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51281B1 -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51281B1
KR102751281B1 KR1020190080542A KR20190080542A KR102751281B1 KR 102751281 B1 KR102751281 B1 KR 102751281B1 KR 1020190080542 A KR1020190080542 A KR 1020190080542A KR 20190080542 A KR20190080542 A KR 20190080542A KR 102751281 B1 KR102751281 B1 KR 102751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unit
smart key
smartphone
smart
timestamp valu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4305A (ko
Inventor
박민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0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51281B1/ko
Priority to US16/684,036 priority patent/US11077828B2/en
Priority to CN201911164491.2A priority patent/CN112188431B/zh
Publication of KR20210004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51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5128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05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using a camera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97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time stamps, e.g. generation of time stam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025/1013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arning signal, e.g. visual, aud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Communication devices for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5Mobile pho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555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comprising means to detect or avoid relay atta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12Detection or prevention of fraud
    • H04W12/121Wireless intrusion detection systems [WIDS]; Wireless intrusion prevention systems [WIPS]
    • H04W12/122Counter-measures against attacks; Protection against rogu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탑승을 시도하는 사용자의 스마트키를 인증하는 것은 물론 스마트폰까지 인증함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은, 스마트키와 통신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스마트키 및 스마트폰과 통신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과,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과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SMART ENTRY SYSTEM FOR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에 탑승을 시도하는 사용자의 권한을 정확도 높게 검증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키 시스템은 스마트키를 소지한 운전자가 자신의 차량에 접근하여 차량에 장착된 이모빌라이저유닛에 접근하게 되면, 이모빌라이저유닛에서 운전자가 소지한 스마트키가 유효한 키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유효한 키인 경우 이모빌라이저유닛이 스마트키 기능으로 동작하게 된다.
이렇게 스마트키 시스템을 적용한 차량에서 스마트키 기능이 동작되면, 유효한 스마트키를 소지한 운전자가 별도의 수동 조작 없이 차량에 접근하여 차량의 도어를 열거나 트렁크를 열 수 있고, 운전시 수동으로 시동을 걸지 않고 간단한 터치만으로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이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카드를 이용하여 스마트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디지털키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엔트리 시스템은 스마트키만을 인증하거나 스마트폰만을 인증하기 때문에 보안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에 탑승을 시도하는 사용자의 스마트키를 인증하는 것은 물론 스마트폰까지 인증함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은, 스마트키와 통신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스마트키 및 스마트폰과 통신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과,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과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통신부가 스마트키와 통신하는 주기와, 상기 제2 통신부가 스마트키 및 스마트폰과 통신하는 주기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통신부는 LF(Low Frequency) 프레임에 타임스탬프를 삽입하여 스마트키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키가 수신한 LF 프레임의 타임스탬프 값을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 프레임에 타임스탬프를 삽입하여 상기 스마트키와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키가 수신한 근거리 통신 프레임의 타임스탬프 값을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스마트폰이 수신한 근거리 통신 프레임의 타임스탬프 값을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과,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과,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이 모두 동일하면 사용자를 정상 인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과,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이 동일하면 사용자를 정상 인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과, 제2 통신부를 통해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이 동일하지 않으면 DVRS(Drive Video Record System)을 활성화하고, 차량 소유주의 스마트폰으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제1 통신부가 스마트키와 통신하는 단계; 제2 통신부가 상기 스마트키 및 스마트폰과 통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과,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과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통신부가 스마트키와 통신하는 주기와, 상기 제2 통신부가 스마트키 및 스마트폰과 통신하는 주기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통신부가 스마트키와 통신하는 단계는, LF(Low Frequency) 프레임에 타임스탬프를 삽입하여 스마트키로 전송하는 ㄷ단계; 및 상기 스마트키가 수신한 LF 프레임의 타임스탬프 값을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통신부가 상기 스마트키 및 스마트폰과 통신하는 단계는, 근거리 통신 프레임에 타임스탬프를 삽입하여 상기 스마트키와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키가 수신한 근거리 통신 프레임의 타임스탬프 값을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이 수신한 근거리 통신 프레임의 타임스탬프 값을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과,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과,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이 모두 동일하면 사용자를 정상 인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과,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이 동일하면 사용자를 정상 인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과, 제2 통신부를 통해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이 동일하지 않으면 DVRS(Drive Video Record System)을 활성화하고, 차량 소유주의 스마트폰으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은, 스마트키와 통신하는 제1 통신부; 스마트폰과 통신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키를 인증하고,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인증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차량의 도어 핸들버튼이 눌리면 상기 제1 통신부와 상기 제2 통신부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은 정상이지만 상기 스마트폰에 대한 인증이 실패한 경우, DVRS(Drive Video Record System)을 활성화하고, 차량 소유주의 스마트폰으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제1 통신부가 스마트키와 통신하는 단계; 제2 통신부가 스마트폰과 통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키를 인증하고,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증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차량의 도어 핸들버튼이 눌리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통신부와 상기 제2 통신부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은 정상이지만 상기 스마트폰에 대한 인증이 실패한 경우, DVRS(Drive Video Record System)을 활성화하고, 차량 소유주의 스마트폰으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은, 차량에 탑승을 시도하는 사용자의 스마트키을 인증하는 것은 물론 스마트폰까지 인증함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에 구비된 제어부가 사용자를 인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에 구비된 제어부가 사용자를 인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에 구비된 제어부가 RSA를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팅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100)은, 저장부(10), 제1 통신부(20), 제2 통신부(30), 및 제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100)을 실시하는 방식에 따라 각 구성요소는 서로 결합되어 하나로 구현될 수도 있고, 일부의 구성요소가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1 통신부(20)와 통신하는 스마트키(200)에 LF/RF 통신 모듈 외에 근거리 통신모듈의 탑재 여부에 따라 제1 실시예(미탑재)와 제2 실시예(탑재)를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저장부(10)는 차량에 탑승을 시도하는 사용자의 스마트키와 스마트폰을 인증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로직과 알고리즘 및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차량에 대한 사용권한이 부여된 스마트키(200)에 대한 정보와 스마트폰(30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마이크로 타입(micro type), 및 카드 타입(예컨대,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또는 XD 카드(eXtream Digital Card)) 등의 메모리와,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롬(ROM,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자기 메모리(MRAM, Magnetic RAM),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및 광디스크(optical disk) 타입의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기록 매체(storage medium)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부(20)는 제어부(40)에 의해 활성화되어 스마트키(200)와 통신할 수 있다. 즉, 제1 통신부(20)는 LF(Low Frequency) 통신 방식으로 스마트키(200)로 인증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스마트키(200)로부터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으로 인증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인증정보는 차량고유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부(30)는 제어부(40)에 의해 활성화되어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스마트폰(300)과 통신할 수 있다. 즉, 제2 통신부(30)는 스마트폰(300)으로 인증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스마트폰(300)으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인증정보는 스마트폰 고유번호,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은 블루투스(Bluetooth™ ),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상기 각 구성요소들이 제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40)는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물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4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40)는 차량에 탑승을 시도하는 사용자의 스마트키와 스마트폰을 인증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각종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제어부(40)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에 구비된 제어부가 사용자를 인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는 사용자에 의해 차량의 도어 핸들버튼(110)이 눌리면(또는 터치되면) 제1 통신부(20)와 제2 통신부(30)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렇게 활성화된 제1 통신부(20)는 스마트키(200)와 통신하고, 제2 통신부(30)는 스마트폰(300)과 통신한다.
제어부(40)는 제1 통신부(20)를 통해 수신한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스마트키(200)를 인증(이하, 제1 인증)하고, 제2 통신부(30)를 통해 수신한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스마트폰(300)을 인증(이하, 제2 인증)하여, 모두 정상적으로 인증되면 IBU(Integrated Body Unit, 400)를 통해 사용자의 차량 출입은 물론 시동도 허여한다.
이때, 제어부(40)는 제1 인증은 정상이지만 제2 인증이 실패한 경우, 사용자가 차량 소유주의 지인일 수도 있지만, 차량의 절도를 노리는 사람일 수도 있으므로, IBU(400)를 통해 DVRS(Drive Video Record System)을 활성화하고, 텔레매틱스 모듈(500)를 통해 차량 소유주의 스마트폰으로 차량의 사용을 알리는 메시지(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인증의 실패는 스마트폰(300)으로부터 인증정보를 아예 못받은 경우도 포함한다.
한편, 제1 실시예에서는 통합된 형태의 제어부(40)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제1 통신부(20)를 통해 수신한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스마트키(200)를 인증하는 SMK 제어기와 제2 통신부(30)를 통해 수신한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스마트폰(300)을 인증하는 IAU(Identity Authentication Unit)로 구분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
이하의 제2 실시예는 스마트키(200)에 근거리 통신 모듈(210)이 장착된 경우를 나타낸다. 일례로, 블루투스(BLE)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통신부(20)는 제어부(40)에 의해 활성화되어 스마트키(200)와 통신할 수 있다. 즉, 제1 통신부(20)는 인증정보를 요청하는 LF(Low Frequency) 프레임에 타임스탬프(Time Stamp)를 삽입하여 스마트키(200)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키(200)로부터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으로 인증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스마트키(200)가 제1 통신부(20)로 전송하는 인증정보는 차량고유번호와 수신 LF 프레임의 타임스탬프 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부(30)는 제어부(40)에 의해 활성화되어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스마트키(200)와 통신할 수 있다. 즉, 제2 통신부(30)는 인증정보를 요청하는 프레임에 타임스탬프를 삽입하여 스마트키(200)으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키(200)으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스마트키(200)가 제2 통신부(30)로 전송하는 인증정보는 차량고유번호, 수신 프레임의 타임스탬프 값(이하, 제1 타임스탬프 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부(30)는 제어부(40)에 의해 활성화되어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스마트폰(300)과 통신할 수 있다. 즉, 제2 통신부(30)는 인증정보를 요청하는 프레임에 타임스탬프를 삽입하여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폰(300)으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스마트폰(300)이 제2 통신부(30)로 전송하는 인증정보는 스마트폰 고유번호,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 수신 프레임의 타임스탬프 값(이하, 제2 타임스탬프 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신부(20)가 스마트키(200)와 통신하는 주기와 제2 통신부(30)가 스마트키(200) 및 스마트폰(300)과 통신하는 주기는 동일하다. 따라서, 스마트키(200)가 제1 통신부(20)로부터 수신한 LF 프레임의 타임스탬프 값과, 스마트키(200)가 제2 통신부(30)로부터 수신한 프레임의 타임스탬프 값과, 스마트폰(300)이 제2 통신부(30)로부터 수신한 프레임의 타임스탬프 값은 모두 동일하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제어부(40)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에 구비된 제어부가 사용자를 인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스마트키(200)에는 근거리 통신 모듈(210)이 구비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는 사용자에 의해 차량의 도어 핸들버튼(110)이 눌리면(또는 터치되면) 제1 통신부(20)와 제2 통신부(30)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렇게 활성화된 제1 통신부(20)는 스마트키(200)와 통신하고, 제2 통신부(30)는 스마트키(200) 및 스마트폰(300)과 통신한다.
제어부(40)는 제1 통신부(20)를 통해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과, 제2 통신부(30)를 통해 수신한 제1 타임스탬프 값(스마트키(200)로부터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과, 제2 타임스탬프 값(스마트폰(300)으로부터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이 모두 동일하면 IBU(Integrated Body Unit, 400)를 통해 사용자의 차량 출입은 물론 시동도 허여한다.
이때, 제어부(40)는 기 등록된 스마트폰(300)과 통신하지 못한 경우, 즉 기 등록된 스마트폰(300)으로부터 제2 타임스탬프 값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제1 통신부(20)를 통해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과, 제2 통신부(30)를 통해 수신한 제1 타임스탬프 값이 동일하면 IBU(Integrated Body Unit, 400)를 통해 사용자의 차량 출입은 물론 시동도 허여한다.
또한, 제어부(40)는 제1 통신부(20)를 통해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과, 제2 통신부(30)를 통해 수신한 제1 타임스탬프 값이 동일하지 않으면 RSA(Relay Station Attack)으로 판단하여 IBU(400)를 통해 DVRS을 활성화하고, 아울러 텔레매틱스 모듈(500)을 통해 차량 소유주의 스마트폰으로 RSA를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는 사용자의 차량 출입은 물론 시동도 허여하지 않는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RSA(Relay Station Attack)로 판단하는 근거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에 구비된 제어부가 RSA를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RSA는 중계기(410)를 이용하여 제1 통신부(20)로부터 송신되는 LF 신호를 중계하기 때문에 스마트키(200)에 LF 신호가 지연되어 수신된다. 즉, 스마트키(200)에 수신되는 LF 프레임의 타임스탬프 값과 스마트키(200)에 수신되는 근거리 통신 프레임의 타임스탬프 값이 달라지게 된다.
상기에서도 언급했지만, 중계기(410)를 거치지 않는 경우 스마트키(200)에 수신되는 LF 프레임의 타임스탬프 값과 스마트키(200)에 수신되는 근거리 통신 프레임의 타임스탬프 값은 동일하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먼저, 제1 통신부(20)가 스마트키(200)와 통신한다(501).
이후, 제2 통신부(20)가 스마트폰(300)과 통신한다(502).
이후, 제어부(40)가 제1 통신부(20)를 통해 수신한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키(200)를 인증하고, 제2 통신부(30)를 통해 수신한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폰(300)을 인증한다(503).
도 6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먼저, 제1 통신부(20)가 스마트키(200)와 통신한다(601).
그리고, 제2 통신부(30)가 상기 스마트키(200) 및 스마트폰(300)과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통신한다(602). 이때, 제1 통신부(20)의 통신주기와 제2 통신부(30)의 통신주기는 서로 동기화되어 있다.
이후, 제어부(40)가 제1 통신부(20)를 통해 상기 스마트키(200)로부터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과, 제2 통신부(30)를 통해 상기 스마트키(200)로부터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과 상기 스마트폰(300)으로부터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한다(603).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팅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컴퓨팅 시스템을 통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0)은 시스템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SSD(Solid State Drive),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저장부
20: 제1 통신부
30: 제2 통신부
40: 제어부
200: 스마트키
300: 스마트폰
400: IBU

Claims (20)

  1. 스마트키와 통신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스마트키 및 스마트폰과 통신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과,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과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가 스마트키와 통신하는 주기와, 상기 제2 통신부가 스마트키 및 스마트폰과 통신하는 주기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는,
    LF(Low Frequency) 프레임에 타임스탬프를 삽입하여 스마트키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키가 수신한 LF 프레임의 타임스탬프 값을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 프레임에 타임스탬프를 삽입하여 상기 스마트키와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키가 수신한 근거리 통신 프레임의 타임스탬프 값을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스마트폰이 수신한 근거리 통신 프레임의 타임스탬프 값을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과,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과,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이 모두 동일하면 사용자를 정상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과,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이 동일하면 사용자를 정상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과, 제2 통신부를 통해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이 동일하지 않으면 DVRS(Drive Video Record System)을 활성화하고, 차량 소유주의 스마트폰으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
  8. 제1 통신부가 스마트키와 통신하는 단계;
    제2 통신부가 상기 스마트키 및 스마트폰과 통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과,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과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가 스마트키와 통신하는 주기와, 상기 제2 통신부가 스마트키 및 스마트폰과 통신하는 주기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가 스마트키와 통신하는 단계는,
    LF(Low Frequency) 프레임에 타임스탬프를 삽입하여 스마트키로 전송하는 ㄷ단계; 및
    상기 스마트키가 수신한 LF 프레임의 타임스탬프 값을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부가 상기 스마트키 및 스마트폰과 통신하는 단계는,
    근거리 통신 프레임에 타임스탬프를 삽입하여 상기 스마트키와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키가 수신한 근거리 통신 프레임의 타임스탬프 값을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이 수신한 근거리 통신 프레임의 타임스탬프 값을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과,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과,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이 모두 동일하면 사용자를 정상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과,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이 동일하면 사용자를 정상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과, 제2 통신부를 통해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한 타임스탬프 값이 동일하지 않으면 DVRS(Drive Video Record System)을 활성화하고, 차량 소유주의 스마트폰으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15. 스마트키와 통신하는 제1 통신부;
    스마트폰과 통신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키를 인증하고,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인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차량의 도어 핸들버튼이 눌리면 상기 제1 통신부와 상기 제2 통신부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
  16. 삭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은 정상이지만 상기 스마트폰에 대한 인증이 실패한 경우, DVRS(Drive Video Record System)을 활성화하고, 차량 소유주의 스마트폰으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
  18. 제1 통신부가 스마트키와 통신하는 단계;
    제2 통신부가 스마트폰과 통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키를 인증하고,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인증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차량의 도어 핸들버튼이 눌리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통신부와 상기 제2 통신부를 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19. 삭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은 정상이지만 상기 스마트폰에 대한 인증이 실패한 경우, DVRS(Drive Video Record System)을 활성화하고, 차량 소유주의 스마트폰으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190080542A 2019-07-04 2019-07-04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Active KR102751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542A KR102751281B1 (ko) 2019-07-04 2019-07-04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16/684,036 US11077828B2 (en) 2019-07-04 2019-11-14 Vehicle smart entry system and method therefor
CN201911164491.2A CN112188431B (zh) 2019-07-04 2019-11-25 车辆智能进入系统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542A KR102751281B1 (ko) 2019-07-04 2019-07-04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305A KR20210004305A (ko) 2021-01-13
KR102751281B1 true KR102751281B1 (ko) 2025-01-10

Family

ID=73919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542A Active KR102751281B1 (ko) 2019-07-04 2019-07-04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77828B2 (ko)
KR (1) KR102751281B1 (ko)
CN (1) CN1121884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51281B1 (ko) * 2019-07-04 2025-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11254288B1 (en) * 2020-10-29 2022-02-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ynamic relay attack prevention using time of flight and RF fingerprinting
CN113727303A (zh) * 2021-08-31 2021-11-30 大陆汽车电子(长春)有限公司 电子设备及车辆进入系统
JP7632188B2 (ja) * 2021-08-31 2025-02-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12131620B2 (en) * 2021-11-19 2024-10-29 Robert Bosch Gmbh Personal safety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5376A (ja) * 2012-03-08 2013-09-19 Omron Automotive Electronics Co Ltd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携帯機
JP2018165450A (ja) * 2017-03-28 2018-10-25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500460D0 (en) * 2005-01-11 2005-02-1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Time of flight
US8847731B2 (en) * 2007-10-10 2014-09-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a vehicle
KR100957297B1 (ko) * 2008-04-28 2010-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마트키 감지 시스템
KR20100029988A (ko) * 2008-09-09 2010-03-18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ke 시스템에서 스마트 키 인식 장치 및 방법
GB2496846B (en) * 2011-11-16 2014-06-11 Jaguar Land Rover Ltd Security system for a vehicle
CN202593445U (zh) * 2012-04-01 2012-12-12 上海海拉电子有限公司 一种汽车进入启动系统
US10831859B2 (en) * 2012-11-07 2020-11-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ardware and controls for personal vehicle rental
WO2014146186A1 (en) * 2013-03-22 2014-09-25 Keyfree Technologies Inc. Managing access to a restricted area
US8930045B2 (en) * 2013-05-01 2015-01-06 Delphi Technologies, Inc. Relay attack prevention for passive entry passive start (PEPS) vehicle security systems
US9499125B2 (en) * 2013-10-29 2016-11-2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hicle system for activating a vehicle component to provide vehicle access
EP3072317B1 (en) * 2013-11-22 2018-05-1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n interior of a vehicle based on preferences provided with multiple mobile computing devices within the vehicle
JP6294109B2 (ja) * 2014-03-07 2018-03-1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マートシステム
US20160150407A1 (en) * 2014-11-26 2016-05-26 Wind River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o An Automobile
JP6354542B2 (ja) * 2014-11-26 2018-07-1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自動運転システム
JP6354541B2 (ja) * 2014-11-26 2018-07-1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遠隔操作システム、携帯通信機
US10384643B2 (en) * 2015-01-14 2019-08-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irtual keyfob for vehicle sharing
KR101737520B1 (ko) * 2015-04-30 2017-05-1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기기간 인터랙션 기반의 차량 사고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차량 사고 정보 수집 방법 및 장치
US9842447B2 (en) * 2015-09-30 2017-12-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range-boosted key fob
US10218702B2 (en) * 2015-11-09 2019-02-26 Silvercar, Inc. Vehicle access systems and methods
KR102451433B1 (ko) * 2015-12-15 2022-10-07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을 구비한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US10521736B2 (en) * 2015-12-22 2019-12-31 GM Glboal Technology Operations LLC Ride sharing accessory device and system
US20170282859A1 (en) * 2015-12-22 2017-10-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On-sale vehicle sharing accessory device and system
DE102015226651B4 (de) * 2015-12-23 2024-08-2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en, Verfahren und Computerprogramm zum Steuern von Funktionen eines Fahrzeugs
KR101754876B1 (ko) * 2015-12-24 2017-07-12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이중 보안을 적용한 스마트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이중 보안 방법
JP6258989B2 (ja) * 2016-02-12 2018-01-10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車両制御システム
KR102543530B1 (ko) * 2016-03-10 2023-06-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도어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KR101718072B1 (ko) * 2016-03-30 2017-03-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540913B1 (ko) * 2016-04-15 2023-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마트키를 이용한 차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EP3236614B1 (en) * 2016-04-20 2021-08-11 e.solutions GmbH Technique for connecting a mobile device to multiple devices of a vehicle-based system
US20170349146A1 (en) * 2016-06-06 2017-12-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Keyless vehicle system that enables servicing
US9845071B1 (en) * 2016-06-06 2017-12-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Keyless car sharing mechanism using smartphones and inbuilt WiFi systems for authentication
DE102016217318A1 (de) * 2016-07-26 2018-02-0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Computerprogramm und Vorrichtung zum Überprüfen einer Berechtigung eines mobilen Kommunikationsgeräts
US10788879B2 (en) * 2016-09-13 2020-09-29 M2 MD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for low power internetwork communication with machine devices
DE102016219135B4 (de) * 2016-10-04 2020-04-0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sicheren Entriegeln und/oder Verriegeln eines Fahrzeugs
US10328898B2 (en) * 2016-10-12 2019-06-25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Passive entry / passive start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s
EP3321892A1 (en) * 2016-11-10 2018-05-16 Gemalto Sa A physical key for provisioning a communication device with data allowing it to access a vehicle resource
US10532719B2 (en) * 2016-12-30 2020-01-14 Robert Bosch Gmbh Bluetooth low energy (BLE) passive vehicle access control system for defending the system against relay attacks and method thereof
CN106934884A (zh) * 2017-01-19 2017-07-07 云丁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设备的智能门锁自动开锁的方法及其系统
US9911259B1 (en) * 2017-01-20 2018-03-06 Lear Corporation Passive entry passive start (PEPS) system with integrated authorization and ranging communications
EP3419241B1 (en) * 2017-06-21 2019-12-25 Volvo Car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a physical layer relay attack
DE102017210523B3 (de) * 2017-06-22 2018-07-2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passiven funkbasierten Schließvorrichtung und passive funkbasierte Schließvorrichtung
KR102363280B1 (ko) * 2017-06-23 2022-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보안 정보 제공 및 관리 장치 및 방법
CN107483415B (zh) * 2017-07-26 2021-06-25 国网江西省电力公司南昌供电分公司 一种共享用电交互系统的双向认证方法
EP3696031A4 (en) * 2017-10-11 2021-05-26 Wonki Cho METHOD AND DEVICE FOR INTELLIGENT CONTROL OF A VEHICLE DURING THE DEFENSE AGAINST RSA BY THE USE OF A MOBILE DEVICE
US10919493B2 (en) * 2018-02-08 2021-02-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bile device relay attack detection and power management for vehicles
US11228601B2 (en) * 2018-03-20 2022-01-18 Intel Corporation Surveillance-based relay attack prevention
US10732622B2 (en) * 2018-04-05 2020-08-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dvanced user interaction features for remote park assist
JP7003820B2 (ja) * 2018-04-09 2022-01-21 株式会社Soken 車両用電子キーシステム
CN208137684U (zh) * 2018-04-28 2018-11-23 青岛理工大学 一种智能家居门锁系统
US10943416B2 (en) * 2018-05-09 2021-03-09 Strattec Security Corporation Secured communication in passive entry passive start (PEPS) systems
CN108661462B (zh) * 2018-05-16 2020-01-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智能门锁的控制方法和控制系统
US10538220B1 (en) * 2018-09-06 2020-01-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User activated/deactivate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s (SRWC) auxiliary key fob
US10943417B2 (en) * 2018-10-12 2021-03-0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Passive entry/passive start access systems including round trip time sniffing
US11034330B2 (en) * 2018-11-09 2021-06-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digital vehicle keys to passive NFC devices via NFC
US11483320B2 (en) * 2019-03-22 2022-10-25 Voxx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ctive relay station attacks between two multimedia communication platforms
KR102751281B1 (ko) * 2019-07-04 2025-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5376A (ja) * 2012-03-08 2013-09-19 Omron Automotive Electronics Co Ltd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携帯機
JP2018165450A (ja) * 2017-03-28 2018-10-25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77828B2 (en) 2021-08-03
KR20210004305A (ko) 2021-01-13
CN112188431B (zh) 2024-10-11
US20210001807A1 (en) 2021-01-07
CN112188431A (zh) 202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51281B1 (ko)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EP3885204B1 (en) Automobile control method and device based on nfc automobile key, automobile and storage medium
JP6626565B2 (ja) 車両の起動方法
US9855918B1 (en) Proximity confirming passive access system for vehicle
CN108122311B (zh) 车辆虚拟钥匙实现方法及系统
US9865112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identification for vehicle access
US9865113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identification and key management for vehicle access
EP3463993B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identification and key managemement for vehicle access
US20180265040A1 (en) Security apparatus
US20190232919A1 (en) Method for authorizing virtual key and server
CN107650863A (zh) 车辆共享方法及系统
CN112644423B (zh) 用于使用安全密码进入系统起动车辆的系统和方法
CN115439959B (zh) 用于控制对机动车辆的至少一个功能的访问的方法
US20070001805A1 (en) Multiple vehicle authentication for entry and starting systems
CN102165467A (zh) 用于根据授权来控制非接触式接口设备的方法和通信系统
CN109446767A (zh) 车辆人员身份安全验证方法、设备及系统
EP3503044A1 (en) Method of getting access to a vehicle
JP2023118733A (ja) 不正通信防止システム及び不正通信防止方法
US20190210562A1 (en) Access and driving authorization system with increased security against relay attacks on the transponding interface
US11485317B2 (en) Concept for provision of a key signal or an immobilizer signal for a vehicle
CN113763602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以及非临时性存储介质
US201700982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ly accessing a vehicle
US11330413B2 (en) Method for operating a transmitting device of a motor vehicle transmit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CN110573390B (zh) 用于机动车的认证设备和认证系统
JP2020125588A (ja)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6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7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05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