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47877B1 - 콩 콤바인의 드럼구조 - Google Patents

콩 콤바인의 드럼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47877B1
KR102747877B1 KR1020230186942A KR20230186942A KR102747877B1 KR 102747877 B1 KR102747877 B1 KR 102747877B1 KR 1020230186942 A KR1020230186942 A KR 1020230186942A KR 20230186942 A KR20230186942 A KR 20230186942A KR 102747877 B1 KR102747877 B1 KR 102747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grade
soybean
teeth
soybea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86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범섭
정성갑
이정훈
김현준
홍성욱
류진욱
박선영
Original Assignee
오페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페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페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86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478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47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4787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콩깍지로부터 콩알을 이탈시키는 콩 콤바인의 탈곡부에 구비되어 유입된 콩대를 타격 및 절단하여 콩깍지로부터 콩알의 이탈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한 콩 콤바인의 드럼구조에 관한 것으로,
외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제1급치가 형성되어 전방의 투입구를 통해 유입된 콩대를 타격하면서 후방으로 이송하는 제1급치드럼과, 외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제2급치가 형성되어 제1급치드럼을 통과한 콩대를 2차로 타격하면서 후방으로 이송하는 제2급치드럼과, 제1급치드럼과 제2급치드럼의 하부에 배치되는 베드와, 제1급치드럼과 제2급치드럼의 급치 사이에 배치되도록 베드에 설치되어 콩대를 절단하는 복수의 절단날과, 진동을 이용하여 콩알을 하부로 배출하는 흔들체 및 선별과정에서 발생한 먼지를 배하는 먼지배출부를 포함하는 콩 콤바인의 탈곡부에 있어서, 제1급치드럼은 사선으로 배치된 제1급치가 설치되는 복수의 급치 설치판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사선으로 배치되어 볼트로 고정됨으로써 제1급치가 사선으로 배치되도록 하고, 제2급치드럼은 일정 간격으로 제2급치가 설치된 급치 설치판이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두고 배치되어 볼트로 고정됨으로써 제2급치가 직선상으로 배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콩 콤바인의 드럼구조{DRUM STRUCTURE FOR SOYBEAN COMBINE}
본 발명은 콩 콤바인의 드럼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콩깍지로부터 콩알을 이탈시키는 콩 콤바인의 탈곡부에 구비되어 유입된 콩대를 타격 및 절단하여 콩깍지로부터 콩알의 이탈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한 콩 콤바인의 드럼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콩은 가을철에 밭으로부터 콩대를 베어 건조시킨 다음 콩 탈곡기를 이용하거나, 콩대를 수작업으로 털어냄으로써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콩을 수확할 때에는 콩깍지와 콩대에 충격을 가하여 콩깍지 속에 있는 콩알을 이탈시킨 후, 이탈된 콩알을 콩깍지 및 콩대를 분리함으로써 수확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콩의 수확을 수작업으로 수행하면 많은 힘이 소요되므로, 수확 작업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콩 탈곡기가 다양한 형태로 개시되고 있다.
통상적인 콩 탈곡기는 4점위성 탈곡축과 탈곡망으로 이루어진 탈곡부와, 상기 탈곡부에서 탈곡된 콩알을 이송시키고 일단 끝측에 타공망이 설치되어 선별기능을 갖는 흔들체로 구성된 이송부와, 상기 흔들체의 타공망에 콩알이 도달하기 전에 이물질 등을 걸러주는 흡입팬을 갖는 정선부와, 상기 흔들체에서 선별된 콩알을 포대로 배출시켜주는 공기 이송식 승강기로 구성된 배출부와, 탈곡기 전체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를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콩 탈곡기는 밭에서 수확된 콩대를 건조시킨 후에 탈곡하는 장치에 불과하여 콩대의 수확과 동시에 탈곡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밭에서 콩대를 직접 베어낸 후 곧바로 탈곡하여 곡물탱크에 저장하는 방식의 콩 콤바인이 개발된 바 있다. 콩 콤바인은 전방에 구비된 예취부를 통해 콩대를 베어내고, 절단된 콩대를 탈곡부로 이송하여 탈곡한 후, 콩깍지와 콩대 등의 이물질을 분리하여 배출하고 탈곡된 콩을 곡물탱크에 저장하도록 하고 있어 별도의 탈곡과정이 생략되는 등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콩 콤바인은 탈곡시 콩대가 탈곡부의 상부에서 유입되어 급치드럼을 급치가 손상된 경우 급치드럼을 탈거한 후 작업해야 하는 불편이 있고 미탈곡된 콩깍지가 검불과 함께 배출되어 생산량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콩 콤바인에서는 탈곡과정을 통해 곡물탱크에 저장되는 콩에는 탈곡시 미처 제거되지 않은 콩깍지나 검불 등의 이물질이 포함될 수밖에 없으므로, 이들 이물질을 선별하여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상품화할 경우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등록실용신안 제20-0344538호에는 양 외측판 사이에 위치되게 지지틀에 고정된 한 쌍의 내측판과, 상기 내측판사이에 상, 하로 회동되게 설치된 콩껍질 배출 안내판과, 상기 콩껍질 배출 안내판의 상측으로 내측판사이에 위치되도록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콩껍질 배출 안내판사이에 유로를 형성하는 가이드판과, 상기 콩껍질 배출 안내판의 회전지점으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콩 배출판과, 상기 콩껍질 배출 안내판의 회전지점의 상측에 콩 배출판과 반대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 정선시 콩 유도판과, 상기 지지틀의 배면에 고정된 뒷판의 상부에 고정되어 콩껍질 및 이물질이 포함된 콩이 담겨지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부에 위치하는 뒷판에 형성되어 호퍼내의 콩을 콩 유도판으로 투입되도록 하는 투입공과, 상기 콩 배출판과 콩 유도판사이에 위치되게 축 설치되어 이들 사이의 공간부를 통해 바람을 불어주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의 외주면을 감싸게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양측 개구부에 설치되어 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내에 바람이 생성되도록 하는 커버로 구성되어, 탈곡은 물론이고 탈곡이 완료된 상태에서 콩에 포함된 콩깍지 및 이물질을 자동으로 걸러낸 다음 콩을 크기별로 자동 선별할 수 있도록 한 콩 정선이 가능한 콩 탈곡기가 제안 및 개시되어 있고,
등록실용신안 제20-0405070호에는 탈곡기의 탈곡실 하부에 형성된 콩배출홈의 배출구에 탄성체로된 합성수지제배출관를 연결하여 상단 외측에 배출구를 형성하고 합성수지제배출관의 상단부에 지지구를 부착하여 탈곡기 외벽에 고정시키고 콩배출홈 내측부와 콩배출관 상단부에 축지구를 만들고 콩배출홈에서 콩배출관으로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된 콩이송기를 장치하여 콩이송기의 구동축을 콩배출홈 내측 축지구에 지지시키고 상단부 지지축을 콩배출관 상단축 지지구에 지지시켜서 콩이송기의 구동축을 구동시킬 수 있게 한 콩탈곡기의 콩배출 장치가 제안 및 개시되어 있으며,
공개특허 제10-2014-0137876호에는 드럼으로 콩 작물을 탈곡하여 부산물을 배출하고 콩을 수집하는 콩탈곡기의 선별기구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하방향에서 흔들체를 진동하여 콩과 부산물을 분리하는 요동부; 상기 요동부의 하방향으로 설치되고, 이송스크루로 콩을 이송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의 일측에 수집덕트를 연통하도록 구비하고, 수집덕트를 통해 콩을 상방향으로 이송하는 수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부산물들이 콩과 섞여서 배출되지 않게 하여 완전히 정선된 콩만을 최종적으로 수거함에 따라 후속 작업의 배제에 의한 공수 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콩탈곡기의 선별기구가 제안 및 개시되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4538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5070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3787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콩깍지로부터 콩알을 이탈시키는 콩 콤바인의 탈곡부에 구비되어 유입된 콩대를 타격 및 절단하여 콩깍지로부터 콩알의 이탈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한 콩 콤바인의 드럼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콩 콤바인의 드럼구조는, 콩 콤바인에 구비되며 예취부에 의해 절단된 콩대를 타격하여 콩깍지로부터 콩알을 이탈시키도록, 유입된 콩대를 타격하면서 후방으로 이송하는 제1급치드럼 및 제2급치드럼을 포함하는 콩 콤바인에 있어서, 복수의 급치 설치판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볼트로 고정된 제1급치드럼 및 제2급치드럼은 각각 사선 및 직선으로 배치되도록 하되, 제1급치드럼 및 제2급치드럼의 급치 하부에는 콩대를 절단하는 복수의 절단날이 형성된 절단날 거치대가 설치되는 베드가 형성되고, 베드에는 복수의 절단날 거치대가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복수의 설치홈이 형성되고, 절단날 거치대에 설치되는 절단날은 제1급치드럼의 제1급치 사이에 배치되는 제1절단날과, 제2급치드럼의 제2급치 사이에 배치되는 제2절단날로 이루어지는 한편, 제1절단날은 방향에 관계 없이 설치하도록 양측 모두에 톱니가 형성되고, 제2절단날은 콩대가 인입되는 상측은 곡면으로 형성되고 반대측 상측은 직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베드는 상면에 제1급치드럼과 제2급치드럼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오목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급치드럼과 제2급치드럼이 내장된 탈곡통 커버의 상부에는 제1급치드럼과 제2급치드럼을 점검하기 위한 급치드럼 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흔들체는 제2급치드럼의 후방에 경사지게 배출된 콩알배출부의 하측에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흔들체와, 선별된 콩을 선별콩배출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제1흔들체의 하부에 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흔들체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먼지배출부는 제1흔들체의 출구 하측과 제2흔들체의 하측 선별콩배출부 내부에 각각 설치되는 먼지걸름망과, 제1흔들체의 하부에 구비된 먼지걸름망의 먼지를 먼지배출부로 공급하는 먼지이송스크루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콩 콤바인의 드럼구조는 급치를 급치 설치판에 설치한 후 급치 설치판을 급치드럼에 볼트로 고정함에 따라 급치가 손상될 경우 교체가 필요한 구간의 급치 설치판만 교체할 수 있게 되어 작업 편의성이 대폭 향상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드에 설치홈이 형성됨에 따라 절단날이 설치된 절단날 거치대를 슬라이딩 결합시킬 수 있게 되어 절단날의 교체 편의성이 향상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급치 사이에 배치되는 제1절단날에 톱니가 형성되고 제2급치 사이에 배치되는 제2절단날의 상측이 곡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콩대의 절단이 원활해지고 2차 절단시 콩알의 깨짐 등의 손상이 방지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절단날의 양측에 톱니가 형성하여 방향에 관계없이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한쪽 날이 손상될 경우 반대 방향으로 조립하여 사용함으로써 교체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흔들체가 이중으로 구성되어 콩알을 원활하게 선별할 수 있게 되고, 먼지배출부와 먼지걸름망을 이용하여 선별 과정에서 발생하는 먼지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콩 콤바인의 드럼구조가 적용된 콩 콤바인의 탈곡부가 도시된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콩 콤바인의 드럼구조가 적용된 콩 콤바인의 탈곡부의 내부가 도시된 사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콩 콤바인의 드럼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콩 콤바인의 드럼구조에서 베드와 절단날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콩 콤바인의 드럼구조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콩 콤바인의 드럼구조가 적용된 콩 콤바인의 탈곡부에서 콩의 흐름 방향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도면의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콩 콤바인의 드럼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들이다.
발명에 따른 콩 콤바인의 드럼구조가 적용된 콩 콤바인의 탈곡부는 도1과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콩 콤바인에 구비되어 예취부에 의해 절단된 콩대를 타격하여 콩깍지로부터 콩알을 이탈시키는 것으로, 제1급치드럼(11)과 제2급치드럼(12), 검불풍구(13), 탈곡통 커버(14), 베드(15), 콩알배출부(17), 재처리 이송스크루(18), 재처리이송부(19), 흔들체(20), 콩알이송부(22) 및 먼지배출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콩 콤바인의 드럼구조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급치드럼(11)에 제1급치(11')가 사선상으로 배치되고, 제2급치드럼(12)에 제2급치(12')가 직선상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제1급치드럼(11)은 전방의 투입구를 통해 유입된 콩대를 타격하면서 후방으로 이송하는 것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급치드럼(11)은 사선으로 배치된 제1급치(11')가 설치되는 복수의 급치 설치판(11")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사선으로 배치되어 볼트로 고정됨으로써 제1급치(11')가 사선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급치(11')가 손상될 경우 교체가 필요한 구간의 급치 설치판(11")만 교체할 수 있게 되어 작업 편의성이 증대된다.
제2급치드럼(12)은 제1급치드럼(11)을 통과한 콩대를 2차로 타격하면서 후방으로 이송하는 것으로, 제1급치드럼(11)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급치드럼(12)은 일정 간격으로 제2급치(12')가 설치된 급치 설치판(12")이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두고 배치되어 볼트로 고정됨으로써 제2급치(12')가 직선상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2급치(12')가 손상될 경우교체가 필요한 급치 설치판(12")만 교체할 수 있게 되어 작업 편의성이 증대된다
그리고 제1급치드럼(11)과 제2급치드럼(12)은 서로 연동하여 회전하는데, 제1급치드럼(11)이 제2급치드럼(12)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탈곡통 커버(14)에 제1급치드럼(11)과 제2급치드럼(12)을 점검하기 위한 급치드럼 도어(14a)가 각각 구비된다.
베드(1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급치드럼(11)과 제2급치드럼(12)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면에 제1급치드럼(11)과 제2급치드럼(12)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오목부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베드(15)에는 복수의 절단날(16)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절단날 거치대(16')가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복수의 설치홈(15')이 형성된다.
절단날(16)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급치드럼(11)의 제1급치(11') 사이에 배치되는 제1절단날(16a)과, 제2급치드럼(12)의 제2급치(12') 사이에 배치되는 제2절단날(16b)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절단날(16a)은 적어도 콩대가 인입되는 부분이 톱니로 형성된다. 물론, 양측 모두에 톱니가 형성됨으로써 방향에 관계 없이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절단날(16b)은 콩대가 인입될 때의 저항이 최소화되도록 콩대가 진입하는 방향의 인입 부분 상측이 곡면으로 형성된다.
한편, 검불풍구(13)는 회전을 통해 바람을 생성하여 콩깍지와 콩대 등의 이물질을 후방으로 배출하는 것으로, 제2급치드럼(12)의 후방 상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검불풍구(13)를 점검할 수 있도록 탈곡통 커버(14)에 검불풍구 도어(14b)가 구비된다.
탈곡통 커버(14)는 제1급치드럼(11)과 제2급치드럼(12) 및 검불풍구(13) 등의 상부를 밀폐하는 것으로, 제1급치드럼(11)의 상부와 2급치드럼(12)의 상부를 각각 개폐하는 급치드럼 도어(14a)와, 검불풍구(13)의 상측을 개폐하는 검불풍구 도어(14b)를 구비한다.
그리고 강도보강을 위하여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보강판(14c)을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콩알배출부(17)는 제2급치드럼(12)의 후방에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으로, 콩깍지에서 이탈된 콩알을 하부의 흔들체(20)로 배출하도록 다수의 구멍(17')이 형성된다.
재처리 이송스크루(18)는 배출되는 이물질 중에서 낙하되는 미탈곡된 콩깍지를 모아주는 것으로, 콩알배출부(17)의 출구 하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재처리 이송스크루(18)에 의해 미탈곡된 콩깍지가 일측으로 모아지게 된다.
재처리이송부(19)는 미탈곡된 콩깍지를 재처리 이송스크루(18)의 출구에서 제2급치드럼(12)으로 이송하는 것으로, 하단이 재처리 이송스크루(18)의 출구에 연결된 버킷엘리베이터(19a)와, 미탈곡된 콩깍지를 제2급치드럼(12)의 상부로 공급하도록 탈곡통 커버(14)에 설치된 재처리공급부(19b)와, 버킷엘리베이터(19a)의 출구와 재처리공급부(19b)를 연결하는 연결부(19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흔들체(20)는 진동을 이용하여 콩알을 하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콩알배출부(17)의 하측에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흔들체(20a) 및 선별된 콩을 선별콩배출부(22')로 배출할 수 있도록 제1흔들체(20a)의 하부에 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흔들체(20b)로 구성된다.
그리고 선별콩 배출부(22')에서 배출된 콩을 곡물탱크로 이송할 수 있도록 콩알이송부(22)가 설치되고, 콩알이송부(22)는 재처리이송부(19)의 반대쪽에 수직하게 설치된 버킷엘리베이터로 이루어진다.
또, 선별과정에서 발생한 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제1흔들체(20a)의 출구 하측과 제2흔들체(20b)의 하측 선별콩배출부 내부에 먼지걸름망(23')이 각각 설치되고, 탈곡부의 전방 하측에 먼지 배출을 위한 먼지배출부(23)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1흔들체(20a)의 하부에 구비된 먼지걸름망(23')의 먼지를 먼지배출부(23)로 공급하도록 먼지이송스크루(2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콩 콤바인의 드럼구조가 적용된 콩 콤바인의 탈곡부를 이용하여 콩을 탈곡하는 것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예취된 콩대가 투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제1급치드럼(11)이 회전하면서 콩대를 후방으로 이송하고, 베드(15)에 설치된 제1절단날(16a)이 콩대를 절단하게 된다.
이때, 제1급치드럼(11)에 구비된 제1급치(11')가 콩대를 타격하여 콩깍지의 콩알을 이탈시킨다.
제1급치드럼(11)에 의해 제2급치드럼(12)으로 이송된 콩대는 제2급치드럼(12)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되며, 베드(15)에 설치된 제2절단날(16b)이 콩대를 절단하게 된다.
이때, 제2급치드럼(12)에 구비된 제2급치(12')가 콩대를 타격하여 콩깍지의 콩알을 이탈시킨다.
제2급치드럼(12)에 의해 이송된 콩대와 콩알 중 가벼운 콩대 조각과 콩깍지 등의 이물질은 검불풍구(13)에서 형성된 바람에 의해 후방으로 배출되고, 비교적 무거운 콩알과 미탈곡된 콩깍지는 하부의 경사진 콩알배출부(17)로 낙하한다.
콩알배출부(17)에서는 콩알이 구멍을 통해 하부의 제1흔들체(20a)로 배출되고, 미탈곡된 콩깍지는 끝단까지 이송된 후 재처리 이송스크루(18)로 전달된다.
제1흔들체(20a)로 배출된 콩알은 진동에 의해 제2흔들체(20b)로 낙하한 후, 제2흔들체(20b)의 진동에 의해 하부로 낙하하여 선별콩배출부(22')를 통해 배출되고, 콩알이송부(22)를 통해 곡물탱크로 이송된다.
그리고 미탈곡된 콩깍지는 재처리 이송스크루(18)에 의해 출구로 이송된 후 재처리이송부(19)에 의해 제2급치드럼(12)으로 공급되어 재탈곡된다.
또, 이러한 선별 과정에서 발생한 먼지는 먼지걸름망(23')과 먼지이송스크루(23")에 의해 먼지배출부(23)로 공급된 후 배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1 : 제1급치드럼 11' : 제1급치
11" : 급치 설치판 12 : 제2급치드럼
12' : 제2급치 12" : 급치 설치판
13 : 검불풍구 14 : 탈곡통 커버
14a : 급치드럼 도어 14b : 검불풍구 도어
14c : 보강판 15 : 베드
15' : 설치홈 16 : 절단날
16a : 제1절단날 16b : 제2절단날
16' : 절단날 거치대 17 : 콩알배출부
17' : 구멍 18 : 재처리 이송스크루
19 : 재처리이송부 19a : 버킷엘리베이터
19b : 재처리공급부 19c : 연결부
20 : 흔들체 20a : 제1흔들체
20b : 제2흔들체 21 : 급치드럼 커버
22 : 콩알이송부 22' : 선별콩배출부
23 : 먼지배출부 23' : 먼지걸름망
23" : 먼지이송스크루

Claims (5)

  1. 콩 콤바인에 구비되며 예취부에 의해 절단된 콩대를 타격하여 콩깍지로부터 콩알을 이탈시키도록, 유입된 콩대를 타격하면서 후방으로 이송하는 제1급치드럼 및 제2급치드럼을 포함하는 콩 콤바인에 있어서,
    제1급치드럼은 복수의 급치 설치판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사선으로 볼트 고정되고,
    제2급치드럼은 복수의 급치 설치판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직선으로 볼트로 고정되되,
    제1급치드럼 및 제2급치드럼의 급치 하부에는 콩대를 절단하는 복수의 절단날이 형성된 절단날 거치대가 설치되는 베드가 형성되고,
    베드에는 복수의 절단날 거치대가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복수의 설치홈이 형성되고,
    절단날 거치대에 설치되는 절단날은 제1급치드럼의 제1급치 사이에 배치되는 제1절단날과, 제2급치드럼의 제2급치 사이에 배치되는 제2절단날로 이루어지는 한편,
    제1절단날은 방향에 관계 없이 설치하도록 양측 모두에 톱니가 형성되고,
    제2절단날은 콩대가 인입되는 상측은 곡면으로 형성되고 반대측 상측은 직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콤바인의 드럼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베드는 상면에 제1급치드럼과 제2급치드럼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오목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콤바인의 드럼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급치드럼과 제2급치드럼이 내장된 탈곡통 커버의 상부에는 제1급치드럼과 제2급치드럼을 점검하기 위한 급치드럼 도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콤바인의 드럼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급치드럼의 후방에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며 이탈된 콩알을 하부의 흔들체로 배출하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콩알배출부가 형성되고,
    흔들체는 제2급치드럼의 후방에 경사지게 배출된 콩알배출부의 하측에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흔들체와, 선별된 콩을 선별콩배출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제1흔들체의 하부에 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흔들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콤바인의 드럼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먼지배출부는 제1흔들체의 출구 하측과 제2흔들체의 하측 선별콩배출부 내부에 각각 설치되는 먼지걸름망과, 제1흔들체의 하부에 구비된 먼지걸름망의 먼지를 먼지배출부로 공급하는 먼지이송스크루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콤바인의 드럼구조.
KR1020230186942A 2023-12-20 2023-12-20 콩 콤바인의 드럼구조 Active KR102747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6942A KR102747877B1 (ko) 2023-12-20 2023-12-20 콩 콤바인의 드럼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6942A KR102747877B1 (ko) 2023-12-20 2023-12-20 콩 콤바인의 드럼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47877B1 true KR102747877B1 (ko) 2025-01-02

Family

ID=94237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86942A Active KR102747877B1 (ko) 2023-12-20 2023-12-20 콩 콤바인의 드럼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47877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287Y1 (ko) * 1999-12-20 2000-06-15 모영환 콤바인의 탈곡장치
KR200344538Y1 (ko) 2003-11-21 2004-03-11 김승문 콩 정선이 가능한 콩 탈곡기
KR200363777Y1 (ko) * 2004-07-20 2004-10-11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투입식 콤바인
KR100465753B1 (ko) * 2003-07-04 2005-01-13 김창동 콩 탈곡장치
KR200405070Y1 (ko) 2005-10-19 2006-01-10 배경주 콩탈곡기의 콩배출장치
KR20140137876A (ko) 2013-05-24 2014-12-03 김남임 콩탈곡기의 선별기구
KR20150137378A (ko) * 2014-05-29 2015-12-09 대동공업주식회사 콤바인의 탈곡장치
KR101980350B1 (ko) * 2017-08-09 2019-05-20 오페주식회사 다중 선별부를 구비하는 콤바인
KR102159810B1 (ko) * 2018-12-10 2020-09-24 대한민국 선별 장치 및 이를 갖는 콤바인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287Y1 (ko) * 1999-12-20 2000-06-15 모영환 콤바인의 탈곡장치
KR100465753B1 (ko) * 2003-07-04 2005-01-13 김창동 콩 탈곡장치
KR200344538Y1 (ko) 2003-11-21 2004-03-11 김승문 콩 정선이 가능한 콩 탈곡기
KR200363777Y1 (ko) * 2004-07-20 2004-10-11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투입식 콤바인
KR200405070Y1 (ko) 2005-10-19 2006-01-10 배경주 콩탈곡기의 콩배출장치
KR20140137876A (ko) 2013-05-24 2014-12-03 김남임 콩탈곡기의 선별기구
KR20150137378A (ko) * 2014-05-29 2015-12-09 대동공업주식회사 콤바인의 탈곡장치
KR101980350B1 (ko) * 2017-08-09 2019-05-20 오페주식회사 다중 선별부를 구비하는 콤바인
KR102159810B1 (ko) * 2018-12-10 2020-09-24 대한민국 선별 장치 및 이를 갖는 콤바인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유튜브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c6O45lVqWlc(2020.11.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90862C2 (ru) Зерноуборочный комбайн с очистным вентилятором
CN112702906A (zh) 联合收割机
CN112119772B (zh) 脱粒装置
KR102747877B1 (ko) 콩 콤바인의 드럼구조
JP5537604B2 (ja) 脱穀装置の脱穀部構造
KR102706730B1 (ko) 콩 콤바인의 탈곡부
JP5022182B2 (ja) 脱穀装置の脱穀部構造
KR102421445B1 (ko) 2차 선별장치를 구비한 배출부가 적용된 콤바인
KR102728538B1 (ko) 탈곡기의 정선용 흔들체
WO2019021568A1 (ja) コンバイン
JP5357952B2 (ja) 脱穀装置の脱穀部構造
JP5925241B2 (ja) 脱穀装置の脱穀部構造
CN222803464U (zh) 脱粒装置及收获机
JP3846886B2 (ja) 脱穀装置
JP2009039036A (ja) コンバイン
JP4590612B2 (ja) コンバインの選別装置
KR20250116304A (ko) 콩 수확 복합기의 콩 배출장치
JP4297801B2 (ja) 普通型コンバイン
JP4141392B2 (ja) 普通型コンバイン
JP3670118B2 (ja) コンバインの揺動選別装置
CN119344094A (zh) 脱粒装置及收获机
JP2006166926A (ja) 脱穀装置
JP3686604B2 (ja) 脱穀機の二番処理装置
JP3854861B2 (ja) 脱穀装置
KR20230156193A (ko) 다중 선별장치를 구비한 배출부가 적용된 콤바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12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9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