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52874B1 -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52874B1
KR102752874B1 KR1020220071662A KR20220071662A KR102752874B1 KR 102752874 B1 KR102752874 B1 KR 102752874B1 KR 1020220071662 A KR1020220071662 A KR 1020220071662A KR 20220071662 A KR20220071662 A KR 20220071662A KR 102752874 B1 KR102752874 B1 KR 102752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member
arm portion
terminal
lock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1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9006A (ko
Inventor
신고 마사키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19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9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52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5287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8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unter-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커넥터의 저배화를 양호하게 실현할 수 있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로크 부재 (40) 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아암부 (41) 와, 상아암부 (41) 보다 하방에서 하우징 (10) 에 부착되는 피부착부 (44) 와, 피부착부 (44) 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아암부 (41) 에 연결된 지주부 (45) 를 갖고, 상아암부 (41) 는, 지주부 (45) 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피압 아암부 (42) 와, 지주부 (45) 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로크 아암부 (43) 를 갖고, 로크 아암부 (43) 는, 가동 부재 (50) 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평형 도체에 대하여 걸림 가능하게 위치하는 걸림부 (43A) 를 갖고, 피압 아암부 (42) 는, 전단부가 타부보다 하방에 위치하여 피압부 (42A) 를 형성하고 있고, 가동 부재 (40) 는, 단자 배열 방향으로 보아 회동 축선을 포함하여 위치하는 축체부 (54, 55) 와, 피압부 (42A) 의 상방에 위치하는 캠부 (56) 를 갖고, 캠부 (56) 는, 가동 부재 (50) 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 피압부 (42A) 를 하방을 향하게 하여 가압한다.

Description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본 발명은, 평형 (平型) 도체가 접속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하 방향에 두께를 갖는 띠상의 평형 도체가 전방을 향하여 삽입 접속되는 커넥터가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서는, 평형 도체 (신호 전송 매체) 의 삽입 방향을 후방, 발출 방향을 전방으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여기서는, 평형 도체의 삽입 방향을 전방, 발출 방향을 후방으로서 설명한다. 이 특허문헌 1 의 커넥터는,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실장되어 있고, 평형 도체의 띠 폭 방향을 단자 배열 방향으로 하여 배열된 복수의 단자가 하우징에 유지되어 있다. 또, 평형 도체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로크 부재가 단자 배열 방향에서 단자 배열 범위의 양외측에 위치하고, 하우징에 유지되어 있다.
로크 부재는, 하우징의 상벽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한 가동 빔부와, 하우징의 바닥벽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바닥벽에 부착된 고정 빔부와, 가동 빔부 및 고정 빔부의 전후 방향 중간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지주부를 갖고 있다. 가동 빔부의 후단부 (後端部) 에는, 평형 도체에 걸림 가능한 걸림 로크부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걸림 로크부는, 평형 도체의 전단부 (前端部) 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절결부 (걸어맞춤 위치 결정부) 에 상방으로부터 진입하고, 그 절결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피걸림부에 후방으로부터 걸림 가능하게 위치하여, 평형 도체의 후방으로의 빠짐을 방지한다. 가동 빔부의 전단부에는, 걸림 로크부에서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로크 해제 조작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하우징은, 로크 해제 조작부의 바로 위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한 로크 조작 커버부를 갖고 있다.
특허문헌 1 에서는, 평형 도체의 발출시, 하우징의 로크 조작 커버부를 하방으로 누르는 로크 해제 조작이 실시되면, 그 로크 조작 커버부가 로크 부재의 로크 해제 조작부를 누르고, 그 결과, 가동 빔부가 연결 지주부 또는 그 근방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요동한다. 가동 빔부가 이와 같이 요동하면, 걸림 로크부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그 걸림 로크부와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평형 도체의 후방으로의 발출이 허용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212658호
일반적으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상하 방향에서의 소형화, 즉 저배화 (低背化) 가 요구되는 경우가 많다. 특허문헌 1 의 커넥터에서는, 하우징 상벽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크 부재의 가동 빔부는 전체가 직상 (直狀) 을 이루고 있으므로, 그 가동 빔부의 로크 해제 조작부는 하우징의 상벽 근방의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의 로크 조작 커버부가 로크 해제 조작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커넥터가 상하 방향에서 대형화되기 쉽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커넥터의 저배화를 양호하게 실현할 수 있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하 방향에 두께를 갖는 평형 도체가 접속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평형 도체가 전방을 향하여 삽입되도록 후방을 향하여 개방된 수입(受入)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양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을 단자 배열 방향으로 하여 상기 하우징에 배열 유지되는 복수의 단자와, 단자 배열 방향에서 상기 단자의 배열 범위 외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는 로크 부재와, 상기 수입 공간보다 전방에 형성되어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 축선 둘레의 회동을 수반하여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가동 부재를 갖고, 상기 가동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평형 도체의 발출이 저지되고, 상기 가동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평형 도체의 발출이 허용된다.
이러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수입 공간보다 상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아암부와, 상기 상아암부보다 하방에서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는 피부착부와, 상기 피부착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아암부에 연결된 지주부를 갖고, 상기 상아암부는, 상기 지주부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피압 (被壓) 아암부와, 상기 지주부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로크 아암부를 갖고, 상기 로크 아암부는, 상기 가동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걸림 가능하게 위치하는 걸림부를 갖고, 상기 피압 아암부는, 전단부가 타부보다 하방에 위치하여 피압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가동 부재는, 단자 배열 방향으로 보아 상기 회동 축선을 포함하여 위치하는 축체부와, 상기 피압부의 상방에 위치하는 캠부를 갖고, 상기 캠부는, 가동 부재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피압부를 하방을 향하게 하여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로크 부재의 피압 아암부의 전단부에 형성된 피압부는 피압 아암부의 타부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그 피압부의 상방에 가동 부재의 캠부가 위치하고 있어도, 피압 아암부 전체를 직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가동 부재의 캠부의 위치를 낮은 위치에 형성할 수 있고, 그 결과, 커넥터의 상하 방향에서의 소형화, 즉 저배화가 실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상기 피압부에 접촉하여 그 피압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갖고, 상기 가압부는, 상하 방향에서 상기 축체부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로크 부재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단자 배열 범위의 양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일부의 상기 단자는, 단자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 내에서의 상기 가동 부재의 상기 축체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축 규제부를 갖고, 상기 축 규제부는, 상기 가동 부재의 이동 과정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축체부에 접촉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가동 부재에 있어서 캠부의 가압부가 상하 방향에서 축체부의 범위 내에 위치함으로써, 가압부가 축체부의 범위 외에 위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하 방향에서의 가동 부재 나아가서는 커넥터의 저배화가 도모된다. 또, 캠부의 가압부가 상하 방향에서 축체부의 범위 내에 위치함으로써, 가압부가 가동 부재의 회동 축선 (회동 중심) 의 근방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캠부를 최대한 크게 하지 않고, 가압부에서 피압부를 상방으로부터 가압하기 쉬워진다.
이 때, 가압부가 회동 축선에 가까운 만큼, 로크 해제 조작시, 가동 부재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가압부에서 피압부를 가압하기 위해 필요한 힘 (가압력) 이 커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로크 부재는 단자 배열 범위의 양외측에 배치되어 있을 뿐으로, 형성되어 있는 로크 부재의 수가 적다. 또한, 단자의 축 규제부는 가동 부재의 이동 과정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가동 부재의 축체부에 접촉하지 않으므로, 이동 과정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는 축 규제부와 축체부 사이에 접압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로크 해제 조작력이 경감되므로, 로크 해제 조작시에 상기 가압력이 커져 있어도, 로크 해제 조작을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이상과 같이, 단자의 피압부가 피압 아암부의 타부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그 피압부의 상방에 가동 부재의 캠부가 위치하고 있어도, 그 캠부의 위치를 낮은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커넥터를 저배화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를 평형 도체와 함께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대하여, 1 개의 제 1 단자, 1 개의 제 2 단자, 로크 부재, 및 가동 부재를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은,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의 종단면도로, (A) 는 제 1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 (斷面), (B) 는 제 2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 (C) 는 로크 부재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4 는, 평형 도체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 있어서의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의 종단면도로, (A) 는 제 1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 (B) 는 제 2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 (C) 는 로크 부재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5 는, 평형 도체의 발출하기 직전에 있어서의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의 종단면도로, (A) 는 제 1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 (B) 는 제 2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 (C) 는 로크 부재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1) (이하「커넥터 (1)」라고 한다) 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커넥터 (1) 에 대하여, 1 개의 제 1 단자 (20), 1 개의 제 2 단자 (30), 1 개의 로크 부재 (40), 및 가동 부재 (50) 를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의 (A) ∼ (C) 는, 커넥터 (1) 의 종단면도로, 도 3(A) 는 제 1 단자 (20) 의 위치에서의 단면, 도 3(B) 는 제 2 단자 (30) 의 위치에서의 단면, 도 3(C) 는 로크 부재 (40) 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커넥터 (1) 는,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의 실장면 상에 실장되고, 그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전후 방향 (X 축 방향) 을 삽입 발출 방향으로 하여, 상대 접속체로서의 평형 도체 (C) (예를 들어, FPC) 가 삽입 발출 가능하게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커넥터 (1) 는, 평형 도체 (C) 가 접속됨으로써, 회로 기판과 평형 도체 (C) 를 전기적으로 도통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X 축 방향 (전후 방향) 에서, X1 방향을 전방, X2 방향을 후방으로 한다. 또,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평행한 면 내 (XY 평면 내) 에서 전후 방향 (X 축 방향) 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Y 축 방향을 커넥터 폭 방향으로 하고,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하여 직각인 Z 축 방향 (상하 방향) 을 커넥터 두께 방향으로 한다.
평형 도체 (C) 는, 전후 방향 (X 축 방향) 으로 연장되고 커넥터 폭 방향 (Y 축 방향) 을 폭 방향으로 하는 가요의 띠상을 이루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회로부가 커넥터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 회로부는, 평형 도체 (C) 의 절연층 내에 매설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평형 도체 (C) 의 전단 위치까지 도달하고 있다. 또, 상기 회로부는, 그 전단측 부분에 평형 도체 (C) 의 상면에서 노출된 접속 회로부 (C1) 를 갖고 있고, 후술하는 커넥터 (1) 의 제 1 단자 (20) 그리고 제 2 단자 (30) 와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접속 회로부 (C1) 는, 제 1 단자 (20) 와 접촉하는 제 1 회로부 (C1A) 와, 제 2 단자 (30) 와 접촉하는 제 2 회로부 (C1B) 를 갖고, 양자가 전후 방향으로 어긋나 커넥터 폭 방향에서 교대로 위치하고 있다.
또, 평형 도체 (C) 는, 상기 전단측 부분의 양측 가장자리에 절결부 (C2) 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절결부 (C2) 의 전방에 위치하는 귀부 (C3) 의 후단 가장자리는, 커넥터 (1) 의 후술하는 걸림부 (43A) 와 걸리는 피걸림부 (C3A) 로서 기능한다 (도 4(C) 참조).
커넥터 (1) 는, 수지 등의 전기 절연재제의 하우징 (10) 과, 커넥터 폭 방향을 단자 배열 방향으로 하여 배열되어 하우징 (10) 에 유지되는 복수의 금속판제의 제 1 단자 (20) 및 제 2 단자 (30) 와,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단자 배열 범위의 양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금속판제의 로크 부재 (40) 와, 후술하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한 수지 등의 전기 절연재제의 가동 부재 (50) 를 구비하고 있고, 평형 도체 (C) 가 후방으로부터 삽입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 (10) 은, 도 1,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대략 직방체 외형을 이루고 있고, 평형 도체 (C) 를 수용하기 위한 수입 공간 (11) 이, 후방을 향하여 개방된 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10) 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벽 (12) 및 바닥벽 (13) 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벽 (12) 및 바닥벽 (13) 의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양단부끼리를 연결하는 2 개의 측벽 (14) 과, 상벽 (12) 과 바닥벽 (13) 의 전단끼리를 연결하는 전벽 (前壁) (15) (도 3 의 (A) ∼ (C) 참조) 을 갖고 있다. 전벽 (15) 보다 전방, 또한,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2 개의 측벽 (14) 사이에는, 가동 부재 (50) 를 수용하기 위한 가동 부재 수용 공간 (16) 이 형성되어 있다.
수입 공간 (11) 은, 상벽 (12), 바닥벽 (13) 및 2 개의 측벽 (14) 으로 둘러싸여 평형 도체 (C) 의 삽입구를 이루는 후단 개구 (11A) (도 3 의 (A) ∼ (C) 참조) 를 하우징 (10) 의 후단면에 갖고, 전후 방향에서 후단 개구 (11A) 로부터 전벽 (15) 의 후면에까지 이르는 공간으로, 평형 도체 (C) 의 전단측 부분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도 4 의 (A) ∼ (C) 참조).
바닥벽 (13) 은, 상벽 (12) 보다 하방 위치에서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면하고 있음과 함께, 커넥터 폭 방향 (Y 축 방향) 에서의 단자 배열 범위에 있어서의 후단이 상벽 (12) 의 후단보다 약간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 1 및 도 2 참조). 또, 바닥벽 (13) 은,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단자 배열 범위에서, 그 전단부가 가동 부재 수용 공간 (16) 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3 의 (A), (B) 참조). 한편,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단자 배열 범위의 외측에 있어서의 로크 부재 (40) 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는, 바닥벽 (13) 의 전단부는, 전벽 (15) 의 전면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 3(C) 참조). 또, 이 로크 부재 (40) 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바닥벽 (13) 의 전단부는, 그 하면이 잠기는 것에 의해 타부보다 얇아져 있고, 로크 부재 (40) 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 (13A) 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3(C) 참조).
또, 하우징 (10) 에는, 도 3 의 (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 (20) 를 수용하여 유지하기 위한 제 1 단자 수용부 (17), 및 제 2 단자 (30) 를 수용하여 유지하기 위한 제 2 단자 수용부 (18)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단자 수용부 (17) 및 제 2 단자 수용부 (18) 는, 커넥터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또, 도 3(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에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수입 공간 (11) 의 양단측, 환언하면 단자 배열 범위의 양외측에, 로크 부재 (40) 를 수용하여 유지하기 위한 로크 부재 수용부 (19)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단자 수용부 (17) 는, 도 3(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확대되는 슬릿상을 이루고, 제 1 단자 (20) 의 후술하는 기부 (基部) (21) 및 제 1 접촉 아암부 (24) 의 전단측 부분을 수용하여 압입 유지하는 전방 공간으로서의 전홈부 (前溝部) (17A) 와, 제 1 단자 (20) 의 후술하는 제 1 접촉 아암부 (24) 의 후단측 부분을 수용하는 상홈부 (17B) 를 갖고 있다. 전홈부 (17A) 는, 상하 방향에서 상벽 (12) 으로부터 바닥벽 (13) 에까지 미치는 범위에서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홈부 (17B) 는, 상벽 (12) 의 하면으로부터 몰입함과 함께 전홈부 (17A) 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상홈부 (17B) 는, 도 3(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후방 및 하방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음과 함께, 전후 방향에서의 제 1 접촉 아암부 (24) 의 후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벽 (12) 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제 2 단자 수용부 (18) 는, 도 3(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확대되는 슬릿상을 이루고, 제 2 단자 (30) 의 후술하는 지주부 (37), 상아암부 (31) 의 전단측 부분 및 하아암부 (34) 의 전단측 부분을 수용하여 압입 유지하는 전홈부 (18A) 와, 제 2 단자 (30) 의 후술하는 상아암부 (31) 의 후단측 부분을 수용하는 상홈부 (18B) 와, 제 2 단자 (30) 의 후술하는 하아암부 (34) 의 후단측 부분을 수용하는 하홈부 (18C) 를 갖고 있다.
전홈부 (18A) 는, 상하 방향에서 상벽 (12) 으로부터 바닥벽 (13) 에까지 미치는 범위에서,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전홈부 (18A) 내에는, 도 3(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 2 단자 (30) 를 압입 유지하기 위한 제 2 단자 유지부 (18A-1) 가, 전홈부 (18A) 의 전반부 (前半部) 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중간 위치에서, 전홈부 (18A) 의 대향 홈 내면 (커넥터 폭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2 개의 면) 끼리를 연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2 단자 유지부 (18A-1) 와 바닥벽 (13) 사이에는, 피유지 아암부 (35) 를 압입 유지하기 위한 압입 홈부 (18A-2) 가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홈부 (18B) 는, 상벽 (12) 의 하면으로부터 몰입함과 함께 전홈부 (18A) 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상홈부 (18B) 는, 도 3(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후방 및 하방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음과 함께, 전후 방향에서 상아암부 (31) 의 후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벽 (12) 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하홈부 (18C) 는, 도 3(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후단에 가까운 위치에서 하아암부 (34) 의 후술하는 보강부 (36B) 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바닥벽 (13) 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로크 부재 수용부 (19) 는, 도 3(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확대되는 슬릿상을 이루고, 로크 부재 (40) 의 후술하는 지주부 (45), 상아암부 (41) 의 전단측 부분 및 피부착부 (44) 를 수용하여 압입 유지하는 전홈부 (19A) 와, 로크 부재 (40) 의 상아암부 (41) 의 후단측 부분을 수용하는 상홈부 (19B) 를 갖고 있다. 전홈부 (19A) 는, 상하 방향에서 하우징 (10) 의 전체 범위에서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3(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홈부 (19A) 의 하부에는, 바닥벽 (13) 의 전단부를 이루는 부착부 (13A) 가 후방으로부터 진입하여 연장되어 있다. 부착부 (13A) 는, 전홈부 (19A) 의 대향 홈 내면 (커넥터 폭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2 개의 면) 끼리를 연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홈부 (19B) 는, 도 3(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서 상벽 (12) 의 후단에 가까운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고, 전후 방향에서의 전체 범위에 걸쳐서 상벽 (12) 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제 1 단자 (20) 는, 금속판 부재의 평탄한 판면 (압연면) 을 유지하고 타발하여 만들어져 있고,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의 제 1 단자 수용부 (17) 에 수용됨으로써, 모든 제 1 단자 (20) 의 판면이 커넥터 폭 방향 (Y 축 방향) 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하여 하우징 (10) 에 배열 유지되어 있다.
제 1 단자 (20) 는, 하우징 (10) 에 전방으로부터 압입되어 부착된다. 제 1 단자 (20) 는,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의 전홈부 (17A) 에서 압입 유지되는 기부 (21) 와, 전홈부 (17A) 내 및 상홈부 (17B) 내를 기부 (21) 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을 향하게 하여 연장되는 제 1 접촉 아암부 (24) 와, 기부 (21) 의 하부의 전측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가동 부재 수용 공간 (16) 내로 연장되는 연장 아암부 (25) 를 갖고 있다.
제 1 접촉 아암부 (24) 는, 후방을 향함에 따라 하방을 향하여 경사져 연장되어 있고, 상하 방향에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1 접촉 아암부 (24) 의 후단부에는, 평형 도체 (C) 의 제 1 회로부 (C1A) 에 상방으로부터 접촉 가능한 제 1 접촉부 (24A) 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 1 접촉부 (24A) 는, 수입 공간 (11) 내에 위치하고 있고, 커넥터 두께 방향을 이루는 상하 방향 (Z 축 방향) 에서 수입 공간 (11) 의 내면, 환언하면, 바닥벽 (13) 의 상면에 대하여 간극 (δ1) 을 가지고 대향하고 있다. 제 1 접촉부 (24A) 의 후단면은, 전방을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져 있고, 평형 도체 (C) 를 전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 1 안내면 (24A-1) 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 1 안내면 (24A-1) 의 하부는, 제 1 접촉부 (24A) 의 후단면을 이루고 있다.
기부 (21) 는, 하측 가장자리에 2 개의 압입 돌기 (21A) 가 형성되어 있고, 기부 (21) 의 상측 가장자리 및 하측 가장자리에서, 전홈부 (17A) 의 상측 내벽면 및 하측 내벽면에 의해 압입 유지되어 있다. 기부 (21) 는, 상하 방향에서 전홈부 (17A) 의 전역에 걸치는 치수로 형성되어 유지되는 피유지부 (22) 와, 피유지부 (22) 의 하부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제 1 접촉 아암부 (24) 를 따라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 (23) 를 갖고 있다.
연장부 (23) 는, 제 1 접촉 아암부 (24) 보다 전후 방향에서 짧게 형성되어 있고, 그 전체가 전홈부 (17A) 내에 수용되어 있고, 후단부에 반사부 (23A) 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 제조 후의 검사시에 수입 공간 (11) 을 향하여 전방에 조사된 광을, 반사부 (23A) 에서 후방으로 반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반사부 (23A) 는, 그 후단면 (판 두께면) 이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평탄면을 이루는 반사면 (23A-1) 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사면 (23A-1) 은, 커넥터 폭 방향에서 간극 (δ1) 과 동일한 치수, 또한, 상하 방향에서 간극 (δ1) 보다 큰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반사면 (23A-1) 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그 반사면 (23A-1) 의 상단이 제 1 접촉부 (24A) 의 돌출단 (하단) 보다 상방에 위치함으로써 그 돌출단을 포함하여 위치하고 있음과 함께, 그 반사면 (23A-1) 의 하단이 바닥벽 (13) 의 상면 (수입 공간 (11) 의 내면) 보다 하방에 위치함으로써 그 바닥벽 (13) 의 상면의 위치를 포함하여 위치하고 있다. 요컨대, 반사면 (23A-1) 은, 후방에서 보아 간극 (δ1) 전체를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
연장 아암부 (25) 의 대략 후반부는, 바닥벽 (13) 을 따라 연장되고 그 바닥벽 (13) 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되는 피지지 아암부 (25A) 를 이루고 있다. 연장 아암부 (25) 의 대략 전반부는, 바닥벽 (13) 의 전단보다 전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고, 그 하측 가장자리부에서 회로 기판의 실장면의 회로부 (도시 생략) 에 땜납 접속되는 고정부로서의 제 1 접속부 (25B) 를 이루고 있다. 또, 연장 아암부 (25) 의 전후 방향 중간 위치에는, 연장 아암부 (25) 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 (25C) 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유지부 (22) 의 전측 가장자리부, 피지지 아암부 (25A) 및 돌출부 (25C) 로 이루어지는 부분이, 가동 부재 (50) 의 후술하는 제 1 축체부 (54) 를, 후방, 하방 및 전방에서 둘러싸도록 위치하고, 제 1 축체부 (54) 의 후방, 하방 및 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 1 축 규제부 (20A) 를 형성하고 있다.
제 2 단자 (30) 는, 금속판 부재의 평탄한 판면 (압연면) 을 유지하고 타발하여 만들어져 있고,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의 제 2 단자 수용부 (18) 에 수용됨으로써, 모든 제 2 단자 (30) 의 판면이 커넥터 폭 방향 (Y 축 방향) 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하여 하우징 (10) 에 배열 유지되어 있다.
제 2 단자 (30) 는, 하우징 (10) 에 후방으로부터 압입되어 부착된다. 제 2 단자 (30) 는, 도 3(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벽 (12) 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아암부 (31) 와, 상아암부 (31) 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바닥벽 (13) 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아암부 (34) 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아암부 (31) 및 하아암부 (34) 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부끼리를 연결하는 지주부 (37) 를 갖고 있다.
상아암부 (31) 는, 지주부 (37) 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규제 아암부 (32) 와, 지주부 (37) 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2 접촉 아암부 (33) 를 갖고 있다. 규제 아암부 (32) 는, 그 전단부가 가동 부재 수용 공간 (16) 내로 연장되어 있고, 가동 부재 (50) 의 후술하는 제 2 축체부 (55) 의 상방에 위치하는 제 2 축 규제부 (32A) 를 이루고 있다. 제 2 축 규제부 (32A) 는, 제 2 축체부 (55) 에 대하여 상하 방향에서 약간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있고, 제 2 축체부 (55) 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미 서술한 제 1 단자 (20) 의 제 1 축 규제부 (20A) 가 제 1 축체부 (54) 의 이동을 규제하고, 제 2 단자 (30) 의 제 2 축 규제부가 제 2 축체부 (55) 의 이동을 규제함으로써,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 내에서의 제 1 축체부 (54) 및 제 2 축체부 (55) (이하, 필요에 따라「축체부 (54, 55)」라고 총칭한다) 나아가서는 가동 부재 (50) 의 이동이 규제되고, 그 결과, 가동 부재 (50) 가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접촉 아암부 (33) 는, 도 3(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홈부 (18B) 내를, 후방을 향함에 따라 하방을 향하여 경사져 연장되어 있고, 상하 방향에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2 접촉 아암부 (33) 의 후단부에는, 평형 도체 (C) 의 제 2 회로부 (C1A) 에 상방으로부터 접촉 가능한 제 2 접촉부 (33A) 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 2 접촉부 (33A) 는,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촉 아암부 (24) 의 제 1 접촉부 (24A) 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단자 (30) 의 후단면은, 전방을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져 있고, 평형 도체 (C) 를 전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 2 안내면 (33A-1) 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 2 안내면 (33A-1) 의 하부는, 제 2 접촉부 (33A) 의 후단면을 이루고 있다.
하아암부 (34) 는, 지주부 (37) 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피유지 아암부 (35) 와, 지주부 (37) 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 아암부 (36) 를 갖고 있다. 피유지 아암부 (35) 는,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아암부 (31) 의 규제 아암부 (32) 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 (10) 의 제 2 단자 수용부 (18) 의 압입 홈부 (18A-2) 에 후방으로부터 압입되어 있다. 피유지 아암부 (35) 의 전단부에는,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압입 돌기 (35A) 가 형성되어 있고, 그 압입 돌기 (35A) 가 제 2 단자 유지부 (18A-1) 의 하면에 파고듦으로써, 제 2 단자 (30) 가 제 2 단자 수용부 (18) 내에서 유지되어 있다.
연장 아암부 (36) 의 대략 전반부는, 바닥벽 (13) 의 상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직상으로 연장되는 직상부 (36A) 를 이루고 있다. 연장 아암부 (36) 의 대략 후반부 (後半部) 는, 바닥벽 (13) 의 후단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직상부 (36A) 로부터 후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는 보강부 (36B) 와, 보강부 (36B) 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접속부 (36C) 를 갖고 있다. 제 2 접속부 (36C) 는, 그 하측 가장자리부에서 회로 기판의 실장면의 회로부 (도시 생략) 에 땜납 접속된다.
보강부 (36B) 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서 제 2 접촉 아암부 (33) 의 제 2 접촉부 (33A) 를 포함하는 범위에, 오목부 (36B-1) 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강부 (36B) 에 오목부 (36B-1) 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접촉부 (33A) 와 보강부 (36B) 의 간극이 커져 있으므로, 금속판 부재를 타발하여 제 2 단자 (30) 를 형성하는 타발 금형 (도시 생략) 에 있어서, 상기 간극을 형성하는 금형 부분을 충분히 크게 할 수 있고, 그 금형 부분에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보강부 (36B) 는, 직상부 (36A) 보다 상하 방향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 (36B-1) 의 존재에 의한 보강부 (36B) 자체의 강도의 저하를 회피하고 있다. 또, 보강부 (36B) 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오목부 (36B-1) 의 전단 및 후단의 각각의 위치에서 수입 공간 (11) 을 향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는 전방 돌출부 (36B-2) 및 후방 돌출부 (36B-3) 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 돌출부 (36B-2) 는 제 2 접촉부 (33A) 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후방 돌출부 (36B-3) 는 제 2 접촉부 (33A) 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평형 도체 (C) 가 수입 공간 (11) 에 삽입되고, 제 2 접촉부 (33A) 가 상방으로부터 접압을 가지고 평형 도체 (C) 에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 전방 돌출부 (36B-2) 및 후방 돌출부 (36B-3) 가 평형 도체 (C) 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한다. 그 결과, 평형 도체 (C) 는, 제 2 접촉부 (33A), 전방 돌출부 (36B-2) 및 후방 돌출부 (36B-3) 의 3 점에서 상하 방향으로 눌린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확실하게 협지되게 되어, 평형 도체 (C) 의 의도치 않은 빠짐이 방지된다.
보강부 (36B) 의 하측 가장자리는, 제 2 접속부 (36C) 의 하측 가장자리보다 약간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커넥터 (1) 가 회로 기판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었을 때, 그 실장면에 맞닿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조 오차에서 기인하여 보강부 (36B) 의 하측 가장자리가 정규의 설계 위치보다 다소 하방에 위치하고 있어도, 보강부 (36B) 의 하측 가장자리가 제 2 접속부 (36C) 의 하측 가장자리보다 하방에 위치한다는 상태가 발생하기 어려우므로, 제 2 접속부 (36C) 를 확실하게 회로 기판의 회로부에 접속할 수 있다.
로크 부재 (40) 는, 금속판 부재의 평탄한 판면 (압연면) 을 유지하고 타발하여 만들어져 있고, 도 3(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의 로크 부재 수용부 (19) 에 수용됨으로써, 로크 부재 (40) 는, 그 판면이 커넥터 폭 방향 (Y 축 방향) 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하여 하우징 (10) 에 유지되어 있다.
로크 부재 (40) 는, 하우징 (10) 에 전방으로부터 압입되어 부착된다. 로크 부재 (40) 는, 도 3(C)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수입 공간 (11) 보다 상방에서 상벽 (12) 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아암부 (41) 와, 상아암부 (41) 보다 하방에서 하우징 (10) 에 부착되는 피부착부 (44) 와, 피부착부 (44) 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아암부 (41) 에 연결된 지주부 (45) 와, 피부착부 (44) 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 아암부 (46) 를 갖고 있다.
상아암부 (41) 는, 지주부 (45) 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피압 아암부 (42) 와, 지주부 (45) 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로크 아암부 (43) 를 갖고 있다. 피압 아암부 (42) 는, 도 3(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으로 보아 크랭크상으로 굴곡된 형상을 이루고 있고, 전단부가 타부보다 하방에 위치하여 피압부 (42A) 를 형성하고 있다. 피압부 (42A) 는, 그 상측 가장자리에서 가동 부재 (50) 에 형성된 후술하는 캠부 (56) 의 가압부 (56A) 와 접하여 위치하고 있고, 가동 부재 (50) 가 개방 위치에 가져와졌을 때, 그 가압부 (56A) 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가압되어 하방으로 변위되도록 되어 있다 (도 5(C) 참조).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압부 (42A) 는,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에서, 가동 부재 (50) 의 축체부 (54, 55) 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다.
로크 아암부 (43) 는, 상홈부 (19B) 내를, 후방을 향함에 따라 하방을 향하여 경사져 연장되어 있고, 상하 방향에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로크 아암부 (43) 의 후단부에는, 걸림부 (43A) 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 (43A) 는, 가동 부재 (50) 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평형 도체 (C) 의 절결부 (C2) 에 상방으로부터 진입하고, 피걸림부 (C3A) 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걸림 가능하게 위치한다 (도 4(C) 참조). 걸림부 (43A) 의 후단면은, 전방을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져 있고, 평형 도체 (C) 를 전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 (43A-1) 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피부착부 (44) 는, 후방을 향하여 개구된 가로 U 자상을 이루고 있고, 수입 공간 (11) 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전홈부 (19A) 내에 수용되어 있다. 피부착부 (44) 는, 상하 방향에서 서로 이간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협지부 (44A) 및 하측 협지부 (44B) 와, 상측 협지부 (44A) 및 하측 협지부 (44B) 의 전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 (44C) 를 갖고 있다. 상측 협지부 (44A) 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고, 도 3(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협지부 (44A) 및 하측 협지부 (44B) 가 하우징 (10) 의 부착부 (13A) 를 상하 방향에서 협지하고 있다.
지주부 (45) 는, 상측 협지부 (44A) 의 후단에 가까운 위치에서 그 상측 협지부 (44A) 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아암부 (41) 에 연결되어 있다. 연장 아암부 (46) 는, 상하 방향에서 하측 협지부 (44B) 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그 하측 협지부 (44B) 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가동 부재 수용 공간 (16) 내로 연장되어 있다. 연장 아암부 (46) 의 전단부는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한 고정을 위한 고정부 (46A) 로서 형성되어 있고, 그 고정부 (46A) 의 하측 가장자리부에서 상기 실장면에 땜납 접속에 의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가동 부재 (50)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 가동 부재 수용 공간 (16) 의 전체 폭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고,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로 가동 부재 (50) 전체가 가동 부재 수용 공간 (16) 내에 수용되어 있다. 도 2 에는, 폐쇄 위치의 자세를 이루는 가동 부재 (50) 가 하우징 (10) 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나타나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50) 는, 조작부 (51) 와, 단벽 (端壁) (52) 과, 격벽 (53) 과, 제 1 축체부 (54) 와, 제 2 축체부 (55) 와, 캠부 (56) 를 갖고 있다.
조작부 (51)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50) 의 전단측에서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가동 부재 (50) 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회동) 시킬 때의 조작을 받도록 되어 있다. 단벽 (52) 은,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조작부 (51) 의 양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격벽 (53) 은,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2 개의 단벽 (52) 사이에서 조작부 (51) 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커넥터 폭 방향에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 1 축체부 (54) 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제 1 단자 (20) 와 동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도 2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2 개의 격벽 (53) 의 후단부 (X2 측의 단부) 의 대향면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 을 연결하고 있다.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축체부 (54) 는,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단면 형상이, 모서리가 둥근 대략 정방형을 이루고 있다. 또,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축체부 (54) 는, 제 1 단자 (20) 의 피유지부 (22) 의 전방, 피지지 아암부 (25A) 의 상방, 또한 돌출부 (25C) 의 후방에서, 피유지부 (22), 피지지 아암부 (25A) 및 돌출부 (25C) 의 각각에 대하여 약간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있다.
제 2 축체부 (55) 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제 2 단자 (30) 와 동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도 2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2 개의 격벽 (53) 의 후단부 (X2 측의 단부) 의 대향면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 을 연결하고 있다.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축체부 (55) 는,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단면 형상이, 상하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모서리가 둥근 대략 장방형을 이루고 있다. 또,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축체부 (55) 는, 그 하면에서 하우징 (10) 의 바닥벽 (13) 에 지지되어 있음과 함께, 제 2 단자 (30) 의 제 2 축 규제부 (32A) 의 하방에서 그 제 2 축 규제부 (32A) 와의 사이에 약간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있다.
캠부 (56) 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로크 부재 (40) 와 동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격벽 (53) 과 그 격벽 (53) 에 인접하는 단벽 (52) 의 대향면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 을 연결하고 있다. 도 3(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부 (56) 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전단부가 조작부 (51) 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음과 함께, 후측 가장자리가 원호상을 이루고 있다. 캠부 (56) 는, 로크 부재 (40) 의 피압 아암부 (42) 의 피압부 (42A) 보다 상방, 또한, 피압 아암부 (42) 의 후반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 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캠부 (56) 의 후단부는, 피압부 (42A) 를 상방으로부터 가압 가능한 가압부 (56A) 로서 형성되어 있고, 그 가압부 (56A) 의 하면은 피압부 (42A) 에 접촉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압부 (56A) 는,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에서 제 1 축체부 (54) 및 제 2 축체부 (55) 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다.
도 3 의 (A) ∼ (C) 의 각각에는, 가동 부재 (50) 의 회동 축선이 지나는 회동 중심 (O) 이 나타나 있다.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제 1 축체부 (54) 의 위치에서는, 회동 중심 (O) 은,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으로 보아 제 1 축체부 (54) 의 거의 중앙으로부터 약간 전방으로 치우쳐 위치하고 있다.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제 2 축체부 (55) 의 위치에서는, 회동 중심 (O) 은,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으로 보아 제 2 축체부 (55) 의 상부에서 약간 전방으로 치우쳐 위치하고 있다.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캠부 (56) 의 위치에서는, 회동 중심 (O) 은, 도 3(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부 (56) 의 가압부 (56A) 와 피압부 (42A) 의 접촉점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크 부재 (40) 의 피압 아암부 (42) 의 전단부에 형성된 피압부 (42A) 는 피압 아암부 (42) 의 타부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피압부 (42A) 의 상방에 가동 부재 (50) 의 캠부 (56) 가 위치하고 있어도, 피압 아암부 (42) 전체를 직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가동 부재 (50) 의 캠부 (56) 의 위치를 낮은 위치에 형성할 수 있고, 그 결과, 커넥터 (1) 의 상하 방향에서의 소형화, 즉 저배화가 실현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부재 (50) 에 있어서 캠부 (56) 의 가압부 (56A) 가 상하 방향에서 축체부 (54, 55) 의 범위 내에 위치함으로써, 가압부 (56A) 가 상하 방향에서 축체부 (54, 55) 의 범위 외에 위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가동 부재 (50) 나아가서는 커넥터 (1) 의 저배화가 도모되어 있다. 또, 캠부 (56) 의 가압부 (56A) 가 상하 방향에서 축체부 (54, 55) 의 범위 내에 위치함으로써, 가압부 (56A) 가 가동 부재 (50) 의 회동 축선, 환언하면, 회동 중심 (O) 의 근방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캠부 (56) 를 최대한 크게 하지 않고, 가압부 (56A) 에서 피압부 (42A) 를 상방으로부터 가압하기 쉬워진다.
이 때, 가압부 (56A) 가 회동 축선에 가까운 만큼, 로크 해제 조작시, 가동 부재 (50) 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가압부 (56A) 에서 피압부 (42A) 를 가압하기 위해 필요한 힘 (가압력) 이 커진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크 부재 (40) 는 단자 배열 범위의 양외측에 배치되어 있을 뿐으로, 형성되어 있는 로크 부재 (40) 의 수가 적다. 또한, 가동 부재의 회동 과정에 있어서, 제 1 단자 (20) 의 제 1 축 규제부 (20A) 는 가동 부재 (50) 의 제 1 축체부 (54) 에 접촉하는 경우가 없어, 양자 사이에 접압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 제 2 단자 (30) 의 제 2 축 규제부 (32A) 는 가동 부재 (50) 의 회동 과정에 있어서 제 2 축체부 (55) 의 모서리부 (55A) 에 의해 일시적으로 들어 올려질 뿐이므로, 양자 사이에 접압이 발생하는 기간은 짧다. 그 결과, 가동 부재 (50) 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조작력 (로크 해제 조작력) 이 경감되므로, 로크 해제 조작시에 상기 가압력이 커져 있어도, 로크 해제 조작을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부재 (50) 는,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 축선 둘레로 회동하는 것만으로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되어 있지만, 가동 부재 (50) 의 이동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슬라이드 이동을 수반하여 회동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커넥터 (1) 는, 이하의 요령으로 조립된다. 먼저, 하우징 (10) 에 제 1 단자 (20) 및 로크 부재 (40) 를 전방으로부터 부착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단자 (20) 의 기부 (21) 를 하우징 (10) 의 전홈부 (17A) 에 압입함과 함께 (도 3(A) 참조), 로크 부재 (40) 의 피부착부 (44) 에서 하우징 (10) 의 부착부 (13A) 를 협지한다 (도 3(C) 참조). 제 1 단자 (20) 및 로크 부재 (40) 는, 어느 것이 먼저 부착되어도 되고, 동시에 부착되어도 된다.
다음으로, 가동 부재 (50) 를 하우징 (10) 의 가동 부재 수용 공간 (16) 에 배치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단자 (20) 의 피유지부 (22) 의 전단부, 피지지 아암부 (25A) 및 돌출부 (25C) 로 형성되는 제 1 축 규제부 (20A) 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제 1 축체부 (54) 를 배치하고 (도 3(A) 참조), 바닥벽 (13) 의 전단부의 상면에 제 2 축체부 (55) 를 배치하고 (도 3(B) 참조), 로크 부재 (40) 의 피압부 (42A) 상에 캠부 (56) 의 가압부 (56A) 를 배치한다 (도 3(C) 참조). 다음으로, 하우징 (10) 에 제 2 단자 (30) 를 후방으로부터 부착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2 단자 (30) 의 피유지 아암부 (35) 를, 하우징 (10) 의 압입 홈부 (18A-2) 에 후방으로부터 압입한다 (도 3(B) 참조). 그 결과, 제 2 단자 (30) 의 제 2 축 규제부 (32A) 가 가동 부재 (50) 의 제 2 축체부 (55) 의 바로 위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 1 단자 (20) 의 제 1 축 규제부 (20A) 및 제 2 단자 (30) 의 제 2 축 규제부 (32A) 에 의해,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 내에서의 축체부 (54, 55) 의 이동이 규제되고, 이 결과, 하우징 (10) 으로부터의 가동 부재 (50) 의 벗어남이 양호하게 방지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 (10) 에 제 1 단자 (20), 제 2 단자 (30), 로크 부재 (40) 및 가동 부재 (50) 가 부착됨으로써, 커넥터 (1) 가 완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 (1) 의 완성 후,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촉부 (24A) 의 위치에 있어서 평형 도체 (C) 가 진입하는 간극의 상하 방향 치수가 적절히 확보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가 실시된다. 여기서, 제 1 단자 (20) 에 있어서의 간극이란, 도 3(A) 에서 δ1 로서 나타내는, 제 1 접촉부 (24A) 와 이에 대향하는 하우징 (10) 의 바닥벽 (13) 의 상면 사이의 상하 치수이다.
검사에 사용되는 검사 장치 (도시 생략) 는, 커넥터 (1) 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 (10) 의 수입 공간 (11) 을 향하여 전방에 광을 조사하는 조사부 (도시 생략) 와, 후방에서 본 커넥터 (1) 의 화상 (검사 화상) 을 촬상하는 촬상부 (도시 생략) 와, 촬상된 검사 화상을 해석하여 간극 (δ1) 의 상하 방향 치수를 측정하는 측정부 (도시 생략) 를 갖고 있다.
검사시에 있어서, 조사부로부터 수입 공간 (11) 을 향하여 전방에 광이 조사되면, 제 1 단자 (20) 의 반사면 (23A-1) 에 닿은 광은, 그 반사면 (23A-1) 에서 후방으로, 즉 후단 개구 (11A) 를 향하여 반사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단자 (20) 의 후단면을 이루는 제 1 안내면 (24A-1) 은 전방을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이루고 있으므로, 제 1 안내면 (24A-1) 에 닿은 광은 후단 개구 (11A) 를 향하여 반사되기 어렵다.
따라서,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검사 화상에서는, 제 1 접촉부 (24A) 는 어두워지고, 반사면 (23A-1) 은 밝아진다. 요컨대, 제 1 접촉부 (24A) 와 반사면 (23A-1) 의 콘트라스트가 높은 명료한 검사 화상이 얻어진다. 그 결과, 검사 화상에 있어서 제 1 접촉부 (24A) 의 돌출단 (하단) 의 위치를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고, 측정부에 의해, 간극 (δ1) 의 상하 방향 치수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반사면 (23A-1) 이 간극 (δ1) 전체를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수입 공간 (11) 을 향하여 전방에 조사된 광을, 반사면 (23A-1) 에서 후방으로 양호하게 반사시킬 수 있다. 또, 반사면 (23A-1) 은,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반사면 (23A-1) 에서, 보다 양호하게 광을 후방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사부 (23A) 가 피유지부 (22) 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 (23) 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반사면 (23A-1) 을 전후 방향에서 제 1 접촉부 (24A) 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요컨대, 반사면 (23A-1) 을 제 1 접촉부 (24A) 보다 전방에 배치한다는 제약이 있는 와중에, 반사면 (23A-1) 을 가능한 한 후방에, 환언하면 수입 공간 (11) 의 후단 개구 (11A) 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만일 수입 공간 (11) 의 후단 개구 (11A) 가 작아도, 수입 공간 (11) 을 향하여 전방에 조사된 광이 반사면 (23A-1) 에 닿기 쉬워, 충분한 양의 광을 반사면 (23A-1) 에서 후방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제 1 접촉부 (24A) 와 반사면 (23A-1) 에서의 콘트라스트가 높은 명료한 검사 화상을 촬상하여, 제 1 접촉부 (24A) 의 위치를 특정하는 것이 용이해져, 간극 (δ1) 의 치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사부 (23A) 를 갖는 연장부 (23) 는, 피유지부 (22) 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아암상 부분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했지만, 연장부의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연장부는, 접촉 아암부 (24) 의 전단측 부분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나서, 다시 후방으로 연장되는 대략 L 자상의 아암상 부분을 이루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반사부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반사면은 그 후단부의 후단면에 형성된다. 또, 연장부는, 접촉 아암부 (24) 의 전단측 부분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아암상 부분 혹은 돌출상 부분을 이루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반사부는 연장부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반사면은 그 하단부의 후단면에 형성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사면 (23A-1) 이 간극 (δ1) 전체를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했지만, 제 1 접촉부 (24A) 의 위치를 특정하기에 충분한 반사광을 얻을 수 있는 것이면, 반사면 (23A-1) 이 간극 (δ1) 전체를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고 있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예를 들어, 반사면 (23A-1) 은, 접촉부의 돌출단을 포함하면서 간극 (δ1) 의 일부와 중복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사면 (23A-1) 이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평탄면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했지만, 제 1 접촉부 (24A) 의 위치를 특정하기에 충분한 반사광을 얻을 수 있는 것이면, 반사면 (23A-1) 이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인 것은 필수가 아니고, 예를 들어, 다소 만곡되어 있거나, 다소 경사져 있거나 해도 된다.
다음으로, 커넥터 (1) 에 대한 평형 도체 (C) 의 삽입 발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커넥터 (1) 의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속부 (25B) 및 제 2 단자 (30) 의 제 2 접속부 (36C) 를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의 대응 회로부에 땜납 접속함과 함께, 로크 부재 (40) 의 고정부 (46A) 를 회로 기판의 대응부에 땜납 접속한다. 이 제 1 접속부 (25B), 제 2 접속부 (36C) 및 고정부 (46A) 의 땜납 접속에 의해, 커넥터 (1) 가 회로 기판에 부착된다.
다음으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50) 를 폐쇄 위치에 가져온 상태의 커넥터 (1) 의 후방에, 평형 도체 (C) 를 회로 기판의 실장면 (도시 생략) 을 따라 전후 방향 (X 축 방향) 으로 연장되도록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평형 도체 (C) 를 전방 (X1 방향) 을 향하게 하여 커넥터 (1) 의 수입 공간 (11) 에 삽입한다.
수입 공간 (11) 으로의 평형 도체 (C) 의 삽입 과정에 있어서, 평형 도체 (C) 의 전단은, 먼저, 제 2 단자 (30) 의 제 2 접촉부 (33A) 의 제 2 안내면 (33A-1) 에 맞닿고 그 맞닿음력의 상방향 분력으로 그 제 2 접촉부 (33A) 를 밀어 올림으로써 제 2 접촉 아암부 (33) 를 상방으로 탄성 변위시킨다. 평형 도체 (C) 가 제 2 안내면 (33A-1) 으로 안내되면서 전방으로 더욱 삽입되면, 그 평형 도체 (C) 의 전단은,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촉부 (24A) 의 제 1 안내면 (24A-1) 에 맞닿고 그 제 1 접촉부 (24A) 를 밀어 올림으로써 제 1 접촉 아암부 (24) 를 상방으로 탄성 변위시킨다. 평형 도체 (C) 는 제 1 안내면 (24A-1) 으로 안내되면서 전방으로 더욱 삽입된다.
도 4 의 (A), (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평형 도체 (C) 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 있어서도,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촉 아암부 (24) 및 제 2 단자 (30) 의 제 2 접촉 아암부 (33) 는 탄성 변위된 채이다. 이 결과, 제 1 접촉부 (24A) 및 제 2 접촉부 (33A) 가 평형 도체 (C) 의 제 1 회로부 (C1A) 및 제 2 회로부 (C1B) (도 1 참조) 에 각각 접압을 가지고 접촉한 상태가 유지된다.
또, 수입 공간 (11) 으로의 평형 도체 (C) 의 삽입 과정에 있어서, 구체적으로는, 평형 도체 (C) 의 전단이 제 2 접촉부 (33A) 의 위치를 통과하고, 또한, 제 1 접촉부 (24A) 의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있어서, 평형 도체 (C) 의 폭 방향에서 양측단 가까이에 위치하는 귀부 (C3) 가, 로크 부재 (40) 의 로크 아암부 (43) 에 형성된 걸림부 (43A) 의 경사면 (43A-1) 에 맞닿는다. 그리고, 평형 도체 (C) 가 경사면 (43A-1) 으로 안내되면서 전방으로 더욱 삽입되면, 경사면 (43A-1) 에 대한 맞닿음력의 상하 방향 분력으로 걸림부 (43A) 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크 부재 (40) 는, 로크 아암부 (43), 지주부 (45) 및 상측 협지부 (44A) 가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들 부분에 걸친 범위의 길이가 스프링 길이로 되어 있다. 따라서, 평형 도체 (C) 의 귀부 (C3) 가 걸림부 (43A) 를 들어 올리면, 로크 아암부 (43), 지주부 (45) 및 상측 협지부 (44A) 가 피부착부 (44) 의 연결부 (44C) 를 지점으로서 요동하도록 하여 상방 (Z1 방향) 으로 탄성 변위되고, 그 결과, 평형 도체 (C) 의 추가적인 삽입이 허용된다.
평형 도체 (C) 가 전방을 향하여 더욱 삽입되고, 귀부 (C3) 가 걸림부 (43A) 의 위치를 통과하면, 로크 아암부 (43) 는 탄성 변위량을 줄이도록 하방 (Z2 방향) 으로 변위되어 자유 상태로 되돌아오고, 평형 도체 (C) 의 절결부 (C2) 내에 돌입한다. 이 결과, 평형 도체 (C) 의 피걸림부 (C3A) 가 걸림부 (43A) 의 전방에서 그 걸림부 (43A) 에 걸림 가능하게 위치하고, 평형 도체 (C) 의 후방으로의 발출이 저지된다 (도 4(C) 참조). 또한, 로크 아암부 (43) 가 완전하게 자유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예를 들어, 로크 아암부 (43) 가 약간의 탄성 변위량을 남긴 상태에서, 걸림부 (43A) 가 평형 도체 (C) 의 절결부 (C2) 내에 돌입하여 피걸림부 (C3A) 와 걸림 가능하게 위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평형 도체 (C) 의 삽입 동작은, 도 4 의 (A) ∼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형 도체 (C) 의 전단이 하우징 (10) 의 전벽 (15) 에 맞닿은 시점에서 완료된다.
도 4 의 (A) ∼ (C) 에 나타나는 상태, 즉 커넥터 (1) 와의 접속 상태에 있는 평형 도체 (C) 를 커넥터 (1) 로부터 의도적으로 발출할 때에는, 폐쇄 위치에 있는 가동 부재 (50) 를 회동시켜, 도 5 의 (A) ∼ (C) 에 나타내는 개방 위치로 가져온다. 가동 부재 (50) 가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동 부재 (50) 의 캠부 (56) 의 가압부 (56A) 가 로크 부재 (40) 의 피압부 (42A) 를 누름으로써, 평형 도체 (C) 의 삽입 동작에 대하여 이미 서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로크 아암부 (43), 지주부 (45) 및 상측 협지부 (44A) 가 상방으로 탄성 변위된다. 그 결과, 로크 부재 (40) 의 로크 아암부 (43) 의 걸림부 (43A) 는 평형 도체 (C) 의 절결부 (C2) 로부터 상방으로 벗어난다. 가동 부재 (50) 가 개방 위치로 가져와진 후에도, 걸림부 (43A) 가 절결부 (C2) 로부터 벗어난 상태가 유지되고, 그 결과, 평형 도체 (C) 의 피걸림부 (C3A) 에 대한 걸림부 (43A) 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평형 도체 (C) 의 발출이 허용된다. 그리고, 평형 도체 (C) 를 후방 (X2 방향) 으로 당김으로써, 그 평형 도체 (C) 는 커넥터 (1) 로부터 어려움 없이 발출되고, 발출 동작이 완료된다.
가동 부재 (50) 의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회동 과정에 있어서, 가동 부재 (50) 의 제 1 축체부 (54) 는, 제 1 단자 (20) 의 피유지부 (22) 의 전단부, 피지지 아암부 (25A) 및 돌출부 (25C) 로 이루어지는 제 1 축 규제부 (20A) 와 접촉하는 경우는 없다. 한편, 가동 부재 (50) 의 제 2 축체부 (55) 에 있어서는, 가동 부재 (50) 의 개방 위치를 향한 회동이 개시된 직후, 제 2 축체부 (55) 의 모서리부 (55A) 가 제 2 축 규제부 (32A) 에 하방으로부터 맞닿고 그 제 2 축 규제부 (32A) 를 약간 들어 올려 탄성 변위 상태로 한다. 그리고, 가동 부재 (50) 가 더욱 회동하여 개방 위치에 도달하면,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축 규제부 (32A) 는 탄성 변위 상태로부터 복귀하고, 제 2 축체부 (55) 의 모서리부 (55A) 에 상방으로부터 접촉하여 지지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로크 아암부 (43), 지주부 (45) 뿐만 아니라, 피부착부 (44) 의 상측 협지부 (44A) 도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그 만큼, 스프링 길이가 길게 확보되어 있다. 또, 하우징 (10) 에 대한 로크 부재 (40) 의 부착을 위한 피부착부 (44) 의 일부인 상측 협지부 (44A) 를 탄성 변위 가능한 부분으로서 이용하고 있으므로, 스프링 길이를 길게 하기 위해 로크 부재 (40) 에 새로운 부분을 형성하거나, 로크 아암부 (43) 나 지주부 (45) 를 길게 하거나 할 필요가 없어, 커넥터 (1) 가 대형화되는 경우는 없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평형 도체 (C) 의 삽입 과정 및 발출 과정에서, 로크 부재 (40) 에 있어서, 로크 아암부 (43) 및 지주부 (45) 와 함께, 피부착부 (44) 의 상측 협지부 (44A) 는 상방으로 탄성 변위되지만, 하측 협지부 (44B) 는 상방으로 탄성 변위되지 않는다. 따라서, 피부착부 (44) 에 있어서 상측 협지부 (44A) 만이 상방으로 변위됨으로써 상측 협지부 (44A) 와 하측 협지부 (44B) 가 이간되므로, 하우징 (10) 의 부착부 (13A) 에 대한 피부착부 (44) 의 협지력, 요컨대, 피부착부 (44) 의 부착 강도가 약간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평형 도체 (C) 의 삽입 및 발출의 조작은,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한 커넥터 (1) 의 실장 후, 즉, 로크 부재 (40) 의 고정부 (46A) 를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땜납 접속에 의해 고정한 후에 실시된다. 따라서, 피부착부 (44) 의 상측 협지부 (44A) 와 하측 협지부 (44B) 가 이간되어 상기 협지력이 약간 저하되었다고 해도, 그 시점에서는, 이미 로크 부재 (40) 의 위치는 회로 기판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으므로, 로크 부재 (40) 가 하우징 (10) 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는 없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부착부 (44) 의 상측 협지부 (44A) 는 상방으로 탄성 변위될 때, 하측 협지부 (44B) 는 상방으로 탄성 변위되지 않는 것으로 했지만, 이 대신에, 상측 협지부 (44A) 와 함께 하측 협지부 (44B) 도 상방으로 탄성 변위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탄성 변위 상태에 있어서도 상측 협지부 (44A) 및 하측 협지부 (44B) 에서 하우징 (10) 의 부착부 (13A) 가 협지된 상태가 유지된다. 그 결과, 피부착부 (44) 에 있어서의 하우징 (10) 에 대한 부착 강도는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크 부재 (40) 에, 상측 협지부 (44A), 하측 협지부 (44B) 및 연결부 (44C) 를 갖는 피부착부 (44) 를 형성하고, 로크 아암부 (43) 및 지주부 (45) 와 함께, 상측 협지부 (44A) 도 탄성 변위 가능하게 했지만, 로크 해제 조작력의 크기를 허용 가능한 정도에 그치게 할 수 있다면, 로크 부재 (40) 와 동일한 구성을,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 중 적어도 일방의 단자에 적용하여, 단자에 있어서의 스프링 길이를 길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로크 부재 (40) 와 동일한 구성을 단자에 적용하는 경우, 그 단자에는, 상아암부, 피부착부, 지주부 및 접속부 (고정부) 가 형성된다. 또, 상아암부에는, 지주부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전단부에 피압부가 형성된 피압 아암부와, 지주부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후단부에 접촉부가 형성된 접촉 아암부가 형성된다. 또한, 가동 부재에는, 본 실시형태의 가동 부재 (50) 와 캠부 (56) 와 동일한 캠부가, 피압 아암부의 피압부의 상방에 형성된다.
단자를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 경우, 평형 도체의 발출시에는, 가동 부재가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동 부재의 캠부가 피압부를 누름으로써, 접촉 아암부, 지주부 및 피부착부의 상측 협지부가 상방으로 탄성 변위된다. 그 결과, 접촉 아암부의 접촉부와 평형 도체의 회로부의 접촉 상태가 해제된다.
단자를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여 스프링 길이를 크게 해도, 커넥터가 대형화되는 경우는 없는 것, 또, 하우징에 대한 피부착부의 부착 강도가 약간 저하되었다고 해도 단자가 하우징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는 없는 것은, 로크 부재 (40) 에 대하여 이미 서술한 것과 동일하다.
1 : 커넥터
10 : 하우징
11 : 수입 공간
11A : 후단 개구
13A : 부착부
20 : 제 1 단자
20A : 제 1 축 규제부
21 : 기부
22 : 피유지부
23 : 연장부
23A : 반사부
23A-1 : 반사면
24 : 제 1 접촉 아암부
24A : 제 1 접촉부
25B : 제 1 접속부 (고정부)
30 : 제 2 단자
31 : 상아암부
32A : 제 2 축 규제부
33 : 제 2 접촉 아암부
33A : 제 2 접촉부
34 : 하아암부
36 : 연장 아암부
36B-1 : 오목부
36B-2 : 전방 돌출부
36B-3 : 후방 돌출부
36C : 제 2 접속부 (고정부)
37 : 지주부
40 : 로크 부재
41 : 상아암부
42 : 피압 아암부
42A : 피압부
43 : 로크 아암부
43A : 걸림부
44 : 피부착부
44A : 상측 협지부
44B : 하측 협지부
44C : 연결부
45 : 지주부
46A : 고정부
50 : 가동 부재
54 : 제 1 축체부
55 : 제 2 축체부
56 : 캠부
56A : 가압부
C : 평형 도체
C1 : 접속 회로부
C1A : 제 1 회로부
C1B : 제 2 회로부
C3A : 피걸림부
O : 회동 중심
δ1 : 간극

Claims (2)

  1.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하 방향에 두께를 갖는 평형 도체가 접속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평형 도체가 전방을 향하여 삽입되도록 후방을 향하여 개방된 수입(受入)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양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을 단자 배열 방향으로 하여 상기 하우징에 배열 유지되는 복수의 단자와,
    단자 배열 방향에서 상기 단자의 배열 범위 외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는 로크 부재와,
    상기 수입 공간보다 전방에 형성되어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 축선 둘레의 회동을 수반하여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가동 부재를 갖고,
    상기 가동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평형 도체의 발출이 저지되고, 상기 가동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평형 도체의 발출이 허용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수입 공간보다 상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아암부와, 상기 상아암부보다 하방에서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는 피부착부와, 상기 피부착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아암부에 연결된 지주부를 갖고,
    상기 상아암부는, 상기 지주부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피압 아암부와, 상기 지주부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로크 아암부를 갖고,
    상기 로크 아암부는, 상기 가동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걸림 가능하게 위치하는 걸림부를 갖고,
    상기 피압 아암부는, 전단부가 타부보다 하방에 위치하여 피압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가동 부재는, 단자 배열 방향으로 보아 상기 회동 축선을 포함하여 위치하는 축체부와, 상기 피압부의 상방에 위치하는 캠부를 갖고,
    상기 캠부는, 가동 부재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피압부를 하방을 향하게 하여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상기 피압부에 접촉하여 그 피압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갖고,
    상기 가압부는, 상하 방향에서 상기 축체부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로크 부재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단자 배열 범위의 양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일부의 상기 단자는, 단자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 내에서의 상기 가동 부재의 상기 축체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축 규제부를 갖고,
    상기 축 규제부는, 상기 가동 부재의 이동 과정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축체부에 접촉하지 않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1020220071662A 2021-07-30 2022-06-13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Active KR1027528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25762A JP7497127B2 (ja) 2021-07-30 2021-07-30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JP-P-2021-125762 2021-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9006A KR20230019006A (ko) 2023-02-07
KR102752874B1 true KR102752874B1 (ko) 2025-01-09

Family

ID=85039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1662A Active KR102752874B1 (ko) 2021-07-30 2022-06-13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30550A1 (ko)
JP (1) JP7497127B2 (ko)
KR (1) KR102752874B1 (ko)
CN (1) CN115693212A (ko)
TW (1) TWI8583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554165B2 (ja) * 2021-07-30 2024-09-1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11909137B2 (en) * 2022-04-05 2024-02-20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Spring clip header for flat flexible cab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0360A (ja) 2000-12-20 2002-07-05 Smk Corp 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
JP2006351453A (ja) 2005-06-20 2006-12-28 D D K Ltd コネクタ
JP2011181207A (ja) 2010-02-26 2011-09-15 Hirose Electric Co Ltd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12212658A (ja) 2011-03-18 2012-11-01 Daiichi Seiko Co Ltd 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8206A (ja) * 2002-11-01 2004-06-03 Fci Asia Technology Pte Ltd 平形柔軟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4054740B2 (ja) * 2003-09-26 2008-03-0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Fpc用zifコネクタ
JP4282014B2 (ja) * 2004-08-03 2009-06-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4437982B2 (ja) * 2005-08-08 2010-03-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5601347B2 (ja) * 2012-05-16 2014-10-08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876004B2 (ja) * 2013-04-18 2016-03-0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6206713B2 (ja) * 2013-10-01 2017-10-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JP6208008B2 (ja) * 2013-12-27 2017-10-0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533151B2 (ja) * 2015-11-18 2019-06-1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US11322874B2 (en) * 2018-08-27 2022-05-03 Fujikura Ltd. Conn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0360A (ja) 2000-12-20 2002-07-05 Smk Corp 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
JP2006351453A (ja) 2005-06-20 2006-12-28 D D K Ltd コネクタ
JP2011181207A (ja) 2010-02-26 2011-09-15 Hirose Electric Co Ltd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12212658A (ja) 2011-03-18 2012-11-01 Daiichi Seiko Co Ltd 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06248A (zh) 2023-02-01
JP2023020412A (ja) 2023-02-09
KR20230019006A (ko) 2023-02-07
JP7497127B2 (ja) 2024-06-10
TWI858337B (zh) 2024-10-11
CN115693212A (zh) 2023-02-03
US20230030550A1 (en)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00990B1 (en) Electric connector
KR102752874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CN100541920C (zh) 连接器导向部件
CN104221227B (zh) 电线对基板用连接器
US20040005794A1 (en) Construction for mounting a terminal, a circuit board connector and method of mounting it
EP2541688B1 (en) Electrical Connector
KR20130128314A (ko) 전기 커넥터
US11201425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onductors
JP2008060004A (ja) 接続装置
JP2019117726A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2013120647A (ja) ホルダおよび該ホルダとコネクタとの組立体
KR102468999B1 (ko) 단자 밀어붙임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
JP7619905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7554165B2 (ja) 電気コネクタ
KR20180023818A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102468460B1 (ko) 단자 및 그 단자를 갖는 전기 커넥터
TWI882228B (zh) 扁平型導體用電連接器
KR20180023819A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US20240291173A1 (en) Connector
JP2024066098A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2024066097A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2024066099A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2000030780A (ja) 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
JP2001319726A (ja) シャッター付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て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11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206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