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71178B1 - Drop prevention structure and rearview device for vehicl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rop prevention structure and rearview device for vehicl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71178B1 KR102771178B1 KR1020230042564A KR20230042564A KR102771178B1 KR 102771178 B1 KR102771178 B1 KR 102771178B1 KR 1020230042564 A KR1020230042564 A KR 1020230042564A KR 20230042564 A KR20230042564 A KR 20230042564A KR 102771178 B1 KR102771178 B1 KR 1027711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rear vision
- module
- opening
- vehicl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0000004438 eyesigh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comprising means for cleaning or deic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에게 차량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후방시인모듈; 상기 후방시인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후방시인모듈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고, 상기 후방시인모듈이 안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후방시인모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된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및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가 조합되어 제공된 드롭 방지 구조로서, 상기 드롭 방지 구조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제공되고, 상기 후방시인장치의 외부로부터 상기 후방시인모듈의 표면까지 제1 공기 흐름 경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후방시인장치의 외부로부터 상기 후방시인모듈의 표면까지 제2 공기 흐름 경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2 개구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후방시인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 rear vision device for a vehicle may be provided, comprising: a rear vision module configured to provide a driver with a view of the rear of a vehicle; a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rear vision module, the housing suppor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vision module and providing a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rear vision module is seated; and a second housing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vision module and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and a drop prevention structure provided by combin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the drop prevention structure including: a first opening provided as a spaced space betwee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and configured to provide a first air flow path from an exterior of the rear vision device to a surface of the rear vision module; and a second opening formed concavely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and configured to provide a second air flow path from an exterior of the rear vision device to a surface of the rear vision module.
Description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드롭 방지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후방시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 to a drop prevention structure and a rear vision device for an automobile including the same.
운전자에게 차량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기 위한 후방시인장치(예를 들어, 차량용 후방시인장치)들은, 차량의 양측 사이드에서 운전자의 측면 시야 범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석 쪽 후방시인장치는, 차량 운전석과 인접한 차량의 도어에 결합되고, 반대쪽 후방시인 장치는 반대측 도어에 결합될 수 있다. Rearview devices (e.g., rearview devices for vehicles) for providing a view of the rear of the vehicle to the driver can be positioned within the driver's side field of vision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For example, the rearview device on the driver's side can be attached to a door of the vehicle adjacent to the driver's seat, and the opposite rearview device can be attached to the opposite door.
비와 같은 날씨에 발생될 수 있는 후방 시인 장치에 끼인 성에나 드롭(drop)은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한다. 일반적으로, 후방 시인 장치에 끼인 성에나 드롭은 별도의 히팅 모듈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다만, 별도의 히팅 모듈을 구비하는 것은 후방 시인 장치의 제조 단가를 증가시킬 수 있다.Frost or drops that may be caught in the rear view device during rainy weather can obstruct the driver's view. Normally, frost or drops caught in the rear view device can be removed by a separate heating module. However, having a separate heating module can increas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rear view devic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에게 차량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후방시인모듈; 상기 후방시인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후방시인모듈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고, 상기 후방시인모듈이 안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후방시인모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된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및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가 조합되어 제공된 드롭 방지 구조로서, 상기 드롭 방지 구조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제공되고, 상기 후방시인장치의 외부로부터 상기 후방시인모듈의 표면까지 제1 공기 흐름 경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후방시인장치의 외부로부터 상기 후방시인모듈의 표면까지 제2 공기 흐름 경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2 개구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후방시인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 rear vision device for a vehicle may be provided, comprising: a rear vision module configured to provide a driver with a view of the rear of a vehicle; a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rear vision module, the housing suppor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vision module and providing a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rear vision module is seated; and a second housing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vision module and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and a drop prevention structure provided by combin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the drop prevention structure including: a first opening provided as a spaced space betwee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and configured to provide a first air flow path from an exterior of the rear vision device to a surface of the rear vision module; and a second opening formed concavely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and configured to provide a second air flow path from an exterior of the rear vision device to a surface of the rear vision module.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후방 시인 장치의 간단한 구조 변경을 통하여, 차량의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공력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후방 시인 장치에 존재하는 성에 및 드롭을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by simply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rear view device, the fog and drop existing in the rear view device can be easily removed by utilizing the aerodynamic force generated by the movement of the vehicle.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후방시인장치의 일 구현예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드롭 방지 구조가 제공된 후방시인장치를 제1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드롭 방지 구조가 제공된 후방시인장치를 제2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하우징이 탈거된 후방시인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A-A'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드롭 방지 구조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드롭 방지 구조를 통해 드롭이 제거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n example of an implementation of a rear vision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FIG. 2 is a drawing of a rear sight device provided with a drop prevention structur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viewed from a first angle.
FIG. 3 is a drawing of a rear sight device provided with a drop prevention structur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viewed from a second angle.
FIG. 4 is a drawing showing a rear vision device with the first housing remove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Figure 5 is a drawing showing the AA' cross section of Figure 1.
Figure 6 is an enlarged drawing of the drop prevention structure of Figure 5.
FIG. 7 is a drawing showing a drop being removed through a drop prevention structur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며, 또한, 구성요소(element) 또는 층이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layer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also, when an element or layer is referred to as "on" or "on" another element or layer, it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 other element or layer is directly above the other element or layer, but also the case where another layer or other element is interposed. In principl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present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the same elements that have the same function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that appear in the drawings of each embodiment ar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number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identifiers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영역". "부분"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 suffixes "area", "part" and "sub" used in the description below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only for the convenienc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in themselves.
이하에서부터,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시인장치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rear vis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general terms.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후방시인장치의 일 구현예이다. FIG. 1 is an example of an implementation of a rear vision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후방시인장치(10)는 차량(1)과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후방시인장치(10)는 운전자에게 차량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후방시인모듈(예: 후방시인소자(13)) 및 후방시인모듈(13)을 수용하는 하우징(1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방시인모듈(13)은 반사소재(reflective element), 예를 들어 미러(mirror)일 수 있다. 또는, 후방시인모듈(13)은, 차량(1) 주변 영역을 촬영하기 위한 이미징 장치(예를 들어, 카메라)와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rear vision device (10) may be combined with the vehicle (1). Here, the rear vision device (10) may include a rear vision module (e.g., rear vision element (13)) that provides a view of the rear of the vehicle to the driver and a housing (11) that accommodates the rear vision module (13). For example, the rear vision module (13) may be a reflective element, such as a mirror. Alternatively, the rear vision module (13) may be implemented as an imaging device (e.g., a camera) for photographing an area around the vehicle (1) and a display device for outputting the photographed imag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파트(12)는 후방시인장치(10)의 일부로 제공되고, 차량(1)의 적어도 일부(예: 도어)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베이스 파트(12)는 차량(1)의 도어에 제공된 별도의 수용 구조(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base part (12) may be provided as a part of the rear vision device (10) and may be coupled with at least a part (e.g., a door) of the vehicle (1). As an example, the base part (12) may be connected to a separate receiving structure (not shown) provided in the door of the vehicle (1).
다양한 환경 요인에 따라, 후방시인장치(10)를 통해 차량(1)의 후방을 주시하는 운전자의 시야가 방해될 수 있다. 일 예로, 비가 오는 날씨에 후방시인모듈(13)에 맺히는 드롭(drop)은 운전자가 원활하게 차량(1)의 후방 및/또는 측방의 시야를 확인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습기에 의해 후방시인모듈(13)에 맺히는 성에 역시도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할 수 있다.Depending on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the driver's view of the rear of the vehicle (1) through the rear vision device (10) may be obstructed. For example, drops formed on the rear vision module (13) in rainy weather may obstruct the driver's ability to smoothly check the view of the rear and/or side of the vehicle (1). As another example, frost formed on the rear vision module (13) due to moisture may also obstruct the driver's view.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후방시인장치(10)는, 후방시인모듈(13)에 맺히는 성에 및/또는 드롭을 방지하기 위한 드롭 방지 구조(예: 도 2의 드롭 방지 구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드롭 방지 구조(200)는 하우징(13)과 후방시인모듈(13)의 형상 및 배치관계가 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rear vision device (10) may include a drop prevention structure (e.g., a drop prevention structure (200) of FIG. 2) to prevent the rear vision module (13) from being hit and/or dropped. In one embodiment, the drop prevention structure (200) may be provided by combining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housing (13) and the rear vision module (13).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드롭 방지 구조(200)가 제공된 후방시인장치(10)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rear sight device (10) provided with a drop prevention structure (2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드롭 방지 구조가 제공된 후방시인장치를 제1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드롭 방지 구조가 제공된 후방시인장치를 제2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FIG. 2 is a drawing of a rear sight device provided with a drop prevention structur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viewed from a first angle. FIG. 3 is a drawing of a rear sight device provided with a drop prevention structur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viewed from a second angl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후방시인장치(100)는 하우징(101) 및 후방시인모듈(102) 및 베이스 파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의 후방시인장치(100)는 도 1의 후방시인장치(10)와 전부 또는 일부가 동일한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rear vision device (100) may include a housing (101), a rear vision module (102), and a base part (130). The rear vision device (100) of FIGS. 2 and 3 may mean the same configuration as all or part of the rear vision device (10) of FIG. 1.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01)은 후방시인장치(100)의 전체적인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01)은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파트(130)는 하우징(101)으로부터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차량과 연결되는 영역으로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housing (101) may provide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rear vision device (100). In one embodiment, the housing (101) may include a first housing (110) and a second housing (120). In some embodiments, a base part (130) may be arranged to extend from the housing (101) and may be provided as an area connected to the vehicl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110)은 후방시인모듈(102)을 지지하고, 후방시인장치(100)의 다른 구성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하우징(120)은, 제1 하우징(110)의 상부(+z축 방향)에 배치되고, 후방시인모듈(102)의 적어도 일부를 보호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분리된 구성으로 설명할 것이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 역시 가능함이 이해될 것이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first housing (110) may support the rear vision module (102) and provide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other components of the rear vision device (100). The second housing (12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in the +z-axis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110) and may protect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vision module (102).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will be described as separate components, but this i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may also be formed integrally.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적어도 일부는 조합되어 드롭 방지 구조(200)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드롭 방지 구조(200)는 차량이 전방(-z축 방향)으로 진행되는 경우에 발생되는 유체의 흐름을 이용하여 후방시인모듈(102)에 존재하는 드롭을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may be combined to provide a drop prevention structure (200). In one embodiment, the drop prevention structure (200) may reduce a drop present in the rear vision module (102) by utilizing a fluid flow that occurs when the vehicle moves forward (in the -z-axis direction).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드롭 방지 구조(200)는, 제1 하우징(110)에 제공된 제1 개구부(210) 및 제2 하우징(120)에 제공된 제2 개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후방시인장치(100)가 장착된 차량이 이동되는 경우, 제1 개구부(210)를 통해 후방시인모듈(102)의 표면으로 공기의 흐름이 전달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개구부(220)를 통해서도 후방시인모듈(102)의 표면으로 공기의 흐름이 전달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1 개구부(210) 및 제2 개구부(220)를 통해, 이중의 공기 흐름이 후방시인모듈(102)의 표면으로 중첩 전달되고, 이를 통해 후방시인모듈(102)에 존재하는 드롭이 제거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드롭 방지 구조(200)는, 베이스 파트(13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드롭 방지 구조(200)는, 하우징(101)의 차량과 인접한 방향(+x축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본 개시의 실시예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drop prevention structure (200) may include a first opening (210) provided in the first housing (110) and a second opening (220) provided in the second housing (1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a vehicle equipped with the rear vision device (100) is moving, a flow of air may be transmitted to the surface of the rear vision module (102) through the first opening (210). Similarly, a flow of air may also be transmitted to the surface of the rear vision module (102) through the second opening (220). In other words, a double flow of air may be superimposed and transmitted to the surface of the rear vision module (102) through the first opening (210) and the second opening (220), thereby removing a drop existing in the rear vision module (102). In some embodiments, the drop prevention structure (200)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base part (130). In another example, the drop prevention structure (200) may be positioned in a direction adjacent to the vehicle (+x-axis direction) of the housing (101). However, this is exemplary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hereto.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하우징이 탈거된 후방시인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4 is a drawing showing a rear vision device with the first housing remove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도 4를 참조하면, 제1 개구부(210)는, 제1 단부(212) 및 제1 경사면(21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제1 개구부(210)는 도 3의 개구부(210)와 전부 또는 일부가 동일한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first opening (210) may include a first end (212) and a first inclined surface (211). The first opening (210) of FIG. 4 may mean a configuration that is all or partly the same as the opening (210) of FIG. 3.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개구부(210)는 제1 하우징(1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경사면(211)은 제1 하우징(110)의 제1 측(+x축 방향) 영역에서, 제2 측 (-x축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경사면(211)은 제1 하우징(110)의 제1 측(+x축 방향) 가장자리 영역에서 후방시인모듈(102)을 향해 경사질 수 있다. 제1 경사면(211)을 따라 외부의 공기가 제1 개구부(210)를 지나 후방시인모듈(102)로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first opening (210) may be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110). In one embodiment, the first inclined surface (211) may be inclined from a first-side (+x-axis direction) area of the first housing (110) toward a second side (-x-axis direction).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inclined surface (211) may be inclined from a first-side (+x-axis direction) edge area of the first housing (110) toward the rear-vision module (102). External air may be easily transmitted to the rear-vision module (102) through the first opening (210) along the first inclined surface (211).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경사면(211)의 제3 측(+y축 방향) 단부(이하, 제1 단부(212))의 높이는, 후방시인모듈(102)의 표면 높이와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부(212)의 높이와 후방시인모듈(102)의 표면 높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후방시인장치(100)의 별도 기능에 따라, 후방시인모듈(102)이 틸팅되는 경우에도, 후방시인모듈(102)의 대략적인 표면 높이는 제1 단부(212)와 상응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경사면(211)을 따라 이동되는 공기의 흐름이 보다 효율적으로 후방시인모듈(102)로 전달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height of the third side (+y-axis direction) end (hereinafter, the first end (212))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211) may correspond to the surface height of the rear vision module (102). For example, the height of the first end (212) and the surface height of the rear vision module (102)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Even when the rear vision module (102) is tilted according to a separate function of the rear vision device (100), the approximate surface height of the rear vision module (102) may correspond to the first end (212). As a result, the flow of air moving along the first inclined surface (211) may be more e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rear vision module (102).
도 5는 도 1의 A-A'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드롭 방지 구조를 확대한 도면이다.Fig. 5 is a drawing showing a cross-section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Fig. 6 is an enlarged drawing of the drop prevention structure of Fig. 5.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은 조합되어 적어도 2 이상의 공기 흐름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5 and 6,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can be combined to provide at least two air flow paths.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 공기의 흐름이 후방시인모듈(102)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110)에 제공된 제1 경사면(211)과 제2 하우징(120)의 편평부(221)의 제2 면(223) 사이의 공간을 통해 공기가 흐를 수 있다. 여기서, 편평부(221)는, 제2 하우징(120)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2 개구(220)를 형성하는 오목한 영역의 하부(+z축 방향)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경사면(211)과 제2 면(223) 사이의 제1-1 개구(213)를 통해 흐른 공기는, 하면(223)과 제1 하우징(110)의 내측 단부(219) 사이의 제1-2 개구(230)를 통해 후방시인모듈(102)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내측 단부(219)는 후방시인모듈(102)와 인접하고, 후방시인장치(100)를 측면(x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 경사면(211)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제1 하우징(110)의 일부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ir flow may be transmitted to the rear vision module (102) through a spaced space between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ir may flow through a space between a first inclined surface (211) provided on the first housing (110) and a second surface (223) of a flat portion (221) of the second housing (120). Here, the flat portion (221) may mean a lower (+z-axis direction) region of a concave region forming a second opening (220) as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120). Air flowing through the first-first opening (213) betwe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211) and the second surface (223) can be delivered to the rear-view module (102) through the first-second opening (230) between the lower surface (223) and the inner end (219) of the first housing (110). Here, the inner end (219) may mean a part of the first housing (110) adjacent to the rear-view module (102) and arranged to overlap the first inclined surface (211) when the rear-view device (100) is viewed from the side (x-axis direction).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하우징(120)은, 오목하게 형성된 제2 개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개구부(220)는 편평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편평부(221)의 상부 표면(222)을 따라 공기가 흘러 후방시인모듈(102)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편평부(221)는, 후방시인모듈(102)로 향하는 공기 흐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1 축(x축 방향)을 중심으로 후방시인모듈(102)을 향해(-z축 방향을 향해) 경사질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second housing (120) may include a second opening (220) that is formed concave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opening (220) may include a flat portion (221). Air may flow along an upper surface (222) of the flat portion (221) and be delivered to the rear vision module (102). In one embodiment, the flat portion (221) may be inclined toward the rear vision module (102) (toward the -z-axis direction) about the first axis (x-axis direction) to facilitate airflow toward the rear vision module (102).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경사면(211)은 제1-1 경사면(211a) 및 제1-2 경사면(211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1 경사면(211a)과 제1-2 경사면(211b)는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1 경사면(211a)과 제1 축(x축) 사이의 경사각은 제1-2 경사면(211b)과 제1 축(x축) 사이의 경사각보다 클 수 있다. 제1-1 경사면(211a)은 상대적으로 차량의 전진방향(+z축 방향)과 수직인 제1 축(x축)과 사이각이 크게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큰 공기의 흐름이 제1-1 개구(213)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제1-2 경사면(211b)은, 제1 경사면(211)의 후단의 일부 영역이고, 후방시인모듈(102)를 향해 경사짐으로써 제1-1 경사면(211a)을 따라 이동한 공기의 흐름을 제1-1 개구(213) 내로 안내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first inclined surface (211) may include a first-first inclined surface (211a) and a first-second inclined surface (211b).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first inclined surface (211a) and the first-second inclined surface (211b) may have different inclination angles. For example, the inclination angle between the first-first inclined surface (211a) and the first axis (x-axis) may be great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between the first-second inclined surface (211b) and the first axis (x-axis). The first-first inclined surface (211a) forms a relatively large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s (x-axis)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forward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a relatively large air flow may flow toward the first-first opening (213). The 1-2 slope (211b) is a portion of the rear end of the 1-1 slope (211), and by sloping toward the rear-view module (102), it can guide the flow of air moving along the 1-1 slope (211a) into the 1-1 opening (213).
어떤 실시예에서, 차량의 전진 및/또는 후진 방향(예: z축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1 개구부(210)와 제2 개구부(220)는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개구부(210)와 제2 개구부(220)는 후방시인모듈(102)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z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서로 중첩 배치된다고 표현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개구부(210)(및/또는 제1-2 개구부(230)의 y축 방향 폭과 제2 개구부(220)의 y축 방향 폭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when viewed from a forward and/or backward direction (e.g., z-axis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first opening (210) and the second opening (220) may be arranged to overlap each other.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opening (210) and the second opening (220) may be expressed as being arranged to overlap each other when viewed from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surface of the rear vision module (102) (z-axis direction). In one embodiment, the y-axis direction width of the first opening (210) (and/or the first-second opening (230)) and the y-axis direction width of the second opening (220) may be formed to be identical to each other.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드롭 방지 구조를 통해 드롭이 제거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7 is a drawing showing a drop being removed through a drop prevention structur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도 7을 참조하면, 드롭 방지 구조(200)는 후방시인모듈(102)를 따라 흐르는 이중 공기 흐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의 후방시인장치(100) 및 드롭 방지 구조(200)는 상술한 실시예들에서의 후방시인장치(10,100) 및 드롭 방지 구조(200)에 대한 설명이 준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drop prevention structure (200) can provide a dual airflow flowing along the rear vision module (102). The rear vision device (100) and the drop prevention structure (200) of FIG. 7 can be applied with the description of the rear vision device (10, 100) and the drop prevention structure (200)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개구부(210)를 통해 제1 공기 흐름이 후방시인모듈(102)로 전달될 수 있다. 차량의 이동에 따라 제1 공기 흐름은 후방시인장치(100)의 외부에서 제1 개구부(210)를 통해 제1 하우징(110) 내로 인가되고, 제1-2 개구부(230)를 통해 후방시인모듈(102)의 표면을 따라 흐름으로써 후방시인모듈(102)의 표면에 존재하는 드롭 및/또는 성에를 제거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 first air flow can be delivered to the rear vision module (102) through the first opening (210). As the vehicle moves, the first air flow is a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rear vision device (100) into the first housing (110) through the first opening (210) and flows along the surface of the rear vision module (102) through the first-second opening (230), thereby removing drops and/or frost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rear vision module (102).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개구부(220)를 통해 제2 공기 흐름이 후방시인모듈(102)로 전달될 수 있다. 차량의 이동에 따라 제2 공기 흐름은 후방시인장치(100)의 외부에서 편평부(221)를 따라 전달되고, 후방시인모듈(102)의 표면을 따라 흐름으로써 후방시인모듈(102)의 표면에 존재하는 드롭 및/또는 성에를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 second air flow may be transmitted to the rear vision module (102) through the second opening (220). As the vehicle moves, the second air flow may be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of the rear vision device (100) along the flat portion (221) and may flow along the surface of the rear vision module (102), thereby removing drops and/or frost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rear vision module (102).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후방시인장치는, 제1 개구부(210)를 통한 제1 공기 흐름과 제2 개구부(220)를 통한 제2 공기 흐름을 유도하고, 이중의 공기 흐름을 후방시인모듈(102)에 전달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후방시인모듈(102)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The rear-view mirror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efficiently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rear-view mirror module (102) by inducing a first air flow through the first opening (210) and a second air flow through the second opening (220) and delivering the dual air flows to the rear-view mirror module (102).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에게 차량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후방시인모듈; 상기 후방시인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후방시인모듈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고, 상기 후방시인모듈이 안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후방시인모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된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및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가 조합되어 제공된 드롭 방지 구조로서, 상기 드롭 방지 구조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제공되고, 상기 후방시인장치의 외부로부터 상기 후방시인모듈의 표면까지 제1 공기 흐름 경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후방시인장치의 외부로부터 상기 후방시인모듈의 표면까지 제2 공기 흐름 경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2 개구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후방시인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 rear vision device for a vehicle may be provided, comprising: a rear vision module configured to provide a driver with a view of the rear of a vehicle; a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rear vision module, the housing suppor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vision module and providing a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rear vision module is seated; and a second housing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vision module and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and a drop prevention structure provided by combin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the drop prevention structure including: a first opening provided as a spaced space betwee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and configured to provide a first air flow path from an exterior of the rear vision device to a surface of the rear vision module; and a second opening formed concavely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and configured to provide a second air flow path from an exterior of the rear vision device to a surface of the rear vision modul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후방시인모듈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후방시인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vehicle rear vision device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first opening further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toward the rear vision module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사면은 상기 후방시인모듈과 먼 제1 경사면 및 상기 후방시인모듈과 인접한 제2 경사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의 경사각은 서로 다른 차량용 후방시인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vehicle rear vision device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inclined surface further includes a first inclined surface distant from the rear vision module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adjacent to the rear vision module, and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경사면의 경사각은 상기 제2 경사면의 경사각보다 큰 차량용 후방시인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vehicle rear vision device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is greater than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사면의 단부의 높이와 상기 후방시인모듈의 표면의 높이는 서로 상응하는 차량용 후방시인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vehicle rear vision device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height of the end of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height of the surface of the rear vision module correspond to each oth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개구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후방시인모듈과 인접하게 배치된 제3 개구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후방시인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rear vision device for a vehicle may be provided, further comprising a third opening positioned so as to face the first opening and positioned adjacent to the rear vision modul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오목하게 형성된 일부 영역에 제공된 편평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후방시인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vehicle rear vision device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second housing further includes a flat portion provided in a portion of the concavely formed area.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편평부는, 상기 후방시인모듈을 향하도록 경사진 차량용 후방시인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lat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rear vision device for a vehicle that is inclined toward the rear vision modul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후방시인모듈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에서 바라볼 때,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된 차량용 후방시인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vehicle rear vision device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are arranged to overlap each other when view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surface of the rear vision modul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의 폭은 서로 동일한 차량용 후방시인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vehicle rear vision device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widths of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are the sam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방시인장치와 차량을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된 베이스 파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롭 방지 구조는, 상기 베이스 파트와 인접한 방향에 배치된 차량용 후방시인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rear vision device for a vehicle may be provided, the rear vis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base part extending from the first housing or the second housing, the base part configured to connect the rear vision device and the vehicle, wherein the drop prevention structure is arranged in a direction adjacent to the base part.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above by way of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even if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are replaced or substituted by other components or equivalents.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below.
후방시인장치 10, 100 후방시인모듈 13, 102
하우징 11, 101 제1 하우징 110
제2 하우징 120 제1 개구부 210
제2 개구부 220Rear vision device 10, 100 Rear vision module 13, 102
Housing 11, 101 1st Housing 110
2nd housing 120 1st opening 210
2nd opening 220
Claims (11)
운전자에게 차량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후방시인모듈;
상기 후방시인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후방시인모듈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고, 상기 후방시인모듈이 안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후방시인모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된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및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가 조합되어 제공된 드롭 방지 구조로서, 상기 드롭 방지 구조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제공되고, 상기 후방시인장치의 외부로부터 상기 후방시인모듈의 표면까지 제1 공기 흐름 경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후방시인장치의 외부로부터 상기 후방시인모듈의 표면까지 제2 공기 흐름 경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2 개구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후방시인장치.
In the rear view device for vehicles,
A rear vision module configured to provide the driver with a view of the rear of the vehicle;
As a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above rear-view module, the housing comprises:
A first housing suppor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facing module and providing a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rear-facing module is mounted; and
A second housing compri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facing module and disposed on top of the first housing; and
A drop prevention structure provided by combin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wherein the drop prevention structure is:
A first opening provided as a spaced space betwee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and configured to provide a first airflow path from the exterior of the rear vision device to the surface of the rear vision module; and
a second opening formed concavely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and configured to provide a second airflow path from the exterior of the rear vision device to the surface of the rear vision module;
Rear view camera for vehicles.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후방시인모듈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후방시인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first opening further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toward the rear-view module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Rear view camera for vehicles.
상기 경사면은 상기 후방시인모듈과 먼 제1 경사면 및 상기 후방시인모듈과 인접한 제2 경사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의 경사각은 서로 다른
차량용 후방시인장치.
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mentioned slope further includes a first slope far from the rear vision module and a second slope adjacent to the rear vision module,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first slope and the second slop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Rear view camera for vehicles.
상기 제1 경사면의 경사각은 상기 제2 경사면의 경사각보다 큰
차량용 후방시인장치.In the third paragraph,
The slope angle of the first slope is greater than the slope angle of the second slope
Rear view camera for vehicles.
상기 경사면의 단부의 높이와 상기 후방시인모듈의 표면의 높이는 서로 상응하는
차량용 후방시인장치.
In the second paragraph,
The height of the end of the above-mentioned slope and the height of the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rear-view module ar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Rear view camera for vehicles.
상기 제1 개구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후방시인모듈과 인접하게 배치된 제3 개구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후방시인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It further includes a third opening positioned so as to face the first opening and positioned adjacent to the rear vision module.
Rear view camera for vehicles.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오목하게 형성된 일부 영역에 제공된 편평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후방시인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second housing further includes a flat portion provided in the concavely formed portion;
Rear view camera for vehicles.
상기 편평부는, 상기 후방시인모듈을 향하도록 경사진
차량용 후방시인장치.
In Article 7,
The above flat portion is inclined toward the rear vision module.
Rear view camera for vehicles.
상기 제1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후방시인모듈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에서 바라볼 때,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된
차량용 후방시인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first opening and the above second opening,
When viewed from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above rear-facing module, they are arranged to overlap each other.
Rear view camera for vehicles.
상기 제1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의 폭은 서로 동일한
차량용 후방시인장치.
In Article 9,
The widths of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are the same.
Rear view camera for vehicles.
상기 후방시인장치와 차량을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된 베이스 파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롭 방지 구조는, 상기 베이스 파트와 인접한 방향에 배치된
차량용 후방시인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further comprising a base part configured to connect the rear vision device and the vehicle, and extending from the first housing or the second housing;
The above drop prevention structure is arranged in a direction adjacent to the base part.
Rear view camera for vehicl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42564A KR102771178B1 (en) | 2023-03-31 | 2023-03-31 | Drop prevention structure and rearview device for vehicle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42564A KR102771178B1 (en) | 2023-03-31 | 2023-03-31 | Drop prevention structure and rearview device for vehicle includ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47084A KR20240147084A (en) | 2024-10-08 |
KR102771178B1 true KR102771178B1 (en) | 2025-02-24 |
Family
ID=93113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42564A Active KR102771178B1 (en) | 2023-03-31 | 2023-03-31 | Drop prevention structure and rearview device for vehicle includ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71178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16948A (en) | 2003-01-09 | 2004-08-05 | Ichikoh Ind Ltd | Rearview mirror for vehicles |
JP2013049329A (en) | 2011-08-30 | 2013-03-14 | Toyota Motor Corp | Vehicle door mirror device |
WO2013091058A1 (en) | 2011-12-21 | 2013-06-27 | Da Silveira Andre Luiz Silva | Motor vehicle rear-view mirrors using ducting and projection of a jet of air onto the surface of the external mirrors and side windows for cleaning and removing water |
JP2015205612A (en) | 2014-04-22 | 2015-11-19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Outer mirror device for vehicl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53337U (en) * | 1992-12-25 | 1994-07-19 | 日本板硝子株式会社 | Car side mirror device |
-
2023
- 2023-03-31 KR KR1020230042564A patent/KR10277117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16948A (en) | 2003-01-09 | 2004-08-05 | Ichikoh Ind Ltd | Rearview mirror for vehicles |
JP2013049329A (en) | 2011-08-30 | 2013-03-14 | Toyota Motor Corp | Vehicle door mirror device |
WO2013091058A1 (en) | 2011-12-21 | 2013-06-27 | Da Silveira Andre Luiz Silva | Motor vehicle rear-view mirrors using ducting and projection of a jet of air onto the surface of the external mirrors and side windows for cleaning and removing water |
JP2015205612A (en) | 2014-04-22 | 2015-11-19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Outer mirror device for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47084A (en) | 2024-10-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958276B (en) | Vehicle Camera Mounting Device | |
US10960822B2 (en) | Vehicular rearview vision system with A-pillar display | |
EP3730333B1 (en) | Display assembly for vehicle | |
US10676030B2 (en) | Vehicle exterior camera device | |
CN110371042B (en) | Attachment unit and attachment method for a vehicle component and windshield for a vehicle | |
CN111094066A (en) | Combination Approach Lights and Logo Lights | |
JP6578856B2 (en) | Camera mounting structure | |
CN116552450A (en) | Holding device and vehicle | |
JP7515011B2 (en) | Camera, A-pillar configuration, and vehicle | |
JP5851009B2 (en) | In-vehicle camera mounting device | |
US7422336B2 (en) | Vehicle side mirror | |
KR102771178B1 (en) | Drop prevention structure and rearview device for vehicle including the same | |
JP7112286B2 (en) | Vehicle imaging unit | |
CN214267473U (en) | Vehicle body stand and vehicle | |
JP7063776B2 (en) | Imaging unit for vehicles | |
JP7405533B2 (en) | Vehicle imaging unit | |
JP7090715B2 (en) | Imaging unit for vehicles | |
JP7063775B2 (en) | Imaging unit for vehicles | |
JP6776997B2 (en) | In-vehicle camera | |
JP7575636B1 (en) | Imaging device | |
EP4180275A1 (en) | Vehicle front camera arrangement | |
KR102774470B1 (en) | Sealing structure and rearview device for vehicle including the same | |
JP7514390B2 (en) | Vehicle-mounted camera device | |
US20240083369A1 (en) | Vehicle | |
JP4283054B2 (en) | Vehicle visual recognit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3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9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