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71472B1 - 게이트 드라이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게이트 드라이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71472B1
KR102771472B1 KR1020200189663A KR20200189663A KR102771472B1 KR 102771472 B1 KR102771472 B1 KR 102771472B1 KR 1020200189663 A KR1020200189663 A KR 1020200189663A KR 20200189663 A KR20200189663 A KR 20200189663A KR 102771472 B1 KR102771472 B1 KR 102771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voltage
gate
discharge
charg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6845A (ko
Inventor
정문석
김선경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9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71472B1/ko
Publication of KR20220096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71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7147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66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3Compensation electrodes or other additional electrodes in matrix displays related to distortions or compensation signals, e.g. for modifying TFT threshold voltage in column dr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TFT의 누설 전류를 저감하여 소비 전력을 저감하고 출력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게이트 드라이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 측면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에서 각 스테이지는 QB 노드 충전부를 통한 QB 노드의 충전 타이밍과, QB 노드 방전부를 통한 QB 노드의 방전 타이밍을 시간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게이트 드라이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having Gate Drivier}
본 명세서는 TFT의 누설 전류을 저감하여 소비 전력을 저감하고 출력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게이트 드라이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픽셀 매트릭스를 통해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과,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를 포함한다. 픽셀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픽셀들 각각은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구동 회로 중 게이트 드라이버는 각 픽셀의 TFT와 접속된 게이트 라인을 구동하고, 데이터 드라이버는 그 TFT와 접속된 데이터 라인을 구동한다.
게이트 드라이버는 게이트 라인들을 각각 구동하는 스테이지들을 포함하고, 각 스테이지는 복수의 TFT로 구성된다. 게이트 드라이버로는 픽셀 매트릭스의 TFT 어레이와 함께 패널에 형성된 게이트-인-패널(Gate-In-Panel; GIP) 방식이 알려져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에 적용되는 N타입의 산화물 TFT가 네거티브 임계 전압(Vth)을 갖는 경우, 턴-오프를 위해 게이트에 인가되는 로우 전압이 소스 전압보다 낮지 않아 누설 전류가 커지게 된다.
게이트 드라이버를 구성하는 TFT들에서 누설 전류가 크면 게이트 드라이버의 출력 파형이 왜곡되어 신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소비 전력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누설 전류를 최소화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위에서 설명한 배경기술의 내용은 본 명세서의 발명자가 본 명세서의 예를 도출하기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명세서의 예를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명세서의 출원 이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는 TFT의 누설 전류를 저감하여 소비 전력을 저감하고 출력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게이트 드라이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위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 내용으로부터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에서 각 스테이지는 Q 노드의 제어에 의해 풀업되어 복수의 클럭 중 클럭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클럭 신호를 출력 단자로 출력하는 풀-업 트랜지스터와, QB 노드의 제어에 의해 제1 게이트 오프 전압을 출력 단자로 출력하는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출력부; Q 노드를 충전하는 Q 노드 충전부; Q 노드를 방전하는 Q 노드 방전부; QB 노드를 충전하는 QB 노드 충전부; QB 노드를 방전하는 QB 노드 방전부를 포함하고, QB 노드 충전부를 통한 QB 노드의 충전 타이밍과, QB 노드 방전부를 통한 QB 노드의 방전 타이밍을 시간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QB 노드 충전부는 스타트 신호에 응답하여 고전위 전압을 QB 노드에 제공하는 제1 QB 충전 트랜지스터; 및 선행 스테이지의 출력에 응답하여 고전위 전압을 QB 노드에 제공하는 제2 QB 충전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QB 노드 충전부는 클럭 신호를 QB 노드에 제공하는 커패시터를 추가로 포함하고, 커패시터는 QB 노드의 플로팅 기간 동안 클럭 신호를 제공하여 QB 노드의 하이 플로팅 전압을 주기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QB 노드 충전부는 선행 스테이지의 Q 노드의 전압을 QB 노드에 제공하는 커패시터를 추가로 포함하고, 커패시터는 선행 스테이지의 Q 노드가 프리차징 전압으로 상승할 때 QB 노드의 하이 플로팅 전압을 상승시키고, 선행 스테이지의 Q 노드가 부트스트래핑 전압에서 하강할 때 QB 노드의 로우 플로팅 전압을 하강시킬 수 있다.
QB 노드 충전부는 각 프레임의 액티브 기간 동안, 제1 QB 충전 트랜지스터에 의한 QB 노드의 제1 충전 타이밍과, 제1 QB 충전 트랜지스터에 통한 QB 노드의 제2 충전 타이밍을 제공하고, QB 노드의 방전 타이밍의 이전에 QB 노드의 제1 충전 타이밍을 제공하고, QB 노드의 방전 타이밍의 바로 다음에 QB 노드의 제2 충전 타이밍을 제공할 수 있다.
QB 노드의 제1 충전 타이밍과 QB 노드의 방전 타이밍 사이의 제1 기간과, QB 노드의 제2 충전 타이밍과 각 프레임의 액티브 기간 종료 타이밍 사이의 제2 기간은, QB 노드가 하이 플로팅 전압을 유지하는 플로팅 기간일 수 있다.
QB 노드의 제1 충전 타이밍은 복수의 스테이지에서 동일한 타이밍에 제공하고, QB 노드의 제2 충전 타이밍은 각 스테이지에서 Q 노드의 온 기간 바로 다음의 Q 노드의 오프 기간에 제공할 수 있다.
QB 노드 방전부는 Q 노드에 의해 제어되어 QB 노드에 제2 게이트 오프 전압을 제공하는 QB 방전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QB 노드 방전부는 Q 노드에 의해 제어되고 QB 노드와 제2 게이트 오프 전압 사이에 직렬 접속되어 QB 노드의 방전 패스를 제공하는 제1 및 제2 QB 방전 트랜지스터; 및 QB 노드에 의해 제어되어 제1 및 제2 QB 방전 트랜지스터의 중간 노드에 고전위 전압을 옵셋 전압으로 제공하는 옵셋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QB 노드 방전부는 선행 스테이지의 출력 및 스타트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세트 신호가 인가되는 세트 단자에 의해 제어되어 QB 노드에 제2 게이트 오프 전압을 제공하는 QB 방전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Q 노드 충전부는 선행 스테이지의 출력 및 스타트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세트 신호가 인가되는 세트 단자에 의해 제어되어 세트 신호를 Q 노드에 제공하는 Q 충전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Q 충전 트랜지스터는 세트 단자와 접속된 게이트 전극을 공유하고 세트 단자와 Q 노드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제1 및 제2 Q 충전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Q 노드 방전부는 QB 노드에 의해 제어되고 Q 노드에 제2 게이트 오프 전압을 제공하는 제1 Q 방전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제1 Q 방전 트랜지스터는 QB 노드와 접속된 게이트 전극을 공유하고 Q 노드와 제2 게이트 오프 전압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제1-1 및 제1-2 Q 방전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Q 노드 방전부는 리셋 신호 또는 후행 스테이지의 출력 중 어느 하나가 인가되는 리셋 단자에 의해 제어되고 Q 노드에 제2 게이트 오프 전압을 제공하는 제2 Q 방전 트랜지스터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2 Q 방전 트랜지스터는 QB 노드와 접속된 게이트 전극을 공유하고 Q 노드와 제2 게이트 오프 전압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제2-1 및 제2-2 Q 방전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스테이지는 Q 노드 방전부는 리셋 신호 또는 후행 스테이지의 출력 중 어느 하나가 인가되는 리셋 단자에 의해 제어되고 출력 단자에 제2 게이트 오프 전압을 제공하는 출력 방전 트랜지스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각 스테이지가 N(N은 4보다 큰 정수)번째 스테이지일 때, 상기 선행 스테이지의 출력은 N-4번째 선행 스테이지의 출력을 이용하고, 상기 선행 스테이지의 Q 노드의 부트스트래핑 기간이 상기 N번째 스테이지의 Q 노드의 프리차징 기간과 오버랩할 수 있고, 후행 스테이지의 출력은 N+4번째 선행 스테이지의 출력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술한 일 측면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과제의 해결 수단 이외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구체적인 사항들은 아래의 기재 내용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 및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 스테이지에서 QB 노드의 충전 타이밍과 방전 타이밍을 오버랩없이 시간적으로 분리시킴으로써 QB 노드의 로우 전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Q 노드의 누설 전류를 방지할 수 있고, 이 결과 게이트 출력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 및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 스테이지에서 QB 노드의 충전 패스와 방전 패스의 쇼트 구간 제거에 의해, QB 노드 방전부의 트랜지스터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 결과 게이트 드라이버의 회로 구성 및 크기를 저감하여 네로부 베젤(Narrow Bezel)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 및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 스테이지에서 QB 노드의 플로팅 기간 동안 QB 노드의 누설 전류를 차단하여 Q 방전 트랜지스터의 방전 패스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킴으로써 게이트 출력의 멀티 출력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 및 디스플레이 장치는 코플라나(Coplanar) 타입의 산화물 TFT를 이용하고 네거티브 임계 전압을 갖는 경우에도 누설 전류를 방지하여 출력 파형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고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의 내용은 청구범위의 필수적인 특징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청구범위의 권리 범위는 발명의 내용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 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의 일부 스테이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의 코플라나 산화물 TFT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의 각 스테이지의 구성을 나타낸 등가회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테이지의 구동 파형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의 각 스테이지의 구성을 나타낸 등가회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스테이지의 구동 파형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의 각 스테이지의 구성을 나타낸 등가회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의 각 스테이지에서 QB 방전 트랜지스터의 누설 전류 차단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관련 기술과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의 각 스테이지의 Q 노드 및 QB 노드의 전압과 게이트 출력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11은 관련 기술과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의 소비 전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명세서가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오차 범위에 대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예를 들면,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는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는 연관된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제1, 제2, 및 제3 구성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구성요소뿐만 아니라, 제1, 제2, 및 제3 구성요소의 두 개 이상의 모든 구성요소의 조합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통해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스케일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제와 다른 스케일을 가지므로, 도면에 도시된 스케일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의 일부 스테이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Electroluminescent Display), 마이크로(Micro)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디스플레이 장치, 퀀텀닷 발광 다이오드(Quantum-dot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무기 발광 다이오드(In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널(100), GIP 타입의 게이트 드라이버(200), 데이터 드라이버(300), 타이밍 컨트롤러(400), 레벨 쉬프터(600), 감마 전압 생성부(700), 전원 관리 회로(5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관리 회로(500)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입력 전압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든 구성, 즉 패널(100), 게이트 드라이버(200), 데이터 드라이버(300), 타이밍 컨트롤러(400), 레벨 쉬프터(600), 감마 전압 생성부(700) 등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구동 전압들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400)는 외부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영상 데이터 및 동기 신호들을 공급받을 수 있다. 호스트 시스템은 컴퓨터, TV 시스템, 셋탑 박스, 태블릿이나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의 시스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동기 신호들은 도트 클럭,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수직 동기 신호, 수평 동기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400)는 영상 데이터를 소비 전력 감소를 위한 휘도 보정이나, 화질 보정 등과 같은 다양한 영상 처리를 수행하고, 영상 처리된 데이터를 데이터 드라이버(300)로 공급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400)는 동기 신호들과 내부에 저장된 타이밍 설정 정보(스타트 타이밍, 펄스폭 등)를 이용하여, 복수의 데이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데이터 드라이버(300)로 공급하고, 복수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레벨 쉬프터(600)로 공급할 수 있다.
감마 전압 생성부(700)는 전압 레벨이 서로 다른 복수의 기준 감마 전압들을 포함하는 기준 감마 전압 세트를 생성하여 데이터 드라이버(300)로 공급할 수 있다. 감마 전압 생성부(700)는 타이밍 컨트롤러(40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감마 특성에 대응하는 복수의 기준 감마 전압들을 생성하여 데이터 드라이버(300)로 공급할 수 있다. 감마 전압 생성부(700)는 프로그래머블 감마(Programmable Gamma) IC로 구성될 수 있고, 타이밍 컨트롤러(400)로부터 감마 데이터를 공급받고 감마 데이터에 따라 기준 감마 전압 레벨을 생성하거나 조정하여 데이터 드라이버(300)로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 드라이버(300)는 타이밍 컨트롤러(400)로부터 공급받은 데이터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되고, 타이밍 컨트롤러(400)로부터 공급받은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며 패널(100)의 데이터 라인들 각각에 해당 데이터 신호를 공급한다. 데이터 드라이버(300)는 감마 전압 생성부(700)로부터 공급된 복수의 기준 감마 전압들이 세분화된 계조 전압들을 이용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레벨 쉬프터(600)는 타이밍 컨트롤러(400)로부터 공급받은 복수의 제어 신호를 기초로 복수의 게이트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게이트 드라이버(200)로 공급할 수 있다. 레벨 쉬프터(600)는 타이밍 컨트롤러(400)로부터 공급받은 스타트 신호, 리셋 신호 등을 각각 레벨 쉬프팅하여 게이트 드라이버(200)로 공급할 수 있다. 레벨 쉬프터(600)는 타이밍 컨트롤러(400)로부터 공급받은 온 클럭 및 오프 클럭을 로직 처리함으로써 위상이 다른 복수의 게이트 클럭들을 생성하여 게이트 드라이버(200)로 공급할 수 있다. 온 클럭은 게이트 클럭들 각각의 라이징 타이밍을 결정하고, 오프 클럭은 게이트 클럭들 각각의 폴링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패널(100)은 서브픽셀들(SP)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디스플레이 영역(AA)을 통해 영상을 표시한다. 각 서브픽셀(SP)은 적색광을 방출하는 적색(R) 서브픽셀, 녹색광을 방출하는 녹색(G) 서브픽셀, 청색광을 방출하는 청색(B) 서브픽셀, 백색광을 방출하는 백색(W) 서브픽셀 중 어느 하나이고, 적어도 1개의 TFT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단위 픽셀은 색이 다른 2개, 3개, 4개 서브픽셀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패널(100)은 디스플레이 영역(AA)과 전체적으로 오버랩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센싱하는 터치 센서 스크린을 더 포함할 수 있고, 터치 센서 스크린은 패널(100)에 내장되거나 패널(100)의 디스플레이 영역(A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패널(100)의 디스플레이 영역(AA)에 배치되는 TFT 어레이와 동일 공정에서 형성된 TFT들로 구성되며, 패널(100)의 양측부 또는 일측부의 베젤 영역에 GIP(Gate In Panel) 타입으로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레벨 쉬프터(600)로부터 복수의 게이트 제어 신호를 공급받아 쉬프트 동작을 하여 패널(100)의 게이트 라인들(GL)을 개별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을 각각 구동하기 위하여 서로 종속적으로 접속되면서 개별적인 게이트 출력을 발생하는 복수의 스테이지를 구비하는 쉬프트 레지스터로 구성된다.
도 2에서는 편의상 게이트 드라이버(200)를 구성하는 복수의 스테이지 중 3개의 게이트 출력(GOUT(N-1), GOUT(N), GOUT(N+1))(N은 양의 정수)을 각각 발생하는 3개의 스테이지(ST(N-1), ST(N), ST(N+1))만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각 스테이지(ST(N))는 위상이 서로 다른 복수의 클럭 신호들(CLKs)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클럭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각 스테이지(ST(N))는 스타트 신호 및 선행 스테이지의 출력 중 어느 하나(세트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 클럭 펄스를 게이트 출력(GOUT(N))의 스캔 펄스로 출력할 수 있다. 각 스테이지(ST(N))는 리셋 신호 및 후행 스테이지의 출력 중 어느 하나(리셋 신호)에 응답하여 게이트 출력(GOUT(N))의 게이트 오프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각 스테이지(ST(N))의 게이트 출력(GOUT(N))은 캐리 신호로 이용되어 다른 스테이지에 세트 신호 또는 리셋 신호로 공급될 수 있다. 선행 스테이지는 해당 스테이지의 이전(상부)에 위치하거나 해당 스테이지 이전에 스캔 펄스를 출력하는 스테이지들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하고, 후행 스테이지는 해당 스테이지의 이후(하부)에 위치하거나 해당 스테이지 이후에 스캔 펄스를 출력하는 스테이지들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패널(100)의 디스플레이 영역(AA)과, 게이트 드라이버(200)를 포함한 베젤 영역에 배치되는 TFT에는 비정질 실리콘 반도체층을 이용하는 비정질 TFT, 폴리 실리콘 반도체층을 이용하는 폴리 TFT,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을 이용하는 산화물 TFT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널(100)에는 비정질 실리콘 TFT 보다 이동도가 높고, 폴리 실리콘 TFT 보다 저온 공정이 가능하고 대면적에 적용이 용이한 산화물 TFT가 적용될 수 있고, TFT 특성이 좋은 코플라나(Coplanar) 타입의 산화물 TFT가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의 코플라나 타입의 산화물 TFT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코플라나 타입의 산화물 TFT는 기판(SUB) 상의 차광층(LS), 차광층(LS)을 덮는 버퍼막(BF), 버퍼막(BF) 상의 반도체층(ACT)과, 반도체층(ACT) 상에 적층된 게이트 절연막(GI) 및 게이트 전극(GE)과, 반도체층(ACT)과 게이트 절연막(GI) 및 게이트 전극(GE)을 덮는 층간 절연막(ILD), 층간 절연막(ILD)의 컨택홀을 통해 반도체층(ACT)의 제1 및 제2 도체화 영역(CA1, CA2)과 각각 접속된 제1 및 제2 소스/드레인 전극(SD1, SD2)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소스/드레인 전극(SD1, SD2) 중 어느 하나는 소스 전극이고 다른 하나는 드레인 전극이다.
반도체층(ACT)은 게이트 절연막(GI)을 사이에 두고 게이트 전극(GE)과 오버랩하는 채널 영역(CH)과, 채널 영역(CH)의 양측에 배치되고 제1 및 제2 소스/드레인 전극(SD1, SD2)과 각각 오믹(ohmic) 컨택하도록 도체화된 제1 및 제2 도체화 영역(CA1, CA2)을 구비한다. 반도체층(ACT)은 산화물 반도체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반도체층(ACT)은 IZO(InZnO)계, IGO(InGaO)계, ITO(InSnO)계, IGZO(InGaZnO)계, IGZTO(InGaZnSnO)계, GZTO(GaZnSnO)계, GZO(GaZnO)계 및 ITZO(InSnZnO)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차광층(LS)은 불투명한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외부광 또는 내부광을 흡수함으로써 산화물 반도체층(ACT)에 빛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차광층(LS)은 전기적으로 플로팅되거나, 제1 및 제2 소스/드레인 전극(SD1, SD2) 중 어느 하나와 접속될 수 있다.
한편, 차광층(LS)은 바텀 게이트 전극으로 이용되고 게이트 전극(GE)은 탑 게이트 전극으로 이용되어, 도 3에 도시된 코플라나 산화물 TFT는 더블 게이트(Double Gate) TFT로 동작할 수 있다.
코플라나 산화물 TFT는 백 채널 에치드(Back Channel Etched) 타입의 산화물 TFT 대비 게이트 절연막(GI)의 두께가 얇아 온 전류(Ion)가 크고, 게이트 전압 대 전류 특성의 기울기(Slope)가 급하여 그 기울기의 역수인 S-factor가 작으며, 기생 커패시턴스가 작은 특성을 갖으므로, 게이트 드라이버(200)에 적용시 고속 구동이 가능하고 TFT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factor는 TFT의 전류-전압 특성으로, 임계 전압 이하의 게이트 전압이 인가될 때 드레인 전류를 10배 증가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게이트 전압의 크기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N타입의 코플라나 산화물 TFT를 이용할 수 있고, 각 TFT를 턴-오프시킬 때 게이트 전극(GE)에 인가되는 오프 전압은 소스 전극(SD1)에 인가되는 전압과 동일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때, TFT가 네거티브 임계 전압(Vth<0)을 갖는 경우 게이트-소스간 전압(Vgs)과 임계 전압(Vth)의 차이가 0V보다 커짐(Vgs-Vth>0V)으로써 누설 전류가 증가하여 소비 전력이 증가하고 게이트 출력 파형이 왜곡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각 스테이지에서 풀-업 TFT를 제어하는 Q 노드와 상반된 상태로 동작하는 QB 노드의 누설 전류를 방지하는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QB 노드의 안정된 오프 전압에 의해 Q 노드의 누설 전류도 방지하여 게이트 출력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에서 각 스테이지의 구성을 나타낸 등가회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테이지의 구동 파형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각 스테이지는 Q 노드 충전부(T1_a, T1_b), Q 노드 방전부(T3_a, T3_b, T3n_a, T3n_b), QB 노드 충전부(T4a, T4b), QB 노드 방전부(T5q), 출력부(T6, T7), 출력 방전부(T3no)를 구비할 수 있다. Q 노드 충전부(T1_a, T1_b), Q 노드 방전부(T3_a, T3_b, T3n_a, T3n_b), QB 노드 충전부(T4a, T4b), QB 노드 방전부(T5q)는 모두 출력부(T6, T7)의 Q 노드와 QB 노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정의될 수 있다. Q 노드는 제1 제어 노드, QB 노드는 제2 제어 노드로 정의될 수 있다.
각 스테이지를 구성하는 TFT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층(LS)을 포함하는 코플라나 타입의 산화물 TFT일 수 있다.
각 스테이지(STn)는 스타트 신호(VST) 및 선행 스테이지의 출력(CRY(N-4)) 중 어느 하나가 세트 신호로 인가되는 세트 단자(2), 고전위 전압(VDD)이 인가되는 제1 전원 단자(4), 제1 게이트 오프 전압(VGL)이 인가되는 제2 전원 단자(6), 제2 게이트 오프 전압(VSS)이 인가되는 제3 전원 단자(8), 클럭 신호(GCLK(N))가 인가되는 클럭 단자(12), 게이트 출력(GOUT(N))이 인가되는 출력 단자(14), 리셋 신호 및 후행 스테이지의 출력(CRY(N+4)) 중 어느 하나가 리셋 신호로 인가되는 리셋 단자(16), 스타트 신호(VST)가 인가되는 제어 단자(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게이트 오프 전압(VGL)은 제1 게이트 로우 전압으로 정의되고, 제2 게이트 오프 전압(VSS)은 제2 게이트 로우 전압으로 정의될 수 있다. 각 스테이지의 게이트 출력(GOUT(N))은 다른 스테이지에 캐리 신호로 인가될 수 있다.
각 스테이지의 클럭 단자(12)에 인가되는 클럭 신호(GCLK(N))는 위상이 서로 다른 복수의 클럭 신호, 예를 들면 8상 클럭 신호 중 어느 하나이고, 클럭 신호(GCLK(N))는 4H(또는 3H) 기간의 하이 전압(게이트 온 전압)과 4H(또는 5H) 기간의 로우 전압(게이트 오프 전압)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는 펄스 파형일 수 있다.
각 스테이지의 제1 전원 단자(4)에 인가되는 고전위 전압(VDD)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프레임의 액티브 기간(Factive) 동안에만 인가되고, 각 프레임의 블랭크 기간에는 로우 전압으로 인가될 수 있다.
출력부(T6, T7)는 Q 노드의 제어에 의해 풀업(pull-up)되어 클럭 단자(12)에 인가되는 클럭 신호(GCLK(N))를 출력 단자(14)를 통해 게이트 출력(GOUT(N))으로 출력하는 풀업 트랜지스터(T6), Q 노드와 상반된 QB 노드의 제어에 의해 풀다운(pull-down)되어 제1 전원 단자(6)로부터의 제1 게이트 오프 전압(VGL)을 출력 단자(14)를 통해 게이트 출력(GOUT(N))으로 출력하는 풀다운 트랜지스터(T7)를 포함한다.
풀업 트랜지스터(T6)는 Q 노드에 게이트 전극이 접속되고, 출력 단자(14)에 소스 전극이, 클럭 단자(12)에 드레인 전극이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풀업 트랜지스터(T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Q 노드의 온 기간(t3) 동안 턴-온되어 클럭 단자(12)로부터의 클럭 신호(GCLK(N))를 출력 단자(14)를 통해 게이트 출력(GOUT(N))의 스캔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Q 노드의 온 기간(t3) 동안 풀업 트랜지스터(T6)는 클럭 신호(GCLK(N))의 게이트 온 전압 및 게이트 오프 전압을 갖는 게이트 출력(GOUT(N))을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T6, T7)는 풀업 트랜지스터(T6)의 게이트 전극(Q 노드)과 소스 전극(출력 단자 14) 사이에 접속된 제1 커패시터(CB)를 더 포함한다. 제1 커패시터(CB)는 풀업 TFT(T6)가 풀업되어 클럭 신호(GCLK(N))의 게이트 온 전압을 출력할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Q 노드의 하이 전압을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하여 증폭시킴으로써 게이트 출력(GOUT(N))의 라이징 타임을 감소시킬 수 있다.
풀다운 트랜지스터(T7)는 QB 노드에 게이트 전극이 접속되고, 제2 전원 단자(6)에 소스 전극이, 출력 단자(14)에 드레인 전극이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풀다운 트랜지스터(T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Q 노드의 오프 기간(t1, t2, t4, t5)에 대응하는 QB 노드의 온 기간 동안 턴-온되어, 제2 전원 단자(6)로부터의 제1 게이트 오프 전압(VGL)을 출력 단자(14)를 통해 게이트 출력(GOUT(N))의 게이트 오프 전압으로 출력할 수 있다.
Q 노드 충전부(T1_a, T1_b)는 세트 단자(2)를 통해 스타트 신호(VST) 또는 선행 스테이지의 출력(CRY(N-4))을 세트 신호로 공급받아, Q 노드를 그 세트 신호로 충전할 수 있다. 선행 스테이지의 출력(CRY(N-4))은 N-4번째 선행 스테이지로부터 출력된 게이트 출력(GOUT(N-4))일 수 있다.
Q 노드 충전부(T1_a, T1_b)는 세트 단자(2)에 게이트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이 접속되고 Q 노드에 소스 전극이 접속된 다이오드 타입의 Q 충전 트랜지스터(T1_a, T1_b)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Q 충전 트랜지스터(T1_a, T1_b)는 세트 단자(2)에 접속된 게이트 전극을 공유하고 세트 단자(2)와 Q 노드 사이에 직렬 접속되어 Q 노드의 충전 패스를 제공할 수 있다. Q 충전 트랜지스터(T1_a, T1_b)는 N-4번째 선행 스테이지의 출력(CRY(N-4))이 하이 전압일 때 턴-온되어 Q 노드를 하이 전압으로 프리차징할 수 있다.
Q 노드 방전부(T3_a, T3_b, T3n_a, T3n_b)는 QB 노드의 제어에 응답하고 리셋 단자(16)의 제어에 응답하여 Q 노드를 제3 전원 단자(8)의 제2 게이트 오프 전압(VSS)으로 방전시킬 수 있다.
제1 Q 노드 방전부(T3_a, T3_b)는 QB 노드에 게이트 전극이 접속되고 제3 전원 단자(8)에 소스 전극이 접속되고 Q 노드에 드레인 전극이 접속된 제1 Q 방전 트랜지스터(T3_a, T3_b)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Q 방전 트랜지스터(T3_a, T3_b)는 QB 노드에 접속된 게이트 전극을 공유하고 Q 노드와 제3 전원 단자(8) 사이에 직렬 접속되어 Q 노드의 제1 방전 패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Q 방전 트랜지스터(T3_a, T3_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Q 노드의 오프 기간, 즉 QB 노드의 온 기간(t1, t2, t4, t5) 동안 턴-온되어 Q 노드를 제2 게이트 오프 전압(VSS)으로 방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Q 방전 트랜지스터(T3_a, T3_b)는 Q 노드의 오프 기간(t1, t2, t4, t5) 동안 클럭 신호(GCLK(N))의 트랜지션으로 인한 Q 노드의 리플 발생을 방지하여 게이트 출력(GOUT(N))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Q 노드 방전부(T3n_a, T3n_b)는 후행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CRY(N+4)) 또는 리셋 신호가 공급되는 리셋 단자(16)에 게이트 전극이 접속되고 제3 전원 단자(8) 소스 전극이 접속되고 Q 노드에 드레인 전극이 접속된 제2 Q 방전 트랜지스터(T3n_a, T3n_b)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Q 방전 트랜지스터(T3n_a, T3n_b)는 리셋 단자(16)에 접속된 게이트 전극을 공유하고 Q 노드와 제3 전원 단자(8) 사이에 직렬 접속되어 Q 노드의 제2 방전 패스를 제공할 수 있다. 후행 스테이지의 출력(CRY(N+4))은 N+4번째 후행 스테이지로부터 출력된 게이트 출력(GOUT(N)+4)일 수 있다. 제2 Q 방전 트랜지스터(T3n_a, T3n_b)는 후행 스테이지의 출력(CRY(N+4))이 하이 전압일 때 턴-온되어 Q 노드를 제2 게이트 오프 전압(VSS)으로 방전시킬 수 있다.
출력 방전부(T3no)는 리셋 단자(16)에 게이트 전극이 접속되고 출력 단자(14)에 드레인 전극이 접속되며 제2 전원 단자(6)에 소스 전극이 접속된 출력 방전 트랜지스터(T3no)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방전 트랜지스터(T3no)는 후행 스테이지의 캐리 신호(CRY(N+4)) 또는 리셋 신호가 하이 전압일 때(t4) 턴-온되어 출력 단자(14)를 제1 게이트 오프 전압(VGL)으로 방전시킬 수 있다.
QB 노드 충전부(T4a, T4b)는 제어 단자(10)의 제어에 응답하고 리셋 단자(16)에 응답하여 QB 노드를 제1 전원 단자(4)의 고전위 전압(VDD)으로 충전할 수 있다.
QB 노드 충전부는 스타트 신호(VST)가 인가되는 제어 단자(10)에 게이트 전극이 접속되고 제1 전원 단자(4)에 드레인 전극이 접속되며 QB 노드에 소스 전극이 접속된 제1 QB 충전 트랜지스터(T4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QB 충전 트랜지스터(T4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트 신호(VST)가 하이 전압인 기간(t1) 동안 턴-온되어 QB 노드를 고전위 전압(VDD)으로 충전할 수 있다.
QB 노드 충전부는 리셋 단자(16)에 게이트 전극이 접속되고 제1 전원 단자(4)에 드레인 전극이 접속되며 QB 노드에 소스 전극이 접속된 제2 QB 충전 트랜지스터(T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QB 충전 트랜지스터(T4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행 스테이지의 캐리 신호(CRY(N+4))가 또는 리셋 신호가 하이 전압인 기간(t4) 동안 턴-온되어 QB 노드를 고전위 전압(VDD)으로 충전할 수 있다.
QB 노드 충전부(T4a, T4b)는 클럭 단자(12)와 QB 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2 커패시터(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패시터(C)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QB 노드가 하이 전압으로 충전(t1, t4)된 후 플로팅되는 기간(t2, t5) 동안 클럭 신호(GCLK(N))가 하이 전압일 때마다 QB 노드의 하이 전압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QB 노드는 플로팅 기간(t2, t5) 동안 안정적인 하이 전압을 유지하여 Q 방전 트랜지스터(T3_a, T3_b)의 방전 패스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킴으로써 게이트 출력(GOUT(N))의 멀티 출력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QB 노드 충전부(T4a, T4b)의 제1 충전 타이밍(t1)은 복수의 스테이지에 동일한 타이밍에 제공되고, 제2 충전 타이밍(t4)은 각 스테이지에서 Q 노드의 온 기간(t3) 다음이 Q 노드의 오프 기간에 제공될 수 있다.
QB 노드 방전부(T5q)는 Q 노드의 제어에 응답하여 QB 노드를 제3 전원 단자(8)의 제2 게이트 오프 전압(VSS)으로 방전시킬 수 있다.
QB 노드 방전부(T5q)는 Q 노드에 게이트 전극이 접속되고 제3 전원 단자(8)에 소스 전극이 접속되고 QB 노드에 드레인 전극이 접속된 QB 방전 트랜지스터(T5q)를 포함할 수 있다. QB 방전 트랜지스터(T5q)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Q 노드의 온 기간(t3) 동안 턴-온되어 QB 노드를 제2 게이트 오프 전압(VSS)으로 방전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QB 노드는 각 프레임의 액티브 기간(Factive) 동안, 스타트 신호(VST)가 하이 전압인 기간(t1)과, 후행 스테이지의 캐리 신호(CRY(N+4))가 하이 전압인 기간(t4) 동안 QB 노드 충전부(T4a, T4b)를 통해 고전위 전압(VDD)을 충전할 수 있다. QB 노드는 플로팅 기간(t2, t5) 동안 충전된 하이 전압을 유지하고 제2 커패시터(C)에 클럭 신호(GCLK(N))의 하이 전압이 인가될 때마다 더 높은 하이 전압으로 상승하여 하이 전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QB 노드는 Q 노드가 하이 전압인 기간(t3) 동안 QB 노드 방전부(T5q)를 통해 제2 게이트 오프 전압(VSS)으로 방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는 각 스테이에서 QB 노드 충전부(T4a, T4b)에 의한 QB 노드의 충전 타이밍(t1, t4)과 QB 노드 방전부(T5q)에 의한 방전 타이밍(t3)을 오버랩없이 시간적으로 분리시킴으로써 QB 노드의 충전 패스와 방전 패스가 쇼트되는 구간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Q 노드의 온 기간(t3) 동안 QB 노드가 로우 전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Q 노드의 누설 전류를 방지함으로써 게이트 출력(GOUT(N))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QB 노드의 충전 패스와 방전 패스의 쇼트 구간 제거에 의해, QB 노드 방전부(T5q)의 트랜지스터 개수를, QB 노드에 각 프레임의 액티브 기간 동안 VDD 전압이 계속 인가되는 관련 기술의 게이트 드라이버보다 2개에서 1개로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게이트 드라이버의 회로 구성 및 크기를 저감하여 네로부 베젤(Narrow Bezel)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는 QB 노드의 플로팅 기간 동안(t2, t5) 제2 커패시터(C)에 클럭 신호(GCLK(N))의 하이 전압이 인가될 때마다 QB 노드의 하이 전압이 상승하여 QB 노드가 안정적인 하이 전압을 유지함으로써 Q 방전 트랜지스터(T3_a, T3_b)의 방전 패스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킴으로써 게이트 출력(GOUT(N))의 멀티 출력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에서 각 스테이지의 구성을 나타낸 등가회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스테이지의 구동 파형도이다.
도 6에 도시된 게이트 드라이버의 스테이지는, 도 4에 도시된 게이트 드라이버의 스테이지와 대비하여, QB 노드 방전부(T5c)가 세트 단자(2)에 의해 제어되는 QB 노드 방전 트랜지스터(T5c)를 포함하고, 제2 커패시터(C)가 선행 스테이지의 Q(N-4) 노드(18)에 연결된 구성을 제외하고, 나머지 회로 구성은 동일하므로, 도 4와 동일한 구성들에 대한 설명과 그 동일한 구성들에 대한 효과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QB 노드 방전부(T5c)는 선행 스테이지의 출력(CRY(N-4)) 또는 스타트 신호(VST)가 인가되는 세트 단자(2)에 게이트 전극이 접속되고 제3 전원 단자(8)에 소스 전극이 접속되고 QB 노드에 드레인 전극이 접속된 QB 방전 트랜지스터(T5c)를 포함할 수 있다. QB 방전 트랜지스터(T5c)는 선행 스테이지의 출력(CRY(N-4)) 또는 스타트 신호(VST)가 하이 전압으로 인가되는 Q 노드의 온 기간(t3) 중 프리차징 기간 동안 턴-온되어 QB 노드를 제2 게이트 오프 전압(VSS)으로 방전시킬 수 있다.
제2 커패시터(C)는 일측 전극이 QB 노드에 연결되고 타측 전극이 N-4번째 선행 스테이지의 Q(N-4) 노드(18)에 연결된다. Q(N-4) 노드(18)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스테이지의 Q 노드의 온 기간(t3) 중 프리차징 기간과, 그 프리차징 기간 이전의 QB 노드의 하이 전압 플로팅 기간(t2)의 일부와 오버랩하는 Q(N-4) 노드(18)의 온 기간(t3(N-4)) 동안, Q(N-4) 노드(18)의 프라차징 전압과 부스스트래핑 전압을 제2 커패시터(C)에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커패시터(C)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QB 노드의 하이 전압 플로팅 기간(t2)의 일부 동안 선행 스테이지의 Q(N-4) 노드의 전압이 프리차징 전압으로 상승할 때 QB 노드의 하이 전압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커패시터(C)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QB 노드의 로우 전압 플로팅 기간(t3의 일부)인 Q 노드의 부트스트래핑 구간 동안 선행 스테이지의 Q(N-4) 노드의 전압이 부트스트래핑 전압에서 로우 전압으로 하강할 때 QB 노드의 로우 전압을 하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Q 노드의 부트스트래핑 구간 동안 QB 노드의 로우 전압의 하강 전압에 의해 Q 방전 트랜지스터(T3_a, T3_b)의 누설 전류를 방지하여 게이트 출력(GOUT(N))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에서 각 스테이지의 구성을 나타낸 등가회로도이고,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의 각 스테이지에서 QB 방전 트랜지스터의 누설 전류 차단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게이트 드라이버의 스테이지는, 도 4에 도시된 게이트 드라이버의 스테이지와 대비하여, QB 노드 방전부가 한 쌍의 QB 방전 트랜지스터(T5q_a, T5q_b)를 포함하고, 한 쌍의 QB 방전 트랜지스터(T5q_a, T5q_b)의 중간 노드에 고전위 전압(VDD)을 옵셋 전압(QBh)으로 인가하는 옵셋 트랜지스터(T3qb)를 더 구비하는 구성을 제외하고, 나머지 회로 구성은 동일하므로, 도 4와 동일한 구성들에 대한 설명과 그 동일한 구성들에 대한 효과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 쌍의 QB 방전 트랜지스터(T5q_a, T5q_b)는 Q 노드와 접속된 게이트 전극을 공유하고 QB 노드와 제3 전원 단자(8) 사이에 직렬 접속되어, Q 노드의 온 기간(t3) 동안 QB 노드를 제2 게이트 로우 전압(VSS)으로 방전시킬 수 있다.
옵셋 트랜지스터(T3qb)는 QB 노드가 하이 전압인 기간(t1, t2, t4, t5) 동안 턴-온되어 제1 전원 단자(4)로부터의 고전위 전압(VDD)을 QB 방전 트랜지스터(T5q_a, T5q_b)의 중간 노드에 하이 상태의 옵셋 전압으로 공급함으로써 QB 방전 트랜지스터(T5q_a, T5q_b)의 누설 전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Q 노드의 오프 구간(t1, t2, t4, t5) 동안, 한 쌍의 QB 방전 트랜지스터(T5q_a, T5q_b)의 게이트 전극에는 제2 게이트 오프 전압(VSS)이 인가되고, 한 쌍의 QB 방전 트랜지스터(T5q_a, T5q_b) 중 제2 QB 방전 트랜지스터(T5q_b)의 소스 전극에 제2 게이트 오프 전압(VSS)이 인가된다. 이때, 한 쌍의 QB 방전 트랜지스터(T5q_a, T5q_b) 중 제1 QB 방전 트랜지스터(T5q_a)의 소스 전극과, 제2 QB 방전 트랜지스터(T5q_b)의 드레인 전극이 접속된 중간 노드에는 고전위 전압(VDD)의 옵셋 전압(QBh)이 인가되어, 제1 QB 방전 트랜지스터(T5q_a)의 게이트-소스 전압(Vgs<<0)이 0V보다 작은 네거티브 전압이 됨으로써 QB 방전 트랜지스터(T5q_a, T5q_b)가 네거티브 임계 전압을 갖는 경우에도 QB 방전 트랜지스터(T5q_a, T5q_b)의 누설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QB 노드의 하이 전압 충전 기간(t1, t4) 및 하이 전압 플로팅 기간간(t2, t5) 동안, 옵셋 트랜지스터(T3qb)는 QB 방전 트랜지스터(T5q_a, T5q_b)의 누설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QB 노드의 하이 전압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서 Q 방전 트랜지스터(T3_a, T3_b)의 방전 패스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킴으로써 게이트 출력(GOUT(N))의 멀티 출력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0은 관련 기술과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의 각 스테이지의 Q 노드 및 QB 노드의 전압과 게이트 출력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관련 기술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의 스테이지에서는 TFT의 임계 전압(Vth)이 네거티브 전압인 경우, Q 노드의 부트스트래핑 기간에서 QB 노드가 로우 전압이 불안정하고 Q 노드의 누설 전류가 증가하여 Q 노드의 부트스트래핑 전압 파형이 왜곡될 수 있고, Q 노드의 오프 기간에서 Q 노드에서 리플이 발생하여 게이트 출력(GOUT)에서 멀티 출력이 발생됨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의 스테이지에서는 TFT의 임계 전압(Vth)이 네거티브 전압인 경우에도, Q 노드의 부트스트래핑 기간에서 QB 노드가 로우 전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함으로써 Q 노드의 누설 전류를 방지할 수 있고, Q 노드의 오프 기간에서 QB 노드의 전압이 주기적으로 상승함으로써 Q 노드의 리플을 방지하고 게이트 출력(GOUT)의 멀티 출력을 방지하여 게이트 출력(GOUT)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1은 관련 기술과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의 소비 전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TFT의 임계 전압(Vth)이 네거티브 전압인 경우, QB 노드의 DC 구조를 갖는 관련 기술의 게이트 드라이버에 의한 소비 전력보다, 일 실시예에 따른 QB 플로팅 구조를 갖는 게이트 드라이버의 소비 전력이 더욱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 및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 스테이지에서 QB 노드의 충전 타이밍과 방전 타이밍을 오버랩없이 시간적으로 분리시킴으로써 QB 노드의 로우 전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Q 노드의 누설 전류를 방지할 수 있고, 이 결과 게이트 출력(GOUT(N))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 및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 스테이지에서 QB 노드의 충전 패스와 방전 패스의 쇼트 구간 제거에 의해, QB 노드 방전부의 트랜지스터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 결과 게이트 드라이버의 회로 구성 및 크기를 저감하여 네로부 베젤(Narrow Bezel)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 및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 스테이지에서 QB 노드의 플로팅 기간 동안 제2 커패시터에 의해 QB 노드의 하이 전압을 상승시키거나 QB 노드의 로우 전압을 하강시킴으로써 Q 방전 트랜지스터(T3_a, T3_b)의 방전 패스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누설 전류를 방지할 수 있고, 이 결과 게이트 출력(GOUT(N))의 멀티 출력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 및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 스테이지에서 QB 노드의 하이 전압 충전 기간 및 플로팅 기간 동안 옵셋 트랜지스터에 의해 QB 노드의 누설 전류를 차단하여 Q 방전 트랜지스터의 방전 패스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킴으로써 게이트 출력(GOUT(N))의 멀티 출력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 및 디스플레이 장치는 코플라나(Coplanar) 타입의 산화물 TFT를 이용하고 네거티브 임계 전압을 갖는 경우에도 누설 전류를 방지하여 출력 파형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고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 영상 전화기,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와치 폰(watch phone),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폴더블 기기(foldable device), 롤러블 기기(rollable device), 벤더블 기기(bendable device), 플렉서블 기기(flexible device), 커브드 기기(curved device),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데스크탑 PC(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네비게이션, 차량용 네비게이션, 차량용 표시장치, 텔레비전, 월페이퍼(wall paper) 표시장치, 샤이니지(signage) 기기, 게임기기, 노트북, 모니터, 카메라, 캠코더, 및 가전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명세서의 적어도 하나의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본 명세서의 적어도 하나의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 범위 또는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명세서는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 세트 단자 4: 제1 전원 단자
6: 제2 전원 단자 10: 제어 단자
8: 제3 전원 단자 12: 클럭 단자
14: 출력 단자 16: 리셋 단자
18: Q(N-4) 단자

Claims (17)

  1. 복수의 게이트 라인을 각각 구동하는 복수의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게이트 드라이버에서,
    각 스테이지는
    제1 노드(이하 Q 노드)의 제어에 의해 풀업되어 복수의 클럭 중 클럭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클럭 신호를 출력 단자로 출력하는 풀-업 트랜지스터와, 제2 노드(이하 QB 노드)의 제어에 의해 제1 게이트 오프 전압을 상기 출력 단자로 출력하는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출력부;
    상기 Q 노드를 충전하는 Q 노드 충전부;
    상기 Q 노드를 방전하는 Q 노드 방전부;
    상기 QB 노드를 충전하는 QB 노드 충전부; 및
    상기 QB 노드를 방전하는 QB 노드 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QB 노드 충전부를 통한 상기 QB 노드의 충전 타이밍과, 상기 QB 노드 방전부를 통한 상기 QB 노드의 방전 타이밍이 분리되고,
    상기 QB 노드 충전부는
    각 프레임의 액티브 기간 중 상기 QB 노드의 방전 타이밍 이전의 제1 충전 타이밍에서, 스타트 신호에 응답하여 고전위 전압을 상기 QB 노드에 제공하는 제1 QB 충전 트랜지스터; 및
    상기 액티브 기간 중 상기 QB 노드의 방전 타이밍 다음의 제2 충전 타이밍에서, 후행 스테이지의 출력에 응답하여 상기 고전위 전압을 상기 QB 노드에 제공하는 제2 QB 충전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QB 노드 충전부는
    상기 클럭 신호를 상기 QB 노드에 제공하는 커패시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QB 노드의 플로팅 기간 동안 상기 클럭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QB 노드의 하이 플로팅 전압을 주기적으로 상승시키는 게이트 드라이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QB 노드 충전부는
    선행 스테이지의 Q 노드의 전압을 상기 QB 노드에 제공하는 커패시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선행 스테이지의 Q 노드가 프리차징 전압으로 상승할 때 상기 QB 노드의 하이 플로팅 전압을 상승시키고, 상기 선행 스테이지의 Q 노드가 부트스트래핑 전압에서 하강할 때 상기 QB 노드의 로우 플로팅 전압을 하강시키는 게이트 드라이버.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QB 노드의 제1 충전 타이밍과 상기 QB 노드의 방전 타이밍 사이의 제1 기간과, 상기 QB 노드의 제2 충전 타이밍과 상기 각 프레임의 액티브 기간 종료 타이밍 사이의 제2 기간은, 상기 QB 노드가 하이 플로팅 전압을 유지하는 플로팅 기간인 게이트 드라이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QB 노드의 제1 충전 타이밍은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에서 동일한 타이밍에 제공하고,
    상기 QB 노드의 제2 충전 타이밍은 상기 각 스테이지에서 상기 Q 노드의 온 기간 바로 다음의 상기 Q 노드의 오프 기간에 제공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QB 노드 방전부는
    상기 Q 노드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QB 노드에 제2 게이트 오프 전압을 제공하는 QB 방전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QB 노드 방전부는
    상기 Q 노드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QB 노드와 제2 게이트 오프 전압 사이에 직렬 접속되어 상기 QB 노드의 방전 패스를 제공하는 제1 및 제2 QB 방전 트랜지스터; 및
    상기 QB 노드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1 및 제2 QB 방전 트랜지스터의 중간 노드에 고전위 전압을 옵셋 전압으로 제공하는 옵셋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QB 노드 방전부는
    선행 스테이지의 출력 및 스타트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세트 신호가 인가되는 세트 단자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QB 노드에 제2 게이트 오프 전압을 제공하는 QB 방전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Q 노드 충전부는
    선행 스테이지의 출력 및 스타트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세트 신호가 인가되는 세트 단자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세트 신호를 상기 Q 노드에 제공하는 Q 충전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Q 충전 트랜지스터는 상기 세트 단자와 접속된 게이트 전극을 공유하고 상기 세트 단자와 상기 Q 노드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제1 및 제2 Q 충전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Q 노드 방전부는
    상기 QB 노드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Q 노드에 제2 게이트 오프 전압을 제공하는 제1 Q 방전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Q 방전 트랜지스터는 상기 QB 노드와 접속된 게이트 전극을 공유하고 상기 Q 노드와 상기 제2 게이트 오프 전압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제1-1 및 제1-2 Q 방전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Q 노드 방전부는
    리셋 신호 또는 상기 후행 스테이지의 출력 중 어느 하나가 인가되는 리셋 단자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Q 노드에 제2 게이트 오프 전압을 제공하는 제2 Q 방전 트랜지스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Q 방전 트랜지스터는 상기 QB 노드와 접속된 게이트 전극을 공유하고 상기 Q 노드와 상기 제2 게이트 오프 전압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제2-1 및 제2-2 Q 방전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스테이지는
    리셋 신호 또는 상기 후행 스테이지의 출력 중 어느 하나가 인가되는 리셋 단자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출력 단자에 제2 게이트 오프 전압을 제공하는 출력 방전 트랜지스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1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각 스테이지가 N(N은 4보다 큰 정수)번째 스테이지일 때,
    상기 선행 스테이지의 출력은 N-4번째 선행 스테이지의 출력을 이용하고,
    상기 선행 스테이지의 Q 노드의 부트스트래핑 기간이 상기 N번째 스테이지의 Q 노드의 프리차징 기간과 오버랩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각 스테이지가 N(N은 4보다 큰 정수)번째 스테이지일 때,
    상기 후행 스테이지의 출력은 N+4번째 후행 스테이지의 출력을 이용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17.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
    청구항 1, 3, 4, 6 내지 16 중 어느 한 청구항에 기재된 게이트 드라이버가 상기 패널에 내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00189663A 2020-12-31 2020-12-31 게이트 드라이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Active KR102771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663A KR102771472B1 (ko) 2020-12-31 2020-12-31 게이트 드라이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663A KR102771472B1 (ko) 2020-12-31 2020-12-31 게이트 드라이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845A KR20220096845A (ko) 2022-07-07
KR102771472B1 true KR102771472B1 (ko) 2025-02-20

Family

ID=82398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663A Active KR102771472B1 (ko) 2020-12-31 2020-12-31 게이트 드라이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71472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194B1 (ko) * 2012-04-13 2014-0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266207B1 (ko) * 2014-10-22 2021-06-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게이트 쉬프트 레지스터 및 이를 이용한 평판 표시 장치
KR102264274B1 (ko) * 2015-05-18 2021-06-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버터와 그를 이용한 쉬프트 레지스터 및 표시 장치
KR20180072269A (ko) * 2016-12-21 2018-06-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게이트 드라이버 및 그를 이용한 표시 장치
KR102578712B1 (ko) * 2016-12-22 2023-09-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제어 드라이버 및 그를 이용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845A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83396B1 (ko) 게이트 드라이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800190B1 (ko) 게이트 드라이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48667B1 (ko) 쉬프트 레지스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0338727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same
KR102306098B1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07731161B (zh) 显示装置
CN108010494B (zh) 栅极驱动器和使用该栅极驱动器的显示装置
KR102593458B1 (ko) 게이트 구동회로와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JP5059471B2 (ja) 表示装置
KR20170047633A (ko) 스캔 구동부,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US20160180774A1 (en) Pixel circuit and display apparatus
KR102680560B1 (ko) 게이트 구동 회로와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CN115762408B (zh) 具有发光控制驱动器的显示面板和显示装置
WO2021081703A1 (zh) 移位寄存器单元及其驱动方法、栅极驱动电路和显示装置
KR20220087685A (ko) 게이트 구동 회로 및 표시 장치
US11769454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emission control driver
KR102805652B1 (ko) 게이트 드라이버 및 그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75405B1 (ko) 쉬프트 레지스터
KR102771472B1 (ko) 게이트 드라이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807295B1 (ko) 게이트 드라이버,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750337B1 (ko) 발광 제어 드라이버,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34841A (ko) 발광 제어 드라이버,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106322A (ko) 게이트 드라이버 및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09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12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06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31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