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63995B1 - 건축물에 설치되는 전기배선함체의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축물에 설치되는 전기배선함체의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63995B1
KR102763995B1 KR1020240116153A KR20240116153A KR102763995B1 KR 102763995 B1 KR102763995 B1 KR 102763995B1 KR 1020240116153 A KR1020240116153 A KR 1020240116153A KR 20240116153 A KR20240116153 A KR 20240116153A KR 102763995 B1 KR102763995 B1 KR 102763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thread
circuit breaker
screw
screw shaft
gripp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116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광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40116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639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63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6399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32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J13/00036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elements or equipment being or involving switches, relays or circuit break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4Circuit arrangements for boards or switchy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에 설치되는 전기배선함체의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배선함체와 전기배선함체로부터 차단기 스위치의 ON/OFF 상태 신호를 전송받아 별도의 출력유닛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고, 별도의 입력유닛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전기배선함체로 이동장치를 작동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물에 설치되는 전기배선함체의 관리시스템{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al wiring enclosures installed in buildings}
본 발명은 건축물에 설치되는 전기배선함체의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배선함체는 배전반, 수전반 또는 분전반 중의 어느 하나를 가리킨다(등록실용신안 제20-0357696호(이하 종래기술 1), 등록특허 제10-1524216호(이하 종래기술 2) 참조).
도 1은 종래에 따른 전기배선함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로서, 전기배선함체(100)는 스위치(15)를 포함하여 과전류나 누전에 대한 차단기능을 갖는 하나 이상의 차단기(10)와, 차단기(10)를 포함하는 캐비넷(20)과, 캐비넷(20)을 밀폐하는 도어부(30)를 구비하여,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하나 이상의 부하로 해당 전력을 분배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과전류나 누전 등에 의한 정전 발생시, 비상용 자가발전에 의한 전력인입을 위해 차단기(10)의 ON/OFF 상태를 제어하고, 또한 복전시 원상태의 전력인입을 위해 차단기(10)의 ON/OFF 상태를 제어해야 한다. 그런데, 비상발전 가동시 또는 복전시 차단기(10)의 ON/OFF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직접 전기배선함체(100)의 도어부를 열어서 차단기(10)의 ON/OFF 상태를 제어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관리자가 직접 차단기(10)를 제어하는 과정에서 고압 전압에 의한 감전사고의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중앙 제어에 의한 전기배선함체의 통합적인 관리가 요구되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57696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24216호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기배선함체의 각 차단기의 스위치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위치를 포함하여 과전류 또는 누전에 대한 차단기능을 갖는 차단기와, 차단기를 포함하는 캐비넷과, 캐비닛을 밀폐하는 도어부와, 차단기의 스위치를 ON/OFF 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글리퍼와, 도어부의 내면에 부착되어 글리퍼를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와, 캐비넷 또는 도어부에 설치되며 차단기 스위치의 ON/OFF 상태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부와, 캐비넷 또는 도어부에 설치되고 개폐 감지부와 연결되며 이동장치를 작동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하나 이상의 부하로 분배하는 전기배선함체와; 및 전기배선함체로부터 차단기 스위치의 ON/OFF 상태 신호를 전송받아 별도의 출력유닛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고, 별도의 입력유닛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전기배선함체로 이동장치를 작동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장치는, 도어부의 내면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되어 회전가능한 제1 스크류축과, 제1 스크류축을 회전시키는 제1 모터와, 제1 스크류축의 나선부에 대응하는 대응 나선부를 갖추고 제1 스크류축의 회전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수평이동부와, 수평이동부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어 회전가능한 제2 스크류축과, 제2 스크류축을 회전시키는 제2 모터와, 제2 스크류축의 나선부에 대응하는 대응 나선부를 갖추고 제2 스크류축의 회전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직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글리퍼는 수직이동부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차단기 스위치의 ON/OFF 상태 신호를 전송받아 표시부에 출력하고, 관리서버로 전기배선함체의 이동장치를 작동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말기(PC, PDA 또는 휴대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이동부는, 상기 제2 스크류축이 결합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설치홈, 및 상기 설치홈에 구비되는 제1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글리퍼는, 전방측이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나사산과 나사 체결되는 제2나사산을 포함하는 무두볼트, 전후 방향을 길이를 가지며 내측에 중공이 형성되고 전방측 개구를 통해 상기 무두볼트의 후방측이 삽입되는 관체, 상기 관체의 전방측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나사산과 나사 체결되는 제3나사산, 상기 관체 후방측 내주면에 구비되는 제4나사산, 및 상기 무두볼트보다 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관체 후방측 개구를 통해 전방측이 상기 관체의 중공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4나사산과 나사 체결되는 제5나사산을 포함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나사산은, 상기 제4나사산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글리퍼는, 상기 길이조절부 후방측에서 전방으로 형성된 끼움홈, 상기 길이조절부보다 후방측에 배치되되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완충부, 상기 완충부 전방에서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전방으로 돌출 구비되는 끼움돌부, 및 상기 관체 중공에 삽입되되 상기 삽입부와 상기 무두볼트 사이에 배치되고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충격흡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배선함체의 각 차단기의 스위치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전기배선함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함체의 원격제어시스템을 나타낸 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배선함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
도 4의 (a),(b),(c),(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스위치를 ON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와 수직이동부의 측면도.
도 6은 글리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글리퍼의 분해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통신가능한 전기적 연결도 포함)"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통신가능한 전기적 연결도 포함)”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함체의 원격제어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배선함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2에서와 같이, 전기배선함체의 원격제어시스템은 전기배선함체(200)와, 전기배선함체(200)에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연결되는 관리서버(400)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전기배선함체(200)는 도 3에서와 같이, 스위치(110)를 포함하여 과전류 또는 누전에 대한 차단기능을 갖는 차단기(120)와, 차단기(120)를 포함하는 캐비넷(130)과, 캐비넷(130)을 밀폐하는 도어부(140)와, 차단기(120)의 스위치(110)를 ON/OFF 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글리퍼(150)와, 도어부(140)의 내면에 부착되어 글리퍼(150)를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와, 캐비넷(130) 또는 도어부(140)에 설치되며 차단기(120)의 스위치(110)의 ON/OFF 상태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부(170)와, 캐비넷(130) 또는 도어부(140)에 설치되고 개폐 감지부(170)와 연결되며 관리서버(400)의 이동장치를 작동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하나 이상의 부하로 전력을 분배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400)는 전기배선함체(200)로부터 차단기(120)의 스위치(110)의 ON/OFF 상태 신호를 전송받아서 이를 별도의 출력유닛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고, 별도의 입력유닛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전기배선함체(200)로 이동장치를 작동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 때, 제어신호는 차단기에 대한 차단명령 신호, 차단 해제명령 신호, 또는 리셋명령 신호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배선함체의 원격제어시스템은 관리서버(400)로부터 차단기(120)의 스위치(110)의 ON/OFF 상태 신호를 전송받아서 이를 표시부(미도시)에 출력하고, 관리서버(400)로 전기배선함체(200)의 이동장치를 작동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말기(PC, PDA 또는 휴대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신호는 차단기에 대한 차단명령 신호, 차단해제명령 신호, 또는 리셋명령 신호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40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단말기(개인용 컴퓨터, PDA 또는 휴대폰)(500)와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장치는, 도어부(140)의 내면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되어 회전가능한 제1 스크류축(210)과, 제1 스크류축(210)을 회전시키는 제1 모터(220)와, 제1 스크류축(210)의 나선부에 대응하는 대응 나선부를 갖추고 제1 스크류축(210)의 회전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수평이동부(230)와, 수평이동부(230)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어 회전가능한 제2 스크류축(240)과, 제2 스크류축(240)을 회전시키는 제2 모터(250)와, 제2 스크류축(240)의 나선부에 대응하는 대응 나선부를 갖추고 제2 스크류축(240)의 회전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직이동부(260)를 포함한다. 이때, 글리퍼(150)는 수직이동부(260)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이동부(230)는 수평가이드부(215)에 고정되어 제1 스크류축(210)의 회전에 따라 수평이동부(230)가 같이 회전하지 않고,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마찬가지로, 수직이동부(260)도 수직가이드부(245)에 고정되어 제2 스크류축(240)의 회전에 따라 수직이동부(260)가 같이 회전하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1 스크류축(210) 및 제2 스크류축(240)은 각각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고정축(280)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또한, 수평가이드부(215)의 고정축(290)은 수평 가이드부(215)를 수평방향으로 고정시킨다. 미도시되었으나, 수직가이드부(245)도 동일하게 고정축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이동장치는 차단기의 스위치와의 거리를 고려하여 도어부에 부착되어 설계되나, 별도의 지지체에 의해서 고정설계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제1 모터(220) 및 제2 모터(250)의 회전에 따른 수평이동부(230)와 수직이동부(260)의 이동 거리 정보와, 각 차단기의 위치정보가 설정되어 있어서, 관리서버(4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수평이동부(230) 및 수직이동부(260)를 이동시킴으로써 글리퍼(150)가 차단기(120)의 스위치(110)를 자동으로 ON/OFF시킬 수 있고, 개폐감지부(170)를 통하여 스위치(110)의 ON/OFF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제어부(180)가 관리서버(4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수평이동부(230) 및 수직이동부(260)를 이동시켰으나, 스위치(110)가 상기 관리서버(400)의입력 신호에 따른 상태로 변경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자동으로 수평이동부(230) 및 수직이동부(260)를 초기 설정위치로 리셋시킬 수 있으며, 또는 관리서버(4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수평이동부(230) 및 수직이동부(260)를 초기 설정위치로 리셋시킬 수도 있다.
도 4의 (a),(b),(c),(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스위치를 ON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와 수직이동부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단, 도 4의(a),(b),(c),(d)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동장치의 구성을 간략화하였으며, 제어부 및 개폐감지부 등의 구성은 생략하였으나, 구체적으로는 도 3에서와 같다.
도 4(a)와 같이, 수평이동부(380) 및 수직이동부(370)가 초기 설정위치에 있고, 1번 차단기(310), 2번 차단기(320), 3번 차단기(330), 4번 차단기(340) 및 6번 차단기(360)의 스위치가 ON 상태로 되어 있고, 5번 차단기(350)가 OFF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 관리서버(400)의 입력신호에 따라 제어부가 5번 차단기(350)의 스위치(355)를 ON 상태로 변경시키고자 하는 경우, 도 4(b)와 같이, 제어부는 설정값에 따라 수직이동부(370)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수직이동부(370)는 글리퍼가 수평으로 이동시켰을 때 5번 차단기(350)의 스위치(355)와 겹치지 않도록 스위치(355)보다 아랫방향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후, 도 4(c)에서와 같이 수평이동부(38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5번 차단기(350)의 스위치(355)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후, 도 4(d)에서와 같이, 수직이동부(370)를 이동시켜 글리퍼가 스위치를 ON 상태로 변경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서와 같이, 글리퍼(150)의 상단부가 수직이동부(260)의 이동에 따라 차단기(350)의 스위치(355)를 ON 방향으로 밀어낸다. 이후, 이동장치는 초기설정위치로 이동한다.
도 6은 글리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글리퍼의 분해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글리퍼(15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수직이동부(260)는 상기 제2 스크류축(240)이 결합되는 바디(261), 상기 바디(261)의 전방으로 형성되는 설치홈(262), 및 상기 설치홈(262)에 구비되는 제1나사산(26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방이란 전기배선함체(100)에서 도어부(140) 측 방향으로서, 도 5 및 도 6을 기준으로 우측 방향이고, 후술하는 후방은 상기 전방의 반대 방향으로서, 도 5 및 도 6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글리퍼(150)는, 전방측이 상기 설치홈(262)에 삽입되는 몸체부(151a)와 상기 몸체부(151a)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나사산(263)과 나사 체결되는 제2나사산(2151b)을 포함하는 무두볼트(151)를 포함할 수 있다.
글리퍼(150)는 전후 방향의 길이를 가지며 내측에 중공(152h)이 형성되고 전방측 개구를 통해 상기 중공(152h) 측으로 상기 무두볼트(151)의 후방측이 삽입되는 관체(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리퍼(150)는 상기 관체(150)의 전방측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나사산(151b)과 나사 체결되는 제3나사산(153)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체(152)와 상기 무두볼트(151)는 상호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또한, 글리퍼(150)는 상기 관체(152) 후방측 내주면에 구비되는 제4나사산(1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나사산(153)과 상기 제4나사산(154)은 상호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글리퍼(150)는 상기 무두볼트(151)보다 후방측에 배치되고, 전방측이 상기 관체(152)의 후방측 개구를 통해 상기 중공(152h)에 삽입되는 삽입부(155a)와 상기 삽입부(155a)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4나사산(154)과 나사 체결되는 제5나사산(155b)을 포함하는 길이조절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때에 따라 상기 길이조절부(155)와 관체(152)의 나사 체결 정도를 달리 하여, 관체(152), 길이조절부(155) 및 상기 무두볼트(151)가 형성하는 결합체의 길이를 달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글리퍼(150)가 연결되는 도어부(140)와 스위치(110)의 거리에 따라 상기 결합체의 길이를 조절하여 적용할 수 있어,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도어부(140)와 스위치(111)의 거리가 멀어 수직이동부(260)와 스위치(110)가 큰 거리로 이격되는 경우 상기 결합체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수직이동부(260)와 스위치(110)의 이격 거리가 짧은 경우에는 상기 결합체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나사산(263)과 제2나사산(151b)의 나사 체결 정도에 따라 상기 결합체의 돌출 정도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나사산(263)와 제2나사산(151b)이 나사 체결되므로 상기 무두볼트(151)가 설치홈에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따라서 글리퍼(150)의 유지보수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결합체를 구성하는 무두볼트(151) 및 길이조절부(155)가 관체(152)와 나사 체결되어 상기 관체(152), 무두볼트(151) 및 길이조절부(155)를 각각 분리할 수 있어 교체 및 유지보수 성이 우수한 이점 또한 있다.
한편, 상기 제3나사산(153)은 상기 제4나사산(154)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3나사산(153)은 전방에서 봤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전방 측에서 후방측으로 진행할 수 있고, 상기 제4나사산(154)은 전방에서 봤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3나사산(153)은 제2나사산(151b)과 나사 체결된다고 하였으므로 나사산의 방향은 제3나사산(153)과 제2나사산(151b)이 상응하고, 마찬가지로 제4나사산(154)와 제5나사산(155b)의 방향 또한 상응하다.
한편, 상기 제3나사산(153)과 제4나사산(154)이 상호 역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상기 길이조절부(155)를 파지하여 고정 시킨 상태에서 상기 관체(152)를 회전시키는 경우 관체(152)에서 상기 무두볼트(151)와 길이조절부(155)를 동시에 나사 체결되도록 하거나 동시에 분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체가 설치홈(262)에 삽입되어 제1나사산(263)에 체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길이조절부(155)를 파지하여 길이조절부(155)가 회전되지 않게 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관체(15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셩구 상기 관체(152)는 상기 무두볼트(151)와 분리되며 상기 길이조절부(155)와도 분리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관체(152)을 상기 일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관체(152)를 한번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무두볼트(151) 및 길이조절부(155) 각각과 동시에 나사 체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상기 결합체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한편, 글리퍼(150)는 상기 길이조절부(155) 후방측에서 전방으로 함몰 형성된 끼움홈(156), 상기 길이조절부(155)보다 후방측에 배치되되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완충부(157), 상기 완충부(157) 전방에서 상기 끼움홈(156)에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전방으로 돌출 구비되는 끼움돌부(15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157)는 상기 길이조절부(155)와 스위치(110)의 반복적인 접촉에 따른 내구성 저하와 손상 변형을 억제하기 위한 구성으로 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탄성 변형되고 이를 통해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완충부(157)는 상기 끼움홈(156)와 끼움돌부(158) 구성을 통해 길이조절부(155)와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어 교체가 용이하므로, 상기 완충부(157)를 소모 부품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글리퍼(150)는 상기 관체(152) 중공(152h)에 삽입되되 상기 삽입부(155a)와 상기 무두볼트(151) 사이에 배치되고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충격흡수부재(15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부재(159)는 상기 길이조절부(155)가 관체(152)와 나사 체결되어 전방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무두볼트(151)와 충돌을 방지하고 충격을 흡수 분산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전기배선함체 110 : 스위치
120 : 차단기 130 : 캐비넷
140 : 도어부 150 : 글리퍼
151: 무두볼트 151a: 몸체부
151b: 제2나사산 152: 관체
152h: 중공 153: 제3나사산
154: 제4나사산 155: 길이조절부
155a: 삽입부 155b: 제5나사산
156: 끼움홈 157: 완충부
158: 끼움돌부 159: 충격흡수부재
170 : 개폐감지부 180 : 제어부
210 : 제1 스크류축 215, 245 : 가이드부
220 : 제1 모터 230 : 수평이동부
240 : 제2 스크류축 250 : 제2 모터
260 : 수직이동부 261: 바디
262: 설치홈 263: 제1나사산
280 : 고정축 400 : 관리 서버
500 : 단말기

Claims (3)

  1. 스위치를 포함하여 과전류 또는 누전에 대한 차단기능을 갖는 차단기와, 차단기를 포함하는 캐비넷과, 캐비닛을 밀폐하는 도어부와, 차단기의 스위치를 ON/OFF 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글리퍼와, 도어부의 내면에 부착되어 글리퍼를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와, 캐비넷 또는 도어부에 설치되며 차단기 스위치의 ON/OFF 상태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부와, 캐비넷 또는 도어부에 설치되고 개폐 감지부와 연결되며 이동장치를 작동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하나 이상의 부하로 분배하는 전기배선함체와; 및
    전기배선함체로부터 차단기 스위치의 ON/OFF 상태 신호를 전송받아 별도의 출력유닛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고, 별도의 입력유닛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전기배선함체로 이동장치를 작동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장치는, 도어부의 내면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되어 회전가능한 제1 스크류축과, 제1 스크류축을 회전시키는 제1 모터와, 제1 스크류축의 나선부에 대응하는 대응 나선부를 갖추고 제1 스크류축의 회전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수평이동부와, 수평이동부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어 회전가능한 제2 스크류축과, 제2 스크류축을 회전시키는 제2 모터와, 제2 스크류축의 나선부에 대응하는 대응 나선부를 갖추고 제2 스크류축의 회전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직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글리퍼는 수직이동부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차단기 스위치의 ON/OFF 상태 신호를 전송받아 표시부에 출력하고, 관리서버로 전기배선함체의 이동장치를 작동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말기(PC, PDA 또는 휴대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이동부는,
    상기 제2 스크류축이 결합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설치홈, 및 상기 설치홈에 구비되는 제1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글리퍼는,
    전방측이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나사산과 나사 체결되는 제2나사산을 포함하는 무두볼트, 전후 방향을 길이를 가지며 내측에 중공이 형성되고 전방측 개구를 통해 상기 무두볼트의 후방측이 삽입되는 관체, 상기 관체의 전방측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나사산과 나사 체결되는 제3나사산, 상기 관체 후방측 내주면에 구비되는 제4나사산, 및 상기 무두볼트보다 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관체 후방측 개구를 통해 전방측이 상기 관체의 중공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4나사산과 나사 체결되는 제5나사산을 포함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나사산은, 상기 제4나사산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글리퍼는, 상기 길이조절부 후방측에서 전방으로 형성된 끼움홈, 상기 길이조절부보다 후방측에 배치되되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완충부, 상기 완충부 전방에서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전방으로 돌출 구비되는 끼움돌부, 및 상기 관체 중공에 삽입되되 상기 삽입부와 상기 무두볼트 사이에 배치되고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충격흡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배선함체의 관리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40116153A 2024-08-28 2024-08-28 건축물에 설치되는 전기배선함체의 관리시스템 Active KR102763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116153A KR102763995B1 (ko) 2024-08-28 2024-08-28 건축물에 설치되는 전기배선함체의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116153A KR102763995B1 (ko) 2024-08-28 2024-08-28 건축물에 설치되는 전기배선함체의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63995B1 true KR102763995B1 (ko) 2025-02-07

Family

ID=94630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116153A Active KR102763995B1 (ko) 2024-08-28 2024-08-28 건축물에 설치되는 전기배선함체의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6399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696Y1 (ko) 2004-04-29 2004-07-30 조규송 매입형 전기배선함
KR20110037108A (ko) * 2009-10-05 2011-04-13 문진엽 전기배선함체
KR20110037075A (ko) * 2009-10-05 2011-04-13 문진엽 전기배선함체의 원격제어시스템
KR101524216B1 (ko) 2015-01-06 2015-06-03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고정수단과 사인장 균열방지수단을 갖는 복합 전기배선박스
KR20160075544A (ko) * 2013-10-01 2016-06-29 워렌 인더스트리즈 엘티디. 차량 도어 제어 시스템
KR101912449B1 (ko) * 2018-07-06 2018-10-26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원격 랙킹 시스템이 적용된 고압 배전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696Y1 (ko) 2004-04-29 2004-07-30 조규송 매입형 전기배선함
KR20110037108A (ko) * 2009-10-05 2011-04-13 문진엽 전기배선함체
KR20110037075A (ko) * 2009-10-05 2011-04-13 문진엽 전기배선함체의 원격제어시스템
KR20160075544A (ko) * 2013-10-01 2016-06-29 워렌 인더스트리즈 엘티디. 차량 도어 제어 시스템
KR101524216B1 (ko) 2015-01-06 2015-06-03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고정수단과 사인장 균열방지수단을 갖는 복합 전기배선박스
KR101912449B1 (ko) * 2018-07-06 2018-10-26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원격 랙킹 시스템이 적용된 고압 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443904A (en) Remote-controlled electrical mains socket
KR102763995B1 (ko) 건축물에 설치되는 전기배선함체의 관리시스템
KR102331623B1 (ko) 배전선로 안정화 시스템
KR100979773B1 (ko) 공동주택의 배전제어형 스위치박스
KR101841189B1 (ko) 원터치 조립형 평판조명장치
KR101598422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원방 핸들 조작 장치
KR100299911B1 (ko) 원격제어또는감시용단말기,원격제어또는감시장치,원격제어장치
CN205262457U (zh) 干滩长度测量装置
KR101058374B1 (ko) 전기배선함체의 원격제어시스템
CN210016136U (zh) 一种配电箱用防护机构
US6229932B1 (en) Optical signal switching apparatus
KR102209301B1 (ko) 충돌 발생 방지용 전자석 고정 도어
CN107065752A (zh) 一种多电器智能配电控制系统
CN213938611U (zh) 一种便于安装的防爆控制器
CN210489463U (zh) 一种防水效果好的远距离遥控器
CN204929486U (zh) 一种防水防尘型音视一体化警报控制器
ITTO20110397A1 (it) Contattore, in particolare per il distacco delle batterie in impianti elettrici a bordo di veicoli
KR101747703B1 (ko) 지중전선의 배전선로 보호패널
KR100992146B1 (ko)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 접속인자
KR102658575B1 (ko) Ble통신모듈을 이용한 건물의 무선전력제어 시스템
CN214706824U (zh) 一种用于汽车生产线控制柜组的并柜装置
CN216599852U (zh) 一种具有照明功能的建筑安防监控设备
CN221262208U (zh) 转换开关电器
CN213484982U (zh) 一种基于互联网技术的智慧小区监控装置
CN215221453U (zh) 一种基于lora工业智能照明控制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8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1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