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72011B1 - 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 Google Patents

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72011B1
KR102772011B1 KR1020200059757A KR20200059757A KR102772011B1 KR 102772011 B1 KR102772011 B1 KR 102772011B1 KR 1020200059757 A KR1020200059757 A KR 1020200059757A KR 20200059757 A KR20200059757 A KR 20200059757A KR 102772011 B1 KR102772011 B1 KR 102772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hield
receptacle
plug
shield w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7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35199A (en
Inventor
오상준
이남영
김동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135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1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72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72011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는, 전자기기에 결합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컨텍트들; 상기 제1 컨택트들이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 및 상기 홈부 내에 돌출된 융기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 및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를 커버하는 금속재질의 리셉터클 쉴드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리셉터클 쉴드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벽을 커버하는 외벽보호부; 및 상기 외벽보호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컨텍트 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텍트 보호부는 상기 외벽보호부와 연결되며, 상기 몸체부의 폭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되는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ptacle connector and a plug connector, and a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bstrate coupled to an electronic device; a plurality of first contacts electrically connected; a body part to which the first contacts are coupled, a receptacle insulator including a recessed part formed concavely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and a raised part protruding within the recessed part; and a receptacle shield part made of a metal material covering the receptacle insulator, wherein the receptacle shield part includes an outer wall protection part covering an outer wall of the body part; and a contact protection part formed to extend horizontally from the outer wall protection part, and the contact protection part may include a horizontal part connected to the outer wall protection part and protruding horizontally in a width direction of the body part.

Figure R1020200059757
Figure R1020200059757

Description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 {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본 출원은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RF(Radio Frequency) 성능을 가지는 B2B 커넥터(board to board connector)의 구조를 개선한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receptacle connector and a plug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ceptacle connector and a plug connector having improved structures of a B2B connector (board to board connector) having RF (Radio Frequency) performance.

기판용 커넥터는 PCB(printed circuit board)나 도선이 패터닝된 전자 요소(electronic component)들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B2B 커넥터(board to board connector)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는데,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 각각은 서로 다른 기판에 연결되며,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결합됨으로써, 서로 다른 기판을 통한 신호의 전달이 가능해질 수 있다.Board-to-board connectors are used to connect printed circuit boards (PCBs) or electronic components with patterned conductors. In particular, board-to-board connectors (B2B connectors) include plug connectors and receptacle connectors,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a different board, and by combining the plug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signal transmission through different boards can be enabled.

플러그 커넥터의 컨택트들과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물리적으로 결합되는데, 이 결합 과정에서 압력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나 플러그 커넥터가 파손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 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그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ontacts of the plug connector and the contacts of the receptacle connector, the plug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are physically joined, but there is a risk that the receptacle connector or the plug connector may be damaged by pressure during this joining process. Therefore, a method is required to facilitate the joining between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plug connector and to improve its strength.

또한, 최근 RF(Radio Frequency) 신호 전송시 발생하는 전자기파에 의한 주변 부품의 비정상적인 작동이나,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자기파에 의한 RF 신호 전송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쉴드 구조의 커넥터들이 제안되고 있다. In addition, various shield structure connectors are being proposed to prevent abnormal operation of surrounding components due to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during recent RF (Radio Frequency) signal transmission, or RF signal transmission interference due to electromagnetic waves applied from the outside.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1441의 도1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1 그라운드 단자에 인접하는 단자 및 당해 제1 그라운드 단자에 서로 마주보는 제2 그라운드 단자에 인접하는 단자 중 적어도 한쪽을 신호 단자로서 기능시킨 경우에, 차폐 실드판에서 서로 마주보는 단자와의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로스토크(cross talk)를 저감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경우, 단자들의 커넥터 외부방향에 대한 크로스토크를 저감시키는 효과는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Specifically, as disclosed in Drawing 1 of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81441, etc., in the past, when at least one of a terminal adjacent to a first ground terminal and a terminal adjacent to a second ground terminal facing the first ground terminal is made to function as a signal terminal, a structure capable of reducing crosstalk that may occur between terminals facing each other in a shield plate was provided. 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structure, there exists a problem in that the effect of reducing crosstalk of the terminals in the connector external direction is not sufficiently provided.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1441호Publication of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81441

본 출원은, RF(Radio Frequency)신호뿐만이 아니라, 디지털 신호도 연결할 수 있는 다극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RF신호를 전송하거나, RF신호와 디지털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여, 공간 절약을 실현할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multi-pole connector capable of connecting not only RF (Radio Frequency) signals but also digital signals, and aims to provide a 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capable of transmitting RF signals or transmitting RF signals and digital signals simultaneously, thereby realizing space saving.

본 출원은, RF 신호 전송시 발생되는 전자기파에 의한 주변 부품의 비정상적인 작동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자기파에 의한 RF 신호 전송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메탈 쉴드(Metal Shield) 구조를 구비한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application seeks to provide a receptacle connector and a plug connector having a metal shield structure to prevent abnormal operation of peripheral components due to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during RF signal transmission and RF signal transmission interference due to electromagnetic waves applied from the outside.

또한, 본 출원은, 메탈 쉴드 구조의 강도 강화를 위해 필요한 제품 사이즈의 확대요구에 불구하고, 제품 폭사이즈를 최소화하고, 비정상적인 정렬오차(misalignment) 하에서도 제품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쉴드(Shield)구조를 구현한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application seeks to provide a receptacle connector and a plug connector that implement a shield structure capable of minimizing the width of the product and securing the strength of the product even under abnormal misalignment, despite the need for an increase in the product size necessary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metal shield structu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는, 전자기기에 결합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컨텍트들; 상기 제1 컨택트들이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 및 상기 홈부 내에 돌출된 융기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 및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를 커버하는 금속재질의 리셉터클 쉴드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리셉터클 쉴드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벽을 커버하는 외벽보호부; 및 상기 외벽보호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컨텍트 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텍트 보호부(134)는 상기 외벽보호부(133)와 연결되며, 상기 몸체부(1111)의 폭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되는 수평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eptacle connector comprises: a substrate coupled to an electronic device; a plurality of first contacts electrically connected; a body to which the first contacts are coupled; a receptacle insulator including a recessed portion formed concavely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a raised portion protruding within the recessed portion; and a receptacle shield portion made of a metal material covering the receptacle insulator, wherein the receptacle shield portion includes an outer wall protection portion covering an outer wall of the body portion; and a contact protection portion formed to extend horizontally from the outer wall protection portion, and the contact protection portion (134) may include a horizontal portion (134) connected to the outer wall protection portion (133) and protruding horizontall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111).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제1 컨텍트들은, 일단이 상기 몸체부의 폭방향 외벽을 통해 노출되는 기판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텍트 보호부는, 상기 기판연결부보다 상기 폭방향으로 더 돌출할 수 있다. Here,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s include a substrate connection portion, one end of which is exposed through a width-wise outer wall of the body portion, and the contact protection portion may protrude further in the width-wise direction than the substrate connection portion.

여기서 상기 컨텍트 보호부는, 기 설정된 설정높이부터 상기 폭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contact protection member can be formed to protrude horizontally in the width direction from a preset height.

여기서 상기 컨텍트 보호부는, 상기 수평부와 연결되며, 하방으로 벤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며,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ntact protection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member that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member and bends downward; and a vertical member tha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and extends vertically.

여기서 상기 컨텍트 보호부는, 복수의 개구(開口)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복수의 제1 컨텍트들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contact protection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openings, and the openings can be formed at position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s.

여기서 상기 컨텍트 보호부는, 상기 개구에 의해 복수의 플랜지부로 구별되고, 상기 플랜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기판 상에 접지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Here, the contact protection portion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flange portions by the opening, and at least one of the flange portions may be ground-connected on the substrate.

여기서 상기 리셉터클 쉴드부(130)는, 상기 몸체부의 내벽를 커버하는 내벽보호부; 및 상기 내벽보호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융기부의 내벽을 커버하는 융기부보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receptacle shield portion (130) may further include an inner wall protection portion covering the inner wall of the body portion; and a raised portion protect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inner wall protection portion and covering the inner wall of the raised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는, 전자기기에 결합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 컨텍트들; 상기 제2 컨텍트들이 결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부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인슐레이터; 및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를 커버하는 금속재질의 플러그 쉴드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플러그 쉴드부는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로부터 상기 폭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외측 쉴드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외측 쉴드벽은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쉴드벽부재 및 제2 쉴드벽부재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A plug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bstrate coupled to an electronic device;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electrically connected; a plug insulator including a body to which the second contacts are coupled and a groove formed concavely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a plug shield portion made of a metal material covering the plug insulator, wherein the plug shield portion further includes an outer shield wall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plug insulator in the width direction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ug insulator, and the outer shield wall may include a first shield wall member and a second shield wall membe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제2 컨텍트들은, 일단이 상기 몸체부의 폭방향 외벽을 통해 노출되는 기판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쉴드벽은 상기 기판연결부보다, 상기 폭방향으로 더 돌출하여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may include a substrate connection portion, one end of which is exposed through the width-wise outer wall of the body portion, and the outer shield wall may be positioned to protrude further in the width-wise direction than the substrate connection portion.

여기서 상기 외측 쉴드벽은, 상기 플러그 쉴드부의 외벽 보호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Here, the outer shield wall may be formed by extending from the outer wall protection portion of the plug shield portion.

여기서 상기 외측 쉴드벽은, 상기 외벽 보호부로부터 연결되며, 상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리지(bridge); 및 상기 브리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쉴드벽부재 및 제2 쉴드벽부재가 배치되는 쉴드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outer shield wall may include a bridge that is connected to the outer wall protection member and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shield wall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bridge and on which the first shield wall member and the second shield wall member are arranged.

여기서 상기 쉴드벽부는, 상기 제1 쉴드벽부재와 제2 쉴드벽부재 사이를 벤딩하여 연결하는 벤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쉴드벽부는 역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Here, the shield wall portion further includes a bending portion that connects the first shield wall portion and the second shield wall portion by bending, and the shield wall portion may have a cross-section in an inverted U shape.

여기서 상기 쉴드벽부의 높이는, 상기 제2 설정높이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Here, the height of the shield wall portion may be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second set height.

여기서 상기 쉴드벽부는, 상기 쉴드벽부를 상기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개구(開口)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기판연결부에서 노출되는 상기 제2 컨텍트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Here, the shield wall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openings penetrating the shield wal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openings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acts exposed at the substrate connection portion.

여기서 상기 쉴드벽부는, 상기 개구에 의해 구별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기판 상에 접지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Here, the shield wall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distinguished by the opening, and at least one of the protrusions may be grounded on the substrate.

여기서 상기 쉴드벽부는, 상기 길이방향 단부에 L자 형상으로 벤딩한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를 기판 상에 납땜하여 고정하는 것일 수 있다. Here, the shield wall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ortion bent in an L shape at the longitudinal end, and the fixing portion may be fixed by soldering it onto the substr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에 의하면, RF신호 또는 RF신호와 디지털 신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으므로, 공간 절약을 실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F signals or RF signals and digital signals can be transmitted simultaneously, thereby realizing space sav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는 메탈 쉴드(Metal Shield) 구조를 포함하므로, RF 신호 전송시 발생되는 전자기파에 의한 주변 부품의 비정상적인 작동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자기파에 의한 RF 신호 전송 간섭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Since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metal shiel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bnormal operation of peripheral components due to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during RF signal transmission and RF signal transmission interference due to electromagnetic waves applied from the out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에 의하면, 메탈 쉴드 구조의 강도 강화를 위해 필요한 제품 사이즈의 확대 요구에 불구하고, 제품 폭 사이즈를 최소화하고, 비정상적인 정렬오차(misalignment) 하에서도 제품의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a receptacle connector and a plug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pite the need for an increase in product size necessary to strengthen the strength of a metal shiel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roduct width size and secure the strength of the product even under abnormal misalignment.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하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의 하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6 및 도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8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의 EMI 차폐 성능을 나타내는 실험결과이다.
도19은 종래의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mbination of a receptacle connector and a plug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rear view showing a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surface of a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ug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ug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lan view showing a plug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side view showing a plug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rear view showing a plug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surface of a plug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lug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ug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6 and 17 are drawings showing the combination of a receptacle connector and a plug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n experimental result showing the EMI shielding performance of a receptacle connector and a plug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with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when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f it is determined that a specific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arts that perform similar functions and action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Also,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00)는 리셉터클 커넥터(100) 내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플러그 커넥터(200)와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기판연결용 커넥터(board to board connector)일 수 있으며, 체결시 2열의 패턴으로 형성된 플러그 커넥터(200)의 제1 컨텍트(120)와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제2 컨텍트(220)가 서로 접점을 형성하여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각각 설명한다.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mbination of a receptacle connector and a plug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a plug connector (200) can be inserted into a receptacle connector (100) and electrically connected. Here, the plug connector (200)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100) can be board-to-board connectors, and when connected, a first contact (120) of the plug connector (200) formed in a two-row pattern and a second contact (220) of the receptacle connector (100) can form contact with each other to transmit a signal. Hereinafter, a receptacle connector and a plug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respectively.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100)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ceptacle connector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10), 제1 컨텍트(120) 및 리셉터클 쉴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receptacle connector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ceptacle insulator (110), a first contact (120), and a receptacle shield portion (130).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10)는 플라스틱(plastic) 등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컨텍트(120)와 리셉터클 쉴드부(130)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10) 내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10)는, 제1 컨텍트(120)와 리셉터클 쉴드부(130)를 포함하여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구현예에 따라서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10)를 사출성형 등으로 먼저 제조하고, 이후 제1 컨텍트(120)와 리셉터클 쉴드부(130)를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10)에 조립하여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receptacle insulator (110) may be made of a non-conductive insulating material such as plastic, and the first contact (120) and the receptacle shield portion (130) may be combined within the receptacle insulator (110). Here, the receptacle insulator (110) may be manufactured by insert molding, including the first contact (120) and the receptacle shield portion (130), and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receptacle insulator (110) may be manufactured first by injection molding, and then the first contact (120) and the receptacle shield portion (130) may be assembled into the receptacle insulator (110).

여기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10)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111), 홈부(112) 및 융기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바(bar) 형상의 몸체부(111)는 상부면(S1)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부(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홈부(112) 내에는 융기부(113)가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200) 등 상대물은 홈부(112) 내에 삽입될 수 있으며, 홈부(112) 내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전기적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Here, the receptacle insulator (110) may include a body portion (111), a groove portion (112), and a raised portion (113), as illustrated in FIG. 2. That is, the bar-shaped body portion (111) may include a groove portion (112) formed concavely on an upper surface (S1), and a raised portion (113) may protrude within the groove portion (112). A counterpart, such as a plug connector (200),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112), and may form a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receptacle connector (100) within the groove portion (112).

복수의 제1 컨텍트들(120)은 금속 등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부(112) 내에 노출되는 접점부(121)를 형성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s (120)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metal, and may form a contact portion (121) exposed within the home portion (112), as illustrated in FIG. 3.

여기서, 접점부(121)는 상대물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접점부(121)를 통하여 제1 컨텍트들(120)은 상대물과의 접점을 형성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컨텍트들(120)을 융기부(113)와 몸체부(111)의 폭방향 내벽(I11, I12)을 따라 벤딩(Bending)하여 홈부(112) 내에 노출하는 방식으로 접점부(121)를 형성할 수 있다. Here, the contact portion (121) is provided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counterpart, and the first contacts (12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forming a contact point with the counterpart through the contact portion (1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contact portion (121) can be formed by bending the first contacts (120) along the raised portion (113) and the widthwise inner wall (I11, I12) of the body portion (111) so as to be exposed within the groove portion (112).

이 경우, 각각의 제1 컨텍트(120)들은 홈부(112) 내에 삽입된 상대물과 복수의 접점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대물과의 전기적 연결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홈부(112) 내에 노출된 복수의 제1 컨텍트(120)들은 각각 일정한 피치(pitch)로 배열될 수 있다. In this case, each of the first contacts (120) can form multiple contact points with the counterpart inserted into the home portion (112), so that the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counterpart can be stably maintained. Here, the multiple first contacts (120) exposed in the home portion (112) can b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pitch, respectively.

한편, 제1 컨텍트(120)는 기판(미도시)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기판연결부(C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5 도시한 바와 같이, 폭방향 외벽(O11, O12)의 하단부에서는 복수의 제1 컨텍트(120)들의 일단이 몸체부(111)의 폭방향 외벽(O11)을 통해 노출될 수 있으며, 이후 제1 컨텍트(120)들은 기판 상에 납땜 등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contact (120) may further include a substrate connection portion (C1)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a substrate (not shown). As illustrated in FIG. 5, at the lower end of the width-wise outer wall (O11, O12), one end of a plurality of first contacts (120) may be exposed through the width-wise outer wall (O11) of the body portion (111), and then the first contacts (120) may be fixed to the substrate by a method such as soldering.

기판(미도시)에는 회로패턴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회로패턴에 의하여 기판에 실장된 다른 전자부품 등과 리셉터클 커넥터(1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은 PCB(Printed Circuit Board),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등 다양한 종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복수의 레이어(layer)를 포함하는 다층구조 기판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기판은 전자기기에 결합될 수 있다.A circuit pattern may be formed on a substrate (not shown), and other electronic components mounted on the substrate and a receptacle connector (1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circuit pattern. The substrate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types, such as a PCB (Printed Circuit Board) and an 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 multilayer substrate including a plurality of layers may be used. In addition, the substrate may be coupled to an electronic device.

리셉터클 쉴드부(130)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10)를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리셉터클 쉴드부(130)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10)의 강도보강을 위해 마련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대물과 결합시 상대물에 대한 가이딩을 수행할 수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쉴드부(130)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10)에 결합되어, 상대물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으며, 상대물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이나 압력에 의해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receptacle shield portion (13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may be formed to cover the receptacle insulator (110). That is, the receptacle shield portion (130) may be provided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receptacle insulator (110), and may perform guiding of the counterpart when coupled with the counterpart,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s illustrated in FIG. 2, the receptacle shield portion (130) may be coupled to the receptacle insulator (110) to guide movement of the counterpart, and may prevent the receptacle insulator (110) from being damaged by impact or pressure applied by the counterpart.

구체적으로, 리셉터클 쉴드부(130)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벽보호부(131), 융기부보호부(132), 외벽보호부(133) 및 컨텍트 보호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receptacle shield portion (130) may include an inner wall protection portion (131), a raised portion protection portion (132), an outer wall protection portion (133), and a contact protection portion (134), as illustrated in FIG. 2.

내벽보호부(131)는 각각 몸체부(111)의 폭방향 내벽(I11, I12)를 커버하는 폭방향 내벽보호부(131A, 131B)와, 길이방향 내벽(I13, I14)를 커버하는 길이방향 내벽보호부(131C, 133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융기부보호부(132)는 융기부(113)의 길이방향 내벽(R1)을 커버하는 것일 수 있다. 즉, 내벽보호부(131) 및 융기부보후부(132)를 이용하여 플러그 커넥터(200) 등 상대물과의 체결시 파손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다. The inner wall protection part (131) may include width-wise inner wall protection parts (131A, 131B) that cover the width-wise inner walls (I11, I12) of the body part (111), and length-wise inner wall protection parts (131C, 133D) that cover the length-wise inner walls (I13, I14), and the raised portion protection part (132) may cover the length-wise inner wall (R1) of the raised portion (113). That is, the breakage strength can be strengthened when connecting with a counterpart such as a plug connector (200) by using the inner wall protection part (131) and the raised portion protection part (132).

외벽보호부(133)는 몸체부(111)의 폭방향 외벽(O11, O12)을 커버하는 폭방향 외벽보호부(133A, 133B)와, 길이방향 외벽(O13, O14)를 커버하는 길이방향 외벽보호부(133C, 133D)를 포함할 수 있으며, 폭방향 외벽보호부(133A, 133B)에는 컨텍트 보호부(134)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외벽보호부(133)와 컨텍트 보호부(134)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10)의 파손 방지와 함께, 전자기 차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1 컨텍트(120)들과 인접하게 폭방향 외벽보호부(133A, 133B)와 컨텍트 보호부(134)가 위치하므로, 제1 컨텍트(120)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자기파를 효과적으로 차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컨텍트 보호부(134)는 기판에 접지 연결될 수 있다.The outer wall protection unit (133) may include a width-wise outer wall protection unit (133A, 133B) that covers the width-wise outer walls (O11, O12) of the body unit (111) and a length-wise outer wall protection unit (133C, 133D) that covers the length-wise outer walls (O13, O14). A contact protection unit (134) may be connected to the width-wise outer wall protection units (133A, 133B). Here, the outer wall protection unit (133) and the contact protection unit (134) may perform an electromagnetic shielding function as well as prevent damage to the receptacle insulator (110). That is, since the width-wise outer wall protection parts (133A, 133B) and the contact protection part (134) are positioned adjacent to a plurality of first contacts (120),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hield electromagnetic waves that may occur in the first contacts (120). At this time, the contact protection part (134) can be grounded and connected to the substrate.

컨텍트 보호부(134)는,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연결부(C1)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몸체부(111)의 폭방향(X)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제1 컨텍트(120)으로부터 방사되는 전자기파들의 차폐를 위하여, 컨텍트 보호부(134)는 기판연결부(C1)에 포함된 제1 컨텍트(120)의 일단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컨텍트 보호부(134)는, 기판연결부(C1)보다 제1 설정간격(D1) 이상 폭방향(X)으로 더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5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연결부(C1)에서 노출되는 제1 컨텍트(120)의 길이(DA)와, 컨텍트 보호부(134)의 길이(DB)를 비교할 때, 컨텍트 보호부(134)가 적어도 제1 설정간격(D1) 이상 더 길게 형성할 수 있다. The contact protection member (134) may protrude in the width direction (X) of the body part (111)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substrate connection part (C1), as illustrated in FIGS. 2 and 3. That is, in order to shield electromagnetic waves radiating from the first contact (120), the contact protection member (134) may be formed to cover one end of the first contact (120) included in the substrate connection part (C1). At this time, the contact protection member (134) may be formed to protrude further in the width direction (X) by a first set interval (D1) or more than the substrate connection part (C1). That is, as shown in FIGS. 5 and 7, when comparing the length (DA) of the first contact (120) exposed at the substrate connection portion (C1) and the length (DB) of the contact protection portion (134), the contact protection portion (134) can be formed to be at least longer than the first set interval (D1).

또한, 컨텍트보호부(134)는 제1 설정높이(H1)에서 폭방향(X)으로 수평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후 하방으로 벤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텍트 보호부(134)는, 수평부(134A), 연결부(134B) 및 수직부(134C)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부(134A)는 외벽보호부(133)와 연결될 수 있으며 폭방향(X)으로 수평하게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34B)는 수평부(134A)와 연결되어 하방으로 벤딩될 수 있으며, 수직부(134C)는 연결부(134B)와 연결되어 수직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도6 및 도7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텍트보호부(134)는 "ㄱ"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때 컨텍트보호부(134)의 높이는 제1 설정높이(H1)에 해당한다.In addition, the contact protection member (134) may be formed to protrude horizontally in the width direction (X) at the first set height (H1), and may then be bent downward. Specifically, the contact protection member (134) may be divided into a horizontal portion (134A), a connecting portion (134B), and a vertical portion (134C). Here, the horizontal portion (134A) may be connected to the outer wall protection member (133) and may be horizontally protruded in the width direction (X). In addition, the connecting portion (134B) may be connected to the horizontal portion (134A) and may be bent downward, and the vertical portion (134C)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34B) and may have a shape that extends vertically. That is,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contact protection part (134) may have a cross-section in the shape of the letter “ㄱ”, and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contact protection part (134) corresponds to the first set height (H1).

실시예에 따라서는, 컨텍트 보호부(134)에는 도4 및 도6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개구(開口, A1)가 포함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개구(A1)에서 노출되는 제1 컨텍트(120)의 기판연결부(C1)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100)를 기판에 실장할 때, 개구(A1)를 통하여 각각의 제1 컨텍트(120)의 일단이 기판 상에 정확하게 연결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contact protection member (134) may include a plurality of openings (A1), as illustrated in FIGS. 4 and 6, and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ubstrate connection portions (C1) of the first contacts (120) exposed in each opening (A1). Accordingly, when mounting the receptacle connector (100) on a substrate,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one end of each first contact (120) is accurate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through the openings (A1).

또한, 컨텍트 보호부(134)는 개구(A1)에 의해 구별되는 복수의 플랜지부(flange, B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각각의 플랜지부(B1)는 기판 상에 접지연결될 수 있다. 즉, 접지연결되는 지점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효과적인 전자기 차폐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길이방향 외벽보호부(133C, 133D)를 접지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contact protection member (134) may include a plurality of flange parts (flanges, B1) distinguished by openings (A1), and at this time, each flange part (B1) may be ground-connected on the substrate. That is, since the ground-connected points can be increased, a more effective electromagnetic shielding effect can be implemente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ground-connect the longitudinal outer wall protection members (133C, 133D).

추가적으로, 도1에서는 컨텍트 보호부(134)가 폭방향 외벽보호부(133A, 133B)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분리하여 별도로 제작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Additionally, in Fig. 1, the contact protection part (134) is illustrated as being connected to the width-wise outer wall protection part (133A, 133B), but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manufacture it separately and apply it.

한편,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10), 제1 컨텍트(120) 및 리셉터클 쉴드부(130)를 결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100)를 형성할 수 있다. 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8, a receptacle insulator (110), a first contact (120), and a receptacle shield portion (130) can be combined to form a receptacle connector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200)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Figure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ug connector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200)는, 플러그 인슐레이터(210), 제2 컨텍트(220) 및 플러그 쉴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a plug connector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g insulator (210), a second contact (220), and a plug shield portion (230).

플러그 인슐레이터(210)는 플라스틱(plastic) 등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컨텍트(220), 플러그 쉴드부(230) 등이 플러그 인슐레이터(210) 내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플러그 인슐레이터(210)는, 제2 컨텍트(220)와 플러그 쉴드부(230)를 포함하여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구현예에 따라서는 플러그 인슐레이터(210)를 사출성형 등으로 먼저 제조하고, 이후 제2 컨텍트(220)와 플러그 쉴드부(230)를 플러그 인슐레이터(210)에 조립하여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plug insulator (210) may be made of a non-conductive insulating material such as plastic, and the second contact (220), plug shield portion (230), etc. may be combined within the plug insulator (210). Here, the plug insulator (210) may be manufactured by insert molding, including the second contact (220) and the plug shield portion (230), and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example, the plug insulator (210) may be manufactured first by injection molding, etc., and then the second contact (220) and plug shield portion (230) may be assembled into the plug insulator (210).

여기서, 플러그 인슐레이터(210)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bar) 형상의 몸체부(211)와, 몸체부(211)의 상부면(S2)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융기부(113) 등 상대물은 홈부(212) 내에 삽입될 수 있으며, 홈부(212) 내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00) 등 상대물은 플러그 커넥터(200)와 전기적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Here, the plug insulator (210) may include a bar-shaped body portion (211) as illustrated in FIG. 9, and a recessed portion (212) formed concavely on an upper surface (S2) of the body portion (211). A counterpart, such as a raised portion (113) of a receptacle connector (100), may be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212), and the counterpart, such as a receptacle connector (100), may form a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plug connector (200) within the recessed portion (212).

복수의 제2 컨텍트(220)들은 금속 등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시키는 접점부(221)를 형성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220) can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metal, and can form a contact portion (221) exposed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 9.

여기서, 접점부(221)는 상대물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접점부(221)를 통하여 제2 컨텍트(220)들은 상대물과의 접점을 형성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9 및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컨텍트(220)들을 몸체부(211)의 폭방향 내벽(I21, I22)과 폭방향 외벽(O21, O22)을 따라 벤딩(Bending)하여 노출하는 방식으로 접점부(221)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Here, the contact portion (221) is provided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counterpart, and the second contacts (22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forming a contact point with the counterpart through the contact portion (221).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s shown in FIGS. 9 and 10,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contact portion (221) by exposing the second contacts (220) by bending along the widthwise inner wall (I21, I22) and the widthwise outer wall (O21, O22) of the body portion (211).

이 경우, 각각의 제2 컨텍트(220)들은 상대물과 복수의 접점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접점부(221)는 보다 안정적으로 상대물과의 전기적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접점부(221)에서 노출되는 복수의 제2 컨텍트(220)들은 각각 일정한 피치(pitch)로 배열될 수 있다. In this case, since each of the second contacts (220) can form multiple contact points with the counterpart, the contact portion (221) can maintain a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counterpart more stably. Here, the multiple second contacts (220) exposed at the contact portion (221) can b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pitch.

한편, 제2 컨텍트(220)는 기판(미도시)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기판연결부(C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방향 외벽(O21, O22)의 하단부에서는 복수의 제2 컨텍트(220)들의 일단이 몸체부(211)의 폭방향 외벽(O21, O22)을 통해 노출될 수 있으며, 이후 제2 컨텍트(220)들은 기판 상에 납땜 등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econd contact (220) may further include a substrate connection portion (C2)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a substrate (not shown). As illustrated in Fig. 10, at the lower end of the widthwise outer wall (O21, O22), one end of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220) may be exposed through the widthwise outer wall (O21, O22) of the body portion (211), and then the second contacts (220) may be fixed to the substrate by a method such as soldering.

기판(미도시)에는 회로패턴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회로패턴에 의하여 기판에 실장된 다른 전자부품 등과 플러그 커넥터(2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은 PCB(Printed Circuit Board),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등 다양한 종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복수의 레이어(layer)를 포함하는 다층구조 기판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기판은 전자기기에 결합될 수 있다.A circuit pattern may be formed on a substrate (not shown), and other electronic components mounted on the substrate and a plug connector (2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circuit pattern. The substrate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types, such as a PCB (Printed Circuit Board), an 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 multilayer substrate including a plurality of layers may be used. In addition, the substrate may be coupled to an electronic device.

플러그 쉴드부(230)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플러그 인슐레이터(210)를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플러그 쉴드부(230)는 플러그 인슐레이터(210)의 강도보강을 위해 마련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대물과 결합시 상대물에 대한 가이딩을 수행할 수 있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쉴드부(230)는 플러그 인슐레이터(210)에 결합되어, 상대물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으며, 상대물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이나 압력에 의해 플러그 인슐레이터(2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lug shield portion (23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may be formed to cover the plug insulator (210). That is, the plug shield portion (230) may be provided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plug insulator (210), an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may perform guiding for the counterpart when combined with the counterpart. As illustrated in FIG. 9, the plug shield portion (230) may be combined with the plug insulator (210) to guide movement of the counterpart and prevent the plug insulator (210) from being damaged by impact or pressure applied by the counterpart.

구체적으로, 플러그 쉴드부(230)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벽보호부(231), 외벽보호부(232) 및 외측쉴드벽(233)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lug shield portion (230) may include an inner wall protection portion (231), an outer wall protection portion (232), and an outer shield wall (233), as illustrated in FIG. 9.

내벽보호부(231)는 몸체부(211)의 길이방향 내벽(I23, I24)를 커버할 수 있으며, 외벽보호부(232)는 몸체부(211)의 폭방향 외벽(O21, O22)을 커버하는 폭방향 외벽보호부(232A, 232B)와, 길이방향 외벽(O23, O24)를 커버하는 길이방향 외벽보호부(232C, 232D)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ner wall protection part (231) can cover the longitudinal inner wall (I23, I24) of the body part (211), and the outer wall protection part (232) can include a width-wise outer wall protection part (232A, 232B) that covers the width-wise outer wall (O21, O22) of the body part (211), and a length-wise outer wall protection part (232C, 232D) that covers the length-wise outer wall (O23, O24).

외측 쉴드벽(233)은 제2 컨텍트(220)로부터 방사되는 전자기파의 차폐를 위해 구비될 수 있으며,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인슐레이터(210)로부터 폭방향(X)으로 이격되고, 플러그 인슐레이터(210)의 길이방향(Y)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 컨텍트(220)로부터 방사되는 전자기파의 차폐를 위하여, 외측 쉴드벽(233)은 제2 컨텍트(220)들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12 내지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쉴드벽(233)은 기판연결부(C2)보다, 제2 설정간격(D2) 이상 폭방향(X)으로 이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컨텍트(220)가 노출되는 일단의 길이(DC)와, 상기 제2 컨텍트(220)와 외측 쉴드벽(231) 사이의 이격거리(DD)를 비교할 때, 외측 쉴드벽(233)이 적어도 제2 설정간격(D2) 이상 더 이격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The outer shield wall (233) may be provided to shield electromagnetic waves radiated from the second contact (220), and may have a shape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plug insulator (210) in the width direction (X) and extends in the length direction (Y) of the plug insulator (210), as illustrated in FIG. 9. That is, in order to shield electromagnetic waves radiated from the second contact (220), the outer shield wall (233) may be formed to cover the second contacts (220). At this time, as illustrated in FIGS. 12 to 14, the outer shield wall (233) may be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ubstrate connecting portion (C2) by a second set interval (D2) or more in the width direction (X). That is, when comparing the length (DC) of a section in which the second contact (220) is exposed and the distance (DD) between the second contact (220) and the outer shield wall (231), the outer shield wall (233) can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by at least the second set distance (D2).

구체적으로, 외측 쉴드벽(233)은 브리지(bridge, 233A)와 쉴드벽부(233B)로 구분할 수 있다. 브리지(233A)는 외벽 보호부(232A, 232B)로부터 연결될 수 있으며, 폭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브리지(233A)의 길이는 플러그 커넥터(200)가 삽입되는 상대물의 사이즈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다만, 브리지(233A)에 연결되는 쉴드벽부(233B)가, 제2 컨텍트(220)의 기판연결부(C2)보다 제2 설정간격(D2) 이상 폭방향으로 이격하도록 브리지(233A)의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outer shield wall (233) can be divided into a bridge (bridge, 233A) and a shield wall portion (233B). The bridge (233A) can be connected from the outer wall protection portion (232A, 232B) and can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X). Here, the length of the bridge (233A)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unterpart into which the plug connector (200) is inserted, etc. However, the length of the bridge (233A) can be determined so that the shield wall portion (233B) connected to the bridge (233A) is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by a second set interval (D2) or more from the substrate connection portion (C2) of the second contact (220).

쉴드벽부(233B)는 제2 설정높이(H2)를 가질 수 있으며, 길이방향(Y)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쉴드벽부(233B)의 길이는 몸체부(211)의 길이에 대응할 수 있으며, 쉴드벽부(233B)의 단면은 역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shield wall portion (233B) may have a second set height (H2) and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Here, the length of the shield wall portion (233B) may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body portion (211),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shield wall portion (233B) may have an inverted U shape.

구체적으로, 쉴드벽부(233B)는 제1 쉴드벽부재(E1), 제2 쉴드벽부재(E2) 및 연결부재(E3)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제1 쉴드벽부재(E1)와 제2 쉴드벽부재(E2)는 이격하여 위치할 수 있으며, 연결부재(E3)는 제1 쉴드벽부재(E1)와 제2 쉴드벽부재(E2)를 벤딩하여 연결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쉴드벽부(223B)의 단면이 역U자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hield wall portion (233B) can be divided into a first shield wall member (E1), a second shield wall member (E2), and a connecting member (E3). That is, the first shield wall member (E1) and the second shield wall member (E2) can be position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connecting member (E3) can connect the first shield wall member (E1) and the second shield wall member (E2) by bending them. In this case, the cross section of the shield wall portion (223B) can have an inverted U shape.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브리지(233A)에 연결된 평판 몸체를 몸체부(211) 방향으로 벤딩하는 방식으로, 쉴드벽부(233B)가 역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쉴드벽부(233B)의 단면은 역U자 형상으로 구현하는 경우, 기판과의 결합시 체결강도를 높일 수 있으며, 전자기 차폐 기능의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hield wall portion (233B) may be implemented to have an inverted U-shaped cross-section by bending the flat body connected to the bridge (233A) toward the body portion (211). Here, when the cross-section of the shield wall portion (233B) is implemented in an inverted U-shape, the bonding strength can be increased when combined with the substrate, and the effect of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function can be increased.

추가적으로, 역U자 형상의 쉴드벽부(233B)의 형상은,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00)와의 체결시 발생할 수 있는 외측 쉴드벽(233)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들어, 잘못 정렬된 상태에서 강제로 플러그 커넥터(200)를 리셉터클 커넥터(100) 내에 삽입하는 경우에도, 플러그 커넥터(200)는 쉴드벽부(233B)의 역U자 형상에 의하여 가이드될 수 있다. 따라서, 비정상 체결시에도 역U자 형상에 의해 자기정렬(self alignment)하여, 정확하게 체결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hape of the shield wall portion (233B) in the shape of an inverted U can prevent damage to the outer shield wall (233) that may occur when connecting with the receptacle connector (100), as illustrated in FIG. 16. For example, even when the plug connector (200) is forcibly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connector (100) in a misaligned state, the plug connector (200) can be guided by the inverted U shape of the shield wall portion (233B). Therefore, even in the case of an abnormal connection, it can be connected accurately by self-aligning by the inverted U shape.

실시예에 따라서는, 평판 몸체의 두께를 브리지(233A)의 두께에 비하여 얇게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쉴드벽부(233B)의 제조시 성형이 용이하며, 플러그 커넥터(100)의 전체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품의 소형화에도 유리하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브리지(233A)와 평판 몸체의 두께 비를 2:1로 설정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the thickness of the flat body to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ridge (233A). In this case, molding is easy during the manufacturing of the shield wall portion (233B), and the overall weight of the plug connector (100) can be reduced. In addition, it is also advantageous for miniaturization of the product. In some embodiments, the thickness ratio of the bridge (233A) and the flat body can be set to 2:1.

추가적으로, 쉴드벽부(233B)의 제2 설정높이(H2)는,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컨텍트들(220)의 높이(HA) 이하로 설정할 수 있다. 만약, 쉴드벽부(233B)의 제2 설정높이(H2)가 더 높은 경우에는, 비정상 체결시 쉴드벽(233B)로 지나치게 강한 압력이 인가될 수 있으며, 이로인해 외측 쉴드벽(233)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쉴드벽부(233B)의 제2 설정높이(H2)를 제2 컨텍트(220)의 높이(HA)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200)와 결합시 각 커넥터들의 컨텍트부(120, 220)들이 먼저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삽입시 인가되는 압력을 각 컨텍트부(120, 220)들로 분배하여, 외측 쉴드벽(233)에 인가될 수 있는 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econd set height (H2) of the shield wall portion (233B) can be set to be lower than or equal to the height (HA) of the second contacts (220), as illustrated in FIG. 14. If the second set height (H2) of the shield wall portion (233B) is higher, excessively strong pressure may be applied to the shield wall (233B) when abnormally connected, which may cause problems such as damage to the outer shield wall (233). Therefore, by setting the second set height (H2) of the shield wall portion (233B) to be lower than or equal to the height (HA) of the second contacts (220), the contact portions (120, 220) of each connector can be made into contact first when mated with the receptacle connector (200). That is, by distributing the pressure applied during insertion to each contact portion (120, 220), the load that can be applied to the outer shield wall (233) can be minimized.

한편, 쉴드벽부(231B)는, 쉴드벽부(231B)를 폭방향(X)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개구(A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구(A2)는 제2 컨텍트(220)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인서트 몰딩시 개구(A2)를 이용하여 복수의 제2 컨텍트(220)들을 몸체부(211) 내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플러그 커넥터(200)의 기판 실장시에는 제2 컨텍트(220)들의 실장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hield wall portion (231B) may include a plurality of openings (A2) penetrating the shield wall portion (231B) in the width direction (X). Here, the openings (A2)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acts (220), respec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during insert molding, the openings (A2) may be used to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220) within the body portion (211), and when mounting the plug connector (200) on a substrate, the openings may be used to confirm the mounting positions of the second contacts (220).

또한, 쉴드벽부(233B)는 도10 내지 12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A2)에 의해 구별되는 복수의 돌출부(B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각각의 돌출부(B2)는 기판 상에 접지연결될 수 있다. 즉, 접지연결되는 지점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외측 쉴드벽(230)에 의한 전기차폐 효과를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shield wall portion (233B)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B2) distinguished by openings (A2) as illustrated in FIGS. 10 to 12, and at this time, each of the protrusions (B2) may be ground-connected on the substrate. That is, since the number of points of ground connection can be increased, the electric shielding effect by the outer shield wall (230) can be enhanced.

추가적으로, 쉴드벽부(231B)는 길이방향(Y) 단부에 L자 형상으로 벤딩한 고정부(L)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L)는 L자 형상으로 구현되므로, 납땜을 위한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고정부(L)를 기판 상에 납땜으로 고정하여, 쉴드벽부(231B)의 기판에 대한 체결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다. 특히, 고정부(L)는 길이방향(Y)의 외력에 대응한 체결력을 보강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hield wall portion (231B)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ortion (L) bent in an L shape at the longitudinal (Y) end. Here, since the fixing portion (L) is implemented in an L shape, it is possible to secure a sufficient area for soldering. Accordingly, by fixing the fixing portion (L) to the substrate by soldering, the fastening strength of the shield wall portion (231B) to the substrate can be strengthened. In particular, the fixing portion (L) can reinforce the fastening strength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force in the longitudinal (Y) direction.

이외에도, 도9를 참조하면, 외측 쉴드벽(230)이 폭방향 외벽보호부(232A, 232B)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길이방향 외벽보호부(232C, 232D)로부터 연장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외측 쉴드벽(230)을 외벽보호부(232)로부터 분리하여 별도로 제작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9, the outer shield wall (230) is illustrated as extending from the width-wise outer wall protection members (232A, 232B), but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t may also be extended from the length-wise outer wall protection members (232C, 232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manufacture and apply the outer shield wall (230) separately from the outer wall protection member (232).

한편,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인슐레이터(210), 제2 컨텍트(220) 및 플러그 쉴드부(230)를 결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200)를 형성할 수 있다. 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15, a plug insulator (210), a second contact (220), and a plug shield portion (230) can be combined to form a plug connector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6 및 도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s 16 and 17 are drawings showing the combination of a receptacle connector and a plug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는 결합된 커넥터 모듈의 폭 사이즈 최소화를 위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a receptacle connector (100) and a plug connector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ructure for minimizing the width size of a combined connector module.

구체적으로,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를 결합하는 경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융기부(113)는 플러그 커넥터(200)의 홈부(212)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때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컨텍트 보호부(134) 상에 플러그 커넥터(200)의 쉴드벽부(233B)가 중첩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컨텍트 보호부(134)와 쉴드벽부(233B)가 폭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중첩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할 때, 결합된 커넥터 모듈의 폭 사이즈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Specifically, when combining a receptacle connector (100) and a plug connector (200), the raised portion (113) of the receptacle connector (100) can be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212) of the plug connector (200), and at this time, the shield wall portion (233B) of the plug connector (200) can be overlapped on the contact protection portion (134) of the receptacle connector (100). That is, when each of the contact protection portions (134) and the shield wall portion (233B)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x-axis direction) and does not overlap,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idth size of the combined connector module.

또한, 컨텍트 보호부(134)의 제1 설정높이(H1)와 쉴드벽부(233B)의 제2 설정높이(H2)는, 미리 설정된 전체 체결 높이로부터 각각 배분된 것일 수 있다. 즉, 제1 설정높이(H1), 제2 설정높이(H2) 및 버퍼높이(미도시)를 합한 높이가 전체 체결 높이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텍트 보호부(134)와 쉴드벽부(233B)의 겹침에 불구하고, 두께 방향의 길이를 최소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first set height (H1) of the contact protection portion (134) and the second set height (H2) of the shield wall portion (233B) may be each distributed from the preset overall fastening height. That is, the height of the first set height (H1), the second set height (H2), and the buffer height (not shown) may be set to be the overall fastening height. In this case, despite the overlapping of the contact protection portion (134) and the shield wall portion (233B), it is also possible to minimize the leng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100) 및 플러그 커넥터(200)는, 체결력 강화를 위한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16 및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내벽보호부(131) 또는 외벽보호부(133)에는 돌기부(P)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플러그 커넥터(200)에는 돌기부(P)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삽입홈(Q)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돌기부(P)가 삽입홈(Q) 내에 삽입되어, 플러그 커넥터(200)와 리셉터클 커넥터(100) 사이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삽입홈(Q)은 코이닝(coining) 가공 등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receptacle connector (100) and the plug connector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ructure for reinforcing a fastening force. Specifically, as illustrated in FIGS. 16 and 17, the inner wall protection portion (131) or the outer wall protection portion (133) of the receptacle connector (100) may include a protrusion (P), and the plug connector (200) may include an insertion groove (Q)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P), respectively. That is, the protrusion (P) of the receptacle connector (10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Q), thereby increasing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plug connector (200)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100). Here, the insertion groove (Q) may be formed through coining processing, etc.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에 대하여, 리셉터클 쉴드부(130)와 플러그 쉴드부(230)의 유무에 따른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차폐 성능을 각각 실험한 실험결과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FIG. 1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an experiment on 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receptacle shield portion (130) and a plug shield portion (230) for a receptacle connector (100) and a plug connector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a)는 리셉터클 쉴드부(130)와 플러그 쉴드부(230)를 구비하는 경우의 EMI차폐 성능을 보여주는 실험 결과이다.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의 결합시, 양 측면의 짙은 파란색 부분은 전기장이 낮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그 만큼 전자기파 차단이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낸다.Fig. 18(a) is an experimental result showing EMI shielding performance when equipped with a receptacle shield part (130) and a plug shield part (230). When the receptacle connector (100) and the plug connector (200) are combined, the dark blue parts on both sides mean that the electric field is low, indicating that electromagnetic waves are blocked well.

반면에, 도 18(b)는 비교예로,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에 각각 리셉터클 쉴드부(130)와 플러그 쉴드부(230)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한다. 여기서,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의 결합시 양 측면이 하늘색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짙은 파란색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전기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에 각각 리셉터클 쉴드부(130)와 플러그 쉴드부(230)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자기파 차단이 잘 이루어지지 않음을 나타낸다.On the other hand, Fig. 18(b) is a comparative example, which corresponds to a case where the receptacle shield part (130) and the plug shield part (230) are not provided in the receptacle connector (100) and the plug connector (200), respectively. Here, when the receptacle connector (100) and the plug connector (200) are coupled, both sides appear in sky blue, which means that the electric field i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dark blue. That is, when the receptacle connector (100) and the plug connector (200) are not provided with the receptacle shield part (130) and the plug shield part (230), it indicates that electromagnetic wave blocking is not performed well.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ttached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stituted, modified, and changed within a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리셉터클 커넥터 110: 리셉터클 인슐레이터
111: 몸체부 112: 홈부
113: 융기부 120: 제1 컨텍트
121: 접점부 130: 리셉터클 쉴드부
131: 내벽보호부 132: 융기부보호부
133: 외벽보호부 134: 컨텍트 보호부
200: 플러그 커넥터 210: 플러그 인슐레이터
211: 몸체부 212: 홈부
220: 제2 컨텍트 221: 접점부
230: 플러그 쉴드부 231: 내벽보호부
232: 외벽보호부 233: 외측쉴드벽
100: Receptacle connector 110: Receptacle insulator
111: Body 112: Home
113: Protrusion 120: First contact
121: Contact part 130: Receptacle shield part
131: Inner wall protection part 132: Raised section protection part
133: Outer wall protection 134: Contact protection
200: Plug connector 210: Plug insulator
211: Body 212: Home
220: Second contact 221: Contact part
230: Plug shield section 231: Inner wall protection section
232: Outer wall protection 233: Outer shield wall

Claims (15)

전자기기에 결합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컨텍트(120)들;
상기 제1 컨텍트(120)들이 결합되는 몸체부(111), 상기 몸체부(111)의 상부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112) 및 상기 홈부(112) 내에 돌출된 융기부(113)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10); 및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10)를 커버하는 금속재질의 리셉터클 쉴드부(1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리셉터클 쉴드부(130)는
상기 몸체부(111)의 외벽을 커버하는 외벽보호부(133); 및
상기 외벽보호부(133)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컨텍트 보호부(134)를 포함하고,
상기 컨텍트 보호부(134)는
상기 외벽보호부(133)와 연결되며, 상기 몸체부(111)의 폭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되는 수평부(134A)를 포함하며,
상기 컨텍트 보호부(134)는, 상기 몸체부(111)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의 상기 제1 컨텍트(120)들 모두와 겹쳐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A substrate coupled to an electronic device and a plurality of first contacts (120)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A receptacle insulator (110) including a body part (111) to which the first contacts (120) are coupled, a groove part (112) concave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111), and a raised part (113) protruding within the groove part (112); and
It includes a receptacle shield part (130) made of metal covering the above receptacle insulator (110).
The above receptacle shield part (130)
An outer wall protection part (133) covering the outer wall of the above body part (111); and
It includes a contact protection part (134) formed by extending from the outer wall protection part (133).
The above contact protection part (134)
It is connected to the outer wall protection part (133) and includes a horizontal part (134A) that protrudes horizontall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part (111).
A receptac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protection member (134) is arranged to overlap all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s (120)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member (1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컨텍트(120)들은, 일단이 상기 몸체부(111)의 폭방향 외벽(O11, O12)을 통해 노출되는 기판연결부(C1)를 포함하고,
상기 컨텍트 보호부(134)는, 상기 기판연결부(C1)보다 상기 폭방향으로 더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plurality of first contacts (120) include a substrate connection portion (C1) that is exposed through the width-wise outer wall (O11, O12) of the body portion (111),
A receptac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protection portion (134) protrudes further in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substrate connection portion (C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트 보호부(134)는
상기 수평부(134A)와 연결되며, 하방으로 벤딩되는 연결부(134B); 및
상기 연결부(134B)와 연결되며,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부(134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In the first paragraph, the contact protection part (134)
A connecting portion (134B) connected to the above horizontal portion (134A) and bent downward; and
A receptac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vertical portion (134C) that is connected to the above connecting portion (134B) and extends vertical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트 보호부(134)는
복수의 개구(開口, A1)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A1)는 상기 복수의 제1 컨텍트(120)들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In the first paragraph, the contact protection part (134)
A receptacle connector comprising a plurality of openings (A1), wherein the openings (A1) are formed at position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s (12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트 보호부(134)는
상기 개구(A1)에 의해 복수의 플랜지부(B1)로 구별되고, 상기 플랜지부(B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기판 상에 접지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In the fourth paragraph, the contact protection part (134)
A receptac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tinguished into a plurality of flange portions (B1) by the above opening (A1), and at least one of the flange portions (B1) is ground-connected on a substr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쉴드부(130)는
상기 몸체부(111)의 내벽(I11, I12, I13, I14)를 커버하는 내벽보호부(131); 및
상기 내벽보호부(13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융기부(113)의 내벽(R1)을 커버하는 융기부보호부(13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In the first paragraph, the receptacle shield part (130)
An inner wall protection part (131) covering the inner wall (I11, I12, I13, I14) of the above body part (111); and
A receptac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raised portion protecting portion (132) that extends from the inner wall protecting portion (131) and covers the inner wall (R1) of the raised portion (113).
전자기기에 결합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 컨텍트(220)들;
상기 제2 컨텍트(220)들이 결합되는 몸체부(211) 및 상기 몸체부(211)의 상부면(S2)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212)를 포함하는 플러그 인슐레이터(210); 및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210)를 커버하는 금속재질의 플러그 쉴드부(2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플러그 쉴드부(230)는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210)로부터 폭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2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외측 쉴드벽(233)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외측 쉴드벽(233)은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쉴드벽부재(E1), 및 상기 제1 쉴드벽부재(E1)로부터 이격된 제2 쉴드벽부재(E2)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 쉴드벽(233)은
외벽 보호부(232)로부터 연결되며, 상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리지(bridge, 233A); 및
상기 브리지(233A)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쉴드벽부재(E1) 및 제2 쉴드벽부재(E2)가 배치되는 쉴드벽부(233B)를 포함하며,
상기 브리지(233A)는,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쉴드벽부(233B)의 각 단부의 내측에서 상기 외벽 보호부(232) 및 상기 쉴드벽부(233B)와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A substrate coupled to an electronic device,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220)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A plug insulator (210) including a body part (211) to which the second contacts (220) are coupled and a groove part (212) formed concavely on the upper surface (S2) of the body part (211); and
It includes a plug shield part (230) made of metal covering the above plug insulator (210).
The above plug shield part (230)
It further includes an outer shield wall (233)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plug insulator (210) and extending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lug insulator (210).
The above outer shield wall (233)
It has a first shield wall member (E1)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shield wall member (E2)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hield wall member (E1),
The above outer shield wall (233)
A bridge (bridge, 233A) connected from the outer wall protection member (232) and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nd
It is connected to the above bridge (233A) and includes a shield wall part (233B) in which the first shield wall part (E1) and the second shield wall part (E2) are arranged.
A plug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bridge (233A) is connected to the outer wall protection part (232) and the shield wall part (233B) respectively on the inner side of each end of the shield wall part (233B)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컨텍트(220)들은, 일단이 상기 몸체부(211)의 폭방향 외벽(O21, O22)을 통해 노출되는 기판연결부(C2)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쉴드벽(233)은
상기 기판연결부(C2)보다, 폭방향으로 더 돌출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In Article 7,
The above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220) include a substrate connection portion (C2) that is exposed through the width-wise outer wall (O21, O22) of the body portion (211),
The above outer shield wall (233)
A plug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itioned so as to protrude further in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above-mentioned substrate connecting portion (C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쉴드벽(233)은
상기 플러그 쉴드부(230)의 상기 외벽 보호부(232)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In the 8th paragraph, the outer shield wall (233)
A plug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by extending from the outer wall protection part (232) of the plug shield part (230).
삭제dele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벽부(233B)는
상기 제1 쉴드벽부재(E1)와 제2 쉴드벽부재(E2) 사이를 벤딩하여 연결하는 벤딩부(E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쉴드벽부(233B)는 역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In the 7th paragraph, the shield wall part (233B)
It further includes a bending portion (E3) that connects the first shield wall member (E1) and the second shield wall member (E2) by bending,
A plug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shield wall portion (233B) has a cross-section in an inverted U shap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벽부(233B)의 높이(H2)는
상기 제2 컨텍트(220)들의 높이(HA)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In the 7th paragraph, the height (H2) of the shield wall portion (233B)
A plug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HA) of the second contacts (220) is smaller than that of the abov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벽부(233B)는
상기 쉴드벽부(233B)를 상기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개구(開口, A2)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A2)는 기판연결부(C2)에서 노출되는 상기 제2 컨텍트(220)들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In the 7th paragraph, the shield wall part (233B)
A plug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lurality of openings (A2) penetrating the shield wall portion (233B)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openings (A2) are each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acts (220) exposed at the substrate connection portion (C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벽부(233B)는
상기 개구(A2)에 의해 구별되는 복수의 돌출부(B2)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B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기판 상에 접지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In the 13th paragraph, the shield wall part (233B)
A plug connector compris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B2) distinguished by the openings (A2),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rotrusions (B2) is ground-connected on a substra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벽부(233B)는
상기 길이방향의 단부에 L자 형상으로 벤딩한 고정부(L)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L)를 기판 상에 납땜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In the 7th paragraph, the shield wall part (233B)
A plug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fixing member (L) bent into an L shape at the longitudinal end, and the fixing member (L) is fixed by soldering onto a substrate.



KR1020200059757A 2019-05-22 2020-05-19 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Active KR10277201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304 2019-05-22
KR20190060304 2019-05-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199A KR20200135199A (en) 2020-12-02
KR102772011B1 true KR102772011B1 (en) 2025-02-25

Family

ID=73792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757A Active KR102772011B1 (en) 2019-05-22 2020-05-19 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7201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659B1 (en) * 2021-01-20 2023-06-01 주식회사 센서뷰 Connector for Milimeter Wave
TWI825839B (en) * 2021-08-16 2023-12-11 日商日本航空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Connector
KR102686427B1 (en) 2022-09-02 2024-07-19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Interposer Unit For Floating Board to Board Connector
KR102679519B1 (en) 2022-09-08 2024-07-01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Receptacle Connector
KR102735061B1 (en) 2022-09-29 2024-11-28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lug Connector
KR102735062B1 (en) 2022-10-12 2024-11-28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Receptacle Connector
JP2025516835A (en) * 2022-10-14 2025-05-30 エル エス エムトロン リミテッド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same
KR102739566B1 (en) 2022-10-19 2024-12-10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Receptacle Connector
WO2024101801A1 (en) * 2022-11-07 2024-05-1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KR102698918B1 (en) 2022-11-09 2024-08-27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lug connector
WO2024162722A1 (en) * 2023-01-30 2024-08-0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WO2025005578A1 (en) * 2023-06-29 2025-01-0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Connector
WO2025005577A1 (en) * 2023-06-29 2025-01-0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Connec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07557A (en) * 2014-04-17 2015-11-19 タイコ エレクトロニクス (シャンハ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Terminal, electric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or assembly
WO2019087551A1 (en) * 2017-11-06 2019-05-09 第一精工株式会社 Electric connecto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28685B2 (en) * 2016-05-16 2020-01-1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Connector assembly having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JP6885730B2 (en) 2017-01-06 2021-06-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Connector with shielding shield pla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07557A (en) * 2014-04-17 2015-11-19 タイコ エレクトロニクス (シャンハ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Terminal, electric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or assembly
WO2019087551A1 (en) * 2017-11-06 2019-05-09 第一精工株式会社 Electric connec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199A (en) 202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72011B1 (en) 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KR102580251B1 (en) Connector
KR20230019919A (en) receptacle connector
KR102769728B1 (en) Connectors and connector pairs
US20080139057A1 (en) Electrical connector
US20210359458A1 (en) Connector
US10559928B2 (en) Electric connector
US7189090B2 (en) Coupler for flat cables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11444414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JP7446094B2 (en) Connection objects, connectors, and harnesses
CN101183760B (en) Electrical connector
US20210391669A1 (en) Multipolar connector set
US10170868B1 (en) Connector
JP7387412B2 (en) connector assembly
KR20220083236A (en) Electric connector for radio frequency
US20100033940A1 (en) Inter-board coupling connector and circuit board device using inter-board coupling connector
CN113169485B (en) Connector component and connector set
US6619984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shielding
CN101364676B (en) Multi way connector
WO2019108506A1 (en) Connector for high speed signal transmission
KR102538659B1 (en) Connector for Milimeter Wave
CN210489982U (en) Improved board connector
JP7704827B2 (en) High Frequency Connectors
JP7435863B2 (en) electrical connector pair
US20240372278A1 (en) Connector, connector set, and connector-equipped c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1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