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49132B1 - 환경친화형 논 이소시아네이트 타입의 폴리우레탄 방수재 - Google Patents

환경친화형 논 이소시아네이트 타입의 폴리우레탄 방수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49132B1
KR102749132B1 KR1020230176268A KR20230176268A KR102749132B1 KR 102749132 B1 KR102749132 B1 KR 102749132B1 KR 1020230176268 A KR1020230176268 A KR 1020230176268A KR 20230176268 A KR20230176268 A KR 20230176268A KR 102749132 B1 KR102749132 B1 KR 102749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clic carbonate
weight
terminal precursor
carbonate terminal
polyurethane waterproof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6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근배
김형석
유재철
김호기
황태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헵스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헵스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헵스켐
Priority to KR1020230176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491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49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4913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25Poly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4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20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 C08G64/32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using carbon dioxide
    • C08G64/34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using carbon dioxide and cyclic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Abstract

폴리우레탄 방수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형 카보네이트(carbonate) 말단 전구체 50 내지 60 중량%, 충진제 25 내지 35 중량%, 가소제 3 내지 10 중량% 및 용매 5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주제와 아민(amine) 화합물인 경화제로 구성되는 폴리우레탄 방수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지 않아 환경친화적이고 인체 유해성이 낮은 폴리우레탄 방수재를 제공할 수 있고, 환경친화적이고 인체 유해성이 낮아 폴리우레탄 방수재가 안전하게 더욱 널리 사용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환경친화형 논 이소시아네이트 타입의 폴리우레탄 방수재{Environment-friendly polyurethane material for waterproof having non-isocyanate}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방수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지 않아 환경친화적이고 인체 유해성이 없는 폴리우레탄 방수재에 관한 것이다.
구조물 등에서의 방수를 위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재료나 시공 방법 등에 있어서 매우 다양하다.
토목 및 건축용으로서 폴리우레탄 소재는 80년대 초 도입되었는데, 이는 소재 자체로서의 특징인 이음새 없는 시공이 가능하고 복잡한 형태의 구조물에 대해 잘 순응하는 시공상의 특성을 가진다. 이에 더하여, 소지면과의 접착성, 내약품성, 내구성과 같은 화학적인 특성과 흡음성, 치수안정성과 같은 물리적인 성질이 뛰어나며, 특히 폴리우레탄 소재는 신장율이 우수하다는 큰 장점 때문에 하지 균열에 대한 추종성이 뛰어나 건축물의 내, 외벽 및 바닥 방수재로서 지속적으로 사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현재 이처럼 건축용으로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NCO-Prepolymer)를 주제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때 이소시아네이트 플리폴리머를 합성하기 위해서는 이소시아네이트(NCO-) 작용기가 2개 이상인 단량체를 사용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를 갖는 단량체는 환경 오염을 유발할 수 있고, 인체 피부와 호흡기에 매우 유해하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를 합성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를 흡입 또는 접촉하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으며, 프리폴리머로 합성되었다 하여도 미량의 단량체가 잔류하여 공사 현장에서 작업자가 흡입할 수 있는 위험성도 항상 내제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하여 기존의 폴리우레탄 방수재의 경우 실외 공사에서 주로 사용되거나 실내 공사나 밀폐된 공간 등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자가 마스크 등 보호 장구의 착용이 필요하다.
따라서 환경친화적이고 인체에 유해 가능성이 없는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지 않는 환경친화적이고 유해성이 없는 폴리우레탄 방수재가 요구된다.
그리고 이로 인하여 폴리우레탄 방수재의 사용 범위를 더욱 확대하고 작업자의 안전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폴리우레탄 방수재가 요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지 않아 환경친화적이고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폴리우레탄 방수재를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환경친화적이고 인체에 유해성이 적어 안전하게 더욱 널리 사용될 수 있게 하는 폴리우레탄 방수재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폴리우레탄 방수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우레탄 방수재에 있어서, 환형 카보네이트(carbonate) 말단 전구체 50 내지 60 중량%, 충진제 25 내지 35 중량%, 가소제 3 내지 10 중량% 및 용매 5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주제; 및 아민(amine) 화합물인 경화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방수재가 제공된다.
상기 주제는, 소포제 및 분산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포제 및 분산제는 각각 1 중량% 이하로 상기 주제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환형 카보네이트 말단 전구체는 에폭시 화합물 및 CO2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안료 및 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료는 전체 중량%에서 1 내지 5 중량% 및 상기 촉매는 0. 1 내지 0.5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아민 화합물은 디아민(diamine) 및 트리아민(triamine)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주제 및 상기 경화제는, 상기 경화제 1의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주제를 2 내지 4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폴리우레탄 방수재에 의하면,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지 않아 환경친화적이고 인체에 유해성이 낮은 폴리우레탄 방수재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환경친화적이고 인체에 유해성이 낮아 폴리우레탄 방수재가 안전하게 더욱 널리 사용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방수재를 제조하는 순서를 예시하여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폴리우레탄 방수재는 주제와 경화제가 분리된 2액형 폴리우레탄 방수재로서, 환경친화적이고 작업자의 위생과 안전 등을 고려하여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이용하지 않고 폴리우레탄 방수재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특성이 발휘되도록 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폴리우레탄 방수재 및 그 제조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방수재를 제조하는 순서를 예시하여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방수재는 2액형으로서 주제를 제조하고(S100), 경화제를 각각 제조하여(S102), 제조된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S104) 방수재로서 사용한다.
주제의 경우, 환형 카보네이트(carbonate) 말단 전구체 50 내지 60 중량%, 충진제 25 내지 35 중량%, 가소제 3 내지 10 중량% 및 용매 5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경화제의 경우 아민(amine) 화합물로 제조될 수 있다.
주제에는 소포제 및 분산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소포제 및 분산제는 각각 1 중량% 이하로 주제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환형 카보네이트 말단 전구체는 에폭시 화합물 및 CO2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탄소 두 개와 산소 하나로 이루어진 삼각고리를 포함하는 화합물인 에폭사이드를 CO2로 반응시켜 에폭사이드의 구조를 카보네이트로 변환시키는 다양한 기술들이 존재하는데 이를 이용하여 환형 카보네이트 말단 전구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CO2의 배출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추가적으로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폴리우레탄 방수재의 제조에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는 대신 주 성분으로서 환형 카보네이트 말단 전구체를 사용하는 것이다.
한편, 경화제는 안료 및 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안료는 전체 중량%에서 1 내지 5 중량% 및 촉매는 0. 1 내지 0.5 중량% 비율로 포함되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화제에 사용되는 아민 화합물은 디아민(diamine) 및 트리아민(triamine)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폴리우레탄 방수재로 사용함에 있어서 경화제 1의 중량을 기준으로 주제를 2 내지 4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작업성이나 방수재의 사용 목적이나 장소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주제와 경화제의 비율을 달리하여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방수재의 제조 및 구성은 또한 다양한 제조 방법 및 구성으로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방수재의 제조 및 구성들에 대해 각각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다시 한번 살펴보기로 한다.
실시예 1
Mw 468의 환형 카보네이트 말단 전구체 42.3 중량부, Mw 분자량 2588의 환형 카보네이트 말단 전구체 12.7 중량부, 충진제(REXM, S1000) 29.0 중량부, 가소제(애경케미칼, DINP), 용제(여천NCC, Xylene) 8.0 중량부를 첨가한 후 1시간 동안 교반 후 진공탈포 하여 주제를 제조하였다.
Mw 230의 디아민(BASF, Baxxodur® EC 301) 50.0 중량부, Mw 440의 트리아민(HUNTSMAN, JEFFAMINE® T 403) 20.0 중량부, Mw 2000의 디아민(HUNTSMAN, JEFFAMINE® D-2000) 28.0 중량부, 촉매(MERCK, 1,5,7-Triazabicyclo[4.4.0]dec-5-ene) 0.1 중량부, 토너(경동실업, HC-GY-727) 2.0 중량부를 첨가 후 1시간 동안 교반 후 진공탈포 하여 경화제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주제와 경화제를 무게비 3 : 1 로 혼합하여 폴리우레탄 방수재를 도포하고 건조하여 방수도막의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Mw 728의 환형 카보네이트 말단 전구체 40.0 중량부, Mw 분자량 2588의 환형 카보네이트 말단 전구체 20.0 중량부, 충진제(REXM, S1000) 29.0 중량부, 가소제(애경케미칼, DINP), 용제(여천NCC, Xylene) 8.0 중량부를 첨가한 후 1시간 동안 교반 후 진공탈포 하여 주제를 제조하였다.
Mw 230의 디아민(BASF, Baxxodur® EC 301) 25.5 중량부, Mw 440의 트리아민(HUNTSMAN, JEFFAMINE® T 403) 20.0 중량부, Mw 2000의 디아민(HUNTSMAN, JEFFAMINE® D-2000) 52.5 중량부, 촉매(MERCK, 1,5,7-Triazabicyclo[4.4.0]dec-5-ene) 0.1 중량부, 토너(경동실업, HC-GY-727) 2.0 중량부를 첨가 후 1시간 동안 교반 후 진공탈포 하여 경화제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주제와 경화제를 무게비 3 : 1 로 혼합하여 폴리우레탄 방수재를 도포하고 건조하여 방수도막의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Mw 1088의 환형 카보네이트 말단 전구체 38.0 중량부, Mw 분자량 2588의 환형 카보네이트 말단 전구체 20.0 중량부, 충진제(REXM, S1000) 29.0 중량부, 가소제(애경케미칼, DINP), 용제(여천NCC, Xylene) 8.0 중량부를 첨가한 후 1시간 동안 교반 후 진공탈포 하여 주제를 제조하였다.
Mw 230의 디아민(BASF, Baxxodur® EC 301) 12.8 중량부, Mw 440의 트리아민(HUNTSMAN, JEFFAMINE® T 403) 20.0 중량부, Mw 2000의 디아민(HUNTSMAN, JEFFAMINE® D-2000) 65.2 중량부, 촉매(MERCK, 1,5,7-Triazabicyclo[4.4.0]dec-5-ene) 0.1 중량부, 토너(경동실업, HC-GY-727) 2.0 중량부를 첨가 후 1시간 동안 교반 후 진공탈포 하여 경화제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주제와 경화제를 무게비 3 : 1 로 혼합하여 폴리우레탄 방수재를 도포하고 건조하여 방수도막의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폴리우레탄 방수재의 비교예로서 KS F 3211 건설용 도막 방수재 1류 제품에 준하는 시중에 유통되는 폴리우레탄 방수재 제품의 물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 항목 시험 결과 시험
방법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인장강도
(N/mm2)
3.2 2.7 2.6 2.6 KS F 3211
신장률
(%)
480 550 620 460
인열강도
(N/mm)
19.2 16.2 15.7 14.2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방수재는 상기 표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시중에 유통되는 폴리우레탄 방수제와 비교하여 기본물성으로서 인장강도, 신장률, 인열강도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폴리우레탄 방수재는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지 않아 환경친화적이고 인체 유해성이 거의 없게 된다.
이렇게 환경친화적이고 인체에 유해성이 낮음으로 인하여 폴리우레탄 방수재가 안전하게 더욱 널리 사용될 수 있게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소시아네이트를 대신하는 주요 성분인 환형 카보네이트 말단 전구체가 CO2를 이용하여 제조되므로 CO2의 배출도 줄일 수 있어 더욱더 환경친화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폴리우레탄 방수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환형 카보네이트(carbonate) 말단 전구체 50 내지 60 중량%, 충진제 25 내지 35 중량%, 가소제 3 내지 10 중량% 및 용매 5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주제를 제조하는 단계와 아민(amine) 화합물인 경화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환형 카보네이트 말단 전구체는 중량 평균 분자량 468의 환형 카보네이트 말단 전구체 70 내지 80 중량%와 중량 평균 분자량 2588의 환형 카보네이트 말단 전구체 20 내지 3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방수재의 제조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카보네이트 말단 전구체는 중량 평균 분자량 468의 환형 카보네이트 말단 전구체 70 내지 80 중량%와 중량 평균 분자량 2588의 환형 카보네이트 말단 전구체 20 내지 3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대신하여,
    상기 환형 카보네이트 말단 전구체는 중량 평균 분자량 728의 환형 카보네이트 말단 전구체 60 내지 70 중량%와 중량 평균 분자량 2588의 환형 카보네이트 말단 전구체 30 내지 4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방수재의 제조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카보네이트 말단 전구체는 중량 평균 분자량 468의 환형 카보네이트 말단 전구체 70 내지 80 중량%와 중량 평균 분자량 2588의 환형 카보네이트 말단 전구체 20 내지 3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대신하여,
    상기 환형 카보네이트 말단 전구체는 중량 평균 분자량 1088의 환형 카보네이트 말단 전구체 60 내지 70 중량%와 중량 평균 분자량 2588의 환형 카보네이트 말단 전구체 30 내지 4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방수재의 제조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230176268A 2023-12-07 2023-12-07 환경친화형 논 이소시아네이트 타입의 폴리우레탄 방수재 Active KR102749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6268A KR102749132B1 (ko) 2023-12-07 2023-12-07 환경친화형 논 이소시아네이트 타입의 폴리우레탄 방수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6268A KR102749132B1 (ko) 2023-12-07 2023-12-07 환경친화형 논 이소시아네이트 타입의 폴리우레탄 방수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49132B1 true KR102749132B1 (ko) 2025-01-03

Family

ID=94242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6268A Active KR102749132B1 (ko) 2023-12-07 2023-12-07 환경친화형 논 이소시아네이트 타입의 폴리우레탄 방수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491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1395A (ko) * 2003-08-13 2006-06-26 훈츠만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스(스위처랜드) 게엠베하 이소시아네이트 없이 제조된 폴리우레탄 또는폴리우레탄-에폭시 혼성 수지 기반 나노 복합체
JP2019500442A (ja) * 2015-11-03 2019-01-10 ビーエーエスエフ コーティングス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BASF Coatings GmbH 反応性希釈剤としてのバイオベースのヒドロキシウレタ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1395A (ko) * 2003-08-13 2006-06-26 훈츠만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스(스위처랜드) 게엠베하 이소시아네이트 없이 제조된 폴리우레탄 또는폴리우레탄-에폭시 혼성 수지 기반 나노 복합체
JP2019500442A (ja) * 2015-11-03 2019-01-10 ビーエーエスエフ コーティングス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BASF Coatings GmbH 反応性希釈剤としてのバイオベースのヒドロキシウレタ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25694B1 (en) Curable polyurethane composition excellent in flexibility
EP3487915B1 (en) Thermally expandable materials comprising an epoxy-functional polymer
JP2007284520A (ja) 二液型ポリウレタン防水材組成物
CN109777338A (zh) 高强度高断裂伸长率单组分聚氨酯胶粘剂及制备方法
KR102414238B1 (ko) 차열 특성 및 부착 특성이 우수한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재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1115142A (ja) シーリング材組成物
CN103897652A (zh) 一种环保型高强度聚氨酯粘接密封胶及其制备方法
CN106928809A (zh) 一种环氧树脂涂料及其制备方法
JP2012207122A (ja) 接着剤組成物
JP6171302B2 (ja) ウレタン接着剤組成物
KR102749132B1 (ko) 환경친화형 논 이소시아네이트 타입의 폴리우레탄 방수재
JPS6244784B2 (ko)
CN113999606B (zh) 聚氨酯防水涂料及其制备方法
KR102370533B1 (ko) 차열성능 및 열충격 저항성이 우수한 건물 내외부용 폴리우레아 도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83513B1 (ko) 내후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
CN108047919A (zh) 一种双组份聚氨酯防水涂料及其制备方法
KR101448349B1 (ko) 친환경 하이브리드 폴리우레아 조성물
JPH07330855A (ja) 常温硬化性塗膜防水材の製造方法
WO2024060398A1 (zh) 一种快渗速凝高分子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0960951B1 (ko) 무독성 디메틸술폭사이드 용매를 사용한 한 장갑 코팅용일액형 폴리우레탄 반응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코팅장갑
JPH04275385A (ja) 二液型ウレタン系接着剤
CN112552477B (zh) 一种单组分自固化高强度聚氨酯弹性体及其制备方法
JP3968852B2 (ja) 常温硬化性組成物
KR102561686B1 (ko) 내흐름성이 향상된 저점도 코팅제 조성물
KR102602066B1 (ko) 비스페놀-z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이액형 접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12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