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43926B1 - A safety hook device - Google Patents
A safety hook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43926B1 KR102743926B1 KR1020220124749A KR20220124749A KR102743926B1 KR 102743926 B1 KR102743926 B1 KR 102743926B1 KR 1020220124749 A KR1020220124749 A KR 1020220124749A KR 20220124749 A KR20220124749 A KR 20220124749A KR 102743926 B1 KR102743926 B1 KR 1027439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fety hook
- hanging device
- hook hanging
- safety
- sli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7—Attachments for lifelines and lanyard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시스템 비계를 구성하는 가로 부재(210) 또는 세로 부재(220)에 결속되는 안전후크 걸이 장치(100)가 제공된다. 상기 안전후크 걸이 장치(100)는, 상기 가로 부재 또는 상기 세로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홈(111)이 복수로 형성되는 슬라이딩 부재(110);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110)의 외측 단부와 결합되고,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안전후크가 결속되는 고리(121)가 형성되는 결속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A safety hook hanging device (100) is provided that is fastened to a horizontal member (210) or a vertical member (220) that constitutes a system ladder. The safety hook hanging device (100) may include a sliding member (110) in which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111) for receiving the horizontal member or the vertical member are formed; and a fastening member (120) that is fastened to an outer end of the sliding member (110) and in which a ring (121) to which a safety hook is fastened is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an outer surfa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전후크 걸이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작업 현장에 설치된 시스템 비계를 구성하는 가로 부재 또는 세로 부재에 체결되어 작업자가 안전대를 결속하여 작업을 수행하면서 작업 방향으로 진행할 시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가 교차한 영역을 통과할 때마다 매번 작업자가 안전대의 결속을 해제하지 않고도 통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안전후크 걸이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hook hang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safety hook hanging device that is fastened to a horizontal member or a vertical member constituting a system scaffolding installed at a work site, and allows a worker to pass through an area where the horizontal member and the vertical member intersect while fastening a safety harness and proceeding in the direction of work, without unfastening the safety harness each time, thereby increasing the worker's work efficiency and preventing safety accidents such as falls in advance.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사망 재해의 대략 절반이 추락 사고로 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추락 사고가 날 수 있는 현장은 건축, 토목, 대규모 설비, 조선소, 전신주, 건물 청소 등 다양하다. 추락 재해의 위험이 있는 고소 작업은 대체로 임시 작업이 많고 위험도가 계속 변화하며, 작업 위치나 작업 성격에 따라 난간 등을 따로 설치하기 곤란하거나 그 밖의 이유로 안전 대책이 미흡한 경우가 많다. 또한, 작업자들의 부주의도 추락 재해를 일으키는 요인 중 하나이다.It is known that about half of the fatal accidents that occur at construction sites are due to falls, and the sites where falls can occur are diverse, including construction, civil engineering, large-scale facilities, shipyards, utility poles, and building cleaning. High-altitude work that carries the risk of falls is often temporary work, and the level of risk is constantly changing. Depending on the work location or nature of the work, it is often difficult to install separate railings, etc., or safety measures are often inadequate for other reasons. In addition, carelessness on the part of workers is one of the factors that causes falls.
이에 관련하여 산업안전보건법 제35조에 의거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 고소 작업 시에 작업 발판 기타 추락방호조치가 곤란한 경우로 인해 추락의 우려가 있는 경우 작업자는 반드시 안전대를 착용하여야 하고, 안전대를 착용한 작업자가 안전대 후크(hook)를 안전하게 걸어 사용할 수 있는 안전대 후크 부착 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In relation to this, in accordance with the rules on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standards based on Article 35 of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in cases where there is a risk of falling due to difficulties in using work platforms or other fall protection measures during high-altitude work, workers must wear safety harnesses, and safety harness hook attachment equipment must be installed so that workers wearing safety harnesses can safely hang the harness hook.
또한, 동 규정에서는 작업 높이 또는 깊이가 2미터 이상인 장소에서 작업자가 안전대를 지급받고 착용 및 사용할 것과, 고소작업대, 비계, 달비계, 철골 구조의 가설 통로, 승강기, 리프트, 크레인, 곤돌라, 궤도차량, 교량, 밀폐공간 등에서도 안전대를 착용 및 사용할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regulations require workers to be provided with, wear, and use safety harnesses in places where the working height or depth is 2 meters or more, and to wear and use safety harnesses in places such as aerial work platforms, scaffolding, hanging scaffolding, steel structure construction passageways, elevators, lifts, cranes, gondolas, rail vehicles, bridges, and confined spaces.
동 규정은, 작업자뿐 아니라 사업주에게도 일정한 의무를 부여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사업주는 작업 지시자로 하여금 작업 중 안전대 등 보호구의 착용 상황을 감시하도록 지시하여야 하고, 작업자가 작업대에 설치된 안전대 후크 부착 설비에 안전대의 후크를 체결하였는지 확인하는 등 위험 방지를 위해 필요한 조치를 해야 한다.These regulations impose certain obligations not only on workers but also on employers. For example, employers must instruct work supervisors to monitor the wearing of safety belts and other protective equipment during work, and take necessary measures to prevent hazards, such as checking whether workers have attached the safety belt hook to the safety belt hook attachment device installed on the work surface.
한편, 기존의 안전대는 크게 벨트(Belt)식과 안전그네(Safety Harness)식으로 나뉘는데, 벨트식 안전대는 신체를 지지하기 위해 허리에 띠 모양의 부품을 착용하는 방식의 안전대이고, 안전그네식 안전대는 신체를 지지하기 위해 팔, 다리와 몸통에 X자로 띠 모양의 부품을 착용하는 방식의 안전대이다.Meanwhile, existing safety belts are largely divided into belt type and safety harness type. A belt type safety belt is a safety belt that has a belt-shaped part worn around the waist to support the body, while a safety harness type safety belt is a safety belt that has a belt-shaped part worn in an X shape around the arms, legs, and torso to support the body.
벨트식 안전대와 안전그네식 안전대에는 모두, 죔줄(roop)이라 불리는, 안전대 후크를 구명줄이나 구조물 기타 부착설비와 연결하기 위한 줄 모양의 부품이 연결되어 있다. 죔줄의 끝부분에는 후크 형태의 금속 부품이 달려 있는데, 후크는 죔줄을 부착 설비 등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고리의 일부가 바깥에서 안쪽으로 열리고 닫히게 만들어진 부품이다.Both belt-type safety harnesses and harness-type safety harnesses have a rope-shaped part called a roop, which is used to connect the harness hook to a lifeline, structure, or other attachment device. The end of the lanyard has a metal hook-shaped part, and the hook is a part that opens and close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so that the lanyard can be attached to and removed from attachment devices.
1개 걸이용 안전대는 안전대에 부착된 D링에 죔줄이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방식이다. U자 걸이용 안전대는 죔줄의 양끝에 각각 후크가 달려 있어서, 작업자가 작업 중에는 안전대에 부착된 D링에 죔줄의 일측 후크를 연결하고 안전대 부착설비에 죔줄의 타측 후크를 연결한 채 작업을 수행하고, 작업 전후로 이동 중에는 안전대에 부착된 D링에 죔줄의 양측 후크들을 모두 연결한 채 이동하도록 하는 방식이다.A single-hook safety harness has a lanyard that is fixedly connected to a D-ring attached to the harness. A U-shaped safety harness has hooks on each end of the lanyard, so that when the worker is working, he or she connects one hook of the lanyard to the D-ring attached to the harness and the other hook of the lanyard to the harness attachment device, and when moving before and after work, he or she moves with both hooks of the lanyard connected to the D-ring attached to the harness.
그러나, 작업 대상물의 외측면에는 격자 형상의 시스템 비계(철골 구조)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시스템 비계는 가로 및 세로 부재가 서로 대략 2미터의 간격으로 교차되도록 설치된다. 작업자는 이같은 시스템 비계의 가로 부재에 안전후크를 결속하여 작업을 하면서 이동하게 되는데 2미터마다 존재하는 교차 영역에서는 작업자가 일일이 안전후크의 결속을 해제한 뒤 교차 영역을 지나서 다시 안전후크를 체결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작업자는 이러한 불편함 때문에 안전후크를 결속하지 않고 작업을 하다가 추락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 grid-shaped system scaffolding (steel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ork object, and this system scaffolding is installed so that the horizontal and vertical members intersect each other at intervals of approximately 2 meters. The worker moves while working by fastening a safety hook to the horizontal members of this system scaffolding, but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worker has to unfasten the safety hook one by one at the intersection area that exists every 2 meters, pass the intersection area, and fasten the safety hook again.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workers frequently fall while working without fastening the safety hook due to this inconvenienc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작업 현장에 설치된 시스템 비계를 구성하는 가로 부재 또는 세로 부재에 체결하여 작업자가 안전대를 결속하여 작업을 수행하면서 작업 방향으로 진행할 시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가 교차한 영역을 통과할 시에도 작업자가 일일이 안전대의 결속을 해제하지 않고도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안전후크 걸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hook hanging device that allows a worker to perform work by fastening a safety harness to a horizontal member or a vertical member constituting a system scaffolding installed at a work site, and to pass through an area where the horizontal member and the vertical member intersect when moving in the direction of work, thereby increasing the work efficiency of the worker by allowing the worker to pass without having to unfasten the safety harness each time.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기존과 같이 시스템 비계의 가로 및 세로 부재의 교차점을 지나갈 때마다 안전대의 결속 및 해제 작업을 귀찮아 하여 안전대를 결속하지 않고 작업을 하다가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안전후크 걸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hook hanging device that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such as falls, from occurring while working without fastening the safety belt due to the inconvenience of fastening and releasing the safety belt every time a worker passes an intersection of horizontal and vertical members of a system scaffold, as has been the case in the past.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후크 걸이 장치는 시스템 비계를 구성하는 가로 부재 또는 세로 부재에 결속될 수 있고, 상기 가로 부재 또는 상기 세로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복수로 형성되는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외측 단부와 결합되고,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안전후크가 결속되는 고리가 형성되는 결속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safety hook hanging device may include a sliding member that can be fastened to a horizontal member or a vertical member constituting a system scaffolding, and has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formed to receive the horizontal member or the vertical member; and a fastening member that is fastened to an outer end of the sliding member and has a ring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an outer surface to which a safety hook is fastened.
또한, 상기 가로 부재와 상기 세로 부재의 교차 영역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수용홈에 상기 가로 부재 또는 상기 세로 부재가 수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rizontal member or the vertical member can be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by rotating the sliding member at the intersection area of the horizontal member and the vertical member.
또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일정 거리를 두고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부재로 구현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liding member may be implemented as a pair of sliding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certain distance.
또한, 상기 안전후크 걸이 장치는,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부재를 상호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중심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afety hook hang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entral axis configured to mutually couple the pair of sliding members.
또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속 부재의 내측면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단부와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liding member may be formed in a disc shap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astening member may be formed with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liding member.
또한,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양 단부는 외측을 향하여 'ㄱ'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속 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양측 상단부를 수용하도록 'ㄷ'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sliding member may be formed in an 'ㄱ' shape facing outward, and the fastening member may be formed in a 'ㄷ' shape to accommodate both upper ends of the sliding member.
또한, 상기 결속 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외측 단부에 대해 90° 내지 120° 범위에서 결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astening member can be configured to fasten at an angle of 90° to 120° to the outer end of the sliding member.
또한, 상기 결속 부재에는, 상기 안전후크 걸이 장치가 상기 가로 부재 또는 상기 세로 부재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때에 상기 가로 부재 또는 상기 세로 부재와 상기 결속 부재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을 저감하도록 구성되는 롤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asten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roller configured to reduce friction occurring between the horizontal member or the vertical member and the fastening member when the safety hook hanging device slides along the horizontal member or the vertical member.
또한, 상기 결속 부재의 높이에 대해, 상기 롤러가 구현되는 영역은 상기 결속 부재의 외표면에 고리가 구현되는 영역에 상응할 수 있다.Additionally, with respect to the height of the binding member, the area where the roller is implemented may correspond to the area where the ring is impleme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inding me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후크 걸이 장치에 의하면, 기존과 같이 시스템 비계의 가로 부재 및 세로 부재의 교차 지점에 도달할 때마다 작업자가 안전대의 후크를 결속 및 체결을 반복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 safety hook hang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nience of work can be improved because the worker does not have to repeatedly tie and fasten the hook of the safety belt every time he or she reaches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horizontal member and the vertical member of the system ladder as in the past.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귀찮음에 의해 안전대를 시스템 비계에 결속하지 않고 작업을 할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이로 인해 작업자가 부주의로 인해 추락하여 다치거나 사망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mentioned above, there are frequent cases where workers do not attach safety belts to the system ladder due to inconvenience, and thus accidents in which workers fall due to carelessness and are injured or killed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또한, 시스템 비계의 가로 부재 및 세로 부재가 교차되는 지점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고, 이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 능률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easy to use because it can easily pass through the point wher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members of the system ladder intersect, and this can improve the work efficiency of the worker.
또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제조 단가가 낮아 경제적이며, 이로 인해 작업 현상에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어 사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it can be manufactured with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and it is economical, and as a result, it can be easily applied in work situations, which can increase usability.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후크 걸이 장치(100)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후크 걸이 장치(10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후크 걸이 장치(100)의 구성 중 슬라이딩 부재(110)에 결속 부재(120)가 결속될 시 차지하는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후크 걸이 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안전후크 걸이 장치(100)가 비계 시스템에 결속되어 가로 부재(210)와 세로 부재(220)가 교차한 영역을 통과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후크 걸이 장치(100)를 작업자가 시스템 비계에 결속한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In order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afety hook hang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ack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afety hook hang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1.
FIG. 5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area occupied when a fastening member (120) is fastened to a sliding member (110) among the configurations of a safety hook hang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6 to 10 are drawings showing the state of use of a safety hook hang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drawings sequentially showing the process in which the safety hook hanging device (100) is connected to a ladder system and passes through an area where a horizontal member (210) and a vertical member (220) intersect.
FIG. 11 is a drawing exemplarily showing a worker attaching a safety hook hanging device (100) to a system scaffol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specific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hinders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restricted thereto, and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way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that other components are exclu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rather that other components can be included. In addition, when describing component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sequence of the components is not limited by the ter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후크 걸이 장치(100)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후크 걸이 장치(100)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후크 걸이 장치(100)의 구성 중 슬라이딩 부재(110)에 결속 부재(120)가 결속되는 경우에 결속 부재(120)의 결속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afety hook hang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ack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afety hook hang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and FIG. 5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binding range of a binding member (120) when the binding member (120) is bound to a sliding member (110) among the components of a safety hook hang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후크 걸이 장치(100)는 슬라이딩 부재(110) 및 슬라이딩 부재(110)의 외측 단부에 결속되는 결속 부재(120)로 구성되어, 시스템 비계를 구성하는 가로 부재(210, 도 6 참조) 또는 세로 부재(220, 도 6 참조) 에 결속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to 5, a safety hook hang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liding member (110) and a fastening member (120) fastened to an outer end of the sliding member (110), and can be fastened to a horizontal member (210, see FIG. 6) or a vertical member (220, see FIG. 6) constituting a system ladder.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후크 걸이 장치(100)는 시스템 비계를 구성하는 가로 부재(210) 및 세로 부재(220) 중 어느 하나의 부재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수평으로(즉, 좌우로) 이동하는 경우와 작업자가 수직으로(즉,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 모두에 활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후크 걸이 장치(100)를 가로 부재(210)에 결속하여 사용하는 것을 대표로 기술하기로 한다. For reference, the safety hook hang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one of the horizontal members (210) and the vertical members (220) constituting the system scaffolding, and thus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utilized both in cases where a worker moves horizontally (i.e., left and right) and in cases where a worker moves vertically (i.e., up and down). However, in the following specification,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afety hook hang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being used by being tied to the horizontal member (2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후크 걸이 장치(100)는, 가로 부재(210) 또는 세로 부재(220)를 수용하는 수용홈(111)이 복수로 형성되는 슬라이딩 부재(1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110)는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수용홈(111)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날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하로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A safety hook hang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liding member (110) having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111) formed to receive a horizontal member (210) or a vertical member (220).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liding member (110) may be formed in a disc shape, may have a plurality of wing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111), and may be configured as a pair arranged vertically.
또한,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부재(110)는 수용홈(111)에 의해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용홈(111)은 U-형으로 또는 V-형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딩 부재(110)의 외측에서 중심축(112)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그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고, 세로 부재(220)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각 수용홈(111)의 넓이는 세로 부재(220)의 평균 단면적 넓이보다 더 크게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sliding member (1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radially by the receiving grooves (111). Here, the receiving grooves (111) may be formed in a U-shape or a V-shape and configured such that their widths gradually narrow as they progress from the outside of the sliding member (110) toward the central axis (112), and the width of each receiving groove (111) may be implemented to be larger than the average cross-sectional area of the vertical member (220) so as to stably receive the vertical member (220).
이러한 수용홈(111)의 형상은, 수용홈(111)의 외측 폭이 넓어야 세로 부재(220)가 수용홈(111)에 보다 원활하게 인입되면서 동시에 수용홈(111)의 내측으로 보다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The shape of the receiving groove (111) is such that the outer width of the receiving groove (111) must be wide so that the vertical member (220) can be more smoothly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11) and at the same time be more easily receiv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11).
또한,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부재(110)는 3개의 수용홈(111)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용홈(111)을 4개 이상을 구비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지만, 후술할 결속 부재(120)를 슬라이딩 부재(110)에 결합할 때에 무게 중심이 맞지 않아 일 측으로 쏠리게 되거나 슬라이딩 부재(110)에 대한 결속 부재(120)의 결속 범위가 좁아지게 되어 결합 안정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슬라이딩 부재(110)에 3개의 수용홈(111)이 구비될 때에, 즉 3개의 날개로 구성될 때에 가장 결합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다양한 실험 및 테스트를 통해 확인하였다.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sliding member (1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have three receiving grooves (111). It is of course possible to have four or more receiving grooves (111), but when the fastening member (120)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the sliding member (110), the center of gravity may not be aligned, causing the member to lean to one side, or the fastening range of the fastening member (120) to the sliding member (110) may become narrow, thereby hindering the stability of the coupling. Accordingl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confirmed through various experiments and tests that the coupling stability is the best when the sliding member (110) is provided with three receiving grooves (111), that is, when it is configured with three wings.
또한, 일정 거리를 두고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부재(110)의 내측에는 중심축(112)이 결합됨으로써, 한 쌍의 슬라이딩 부재(110)는 중심축(112)에 의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중심축(112)은 한 쌍의 슬라이딩 부재(110)를 상호 결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central axis (112) is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a pair of sliding members (11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pair of sliding members (110) can b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y the central axis (112). That is, the central axis (112) can be configured to couple the pair of sliding members (110) to each other.
또한, 슬라이딩 부재(110)의 외측과 중심축(112) 사이의 거리는 가로 부재(210)의 평균 직경보다 더 크게 또는 약간 더 크게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가로 부재(210)의 외측면이 수용홈(111)을 따라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sliding member (110) and the central axis (112) can be formed to be larger or slightly larger than the average diameter of the transverse member (210),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transverse member (210) can smoothly slide along the receiving groove (111).
추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후크 걸이 장치(100)는, 슬라이딩 부재(110)의 외측 단부와 결합되고,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안전후크가 결속되는 고리(121)가 형성되는 결속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a safety hook hang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astening member (120) that is coupled to an outer end of a sliding member (110) and has a ring (121)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to which a safety hook is fastened.
여기서, 고리(121)는 결속 부재(120)의 중앙에 구비되지 않고, 결속 부재(120)의 일 측에 치우쳐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사 현장 등에서 가로 부재(210)는 작업자의 허리보다 더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따라서 안전대를 본 발명에 따른 안전후크 걸이 장치(100)의 고리(121)에 결속하게 되면 안전후크 걸이 장치(100)를 위 방향으로 경사지게 잡아당기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후크 걸이 장치(100)의 고리(121)를 결속 부재(120)의 외표면 상측에 구현할 수 있고, 고리(121)를 상측에 두는 방향으로 안전후크 걸이 장치(100)를 가로 부재(210)에 장착할 수 있도록 소정의 방향 표시자(미도시)가 표시될 수 있다. Here, the ring (121) may not be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fastening member (120), but may be provided offset to one side of the fastening member (120). Generally, in construction sites, etc., the horizontal member (210) is install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worker's waist, and therefore, when the safety belt is fastened to the ring (121) of the safety hook hang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orce is applied to pull the safety hook hanging device (100) in an upwardly inclined direction. Considering this point, the ring (121) of the safety hook hang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astening member (120), and a predetermined direction indicator (not shown) may be displayed so that the safety hook hanging device (100) can be mounted on the horizontal member (21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ing (121) is placed on the upper side.
또한, 결속 부재(120)의 내측면은 슬라이딩 부재(110)의 상단부와 실질상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결속 부재(120)가 지속적으로 슬라이딩 부재(110)의 외측(즉, 가장자리) 단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설명하면, 슬라이딩 부재(110)는 일종의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되고, 슬라이딩 부재(110)의 외측 단부에 의해 가이딩되어 결속 부재(120)가 결속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binding member (120) can be formed with a curvature substantially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sliding member (110), whereby the binding member (120) can continuously slide along the outer (i.e., edge) end of the sliding member (110). In other words, the sliding member (110) acts as a kind of guide, and the binding member (120) can move in a bound state by being guided by the outer end of the sliding member (110).
이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110)와 결속 부재(120)의 지속적인 결속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110)의 양 단부는 외측을 향하여 'ㄱ'형상으로 형성되고, 결속 부재(120)는 슬라이딩 부재(110)의 양측 상단부를 수용하도록 'ㄷ'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슬라이딩 부재(110)의 양 단부가 외측을 향하여 'ㄱ'형상으로 형성되고 결속 부재(120)가 슬라이딩 부재(110)의 양측 상단부를 수용하도록 'ㄷ'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딩 부재(110)와 결속 부재(120)의 형상이 반대로 형성되어 결속될 수도 있다. In order to maintain a continuous bonding state of the sliding member (110) and the bonding member (120), as illustrated in FIG. 4, both ends of the sliding member (110) may be formed in an 'ㄱ' shape facing outward, and the bonding member (120) may be formed in a 'ㄷ' shape to accommodate both upper ends of the sliding member (110). For reference, the drawing illustrates that both ends of the sliding member (110) are formed in an 'ㄱ' shape facing outward, and the bonding member (120) is formed in a 'ㄷ' shape to accommodate both upper ends of the sliding member (110); 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s of the sliding member (110) and the bonding member (120) may be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and bonded.
또한, 도면에 도시되는 형상 외에 슬라이딩 부재(110)와 결속 부재(120)가 결속된 상태로 결속 부재(120)가 슬라이딩 부재(110)의 외측 단부 상에서 이동될 수 있는 다양한 결속 수단이 추가하여 또는 대체하여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shape shown in the drawing, various fastening means may be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applied so that the fastening member (120) can be moved on the outer end of the sliding member (110) while the sliding member (110) and the fastening member (120) are fastened.
추가로, 안전후크 걸이 장치(100)를 가로 부재(210)에 결속하여 이동할 때에 가로 부재(210)와 결속 부재(120)의 마찰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마찰은 작업자의 이동을 방해하는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후크 걸이 장치(100)는 가로 부재(210)의 외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때에 보다 원활한 이동을 구현할 수 있도록 결속 부재(120)에 추가로 롤러(122)가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afety hook hanging device (100) is moved by being fastened to the horizontal member (210), friction occurs between the horizontal member (210) and the fastening member (120), and this friction can be a major cause of hindering the movement of the worker. To solve this problem, the safety hook hang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ditionally be fastened with a roller (122) to the fastening member (120) so as to realize smoother movement when sliding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ember (210).
또한, 가로 부재(210)와 세로 부재(220)의 교차 영역에서 결속 부재(110)가 회전됨으로써 인접한 수용홈(111)에 가로 부재 또는 세로 부재가 수용될 시 원활한 통과를 위해서도 롤러(122)가 적용될 수 있다. 롤러(122)는 결속 부재(120)의 일 측에 단독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결속 부재(120)의 양 측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롤러(122)를 통해 안전후크 걸이 장치(100)가 가로 부재(210)의 외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에 원활한 이동이 개선될 수 있다. 이러한 롤러(122)는 결속 부재(120)의 실질상 전체 높이에 대해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결속 부재(120)의 높이에 대해 일부의 영역에 대해서만 구현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결속 부재(120)의 높이에 대해 롤러(122)가 구현되는 영역은 결속 부재(120)의 높이에 대해 고리(121)가 구현되는 영역에 실질상 대응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astening member (110) is rotated at the intersection area of the horizontal member (210) and the vertical member (220), a roller (122) may be applied to ensure smooth passage when the horizontal member or the vertical member is accommodated in the adjacent receiving groove (111). The roller (122) may be provided alone on one side of the fastening member (120) or as a pair on both sides of the fastening member (120), and when the safety hook hanging device (100) slides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ember (210) through the roller (122), smooth movement may be improved. The roller (122) may be implemented for the substantially entire height of the fastening member (120), or may be implemented for only a portion of the height of the fastening member (120)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In the latter case, the area where the roller (122) is implemented with respect to the height of the binding member (120) may substantially correspond to the area where the ring (121) is implemented with respect to the height of the binding member (120).
한편,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결속 부재(120)는 슬라이딩 부재(110)의 외측 단부에 대해 90° 내지 120° 범위에서 결속될 수 있다. 결속 부재(120)가 슬라이딩 부재(110)의 외측 단부에 대해 120°보다 더 큰 각도로 결속되면, 작업자가 이동하면서 세로 부재(220)를 지나갈 때 슬라이딩 부재(110)의 회전이 용이하지 않아 작업의 번거로움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결속 부재(120)가 슬라이딩 부재(110)의 외측 단부에 대해 90°보다 더 작은 각도로 결속되면, 작업자가 이동하면서 세로 부재(220)를 지나갈 때 슬라이딩 부재(110)가 회전하다가 수용홈(111)에 의해 결속이 해제될 수 있어 작업자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부재(110)의 외측 단부에 대해 90°보다 크고 120°보다 작은 범위로 결속 부재(120)가 결속되도록 구현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5, the fastening member (120) may be fastened within a range of 90° to 120° to the outer end of the sliding member (110). If the fastening member (120) is fastened at an angle greater than 120° to the outer end of the sliding member (110), the sliding member (110) may not rotate easily when the worker passes over the vertical member (220) while moving, which may cause inconvenience in the work. In addition, if the fastening member (120) is fastened at an angle less than 90° to the outer end of the sliding member (110), the sliding member (110) may rotate when the worker passes over the vertical member (220) while moving, and the fastening may be released by the receiving groove (111), which may cause danger to the worker. Therefore, this problem can be prevented by preferably implementing the fastening member (120) to be fastened in a range greater than 90° and less than 120° with respect to the outer end of the sliding member (110).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후크 걸이 장치(10)의 사용 상태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usage state of the safety hook hanging device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후크 걸이 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안전후크 걸이 장치(100)가 비계 시스템에 결속되어 가로 부재(210)와 세로 부재(220)가 교차한 영역을 통과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후크 걸이 장치(100)를 작업자가 시스템 비계에, 예를 들어 가로 부재(210)에 결속한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S. 6 to 10 are drawings showing the state of use of a safety hook hang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quentially showing the process in which the safety hook hanging device (100) is fastened to a scaffolding system and passes through an area where a horizontal member (210) and a vertical member (220) intersect, and FIG. 11 is a drawing showing an example of a worker fastening a safety hook hang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ystem scaffolding, for example, to a horizontal member (210).
먼저, 작업자는 가로 부재(210)에 슬라이딩 부재(110) 내측을 삽입시킨 뒤 결속 부재(120)를 슬라이딩 부재(110) 외측 단부와 결속시킬 수 있다. 이후 결속 부재(120)의 고리(121)에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된 벨트(Belt) 또는 안전그네(Safety Harness)와 결속되어 인출된 안전대의 후크를 결속할 수 있다. 즉, 도 11에 예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후크 걸이 장치(100)를 통해 시스템 비계에 안전대가 안정적으로 결속될 수 있다. First, the worker can insert the inner side of the sliding member (110) into the horizontal member (210) and then fasten the fastening member (120) to the outer end of the sliding member (110). Then, the hook of the safety harness that is pulled out and fastened to the belt or safety harness worn on the worker's body can be fastened to the ring (121) of the fastening member (120). That is, as exemplarily illustrated in FIG. 11, the safety harness can be stably fastened to the system scaffolding through the safety hook hang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작업진행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예를 들어 공사 현장에서 좌우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안전후크 걸이 장치(100) 또한 가로 부재(210)를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6 and 7, as a worker moves in the direction of work progress, for example, as he moves horizontally left and right at a construction site, the safety hook hanging device (100) can also move along the horizontal member (210).
일정한 폭마다, 예를 들어 약 2미터마다 세로 부재(220)가 결합되어 있어 세로 부재(220)를 통과하는 경우,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110)가 결속 부재(120)에 형성된 홈을 따라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때 세로 부재(220)가 수용홈(111)의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다. When vertical members (220) are joined at regular intervals, for example, approximately every 2 meters, and the sliding member (110) passes through the vertical member (220), as shown in FIG. 8, the sliding member (110) can rotate in one direction along the groove formed in the fastening member (120), and at this time, the vertical member (220) can be receiv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11).
이후, 세로 부재(220)를 통과한 안전후크 걸이 장치(10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작업자의 작업진행방향을 따라 다음 위치의 작업 장소까지 가로 부재(2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고, 이때 결속 부재(120)에 구비된 롤러(122)에 의해 그 이동성이 한층 개선되는 것은 이미 기술한 바와 같다. Thereafter, the safety hook hanging device (100) that has passed through the vertical member (220) can slide along the horizontal member (210) to the next working location along the direction of the worker's work progress, as shown in FIGS. 9 and 10, and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mobility is further improved by the roller (122) provided in the fastening member (120).
또한, 도면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딩 부재(110)의 외측면 또는 결속 부재(120)의 표면에 특수 물감(형광 처리 등)이 도포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작업자가 안전후크 걸이 장치(100)를 시스템 비계에 결속하여 작업을 하고 있는지 여부를 원거리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후크 걸이 장치(100)를 시스템 비계에 결속하지 않을 경우 작업자의 이동 및 작업이 가능하지 않도록 구현함으로써, 건설 현장 등에서의 작업자 안전을 보다 강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explicitly shown in the drawing,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al paint (fluorescent treatment, etc.) may be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liding member (110) or the surface of the fastening member (120), thereby allowing the worker to check from a distance whether the safety hook hanging device (100) is fastened to the system scaffolding and working. For example, if the safety hook hang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fastened to the system scaffolding, the worker's movement and working are not possible, thereby further enhancing worker safety at construction sites, etc.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후크 걸이 장치에 의하면, 기존과 같이 시스템 비계의 가로 부재 및 세로 부재의 교차 지점에 도달할 때마다 작업자가 안전대의 후크를 결속 및 체결을 반복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afety hook hang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nience of work can be improved because the worker does not have to repeatedly tie and fasten the safety belt hook every time he or she reaches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horizontal member and the vertical member of the system ladder as in the past.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귀찮음에 의해 안전대를 시스템 비계에 결속하지 않고 작업을 할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이로 인해 작업자가 부주의로 인해 추락하여 다치거나 사망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mentioned above, there are frequent cases where workers do not attach safety belts to the system ladder due to inconvenience, and thus accidents in which workers fall due to carelessness and are injured or killed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또한, 시스템 비계의 가로 부재 및 세로 부재가 교차되는 지점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고, 이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 능률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easy to use because it can easily pass through the point wher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members of the system ladder intersect, and this can improve the work efficiency of the worker.
또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제조 단가가 낮아 경제적이며, 이로 인해 작업 현상에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어 사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it can be manufactured with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and it is economical, and as a result, it can be easily applied in work situations, which can increase usability.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best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herein, they have been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have not been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안전후크 걸이 장치
110: 슬라이딩 부재
111: 수용홈
112: 중심축
120: 결속 부재
121: 고리
122: 롤러
210: 가로 부재
220: 세로 부재100: Safety hook hanging device
110: Sliding member
111: Acceptance Home
112: Central axis
120: Absence of Cohesion
121: Ring
122: Roller
210: Horizontal member
220: Vertical absence
Claims (9)
상기 가로 부재(210) 또는 상기 세로 부재(220)를 수용하는 수용홈(111)과 상기 수용홈(111) 사이에 형성되는 날개가 3개씩 구비하여 형성되는 슬라이딩 부재(110);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110)의 외측 단부에 대해 90°내지 120°범위로 결합되고, 외측면의 중앙으로부터 일 측에 치우쳐 안전후크가 결속되는 고리(121)가 형성되는 결속 부재(120)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121)를 상측에 두는 방향으로 작업자가 상기 안전후크 걸이 장치(100)를 상기 가로 부재(210) 또는 상기 세로 부재(220)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 표시자가 추가로 표시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110)의 외측면 또는 상기 결속 부재(120)의 표면에 특수 물감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후크 걸이 장치.A safety hook hanging device (100) that is fastened to a horizontal member (210) or a vertical member (220) that constitutes a system ladder,
A sliding member (110) formed by having three wings formed between the receiving grooves (111) for receiving the horizontal member (210) or the vertical member (220); and
It includes a fastening member (120) that is coupled to the outer end of the sliding member (110) at a range of 90° to 120° and has a ring (121) formed to which a safety hook is fastened, offset to one side from the center of the outer surface.
A direction indicator is additionally displayed so that the worker can mount the safety hook hanging device (100) to the horizontal member (210) or the vertical member (220) in the direction of placing the ring (121) on the upper si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special paint is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liding member (110) or the surface of the binding member (120).
Safety hook hanging device.
상기 가로 부재(210)와 상기 세로 부재(220)의 교차 영역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110)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수용홈(111)에 상기 가로 부재(210) 또는 상기 세로 부재(220)가 수용되는,
안전후크 걸이 장치.In paragraph 1,
The sliding member (110) is rotated in the intersection area of the horizontal member (210) and the vertical member (220), so that the horizontal member (210) or the vertical member (220)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111).
Safety hook hanging device.
상기 슬라이딩 부재(110)는, 일정 거리를 두고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부재(110)로 구현되는,
안전후크 걸이 장치.In paragraph 1,
The above sliding member (110) is implemented as a pair of sliding members (11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certain distance.
Safety hook hanging device.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부재(110)를 상호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중심축(112)을 더 포함하는,
안전후크 걸이 장치.In the third paragraph,
Further comprising a central axis (112) configured to mutually couple the above pair of sliding members (110).
Safety hook hanging device.
상기 슬라이딩 부재(110)는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속 부재(120)의 내측면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110)의 상단부와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되는,
안전후크 걸이 장치.In paragraph 1,
The above sliding member (110) is formed in a disc shap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inding member (120) is formed with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liding member (110).
Safety hook hanging device.
상기 슬라이딩 부재(110)의 양 단부는 외측을 향하여 'ㄱ'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속 부재(120)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110)의 양측 상단부를 수용하도록 'ㄷ'형상으로 형성되는,
안전후크 걸이 장치.In paragraph 5,
Both ends of the above sliding member (110) are formed in an 'ㄱ' shape facing outward, and the above fastening member (120) is formed in a 'ㄷ' shape to accommodate the upper ends of both sides of the above sliding member (110).
Safety hook hanging device.
상기 결속 부재(120)에는, 상기 안전후크 걸이 장치(100)가 상기 가로 부재(210) 또는 상기 세로 부재(22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때에 상기 가로 부재(210) 또는 상기 세로 부재(220)와 상기 결속 부재(120)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을 저감하도록 구성되는 롤러(122)가 더 구비되는,
안전후크 걸이 장치.In paragraph 1,
The above-mentioned fastening member (120) is further provided with a roller (122) configured to reduce friction occurring between the horizontal member (210) or the vertical member (220) and the fastening member (120) when the safety hook hanging device (100) slides along the horizontal member (210) or the vertical member (220).
Safety hook hanging device.
상기 결속 부재(120)의 높이에 대해, 상기 롤러(122)가 구현되는 영역은 상기 결속 부재(120)의 외표면에 상기 고리(121)가 구현되는 영역에 상응하는,
안전후크 걸이 장치.
In Article 8,
With respect to the height of the above-mentioned binding member (120), the area where the roller (122) is implemented corresponds to the area where the ring (121) is impleme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binding member (120).
Safety hook hanging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4749A KR102743926B1 (en) | 2022-09-29 | 2022-09-29 | A safety hook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4749A KR102743926B1 (en) | 2022-09-29 | 2022-09-29 | A safety hook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45016A KR20240045016A (en) | 2024-04-05 |
KR102743926B1 true KR102743926B1 (en) | 2024-12-17 |
Family
ID=90714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24749A Active KR102743926B1 (en) | 2022-09-29 | 2022-09-29 | A safety hook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43926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1044034A1 (en) * | 1999-12-15 | 2001-06-21 | Meyer Ostrobrod | Horizontal lifeline traversing device |
US20030183118A1 (en) * | 2002-03-27 | 2003-10-02 | Marco Simard | Support device with load-transfer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an intermediate portion of an elongated element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096958B (en) * | 1981-04-16 | 1984-10-31 | Tupper Alan William | Load-transfer or traversing device |
KR101265723B1 (en) * | 2011-07-29 | 2013-05-20 | 강명석 | Transfer apparatus for life line |
-
2022
- 2022-09-29 KR KR1020220124749A patent/KR10274392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1044034A1 (en) * | 1999-12-15 | 2001-06-21 | Meyer Ostrobrod | Horizontal lifeline traversing device |
US20030183118A1 (en) * | 2002-03-27 | 2003-10-02 | Marco Simard | Support device with load-transfer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an intermediate portion of an elongated elem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45016A (en) | 2024-04-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155338B1 (en) | Fall arrest assembly | |
US10060146B2 (en) | I-beam-attachable lifeline system | |
US6488118B1 (en) | Fall arrest bypass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me | |
US9010487B2 (en) | Safety line anchoring system | |
US20120055738A1 (en) | Construction safety hanger | |
EP3672695B1 (en) | Case or cradle for a fall arrest device | |
US20050189171A1 (en) | Safety system and method of use for high workers | |
US10046775B2 (en) | Universal continuous belay system | |
US12280277B2 (en) | Fall protection system | |
EP2432563B1 (en) | Method, apparatus and arrangement for a lifeline system | |
KR102743926B1 (en) | A safety hook device | |
US10532235B2 (en) | Grid mesh anchor | |
KR102758606B1 (en) | A safety hook device | |
US20170028232A1 (en) | Lifeline device for temporary scaffold and lifeline support device | |
US4941633A (en) | Rope support device | |
US4159044A (en) | Safety working lanyard | |
WO2004067095A1 (en) | Improved fall restraint system | |
CN216456588U (en) | Anti-falling protection device | |
US9505415B1 (en) | Universal continuous belay system | |
EP2606939A2 (en) | System, tethering line and method for preventing a person from falling from a corner of a roof | |
EP4019092A1 (en) | Anchorage device | |
CA2499362C (en) | Fall protection restraint apparatus | |
KR200497936Y1 (en) | Lanyard on a safety belt that is difficult to untie | |
RU2826417C1 (en) | Safety system for lifting and lowering person, comprising rigid anchor line | |
JPS5820282Y2 (en) | Fall prevention safet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1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1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