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63348B1 - 화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63348B1
KR102763348B1 KR1020200144963A KR20200144963A KR102763348B1 KR 102763348 B1 KR102763348 B1 KR 102763348B1 KR 1020200144963 A KR1020200144963 A KR 1020200144963A KR 20200144963 A KR20200144963 A KR 20200144963A KR 102763348 B1 KR102763348 B1 KR 102763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scanning
channel
user
im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8669A (ko
Inventor
요시히로 츠카다
히카루 스기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58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669A/ko
Priority to KR1020250012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50021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63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6334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36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using an image reading or reproducing device, e.g. a facsimile reader or printer, as a local input to or local output from a computer
    • H04N1/0024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using an image reading or reproducing device, e.g. a facsimile reader or printer, as a local input to or local output from a computer using an image reading device as a local input to a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H04N1/00212Attaching image data to computer messages, e.g. to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H04N1/00222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details of image data generation or reproduction, e.g. scan-to-email or network pri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with a server,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1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the display also being used for user input, e.g. touch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3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menus, i.e. presenting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op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6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browsers, i.e. interfaces based on mark-up langu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74Output means outputting a plurality of functional options, e.g. scan, copy or 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037Automation of particular transmitter jobs, e.g. multi-address calling, auto-dialing
    • H04N1/32085Automation of other tasks, e.g. repetitive execution or sequen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1Image rea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화상 처리 장치에서 스캐닝에 의해 생성되는 화상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채팅 서비스의 토크 룸의 지정을 달성하기 위해, 채팅 서버의 토크 룸을 나타내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토크 룸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채팅 서버와 통신하는 화상 처리 장치는, 원고의 화상을 스캐닝하고 화상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스캐닝 유닛, 채팅 서버의 토크 룸을 지정하도록 구성된 지정 유닛, 및 스캐닝 유닛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와 지정 유닛에 의해 지정된 토크 룸을 나타내는 정보를 채팅 서버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9-62353호에는 원고의 화상을 스캐닝함으로써 생성한 화상 데이터를 네트워크 상의 파일 서버에 송신하여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공유하는 화상 처리 장치가 설명되어 있다.
사용자가 인터넷 상에 공개되어 있는 채팅 서비스를 사용하여, 스캐닝함으로써 생성한 화상 데이터를 채팅 서비스의 토크 룸(talk room)에서 공유하는 경우에, 이하 설명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9-62353호에 논의된 바와 같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서버 메시지 블록(SMB) 통신 등을 사용하여 파일 서버에 송신하는 화상 처리 장치로부터, 채팅 서비스의 토크 룸을 지정할 수 없고, 따라서 사용자들은 원하는 토크 룸에서 화상 데이터를 공유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졌으며, 화상 처리 장치에서 스캐닝함으로써 생성한 화상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채팅 서비스의 토크 룸을 지정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채팅 서버의 토크 룸을 나타내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토크 룸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채팅 서버와 통신하는 화상 처리 장치는, 원고의 화상을 스캐닝하고 화상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스캐닝 유닛, 채팅 서버의 토크 룸을 지정하도록 구성된 지정 유닛, 및 스캐닝 유닛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와 지정 유닛에 의해 지정된 토크 룸을 나타내는 정보를 채팅 서버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MFP(multifunction peripheral)(101)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모바일 단말기(200)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봇 서버(400)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MFP(101)에 의한 스캐닝에 의해 생성된 파일을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송신하는 시퀀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MFP(101)에 의해 실행되는 스캔-투-채팅(scan-to-chat) 처리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MFP(101)에 의한 스캐닝에 의해 생성된 파일을 봇 서버(400)를 통해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송신하는 시퀀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스캔-투-채팅 처리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봇 서버(400)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에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실행되는 처리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파일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의 메시지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설정 등록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MFP(101)의 조작 유닛(116) 상에 표시되는 홈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a 및 도 15b로 구성된 도 15는 스캔-투-채팅 처리에서의 화면 천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16은 ID(identification)와 토큰 정보 간의 대응 관계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구성들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은 도시된 구성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예시적인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MFP(multifunction peripheral)(101)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를 포함한다. MFP(101)는 네트워크(100)를 통해 단말 장치의 일례인 모바일 단말기(200)와 통신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이다. 봇 서버(400)도 네트워크(100)를 통해 시스템에 접속되고, 시스템에 접속된 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다.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는 MFP(101) 및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송신된 메시지 및/또는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 조작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200) 또는 개인용 컴퓨터(PC)(도시되지 않음) 상에 메시지 및/또는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채팅 서비스를 관리하는 채팅 서버이다. 봇 서버(400)는 MFP(101)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설치되어 있는 봇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정보(토큰 정보) 사이의 연결을 MFP(101)에 접속되도록 수행하여, MFP(101)로부터의 요청을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전달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100)는 인터넷 또는 LAN(local area network)일 수 있다. 네트워크(100)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일 수 있다.
도 2는 MFP(101)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MFP(101)는 중앙 처리 장치(CPU)(111), 판독 전용 메모리(ROM)(112),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13), 스토리지(114), 조작 유닛 인터페이스(I/F)(115), 조작 유닛(116), 스캐닝 유닛 I/F(117), 스캐닝 유닛(118), 인쇄 유닛 I/F(119), 인쇄 유닛(120), 무선 통신 유닛 I/F(121), 및 무선 통신 유닛(122)을 포함한다. MFP(101)는 팩스 유닛 I/F(123), 팩스 통신 유닛(124), 통신 유닛 I/F(125), 및 통신 유닛(126)을 추가로 포함한다.
CPU(111)를 포함하는 제어 유닛(110)은 MFP(101)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CPU(111)는 ROM(112) 또는 스토리지(114)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판독 제어 및 인쇄 제어 등의 각종 제어를 행한다. ROM(112)은 CPU(111)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ROM(112)은 부트 프로그램, 폰트 데이터 등도 저장한다. RAM(113)은 메인 메모리이고, 작업 영역, ROM(112) 및 스토리지(114)에 저장된 각종 제어 프로그램을 전개하기 위한 임시 저장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스토리지(114)는, 화상 데이터, 인쇄 데이터, 각종 프로그램, 및 각종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스토리지(114)는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플래시 메모리이지만, SSD(solid state disk) 및 HDD(hard disc drive)와 같은 보조 저장 디바이스일 수 있다. 스토리지(114)는 또한 eMMC(embedded Multi Media Card)일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MFP(101)에서는, 1개의 CPU(111)가 1개의 메모리(RAM(113))를 사용하여 후술하는 흐름도의 각각의 처리를 실행하지만,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MFP(101)는 또한 복수의 CPU, 복수의 RAM, 복수의 ROM, 및 복수의 스토리지가 서로 협력하게 함으로써 후술되는 흐름도에서의 각각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MFP(101)는 또한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및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와 같은 하드웨어 회로를 사용하여 처리의 일부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작 유닛 I/F(115)는 터치 패널과 같은 디스플레이 유닛 및 하드웨어 키들을 포함하는 조작 유닛(116)과 제어 유닛(110)을 접속한다. 조작 유닛(116)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검출한다.
스캐닝 유닛 I/F(117)은 스캐너와 같은 스캐닝 유닛(118)과 제어 유닛(110)을 접속한다. 스캐닝 유닛(118)은 원고의 화상을 스캐닝하고 CPU(111)는 스캐닝된 화상을 이진 데이터와 같은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스캐닝 유닛(118)에 의해 판독된 화상에 기초하여 생성된 화상 데이터는, 예를 들어, 외부 장치에 송신되어, 기록지에 인쇄된다.
인쇄 유닛 I/F(119)는 프린터와 같은 인쇄 유닛(120)과 제어 유닛(110)을 접속한다. CPU(111)는 RAM(113)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인쇄 데이터)를 인쇄 유닛 I/F(119)를 통해 인쇄 유닛(120)에 전달한다. 인쇄 유닛(120)은 전달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한 화상을 공급 트레이(feed tray)에 의해 공급된 기록지에 인쇄한다.
무선 통신 유닛 I/F(121)는 무선 통신 유닛(122)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이며, 제어 유닛(110)과 외부 무선 장치(여기서는, 모바일 단말기(200))를 무선으로 접속한다.
제어 유닛(110)은 팩시밀리와 같은 팩스 통신 유닛(124)을 제어하는 팩스 유닛 I/F(123)에 의해 공중 네트워크(107)에 접속된다. 팩스 유닛 I/F(123)는 팩스 통신 유닛(124)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며, 팩시밀리 통신을 위한 모뎀 또는 네트워크 제어 유닛(NCU)을 제어함으로써 공중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팩시밀리 통신 프로토콜의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유닛 I/F(125)는 제어 유닛(110)과 네트워크(100)를 접속한다. 통신 유닛 I/F(125)는 통신 유닛(126)이 네트워크(100) 상의 외부 장치에 화상 데이터 및 MFP(101) 내부의 각종 정보를 송신하고, 네트워크(100) 상의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인쇄 데이터 및 네트워크(100) 상의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네트워크(100)를 통한 송/수신 방법으로서, 통신 유닛(126)은 e-메일을 사용한 송/수신 및 다른 프로토콜들(예를 들어, FTP(file transfer protocol), SMB(server message block), 및 WebDAV(world wide web distributed authoring and versioning))을 사용한 파일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유닛(126)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통신을 사용하여 모바일 단말기(200),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 또는 봇 서버(400)로부터의 액세스에 의해 화상 데이터 및 각종 설정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모바일 단말기(200)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의 모바일 단말기(200)는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등의 장치이지만, 디바이스가 Wi-Fi 통신을 할 수 있는 한, 모바일 단말기(200)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일 수도 있다.
CPU(207)는 ROM(208)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모바일 단말기(200)의 동작들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ROM(208)은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RAM(209)은 CPU(207)의 메인 메모리 및 작업 영역과 같은 임시 저장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HDD(210)는 사진 및 전자 문서와 같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조작 패널(201)은 사용자에 의한 터치 조작을 검출할 수 있는 터치 패널 기능을 갖고, 운영 체제(OS) 및 e-메일 송신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각종 화면을 표시한다. 조작 패널(201)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저장된 정보를 체크하는데 사용된다. 사용자는 터치 조작을 조작 패널(201)에 입력함으로써 원하는 조작 지시를 모바일 단말기(200)에 입력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0)는 하드웨어 키들(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고, 사용자는 하드웨어 키들을 시용하여 조작 지시를 모바일 단말기(200)에 입력할 수 있다.
카메라(204)는 화상을 캡처하기 위한 사용자 지시에 응답하여 화상을 캡처한다. 카메라(204)에 의해 캡처된 사진은 HDD(210) 내의 미리 결정된 영역에 저장된다. 모바일 단말기(200)는 QR 코드를 분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카메라(204)에 의해 판독된 QR(Quick Response) 코드(등록 상표)로부터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유닛(205), Bluetooth®통신 유닛(206), 또는 무선 LAN 통신 유닛(211)을 통해 각종 주변 디바이스들로 그리고 이들로부터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0)의 Bluetooth 통신 유닛(206)은 Bluetooth®Low Energy를 지원할 수도 있다.
도 4는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CPU(301)는 ROM(302)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의 동작들을 제어하기 위해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ROM(302)은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RAM(303)은 CPU(301)의 메인 메모리 및 작업 영역에 대한 임시 저장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HDD(305)는 메시지, 화상 데이터, 및 채널 정보와 같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는 통신 유닛(304)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200) 및 MFP(101)와 같은 각종 디바이스들로 그리고 이들로부터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유닛(304)은 Ethernet(등록 상표)을 사용하여 유선 통신을 수행하거나, Wi-Fi 통신과 같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봇 서버(400)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CPU(401)는 ROM(402)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봇 서버(400)의 동작들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ROM(402)은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RAM(403)은 CPU(401)의 메인 메모리 및 작업 영역에 대한 임시 저장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HDD(405)는 메시지, 화상 데이터, 및 채널 정보와 같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봇 서버(400)는 통신 유닛(404)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200), MFP(101), 및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와 같은 각종 디바이스들로 그리고 이들로부터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도 14는 MFP(101)의 조작 유닛(116) 상에 표시되는 홈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조작 유닛(116)은 조작 화면을 표시하는 터치 패널(601)과 발광 다이오드(LED)들(610 및 611)을 포함한다. 터치 패널(601)은 지시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를 접수하는 접수 수단 및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으로서의 역할도 한다. 사용자는 터치 패널(601) 상에 표시된 화면을 손가락 및 스타일러스와 같은 오브젝트로 직접 터치하여, 표시된 화면에 기초한 각각의 기능의 실행을 지시한다.
도 14에 도시된 터치 패널(601)은 홈 화면(608)을 표시한다. 홈 화면(608)은 사용자가 MFP(101)의 각각의 기능의 실행을 지시하고, 복사, 팩스, 스캐닝 및 매체 인쇄와 같은, MFP(101)에 의해 실행되는 기능들에 대한 각종 설정들을 행하기 위한 화면 표시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되는 초기 화면이다.
상태 체크 버튼(605)은 MFP(101)의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화면(상태 체크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오브젝트이다. 상태 체크 화면(도시되지 않음) 상에 송신 이력 및 작업 실행 이력이 표시될 수 있다.
스캔-투-채팅 버튼(602)은 스캔-투-채팅 처리를 위한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오브젝트이다. 사용자에 의해 스캔-투-채팅 버튼(602)이 선택되는 경우에, 도 15a에 도시된 설정 화면(704)이 조작 유닛(116) 상에 표시된다. 스캔-투-채팅 처리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스캔 버튼(603)은 MFP(101)로부터의 스캔 선택 화면(도시되지 않음)을 표시하기 위한 오브젝트이다. 스캔 선택 화면은 e-메일 송신(e-메일), SMB, FTP, 및 HTTP를 통한 파일 송신, 및 인터넷 팩스(I-팩스) 통신과 같은 송신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이다. 표시된 송신 기능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터치함으로써 대응하는 송신 기능에 대한 설정 화면이 표시된다.
주소록 버튼(604)은 사용자가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경우에 MFP(101)의 주소록 화면을 표시하는 오브젝트이다. LED들(610 및 611)은 MFP(101)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LED(610)는 e-메일의 수신 또는 인쇄 작업의 수신 또는 실행 동안 턴온되고, LED(611)는 에러가 MFP(101)에서 발생하는 경우에 턴온된다. 정지 버튼(606)은 각종 조작들의 취소를 실행하는 오브젝트이며, 조작 유닛(116) 상에 항상 표시된다. 홈 버튼(607)은 홈 화면(608)을 표시하기 위한 오브젝트이며, 조작 유닛(116) 상에 항상 표시된다. 메뉴 버튼(612)은 언어와 같은 환경 설정 및 각각의 기능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오브젝트이다.
도 6은 MFP(101)에서의 스캐닝에 의해 생성되는 파일을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송신하는 시퀀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시퀀스는 도 15a에 도시된 설정 화면(704) 상의 채널 선택 버튼(713)이 선택되는 경우에 개시된다.
단계 S901에서, MFP(101)의 CPU(111)는 HTTP 통신을 사용하여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채널 리스트 정보에 대한 요청을 행하도록 통신 유닛(126)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통신 유닛(126)은 MFP(101)에 입력된 토큰 정보와, 토큰 정보에 나타난 작업 공간에 포함되는 채널 리스트에 대한 요청을 나타내는 정보를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송신한다. 이 동작에서 송신될 명령은 예를 들어, "HTTP GET https://message.com/api/channels.list"이다. 이 명령에서 설명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https://message.com/api/channels.list"는, MFP(101)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액세스하는 URL이다. 토큰 정보는 URL에 송신되고, 따라서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는 토큰 정보에 대응하는 작업 공간 및 봇 애플리케이션를 검색한다. 토큰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MFP(101)의 조작 유닛(116) 상에 표시되고 도 13에 도시된 설정 등록 화면(1501)을 통해 입력된다.
작업 공간은 복수의 사용자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에 속하는 조직을 지칭한다. 채널은 작업 공간 내의 채팅 룸과 유사하다. 채팅 룸은 채팅 룸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가 그들 사이에서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대화와 같이 서로 통신하기 위한 메커니즘이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채팅 룸을 채널의 예로 들었지만, 채널이 복수의 사용자가 그들 사이에서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대화와 같이 서로 통신하는 메커니즘을 갖는 한, 채팅 룸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채널은 그룹 채팅, 룸, 토크 룸, 또는 그룹일 수 있다.
봇 애플리케이션은 MFP(101)를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내의 사용자로서 등록하고 메시지 및/또는 화상 데이터를 포스팅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며,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설치된다. 봇 애플리케이션이 지정되고 화상 데이터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송신됨으로써, 봇 애플리케이션은 송신된 화상 데이터를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상에 포스팅한다.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의 HDD(305)는 봇 애플리케이션 및 토큰을 서로 대응시켜 저장하고, 봇 애플리케이션과 작업 공간이 서로 대응된다. 따라서,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는, MFP(101)로부터 토큰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토큰 정보에 대응하는 봇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작업 공간의 정보를 회신할 수 있다. 토큰 정보, 봇 애플리케이션, 및 작업 공간은 서로 직접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다수의 작업 공간 중에서 미리 등록된 토큰 정보에 대응하는 작업 공간(사용자가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기를 원하는 작업 공간)을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902에서,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의 CPU(301)는 통신 유닛(304)을 통해 수신된 토큰 정보를 참조하고, 토큰 정보에 대응하는 봇 애플리케이션을 HDD(305)에서 검색한다.
단계 S903에서,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의 CPU(301)는 MFP(101)로부터 통신 유닛(304)을 통해 수신된 토큰 정보에 기초하여 URL로의 액세스가 허용되었는지를 체크한다. 액세스가 허용된 경우에, CPU(301)는 토큰 정보에 대응하는 작업 공간에 포함된 채널 리스트 정보를 생성한다. 채널 리스트 정보는 채널 정보를 나타내는 어레이 정보이다. 채널 정보는 채널 ID(identification), 채널 이름, 채널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을 나타내는 정보, 채널이 아카이브 채널인지의 설정을 나타내는 채널 설정 값을 포함한다.
단계 S904에서,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의 CPU(301)는 채널 리스트 정보를 HTTP 통신의 응답 정보로서 MFP(101)에 송신하도록 통신 유닛(304)을 제어한다.
단계 S905에서, MFP(101)의 CPU(111)는 수신된 채널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채널 선택 화면(714)을 생성한다. 사용자는 채널 선택 버튼(713)을 선택하고, 따라서, MFP(101)의 CPU(111)는 조작 유닛(116)의 터치 패널(601)을 제어하여 채널 선택 화면(714)을 표시하고, 사용자 조작을 기다린다. 이하, 도 15b를 참조하여 채널 선택 화면(714)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단계 S906에서, 사용자는 채널 선택 화면(714) 상에서 적어도 채널을 선택하고 그 후 백 버튼(back button)(715)을 선택하고, 따라서, MFP(101)의 CPU(111)는 투고처의 채널 정보를 확정한다.
단계 S907에서, MFP(101)의 CPU(111)는 조작 유닛(116)을 통해 스캔 실행 지시를 접수한다.
단계 S908에서, MFP(101)의 CPU(111)는 스캔 실행 지시를 접수할 때 설정된 스캔 설정에 따라 스캐닝을 수행한다.
단계 S909에서, MFP(101)의 CPU(111)는 스캐닝된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스캔 설정에 설정된 포맷으로 생성한다. 스캔-투-채팅을 위한 상세 설정 화면(도시되지 않음)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스캔 설정은 스캔 설정으로서 사용된다. 스캔 설정은 도 15b에 도시된 송신 설정 화면(712) 상에 송신 설정과 함께 표시되어 설정될 수 있다.
단계 S910에서, MFP(101)의 CPU(111)는 단계 S901에서 입력된 것과 동일한 토큰 정보, 단계 S906에서 선택된 투고처의 채널 정보, 파일 포맷, 및 단계 S909에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HTTP 통신을 사용하여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송신한다. 송신 설정 화면(712)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스캔-투-채팅을 위해 지정된 파일 포맷이 파일 포맷으로서 사용된다.
단계 S911에서,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의 CPU(301)는 단계 S910에서 수신된 토큰 정보를 사용하여 등록된 작업 공간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검색하고, 수신된 화상 데이터 및 채널 정보에 의해 지정된 채널을 서로 대응시켜 저장한다. 투고처의 사용자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 CPU(301)는 수신된 화상 데이터, 채널, 및 또한 투고처의 사용자를 서로 대응시켜 저장한다. 이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200) 상의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한 후에 채널 상의 이전 대화의 내용을 체크하기 위한 채널을 지정하고, 따라서 수신된 화상 데이터가 포스팅된 화면이 표시된다.
단계 S912에서,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의 CPU(301)는 HTTP 통신의 응답 정보로서 포스팅이 성공했는지의 여부에 대응하는 결과를 MFP(101)에 송신한다. 포스팅이 성공한 경우에, MFP(101)의 CPU(111)는 포스팅이 성공했다는 통지를 조작 유닛(116)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포스팅이 실패한 경우에, MFP(101)의 CPU(111)는 포스팅이 실패했다는 통지를 조작 유닛(116)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MFP(101)의 CPU(111)는 포스팅이 실패한 경우에만 포스팅이 실패한 통지를 표시할 수 있고, 포스팅이 성공한 경우에는 어떠한 통지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도 7은 MFP(101)에 의해 실행되는 스캔-투-채팅 처리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흐름도의 처리는 CPU(111)가 ROM(11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RAM(113)에 로딩하고 그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행된다. MFP(101)의 턴 온에 의해 도 7에 도시된 처리 절차가 시작된다.
단계 S1001에서, CPU(111)는 스캔-투-채팅 버튼(602)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CPU(111)가 스캔-투-채팅 버튼(602)이 선택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단계 S1001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002로 진행한다. CPU(111)가 스캔-투-채팅 버튼(602)이 선택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에(단계 S1001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1001로 복귀한다.
단계 S1002에서, CPU(111)는 조작 유닛(116)의 터치 패널(601) 상에 설정 화면(704)을 표시한다. 스캔-투-채팅 버튼(602)이 선택된 경우의 화면 천이에 대해서는 도 15a 및 도 15b로 구성된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스캔-투-채팅 처리에서의 화면 천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홈 화면(608) 상에 표시된 스캔-투-채팅 버튼(602)이 선택되고, 따라서 조작 유닛(116)의 터치 패널(601)이 설정 화면(704)을 표시한다.
설정 화면(704) 상에는 수신처 체크 버튼(705)이 표시된다. 스캐닝에 의해 생성되는 화상 데이터의 투고처들로서 설정된 수신처들의 수는 수신처 체크 버튼(705) 상에 표시된다. 투고처의 역할을 하는 하나의 채널이 선택된 도 15a에 도시된 예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복수의 수신처가 선택된 경우에, 설정된 투고처들의 수가 수신처들의 수로서 표시된다.
수신처 체크 버튼(705)이 선택되는 경우에, 스캔-투-채팅 수신처 체크 화면(706)이 표시된다. 채널 선택 버튼(713)이 선택됨으로써, 설정된 송신 및 투고처가 스캔-투-채팅 수신처 체크 화면(706) 상에 표시된다. 이 시점에서 설정된 투고처들의 수는 투고처 버튼(707) 상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투고처 버튼(707)을 선택하는 경우에, 설정된 투고처(수신처)를 표시하는 스캔-투-채팅 수신처 체크 화면(706)이 표시된다. 그 후, 투고처 버튼(707)이 설정됨으로써, 설정된 투고처의 상세들에 대해 상세한 화면(도시되지 않음)이 표시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스캔-투-채팅 수신처 체크 화면(706) 상에 하나의 투고처만이 표시되지만, 투고처들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MFP(101)는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로부터 복수의 투고처를 설정함으로써, 스캔-투-채팅 체크 화면(706) 상에 복수의 투고처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설정 화면(704) 상에서 리셋(708)이 선택되는 경우에, 설정 정보는 클리어된다. 이 동작에서, 설정된 수신처 정보가 클리어된다. 설정 화면(704) 상에서 흑백 개시 버튼(709) 또는 컬러 개시 버튼(710)이 선택되는 경우에, 스캐닝 및 송신 처리가 시작된다.
송신 설정 버튼(711)이 선택되는 경우에, 송신 설정 화면(712)이 표시된다. 송신 설정 화면(712) 상에서, 파일 포맷(717)과 같은 송신 설정이 변경되고 체크될 수 있다.
채널 선택 버튼(713)이 선택되는 경우에, 채널 선택 화면(714)이 표시된다. 채널 선택 화면(714) 상에 표시된 채널들 및 사용자들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로부터 MFP(101)에 의해 수신된 채널 리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된다. 채널 선택 화면(714) 상에서, 사용자는 채널에 속하는 사용자들 중에서 어느 사용자 통지가 행해질지와 채널 포스팅이 행해질지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포스팅이 행해지는 채널과 통지될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다. 채널에 속하는 사용자들은 채널 버튼이 선택됨으로써 풀다운 메뉴 상에 표시된다. 채널 선택 화면(714) 상에서, 채널과 사용자 양쪽 모두가 선택될 수 있거나, 또는 채널에 속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포스팅을 하기 위해 채널만이 선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복수의 채널이 선택될 수 있거나, 또는 하나의 채널이 선택될 수 있고, 그 후 그 채널에 속하는 복수의 사용자가 선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복수의 채널이 선택될 수 있고, 그 후 상이한 채널들에 속하는 상이한 사용자들이 선택될 수 있다.
백 버튼(715)이 선택되는 경우에, 선택된 채널의 내용이 유지되고, 설정 화면(704)은 다시 표시된다. 투고처 필드(716)에서, 투고처로서의 선택된 채널의 이름 및 통지될 사용자의 이름이 "투고처: 채널 3@사용자 1"로서 표시된다. MFP(101)의 CPU(111)는 채널 및 사용자에 기초한 이 동작에서 설정된 투고처를 RAM(113) 또는 스토리지(114)에 저장한다.
설명은 도 7에 도시된 흐름도로 되돌아갈 것이다. 단계 S1002에서, CPU(111)는 도 15a에 도시된 설정 화면(704)을 조작 유닛(116) 상에 표시한다. 단계 S1003에서, CPU(111)는 채널 선택 버튼(713)이 선택되는 것을 검출한다.
단계 S1004에서, CPU(111)는, 채널 선택 버튼이 선택된 것에 응답하여, 미리 등록된 토큰 정보(1503)를 사용함으로써 HTTP 통신을 사용하여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채널 리스트 정보에 대한 요청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도 13에 도시된 설정 등록 화면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도 13은 설정 등록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설정 등록 화면(1501)은 MFP(101)의 조작 유닛(116) 상에 표시된 화면이다. 설정 등록 화면(1501)은 네트워크를 통해 MFP(101)에 접속된 PC와 같은 정보 처리 장치의 조작 유닛 상에 웹 페이지로서 표시될 수 있다. 설정 등록 화면(1501)에 등록된 내용들은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114)에 저장되고,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HDD(405)에 저장된다.
접속처(1502)는 접속처들의 조직 정보의 열이다. 토큰 정보(1503)는 등록된 토큰 정보의 열이다. 조작 버튼(1504)은 조작 버튼의 열이다. 편집 버튼(1505) 및 생성 버튼(1506)은 조작 버튼들의 열에 표시된다.
편집 버튼(1505)이 선택되는 경우에, 토큰 정보 및 접속처 정보 등의 문자열이 키보드 등에 의해 입력되고 변경될 수 있다. 생성 버튼(1506)이 선택되는 경우에, 스캔-투-채팅 버튼(602)은 홈 화면(608) 상에 표시되도록 설정된다.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설정 등록 화면(1501) 상에 등록된 내용들이 스토리지(114)에 저장된다.
신규 등록 버튼(157)이 선택됨으로써, CPU(111)는 사용자에 의한 문자열의 입력을 접수하고, 접속처와 토큰 정보를 추가하여 등록할 수 있다.
설명은 도 7에 도시된 흐름도로 되돌아갈 것이다. 단계 S1005에서, CPU(111)는 단계 S1004에서 송신된 채널 리스트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요청에 응답하여 MFP(101)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로부터 채널 리스트 정보를 수신했는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CPU(111)는 HTTP 통신의 응답에서의 상태 코드가 에러인 경우, 또는 정보가 취득될 수 없음을 나타내는 파라미터가 응답의 바디 정보(body information)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MFP(101)가 채널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한다. CPU(111)가 MFP(101)가 채널 리스트 정보를 수신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단계 S1005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008로 진행한다. CPU(111)가 MFP(101)가 채널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에(단계 S1005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1006으로 진행한다.
단계 S1006에서, CPU(111)는 MFP(101)가 채널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는데 실패했다는 것을 채널 선택 화면(714) 상에 표시한다. 이 동작에서, 채널 및 사용자 옵션들은 채널 선택 화면(714) 상에 표시되지 않는다.
단계 S1007에서, CPU(111)는 백 버튼(715)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CPU(111)가 백 버튼(715)이 선택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단계 S1007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002로 복귀한다. CPU(111)가 백 버튼(715)이 선택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에(단계 S1007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1007로 복귀한다.
단계 S1008에서, CPU(111)는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채널 정보 등을 표시하는 채널 선택 화면(714)을 조작 유닛(116)의 터치 패널(601) 상에 표시한다.
단계 S1009에서, CPU(111)는 조작 유닛(116)의 터치 패널(601)을 통해 채널 선택 화면 상에서 선택된 투고처(채널 또는 채널과 사용자)가 확정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투고처가 확정된 경우에(단계 S1009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010으로 진행한다. 단계 S1010에서, CPU(111)는 채널 리스트 정보를 갱신한다. 투고처가 확정되지 않은 경우에(단계 S1009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1008로 복귀한다. 확정을 검출하는 방법은 백 버튼(715)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수행된다. 조작 유닛(116)의 화면 상에 확정 버튼이 표시된 화면의 경우에, CPU(111)는 확정 버튼이 선택된 경우에도 유사한 천이 제어를 수행한다.
단계 S1010에서, CPU(111)는 도 15a에 도시된 설정 화면(704)을 조작 유닛(116) 상에 표시하고, 단계 S1009에서 확정된 투고처를 사용하여 투고처 필드(716)의 표시를 갱신한다. 이 동작에서, CPU(111)는 투고처 채널과 함께, 통지받기를 원하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조작 유닛(116) 상에 표시한다.
단계 S1011에서, CPU(111)는 조작 유닛(116) 상에 표시된 흑백 개시 버튼(709) 또는 컬러 개시 버튼(710)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CPU(111)가 흑백 개시 버튼(709) 또는 컬러 개시 버튼(710)이 선택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단계 S1011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012로 진행한다. CPU(111)가 개시 버튼 중 어느 것도 선택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에(단계 S1011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1011로 복귀한다.
단계 S1012에서, CPU(111)는 스캔 설정에 기초하여 스캐닝 유닛(118)을 제어하여 원고의 화상을 스캐닝하고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스캔 설정으로서, 스캔-투-채팅을 위한 상세 설정 화면(도시되지 않음) 상에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스캔 설정이 사용된다.
단계 S1013에서, CPU(111)는 단계 S1012에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송신 설정 화면(712) 상에 설정된 파일 포맷(717)으로 변환한다.
단계 S1014에서, CPU(111)는 투고 파라미터들을 생성한다. 투고 파라미터들은 투고처 채널, 파일 포맷, 파일 이름, 및 포스팅 코멘트의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송신 설정에 의해 설정된 파일 포맷(717)에 대응하는 파일 포맷은 파일 포맷으로서 설정된다. 포스팅 코멘트로서, 통지받기를 원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의 선두에 "@"를 추가함으로써 문자들이 생성된다. 송신 설정에 의해 지정된 파일 이름은 파일 이름으로서 지정된다.
단계 S1015에서, CPU(111)는 미리 등록된 토큰 정보(1503)를 사용함으로써 HTTP 통신의 POST(power on self test) 방법을 사용하여 단계 S1013에서 생성된 파일과 투고 파라미터를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송신한다. 이들 데이터(화상 데이터가 변환된 파일 및 투고 파라미터들)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송신됨으로써,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는 수신된 파일을 수신하는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의 투고를 제어한다.
단계 S1016에서, CPU(111)는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로부터 투고 결과를 수신하고 그 투고 결과를 조작 유닛(116)의 터치 패널(601) 상에 표시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MFP(101)로부터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의 채널 상에 파일을 용이하게 투고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단 하나의 토큰 정보만이 등록되어 있지만, 복수의 토큰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토큰 정보에 관한 처리, 즉, 단계들 S1004, S1005, 및 S1015 등에서의 처리는 등록된 토큰들의 수만큼 반복적으로 실행된다.
도 12를 참조하여, 단계 S1015에서의 처리에서 화상 데이터를 변환한 파일 및 투고 파라미터를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송신할 때, 모바일 단말기(200)의 조작 패널(201) 상에 표시될 화면의 예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도 12는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의 메시지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메시지 화면(1201)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이 모바일 단말기(200) 상에서 활성화되고 단계 S1015에서의 처리가 MFP(101)에서 실행된 후에 표시된다. 모바일 단말기(200)는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와 통신한다.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200) 상에서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 사용자의 계정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한 후에, 사용자 전용의 화면이 표시된다.
메시지(1204)는 사용자 1의 계정을 갖는 사용자가 MFP(101)를 사용하여 스캐닝에 의해 생성되는 화상 데이터와 투고 파라미터들을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송신함으로써 표시(투고)되는 메시지이다. 도 12에 도시된 예에서, 투고 파라미터들 중 투고처 채널로서 "채널 1"이 지정되고, 채널 1에 속하는 "사용자 3"이 사용자로서 지정된다. 이 예는 또한 "자료.pdf"가 투고 파라미터의 파일 이름으로 지정되고 코멘트 "전송합니다(Send)"가 지정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파일 이름과 코멘트는 사용자에 의해 스캔-투-채팅을 위한 상세 설정 화면(도시되지 않음) 상에 지정된다.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였던 사용자가 참가하는 채널들, 그룹들, 및 사용자들이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의 메시지 화면(1201) 상에 표시되고, 상대 정보(1202) 및 메시지들(1203)의 교환도 표시된다. 메시지(1204)에서, 사용자 이름의 상단에 "@"를 갖는 코멘트가 투고되고, 이는 코멘트를 투고한 사용자가 채널에 속하는 사용자들 중에서 특별히 지정된 사용자에게 통지하고자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12의 예의 경우에, 사용자 3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을 브라우징하기 위한 단말기에 따라 채널에 속하는 다른 멤버들보다 투고가 더 신속하게 수신되었음을 알 수 있다. 사용자 3이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을 브라우징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200)로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경우에, 모바일 단말기(200)는 아이콘 통지 기능, 진동, 또는 통지 사운드에 의해 사용자 3에게 통지한다. 사용자 3이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을 브라우징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200)로서 데스크톱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모바일 단말기(200)는 데스크톱 통지 기능 등에 의해 사용자 3에게 통지한다. 메시지 화면(1201)을 표시할 때,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는 도 11에 도시된 데이터 구조에서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여 그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채널 상에 투고된 메시지(1204)는 교환된 내용(505)의 "발언 3 + 파일 1"에 대응하고,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는 파일(504)로부터 파일 1의 이름과 같은 속성 정보를 취득하고, 속성 정보를 메시지 내의 파일 아이콘의 형태로 표시한다. 사용자에 의해 파일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에,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는 파일(504)에 속하는 파일 1을 취득할 수 있다. 이 채널 상에 투고된 파일이 아이콘으로서 표시되고 있지만, 파일의 미리보기 화상이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1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파일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파일 구조는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의 HDD(305)에 저장되고, 도 12에 도시된 화면은 이 파일 구조에 기초하여 표시된다.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는 작업 공간이라고 불리는 가장 큰 클러스터 내에 채널들, 그룹들, 사용자들, 파일들 등의 작은 클러스터를 가지며, 데이터를 관리한다. 채널(501)은 작업 공간의 모든 멤버가 참가할 수 있고, 투고된 모든 내용이 임의의 멤버들에 의해 검색될 수 있는 종류의 채팅 룸이다. 그룹(502)은 모든 멤버가 사용할 수 없는 논의를 위한 채널이며, 브라우징 및 참가에는 초대를 필요로 한다. 사용자(503)는 작업 공간에 참가하는 사용자들을 나타낸다. 첨부된 파일은 파일(504)에 저장된다. 또한, 채널(501)과 그룹(502) 및 사용자(503)에 의한 교환된 내용(505)은 서로 대응시켜 저장된다. 예를 들어, 채널 1에 참가하는 사용자들은 채널 1에 대응시켜 채널 1에 저장되고, 채널 1에서 교환된 메시지들 및 화상 데이터도 채널 1에 대응시켜 채널 1에 저장된다. 데이터가 이러한 방식으로 저장되기 때문에, 채널이 채널 선택 화면(714) 상에서 선택되는 경우에, 지정된 채널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표시될 수 있다. 채널에 참여하는 사용자가 표시될 수 있다.
(제2 예시적인 실시예)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MFP(101)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직접 화상 데이터 및 투고 파라미터들을 송신하는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다.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MFP(101)가 봇 서버(400)를 통해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에 화상 데이터 및 투고 파라미터들을 송신하는 예를 사용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8은 MFP(101)에서 스캐닝함으로써 생성된 파일을 봇 서버(400)를 통해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송신하는 시퀀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단계 S1101에서, MFP(101)의 CPU(111)는 디바이스 ID 또는 사용자 ID를 파라미터로서 사용함으로써 HTTP 통신을 사용하여 봇 서버(400)에 채널 리스트 정보에 대한 요청을 행한다.
단계 S1102에서, 봇 서버(400)의 CPU(401)는 수신된 디바이스 ID 또는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토큰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HTTP 통신을 사용하여 채널 리스트 정보에 대한 요청을 나타내는 정보를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송신한다. 단계 S1101에서 수신된 디바이스 ID 또는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토큰 정보가 토큰 정보로서 취득된다.
도 16은 ID와 토큰 정보 간의 대응 관계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테이블은 서로 대응시켜 등록된 사용자 ID 또는 디바이스 ID와 인증 정보(토큰 정보)를 포함한다. 이 테이블은 봇 서버(400)의 HDD(405)에 저장된다. 사용자 ID와 디바이스 ID 각각은 MFP(101)에 저장된 정보이다. 사용자 ID는 MFP(101)를 사용하는 각 사용자마다 설정된 사용자-식별 정보이다. 디바이스 ID는 각 MFP마다 설정된 디바이스-식별 정보이다. 사용자 ID는 MFP(101)에 로그인하기 위한 사용자 계정을 생성할 때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식별 정보이다. 디바이스 ID는 MFP(101)에 고유한 공장 디폴트 식별 정보이다.
단계 S1103에서,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의 CPU(301)는 토큰 정보에 기초하여, 등록된 작업 공간 정보 및 봇 애플리케이션을 검색한다.
단계 S1104에서,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의 CPU(301)는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된 URL이 허용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URL이 허용된 경우에, CPU(301)는 작업 공간에 속하는 채널의 채널 리스트 정보를 생성한다. 채널 리스트 정보는 채널 정보의 어레이 정보이다. 채널 정보는 채널 ID, 채널 이름, 채널에 속하는 멤버들의 ID 리스트, 및 채널이 아카이브 채널인지를 나타내는 설정값을 포함한다.
단계 S1105에서,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의 CPU(301)는 봇 서버(400)로의 HTTP 통신에 대한 응답 정보로서 채널 리스트 정보를 송신하도록 통신 유닛(304)을 제어한다.
단계 S1106에서, 봇 서버(400)의 CPU(401)는 단계 S1105에서 수신된 채널 리스트 정보를 MFP(101)에 HTTP 통신에 대한 응답으로서 송신한다.
단계 S1107 내지 S1111의 처리는 도 6에 도시된 단계들 S905 내지 S909의 처리와 유사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장황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단계 S1112에서, MFP(101)의 CPU(111)는 디바이스 ID 또는 사용자 ID, 투고처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 파일 포맷 등을 나타내는 정보, 및 화상 데이터를 HTTP 통신을 사용하여 봇 서버(400)에 송신한다.
단계 S1113에서, 봇 서버(400)의 CPU(401)는 투고처 채널을 나타내는 수신된 정보, 파일 포맷을 나타내는 수신된 정보, 수신된 화상 데이터, 및 수신된 디바이스 ID 또는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토큰 정보를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송신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 동작에서, CPU(401)는 HDD(405)에 저장되어 있으며 디바이스 ID 또는 사용자 ID와 토큰 정보가 서로 대응시켜 등록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송신될 토큰 정보를 결정한다.
단계 S1114의 처리는 단계 S911의 처리와 유사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장황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단계 S1115에서,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의 CPU(301)는 투고가 성공했는지의 여부에 대응하는 결과를 HTTP 통신에 대한 응답 정보로서 봇 서버(400)에 송신한다.
단계 S1116에서, 봇 서버(400)의 CPU(401)는 투고가 성공했는지의 여부에 대응하는 결과를 HTTP 통신에 대한 응답 정보로서 MFP(101)에 송신한다. 투고가 성공한 경우에, MFP(101)의 CPU(111)는 투고가 성공했다는 통지를 조작 유닛(116)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투고가 실패한 경우에, MFP(101)의 CPU(111)는 투고가 실패했다는 통지를 조작 유닛(116)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MFP(101)의 CPU(111)는 투고가 성공한 경우에는 어떠한 통지도 표시하지 않고 투고가 실패한 경우에만, 투고가 실패했다는 통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채널 리스트를 취득했지만, 한정된 액세스 그룹 리스트와 개별 투고의 사용자 리스트도 유사한 방식으로 투고될 수 있다.
도 9는 스캔-투-채팅 처리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의 흐름도의 처리는 CPU(111)가 ROM(11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RAM(113)에 로딩하고 그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행된다. 도 9에 도시된 처리 절차는 MFP(101)가 턴 온될 때 시작된다.
단계들 S1301 내지 S1303의 처리는 단계 S1001 내지 S1003의 처리와 유사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장황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단계 S1304에서, MFP(101)의 CPU(111)는 MFP(101)에 로그인하였던 사용자의 사용자 ID 또는 MFP(101)의 디바이스 ID를 취득하고, HTTP 통신을 사용하여 봇 서버(400)에 채널 리스트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요청과 사용자 ID 또는 디바이스 ID를 송신한다.
단계들 S1305 내지 S1314의 처리는 단계들 S1005 내지 S1014의 처리와 유사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장황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단계 S1315에서, CPU(111)는 MFP(101)에 로그인하였던 사용자의 사용자 ID 또는 MFP(101)의 디바이스 ID, 및 단계 S1313에서 생성된 파일 및 투고 파라미터들을 송신한다.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CPU(111)가 미리 등록된 토큰 정보(1503)를 사용하여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에 파일을 송신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MFP(101)의 스토리지(114)는 도 16에 도시된 사용자 ID 또는 디바이스 ID와 토큰 정보를 서로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고, CPU(111)는 로그인하였던 사용자 ID 또는 디바이스 ID에 대응하는 토큰 정보를 사용하여 요청 및 파일을 송신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로그인하였던 사용자 ID 또는 디바이스 ID가 봇 서버(400)와의 통신에 사용되지만, ID는 유일한 식별자인 한 세입자 ID일 수 있다.
도 10은 봇 서버(400)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에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처리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의 흐름도에서의 처리는 CPU(401)가 ROM(11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RAM(113)에 로딩하고 그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행된다. 도 10에 도시된 처리 절차는 MFP(101)가 턴온될 때 시작된다.
단계 S1401에서, CPU(401)는 봇 서버(400)가 디바이스 ID 또는 사용자 ID, 및 채널 리스트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정보 취득 요청을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CPU(111)가 봇 서버(400)가 디바이스 ID 또는 사용자 ID 및 정보 취득 요청을 수신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단계 S1401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402로 진행한다. CPU(111)가 봇 서버(400)가 디바이스 ID 또는 사용자 ID 및 정보 취득 요청을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에(단계 S1401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1401로 복귀한다.
단계 S1402에서, CPU(401)는 MFP(101)로부터 수신된 디바이스 ID 또는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토큰 정보를 취득한다.
단계 S1403에서, CPU(401)는 도 16에 도시된 테이블을 사용하여, 수신된 디바이스 ID 또는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토큰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CPU(401)가 토큰 정보가 존재한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단계 S1403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404로 진행한다. CPU(401)가 토큰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단계 S1403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1405로 진행한다. CPU(401)가 토큰 정보가 존재한다고 판정하는 경우에, RAM(403)은 수신된 디바이스 ID 또는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토큰 정보를 저장한다.
단계 S1404에서, CPU(401)는 단계 S1401에서 MFP(101)로부터 수신된 정보 취득 요청을 단계 S1403에서 식별된 토큰 정보를 사용하여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송신한다. CPU(401)는 정보 취득 요청의 송신에 응답하여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로부터 반환된 정보를 MFP(101)에 송신한다.
단계 S1405에서, CPU(401)는 단계 S1401에서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실행 에러를 나타내는 정보를 MFP(101)에 송신한다.
도 8에 도시된 시퀀스에서 단계 S1101에서 송신된 사용자 ID 또는 디바이스 ID 및 정보 취득 요청이 수신될 때의 예를 사용하여 도 10에 도시된 처리 절차에 대해 설명하였다. CPU(401)는 단계 S1112의 처리에서 송신된 사용자 ID 또는 디바이스 ID, 파일(화상 데이터), 및 투고처 채널 정보가 수신될 때에도 도 10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처리를 실행한다. 즉, 수신된 디바이스 ID 또는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토큰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 CPU(401)는 토큰 정보, 투고처 채널 정보, 및 파일(화상 데이터)을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송신한다. 수신된 디바이스 ID 또는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토큰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CPU(401)는 에러를 나타내는 정보를 MFP(101)에 송신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의 인터페이스 사양이 변경된 경우에도, 파일의 투고는 단지 MFP(101)의 프로그램을 업로드하지 않고 봇 서버(400)의 프로그램을 갱신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복수의 MFP가 있는 작업 공간에서, 각각의 MFP에 대해서 개별 토큰 설정을 하지 않고 파일을 투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
본 발명의 실시예(들)는 또한 저장 매체(이는 더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지칭될 수도 있음)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하나 이상의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을 수행하고, 및/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그리고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함으로써 및/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된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 처리 장치(MPU))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기 위해 개별 컴퓨터 또는 개별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또는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리드 온리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과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3)

  1. 스캐닝 장치이며,
    원고의 화상을 스캐닝하고 상기 화상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스캐닝 수단;
    채팅 서비스의 복수의 채널 중에서 사용자에 의한 채팅 서비스의 채널의 선택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수단; 및
    상기 스캐닝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화상 데이터 및 선택된 상기 채널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채팅 서비스와 관련된 서버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 수단을 포함하고,
    송신되는 상기 화상 데이터는 선택된 상기 채널과 연관되어 저장되는, 스캐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에 대응하는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취득 수단; 및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는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오브젝트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수신 수단은 표시되는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중 오브젝트의 선택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채널의 선택을 수신하는, 스캐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선택된 상기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가 목적지로서 설정되는 미리 결정된 화면을 표시하는, 스캐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수단은, 상기 미리 결정된 화면이 상기 표시 수단 상에 표시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실행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원고의 화상을 스캐닝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캐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스캐닝 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화상 데이터 및 선택되는 상기 채널에 대응하는 정보를 다른 서버를 통해 상기 채팅 서비스에 관련된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스캐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실행 명령의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스캐닝 수단은 상기 원고의 화상을 스캐닝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후에,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스캐닝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스캐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명령은 미리 결정된 오브젝트의 선택인, 스캐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서비스의 채널은 채팅 룸인, 스캐닝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서버에 송신될 상기 화상 데이터의 파일 이름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스캐닝 수단이 상기 원고를 스캐닝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전에 상기 화상 데이터의 파일 이름을 수신하는, 스캐닝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생성되는 상기 화상 데이터는 PDF 파일인, 스캐닝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스캐닝 장치.
  12. 스캐닝 방법이며,
    원고의 화상을 스캐닝하고 상기 화상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채팅 서비스의 복수의 채널 중에서 사용자에 의한 채팅 서비스의 채널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캐닝에 의해 생성된 상기 화상 데이터 및 선택된 상기 채널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채팅 서비스와 관련된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송신되는 상기 화상 데이터는 선택된 상기 채널과 연관되어 저장되는, 스캐닝 방법.
  13.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가 스캐닝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이며,
    상기 스캐닝 방법은,
    원고의 화상을 스캐닝하고 상기 화상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채팅 서비스의 복수의 채널 중에서 사용자에 의한 채팅 서비스의 채널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캐닝에 의해 생성된 상기 화상 데이터 및 선택된 상기 채널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채팅 서비스와 관련된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송신되는 상기 화상 데이터는 선택된 상기 채널과 연관되어 저장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방법은,
    상기 복수의 채널에 대응하는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취득하는 단계에서 취득되는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채널의 선택은 표시되는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중 오브젝트의 선택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방법은, 선택된 상기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가 목적지로서 설정되는 미리 결정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화면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실행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원고의 화상이 스캐닝되어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화상 데이터 및 선택되는 상기 채널에 대응하는 정보는 다른 서버를 통해 상기 채팅 서비스에 관련된 상기 서버에 송신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8. 제13항에 있어서,
    실행 명령의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스캐닝에서는 상기 원고의 화상을 스캐닝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후에, 상기 송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캐닝에서 생성된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명령은 미리 결정된 오브젝트의 선택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서비스의 채널은 채팅 룸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방법은,
    상기 서버에 송신될 상기 화상 데이터의 파일 이름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의 파일 이름은 상기 원고의 화상이 스캐닝되어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전에 수신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2. 제13항에 있어서,
    생성되는 상기 화상 데이터는 PDF 파일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통신을 통해 상기 서버로 송신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00144963A 2019-11-13 2020-11-03 화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Active KR102763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50012554A KR20250021364A (ko) 2019-11-13 2025-01-31 화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205592A JP7387396B2 (ja) 2019-11-13 2019-11-13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9-205592 2019-11-1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50012554A Division KR20250021364A (ko) 2019-11-13 2025-01-31 화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669A KR20210058669A (ko) 2021-05-24
KR102763348B1 true KR102763348B1 (ko) 2025-02-07

Family

ID=733439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963A Active KR102763348B1 (ko) 2019-11-13 2020-11-03 화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KR1020250012554A Pending KR20250021364A (ko) 2019-11-13 2025-01-31 화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50012554A Pending KR20250021364A (ko) 2019-11-13 2025-01-31 화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11350000B2 (ko)
EP (2) EP3823262B1 (ko)
JP (2) JP7387396B2 (ko)
KR (2) KR102763348B1 (ko)
CN (2) CN11741197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18120B2 (ja) * 2019-12-20 2024-01-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520504B2 (ja) * 2019-12-20 2024-07-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493956B2 (ja) * 2020-02-20 2024-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412094B2 (en) * 2020-06-29 2022-08-0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determining an object intended for a particular talk room
JP7527864B2 (ja) * 2020-06-30 2024-08-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2059868A (ja) * 2020-10-02 2022-04-1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
JP7358422B2 (ja) 2021-07-01 2023-10-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7322110B2 (ja) 2021-08-11 2023-08-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23028746A (ja) 2021-08-20 2023-03-0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24021673A (ja) * 2022-08-04 2024-02-1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およびスキャン装置
JP2024029839A (ja) 2022-08-23 2024-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スキャン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4033712A (ja) 2022-08-31 2024-03-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スキャン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4069810A (ja) 2022-11-10 2024-05-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3878B1 (en) * 1988-10-17 2002-12-10 Lord Samuel A Kassatly Method and apparatus for tv broadcasting and reception
US20030122954A1 (en) * 1998-01-01 2003-07-03 Kassatly L. Samuel Anthony Video camera and method and device for capturing video, audio and data signals
JP2002183036A (ja) * 2000-12-14 2002-06-28 Isao:Kk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コミュニケーション情報処理装置、情報端末装置、コミュニケーション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4070693B2 (ja) * 2002-09-13 2008-04-0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スキャンデータ処理方法
CN1670697A (zh) * 2004-03-20 2005-09-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更新开机界面之系统及方法
US7596799B2 (en) * 2005-11-18 2009-09-2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video content
US8700713B2 (en) * 2005-12-09 2014-04-15 Ebuddy Holding B.V. Picture provisioning system and method
JP4654251B2 (ja) * 2008-01-25 2011-03-16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読取方法
JP5109697B2 (ja) * 2008-02-07 2012-12-26 ソニー株式会社 画像送信装置、画像受信装置、画像送受信システム、画像送信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受信プログラム
US8725819B2 (en) * 2009-03-23 2014-05-13 Sony Corporation Chat system, server device, chat method, chat execution program, storage medium stored with chat execution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unit, image display method, image processing program, storage medium stored with image processing program
JP2011123677A (ja) * 2009-12-10 2011-06-23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669562B2 (ja) * 2010-12-17 2015-02-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サーバ装置、それら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559148A (zh) * 2011-01-04 2019-04-02 Aq株式会社 广告信息提供系统
JP6180084B2 (ja) 2011-07-20 2017-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と記憶媒体
KR101850719B1 (ko) * 2011-12-28 2018-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비스 시스템 및 디지털 수신기에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40029581A (ko) 2012-08-28 2014-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메시지 서버 및 스캔 제어 방법
JP2014048724A (ja) * 2012-08-29 2014-03-1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40073289A (ko) * 2012-12-06 2014-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US10212110B2 (en) * 2014-08-13 2019-02-19 Hp Printing Korea Co., Ltd. Cloud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by cloud system, content
KR101720778B1 (ko) * 2014-08-13 2017-03-28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클라우드 시스템 및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JP6407004B2 (ja) * 2014-12-11 2018-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6115974A (ja) * 2014-12-11 2016-06-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158054A (ja) * 2015-02-24 2016-09-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11146963B2 (en) * 2015-08-14 2021-10-12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determination using mesh routing
JP6921696B2 (ja) 2017-09-26 2021-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0377240B (zh) * 2018-04-13 2024-06-14 富士胶片商业创新有限公司 消息提供装置、消息提供方法以及非暂时计算机可读介质
JP7176321B2 (ja) * 2018-09-25 2022-11-22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7242297B2 (ja) * 2018-12-28 2023-03-20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プログラム及び印刷システム
JP7415321B2 (ja) * 2019-01-18 2024-01-17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7183892B2 (ja) * 2019-03-20 2022-12-06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21033425A (ja) * 2019-08-19 2021-03-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EP3828576B1 (de) * 2019-11-28 2023-10-25 Siemens Healthcare GmbH Verfahren zur erzeugung wenigstens eines bilddatensatzes und eines referenzbilddatensatzes, datenträger, computerprogrammprodukt sowie magnetresonanzanlage
JP7520504B2 (ja) * 2019-12-20 2024-07-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418120B2 (ja) * 2019-12-20 2024-01-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412094B2 (en) * 2020-06-29 2022-08-0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determining an object intended for a particular talk room
JP7322110B2 (ja) * 2021-08-11 2023-08-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7673575B2 (ja) * 2021-08-17 2025-05-09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3028746A (ja) * 2021-08-20 2023-03-0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23047417A (ja) * 2021-09-27 2023-04-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21364A (ko) 2025-02-12
EP3823262A1 (en) 2021-05-19
US20220256042A1 (en) 2022-08-11
CN112804407A (zh) 2021-05-14
KR20210058669A (ko) 2021-05-24
EP4429221A2 (en) 2024-09-11
US11743397B2 (en) 2023-08-29
US11350000B2 (en) 2022-05-31
EP4429221A3 (en) 2024-11-06
US20250047793A1 (en) 2025-02-06
JP2021078084A (ja) 2021-05-20
JP7387396B2 (ja) 2023-11-28
CN112804407B (zh) 2023-12-15
EP3823262B1 (en) 2024-07-31
CN117411973A (zh) 2024-01-16
US20230362308A1 (en) 2023-11-09
US12149660B2 (en) 2024-11-19
JP2024009026A (ja) 2024-01-19
US20210144266A1 (en) 2021-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63348B1 (ko) 화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JP7383460B2 (ja)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527864B2 (ja)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700320B2 (ja) プログラム、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7418120B2 (ja)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520504B2 (ja)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286051B (zh) 图像处理装置、图像处理装置的控制方法和存储介质
JP7604246B2 (ja)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4029839A (ja) スキャン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4168469A (ja)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5073519A (ja) スキャン装置、スキャン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5073244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2021189753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5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11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29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