)의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외측 창틀(40)과 내측 창틀(500)의 양방향을 개방시 스크린(130)에 의해 통로(11)가 모두 커버되므로, 통로(11)의 양방향을 모두 개방시킨 상태에서도 방범, 방진, 방충 기능을 유지시킬 수 있고, 스크린(130)을 인출시킨 상태에서도 공기의 소통이 가능하므로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측 창틀(40)과 내측 창틀(50)이 개방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외력에 의해 통로(11)의 개방된 면적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측 창틀(40)을 내측 창틀(50)에 결속시킬 수 있어 방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창호 조립체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벽체 11: 통로
20: 상측 레일 21: 제1안내홈
30: 하측 레일 31: 제2안내홈
40: 외측 창틀 41: 유리창
42: 제1거치홈 50: 내측 창틀
51: 유리창 52: 제2거치홈
110: 하우징 111: 수납공간
112: 관통홀 120: 권취부
121: 탄성부재 130: 스크린
131: 거치단 132: 파지구
210: 상측 걸림홈 211: 보조 걸림홈
220: 하측 걸림홈 310: 가이드 몸체
311: 설치공간 312: 상측 출몰홀
313: 하측 출몰홀 320: 제1래치
321: 제1걸림단 321a: 제1테이퍼부
321b: 이탈방지돌기 322: 제1조작단
323: 제1위치조절홀 323a: 제1이동구간
323b: 제1회피구간 323c: 제1걸림구간
324: 제2위치조절홀 324a: 제2이동구간
324b: 제2회피구간 324c: 제2걸림구간
330: 제2래치 331: 제2걸림단
331a: 제2테이퍼부 332: 제2조작단
340: 제1복귀 스프링 350: 제2복귀 스프링
410: 제1체결홀 420: 제2체결홀
430: 체결부재

Claims (4)

  1. 벽체의 전후로 관통되는 통로;
    상기 통로의 상면에 결합되어 좌우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하면에 제1안내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측 레일;
    상기 통로의 하면에 결합되어 좌우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상면에 제2안내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하측 레일;
    상단과 하단이 상기 제1안내홈과 상기 제2안내홈의 좌우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외측 창틀;
    상단과 하단이 상기 제1안내홈과 상기 제2안내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외측 창틀의 후방에 어긋나게 배치되는 내측 창틀;
    상기 통로를 기준으로 좌우방향에 각각 배치되고, 내부의 수납공간이 관통홀에 의해 상기 통로로 수평하게 연통되는 한 쌍의 하우징;
    상기 수납공간의 수직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권취 또는 풀림 방향으로 수평회전 가능하게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권취부; 및
    상기 권취부의 외주면에 수평하게 권취되고, 일측의 자유단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외측 창틀과 상기 내측 창틀의 반대되는 일측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외측 창틀과 상기 내측 창틀을 개방시 상기 통로를 커버하는 한 쌍의 스크린;을 포함하되,
    상기 외측 창틀의 후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통로의 좌우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상측 걸림홈과,
    상기 제2안내홈의 하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통로의 좌우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하측 걸림홈과,
    상기 내측 창틀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내부의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가이드 몸체와,
    상기 설치공간의 내부에서 길이방향 일측의 제1걸림단이 상기 가이드 몸체의 전방으로 수평하게 관통되어 상기 상측 걸림홈과 삽탈 가능하고, 상기 제1걸림단과 직각으로 절곡된 타측의 제1조작단이 상기 가이드 몸체의 외부로 조작 가능하게 돌출되는 제1래치 및,
    상기 설치공간의 내부에서 길이방향 일측의 제2걸림단이 상기 가이드 몸체의 하방으로 수직하게 관통되어 상기 하측 걸림홈과 삽탈 가능하고, 상기 제2걸림단과 직각으로 절곡된 타측의 제2조작단이 상기 가이드 몸체의 외부로 조작 가능하게 돌출되는 제2래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창호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단이 통과되도록 상기 가이드 몸체의 전면에 전후로 관통되는 상측 출몰홀과,
    상기 제2걸림단이 통과되도록 상기 가이드 몸체의 하면에 상하로 관통되는 하측 출몰홀과,
    상기 제1조작단이 통과되도록 상기 설치공간과 상기 가이드 몸체의 외부로 관통되고, 상기 제1조작단이 걸림 또는 걸림 해지 위치로 이동되도록 양측으로 길이를 갖는 제1위치조절홀 및,
    상기 제2조작단이 통과되도록 상기 설치공간과 상기 가이드 몸체의 외부로 관통되고, 상기 제2조작단이 걸림 또는 걸림 해지 위치로 이동되도록 양측으로 길이를 갖는 제2위치조절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창호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조절홀은,
    상기 설치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가이드 몸체의 일측면으로 수평하게 관통되는 제1이동구간과, 상기 제1이동구간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회피구간 및, 상기 제1이동구간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몸체의 상면으로 수평하게 절곡 연장되는 제1걸림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래치는,
    상기 제1조작단을 상기 가이드 몸체의 측방으로 수평하게 회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회피구간으로 후퇴시키는 경우 상기 제1걸림단이 상기 상측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제1조작단을 전진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걸림구간으로 수직하게 회동시키는 경우 상기 제1걸림단이 상기 상측 걸림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2위치조절홀은,
    상기 설치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가이드 몸체의 일측면으로 수평하게 관통되는 제2이동구간과, 상기 제2이동구간의 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2회피구간 및, 상기 제2이동구간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몸체의 후면으로 수평하게 절곡 연장되는 제2걸림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2래치는,
    상기 제2조작단을 상기 가이드 몸체의 측방으로 수평하게 회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회피구간으로 상승시키는 경우 상기 제2걸림단이 상기 하측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제2조작단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걸림구간으로 수평하게 회동시키는 경우 상기 제2걸림단이 상기 하측 걸림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창호 조립체.
KR1020220116037A 2022-09-15 2022-09-15 다기능 창호 조립체 Active KR102774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037A KR102774664B1 (ko) 2022-09-15 2022-09-15 다기능 창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037A KR102774664B1 (ko) 2022-09-15 2022-09-15 다기능 창호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7483A KR20240037483A (ko) 2024-03-22
KR102774664B1 true KR102774664B1 (ko) 2025-03-04

Family

ID=90481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6037A Active KR102774664B1 (ko) 2022-09-15 2022-09-15 다기능 창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74664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923B1 (ko) * 2020-12-01 2024-03-08 김동현 롤타입 방충망이 구비된 창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7483A (ko) 2024-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1663B1 (en) Pet enclosure
KR101786852B1 (ko)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
KR20180012452A (ko) 미세먼지 차단망이 구비된 미서기 창호용 방충망 조립체
KR101989754B1 (ko) 미닫이방식의 시스템 창호
KR102359747B1 (ko) 폴딩도어 잠금장치
JP2020066906A (ja) 網戸付きサッシ
KR102774664B1 (ko) 다기능 창호 조립체
KR101831277B1 (ko) 방충망용 잠금장치
KR100591881B1 (ko) 건축물 창문틀 내부잠금구조
KR101101170B1 (ko) 미닫이 창호용 롤방충망 장치
EP1433918A1 (en) Slat swinging mech and opening coverning device using the same
KR200246124Y1 (ko) 출입문용 방범창
KR200389392Y1 (ko) 개폐식 방충망의 핸들 잠금장치
JP6961365B2 (ja) シャッター装置
KR200455121Y1 (ko) 미닫이 창호용 롤방충망 장치
KR20170119113A (ko) 방범 및 안전 방충망을 구비하는 창호 시스템
KR102699618B1 (ko) 구조가 개선된 잠금 커버형 방충망 구조체
KR102778628B1 (ko) 보조 잠금장치
JP3622077B2 (ja) 収納網戸
JP2005213911A (ja) 横引き網戸
KR102703919B1 (ko) 방충망 이탈 방지 및 개폐 잠금장치
JP3841664B2 (ja) シャッター
KR102781744B1 (ko)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조립체
KR102074985B1 (ko) 슬라이드식 이중 방충장치
JP7086812B2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2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2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