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39185B1 - Interlock connecter assembly - Google Patents
Interlock connecter assemb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39185B1 KR102739185B1 KR1020200027956A KR20200027956A KR102739185B1 KR 102739185 B1 KR102739185 B1 KR 102739185B1 KR 1020200027956 A KR1020200027956 A KR 1020200027956A KR 20200027956 A KR20200027956 A KR 20200027956A KR 102739185 B1 KR102739185 B1 KR 1027391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connector housing
- housing
- terminal
- cartrid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interlocked with contact members or counterpa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커넥터 하우징, 커넥터 하우징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와이어,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 카트리지,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커터, 및 제2와이어와 연결되며 제2와이어가 커터로부터 이격되는 제1위치에서 커터에 의해 절단되는 제2위치로 이동하도록 커넥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원 차단 대처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ssembly, which comprises a connector housing, a first wire connected to the connector housing, a second wire arranged inside the connector housing, a terminal cartridg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 cutter provided inside the connector housing, and a movable member connected to the second wire and movable to the connector housing so as to move from a first position where the second wire is spaced apart from the cutter to a second position where the second wire is cut by the cutter,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and efficiently performing power cut-off response.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터락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원 차단 대처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인터락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lock connector assembly, and more specifically, to an interlock connector assembly capable of improving convenience and efficiently performing power cut-off response.
최근 들어 전기 차량이나 하이브리드 차량과 같은 친환경 차량의 판매가 증가하고 있으며, 친환경 차들은 내부에서 사용되는 전기가 종래 가솔린이나 디젤 등의 엔진 구동 차량보다 많기 때문에 고전압을 사용한다.In recent years, sales of eco-friendly vehicles such as electric and hybrid vehicles have been increasing, and eco-friendly vehicles use high voltage because they use more electricity inside than conventional gasoline or diesel engine-powered vehicles.
즉, 전기 차량, 연료전지 차량 및 두 가지 이상의 동력원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일반 차량과 달리 전기 모터로 차량을 구동시키는 등의 동작을 하기 때문에 일반 차량에 비해 높은 전압 및 전류가 인가되는 고전압 회로가 많이 사용된다.That is, in the case of electric vehicles, fuel cell vehicles, and hybrid vehicles that utilize two or more power sources, high-voltage circuits that apply higher voltage and current are often used compared to general vehicles because the vehicles are driven by electric motors, unlike general vehicles that are driven by engines.
한편, 친환경 차량의 정비 및 수리시에는, 고전압 회로의 높은 전압이 작업자 및 운전자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고전압 회로를 차단한 상태에서 작업이 수행될 수 있어야 한다.Meanwhile, when servicing and repairing eco-friendly vehicles, the work must be performed with the high voltage circuit turned off, as the high voltage of the high voltage circuit can pose a risk to workers and drivers.
또한, 응급 상황(예를 들어, 차량 충돌 등에 의한 차량내 단선 발생) 발생시에도, 차량내 배선을 컨트롤 해야 하는 경우에는 감전 등의 문제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배터리 시스템 전원이 차단될 수 있어야 한다.Additionally,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e.g., a short circuit inside the vehicle due to a vehicle collision, etc.), the battery system power must be cut off to protect workers from electric shock and other problems when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wiring inside the vehicle.
이를 위해, 친환경 차량에는 배터리의 고전압을 차단하기 위한 A/S(서비스) 인터락 커넥터가 마련된다.For this purpose, eco-friendly vehicles are equipped with an A/S (service) interlock connector to block the high voltage of the battery.
그러나, 기존에는 배터리 시스템 전원을 차단하기 위해, 배터리 시스템과 연결되도록 인터락 커넥터에 마련된 와이어를 절단해야 하는데, 와이어를 절단하기 위해서는 칼 또는 가위 등과 같은 별도의 공구를 사용해야 하므로, 배터리 시스템의 전원을 차단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으며, 응급 상황에서 신속한 전원 차단 대처를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past, in order to cut off the power to the battery system, it was necessary to cut the wire provided in the interlock connector to be connected to the battery system. To cut the wire, a separate tool such as a knife or scissors had to be used, which caused many inconveniences in cutting off the power to the battery system, and there was also the problem of making it difficult to quickly cut off the power in an emergency situation.
더욱이, 기존에는 인터락 커넥터가 연결 소켓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차량의 정비 및 수리시 연결 소켓으로부터 분리된 인터락 커넥터의 분실 위험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정비 완료 후 인터락 커넥터를 재결합(결선)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Moreover, since the interlock connector is configured to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socket, there is a high risk of losing the interlock connector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socket during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vehicle, and the work of reconnecting (wiring) the interlock connector after maintenance is completed is very cumbersome and inconvenient.
또한, 기존에는 인터락 커넥터에 마련된 와이어가 외부로 직접 노출됨에 따라, 엔진룸의 미관이 저해되고, 마감 불량의 오해를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ires provided in the existing interlock connector were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appearance of the engine room was impaired and a misunderstanding of poor finishing was caused.
이에 따라, 최근에는 배터리 시스템의 전원 차단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응급 상황에서 전원 차단 대처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미흡하여 이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recently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power cut-off operations in battery systems and to efficiently perform power cut-off responses in emergency situations, but they are still insufficient and further development is required.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원 차단 대처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인터락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n interlock connector assembly capable of improving convenience and efficiently performing power cut-off response.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전원 차단이 가능하며, 응급 상황시 신속한 전원 차단 대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enable power cut-off without using a separate tool, and to enable rapid power cut-off response in an emergency situ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인터락 커넥터의 분실 위험성을 낮출 수 있으며, 정비 및 관리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reduce the risk of loss of an interlock connector and provide ease of maintenance and managem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디자인 특성을 향상시키고 상품적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improve design characteristics and enhance commercial value.
실시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in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can be said that the purpose or effect that can be understood from the solution or embodiment of the problem described below is also included.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락 커넥터 조립체는, 커넥터 하우징, 커넥터 하우징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와이어,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 카트리지,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커터, 및 제2와이어와 연결되며 제2와이어가 커터로부터 이격되는 제1위치에서 커터에 의해 절단되는 제2위치로 이동하도록 커넥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lock connector assembly includes a connector housing, a first wire connected to the connector housing, a second wire arranged inside the connector housing, a terminal cartridg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 cutter provided inside the connector housing, and a movable member connected to the second wire and movable to the connector housing so as to move from a first position where the second wire is spaced apart from the cutter to a second position where the second wire is cut by the cutter.
이는, 전원 차단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응급 상황에서 전원 차단 대처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power cut-off operations and to efficiently perform power cut-off responses in emergency situations.
즉, 기존에는 배터리 시스템 전원을 차단하기 위해, 배터리 시스템과 연결되도록 인터락 커넥터에 마련된 와이어를 절단해야 하는데, 와이어를 절단하기 위해서는 칼 또는 가위 등과 같은 별도의 공구를 사용해야 하므로, 배터리 시스템의 전원을 차단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으며, 응급 상황에서 신속한 전원 차단 대처를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That is, in the past, in order to cut off the power to the battery system, it was necessary to cut the wire provided in the interlock connector to be connected to the battery system. However, in order to cut the wire, a separate tool such as a knife or scissors had to be used, which caused many inconveniences in cutting off the power to the battery system, and there was also the problem of making it difficult to quickly cut off the power in an emergency situation.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터락 커넥터 조립체의 내부에 커터를 내장하고, 이동부재의 이동에 의해 제2와이어가 커터에 의해 절단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전원(예를 들어, 고전압 배터리 시스템 전원)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전원 차단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응급 상황에서 전원 차단 대처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utter built into the interior of the interlock connector assembly, and the second wire is cut by the cutter by movement of the movable member, thereby enabling power (e.g., a high-voltage battery system power) to be cut off without using a separate tool,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power cut-off operation and obtaining the advantageous effect of performing a power cut-off response quickly and efficiently in an emergency situation.
이동부재의 이동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부재는 커넥터 하우징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동부재의 직선 이동에 의해 제2와이어는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부재가 곡선 이동 또는 회전 이동함으로써 제2와이어를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The moving structure of the movable member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For example, the movable member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housing so as to be linearly movable, and the second wire can be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the linear movement of the movable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wire can also be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the movable member moving in a curved manner or in a rotational manner.
바람직하게, 제2와이어의 일단은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되고, 제2와이어의 다른 일단은 이동부재와 함께 이동 가능하게 이동부재에 연결되며, 이동부재가 커넥터 하우징에 대해 이동하면, 제2와이어의 일단과 제2와이어의 다른 일단의 사이 부위가 커터에 의해 절단될 수 있다.Preferably, one end of the second wire is fixed to the connector housing,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ire is connected to the movable member so as to be movable together with the movable member, and when the movable member moves relative to the connector housing, a portion between one end of the second wire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ire can be cut by a cutt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락 커넥터 조립체는 커넥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게 이동부재에 연결되는 고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lock connector assembly may include a ring portion connected to the movable member so as to be exposed to the exterior of the connector housing.
이와 같이, 이동부재에 고리부를 연결하고, 작업자가 고리부를 당김 조작하면 이동부재가 이동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이동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성을 높이고,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is way, by connecting a ring part to a movable member and allowing the movable member to move when a worker pulls the ring part, the advantageous effects of improving operability for moving the movable member and enhancing stability and reliability can be obtain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락 커넥터 조립체는 고리부에 연결되며, 정보를 표시하는 라벨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lock connector assembly is connected to the ring portion and may include a label portion for displaying information.
라벨부에 표기되는 정보의 내용(예를 들어, 인터락 커넥터 조립체의 사용법 및 주의법)은 요구되는 조건 및 사용 환경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라벨부에 표기되는 정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of the information indicated on the label (e.g., how to use and precautions for the interlock connector assembly) may vary depending on required conditions and usage environment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restricted by the information indicated on the label.
커넥터 하우징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커넥터 하우징은, 제1하우징, 및 제1하우징과 상호 협조적으로 터미널 카트리지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한다.The connector housing can be formed into various structures depending on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For example, the connector housing includes a first housing and a second housing that forms a receiving space in which a terminal cartridge is received in cooperation with the first housing.
터미널 카트리지는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terminal cartridge can be formed into various structures capable of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일 예로, 터미널 카트리지는,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카트리지 하우징, 및 카트리지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며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을 포함한다.For example, a terminal cartridge includes a cartridge housing accommodated in a receiving space, and a terminal provided inside the cartridge housing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바람직하게, 터미널 카트리지는, 터미널이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와 결선되는 제1이동위치와, 터미널이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와 단선되는 제2이동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공간에 배치된다.Preferably, the terminal cartridge is arranged in the receiving space so as to be movable to a first moving position in which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nd a second moving position in which the terminal is disconnected from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 하우징에 형성되는 제1구속돌기, 및 제1구속돌기에 선택적으로 구속 가능하게 카트리지 하우징에 형성되는 제2구속돌기를 포함하고, 터미널 카트리지가 제2이동위치로 이동하면, 제2구속돌기는 제1구속돌기에 구속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or housing is provided with a first retaining projection formed on a connector housing, and a second retaining projection formed on a cartridge housing so as to be selectively retained by the first retaining projection, wherein when the terminal cartridge moves to a second moving position, the second retaining projection can be retained by the first retaining projection.
이와 같이, 터미널이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와 단선되는 제2이동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제2구속돌기가 제1구속돌기에 구속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터미널이 제2이동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터미널 카트리지가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정비 및 수리시 인터락 커넥터의 분실 위험성을 낮출 수 있으며, 정비 완료 후 인터락 커넥터를 재결합(결선)하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is way, by allowing the second restraining projection to be restrained by the first restraining projection when the terminal has moved to the second moving position where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re disconnected, the terminal cartridg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housing when the terminal has moved to the second moving position. Therefore, the risk of losing the interlock connector during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vehicle can be reduced, and the advantageous effect of making it easier to reconnect (connect) the interlock connector after maintenance is completed can be obtain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원 차단 대처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venience can be improved and the advantageous effect of efficiently performing power cut-off response can be obtained.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전원 차단이 가능하며, 응급 상황시 신속한 전원 차단 대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ower can be cut off without using a separate tool, and an advantageous effect of enabling a quick power cut response in an emergency situation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락 커넥터의 분실 위험성을 낮출 수 있으며, 정비 및 관리의 용이함을 제공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sk of loss of the interlock connector can be reduced, and the advantageous effects of providing ease of maintenance and management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자인 특성을 향상시키고 상품적 가치를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dvantageous effects of improving design characteristics and enhancing commercial valu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커넥터 조립체의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커넥터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커넥터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커넥터 조립체로서, 고리부의 당김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커넥터 조립체로서, 제1위치에서의 제2와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커넥터 조립체로서, 제2위치에서의 제2와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커넥터 조립체로서, 터미널 카트리지의 제1이동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커넥터 조립체로서, 터미널 카트리지의 제2이동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n interlock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terlock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terlock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pulling operation of the ring portion of an interlock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second wire at a first position, which is an interlock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second wire at a second position, which is an interlock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first movement position of the terminal cartridge as an interlock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second movement position of the terminal cartridge as an interlock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예들간 그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ome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among the embodiments can be selectively combined or substituted for us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that can be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explicitly and specifically defined and described, and terms that are commonly used,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can be interpret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evant technolog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Additionally, 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may also include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nd when it is described as "A and (or at least one) of B, C", 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all combinations that can be combined with A, B, C.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describing component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se terms are only intend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nature, order, or sequence of the component.
그리고,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include not only cases where the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lso cases where the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by another component between the component and the other component.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요소가 두 개의 구성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r arranged "above or below" each component, above or below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 two compon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but also the case where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re formed or arranged between the two components. In addition, when it is expressed as "above or below", it can include the meaning of the downward direction as well as the upward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락 커넥터 조립체(100)는, 커넥터 하우징(110), 커넥터 하우징(110)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120), 커넥터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와이어(130), 제1와이어(120)와 제2와이어(1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 카트리지(140), 커넥터 하우징(1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커터(150), 및 제2와이어(130)와 연결되며 제2와이어(130)가 커터(150)로부터 이격되는 제1위치에서 커터(150)에 의해 절단되는 제2위치로 이동하도록 커넥터 하우징(110)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부재(1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to 8, an interlock connector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or housing (110), a first wire (120) connected to the connector housing (110), a second wire (130) arranged inside the connector housing (110), a terminal cartridge (140)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wire (120) and the second wire (130), a cutter (150) provided inside the connector housing (110), and a movable member (160) connected to the second wire (130) and movable to the connector housing (110) so that the second wire (130) moves from a first position spaced from the cutter (150) to a second position where the second wire (130) is cut by the cutter (150).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커넥터 조립체(100)는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전원공급부의 종류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reference, the interlock connector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cutting off power from a power supply uni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restricted by the type and structure of the power supply unit.
일 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커넥터 조립체(100)는 전기 차량, 연료전지 차량, 하이브리드 차량과 같은 친환경 차량의 배터리 시스템 전원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As an example, an interlock connector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cut off power to a battery system of an eco-friendly vehicle, such as an electric vehicle, a fuel cell vehicle, or a hybrid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커넥터 조립체(100)는 친환경 차량의 배터리 시스템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 가능한 다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An interlock connector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at various locations to selectively cut off the battery system power of an eco-friendly vehicle.
일 예로, 도 1을 참조하면, 인터락 커넥터 조립체(100)는 친환경 차량의 엔진룸에 마련된 정션박스(10)의 고전압 배터리 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락 커넥터 조립체를 친환경 차량의 차체에 장착하거나 여타 다른 위치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 the interlock connector assembly (100) may be connected to a high-voltage battery connection of a junction box (10) provided in the engine room of an eco-friendly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lock connector assembly may be mounted on the body of an eco-friendly vehicle or in any other loca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커넥터 하우징(110)은 내부에 터미널 카트리지(140)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갖도록 마련된다.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connector housing (110)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a terminal cartridge (140) is accommodated therein.
커넥터 하우징(110)은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커넥터 하우징(110)의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nnector housing (110) can be formed in various structures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insid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restricted by the structure of the connector housing (110).
일 예로, 커넥터 하우징(110)은, 제1하우징(112), 및 제1하우징(112)과 상호 협조적으로 터미널 카트리지(140)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114)을 포함할 수 있으며, 대략 사각 블럭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3개 이상의 하우징을 결합하여 커넥터 하우징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커넥터 하우징이 여타 다른 기하학적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the connector housing (110) may include a first housing (112) and a second housing (114) that forms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a terminal cartridge (140) is accommodated in cooperation with the first housing (112), and may be formed to have an approximately square block sha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connector housing by combining three or more housings, and it is also possible to make the connector housing have other geometrical shap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112)의 일측부에는 고정돌기(112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정션박스(10)에 형성된 고정홈(미도시)에 고정돌기(112a)를 삽입함으로써 정션박스(10)에 커넥터 하우징(110)을 고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xing projection (112a)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112), and the connector housing (110) may be fixed to the junction box (10) by inserting the fixing projection (112a) into a fixing groove (not shown) formed in the junction box (10).
제1와이어(120)는 차량의 배터리 시스템과 인터락 커넥터 조립체(100)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도록 마련된다.The first wire (120) is provid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vehicle's battery system and the interlock connector assembly (100).
보다 구체적으로, 제1와이어(120)의 일단은 차량의 배터리 시스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와이어(120)의 다른 일단은 커넥터 하우징(110)의 내부에 고정된다.More specifically, one end of the first wire (1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system of the vehicle,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wire (120) is fixed inside the connector housing (110).
바람직하게, 제1와이어(120)의 다른 일단에는 터미널(142)단자(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1와이어(120)는 터미널(142)단자를 매개로 터미널 카트리지(140)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Preferably, a terminal (142) (not shown)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wire (120), and the first wire (1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cartridge (140) via the terminal (142).
제1와이어(120)의 배치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와이어(120)는 커넥터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대략 'ㄱ'자 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first wire (120) may be vari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For example, the first wire (120) may be arranged to form an approximately 'ㄱ' shape inside the connector housing (110).
제2와이어(130)는 커넥터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며, 터미널 카트리지(140)를 매개로 제1와이어(1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 회로를 이루도록 마련된다.The second wire (130) is arranged inside the connector housing (110) and is configured to form an electric circu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wire (120) via a terminal cartridge (140).
제2와이어(130)의 배치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와이어(130)는 제1와이어(120)의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커넥터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대략 'L'자 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second wire (130) may be vari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For example, the second wire (130) may be arrange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wire (120) and may be arranged to form an approximate 'L' shape inside the connector housing (110).
이와 같이, 제2와이어(130)가 커넥터의 하우징(110)에 내부에 은폐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제2와이어(130)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른 엔진룸의 미관 저하를 방지하고, 마감 불량의 오해를 방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디자인 특성을 향상시키고 상품적 가치를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is way, by concealing the second wire (130) inside the housing (110) of the connector,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advantageous effect of preventing the appearance of the engine room from being deteriorated due to the second wire (130)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preventing misunderstandings about poor finishing.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advantageous effect of improving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and enhancing its commercial value.
터미널 카트리지(140)는 제1와이어(120)와 제2와이어(1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마련된다.The terminal cartridge (140) is provid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wire (120) and the second wire (130).
터미널 카트리지(140)는 제1와이어(120)와 제2와이어(130)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터미널 카트리지(140)의 구조 및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al cartridge (140) can be formed in various structures capable of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wire (120) and the second wire (130),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restricted by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terminal cartridge (140).
일 예로, 터미널 카트리지(140)는,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카트리지 하우징(141), 및 카트리지 하우징(141)의 내부에 마련되며 제1와이어(120)와 제2와이어(1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142)을 포함한다.For example, a terminal cartridge (140) includes a cartridge housing (141) accommodated in a receiving space, and a terminal (142) provided inside the cartridge housing (141) and electrically connecting a first wire (120) and a second wire (130).
카트리지 하우징(141)에는 일측이 개방된 수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터미널(142)은 수용부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A cartridge housing (141) may be formed with a receiving portion (not shown) that is open on one side, and the terminal (142) may be receiv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of the receiving portion.
터미널(142)은 제1와이어(120)와 제2와이어(130)를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터미널(142)은 대략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은 제1와이어(120)에 접속되고, 다른 일단은 제2와이어(130)에 접속될 수 있다.The terminal (142) may be formed in various structures that can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wire (120) and the second wire (130). For example, the terminal (142) may be formed in an approximately 'ㄷ' shape, with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wire (12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wire (130).
바람직하게, 터미널 카트리지(140)는, 터미널(142)이 제1와이어(120) 및 제2와이어(130)와 결선되는 제1이동위치와, 터미널(142)이 제1와이어(120) 및 제2와이어(130)와 단선되는 제2이동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공간에 배치된다.Preferably, the terminal cartridge (140) is arranged in the receiving space so as to be movable to a first moving position where the terminal (142) is connected to the first wire (120) and the second wire (130), and a second moving position where the terminal (142) is disconnected from the first wire (120) and the second wire (130).
일 예로, 커넥터 하우징(110)의 수용 공간은 일측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터미널 카트리지(140)는 수용 공간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인출(제2이동위치로 이동)되거나 수용 공간의 내부에 수용(제1이동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ceiving space of the connector housing (110) may be formed with a structure in which one side is open, and the terminal cartridge (140) may be withdrawn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of the receiving space (moved to the second moving position) or receiv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moved to the first moving position).
여기서, 터미널(142)이 제1와이어(120) 및 제2와이어(130)와 결선되는 제1이동위치에 배치된다 함은, 도 7과 같이, 터미널(142)이 제1와이어(120) 및 제2와이어(130)에 접촉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결선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정의된다.Here, the terminal (142) being positioned at the first moving position connected to the first wire (120) and the second wire (130) is defined as being positioned at a connection position where the terminal (142) is in contact with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wire (120) and the second wire (130), as shown in FIG. 7.
또한, 터미널(142)이 제1와이어(120) 및 제2와이어(130)와 단선되는 제2이동위치에 배치된다 함은, 도 8과 같이, 터미널(142)이 제1와이어(120) 및 제2와이어(130)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며 전기적으로 차단되는 단선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정의된다.In addition, the terminal (142) being positioned at the second moving position where it is disconnected from the first wire (120) and the second wire (130) is defined as being positioned at a disconnected position where the terminal (142)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wire (120) and the second wire (130) and is electrically disconnected, as shown in FIG. 8.
더욱 바람직하게, 커넥터 하우징(110)과 카트리지 하우징(141) 중 어느 하나에는 제1구속돌기(116)가 형성되고, 커넥터 하우징(110)과 카트리지 하우징(141) 중 다른 하나에는 제1구속돌기(116)가 구속되는 제2구속돌기(144)가 형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a first restraining projection (116) may be formed on one of the connector housing (110) and the cartridge housing (141), and a second restraining projection (144) to which the first restraining projection (116) is restrained may be formed on the other of the connector housing (110) and the cartridge housing (141).
일 예로, 도 8을 참조하면, 커넥터 하우징(110)에는 제1구속돌기(116)가 형성될 수 있고, 카트리지 하우징(141)에는 제1구속돌기(116)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는 제2구속돌기(144)가 형성될 수 있으며, 터미널 카트리지(140)가 제2이동위치로 이동하면, 제2구속돌기(144)는 제1구속돌기(116)에 구속된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8, a first restraining projection (116) may be formed on a connector housing (110), a second restraining projection (144) selectively restrained to the first restraining projection (116) may be formed on a cartridge housing (141), and when the terminal cartridge (140) moves to the second moving position, the second restraining projection (144) is restrained to the first restraining projection (116).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커넥터 하우징(110)의 일측단부에 제1구속돌기(116)가 형성되고, 제1구속돌기(116)에 대응하는 카트리지 하우징(141)의 일측단부에 제2구속돌기(144)가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 하우징의 상단(또는 하단)에 제1구속돌기를 형성하고, 카트리지 하우징의 상단(또는 하단)에 제2구속돌기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제1구속돌기 및 제2구속돌기의 위치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referenc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is described in which a first restraining projection (116) is formed at one end of a connector housing (110) and a second restraining projection (144) is formed at one end of a cartridge housing (141)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straining projection (116). 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first restraining projection at the top (or bottom) of the connector housing and the second restraining projection at the top (or bottom) of the cartridge housing,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restricted by the positions and structures of the first restraining projection and the second restraining projection.
이와 같이, 터미널(142)이 제1와이어(120) 및 제2와이어(130)와 단선되는 제2이동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제2구속돌기(144)가 제1구속돌기(116)에 구속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터미널(142)이 제2이동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터미널 카트리지(140)가 커넥터 하우징(11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정비 및 수리시 인터락 커넥터의 분실 위험성을 낮출 수 있으며, 정비 완료 후 인터락 커넥터를 재결합(결선)하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is way, by allowing the second restraining projection (144) to be restrained by the first restraining projection (116) while the terminal (142) has moved to the second moving position where it is disconnected from the first wire (120) and the second wire (130), the terminal cartridge (14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housing (110) while the terminal (142) has moved to the second moving position. Therefore, the risk of losing the interlock connector during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vehicle can be reduced, and the advantageous effect of making it easier to reconnect (connect) the interlock connector after maintenance is completed can be obtained.
커터(150)는 응급상황시 제2와이어(130)를 절단하기 위해 커넥터 하우징(110)의 내부에 마련된다.A cutter (150) is provided inside the connector housing (110) to cut the second wire (130) in an emergency situation.
커터(150)로서는 제2와이어(130)를 절단할 수 있는 다양한 컷팅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커터(150)의 종류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the cutter (150), various cutting members capable of cutting the second wire (130) can be us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restricted by the type and structure of the cutter (150).
보다 구체적으로, 커터(150)는 후술할 이동부재(160)에 의해 제2와이어(130)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하면 제2와이어(130)를 절단하도록 커넥터 하우징(110)의 내부에 고정된다.More specifically, the cutter (150) is fixed inside the connector housing (110) so as to cut the second wire (130) when the second wire (130)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the moving member (160) described later.
바람직하게, 커터(150)는 제2와이어(130)가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는 각도 또는 자세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커터(150)는 커넥터 하우징(110)의 내부에 대략 45도 각도로 경사(도 5 기준)지게 배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cutter (150) is positioned at an angle or position where the second wire (130) can be easily cut. For example, the cutter (150) may be positioned at an angle of approximately 45 degrees (based on FIG. 5) inside the connector housing (110).
이동부재(160)는 제2와이어(130)와 연결되며, 제2와이어(130)가 커터(150)로부터 이격되는 제1위치에서 커터(150)에 의해 절단되는 제2위치로 이동하도록 커넥터 하우징(110)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The movable member (160) is connected to the second wire (130) and is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connector housing (110) so that the second wire (130) moves from a first position where it is spaced apart from the cutter (150) to a second position where it is cut by the cutter (150).
여기서, 제2와이어(130)가 제1위치에 배치된다 함은, 제2와이어(130)가 커터(150)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정의되고, 제2와이어(130)가 제2위치에 배치된다 함은, 제2와이어(130)가 커터(150)에 절단 가능하게 커터(150)에 접촉되는 것으로 정의된다.Here, the second wire (130) being placed at the first position is defined as the second wire (130) being placed spaced apart from the cutter (150), and the second wire (130) being placed at the second position is defined as the second wire (130) being in contact with the cutter (150) so as to be cut by the cutter (150).
이동부재(160)의 이동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부재(160)는 커넥터 하우징(110)에 직선 이동(예를 들어, 도 4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동부재(160)의 직선 이동에 의해 제2와이어(130)는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부재가 곡선 이동 또는 회전 이동함으로써 제2와이어를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The movement structure of the movable member (160)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For example, the movable member (160) is coupled to the connector housing (110) so as to be able to move in a straight line (for example, in a straight line in the up-down direction based on FIG. 4), and the second wire (130) can be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the straight line movement of the movable member (16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wire can also be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the movable member moving in a curved direction or rotating direction.
보다 구체적으로, 제2와이어(130)의 일단은 커넥터 하우징(110)에 고정되고, 제2와이어(130)의 다른 일단은 이동부재(160)와 함께 이동 가능하게 이동부재(160)에 연결되며, 이동부재(160)가 커넥터 하우징(110)에 대해 이동(예를 들어, 이동부재(160)가 커넥터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위치에서 커넥터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되는 위치로 이동)하면, 제2와이어(130)의 일단과 제2와이어(130)의 다른 일단의 사이 부위가 커터(150)에 의해 절단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one end of the second wire (130) is fixed to the connector housing (110),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ire (130) is connected to the movable member (160) so as to be movable together with the movable member (160), and when the movable member (160) moves with respect to the connector housing (110) (for example, when the movable member (160) moves from a position where it is accommodated inside the connector housing (110) to a position where it protrudes outside the connector housing (110), a portion between one end of the second wire (13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ire (130) can be cut by the cutter (15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락 커넥터 조립체(100)는 커넥터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되게 이동부재(160)에 연결되는 고리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lock connector assembly (100) may include a ring portion (162) connected to a movable member (160)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or housing (110).
고리부(162)는 작업자가 당김 조작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리부(162)의 형상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ring part (162) can be formed into various structures that can be pulled and manipulated by a worker,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restricted by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ring part (162).
이와 같이, 이동부재(160)에 고리부(162)를 연결하고, 작업자가 고리부(162)를 당김 조작하면 이동부재(160)가 이동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이동부재(160)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성을 높이고,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is way, by connecting the ring part (162) to the movable member (160) and allowing the movable member (160) to move when the worker pulls the ring part (162), the advantageous effects of improving the operability for moving the movable member (160) and enhancing stability and reliability can be obtain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락 커넥터 조립체(100)는 고리부(162)에 연결되며, 정보를 표시하는 라벨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lock connector assembly (100) is connected to the ring portion (162) and may include a label portion (164) that displays information.
라벨부(164)에 표기되는 정보의 내용은 요구되는 조건 및 사용 환경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라벨부(164)에 표기되는 정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of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label portion (164)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required conditions and usage environ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restricted by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label portion (164).
일 예로, 라벨부(164)에는 인터락 커넥터 조립체(100)의 사용법 및 주의법에 대한 정보가 표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라벨부(164)에는 "응급상황에서 배터리의 고전압을 차단하기 위해서 고리부(162)를 당겨 인터락 커넥터 선을 절단하십시오"라는 정보가 표기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label portion (164) may display information on how to use and what to watch out for when using the interlock connector assembly (100). More specifically, the label portion (164) may display information such as "pull the ring portion (162) to cut the interlock connector wire to cut off the high voltage of the battery in an emergency."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amples, these are merely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not exemplified above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xamples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addition, the differences related to such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0 : 정션박스
100 : 인터락 커넥터 조립체
110 : 커넥터 하우징
112 : 제1하우징
112a : 고정돌기
114 : 제2하우징
116 : 제1구속돌기
120 : 제1와이어
130 : 제2와이어
140 : 터미널 카트리지
141 : 카트리지 하우징
142 : 터미널
144 : 제2구속돌기
150 : 커터
160 : 이동부재
162 : 고리부
164 : 라벨부10: Junction Box
100 : Interlock connector assembly
110 : Connector Housing
112: 1st housing
112a : Fixed protrusion
114: Second Housing
116: 1st restraint protrusion
120 : 1st wire
130: 2nd wire
140 : Terminal Cartridge
141 : Cartridge Housing
142 : Terminal
144: Second restraint protrusion
150 : Cutter
160 : Absence of movement
162 : Goribu
164 : Label section
Claims (9)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와이어;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 카트리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커터; 및
상기 제2와이어와 연결되며, 상기 제2와이어가 상기 커터로부터 이격되는 제1위치에서 상기 커터에 의해 절단되는 제2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직선 이동에 의해 상기 제2와이어는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는 인터락 커넥터 조립체.
connector housing;
A first wire connected to the above connector housing;
A second wire arranged inside the above connector housing;
A terminal cartridg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 cutter provided inside the above connector housing; and
A moving member connected to the second wire and movably provided in the connector housing so that the second wire moves from a first position where the second wire is spaced from the cutter to a second position where the second wire is cut by the cutter;
The above movable member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housing so as to be linearly movable,
An interlock connector assembly in which the second wire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linear movement of the movable member.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와이어;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 카트리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커터; 및
상기 제2와이어와 연결되며, 상기 제2와이어가 상기 커터로부터 이격되는 제1위치에서 상기 커터에 의해 절단되는 제2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2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제2와이어의 다른 일단은 상기 이동부재와 함께 이동 가능하게 상기 이동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부재가 이동하면, 상기 제2와이어의 상기 일단과 상기 제2와이어의 상기 다른 일단의 사이 부위가 상기 커터에 의해 절단되는 인터락 커넥터 조립체.
connector housing;
A first wire connected to the above connector housing;
A second wire arranged inside the above connector housing;
A terminal cartridg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 cutter provided inside the above connector housing; and
A moving member connected to the second wire and movably provided in the connector housing so that the second wire moves from a first position where the second wire is spaced from the cutter to a second position where the second wire is cut by the cutter;
One end of the second wire is fixed to the connector housing,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ire is connected to the movable member so as to be movable together with the movable member.
An interlock connector assembly in which, when the above-mentioned movable member moves, a portion between the above-mentioned one end of the second wire and the above-mentioned other end of the second wire is cut by the above-mentioned cutter.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이동부재에 연결되는 고리부를 포함하는 인터락 커넥터 조립체.
In the third paragraph,
An interlock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a ring portion connected to the movable member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or housing.
상기 고리부에 연결되며, 정보를 표시하는 라벨부를 포함하는 인터락 커넥터 조립체.
In paragraph 4,
An interlock connector assembly connected to the above ring portion and including a label portion displaying information.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제1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과 상호 협조적으로 상기 터미널 카트리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
을 포함하는 인터락 커넥터 조립체.
In any one of paragraphs 1, 3 to 5,
The above connector housing,
First housing; and
A second housing that forms a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terminal cartridge is received in cooperation with the first housing;
An interlock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상기 터미널 카트리지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카트리지 하우징; 및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
을 포함하는 인터락 커넥터 조립체.
In Article 6,
The above terminal cartridge,
A cartridge housing accommodated in the above accommodation space; and
A terminal provided inside the cartridge housing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n interlock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상기 터미널 카트리지는,
상기 터미널이 상기 제1와이어 및 상기 제2와이어와 결선되는 제1이동위치와 상기 터미널이 상기 제1와이어 및 상기 제2와이어와 단선되는 제2이동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인터락 커넥터 조립체.
In Article 7,
The above terminal cartridge,
An interlock connector assembly arranged in the receiving space such that the terminal can move to a first moving position where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nd a second moving position where the terminal is disconnected from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형성되는 제1구속돌기; 및
상기 제1구속돌기에 선택적으로 구속 가능하게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에 형성되는 제2구속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카트리지가 상기 제2이동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2구속돌기는 상기 제1구속돌기에 구속되는 인터락 커넥터 조립체.
In Article 8,
A first restraining projection formed on the above connector housing; and
A second restraining projection formed on the cartridge housing to be selectively restrained by the first restraining projection;
An interlock connector assembly in which the second restraining projection is restrained by the first restraining projection when the terminal cartridge moves to the second moving posi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7956A KR102739185B1 (en) | 2020-03-05 | 2020-03-05 | Interlock connecter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7956A KR102739185B1 (en) | 2020-03-05 | 2020-03-05 | Interlock connecter assembl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12666A KR20210112666A (en) | 2021-09-15 |
KR102739185B1 true KR102739185B1 (en) | 2024-12-06 |
Family
ID=77793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7956A Active KR102739185B1 (en) | 2020-03-05 | 2020-03-05 | Interlock connecter assembl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39185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951474B1 (en) | 2004-07-22 | 2005-10-04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Cable end connector assembly having pulling device |
JP2011238534A (en) | 2010-05-12 | 2011-11-24 | Tokai Rika Co Ltd | Structure for manually releasing locking of power supply plug lock device |
JP2012204057A (en) | 2011-03-24 | 2012-10-22 | Alps Electric Co Ltd | Rotary connector |
JP2013515345A (en) * | 2009-12-22 | 2013-05-02 |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コーポレイション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electrical connectors to cables |
JP2014044926A (en) | 2012-08-02 | 2014-03-13 | Jst Mfg Co Ltd | Electrical wire connecting connector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85376B1 (en) * | 2017-11-21 | 2023-01-0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Junction Block |
-
2020
- 2020-03-05 KR KR1020200027956A patent/KR10273918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951474B1 (en) | 2004-07-22 | 2005-10-04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Cable end connector assembly having pulling device |
JP2013515345A (en) * | 2009-12-22 | 2013-05-02 |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コーポレイション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electrical connectors to cables |
JP2011238534A (en) | 2010-05-12 | 2011-11-24 | Tokai Rika Co Ltd | Structure for manually releasing locking of power supply plug lock device |
JP2012204057A (en) | 2011-03-24 | 2012-10-22 | Alps Electric Co Ltd | Rotary connector |
JP2014044926A (en) | 2012-08-02 | 2014-03-13 | Jst Mfg Co Ltd | Electrical wire connecting connec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12666A (en) | 2021-09-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086063B1 (en) | Service plug | |
US10608385B2 (en) | Connector structure and electric vehicle | |
US9698528B2 (en) | Connector for directly connecting an inverter and a motor | |
KR20190020906A (en) | High voltage connector | |
US9004935B2 (en) | Safety plug device for high-voltage battery | |
JP5421145B2 (en) | connector | |
JP5978106B2 (en) |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connectors | |
KR102485376B1 (en) | Junction Block | |
CN103587481B (en) | A kind of pure electric automobile speed charge port unitized construction | |
KR101871555B1 (en) | 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 | |
EP3301766A2 (en) | Power connectors with integrated fuse suppor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 |
JP2019160652A (en) | connector | |
KR102739185B1 (en) | Interlock connecter assembly | |
US8939797B2 (en) | Connection system for establishing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electrical device for automotive industry and at least one pair of cables | |
EP3349310B1 (en) | Cover member, cover unit and connector | |
CN116134681A (en) | Connector with a plurality of connectors | |
US20230094337A1 (en) | Connector | |
CN100419263C (en) | Compressor having internally mounted inverter | |
US20190225101A1 (en) | Industrial truck comprising an electrical plug connector | |
JP2021057952A (en) | Clamp and wire harness | |
EP3793033B1 (en) | A devic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one or more electrical connectors to a printed circuit board | |
CN216488720U (en) | Fork truck control system and fork truck | |
JP2008226809A (en) | Electronic component built-in connector | |
CN221486847U (en) | Wire harness and electricity utilization device | |
KR102706873B1 (en) | Power Off Block And Junction Block Hav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0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12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03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6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1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