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47912B1 - 수용성 향료를 포함하는 고체 분산체를 함유하는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 Google Patents

수용성 향료를 포함하는 고체 분산체를 함유하는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47912B1
KR102747912B1 KR1020210160992A KR20210160992A KR102747912B1 KR 102747912 B1 KR102747912 B1 KR 102747912B1 KR 1020210160992 A KR1020210160992 A KR 1020210160992A KR 20210160992 A KR20210160992 A KR 20210160992A KR 102747912 B1 KR102747912 B1 KR 102747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ater
filter
soluble
disper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0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6146A (ko
Inventor
한현우
양철남
나승주
이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10160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47912B1/ko
Publication of KR20230076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6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47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4791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2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204Preliminary operations before the filter rod forming process, e.g. crimping, blooming
    • A24D3/0212Applying additives to filte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281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the action of the chemical substances being delayed
    • A24B15/283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the action of the chemical substances being delayed by encapsulation of the chemical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30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30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 A24B15/302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by natural substances obtained from animals or plants
    • A24B15/303Plant extracts other than tobacco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4Cigars; Cigarettes with mouthpieces or filter-tips
    • A24D1/045Cigars; Cigarettes with mouthpieces or filter-tips with smoke filte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2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204Preliminary operations before the filter rod forming process, e.g. crimping, blooming
    • A24D3/0212Applying additives to filter materials
    • A24D3/0216Applying additives to filter materials the additive being in the form of capsules, bea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2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204Preliminary operations before the filter rod forming process, e.g. crimping, blooming
    • A24D3/0212Applying additives to filter materials
    • A24D3/0225Applying additives to filter materials with solid additives, e.g. incorporation of a granular product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6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61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containing additives entrapped within capsules, sponge-like material or the like, for further release upon smo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1/00Use of ingredients of unknown constitution, e.g. undefined reaction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L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7Fragrance additiv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성 향료를 포함하는 고체 분산체; 및 물캡슐을 포함하는 흡연물품용 필터와, 상기 필터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및 상기 분산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필터는 수용성 향료를 포함하는 고체 분산체를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수용성 향료를 필터에 적용할 수 있으며, 제조 공정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수용성 향료를 포함하는 고체 분산체를 함유하는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FILTER COMPRISING SOLID DISPERSION COMPRISING WATER-SOLUBLE FRAGRANCE AND SMOKING ARTIC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용성 향료를 포함하는 고체 분산체를 함유하는 필터,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및 고체 수용성 향료 분산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궐련(cigarette)과 같은 가연성 흡연 물품은, 담배가 궐련지(Cigarette paper)에 의해 둘러싸인 각초부(Tobacco Column)와 팁페이퍼 및 필터권지에 의해 둘러싸인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부(Filter Column)을 갖는다. 궐련은 흡연자가 궐련의 원위단부에 불을 붙이고 각초부를 태워 사용된다. 그런 다음, 흡연자는 통상적으로 필터를 함유하는 근위단부로 흡인하여 주류 연기를 수용한다. 필터는 주류 연기가 흡연자에게 전달되기 전에 주류 연기의 일부 성분을 포획하도록 배치된다.
이처럼 필터는 주류 연기의 일부 성분을 포획하며, 연기 성분에서 발생하는 향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지고,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향미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상기 향미제를 방출시키기 위해, 향미제를 포함하는 캡슐이 필터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캡슐은 한천(Agar)를 사용하여 제조되며, 캡슐 내 용액에 포함되는 향료의 용매로서는 중쇄지방산트리글리세라이드(MCTG)가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 한천을 사용하는 캡슐의 제조는 수용성 향료를 사용하기엔 공정이 복잡하고, MCTG 용매는 지용성이므로 향료의 사용이 지용성 향료만으로 제한되는 한계가 있었다.
국내공개특허 제2008-000390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용성 향료를 포함하는 고체분산체를 함유하는 필터,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과 고체분산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수용성 향료를 포함하는 고체 분산체; 및 물캡슐을 포함하는 흡연물품용 필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로, 상기 분산체는, 수용성 향료, 필름형성제,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계면활성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필름화한 후, 분쇄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수용성 향료는, 알팔파추출물, 참당귀뿌리추출물, 사과추출물, 캐롭콩추출물, 카모마일추출물, 로만치커리추출물, 시나몬바크추출물, 코코아추출물, 커피추출물, 호로파추출물, 감초추출물, 러비지추출물, 마테추출물, 마운틴메이플추출물, 오리스뿌리추출물, 소합향추출물, 차추출물, 톨루발삼추출물, 및 발레리안뿌리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 상기 필름형성제는, 폴리비닐알콜(PVA),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폴리에틸렌(PE)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솔베이트, 및 폴리비닐알콜(PVA)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 상기 용매는 정제수,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 상기 물캡슐은 코어 영역, 상기 코어 영역을 둘러싸는 제1쉘, 및 상기 제1쉘을 둘러싸는 제2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 영역에는 수용성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쉘 영역에는 지용성 성분을 포함하고, 제2쉘 영역에는 수용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 상기 분산체는 0.1 mm 이상의 직경의 플레이크 또는 분말형태를 갖는 것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 상기 물캡슐은 필터의 상류 또는 중심부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를 포함하는, 흡연물품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수용성 향료, 필름형성제,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계면활성제 및 용매를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1);
상기 혼합된 조성물을 필름기재에 도포한 후 건조하여 수용성 향료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S2); 및
상기 필름을 분쇄하는 단계(S3);를 포함하는, 수용성 향료를 포함하는 고체 분산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종래 흡연물품용 필터는 지용성 향료를 사용하여 복잡한 공정을 통해 제조되었으며, 지용성 향료의 사용이 강제되므로 향료의 사용이 제한적인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수용성 향료를 고체 분산체 형태로 필터에 포함시켜 제조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필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필터가 적용된 흡연물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필터에 포함되는 물캡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흡연 물품의 필터에는 흡연 시 연기의 향을 개선을 위해 향료가 포함된 캡슐이 포함되었다. 상기 캡슐의 제조를 위해 한천 등의 재료가 사용되었고, 지용성 용매가 사용되는바 제조 공정이 복잡하였다. 또한 상기 지용성 용매를 사용함으로써 향료의 종류 역시 지용성 용매에 한정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수용성 향료를 고분자와 함께 필름화한 후 이를 분쇄한 분산체를 물캡슐과 함께 필터에 적용함으로써, 제조 공정이 간단하면서도 향 발현이 우수한 흡연물품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수용성 향료 분산체가 적용된 흡연물품용 필터와, 상기 필터가 적용된 흡연물품 및 상기 수용성 향료 분산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은, 고체 수용성 향료 분산체(200); 및 물캡슐(300)을 포함하는 흡연물품용 필터(100)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필터는 도 2와 같이 각초부(400) 및 필터(100)를 포함하는 흡연물품(1000)에 사용되는 것으로, 흡연 시 입이 닿는 부분이다. 상기 필터가 사용되는 흡연물품은, 사용자의 흡입시 외부 공기가 유입되면서, 상류(각초부측)에서 하류(필터측)로 흐름에 따라 물캡슐이 파쇄되면서 캡슐 내부의 물이 나와 향료 분산체와 접촉하게 되며, 이에 따라 분산체 내부의 수용성 향료가 향을 발산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필터는 모노필터, 이중필터 또는 삼중필터일 수 있다. 상기 필터는 하류(110), 중심부(120) 및 상류(130)의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필터의 재료로는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 라이오셀 토우 필터 등일 수 있으며, 원기둥 형(type) 로드일 수 있다. 다만, 상기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본 발명의 필터는 필터 재료에 고체 수용성 향료 분산체가 필터 재료의 사이에 위치하거나 필터 재료에 고루 분포된 형태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산체는, 수용성 향료, 필름형성제,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계면활성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제조되는 것이다. 상기 조성물을 필름 기재에 도포하여 건조하여 필름으로 제조되며, 상기 필름이 분쇄되어 분산체로 제조되는 것이다. 상기 분산체는 0.1 mm 이상의 직경의 플레이크 또는 분말 형태를 갖는다. 상기 분산체는 0.1 mm 이상의 크기를 가져 흡연물품의 사용시 흡입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포함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용성 향료는, 알팔파추출물, 참당귀뿌리추출물, 사과추출물, 캐롭콩추출물, 카모마일추출물, 로만치커리추출물, 시나몬바크추출물, 코코아추출물, 커피추출물, 호로파추출물, 감초추출물, 러비지추출물, 마테추출물, 마운틴메이플추출물, 오리스뿌리추출물, 소합향추출물, 차추출물, 톨루발삼추출물, 또는 발레리안뿌리추출물 등일 수 있으나, 수용성 향료라면, 상기 향료의 종류에 제한되지 않고 포함이 가능하다.
상기 필름형성제는, 폴리비닐알콜(PVA),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에틸렌(PE)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과 같이 PVA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로, 폴리솔베이트, 또는 폴리비닐알콜(PVA)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과 같이 폴리솔베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정제수,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글리세린 등이 사용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베이스의 용매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분산체 제조를 위한 조성물에는 프룩탄과 같은 감미제도 더 포함이 가능하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물캡슐(300)은, 코어 영역(303) 및 코어 영역을 둘러싸는 제1쉘 영역(302) 및 상기 제1쉘을 둘러싸는 제2쉘 영역(301)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코어 영역에는 수용성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쉘 영역에는 지용성 성분을 포함하고, 제2쉘 영역에는 수용성 성분을 포함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상기 물캡슐은 흡입 시 기체의 흐름에 의해 파쇄되어 코어 영역의 수용성 성분이 필터 내부로 방출되는 것이다.
상기 물캡슐의 제1쉘 영역을 형성하는 지용성 성분은, 기체의 흡입에 의해 쉘이 파쇄될 수 있는 소재라면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칸델릴라 왁스(candelilla wax), 캐스터 왁스(castor wax), 깃털야자 왁스(ouricury wax), 코코아 버터(cocoa butter), 셸락납(shellac wax), 밀납(beeswax), 파라핀 왁스(paraffin wax), 미정질 왁스(microcrystalline wax) 등과 같은 석유계 왁스, 송진(rosin), 래커(lacquer), 프로폴리스(propolis) 등과 같은 수지(resin) 계열, 콩(soybean), 유채(rapeseed), 카놀라(canola), 해바라기(sunflower), 땅콩(peanut), 코코넛(coconut), 야자(palm), 쌀겨(rice bran) 등과 같은 동식물로부터 유래되는 가공유 또는 시어 버터(shea butter) 등의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제2쉘 영역을 형성하는 수용성 성분으로는, 젤라틴, 한천, 카라기난, 알긴산, 펙틴 등과 같은 수용성 하이드로콜로이드, 젤란검 등과 같은 검류, 감자 전분, 옥수수 전분 등과 같은 전분류 및 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녹말 유도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막재는 히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PMC),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스(HPC), 메틸 셀룰로오스(MC),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CMC)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비닐 알코올 및 폴리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 영역에서 수용성 향료 분산체와 접촉하여 수용성 향료의 발산이 가능하도록 정제수, 알긴산, 향미제, 당 또는 염 등의 성분이 포함될 수 있으나, 수용성 향료를 분산시킬 수 있는 첨가물이라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물캡슐은, 필터의 상류(130) 및/또는 중심부(120)에 포함되는 것이다. 하류 부분에 포함될 경우, 필터의 강성에 영향을 미치거나, 물캡슐의 파쇄에 따라 향료 성분이 포함된 수용성 성분이 입을 통해 체내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상류 및 중심부에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캡슐의 전체 직경은 약 2 mm 내지 약 4 mm일 수 있다. 다만, 물캡슐의 직경은 흡연물품의 필터에서 직경 내로 포함될 수 있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흡연물품(1000)은,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필터(100) 및 각초부(400)를 포함하는 것이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상기 필터는 필터권지 및 팁페이퍼에 의해 둘러싸여 제공될 수 있다. 각초부는 담배와 상기 담배를 싸는 궐련지를 통해 구성되며, 상기 담배는 황색종, 버어리종, 오리엔트종 등의 담배 주 원료와, 판상엽, 팽화각초, 팽화주맥과 같은 부원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구성 요소들의 소재, 성분 등은 통상적으로 흡연물품에 사용되는 것이라면 상술한 범위에 제한되지 않고 포함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수용성 향료, 필름형성제,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계면활성제 및 용매를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1);
상기 혼합된 조성물을 필름기재에 도포한 후 건조하여 수용성 향료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S2); 및
상기 필름을 분쇄하는 단계(S3);를 포함하는, 고체 수용성 향료 분산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상기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분산체는 상술한 흡연물품용 필터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수용성 향료 분산체 제조>
필터에 수용성 향료를 적용하기 위하여, 수용성 향료 분산체를 제조하였다. 표 1의 함량에 따라 정제수, PVA, 에탄올, 프룩탄, 폴리솔베이트,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를 혼합하였고, 이를 필름 기재에 도포한 후 건조하여 수용성 향료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용성 향료 필름이 완성되면 이를 분쇄하여 플레이크 형태의 분산체를 완성하였다.
성분명 중량%
정제수 15 - 35
PVA 10
에탄올 15 - 25
프룩탄 10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5 - 10
수용성 향료(ALFALFA EXTRACT) 10 - 45
합계 100
<물캡슐 제조>
먼저, 액체 질소(-196℃)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수용성 향료 분산체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한방울씩 투입하여 코어를 형성했다. 그런 다음, 상기 코어를 쉘 형성 물질에 투입하여 코어의 표면에 제1쉘을 형성해주었다. 상기 제1쉘 형성 물질은 카나우바 왁스(carnauba wax)를 사용했다. 제1쉘을 형성한 후 제2쉘형성 물질에 투입하여 코어의 표면에 제2쉘을 형성해준 뒤, 경화 물질로서 염화칼슘에 투입하여 경화시킨 후 건조하였다.
<필터 제조>
상기 고체 수용성 향료 분산체 및 물캡슐이 적용된 필터를 제조하기 위해, 필터 원지를 준비하였다. 필터 원지 상에 향료 분산체를 도포해주었으며, 상기 필터 원지의 말단 일 부분에는 물캡슐이 포함되지 않도록 물캡슐을 도포해주었고, 도포가 완료된 필터 원지를 말아, 물캡슐이 포함되지 않는 부분이 하류가 되도록 필터를 완성하였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 필터 110 : 하류 120 : 중심부 130 : 상류
200 : 고체 수용성 향료 분산체 300 : 물캡슐
301 : 쉘 영역 302 : 코어 영역
400 : 각초부 1000 : 흡연물품

Claims (14)

  1. 고체 수용성 향료 분산체; 및 물캡슐을 포함하고,
    상기 분산체는, 수용성 향료, 필름형성제,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계면활성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필름화한 후, 분쇄하여 제조된 것이고,
    상기 필름형성제는, 폴리비닐알콜(PVA),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폴리에틸렌(PE)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솔베이트, 및 폴리비닐알콜(PVA)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흡연물품용 필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향료는, 알팔파추출물, 참당귀뿌리추출물, 사과추출물, 캐롭콩추출물, 카모마일추출물, 로만치커리추출물, 시나몬바크추출물, 코코아추출물, 커피추출물, 호로파추출물, 감초추출물, 러비지추출물, 마테추출물, 마운틴메이플추출물, 오리스뿌리추출물, 소합향추출물, 차추출물, 톨루발삼추출물, 및 발레리안뿌리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물품용 필터.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캡슐은 코어 영역 및 상기 코어 영역을 둘러싸는 제1쉘, 및 상기 제1쉘을 둘러싸는 제2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 영역에는 수용성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쉘 영역에는 지용성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쉘 영역에는 수용성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물품용 필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체는 0.1 mm 이상의 직경의 플레이크 또는 분말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물품용 필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캡슐은 필터의 상류 또는 중심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물품용 필터.
  9. 제1항, 제3항 및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필터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10. 수용성 향료, 필름형성제,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계면활성제 및 용매를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1);
    상기 혼합된 조성물을 필름기재에 도포한 후 건조하여 수용성 향료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S2); 및
    상기 필름을 분쇄하는 단계(S3);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형성제는, 폴리비닐알콜(PVA),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폴리에틸렌(PE)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솔베이트, 및 폴리비닐알콜(PVA)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고체 수용성 향료 분산체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향료는, 알팔파추출물, 참당귀뿌리추출물, 사과추출물, 캐롭콩추출물, 카모마일추출물, 로만치커리추출물, 시나몬바크추출물, 코코아추출물, 커피추출물, 호로파추출물, 감초추출물, 러비지추출물, 마테추출물, 마운틴메이플추출물, 오리스뿌리추출물, 소합향추출물, 차추출물, 톨루발삼추출물, 및 발레리안뿌리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수용성 향료 분산체의 제조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체는 0.1 mm 이상의 직경의 플레이크 또는 분말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수용성 향료 분산체의 제조방법.
KR1020210160992A 2021-11-22 2021-11-22 수용성 향료를 포함하는 고체 분산체를 함유하는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Active KR102747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992A KR102747912B1 (ko) 2021-11-22 2021-11-22 수용성 향료를 포함하는 고체 분산체를 함유하는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992A KR102747912B1 (ko) 2021-11-22 2021-11-22 수용성 향료를 포함하는 고체 분산체를 함유하는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6146A KR20230076146A (ko) 2023-05-31
KR102747912B1 true KR102747912B1 (ko) 2025-01-02

Family

ID=86543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992A Active KR102747912B1 (ko) 2021-11-22 2021-11-22 수용성 향료를 포함하는 고체 분산체를 함유하는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479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50024359A (ko) * 2023-08-11 2025-02-1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서방형 멘톨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05478A (ja) * 2012-03-28 2016-01-1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喫煙物品用香料含有シートの切断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78962B2 (en) 2005-05-03 2011-02-01 Philip Morris Usa Inc. Cigarettes and filter subassemblies with squeezable flavor capsule and methods of manufacture
KR20100108614A (ko) * 2008-06-25 2010-10-07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끽연 물품
GB201220280D0 (en) * 2012-11-12 2012-12-26 British American Tobacco Co Products including capsules, uses and preparation thereof
AR106163A1 (es) * 2015-09-30 2017-12-20 Philip Morris Products Sa Artículo generador de aerosol que tiene un saborizante disperso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05478A (ja) * 2012-03-28 2016-01-1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喫煙物品用香料含有シートの切断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6146A (ko) 202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52058B2 (ja) 分散された風味剤を持つエアロゾル発生物品
CN111885931B (zh) 电子烟用填充物以及电子烟弹
CN105813482B (zh) 一种用于产生用于吸烟制品的香味颗粒的方法
JP2019518444A (ja) タバコ産業製品用カプセル
CN109043644B (zh) 一种同时包覆脂质溶液和水的三层结构烟用胶囊及其制备方法
JP2024050830A (ja) エアロゾル供給システムで使用するための物品
CN118660637A (zh) 挤出式结构
JP2024105585A (ja) エアロゾル生成材料
KR102747912B1 (ko) 수용성 향료를 포함하는 고체 분산체를 함유하는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KR102616657B1 (ko) 물리성이 향상된 향료 시트, 이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 및 이들의 제조 방법
CN115135180A (zh) 用于在气溶胶输送系统中使用的制品的部件
KR102616655B1 (ko) 향보유량과 향보류성이 증진된 향료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JP2024105511A (ja) エアロゾル供給システムで使用するための物品
JP2020014455A (ja) 芳香カートリッジ用充填物、それを有する芳香カートリッジ用エアロゾル形成基材およびそれを有する芳香カートリッジ
JP7481451B2 (ja) 非燃焼系エアロゾル供給システム
KR102386074B1 (ko) 향 보존성이 개선된 흡연 물품
JP7628551B2 (ja) たばこシート
KR102639269B1 (ko) 향 지속성이 증진된 흡연물품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25500895A (ja) エアロゾル供給システムで使用するための物品およびエアロゾル供給システムで使用するための物品を製造する方法
JP2024513253A (ja) 天然香味物質を含むタバコ物質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2085072A1 (ja) 香味吸引器具及び香味吸引システム
JP7552985B2 (ja) タバコ抽出物シー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含む喫煙物品
CN104921290A (zh) 一种用烟珠制备花香型卷烟的方法
EP4268622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obacco rod part for non-combustion heating-type flavor inhalation article
WO2024111110A1 (ja) 非燃焼加熱型香味吸引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