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9519B1 - Receptacle Connector - Google Patents
Receptacle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79519B1 KR102679519B1 KR1020220114350A KR20220114350A KR102679519B1 KR 102679519 B1 KR102679519 B1 KR 102679519B1 KR 1020220114350 A KR1020220114350 A KR 1020220114350A KR 20220114350 A KR20220114350 A KR 20220114350A KR 102679519 B1 KR102679519 B1 KR 1026795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receptacle connector
- wall
- cover surface
- arm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 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그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구조를 개선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receptacle connector with an improved structure to facilitate coupling between a plug connector and a receptacle connector and improve its strength.
Description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 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그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구조를 개선한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ptacle connector, and more specifically, to a receptacle connector with an improved structure to facilitate coupling between a plug connector and a receptacle connector and to improve its strength.
기판용 커넥터는 PCB(Printed Circuit Board)나 도선이 패터닝된 전자 요소(electronic component)들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B2B 커넥터(board to board connector)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는데,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 각각은 서로 다른 기판에 연결되며,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결합됨으로써, 서로 다른 기판을 통한 신호의 전달이 가능해질 수 있다.Board connectors are used to connect PCBs (Printed Circuit Boards) or electronic components with patterned conductors. In particular, a B2B connector (board to board connector) includes a plug connector and a receptacle connector. Each of the plug connectors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is connected to a different board, and the plug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are combined to transmit signals through different boards. Delivery may be possible.
플러그 커넥터의 컨택트들과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물리적으로 결합되는데, 이 결합 과정에서 압력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나 플러그 커넥터가 파손될 위험이 있다.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ontacts of the plug connector and the contacts of the receptacle connector, the plug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are physically coupled, but there is a risk that the receptacle connector or plug connector may be damaged by pressure during this coupling process.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 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그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Accordingly, a method for facilitating coupling between a receptacle connector and a plug connector and improving its strength is required.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 커넥터와의 결합이 용이하고, 플러그 커넥터와의 결합에 따른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ceptacle connector that is easy to couple with a plug connector and can reduce the possibility of damage due to coupling with a plug connector.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제1벽, 제2벽, 제3벽, 제4벽 및 바닥벽을 포함하는 절연 하우징과, 상기 절연 하우징에 결합되는 신호 단자 및 전원 단자를 포함하고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을 위한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전원 단자는, 제1 벽에 배치되는 제1 커버부, 제2 벽에 배치되는 제2 커버부, 제3 벽에 배치되는 제3 커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커버부, 제2 커버부, 제3 커버부는 각각 제1 내측커버면, 제2 내측커버면, 제3 내측커버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측커버면과 제2 내측커버면을 연결하는 제1 내측연결면과 상기 제2 내측커버면과 제3 내측커버면을 연결하는 제2 내측연결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측커버면, 제1 내측연결면, 제2 내측커버면, 제2 내측연결면, 제3 내측커버면은 절개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커버부는 제2 외측커버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외측커버면의 일측으로 연결부가 존재하고 연결부는 커넥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부랑 연결되며, 상기 아암부는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아암부랑 연결되고, 연장아암부의 일측에는 접촉부가 형성될 수 있다.A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includes an insulating housing including a first wall, a second wall, a third wall, a fourth wall and a bottom wall, a signal terminal and a power source coupled to the insulating housing. A receptacle connector including a terminal and for coupling with a plug connector, wherein the power terminal includes a first cover portion disposed on the first wall, a second cover portion disposed on the second wall, and a third cover portion disposed on the third wall. Includes a cover part, wherein the first cover part, the second cover part, and the third cover part each include a first inner cover surface, a second inner cover surface, and a third inner cover surface, and the first inner cover surface and the third inner cover surface It includes a first inner connection surface connecting two inner cover surfaces and a second inner connection surface connecting the second inner cover surface and the third inner cover surface; The first inner cover surface, the first inner connecting surface, the second inner cover surface, the second inner connecting surface, and the third inner cover surface are formed continuously without being cut; The second cover part includes a second outer cover surface, and a connection part is present on one side of the second outer cover surface. The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an arm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and the arm part is an extension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It is connected to the arm portion, and a contact portion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extended arm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상기 전원 단자의 제1 내측커버면, 제1 내측연결면, 제2 내측커버면, 제2 내측연결면, 제3 내측커버면은 딥 드로잉(deep drawing) 공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inner cover surface, first inner connection surface, second inner cover surface, second inner connection surface, and third inner cover surface of the power terminal are deep drawing. It can be formed using a construction metho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상기 아암부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arm portion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ounting portion that extends downward and is mounted on the boar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상기 아암부의 판면은 바닥벽에 대해서 수직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e surface of the arm portion may be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bottom wal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상기 연장아암부의 판면은 바닥벽에 대해서 평행하며, 연장아암부의 판면의 상면은 바닥벽 에 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e surface of the extended arm portion is parallel to the bottom wall,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surface of the extended arm portion may be formed in contact with the bottom wal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상기 아암부의 일부구간은 커버부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rtial section of the arm portion may be located below the cover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상기 아암부는, 아암부 끝단의 하측으로 연장하여 연장아암부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rm portion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arm portion and be connected to the extension arm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상기 제1 커버부는 제1 외측커버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커버부는 제3 외측 커버면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ver part may include a first outer cover surface, and the third cover part may include a third outer cover surface.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되는 동안 과한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ombined with a plug connector, and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possibility of damage even if excessive pressure is applied while being combined with the plug 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절연 하우징을 제외한 전원 단자와 신호단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단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6에서 A-A`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는 도 6에서 B-B`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6에서 C-C`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lug connector and a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g connector and a receptacle connector are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n insulating housing of a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power terminal and a signal terminal in a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luding the insulating housing.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 top view of a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diagrams showing a pow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iagram showing a cross section along AA′ in FIG. 6.
FIG. 10 is a diagram showing a cross section of BB′ in FIG. 6.
FIG. 11 is a diagram showing a cross section along CC′ in FIG. 6.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hieve it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but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are within the scope of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related known techniqu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플러그 커넥터(200)가 리셉터클 커넥터(100) 내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플러그 커넥터(200)와 리셉터클 커넥터는(100)는 기판 연결용 커넥터(board to board connector)일 수 있으며, 체결 시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자가 서로 접점을 형성하여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1 to 11, the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절연 하우징(10)과 전원 단자(110, 190)와 신호 단자(18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절연 하우징(10)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원 단자(110, 190)와 복수의 신호 단자(180)가 절연 하우징(10)에 결합된다. 절연 하우징(10)과 단자들(전원 단자, 신호 단자)은 함께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에 의해 결합되도록 제조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절연 하우징(100)이 몰딩에 의해 제조되고 단자들이 절연 하우징(10)에 조립될 수도 있다.The insulating
전원 단자(110, 190) 및 신호 단자(180)는 도전 소재로 이루어지며,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들 및 기판과의 전기적 접촉을 위해 구비될 수 있다.The
또한, 전원 단자(110, 190) 및 신호 단자(180)들의 일부 영역은 기판과의 접촉을 위해 절연 하우징(10)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으며, 전원 단자 및 신호 단자들의 다른 일부 영역은 플러그 커넥터(200)의 단자들과 접촉을 위해 절연 하우징(10)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Additionally, some areas of the
전원 단자(110, 190)는 플러그 커넥터(200)와의 결합을 가이드하고,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강도를 보강하며, 플러그 커넥터와의 접촉을 통한 전기적 연결을 위해 구비된다.The
전원 단자(110, 190)는 제1 커버부, 제2 커버부 및 제3 커버부를 구비하여 절연 하우징(10)의 양단에 결합되어 플러그 커넥터(200)가 결합될 때 플러그 커넥터(200)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결합 시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1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00)를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상부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켜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결합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리셉터클 커넥터(100)에는 플러그 커넥터(200)가 삽입되는 홈이 마련되어 있으며, 플러그 커넥터(200)에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홈 내 돌출된 중앙 섬부(15)에 대응하도록 홈이 마련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절연 하우징(10)과 전원 단자(110, 190) 및 복수의 신호 단자(180)는 함께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에 의해 결합 제조될 수 있다.Looking at the
즉,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제1벽(11), 제2벽(12), 제3벽(13), 제4벽(14) 및 바닥벽(18)을 포함하는 절연 하우징(10)의 인서트 몰딩 형성 시 전원 단자(110, 190) 및 신호 단자(180)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절연 하우징(10)의 양측에 결합되는 전원 단자(110, 190)는 동일한 형태로 결합 형성되므로, 일측의 가이드 단자(110)만 설명하기로 한다.Since the
절연 하우징(10)은 제1벽(11), 제2벽(12), 제3벽(13), 제4벽(14), 중앙 섬부(15) 및 바닥벽(18)을 포함한다.The
전원 단자(110)는 제1 벽(11)에 배치되는 제1 커버부(111), 제2 벽(12)에 배치되는 제2 커버부(113), 제3 벽(13)에 배치되는 제3 커버부(115)를 포함하되, 제1 커버부(111), 제2 커버부(113), 제3 커버부(115)는 각각 제1 내측커버면(111a), 제2 내측커버면(113a), 제3 내측커버면(115a)과 제1 외측커버면(111c), 제2 외측커버면(113c), 제3 외측커버면(115c)을 포함할 수 있다.The
또한, 제1 내측커버면(111a)과 제2 내측커버면(113a)을 연결하는 제1 내측연결면(112)과 제2 내측커버면(113a)과 제3 내측커버면(115a)을 연결하는 제2 내측연결면(114)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또한, 제1 내측커버면(111a), 제1 내측연결면(112), 제2 내측커버면(113a), 제2 내측연결면(114), 제3 내측커버면(115a)은 절개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즉, 전원 단자의 제1 내측커버면(111a), 제1 내측연결면(112), 제2 내측커버면(113a), 제2 내측연결면(114), 제3 내측커버면(115a)은 딥 드로잉(deep drawing) 공법으로 절개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여기서 딥 드로잉(deep drawing) 공법은 판재를 이용하여 이음매가 없는 용기 모양의 제품을 제조하는 공법으로서, 구체적으로 판재를 둘레 방향에서 압축하고, 깊이 방향으로 가압을 하여 제품을 제조하는 것을 의미한다.Here, the deep drawing method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amless container-shaped product using a plate. Specifically, it means manufacturing the product by compressing the plat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pressurizing it in the depth direction.
또한, 전원단자(110)의 제1 커버부(111), 제2 커버부(113) 및 제3 커버부(115)가 딥 드로잉 공정을 통해 형성되며, 제1 커버부(111), 제2 커버부(113) 및 제3 커버부(115)의 각각의 내측커버면과 외측커버면은 연결되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즉, 제1 커버부(111)는 절연 하우징(10)의 제1 벽(11)의 상측에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제1 벽(11)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 내측커버면(111a)과 제1 벽(11)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1 외측커버면(111c)을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또한, 제2 커버부(113)는 절연 하우징(10)의 제2 벽(12)의 상측에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제2 벽(12)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2 내측커버면(113a)과 제2 벽(12)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2 외측커버면(113c)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제3 커버부(115)는 절연 하우징(10)의 제3 벽(13)의 상측에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제3 벽(13)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3 내측커버면(115a)과 제3 벽(13)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3 외측커버면(115c)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따라서, 전원단자(110) 제1 커버부(111), 제2 커버부(113) 및 제3 커버부(115)를 통해 절연 하우징(10)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플러그 커넥터(200)와의 결합 시 결합위치를 가이드하며 절연 하우징(10)을 보호할 수 있다.Therefore, the
또한, 제1 내측커버면(111a)과 제3 내측커버면(115a)에는 플러그 커넥터(200)와 결합 시 플러그 커넥터(220)의 단자와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락킹 홈(111b, 115b)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locking grooves 111b and 115b are formed on the first
또한, 제2 외측커버면(113c)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연결부(116, 117)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2 외측커버면(113c)에서 벤딩되어 연결된 연결부(116, 117)는 커넥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부(121, 122)랑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connection parts 116 and 117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outer cover surface 113c, respectively, and the connection parts 116 and 117 connected by bending from the second outer cover surface 113c are connectors. It may be connected to arm
즉, 제2 외측커버면(113c)의 일측에는 연결부(116)가 존재하고 연결부(116)는 커넥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부(121)랑 연결되며, 아암부(121)는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아암부(123)랑 연결되고, 연장아암부(123)의 일측에는 접촉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re is a connecting portion 116 on one side of the second outer cover surface 113c, and the connecting portion 116 is connected to an
또한, 제2 외측커버면(113c)의 타측에는 연결부(117)가 존재하고 연결부(117)는 커넥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부(122)랑 연결되며, 아암부(122)는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아암부(124)랑 연결되고, 연장아암부(124)의 일측에는 접촉부(126)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connecting portion 117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outer cover surface 113c, and the connecting portion 117 is connected to an
또한, 아암부(121, 122)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부(121a, 122a)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또한, 아암부(121, 122)의 판면(121b, 122b)은 바닥벽(18)에 대해서 수직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late surfaces 121b and 122b of the
또한, 연장아암부(123,124)의 판면은 바닥벽에 대해서 평행하며, 연장아암부(123, 124)의 상면은 바닥벽에 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late surfaces of the
따라서, 제2 커버부(113)의 양측에 구비된 연결부(116, 117)를 통해 제1 커버부(111), 제2 커버부(113), 제3 커버부(115)가 연결되어 형성되며, 연결부(116, 117)와 각각 연결되어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아암부(121, 122)와 아암부(121, 122)와 연결되어 형성된 연장아암부(123, 124) 및 접촉부(125, 126)는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the
즉, 제1 커버부(111), 제2 커버부(113), 제3 커버부(115), 연결부(116, 117), 아암부(121, 122), 연장아암부(123,124) 및 접촉부(125, 126)는 연결되어 하나의 전원 단자(110)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또한, 제1 커버부(111), 제2 커버부(113), 제3 커버부(115), 연결부(116, 117), 아암부(121, 122), 연장아암부(123,124) 및 접촉부(125, 126), 바닥면(118) 및 중앙 섬부 커버면(119)은 연결되어 하나의 전원 단자(110)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것에 의해 인서트 몰딩 시 절연 하우징(1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플러그 커넥터(200)와 결합 시 절연 하우징(10)과 플러그 커넥터(200)와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결합되는 동안 과한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s a result, it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insulating
또한, 아암부(121, 122)의 일부구간은 커버부(111, 115)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Additionally, a portion of the
즉, 제1 아암부(121)의 일부구간은 제1 커버부(111)의 하측에 위치하고 일부는 커넥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할 수 있다.That is, a portion of the
또한, 제2 아암부(122)의 일부구간은 제3 커버부(115)의 하측에 위치하고 일부는 커넥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할 수 있다.Additionally, a portion of the
예를들어 제1 커버부(111)의 하측에 제1 아암부(121)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또는 제3 커버부(115)의 하측에 제2 아암부(122)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절연 하우징(10)만 배치되어 플러그 커넥터(200)와 결합 시 과한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파손 가능성이 높아진다.For example, when the
이것에 의해 제1 커버부(111)와 제1 아암부(121)가 수직 방향으로 중첩 영역이 존재하며, 제3 커버부(115)와 제2 아암부(122)가 수직 방향으로 중첩 영역이 존재하여, 플러그 커넥터(200)와 결합 시 중첩 영역을 통해 상호 보완을 통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결합되는 동안 과한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s a result, the
또한, 아암부(121, 122) 끝단의 하측으로 연장하여 연장아암부(123, 124)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it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ends of the
즉, 제1 아암부(121)의 끝단의 하측으로 연장하여 제1 연장아암부(123)와 연결되어 형성되며, 제1 연장아암부(123)의 일측에는 접촉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That is, it extends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또한, 제2 아암부(122)의 끝단의 하측으로 연장하여 제2 연장아암부(124)와 연결되어 형성되며, 제2 연장아암부(124)의 일측에는 접촉부(126)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t extends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또한, 제1 커버부(111)는 제1 아암부(121)의 판면(121b) 일부는 외측으로 굴곡져서 연장되어 형성된 실장부(121a)를 통해 기판에 실장될 수 있고, 제2 커버부(113)는 제2 외측커버면(113c)이 외측으로 굴곡져서 연장되어 형성된 실장부(113d)를 통해 기판에 실장될 수 있으며, 제3 커버부(115)는 제2 아암부(122)의 판면(122b) 일부는 외측으로 굴곡져서 연장되어 형성된 실장부(122a)를 통해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것에 의해, 제1 커버부(111) 및 제3 커버부(115)가 아암부(121, 122)을 보호하도록 형성되며, 아암부(121, 122) 끝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바닥벽(15)에 접하여 형성된 연장아암부(123, 124)가 인서트 몰딩 시 절연 하우징(1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a result, the
또한, 제2 커버부(113)의 제2 내측커버면(113a)의 내측면 아래에는 바닥면(118)이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부로 연장되어 중앙 섬부(15)를 커버할 수 있는 중앙 섬부 커버면(119)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bottom surface 118 may be formed below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inner cover surface 113a of the
바닥면(118)과 중앙 섬부 커버면(119)에 의해 인서트 몰딩 시 절연 하우징(1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플러그 커넥터(200)와 결합 시 절연 하우징(10)과 플러그 커넥터(200)와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결합되는 동안 과한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t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insulating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 6에서 A-A`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는 도 6에서 B-B`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은 도 6에서 C-C`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6 showing a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6, and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FIG. 6. It is a drawing.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아암부(121, 122)의 일부가 커버부(111, 115)의 하측에 위치하는 것을 나타내며, 아암부(121, 122)의 판면(121b, 122b)은 바닥벽(18)에 대해서 수직하도록 형성되어 있다.9 to 11, it is shown that a part of the
또한, 아암부(121, 122)는 실장부(121a, 122a)를 구비하여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또한, 제2 커버부(113)는 제2 외측커버면(113c)이 외측으로 굴곡져서 연장되어 형성된 실장부(113d)를 구비하며, 실장부(113d)를 통해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또한, 아암부(121, 122) 끝단의 하측으로 연장하여 연장아암부(123, 124)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연장아암부(123,124)의 판면은 바닥벽(18)에 대해서 평행하며, 연장아암부(123, 124) 판면의 상면은 바닥벽(18)에 접하여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it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ends of the
이것에 의해 인서트 몰딩 시 절연 하우징(1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플러그 커넥터(200)와 결합 시 절연 하우징(10)과 플러그 커넥터(200)와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결합되는 동안 과한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s a result, it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insulating
또한, 제1 연장아암부(123)의 일측에 형성된 접촉부(125)와 제2 연장아암부(124)의 일측에 형성된 접촉부(126)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연장아암부(123)에 형성된 접촉부(125)와 제2 연장아암부(124)에 형성된 접촉부(126)는 상대 커넥터와 결합 시 접촉에 의해 전기적 결합을 수행할 수 있고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Additionally, 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되는 동안 과한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refore,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ombined with the plug connector, and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possibility of damage even if excessive pressure is applied while being combined with the plug connector.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so far, it is obvious that various implementation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as well as the claims described later.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at i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patent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patent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절연 하우징
100: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
110, 190: 전원 단자 111: 제1 커버부
111a: 제1 내측커버면 111c: 제1 외측커버면
112: 제1 내측연결면 113: 제2 커버부
113a: 제2 내측커버면 113c: 제2 외측커버면
113d: 실장부 114: 제2 내측연결면
115: 제3 커버부 115a: 제3 내측커버면
115c: 제3 외측커버면 118: 바닥면
121, 122: 아암부 123, 124: 연장아암부
125, 126: 접촉부 180: 신호 단자
200: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10: Insulated housing
100: Receptacle Connector
110, 190: power terminal 111: first cover part
111a: first inner cover surface 111c: first outer cover surface
112: first inner connection surface 113: second cover portion
113a: second inner cover surface 113c: second outer cover surface
113d: mounting portion 114: second inner connection surface
115:
115c: Third outer cover surface 118: Bottom surface
121, 122:
125, 126: contact part 180: signal terminal
200: Plug Connector
Claims (8)
상기 전원 단자는, 제1 벽에 배치되는 제1 커버부, 제2 벽에 배치되는 제2 커버부, 제3 벽에 배치되는 제3 커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커버부, 제2 커버부, 제3 커버부는 각각 제1 내측커버면, 제2 내측커버면, 제3 내측커버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측커버면과 제2 내측커버면을 연결하는 제1 내측연결면과 상기 제2 내측커버면과 제3 내측커버면을 연결하는 제2 내측연결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측커버면, 제1 내측연결면, 제2 내측커버면, 제2 내측연결면, 제3 내측커버면은 절개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커버부는 제2 외측커버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외측커버면의 일측으로 연결부가 존재하고 연결부는 커넥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부랑 연결되며, 상기 아암부는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아암부랑 연결되고, 연장아암부의 일측에는 접촉부가 형성되는, 리셉터클 커넥터.An insulating housing including a first wall, a second wall, a third wall, a fourth wall, and a bottom wall, and a receptacle connector including a signal terminal and a power terminal coupled to the insulating housing and for coupling with a plug connector,
The power terminal includes a first cover portion disposed on the first wall, a second cover portion disposed on the second wall, and a third cover portion disposed on the third wall,
The first cover part, the second cover part, and the third cover part include a first inner cover surface, a second inner cover surface, and a third inner cover surface, respectively, and the first inner cover surface and the second inner cover surface are It includes a first inner connection surface connecting the first inner connection surface and a second inner connection surface connecting the second inner cover surface and the third inner cover surface;
The first inner cover surface, the first inner connecting surface, the second inner cover surface, the second inner connecting surface, and the third inner cover surface are formed continuously without being cut;
The second cover part includes a second outer cover surface, and a connection part is present on one side of the second outer cover surface. The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an arm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and the arm part is an extension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A receptacle connector connected to an arm portion and having a contact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extended arm portion.
상기 전원 단자의 제1 내측커버면, 제1 내측연결면, 제2 내측커버면, 제2 내측연결면, 제3 내측커버면은 딥 드로잉 공법으로 형성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In claim 1,
A receptacle connector, wherein the first inner cover surface, first inner connection surface, second inner cover surface, second inner connection surface, and third inner cover surface of the power terminal are formed by a deep drawing method.
상기 아암부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In claim 1,
The arm portion extends downward and includes a mounting portion mounted on a board.
상기 아암부의 판면은 바닥벽에 대해서 수직하도록 형성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In claim 1,
A receptacle connector, wherein the plate surface of the arm portion is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bottom wall.
상기 연장아암부의 판면은 바닥벽에 대해서 평행하며, 연장아암부의 판면의 상면은 바닥벽에 접하여 형성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In claim 1,
A receptacle connector wherein the plate surface of the extended arm portion is parallel to the bottom wall,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surface of the extended arm portion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bottom wall.
상기 아암부의 일부구간은 상기 제1 커버부 또는 상기 제3 커버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In claim 1,
A receptacle connector, wherein a portion of the arm portion is located below the first cover portion or the third cover portion.
상기 아암부는, 아암부 끝단의 하측으로 연장하여 연장아암부와 연결되어 형성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In claim 1,
The arm portion extends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arm portion and is formed by being connected to an extension arm portion.
상기 제1 커버부는 제1 외측커버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커버부는 제3 외측 커버면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In claim 1,
A receptacle connector, wherein the first cover portion includes a first outer cover surface, and the third cover portion includes a third outer cover surfac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4350A KR102679519B1 (en) | 2022-09-08 | 2022-09-08 | Receptacle Connector |
CN202322420581.1U CN220963815U (en) | 2022-09-08 | 2023-09-07 | Jack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4350A KR102679519B1 (en) | 2022-09-08 | 2022-09-08 | Receptacle Connec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35185A KR20240035185A (en) | 2024-03-15 |
KR102679519B1 true KR102679519B1 (en) | 2024-07-01 |
Family
ID=90272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14350A Active KR102679519B1 (en) | 2022-09-08 | 2022-09-08 | Receptacle Connecto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679519B1 (en) |
CN (1) | CN220963815U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0119692A (en) | 2019-01-22 | 2020-08-06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Circuit board connector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21920B1 (en) * | 2017-06-23 | 2021-11-05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Receptacle connector and guide member apparatus for the same |
JP6894320B2 (en) * | 2017-08-21 | 2021-06-30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 |
KR102772011B1 (en) | 2019-05-22 | 2025-02-25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
JP7196028B2 (en) * | 2019-07-04 | 2022-12-26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connector assembly |
KR20220112665A (en) * | 2021-02-04 | 2022-08-11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Substrate Connector |
KR102516015B1 (en) * | 2021-02-04 | 2023-03-30 |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 Electric connector |
-
2022
- 2022-09-08 KR KR1020220114350A patent/KR102679519B1/en active Active
-
2023
- 2023-09-07 CN CN202322420581.1U patent/CN220963815U/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0119692A (en) | 2019-01-22 | 2020-08-06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Circuit board connector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220963815U (en) | 2024-05-14 |
KR20240035185A (en) | 2024-03-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103454B2 (en) | Electrical connector device for board connection | |
KR102638730B1 (en) | Connector | |
US12027802B2 (en) | Connector | |
JP6179564B2 (en) | Electrical connector for board connection | |
KR20230019919A (en) | receptacle connector | |
TWI442650B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20220052468A1 (en) | Receptacle connector | |
JP6256426B2 (en) | Electrical connector for board connection | |
US11837811B2 (en) | Plug connector, receptacle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or | |
KR20120003381A (en) | Communication assembly including plug connector and jack assembly arranged to mate | |
KR101212716B1 (en) | Coaxial connector | |
KR102321920B1 (en) | Receptacle connector and guide member apparatus for the same | |
CN211789645U (en) | Terminal configuration structure of socket connector | |
KR102679519B1 (en) | Receptacle Connector | |
US11462851B2 (en) | Machine case and cable connector assembly | |
KR102735062B1 (en) | Receptacle Connector | |
CN211789680U (en) | Socket connector | |
KR102739566B1 (en) | Receptacle Connector | |
KR102285974B1 (en) | Manufacturing method plug connector | |
KR102698918B1 (en) | Plug connector | |
KR102735061B1 (en) | Plug Connector | |
KR102700975B1 (en) | Plug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 |
JP5218786B2 (en) | Connector device | |
KR102294959B1 (en) | Receptacle connector and guide member apparatus for the same | |
KR20200109160A (en) | Receptacle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20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6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6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