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64677B1 - Multi-view glasses-free 3d display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thickness of gap glass - Google Patents
Multi-view glasses-free 3d display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thickness of gap glas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64677B1 KR102764677B1 KR1020230045158A KR20230045158A KR102764677B1 KR 102764677 B1 KR102764677 B1 KR 102764677B1 KR 1020230045158 A KR1020230045158 A KR 1020230045158A KR 20230045158 A KR20230045158 A KR 20230045158A KR 102764677 B1 KR102764677 B1 KR 1027646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 sub
- gap glass
- display device
- reduc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93 hol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747 pupi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a single direction only, e.g. lenticular shee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02B30/29—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f the lenticular array, e.g. slanted arrays, irregular arrays or arrays of varying shape or siz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갭글라스 두께의 감소가 가능한 다시점 무안경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있어서, 기설정된 길이의 렌즈 피치를 갖는 복수의 볼록렌즈로 구성되는 렌티큘러 렌즈; 렌티큘러 렌즈의 하부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형성된 갭 글라스; 및 렌티큘러 렌즈의 하부에 배치되며, 다시점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서브 픽셀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며, 각 볼록렌즈는, N번째 볼록렌즈 및 N+1번째 볼록렌즈(N>1보다 큰 자연수)가 제공하는 영상은 서로 다른 시점의 영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ulti-view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capable of reducing a gap glass thickness comprises: a lenticular lens formed of a plurality of convex lenses having a lens pitch of a preset length; a gap glass formed between a lower portion of the lenticular lens and a display panel; and a display panel disposed below the lenticular lens and including sub-pixels for providing a multi-view image, wherein each convex lens is formed such that images provided by an Nth convex lens and an N+1th convex lens (N being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1) are images of different viewpoints.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안경 3차원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갭글라스의 두께를 줄이기 위한 무안경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glasses-fre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for reducing the thickness of gap glass constituting a glasses-free three-dimensional display.
입체영상 표시기술은, 평면 디스플레이 하드웨어를 통해 인위적인 입체영상을 재현하는 기술이다. 입체영상 표시기술을 구현하는 텔레비전이나 모니터를 통해 시청자에게 3D영상이 제공되며,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형 모바일에 적용되는 기술로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Stereoscopic image display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reproduces artificial stereoscopic images through flat display hardware. 3D images are provided to viewers through televisions or monitors that implement stereoscopic image display technology, and recently, the trend is expanding to include technology applied to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이러한 입체영상 표시기술은 사람의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에 기반하는 것으로, 이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좌안과 우안에 대응하는 영상 2개를 동시에 표시하고, 이들을 좌안과 우안에 정확하게 전달하는 설계를 통해 가상의 입체감을 구현한다.This stereoscopic image display technology is based on the binocular disparity of humans, and implements a virtual three-dimensional effect by simultaneously displaying two images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eyes on a two-dimensional display device and designing them to accurately transmit these to the left and right eyes.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안경 방식과 무안경 방식이 있으나, 안경의 번거로움 탈피하고 자유로운 시청이 가능한 무안경 방식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Stereoscopic display devices come in glasses and glasses-free types, but the glasses-free type is the main type as it allows free viewing without the hassle of glasses.
무안경 방식은, 패럴렉스 베리어(parallax barrier) 방식, 집적 영상(integral image) 방식, 홀로그래피(Holography) 방식 등 다양하나, 최근에는 다시점 이미지를 실용적으로 구현하기에 적합한 렌티큘러(Lenticular) 방식이 각광을 받고 있다.There are various types of glasses-free methods, such as the parallax barrier method, the integral image method, and the holography method, but recently, the lenticular method, which is suitable for practically implementing multi-view images,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도 1a은 종래의 렌티큘러 방식의 무안경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제1도면이다.FIG. 1a is a first drawing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lenticular type auto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도 1b는 종래의 렌티큘러 방식의 무안경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제2도면이다.Figure 1b is a second drawing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lenticular type auto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티큘러 방식은, 영상패널 전방에 반원통형의 볼록렌즈(110)를 나열한 렌티큘러 렌즈(100)를 수직으로 배열시켜, 좌우 영상을 굴절시켜 양안으로 각각의 영상을 보내는 방식이다.As shown in Fig. 1a, the lenticular method is a method of vertically arranging a lenticular lens (100) with semi-cylindrical convex lenses (110) in front of the image panel to refract left and right images and send each image to each eye.
그에 따라, 종래의 무안경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픽셀이 바둑판 식으로 배열된 디스플레이 패널(200) 전면에 볼록렌즈(110)가 연속 배치된 렌티큘러 렌즈(100)가 수직으로 부착되어 제작된다.Accordingly, a conventional stereoscopic display device without glasses is manufactured by vertically attaching a lenticular lens (100) with convex lenses (110) continuously arranged on the front of a display panel (200) in which pixels are arranged in a checkerboard pattern.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렌티큘러 렌즈(100)와 디스플레이표면까지의 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갭 글래스(Gap glass)의 두께가 두꺼워지게 되고, 두꺼운 갭 글라스로 인해 무안경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자체의 크기와 무게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However, this conventional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the gap glass becomes thicker to secure the distance between the lenticular lens (100) and the display surface, and the size and weight of the autostereoscopic stereoscopic display itself increase due to the thick gap glass.
또한, 종래의 렌티큘러 방식은 렌티큘러 렌즈(100)를 구성하는 볼록렌즈(110)의 N, N+1, N+2, 번째 렌즈 라인에서 시청자의 두 눈에 각각 대응되는 시점라인과 맞닿는 특정 컬러 필터 영역(221)에 입체영상을 재생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lenticular method reproduces a stereoscopic image in a specific color filter area (221) that contacts the viewing lin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viewer's two eyes in the N, N+1, and N+2 lens lines of the convex lens (110) constituting the lenticular lens (100).
이때, 특정 컬러 필터 영역(221)의 인근에 위치한 컬러 필터 영역(220)이 서로 다른 영상을 재생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점 변화에 따라 3차원 입체영상을 체험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color filter area (220) located near a specific color filter area (221) reproduces different images, so that the user can experience a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user's viewpoint.
하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렌티큘러 렌즈(100)와 디스플레이 패널(200) 간의 구조는 사용자의 시점에서 특정 컬러 필터 영역(221)만을 인식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시점이 멀어질수록 갭 글라스의 수치가 커질 수 밖에 없으며, 갭 글라스(130)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디스플레이 자체의 크기와 무게가 커질 수 밖에 없다.However, as mentioned above, the structure between the lenticular lens (100) and the display panel (200) must be made so that only a specific color filter area (221) can be recognized from the user's viewpoint, so the value of the gap glass cannot but increase as the user's viewpoint becomes farther away, and as the gap glass (130) becomes thicker, the size and weight of the display itself cannot but increase.
도 2는 종래의 갭 글라스(130) 두께를 줄이기 위한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2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technique for reducing the thickness of a conventional gap glass (130).
한편, 앞서 언급된 종래의 렌티큘러 방식이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렌티큘러 렌즈(100)를 구성하는 볼록렌즈(110)의 폭인 렌즈 피치(Lens pitch)를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도 계속되었다.Meanwhil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lenticular method mentioned above, research has continued to minimize the lens pitch, which is the width of the convex lens (110) that constitutes the lenticular lens (100).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구성하는 컬러 필터 영역(220)을 비스듬하게 생성함으로써, 렌즈 피치의 폭과 및 갭 글래스(130)의 두께를 줄일 수 있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by creating the color filter area (220) constituting the display panel (200) obliquely, the width of the lens pitch and the thickness of the gap glass (130) could be reduced.
하지만, 이러한 방식도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과 제작 난이도가 높으며, 비스듬하게 생성된 렌티큘러렌즈의 볼록렌즈들 중 한 볼록렌즈가 두 개이상의 서브픽셀의 영상을 커버하게 되면서, 시청자입장에서 흐려지거나 초점이 잡히지 않은 무안경 입체 영상을 시청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렌티큘러 렌즈(100)가 조금이라도 어긋나 부착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생생한 입체영상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를 가진다.However, this method also has high costs and manufacturing difficulty in the process of creating a display panel (200), and since one convex lens of the lenticular lens created obliquely covers the images of two or more subpixel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viewer has to watch a stereoscopic image that is blurry or out of focus without glasses. In addition, if the lenticular lens (100) is attached to the display panel (200) with even a slight misalignme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vivid stereoscopic image cannot be provided to the user.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무안경 3차원 디스플레이에서 갭 글라스의 두꺼운 두께를 줄이기 위한 구조를 구현할 필요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requires implementing a structure for reducing the thickness of gap glass in a glasses-free 3D display.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tasks that this embodiment seeks to accomplish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task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tasks may exist.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갭 글라스 두께의 감소가 가능한 다시점 무안경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있어서, 기설정된 길이의 렌즈 피치를 갖는 복수의 볼록렌즈로 구성되는 렌티큘러 렌즈; 렌티큘러 렌즈의 하부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형성된 갭 글라스; 및 렌티큘러 렌즈의 하부에 배치되며, 다시점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서브 픽셀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며, 각 볼록렌즈는, N번째 볼록렌즈 및 N+1번째 볼록렌즈(N>1보다 큰 자연수)가 제공하는 영상은 서로 다른 시점의 영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task, a multi-view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gap glass thickness comprises: a lenticular lens formed of a plurality of convex lenses having a lens pitch of a preset length; a gap glass formed between a lower portion of the lenticular lens and a display panel; and a display panel disposed below the lenticular lens and including sub-pixels for providing a multi-view image, wherein each convex lens can be formed such that images provided by an Nth convex lens and an N+1th convex lens (N being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1) are images of different viewpoints.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이 제공하는 다시점의 개수가 N개일 때, 디스플레이 패널은 N개의 서브 픽셀 패턴으로 발광하며, 각 시점의 서브 픽셀 패턴은교번하는 순서대로 배열되고, 각 볼록렌즈는, 대응하는 서브 픽셀 패턴의 개수가 M(M은 N보다 작은 자연수)개가 되도록 하는 렌즈 피치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number of viewpoints provided by the display panel is N, the display panel emits light with N sub-pixel patterns, the sub-pixel patterns of each viewpoint are arranged in an alternating order, and each convex lens can be formed with a lens pitch such that the number of corresponding sub-pixel patterns is M (M is a natural number smaller than N).
또한, M은 N/2 또는 N/2와 근사한 자연수일 수 있다.Also, M can be a natural number close to N/2 or N/2.
또한, 각각의 서브 픽셀은 블랙영역 및 블랙영역 상에 형성되는 컬러 필터 영역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서브 픽셀의 전체 면적 중 컬러 필터 영역이 차지하는 면적은 절반 이하일 수 있다.Additionally, each sub-pixel is composed of a black area and a color filter area formed on the black area, and the area occupied by the color filter area among the total area of each sub-pixel may be less than half.
또한, 특정 볼록렌즈에 대응하는 서브 픽셀 패턴이 홀수 번째 시점에 대한 패턴이면, 특정 볼록렌즈와 이웃하는 볼록렌즈에 대응하는 서브 픽셀 패턴은 짝수 번째 시점에 대한 패턴일 수 있다.Additionally, if the sub-pixel patter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convex lens is a pattern for odd viewpoints, the sub-pixel pattern corresponding to a convex lens adjacent to the specific convex lens may be a pattern for even viewpoints.
또한, 서브 픽셀 내의 컬러 필터 영역이 차지하는 면적이 작아질수록 렌티큘러 렌즈의 각 볼록렌즈의 렌즈 피치가 작아질 수 있다.Additionally, as the area occupied by the color filter region within the sub-pixel becomes smaller, the lens pitch of each convex lens of the lenticular lens can become smaller.
또한, 각각의 컬러 필터 영역은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모두 RGBRGB 순서의 색상 형태로 반복 배열될 수 있다.Additionally, each color filter area can be repeatedly arranged in a color form of RGBRGB order in both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또한, 렌즈피치의 길이 및 갭 글라스의 두께는 앞서 설명한 다시점 무안경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동일한 다시점을 제공하되 각 볼록렌즈마다 모든 다시점 영상을 동일하게 제공하는 장치의 것보다 작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lens pitch and the thickness of the gap glass may be smaller than those of a device that provides the same multi-viewpoint as the previously described multi-viewpoint auto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but provides all multi-viewpoint images equally for each convex le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렌티큘러렌즈를 픽셀과 평행하게 배열시키고 각 렌즈에 대응하는 서브픽셀패턴의 영상 순서를 교번하여 배열시킴으로써 렌즈 피치를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갭 글라스의 두께를 축소시킬 수 있으며, 종래의 영상 해상도와 동일한 영상 해상도를 제공해줄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s pitch can be reduced by arranging lenticular lenses parallel to pixels and alternately arranging the image order of subpixel patterns corresponding to each lens. As a result, the thickness of the gap glass can be reduced, and the same image resolution as the conventional image resolution can be provided.
도 1a은 종래의 렌티큘러 방식의 무안경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제1도면이다.
도 1b는 종래의 렌티큘러 방식의 무안경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제2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갭 글라스 두께를 줄이기 위한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와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와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를 이격하기 위해 사용하는 갭 글라스 두께의 감소가 가능한 다시점 무안경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래의 무안경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와의 갭 글라스 비교를 위한 도면이다.FIG. 1a is a first drawing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lenticular type auto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Figure 1b is a second drawing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lenticular type auto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Figure 2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technology for reducing the thickness of a conventional gap glass.
FIG. 3a is a drawing showing the structure of a lenticular lens and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s a drawing showing the structure of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a multi-view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thickness of a gap glass used to separate the distance between a lenticular lens and a displa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 and 6 are drawings for comparison of gap glass with a conventional autostereoscopic stereoscopic displa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assigned similar drawing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Also,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omponent, this should be understood to mean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possibility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범위의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The following examples are detailed descriptions to help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nventions of the same scope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100), 갭 글라스(130)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3a is a drawing showing the structure of a lenticular lens (100), a gap glass (130), and a display panel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3b is a drawing showing the structure of a display panel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를 참고하면, 본 발명을 통해 구현하고자 하는 렌티큘러 방식은 기설정된 길이의 렌즈 피치(120)를 갖는 복수의 볼록렌즈(110)로 구성되는 렌티큘러 렌즈(100) 및 상기 렌티큘러 렌즈(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볼록렌즈(110)와 디스플레이 패널(200)과의 거리를 형성하기 위한 갭 글라스(1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볼록렌즈는 서브픽셀과 평행하게 배열된다. Referring to FIG. 3a, the lenticular method to be implemente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lenticular lens (100)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vex lenses (110) having a lens pitch (120) of a preset length, and a gap glass (130)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enticular lens (100) to form a distance between the convex lens (110) and the display panel (200). Here, the convex lens is arranged parallel to the subpixel.
즉 도면과 같이 렌티큘러 렌즈(100)의 형태는 복수의 볼록렌즈(110)가 평행하고 나란히 배열되어, 사용자가 바라보는 시청위치에 따라 볼록 렌즈(110)를 통해 보이는 서브픽셀상의 위치가 다르게 인지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hape of the lenticular lens (100) is such that multiple convex lenses (110) are arranged parallel and side by side, so that the user can perceive the location of the subpixel seen through the convex lens (110)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viewing position.
또한, 도 3b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렌티큘러 렌즈(100)의 하부에 배치되며, 다시점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서브 픽셀(210)들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referring to FIG. 3b, the display panel (200) is positioned below the lenticular lens (100) and may include sub-pixels (210) for providing a multi-view image.
이때, 서브 픽셀(210) 상에는 직사각형의 컬러 필터가 서브 픽셀(210) 상에 배열되고, 서브 픽셀(210) 상에 형성된 컬러 필터 영역(220)을 통해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서브 픽셀(210)은 블랙영역(230) 및 블랙영역(230) 상에 형성되는 컬러 필터 영역(220)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서브 픽셀(210)의 전체 면적 중 컬러 필터 영역(220)이 차지하는 면적은 절반에 해당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rectangular color filter is arranged on the sub-pixel (210), and an image can be reproduced through the color filter area (220) formed on the sub-pixel (210). Specifically, each sub-pixel (210) is composed of a black area (230) and a color filter area (220) formed on the black area (230), and the area occupied by the color filter area (220) among the total area of each sub-pixel (210) can correspond to half.
여기서, 서브 픽셀(210) 내의 컬러 필터 영역(220)이 차지하는 면적이 작아질수록 렌티큘러 렌즈(100)의 각 볼록렌즈(110)의 렌즈 피치(120)가 작아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서브 픽셀(210)의 가로축 길이 대비 컬러 필터 영역(220)의 면적이 특정 비율로 줄어들도록 형성되면, 특정 비율만큼 렌즈 피치(120)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어 갭 글라스(130)의 두께도 함께 줄어들게 된다. 예를 들어, 서브 픽셀(210) 상에서 컬러 필터 영역(220)이 차지하는 면적으로 1/3으로 줄이게 되는 경우, 볼록렌즈(110)의 폭(즉, 렌즈 피치(120))을 기존 대비 1/3으로 줄일 수 있다(참고로, 도3b는 1/2비율에 대한 예시이다.). 동일한 방법을 통해 컬러 필터 영역(220)을 1/4로 줄이는 경우, 렌즈의 폭을 기존 대비 1/4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때, 렌티큘러 렌즈(100)의 크기를 종래의 크기 대비 1/3로 줄이는 경우 인접한 3개의 렌즈 라인에 서로 다른 입체 영상 시점을 표시하게 된다. 이때, 갭 글라스(130)는 줄어드는 볼로렌즈(110)의 폭만큼 두께가 줄어들게 되고,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의 두께가 줄어드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Here, as the area occupied by the color filter region (220) in the sub-pixel (210) becomes smaller, the lens pitch (120) of each convex lens (110) of the lenticular lens (100) becomes smaller. Specifically, when the area of the color filter region (220) relative to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sub-pixel (210) is formed to decrease at a specific ratio, the length of the lens pitch (120) is decreased by a specific ratio, and the thickness of the gap glass (130) is also decreased. For example, when the area occupied by the color filter region (220) on the sub-pixel (210) is reduced to 1/3, the width of the convex lens (110) (i.e., the lens pitch (120)) can be reduced to 1/3 compared to the existing one (for reference, FIG. 3b is an example of a 1/2 ratio). In the same way, if the color filter area (220) is reduced to 1/4, the width of the lens can be reduced to 1/4 compared to the existing size. At this time, if the size of the lenticular lens (100) is reduced to 1/3 compared to the existing size, different stereoscopic image viewpoints are displayed on three adjacent lens lines. At this time, the gap glass (130) is reduced in thickness by the width of the reduced Bolo lens (110), and as a result,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can be reduced.
또한, 서브 픽셀(210) 상에 존재하게 되는 컬러 필터 영역(220)은 상하 좌우 및 좌우 방향 모두 RGBRGB 순서의 색상 형태로 반복 배열됨으로써, 종래의 기술과 차이를 지니게 된다. 종래의 경우, 좌우방향(횡방향)에서 RGBRGB와 같이 배열될 경우, 종방향에서는 모두 같은 색상으로 배열되는 경우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lor filter area (220) existing on the sub-pixel (210) is arranged repeatedly in the form of colors in the RGBRGB order in both the up-down, left-right, and left-right directions, thereby making it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technology. In the conventional case, when arranged like RGBRGB in the left-right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it can be configured in a case where it is arranged in the same color in the vertical direction.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구조에 따라, 렌티큘러 렌즈(100)를 구성하는 각 볼록렌즈(110)는 N번째 볼록렌즈 및 N+1번째 볼록렌즈(110)가 제공하는 영상은 동일한 시점의 영상이 되도록 형성하고 왼쪽 눈을 통해 보았을 때 대응하는 시점 영상과 오른쪽 눈으로 보았을 때 대응하는 시점영상이 서로 다르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두 눈의 시차를 생성하여 입체감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N>1보다 큰 자연수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each convex lens (110) constituting the lenticular lens (100) is formed so that the images provided by the Nth convex lens and the N+1th convex lens (110) are images of the same viewpoint, and when viewed through the left eye, the corresponding viewpoint image is different from the corresponding viewpoint image when viewed through the right eye, so that the user can create a three-dimensional effect by generating parallax between the two eyes. Here, N can be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N>1.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100)와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를 이격하기 위해 사용하는 갭 글라스(130) 두께의 감소가 가능한 다시점 무안경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4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a multi-view auto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thickness of a gap glass (130) used to separate the distance between a lenticular lens (100) and a displa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패널(200)이 제공하는 다시점의 개수가 N개일 때,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N개의 서브 픽셀 패턴(211)으로 발광하며, 각 시점의 서브 픽셀 패턴(211)은 교번하는 순서대로 배열됨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when the number of re-points provided by the display panel (200) is 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display panel (200) emits light with N sub-pixel patterns (211), and the sub-pixel patterns (211) of each point are arranged in an alternating order.
여기서, 서브 픽셀 패턴(211)은 디스플레이 패널(200) 상에 구현된 같은 시점을 위해 발광하는 서브 픽셀(210)들의 그룹을 의미할 수 있으며, 도면 상에 동일한 번호로서 세로로 나열된 컬러 필터 영역(220)의 그룹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총 7개의 시점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데, 4번째 시점의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서브 픽셀 패턴(211)들이 어느 위치에서 발광하는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 각 서브 픽셀(210)에 도시된 번호는 해당 서브 픽셀(210)이 발광하는 영상이 몇 번째 시점에 해당하는 것인지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다시 도 4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동일한 시점의 영상을 발광하기 위해 종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서브 픽셀(210)들을 하나의 그룹이라고 지칭할 때, 서브 픽셀 패턴(211)은 이러한 그룹들이 서로 이격하여 배열된 것들을 지칭하는 것이다. 이때, 각각의 그룹이 갖는 이격 간격은 모두 균일할 수 있다. Here, the sub-pixel pattern (211) may mean a group of sub-pixels (210) that emit light for the same point in time implemented on the display panel (200), and may correspond to a group of color filter regions (220) that are vertically listed with the same number on the drawing. For example, in FIG. 4, the display panel (200) can provide images of a total of seven points in time, and the positions at which the sub-pixel patterns (211) for providing an image of the fourth point in time emit light are illustrated. The number illustrated for each sub-pixel (210) in FIG. 2 indicates which point in time the image emitted by the corresponding sub-pixel (210) corresponds to. As can be confirmed again through FIG. 4, when sub-pixels (210) arranged in a vertical row to emit images of the same point in time are referred to as one group, the sub-pixel pattern (211) refers to these groups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the spacing between each group may be uniform.
이때, 각 볼록렌즈(110)는 대응하는 서브 픽셀 패턴(211)의 개수가 M개가 되도록 하는 렌즈 피치(120)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자연수 M은 다시점의 개수인 N개보다 작은 자연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픽셀 패턴(211)의 개수인 M은 다시점의 개수인 N의 절반(N/2) 또는 N/2에 근접한 자연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200)이 제공하는 시점이 6개이면, 각 볼록렌즈(110)마다 대응하는 서브 픽셀 패턴(211)의 개수는 3개가 될 수 있고, 시점이 7개이면, 서브 픽셀 패턴(211)의 개수는 3개 또는 4개가 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총 7개의 시점이 제공되고 있는 패널에서, 하나의 볼록렌즈(110)는 1,3,4,7번째 시점의 서브 픽셀패턴이 대응하여 배열되고, 이웃하는 볼록렌즈(110)에는 2,4,6번째 시점의 서브 픽셀패턴이 대응하여 배열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t this time, each convex lens (110) may be formed with a lens pitch (120) such that the number of corresponding sub-pixel patterns (211) becomes M. Here, the natural number M may be a natural number smaller than N, which is the number of re-points. For example, M, which is the number of sub-pixel patterns (211), may be half (N/2) of N, which is the number of re-points, or a natural number close to N/2. For example, if the display panel (200) provides 6 viewpoints, the number of corresponding sub-pixel patterns (211) for each convex lens (110) may be 3, and if the viewpoints are 7, the number of corresponding sub-pixel patterns (211) may be 3 or 4. Referring to FIG. 4, in a panel where a total of 7 viewpoints are provide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ub-pixel patterns of the 1st, 3rd, 4th, and 7th viewpoints are arranged correspondingly in one convex lens (110), and the sub-pixel patterns of the 2nd, 4th, and 6th viewpoints are arranged correspondingly in the neighboring convex lens (110).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볼록렌즈(110)에 대응하는 서브 픽셀 패턴(211)이 홀수 번째 시점(1,3,5,7??번째 시점)에 대한 패턴이면, 특정 볼록렌즈(110)와 이웃하는 볼록렌즈(110)에 대응하는 서브 픽셀 패턴(211)은 짝수 번째 시점(2,4,6??번째 시점)에 대한 패턴일 수 있다.Meanwhile, if the sub-pixel pattern (211) corresponding to a specific convex lens (110) as shown in the drawing is a pattern for odd-numbered viewpoints (1, 3, 5, 7??-th viewpoints), the sub-pixel pattern (211) corresponding to a convex lens (110) adjacent to a specific convex lens (110) may be a pattern for even-numbered viewpoints (2, 4, 6??-th viewpoints).
종래의 렌티큘러 방식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 필터 영역(220)이 서브 픽셀(210) 상에 촘촘히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렌즈 피치(120) 당 1번에서 7번까지의 컬러 필터 영역(220)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1번부터 7번까지의 컬러 필터 영역(220)이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뷰를 제공하여 입체영상을 체험할 수 있게 한다.In the conventional lenticular method, as shown in FIGS. 1A and 1B, color filter areas (220) are densely arranged on sub-pixels (210). For example, color filter areas (220) from 1 to 7 may be configured per one lens pitch (120). In addition, color filter areas (220) from 1 to 7 provide different views to the user, allowing the user to experience a stereoscopic image.
그에 반해, 본 발명에서 구현하게 되는 디스플레이는 서브 픽셀(210) 상에 각각의 형성된 컬러 필터 영역(220)의 간격이 1개의 컬러 필터 영역(220)이 삽입될 공간만큼 서로 이격하여 상에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첫 번째 볼록렌즈(110)에는 1번, 3번, 5번, 7번의 컬러 필터 영역(220)이 4개가 배치되어 있고, 두 번째 볼록렌즈(110)에는 2번, 4번, 6번의 컬러 필터 영역(220) 3개가 배치되어 있다.In contrast, in the display implem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or filter areas (220) formed on each sub-pixel (210) are arranged on the screen with the spacing between them equal to the space in which one color filter area (220) is inserted. For example, four color filter areas (220) of No. 1, No. 3, No. 5, and No. 7 are arranged on the first convex lens (110), and three color filter areas (220) of No. 2, No. 4, and No. 6 are arranged on the second convex lens (110).
이때, 렌티큘러 렌즈(100)의 렌즈 피치(120) 당 각각에 배치된 컬러 필터 영역(220)은 순서대로 반복되어 배치되고, 동일한 번호에 해당되는 컬러 필터 영역(220)은 동일한 입체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색상을 필터링 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4에는 사용자의 시점 라인이 4번 컬러 필터 영역(220)에 고정되는 경우 4번에 대응되는 컬러 필터 영역(220)만 볼록렌즈(110)를 통해 확대되어 보이고 나머지 컬러 필터 영역(220)은 보이지 않게 되어 사용자에게 입체영상을 제공하게 된다. 렌티큘러 렌즈(100)를 구성하는 각 볼록렌즈(110)는 N번째 볼록렌즈 및 N+1번째 볼록렌즈(110)가 제공하는 영상은 서로 다른 시점의 영상이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한 개의 볼록렌즈(110) 안에 표시해야 하는 시점의 영상이 반으로 줄일수 있다. N번째에서 시점영상이 보여진다면, N+1번째 볼록렌즈(110)를 통해서는 검은 매트릭스(즉, 블랙영역(230))가 보여지게 되며, N 및 N+1q번째 볼록 렌즈(110)를 통해 한 개의 시점 영상만 보여지게 된다. 이것은 N번째 볼록렌즈(110)에 전체 시점 영상을 재생하기 위해서 시점영상의 수에 해당하는 서브 픽셀(210)이 필요했던 기존의 방식대비 절반의 서브 픽셀(210)만 필요하게 되므로, 렌즈 피치(120)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특정 위치에서 오른 쪽 눈으로 N번째 볼록렌즈(110)를 통해 1번에 해당하는 시점영상을 본다면, 동일한 오른 쪽 눈으로 N+1번재 볼록렌즈(110)를 통해서는 검은색(블랙영역(230)만 보이게 된다. 그러나 왼쪽 눈으로 N번째 볼록렌즈(110)를 본다면 검은색(블랙영역(230)만 보이게 되고, N+1번째 볼록렌즈(110)에서는 2번에 해당하는 시점영상이 보이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한다면 왼쪽 눈과 오른 쪽 눈은 상기와 동일한 원리로 서로 다른 시점영상을 보게 되어 입체감과 시차를 형성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lor filter areas (220) arranged in each lens pitch (120) of the lenticular lens (100) are arranged in a sequential and repeated manner, and the color filter areas (220) corresponding to the same number filter the color for reproducing the same stereoscopic image. For example, in FIG. 4, when the user's viewpoint line is fixed to the color filter area (220) number 4, only the color filter area (220) corresponding to number 4 is enlarged and visible through the convex lens (110), and the remaining color filter areas (220) are invisible, thereby providing the user with a stereoscopic image. Each convex lens (110) constituting the lenticular lens (100) forms the images provided by the Nth convex lens and the N+1th convex lens (110) so that they are images of different viewpoints,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viewpoints that must be displayed within one convex lens (110) by half. If the viewpoint image is shown at the Nth, a black matrix (i.e., black area (230)) is shown through the (N+1)th convex lens (110), and only one viewpoint image is shown through the Nth and (N+1q)th convex lenses (110). This means that only half the number of subpixels (210)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viewpoint images is needed to reproduce the entire viewpoint image on the Nth convex lens (110), so that the lens pitch (120) can be reduced. If a user views the viewpoint image corresponding to No. 1 through the Nth convex lens (110) with the right eye at a specific location, only black (black area (230)) is visible through the N+1th convex lens (110) with the same right eye. However, if the user views the Nth convex lens (110) with the left eye, only black (black area (230)) is visible, and the viewpoint image corresponding to No. 2 is visible through the N+1th convex lens (110). If the user moves to the left or right,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view different viewpoint images according to the same principle as above, thereby form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and parallax.
도 5 및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래의 무안경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와의 갭 글라스 비교를 위한 도면이다.FIGS. 5 and 6 are drawings for comparison of gap glass with a conventional autostereoscopic stereoscopic displa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에서 그림(a)는 종래의 디스플레이를, 그림(b)는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의 예시이다. 이때, 이하의 도 6에서 일부 시점을 나타내는 화살표가 볼록렌즈(120)의 가장자리를 관통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 사용자의 시점은 볼록렌즈(120)의 중앙을 지나게 되기에 도면에 도시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는 않는다.In FIGS. 5 and 6, (a) i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display, and (b) is an example of a display to be implem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in FIG. 6 below, arrows indicating some viewpoints are depicted as penetrating the edge of a convex lens (120), but since an actual user's viewpoint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convex lens (120), the form depicted in the drawings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 그림(a)와 그림(b)를 참고하면, 기존과 동일한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하는 경우 그림(b)에 해당되는 본 발명을 통해 구현된 디스플레이의 갭 글래스(130) 두께가 기존의 기술에 대응되는 그림(a)의 갭 글라스(130) 두께 대비 대폭 줄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a) and (b) in FIG. 5, when configuring an environment in which the same stereoscopic image can be viewed as before, the thickness of the gap glass (130) of the display implemente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ing to Figure (b)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thickness of the gap glass (130) of Figure (a) corresponding to the existing technology.
또한, 입체영상의 디스플레이가 멀티뷰를 제공하는 경우 시청 위치에 따라 7개의 영상 중 특정 영상만을 사용자가 볼 수 있게 되는데, 이때 기존 방식과 동일하게 특정 위치에서 특정 영상이 사용자의 시점에 보여지게 되더라도, 종래의 방식에 비해 본 발명의 방식이 갭 글라스(130)의 두께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provides multi-view, the user can view only a specific image among the seven images depending on the viewing position. In this case, even if a specific image is shown from the user's viewpoint at a specific location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ventional method,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reduce the thickness of the gap glass (130)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또한, 도 6를 참고하면, 그림(a)는 하나의 볼록렌즈 (120) 당 서브 픽셀 패턴(211)이 1번에서 7번까지 7개가 대응되도록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의 (b)에서 검은색 배경으로 숫자가 새겨진 부분들은 실제로 해당 시점의 픽셀이 배치된 부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이웃하는 서브픽셀 사이의 블랙영역(230)을 의미하는 것이다. 다만, 해당 블랙영역(230)에 서브 픽셀(210)을 배치시킬 수 있었다면, 몇 번 시점의 픽셀이 배치되었는지를 숫자로 기재한 것이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도 6(b)의 가장 좌측의 볼록렌즈(110)와 대응하도록 배치된 서브 픽셀 패턴(211)은 1번째, 3번째, 5번째, 7번째 서브 픽셀 패턴(211)이고, 이웃하는 볼록렌즈(110)와 대응하도록 배치된 서브 픽셀 패턴(211)은 2번째, 4번째, 6번째 서브 픽셀 패턴(211)이다. 즉, 도 6(b)의 볼록렌즈(110)는 도 6(a)의 볼록렌즈(110)와 대비하여 대응되는 서브 픽셀 패턴(211)이 1/2로 줄어있다. Also, referring to Fig. 6, it can be confirmed that in Fig. 6 (a), 7 sub-pixel patterns (211) are arranged from 1 to 7 corresponding to each convex lens (120). In Fig. 6 (b), the parts with numbers engraved on a black background do not actually mean the parts where the pixels at the corresponding time points are arranged, but rather mean the black areas (230) between neighboring sub-pixels. However, if the sub-pixels (210) could be arranged in the corresponding black areas (230), the number indicates which time point the pixels were arranged at. Therefore, the sub-pixel patterns (211)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leftmost convex lens (110) in Fig. 6 (b) are the 1st, 3rd, 5th, and 7th sub-pixel patterns (211), and the sub-pixel patterns (211)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neighboring convex lenses (110) are the 2nd, 4th, and 6th sub-pixel patterns (211). That is, the convex lens (110) of Fig. 6(b) has a corresponding sub-pixel pattern (211) reduced by half compared to the convex lens (110) of Fig. 6(a).
그림에서 표시된 붉은색 선은 1번시점에 해당하는 영상이 사용자에게 입사되는 라인을 의미한다. 도 6(a)는 총 4개의 붉은색 선이 사용자에게 입사되고 있고, 도 6(b)역시 총 4개의 붉은색 선이 사용자에게 입사되고 있다. 즉, 도 6(a)와 도 6(b)의 케이스는 모두 동일한 해상도를 나타낸다. The red lines shown in the figure represent the lines along which the image corresponding to time point 1 is incident on the user. In Fig. 6(a), a total of four red lines are incident on the user, and in Fig. 6(b), a total of four red lines are also incident on the user. In other words, the cases of Fig. 6(a) and Fig. 6(b) both show the same resolution.
종합해보면, 도 6(b)의 구조는 렌즈 피치(120)와 갭 글라스(130)의 길이가 도6(a)와 대비하여 1/2로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해상도를 나타낼 수 있다. In summary, the structure of Fig. 6(b) can exhibit the same resolution even though the length of the lens pitch (120) and the gap glass (130) is reduced by half compared to Fig. 6(a).
상기에 설명된 바를 수학적으로 설명하면, 특정 거리(최적 시청거리, OVD라고 명칭됨)에서 사용자의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 서로 다른 영상이 보이도록 하려면, 시역(특정 이미지가 보이는 영역) 간의 거리는 양쪽 눈 사이의 거리와 일치해야만 한다. 보통 사람의 눈동자 사이의 거리를 65mm로 가정하는 경우 1번과 7번의 컬러 필터 영역(220) 사이의 간격을 65mm 간격으로 구성하여, 총 65mm*7개의 범위 내에서 입체영상이 재생되어야 한다.To explain the above mathematically, in order to show different images to the user's left and right eyes at a specific distance (called the optimal viewing distance, OVD), the distance between the visual fields (areas where specific images are visible) must match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eyes. Assuming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pupils of a normal human is 65 mm, the interval between the color filter areas (220) of No. 1 and No. 7 must be configured at 65 mm intervals, so that a stereoscopic image must be reproduced within a total range of 65 mm * 7.
만약, 입체영상이 65mm*7개의 범위보다 넓어지는 경우 특정 위치에서 두 눈이 동일한 영상을 보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If the stereoscopic image is wider than 65mm*7, there will be cases where both eyes see the same image at a certain location.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최적의 범위는 렌티큘러 렌즈(100)의 렌즈 피치(120)에 비례하고, 갭 글라스(130)의 두께에 반비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간의 거리가 1m이고, 7개의 영상을 재생한다고 가정하면, 1번부터 7번시점 영상이 보여지는 전체 시역길이에 대한 최적의 범위는 65*7=455mm가 된다. 만약, 기존의 렌즈 피치(120)가 1.0mm인 경우 필요한 갭 글라스(130)의 두께는 아래의 [수학식1]과 같이 2.2mm가 된다.The optimal range for preventing such a situation is proportional to the lens pitch (120) of the lenticular lens (100) and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thickness of the gap glass (130).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display is 1 m and 7 images are played, the optimal range for the entire viewing length where images from viewpoints 1 to 7 are shown is 65*7=455 mm. If the existing lens pitch (120) is 1.0 mm, the required thickness of the gap glass (130) is 2.2 mm as in [Mathematical Formula 1] below.
[수학식 1]: [Mathematical Formula 1]:
r: 전체 시점 영상이 보여지기 위한 시역길이에 대한 최적 범위, L: 최적 시청 거리, : 렌즈 피치, : 갭 글라스r: optimal range of viewing length for the entire viewpoint image to be visible, L: optimal viewing distance, : Lens pitch, : Gap Glass
반면, 본 발명에 의해 줄어든 렌즈 피치(120)는 1.0mm*4.5/7=0.64mm에 해당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갭 글래스의 두께는 1.4mm에 해당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ens pitch (120) reduc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correspond to 1.0 mm*4.5/7=0.64 mm, and accordingly, the thickness of the gap glass can correspond to 1.4 mm.
이러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구조를 통해 갭 글래스(130) 두께를 기존의 방식 대비 65%가량 줄일 수 있게 된다(이는 컬러 필터 영역(220)의 면적을 종래의 1/2로 줄였을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Through the structure presented in this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gap glass (130) can be reduced by approximately 65%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this assumes that the area of the color filter region (220) is reduced to half of the conventional siz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component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볼록렌즈
120: 렌즈 피치 130: 갭 글라스
200: 디스플레이 패널 210: 서브 픽셀
211: 서브 픽셀 패턴 220: 컬러 필터 영역
221: 특정 컬러 필터 영역 230: 블랙영역100: Display device 110: Convex lens
120: Lens Pitch 130: Gap Glass
200: Display panel 210: Sub pixel
211: Sub-pixel pattern 220: Color filter area
221: Specific color filter area 230: Black area
Claims (8)
기설정된 길이의 렌즈 피치를 갖는 복수의 볼록렌즈로 구성되는 렌티큘러 렌즈;
상기 렌티큘러 렌즈의 하부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형성된 갭 글라스; 및
상기 렌티큘러 렌즈의 하부에 배치되며, 다시점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서브 픽셀들을 포함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각 볼록렌즈는, N번째 볼록렌즈 및 N+1번째 볼록렌즈(N>1보다 큰 자연수)가 제공하는 영상은 서로 다른 시점의 영상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인, 갭글라스 두께의 감소가 가능한 다시점 무안경 입체영상 표시장치.In a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gap glass thickness,
A lenticular lens comprising a plurality of convex lenses having a lens pitch of a preset length;
Gap glass formed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lenticular lens and the display panel; and
A display panel is disposed below the lenticular lens and includes sub-pixels for providing a multi-view image,
A multi-view auto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gap glass thickness, wherein each of the above convex lenses is formed such that the images provided by the Nth convex lens and the N+1th convex lens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1) are images from different viewpoints.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제공하는 다시점의 개수가 N개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N개의 서브 픽셀 패턴으로 발광하며, 각 시점의 상기 서브 픽셀 패턴은 교번하는 순서대로 배열되고,
각 상기 볼록렌즈는, 대응하는 상기 서브 픽셀 패턴의 개수가 M(M은 N보다 작은 자연수)개가 되도록 하는 렌즈 피치로 형성되는 것인, 갭글라스 두께의 감소가 가능한 다시점 무안경 입체영상 표시장치.In paragraph 1,
When the number of re-points provided by the display panel is N, the display panel emits light with N sub-pixel patterns, and the sub-pixel patterns at each point are arranged in an alternating order.
A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gap glass thickness, wherein each of the above convex lenses is formed with a lens pitch such that the number of corresponding sub-pixel patterns is M (M is a natural number smaller than N).
상기 M은 N/2 또는 N/2와 근사한 자연수인 것인, 갭글라스 두께의 감소가 가능한 다시점 무안경 입체영상 표시장치.In the second paragraph,
A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gap glass thickness, wherein M is a natural number close to N/2 or N/2.
각각의 상기 서브 픽셀은 블랙영역 및 상기 블랙영역 상에 형성되는 컬러 필터 영역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상기 서브 픽셀의 전체 면적 중 상기 컬러 필터 영역이 차지하는 면적은 절반 이하인 것인, 갭글라스 두께의 감소가 가능한 다시점 무안경 입체영상 표시장치.In paragraph 1,
A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gap glass thickness, wherein each of the above sub-pixels is composed of a black area and a color filter area formed on the black area, and the area occupied by the color filter area of the total area of each of the above sub-pixels is less than half.
특정 볼록렌즈에 대응하는 상기 서브 픽셀 패턴이 홀수 번째 시점에 대한 패턴이면, 상기 특정 볼록렌즈와 이웃하는 상기 볼록렌즈에 대응하는 상기 서브 픽셀 패턴은 짝수 번째 시점에 대한 패턴인 것인, 갭글라스 두께의 감소가 가능한 다시점 무안경 입체영상 표시장치.In paragraph 4,
A multi-view auto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gap glass thickness, wherein the sub-pixel patter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convex lens is a pattern for odd viewpoints, and the sub-pixel pattern corresponding to a convex lens adjacent to the specific convex lens is a pattern for even viewpoints.
상기 서브 픽셀 내의 컬러 필터 영역이 차지하는 면적이 작아질수록 상기 렌티큘러 렌즈의 각 볼록렌즈의 렌즈 피치가 작아지는 것인, 갭글라스 두께의 감소가 가능한 다시점 무안경 입체영상 표시장치.In paragraph 4,
A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gap glass thickness, wherein the lens pitch of each convex lens of the lenticular lens becomes smaller as the area occupied by the color filter region within the sub-pixel becomes smaller.
각각의 상기 컬러 필터 영역은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모두 RGBRGB 순서의 색상 형태로 반복 배열되는 것인, 갭글라스 두께의 감소가 가능한 다시점 무안경 입체영상 표시장치.In paragraph 5,
A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gap glass thickness, wherein each of the above color filter areas is repeatedly arranged in a color form of RGBRGB order in both the up-down and left-right directions.
상기 렌즈피치의 길이 및 갭 글라스의 두께는 제 1 항의 장치와 동일한 다시점을 제공하되 각 볼록렌즈마다 모든 다시점 영상을 동일하게 제공하는 장치의 것보다 작은 것인, 갭글라스 두께의 감소가 가능한 다시점 무안경 입체영상 표시장치.
In paragraph 1,
A multi-view auto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gap glass thickness, wherein the length of the lens pitch and the thickness of the gap glass provide the same multi-viewpoint as the device of claim 1, but are smaller than those of a device that provides all multi-viewpoint images equally for each convex lens.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45158A KR102764677B1 (en) | 2023-04-06 | 2023-04-06 | Multi-view glasses-free 3d display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thickness of gap glass |
PCT/KR2024/001804 WO2024210317A1 (en) | 2023-04-06 | 2024-02-07 | Multi-view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capable of reducing gap glass thicknes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45158A KR102764677B1 (en) | 2023-04-06 | 2023-04-06 | Multi-view glasses-free 3d display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thickness of gap glas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49535A KR20240149535A (en) | 2024-10-15 |
KR102764677B1 true KR102764677B1 (en) | 2025-02-11 |
Family
ID=92972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45158A Active KR102764677B1 (en) | 2023-04-06 | 2023-04-06 | Multi-view glasses-free 3d display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thickness of gap glass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764677B1 (en) |
WO (1) | WO2024210317A1 (en)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96777A (en) * | 1995-09-29 | 1997-04-08 | Canon Inc | Three-dimensional display |
KR102039361B1 (en) * | 2012-12-24 | 2019-11-0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
KR101463918B1 (en) * | 2013-04-26 | 2014-11-21 |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 Apparatus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s in glassless mode for multiple viewers |
KR20140143905A (en) * | 2013-06-10 | 2014-12-18 |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 Apparatus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s in glassless mode |
KR102218777B1 (en) * | 2014-09-11 | 2021-02-1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Autostereoscopic 3d display device |
KR102573104B1 (en) * | 2017-12-27 | 2023-08-3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Head up display device |
-
2023
- 2023-04-06 KR KR1020230045158A patent/KR102764677B1/en active Active
-
2024
- 2024-02-07 WO PCT/KR2024/001804 patent/WO2024210317A1/en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49535A (en) | 2024-10-15 |
WO2024210317A1 (en) | 2024-10-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966830B2 (en) | 3D display device | |
US7817339B2 (en) | Display panel for 3-dimensional display device and 3-dimension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KR101265893B1 (en) | Controlling the angular extent of autostereoscopic viewing zones | |
KR102214355B1 (en) | Three 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 |
JP5332978B2 (en) | 3D display device | |
KR100658545B1 (en) | Apparatus for reproducing stereo-scopic picture | |
JP5351129B2 (en) | Oblique direction parallax barrier typ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 |
KR101413244B1 (en) | Apparatus for 3-dimensional displaying using modified common viewing zone | |
CN103261946B (en) | Naked-eye stereoscopic display device | |
CN105182553B (en) | Display device | |
KR101357163B1 (en) | Auto stereoscopic display improving brightness | |
JP5621501B2 (en) |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stereoscopic display method | |
CN101507287A (en) |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method | |
JP2008547060A (en) | Autostereoscopic display with improved sharpness for non-primary viewing zones | |
JP2009524118A (en) |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having net structure | |
JP2010524309A (en) | Method and configuration for three-dimensional display | |
JP4327758B2 (en) |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 |
KR20150055442A (en) | Three 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 |
KR20140134512A (en) | Three 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three dimensional image | |
JP5621500B2 (en) |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stereoscopic display method | |
KR102098286B1 (en) | Apparatus for 3-dimensional display | |
KR101471654B1 (en) | Apparatus for 3-dimensional displaying having modified delta pixel structure | |
KR101239058B1 (en) | The device of autostereosopic display seeing long distance range | |
KR102764677B1 (en) | Multi-view glasses-free 3d display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thickness of gap glass | |
KR101190050B1 (en) | 3-dimensional displaying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4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