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55944B1 - 차량용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현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55944B1 KR102755944B1 KR1020220124263A KR20220124263A KR102755944B1 KR 102755944 B1 KR102755944 B1 KR 102755944B1 KR 1020220124263 A KR1020220124263 A KR 1020220124263A KR 20220124263 A KR20220124263 A KR 20220124263A KR 102755944 B1 KR102755944 B1 KR 1027559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 support
- pad
- suspension device
- lower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6—Attaching arms to sprung or unsprung part of vehicle, characterised by comprising attachment means controlled by an external actuator, e.g. a fluid or electrical mot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1—Shaping
- B60G2206/8105—Shaping by extru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압출 성형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크로스멤버부와 결합되는 부시부와, 베이스부에 경사지게 장착되는 받침부와, 받침부에 안착되는 패드부와, 패드부에 지지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여, 베이스부의 밴딩 공정이 삭제되더라도 부시부가 경사진 상태로 대상물과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차종에서 공용화 가능하고, 별도의 벤딩공정이 삭제되더라도 부시의 장착을 위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장치는 주행 중에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과 차량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장치이며, 주행 중에 노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완화하는 섀시 스프링, 차체의 상하 진동을 억제하여 승차감을 좋게 하는 쇽업소버(Shock absorber), 차량의 롤링을 방지하는 스테빌라이저 바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차량의 현가장치에서 쇽업소버는 주행 중에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방진완충장치로서, 내부에 가스나 오일 등의 충전물이 채워져 완충력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통상 오일이 충전된 유압식 맥퍼슨형 쇽업소버가 많이 사용된다.
한편, 차량용 현가장치에는 바디플레이트와, 바디플레이트에 장착되는 부시와, 바디플레이트에 장착되고 섀시 스프링이 안착되는 패드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부시의 장착각도를 고려하여 바디플레이트를 추가로 밴딩하는 공정을 필요로 하는바, 차종에 따라 부시의 장착각도가 다른 경우, 밴딩 이 정밀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조립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105070호(2016.09.06. 공개, 발명의 명칭 : 차량용 현가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차종에서 공용화 가능하고, 별도의 벤딩공정이 삭제되더라도 부시의 장착을 위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현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는: 압출 성형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크로스멤버부와 결합되는 부시부; 상기 베이스부에 경사지게 장착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 안착되는 패드부; 및 상기 패드부에 지지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부시부가 장착되는 제1베이스부; 상기 제1베이스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받침부가 경사지게 장착되도록 유도하는 제2베이스부; 및 상기 제2베이스부에서 연장되고, 쇽업소버부와 결합되는 제3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베이스부는 제1베이스하판부; 상기 제1베이스하판부의 상방에 배치되는 제1베이스상판부; 및 상기 제1베이스하판부와 상기 제1베이스상판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제1베이스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베이스부는 상기 제1베이스하판부에서 연장되는 제2베이스하판부; 상기 제1베이스상판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베이스하판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받침부가 결합되는 제2베이스상판부; 상기 제2베이스하판부와 상기 제2베이스상판부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2베이스연결부; 및 상기 제2베이스상판부와 상기 제2베이스연결부를 가공하여 상기 받침부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제2베이스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베이스부는 상기 제2베이스하판부에서 연장되는 제3베이스하판부; 상기 제2베이스상판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3베이스하판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3베이스상판부; 상기 제3베이스하판부와 상기 제3베이스상판부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3베이스연결부; 및 상기 제3베이스상판부와 상기 제3베이스연결부를 가공하여 상기 쇽업소버부를 지지하는 제3베이스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에 걸쳐지는 받침걸림부; 상기 받침걸림부의 내주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받침외륜부; 상기 받침외륜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패드부를 지지하는 받침지지부; 및 상기 받침지지부의 내주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받침내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는: 상기 받침부와 상기 패드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패드부의 지지각도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는 베이스부에 안착되는 받침부가 경사지게 배치되어 패드부를 지지하므로, 패드부가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베이스부를 회전시키면 부시부가 경사지게 배치되어 대상물과 조립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베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베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베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베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베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베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1)는 베이스부(10)와, 부시부(20)와, 받침부(30)와, 패드부(40)와, 스프링부(5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압출 성형된다. 일예로, 베이스부(10)는 직선상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추가 밴딩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한편, 베이스부(10)는 별도의 가공 공정을 통해 받침부(30)의 안착을 유도할 수 있다.
부시부(20)는 베이스부(10)에 장착되고, 크로스멤버부(100)와 결합된다. 일예로, 부시부(20)는 베이스부(10)에 형성되는 홀에 압입될 수 있다.
받침부(30)는 베이스부(10)에 경사지게 장착된다. 일예로, 받침부(30)는 베이스부(10)에 형성되는 경사면에 안착되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받침부(30)를 수평하게 배치시키면, 상대적으로 베이스부(10)에 장착된 부시부(20)가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부시부(20) 조립을 위한 베이스부(10)의 벤딩 공정이 삭제될 수 있다.
패드부(40)는 받침부(30)에 안착된다. 일예로, 패드부(40)는 상부가 베이스부(10)에 안착되어 볼팅 결합되고, 하부가 베이스부(10)에 삽입될 수 있다. 패드부(40)는 스프링부(50)를 지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0)는 제1베이스부(11)와, 제2베이스부(12)와, 제3베이스부(13)를 포함한다.
제1베이스부(11)에는 부시부(20)가 장착되고, 제1베이스부(11)에서 연장되는 제2베이스부(12)는 받침부(30)가 경사지게 장착되도록 유도하며, 제3베이스부(13)는 제2베이스부(12)에서 연장되고, 쇽업소버부(200)와 결합된다. 일예로, 제1베이스부(11)와, 제2베이스부(12)와, 제3베이스부(13)는 일체로 성형되되, 제2베이스부(12)는 일부가 절단 가공되어 받침부(30)가 경사지게 지지되고, 제3베이스부(13)는 일부가 절단 가공되어 쇽업소버부(200)가 장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베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베이스부(11)는 제1베이스하판부(111)와, 제1베이스상판부(112)와, 제1베이스연결부(113)를 포함한다.
제1베이스상판부(112)는 제1베이스하판부(111)의 상방에 배치되고, 제1베이스연결부(113)는 제1베이스하판부(111)와 제1베이스상판부(112)를 연결한다. 일예로, 한 쌍의 제1베이스연결부(113)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베이스연결부(113)에는 제1홀부(119)가 형성되어 부시부(20)가 장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베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베이스부(12)는 제2베이스하판부(121)와, 제2베이스상판부(122)와, 제2베이스연결부(123)를 포함한다.
제2베이스하판부(121)는 제1베이스하판부(111)에서 연장된다. 일예로, 제2베이스하판부(121)는 제1베이스하판부(111)에서 연장되되, 제1베이스하판부(111)보다 폭이 증가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2베이스상판부(122)는 제1베이스상판부(112)에서 연장되어 제2베이스하판부(121)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받침부(30)가 결합된다. 일예로, 제2베이스상판부(122)는 제2베이스하판부(121)와 대응되는 형상을 하여, 제1베이스상판부(112)보다 폭이 증가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복수개의 베이스연결부(123)는 제2베이스하판부(121)와 제2베이스상판부(122)를 연결한다. 일예로, 제2베이스연결부(123)는 제1베이스연결부(113)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연결라인부(125)와, 제2베이스하판부(121)와 제2베이스상판부(122)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연결확장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베이스지지부(124)는 제2베이스상판부(122)와 제2베이스연결부(123)를 가공하여 받침부(30)를 경사지게 지지한다. 일예로, 제2베이스지지부(124)는 상하방향으로 제2베이스상판부(122)와 제2베이스연결부(123)를 절단 가공하여 형성되는 제2상하절단면부(127)와, 경사방향으로 제2베이스연결부(123)를 절단 가공하여 형성되는 제2경사절단면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상하절단면부(127) 사이에 제2경사절단면부(128)가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베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베이스부(13)는 제3베이스하판부(131)와, 제3베이스상판부(132)와, 제3베이스연결부(133)와, 제3베이스지지부(134)를 포함한다.
제3베이스하판부(131)는 제2베이스하판부(121)에서 연장된다. 일예로, 제3베이스하판부(131)는 제2베이스하판부(121)에서 동일한 폭 또는 상이한 폭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베이스상판부(132)는 제2베이스상판부(122)에서 연장되고, 제3베이스하판부(131)와 대응되는 형상을 하여 제3베이스하판부(131)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3베이스연결부(133)는 제3베이스하판부(131)와 제3베이스상판부(132)를 연결한다. 일예로, 제3베이스연결부(133)는 제2베이스연결부(123)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제3연결라인부(135)와, 제3베이스하판부(131)와 제3베이스상판부(132)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제2연결확장부(126)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제3연결확장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연결확장부(136)에는 쇽업소버부(200)와 결합을 위한 제3홀부(139)가 형성될 수 있다.
제3베이스지지부(134)는 제3베이스상판부(132)와 제3베이스연결부(133)를 가공하여 쇽업소버부(200)를 지지한다. 일예로, 제3베이스지지부(134)는 상하방향으로 제3베이스상판부(132)와 제3연결라인부(135)를 절단 가공하여 형성되는 제3상하절단면부(127)와, 수평방향으로 제3연결라인부(135)를 절단 가공하여 형성되는 제3수평절단면부(13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30)는 받침걸림부(31)와, 받침외륜부(32)와, 받침지지부(33)와, 받침내륜부(34)를 포함한다.
받침걸림부(31)는 베이스부(10)의 상측에 걸쳐진다. 일예로, 받침걸림부(31)는 제2베이스상판부(122)에 안착될 수 있다. 받침걸림부(31)는 원띠 형상을 할 수 있다.
받침외륜부(32)는 받침걸림부(31)의 내주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일예로, 받침외륜부(32)는 원통 형상을 하여, 제2상하절단면부(127)에 밀착될 수 있다.
받침지지부(33)는 받침외륜부(32)에서 내측으로 연장되고, 패드부(40)를 지지한다. 일예로, 받침지지부(33)는 경사지게 배치되는 원판 형상을 하고, 패드부(40)가 안착될 수 있다. 받침지지부(33)의 경사각은 제2경사절단면부(128)의 경사각과 대응될 수 있다.
받침내륜부(34)는 받침지지부(33)의 내주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다. 일예로, 받침내륜부(34)와 받침외륜부(32) 사이에 패드부(40)가 삽입되어 유동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받침지지부(33)에는 하나 이상의 받침유도홀부(35)가 형성되고, 패드부(40)의 저면에서 돌출되는 돌기가 받침유도홀부(35)에 삽입되어 설치 위치가 유도되고, 패드부(40)의 자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받침지지부(33)에는 하나 이상의 받침배수홀부(36)가 형성되어 유입된 수분을 배출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받침고정부(37)는 받침걸림부(31)와 제3베이스상판부(132)가 서로 결합되도록 조립할 수 있다. 일예로, 받침고정부(37)는 FDS(flow drill screw) 방식으로 걸림부(31)와 제3베이스상판부(132)를 조립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1)는 경사조절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사조절부(60)는 받침부(30)와 패드부(40) 사이에 배치되고, 패드부(40)의 지지각도를 조절한다. 일예로, 차종에 관계없이 베이스부(10)와, 받침부(30)는 공용화되도록 설계되고, 받침부(30)와 패드부(40) 사이에 배치되는 경사조절부(60)에 의해 패드부(40)의 경사각이 변경되면, 패드부(40)를 수평으로 변경할 때 부시부(20)의 경사각이 변경될 수 있다. 경사조절부(60)는 받침부(30)와 대응하는 형상을 하고, 받침부(30)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경사조절부(60)의 바닥면(61) 두께나 형상에 따라 경사조절부(60)에 안착되는 패드부(40)의 경사각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베이스부(10)를 압출 성형하면, 길이 방향으로 제1베이스부(11)와, 제2베이스부(12)와, 제3베이스부(13)가 배치된다. 작업자는 제2베이스부(12)와 제3베이스부(13)를 가공하여 제2베이스부(12)에는 받침부(30) 장착 공간을 형성하고, 제3베이스부(13)에는 쇽업소버부(200)의 설치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1베이스부(11)에 홀 가공을 하여 부시부(20)가 압입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받침부(30)가 제2베이스부(12)에 안착되면, 조립 가공을 통해 받침부(30)가 제2베이스부(12)에 장착된다. 이때, 받침부(30)의 하부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받침부(30)의 하부가 수평 하도록 베이스부(10)를 회전시키면, 베이스부(10)를 구부리지 않고 부시부(20)가 베이스부(10) 대비 경사지게 배치되어 크로스멤버부(100)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부(10)와 받침부(30)가 공용화되도록 설계된 상태에서 차종에 따라 부시부(20)의 설치 각도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 받침부(30)와 패드부(40) 사이에 경사조절부(60)를 배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1)는 베이스부(10)에 안착되는 받침부(30)가 경사지게 배치되어 패드부(40)를 지지하므로, 패드부(40)가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베이스부(10)를 회전시키면 부시부(20)가 경사지게 배치되어 대상물과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베이스부 11 : 제1베이스부
12 : 제2베이스부 13 : 제3베이스부
20 : 부시부 30 : 받침부
31 : 받침걸림부 32 : 받침외륜부
33 : 받침지지부 34 : 받침내륜부
35 : 받침유도홀부 36 : 받침배수홀부
37 : 받침고정부 40 : 패드부
50 : 스프링부 60 : 경사조절부
12 : 제2베이스부 13 : 제3베이스부
20 : 부시부 30 : 받침부
31 : 받침걸림부 32 : 받침외륜부
33 : 받침지지부 34 : 받침내륜부
35 : 받침유도홀부 36 : 받침배수홀부
37 : 받침고정부 40 : 패드부
50 : 스프링부 60 : 경사조절부
Claims (7)
- 압출 성형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크로스멤버부와 결합되는 부시부;
상기 베이스부에 경사지게 장착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 안착되는 패드부;
상기 패드부에 지지되는 스프링부; 및
상기 받침부와 상기 패드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패드부의 지지각도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부시부가 장착되는 제1베이스부;
상기 제1베이스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받침부가 경사지게 장착되도록 유도하는 제2베이스부; 및
상기 제2베이스부에서 연장되고, 쇽업소버부와 결합되는 제3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부는
제1베이스하판부;
상기 제1베이스하판부의 상방에 배치되는 제1베이스상판부; 및
상기 제1베이스하판부와 상기 제1베이스상판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제1베이스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베이스부는
상기 제1베이스하판부에서 연장되는 제2베이스하판부;
상기 제1베이스상판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베이스하판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받침부가 결합되는 제2베이스상판부;
상기 제2베이스하판부와 상기 제2베이스상판부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2베이스연결부; 및
상기 제2베이스상판부와 상기 제2베이스연결부를 가공하여 상기 받침부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제2베이스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3베이스부는
상기 제2베이스하판부에서 연장되는 제3베이스하판부;
상기 제2베이스상판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3베이스하판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3베이스상판부;
상기 제3베이스하판부와 상기 제3베이스상판부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3베이스연결부; 및
상기 제3베이스상판부와 상기 제3베이스연결부를 가공하여 상기 쇽업소버부를 지지하는 제3베이스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에 걸쳐지는 받침걸림부;
상기 받침걸림부의 내주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받침외륜부;
상기 받침외륜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패드부를 지지하는 받침지지부; 및
상기 받침지지부의 내주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받침내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4263A KR102755944B1 (ko) | 2022-09-29 | 2022-09-29 | 차량용 현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4263A KR102755944B1 (ko) | 2022-09-29 | 2022-09-29 | 차량용 현가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44798A KR20240044798A (ko) | 2024-04-05 |
KR102755944B1 true KR102755944B1 (ko) | 2025-01-21 |
Family
ID=90714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24263A Active KR102755944B1 (ko) | 2022-09-29 | 2022-09-29 | 차량용 현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55944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49280A (ja) * | 2007-11-26 | 2009-07-09 | Nissan Motor Co Ltd | ロアスプリングシートの取付け構造 |
US20200247204A1 (en) * | 2019-01-31 | 2020-08-06 |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 Motor vehicle control arm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49982A (ko) * | 2000-12-20 | 2002-06-26 | 이계안 | 차량용 리어액슬의 스프링 시트 |
KR101282637B1 (ko) * | 2011-10-20 | 2013-07-12 | 주식회사화신 | 차량용 서스펜션암의 제조방법 |
-
2022
- 2022-09-29 KR KR1020220124263A patent/KR102755944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49280A (ja) * | 2007-11-26 | 2009-07-09 | Nissan Motor Co Ltd | ロアスプリングシートの取付け構造 |
US20200247204A1 (en) * | 2019-01-31 | 2020-08-06 |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 Motor vehicle control ar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44798A (ko) | 2024-04-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45076B2 (en) | Drive motor mounting structure | |
US6758294B2 (en) | Laterally damped panhard rod cab suspension | |
CN102261422B (zh) | 用于车辆的备用轮胎阻尼器组件、质量阻尼器组件 | |
US6726272B1 (en) | Truck cab suspension system | |
JPH05612A (ja) | 車両用サスペンシヨンの取付装置 | |
US20090102218A1 (en) | Body Mount Assembly With Hydraulic Damping Capability | |
US5547172A (en) | Hydraulic antivibration supports, and to methods of manufacturing them | |
KR20130135492A (ko) | 차량용 현가장치 및 상기 차량용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하부 스프링 시트 | |
KR102755944B1 (ko) | 차량용 현가장치 | |
US20070131469A1 (en) | Power train mounting apparatus of vehicle | |
JP3983942B2 (ja) | チルト式キャブの締結装置 | |
KR100916678B1 (ko) | 안정 장치를 위한 부싱 장치와, 그 부싱 장치를 구비한 전방 현가 및 스프링 작용 장치 | |
KR101724479B1 (ko) | 차량용 리프 스프링 | |
US7780153B2 (en) | Connecting bearing | |
KR20230063051A (ko) | 차량의 횡치 판스프링 장치 | |
KR100475600B1 (ko) | 더블 위시본식 현가 장치 | |
KR100313803B1 (ko) | 자동차용 에어 서스펜션의 서포트 빔 보강구조 | |
KR100316267B1 (ko) | 리어 코일 스프링 시트 | |
KR20200113806A (ko) | 인슐레이터 및 이를 갖는 현가장치 | |
KR102376416B1 (ko) | 차량 시트용 서스펜션장치 | |
JPS6143211B2 (ko) | ||
KR0121031Y1 (ko) | 자동차 엔진 장착구 | |
KR100868606B1 (ko) |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용 서브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차량 | |
KR102210750B1 (ko) | 자동차용 차체 마운팅 부시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0992811B1 (ko) | 트럭 캡 서스펜션용 스프링 시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