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59054B1 - A Transferring Device of Food - Google Patents
A Transferring Device of Fo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59054B1 KR102759054B1 KR1020220171071A KR20220171071A KR102759054B1 KR 102759054 B1 KR102759054 B1 KR 102759054B1 KR 1020220171071 A KR1020220171071 A KR 1020220171071A KR 20220171071 A KR20220171071 A KR 20220171071A KR 102759054 B1 KR102759054 B1 KR 1027590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od
- envelope
- arm
- gear
- rai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3
- 230000007723 transport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9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6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claims 1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claims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12858 packag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4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09 kimchi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80 packaging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5 packaging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0 scra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46—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 B65B43/465—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for ba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8—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grippers, e.g. suction grippers
- B65H5/10—Reciprocating or oscillating grippers, e.g. suction or gripper tab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8—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grippers, e.g. suction grippers
- B65H5/14—Details of grippers; Actuating-mechanism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50—Gripping means
- B65H2405/52—Gripping means reciproc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50—Gripping means
- B65H2405/57—Details of the gripping p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Bags, sachets and pouche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81—Packag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이 담긴 봉투를 파지하여 이송시키도록 하고, 이송과 함께 봉투의 포장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의 포장 과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봉투의 양측에서 파지암을 통해 압착하여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하도록 하고, 파지암의 봉투에 대한 압착과 해제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여 봉투에 대한 음식물의 투입 및 이송 작업이 원활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transport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food transport device which enables a bag containing food to be transported by gripping it, and automatically packages the bag while transporting it, thereby enabling a rapid packaging process for food, enables stable gripping by squeezing the bag on both sides by gripping arms, and automatically controls the squeezing and releasing of the bag by the gripping arms, thereby enabling smooth and rapid insertion and transport of food into the bag.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식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이 담긴 봉투를 파지하여 이송시키도록 하고, 이송과 함께 봉투의 포장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의 포장 과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봉투의 양측에서 파지암을 통해 압착하여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하도록 하고, 파지암의 봉투에 대한 압착과 해제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여 봉투에 대한 음식물의 투입 및 이송 작업이 원활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transport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food transport device which enables a bag containing food to be transported by gripping it, and automatically packages the bag while transporting it, thereby enabling a rapid packaging process for food, enables stable gripping by squeezing the bag on both sides by gripping arms, and automatically controls the squeezing and releasing of the bag by the gripping arms, thereby enabling smooth and rapid insertion and transport of food into the bag.
일반적으로, 음식물은 국물이 있는 경우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된 용기에 투입되어 포장되거나, 용기에 포장되되,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부 주변 둘레 즉, 테두리부의 상면에 부착되어 개구부를 필폐시키는 필름이 추가되어 포장되고, 초밥, 떡 등과 같이 낱개의 소형으로 제작되는 경우 포장필름을 낱개마다 감싸 포장한다.In general, food is packaged by being placed in a container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if it contains broth, or is packaged in a container but additionally has a film attached to the perimeter of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of the container,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edge, to close the opening, and is packaged; in the case of small individual products such as sushi and rice cakes, each product is wrapped with a packaging film.
상기와 같은 음식물 중 국물이 있는 음식물을 포장하기 위한 종래의 포장장치를 살펴보면,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히팅부재를 구비한 가압부재를 가압하여 휴대형 음식물 용기의 개구된 상단을 열 융착에 의해 필름으로 밀봉시킨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재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는 경우 필름이 밀봉된 휴대형 음식물 용기가 자동으로 상승되도록 하여 그 배출이 용이하도록한 휴대형 음식물 용기의 포장장치가 개시되어 있다.Looking at a conventional packaging device for packaging food containing broth among the above foods, as in the patent document below, a packaging device for a portable food container is disclosed in which a pressurizing member equipped with a heating member is pressurized to seal the opened top of a portable food container with a film by heat fusion, and when the pressurizing of the pressurizing member is released, the portable food container sealed with the film is automatically raised to facilitate discharge.
한편, 김치와 같이 다양한 식재료가 혼합되어 제조되어지는 음식물은 별도의 혼합장치에서 혼합된 후 상기와 같은 포장장치에 의해 포장되거나, 합성수지 재질의 용기 또는 봉투 또는 지퍼팩과 같은 용기에 투입된 후 포장되도록 하고 있어, 설비의 비용이 상승되고 작업시간이 증가되어 작업효율이 저하되므로 혼합과 포장이라는 두가지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Meanwhile, food products such as kimchi, which are manufactured by mixing various ingredients, are mixed in a separate mixing device and then packaged using the packaging device mentioned above, or are placed in containers such as synthetic resin containers, bags, or zipper packs and then packaged. As a result, the cost of the equipment increases, the work time increases, and the work efficiency decrea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device that can achieve both the purposes of mixing and packaging.
(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2128347호(2020. 06. 24. 등록)"휴대형 음식물 용기의 포장장치"(Patent Document) Patent Publication No. 10-2128347 (registered on June 24, 2020) "Packaging Device for Portable Food Contain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음식물이 담긴 봉투를 파지하여 이송시키도록 하고, 이송과 함께 봉투의 포장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의 포장 과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transport device that enables a food packaging process to be carried out quickly by automatically packaging a bag containing food while transporting the bag and packaging the bag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은 봉투의 양측에서 파지암을 통해 압착하여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하도록 하고, 파지암의 봉투에 대한 압착과 해제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여 봉투에 대한 음식물의 투입 및 이송 작업이 원활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transport device that enables stable squeezing by squeezing through a squeezing arm on both sides of an envelope, and automatically controls the squeezing and releasing of the squeezing arm on the envelope, so that the feeding and transporting of food into the envelope can be performed smoothly and quickly.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an embodiment hav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이송장치는 봉투를 파지하여 이송시키는 이송기구와, 상기 이송기구가 지지되어 이동하는 이송레일과, 상기 이송기구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기구는 봉투를 눌러 파지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 바닥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레일에 지지되어 이동하는 이동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는 파지본체와, 상기 파지본체의 양측에 한 쌍이 형성되어 좌우 이동에 따라 봉투를 파지하는 파지암과, 상기 파지암의 끝단에 형성되어 봉투를 누르는 파지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ood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port mechanism that grips and transports a bag, a transport rail on which the transport mechanism is supported and moves, and a driving unit that drives the transport mechanism, wherein the transport mechanism includes a gripping portion that presses and grips a bag, and a moving roller that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gripping portion and is supported and moves on the transport rail, and the gripping portion includes a gripping body, a pair of gripping arm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gripping body to grip a bag according to left-right movement, and a gripping roller formed at the end of the gripping arm to press the bag.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지암은 상기 이동레일에 지지되어 이동하는 제1암과; 상기 제1암과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연결되며, 상기 파지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암과; 상기 제2암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끝단에 상기 파지롤러가 형성되는 제3암;을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2암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1암을 탄성적으로 당기는 장력지지수단과, 상기 장력지지수단의 당김 정도를 조절하는 장력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od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ping arm includes a first arm that is supported and moves on the moving rail; a second arm that is connected to the first arm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gripping body; and a third arm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arm and has the gripping roller formed at an end; and the gripping por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tension supporting means formed on the second arm to elastically pull the first arm, and a tension adjusting means that adjusts the degree of pulling of the tension supporting mean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레일은 상기 제1암이 삽입되어 이동하는 파지조절레일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파지조절레일은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레일과, 외측에 형성되는 외측레일과, 내측레일 및 외측레일이 모아지는 양 끝단에 형성되어 내측레일 또는 외측레일로의 이동을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암은 조절부재의 조절에 따라 상기 내측레일 또는 외측레일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파지롤러가 봉투에 밀착되거나 밀착이 해제된 상태에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od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ort rail further includes a grip adjustment rail into which the first arm is inserted and moved, and the grip adjustment rail includes an inner rail formed on the inside, an outer rail formed on the outside, and a control member formed at both ends where the inner rail and the outer rail meet to control movement toward the inner rail or the outer rail, and the first arm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erted into either the inner rail or the outer rail according to control of the control member so as to move in a state where the grip roller is in contact with or released from contact with the ba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지롤러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정도가 상이한 제1,2롤러가 번갈아 형성되도록 하고, 대향되는 양측 파지암의 파지롤러는 제1롤러가 제2롤러에, 제2롤러가 제1롤러에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od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rush rollers are formed alternately as first and second rollers having different degrees of inward protrusion, and the crush rollers of the opposing crush arms on both sides are formed such that the first roller faces the second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faces the first roll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송기구가 이동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이송기구가 이동하는 경로 양단에 각각 형성되며, 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제1,2이동기어와; 상기 구동모터와 제1,2이동기어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구동벨트와; 상기 제1,2이동기어에 감겨 회전하며, 상기 이송기구와 연결되어 이송기구를 이동시키는 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od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includes: a driving motor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transport mechanism; first and second moving gears that are respectively formed at both ends of a path along which the transport mechanism moves and rot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a driving belt that connects the driving motor and one of the first and second moving gears; and a chain that is wound around the first and second moving gears and rotates, and is connected to the transport mechanism to move the transport mechanism.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by combining the configuration and use relationship described below with the previously described embodiment.
본 발명은 음식물이 담긴 봉투를 파지하여 이송시키도록 하고, 이송과 함께 봉투의 포장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의 포장 과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abling the packaging process of food to be carried out quickly by enabling a bag containing food to be crushed and transported, and automatically packaging the bag along with the transport.
본 발명은 봉투의 양측에서 파지암을 통해 압착하여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하도록 하고, 파지암의 봉투에 대한 압착과 해제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여 봉투에 대한 음식물의 투입 및 이송 작업이 원활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stable squeezing by squeezing through a squeezing arm on both sides of an envelope, and automatically controls the squeezing and releasing of the squeezing arm on the envelope, so that the feeding and transporting of food into the envelope can be performed smoothly and quick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이송장치가 포함된 음식물 포장 시스템을 나타내는 투명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이송장치가 포함된 음식물 포장 시스템을 나타내는 투명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이송장치가 포함된 음식물 포장 시스템을 나타내는 투명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
도 5는 파지부의 정면도
도 6은 도 2의 B 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6의 C 부분 확대도
도 8은 도 1의 D 부분 확대도
도 9는 도 2에서 힌지 결합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도 2의 E 부분 확대도
도 11은 도 10의 F 부분 확대도
도 12는 도 1의 G 부분 확대도
도 13은 도 1의 H 부분 확대도
도 14는 도 2의 I 부분 확대도
도 15는 도 1의 J 부분 확대도
도 16은 도 3의 K 부분 확대도
도 17은 도 3의 L 부분 확대도
도 18은 도 1의 M 부분 확대도FIG. 1 is a transparent side view showing a food packaging system including a food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transparent plan view showing a food packaging system including a food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transparent front view showing a food packaging system including a food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ure 3.
Figure 5 is a front view of the phage section.
Figure 6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ure 2.
Figure 7 is an enlarged view of part C of Figure 6.
Figure 8 is an enlarged view of part D of Figure 1.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hinge joint in Figure 2.
Figure 10 is an enlarged view of part E of Figure 2.
Figure 11 is an enlarged view of part F of Figure 10.
Figure 12 is an enlarged view of part G of Figure 1.
Figure 1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H of Figure 1.
Figure 14 is an enlarged view of part I of Figure 2.
Figure 15 is an enlarged view of part J of Figure 1.
Figure 16 is an enlarged view of part K of Figure 3.
Fig. 17 is an enlarged view of the L portion of Fig. 3.
Fig. 18 is an enlarged view of part M of Fig. 1.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포장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food transport device and a food packa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that other components are excluded, but that other components can be further inclu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이송장치(1)를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음식물 이송장치(1)는 봉투(100)를 파지하여 이송시키는 이송기구(11)와, 상기 이송기구(11)가 지지되어 이동하는 이송레일(13)과, 상기 이송기구(11)를 구동하는 구동부(15)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 to 8, a food transport device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port mechanism (11) that grips and transports a bag (100), a transport rail (13) along which the transport mechanism (11) is supported and moves, and a driving unit (15) that drives the transport mechanism (11).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1)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봉투(100)를 자동으로 파지하여 포장을 위해 이송하도록 하는 장치로, 특히 이송기구(11)를 이동시키는 구동부(15)의 작동만으로 봉투(100)의 펼침 및 봉투(100)에 대한 음식물의 공급, 봉투(100)의 이송 후 포장 작업이 작업자 없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송장치(1)는 음식물을 혼합하여 봉투(100)에 공급하고, 음식물이 수용된 봉투(100)를 포장장치로 이송시켜 자동으로 포장이 이루어지는 음식물 포장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은 음식물 포장 시스템에 있어서, 봉투(100)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측을 전측, 봉투(100)가 이송되는 포장장치 측을 후측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The transport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automatically grips a bag (100) containing food and transports it for packaging, and in particular, enables the unfolding of the bag (100), the supply of food to the bag (100), and the packaging work after transporting the bag (100) to be performed automatically without a worker by only the operation of a driving unit (15) that moves a transport mechanism (11). The transport device (1) can be applied to a food packaging system that mixes food and supplies it to the bag (100), and transports the bag (100) containing the food to a packaging device to automatically perform packaging. In the food packaging system described below, it will be explained assuming that the side where the food is contained in the bag (100) is the front side, and the side of the packaging device where the bag (100) is transported is the rear side.
상기 이송기구(11)는 음식물이 담긴 봉투(100)를 파지하여 이동하는 구성으로, 이송레일(13)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이송기구(11)는 양측에서 봉투(100)의 상측을 눌러 파지하도록 하며, 파지된 상태에서 이송레일(13)을 따라 전방의 밴딩포장장치(3)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이동된 봉투(100)가 밴딩포장장치(3)에 의해 자동으로 밀봉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이송기구(11)는 그 이동에 따라 후술되는 봉투공급장치(5)에 의해 공급되는 봉투(100)의 펼침, 회전하우징(23)의 회전, 밴딩포장장치(3)에 의한 포장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송기구(11)를 구동부(15)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만 하면, 봉투(100)의 펼침, 회전하우징(23)의 회전, 밴딩포장장치(3)에 의한 포장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모든 작업이 작업자 없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장치의 구성을 간소화하고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이송기구(11)는 파지부(111), 이동롤러(112), 기어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transport mechanism (11) is configured to move by gripping a bag (100) containing food, and move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long the transport rail (13). The transport mechanism (11) presses the upper side of the bag (100) from both sides to grip it, and in the gripped state moves toward the banding packaging device (3) forward along the transport rail (13), and automatically seals the moved bag (100) by the banding packaging device (3). In particular, the transport mechanism (11) automatically performs the unfolding of the bag (100) supplied by the bag supply device (5) described below,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housing (23), and the packaging work by the banding packaging device (3) as it move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performs the unfolding of the envelope (100),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housing (23), and the packaging operation by the banding packaging device (3) by simply moving the transport mechanism (11)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y the driving unit (15), thereby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evice and minimizing the power consumption while allowing all operations to be performed automatically without a worker. To this end, the transport mechanism (11) may include a gripping unit (111), a moving roller (112), and a gear unit (113).
상기 파지부(111)는 봉투(100)를 파지하는 구성으로, 봉투(100)의 양측에서 봉투(100)를 눌러 파지하도록 한다. 상기 파지부(11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본체(111a), 파지암(111b), 파지롤러(111c), 장력지지수단(111d), 장력조절수단(111e)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gripping part (111) is configured to grip an envelope (100) and grips the envelope (100) by pressing it on both sides of the envelope (100). As shown in Fig. 5, the gripping part (111) may include a gripping body (111a), a gripping arm (111b), a gripping roller (111c), a tension supporting means (111d), and a tension adjusting means (111e).
상기 파지본체(111a)는 파지부(111)의 구성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양측에 파지암(111b)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이송레일(13)에 지지되어 이동한다. The above-mentioned phage main body (111a)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configuration of the phage section (111), and phage arms (111b) are rotatably fixed on both sides, and are supported and moved on a transport rail (13).
상기 파지암(111b)은 일단이 파지본체(111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 타단에는 파지롤러(111c)가 형성되어 봉투(100)를 누르도록 하며, 파지본체(111a)의 양측에 한 쌍이 형성된다. 상기 파지암(111b)은 제1암(111b-1), 제2암(111b-2), 제3암(111b-3)으로 분할되어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봉투(100)에 대한 강한 압착과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The above-mentioned phage arm (111b) is configured such that one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phage body (111a), and the other end has a phage roller (111c) formed to press the envelope (100), and a pair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hage body (111a). The above-mentioned phage arm (111b) can be formed by dividing into a first arm (111b-1), a second arm (111b-2), and a third arm (111b-3) to form a certain angle, thereby enabling strong pressing and stable phage of the envelope (100).
상기 제1암(111b-1)은 상기 이송레일(13), 더욱 정확하게는 후술할 파지조절레일(131)에 지지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암(111b-2)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암(111b-1)의 끝단에는 레일삽입부재(111b-11)가 형성되어 파지조절레일(1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송기구(11)의 전후 방향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파지조절레일(131)의 내측 또는 외측에 삽입되는 위치에 따라 봉투(100)에 대한 파지롤러(111c)의 압착과 해제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송기구(11)가 봉투(100)를 파지하여 밴딩포장장치(3) 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양측의 파지롤러(111c)가 봉투(100)에 압착되도록 하고, 이송을 마치고 봉투공급장치(5) 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압착이 해제되어 다른 봉투(100)를 다시 압착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The first arm (111b-1) is formed to be supported by the transport rail (13), more precisely, the grip adjustment rail (131) described later,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arm (111b-2) at a certain angle. To this end, a rail insertion member (111b-11)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arm (111b-1) so that the transport mechanism (11) moves forward and backward while inserted into the grip adjustment rail (131), and the compression and release of the grip roller (111c) for the envelope (100) can be controlled depending on the position at which it is inserted into the inner or outer side of the grip adjustment rail (131). Accordingly, when the transport mechanism (11) moves toward the banding packaging device (3) by gripping the envelope (100), the gripping rollers (111c) on both sides are pressed against the envelope (100), and when the transport is completed and the device moves toward the envelope supply device (5), the pressing is released so that another envelope (100) can be pressed again.
상기 제2암(111b-2)은 일단이 상기 제1암(111b-1)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연결되며, 상기 파지본체(111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암(111b-2)의 타단은 제3암(111b-3)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암(111b-2) 상에는 장력지지수단(111d)이 형성되어 제3암(111b-3)을 당기도록 한다. The second arm (111b-2) is connected at one end to the first arm (111b-1) at a certain angle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grip body (111a).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arm (111b-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third arm (111b-3), and a tension support means (111d) is formed on the second arm (111b-2) to pull the third arm (111b-3).
상기 제3암(111b-3)은 일단이 제2암(111b-2)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에는 파지롤러(111c)가 형성되어 봉투(100)를 누르도록 하는 구성으로, 장력지지수단(111d)에 의해 당겨져 봉투(100)를 강하게 누르도록 할 수 있다. The third arm (111b-3) is configured such that one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arm (111b-2) and the other end has a phage roller (111c) formed thereon to press down on the envelope (100), and can be pulled by a tension support means (111d) to strongly press down on the envelope (100).
상기 파지롤러(111c)는 봉투(100)에 압착되어 파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3암(111b-3)의 끝단에 형성된다. 특히, 상기 파지롤러(111c)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롤러(111c-1)와 제3롤러(111c-2)가 전후 방향으로 번갈아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제1,2롤러(111c-1,111c-2)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정도를 달리하여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롤러(111c-1)가 제3롤러(111c-2)보다 더 봉투(10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경우 봉투(100)는 제3롤러(111c-2) 측으로 인입되어 파지되고, 이를 통해 봉투(100)를 더 강하게 압착시킬 수 있으며, 봉투(100)가 전후 방향으로 모아져 밴딩포장장치(3)에 의해 밴딩핀(333)의 체결시 체결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3롤러(111c-2)는 상하로 한 쌍이 형성되도록 하여 봉투(100)에 대한 압착력을 더욱 높이도록 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phage roller (111c) is configured to be pressed against an envelope (100) to form a phage, and is formed at the end of the third arm (111b-3).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7, the phage roller (111c) may be formed such that the first roller (111c-1) and the third roller (111c-2) are alternately form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111c-1, 111c-2) may be formed such that they protrude inwardly to different degrees. Accordingly, when the first roller (111c-1) is formed to protrude more toward the envelope (100) than the third roller (111c-2), the envelope (100) is drawn toward the third roller (111c-2) and gripped, thereby allowing the envelope (100) to be pressed more strongly, and the envelope (100) can be gather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so that the fastening of the banding pin (333) by the banding packaging device (3) can be made easier. In addition, the third roller (111c-2) can be formed in a pair, upper and lower, so that the pressing force for the envelope (100) can be further increased.
상기 장력지지수단(111d)은 제3암(111b-3)을 당겨 파지롤러(111c)가 봉투(100)에 더욱 강하게 압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4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암(111b-2) 상에 형성되어 제3암(111b-3)을 당기도록 한다. 상기 장력지지수단(111d)은 스프링 등의 탄성을 갖는 소재가 당겨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여 제3암(111b-3)을 당기는 힘을 갖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장력조절수단(111e)에 의해 당기는 힘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above tension support means (111d) is configured to pull the third arm (111b-3) so that the squeegee roller (111c) can be pressed more strongly against the envelope (100), and as shown in FIGS. 4 and 5, it is formed on the second arm (111b-2) to pull the third arm (111b-3). The tension support means (111d) can have a pulling force for the third arm (111b-3) by fixing an elastic material such as a spring in a pulled state, and the pulling force can be adjusted by the tension control means (111e).
상기 장력조절수단(111e)은 장력지지수단(111d)에 의해 제3암(111b-3)이 당겨지는 힘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장력조절수단(111e)이 제2암(111b-2) 상에 고정되는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력조절수단(111e)은 제2암(111b-2) 상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암(111b-2)에 고정되는 위치에 따라 장력조절수단(111e)이 제3암(111b-3)을 당기는 힘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력조절수단(111e)은 봉투(100)에 담겨지는 음식물의 무게, 봉투(100)의 크기, 두께 등에 따라 파지롤러(111c)가 봉투(100)를 압착하는 힘을 적절하게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The above tension adjusting means (111e) is configured to adjust the force with which the third arm (111b-3) is pulled by the tension supporting means (111d), and can be configured to adjust the position at which the tension adjusting means (111e) is fixed on the second arm (111b-2). Accordingly, the tension adjusting means (111e) can be formed to be movable along the second arm (111b-2), and the force with which the tension adjusting means (111e) pulls the third arm (111b-3) can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position at which it is fixed on the second arm (111b-2). Accordingly, the tension adjusting means (111e) can appropriately adjust the force with which the paper roller (111c) presses the bag (100) depending on the weight of the food contained in the bag (100),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bag (100), etc.
상기 이동롤러(112)는 파지본체(111a)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이송레일(13)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여 이송기구(11)가 이송레일(13)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The above moving roller (112)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111a) and moves along the transport rail (13) so that the transport mechanism (11) can move stably along the transport rail (13).
상기 기어부(113)는 상기 이송기구(11)의 이동에 따라 봉투(100)의 펼침, 음식물의 공급, 밴딩포장장치(3)의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파지본체(111a) 상에 기어치를 형성하여 기어치에 맞물려 다른 장치들의 작동이 연동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어부(113)는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톱니기어(113a), 밴딩톱니기어(113b), 조임톱니기어(113c)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gear part (113)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perform the unfolding of the envelope (100), the supply of food, and the operation of the banding packaging device (3)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above transport mechanism (11), and a gear is formed on the body (111a) so that the operation of other devices can be performed in conjunction by engaging with the gear. The gear part (113) may include a bottom gear (113a), a banding gear (113b), and a tightening gear (113c) as illustrated in FIGS. 7 and 8.
상기 바닥톱니기어(113a)는 파지본체(111a)의 바닥측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후술할 지지프레임(7)의 제1,2기어(71,72)를 회전시키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바닥톱니기어(113a)는 기어치 형태로 형성되어 이송기구(11)의 이동에 따라 제1,2기어(71,72)와 각각 맞물려 제1,2기어(71,72)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제1,2기어(71,72)는 각각 회전하우징(23)과 봉투펼침장치(6)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구성으로, 바닥톱니기어(113a)에 의해 회전하는 경우 회전하우징(23)을 회전시키거나 봉투펼침장치(6)를 회전시키도록 한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The above-described bottom gear (113a) is formed on the bottom side of the body (111a) and rotates the first and second gears (71, 72) of the support frame (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other words, the above-described bottom gear (113a) is formed in the shape of gear teeth and meshes with the first and second gears (71, 72),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ransport mechanism (11), thereby rotating the first and second gears (71, 72). The above-described first and second gears (71, 72) are configured to rotate the rotating housing (23) and the envelope unfolding device (6), respectively, and when rotated by the bottom gear (113a), they rotate the rotating housing (23) or the envelope unfolding device (6).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밴딩톱니기어(113b)는 파지본체(111a)의 일측에 형성되는 기어치로, 밴딩포장장치(3)의 후술할 밴딩기어(311)와 맞물려 밴딩기어(311)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밴딩기어(311)는 밴딩체결부(31)에 형성되어 밴딩핀(333)이 봉투(100)에 감겨 체결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밴딩톱니기어(113b)와 맞물려 회전하게 됨에 따라 밴딩핀(333)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이송기구(11)의 이동만으로 밴딩핀(333)의 체결 작업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한다. The above banding gear (113b) is a gear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111a) of the gripper, and rotates the banding gear (311) by engaging with the banding gear (311) of the banding packaging device (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banding gear (311) is formed in the banding fastening portion (31) and is configured to allow the banding pin (333) to be wound around and fastened to the envelope (100). As the banding gear (311) rotates by engaging with the banding gear (113b), the fastening of the banding pin (333) is achieved, and through this, the fastening operation of the banding pin (333) can be completed by only moving the transport mechanism (11).
상기 조임톱니기어(113c)는 파지본체(111a)의 일측에 형성되는 기어치로, 밴딩포장장치(3)의 후술할 조임기어(371)와 맞물려 조임기어(371)를 회전시키도록 한다. 상기 조임기어(371)는 그 회전에 따라 봉투(100)를 눌러 조여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송기구(11)의 이동과 함께 봉투(100)가 조여지도록 하여 밴딩핀(333)의 체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The above tightening gear (113c) is a gear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111a) of the gripper, and is configured to rotate the tightening gear (371) of the banding packaging device (3) by engaging with the tightening gear (371) described later. The tightening gear (371) is configured to press and tighten the bag (100) according to its rotation, and the bag (100) is tightened along with the movement of the transport mechanism (11), thereby allowing the fastening of the banding pin (333) to occur smoothly.
상기 이송레일(13)은 이송기구(11)가 지지되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회전하우징(23)의 하측부터 밴딩포장장치(3)까지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이송레일(13)은 이송기구(11)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송기구(11)의 이동롤러(112)가 지지된 상태에서 이동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송레일(13)은 상기 제1암(111b-1)의 레일삽입부재(111b-11)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파지조절레일(131)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transport rail (13) is configured to form a path along which the transport mechanism (11) is supported and moves, and is formed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from the lower side of the rotating housing (23) to the banding packaging device (3). The above-mentioned transport rail (13) can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ransport mechanism (11), and allows the moving roller (112) of the transport mechanism (11) to move while being supported. 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transport rail (13) can additionally include a grip adjustment rail (131) into which the rail insertion member (111b-11) of the first arm (111b-1) is inserted and moves.
상기 파지조절레일(131)은 레일삽입부재(111b-11)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구성으로, 상기 파지부(111)에 의해 봉투(100)의 파지를 조절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파지조절레일(131)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레일(131a), 외측레일(131b)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으며, 내측레일(131a) 또는 외측레일(131b)로의 이동을 조절하는 조절부재(131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삽입부재(111b-11)가 내측레일(131a)에 삽입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암(111b)이 벌어져 파지롤러(111c)가 봉투(100)로부터 멀어지게 되고, 외측레일(131b)에 삽입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암(111b)이 내측으로 모아져 파지롤러(111c)가 봉투(100)에 밀착하게 된다. 또한, 내측레일(131a) 및 외측레일(131b)은 전후측 양 끝단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아져 연결되고, 상기 조절부재(131c)에 의해 내측레일(131a) 또는 외측레일(131b) 중 하나가 차단되어 내측레일(131a) 또는 외측레일(131b) 중 어느 하나로 레일삽입부재(111b-11)가 이동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파지부(111)가 음식물이 수용된 봉투(100)를 파지하여 후측에서 전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레일삽입부재(111b-11)가 외측레일(131b)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하고, 밴딩포장장치(3)에 의해 포장 완료 후 전측에서 후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레일삽입부재(111b-11)가 내측레일(131a)에 삽입되어 파지암(111b)이 벌어진 상태로 이동하여 회전하우징(23) 하측에서 음식물이 수용된 또 다른 봉투(100)를 파지하도록 한다. The above-mentioned grip adjustment rail (131) is configured to move by inserting a rail insertion member (111b-11), and controls the gripping of the envelope (100) by the gripping member (111). To this end, the grip adjustment rail (131) may include an inner rail (131a) and an outer rail (131b), as shown in FIGS. 5 and 6, and may include a control member (131c) that controls movement to the inner rail (131a) or the outer rail (131b). When the above rail insertion member (111b-11) is inserted into the inner rail (131a), the grip arm (111b) is spread apart as shown in FIG. 4, causing the grip roller (111c) to move away from the envelope (100), and when it is inserted into the outer rail (131b), the grip arm (111b) is gathered inward as shown in FIG. 5, causing the grip roller (111c)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envelope (100). In addition, the inner rail (131a) and the outer rail (131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both ends on the front and rear sides as shown in Fig. 6, and one of the inner rail (131a) or the outer rail (131b) is blocked by the adjusting member (131c) to allow the rail insertion member (111b-11) to move to either the inner rail (131a) or the outer rail (131b). Accordingly, when the gripping part (111) grips a bag (100) containing food and moves from the rear to the front, the rail insertion member (111b-11) moves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outer rail (131b), and when the banding packaging device (3) moves from the front to the rear after packaging is completed, the rail insertion member (111b-11) is inserted into the inner rail (131a) and the gripping arm (111b) moves in an opened state to grip another bag (100) containing food at the lower side of the rotating housing (23).
상기 구동부(15)는 이송기구(11)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이송기구(11)의 이동을 통해 음식물이 수용된 봉투(100)를 이송시키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구동부(15)의 작동에 따른 이송기구(11)의 전후 방향 이동만으로 봉투(100)의 펼침 및 음식물의 공급, 봉투(100)의 조임 및 밴딩핀(333)의 체결이 이루어져 시스템의 효율적인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151), 제1이동기어(152), 제3이동기어(153), 구동벨트(154), 체인(155)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driving unit (15) is configured to move the transport mechanism (11)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nd transports the bag (100) containing food through the movement of the transport mechanism (11).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efficient operation of the system by performing the unfolding of the bag (100), the supply of food, the tightening of the bag (100), and the fastening of the banding pin (333) only by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transport mechanism (11)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5). The driving unit (15) may include a driving motor (151), a first moving gear (152), a third moving gear (153), a driving belt (154), and a chain (155) as illustrated in FIG. 1.
상기 구동모터(151)는 이송기구(11)가 이동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지지프레임(7)의 하측에 형성되어 작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그 작동에 따라 제1이동기어(152)를 회전시키도록 한다. The above driving motor (151) is configured to provide driving force for the transport mechanism (11) to move, and can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frame (7) to operate, and rotates the first moving gear (152) according to its operation.
상기 제1이동기어(152)는 구동모터(151)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구성으로, 구동벨트(154)에 의해 구동모터(151)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기어(152)는 이송레일(13)의 전단 또는 후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후단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제1이동기어(152)의 반대편, 일 예로 전단에는 제3이동기어(153)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기어(152) 및 제3이동기어(153)에는 체인(155)이 연결되어 제1이동기어(152) 및 제3이동기어(153)의 회전에 따라 체인(155)이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으며, 체인(155)에는 이송기구(11)가 연결되어 체인(155)의 회전에 따라 이송기구(11)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The above first moving gear (152) is configured to rot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151), and may be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151) by a driving belt (154). The above first moving gear (152) may be formed at the front or rear end of the transfer rail (13), and for example, may be formed at the rear end, and a third moving gear (153)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moving gear (152), for example, at the front end. A chain (155) is connected to the first moving gear (152) and the third moving gear (153) so that the chain (155) can rotat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moving gear (152) and the third moving gear (153), and a transport mechanism (11) is connected to the chain (155) so that the transport mechanism (11) can mov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hain (15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이송장치(1)를 포함하는 음식물 포장 시스템을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음식물 포장 시스템은 음식물 이송장치(1)와, 음식물을 혼합하여 봉투(100)에 공급하는 교반공급장치(2)와, 이송장치(1)에 의해 이송되는 음식물이 수용된 봉투(100)에 밴딩핀(333)을 감아 체결시키는 밴딩포장장치(3)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각 장치들을 지지하는 수직프레임(4)과, 수직프레임(4) 사이에 지지되어 형성되는 지지프레임(7)과, 음식물 교반공급장치(2)로부터 공급되는 음식물을 수용할 봉투(100)를 공급하는 봉투공급장치(5)와, 봉투공급장치(5)로부터 공급되는 봉투(100)를 펼치는 봉투펼침장치(6)와, 음식물이 수용된 봉투(100)의 무게를 측정하는 저울(9)과, 음식물 포장 시스템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8)를 포함한다. Hereinafter, a food packaging system including a food transport device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8. The food packaging system includes a food transport device (1), a stirring supply device (2) that mixes food and supplies it to a bag (100), a banding packaging device (3) that winds a banding pin (333) around a bag (100) containing food transported by the transport device (1) and fastens it, a vertical frame (4) that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supports each device, a support frame (7) that is formed by being supported between the vertical frames (4), an envelope supply device (5) that supplies an envelope (100) containing food supplied from the food stirring supply device (2), an envelope unfolding device (6) that unfolds an envelope (100) supplied from the envelope supply device (5), a scale (9) that measures the weight of an envelope (100) containing food, and a control unit (8)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ood packaging system.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포장 시스템은 상기 교반공급장치(2)에서 혼합되어 공급되는 음식물을 상기 봉투공급장치(5)에 의해 공급되는 봉투(100)에 담도록 하고, 이때 봉투공급장치(5)에 의해 공급되는 봉투(100)는 봉투펼침장치(6)에 의해 자동으로 펼쳐지도록 한다. 그리고 음식물이 담긴 봉투(100)는 이송장치(1)에 의해 이송되어 상기 밴딩포장장치(3)에 의해 밀봉, 포장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포장 시스템은 작업자 없이 음식물의 혼합 및 투입, 봉투(100)의 공급 및 펼침, 봉투(100)의 이송 및 포장이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하여 음식물의 제조 및 포장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food packa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ixes and supplies food from the stirring supply device (2) and places the food in an envelope (100) supplied by the envelope supply device (5), and at this time, the envelope (100) supplied by the envelope supply device (5) is automatically opened by the envelope opening device (6). Then, the envelope (100) containing the food is transported by the transport device (1) and sealed and packaged by the banding packaging device (3). Therefore, the packaging system can automatically perform mixing and feeding of food, supply and opening of the envelope (100), and transportation and packaging of the envelope (100) without a worker, thereby enabling the production and packaging of food to be performed quickly and conveniently.
상기 이송장치(1)에 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음식물이 교반공급장치(2)에 투입되는 측을 일측, 음식물이 교반공급장치(3)로부터 배출되는 측을 타측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above-mentioned transport device (1) is as described above, it will be omitted below.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assume that the side where food is fed into the mixing and supply device (2) is one side, and the side where food is discharged from the mixing and supply device (3) is the other side.
상기 교반공급장치(2)는 음식물을 교반, 이송하여 봉투(100)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음식물이 투입되어 교반, 이송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이송하우징(21)과; 상기 이송하우징의 타측에 연통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봉투(100)에 음식물을 공급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호퍼(231)를 갖는 회전하우징(23);을 포함한다. The above-mentioned stirring and supply device (2) is configured to stir and transport food and supply it to a bag (100), and includes a transport housing (21) that forms a space in which food is put in, stirred, and transported; and a rotating housing (23)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transport housing and has a hopper (231) that forms a passage for supplying food to the bag (100).
상기 이송하우징(21)은 음식물이 투입되어 교반, 이송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일측으로 음식물이 투입되어 타측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송하우징(21)은 타측으로 회전하우징(23)이 연통되어 연결되며, 회전하우징(23)을 통해 봉투(100)로 음식물을 공급하도록 한다. 상기 이송하우징(21)은 교반스크류(211), 교반핀(212), 힌지결합부(213), 스크류회전모터(214), 돌출단(215), 투입구(21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transfer housing (21) is configured to form a space in which food is fed, stirred, and fed, so that food is fed to one side and discharged to the other side. In addition, the transfer housing (21) is connected to a rotating housing (23) on the other side, so that food is supplied to a bag (100) through the rotating housing (23). The above-mentioned transfer housing (21) may include a stirring screw (211), a stirring pin (212), a hinged joint (213), a screw rotation motor (214), a protruding end (215), and an inlet (216).
상기 교반스크류(211)는 이송하우징(21) 내의 음식물을 혼합하면서 이송시키는 구성으로, 일측에서 타측 방향에 걸쳐 회전하는 스크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 stirring screw (211) is configured to mix and transport food within the transport housing (21), and can be formed in the form of a screw that rotat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상기 교반핀(212)은 음식물의 혼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추가되는 구성으로, 교반스크류(211) 상에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교반핀(212)은 음식물이 이송되는 타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일측으로부터 이송되는 음식물과의 충돌에 의한 음식물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음식물의 효과적인 혼합이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교반핀(212)은 교반스크류(2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교반핀(212)과 이송하우징(21) 사이에 음식물이 끼는 것을 방지하고 이송하우징(21)의 바닥까지 긁어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교반핀(212)의 손상 또한 막을 수 있도록 한다. The above stirring pin (212) is an additional component to ensure effective mixing of food, and may be formed to protrude on the stirring screw (211). It is preferable that the stirring pin (212) be formed to protrude in the other direction in which the food is conveyed, thereby minimizing damage to the food caused by collision with the food conveyed from one side, while also enabling effective mixing of the food. In particular, the stirring pin (212)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tirring screw (211), thereby preventing food from getting caught between the stirring pin (212) and the conveying housing (21), scraping the bottom of the conveying housing (21) to ensure mixing, and also preventing damage to the stirring pin (212).
상기 힌지결합부(213)는 교반핀(212)을 회전 가능하게 교반스크류(211)에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교반핀(212)이 돌출되는 방햐의 반대 방향인 교반스크류(211)의 일측 방향에 형성되어 음식물의 손상을 줄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힌지결합부(21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핀(213a), 고정부재(213b), 탄성부재(213c)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hinge joint (213) is configured to rotatably connect the stirring pin (212) to the stirring screw (211), and is preferably formed in one direction of the stirring screw (211)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tirring pin (212) protrudes, so as to reduce damage to food. The hinge joint (213) may include a hinge pin (213a), a fixing member (213b), and an elastic member (213c), as illustrated in FIG. 9.
상기 힌지핀(213a)은 교반스크류(2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 교반핀(212)이 고정되어 힌지핀(213a)의 회전에 따라 교반핀(212)도 함께 회전하도록 한다. The above hinge pin (213a) is configured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tirring screw (211), so that the stirring pin (212) is fixed and the stirring pin (212) also rotates along with the rotation of the hinge pin (213a).
상기 고정부재(213b)는 교반핀(212)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교반스크류(211)에 지지되는 구성으로, 교반핀(212)이 교반스크류(211)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above fixed member (213b) is configured such that a stirring pin (212) is inserted and fixed and is supported by a stirring screw (211), so that the stirring pin (212) can be stably supported by the stirring screw (211).
상기 탄성부재(213c)는 고정부재(213b)와 교반스크류(211) 사이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탄성에 의해 고정부재(213b)가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고정부재(213b)와 결합된 교반핀(212)도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The above elastic member (213c)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between the fixed member (213b) and the stirring screw (211), and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the fixed member (213b) can rotate at a certain angle due to the elasticity, and accordingly, the stirring pin (212) coupled with the fixed member (213b) can also rotate together.
상기 스크류회전모터(214)는 상기 교반스크류(211)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 벨트 등에 의해 연결되어 교반스크류(211)를 회전시키도록 할 수 있다. The above screw rotation motor (214) is configured to rotate the stirring screw (211), and as shown in FIG. 3, can be connected by a gear, belt, etc. to rotate the stirring screw (211).
상기 돌출단(215)은 이송하우징(21)의 일 지점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공간을 형성하도록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돌출단(215)은 이송하우징(21)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음식물이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교반스크류(211) 및 교반핀(212)에 의해 혼합 및 이송되는 음식물이 이송하우징(21)의 내벽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above protrusion (215) is configured to protrude upward from a point of the transfer housing (21), and may be formed to form a certain space as shown in Fig. 1. The above protrusion (215) may be formed along the entire length of the transfer housing (21), and forms a space through which food can flow, thereby preventing food mixed and transferred by the stirring screw (211) and the stirring pin (212) from getting caught between the inner walls of the transfer housing (21).
상기 투입구(216)는 음식물의 투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송하우징(21)의 일측 상방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inlet (216) is configured to form a space for inserting food, and can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one side of the transport housing (21).
상기 회전하우징(23)은 이송하우징(21)의 타측에 연통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하우징(23)은 음식물이 봉투로 공급되는 호퍼(231)가 형성되도록 하며, 호퍼(231)는 평상시 상측을 향항 상태에서 봉투(100)가 개방되는 경우 하측으로 회전하여 봉투(100)로 음식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하우징(23)은 후술할 수직프레임(4)에 지지되도록 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회전축(232)에 의해 수직프레임(4)에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하우징(23)에는 제1회전기어(233)가 형성되어 제1회전기어(233)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우징(23)이 회전되도록 하며, 제1회전기어(233)는 후술할 제1하우징회전기어(43)와 벨트로 연결되어 제1하우징회전기어(43)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이송기구(11)의 이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1하우징회전기어(43)의 회전에 따라 제1회전기어(233)가 회전되도록 하여, 회전하우징(23)이 이송기구(11)의 이동에 따라 자동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펼쳐진 봉투(100)에 회전하우징(23)의 호퍼(231)를 통한 음식물의 공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The above-mentioned rotary housing (23) is configured to b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side of the transport housing (21) and is rotatably coupled. The above-mentioned rotary housing (23) forms a hopper (231) through which food is supplied to a bag, and the hopper (231) is normally directed upward, but when the bag (100) is opened, it rotates downward to supply food to the bag (100). The above-mentioned rotary housing (23) is supported on a vertical frame (4)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4) by a housing rotation axis (232), as illustrated in FIG. 1. In addition, a first rotation gear (233) is formed in the rotary housing (23) so that the rotary housing (23) rotates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rotation gear (233), and the first rotation gear (233) is connected to a first housing rotation gear (43) to be described later by a belt so as to ro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housing rotation gear (43). Accordingly, the first rotation gear (233)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housing rotation gear (43) which rotates by the movement of the transport mechanism (11), so that the rotary housing (23) automatically rotat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ransport mechanism (11), and through this, food can be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opened bag (100) through the hopper (231) of the rotary housing (23).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밴딩포장장치(3)는 음식물이 수용된 봉투(100)에 밴딩핀(333)을 감아 체결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이송기구(11)에 의해 이송되는 봉투(100)의 상측 부분에 밴딩핀(333)을 체결시켜 봉투(100)를 밀봉하도록 한다. 상기 밴딩포장장치(3)는 이송기구(11)의 이동에 따라 자동으로 밴딩핀(333)이 봉투(100)에 체결되도록 하며, 수직 방향으로 밴딩핀(333)을 적층, 삽입하여 차례로 하강하면서 밴딩핀(333)의 연속적인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송기구(11)에 의해 이송되는 봉투(100)의 상측 부분을 모아 조여줌으로써 밴딩핀(333)의 체결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밴딩포장장치(3)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딩체결부(31), 밴딩핀삽입부(33), 봉투가이드부(35), 조임부(37)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banding packaging device (3) is configured to wind and fasten a banding pin (333) around a bag (100) containing food, and seals the bag (100) by fastening the banding pin (333) to the upper part of the bag (100) conveyed by the conveying mechanism (11). The above banding packaging device (3) automatically fastens the banding pin (333) to the bag (10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onveying mechanism (11), and sequentially lowers and stacks the banding pins (333)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continuous fastening of the banding pins (333) is achieved, and by gathering and tightening the upper part of the bag (100) conveyed by the conveying mechanism (11), the fastening of the banding pins (333) is achieved accurately. To this end, the banding packaging device (3) may include a banding fastening portion (31), a banding pin insertion portion (33), an envelope guide portion (35), and a tightening portion (37) as shown in FIGS. 10 to 12.
상기 밴딩체결부(31)는 봉투(100)에 대한 밴딩핀(333)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송기구(11)의 이동과 연동하여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밴딩체결부(31)는 밴딩기어(311), 이동추(312), 당김스프링(31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banding fastening part (31) is configured to allow fastening of the banding pin (333) to the envelope (100) an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transport mechanism (11). To this end, the above banding fastening part (31) may include a banding gear (311), a moving weight (312), and a pulling spring (313).
상기 밴딩기어(311)는 이송기구(11)의 이동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구성으로, 상기 이송기구(11)의 밴딩톱니기어(113b)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이송기구(11)가 음식물이 수용된 봉투(100)를 파지한 상태로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밴딩톱니기어(113b)가 밴딩기어(311)에 접촉되면, 이송기구(11)의 전방으로 이동과 함께 밴딩톱니기어(113b)도 전방으로 회전하게 되고, 밴딩톱니기어(113b)의 회전에 따라 이동추(312)를 전측으로 당기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밴딩기어(311)는 이동추(312)와 연결되는 당김벨트(311a)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밴딩기어(311)의 회전에 따라 당김벨트(311a)를 당겨 이동추(312)가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The above banding gear (311) is configured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transport mechanism (11), and is rotated by meshing with the banding gear (113b) of the transport mechanism (11). Accordingly, when the transport mechanism (11) moves forward while holding a bag (100) containing food, and the banding gear (113b)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anding gear (311), the banding gear (113b) also rotates forward along with the forward movement of the transport mechanism (11), and the moving weight (312) is pulled forwar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anding gear (113b). At this time, the banding gear (311) may include a pulling belt (311a) connected to a moving weight (312), and the pulling belt (311a) is pull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anding gear (311) to allow the moving weight (312) to move forward.
상기 이동추(312)는 밴딩기어(311)의 회전에 따라 전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상기 당김스프링(313)과 연결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이동추(312)는 전방으로 이동함과 함께 당김스프링(313)을 당기게 되고, 이송기구(11)가 지속적으로 전방으로 이동하여 밴딩톱니기어(113b)와 밴딩기어(311)의 접촉이 해제되는 경우 당김스프링(313)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추(312)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추(312)는 일정정도 이상의 무게를 갖도록 형성되어 당김스프링(313)에 의한 당김시 충분한 가속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추(312)가 당김스프링(313)에 의해 후방으로 당겨지게 되면, 상기 밴딩핀삽입부(33)의 후술할 밴딩핀(333)과 충돌하여 밴딩핀(333)을 후방으로 밀게 되고, 후방으로 밀리는 밴딩핀(333)이 밴딩날(332)을 따라 이동하면서 봉투(100)에 감겨 체결되도록 한다. The above moving weight (312) is configured to move in the forward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anding gear (311), and is supported by being connected to the pulling spring (313). Accordingly, the moving weight (312) pulls the pulling spring (313) as it moves forward, and when the transport mechanism (11) continuously moves forward and the contact between the banding tooth gear (113b) and the banding gear (311) is released, the moving weight (312) moves backwar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pulling spring (313). At this time, the moving weight (312) is formed to have a weight of a certain degree or more so that it can have sufficient acceleration force when pulled by the pulling spring (313). And when the above moving weight (312) is pulled backward by the pulling spring (313), it collides with the banding pin (333) of the banding pin insertion part (33) to be described later, thereby pushing the banding pin (333) backward, and the banding pin (333) pushed backward moves along the banding blade (332) and is wound around and fastened to the envelope (100).
상기 당김스프링(313)은 이동추(312)와 연결되어 이동추(312)를 당기는 구성으로, 이동추(312)의 전방 이동에 따라 당겨지게 되며, 이송기구(11)의 계속적인 전방 이동으로 밴딩톱니기어(113b)와 밴딩기어(311)의 접촉이 해제되는 경우 이동추(312)를 후측으로 당겨 밴딩핀(333)과 충돌되도록 한다. The above-mentioned pulling spring (313)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moving weight (312) and pull the moving weight (312), and is pulled in accordance with the forward movement of the moving weight (312). When the contact between the banding gear (113b) and the banding gear (311) is released due to the continuous forward movement of the transport mechanism (11), the moving weight (312) is pulled rearward to collide with the banding pin (333).
상기 밴딩핀삽입부(33)는 밴딩핀(333) 및 밴딩날(332)을 수직 방향으로 적층하여 삽입하는 구성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딩핀(333) 및 밴딩날(332)이 적층되어 삽입되는 삽입봉(331)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장 하측으로 내려온 밴딩핀(333)이 봉투(100)에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밴딩핀(333)은 'U' 자 형태의 밴딩날(332)에 가이드되면서 봉투(100)에 감겨지도록 할 수 있다. The above banding pin insertion portion (33) is configured to insert the banding pin (333) and the banding blade (332) by stacking them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s shown in Fig. 12, the insertion rod (331) into which the banding pin (333) and the banding blade (332) are stacked and inserted can b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the banding pin (333) that has been lowered the most is fastened to the envelope (100). The banding pin (333) can be wound around the envelope (100) while being guided by the 'U'-shaped banding blade (332).
상기 봉투가이드부(35)는 상기 이송기구(11)에 의해 이송되는 봉투(100)가 모아지도록 봉투(100)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구성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투(100)의 양측으로 일정 경로를 형성하는 제1,2가이드롤러(351,352)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2가이드롤러(351,352)는 봉투가 이송하는 경로를 따라 다수개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밴딩체결부(31) 측으로 갈수록 제1,2가이드롤러(351,352) 사이가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봉투(100)가 좌우 방향에서 얇게 모아지도록 할 수 있다. The above envelope guide part (35) is configured to guide the movement path of the envelope (100) so that the envelope (100) conveyed by the conveying mechanism (11) is collected, and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guide rollers (351, 352) that form a certain path on both sides of the envelope (100) as illustrated in FIG. 10. The first and second guide rollers (351, 352) may be formed in multiple numbers along the path along which the envelope is conveyed, and the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uide rollers (351, 352) may be form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m becomes narrower as they approach the banding fastening part (31), so that the envelope (100) may be collected thin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조임부(37)는 상기 봉투가이드부(35)를 통과하여 모아지는 봉투(100)를 전후 방향에서 조여 단면적을 더욱 좁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밴딩핀(333)이 체결되는 지점의 봉투(100) 단면적을 최대한 좁혀 밴딩핀(333)의 체결이 정확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임부(37)는 상기 밴딩체결부(31)와 같이 이송기구(11)의 전측 이동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이송기구(11)의 조임톱니기어(113c)와 맞물려 회전하는 조임기어(371)와, 조임기어(371)의 회전에 따라 전측으로 이동하여 봉투(100)를 누르는 누름부재(37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tightening member (37) is configured to tighten the envelope (100) that is collected by passing through the envelope guide member (35) in the front-back direction to further narrow the cross-sectional area, thereby narrow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envelope (100) at the point where the banding pin (333) is fastened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 fastening of the banding pin (333) can be performed accurately and smoothly. The above tightening member (37) can be made to operate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forward movement of the transport mechanism (11) like the above banding fastening member (31), and to this end, it can include a tightening gear (371) that rotates while meshing with the tightening gear (113c) of the transport mechanism (11) and a pressing member (372) that moves forwar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tightening gear (371) to press the envelope (100).
상기 조임기어(371)는 이송기구(11)의 조임톱니기어(113c)와 맞물려 회전하는 구성으로, 이송기구(11)가 전측으로 이동하면서 조임톱니기어(113c)를 전측으로 회전시키고, 누름부재(372)와 벨트 등으로 연결되어 누름부재(372)를 전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The above tightening gear (371) is configured to rotate by meshing with the tightening gear (113c) of the transport mechanism (11), and as the transport mechanism (11) moves forward, the tightening gear (113c) rotates forward, and is connected to the pressing member (372) by a belt or the like to move the pressing member (372) forward.
상기 누름부재(372)는 조임기어(371)의 전측 회전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봉투(100)를 전측으로 눌러 밴딩핀(333)이 체결되는 지점의 단면적이 최대한 좁아지도록 한다. The above pressing member (372) is configured to move forward according to the forward rotation of the tightening gear (371), thereby pressing the envelope (100) forward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oint where the banding pin (333) is fastened is reduced to the greatest extent possible.
상기 수직프레임(4)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각 장치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구성되고, 안정적으로 세워져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하부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음식물 교반공급장치(2)가 상부에 설치되고, 봉투공급장치(5)가 후방에 설치되며, 봉투펼침장치(6)가 내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프레임(4)은 본 발명의 구성들이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본 발명의 구성들 각각이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기어가 설치된다. The above vertical frame (4)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s configured to support each device, and as shown in FIG. 3,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ieces, and a plurality of lower parts are interconnected so that it can be stably erected and maintained in an installed state, and the food mixing and supplying device (2) is installed at the top, the bag supplying device (5) is installed at the rear, and the bag unfolding device (6) is installed at the inside. Accordingly, the vertical frame (4) supports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y can be stably installed, and a plurality of gears are installed so that each of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echanically connected and driven.
상기 봉투공급장치(5)는 상기 복수개의 수직프레임(4) 중 어느 하나의 수직프레임(4)에 연결되어 설치되되, 상기 회전하우징(23)의 타측 후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복수개의 봉투(100)가 보관되는 것으로, 봉투(100)의 입구가 펼쳐져 개방되면 상기 회전하우징(23)의 하부에 상기 봉투(100)의 개방된 입구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봉투공급장치(5)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프레임(41)의 후방에 상부가 회전가능하게 관통되어 결합되는 공급회전축(51)과, 상기 공급회전축(51)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복수 개가 돌출형성되되, 복수 개의 봉투가 각각 보관되는 공급대기부재(5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envelope supply device (5) is installed so as to be connec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4), and is installed so as to be located at the rea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rotary housing (23), and a plurality of envelopes (100) are stored therein, so that when the entrance of the envelope (100) is unfolded and opened, the opened entrance of the envelope (100) can be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rotary housing (23). As illustrated in FIG. 14, the envelope supply device (5) may include a supply rotation shaft (51) that is rotatably connected at the rear of the connecting frame (41) by penetrating through the upper part, and a plurality of supply standby members (52) that are horizontally protruded and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supply rotation shaft (51), and in which a plurality of envelopes are respectively stored.
즉, 본 발명의 봉투공급장치(5)는 복수 개의 봉투(100)가 보관되는 공급대기부재(52)가 상기 공급회전축(51)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복수 개가 돌출형성됨에 따라 상기 회전하우징(23)의 후방에 위치되는 어느 하나의 공급대기부재(52)의 봉투(100)가 모두 사용되어 소진되는 경우 상기 공급회전축(51)을 회전시켜 다른 공급대기부재(52)가 상기 회전하우징(23)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장시간동안 봉투(100)를 추가하여야 하는 수요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That is, the envelope supply device (5)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supply standby members (52) in which a plurality of envelopes (100) are stored, protruding horizontally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ly rotation shaft (51), so that when all of the envelopes (100) of one of the supply standby members (52) located at the rear of the rotation housing (23) are used up, the supply rotation shaft (51) is rotated so that another supply standby member (52)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rotation housing (23), thereby reducing the demand for adding envelopes (100) for a long period of time.
이때, 상기 공급회전축(51)은 작업자가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상부에 연장형성되는 손잡이부재(도면부호 미표시)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pply rotation shaft (51)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handle member (not shown in the drawing) that is extended to the upper portion to facilitate rotation by the worker.
상기 공급대기부재(52)는 상기 공급회전축(51)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복수 개가 돌출형성되되, 수평하게 사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연결암(521)과, 상기 연결암(521)의 전방 말단에 결합되고, 전면 일측과 타측에 전방 하부방향으로 한 쌍의 관통핀(522)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관통핀(522)에 복수 개의 봉투(100)의 상부 양측이 관통되어 보관되는 지지블럭(523) 및 상기 한 쌍의 관통핀(522)이 관통되어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지지블럭(523)과 상기 복수 개의 봉투(100) 사이에 위치되도록 결합되는 가압블럭(5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bove supply standby member (52)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ng arms (521) that protrude horizontally in all direction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ly rotation shaft (51), a pair of through pins (522) that are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ng arm (521) and protrude forward and downwar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ront, a support block (523) in which a plurality of envelopes (100) are stored by penetrating both upper sides of the plurality of through pins (522), and a pressurizing block (524) that is connected so that the pair of through pins (522) are penetrable and movable,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support block (523) and the plurality of envelopes (100).
상기 지지블럭(523)은 전방 하부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관통핀(522)에 복수 개의 봉투(100)가 관통되어 보관되므로, 상기 복수 개의 봉투(100)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전방 하부방향으로 공급되어 상기 회전하우징(23)의 후방 하부에 봉투(100)가 공급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Since the above support block (523) has a pair of through pins (522) formed in a forward downward direction, a plurality of envelopes (100) are stored by penetrating them, so that the envelopes (100) are naturally supplied in a forward downward direction by the weight of the plurality of envelopes (100), thereby realizing the effect of supplying the envelopes (100) to the rear lower portion of the rotary housing (23).
이때, 상기 관통핀(522)은 가압블럭(524)과 복수 개의 봉투(100)가 설치된 후 상기 복수 개의 봉투(1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전방 말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봉투(100)가 걸릴 수 있는 단턱이 형성되는 걸림캡(522a)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림캡(522a)은 봉투(100)에 음식물이 투입되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이송기구(11)에 의해 파지된 후 상기 관통핀(522)으로부터 이탈되어 수거될 때, 상기 봉투(100)가 자연스럽게 상기 단턱에 걸린 부분이 찢어지며 이탈될 수 있도록 상기 단턱의 크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through pin (522) is configured to include a catch cap (522a)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end to prevent the plurality of envelopes (100) from coming off after the pressurizing block (524) and the plurality of envelopes (100) are installed, and has a step formed on which the envelopes (100) can be caught. It is preferable that the size of the step be formed so that when food is put into the envelope (100) and is caught by the transport mechanism (11) to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and then is separated from the through pin (522) and collected, the portion of the envelope (100) caught on the step can be naturally torn and separated.
상기 가압블럭(524)은 복수 개의 봉투(100)가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전방 하부방향으로 공급될지라도 많은 양의 봉투(100)가 사용되어 제거되면 자중에 의한 전방 하부방향으로의 봉투(100)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한 쌍의 관통핀(522)에 관통되어 설치되어 자중에 의해 전방 하부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복수 개의 봉투(100)를 전방으로 가압하여 마지막 봉투(100)까지 전방 하부방향으로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Since the above pressurizing block (524) may not smoothly move the envelopes (100) in the forward downward direction due to their own weight when a large number of envelopes (100) are used and removed, even if a plurality of envelopes (100) are naturally supplied forward downward by their own weight, it is installed by penetrating the pair of through pins (522) so that the plurality of envelopes (100) are naturally pressed forward as they move forward downward by their own weight, thereby realizing the effect of smoothly supplying them forward downward up to the last envelope (100).
이때, 상기 가압블럭(524)은 복수 개의 봉투(100)를 충분히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봉투(100)보다 많은 자중을 가질 수 있는 재질 또는 크기로 형성됨은 자명할 것이다.At this time, it will be obvious that the pressurizing block (524) is formed of a material or size that can have a greater weight than the plurality of envelopes (100) so as to be able to sufficiently pressurize the plurality of envelopes (100).
아울러, 상기 가압블럭(524)은 전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관통핀(522) 사이에 위치되도록 돌출형성되는 봉투돌출돌기(524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봉투돌출돌기(524a)는 가압블럭(524)의 전면 중앙에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봉투(100) 즉, 복수 개의 봉투(100)의 중앙이 전방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봉투펼침장치(6)의 흡착판(611)에 상기 봉투(100)의 중앙만 파지되도록 함으로써, 봉투(100)의 입구가 원활하게 펼쳐져 개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pressurizing block (524)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nvelope protrusion (524a) that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front side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through pins (522). It is preferable that the envelope protrusion (524a)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center of the front side of the pressurizing block (524). This is to allow the center of the envelope (100), that is, the plurality of envelopes (100), to protrude forward and downward so that only the center of the envelope (100) is gripped by the suction plate (611) of the envelope unfolding device (6),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so that the entrance of the envelope (100) can be smoothly unfolded and opened.
부가하여, 상기 봉투(100)는 전면 상부 즉, 상기 봉투돌출돌기(524a)에 의해 돌출되는 전면 상부에 유연하고, 매끈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접촉판(10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접촉판(101)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봉투펼침장치(6)의 흡착판(611)이 원활하게 흡착되도록 함으로써, 봉투(100)의 입구가 용이하게 펼쳐져 개방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In addition, the envelope (10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tact plate (101) made of a flexible and smooth synthetic resin material on the front upper portion, that is, the front upper portion protruding by the envelope protrusion (524a), and the contact plate (101) enables the suction plate (611) of the envelope unfolding device (6),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to be smoothly absorbed, thereby realizing the effect of allowing the entrance of the envelope (100) to be easily unfolded and opened.
또한, 상기 봉투(100)는 상기 한 쌍의 관통핀(522)이 전방 하부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전면 상부가 하부방향으로 기울어짐으로써,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봉투펼침장치(6)의 펼침롤러(61)가 자연스럽게 회전되며 전면 상부 중앙을 파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pair of through pins (522) are formed in a forward downward direction, the front upper part of the envelope (100) tilts downward, so that the unfolding roller (61) of the envelope unfolding device (6),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naturally rotates and can grip the center of the front upper part.
아울러, 상기 봉투(100)는 본 발명의 음식물 자동 투입장치에 사용되는 전용 봉투로서,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저울(9)에 하부가 닿을 수 있는 길이와 음식물이 담기는 양에 따른 넓이를 갖도록 크기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velope (100) is a dedicated envelope used in the automatic food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formed in various sizes so as to have a length that allows the lower part to touch the scale (9) to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and a width according to the amount of food contained therein.
상기 봉투펼침장치(6)는 상기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4) 중 한 쌍의 수직프레임(4)의 사이에 하부 양측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이송하우징(21)의 타측 하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후방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봉투(100) 중 전방 말단에 위치한 봉투(100)의 전면 상부를 파지하여 봉투(100)의 상부가 펼쳐져 개방되도록 하며, 전방으로 탄성지지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형상이 "┌┐"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 양측이 각각 수직프레임(4)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기 이송기구(11)에 의해 후방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부 중앙이 봉투(100)의 전면 상부에 밀접됨에 따라 상기 봉투(100)의 전면 상부를 파지한 후 탄성에 의해 전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봉투(100)의 입구를 펼쳐 개방되도록 한다.The above envelope unfolding device (6) is installed so that the lower two sides can rotate between a pair of vertical frames (4) among the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4), and is installed so as to be located on the other lower side of the transport housing (21), and when rotated backwards, it grips the upper front side of an envelope (100) located at the front end among the plurality of envelopes (100) so that the upper side of the envelope (100) unfolds and opens,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forward, so that the overall shape is formed in the shape of a "┌┐", and the lower two sides are rotatably hinge-joined to the inside of the vertical frame (4), and when rotated backwards by the transport mechanism (11), the upper center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front side of the envelope (100), so that the upper front side of the envelope (100) is gripped and then rotated forward by elasticity so that the entrance of the envelope (100) unfolds and opens.
이때, 상기 봉투펼침장치(6)는 상부 중앙 즉, 봉투(100)의 전면 상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연에 복수 개의 흡착판(611)이 구비되는 펼침롤러(6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envelope unfolding device (6) is configured to include an unfolding roller (61) that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upper center, i.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front of the envelope (100), and has a plurality of suction plates (611)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즉, 상기 봉투펼침장치(6)는 상기 이송기구(11)에 의해 후방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펼침롤러(61)가 봉투(100)의 전면 상부와 접촉되고, 하부방향으로 기울어진 봉투(100)의 전면 상부를 따라 자연스럽게 회전되며, 상기 흡착판(611)에 의해 상기 봉투(100)의 전면 상부가 상기 펼침롤러(61)에 감겨 파지되도록 함으로써, 탄성에 의해 전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봉투(100)의 입구를 펼쳐 개방되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envelope unfolding device (6) is rotated backward by the transport mechanism (11), the unfolding roller (6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front surface of the envelope (100), and naturally rotates along the upper front surface of the envelope (100) tilted downward, and the upper front surface of the envelope (100) is wrapped around the unfolding roller (61) by the suction plate (611), thereby rotating forward by elasticity to unfold and open the entrance of the envelope (100).
이때, 상기 봉투펼침장치(6)가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4)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전면에 연장되어 돌출형성되되, 상기 봉투펼침장치(6)의 일측 또는 타측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연장되어 돌출형성되고, 상부면 전방에 지지암(441)이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탄성지지블럭(44)과; 전방이 상기 지지암(441)에 결합되고, 후방이 상기 봉투펼침장치(6)의 일측 또는 타측에 결합되는 제1스프링(45);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봉투펼침장치(6)가 전방으로 탄성지지 된다.At this time, a pair of vertical frames (4) on which the envelope unfolding device (6) is installed are configured to include a pair of elastic support blocks (44) that are extended and protruded to the front as shown in FIG. 18, but are extended and protruded so as to be positioned below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envelope unfolding device (6), and have a support arm (441) formed to protrude upward on the front of the upper surface; and a first spring (45) whose front is coupled to the support arm (441) and whose rear is coupled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envelope unfolding device (6), so that the envelope unfolding device (6) is elastically supported forward.
부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봉투펼침장치(6)는 상기 이송기구(11)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 이송기구(11)와 연결되어 양측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전되고, 상기 이송기구(11)가 전방으로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이송기구(11)와의 연결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제1스프링(45)에 의해 전방으로 탄성지지되어 전방으로 회전됨으로써, 봉투(100)의 전면 상부 즉, 입구를 펼쳐 개방한다.To explain further, the envelope unfolding device (6)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conveying device (11) when the conveying device (11) moves forward and rotates rearward around both sides, and when the conveying device (11) completes moving forward, the connection with the conveying device (11) is released,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forward by the first spring (45) and rotates forward, thereby unfolding and opening the front upper portion, i.e., the entrance, of the envelope (100).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펼침롤러(61)는 외주연에 복수 개의 흡착판(611)이 구비됨에 따라 봉투(100)의 전면 상부가 원활하게 파지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봉투(100)의 전면 상부와 접촉될 때, 하부방향으로 기울어진 봉투(100)의 전면 상부에 의해 회전되어 보다 넓은 면적의 외주연에 상기 봉투(100)의 전면 상부가 흡착되어 파지된다.In connection with the above, the spreading roller (6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ction plates (611) on the outer periphery so that the upper front surface of the envelope (100) can be smoothly gripped.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front surface of the envelope (100), the upper front surface of the envelope (100) is rotated by the upper front surface of the envelope (100) tilted downward, so that the upper front surface of the envelope (100) is gripped by being sucked onto the outer periphery with a wider area.
이때, 상기 복수 개의 흡착판(611)은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수평방향 즉,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패턴의 형상은 보다 많은 갯수로 상기 펼침롤러(61)에 구비될 수 있도록 하며, 보다 안정적으로 봉투(100)의 전면 상부를 흡착하여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suction plates (611) are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in a zigzag pattern, and are formed in a zigzag pattern based o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hape of this pattern enables a greater number of the spreading rollers (61) to be provided, and realizes the effect of more stably suctioning and holding the front upper part of the envelope (100).
상기 지지프레임(7)은 상기 봉투펼침장치(6)가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4) 사이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기구(11)가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상부면에 이송레일(13)이 형성된다.The above support frame (7) is installed at the bottom between a pair of vertical frames (4) on which the envelope unfolding device (6) is installed, and a transport rail (13)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so that the transport mechanism (11) can b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to be 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아울러,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7)은 이송기구(11)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회전하우징(23)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봉투펼침장치(6)를 후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frame (7)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gear for rotating the rotary housing (23) forward or backward and at the same time rotating the envelope unfolding device (6) backward as the transport mechanism (11) moves forward and backward.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4) 중 일측 말단에 위치한 수직프레임(4)은 내측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펼침기어(42)와, 내측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펼침기어(42)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제1하우징회전기어(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vertical frame (4) located at one end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4) is configured to include an unfolding gear (42) rotatably installed on the inner front, and a first housing rotation gear (43) rotatably installed on the inner front, but positioned in front or rear of the unfolding gear (42).
또한,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7)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기어(71)와, 상기 제1기어(71)의 하부에 맞물리도록 설치되고, 상기 펼침기어(42)와 같은 축에 설치되는 제1연동기어(73)와,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기어(72)와, 상기 제2기어(72)의 하부에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제2연동기어(74) 및 상기 제2연동기어(74)의 전방 또는 후방에 맞물리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하우징회전기어(43)와 같은 축에 설치되는 제2하우징회전기어(7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frame (7)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s shown in FIG. 13, a first gear (71) rotatably installed on the inside, a first linkage gear (73) installed to engage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gear (71) and installed on the same axis as the unfolding gear (42), a second gear (72) rotatably installed on the inside, a second linkage gear (74) installed to engage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gear (72), and a second housing rotation gear (75) installed to engage with the front or rear of the second linkage gear (74) and installed on the same axis as the first housing rotation gear (43).
이때, 상기 회전하우징(23)은 상기 제1하우징회전기어(43)와 벨트로 제1회전기어(233)가 연결되어 상기 봉투펼침장치(6)가 후방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제2하우징회전기어(75)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하우징회전기어(43)가 회전되고, 상기 제1하우징회전기어(43)와 벨트로 제1회전기어(233)가 연결되어 상기 봉투펼침장치(6)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인 전방으로 회전된다.At this time, the rotary housing (23) is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rotation gear (43) by a belt, and when the envelope unfolding device (6) rotates backward, the second housing rotation gear (75) rotates, thereby rotating the first housing rotation gear (43), and the first rotation gear (233) is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rotation gear (43) by a belt, thereby rotating forwar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envelope unfolding device (6).
즉,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7)은 제1기어(71)와 제2기어(72) 및 제1연동기어(73)와 제2연동기어(74)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이송기구(11)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봉투펼침장치(6)가 후방으로 회전되고, 상기 회전하우징(23)이 전방으로 회전되어 호퍼(231)가 하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이 봉투(100)에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since the support frame (7)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gear (71), a second gear (72), a first linkage gear (73), and a second linkage gear (74), when the transport mechanism (11) moves forward, the bag unfolding device (6) rotates backward, and the rotating housing (23) rotates forward so that the hopper (231) can be positioned at the bottom, thereby allowing food to be fed into the bag (100).
부가하여, 상기 회전하우징(23)은 상기 이송기구(11)가 후방으로 이동될 때, 제2하우징회전기어(75)에 의해 후방으로 회전되어 호퍼(231)가 상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이 봉투(100)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송기구(11)에 의해 음식물이 투입되어 채워진 봉투(100)의 상부가 파지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rotary housing (23) is rotated backward by the second housing rotation gear (75) when the above-mentioned transport mechanism (11) moves backward so that the hopper (231) can be positioned at the top, thereby preventing food from being fed into the bag (100) and allowing the upper part of the bag (100) filled with food by the transport mechanism (11) to be gripped.
상기 이송기구(11)의 이동에 따른 회전하우징(23) 및 봉투펼침장치(6)의 작동에 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이송기구(11)가 회전하우징(23)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봉투펼침장치(6) 및 상기 회전하우징(23)과 기어 및 벨트로 연결되어 상기 봉투펼침장치(6)를 후방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호퍼(231)가 하부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회전하우징(23)을 전방으로 회전시키며, 전방으로 이동이 완료된 후 상기 봉투펼침장치(6)와 상기 회전하우징(23)과의 연결이 해제되는 것으로, 회전하우징(23)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회전하우징(23)의 하부에 어느 하나의 봉투(100)의 입구가 펼쳐져 입구가 개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하우징(23)의 호퍼(231)가 하부방향으로 회전되어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봉투(100)에 음식물이 투입되도록 한다.The operation of the rotary housing (23) and the envelope unfolding device (6)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above-mentioned transport mechanism (1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hen the transport mechanism (11) moves for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ry housing (23), it is connected to the envelope unfolding device (6) and the rotary housing (23) by a gear and a belt, thereby rotating the envelope unfolding device (6) backward and at the same time rotating the rotary housing (23) forward so that the hopper (231) is positioned downward. After the forward movement is complet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envelope unfolding device (6) and the rotary housing (23) is released. When it moves for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ry housing (23), the entrance of one of the envelopes (100) at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ry housing (23) is unfolded so that the entrance is opened, and at the same time, the hopper (231) of the rotary housing (23) is rotated downward and moved so that the envelope (100) is Allow food to be put in.
상기 이송기구(11)는 그 전후 방향 이동에 따라 바닥톱니기어(113a)가 제1기어(71)와 제2기어(72)를 회전시켜 결과적으로 제1하우징회전기어(43)와 펼침기어(42)를 회전시키며, 상기 제1하우징회전기어(43)와 펼침기어(42)에 각각 벨트로 연결된 제1회전기어(233)와 제2회전기어(612)가 회전되어 회전하우징(23)과 봉투펼침장치(6)가 회전된다.The above-mentioned transport mechanism (11) rotates the first gear (71) and the second gear (72) through the floor gear (113a) as it moves forward and backward, which in turn rotates the first housing rotation gear (43) and the unfolding gear (42), and the first rotation gear (233) and the second rotation gear (612)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rotation gear (43) and the unfolding gear (42) by belts, respectively, rotate, thereby rotating the rotation housing (23) and the envelope unfolding device (6).
이때, 본 발명의 이송기구(11)는 전방으로의 이동이 완료되면 즉, 상기 바닥톱니기어(113a)가 상기 제1기어(71)와 제2기어(72)의 상부를 완전히 통과하면 상기 봉투펼침장치(6)와 회전하우징(23)과의 연결이 해제되므로 봉투(100)에 음식물이 투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forward movement of the transport mechanism (1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that is, when the bottom gear (113a) completely passes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gear (71) and the second gear (72), the connection between the bag opening device (6) and the rotary housing (23) is released, so that the state in which food is placed in the bag (100) can be maintained.
또한, 본 발명의 이송기구(11)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전하우징(23)의 하부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회전하우징(23)과 기어 및 벨트로 연결되어 상기 호퍼(231)가 상부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회전하우징(23)을 후방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봉투(100)의 상부를 파지하고, 다시 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파지된 봉투(100)를 공급대기부재(52) 즉, 한 쌍의 관통핀(522)으로부터 이탈시켜 수거된 후 상기 밴딩포장장치(3)에 의해 포장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when the transport mechanism (11)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backward and moves to the lower part of the rotary housing (23), it is connected to the rotary housing (23) by a gear and a belt to rotate the rotary housing (23) backward so that the hopper (231) is positioned upward, grips the upper part of the bag (100), and when it moves forward again, it detaches the gripped bag (100) from the supply standby member (52), i.e., a pair of through pins (522), so that it can be collected and then packed by the banding packaging device (3).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이송기구(11)는 제어부(8)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회전하우징(23)의 하부로 이동되고, 바닥톱니기어(113a)가 상기 제1기어(71)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2하우징회전기어(75)가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회전하우징(23)에 구비된 제1회전기어(233)를 후방으로 회전시켜 상기 회전하우징(23)이 후방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음식물이 회전하우징(23)의 하부방향으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한다.In other words, when the transport mechanism (11)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backward by the control unit (8), it moves to the lower part of the rotary housing (23), and the bottom gear (113a) rotates the first gear (71) in the reverse direction to rotate the second housing rotation gear (75), thereby rotating the first rotation gear (233) provided in the rotary housing (23) backward to rotate the rotary housing (23) backward, thereby preventing food from being fed in the lower part of the rotary housing (23).
이때, 상기 제2기어(72)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후방으로 회전되었다가 탄성에 의해 전방으로 회전된 봉투펼침장치(6)를 펼침기어(42)와 제2회전기어(612)에 의해 다시 전방으로 회전시키므로, 상기 제2기어(72)와 펼침기어(42)가 설치된 회전축은 상기 제2기어(72)와 펼침기어(42)의 사이에 설치되는 클러치(도면 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클러치는 상기 제2기어(72)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펼침기어(42)가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제2기어(72)를 역방향으로 공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gear (72) rotates backwards when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then rotates the envelope unfolding device (6) forward by elasticity, the unfolding gear (42) and the second rotation gear (612) rotate forward again, the rotation shaft on which the second gear (72) and the unfolding gear (42) are installed is configured to include a clutch (not shown in the drawing)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gear (72) and the unfolding gear (42), and the clutch allows the second gear (72) to rotate in the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unfolding gear (42) does not rotate when the second gear (72)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상기 제어부(8)는 음식물 포장 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상기 구동모터(151)의 작동을 제어하여 이송기구(11)의 전후 방향 이동을 제어하도록 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송기구(11)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만 하면 봉투(100)의 펼침, 회전하우징(23)의 회전, 밴딩 포작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구동모터(151)의 작동 조절만으로 포장 시스템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above control unit (8)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ood packaging system,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151) to control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transport mechanism (11).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performs the unfolding of the bag (100), the rotation of the rotary housing (23), and the banding process simply by moving the transport mechanism (11)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packaging system can be performed only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151).
한편, 상기 포장 시스템은 상기 봉투펼침장치(6)가 설치되는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4)의 사이에 설치되되, 펼쳐진 봉투(100)의 하부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저울(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Meanwhile, the packaging system is configured to include a scale (9) installed between a pair of vertical frames (4) on which the envelope unfolding device (6) is installed, and install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unfolded envelope (100).
이때, 본 발명의 제어부(8)는 봉투(100)의 용량에 맞게 음식물이 상기 봉투(100)에 채워졌을 때, 상기 이송기구(11)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봉투(100)의 상부를 파지한 후 수거하여 밴딩포장장치(3)에 의해 포장될 수 있도록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봉투(100)에 투입된 음식물의 무게정보를 활용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8)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food put into the bag (100) to move the transport mechanism (11) backwards when the food is filled into the bag (100) to match the capacity of the bag (100), to grab the upper part of the bag (100), and then to move it forwards so that it can be collected and packaged by the banding packaging device (3).
즉, 상기 저울(9)은 측정된 무게정보를 제어부(8)에 전달하고, 본 발명의 제어부(8)는 상기 저울(9)로부터 전달된 무게정보가 기설정된 무게에 도달하면 상기 이송기구(11)을 후방으로 이동시킨 후 다시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봉투(100)에 용량에 맞는 음식물이 채워지면 상기 이송기구(11)에 의해 수거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다른 봉투(100)의 입구가 펼쳐져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scale (9) transmits the measured weight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8), and when the weigh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cale (9) reaches a preset weight, the control unit (8)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the transport mechanism (11) backwards and then forwards again, so that when the bag (100) is filled with food according to its capacity, collection is performed by the transport mechanism (11) and at the same time, the entrance of another bag (100) can be unfolded and opened.
결과적으로, 상기 음식물 포장 시스템은 자동으로 봉투(100)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봉투(100)의 입구를 펼쳐 개방한 후 음식물이 상기 봉투(100)에 투입되도록 하고, 상기 봉투(100)의 용량에 맞는 음식물이 상기 봉투(100)에 투입되면 자동으로 수거된 후 포장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봉투를 반복적으로 설치하거나 개방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봉투(100)에 알맞은 양의 음식물을 채워 수거 및 포장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손이나 의복이 음식물에 의해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을 봉투(100)에 투입하여 수거 및 포장하는 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음식물의 포장이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a result, the food packaging system automatically supplies a bag (100) and simultaneously opens the entrance of the bag (100) so that food is fed into the bag (100), and when food matching the capacity of the bag (100) is fed into the bag (100), it is automatically collected and then packaged, thereby eliminating the hassle of the worker having to repeatedly install or open the bag, allowing the bag (100) to be filled with an appropriate amount of food and then collected and packaged, and preventing the worker's hands or clothing from being contaminated with food, thereby improving hygiene, and enabling the work of feeding food into the bag (100) and collecting and packaging it to be performed continuously, thereby achieving the effect of enabling easy and convenient packaging of food.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the applicant has described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uch embodiments are only examples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y change or modification examples that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이송장치 11: 이송기구 111: 파지부
111a: 파지본체 111b: 파지암 111b-1: 제1암
111b-11: 레일삽입부재 111b-2: 제2암 111b-3: 제3암
111c: 파지롤러 111c-1: 제1롤러 111c-2: 제2롤러
111d: 장력지지수단 111e: 장력조절수단 112: 이동롤러
113: 기어부 113a: 바닥톱니기어 113b: 밴딩톱니기어
113c: 조임톱니기어 13: 이송레일 131: 파지조절레일
131a: 내측레일 131b: 외측레일 131c: 조절부재
15: 구동부 151: 구동모터 152: 제1이동기어
153: 제2이동기어 154: 구동벨트 155: 체인
2: 음식물 교반공급장치 21: 이송하우징 211: 교반스크류 212: 교반핀 213: 힌지결합부 213a: 힌지핀
213b: 고정부재 213c: 탄성부재 214: 스크류회전모터
215: 돌출단 216: 투입구 23: 회전하우징
231: 호퍼 232: 하우징회전축 233: 제1회전기어
3: 밴딩포장장치 31: 밴딩체결부 311: 밴딩기어
311a: 당김벨트 312: 이동추 313: 당김스프링
33: 밴딩핀삽입부 331: 삽입봉 332: 밴딩날
333: 밴딩핀 35: 봉투가이드부 351: 제1가이드롤러
352: 제2가이드롤러 37: 조임부 371: 조임기어
372: 누름부재 4: 수직프레임 41 : 연결프레임
42 : 펼침기어 43 : 제1하우징회전기어 44 : 탄성지지블럭
441 : 지지암 45 : 제1스프링 5 : 봉투공급장치
51 : 공급회전축 52 : 공급대기부재 521 : 연결암
522 : 관통핀 522a : 걸림캡 523 : 지지블럭
524 : 가압블럭 524a : 봉투돌출돌기 6 : 봉투펼침장치
61 : 펼침롤러 611 : 흡착판 612 : 제2회전기어
7 : 지지프레임 71 : 제1기어 72 : 제2기어
73 : 제1연동기어 74 : 제2연동기어 75 : 제2하우징회전기어
8: 제어부 9: 저울
100: 봉투 101: 접촉판1: Transfer device 11: Transfer mechanism 111: Grab section
111a:
111b-11:
111c:
111d: Tension support means 111e: Tension adjustment means 112: Moving roller
113: Gear section 113a: Floor gear 113b: Banding gear
113c: Tightening gear 13: Feed rail 131: Gravity adjustment rail
131a:
15: Drive unit 151: Drive motor 152: First moving gear
153: 2nd transmission gear 154: Drive belt 155: Chain
2: Food mixing and feeding device 21: Transfer housing 211: Stirring screw 212: Stirring pin 213: Hinge joint 213a: Hinge pin
213b:
215: protrusion 216: inlet 23: rotating housing
231: Hopper 232: Housing rotation shaft 233: First rotation gear
3: Banding packing device 31: Banding fastening part 311: Banding gear
311a: Pull belt 312: Moving weight 313: Pull spring
33: Banding pin insertion part 331: Insertion rod 332: Banding blade
333: Banding pin 35: Envelope guide part 351: First guide roller
352: Second guide roller 37: Tightening part 371: Tightening gear
372: Pressing member 4: Vertical frame 41: Connecting frame
42: Spreading gear 43: First housing rotation gear 44: Elastic support block
441: Support arm 45: First spring 5: Envelope feeding device
51: Supply rotation shaft 52: Supply standby member 521: Connecting arm
522: Through pin 522a: Hook cap 523: Support block
524:
61: Spreading roller 611: Suction plate 612: Second rotating gear
7: Support frame 71: 1st gear 72: 2nd gear
73: 1st linkage gear 74: 2nd linkage gear 75: 2nd housing rotation gear
8: Control unit 9: Scale
100: Envelope 101: Contact Plate
Claims (5)
봉투를 파지하여 이송시키는 이송기구와, 상기 이송기구가 지지되어 이동하는 이송레일과, 상기 이송기구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기구는,
봉투를 눌러 파지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 바닥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레일에 지지되어 이동하는 이동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는,
파지본체와, 상기 파지본체의 양측에 한 쌍이 형성되어 좌우 이동에 따라 봉투를 파지하는 파지암과, 상기 파지암의 끝단에 형성되어 봉투를 누르는 파지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롤러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정도가 상이한 제1,2롤러가 번갈아 형성되도록 하고,
대향되는 양측 파지암의 파지롤러는 제1롤러가 제2롤러에, 제2롤러가 제1롤러에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이송장치.In a food transport device that transports bags containing food for packaging,
It includes a transport mechanism that transports an envelope by crushing it, a transport rail on which the transport mechanism is supported and moves, and a driving unit that drives the transport mechanism.
The above transport mechanism is,
It includes a gripping part that presses and grips an envelope, and a moving roller formed on the bottom of the gripping part and supported and moved on the transport rail.
The above-mentioned part is,
It includes a body of a phage, a pair of phage arm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of the phage to phage an envelope by moving left and right, and a phage roller formed at the end of the phage arm to press an envelope.
The above phage roller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are formed alternately with different degrees of inward protrusion,
A food trans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posing two-sided phage rollers are formed so that the first roller faces the second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faces the first roller.
상기 이송레일에 지지되어 이동하는 제1암과; 상기 제1암과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연결되며, 상기 파지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암과; 상기 제2암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끝단에 상기 파지롤러가 형성되는 제3암;을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2암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1암을 탄성적으로 당기는 장력지지수단과, 상기 장력지지수단의 당김 정도를 조절하는 장력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이송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phage cancer
It includes a first arm that is supported and moves on the above-mentioned transport rail; a second arm that is connected to the first arm at a certain angle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above-mentioned gripper body; and a third arm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arm and has the above-mentioned gripper roller formed at the end.
The above-mentioned part
A food transport devic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tension support means formed on the second arm and elastically pulling the first arm, and a tension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degree of pulling of the tension support means.
상기 제1암이 삽입되어 이동하는 파지조절레일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파지조절레일은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레일과, 외측에 형성되는 외측레일과, 내측레일 및 외측레일이 모아지는 양 끝단에 형성되어 내측레일 또는 외측레일로의 이동을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암은 조절부재의 조절에 따라 상기 내측레일 또는 외측레일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파지롤러가 봉투에 밀착되거나 밀착이 해제된 상태에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이송장치. In the second paragraph, the transport rail
In addition, the first arm is inserted and moves by including a phage control rail,
The above-mentioned phage control rail includes an inner rail formed on the inside, an outer rail formed on the outside, and a control member formed at both ends where the inner rail and the outer rail are gathered to control movement to the inner rail or the outer rail.
A food trans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rm is inserted into either the inner rail or the outer rail according to the adjustment of the adjusting member so that the phage roller moves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or released from contact with the bag.
상기 이송기구가 이동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이송기구가 이동하는 경로 양단에 각각 형성되며, 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제1,2이동기어와; 상기 구동모터와 제1,2이동기어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구동벨트와; 상기 제1,2이동기어에 감겨 회전하며, 상기 이송기구와 연결되어 이송기구를 이동시키는 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이송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driving part
A food transport devic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driving motor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transport device; first and second moving gears formed at each end of a path along which the transport device moves and that rot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a driving belt that connects the driving motor to one of the first and second moving gears; and a chain that rotates while being wound around the first and second moving gears and is connected to the transport device to move the transport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71071A KR102759054B1 (en) | 2022-12-09 | 2022-12-09 | A Transferring Device of Fo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71071A KR102759054B1 (en) | 2022-12-09 | 2022-12-09 | A Transferring Device of Fo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85985A KR20240085985A (en) | 2024-06-18 |
KR102759054B1 true KR102759054B1 (en) | 2025-01-22 |
Family
ID=91670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71071A Active KR102759054B1 (en) | 2022-12-09 | 2022-12-09 | A Transferring Device of Fo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5905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87872A (en) * | 2020-12-18 | 2022-06-27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Pelletizing Device For Replacing Extruded Plat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194537B1 (en) * | 1994-11-14 | 1999-06-15 | 주봉유 | Improved Padding Machine |
KR102103342B1 (en) * | 2019-11-04 | 2020-04-24 | (주)원팩 | an automatic packing machine |
CN112429287A (en) * | 2020-11-30 | 2021-03-02 | 伍福庆 | Packaging bag receiving and conveying device and method |
-
2022
- 2022-12-09 KR KR1020220171071A patent/KR10275905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194537B1 (en) * | 1994-11-14 | 1999-06-15 | 주봉유 | Improved Padding Machine |
KR102103342B1 (en) * | 2019-11-04 | 2020-04-24 | (주)원팩 | an automatic packing machine |
CN112429287A (en) * | 2020-11-30 | 2021-03-02 | 伍福庆 | Packaging bag receiving and conveying device and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85985A (en) | 2024-06-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587843A (en) | Package of bags | |
US4078358A (en) | Bag-hanging and bag-filling machines adapted for synchronous and independent operation and method of using same | |
KR102759054B1 (en) | A Transferring Device of Food | |
DE2715309A1 (en) | BAG OR BAG FILLING MACHINE | |
CN111216965A (en) | Full-automatic grain bagging and packaging equipment | |
CN209553667U (en) | A kind of chain-bucket packing machine | |
KR102770041B1 (en) | A Banding Packing Device of Food | |
CN205906235U (en) | Metal powder package sealing machine | |
US3698547A (en) | Packaging apparatus, method and bags | |
CN112141464B (en) | Automatic machine of book of beating of ton bag | |
KR20240085984A (en) | A Mixing and Supplying Device of Food | |
CN201058674Y (en) | Flat feeding mechanism of pocket-supplying type full-automatic packing machine | |
CN207404066U (en) | Fully-automatic packaging equipment | |
CN206327642U (en) | A kind of material dispenses logistics automatic production line | |
JP3901611B2 (en) | Bagging equipment | |
JP2620209B2 (en) | Equipment for automatic packaging of goods | |
CN206537556U (en) | Bag filling machine | |
CN217436247U (en) | Packaging bag stacking mechanism and packaging device | |
CN115783407A (en) | Product packaging equipment | |
CN210000669U (en) | kinds of sheet products packing equipment | |
CN113443181A (en) | A packing conveying system for crushing material | |
CN220054344U (en) | Bagging and sealing device for single piece of oil absorbing paper | |
JPH0769314A (en) | Towel wrapping apparatus | |
CN112918802A (en) | Paper handkerchief packing is with bag sealing mechanism and paper industry intelligence equipment for packing thereof | |
CN111301767A (en) | Automatic file packag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6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