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50840B1 - 필터 세척 장치 - Google Patents
필터 세척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50840B1 KR102750840B1 KR1020210184211A KR20210184211A KR102750840B1 KR 102750840 B1 KR102750840 B1 KR 102750840B1 KR 1020210184211 A KR1020210184211 A KR 1020210184211A KR 20210184211 A KR20210184211 A KR 20210184211A KR 102750840 B1 KR102750840 B1 KR 1027508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hing
- filter
- area
- washing area
- washing tan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4—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 B01D46/7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involving vibrations
- B01D46/762—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involving vibrations involving sonic or ultrasonic wa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54—Allowing or improving visual supervision, e.g. lamps, transparent parts, window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8—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 B01D46/682—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by nozz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2—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필터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초음파 세척기가 구비되는 하측의 제 1 세척 영역; 및 린스액 분사기와 공기 분사기가 구비되는 상측의 제 2 세척 영역을 포함하는 세척조; 상기 필터를 거치하되, 제 1 회전 모터를 통해 상기 필터를 회전시키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와 연결되고, 승강 모터에 의해 승강하며 상기 거치부를 이송하는 이송부; 및 상기 제 1 세척 영역을 상기 제 2 세척 영역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필터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스 공급 관리소에는 공급되는 가스의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한 가스 필터가 다수 배치되고 있다. 이러한 가스 필터는 사용에 따라 각종 이물질 및 유지류가 부착되게 되어 오염되게 된다. 종래에는 오염된 가스 필터를 재활용하지 않고 폐기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원가 절감 및 자원 재활용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오염된 가스 필터를 세척하여 재활용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원통형의 필터를 세척하는 기술로는 유체를 통한 초고압 분사가 일반적으로 이용되는데, 이러한 초고압 분사에 따를 경우 미세 이물질의 제거는 가능하지만 세척 대상물의 파손 및 손상 가능성이 있다.
또한, 가스 공급 관리소 내부의 한정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필터를 세척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크기를 갖는 필터 세척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필터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필터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초음파 세척기가 구비되는 하측의 제 1 세척 영역; 및 린스액 분사기와 공기 분사기가 구비되는 상측의 제 2 세척 영역을 포함하는 세척조; 상기 필터를 거치하되, 제 1 회전 모터를 통해 상기 필터를 회전시키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와 연결되고, 승강 모터에 의해 승강하며 상기 거치부를 이송하는 이송부; 및 상기 제 1 세척 영역을 상기 제 2 세척 영역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면, 상기 이송부는 상기 거치부를 상기 제 1 세척 영역으로 이송하고, 상기 초음파 세척기에 의해 상기 필터가 세척되면, 상기 이송부는 상기 거치부를 상기 제 2 세척 영역으로 이송하며, 상기 차단부가 상기 제 1 세척 영역을 상기 제 2 세척 영역으로부터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세척조의 일측에 연결되며, 제 2 회전 모터에 의해 상기 세척조의 횡단면에 평행한 제 1 상태 및 상기 세척조의 횡단면에 수직한 제 2 상태 사이에서 회전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조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조를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의 일측에는, 상기 거치부를 상기 제 2 세척 영역에서 상측으로 이송할 때 상기 덮개부의 하측에 접하며 상기 덮개부를 상측으로 이송하는 걸림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 영역이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세척 영역에는, 상기 필터에 분사된 린스액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를 고압 세척하지 않고 초음파 세척함으로써, 고압에 의한 필터의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고, 필터의 재활용률이 상승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부를 통해 거치부를 제 1 세척 영역 및 제 2 세척 영역 사이에서 수직 이동시킴으로써, 필터의 세척, 헹굼 및 건조를 1개의 세척조에서 진행할 수 있게 되므로, 필터 세척 장치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세척 과정에서 필터가 거치부에서 회전하므로, 필터의 모든 면이 세척되어 세척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가 초음파 세척된 후 제 2 세척 영역으로 이동하면 차단막이 제 1 세척 영역을 제 2 세척 영역으로부터 차단하여, 제 2 세척 영역에서 분사되는 린스액이 제 1 세척 영역의 세척액에 혼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덮개부가 세척조를 외부로부터 차단하므로, 외부의 먼지 등이 세척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세척조 내부에서 분사되는 린스액 등이 외부로 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척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척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척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척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척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척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구성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척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척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의 상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필터 세척 장치(1000)는, 세척조(100), 거치부(200), 이송부(300), 차단부(400) 및 덮개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조(100)는 필터(S)를 세척하고, 세척된 필터(S)를 헹굼 및 건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필터(S)가 수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세척 영역(110, 120)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척조(100)에는 초음파 세척기(111), 린스액 분사기 및/또는 공기 분사기가 구비되고, 필터(S)가 세척조(100) 내부로 이동하여 초음파 세척기(111)에 의해 세척된 후, 린스액 분사기에 의해 헹굼되고, 공기 분사기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또한, 세척조(100)에서 필터(S)가 고압 세척되지 않고 초음파 세척기(111)에 의해 초음파 세척되기 때문에, 고압에 의한 필터(S)의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고, 필터(S)의 재활용률이 상승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세척조(100)는 제 1 세척 영역(110) 및 제 2 세척 영역(1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세척 영역(110)에서 필터(S)의 세척을 수행할 수 있고, 제 2 세척 영역(120)에서 세척이 완료된 필터(S)의 헹굼 및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제 1 세척 영역(110)에 초음파 세척기(111)가 구비되고, 제 2 세척 영역(120)에 린스액 분사기와 공기 분사기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 2 세척 영역(120)에서 필터(S)의 세척을 수행하고, 제 1 세척 영역(110)에서 세척이 완료된 필터(S)의 헹굼 및 건조를 수행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제 1 세척 영역(110)은 세척조(100)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 2 세척 영역은 제 1 세척 영역(11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세척이 필요한 필터(S)가 세척조(100)로 투입되면, 필터(S)는 하측으로 이동하여 제 1 세척 영역(110)에서 세척된 후, 상측으로 이동하여 제 2 세척 영역(120)에서 헹굼 및 건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1 세척 영역(110)에는 세척액이 채워지고, 초음파 세척기(111)가 제 1 세척 영역(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새척액을 진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필터(S)가 제 1 세척 영역(110)으로 이동하면, 필터(S)는 세척액에 담지되고, 초음파 세척기(111)에 의한 세척액의 진동에 의해 필터(S)의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2 세척 영역(120)에는 제 1 분사기(121) 및/또는 제 2 분사기(12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 1 분사기(121)는 제 2 세척 영역(120)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 2 분사기(122)는 제 1 분사기(121)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분사기(121)는 린스액 분사기이고, 제 2 분사기(122)는 공기 분사기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1 분사기(121)가 공기 분사기이고 제 2 분사기(122)가 린스액 분사기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 1 분사기(121)와 제 2 분사기(122)가 각각 린스액 분사기와 공기 분사기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제 1 분사기(121) 및/또는 제 2 분사기(122)는 세척조(100)의 둘레로부터 필터(S)와 평행하게 내측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때 제 1 분사기(121) 및 제 2 분사기(122)는 필터(S)의 길이 이상의 길이를 갖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S) 전체가 헹굼 및/또는 건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2 세척 영역(120)에는 배출구(123)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세척 영역(120)에서 필터(S)에 분사된 린스액이 (구체적으로, 차단부(400) 상면을 따라 흐른 후) 배출구(123)로 배출될 수 있다.
거치부(200)는 필터(S)를 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치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S)를 거치할 수 있도록 소정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세척조(100) 내부에서 세척조(100)의 횡단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세척조(100)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거치부(200)는 거치봉(210) 및 제 1 회전 모터(220)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봉(21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거치봉(210) 사이에 필터(S)가 안착됨으로써 필터(S)가 거치부(200)에 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회전 모터(220)는 거치봉(210)의 단부에 결합되어 거치봉(210)을 회전시킴으로써, 거치봉(210)에 안착된 필터(S)를 회전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거치봉(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날개부(21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날개부(211)에 필터(S)가 안착되고, 복수의 날개부(211) 사이에서는 거치봉(210)과 필터(S)가 접촉하지 않게 되어, 거치봉(210)과 필터(S)의 접촉 면적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거치봉(210)의 회전에 의한 거치봉(210)과 필터(S) 사이의 마찰이 감소하여, 필터(S)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송부(300)는 거치부(200)를 이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S)가 거치부(200)에 거치되면, 이송부(300)는 거치부(200)를 제 1 세척 영역(110)으로 이송한 후, 제 2 세척 영역(120)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때 제 2 세척 영역(120)으로의 이송은 초음파 세척기(111)에 의해 필터(S)가 세척된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송부(300)는 승강 본체(310); 승강 본체(310)가 거치되는 승강 레일(320); 및 승강 본체(310)를 승강 레일(320) 상에서 이동시키는 승강 모터(330); 및 승강 본체(310)와 거치부(200)를 연결하는 연결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승강 모터(330)에 의해 승강 본체(310)가 승강 레일(320) 상에서 이동함에 따라, 연결부(340)에 의해 승강 본체(310)와 연결된 거치부(200)가 세척조(100) 상에서 승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 본체(310)는 세척조(100)의 상측에 배치되고, 연결부(340)가 승강 본체(31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하여 거치부(200)와 연결될 수 있다.
차단부(400)는 제 1 세척 영역(110)을 제 2 세척 영역(120)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부(400)는 거치부(200)가 제 1 세척 영역(110)에 있을 때에는 제 1 세척 영역(110)과 제 2 세척 영역(120)을 차단하지 않고 있다가, 이송부(300)가 거치부(200)를 제 1 세척 영역(110)에서 제 2 세척 영역(120)으로 이송하면 제 1 세척 영역(110)을 제 2 세척 영역(120)으로부터 차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차단부(400)는 세척조(100)의 일측(특히, 제 1 세척 영역(110)과 제 2 세척 영역(120) 사이에 위치하는 세척조(100)의 일측)에 연결되며, 세척조(100)의 횡단면에 평행한 제 1 상태 및 세척조(100)의 횡단면에 수직한 제 2 상태 사이에서 회전 전환되며, 제 1 세척 영역(110)을 제 2 세척 영역(120)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단부(400)는 제 2 회전 모터(4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차단부(400)는 제 2 회전 모터(410)에 의해 세척조(100)의 일측에서 회전함으로써, 제 1 상태와 제 2 상태 사이에서 회전 전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차단부(400)는 제 1 세척 영역(110)의 상면과 대응하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차단부(400)는 단부가 절곡되고, 제 2 상태에서 차단부(400)의 단부가 배출구(123)에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S)가 분사된 린스액은 차단부(400)의 상면에서 흐르다가 절곡된 차단부(400)의 단부를 따라서 배출구(123)로 유입될 수 있다.
덮개부(500)는, 세척조(100)의 상단에 배치되어 세척조(100)를 외부로부터 차단할 수 있다. 세척조(100)가 외부로부터 차단됨에 따라, 필터(S)의 세척 과정에서 외부의 먼지 등이 세척조(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필터(S)에 분사되는 린스액 등이 세척조(100) 외부로 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덮개부(500)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 영역이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500)의 내부가 투시됨에 따라 세척 진행 상황의 육안 관찰이 가능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부(500)는 전체적으로 불투명 재질로 형성되되, 중앙에 투명 재질의 투시창(510)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덮개부(500) 전체가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덮개부(500)는 필터(S)의 세척, 헹굼 및 건조가 완료되면 세척조(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이송부(300)의 일측, 특히 연결부(340)의 일측에는 걸림부(350)가 구비될 수 있다. 걸림부(350)는 이송부(300)의 승강과 함께 승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부(300)가 거치부(200)를 제 2 세척 영역(120)에서 상측으로 이송할 때, 걸림부(350)가 덮개부(500)의 하측에 접하며 덮개부(500)를 상측으로 이송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필터 세척 장치(1000)는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척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의 (a)는 필터가 제 1 세척 영역에 위치할 때의 필터 세척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의 (b)는 필터가 제 2 세척 영역에 위치할 때의 필터 세척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4의 (c)는 필터가 세척조 외부에 위치할 때의 필터 세척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거치부(200)에 필터(S)를 거치하면, 거치부(200)와 연결된 승강 본체(310)가 승강 모터(330)에 의해 승강 레일(320)을 따라 하강하여, 거치부(200)가 제 1 세척 영역(110)으로 이동할 수 있다. 거치부(200)가 제 1 세척 영역(110)으로 이동하면, 제 1 세척 영역(110)에 채워진 세척액에 필터(S)가 담지될 수 있다. 이후 초음파 세척기(111)가 작동하여 세척액이 진동하고, 진동에 의해 필터(S)의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제 1 세척 영역(110)에서의 필터(S)의 세척이 완료되면, 승강 본체(310)가 상승하여, 거치부(200)가 제 2 세척 영역(120)으로 이동할 수 있다. 거치부(200)가 제 2 세척 영역(120)으로 이동하면, 차단부(400)가 회전하여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제 1 세척 영역(110)이 제 2 세척 영역(120)으로부터 차단될 수 있다. 이후 린스액 분사기에 의해 필터(S)에 린스액이 분사되어, 필터(S)에 잔류하던 세척액과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필터(S)에 분사된 린스액은 배출구(12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후 공기 분사기에 의해 필터(S)에 공기가 분사되어, 필터(S)가 건조될 수 있다.
필터(S)의 헹굼 및 건조가 완료되면, 승강 본체(310)가 상승하여, 거치부(200)가 세척조(100)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승강 본체(310)의 상승 과정에서, 걸림부(350)가 덮개부(500)의 하부면에 접하며 덮개부(500)를 함께 상승시킬 수 있다. 이후 외부로 이동한 거치부(200)에 거치된 필터(S)를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다.
도 4에 따른 필터 세척 장치(1000)의 동작은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동작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세척조 110: 제 1 세척 영역
111: 초음파 세척기 120: 제 2 세척 영역
121: 제 1 분사기 122: 제 2 분사기
123: 배출구 200: 거치부
210: 거치봉 211: 날개부
220: 제 1 회전 모터 300: 이송부
310: 승강 본체 320: 승강 레일
330: 승강 모터 340: 연결부
350: 걸림부 400: 차단부
410: 제 2 회전 모터 500: 덮개부
510: 투시창
111: 초음파 세척기 120: 제 2 세척 영역
121: 제 1 분사기 122: 제 2 분사기
123: 배출구 200: 거치부
210: 거치봉 211: 날개부
220: 제 1 회전 모터 300: 이송부
310: 승강 본체 320: 승강 레일
330: 승강 모터 340: 연결부
350: 걸림부 400: 차단부
410: 제 2 회전 모터 500: 덮개부
510: 투시창
Claims (7)
- 필터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로서,
초음파 세척기가 구비되는 하측의 제 1 세척 영역; 및 린스액 분사기와 공기 분사기가 구비되는 상측의 제 2 세척 영역을 포함하는 세척조;
상기 필터를 거치하되, 제 1 회전 모터를 통해 상기 필터를 회전시키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와 연결되고, 승강 모터에 의해 승강하며 상기 거치부를 이송하는 이송부; 및
상기 제 1 세척 영역을 상기 제 2 세척 영역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세척 영역에는, 상기 필터에 분사된 린스액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는,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면, 상기 이송부는 상기 거치부를 상기 제 1 세척 영역으로 이송하고,
상기 초음파 세척기에 의해 상기 필터가 세척되면, 상기 이송부는 상기 거치부를 상기 제 2 세척 영역으로 이송하며, 상기 차단부가 상기 제 1 세척 영역을 상기 제 2 세척 영역으로부터 차단하는,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세척조의 일측에 연결되며, 제 2 회전 모터에 의해 상기 세척조의 횡단면에 평행한 제 1 상태 및 상기 세척조의 횡단면에 수직한 제 2 상태 사이에서 회전 전환되는,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조를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일측에는, 상기 거치부를 상기 제 2 세척 영역에서 상측으로 이송할 때 상기 덮개부의 하측에 접하며 상기 덮개부를 상측으로 이송하는 걸림부가 구비되는,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 영역이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84211A KR102750840B1 (ko) | 2021-12-21 | 2021-12-21 | 필터 세척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84211A KR102750840B1 (ko) | 2021-12-21 | 2021-12-21 | 필터 세척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94790A KR20230094790A (ko) | 2023-06-28 |
KR102750840B1 true KR102750840B1 (ko) | 2025-01-09 |
Family
ID=86994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84211A Active KR102750840B1 (ko) | 2021-12-21 | 2021-12-21 | 필터 세척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5084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93460B1 (ko) * | 2024-04-19 | 2025-04-09 | 주식회사 주원씨앤아이(Cni) | 에어컨 필터의 세척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51286A (ja) * | 2002-02-27 | 2003-09-09 | Mitsubishi Heavy Ind Ltd | 空調機用フィルター洗浄装置 |
JP2017202469A (ja) * | 2016-05-13 | 2017-11-16 | ジャパン・フィールド株式会社 | 被洗浄物の洗浄方法及びその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04546B1 (ko) * | 1990-11-01 | 1994-05-25 | 주식회사 코오롱 | 합성수지가 적층된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
JPH06459A (ja) * | 1992-06-19 | 1994-01-11 | T H I Syst Kk | 洗浄乾燥方法とその装置 |
JPH07171525A (ja) * | 1993-12-22 | 1995-07-11 | Sonitsuku Fueroo Kk | 超音波洗浄装置 |
-
2021
- 2021-12-21 KR KR1020210184211A patent/KR10275084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51286A (ja) * | 2002-02-27 | 2003-09-09 | Mitsubishi Heavy Ind Ltd | 空調機用フィルター洗浄装置 |
JP2017202469A (ja) * | 2016-05-13 | 2017-11-16 | ジャパン・フィールド株式会社 | 被洗浄物の洗浄方法及びその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94790A (ko) | 2023-06-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67618B1 (ko) |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 |
KR0175072B1 (ko) | 세정장치 및 세정방법 | |
KR101899435B1 (ko) | 웨이퍼 처리 장치 | |
KR102750840B1 (ko) | 필터 세척 장치 | |
KR20120015662A (ko) | 기판 처리 장치 | |
KR101760390B1 (ko) | 대상체 내외부면 세정 장치 | |
KR20150020634A (ko) | 기판 처리 방법 | |
JP2004507102A (ja) | 半導体ウェハコンテナ洗浄装置 | |
JP2013214744A (ja) | 基板処理装置 | |
KR101045058B1 (ko) | 백 노즐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기판 처리 장치 | |
KR20140031722A (ko) | 유리 기판 이송용 캐리어를 세척하는 장치 및 방법 | |
KR100839912B1 (ko) |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 |
JPH1126547A (ja) | ウエット処理装置 | |
JP2013175672A (ja) | 洗浄処理装置および洗浄処理方法 | |
TWI543287B (zh) | 基板處理裝置及基板處理方法 | |
KR20180096211A (ko) | 세정 및 린스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산업용 세척기 | |
KR101460272B1 (ko) | 노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기판 처리 방법 | |
JP3934745B2 (ja) | 基板授受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ウエット処理装置 | |
JP4043039B2 (ja) | 現像方法及び現像装置 | |
JP2002370071A (ja) | 洗浄装置 | |
JP3712552B2 (ja) | 基板処理装置 | |
KR100738443B1 (ko) | 기판 세정장치 및 기판 세정방법 | |
JPH07211685A (ja) | スピンナー洗浄装置 | |
KR102748912B1 (ko) | 노즐 대기 포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 |
JP2022025929A (ja) | パレット脱水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5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26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