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73357B1 - 차량 브레이크용 패드 스프링 - Google Patents

차량 브레이크용 패드 스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73357B1
KR102773357B1 KR1020200012422A KR20200012422A KR102773357B1 KR 102773357 B1 KR102773357 B1 KR 102773357B1 KR 1020200012422 A KR1020200012422 A KR 1020200012422A KR 20200012422 A KR20200012422 A KR 20200012422A KR 102773357 B1 KR102773357 B1 KR 102773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side support
support beam
spring
pad sp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8641A (ko
Inventor
백승태
오윤영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2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73357B1/ko
Priority to US17/161,666 priority patent/US11746842B2/en
Priority to CN202110140670.3A priority patent/CN113202891B/zh
Priority to DE102021200969.7A priority patent/DE102021200969B4/de
Publication of KR20210098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8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73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7335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16D55/2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 F16D55/22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 F16D55/226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moved axially, e.g. floating caliper disc brakes
    • F16D55/226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moved axially, e.g. floating caliper disc brakes the axial movement being guided by one or more pins engaging bores in the brake support or the brake housing
    • F16D55/227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moved axially, e.g. floating caliper disc brakes the axial movement being guided by one or more pins engaging bores in the brake support or the brake housing by two or more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 F16D65/0973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not subjected to brake forces
    • F16D65/0974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not subjected to brake forces acting on or in the vicinity of the pad rim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transverse to the brake disc axis
    • F16D65/0977Springs made from sheet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16D55/2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 F16D55/22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 F16D55/226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moved axially, e.g. floating calipe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 F16D65/0972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transmitting brake reaction force, e.g. elements interposed between torque support plate and p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 F16D65/0973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not subjected to brake forces
    • F16D65/0974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not subjected to brake forces acting on or in the vicinity of the pad rim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transverse to the brake disc axis
    • F16D65/0977Springs made from sheet metal
    • F16D65/0978Springs made from sheet metal acting on one pad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2055/0004Parts or details of disc brakes
    • F16D2055/0016Brake calipers
    • F16D2055/0029Retrac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7/00Auxiliary mechanisms
    • F16D2127/02Release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브레이크용 패드 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용 패드 스프링은, 차량 브레이크의 동작 해제 시에 브레이크 패드가 구비된 패드 플레이트가 디스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패드 캐리어에 설치되는 패드 스프링에 있어서, 상기 패드 캐리어에는 리딩측 지지 프레임과 트레일링측 지지 프레임이 구비되고, 이러한 각각의 상기 지지 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이너측 지지빔과 아우터측 지지빔이 구비되며, 상기 패드 스프링은 상기 이너측 지지빔과 상기 아우터측 지지빔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패드 플레이트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각각의 상기 패드 스프링에 구비된 리트렉션 바는 폭, 길이, 두께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상이하게 형성된다.

Description

차량 브레이크용 패드 스프링{PAD SPRING FOR VEHICLE BRA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 브레이크용 패드 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브레이크는 차량을 감속 또는 정지시키기 위해 브레이크 디스크에 마찰하는 브레이크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브레이크는 전방 휠, 후방 휠 또는 전방 및 후방 휠과 같은 차량의 하나 이상의 휠 또는 모든 휠에서 작동하도록 설치 될 수 있다.
브레이크 패드는 캘리퍼 하우징 내에 설치 될 수 있으며, 브레이크 동작 시에 피스톤에 유압이 인가되면 브레이크 패드가 캘리퍼 하우징의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브레이크 디스크를 가압하는 방식으로 차량 제동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브레이크 동작이 해제되면 피스톤이 후진하면서 브레이크 패드가 브레이크 디스크와 이격되면서 제동 상태가 해제되는데, 브레이크 패드가 빠른 속도로 이격되도록 패드 플레이트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패드 스프링이 패드 캐리어에 설치되어 있다.
도 1의 (a)는 종래의 차량 브레이크를 도시한 도면으로, 패드 캐리어(1)에는 브레이크 패드(2)가 구비된 패드 플레이트(3)가 브레이크 디스크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패드 스프링(4)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브레이크에는 리딩측과 트레일링측에 패드 스프링(4)이 각각 구비되며, 각각의 패드 스프링(3)에는 패드 캐리어(1)에 설치 고정되도록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4a, 4b, 4c)가 구비되며, 패드 플레이트(3)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편(4d)이 형성되어 있다.
다만, 종래의 패드 스프링(3)은 각각의 패드 스프링(3)이 패드 캐리어(1)의 이너측과 아우터측에 각각 구비된 패드 플레이트(3)에 동일한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나,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최근 다양해지는 차량의 제동 사양에 맞게 패드 플레이트(3)에 인가되는 탄성력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 1999-0080952호(1999.11.15 공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패드 캐리어의 이너측과 아우터측, 리딩측과 트레일링측에 상이한 리트렉션 성능을 갖는 차량 브레이크용 패드 스프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각각의 패드 스프링이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브레이크용 패드 스프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용 패드 스프링은, 차량 브레이크의 동작 해제 시에 브레이크 패드가 구비된 패드 플레이트가 디스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패드 캐리어에 설치되는 패드 스프링에 있어서, 상기 패드 캐리어에는 리딩측 지지 프레임과 트레일링측 지지 프레임이 구비되고, 이러한 각각의 상기 지지 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이너측 지지빔과 아우터측 지지빔이 구비되며, 상기 패드 스프링은 상기 이너측 지지빔과 상기 아우터측 지지빔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패드 플레이트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각각의 상기 패드 스프링에 구비된 리트렉션 바는 폭, 길이, 두께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상이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너측 지지빔과 상기 아우터측 지지빔에는 리딩측과 트레일링측에 상기 패드 스프링이 각각 구비되되, 각각의 상기 패드 스프링에 구비된 상기 리트렉션 바는 폭, 길이, 두께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드 스프링에는 상기 패드 캐리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리트렉션 바가 구비되는 가압부와, 제동 시에 상기 패드 플레이트가 상기 패드 캐리어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패드 플레이트를 탄성 지지하는 완충부가 구비되고, 상기 패드 캐리어에는 상기 고정부가 고정되는 고정 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이너측 지지빔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 돌기와 상기 아우터측 지지빔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 돌기는 상호 상이한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에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의 상면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고정 돌기의 상면을 가압하는 상면 가압 리브와, 상기 제1 바디의 하면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고정 돌기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면 지지 리브와, 상기 제1 바디의 측면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의 측면을 가압하는 측면 가압 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돌기에는 함몰된 형상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보조 가압 리브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리트렉션 바가 연장 형성되는 제2 바디가 구비되되, 상기 리트렉션 바는 상기 제2 바디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상태에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패드 스프링에는 각각의 상기 패드 스프링마다 상이한 형상을 갖는 식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별부에는 각각의 상기 패드 스프링마다 상이한 형상으로 변형된 식별 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패드 캐리어에는 각각의 상기 식별 리브에 대응되는 형상의 대응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에는 상기 패드 플레이트를 탄성 지지하는 완충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완충부와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패드 플레이트가 상기 패드 스프링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리브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패드 캐리어의 이너측과 아우터측, 리딩측과 트레일링측에 상이한 리트렉션 성능을 갖는 차량 브레이크용 패드 스프링이 구비되므로 다양해지는 차량의 제동 사양에 맞게 패드 플레이트에 인가되는 탄성력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각의 패드 스프링이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하여 각각의 패드 스프링이 정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차량 제동 사양에 맞는 리트렉션 성능을 확보함으로써 드래그 현상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브레이크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부분 단면도이고, (b)는 이에 설치되는 패드 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드 스프링이 패드 캐리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드 스프링이 패드 캐리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딩 ? 이너측에 설치되는 패드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딩 ? 아우터측에 설치되는 패드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링 ? 이너측에 설치되는 패드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링 ? 아우터측에 설치되는 패드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패드 스프링이 패드 캐리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너측 패드 스프링이 패드 캐리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아우터측 패드 스프링이 패드 캐리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브레이크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부분 단면도이고, (b)는 이에 설치되는 패드 스프링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드 스프링이 패드 캐리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드 스프링이 패드 캐리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딩 - 이너측에 설치되는 패드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딩 - 아우터측에 설치되는 패드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링 - 이너측에 설치되는 패드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링 - 아우터측에 설치되는 패드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패드 스프링이 패드 캐리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너측 패드 스프링이 패드 캐리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아우터측 패드 스프링이 패드 캐리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용 패드 스프링(200)은 차량 브레이크의 동작 해제 시에 브레이크 패드가 구비된 패드 플레이트가 디스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패드 캐리어(100)에 설치되며, 이러한 패드 캐리어(1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10)과 이들을 연결하며, 패드 스프링(200)이 설치되는 지지빔(120)이 구비된다. 이때, 지지 프레임(110)은 리딩측 지지 프레임(111)과 트레일링측 지지 프레임(112)을 포함하고, 지지빔(120)은 이너측 지지빔(121)과 아우터측 지지빔(122)을 포함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 캐리어(100)에는 4개의 패드 스프링(200)이 설치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패드 스프링(200)은 리딩 - 이너측에 설치되는 제1 패드 스프링(201), 리딩 - 아우터측에 설치되는 제2 패드 스프링(202), 트레일링 - 이너측에 설치되는 제3 패드 스프링(203), 및 트레일링 - 아우터측에 설치되는 제4 패드 스프링(204)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패드 스프링(200)에는 차량 브레이크 동작 해제 시에 패드 플레이트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리트렉션 바(221)가 구비되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측에 구비된 패드 스프링(201)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측에 구비된 패드 스프링(202)의 리트렉션(retraction) 성능이 상이하도록 리트렉션 바(221)의 폭(w), 길이(l), 두께(t)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측에 구비된 패드 스프링(203)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측에 구비된 패드 스프링(204)의 리트렉션(retraction) 성능이 상이하도록 리트렉션 바(221)의 폭(w), 길이(l), 두께(t)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상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아우터측 패드 스프링(202, 204)의 리트렉션 성능이 이너측 패드 스프링(201, 203)의 리트렉션 성능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아우터측 패드 스프링(202, 204)에 구비된 리트렉션 바(221)의 폭(w)이나 두께(t)는 이너측 패드 스프링(201, 203)에 리트렉션 바(221)의 폭(w)이나 두께(t)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고, 길이(l)는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아우터측 패드 스프링(202, 204)도 리딩측 패드 스프링(202)과 트레일링측 패드 스프링(204)의 리트렉션 성능이 상이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리딩측 패드 스프링(202)과 트레일링측 패드 스프링(204)에 각각 구비된 리트렉션 바(221)의 폭(w), 길이(l), 두께(t)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상이하게 형성한다.
이와 같이 패드 캐리어(100)의 이너측과 아우터측, 리딩측과 트레일링측에 상이한 리트렉션 성능을 갖는 패드 스프링(200)이 구비됨으로써 다양해지는 차량의 제동 사양에 맞게 패드 플레이트에 인가되는 탄성력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패드 스프링(200)이 패드 캐리어(100)에 설치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빔(120)에는 고정 돌기(130)가 구비된다. 이러한 고정 돌기(130)는 리딩 - 이너측, 리딩 - 아우터측, 트레일링 - 이너측, 트레일링 아우터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리딩 - 이너측 패드 스프링(201)에는 이러한 고정 돌기(130)에 고정되는 고정부(210)와, 리트렉션 바(221)가 구비되는 가압부(220)와, 제동 시에 패드 플레이트가 패드 캐리어(100)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패드 플레이트를 탄성 지지하는 완충부(230)가 각각 구비된다. 아울러 도 5에 도시된 리딩 - 아우터측 패드 스프링(202)과, 도 6에 도시된 트레일링 - 이너측 패드 스프링(203)과, 도 7에 도시된 트레일링 - 아우터측 패드 스프링(204)에도 전술한 고정부(210), 가압부(220), 완충부(23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측 지지빔(121)에 형성되는 고정 돌기(130)와 아우터측 지지빔(122)에 형성되는 고정 돌기(130)는 상호 상이한 폭(w)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에 대응되도록 이너측에 설치되는 패드 스프링(201, 203)의 고정부(210)의 크기와 아우터측에 설치되는 패드 스프링(202, 204)의 고정부(210)의 크기도 상이하게 형성한다.
일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측 지지빔(121)에 형성된 고정 돌기(130)의 폭(w)을 아우터측 지지빔(122)에 형성된 고정 돌기(130)의 폭(w)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게 되면 아우터측에 설치되는 패드 스프링(202, 204)은 고정부(210)의 크기 제한으로 인해 이너측 지지빔(121)에 설치될 수 없게 되어 작업자의 실수로 인한 오조립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대적으로 고정부(210)의 크기가 크게 형성된 이너측 패드 스프링(201, 203)이 아우터측 지지빔(122)에 설치되는 오조립 문제가 있을 수 있으나,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고정 돌기(130)의 높이도 상이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너측 지지빔(121)에 형성된 고정 돌기(130)의 폭(w)은 아우터측 지지빔(122)에 형성된 고정 돌기(130)의 폭(w)보다 크게 형성하나, 이와는 반대로 이너측 지지빔(121)에 형성된 고정 돌기(130)의 높이는 아우터측 지지빔(122)에 형성된 고정 돌기(130)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리딩 - 이너측 패드 스프링(201)에 구비된 고정부(21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211)와, 이러한 제1 바디(211)의 상면에서 연장 형성되어 고정 돌기(130)의 상면을 가압하는 상면 가압 리브(212)와, 제1 바디(211)의 하면에서 연장 형성되어 고정 돌기(130)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면 지지 리브(213)와, 제1 바디(211)의 측면에서 연장 형성되어 고정 돌기(130)의 측면을 가압하는 측면 가압 리브(214)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리딩 - 아우터측 패드 스프링(202)과, 도 6에 도시된 트레일링 - 이너측 패드 스프링(203)과, 도 7에 도시된 트레일링 - 아우터측 패드 스프링(204)에도 전술한 제1 바디(211), 상면 가압 리브(212), 하면 지지 리브(213), 측면 가압 리브(214)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면 가압 리브(212)는 고정 돌기(130)의 상면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되, 상면 가압 리브(212)의 선단은 상향 만곡 형성되어 패드 스프링(200) 결합 시에 상면 가압 리브(212)가 탄성 변형되면서 고정 돌기(13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하면 지지 리브(213)는 고정 돌기(130)의 상면과 면접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패드 스프링(200)이 결합된 이후에 안정적으로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하면 지지 리브(213)의 선단도 하향 만곡 형성된 상태에서 전술한 가압부(220)가 연장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고정 돌기(13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고정 돌기(130)의 측면을 탄성 가압하는 측면 가압 리브(21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차량 주행 중 외력이나 제동 토크가 인가되는 경우에도 패드 스프링(200)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돌기(130)에는 함몰된 형상의 고정홈(131)이 형성되고, 고정부(210)에는 고정홈(131)에 삽입 배치되어 고정부(210)의 이탈을 방지하는 보조 가압 리브(215)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고정부(210)가 상면 가압 리브(212), 하면 지지 리브(213), 및 측면 가압 리브(214)를 통해서만 고정 돌기(130)에 결합되면 결합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력을 넘어서는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고정부(210)가 임의로 이탈할 수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 돌기(130)에 함몰된 형상의 고정홈(131)을 형성하고, 고정부(210)에는 이러한 고정홈(131)에 삽입 배치되도록 탄성 변형된 보조 가압 리브(215)를 구비함으로써 결합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고정부(210)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게 되어 다양한 주행 환경 하에서도 패드 스프링(200)이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홈(131)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이 형성되어 결합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보조 가압 리브(215)의 선단이 걸림턱에 걸림 지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부(220)에는 리트렉션 바(221)가 연장 형성되는 제2 바디(222)가 구비되되, 이러한 리트렉션 바(221)는 제2 바디(222)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상태에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즉, 리트렉션 바(221)가 제2 바디(222)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므로 패드 플레이트는 제2 바디(222)의 타측을 통해 패드 스프링(200)의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너측 지지빔(121)과 아우터측 지지빔(122)에 형성되는 고정 돌기(130)의 폭(w)이 상이하게 형성되므로 이너측에 설치되는 패드 스프링(201, 203)과 아우터측에 설치되는 패드 스프링(202, 204)은 오조립이 방지될 수 있다. 다만, 이너측에 설치되는 패드 스프링(201, 203) 상호 간에는 고정부(210)의 크기가 동일하여 리딩측 패드 스프링(201)과 트레일링측 패드 스프링(203)의 오조립이 발생할 수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리트렉션 바(221)가 제2 바디(222)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상태에서 리딩측 패드 스프링(201)과 트레일링측 패드 스프링(203)이 오조립될 경우에는 리트렉션 바(221)가 제2 바디(222)의 타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형상으로 배치되어 패드 플레이트 삽입 시 간섭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패드 스프링(200)에는 각각의 패드 스프링(200)마다 상이한 형상을 갖는 식별부(240)가 형성되어 패드 스프링(200) 설치 이후에 작업자가 육안으로 오조립 상태를 검출하거나, 또는 비전 테스터를 통해 자동으로 오조립 상태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식별부(240)에는 각각의 패드 스프링(200)마다 상이한 형상으로 변형된 식별 리브(241)가 구비되고, 패드 캐리어(100)에는 각각의 식별 리브(241)에 대응되는 형상의 대응면(14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딩 - 이너측 패드 스프링(201)에는 상향 연장되는 식별 리브(241)가 형성되고, 패드 캐리어(100)에는 이에 대응되도록 상향 연장되는 대응면(140)이 형성될 수 있다. 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딩 - 아우터측 패드 스프링(202)에는 패드 캐리어(100)의 설치면을 향해 만곡된 형상의 식별 리브(241)가 형성되고, 패드 캐리어(100)에는 이에 대응되도록 함몰된 형상의 대응면(14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링 - 이너측 패드 스프링(203)에는 상향 연장되는 식별 리브(241)가 형성되고, 패드 캐리어(100)에는 이에 대응되도록 상향 연장되는 대응면(140)이 형성될 수 있고, 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링 - 아우터측 패드 스프링(204)에는 패드 캐리어(100)의 설치면을 향해 만곡된 형상의 식별 리브(241)가 형성되고, 패드 캐리어(100)에는 이에 대응되도록 함몰된 형상의 대응면(14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패드 스프링(200)이 오조립될 경우에는 식별 리브(241)와 대응면(140) 상호 간에 간섭이 발생하게 되어 패드 스프링(200)이 설치되지 않으므로 작업자는 오조립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완충부(230)에는 패드 플레이트를 탄성 지지하는 완충 리브(232)가 형성될 수 있다. 차량 주행 중 외력이나 제동 토크가 인가되는 경우 완충 리브(232)가 탄성 변형되면서 패드 플레이트를 탄성 지지하게 되므로 패드 플레이트가 패드 캐리어(100)에 충돌하면서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완충부(230)와 가압부(220)에는 패드 플레이트가 패드 스프링(20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리브(231, 22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패드 스프링은 기본적으로 패드 플레이트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설치되므로 패드 플레이트가 패드 스프링(200)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패드 스프링(200)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의 크기가 패드 플레이트가 삽입될 만큼 크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패드 스프링(200)의 내측에 패드 플레이트를 삽입하기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완충부(230)와 가압부(220)에 가이드 리브(231, 22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패드 플레이트를 패드 스프링(200)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패드 캐리어 110 : 지지 프레임
111 : 리딩측 지지 프레임 112 : 트레일링측 지지 프레임
120 : 지지빔 121 : 이너측 지지빔
122 : 아우터측 지지빔 130 : 고정 돌기
131 : 고정홈 140 : 대응면
200 : 패드 스프링 201 : 제1 패드 스프링
202 : 제2 패드 스프링 203 : 제3 패드 스프링
204 : 제4 패드 스프링 210 : 고정부
211 : 제1 바디 212 : 상면 가압 리브
213 : 하면 지지 리브 214 : 측면 가압 리브
215 : 보조 가압 리브 220 : 가압부
221 : 리트렉션 바 222 : 제2 바디
223 : 가이드 리브 230 : 완충부
231 : 가이드 리브 232 : 완충 리브
240 : 식별부 241 : 식별 리브

Claims (12)

  1. 차량 브레이크의 동작 해제 시에 브레이크 패드가 구비된 패드 플레이트가 디스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패드 캐리어에 설치되는 패드 스프링에 있어서,
    상기 패드 캐리어에는 리딩측 지지 프레임과 트레일링측 지지 프레임이 구비되고, 이러한 각각의 상기 지지 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이너측 지지빔과 아우터측 지지빔이 구비되며,
    상기 패드 스프링은 상기 이너측 지지빔과 상기 아우터측 지지빔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패드 플레이트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각각의 상기 패드 스프링에 구비된 리트렉션 바는 폭, 길이, 두께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상이하게 형성되고,
    상기 패드 스프링에는 각각의 상기 패드 스프링마다 상이한 형상을 갖는 식별부가 형성되는 차량 브레이크용 패드 스프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측 지지빔과 상기 아우터측 지지빔에는 리딩측과 트레일링측에 상기 패드 스프링이 각각 구비되되,
    각각의 상기 패드 스프링에 구비된 상기 리트렉션 바는 폭, 길이, 두께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상이하게 형성되는 차량 브레이크용 패드 스프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스프링에는 상기 패드 캐리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리트렉션 바가 구비되는 가압부와, 제동 시에 상기 패드 플레이트가 상기 패드 캐리어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패드 플레이트를 탄성 지지하는 완충부가 구비되고,
    상기 패드 캐리어에는 상기 고정부가 고정되는 고정 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이너측 지지빔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 돌기와 상기 아우터측 지지빔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 돌기는 상호 상이한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차량 브레이크용 패드 스프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의 상면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고정 돌기의 상면을 가압하는 상면 가압 리브와, 상기 제1 바디의 하면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고정 돌기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면 지지 리브와, 상기 제1 바디의 측면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고정 돌기의 측면을 가압하는 측면 가압 리브가 구비되는 차량 브레이크용 패드 스프링.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에는 함몰된 형상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보조 가압 리브가 구비되는 차량 브레이크용 패드 스프링.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리트렉션 바가 연장 형성되는 제2 바디가 구비되되,
    상기 리트렉션 바는 상기 제2 바디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상태에서 탄성 변형되는 차량 브레이크용 패드 스프링.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에는 각각의 상기 패드 스프링마다 상이한 형상으로 변형된 식별 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패드 캐리어에는 각각의 상기 식별 리브에 대응되는 형상의 대응면이 형성되는 차량 브레이크용 패드 스프링.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에는 상기 패드 플레이트를 탄성 지지하는 완충 리브가 형성되는 차량 브레이크용 패드 스프링.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와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패드 플레이트가 상기 패드 스프링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리브가 각각 형성되는 차량 브레이크용 패드 스프링.
  11. 차량 브레이크의 동작 해제 시에 브레이크 패드가 구비된 패드 플레이트가 디스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패드 캐리어에 설치되는 패드 스프링에 있어서,
    상기 패드 캐리어에는 리딩측 지지 프레임과 트레일링측 지지 프레임이 구비되고, 이러한 각각의 상기 지지 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이너측 지지빔과 아우터측 지지빔이 구비되며,
    상기 패드 스프링은 상기 이너측 지지빔과 상기 아우터측 지지빔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패드 플레이트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각각의 상기 패드 스프링에 구비된 리트렉션 바는 폭, 길이, 두께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상이하게 형성되고,
    상기 패드 스프링에는 상기 패드 캐리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리트렉션 바가 구비되는 가압부와, 제동 시에 상기 패드 플레이트가 상기 패드 캐리어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패드 플레이트를 탄성 지지하는 완충부가 구비되고,
    상기 패드 캐리어에는 상기 고정부가 고정되는 고정 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이너측 지지빔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 돌기의 폭은 상기 아우터측 지지빔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 돌기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이너측 지지빔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 돌기의 높이는 상기 아우터측 지지빔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 돌기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차량 브레이크용 패드 스프링.
  12. 차량 브레이크의 동작 해제 시에 브레이크 패드가 구비된 패드 플레이트가 디스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패드 캐리어에 설치되는 패드 스프링에 있어서,
    상기 패드 캐리어에는 리딩측 지지 프레임과 트레일링측 지지 프레임이 구비되고, 이러한 각각의 상기 지지 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이너측 지지빔과 아우터측 지지빔이 구비되며,
    상기 패드 스프링은 상기 이너측 지지빔과 상기 아우터측 지지빔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패드 플레이트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각각의 상기 패드 스프링에 구비된 리트렉션 바는 폭, 길이, 두께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상이하게 형성되고,
    상기 패드 스프링에는 상기 패드 캐리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리트렉션 바가 구비되는 가압부와, 제동 시에 상기 패드 플레이트가 상기 패드 캐리어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패드 플레이트를 탄성 지지하는 완충부가 구비되고,
    상기 패드 캐리어에는 상기 고정부가 고정되는 고정 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이너측 지지빔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 돌기의 폭은 상기 아우터측 지지빔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 돌기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이너측 지지빔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 돌기의 높이는 상기 아우터측 지지빔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 돌기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차량 브레이크용 패드 스프링.
KR1020200012422A 2020-02-03 2020-02-03 차량 브레이크용 패드 스프링 Active KR102773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422A KR102773357B1 (ko) 2020-02-03 2020-02-03 차량 브레이크용 패드 스프링
US17/161,666 US11746842B2 (en) 2020-02-03 2021-01-29 Pad spring for vehicle brake
CN202110140670.3A CN113202891B (zh) 2020-02-03 2021-02-02 汽车制动器用衬垫弹簧
DE102021200969.7A DE102021200969B4 (de) 2020-02-03 2021-02-03 Belagfeder für fahrzeugbrem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422A KR102773357B1 (ko) 2020-02-03 2020-02-03 차량 브레이크용 패드 스프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641A KR20210098641A (ko) 2021-08-11
KR102773357B1 true KR102773357B1 (ko) 2025-02-27

Family

ID=76853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422A Active KR102773357B1 (ko) 2020-02-03 2020-02-03 차량 브레이크용 패드 스프링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46842B2 (ko)
KR (1) KR102773357B1 (ko)
CN (1) CN113202891B (ko)
DE (1) DE102021200969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70177A (ko) * 2021-06-22 2022-12-29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디스크 브레이크
DE102022101381A1 (de) * 2022-01-21 2023-07-27 Bpw Bergische Achsen Kommanditgesellschaft Scheibenbrems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76611A1 (en) * 2014-09-11 2016-03-17 Akebono Brake Industry Co., Ltd. High-Low Pad Retraction Spring
WO2016124389A1 (fr) 2015-02-06 2016-08-11 Foundation Brakes France Frein à disque comportant au moins un ressort de rappel élastique d'un patin de freinage, ressort de rappel élastique, patin de freinage et kit de remplacement
WO2018003197A1 (ja) 2016-06-28 2018-01-0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17424A (en) 1995-04-27 1999-09-22 Optimark Tech Inc Crossing network utilizing satisfaction density profile
FR2774733B1 (fr) * 1998-02-12 2000-04-21 Bosch Syst Freinage Frein a disque a reaction equilibree
KR100349542B1 (ko) 1998-04-23 2002-11-18 주식회사 만도 디스크 브레이크
JP4132263B2 (ja) * 1998-07-29 2008-08-13 曙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のブレーキパッドの支持機構
JP2000161395A (ja) * 1998-11-26 2000-06-13 Akebono Brake Ind Co Ltd ディスクブレーキ用パッドクリップ
CN1578883A (zh) * 2001-09-25 2005-02-09 凯尔西-海耶斯公司 用于盘式制动器组件的制动瓦组件的衬块缩回弹簧
US7318503B2 (en) * 2004-04-26 2008-01-15 Akebono Corporation (North America) Pad retaining clips
DE102004062731A1 (de) * 2004-06-04 2005-12-29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Scheibenbremse mit Federanordung
DE102007017251B4 (de) * 2007-04-12 2014-11-27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Scheibenbremse
US20090277729A1 (en) * 2008-05-06 2009-11-12 Doe Hee Kim Pad spring of disc brak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GB0822898D0 (en) * 2008-12-16 2009-01-21 Meritor Heavy Vehicle Braking A disc brake
DE102009022633A1 (de) * 2009-03-25 2010-10-14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Teilbelagscheibenbremse mit einer Federanordnung zur Lüftspielverbesserung sowie Federanordnung
KR20110034885A (ko) * 2009-09-29 2011-04-06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JP5924889B2 (ja) * 2010-09-30 2016-05-2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動ディスクブレーキ
KR101294666B1 (ko) * 2011-10-04 2013-08-09 주식회사 만도 디스크브레이크
US9568055B2 (en) * 2012-01-26 2017-02-14 Kelsey-Hayes Company Clip for use in a disc brake assembly and disc brake assembly including such a clip
US8973720B2 (en) * 2012-08-17 2015-03-10 Bendix Spicer Foundation Brake Llc Disc brake pad mounting and retention system and method
CN104662323B (zh) * 2012-09-25 2018-01-26 日立汽车系统株式会社 盘式制动器
KR20140067203A (ko) * 2012-11-26 2014-06-05 주식회사 만도 디스크 브레이크
FR3004500B1 (fr) * 2013-04-16 2016-02-05 Chassis Brakes Int Bv "frein a disque equipe de moyens de rappel elastique des patins de freinage et equipe de moyens de rattrapage, par deformation plastique, du jeu d'usure des patins"
JP6134926B2 (ja) * 2013-06-28 2017-05-3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
US10718393B2 (en) * 2014-05-27 2020-07-21 Freni Brembo S.P.A. Spring of a caliper of a disc brake
KR102494459B1 (ko) * 2016-02-25 2023-02-0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캘리퍼 브레이크 장치
DE202017100837U1 (de) 2016-02-25 2017-03-02 Hyundai Mobis Co., Ltd. Bremssattelvorrichtung
CA3030744C (en) * 2016-07-21 2021-01-12 Preferred Tool & Die, Inc. Caliper hardware providing separation between pad and rotor
DE102017222639A1 (de) 2017-01-31 2018-08-02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Festsattelkraftfahrzeugteilbelagscheibenbremse mit einer Stahlblechbügellüftspielfeder
CN107504102B (zh) * 2017-06-30 2019-02-22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制动钳摩擦片主动回位机构
US20190249731A1 (en) * 2018-02-09 2019-08-15 Mando Corporation Abutment clip for disk brakes
KR102617573B1 (ko) 2018-07-27 2023-12-26 현대위아 주식회사 온도센서 설치위치 결정방법
US10774889B2 (en) * 2018-08-01 2020-09-15 Mando Corporation Brake assembly with brake pad carrier and cli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76611A1 (en) * 2014-09-11 2016-03-17 Akebono Brake Industry Co., Ltd. High-Low Pad Retraction Spring
WO2016124389A1 (fr) 2015-02-06 2016-08-11 Foundation Brakes France Frein à disque comportant au moins un ressort de rappel élastique d'un patin de freinage, ressort de rappel élastique, patin de freinage et kit de remplacement
WO2018003197A1 (ja) 2016-06-28 2018-01-0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202891A (zh) 2021-08-03
US20210239169A1 (en) 2021-08-05
CN113202891B (zh) 2023-03-10
US11746842B2 (en) 2023-09-05
KR20210098641A (ko) 2021-08-11
DE102021200969B4 (de) 2025-01-02
DE102021200969A1 (de) 2021-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73357B1 (ko) 차량 브레이크용 패드 스프링
JP2008501897A (ja) ばね組体を有するディスクブレーキ
JP4740416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04308789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KR20110060243A (ko) 디스크 브레이크
JP2008516163A (ja) 摩擦部材及びディスクブレーキ
KR102749391B1 (ko) 캘리퍼 브레이크용 패드 스프링
KR20130003932A (ko) 스프링 패드
JP2006153139A (ja) ディスクブレーキ及びディスクブレーキ用シム原板
KR20130095449A (ko) 스프링 패드
KR101282009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180040393A (ko) 단일 슈 타입의 브레이크 장치
KR102778997B1 (ko) 차량용 브레이크
KR102810125B1 (ko) 캘리퍼 브레이크
KR102519543B1 (ko) 패드 플레이트용 클립
KR20150028599A (ko) 자동차용 캘리퍼 브레이크
KR102793210B1 (ko) 캘리퍼 브레이크용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캘리퍼 브레이크
KR20090125531A (ko)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
KR20090077183A (ko) 차량용 디스크브레이크
KR101282007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240152014A (ko) 디스크 브레이크 캘리퍼 및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KR20240150205A (ko) 캘리퍼 브레이크
KR20250028710A (ko) 리턴스프링 및 리턴스프링이 장착된 브레이크 장치
KR20240168213A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1394074B1 (ko) 디스크 브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18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