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43722B1 - 퀵 클로즈 기능을 갖는 전동식 전지가위 - Google Patents

퀵 클로즈 기능을 갖는 전동식 전지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43722B1
KR102743722B1 KR1020210078542A KR20210078542A KR102743722B1 KR 102743722 B1 KR102743722 B1 KR 102743722B1 KR 1020210078542 A KR1020210078542 A KR 1020210078542A KR 20210078542 A KR20210078542 A KR 20210078542A KR 102743722 B1 KR102743722 B1 KR 102743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cissors
light sensor
scissor
mention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8711A (ko
Inventor
박인영
박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임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임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임삭
Priority to KR1020210078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43722B1/ko
Publication of KR20220168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43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4372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A01G3/033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having motor-driven blades
    • A01G3/037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having motor-driven blades the driving means being an electric mo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01G23/095Delimb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A01G3/025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having elongated or extended handles
    • A01G3/0255Tree pruners, i.e. pruning shears carried at the end of a p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8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5/00Hand-held shears with motor-driven bla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으로 가지를 자르는 전동식 전지가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음 작업을 위해 전지가위를 파우치에 수납 시 센서 감지기 기능을 이용해 간단한 동작으로 가위날을 클로즈하여 파우치에 수납할 수 있도록 한 퀵 클로즈 기능을 갖는 전동식 전지가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퀵 클로즈 기능을 갖는 전동식 전지가위{Electromotion Pruning Shears with Quick-close Function}
본 발명은 전동으로 가지를 자르는 전동식 전지가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음 작업을 위해 전지가위를 파우치에 수납 시 센서 감지기 기능을 이용해 간단한 동작으로 가위날을 클로즈하여 파우치에 수납할 수 있도록 한 퀵 클로즈 기능을 갖는 전동식 전지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수, 조경, 산림 및 화훼용 각종 작물이나 나무의 가지치기를 위해서는 전지가위, 전지톱 또는 칼등을 이용한다. 이중 전지가위는 단순히 작업자의 인력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 능력도 매우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모터의 구동력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전동식 전지가위에 관한 기기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전동식 전지가위의 칼날은 몸체에 고정된 고정날과 가동날로 구성되고, 가동날이 고정날 상에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 구간을 반복하여 움직임으로써, 고정날과 함께 전지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가동날의 반복 운동은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조건 없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1회 충전으로 일정시간 동안 연속 사용이 가능하고 취급이 간편한 휴대용 전동식 전지가위들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 등 점차 소형화 및 경량화를 추구하고 있는 추세이다.
위와 같은 휴대용 전동식 전지가위는,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트리거 형태로 이루어진 작동 스위치를 당겨서 전지가위를 구동시키게 되며, 작동 스위치를 풀면 전지가위의 가위날은 오픈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작업 장소를 이동해야하는 경우 혁대에 착용하는 파우치에 전지가위를 수납하고 이동하게 되는데, 가위날이 오픈된 상태에서 파우치에 전지가위를 수납하는 경우 오픈된 가위날로 인해 파우치의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는 작동 스위치를 당겨 가위날이 클로즈된 상태에서 전원을 오프하여 파우치에 수납하고 있으나, 이러한 과정은 고공에서 작업하는 사용자들에게 번거롭고, 사고의 위험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기가위를 파우치에 수납하거나, 이동이 필요한 경우 보다 편리하게 가위날을 클로즈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지가위의 몸체에 광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등 신체의 일부를 광센서가 감지하는 경우 가위날을 클로즈하도록 한 퀵 클로즈 기능을 갖는 전동식 전지가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손가락 등 신체의 일부가 가위날에 접촉한 경우 광센서의 동작을 중지하여 퀵 클로즈 구동으로 인한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한 퀵 클로즈 기능을 갖는 전동식 전지가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전지가위의 구동 스위치 및 파지부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된 상태에서만 광센서가 활성화되도록 구성하여 퀵 클로즈 구동으로 인한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한 퀵 클로즈 기능을 갖는 전동식 전지가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퀵 클로즈 구동으로 인한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한 퀵 클로즈 기능을 갖는 전동식 전지가위는, 피절삭체의 절단을 위해 힌지 회동하는 이동날(110)과, 이동날(110)과 이격 및 교차되도록 고정 배치되는 고정날(120)을 포함하는 가위부(100); 상기 이동날(110)을 힌지 회동시키기 위한 모터(210)를 포함하는 몸체부(200); 상기 모터(21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300); 상기 전원을 상기 모터(210)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구동 스위치(450); 근접한 물체를 감지하도록 상기 몸체부(200)의 외면에 구비되는 광센서(500); 및 상기 광센서의 물체 감지 신호를 전달 받아 상기 전원을 모터(210)에 전달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스위치(450) 해제 시 상기 가위부(100)는 이동날(110)과 고정날(120)이 이격되어 오픈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구동 스위치(450) 연결 시 상기 가위부(100)는, 이동날(110)과 고정날(120)이 교차하여 클로즈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가위부(100)가 오픈된 상태에서도 상기 광센서(500)의 물체 감지 신호 수신 시 상기 모터(210)를 구동시켜 상기 가위부(100)를 클로즈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센서는, 사용자가 상기 몸체부(2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의 이동 범위 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광센서가 물체를 일정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감지한 경우에만, 상기 모터(210)를 구동시켜 상기 가위부(100)를 클로즈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기가위는, 상기 가위부(100) 및 상기 구동 스위치(450)가 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위부(100) 및 상기 구동 스위치(450)에 직렬로 연결된 전류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보호부(650)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650)는, 상기 가위부(100)와 상기 구동 스위치(450)가 신체를 통해 통전되어 미세 전류를 감지한 경우 상기 모터(210)의 구동을 중단시켜 상기 가위부(100)가 오픈된 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미세 전류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모터(210)를 구동시켜 상기 가위부(100)를 클로즈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기가위는, 상기 가위부(100)가 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200) 상에 사용자가 파지하는 영역의 일부에 배치되며 도체로 이루어진 감지판; 및 상기 가위부(100) 및 상기 감지판에 직렬로 연결된 전류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보호부(650)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650)는, 상기 가위부(100)와 상기 감지판이 신체를 통해 통전되어 미세 전류를 감지한 경우 상기 모터(210)를 구동시켜 상기 가위부(100)를 클로즈 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미세 전류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모터(210)의 구동을 중단시켜 상기 가위부(100)가 오픈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부(650)는, 상기 광센서(500)를 활성화하여 상기 모터(210)를 구동시키고, 상기 광센서(500)를 비활성화 하여 상기 모터(210)의 구동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보호부(650)는, 상기 제어부(600)에 구동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모터(210)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어부(600)에 차단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모터(210)의 구동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퀵 클로즈 기능을 갖는 전동식 전지가위는, 간단한 동작으로 전지가위의 클로즈 기능이 수행되기 때문에 이동 시 오픈된 가위날로 인한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고, 파우치 수납 시 파우치의 손상을 방지한 효과가 있다.
또한, 광센서를 엄지를 노출하는 동작만으로 가위날 클로즈 기능이 수행되기 때문에 고공 작업 시 클로즈 동작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가 가위날로부터 이격된 상황에서만 광센서가 활성화되도록 구성하여 퀵 클로즈 동작으로 인한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지가위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지가위의 구동부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지가위의 전방측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지가위의 제어 과정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지가위의 제어 과정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지가위의 제어 과정 블록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전지가위(1000)(이하, ‘전지가위’)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지가위(1000)의 구동부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가위(1000)는 가지의 절단 및 고정을 위한 가위부(100)와, 가위부(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스위치(450) 및 모터(210)를 포함하는 몸체부(200)와, 모터(21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 스위치(400)가 구비된 배터리부(300)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여 몸체부(200)의 내부를 살펴보면 전지가위(1000)는 배터리부(300)의 전원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210)와 회전축(S1)을 기준으로 모터(210)의 회전에 의해 왕복 힌지 회동하여 가위부(100)의 이동날(110)을 힌지 회동시키는 기어(220)로 구성된다. 즉 회전축(S1)을 기준으로 길이 방향 일측에는 기어(22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이동날(110)이 연결 또는 일체로 형성되어 기어(220)의 힌지 회동에 연동하여 이동날(110)이 힌지 회동함에 따라 이동날(110)과 고정날(120) 사이의 물체가 절삭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전지가위(1000)는 전원 스위치(400)가 켜진 상태에서 구동 스위치(400)가 당겨지지 않은 경우 이동날(110)이 고정날(120)에서 이격되어 가위부(100)가 오픈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구동 스위치(450)를 당기는 경우 이동날(110)이 힌지 회동하고 고정날(120)과 교차하여 클로즈됨에 따라 물체가 절삭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구동 스위치(450)가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클로즈 상태가 유지되며, 구동 스위치(450)를 릴리스 하는 경우 이동날(110)이 힌지 회동하여 가위부(100)가 오픈된 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지가위(1000)는, 구동 스위치(450)를 당긴 상태에서 전원스위치(400)를 오프하여 구현할 수 있는 가위부(100)의 클로즈 모드를 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구현함에 그 특징이 있는바 이하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전지가위(100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지가위(1000)의 전방측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지가위(1000)의 제어 과정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가위(1000)는, 몸체부(200)의 상측에 상방으로 광센서(500)가 구비되며, 광센서(500)의 감지신호에 의해 모터(210)를 구동하여 가위부(100)가 클로즈 상태가 되도록 모터(210)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광센서(500)는 근접한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통상의 감지 센서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손가락 등 신체의 일부를 광센서(500)에 근접 노출할 경우 광센서(500)가 이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센서(500)는 사용자가 몸체부(2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를 통해 감지될 수 있도록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몸체부(200)를 감싸 파지하고, 검지가 구동 스위치(450)에 근접한 상태에서 엄지를 이용해 퀵 클로즈 모드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600)는, 광센서(500)의 물체 감지 신호를 전달 받아 모터(210)를 구동하여 가위부(100)가 오픈 상태인 경우 이동날(110)을 회전시켜 클로즈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어부(600)는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광센서(500)가 물체를 일정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감지한 경우에만, 모터(210)를 구동시키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경우에도 광센서(500)가 물체를 감지하여 발생할 수 있는 퀵 클로즈 모드의 오동작을 예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정시간은 일예로 2초일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의 전지가위(1000)는, 구동 스위치(450)가 해제된 상태 즉 가위부(100)가 오픈된 상태에서 전지가위(1000)의 이동이나 파우치에 수납해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복잡한 절차 없이 광센서(500)에 엄지를 일정시간 노출시키는 경우 제어부(600)가 모터(210)를 구동하여 가위부(100)가 클로즈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퀵 클로즈 모드 수행 시 사용자의 손이 가위부(100)에 근접하여 발생할 수 있는 부상을 예방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전지가위(1000)는 다음과 같은 특징적 구성을 추가 구성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지가위의 제어 과정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지가위는, 보호부(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부(650)는, 퀵 클로즈 모드 수행 시 가위날로 인한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보호부(650)를 통해 일정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광센서(500)를 활성화하여 물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보호부(650)를 통해 일정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광센서(500)가 활성화되지 않아 물체를 감지할 수 없게 되고, 사용자가 광센서(500)에 엄지를 노출하여 퀵 클로즈 모드를 수행하고자 하여도 제어부(600)에 물체 감지 신호가 전달되지 않아 퀵 클로즈 모드가 수행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보호부(650)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보호부(650)는 통전을 감지하는, 전류감지센서일 수 있고, 보호부(650)는, 도체로 이루어진 구동 스위치(450)와, 역시 도체로 이루어진 가위부(100)에 각각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검지가 구동 스위치(450)에 접촉된 상태에서 가위부(100)에 신체 접촉이 발생하는 경우 보호부(650)는 신체에서 흐르는 미세 전류를 감지하여 광센서(500)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가위부(100)에 신체접촉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퀵 클로즈 기능을 중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보호부(650)는, 도체로 이루어진 구동 스위치(450)와, 몸체부(200) 중 사용자의 손가락이 파지되는 파지부에 구비되며, 도체로 이루어진 감지판에 각각 직결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검지가 구동 스위치(450)에 접촉된 상태에서 파지부에 구비된 감지판에 신체 접촉이 발생하는 경우 보호부(650)는 신체에서 흐르는 미세 전류를 감지하여 광센서(500)를 활성화 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파지부에 신체접촉이 발생되는 경우에만, 퀵 클로즈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지가위의 제어 과정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지가위는, 보호부(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부(650)는, 퀵 클로즈 모드 수행 시 가위날로 인한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보호부(650)를 통해 일정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제어부(600)에 퀵 클로즈 모드 수행 가능 신호를 전달하여 광센서(500)에서 물체를 감지하는 경우에도 제어부(600)를 통해 모터(210)에 구동 신호를 전달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호부(650)의 세부 구성은 상술된 제2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즉 가위부(100)에 신체가 접촉된 경우 보호부(650)는 제어부(600)에 퀵 클로즈 수행 중지 신호를 전달하여 광센서(500)에서 물체를 감지하는 경우에도 제어부(600)를 통해 모터(210)에 구동 신호를 전달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고, 몸체부(200)의 파지 영역에 신체가 접촉된 경우에만, 보호부(650)는 제어부(600)에 퀵 클로즈 수행 가능 신호를 전달하여 광센서(500)에서 물체가 감지된 경우 모터(210)에 구동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00 : 전동식 전지가위
100 : 가위부
110 : 이동날
120 : 고정날
200 : 몸체부
210 : 모터
220 : 기어부
300 : 배터리부
400 : 전원 스위치
450 : 구동 스위치
500 : 광센서
600 : 제어부
650 : 보호부
S1 : 회전축

Claims (7)

  1. 피절삭체의 절단을 위해 힌지 회동하는 이동날(110)과, 상기 이동날(110)과 이격 및 교차되도록 고정 배치되는 고정날(120)을 포함하고, 도체로 이루어지는 가위부(100);
    상기 이동날(110)을 힌지 회동시키기 위한 모터(210)를 포함하는 몸체부(200);
    상기 모터(21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300);
    상기 전원을 상기 모터(210)에 전달 또는 차단하고, 도체로 이루어지는 구동 스위치(450);
    근접한 물체를 감지하도록 상기 몸체부(200)의 외면에 구비되고, 사용자가 상기 몸체부(2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의 이동 범위 내에 구비되는 광센서(500);
    상기 광센서(500)의 물체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전원을 상기 모터(210)에 전달하고, 상기 광센서(500)가 물체를 일정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감지한 경우에만 상기 모터(210)를 구동시켜 상기 가위부(100)를 클로즈 상태로 유지시키는 제어부(600); 및
    상기 가위부(100) 및 상기 구동 스위치(450)에 직렬로 연결된 전류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200) 상에 사용자가 파지하는 영역의 일부에 배치되며 도체로 이루어진 감지판과, 상기 가위부(100) 및 상기 감지판에 직렬로 연결된 전류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가위부(100)와 상기 감지판이 신체를 통해 통전되어 미세 전류를 감지한 경우 상기 모터(210)를 구동시켜 상기 가위부(100)를 클로즈 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미세 전류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모터(210)의 구동을 중단시켜 상기 가위부(100)가 오픈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보호부(650)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스위치(450) 해제 시 상기 가위부(100)는 이동날(110)과 고정날(120)이 이격되어 오픈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구동 스위치(450) 연결 시 상기 가위부(100)는 이동날(110)과 고정날(120)이 교차하여 클로즈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가위부(100)가 오픈된 상태에서도 상기 광센서(500)의 물체 감지 신호 수신 시 상기 모터(210)를 구동시켜 상기 가위부(100)를 클로즈 상태로 유지시키며,
    상기 보호부(650)는, 상기 가위부(100)와 상기 구동 스위치(450)가 신체를 통해 통전되어 흐르는 미세 전류를 상기 전류감지센서를 통해 감지한 경우, 상기 모터(210)의 구동을 중단시켜 상기 가위부(100)가 오픈된 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보호부(650)는, 상기 광센서(500)를 활성화하여 상기 모터(210)를 구동시키고, 상기 광센서(500)를 비활성화 하여 상기 모터(210)의 구동을 중단시키며,
    상기 보호부(650)는, 상기 제어부(600)에 구동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모터(210)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어부(600)에 차단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모터(210)의 구동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클로즈 기능을 갖는 전동식 전지가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078542A 2021-06-17 2021-06-17 퀵 클로즈 기능을 갖는 전동식 전지가위 Active KR102743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542A KR102743722B1 (ko) 2021-06-17 2021-06-17 퀵 클로즈 기능을 갖는 전동식 전지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542A KR102743722B1 (ko) 2021-06-17 2021-06-17 퀵 클로즈 기능을 갖는 전동식 전지가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711A KR20220168711A (ko) 2022-12-26
KR102743722B1 true KR102743722B1 (ko) 2024-12-17

Family

ID=84547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542A Active KR102743722B1 (ko) 2021-06-17 2021-06-17 퀵 클로즈 기능을 갖는 전동식 전지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4372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36359A1 (en) 2015-08-04 2017-02-09 Makita Corporation Electric scissors
US20210162619A1 (en) 2017-11-23 2021-06-03 Pellenc Electric cutting tool with automatic emergency stop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700B1 (ko) * 2008-09-16 2012-07-27 대한민국 전동식 전지 가위
FR3029036B1 (fr) * 2014-11-25 2016-11-25 Pellenc Sa Procede et dispositif de commande pour equipement a moteur.
FR3073773B1 (fr) * 2017-11-23 2019-10-25 Pellenc Outil de coupe electrique a arret d'urgence automatiqu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36359A1 (en) 2015-08-04 2017-02-09 Makita Corporation Electric scissors
US20210162619A1 (en) 2017-11-23 2021-06-03 Pellenc Electric cutting tool with automatic emergency sto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711A (ko) 202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3622B1 (ko) 안전밴드가 구비된 전지가위
EP2451264B1 (en) Electrical two-way rotary trimmer
RU2504945C2 (ru) Кусторез
US12164281B2 (en) Hand-guided garden, forestry and/or construction wor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hand-guided garden, forestry and/or construction working apparatus
EP3273767B1 (en) Dual direction trimmer with self detection capability
US8677629B2 (en) Shielded knife and associated methods
US4213288A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a power-operated lawn mower
KR20110069017A (ko) 방아쇠로 작동하는 휴대용 전동 공구
US20170332541A1 (en) Garden-Implement-Handle Device
JP2010068802A (ja) 電動式剪定バサミ
EP2914089B1 (en) Power tool with status indicator
EP2158803A1 (en) Vegetation cutting tool
KR102743722B1 (ko) 퀵 클로즈 기능을 갖는 전동식 전지가위
GB2466712A (en) Electric pruner
KR101174640B1 (ko) 자동전지가위
CN104285694B (zh) 链锯
US11324529B2 (en) Handheld surgical device having a rotating portion
JP2001340023A (ja) 電動式高枝切り鋏
FR2831476A1 (fr) Dispositif de securite pour outil de coupe manuel motorise
JP2017192347A (ja) 電動刈り込み鋏
EP3466247B1 (en) Hand-held working machine
KR20100138323A (ko) 전동식 다용도 가위
KR20170032202A (ko) 전동 가위의 이물 검출 기구
US20040035005A1 (en) Electrical pruning shears
JPH106303A (ja) 電動ノコギ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