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57398B1 -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57398B1
KR102757398B1 KR1020190030356A KR20190030356A KR102757398B1 KR 102757398 B1 KR102757398 B1 KR 102757398B1 KR 1020190030356 A KR1020190030356 A KR 1020190030356A KR 20190030356 A KR20190030356 A KR 20190030356A KR 102757398 B1 KR102757398 B1 KR 102757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receiving space
communication hole
steam supply
du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3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10884A (en
Inventor
김미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0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57398B1/en
Publication of KR20200110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08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57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5739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4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onditioning or finishing, e.g.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4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8Conditioning or finishing, e.g. control of perfume injection
    • D06F2105/40Conditioning or finishing, e.g. control of perfume injection using water or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공급부가 수용공간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단계; 온도센서가 제1연통홀을 통해 덕트로 유입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 측정단계; 제1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온도에 도달하면, 온도센서가 제1연통홀로 유입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 측정단계; 및 상기 제1온도와 상기 제2온도의 차가 기 설정된 기준 값에 도달하면, 스팀공급부의 작동을 중단하는 스팀공급 종료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 garment treatment device, comprising: a steam supply step in which a steam supply unit supplies steam to a receiving space; a first temperature measuring step in which a temperature sensor measures the temperature of air introduced into a duct through a first communication hole; a second temperature measuring step in which, when the first temperature reaches a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the temperature sensor measures the temperature of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and a steam supply termination step in which, when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mperature and the second temperature reaches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operation of the steam supply unit is stopped.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관련된 각종 작업(세탁, 건조, 구김 제거, 탈취 등)을 진행하는 장치로서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장치, 젖은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장치, 의류에 베인 냄새를 제거를 제거하기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A clothing treatment device is a device that performs various tasks related to clothing (washing, drying, wrinkle removal, deodorization, etc.). It includes a washing device that washes clothing, a drying device that dries wet clothing, and a refresher that removes odors from clothing.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세탁, 건조, 구김 제거, 및 탈취가 하나의 장치로 해결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있다. 구김 제거가 가능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들의 대부분은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드럼 구동부, 상기 드럼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장치로 구성되었다. 드럼에 투입된 의류는 곧게 펴진 상태가 아니라 드럼 내주면을 따라 구르거나 낙하하는 운동을 하기 때문에, 구김 제거 행정이 완료되더라도 의류에 구김이 남아있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가 있었다.Among conventional clothing treatment devices, there are those designed to be able to perform washing, drying, wrinkle removal, and deodorization in a single device. Most of the conventional clothing treatment devices capable of wrinkle removal consist of a drum for accommodating clothing, a drum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drum, and a moisture supply unit for supplying moisture to the drum. Since clothing fed into the drum does not lie straight, but rolls or fall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drum, there was a problem that wrinkles often remained on the clothing even after the wrinkle removal process was completed.

드럼을 이용하는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의류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 가능한 수용공간, 상기 수용공간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는 공기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conventional clothing treatment devices using drums, some conventional clothing treatment devices include a receiving space capable of maintaining clothes in an unfolded state, a steam supply unit that supplies steam to the receiving space, and an air supply unit that dehumidifies and heats the air inside the receiving space.

의류에 발생한 구김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려면, 수용공간 내부에 공급되는 스팀의 양은 의류의 종류에 따라 달리 제어될 필요가 있는데, 종래 의류처리장치들은 의류의 종류에 맞게 수용공간 내부에 공급되는 스팀의 양을 조절하는 효과를 구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In order to effectively remove wrinkles from clothing, the amount of steam supplied into the receiving space needs to be controll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clothing. However, conventional clothing treatment devices have had the disadvantage of not being able to implement the effect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steam supplied into the receiving space according to the type of clothing.

본 발명은 열교환기가 구비된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의류에 공급된 스팀의 양을 판단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determining the amount of steam supplied to clothing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air flowing into a duct equipped with a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된 공간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단계; 스팀의 공급 후 측정된 제1온도와 제2온도 차가 기준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통해 의류에 공급된 스팀의 양을 판단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기준 값은 의류의 종류나 무게 등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determining the amount of steam supplied to clothing through a step of supplying steam to a space containing clothing; and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difference between a first temperature and a second temperature measured after the supply of steam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The reference value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r weight of clothing.

투입구를 통해 외부와 연통하는 수용공간 및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지지바디; 상기 지지바디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왕복운동을 하게 하는 구동부; 일단은 제1연통홀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연통홀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연통하는 덕트;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1연통홀로 이동시키는 팬; 상기 덕트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통홀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열교환기; 상기 수용공간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 상기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스팀공급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단계; 상기 온도센서가 상기 제1연통홀로 유입된 공기의 온도(제1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 측정단계; 상기 제1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온도센서가 상기 제1연통홀로 유입된 공기의 온도(제2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 측정단계; 및 상기 제1온도와 상기 제2온도의 차가 기 설정된 기준 값에 도달하면, 상기 스팀공급부의 작동을 중단하는 스팀공급 종료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A method for controlling a clothes treatment device comprising: a cabinet having a receiving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through an inlet an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a support body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to support clothes; a driving unit for causing the support body to reciprocate inside the receiving space; a duc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receiving space through a first communication hole and the other end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space through a second communication hole; a fan for moving air inside the receiving space to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a heat exchanger provided inside the duct to sequentially dehumidify and heat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a steam supply unit for supplying steam to the receiving space; and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air introduced into the du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eam supply step in which the steam supply unit supplies steam to the receiving space; a first temperature measurement step in which the temperature sensor measures the temperature (first temperature) of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ontrolling a garment treatment device, including a second temperature measuring step in which the temperature sensor measures the temperature (second temperature) of air flowing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when the first temperature reaches a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and a steam supply termination step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steam supply unit is stoppe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mperature and the second temperature reaches a preset reference value.

상기 기준 값은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상대습도가 85% 내지 95%가 되는 온도 차로 설정될 수 있는데, 상기 기준 값은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상대습도 90%가 되는 온도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The above reference value may be set as a temperature difference at which the relative humidity inside the receiving space becomes 85% to 95%,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reference value be set as a temperature at which the relative humidity inside the receiving space becomes 90%.

상기 기준 값은 섭씨 2도씨 내지 섭씨 4도씨 사이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 above reference value can be set to a value between 2 degrees Celsius and 4 degrees Celsius.

상기 기준 값은 상기 스팀공급단계를 통해 무게 120 내지 130g, 실크 함유량 95% 이상인 의류의 함습율 0.7% 내지 1.4%가 되는 온도 차로 설정될 수 있다.The above reference value can be set as a temperature difference that causes the moisture content of clothing weighing 120 to 130 g and having a silk content of 95% or more to be 0.7 to 1.4% through the steam supply step.

본 발명은 상기 스팀공급단계의 개시 전 상기 온도센서가 상기 제1연통홀로 유입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초기온도 측정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온도는 상기 초기온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온도보다 섭씨 10도씨 이상 높은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initial temperature measuring step in which the temperature sensor measures the temperature of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before the start of the steam supply step; and the reference temperature can be set to a temperature that is 10 degrees Celsius or higher than the temperature measured in the initial temperature measuring step.

본 발명은 상기 스팀공급단계의 진행 중 상기 구동부가 상기 지지바디를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왕복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causing the driving unit to reciprocate the support body within the receiving space during the progress of the steam supply step.

본 발명은 상기 초기온도 측정단계의 개시 전 상기 팬을 작동시켜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덕트로 이동시키는 순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irculation step of operating the fan before initiating the initial temperature measuring step to move air inside the receiving space to the duct.

본 발명은 상기 스팀공급 종료단계의 완료 후 상기 팬 및 상기 열교환기를 작동시켜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rying step of removing moisture from air inside the receiving space by operating the fan and the heat exchanger after completion of the steam supply termination step.

본 발명은 상기 건조단계의 진행 중 상기 구동부가 상기 지지바디를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왕복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causing the driving unit to reciprocate the support body within the receiving space during the drying step.

본 발명은 열교환기가 구비된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의류에 공급된 스팀의 양을 판단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determining the amount of steam supplied to clothing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air flowing into a duct equipped with a heat exchanger.

도 1과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구비된 의류지지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수용공간에 스팀이 공급될 때 발생하는 온도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s 1 and 2 illustrate examples of a clothing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and 4 illustrate examples of clothing support member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graph measuring the temperature change that occurs when steam is supplied to the receiving space.
Figure 6 illustrates an example of a control method for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the device or the control method described below is only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ference numerals used identically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present identical component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공간(11), 격벽(14)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11)과 구분되며, 상기 수용공간(11)으로 스팀이나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가 구비되는 설치공간(15)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공간(11)은 투입구(111)를 통해 수용공간의 외부와 연통하고, 상기 투입구(111)는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113)에 의해 개폐된다.As illustrated in FIG. 1, the garment treatment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1), an accommodation space (11) provided inside the cabinet to provide a space for accommodating garments, and an installation space (15) separat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11) by a partition (14) and provided with a device for supplying steam or air to the accommodation space (11). The accommodation space (11)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through an inlet (111), and the inlet (111) is opened and closed by a door (113) rotatably coupled to the cabinet (1).

상기 설치공간(15)은 제2도어(151)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설치공간(15) 내부에는 공기공급부(16)와 스팀공급부(17)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된다. 도 2는 상기 설치공간(15)에 공기공급부(16) 및 스팀공급부(17)가 모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above installation space (15) is opened and closed by the second door (151), and at least one of an air supply unit (16) and a steam supply unit (17) is provided inside the above installation space (15). Fig. 2 illustrates an example where both an air supply unit (16) and a steam supply unit (17) are provided in the above installation space (15).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공급부(16)는 건조한 공기를 수용공간(11)에 공급하는 수단으로, 상기 공기공급부(16)는 수용공간(11)의 공기를 설치공간(15)으로 인출한 뒤 상기 수용공간(11)으로 재공급하는 덕트(161), 상기 덕트에 구비되는 팬(163), 상기 덕트(161)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열교환기로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air supply unit (16) is a means for supplying dry air to the receiving space (11), and the air supply unit (16) may be equipped with a duct (161) that takes air from the receiving space (11) to the installation space (15) and then resupplied to the receiving space (11), a fan (163) provided in the duct, and a heat exchanger that sequentially performs dehumidification and heating of air introduced into the duct (161).

상기 격벽(14)에는 상기 수용공간(11)과 상기 덕트(161)를 연통시키는 제1연통홀(141) 및 제2연통홀(143)이 구비되는데, 상기 덕트(161)의 일단은 상기 제1연통홀(14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연통홀(143)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팬(163)의 작동 시 상기 수용공간(11)의 공기는 제1연통홀(141)을 통해 상기 덕트(161)로 유입되고, 상기 덕트(161)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2연통홀(143)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11)으로 공급된다.The above bulkhead (14) is provided with a first communication hole (141) and a second communication hole (143) that connect the receiving space (11) and the duct (161). One end of the duct (161) is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14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43). Therefore, when the fan (163) operates, air in the receiving space (11) is introduced into the duct (161)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141), and air introduced into the duct (161) is supplied to the receiving space (11)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43).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덕트(161)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공기를 응축하는 증발기(165),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에 열을 공급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166)를 포함한다. 상기 증발기와 응축기는 냉매가 순환하는 냉매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냉매관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68), 냉매관을 따라 순환하는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는 팽창밸브(167)가 구비된다.The above heat exchanger includes an evaporator (165) that absorbs heat from air introduced into the duct (161) and condenses the air, and a condenser (166) that supplies heat to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and heats the air. The evaporator and the condenser are connected to a refrigerant pipe through which refrigerant circulates, and the refrigerant pipe is provided with a compressor (168) that compresses the refrigerant and an expansion valve (167) that controls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circulating along the refrigerant pipe.

상기 덕트(161)에는 상기 수용공간(11)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4)가 구비된다. 상기 온도센서(4)는 상기 제1연통홀(141)을 통해 상기 덕트(161)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연통홀(141)과 상기 증발기(165) 사이에 위치된다.The above duct (161) is equipped with a temperature sensor (4) that measures the temperature of air discharged from the receiving space (11). The temperature sensor (4)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141) and the evaporator (165) so as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air flowing into the duct (161)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141).

상기 스팀공급부(17)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171), 상기 저장부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가열하는 히터(174), 상기 저장부(171) 내부에 발생한 스팀을 상기 수용공간(11)으로 안내하는 공급관(17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174)는 전력이 공급되면 발열하는 전기저항체로, 상기 저장부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수단이다.The above steam supply unit (17) may be equipped with a storage unit (171) in which water is stored, a heater (174) provided inside the storage unit to heat the water, and a supply pipe (175) that guides steam generated inside the storage unit (171) to the receiving space (11). The heater (174) is an electric resistance body that generates heat when electricity is supplied, and is a means for heating the water inside the storage unit.

이 경우, 상기 격벽(14)에는 상기 수용공간(11)과 상기 설치공간(15)을 연통시키는 제3연통홀(145)이 구비되고, 상기 공급관(175)은 상기 저장부(171)와 제3연통홀(145)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ulkhead (14) is provided with a third communication hole (145) that connects the receiving space (11) and the installation space (15), and the supply pipe (175) can be provided to connect the storage unit (171) and the third communication hole (145).

상기 저장부(171)는 상기 설치공간(15)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급수탱크(177)를 통해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급수탱크(177)가 상기 제2도어(15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above storage unit (171) may be provided to receive water through a water tank (177) detachably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15). FIG. 2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water tank (177)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second door (151).

상기 제2도어(151)는 상기 수용공간(11)의 개방면이 위치된 면에 구비되므로, 상기 도어(113)가 상기 투입구(111)를 폐쇄하면 의류처리장치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상기 도어(113)가 투입구(111)를 개방하면 외부에 노출된다.Since the second door (151) is provided on the surface where the open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11) is located, when the door (113) closes the inlet (111), i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and when the door (113) opens the inlet (111),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급수탱크(177)가 상기 제2도어(151)에 구비될 경우, 상기 스팀공급부(17)는 상기 제2도어(151)가 설치공간(15)를 폐쇄할 때 상기 급수탱크(177)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저장부(171)에는 상기 제2도어(151)가 설치공간(15)를 폐쇄할 때 상기 급수탱크(177)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급수탱크 내부와 저장부 내부를 연통시키는 연결관(173)을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above-mentioned water supply tank (177) is provided in the second door (151), the steam supply unit (17) may be provid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tank (177) when the second door (151) closes the installation space (15). That is, the storage unit (171)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pipe (173) that penetrates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upply tank (177) to connect the inside of the water supply tank and the inside of the storage unit when the second door (151) closes the installation space (15).

상기 수용공간(11)에는 의류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의류지지부(3)가 구비된다.The above-mentioned accommodation space (11) is provided with a clothing support member (3) that maintains the clothing in an unfolded stat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류지지부(3)는 옷걸이(H1)의 고리(H2)가 수용되는 수용홈(311)이 구비된 지지바디(31), 상기 지지바디(31)의 양단을 수용공간(11)의 상부면에 연결하는 지지바(33), 상기 지지바디를 작동시키는 구동부(34, 35, 36)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clothing support member (3) includes a support body (31) having a receiving groove (311) in which a hook (H2) of a hanger (H1) is received, a support bar (33) connecting both ends of the support body (31)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11), and a driving member (34, 35, 36) that operates the support body.

상기 지지바(33)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바디(31)는 그 양단이 상기 지지바(33)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11)에 위치될 수 있다.The above support bar (33)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and the support body (31) can be positioned in the receiving space (11) by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support bar (33).

한편, 상기 수용공간(11)의 외측 상부면에는 상기 구동부를 지지하는 프레임(32)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지지바(33)는 상기 프레임(32)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바(33)의 일단은 프레임(32)에 구비된 제1관통홀(323)에 고정되고 지지바(33)의 타단은 수용공간(11)의 상부면을 관통하는 홀을 통해 수용공간(11)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 frame (32) for supporting the driving unit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11), in which case the support bar (33) may be fixed to the frame (32). That is, one end of the support bar (33) may be fixed to a first through hole (323) provided in the frame (32),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bar (33) may be provided to be position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11) through a hole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11).

상기 지지바디(31)는 구동부(34, 35, 36)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11)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는데, 본 명세서에 사용된 '왕복 운동'의 의미는 상기 지지바디가 X축 또는 Z축을 따라 왕복하는 직선 운동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바디(31)가 X-Z평면 내에서 원 운동을 하는 경우도 포함하는 개념이다.The above support body (31) reciprocates within the receiving space (11) via the driving unit (34, 35, 36). The meaning of the 'reciprocating motion' us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not only the linear motion in which the support body reciprocates along the X-axis or Z-axis, but also the case in which the support body (31) performs a circular motion within the X-Z plane.

상기 구동부는 회전축(341)이 구비된 모터(34), 상기 회전축(341)의 회전운동을 지지바디(31)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는 동력변환부(35), 상기 모터(34)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상기 동력변환부(35)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36)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driving unit may include a motor (34) equipped with a rotational shaft (341), a power conversion unit (35) that converts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rotational shaft (341) into a reciprocating motion of the support body (31),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36) that transmits power provided from the motor (34) to the power conversion unit (35).

상기 동력전달부(36)는 회전축(341)에 결합되는 주동풀리(361), 상기 주동풀리와 벨트(365) 또는 체인 등으로 연결되는 종동풀리(363), 상기 종동풀리의 중심에 결합하는 풀리 회전축(367)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풀리 회전축(367)은 일단은 상기 종동풀리(363)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32) 및 수용공간(11)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수용공간(11)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풀리 회전축(367)이 관통하는 제2관통홀(321)이 더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11) 상부면에는 풀리 회전축 관통홀이 구비되어야 한다.The above power transmission unit (36)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driving pulley (361) coupled to a rotation shaft (341), a driven pulley (363) connected to the driving pulley by a belt (365) or a chain, and a pulley rotation shaft (367)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driven pulley. One end of the pulley rotation shaft (367) may be fixed to the driven pulley (363), and the other end may penetrate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32) and the accommodation space (11) and be position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11). In this case, the frame should further be provided with a second through-hole (321) through which the pulley rotation shaft (367) penetrates,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 should be provided with a pulley rotation shaft through-hole.

한편, 상기 동력변환부(35)는 상기 풀리 회전축(367)에 결합하는 변환부 바디(351), 상기 풀리 회전축(367)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변환부 바디(351)에서 연장되는 회전암(353), 상기 회전암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풀리 회전축(367)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연결부(355), 상기 지지바디(31)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355)가 수용되는 슬롯(357)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power conversion unit (35) may include a conversion unit body (351) coupled to the pulley rotation axis (367), a rotary arm (353) extending from the conversion unit body (351)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ulley rotation axis (367), a connecting unit (355) provided at one end of the rotary arm and rotating around the pulley rotation axis (367), and a slot (357) provided in the support body (31) to receive the connecting unit (355).

상기 슬롯(357)은 상기 지지바디(31)의 길이 방향(X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지지바디의 너비 방향(Z축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도 있다.The above slot (357) may be provided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support body (31) or may be provided along the width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support body.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롯이 지지바디(31)의 길이 방향과 나란히 구비되면 상기 지지바디는 Z축을 따라 왕복 운동할 것이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이 지지바디(31)의 너비 방향을 따라 구비되면 X축을 따라 왕복 운동하게 될 것이다.As shown in FIG. 3, if the slot is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body (31), the support body will reciprocate along the Z-axis, and as shown in FIG. 4, if the slot is provid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body (31), the support body will reciprocate along the X-axis.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지지부(3)는 상기 모터(34)의 작동 시 주동풀리, 벨트, 및 종동풀리에 의해 풀리 회전축(367)이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355)는 회전암(353)의 길이를 반지름으로 하고, 변환부 바디(351)를 중심으로 하는 원운동을 하게 될 것이다.The clothing support member (3) having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rotates the pulley rotation shaft (367) by the driving pulley, belt, and driven pulley when the motor (34) operates. Accordingly, the connecting member (355) will perform a circular motion with the length of the rotary arm (353) as the radius and the conversion member body (351) as the center.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롯(357)의 길이(L)는 연결부(355)의 회전궤적(O)이 가지는 지름 이상의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슬롯(357)은 연결부(355)가 원운동을 하더라도 X축을 따라 왕복하게 될 것이므로, 상기 슬롯(357)이 고정된 지지바디(31)는 수용공간(11)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게 될 것이다.As illustrated in FIG. 4, the length (L) of the slot (357) may be provided to have a length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rotational trajectory (O) of the connecting portion (355). In this case, the slot (357) will reciprocate along the X-axis even when the connecting portion (355) makes a circular motion, so the support body (31) to which the slot (357) is fixed will reciprocate within the receiving space (11).

즉, 상기 동력변환부(55)의 연결부(355)는 모터(34)에서 제공되는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궤도(O)를 따라 원운동하며, 상기 슬롯(357)은 상기 연결부(355)가 제공하는 힘(F) 중 슬롯(357)에 직교하는 방향의 힘 성분(A)에 의해서만 움직이게 되므로 상기 슬롯에 결합된 지지바디(31)는 X축을 따라 왕복하게 된다.That is, the connecting part (355) of the power conversion part (55) rotates circularly along the rotational orbit (O) by the rotational power provided from the motor (34), and the slot (357) moves only by the force component (A)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lot (357) among the force (F) provided by the connecting part (355), so the support body (31) coupled to the slot reciprocates along the X-axis.

한편, 상기 슬롯(357)의 길이(L)는 상기 연결부(355)의 회전궤적이 가지는 지름보다 작게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지지바디(31)는 X-Z평면 내에서 왕복 운동하게 될 것이다.Meanwhile, the length (L) of the slot (357) may be mad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connecting portion (355), in which case the support body (31) will reciprocate within the X-Z plane.

상술한 의류지지부(3)는 지지바디(31)가 동력전달부(36)를 통해 모터(34)의 동력을 전달받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나, 상기 지지바디(31)는 모터(34)의 동력을 직접 전달받는 구조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상기 동력변환부(35)의 변환부 바디(351)는 모터의 회전축(341)에 직접 결합하게 될 것이다.The clothing support member (3) described above illustrates a structure in which the support body (31) receives power from the motor (34)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36), but the support body (31) may be provided with a structure in which the power from the motor (34) is directly transmitted. In this case, the conversion member body (351) of the power conversion member (35) will be directly coupled to the rotational shaft (341) of the motor.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으며, 의류처리장치가 실행하고 있는 제어명령의 진행과정 등을 표시하는 컨트롤패널(P)이 구비된다.Meanwhile, the garment treatment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control panel (P) that displays control commands selectable by the user, receives control commands from the user, and displays the progress of the control commands being executed by the garment treatment device.

도 2는 상기 컨트롤패널(P)이 도어(113)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상기 컨트롤패널(P)에는 제어명령의 입력과 실행을 위한 입력부(115, 116),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의 표시나 실행 중인 제어명령의 진행과정 등이 표시되는 표시부(114)가 구비될 수 있다.FIG. 2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control panel (P) is provided on a door (113). The control panel (P) may be provided with an input unit (115, 116) for inputting and executing a control command, and a display unit (114) for displaying selectable control commands or the progress of a control command being executed.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제1입력부(115), 선택한 제어명령의 실행여부에 관한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제2입력부(116)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1입력부(115)를 통해 의류처리장치(100)가 구현 가능한 다수의 의류처리를 위해 설정된 프로그램(의류처리코스)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제2입력부(116)를 통해 선택한 의류처리방법을 실행시킬 수 있다.The above input unit may be equipped with a first input unit (115) for receiving a control command from a user, and a second input unit (116) for receiving a control command regarding whether to execute a selected control command. Accordingly, the user may select one of a plurality of programs (clothing treatment courses) set for clothing treatment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115), and execute the selected clothing treatment method through the second input unit (116).

도 5는 상기 수용공간(11)에 스팀을 계속 공급하면서 상기 온도센서(4)가 감지하는 온도를 시간에 따라 기록한 그래프이다.Figure 5 is a graph showing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4) over time while continuously supplying steam to the receiving space (11).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에 의류가 투입되지 않은 경우, 상기 온도센서(4)가 측정한 온도는 시간이 지날수록 서서히 증가한다. 수용공간(11)으로 공급된 스팀은 수용공간 전체에 확산되고, 이 과정에서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와 열교환을 마친 뒤 상기 덕트(161)로 유입될 것이기 때문이다.As shown in Fig. 5, when no clothing is placed in the receiving space,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4) gradually increases over time. This is because the steam supplied to the receiving space (11) is spread throughout the receiving space, and in this process, after completing heat exchange with the air inside the receiving space, it flows into the duct (161).

그러나, 수용공간에 의류가 투입된 경우, 상기 온도센서(4)가 측정한 온도는 스팀이 공급된 직후 급격히 증가하는 제1구간(P1), 온도가 감소하는 제2구간(P2), 온도가 서서히 증가하는 제3구간(P3)으로 구분된다.However, when clothing is placed in the receiving space,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4) is divided into a first section (P1) in which the temperature rapidly increases immediately after steam is supplied, a second section (P2) in which the temperature decreases, and a third section (P3) in which the temperature gradually increases.

상기 수용공간(11)에 투입된 의류는 스팀이 수용공간(11) 전체에 확산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에, 수용공간에 공급된 스팀은 곧바로 덕트(161)로 유입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제1구간(P1)은 이와 같은 경향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Since the clothes placed in the above-mentioned receiving space (11) prevent steam from spreading throughout the receiving space (11), the steam supplied to the receiving space tends to flow directly into the duct (161). The above-mentioned first section (P1) is a phenomenon that occurs due to this tendency.

상기 제2구간(P2)에서 의류는 스팀을 흡수하므로, 상기 제2구간(P2)에서 온도센서(4)가 측정하는 온도는 서서히 감소한다. 의류는 그 종류, 무게에 따라 흡수 가능한 수분의 양이 제한되며, 흡수 가능한 최대량의 스팀을 의류가 흡수하면 스팀은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와 열교환을 시작한다. 따라서, 상기 제2구간(P2)의 종료 후 온도센서(4)가 감지하는 온도는 급격히 감소하며, 이후 온도센서가 감지하는 온도(제3구간에서의 온도)는 수용공간에 의류가 투입되지 않은 경우의 온도 프로파일을 따라 서서히 증가한다.In the second section (P2), since the clothing absorbs steam,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4) in the second section (P2) gradually decreases. The amount of moisture that the clothing can absorb is limited depending on its type and weight, and when the clothing absorbs the maximum amount of steam that it can absorb, the steam begins to exchange heat with the air inside the receiving space. Therefore, after the end of the second section (P2),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4) rapidly decreases, and thereafter,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the temperature in the third section) gradually increases along the temperature profile when no clothing is placed in the receiving space.

도 5의 그래프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상기 제2구간(P2)의 진행시간을 조절하면, 수용공간 내부의 습도나 의류의 수분함량을 측정하는 별도의 수단 없이도, 의류에 공급된 스팀의 양을 추정 가능하다. 즉, 제2구간(P2)에서 측정된 최저온도(T2)에서 의류는 가장 많은 스팀을 흡수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의류가 스팀을 흡수한 양은 상기 제2구간(P2)의 시작온도(T1)에서 현재의 온도를 뺀 값에 비례할 것이다.As confirmed in the graph of Fig. 5, by controlling the progress time of the second section (P2),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amount of steam supplied to the clothing without a separate means of measuring the humidity inside the receiving space or the moisture content of the clothing. That is, since the clothing absorbs the most steam at the lowest temperature (T2) measured in the second section (P2), the amount of steam absorbed by the clothing will be proportional to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current temperature from the starting temperature (T1) of the second section (P2).

본 발명은 상기 제2구간(P2)에서 확인된 상술한 현상을 이용하여, 의류에 공급된 스팀의 양을 판단하고,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도 6은 본 발명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method for judging and controlling the amount of steam supplied to clothing by using the above-described phenomenon confirmed in the second section (P2), and FIG. 6 illustrates an example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표시부(114)에 표시된 코스 중 사용자가 원하는 코스를 선택하는 코스선택단계(S10)를 포함한다. 상기 코스선택단계(S10)는 상기 제1입력부(115)를 통해 진행되며,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는 상기 제2입력부(116)를 통해 실행된다.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urse selection step (S10) in which the user selects a desired course from among the course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4). The course selection step (S10) is performed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115), and the course selected by the user is executed through the second input unit (116).

상기 코스선택단계(S10)에서 실크코스 이외의 코스를 선택한 경우, 본 발명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제2입력부(116)를 통해 선택한 코스의 실행을 요청이 입력된 때 해당 코스를 실행(S15)한다.If a course other than the silk course is selected in the course selection step (S10),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executes the course (S15) when a request for execution of the course selected by the user is input through the second input unit (116).

한편, 상기 코스선택단계(S10)를 통해 실크코스가 선택되고, 제2입력부(116)를 통해 실크코스의 실행 요청이 입력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스팀공급부(17)가 상기 수용공간(11)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단계(S40), 상기 스팀공급단계의 개시 후 상기 온도센서(4)가 상기 제1연통홀(141)로 유입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 측정단계(S50), 상기 제1온도 측정단계(S50)에서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온도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5), 상기 제1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온도센서(4)가 상기 제1연통홀(1414)로 유입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 측정단계(S60), 및 상기 제1온도와 상기 제2온도의 차가 기 설정된 기준 값에 도달하면, 상기 스팀공급부(17)의 작동을 중단하는 스팀공급 종료단계(S70)를 포함한다.Meanwhile, if the silk course is selected through the course selection step (S10) and a request for executing the silk course is input through the second input unit (116),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am supply step (S40) in which the steam supply unit (17) supplies steam to the receiving space (11), a first temperature measuring step (S50) in which the temperature sensor (4) measures the temperature of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141) after the start of the steam supply step, a step (S55) in which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emperature measured in the first temperature measuring step (S50) has reached a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a second temperature measuring step (S60) in which the temperature sensor (4) measures the temperature of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1414) if the first temperature reaches the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and a steam supply termination step (S70)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steam supply unit (17) is stopped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mperature and the second temperature reaches a preset reference value.

상기 기준온도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5)는 의류가 스팀을 흡수하기 시작하는 시점이 도래했는지 여부(도 5의 제2구간(P2)이 개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과정으로, 상기 기준온도는 상온보다 섭씨 10도씨 이상 높은 온도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The step (S55) of determining whether the above-mentioned reference temperature has been reached is a proces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oint at which clothing begins to absorb steam has arrived (whether the second section (P2) of FIG. 5 has begun),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mentioned reference temperature be set to a temperature that is at least 10 degrees Celsius higher than room temperature.

상온은 상기 수용공간(11) 내부의 온도 또는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된 실내 온도를 측정하는 별도의 센서를 통해 측정될 수도 있고, 상기 덕트(161)에 구비된 온도센서(4)를 통해 측정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본 발명은 상기 스팀공급단계(S40)의 개시 전 상기 온도센서(4)가 상기 제1연통홀(141)로 유입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초기온도 측정단계(S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oom temperature may be measured by a separate sensor that measures the temperature inside the receiving space (11) or the room temperature where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is installed, or may be measured by a temperature sensor (4) provided in the duct (161). In the latter case,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itial temperature measurement step (S30) in which the temperature sensor (4) measures the temperature of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141) before the start of the steam supply step (S40).

상기 초기온도의 정확한 측정을 위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초기온도 측정단계(S30)의 개시 전 상기 팬(163)을 작동시켜 상기 수용공간(11) 내부의 공기를 상기 덕트(161)로 이동시키는 순환단계(S2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order to accurately measure the initial temperature,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irculation step (S20) of operating the fan (163) before starting the initial temperature measuring step (S30) to move air inside the receiving space (11) to the duct (161).

의류가 단시간 내 스팀을 흡수할 수 있도록,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스팀공급단계(S40)의 진행 중 지지바디(31)를 상기 수용공간(11) 내부에 왕복시키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In order for the clothing to absorb steam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ecute a step of reciprocating the support body (31) within the receiving space (11) during the steam supply step (S40).

한편, 상기 기준 값은 의류의 종류에 따라 달리 설정되어야 하는데, 실크소재의 의류에서 구김을 제거하는 실크코스의 경우, 상기 기준 값은 무게 120 내지 130g, 실크 함유량 95% 이상인 의류의 함습율 0.7% 내지 1.4%가 되는 온도 차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실험에 의하면, 상기 기준 값이 상기 수용공간(11)의 상대습도가 85% 내지 95%가 되게 하는 온도 차, 또는 섭씨 2도씨 내지 섭씨 4도씨 사이의 값으로 설정될 때 상기 조건을 만족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Meanwhile, the above standard value should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clothing. In the case of a silk course for removing wrinkles from clothing made of silk, the standard value is preferably set to a temperature difference that makes the moisture content of clothing weighing 120 to 130 g and having a silk content of 95% or more 0.7% to 1.4%. According to experiments, it was confirmed that the above condition can be satisfied when the standard value is set to a temperature difference that makes the relative humidity of the receiving space (11) 85% to 95%, or a value between 2 degrees Celsius and 4 degrees Celsius.

상기 스팀공급 종료단계(S70)가 완료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팬(163) 및 열교환기를 작동시켜 상기 수용공간(11) 내부의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단계(S80)를 진행한다. 건조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상기 건조단계(S80)에서 본 발명은 구동부가 상기 지지바디(31)를 상기 수용공간(11) 내부에서 왕복운동시키는 단계를 실행할 수도 있다.When the above steam supply termination step (S70) is completed,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he fan (163) and the heat exchanger to perform a drying step (S80) to remove moisture from the air inside the receiving space (11). In order to shorten the drying time, in the drying step (S80), the present invention may execute a step in which the driving unit reciprocates the support body (31) inside the receiving space (11).

도 6의 제어방법은 실크코스 이외의 코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준온도 및 기준 값은 구김 제거의 대상이 되는 의류에 따라 달리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The control method of Fig. 6 can be applied to courses other than the silk course. In this case, the reference temperature and reference value should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lothing to be wrinkled.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modified forms, and the scope of the rights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ccordingly, if a modified embodiment includes an element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수용공간
P: 컨트롤패널 114: 표시부 115: 제1입력부
116: 제2입력부 14: 격벽 141: 제1연통홀
143: 제2연통홀 145: 제3연통홀 15: 설치공간
151: 제2도어 16: 공기공급부 161: 덕트
163: 팬 165: 증발기 166: 응축기
167: 팽창기 168: 압축기 17: 스팀공급부
171: 저장부 174: 히터 175: 공급관
177: 급수탱크 3: 의류지지부 31: 지지바디
311: 수용홈 32: 프레임 321: 제2관통홀
323: 제1관통홀 33: 지지바 34: 모터
341: 회전축 36: 동력전달부 35: 동력변환부
4: 온도센서
100: Clothing treatment unit 1: Cabinet 11: Storage space
P: Control panel 114: Display section 115: First input section
116: 2nd input section 14: bulkhead 141: 1st communication hole
143: 2nd communication hole 145: 3rd communication hole 15: Installation space
151: 2nd door 16: Air supply 161: Duct
163: Fan 165: Evaporator 166: Condenser
167: Expander 168: Compressor 17: Steam supply unit
171: Storage 174: Heater 175: Supply pipe
177: Water tank 3: Clothing support 31: Support body
311: Receiving home 32: Frame 321: Second through hole
323: 1st through hole 33: Support bar 34: Motor
341: Rotating shaft 36: Power transmission unit 35: Power conversion unit
4: Temperature sensor

Claims (17)

투입구를 통해 외부와 연통하는 수용공간 및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지지바디; 상기 지지바디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왕복운동을 하게 하는 구동부; 일단은 제1연통홀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연통홀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연통하는 덕트;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1연통홀로 이동시키는 팬; 상기 덕트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통홀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열교환기; 제3연통홀을 통해 수용공간과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 상기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팀공급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단계;
상기 온도센서가 상기 제1연통홀로 유입된 공기의 온도(제1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 측정단계;
상기 제1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온도센서가 상기 제1연통홀로 유입된 공기의 온도(제2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 측정단계;
상기 제1온도와 상기 제2온도의 차가 기 설정된 기준 값에 도달하면, 상기 스팀공급부의 작동을 중단하는 스팀공급 종료단계; 및
상기 스팀공급단계의 개시 전 상기 온도센서가 상기 제1연통홀로 유입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초기온도 측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온도는 상기 초기온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온도보다 섭씨 10도씨 이상 높은 온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 method for controlling a clothes treatment device, comprising: a cabinet having a receiving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through an inlet an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a support body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to support clothes; a driving unit for causing the support body to reciprocate inside the receiving space; a duc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receiving space through a first communication hol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receiving space through a second communication hole; a fan for moving air inside the receiving space to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a heat exchanger provided inside the duct for sequentially dehumidifying and heating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a steam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receiving space through a third communication hole to supply steam to the receiving space; and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air introduced into the duct;
A steam supply step in which the above steam supply unit supplies steam to the receiving space;
A first temperature measuring step in which the temperature sensor measures the temperature (first temperature) of air flowing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A second temperature measuring step in which the temperature sensor measures the temperature (second temperature) of air flowing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when the first temperature reaches a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A steam supply termination step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steam supply unit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mperature and the second temperature reaches a preset reference value; and
Including an initial temperature measurement step in which the temperature sensor measures the temperature of air flowing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before the start of the steam supply step;
A control method for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mentioned reference temperature is set to a temperature 10 degrees Celsius or higher than the temperature measured in the above-mentioned initial temperature measurement step.
투입구를 통해 외부와 연통하는 수용공간 및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지지바디; 상기 지지바디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왕복운동을 하게 하는 구동부; 일단은 제1연통홀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연통홀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연통하는 덕트;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1연통홀로 이동시키는 팬; 상기 덕트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통홀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열교환기; 제3연통홀을 통해 수용공간과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 상기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팀공급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단계;
상기 온도센서가 상기 제1연통홀로 유입된 공기의 온도(제1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 측정단계;
상기 제1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온도센서가 상기 제1연통홀로 유입된 공기의 온도(제2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 측정단계; 및
상기 제1온도와 상기 제2온도의 차가 기 설정된 기준 값에 도달하면, 상기 스팀공급부의 작동을 중단하는 스팀공급 종료단계;를 포함하고,상기 기준 값은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상대습도가 85% 내지 95%가 되는 온도 차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 method for controlling a clothes treatment device, comprising: a cabinet having a receiving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through an inlet an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a support body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to support clothes; a driving unit for causing the support body to reciprocate inside the receiving space; a duc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receiving space through a first communication hol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receiving space through a second communication hole; a fan for moving air inside the receiving space to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a heat exchanger provided inside the duct for sequentially dehumidifying and heating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a steam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receiving space through a third communication hole to supply steam to the receiving space; and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air introduced into the duct;
A steam supply step in which the above steam supply unit supplies steam to the receiving space;
A first temperature measuring step in which the temperature sensor measures the temperature (first temperature) of air flowing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A second temperature measuring step in which the temperature sensor measures the temperature (second temperature) of air flowing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when the first temperature reaches a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garment treatment device, comprising: a steam supply termination step for stopping operation of the steam supply unit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mperature and the second temperature reaches a preset reference value; wherein the reference value is set to a temperature difference at which the relative humidity inside the receiving space is 85% to 95%.
투입구를 통해 외부와 연통하는 수용공간 및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지지바디; 상기 지지바디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왕복운동을 하게 하는 구동부; 일단은 제1연통홀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연통홀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연통하는 덕트;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1연통홀로 이동시키는 팬; 상기 덕트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통홀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열교환기; 제3연통홀을 통해 수용공간과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 상기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팀공급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단계;
상기 온도센서가 상기 제1연통홀로 유입된 공기의 온도(제1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 측정단계;
상기 제1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온도센서가 상기 제1연통홀로 유입된 공기의 온도(제2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 측정단계; 및
상기 제1온도와 상기 제2온도의 차가 기 설정된 기준 값에 도달하면, 상기 스팀공급부의 작동을 중단하는 스팀공급 종료단계;를 포함하고,상기 기준 값은 섭씨 2도씨 내지 섭씨 4도씨 사이의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 method for controlling a clothes treatment device, comprising: a cabinet having a receiving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through an inlet an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a support body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to support clothes; a driving unit for causing the support body to reciprocate inside the receiving space; a duc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receiving space through a first communication hol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receiving space through a second communication hole; a fan for moving air inside the receiving space to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a heat exchanger provided inside the duct for sequentially dehumidifying and heating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a steam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receiving space through a third communication hole to supply steam to the receiving space; and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air introduced into the duct;
A steam supply step in which the above steam supply unit supplies steam to the receiving space;
A first temperature measuring step in which the temperature sensor measures the temperature (first temperature) of air flowing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A second temperature measuring step in which the temperature sensor measures the temperature (second temperature) of air flowing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when the first temperature reaches a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garment treatment device, comprising: a steam supply termination step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steam supply unit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mperature and the second temperature reaches a preset reference value; wherein the reference value is set to a value between 2 degrees Celsius and 4 degrees Celsius.
투입구를 통해 외부와 연통하는 수용공간 및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지지바디; 상기 지지바디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왕복운동을 하게 하는 구동부; 일단은 제1연통홀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연통홀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연통하는 덕트;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1연통홀로 이동시키는 팬; 상기 덕트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통홀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열교환기; 제3연통홀을 통해 수용공간과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 상기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팀공급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단계;
상기 온도센서가 상기 제1연통홀로 유입된 공기의 온도(제1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 측정단계;
상기 제1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온도센서가 상기 제1연통홀로 유입된 공기의 온도(제2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 측정단계; 및
상기 제1온도와 상기 제2온도의 차가 기 설정된 기준 값에 도달하면, 상기 스팀공급부의 작동을 중단하는 스팀공급 종료단계;를 포함하고,상기 기준 값은
상기 스팀공급단계를 통해 무게 120 내지 130g, 실크 함유량 95% 이상인 의류의 함습율 0.7% 내지 1.4%가 되는 온도 차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 method for controlling a clothes treatment device, comprising: a cabinet having a receiving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through an inlet an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a support body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to support clothes; a driving unit for causing the support body to reciprocate inside the receiving space; a duc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receiving space through a first communication hol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receiving space through a second communication hole; a fan for moving air inside the receiving space to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a heat exchanger provided inside the duct for sequentially dehumidifying and heating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a steam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receiving space through a third communication hole to supply steam to the receiving space; and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air introduced into the duct;
A steam supply step in which the above steam supply unit supplies steam to the receiving space;
A first temperature measuring step in which the temperature sensor measures the temperature (first temperature) of air flowing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A second temperature measuring step in which the temperature sensor measures the temperature (second temperature) of air flowing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when the first temperature reaches a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and
A steam supply termination step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steam supply unit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mperature and the second temperature reaches a preset reference value; wherein the reference value is
A method for controlling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emperature difference is set to such that the moisture content of clothing weighing 120 to 130 g and having a silk content of 95% or more is 0.7% to 1.4% through the above steam supply step.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스팀공급단계의 개시 전 상기 온도센서가 상기 제1연통홀로 유입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초기온도 측정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온도는 상기 초기온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온도보다 섭씨 10도씨 이상 높은 온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In any one of paragraphs 2 to 4,
It further includes an initial temperature measuring step in which the temperature sensor measures the temperature of air flowing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before the start of the steam supply step;
A control method for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mentioned reference temperature is set to a temperature 10 degrees Celsius or higher than the temperature measured in the above-mentioned initial temperature measurement step.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공급단계의 진행 중 상기 구동부가 상기 지지바디를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왕복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In any one of claims 1 to 4,
A method for controlling a garment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step of causing the driving unit to reciprocate the support body within the receiving space during the progress of the steam supply step.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온도 측정단계의 개시 전 상기 팬을 작동시켜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덕트로 이동시키는 순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In Article 6,
A method for controlling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circulation step of operating the fan to move air inside the receiving space to the duct before initiating the initial temperature measurement step.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공급 종료단계의 완료 후 상기 팬 및 상기 열교환기를 작동시켜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In Article 6,
A method for controlling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drying step of removing moisture from the air inside the receiving space by operating the fan and the heat exchanger after completion of the steam supply termination step.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의 진행 중 상기 구동부가 상기 지지바디를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왕복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In Article 8,
A method for controlling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step of causing the driving unit to reciprocate the support body within the receiving space during the drying step.
투입구를 통해 외부와 연통하는 수용공간 및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지지바디;
상기 지지바디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왕복운동을 하게 하는 구동부;
일단은 제1연통홀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연통홀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연통하는 덕트;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1연통홀로 이동시키는 팬;
상기 덕트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통홀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열교환기;
제3연통홀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과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 및
상기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실행되는 제1코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1코스가 실행되면,
상기 스팀공급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스팀을 공급하되, 상기 온도센서가 측정한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온도에 도달한 이후 기 설정된 기준 값만큼 하강하면, 상기 스팀공급부는 작동을 중단하고,
상기 기준온도는 상기 스팀 공급 전 측정된 온도보다 섭씨 10도씨 이상 높은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 cabinet having a receiving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through an inlet an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A support body provided inside the above-mentioned accommodation space to support clothing;
A driving unit that causes the above-mentioned support body to reciprocate within the above-mentioned receiving space;
A duct which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space through a first communication hole at one end and communicates with the receiving space through a second communication hole at the other end;
A fan that moves air inside the above-mentioned accommodation space to the first ventilation hole;
A heat exchanger provided inside the above duct to sequentially dehumidify and heat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A steam supply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space through a third communication hole and supplies steam to the receiving space; and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air flowing into the duct;
Provides a first course that runs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When the above first course is executed,
The above steam supply unit supplies steam to the receiving space, but when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reaches the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and then drops by the preset reference value, the steam supply unit stops operating.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reference temperature is a temperature that is 10 degrees Celsius or higher than the temperature measured before the steam supply.
투입구를 통해 외부와 연통하는 수용공간 및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지지바디;
상기 지지바디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왕복운동을 하게 하는 구동부;
일단은 제1연통홀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연통홀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연통하는 덕트;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1연통홀로 이동시키는 팬;
상기 덕트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통홀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열교환기;
제3연통홀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과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 및
상기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실행되는 제1코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1코스가 실행되면,
상기 스팀공급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스팀을 공급하되, 상기 온도센서가 측정한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온도에 도달한 이후 기 설정된 기준 값만큼 하강하면, 상기 스팀공급부는 작동을 중단하고,
상기 기준 값은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상대습도가 85% 내지 95%가 되는 온도 차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 cabinet having a receiving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through an inlet an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A support body provided inside the above-mentioned accommodation space to support clothing;
A driving unit that causes the above-mentioned support body to reciprocate within the above-mentioned receiving space;
A duct which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space through a first communication hole at one end and communicates with the receiving space through a second communication hole at the other end;
A fan that moves air inside the above-mentioned accommodation space to the first ventilation hole;
A heat exchanger provided inside the above duct to sequentially dehumidify and heat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A steam supply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space through a third communication hole and supplies steam to the receiving space; and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air flowing into the duct;
Provides a first course that runs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When the above first course is executed,
The above steam supply unit supplies steam to the receiving space, but when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reaches the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and then drops by the preset reference value, the steam supply unit stops operating.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standard value is set to a temperature difference such that the relative humidity inside the receiving space is 85% to 95%.
투입구를 통해 외부와 연통하는 수용공간 및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지지바디;
상기 지지바디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왕복운동을 하게 하는 구동부;
일단은 제1연통홀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연통홀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연통하는 덕트;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1연통홀로 이동시키는 팬;
상기 덕트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통홀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열교환기;
제3연통홀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과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 및
상기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실행되는 제1코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1코스가 실행되면,
상기 스팀공급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스팀을 공급하되, 상기 온도센서가 측정한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온도에 도달한 이후 기 설정된 기준 값만큼 하강하면, 상기 스팀공급부는 작동을 중단하고,
상기 기준 값은 섭씨 2도씨 내지 섭씨 4도씨 사이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 cabinet having a receiving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through an inlet an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A support body provided inside the above-mentioned accommodation space to support clothing;
A driving unit that causes the above-mentioned support body to reciprocate within the above-mentioned receiving space;
A duct which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space through a first communication hole at one end and communicates with the receiving space through a second communication hole at the other end;
A fan that moves air inside the above-mentioned accommodation space to the first ventilation hole;
A heat exchanger provided inside the above duct to sequentially dehumidify and heat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A steam supply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space through a third communication hole and supplies steam to the receiving space; and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air flowing into the duct;
Provides a first course that runs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When the above first course is executed,
The above steam supply unit supplies steam to the receiving space, but when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reaches the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and then drops by the preset reference value, the steam supply unit stops operating.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standard value is a value between 2 degrees Celsius and 4 degrees Celsius.
투입구를 통해 외부와 연통하는 수용공간 및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지지바디;
상기 지지바디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왕복운동을 하게 하는 구동부;
일단은 제1연통홀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연통홀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연통하는 덕트;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1연통홀로 이동시키는 팬;
상기 덕트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통홀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열교환기;
제3연통홀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과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 및
상기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실행되는 제1코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1코스가 실행되면,
상기 스팀공급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스팀을 공급하되, 상기 온도센서가 측정한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온도에 도달한 이후 기 설정된 기준 값만큼 하강하면, 상기 스팀공급부는 작동을 중단하고,
상기 기준 값은 무게 120 내지 130g, 실크 함유량 95% 이상인 의류의 함습율이 상기 수용공간에 공급된 스팀에 의해 함습율 0.7% 내지 1.4%가 되는 온도 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 cabinet having a receiving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through an inlet an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A support body provided inside the above-mentioned accommodation space to support clothing;
A driving unit that causes the above-mentioned support body to reciprocate within the above-mentioned receiving space;
A duct which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space through a first communication hole at one end and communicates with the receiving space through a second communication hole at the other end;
A fan that moves air inside the above-mentioned accommodation space to the first ventilation hole;
A heat exchanger provided inside the above duct to sequentially dehumidify and heat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A steam supply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space through a third communication hole and supplies steam to the receiving space; and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air flowing into the duct;
Provides a first course that runs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When the above first course is executed,
The above steam supply unit supplies steam to the receiving space, but when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reaches the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and then drops by the preset reference value, the steam supply unit stops operating.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standard value is a temperature difference at which the moisture content of clothing weighing 120 to 130 g and having a silk content of 95% or more becomes 0.7% to 1.4% by the steam supplied to the receiving space.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기준온도는 상기 스팀 공급 전 측정된 온도보다 섭씨 10도씨 이상 높은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In any one of Articles 11 to 13,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reference temperature is a temperature that is 10 degrees Celsius or higher than the temperature measured before the steam supply.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스팀공급부의 작동이 중단된 이후, 상기 팬 및 상기 열교환기를 작동시켜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것을 의류처리장치.
In any one of Articles 11 to 13,
A clothes treatment device that operates the fan and the heat exchanger to remove moisture from the air inside the receiving space after the operation of the above steam supply unit has stopped.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제1연통홀과 상기 열교환기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In any one of Articles 11 to 13,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emperature sensor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and the heat exchange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스가 실행되면, 상기 팬이 작동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가 상기 덕트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In Article 15,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first course is executed, the fan operates so that air inside the receiving space moves to the duct.
KR1020190030356A 2019-03-18 2019-03-18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ctive KR1027573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356A KR102757398B1 (en) 2019-03-18 2019-03-18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356A KR102757398B1 (en) 2019-03-18 2019-03-18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884A KR20200110884A (en) 2020-09-28
KR102757398B1 true KR102757398B1 (en) 2025-01-20

Family

ID=72800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356A Active KR102757398B1 (en) 2019-03-18 2019-03-18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57398B1 (e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034B1 (en) * 2008-05-14 2015-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ethod for controlling a cloth treating apparutus
KR101122094B1 (en) * 2009-06-26 2012-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Controlling method of laundry treatment apparutus
KR20140124240A (en) * 2013-04-16 2014-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1685346B1 (en) * 2015-03-17 2016-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Fabric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KR101728757B1 (en) * 2015-07-08 2017-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2606117B1 (en) * 2016-06-03 2023-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180070175A (en) * 2016-12-16 2018-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647362B1 (en) * 2017-12-29 2024-03-13 코웨이 주식회사 Multi-function storage system performing preheating mode by measuring condenser temperature and method of perfoming preheating mode us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884A (en) 2020-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43120B2 (en) Clothes dryer and washing dryer
KR101191204B1 (en) Control method of clothes treatment apparatus
JP5443119B2 (en) Clothes dryer and washing dryer
JP6486037B2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US915717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arget relative humidity
EP3252211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heat pump laundry drying machine
KR102635506B1 (en) laundry machine having an induction heater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200073063A (en) laundry machine having an induction heater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same
EP3901356A1 (en) Dryer control method
JP6460308B2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JP6910771B2 (en) Clothes dryer
EP2444539B1 (en) Laundry dryer and washing and drying machine
EP2444542A2 (en) Laundry dryer and washing and drying machine
US9593442B2 (en) Method to control a drying cycle of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EP318765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heat pump laundry drying machine
KR102757398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JP5677825B2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JP6716675B2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KR20200073061A (en) laundry machine having an induction heater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same
JP2011206139A (en) Clothes dryer
US20230064924A1 (en) Laundry appliance with adaptive drying cycle based on load size and load type
JP2016144483A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JP2011083456A (en) Clothes drying machine and washing and drying machine
JP2020010863A (en) Vertical type washing and dry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3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3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