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60204B1 - 배말내장추출물을 이용한 멍게해초비빔밥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배말내장추출물을 이용한 멍게해초비빔밥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60204B1
KR102760204B1 KR1020240091369A KR20240091369A KR102760204B1 KR 102760204 B1 KR102760204 B1 KR 102760204B1 KR 1020240091369 A KR1020240091369 A KR 1020240091369A KR 20240091369 A KR20240091369 A KR 20240091369A KR 102760204 B1 KR102760204 B1 KR 102760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
seaweed
tablespoon
water
squi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91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남연
Original Assignee
강남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남연 filed Critical 강남연
Priority to KR1020240091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602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60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6020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2/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B2/80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50Mollus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0Freez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린 쌀(100)과 갯바위에서 채취된 배말(200)은 굵은 소금으로 씻어 충분히 헹군 후, 2시간 정도 바닷물과 같은 농도의 소금물에 다시 씻은 다음 뚜껑을 덮어 어둡게 하여 해감시킨 뒤 1~2분 정도 데친 다음 껍질을 분리시켜 찬물로 헹구고 채에 걸러내어 -7 ~ -5℃의 저온냉동 보관하고, 톳(300)은 햇볕에서 자연 건조시켜 염분을 제거하기 위해 물에 불린 후 3시간 동안 삶아 햇볕에서 건조시킨 후 주재료로 사용할 경우 찬물에 담가서 불려주며, 상기 채취된 배말의 일부는 껍질을 제거하여 물로 세척한 후 채에 걸러낸 다음 찬물에 넣어서 배말 내장을 손으로 주물러 터트려서 배말내장추출물(400)을 제조하여 주재료를 준비하는 제1 단계(S100)와; 상기 갯바위의 주변 바다에서 채취된 생미역(500)의 부드러운 부위만 선별하여 물에 깨끗하게 씻은 다음, -7 ~ -5℃의 저온냉동 보관하고, 서실(600)과 모자반(700)은 손질한 후, 끓는 물에 2~5sec 동안 살짝 데친 다음 식혀서 -7 ~ -5℃의 저온냉동 보관하며, 풀가사리(800)는 손질한 후, 깨끗한 물에 씻은 다음 햇볕에서 자연 건조시켜 부재료로 사용할 경우 물에 적셔주는 부재료를 준비하는 제2 단계(S200)와; 상기 갯바위의 주변 바다에서 갓 채취된 멍게(900)를 찬물에 여러 번 헹궈서 모래와 이물질을 제거한 후, 멍게 내용물 중의 검은색 쓴맛 부분을 제거하고, 요오드와 타우린 성분의 과다 섭취로 인한 부작용을 없애기 위하여 손질된 멍게의 채 썰기를 실시하여 간장과 식초, 참기름, 버터 및 다진 마늘로 살짝 볶아주어 멍게 해산물을 준비하는 제3 단계(S300)와; 상기 주재료와 부재료의 간을 맞추고 바다 고유의 비린내를 잡음과 동시에 독특한 향과 맛을 내기 위하여, 진간장 2큰술과 잘게 썰은 쪽파 1대, 다진 양파 1/2큰술, 찧은 마늘 1/2큰술, 깨소금 1/2큰술, 고춧가루 1큰술, 물엿 1큰술, 참기름 1큰술, 사이다 1큰술, 고추장 1큰술로 이루어진 양념장(1000)을 준비하는 제4 단계(S400)와; 상기 불린 쌀(100) 223g를 압력솥에 투입시킨 다음, 상기 배말(200) 14g과 톳(300) 30g 및 상기 배말내장추출물(400) 175ml를 혼합시켜 100℃로 가열하여 혼합 밥을 제조하는 제5 단계(S500)와; 상기 제조된 혼합 밥 위에 상기 생미역(500) 50g과 서실(600) 46g, 모자반(700) 40g, 풀가사리(800) 30g으로 구성된 부재료를 모양과 맛을 더하기 위한 고명으로 얹는 제6 단계(S600)와; 상기 제6 단계의 고명 위에 상기 제3 단계에서 준비된 멍게(900)와 상기 제4 단계에서 준비된 양념장(1000)을 취식자의 기호에 따라 적정량으로 투입시키는 제7 단계(S7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말내장추출물을 이용한 멍게해초비빔밥 제조방법을 구현함으로써, 필수 아미노산과 오메가-3, 황산화 물질 등의 섭취로 인한 현대인들의 식생활개선을 통한 건강증진과 해양 기능성 식품개발 및 지역특산물의 부가가치를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말내장추출물을 이용한 멍게해초비빔밥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sea squirt seaweed bibimbap using seaweed intestine extract}
본 발명은 해초비빔밥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불린 쌀에 손질된 배말과 톳을 혼합하고 물 대신에 배말내장추출물로 밥 짓기를 한 혼합 밥에 다수의 해조류와 멍게를 고명으로 사용한 부재료를 얹고 양념장을 두른 배말내장추출물을 이용한 멍게해초비빔밥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한류 열풍을 타고 K-푸드(K-Food)에 대한 세계적 관심과 함께 육식 중심의 식단을 지양하고 채식이나 해초 위주의 식단을 선호하는 등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2023.06.28.)는, 우리 농식품의 문화적 위상을 제고하고 신규 판로 확대 및 K-푸드 산업의 세계적 경쟁력을 강화해 2021년 기준 656조 원 규모의 식품산업을 2027년 1100조 원(연평균 성장률 9%)으로 성장시키기 위한‘제4차 식품산업 진흥 기본계획(2023~2027)’을 발표한 바 있다.
K-푸드의 대표적인 음식은 김치를 비롯한 불고기, 비빔밥, 라면, 떡볶이, 치킨 등이 있으나, 주요 분야 현황에서 코로나19 이후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식품제조 분야 중 가장 크게 성장한 건강기능식품 등에서 8.6%의 성장세를 보였다고 한다. 이는 1인 가구 증가·고령화 등의 영향으로‘간편식 및 메디푸드’와 건강 증진, 면역력 강화, 필수 영양성분 보충 등을 위한‘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소비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어, 향후 이 분야의 성장 가능성을 매우 높게 전망하고 있다.
K-푸드 중에서 밥에 여러 가지 채소를 가공한 나물 및 콩나물과 쇠고기 볶음, 육회, 참기름, 고추장 등을 넣어 비벼먹는 비빔밥의 표준조리법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반면, 다양한 비타민, 무기질, 섬유질을 비롯한 항산화기능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각종 해조류 및 해초류를 이용한 비빔밥의 조리법에 대한 연구는 다소 부진한 상태이다.
한편, 한국 공개특허공보(A) 제10-2000-0020916호(2000.04.15.)의 해초를 첨가한 비빔밥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밥에 참기름, 간장, 고추장 등이 조미되는 비빔밥에 있어서, 다시마, 김, 모자반, 미역, 톳, 파래, 청각, 곰피, 한천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6종 이상의 해초를 비빔밥 전체 중량의 35~55 중량%로 함유하는 해초를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초를 첨가한 비빔밥 및 그 제조방법(청구항 제1항 참조)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위 특허기술은 선택된 6종 이상의 해초를 비빔밥 전체 중량의 35~55 중량%로 함유하는 해초만을 단순히 첨가할 뿐, 해초비빔밥의 제조에 따른 구체적인 제조 공정이나 그 특정이 결여되어 있다.
또한, 본 출원인에 의해 기 출원된 제10-2023-0145027호(2023. 10. 26)의 배말내장추출물을 이용한 해초비빔밥 제조방법이 제안된바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 출원된 배말내장추출물을 이용한 해초비빔밥 제조방법에 사용된 주재료와 부재료를 포함하고, 손질한 해산물인 멍게를 추가한 새로운 멍게해초비빔밥 제조방법을 제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함과 동시에 불린 쌀에 손질된 배말과 톳을 혼합하고 물 대신에 배말내장추출물로 밥 짓기를 한 혼합 밥에 다수의 해조류와 멍게를 고명으로 사용한 부재료를 얹고 양념장을 두르는 새로운 비빔밥을 구현함으로써, 필수 아미노산과 오메가-3 및 황산화 물질 섭취로 인한 현대인들의 식생활개선을 통한 건강증진과 해양 기능성 식품개발 및 지역특산물의 부가가치를 크게 높일 수 있도록 한 배말내장추출물을 이용한 멍게해초비빔밥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불린쌀(100)과 갯바위에서 채취된 배말(200)은 굵은 소금으로 씻어 충분히 헹군 후, 2시간 정도 바닷물과 같은 농도의 소금물에 다시 씻은 다음 뚜껑을 덮어 어둡게 하여 해감시킨 뒤 1~2분 정도 데친 다음 껍질을 분리시켜 찬물로 헹구고 채에 걸러내어 -7 ~ -5℃의 저온냉동 보관하고, 톳(300)은 햇볕에서 자연 건조시켜 염분을 제거하기 위해 물에 불린 후 3시간 동안 삶아 햇볕에서 건조시킨 후 주재료로 사용할 경우 찬물에 담가서 불려주며, 상기 채취된 배말의 일부는 껍질을 제거하여 물로 세척한 후 채에 걸러낸 다음 찬물에 넣어서 배말 내장을 손으로 주물러 터트려서 배말내장추출물(400)을 제조하여 주재료를 준비하는 제1 단계(S100)와; 상기 갯바위의 주변 바다에서 채취된 생미역(500)의 부드러운 부위만 선별하여 물에 깨끗하게 씻은 다음, -7 ~ -5℃의 저온냉동 보관하고, 서실(600)과 모자반(700)은 손질한 후, 끓는 물에 2~5sec 동안 살짝 데친 다음 식혀서 -7 ~ -5℃의 저온냉동 보관하며, 풀가사리(800)는 손질한 후, 깨끗한 물에 씻은 다음 햇볕에서 자연 건조시켜 부재료로 사용할 경우 물에 적셔주는 부재료를 준비하는 제2 단계(S200)와; 상기 갯바위의 주변 바다에서 갓 채취된 멍게(900)를 찬물에 여러 번 헹궈서 모래와 이물질을 제거한 후, 멍게 내용물 중의 검은색 쓴맛 부분을 제거하고, 요오드와 타우린 성분의 과다 섭취로 인한 부작용을 없애기 위하여 손질된 멍게의 채 썰기를 실시하여 간장과 식초, 참기름, 버터 및 다진 마늘로 살짝 볶아주어 멍게 해산물을 준비하는 제3 단계(S300)와; 상기 주재료와 부재료의 간을 맞추고 바다 고유의 비린내를 잡음과 동시에 독특한 향과 맛을 내기 위하여, 진간장 2큰술과 잘게 썰은 쪽파 1대, 다진 양파 1/2큰술, 찧은 마늘 1/2큰술, 깨소금 1/2큰술, 고춧가루 1큰술, 물엿 1큰술, 참기름 1큰술, 사이다 1큰술, 고추장 1큰술로 이루어진 양념장(1000)을 준비하는 제4 단계(S400)와; 상기 불린 쌀(100) 223g를 압력솥에 투입시킨 다음, 상기 배말(200) 14g과 톳(300) 30g 및 상기 배말내장추출물(400) 175ml를 혼합시켜 100℃로 가열하여 혼합 밥을 제조하는 제5 단계(S500)와; 상기 제조된 혼합 밥 위에 상기 생미역(500) 50g과 서실(600) 46g, 모자반(700) 40g, 풀가사리(800) 30g으로 구성된 부재료를 모양과 맛을 더하기 위한 고명으로 얹는 제6 단계(S600)와; 상기 제6 단계의 고명 위에 상기 제3 단계에서 준비된 멍게(900)와 상기 제4 단계에서 준비된 양념장(1000)을 취식자의 기호에 따라 적정량으로 투입시키는 제7 단계(S7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말내장추출물을 이용한 멍게해초비빔밥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말내장추출물을 이용한 멍게해초비빔밥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은, 배말내장추출물로 주재료인 밥 짓기를 하기 때문에 밥의 빛깔이 진녹색이며 진한 고소한 맛과 향을 낼 수 있다.
(2) 본 발명은, 주재료에 고명으로 사용되는 부재료와 비린내를 잡음과 동시에 독특한 향과 맛을 내기 위한 양념장을 사용하기 때문에 육지식재료와 해조류의 성분 섭취 등의 항산화작용과 영양소를 다량으로 섭취할 수 있다.
(3) 본 발명은, 해조류와 멍게의 성분이 갖는 필수 아미노산과 오메가-3 및 황산화 물질 섭취로 인한 현대인들의 식생활개선을 통한 건강증진과 해양 기능성 식품개발 및 지역특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말내장추출물을 이용한 멍게해초비빔밥 제조방법에 대한 플로워 챠트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말내장추출물을 이용한 멍게해초비빔밥 제조방법에 대한 주재료 및 혼합 밥 제조를 나타낸 실물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말내장추출물을 이용한 멍게해초비빔밥 제조방법에 대한 배말내장추출물 제조를 나타낸 실물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말내장추출물을 이용한 멍게해초비빔밥 제조방법에 대한 부재료를 나타낸 실물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말내장추출물을 이용한 멍게해초비빔밥 제조방법에 대한 전체 공정을 나타낸 실물사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하면서, 같은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하며 비록 종래 기술과 같은 부호가 표시되더라도 종래 기술은 그 자체로 해석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말내장추출물을 이용한 멍게해초비빔밥 제조방법의 핵심 기술적 구성수단은, 불린 쌀(100)과 배말(200), 톳(300), 배말내장추출물(400)으로 구성된 주재료와 생미역(500)과 서실(600), 모자반(700), 풀가사리(800)로 구성되는 부재료, 해산물인 멍게(900) 및 양념장(100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핵심 기술적 구성 수단인 상기 삿갓조개류인 배말(200) 및 해조류인 톳(300)과 생미역(500)과 서실(600), 모자반(700), 풀가사리(800) 및 멍게(900)에 대한 특징과 효능 및 그 활용 방법 등은 해양수산부유용해조류도감과 학회논문, 두산백과사전 등에 게재되고 널리 공개된 재료들을 근거로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말내장추출물을 이용한 멍게해초비빔밥 제조방법에 따른 주재료에 사용되는 조개류(shellfish) 및 해조류(Seaweed)의 분류와 특징 및 효능, 그리고 그 활용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주재료]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불린 쌀(100)과 배말(300) 및 톳(40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말내장추출물을 이용한 멍게해초비빔밥 제조방법에 대한 주재료로 사용되는 식재료이며, 이때 불린 쌀(100)에 통상의 물 대신에 독특하게 추출된 배말내장추출물(400)을 사용하여 혼합 밥 짓기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배말내장추출물(400)은 후술되는 배말내장추출물과 해조류를 갖는 멍게해초비빔밥 제조방법에서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1] 배말
배말의 학명은 Patellogastropoda 이며, 해안가의 암석에서 고둥과 함께 고착생활을 하는 삿갓조개류이다. 몸 크기는 높이 1cm, 너비 2.5~3cm, 폭 2~2.5cm 정도의 타원형의 삿갓 모양으로 전체적인 색깔은 황토색을 띠며 자잘한 무늬의 색깔은 금색, 옥색, 붉은색 등 다양하다.
배말의 효능은, 미네랄 성분과 필수 아미노산, 무기질, 아르기닌, 칼슘과 인 등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어, 인체에 들어온 각종 독성분과 노폐물을 배출시키고 염증을 완화시켜 간의 기능을 개선하고 보호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또한 아르기닌 성분은 혈류 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기력보충과 정력 강화에 좋은 효과가 있다. 그리고 칼슘과 인은 성장호르몬 분비를 촉진시켜 뼈의 밀도를 높여주며 골다공증을 예방하고 개선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삿갓조개류는 맛이 깔끔하고 담백할 뿐만 아니라 단백질 성분이 풍부한 고단백질 식재료로 잘 알려져 있어, 주로 남해안을 비롯해 제주도, 울릉도 등의 지역에서 깨끗하게 손질하여 밥을 지어먹거나 칼국수에 넣어 먹는다.
[2] 톳(Seaweed fusiforme)
톳의 학명은 Hizikia fusiforme 이며, 모자반과에 속하는 해조류로서 자라는 모양이 사슴 꼬리와 비슷하다고 하여 녹미채(鹿尾菜)라고도 불린다. 기근 시 제주지방에서는 구황식품으로도 사용되었으며, 수확 시기는 3월~5월이고 금어기는 10월~다음해 1월이다. 건강식품으로 다른 해조류의 반찬거리보다 다소 비싸다.
톳의 효능은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아이오딘, 칼슘, 철분 등 여러 무기염류가 풍부해 빈혈에 좋다. 특히 톳의 철분 함량은 시금치의 3~4배에 달해 빈혈 증세가 있는 사람이나 임산부에게 좋으며, 칼슘 함량은 우유보다 15배 높아 어린이 성장발육에 특히 좋다. 또한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칼로리가 낮아 다이어트에도 효과적이다.
조리법으로는 무친 톳나물, 말린 톳의 경우 톳밥, 톳오이무침, 톳두부무침 등을 많이 만들어 먹는다. 말린 톳의 경우 무침보다는 밥을 지을 때 넣어먹으며, 생톳에는 무기 비소로 인한 독성이 있기 때문에 끓는 물에 한번 데쳐줘야 한다.
다음은,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말내장추출물과 해조류를 갖는 멍게해초비빔밥 제조방법에 따른 부재료에 사용되는 조개류(shellfish) 및 해조류(Seaweed)의 분류와 특징 및 효능, 그리고 그 활용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부재료]
[1] 미역
미역의 학명은 Undaria pinnatifida 이며, 갈조식물 미역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해조류이다. 길이는 1~1.5미터 정도이며 빛깔은 암갈색이고 잎은 날개처럼 벌어져 난다. 칼슘 성분이 많아서 국으로 끓여 먹거나 데쳐서 먹는다. 해안의 바위 등에 붙어서 자라며 우리나라의 남해안, 북해도, 중국 동부 해안 등지에 분포한다.
미역의 효능은, 철분과 칼슘, 아이오딘 함유량이 많아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작용이 있어 한국에서는 오래 전부터 미역국을 산후조리용 음식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알긴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초장이나 양념장에 찍어먹을 경우 소화 작용에도 큰 도움이 되어 변비에도 아주 좋다. 특히 아이오딘은 소독약인 포비돈의 주성분으로 강력한 소독작용과 상처를 빨리 아물게 하는 효과가 있는 반면, 과다섭취는 갑상선 기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2] 서실
서실의 학명은 Chondria crassicaulis 이며, 조간대(潮間帶) 바위에 붙어살며, 한국의 전연안에서 채집되는 흔한 해조류이다. 식물체는 조그만 한 각상근(殼狀根)에서 곧게 서는 줄기가 기는 뿌리처럼 휘어져 눕는다. 원주 모양을 하거나 약간 편압(扁壓)되고 크기는 5~25cm, 버비는 2~5mm이며, 가지는 각 방향으로 어긋나고 불규칙한데, 작은 가지의 끝은 뭉툭하며 기부는 가늘어진다. 채색은 주로 적갈색 또는 자홍색을 띠지만 건조하면 거무스름하게 변하고 식물체가 노성(老成)하면 가지 끝에 육생식물의 구아(球芽: 백합과 식물의 거무스름한 둥근 눈) 같은 눈이 생기고 그것이 모체에서 떨어져 새로운 식물로 영양생식하기도 한다.
서실의 효능은, 해조류이므로 숙취해소 및 피로회복에 탁월하며, 칼슘이 풍부하여 치매예방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서실의 활용은, 모자반보다 청량감 있고 깔끔하며 해조류 전체가 부드럽고 오독한 식감이 있기 때문에 살짝 데쳐서 초장 등에 찍어서 반찬으로 먹거나 식용이 가능하여 해초비빔밥 등에 사용된다.
[3] 모자반
모자반의 학명은 Sargassum fulvellum 이며, 식용 갈조류로서 열대와 아열대에 걸쳐 분포하는 다년생 해조류이다. 우리나라 동해안과 남해안에 자생하며 참모자반이라는 명칭으로 많이 쓰인다.
모자반의 효능은, 면역력 강화부터 심혈관 건강 개선, 소화 개선, 감염 예방, 체중 감량 지원, 뼈 건강 증진, 혈당 조절, 신진대사 촉진, 스트레스 완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음과 같은 효능을 발휘한다.
(1) 면역력 강화
모자반은 핵산, 폴리섹카복시산, 폴리페놀, 폴리사차라이드 등의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어, 감염과 염증을 예방하고, 전반적인 면역 체계를 강화하여 건강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폴리섹카복시산은 면역 세포의 활성을 촉진하여 감염과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핵산은 면역 조절 작용을 통해 면역 시스템을 강화시키고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데 도움을 준다.
(2) 항산화 작용
모자반에는 항산화 물질인 폴리페놀, 카로티노이드, 비타민C, 비타민E, 베타카로틴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화합물들은 자유 라디칼과 산화 스트레스로부터 세포를 보호하여 세포 손상을 예방하고, 산화 작용에 의한 염증과 질병의 발생을 억제하고 노화를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3) 소화 개선
모자반에는 식이 섬유와 젤류 성분이 풍부하게 들어있어, 소화기능을 개선하고 변비를 예방하고 해독 작용을 하여 불필요한 독소를 제거하고 소화계의 건강을 촉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특히 젤류 성분은 소화 효소와 상호작용하여 소화 과정을 지원하고 소화 흡수를 개선한다.
(4) 감염 예방
모자반에는 다양한 항균 작용을 가진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어, 세균, 바이러스, 진균 등의 병원체의 성장과 번식을 억제하고 면역 시스템을 강화하여 감염을 예방하는 데 기여한다. 또한, 모자반에는 면역력을 향상시키는 성분의 함유로 감염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키고, 면역 시스템의 활성화를 돕는다.
(5) 체중 감량 지원
모자반에는 낮은 칼로리와 높은 식이 섬유 함량이 포함되어 있어, 낮은 칼로리는 체중 감량을 위한 식단 조절에 도움을 주고, 식이 섬유는 포만감을 유지하면서 식사량을 조절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모자반에 함유된 식이 섬유는 소화과정을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돕고, 배변활동을 촉진하여 변비를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준다.
(6) 심혈관 건강 개선
모자반에는 다양한 항산화 물질인 폴리페놀과 카로티노이드, 올레인산 등이 함유되어 있어, 콜레스테롤 수치를 조절하고 혈압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모자반은 혈액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혈관을 강화하여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7) 뼈 건강 증진
모자반에는 다량의 칼슘, 마그네슘, 철, 칼륨, 요오드 등의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어, 뼈의 강도와 밀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모자반에 함유된 마그네슘은 칼슘 흡수를 돕고, 철은 적혈구의 형성과 산소 운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8) 혈당 조절
모자반에는 식이 섬유와 젤류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식이 섬유는 소화과정에서 소화 흡수 속도를 조절하고 혈당 상승을 완화하여 혈당 조절을 돕는다. 젤류 성분은 소화 효소와 상호작용하여 소화과정을 지원하고 혈당 상승을 늦추는 데 도움을 준다.
(9) 신진대사 촉진
모자반에는 다양한 비타민, 미네랄, 핵산, 폴리사차라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어, 신진대사 과정에서 필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에너지 생성과 세포 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모자반에 함유된 핵산과 폴리사차라이드는 신진대사에 관여하여 대사 속도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10) 스트레스 완화
모자반에는 해충에 대항하는 자체적인 면역체계를 지원하는 다양한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어, 면역 시스템을 강화하고 체내의 염증과 산화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모자반은 신경 전달물질인 감마 아미노뷰티릭 산(GABA)을 함유하고 있어 진정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조리법은, 제주도의 향토음식인 몸국의 주재료로 주로 소비되며, 여느 해조류처럼 매콤 새콤하게 무침으로 섭취하는 경우도 많다.
[4] 풀가사리
풀가사리의 학명은 Gloiopeltis tenax 이며, '세모가사리' 라고도 명칭되는 해조류이다. 개체마다 차이가 있으나 키 높이는 5~15cm 정도이며 반투명한 연자주색을 띠고 있는 줄기는 1~4mm 정도 굵기의 원기둥형이고 가지들이 자잘하고 길게 분기면서 가늘어진다. 주로 한반도와 일본 등 북태평양 일대 연안에 널리 분포한다.
풀가사리의 효능은, 풀가사리는 비타민과 요드, 칼륨, 타우린이 풍부하며 독특한 바다 향을 풍긴다. 특히 피부에 좋은 비타민 A와 항산화작용이 있는 비타민 C, E 등의 비타민과 미네랄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손상된 피부를 재생시켜준다. 또한 풀가사리는 뇌경색과 관련한 도코사헥사엔산(DHA)도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출 수 있어 혈압과 관련된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효과적이고, 여성들이 풀가사리를 섭취하면 월경통 개선에도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풀가사리 섭취방법은, 생으로 섭취할 경우 칼슘, 칼륨, 비타민 A,C,E 함량이 높고, 물에 데치고 찌거나 삶거나 조리된 요리에 섭취할 경우 칼슘, 칼륨, 비타민 A,C,E 당질 함량이 높다. 풀가사리는 미역이나 톳과 같은 해조류와 함께 해초비빔밥의 재료로도 활용되지만 과다 섭취 시 변비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풀가사리는 요드, 칼륨, 타우린이 풍부하고, 오독하고 쫀득한 삭감과 독특한 바다 향은 물론 투명한 연자주 빛의 색상은 식욕을 북돋우고 음식의 모양을 꾸미는데 널리 사용된다.
[해산물]
[1] 멍게
멍게는 해삼목에 속하며, 한국과 일본을 포함한 동아시아 국가에서 식용으로 널리 소비되고 있다. 멍게는 독특한 맛과 식감뿐만 아니라 다양한 건강상의 이점으로 인해 인기가 높다.
이러한 멍게는 단백질 함량이 높아 근육 생성과 유지에 도움을 주는 고단백 식품이다. 또한 멍게는 저지방 식품으로 체중 관리에 유리하다. 또한 멍게는 칼슘, 철, 아연 등의 미넬랄이 풍부하여 칼슘은 뼈와 치아의 건강을 유지시키며, 철은 혈액 내 산소 운반을 돕고, 아연은 면역 시스템을 강화하고 상처 치유를 돕는다. 특히 멍게는 필수 아미노산과 타우린,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고 있어 노화방지는 물론,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혈압을 조절하며, 염증을 감소시켜 심장병 위험을 줄여줌과 동시에 뇌 기능을 향상시키고 치매 예방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멍게는 비타민 B군이 풍부하여 피로회복과 스트레스 관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며, 효소 성분은 소화 불량과 같은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멍게가 가진 풍부한 영양성분인 요오드와 타우린의 과도한 섭취는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요오드 함량이 높기 때문에 갑상선 기능을 방해하는 하시모토 갑상선염, 그레이브스병 등 자가면역 갑상선 질환을 유발하거나 해산물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하루 요오드 섭취량은 성인 남녀의 경우 150㎍, 임산부는 220㎍, 수유중인 여성은 290㎍이 권장되고 있다. 또한 과다 섭취한 타우린(Taurine)은 메스꺼움, 구토, 복통 등의 소화기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요오드와 타우린 성분이 풍부한 멍게의 과다 섭취로 인한 부작용을 없애기 위하여 멍게를 찬물에 여러 번 헹궈서 모래와 이물질을 제거한 후, 멍게 내용물중의 검은색 쓴맛 부분을 제거한다. 쓴맛 부분이 제거된 멍게를 채 썰기를 실시하여 간장과 식초, 참기름, 버터 및 마늘로 살짝 볶아준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말내장추출물을 이용한 멍게해초비빔밥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 1 : 비빔밥 제조방법]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불린 쌀(100)과 갯바위에서 채취된 배말(200) 및 톳(300)을 손질하고, 상기 채취된 배말의 내장은 손으로 주물러 터트려서 배말내장추출물(400)을 제조하는 주재료를 준비하는 제1 단계(S100)를 갖는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 단계의 배말(200)의 손질 방법은, 상기 채취된 배말(200)을 굵은 소금으로 빡빡 씻어주는 단계와, 상기 소금으로 씻은 배말을 충분히 헹군 후, 2시간 정도 바닷물과 같은 농도의 소금에 다시 씻는 단계와, 상기 다시 씻은 배말을 통에 담은 후, 뚜껑을 덮어 어둡게 하여 해감 시키는 단계와, 상기 해감 된 배말을 냄비에 넣고 1~2분 정도 데치는 단계와, 상기 데친 배말의 껍질을 분리시켜 찬물로 헹군 후 채에 걸러내는 단계와, 상기 걸러낸 배말을 신선도 유지를 위해 -7 ~ -5℃의 저온냉동 보관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이렇게 손질된 배말(200)은 맛이 담백하고 바다의 육류인 고단백질의 식재료이기 때문에 불린 쌀(100)과 함께 혼합시켜 주재료로 사용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배말내장추출물(400)의 제조방법은, 상기 갯바위에서 채취된 배말(200)의 껍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껍질이 제거된 배말을 물로 세척한 후 채에 걸러내는 단계와, 상기 채에 걸러낸 배말을 찬물에 넣은 다음, 배말의 내장을 손으로 주물러 터트려서 배말내장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껍질이 제거된 상기 배말(200)을 손으로 주물러서 배말의 내장을 터트려서 배말내장추출물을 제조할 경우, 채를 사용하여 걸려낸 배말내장추출물만 사용하거나 내장을 추출하기 위해 손으로 주무른 배말 부스러기까지 함께 사용해도 무방하다. 이러한 배말내장추출물(400)은 배말 자체가 작은 전복 삿갓조개 또는 따개비이므로, 전복내장을 풀어놓은 색처럼 진녹색을 띤다. 이를 통상의 물 대신에 상기 배말내장추출물(400)을 사용하여 밥 짓기를 할 경우, 밥맛이 담백·고소하고 진한 맛을 낸다. 그리고 상기 제1 단계의 톳(300)의 손질 방법은, 상기 채취된 톳(300)을 햇볕에서 자연 건조시키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톳의 염분을 제거하기 위해 물에 불린 후 3시간 동안 삶는 단계와, 상기 삶은 톳을 다시 햇볕에서 자연 건조시키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톳을 주재료로 사용할 경우 찬물에 담가서 불려주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음은, 도 1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갯바위의 주변 바다에서 채취된 생미역(500)과 서실(600), 모자반(700), 풀가사리(800)로 구성되는 부재료를 손질하여 준비하는 제2 단계(S200)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제2 단계의 부재료는, 상기 제1 단계의 주재료 위에 고명으로 사용되는 식재료이다. 상기 제2 단계의 생미역(500)의 손질 방법은, 상기 갯바위의 주변 바다에서 채취한 후 부드러운 부위만 선별하여 물에 깨끗하게 씻은 다음, 신선도 유지를 위해 -7 ~ -5℃의 저온냉동 보관하여 사용된다. 이때 상기 생미역을 채취하여 손질 후 끓는 물에 데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생미역이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는 철분과 칼슘, 아이오딘을 통한 신진대사와 소독작용을 촉진시키고, 알긴산을 통한 소화 작용으로 변비 해소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바다에서 채취한 생미역을 깨끗하게 손질하여 해초비빔밥의 부재료인 고명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제2 단계의 서실(600)과 모자반(700)의 손질 방법은, 상기 갯바위의 주변 바다에서 채취하여 손질한 후, 끓는 물에 2~5sec 동안 살짝 데친 다음 식혀서 신선도 유지를 위해 -7 ~ -5℃의 저온냉동 보관하여 사용된다. 또한 상기 제2 단계의 풀가사리(800)의 손질 방법은, 상기 갯바위의 주변 바다에서 채취하여 손질한 후, 깨끗한 물에 씻은 다음 햇볕에서 자연 건조시켜주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풀가사리를 부재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물에 적셔주는 단계가 포함된다.
다음은, 도 1과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갯바위의 주변 바다에서 갓 채취된 멍게(900)를 찬물에 여러 번 헹궈서 모래와 이물질을 제거한 후, 멍게 내용물 중의 검은색 쓴맛 부분을 제거하여 신선한 멍게 해산물을 준비하는 제3 단계(S300)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3 단계의 멍게 해산물은, 요오드와 타우린 성분의 과다 섭취로 인한 부작용을 없애기 위하여 손질된 멍게의 채 썰기를 실시하여 간장과 식초, 참기름, 버터 및 다진 마늘로 살짝 볶아주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멍게(900)가 가진 풍부한 영양성분인 요오드와 타우린의 과도한 섭취에 따른 부작용을 없애기 위해서는 멍게를 찬물에 여러 번 헹궈서 모래와 이물질을 제거한 후, 멍게 내용물중의 검은색 쓴맛 부분을 제거한다. 쓴맛 부분이 제거된 멍게를 채 썰기를 실시하여 간장과 식초, 참기름, 버터 및 마늘로 살짝 볶아줌으로써 상기 부작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다음은, 상기 주재료와 부재료의 간을 맞추고 바다 고유의 비린내를 잡음과 동시에 독특한 향과 맛을 내기 위하여, 진간장과 잘게 썰은 쪽파, 다진 양파, 다진 마늘, 깨소금, 고춧가루, 물엿, 참기름, 사이다, 고추장으로 이루어진 양념장(1000)을 준비하는 제4 단계(S400)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양념장(1000)은, 상기 진간장 2 큰술과 잘게 썰은 쪽파 1대, 다진 양파 1/2 큰술, 찧은 마늘 1/2 큰술, 깨소금 1/2 큰술, 고춧가루 1 큰술, 물엿 1 큰술, 참기름 1 큰술, 사이다 1 큰술, 고추장 1 큰술로 혼합시켜 제조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상기 양념장(1000)은 주재료와 부재료의 간을 맞추고 바다 고유의 비린내를 잡음과 동시에 독특한 향과 맛을 내기 위한 것으로 취식자의 기호도 및 선호도에 따라 주재료 위에 고명으로 사용되는 부재료의 한가운데에 적정량으로 투입시킨다.
다음은 도 1 내지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불린 쌀(100) 223g를 압력솥에 투입시킨 다음, 상기 배말(200) 14g과 톳(300) 30g 및 배말내장추출물(400) 175ml를 혼합시켜 100℃로 가열하여 혼합 밥을 제조하는 제5 단계(S500)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제5 단계의 혼합 밥의 제조방법은, 불린 쌀(100)에 배말(200)과 톳(300)을 투입한 후, 일반적으로 밥 짓기에 사용되는 적정량의 물 대신에 손질된 배말(200)의 내장을 손으로 주물러 터트려서 추출된 배말내장추출물(400) 175ml를 투입하여 혼합 밥 짓기를 한다. 특히 상기 배말내장추출물(400)을 투입하여 밥 짓기를 할 경우, 밥의 빛깔이 진녹색을 띠면서 진한 고소한 맛을 낼뿐만 아니라 배말(200)에 다량으로 함유된 미네랄 성분과 필수 아미노산, 무기질, 아르기닌, 칼슘과 인 등을 통해 인체에 들어온 각종 독성분과 노폐물을 배출시키고 염증을 완화시켜 간의 기능을 개선하고 보호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배말(200)은 삿갓조개류로서 그 맛이 깔끔하고 담백할 뿐만 아니라 단백질 성분이 풍부한 고단백질의 식재료이므로 그 영양소가 높은 특징이 있다.
다음은 도 1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조된 혼합 밥 위에 상기 생미역(500) 50g과 서실(600) 46g, 모자반(700) 40g, 풀가사리(800) 30g으로 구성된 부재료를 모양과 맛을 더하기 위한 고명으로 얹는 제6 단계(S600)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부재료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성분 및 효능은 물론 모양과 맛을 더하기 위한 고명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취식자의 기호나 선호도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과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6 단계의 고명 위에 상기 제3 단계에서 준비된 멍게(900)와 상기 제4 단계에서 준비된 양념장(1000)을 취식자의 기호에 따라 적정량으로 투입시키는 제7 단계(S7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양념장(1000)은 주재료와 부재료의 간을 맞추고 바다 고유의 비린내를 잡음과 동시에 독특한 향과 맛을 내기 위한 것으로 취식자의 기호 및 선호도에 따라 적정량으로 투입시킨다.
[실시 예 2 : 배말내장추출물을 이용한 멍게해초비빔밥]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실시 예 1]의 배말내장추출물을 이용한 멍게해초비빔밥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배말내장추출물을 이용한 멍게해초비빔밥을 포함한다.
즉, 상기 실시 예 1의 배말내장추출물을 이용한 멍게해초비빔밥 제조방법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제1 단계 내지 제7 단계의 제조 과정을 통해 제조된 배말내장추출물을 이용한 멍게해초비빔밥이 포함될 수 있다.
[실시 예 3 : 소비자 선호도 조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비자 선호도 조사는, 본 발명의 실시를 통해 제조된 배말내장추출물을 이용한 멍게해초비빔밥에 대하여 경남 통영시민과 바다낚시꾼, 관광객 등의 성인 100명을 대상으로 상기 배말내장추출물(400)을 사용하지 않은 일반 멍게비빔밥과의 소비자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선호도 조사 항목으로는 고소한 맛, 독특한 해조류의 향, 바다 고유의 비린내, 전반적인 선호도에 대한 4가지를 조사하였다.
위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말내장추출물을 이용한 멍게해초비빔밥은, 일반 멍게비빔밥과 비교 시 유의적인 차이가 있으며, 이는 일반 멍게비빔밥의 경우 밥 짓기를 통상의 물을 사용하는 반면에, 본 발명의 경우는 주재료와 배말내장추출물을 이용한 혼합 밥 짓기와 다수의 해초류를 갖는 부재료와 갓 채취된 해산물인 멍게에 대한 사전 손질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고소한 맛과 해조류 향 선호도에서는 일반 멍게비빔밥보다 유의적으로 좋은 것으로 평가되어 배말내장추출물을 이용한 멍게해초비빔밥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 것으로 확인되고 있는 바, 향후 제품 상용화를 통해 지역특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배말(200)에 함유되어 있는 미네랄 성분과 필수 아미노산, 무기질, 아르기닌, 칼슘과 인 등과, 톳(300)의 풍부한 식이섬유와 무기염류인 아이오딘, 칼슘, 철분 등과, 미역(500)의 철분과 칼슘, 아이오딘 성분, 서실(600)의 풍부한 칼슘과. 모자반(700)에 함유된 핵산, 폴리섹카복시산, 폴리페놀, 폴리사차라이드 등의 화합물과, 풀가사리(800)와 멍게(900)의 풍부한 비타민 A,C,E와 칼륨, 멍게의 요오드와 타우린이 등의 유효성분으로 인한 현대인들의 식생활개선을 통한 건강증진과 해양 기능성 식품개발이 가능한 독특한 특징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불린 쌀 200 : 배말
300 : 톳 400 : 배말내장추출물
500 : 생미역 600 : 서실
700 : 모자반 800 : 풀가사리
900 : 멍게 1000 : 양념장

Claims (5)

  1. 불린 쌀(100)과, 갯바위에서 채취된 배말(200)은 굵은 소금으로 씻어 충분히 헹군 후, 2시간 정도 바닷물과 같은 농도의 소금물에 다시 씻은 다음 뚜껑을 덮어 어둡게 하여 해감시킨 뒤 1~2분 정도 데친 다음 껍질을 분리시켜 찬물로 헹구고 체에 걸러내어 -7 ~ -5℃에서 저온냉동 보관하고, 톳(300)은 햇볕에서 자연 건조시켜 염분을 제거하기 위해 물에 불린 후 3시간 동안 삶아 햇볕에서 건조시킨 후 주재료로 사용할 경우 찬물에 담가서 불려주며, 상기 채취된 배말의 일부는 껍질을 제거하여 물로 세척한 후 체에 걸러낸 다음 찬물에 넣어서 배말 내장을 손으로 주물러 터트려서 배말내장추출물(400)을 제조하여 주재료를 준비하는 제1 단계(S100)와;
    상기 갯바위의 주변 바다에서 채취된 생미역(500)의 부드러운 부위만 선별하여 물에 깨끗하게 씻은 다음, -7 ~ -5℃에서 저온냉동 보관하고, 서실(600)과 모자반(700)은 손질한 후, 끓는 물에 2~5sec 동안 살짝 데친 다음 식혀서 -7 ~ -5℃에서 저온냉동 보관하며, 풀가사리(800)는 손질한 후, 깨끗한 물에 씻은 다음 햇볕에서 자연 건조시켜 부재료로 사용할 경우 물에 적셔주는 부재료를 준비하는 제2 단계(S200)와;
    상기 갯바위의 주변 바다에서 갓 채취된 멍게(900)를 찬물에 여러 번 헹궈서 모래와 이물질을 제거한 후, 멍게 내용물 중의 검은색 쓴맛 부분을 제거하고, 요오드와 타우린 성분의 과다 섭취로 인한 부작용을 없애기 위하여 손질된 멍게의 채 썰기를 실시하여 간장과 식초, 참기름, 버터 및 다진 마늘로 살짝 볶아주어 멍게 해산물을 준비하는 제3 단계(S300)와;
    상기 주재료와 부재료의 간을 맞추고 바다 고유의 비린내를 잡음과 동시에 독특한 향과 맛을 내기 위하여, 진간장 2큰술과 잘게 썰은 쪽파 1대, 다진 양파 1/2큰술, 찧은 마늘 1/2큰술, 깨소금 1/2큰술, 고춧가루 1큰술, 물엿 1큰술, 참기름 1큰술, 사이다 1큰술, 고추장 1큰술로 이루어진 양념장(1000)을 준비하는 제4 단계(S400)와;
    상기 불린 쌀(100) 223g를 압력솥에 투입시킨 다음, 상기 배말(200) 14g과 톳(300) 30g 및 상기 배말내장추출물(400) 175ml를 혼합시켜 100℃로 가열하여 혼합 밥을 제조하는 제5 단계(S500)와;
    상기 제조된 혼합 밥 위에 상기 생미역(500) 50g과 서실(600) 46g, 모자반(700) 40g, 풀가사리(800) 30g으로 구성된 부재료를 모양과 맛을 더하기 위한 고명으로 얹는 제6 단계(S600)와;
    상기 제6 단계의 고명 위에 상기 제3 단계에서 준비된 멍게(900)와 상기 제4 단계에서 준비된 양념장(1000)을 취식자의 기호에 따라 적정량으로 투입시키는 제7 단계(S7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말내장추출물을 이용한 멍게해초비빔밥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40091369A 2024-07-10 2024-07-10 배말내장추출물을 이용한 멍게해초비빔밥 제조방법 Active KR102760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91369A KR102760204B1 (ko) 2024-07-10 2024-07-10 배말내장추출물을 이용한 멍게해초비빔밥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91369A KR102760204B1 (ko) 2024-07-10 2024-07-10 배말내장추출물을 이용한 멍게해초비빔밥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60204B1 true KR102760204B1 (ko) 2025-01-23

Family

ID=94384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91369A Active KR102760204B1 (ko) 2024-07-10 2024-07-10 배말내장추출물을 이용한 멍게해초비빔밥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602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916A (ko) * 1998-09-24 2000-04-15 서철오 해초를 첨가한 비빔밥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13661A (ko) * 2002-08-07 2004-02-14 김순호 비빔밥용 해초 무침 및 비빔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916A (ko) * 1998-09-24 2000-04-15 서철오 해초를 첨가한 비빔밥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13661A (ko) * 2002-08-07 2004-02-14 김순호 비빔밥용 해초 무침 및 비빔밥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겨울 식탁을 풍성하게 해주는 바다의 보물 해조류 <통권 347호>, 월간식당(2014.1.29), 인터넷(https://month.foodbank.co.kr/m/section/section_view.php?...) 1부.* *
식감이 좋은 톳 비빔밥 만든 비법 공개, 네이버 블로그(2020.12.12), 인터넷(https://blog.naver.com/givinstar60/222171788674) 1부.* *
통영 배말국수 후기, 티스토리 블로그(2023.6.17), 인터넷(https://kdg10107.tistory.com/entry/통영-배말국수-후기) 1부.* *
황홀한 맛의 멍게 비빔밥 레시피, 티스토리 블로그(2023.8.28), 인터넷(https://whdrb6406.tistory.com/entry/황홀한-맛의-멍게-비빔밥-레시피)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hadevan Seaweeds: a sustainable food source
KR102031872B1 (ko) 오징어 및 피조개를 이용한 어묵 및 영양 어묵제조방법
KR101815616B1 (ko) 양파추출물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 방법
KR101388438B1 (ko) 우리맛닭 1호 및 2호를 이용한 조리식품
KR101234612B1 (ko) 톳과 함초를 이용한 소 특양과 대창의 제조방법
KR101042346B1 (ko) 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김 제조방법
KR100421941B1 (ko) 자반연어의 제조방법
KR102256671B1 (ko) 아귀찜 제조방법
KR100914644B1 (ko) 다슬기장 제조방법
KR100815375B1 (ko) 닭과 한약재를 이용한 닭 대보중탕 및 그 제조방법
KR102051091B1 (ko) 칼국수 및 그 제조방법
KR101540867B1 (ko) 단호박 및 치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백김치 조성물
KR102371642B1 (ko) 전복육포 제조방법 및 그 소스 조성물
KR20230000358A (ko) 염장 생선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액젓을 함유하는 염장 생선
KR101217229B1 (ko) 영양 전복밥 제조방법
KR102760204B1 (ko) 배말내장추출물을 이용한 멍게해초비빔밥 제조방법
KR102760206B1 (ko) 배말내장추출물을 이용한 해초비빔밥 제조방법
KR102387524B1 (ko) 인삼, 맥문동, 오미자 추출물 및 사과즙과 금산인삼1뿌리를 포함하는 고영양 잡곡밥 및 그 제조방법
KR101781457B1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기능성 오징어 먹물 순대의 제조방법
KR20190021980A (ko) 생선 비릿내 제거를 위한 간수액의 제조방법
KR101301813B1 (ko) 초절임 샐러드 제조방법
KR20230033831A (ko) 방풍나물을 첨가한 굴국 식품 제조방법 및 굴국 식품
KR101654511B1 (ko) 솔잎과 산야초 추출물을 이용한 굴비의 제조방법
KR102355098B1 (ko) 송이버섯액이 가미된 명태순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79035B1 (ko) 한방 명태 양념구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7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9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1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