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757B1 -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28757B1 KR101728757B1 KR1020150097357A KR20150097357A KR101728757B1 KR 101728757 B1 KR101728757 B1 KR 101728757B1 KR 1020150097357 A KR1020150097357 A KR 1020150097357A KR 20150097357 A KR20150097357 A KR 20150097357A KR 101728757 B1 KR101728757 B1 KR 1017287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am
- temperature
- expansion valve
- clothes
- evapora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2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8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0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203 pre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071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2 gaseous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5 synerg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 Y02B40/7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의류수용부;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의류수용부로 순환하는 공기에 열을 가하는 히트펌프 사이클; 상기 팽창밸브 후단에 설치되어, 팽창밸브 후단의 냉매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센서; 및 상기 팽창밸브 후단의 냉매온도에 따라 스팀을 선택적으로 생성하여 상기 의류수용부로 공급하는 스팀공급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된다.cabinet; A garment receiving portion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 heat pump cycle having an evaporator, a compressor, a condenser, and an expansion valve, and applying heat to the air circulating to the garment receiving portion; A first temperature sensor disposed downstream of the expansion valve for measuring a temperature of a refrigerant at a rear end of the expansion valve; And a steam supply unit for selectively generating steam to supply the steam to the garment receiving unit according to a coolant temperature at a rear end of the expansion valve.
Description
본 발명은 히트펌프 시스템을 구비하고, 살균 기능을 갖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heat pump system and having a sterilizing func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 또는 세탁을 마친 의류를 건조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이 두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Generally,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s a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 function of drying clothes washed or laundered, or performing both functions.
또한, 최근에는 스팀 발생장치가 구비되어 의류 등의 구김 제거, 냄새 제거, 정전기 제거 등 리프레쉬 기능 또는 살균 기능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가 개발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developed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steam generating device and having a refresh function or a sterilizing function such as removal of wrinkles, smell removal, and static electricity removal of clothes.
예를 들어, 세탁을 마친 의류를 건조시키는 드럼 타입의 건조기, 의류를 걸어두고 건조시키는 캐비닛 타입의 건조기 및 의류에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리프레쉬하는 리프레셔 등이 개발되었다.For example, a drum type drier for drying clothes after washing, a cabinet type drier for hanging and drying clothes, and a refresher for refreshing clothes by supplying hot air to clothes have been developed.
상기 의류처리장치 중에서 리프레셔, 또는 건조기 등은 주로 히터를 사용하여 공기를 가열하여 의류로 열풍을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히터는 가스를 연소시켜 공기를 가열하는 가스식 히터와, 전기저항에 의해 공기를 가열하는 전기식 히터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설치가 편리하고 구조가 간단한 전기식 히터가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Among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es, a refresher, a dryer, or the like mainly uses a heater to heat the air to supply hot air to clothes. Such a heater includes a gas heater that heats the gas by burning gas to generate air, and an electric heater that heats the air by electric resistance. In recent years, an electric heater that is easy to install and has a simple structure is widely used.
한편, 아래의 선행특허문헌 D1, D2에는 스팀과 열풍을 이용하여 의류를 살균하는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s D1 and D2 disclose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for sterilizing clothes using steam and hot air.
선행특허문헌 D1에 의하면, 의류를 건조하는 단계는 드럼 내부로 은나노 스팀을 공급하는 시간 동안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함과 동시에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prior patent document D1, in the step of drying clothes, hot air is supplied for a time for supplying the silver nano steam into the drum to dry the clothes and sterilize the clothes.
그러나, D1과 같이 단순 스팀만으로 드럼 내부의 의류를 살균할 경우에 과도한 스팀을 사용함으로 인해 소비에너지를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sterilizing the clothes inside the drum with the simple steam just like D1,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xcessive energy is consumed by using excessive steam.
또한, 스팀 살균 이후에 의류 건조를 위한 열풍의 공급이 전기 히터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과도한 에너지가 소비되고, 고온 열풍으로 인한 의류 손상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Further, since the hot air is supplied by the electric heater for drying the clothes after steam steriliz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excessive energy is consumed and clothes are damaged by the hot hot wind.
선행특허문헌 D2에 의하면, 의류 살균을 위한 전처리 단계로 히트펌프를 이용하여 의류수용공간의 예열단계, 스팀 공급 단계 및 건조 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e prior patent document D2, the preheating step, the steam supplying step, and the drying step of the clothes accommodating space are sequentially performed using a heat pump as a pretreatment step for sterilizing clothes.
그러나, D2의 경우 살균 전처리 단계인 수용공간 예열 과정이 단순히 히트펌프 운전만으로 제어됨에 따라 히트펌프 부하 증가, 에너지 효율 감소 및 행정 시간 증가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킨다.However, in the case of D2, the process of preheating the receiving space, which is the sterilization pre-treatment step, is controlled by simply operating the heat pump, which causes problems such as heat pump load increase, energy efficiency reduction, and stroke time increase.
왜냐하면, 건조 상태의 의류 살균 시 히트펌프 사이클에서 증발기에서의 열교환이 단순히 현열 교환만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냉매 온도 상승까지 장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heat exchange in the evaporator in the heat pump cycle is performed only by the sensible heat exchange in sterilization of clothes in a dry state, so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따라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의류 살균하기 전에 스팀을 이용하여 의류수용공간 내부의 고온 환경을 조성함에 따라, 과도한 스팀 사용을 절감할 수 있고, 열풍 생성을 위해 기존의 전기히터 대신에 히트펌프를 이용하므로 에너지 절감 및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othes dispenser which can reduce excessive use of steam as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inside a clothes receiving space is formed by using steam before sterilizing clothes, So that energy saving and energy efficiency can be increased,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팀에 의한 의류 살균 전처리 과정에서 스팀을 이용하여 의류수용공간을 예열함에 따라, 히트펌프의 부하를 감소시키고, 에너지 효율 증대 및 행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the load of a heat pump and reducing energy efficiency and stroke time by preheating a garment accommodation space using steam in the process of pr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의류수용부;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의류수용부로 순환하는 공기에 열을 가하는 히트펌프 사이클; 상기 팽창밸브 후단에 설치되어, 팽창밸브 후단의 냉매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센서; 및 상기 팽창밸브 후단의 냉매온도에 따라 스팀을 선택적으로 생성하여 상기 의류수용부로 공급하는 스팀공급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cabinet; A garment receiving portion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 heat pump cycle having an evaporator, a compressor, a condenser, and an expansion valve, and applying heat to the air circulating to the garment receiving portion; A first temperature sensor disposed downstream of the expansion valve for measuring a temperature of a refrigerant at a rear end of the expansion valve; And a steam supply unit for selectively generating steam according to a coolant temperature at a rear end of the expansion valve and supplying the generated steam to the garment receiving unit.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팽창밸브 후단의 냉매온도에 따라 상기 스팀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team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at the rear end of the expansion valv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팽창밸브 후단의 냉매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 스팀이 공급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frigerant temperature at the rear end of the expansion valve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team can be supplie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팽창밸브 후단의 냉매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경우에 스팀 공급이 종료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frigerant temperature at the rear end of the expansion valve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steam supply may be terminate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증발기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의류수용부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temperature sensor may be disposed at a front end of the evaporator and measure a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lothes receiving unit and flowing into the evaporator.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응축기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기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의류수용부로 유입되는 공기온도를 측정하는 제3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ird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condenser and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ondenser and flowing into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may be include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스팀은 의류 살균 전에 상기 의류수용부로 공급되어, 상기 의류수용부를 예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am may be supplied to the garment receiving portion before sterilizing the clothes to preheat the garment receiving por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스팀은 의류 살균 전에 상기 의류수용부에서 증발기로의 공기 유입을 위한 공기덕트 또는 상기 증발기 전단에 공급되어, 냉매의 증발 잠열을 증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am may be supplied to the air duct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evaporator from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or to the front end of the evaporator before sterilizing the clothes, thereby increasing the latent heat of evaporation of the refrigerant.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스팀공급부는, 스팀생성기; 상기 스팀생성기에서 상기 의류수용부로 연장되어, 스팀 유로를 형성하는 스팀튜브; 및 상기 스팀튜브를 개폐하는 스팀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am supply unit includes a steam generator; A steam tube extending from the steam generator to the garment receiving portion to form a steam flow path; And a steam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eam tub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스팀공급부는 스팀튜브의 토출구에 형성되어, 스팀을 분산시키는 스팀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am supply unit may further include a steam nozzle formed at a discharge port of the steam tube to disperse stea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밸브를 포함하는 히트펌프 사이클을 구비하고, 의류 살균 기능을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의류 살균 행정의 전처리 단계로서, 상기 히트펌프 사이클의 가동 전에, 의류수용부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을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팽창밸브 후단에 설치되는 제1온도센서를 이용하여 팽창밸브 후단의 냉매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팽창밸브 후단의 냉매온도에 따라 스팀생성기에서의 스팀 생성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팽창밸브 후단의 냉매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 상기 스팀을 의류수용부로 공급하여, 상기 의류수용부를 예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for a garment disposal apparatus having a heat pump cycle including an evaporator, a compressor, a condenser, and an expansion valve, Driving the circulation fan to circulate air to the garment receiving portion before operation of the heat pump cycle; Measuring a coolant temperature at a rear end of the expansion valve using a first temperature sensor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expansion valve; Determining whether steam is generated in the steam generato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at the rear end of the expansion valve; And supplying the steam to the clothes accommodating portion when the refrigerant temperature at the rear end of the expansion valve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reby preheating the clothes accommodating portion.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팽창밸브 후단의 냉매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경우에 상기 스팀 공급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frigerant temperature at the rear end of the expansion valve is higher than a preset temperature, the steam supply may be terminated.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의류수용부를 예열하는 단계는 의류 살균 행정 이전에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preheating the garment receiving portion can be performed before the garment sterilization administration.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의류수용부를 예열하는 단계는 히트펌프 사이클을 가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preheating the garment receiving part may include the step of activating the heat pump cycle.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히트펌프 사이클을 가동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온도센서, 상기 증발기 전단에 설치되어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센서 및 상기 응축기 후단에 설치되어, 응축기를 통과하는 공기온도를 측정하는 제3온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값에 따라 순환팬 또는 히트펌프 사이클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activating the heat pump cycle includes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a second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at the upstream side of the evaporator and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evaporator, And controlling the circulating fan or the heat pump cycl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value of at least one of the third temperature sensors installed and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의류수용부를 예열하는 단계는, 상기 팽창밸브 후단의 냉매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 상기 의류수용부에서 증발기로 연장되는 공기덕트 또는 상기 증발기 전단에 스팀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preheating the garment accommodating portion may include a step of preheating the clothes accommodating portion when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at the rear end of the expansion valve is lower than a preset temperatur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upplying steam.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의류 살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스팀 살균 이전에 스팀을 이용하여 의류수용공간의 고온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과도한 에너지 사용 증가를 막을 수 있다.First, by using the steam before sterilizing the clothes to perform the garment disinfection function, the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of the clothes accommodating space is formed, thereby preventing excessive use of energy.
둘째, 의류수용공간의 환경을 고온으로 만들기 위한 열원으로 히트펌프 사이클을 적용함에 따라, 에너지 효율 증대 및 고온 열풍으로 인한 의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Second, by applying the heat pump cycle as a heat source for making the environment of the clothing accommodating space at a high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amage of clothes due to the increase of the energy efficiency and the hot hot wind.
셋째, 살균 전처리 단계에서 수용공간의 예열을 위해 단순히 히트펌프 운전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히트펌프 구동 이전에 수용공간 내부로의 스팀 공급을 통해 증발기에서의 잠열교환량을 증대시킴에 따라, 히트펌프의 과도한 부하 증가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Third, in the sterilization pre-treatment stage, not only the heat pump operation is simply performed for the preheating of the accommodation space, but the amount of latent heat exchange in the evaporator is increased through the steam supply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before the heat pump operation, It is possible to solve problems such as excessive load increase.
넷째, 종래의 살균 기능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에서 히트펌프 시스템의 제어방식은 단순히 히트펌프의 토출 냉매 온도 정보로만 판단하여, 제한적인 환경에서만 제품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열풍공급용 공기유로에 위치하는 공기온도센서와 팽창밸브 후단에 위치하는 냉매온도센서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행정 시간 단축 및 히트펌프 시스템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Fourth, in the conventional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sterilizing func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heat pump system can be determined only by the discharge refrigerant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heat pump, and the st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ensured only in a limited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secure stability in various environments by using the air temperature sensor located in the air passage for the refrigerant and the refrigerant temperature sensor located at the rear stage of the expansion valve, and to shorten the stroke time and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heat pump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수용공간의 고온 환경 조성을 위해 스팀 공급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기계실 내부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팀공급부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의류수용공간 예열 및 히트펌프 사이클의 제어를 위한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의류 살균 전 스팀 사용 없이 히트펌프만을 이용하여 살균 및 건조 기능을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의 행정시간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살균 전 스팀을 활용하여 살균 및 건조 기능을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의 행정시간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steam is supplied for forming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of the garment receiving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machine room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eam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pparatus for preheating a garment receiving space and controlling a heat pump cycle in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graph showing a stroke time of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hat performs a sterilizing and drying function using only a heat pump without using conventional steam before sterilizing clothes.
FIG. 8 is a graph showing a stroke time of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hat performs sterilizing and drying functions by utilizing steam before sterilizing cloth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different embodiments in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발명은 히트펌프 사이클(140)을 구비하고, 의류(1) 살균의 전처리 단계에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heat pump cycle (140) and capable of efficiently using energy in a pretreatment step of sterilization of clothes (1).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제품은 살균 기능을 갖는 의류처리장치이다. 예를 들면, 살균 기능을 갖는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수용공간(111)의 형태에 따라 드럼 타입과 캐비닛(110)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용대상 제품은 리프리쉬, 살균 및 건조 기능을 포함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일 수 있다.The product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sterilizing function. For example,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sterilizing function can be divided into a drum type and a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110) 타입의 의류처리장치이다.The garment disposal apparatus shown in Fig. 1 is a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수용공간(111)을 내부에 구비하는 캐비닛(110)과, 캐비닛(110) 하부에 구비되는 기계실(112)과, 의류수용공간(111)을 개폐하는 도어(120)를 포함한다.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캐비닛(110)은 제품의 외형을 형성한다. 캐비닛(110)의 형상은 수직하게 배치되는 직사각체 형상을 이룰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캐비닛(110)의 내부에는 의류(1)를 수용할 수 있는 의류수용공간(111)을 구비한다. 캐비닛(110)의 전방면은 개방되어, 의류(1) 등을 투입할 수 있다. 의류수용공간(111) 내부, 예를 들어 캐비닛(110) 상부에는 의류걸이대가 구비되어, 옷걸이 등을 이용하여 의류걸이대에 의류(1)를 걸 수 있다.Inside the
도어(120)는 의류수용공간(111)의 전방을 개폐하도록 캐비닛(110)의 전방면 일측 모서리에 힌지로 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의류수용공간(111) 내부에 스팀토출구(113)가 구비된다. 스팀토출구(113)는 의류수용공간(111)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의류수용공간(111) 연결통로이다. 스팀토출구(113)의 위치는 스팀이 고온이므로 의류수용공간(111) 내에서 상승하려는 성질이 있어서 의류수용공간(111) 내부 저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의류수용공간(111)에 수용된 의류(1)에 스팀을 골고루 공급할 수 있으면 되고 특정 위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A
스팀토출구(113)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부면에 메시 구조의 커버판을 탈착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다.The
의류수용공간(111) 내부에 공기흡입구(115a) 및 공기토출구(115b)가 구비된다. 공기흡입구(115a)는 의류수용공간(111) 내부 저면 앞쪽에 형성되고, 공기토출구(115b)는 공기흡입구(115a)의 반대쪽, 즉 의류수용공간(111) 내부 저면 뒤쪽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흡입구(115a) 및 공기토출구(115b)는 스팀토출구(113)와 마찬가지로 대류 현상 등의 특성을 고려하여 의류수용공간(111) 내부 저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An
기계실(112)은 히트펌프 사이클(140) 및 스팀공급부(130) 등의 장치를 내부에 구비하고, 의류수용공간(111) 하부에 형성되어, 스팀공급부(130)에서 생성된 증기 등은 밀도차 및 대류 현상과 같은 자연현상에 의해 상부의 의류수용공간(111)으로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다.Th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수용공간의 고온 환경 조성을 위해 스팀 공급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steam is supplied for forming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of the garment receiving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수용공간(111)을 구비하는 캐비닛(110), 공기덕트(150), 순환팬(160), 히트펌프 사이클(140), 및 스팀공급부(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2 includes a
캐비닛(110)의 의류수용공간(111) 내부에 의류(1) 등이 수용될 수 있다.The
공기덕트(150)는 캐비닛(110)의 의류수용공간(111)과 히트펌프 사이클(140)을 연결하고, 공기의 순환을 위한 공기유로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의류수용공간(111)의 공기토출구(115b)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공기덕트(150)를 따라 히트펌프 사이클(140)을 통과한 다음 다시 의류수용공간(111)으로 순환될 수 있다.The
순환팬(160)은 유체에 동력을 가하기 위한 부품이다. 예를 들면, 순환팬(160)은 회전체인 블레이드와, 블레이드를 구동시키는 팬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팬모터가 가동됨에 따라 블레이드를 회전시켜 의류수용공간(111)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공기유로를 따라 이동시키며 의류수용공간(111)으로 순환시킬 수 있다.The circulating
의류수용공간(111)의 하부에 위치하는 기계실(112) 내부에는 히트펌프 사이클(140)이 구비된다.A
히트펌프 사이클(140)은 증발기(141), 압축기(143), 응축기(142) 및 팽창밸브(144)를 포함한다. 또한, 증발기(141), 압축기(143), 응축기(142) 및 팽창밸브(144)를 연결하고, 냉매의 순환을 위한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냉매배관(145)을 포함한다.The
증발기(141) 및 응축기(142)는 열교환기로서, 온도가 서로 다른 유체를 열교환시킴으로 고온 유체의 열을 저온 유체로 전달한다.The
예를 들면, 증발기(141)는 의류수용공간(111)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히트펌프 사이클(140)의 냉매를 열교환시킴에 따라, 공기의 열을 냉매의 증발잠열로 흡수한다.For example, the
또한, 응축기(142)는 압축기(143)에 의해 압축된 고온 및 고압의 냉매와 증발기(141)를 통과한 공기를 열교환시킴에 따라, 고온 및 고압의 기상 냉매에서 액상 냉매로의 상변화를 통해 냉매의 응축잠열을 공기로 방출함으로 의류수용공간(111)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The
압축기(143)는 냉매를 압축함에 따라 증발기(141)에서 흡수된 열을 응축기(142)에서 방출할 수 있도록 열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압축기(143)는 인버터 타입의 압축기(143)일 수 있다. 인버터 타입의 압축기(143)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의 주파수를 가변시킴으로, 냉매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The
팽창밸브(144)는 응축기(142)에서 응축된 냉매를 교축작용에 의해 저온 및 저압의 액상 냉매로 변화시킨다.The
의류처리장치에서 의류(1) 살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스팀 살균 이전에 의류수용공간(111)의 환경을 고온으로 올리는 것이 필요하다.In order to perform the garment (1) sterilizing function in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environment of the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수용공간(111)의 고온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히트펌프 사이클(140)의 열원을 이용한다.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heat source of the
그러나, 히트펌프 사이클(140)의 열원만을 이용하여 의류수용공간(111)을 고온 환경으로 만들어 건조된 의류(1)를 살균하는 경우에, 증발기(141)의 열 회수가 잠열 교환이 아닌 대부분 현열 교환만으로 냉매의 온도 상승이 이루어지므로, 많은 시간과 에너지가 소모된다.However, when the
본 발명에서는 히트펌프 사이클(140)의 활용시간 및 에너지를 저감하기 위해 히트펌프 사이클(140)의 가동 전에 스팀공급부(130)에 의해 스팀을 의류수용공간(111) 내부로 공급함에 따라 증발기(141)의 잠열교환을 극대화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educe the utilization time and energy of the
본 발명에서의 스팀은 의류(1) 살균 행정 이전에 의류수용공간(111)의 고온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예열 단계에서 사용된다.The steam i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preheating step to create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of the
스팀공급부(130)에서 생성된 스팀은 스팀튜브(134)를 따라 이동되며, 스팀튜브(134)의 단부에 구비되는 스팀노즐(135)을 통해 의류수용공간(111)으로 토출된다. 또한, 의류수용공간(111) 하부에 스팀토출구(113)가 형성되어, 의류수용공간(111) 내부에 스팀을 균일하게 확산시킬 수 있다.The steam generated in the
스팀 공급의 목적은 의류수용공간(111) 내부의 고온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것이므로, 스팀의 활용유무 및 종료시점 판단을 위해서는 히트펌프 사이클(140)의 상태를 정확히 판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The purpose of the steam supply is to provide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inside the
또한, 의류수용공간(111)의 온도는 도어(120)의 개폐 또는 주변 환경의 온도에 따라 쉽게 유동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의류수용공간(111)의 온도에 따라 스팀 공급이 이루어질 경우 본래 의도했던 목적과 다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Since the temperature of the
예를 들면, 주변의 대기 온도가 영하일 경우 도어(120)를 개방하면 의류수용공간(111) 내부의 온도가 급격히 떨어질 수 있다. 만약, 의류수용공간(111)의 온도에 따라 스팀 활용 여부를 판단한다면, 히트펌프 사이클(140)이 조금 전까지 가동되어 히트펌프 시스템의 온도가 충분히 상승한 상태인 경우에 도어(120)의 개방으로 인해 의류수용공간(111)의 온도가 급격히 떨어질 것이고, 이로 인해 의류수용공간(111) 내로 스팀이 공급된다. 이 경우 히트펌프 사이클(140)이 가열된 상태에서는 의류수용공간(111) 내부로 열풍을 바로 공급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팀을 공급한다면 이는 에너지를 낭비하는 것이기 때문이다.For example, if the surrounding air temperature is below zero, the temperature inside the
따라서, 스팀의 활용 유무 및 종료 시점 판단은 히트펌프 사이클(140)의 상태에 따라 이루져야 한다.Therefore, the utilization of steam and the determination of the end time of the steam should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상기 히트펌프 사이클(140)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팽창밸브(144) 후단의 냉매 온도를 사용한다.In order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즉, 스팀의 활용 유무 및 종료 시점 판단 기준은 팽창밸브(144) 후단의 냉매 온도이다.That is, the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team is utilized or not is the refrigerant temperature at the rear end of the
팽창밸브(144) 후단의 냉매 온도는 히트펌프 사이클(140)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기초 자료이자 히트펌프 사이클(140)의 상태를 가장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대표성을 갖는다.The coolant temperature at the downstream end of the
히트펌프 사이클(140)의 상태를 냉매 이동 관점에서 보면, 냉매가 증발기(141), 압축기(143), 응축기(142) 및 팽창밸브(144)를 순서대로 순환하면서 기상 또는 액상으로 상변화를 한다. 예를 들면, 냉매는 증발기(141)를 통과하면서 증발기(141)의 흡열량을 받아 액상에서 기상으로 상변화되고, 기상의 냉매는 압축기(143)를 통과하면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되어 응축기(142)로 이동하고, 응축기(142)를 통과하면서 냉매가 가지고 있는 열량을 방출하면서 다시 액상으로 변한다. 이어서, 액상의 냉매는 팽창밸브(144)를 통과하면서 저온 저압 상태로 되고, 다시 증발기(141)로 유입된다.The refrigerant circulates in the
이와 같은 히트펌프 사이클(140)에서 냉매의 상변화는 운전 중에 시시각각 주기적으로 변하고, 히트펌프 사이클(140)이 멈춘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시스템의 온도가 떨어진다.In such a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스팀은 의류(1) 살균 행정 전에 의류수용공간(111)을 예열시키는데 사용되고, 히트펌프 사이클(140)의 구동 전에 미리 증발기(141)의 잠열 교환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므로, 스팀의 활용 시기는 히트펌프 사이클(140)의 구동 전이다. 이에 따라 스팀의 활용 유무 및 종료 시점을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히트펌프 사이클(140)의 상태 또한 히트펌프 사이클(140)이 가동되기 전 상태에 대한 정보인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am is used to preheat the
그런데, 상기 히트펌프 사이클(140)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알려면, 압축기(143)의 압력을 알아야 하지만, 히트펌프 사이클(140)이 정지된 상태에서 압축기(143)는 일정한 압력에 도달하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예를 들면 1시간 안팎), 압축기(143)의 압력을 정확히 판단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order to obtain accurate information on the
이러한 문제로 인해 압축기(143)의 압력 대신에 다른 히트펌프 구성요소, 예를 들어 증발기(141) 또는 응축기(142)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지만, 증발기(141) 또는 응축기(142)의 압력 또한 열교환에 따른 상변화로 인해 증발기(141) 압력과 응축기(142) 압력이 변하고 압력의 수렴 구간에 도달 시간도 상대적으로 길다.The pressure of the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히트펌프 사이클(140)의 정지 후 사이클의 냉매 압력 수렴구간에 가장 빨리 도달하는 히트펌프 구성요소는 팽창밸브(144)이다. 팽창밸브(144)는 히트펌프 사이클(140)의 구성요소 중 가장 낮은 온도 구간에 위치한다. 특히, 팽창밸브(144) 후단의 냉매 온도가 가장 낮다. 왜냐하면, 팽창밸브(144)를 통과하면서 교축작용에 의해 저온 저압의 냉매로 변하므로, 히트펌프 사이클(140) 정지 후에도 온도 변화가 크지 않고 안정된 압력으로 수렴하는 시간이 매우 짧다.In view of this, the heat pump component that reaches the refrigerant pressure convergence section of the cycle after the shutdown of the
또한, 히트펌프 사이클(140)의 압력을 판단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근거 자료는 온도이다. 왜냐하면 온도를 가지고 압력으로 환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important data for determining the pressure of th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히트펌프 사이클(140)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팽창밸브(144) 후단의 냉매온도를 측정함으로, 측정된 냉매온도를 가지고 냉매압력을 환산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measuring the coolant temperature at the rear end of the
상기 팽창밸브(144) 후단의 냉매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팽창밸브(144) 후단의 냉매배관(145)에 제1온도센서(151)가 설치된다.A
온도센서는 부품원가가 저렴하면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서미스터일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or can be a commonly used thermistor at low cost of parts.
상기 제1온도센서(151)는 팽창밸브(144) 후단의 냉매온도를 측정하여, 스팀 활용 유무 및 종료 시점 판단의 근거 자료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증발기(141)의 압력을 얼마로 해야할 지에 대한 판단 자료로도 사용될 수 있다.The
스팀 적용 유무 판단 및 스팀 종료 시점을 판단하는 기준 온도는 32℃일 수 있다.The reference temperature for judg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team application and determining the steam ending point may be 32 ° C.
예를 들어, 팽창밸브(144) 후단의 냉매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즉 32℃보다 낮은 경우에 스팀을 의류수용공간(111)에 공급한다. 또한, 팽창밸브(144) 후단의 냉매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경우에 스팀 공급을 종료한다. 여기서, 기설정된 온도는 32℃에 한정되지 않고 설계조건에 따라 유동적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oolant temperature at the rear end of the
본 발명의 히트펌프 사이클(140)은 열풍을 만들어내기 위한 열원을 제공하므로, 히트펌프 사이클(140)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The
본 발명에서 히트펌프 사이클(140)의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키면서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구성요소 별로 압력을 정확하게 제어할 필요가 있으며, 시스템의 압력은 전술한 것처럼 온도를 가지고 환산할 수 있다.In order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system while increasing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증발기(141) 전단에 제2온도센서(152)가 설치되어, 증발기(141) 입구의 공기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증발기(141) 입구의 공기 온도를 가지고 증발기(141)의 압력을 환산할 수 있다. 또한, 증발기(141) 입구는 공기덕트(150)를 통해 의류수용공간(111) 내부와 연결되므로, 의류수용공간(111)의 내부온도를 판단할 수 있다.The pressure of the
이에 의해, 증발기(141) 입구의 공기온도는 예열 종료 시점을 언제로 할 지에 대한 판단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temperature of the air at the inlet of the
예를 들어, 의류수용공간(111) 내부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즉 50℃ 보다 낮을 경우에 스팀 공급을 지속시킬 수 있다. 또한, 의류수용공간(111) 내부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을 경우에 스팀 공급을 중단하여 예열을 종료할 수 있다. 여기서, 50℃는 예시일 뿐 설계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team supply can be continued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응축기(142) 후단에 제3온도센서(153)가 설치되어, 응축기(142) 출구의 공기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a
응축기(142) 출구의 공기 온도를 가지고 응축기(142)의 압력이 얼마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응축기(142) 출구의 공기 온도는 의류수용공간(111)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습도를 판단하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The air temperature at the outlet of the
왜냐하면, 의류수용공간(111)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에 수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면, 공기가 응축기(142)를 통과할 때 응축기(142)에서 방출되는 열량을 증발잠열로 소모하여, 응축기(142)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상승이 상대적으로 줄어들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응축기(142) 출구의 공기 온도는 낮아진다.This is because i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이에 따라, 응축기(142) 출구의 공기 온도는 의류수용공간(111)을 통과한 공기의 습도를 판단할 수 있고, 의류(1)의 건조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건조 초반에서 중반에 접어들면 의류(1)에서 증발되는 수증기가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하고, 다습한 공기가 의류수용공간(111)에서 배출되어 증발기(141) 및 응축기(142)를 통과한다. 그리고, 건조 후반으로 갈수록 의류(1)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량은 줄어들고, 의류수용공간(111)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습도도 낮아진다. 여기서, 의류(1) 건조 행정 중 공기 습도에 따라 응축기(142) 출구의 공기온도가 변화하므로, 의류(1) 건조 종료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temperature of the air at the outlet of the
의류(1) 건조 종료 시점을 판단하는 기준은 응축기(142) 출구에서의 공기 온도 뿐만 아니라, 증발기(141) 입구의 공기 온도도 포함될 수 있다.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end of drying of the
왜냐하면, 의류수용공간(111) 내부의 온도가 높을 수록 의류(1)에서 포함된 수분을 더 많이 증발시켜 의류(1)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의류수용공간(111) 내부의 공기 온도는 의류(1) 건조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제어인자에 포함된다.This is because as the temperature inside the
또한, 의류(1) 건조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제어인자로 의류수용공간(111)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습도도 포함된다.The humidity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이에 따라, 의류(1) 건조종료시점을 판단하는 기준은 증발기(141) 입구의 공기 온도와 응축기(142) 출구의 공기온도이다.Accordingly, the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drying end point of the
본 발명에서 압축기(143) 출구에 제4온도센서(154)가 설치되어, 압축기(143)의 냉매토출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히트펌프 사이클(140)의 운전 중 압축기(143)가 과열되어 압축기(143) 토출온도가 대략 110~120℃ 이상 되면, 압축기(143)를 구동하는 모터의 과열로 인해 모터 소손이 발생할 수 있다.If the
압축기(143)의 모터 소손을 방지하기 위해, 압축기(143)의 냉매토출온도를 모니터링 해야하고, 이에 의해 압축기(143)를 보호할 수 있다.The refrigerant discharge temperature of 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기계실(112) 내부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팀공급부(130)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ide of the
기계실(112) 내부에는 히트펌프 사이클(140)의 열교환기, 즉 증발기(141) 및 응축기(142)와, 압축기(143) 및 팽창밸브(144), 스팀공급부(130), 배수펌프(170) 등의 설비가 구비된다.The
열교환기는 열교환기 커버에 의해 감싸여진다. 열교환기커버(147)의 내부에 증발기(141) 및 응축기(142)가 구비된다. 증발기(141)는 도 3에서 열교환기커버(147)의 오른쪽 후방에 위치한다. 응축기(142)는 도 3에서 열교환기커버(147)의 왼쪽 전방에 위치한다. 응축기(142)와 증발기(141)는 일정한 갭을 두고 열교환기커버(147)의 내부공간에서 전후방향으로 배치된다.The heat exchanger is surrounded by a heat exchanger cover. An
열교환기커버(147)는 공기덕트(150)에 의해 의류수용공간(111)의 공기흡입구(115a) 및 공기토출구(115b)와 연결된다. 열교환기커버(147)의 일측에 제1공기덕트(150)가 설치되어, 공기흡입구(115a)를 통해 의류수용공간(111)에서 흡입된 공기를 증발기(141)로 유입되도록 유도한다. 열교환기커버(147)의 타측에 제2공기덕트(150)가 설치되어, 응축기(142)에서 배출되는 가열공기를 공기토출구(115b)를 통해 의류수용공간(111)으로 유입시킨다.The
열교환기커버(147)의 하부에 압축기(143)가 설치된다. 압축기(143)는 기계실(112)의 저면에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112a)에 장착될 수 있다. 압축기(143)는 냉매배관(145)을 매개로 하여 증발기(141) 및 응축기(142)와 연결되고, 증발기(141)에서 증발되는 기상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여 응축기(142)로 이송한다.A compressor (143) is installed under the heat exchanger cover (147). The
압축기(143)의 일측면에 냉각팬(146)이 설치되어, 기계실(112) 외부의 차가운 공기를 압축기(143)로 송풍함에 따라 압축기(143)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냉각팬(146)은 압축기(143)를 과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치이다.A cooling
베이스플레이트(112a)에는 제어부인 콘트롤박스가 구비된다. 콘트롤 박스는 PCB 등을 내장하여 다양한 전자부품들로 구성되고, 의류수용공간(111)의 고온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예열단계, 히트펌프 사이클(140)의 구동, 살균 및 건조 단계 등 의류처리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The
배수펌프(170)는 베이스플레이트(112a)의 일측에 설치되어, 증발기(141)에서 응축되는 응축수를 기계실(112) 외부로 배출시킨다.The
배수펌프(170)는 증발기(141)의 응축수를 배수펌프(170)하우징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와 기계실(112)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유출구를 구비한다. 증발기(141)의 응축수배출구와 배수펌프(170)의 유입구 사이에 연결되는 응축수유입호스(171)를 통해 증발기(141)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배수펌프(170)로 이송된다. 그리고, 배수펌프(170)의 유출구와 응축수수집통(173) 사이에 연결되는 응축수배수호스(172)를 통해 배수펌프(170)에서 펌핑된 응축수가 응축수수집통(173)으로 임시 저장된다. 응축수수집통(173)에는 배수구(174)가 구비되고, 배수구(174)와 기계실(112) 외부를 연결하는 배수호스를 통해 응축수를 배수시킬 수 있다. 응축수수집통(173)의 저면 일측에 오버플로우 방지호스(175)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오버플로우 방지호스(175)는 응축수수집통(173)의 응축수 저장공간의 한계로 응축수가 응축수수집통(173)에서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오버플로우 방지호스(175)에는 개폐밸브가 설치되어, 응축수의 수집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밸브를 개폐할 수 있다.The
또한, 열교환기커버(147) 하부에 스팀공급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Further, th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스팀공급부(130)는 스팀생성기(131), 급수펌프(137), 스팀튜브(134) 및 스팀노즐(13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3 and 4, the
스팀생성기(131)는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탱크를 포함한다. 탱크의 일측면에 급수구(132)가 형성되어, 탱크 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급수호스는 탱크의 급수구(132)와 급수펌프(137) 사이를 연결하여 급수펌프(137)에 의해 이송되는 물의 유로를 형성한다. 탱크로또한 탱크의 앞쪽 면에 스팀출구(133)가 형성되어, 스팀생성기(131)에서 생성되는 스팀을 유출시킬 수 있다.The
도 4에 도시된 급수펌프(137)는 원수공급부(138)와 연결되어, 물을 스팀생성기(131)로 이송할 수 있다. 원수공급부(138)는 원수탱크 형태로 기계실(112)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원수공급부(138)는 수돗물을 공급하는 수도라인(WATER TAB)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스팀생성기(131)는 스팀튜브(134), 스팀밸브 및 스팀노즐(135)을 구비할 수 있다.The
스팀튜브(134)는 스팀출구(133)와 연결되어, 스팀을 유출시키기 위한 스팀 유로를 형성한다.The
스팀밸브는 스팀튜브(134)에 설치되어, 스팀유로를 개폐하고 스팀량을 조절할 수 있다.The steam valve may be installed in the
스팀노즐(135)은 스팀튜브(134)의 단부에 설치되고, 의류수용공간(111)에 구비되는 스팀토출구(113)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의류수용공간(111)으로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The
스팀생성기(131) 내부에 가열수단인 히터가 장착되고, 스팀생성기(131) 내부에 저장되는 물을 가열함에 따라 스팀을 생성한다. 가열수단은 가열동력원에 따라 구분될 수 있는 전기식 히터 및 가스연소식 히터를 사용하거나, 면상히터 또는 유도가열식 히터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A heater as a heating means is installed inside the
탱크의 앞쪽면에는 단자대(139)가 설치되고, 단자대(139)에 입력단자(139a)가 구비되어 히터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단자대(139)는 볼트(139b)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나사결합될 수 있다.A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의류수용공간(111) 예열 및 히트펌프 사이클(140)의 제어를 위한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pparatus for preheating a
입력부로서 제1온도센서(151) 내지 제4온도센서(154)를 포함한다.And includes a
제1온도센서(151) 내지 제4온도센서(154)는 서미스터(THERMISTOR)로 마련될 수 있다. 서미스터는 전기저항값과 온도 간에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 반도체 디바이스로서, 온도가 오르면 저항값이 떨어지는 NTC 타입과 온도가 올라가면 저항값이 올라가는 PTC 타입 및 어떤 온도에서 저항값이 급변하는 CIR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first to
본 발명에서 서미스터는 PTC 타입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설계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ermistor may be a PTC ty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제1온도센서(151)는 팽창밸브(144) 후단의 냉매배관(145)에 설치되어, 팽창밸브(144) 후단 또는 출구의 냉매온도값을 측정한다.The
제2온도센서(152)는 증발기(141) 전단의 공기덕트(150)에 설치되어, 증발기(141) 입구의 공기온도값을 측정한다.The
제3온도센서(153)는 응축기(142) 후단의 공기덕트(150)에 설치되어, 응축기(142) 출구의 공기온도값을 측정한다.The
제4온도센서(154)는 압축기(143)의 토출구에 설치되어, 압축기(143)의 냉매토출온도값을 측정한다.The
제어부는 제1온도센서(151)로부터 측정되는 팽창밸브(144) 후단의 냉매온도값을 입력받아 스팀 활용 유무 및 종료시점을 판단한다.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refrigerant temperature value at the rear end of the
또한, 제어부는 제2온도센서(152)로부터 측정되는 증발기(141) 입구의 공기온도값을 입력받아, 예열종료시점을 판단한다.Also,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air temperature value at the inlet of the
또한, 제어부는 제2온도센서(152) 및 제3온도센서(153)로부터 측정되는 증발기(141) 입구 및 응축기(142) 출구의 공기온도값을 입력받아 건조종료시점을 판단한다.The controller receives the air temperature value at the inlet of the
또한, 제어부는 제4온도센서(154)로부터 측정되는 압축기(143)의 냉매토출온도값을 입력받아 압축기(143)의 과열시점을 판단한다.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refrigerant discharge temperature value of the
출력부는 스팀공급부(130), 히트펌프 사이클(140), 순환팬(160), 팽창밸브(144)를 포함한다.The output unit includes a
스팀공급부(130)는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어, 의류수용공간(111) 내부로 스팀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The
히트펌프 사이클(140)은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어, 의류수용공간(111) 내부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The
순환팬(160)은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어, 의류수용공간(111)으로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The
팽창밸브(144)는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어, 증발기(141)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 및 압력 등을 조절할 수 있다.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control method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히트펌프 사이클(140)을 가동하기 전에 순환팬(160)을 기동하여 의류수용공간(111)의 공기를 순환시킨다(S110).First, before the
그 다음, 제1온도센서(151)에 의해 측정되는 팽창밸브(144) 후단의 냉매온도에 따라 스팀의 활용유무를 판단한다. 히트펌프 사이클(140)은 구동 전 상태이므로, 히트펌프 사이클(140)의 냉매배관(145)을 따라 흐르는 냉매의 유동은 없지만, 현재 히트펌프 사이클(140)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정보로 팽창밸브(144) 후단의 냉매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Then, whether or not the steam is utilize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frigerant temperature at the rear end of the
팽창밸브(144) 후단의 냉매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팽창밸브(144) 후단의 냉매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작은 경우에 스팀공급부(130)를 동작시켜 스팀생성기(131)에서 스팀을 생성한다. 생성된 스팀은 스팀튜브(134)를 따라 이동하고, 스팀노즐(135)로부터 스팀토출구(113)를 통해 의류수용공간(111) 내부로 공급된다(S121). 이에 의해, 의류수용공간(111) 내부의 환경을 고온으로 만들 수 있다. 팽창밸브(144) 후단의 냉매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을 경우에 현 히트펌프 사이클(140)의 상태는 증발기(141)에서의 열회수를 통한 잠열교환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라고 판단하고, 추가적인 스팀 공급을 생략할 수 있다.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olant temperature at the rear end of the
이어서, 팽창밸브(144) 후단의 냉매온도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측정한 후, 팽창밸브(144) 후단의 냉매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큰 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 팽창밸브(144) 후단의 냉매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큰 경우에 스팀공급부(130)의 동작을 중단하여 스팀 공급을 종료한다(S131). 만약 팽창밸브(144) 후단의 냉매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스팀공급부(130)의 스팀공급을 유지한다(S121).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olant temperature at the rear end of the
계속해서, 스팀 공급 종료 후 고온의 스팀에 의해 의류수용공간(111)이 예열된 상태이므로, 히트펌프 사이클(140)을 가동한다(S140).Subsequently, since the
히트펌프 사이클(140)은 냉매배관(145)을 따라 작동하는 냉매를 증발기(141), 압축기(143), 응축기(142) 및 팽창밸브(144) 순서로 순환시키며, 증발기(141)에서 의류수용공간(111)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하여 냉매의 증발잠열을 통해 열을 회수하고, 응축기(142)에서 고온의 냉매와 의류수용공간(111)으로 유입될 공기를 열교환하여 냉매의 응축잠열을 통해 열을 방출한다. 이에 의해,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의류수용공간(111)으로 공급한다.The
히트펌프 사이클(140)의 운전 중 팽창밸브(144) 후단의 냉매온도(TH1)를 측정하여 증발기(141)의 압력을 얼마로 해야할 지를 판단하고, 증발기(141) 입구의 공기온도(TH2)를 측정하여 예열종료시점을 판단한다. 또한, 증발기(141) 입구의 공기온도(TH2) 및 응축기(142) 출구의 공기온도(TH3)를 측정하여 이 측정값을 토대로 건조종료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값에 따라 순환팬(160)의 회전속도 및 압축기(143)의 주파수 및 팽창밸브(144)의 개방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S141).The refrigerant temperature TH1 at the rear end of the
예를 들어, 증발기(141) 입구의 공기온도를 측정하여 의류수용공간(111)의 내부온도가 50℃ 이상 상승할 경우에 살균 전처리 단계로서 의류수용공간(111)의 예열단계를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증발기(141) 입구의 공기온도 및 응축기(142) 출구의 공기온도를 통해 의류수용공간(111)에서 배출되는 공기온도 및 습도를 구함으로써 기설정된 온도 및 습도에 도달하면 건조행정을 종료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air at the inlet of the
상기한 제어방법은 의류(1) 살균을 위한 전처리 단계이며, 이후에 스팀 및 열풍을 이용하여 의류(1) 살균 행정 등이 진행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described above is a pre-treatment step for sterilization of the
열원이 히트펌프 사이클(140)로부터 의류수용공간(111)으로 전달됨에 따라 의류수용공간(111)의 고온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As the heat source is transferred from the
도 7은 종래의 의류(1) 살균 전 스팀 사용 없이 히트펌프만을 이용하여 살균 및 건조 기능을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의 행정시간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1) 살균 전 스팀을 활용하여 살균 및 건조 기능을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의 행정시간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FIG. 7 is a graph showing the stroke time of a garment disposal apparatus that performs a sterilizing and drying function using only a heat pump without using steam before sterilizing a conventional garment (1)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stroke time of a garment disposal apparatus that performs sterilization and drying by utilizing steam. FIG.
도 7에 도시된 ①은 스팀 공급 이전 단계(Pre-steam)이고, ②는 예열단계(Pre-heating)이고, ③은 스팀 살균 단계이고, ④는 열풍이 의류(1)를 건조하는데만 사용되는 항률 구간 단계(stay)이고, ⑤는 냉각단계(Cooling)이고, ⑥은 건조단계(Drying)를 의미한다.7 is a pre-steam step, a pre-heating step, a steam sterilization step, and a fourth step, in which hot air is used only for drying the clothes 1 (5) is the cooling step, and (6) means the drying step (Drying).
도 8에 도시된 ①은 스팀 공급 이전 단계(Pre-steam)이고, ②는 스팀 공급 단계(Steam)이고, ③은 히트펌프 사이클(140)에 의한 예열단계(Pre-heating)이고, ④는 스팀 살균 단계이고, ⑤는 열풍이 의류(1)를 건조하는데만 사용되는 항률 구간 단계(stay)이고, ⑥는 냉각단계(Cooling)이고, ⑦는 건조단계(Drying)를 의미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② 스팀 공급 단계가 추가된 것이다.8 is a pre-steam, a steam supplying step, a pre-heating step by a
도 7과 도 8을 비교하여 종래기술 대비 본 발명의 상승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Comparing FIGS. 7 and 8, the synergistic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종래기술의 경우 도 7의 ①과 ② 구간 사이에 스팀 공급 단계가 적용되지 않으므로, 히트펌프 사이클(140)에 의해 의류수용공간(111)을 예열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In the conventional technique, since the steam supply step is not applied between the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도 8의 ①과 ③ 구간 사이에 스팀 공급 단계(② 구간)가 적용되므로, 히트펌프 사이클(140)에 의해 의류수용공간(111)을 예열하는 시간이 단축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eam supply step (section (2)) is applied between the sections (1) and (3) of FIG. 8, the time for preheating the clothes accommodating space (111) is shortened by the heat pump cycle (140).
예를 들면, 의류수용공간(111)을 예열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종래에는 37분 걸린 반면, 본 발명의 경우 27분으로 10분 단축되었다. 또한 예열 단계부터 건조행정이 종료되는데 걸리는 시간이 종래에는 총 85분이었지만, 본 발명의 경우 75분으로 10분 단축되었다.For example, the time taken to preheat the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에 의하면, 스팀공급부는 의류수용공간(111)에서 증발기 입구로 연장되는 공기덕트 또는 증발기 전단으로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am supply unit may supply steam to the air duct extending to the evaporator inlet in the
이를 위해, 스팀공급부는 스팀생성기에서 상기 공기덕트로 연장되는 별도의 스팀튜브 및 스팀튜브의 단부에 형성되는 별도의 스팀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공기덕트로 연장되는 스팀튜브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의류수용공간(111)으로 연장되는 스팀튜브(134)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공기덕트(150)로 연장되는 스팀튜브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팀노즐은 유동저항을 최소화시키도록 공기덕트 내부에 돌출되고, 또한 증발기를 향하여 분사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steam supply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steam tube extending from the steam generator to the air duct, and a separate steam nozzle formed at an end of the steam tube. Alternatively, the steam tube extending from the
이에 의해, 스팀노즐을 통해 공기덕트 등에 분사되는 스팀은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와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고, 증발기의 잠열 교환을 극대화시킴에 따라 히트펌프 사이클의 예열시간 및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Thus, the steam injected into the air duct or the like through the steam nozzle can be uniformly mixed with the air introduced into the evaporator, and the latent heat exchange of the evaporator is maximized, so that the preheating time and the drying time of the heat pump cycle can be shortened .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에 의하면, 드럼 타입의 의류처리장치에 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캐비닛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이 구비되고, 드럼 내부에 의류가 투입될 수 있다. 드럼 타입의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의류수용공간이 드럼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면 기타 구성요소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technique can be applied to a drum typ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 this case, a drum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binet is provided, and the clothes can be put into the drum. In the case of the drum typ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other components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상에서 설명된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s and the method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may be modified so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are selectively combined .
1 : 의류
110 : 캐비닛
111 : 의류수용공간
112 : 기계실
112a : 베이스플레이트
113 : 스팀토출구
115a : 공기흡입구
115b : 공기토출구
120 : 도어
130 : 스팀공급부
131 : 스팀생성기
132 : 급수구
133 : 스팀출구
134 : 스팀튜브
135 : 스팀노즐
136 : 급수호스
137 : 급수펌프
138 : 원수공급부
139 : 단자대
139a : 단자
139b : 볼트
140 : 히트펌프 사이클
141 : 증발기
142 : 응축기
143 : 압축기
144 : 팽창밸브
145 : 냉매배관
146 : 냉각팬
147 : 열교환커버
148 : 흡기덕트
149 : 배기덕트
150 : 공기덕트
151 : 제1온도센서
152 : 제2온도센서
153 : 제3온도센서
154 : 제4온도센서
160 : 순환팬
170 : 배수펌프
171 : 응축수유입호스
172 : 응축수배수호스
173 : 응축수수집통
174 : 배수구
175 : 오버플로우방지호스1: Clothing
110: Cabinet
111: Clothing accommodating space
112: Machine room
112a: base plate
113: steam outlet
115a: air inlet
115b: air outlet
120: Door
130: Steam supply
131: Steam generator
132: Water inlet
133: steam outlet
134: Steam tube
135: Steam nozzle
136: Water supply hose
137: Feed water pump
138:
139: Terminal block
139a: terminal
139b: Bolt
140: Heat pump cycle
141: Evaporator
142: condenser
143: Compressor
144: Expansion valve
145: Refrigerant piping
146: Cooling fan
147: Heat exchange cover
148: Intake duct
149: Exhaust duct
150: air duct
151: first temperature sensor
152: second temperature sensor
153: third temperature sensor
154: fourth temperature sensor
160: Circulation fan
170: drain pump
171: Condensate inflow hose
172: Condensate drain hose
173: Condensate collecting column
174: Drain
175: Overflow protection hose
Claims (16)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의류수용부;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의류수용부로 순환하는 공기에 열을 가하는 히트펌프 사이클;
상기 팽창밸브 후단에 설치되어, 팽창밸브 후단의 냉매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센서; 및
상기 팽창밸브 후단의 냉매온도에 따라 스팀을 선택적으로 생성하여 상기 의류수용부로 공급하는 스팀공급부;
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밸브 후단의 냉매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 스팀이 공급되는 의류처리장치.cabinet;
A garment receiving portion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 heat pump cycle having an evaporator, a compressor, a condenser, and an expansion valve, and applying heat to the air circulating to the garment receiving portion;
A first temperature sensor disposed downstream of the expansion valve for measuring a temperature of a refrigerant at a rear end of the expansion valve; And
A steam supply unit for selectively generating steam according to a coolant temperature at a rear end of the expansion valve and supplying the generated steam to the garment receiving unit;
Lt; / RTI >
And the steam is supplied when the refrigerant temperature at the rear end of the expansion valve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상기 팽창밸브 후단의 냉매온도에 따라 상기 스팀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team supply unit according to a coolant temperature at a rear end of the expansion valve.
상기 팽창밸브 후단의 냉매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경우에 스팀 공급이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steam supply is terminated when the refrigerant temperature at the rear end of the expansion valve is higher than a preset temperature.
상기 증발기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의류수용부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at a front end of the evaporator and measuring a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and flowing into the evaporator.
상기 응축기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기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의류수용부로 유입되는 공기온도를 측정하는 제3온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third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condenser and measuring a temperature of air discharged from the condenser and flowing into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상기 스팀은 의류 살균 전에 상기 의류수용부로 공급되어, 상기 의류수용부를 예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am is supplied to the garment receiving portion before sterilizing the clothes to preheat the garment receiving portion.
상기 스팀은 의류 살균 전에 상기 의류수용부에서 증발기로의 공기 유입을 위한 공기덕트 또는 상기 증발기 전단에 공급되어, 냉매의 증발 잠열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am is supplied to an air duct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evaporator from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or to an upstream side of the evaporator prior to sterilizing the clothes to increase the latent heat of evaporation of the refrigerant.
상기 스팀공급부는,
스팀생성기;
상기 스팀생성기에서 상기 의류수용부로 연장되어, 스팀 유로를 형성하는 스팀튜브; 및
상기 스팀튜브를 개폐하는 스팀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am supply unit,
Steam generator;
A steam tube extending from the steam generator to the garment receiving portion to form a steam flow path; And
A steam valve for opening / closing the steam tub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상기 스팀공급부는 스팀튜브의 토출구에 형성되어, 스팀을 분산시키는 스팀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team supply unit further comprises a steam nozzle formed at a discharge port of the steam tube for dispersing steam.
상기 히트펌프 사이클의 가동 전에, 의류수용부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을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팽창밸브 후단에 설치되는 제1온도센서를 이용하여 팽창밸브 후단의 냉매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팽창밸브 후단의 냉매온도에 따라 스팀생성기에서의 스팀 생성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팽창밸브 후단의 냉매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 상기 스팀을 의류수용부로 공급하여, 상기 의류수용부를 예열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A control method for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heat pump cycle including an evaporator, a compressor, a condenser, and an expansion valve,
Driving the circulation fan to circulate air to the garment receiving portion before the heat pump cycle is started;
Measuring a coolant temperature at a rear end of the expansion valve using a first temperature sensor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expansion valve;
Determining whether steam is generated in the steam generato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at the rear end of the expansion valve; And
Supplying the steam to the garment accommodating portion and preheating the garment accommodating portion when the coolant temperature at the rear end of the expansion valve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상기 팽창밸브 후단의 냉매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경우에 상기 스팀 공급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terminating the steam supply when the refrigerant temperature at the rear end of the expansion valve is higher than a preset temperature.
상기 의류수용부를 예열하는 단계는 의류 살균 행정 이전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tep of preheating the garment receiving portion is performed before the garment sterilization stroke.
상기 의류수용부를 예열하는 단계는 히트펌프 사이클을 가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tep of preheating the garment accommodating section includes the step of activating the heat pump cycle.
상기 히트펌프 사이클을 가동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온도센서, 상기 증발기 전단에 설치되어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센서 및 상기 응축기 후단에 설치되어, 응축기를 통과하는 공기온도를 측정하는 제3온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값에 따라 순환팬 또는 히트펌프 사이클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tep of activating the heat pump cycle comprises:
At least one of a first temperature sensor, a second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at a front end of the evaporator and measuring an air temperature flowing into the evaporator, and a third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at a downstream end of the condenser for measuring an air temperature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And controlling the circulating fan or the heat pump cycl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value.
상기 의류수용부를 예열하는 단계는,
상기 팽창밸브 후단의 냉매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 상기 의류수용부에서 증발기로 연장되는 공기덕트 또는 상기 증발기 전단에 스팀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tep of preheating the garment receiving portion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upplying steam to the air duct extending to the evaporator in the clothes accommodating portion or the front end of the evaporator when the refrigerant temperature at the rear end of the expansion valve is lower than a preset temperature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7357A KR101728757B1 (en) | 2015-07-08 | 2015-07-08 |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7357A KR101728757B1 (en) | 2015-07-08 | 2015-07-08 |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6556A KR20170006556A (en) | 2017-01-18 |
KR101728757B1 true KR101728757B1 (en) | 2017-04-20 |
Family
ID=57992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7357A Expired - Fee Related KR101728757B1 (en) | 2015-07-08 | 2015-07-08 |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28757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55058A1 (en) * | 2018-09-12 | 2020-03-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55066B1 (en) * | 2018-02-23 | 2022-10-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Fabric managing apparatus |
KR102613456B1 (en) | 2018-08-09 | 2023-12-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Clothes care apparatus |
KR102757398B1 (en) * | 2019-03-18 | 2025-01-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KR102756975B1 (en) * | 2019-12-30 | 2025-01-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Shoe care apparatus |
KR102821261B1 (en) * | 2020-02-20 | 2025-06-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ryer |
US20230087630A1 (en) * | 2020-03-04 | 2023-03-23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dryer and laundry dryer control method |
KR102775671B1 (en) * | 2020-08-24 | 2025-03-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Shoe car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CN114150477A (en) * | 2020-09-08 | 2022-03-08 | 合肥美的洗衣机有限公司 | Clothes treatment equipment, control method and device thereof and storage medium |
CN115772791A (en) * | 2021-09-06 | 2023-03-10 |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 Clothes nursing machine |
JP7706666B2 (en) * | 2022-01-28 | 2025-07-11 |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 Clothes treatmen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id clothes treatment device |
WO2024065940A1 (en) * | 2022-09-29 | 2024-04-04 |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 Clothing care devic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254207A (en) * | 2011-06-09 | 2012-12-27 | Toshiba Corp | Washing and drying machine |
KR101306714B1 (en) * | 2007-08-03 | 2013-09-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evice for cloth treating and method of the same |
KR101476185B1 (en) * | 2008-03-21 | 2014-12-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ntrol method of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6861B1 (en) | 2005-07-21 | 2012-04-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for sterilized drying of clothes and method thereof |
KR20090010080A (en) | 2008-11-26 | 2009-01-28 | 라울 파리엔티 | Foldable electronic piano with keyboard rigid means |
-
2015
- 2015-07-08 KR KR1020150097357A patent/KR10172875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6714B1 (en) * | 2007-08-03 | 2013-09-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evice for cloth treating and method of the same |
KR101476185B1 (en) * | 2008-03-21 | 2014-12-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ntrol method of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
JP2012254207A (en) * | 2011-06-09 | 2012-12-27 | Toshiba Corp | Washing and drying machine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55058A1 (en) * | 2018-09-12 | 2020-03-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KR20200030419A (en) * | 2018-09-12 | 2020-03-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US12024812B2 (en) | 2018-09-12 | 2024-07-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KR102681563B1 (en) | 2018-09-12 | 2024-07-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6556A (en) | 2017-0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28757B1 (en) |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
US9027371B2 (en) | Heat pump (server) coupled washer and dryer pair | |
US12338571B2 (en) | Method of controlling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US20210285150A1 (en) | Clothes treating apparatus | |
KR101306714B1 (en) | device for cloth treating and method of the same | |
KR101366280B1 (en) | Cloth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101224053B1 (en) |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a heat pump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WO2011022479A2 (en) | Heat pump (server) coupled washer and dryer pair | |
EP2935687B1 (en) | A method for controlling a laundry drying machine and a corresponding laundry drying machine | |
CN103215796B (en) |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11060226B2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induction hea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CN103154353B (en) | Clothes treatment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 |
US9163350B2 (en) |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CN107549407A (en) | A kind of solar-assisted heat pump vacuum couplings steam beating chrysanthemum drying device | |
CN110344221A (en) | Dryer and its control method, control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 |
CN218666832U (en) | Clothes nursing machine | |
KR101476185B1 (en) | Control method of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 |
US11142863B2 (en) | Controlling refrigerant and air mass flow rate based on moisture extraction rate in a dryer appliance | |
KR101728756B1 (en) | Clothes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CN112824578B (en) | Control method and clothing processing equipment of clothing processing equipment | |
US20100319213A1 (en) | Hot air generating apparatus and dryer having the same | |
EP3533921B1 (en) |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heater and heat pump | |
EP2540895B1 (en) | Heat pump coupled washer and dryer pair | |
EP2716807A1 (en) | A heat pump laundry drying machine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heat pump laundry drying machine | |
KR20090100804A (en) | Clothing process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24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4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