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36683B1 -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and aircraft health management pparatus - Google Patents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and aircraft health management 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36683B1
KR102736683B1 KR1020230149115A KR20230149115A KR102736683B1 KR 102736683 B1 KR102736683 B1 KR 102736683B1 KR 1020230149115 A KR1020230149115 A KR 1020230149115A KR 20230149115 A KR20230149115 A KR 20230149115A KR 102736683 B1 KR102736683 B1 KR 102736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craft
operation data
component
abnormal operation
risk fa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91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원
조현철
정무경
김세훈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49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3668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36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3668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00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40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2045/0085Devices for aircraft health monitoring, e.g. monitoring flutter or vibr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은, 항공기의 이륙 전, 이륙 후 비행 중, 착륙 후 각각의 상태에서 수집되는 구성 요소 별 운영 데이터 중에서,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탐색하는 과정 및 항공기의 구성 요소 중,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위험 요소로 도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위험 요소 도출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항공기의 위험 요소를 예지적으로 도출할 수 있다. 즉, 항공기를 이륙 시키기 전, 비행 중, 착륙 후 각각의 상황에 대한 운영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운영 데이터로부터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도출하여, 위험 요소를 예지적으로 도출한다. 이에, 이미 결함이 발생된 상태이거나, 향후 결함 발생 가능성이 있는 구성 요소를 위험 요소로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위험 요소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항공기의 운행을 종료 한 후에, 도출된 위험 요소를 교체하거나 점검을 실시함으로써, 항공기의 건전성을 보다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rocess of searching for abnormal operation data among component-specific operation data collected in each of the states before takeoff, during flight after takeoff, and after landing of the aircraft, and a process of deriving a component that has generated the abnormal operation data as a risk factor among the components of the aircraft.
Therefor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isk factors of an aircraft can be derived predictively. That is, operational data for each situation before takeoff, during flight, and after landing of an aircraft are collected, and abnormal operational data is derived from the collected operational data, thereby predictively deriving risk factors. Accordingly, components that have already developed defects or are likely to develop defects in the future can be derived as risk factors. Therefore, reliability of risk factors can be improved. In addition, by replacing or inspecting the derived risk factors after the operation of the aircraft is terminated, the health of the aircraft can be managed more stably.

Description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 및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AND AIRCRAFT HEALTH MANAGEMENT PPARATUS}{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AND AIRCRAFT HEALTH MANAGEMENT PPARATUS}

본 발명은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 및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공기의 건전성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 및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and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and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capable of stably managing the health of an aircraft.

항공기 사고가 발생하는 원인으로는 크게 기체 결함, 인적 요인 및 자연 재해가 있다. 그 중 기체 결함에 의한 항공기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항공기가 감항성을 유지해야 한다.The main causes of aircraft accidents are aircraft defects, human factors, and natural disasters. In order to prevent aircraft accidents caused by aircraft defects, aircraft must maintain airworthiness.

종래에는 항공기의 운항 시작 전 및 항공기의 운항 종료 후에, 감항 당국으로부터 인가받은 프로그램에 따라 항공기의 구성 요소에 대한 정기적인 교체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를 예방적 건전성 관리라고 한다.Traditionally, regular replacement work on aircraft components was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aircraft was put into service according to a program approved by the airworthiness authority. This is called preventive health management.

그런데, 예방적 건전성 관리 방법으로는 구성 요소를 관리하더라도, 항공기의 운항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교체 주기에 도달하지 않았더라도 돌발 상황과 같은 다른 요인들에 의해서 구성 요소에 결함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구성 요소가 아직 결함이 발생되지 않은 상태이더라도 일시적으로 이상 동작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예방적 건전성 관리 방법으로 항공기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는데 한계가 있다.However, even if the components are managed using the preventive health management method, problems may occur in the operation of the aircraft. This is because defects in the components may occur due to other factors such as unexpected situations even before the replacement cycle has been reached. In addition, even if the components have not yet developed defects, abnormal operation may occur temporarily. Therefore, there is a limit to the stable management of the aircraft using the preventive health management method.

한국공개특허 10-2020-0008550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08550

본 발명은 항공기의 건전성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 및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and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capable of stably managing the health of an aircraft.

본 발명은 항공기의 위험 요소를 예지적으로 도출할 수 있는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 및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and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capable of predictively deriving risk factors of an aircraf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은, 항공기의 이륙 전, 이륙 후 비행 중, 착륙 후 각각의 상태에서 수집되는 구성 요소 별 운영 데이터 중에서,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탐색하는 과정; 및 항공기의 구성 요소 중, 상기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위험 요소로 도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위험 요소 도출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rocess of searching for abnormal operation data among component-specific operation data collected in each of the states before takeoff, during flight after takeoff, and after landing of the aircraft; and a risk factor derivation process including a process of deriving a component that has generated the abnormal operation data as a risk factor among the components of the aircraf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은, 항공기의 구동을 개시하는 과정; 구동이 개시된 항공기를 이륙시키는 과정; 이륙된 항공기를 비행시키는 과정; 비행이 종료된 항공기를 착륙시키는 과정; 착륙된 항공기의 구동을 종료하는 과정; 및 상기 항공기의 이륙 전, 이륙 후 비행 중, 착륙 후, 각각의 상태에서 구성 요소 별 운영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항공기의 이륙 전 구성 요소 별 운영 데이터는, 항공기를 구동시킨 후 항공기를 이륙시키기 전에 수집되며, 상기 비행 중 구성 요소 별 운영 데이터는, 항공기를 이륙시킨 후 항공기를 착륙시키기 전에 실시되고, 상기 착륙 후 구성 요소 별 운영 데이터는, 항공기를 착륙시킨 후에 실시되며, 상기 위험 요소 도출 과정은, 상기 항공기의 구동을 종료한 후 실시될 수 있다.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 of initiating operation of an aircraft; a process of taking off an aircraft whose operation has been initiated; a process of flying an aircraft that has taken off; a process of landing an aircraft whose flight has ended; a process of terminating operation of an aircraft that has landed; and a process of collecting component-specific operation data in each of the states of the aircraft before takeoff, during flight after takeoff, and after landing; wherein the component-specific operation data before takeoff of the aircraft is collected after initiating operation of the aircraft and before taking off, the component-specific operation data during flight is performed after taking off and before landing the aircraft, the component-specific operation data after landing is performed after landing the aircraft, and the risk factor deriva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after terminating operation of the aircraft.

상기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탐색하는 과정은, 항공기를 이륙시키기 전에 수집된 구성 요소 별 운영 데이터 중, 비정상 운영 데이터인 제1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탐색하는 과정; 항공기의 비행 중에 수집된 구성 요소 별 운영 데이터 중, 비정상 운영 데이터인 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탐색하는 과정; 및 항공기를 착륙 시킨 후에 수집된 구성 요소 별 운영 데이터 중, 비정상 운영 데이터인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탐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위험 요소로 도출하는 과정은, 항공기의 복수의 구성 요소 중, 제1 내지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위험 요소로 도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 of exploring the above abnormal operation data may include: a process of exploring first abnormal operation data, which is abnormal operation data, among component-specific operation data collected before takeoff of the aircraft; a process of exploring second abnormal operation data, which is abnormal operation data, among component-specific operation data collected during the flight of the aircraft; and a process of exploring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which is abnormal operation data, among component-specific operation data collected after landing the aircraft; and the process of deriving a component that has generated the abnormal operation data as a risk factor may include a process of deriving a component that has generated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as a risk factor, among a plurality of components of the aircraft.

상기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하는 과정은, 상기 제1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탐색된 경우, 항공기의 복수의 구성 요소 중에서 상기 제1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하는 과정; 상기 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탐색된 경우, 항공기의 복수의 구성 요소 중에서 상기 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하는 과정; 및 상기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탐색된 경우, 항공기의 복수의 구성 요소 중에서 상기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include a process of searching for a component that has generated the above abnormal operating data, and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a component that has generated the above abnormal operating data may include: a process of searching for a component that has generated the first abnormal operating data among a plurality of components of the aircraft when the first abnormal operating data is searched; a process of searching for a component that has generated the second abnormal operating data among a plurality of components of the aircraft when the second abnormal operating data is searched; and a process of searching for a component that has generated the third abnormal operating data among a plurality of components of the aircraft when the third abnormal operating data is searched.

상기 제1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하는 과정은, 항공기의 이륙 전 시간, 항공기가 이륙하고 있는 시간, 이륙된 항공기가 비행하고 있는 시간, 항공기가 착륙하고 있는 시간 및 항공기의 착륙이 종료된 후의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동안에 실시되며, 상기 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하는 과정은, 이륙된 항공기가 비행하고 있는 시간, 항공기가 착륙하고 있는 시간 및 항공기의 착륙이 종료된 후의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동안에 실시되며, 상기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하는 과정은, 항공기의 착륙이 종료된 후의 시간에 실시될 수 있다.The process of searching for a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first abnormal operation data is performed during at least one of a time before the aircraft takes off, a time while the aircraft is taking off, a time while the aircraft is flying after taking off, a time while the aircraft is landing, and a time after the landing of the aircraft is completed;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a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second abnormal operation data is performed during at least one of a time while the aircraft is flying after taking off, a time while the aircraft is landing, and a time after the landing of the aircraft is completed; and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a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can be performed during a time after the landing of the aircraft is completed.

상기 제1 내지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위험 요소로 도출하는데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제1위험 요소로 도출하고, 상기 위험 요소 도출 과정은, 상기 제1위험 요소를 도출한 후에, 제1 내지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되는데 있어서, 상기 제1위험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하는 구성 요소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제2위험 요소를 추가로 도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In deriving a component that has generated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as a risk factor, the component that has generated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is derived as a first risk factor, and the risk factor derivation process may include a process of additionally deriving a second risk factor depending on whether there is a component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risk factor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is generated after deriving the first risk factor.

상기 제2위험 요소를 추가로 도출하는 과정은, 상기 제1 내지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되는데 있어서, 상기 제1위험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하는 구성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위험 요소에 의해 상기 제1 내지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되는데 있어서, 상기 제1위험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하는 구성 요소를 제2위험 요소로 도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 of additionally deriving the second risk factor may include: a process of deriving, as a second risk factor, a component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risk factor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is generated, when there is a component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risk factor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is generated by the first risk facto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은, 상기 항공기의 구동이 종료된 후, 상기 도출된 위험 요소에 대한 정비를 실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rocess of performing maintenance on the identified risk factors after the operation of the aircraft is termina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은, 상기 위험 요소 도출 과정에서 도출된 위험 요소에 대한 정보를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과정; 및 상기 항공기의 구동이 종료된 후, 상기 제공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험 요소에 대한 정비를 실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rocess of providing information on risk factors derived in the risk factor derivation process so that a worker can confirm it; and a process of performing maintenance on the risk factors using the provided information after the operation of the aircraft is terminated.

상기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탐색하는 과정,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하는 과정 및 위험 요소를 도출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는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process of exploring the above abnormal operation data, the process of exploring the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abnormal operation data, and the process of deriving risk factors can be performe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는, 항공기의 이륙 전, 이륙 후 비행 중, 착륙 후 각각의 상태에서 수집되는 구성 요소 별 운영 데이터 중에서,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탐색할 수 있는 탐색부; 및 항공기의 구성 요소 중, 상기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위험 요소로 도출할 수 있는 도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arch unit capable of searching for abnormal operation data among component-specific operation data collected in each of the states before takeoff, during flight after takeoff, and after landing of the aircraft; and a derivation unit capable of deriving a component that has generated the abnormal operation data as a risk factor among the components of the aircraft.

상기 탐색부는, 항공기의 이륙 전에 수집되는 구성 요소 별 제1운영 데이터 중에서 비정상인 데이터인 제1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탐색하고, 항공기가 이륙된 후에 비행 중에 수집되는 구성 요소 별 제2운영 데이터 중에서 비정상인 데이터인 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탐색하며, 항공기의 착륙 후에 수집되는 구성 요소 별 제3운영 데이터 중에서 비정상인 데이터인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탐색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xploration unit can explore first abnormal operation data, which is abnormal data, among the first operation data for each component collected before takeoff of the aircraft, explore second abnormal operation data, which is abnormal data, among the second operation data for each component collected during flight after takeoff of the aircraft, and explore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which is abnormal data, among the third operation data for each component collected after landing of the aircraft.

상기 탐색부와 도출부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above exploration unit and derivation unit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는, 구성 요소 별로 상기 제1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비정상 운영 데이터부; 구성 요소 별로 상기 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부; 및 구성 요소 별로 상기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비정상 운영 데이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부와 상기 도출부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abnormal operation data section storing the first abnormal operation data for each component; a second abnormal operation data section storing the second abnormal operation data for each component; and a first abnormal operation data section storing the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for each component; wherein the first to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sections and the derivation section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도출부에서 위험 요소를 도출하는데 있어서, 항공기의 복수의 구성 요소 중, 제1 내지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위험 요소로 도출할 수 있다.In deriving risk factors in the above derivation section, among multiple components of the aircraft, a component that has generated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abnormal operating data can be derived as a risk factor.

상기 도출부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위험 요소로 도출하는데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제1위험 요소로 도출하고, 상기 도출부는, 상기 제1위험 요소를 도출한 후에, 제1 내지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되는데 있어서, 상기 제1위험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하는 구성 요소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제2위험 요소를 추가로 도출할 수 있다.In deriving a component that generates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as a risk factor in the above derivation unit, the component that generates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is derived as a first risk factor, and the derivation unit can additionally derive a second risk factor depending on whether there is a component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risk factor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is generated after deriving the first risk facto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는, 상기 도출부에서 도출된 위험 요소에 대한 정보를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risk factors derived from the derivation unit so that a worker can confirm the information.

상기 탐색부 및 도출부는 항공기 및 지상에 위치한 관제소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The above search and extraction units can be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control stations located on the aircraft and the ground.

상기 제1 내지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부는 항공기 및 지상에 위치한 관제소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to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units may be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control stations located on the aircraft and the ground.

상기 정보 제공부는 항공기 및 항공기 및 지상에 위치한 관제소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The above information providing unit may be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aircraft and the control station located on the aircraft and the groun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항공기의 위험 요소를 예지적으로 도출할 수 있다. 즉, 항공기를 이륙 시키기 전, 비행 중, 착륙 후 각각의 상황에 대한 운영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운영 데이터로부터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도출하여, 위험 요소를 예지적으로 도출한다. 이에, 이미 결함이 발생된 상태이거나, 향후 결함 발생 가능성이 있는 구성 요소를 위험 요소로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위험 요소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항공기의 운행을 종료 한 후에, 도출된 위험 요소를 교체하거나 점검을 실시함으로써, 항공기의 건전성을 보다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isk factors of an aircraft can be derived predictively. That is, operational data for each situation before takeoff, during flight, and after landing of an aircraft are collected, and abnormal operational data is derived from the collected operational data, thereby predictively deriving risk factors. Accordingly, components that have already developed defects or are likely to develop defects in the future can be derived as risk factors. Therefore, reliability of risk factors can be improved. In addition, by replacing or inspecting the derived risk factors after the operation of the aircraft is terminated, the health of the aircraft can be managed more stably.

또한, 항공기가 착륙된 후에 항공기에 대한 점검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모든 구성 요소에 대해 점검하지 않고, 도출된 위험 요소에 대해서 점검을 실시함으로써, 점검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conducting an inspection of an aircraft after it has landed, there is an effect of shortening the inspection time by conducting an inspection of identified risk factors rather than inspecting all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ain part of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and 3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only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order to expla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present the same components.

먼저, 항공기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항공기는 동체, 날개, 엔진, 착륙 장치, 동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기, 동체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기, 동체에 설치된 각종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항공기는 이착륙, 비행, 임무 수행 등 항공기의 운항을 위해 구비되는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let me briefly explain the aircraft. The aircraft may include a fuselage, wings, engines, landing gear, a pressure regulator that controls the pressure of the fuselage, a temperature regulator that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fuselage, and various sensors installed on the fuselage. In addition, the aircraft may include electronic devices that are equipped for the operation of the aircraft, such as takeoff and landing, flight, and mission execution.

센서는, 항공기의 고도를 검출할 수 있는 고도 센서, 동체의 내부 및 외부 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동체의 내부 및 외부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 센서, 동체에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검출할 수 있는 진동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항공기에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항공기의 이륙, 착륙 및 비행을 위한 다양한 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sensor may include an altitude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altitude of the aircraft, a pressure sensor capable of measuring pressure of at least one of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fuselage, a temperature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emperature of at least one of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fuselage, and a vibration sensor capable of detecting vibration or shock generated from the fuselage. Of course, the aircraf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and may further be equipped with various sensors for takeoff, landing, and flight of the aircraft.

전자 장치는 항공기의 운항 또는 동작을 위한 전자 장치와 임무 수행을 위한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전자 장치가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전자 장치 중 적어도 일부는 다른 전자 장치 및 관제소 중 적어도 하나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들은 유선 네트워크망 및 무선 네트워크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 및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와 관제소는 무선 네트워크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n electronic device for operating or operating an aircraft and a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a mission. In addition,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may be provided, and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may transmit or receive data to at least one of other electronic devices and a control center. At this time, the electronic devices may transmit and receive at least one of the data and signals using at least one of a wired network and a wireless network. 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control center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using a wireless network.

이하에서는 항공기에 구비되는 또는 항공기를 구성하는 장치, 부품 등을 '구성 요소'로 명명한다. 예를 들어 항공기의 구성 요소는 동체, 날개, 엔진, 착륙 장치, 압력 조절기, 온도 조절기, 센서 및 전자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항공기의 구성 요소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항공기에 구비되는 또는 항공기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Hereinafter, devices, parts, etc. equipped in or constituting an aircraft are referred to as 'components'. For example, components of an aircraft may include a fuselage, wings, engines, landing gear, pressure regulators, temperature regulators, sensors, and electronic devices. Of course, components of an aircraft are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and may refer to all elements equipped in or constituting an aircraf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ain part of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는, 항공기의 운영 데이터 중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탐색할 수 있는 탐색부(100),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는 비정상 운영 데이터부(200), 비정상 운영 데이터부(200)에 저장된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험 요소를 도출할 수 있고,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위험 요소로 도출할 수 있는 도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may include an exploration unit (100) capable of exploring abnormal operation data among aircraft operation data, an abnormal operation data unit (200) that collects and stores abnormal operation data, and a derivation unit (300) capable of deriving risk factors using abnormal operation data stored in the abnormal operation data unit (200) and deriving a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abnormal operation data as a risk factor.

또한,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는 도출부(300)에서 도출한 위험 요소에 대한 정보를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may include an information provision unit (400)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risk factors derived from the derivation unit (300) so that the worker can check them.

그리고,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는 이륙 전인 항공기의 운영 데이터(이륙 전 운영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할 수 있는 제1운영 데이터부(500a), 비행 중인 항공기의 운영 데이터(비행 중 운영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할 수 있는 제2운영 데이터부(500b), 착륙된 항공기의 운영 데이터(착륙 후 운영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할 수 있는 제3운영 데이터부(500c)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may include a first operation data unit (500a) capable of collecting and storing operation data of an aircraft prior to takeoff (operation data prior to takeoff), a second operation data unit (500b) capable of collecting and storing operation data of an aircraft in flight (operation data during flight), and a third operation data unit (500c) capable of collecting and storing operation data of a landed aircraft (operation data after landing).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륙 전 운영 데이터'를 '제1운영 데이터'로 명명하고, '비행 중 운영 데이터'를 '제2운영 데이터'로 명명하며, '착륙 후 운영 데이터'를 '제3운영 데이터'로 명명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elow, ‘pre-takeoff operational data’ is named ‘first operational data’, ‘in-flight operational data’ is named ‘second operational data’, and ‘post-landing operational data’ is named ‘third operational data’.

항공기를 이륙시키기 위해 항공기를 구동시킨다. 이에, 항공기를 이륙시키기 전에 항공기는 구동 중인 상태일 수 있다. 즉, 이륙 전에 항공기에 포함된 복수의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이륙을 위한 구동 중인 상태이다. 또한, 항공기를 착륙시킨 후에도 항공기가 소정 시간 동안 구동된다. 예를 들어 항공기가 활주로에 착륙된 후에 활주를 따라 이동하는 등, 소정 시간 동안 항공기의 구성 요소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요소가 구동 중인 상태이다. 이에, 항공기를 이륙시키기 전과 항공기를 착륙시킨 후에 항공기의 운영 데이터(제1 및 제3운영 데이터)를 제공 받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항공기가 이륙된 후 착륙하기 전까지 항공기는 비행중이다. 이에, 비행중인 항공기의 운영 데이터(제2운영 데이터)를 제공 받아 수집할 수 있다. An aircraft is driven to take off. Accordingly, the aircraft may be in a driven state before taking off. That is, some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included in the aircraft are in a driven state for takeoff before takeoff. In addition, the aircraft is driven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fter landing the aircraft. For example,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aircraft are in a driven stat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such as when the aircraft moves along the runway after landing on the runway. Accordingly, operational data (first and third operational data) of the aircraft can be provided and collected before taking off and after landing the aircraft. In addition, the aircraft is in flight after taking off and before landing. Accordingly, operational data (second operational data) of the aircraft in flight can be provided and collec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륙 전, 비행 중, 착륙 후에 구동 중인 구성 요소들에 대한 운영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때, 구성 요소들에 대한 운영 데이터는 구성 요소의 동작 상태, 신호 출력, 수신되는 신호, 측정되는 값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성 요소 별로 운영 데이터가 다를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별로 획득되는 운영 데이터는 수치 형태, 영상 형태, 메시지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data for components in operation are collected before takeoff, during flight, and after landing. At this time, the operational data for the component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operating status of the components, signal output, received signals, measured values, etc., and the operational data may be different for each component. In addition, the operational data acquired for each component may be in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forms: numerical, image, and message.

항공기가 이륙되기 전에 수집된 제1운영 데이터(이륙 전 운영 데이터)는 제1운영 데이터부(500a)에 저장될 수 있고, 비행 중에 수집된 제2운영 데이터(비행 중 운영 데이터)는 제2운영 데이터부(500b)에 저장될 수 있으며, 착륙 후에 수집된 제3운영 데이터(착륙 후 운영 데이터)는 제3운영 데이터부(500c)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운영 데이터부(500a), 제2운영 데이터부(500b) 및 제3운영 데이터부(500c) 각각에 제1 내지 제3운영 데이터가 저장되는데 있어서, 구성 요소 별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The first operational data (pre-takeoff operational data) collected before the aircraft takes off can be stored in the first operational data section (500a), the second operational data (in-flight operational data) collected during the flight can be stored in the second operational data section (500b), and the third operational data (post-landing operational data) collected after landing can be stored in the third operational data section (500c). In addition, the first to third operational data are stored in each of the first operational data section (500a), the second operational data section (500b), and the third operational data section (500c), and can be classified and stored by component.

탐색부(100)는 제1운영 데이터 중에서 비정상 운영 데이터(이륙 전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탐색하고, 제2운영 데이터 중에서 비정상 운영 데이터(비행 중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탐색하며, 제3운영 데이터 중에서 비정상 운영 데이터(착륙 후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탐색한다.The exploration unit (100) explores abnormal operation data (abnormal operation data before takeoff) among the first operation data, explores abnormal operation data (abnormal operation data during flight) among the second operation data, and explores abnormal operation data (abnormal operation data after landing) among the third operation data.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륙 전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제1비정상 운영 데이터'로 명명하고, '비행 중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로 명명하며, '착륙 후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로 명명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elow, ‘abnormal operation data before takeoff’ is named ‘first abnormal operation data’, ‘abnormal operation data during flight’ is named ‘second abnormal operation data’, and ‘abnormal operation data after landing’ is named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탐색부(100)에서 제1 내지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탐색하는데 있어서, 미리 설정된 기준 운영 데이터를 이용하여 탐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탐색부(100)에는 구성 요소 별로 '기준 운영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구성 요소 별 '기준 운영 데이터'는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 별 '기준 운영 데이터'는, '이륙 전 기준 운영 데이터', '비행 중 기준 운영 데이터', '착륙 후 기준 운영 데이터'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In searching for the first to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in the search unit (100), the search can be performed using preset reference operation data. To this end, the search unit (100) can store 'reference operation data' for each component. The 'reference operation data' for each component can be the same or different. In addition, the 'reference operation data' for each component can be classified and stored as 'pre-takeoff reference operation data', 'in-flight reference operation data', and 'post-landing reference operation data'.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륙 전 기준 운영 데이터'를 '제1기준 운영 데이터'로 명명하고, '비행 중 기준 운영 데이터'를 '제2기준 운영 데이터'로 명명하며, '착륙 후 기준 운영 데이터'를 '제3기준 운영 데이터'로 명명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elow, ‘pre-takeoff reference operational data’ is named ‘first reference operational data’, ‘in-flight reference operational data’ is named ‘second reference operational data’, and ‘post-landing reference operational data’ is named ‘third reference operational data’.

제1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탐색하는데 있어서, 탐색부(100)는 제1운영 데이터와 제1기준 운영 데이터를 비교하여, 제1기준 운영 데이터를 벗어나는 또는 부합하지 않는 데이터를 제1비정상 운영 데이터로 선별한다. 이때, 구성 요소 별로 제1운영 데이터와 제1기준 운영 데이터를 비교한다.In searching for the first abnormal operation data, the search unit (100) compares the first operation data with the first reference operation data and selects data that deviates from or does not match the first reference operation data as the first abnormal operation data. At this time, the first operation data and the first reference operation data are compared for each component.

또한, 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탐색하는데 있어서, 탐색부(100)는 제2운영 데이터와 제2기준 운영 데이터를 비교하여, 제2기준 운영 데이터를 벗어나는 또는 부합하지 않는 데이터를 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로 선별한다. 이때, 구성 요소 별로 제2운영 데이터와 제2기준 운영 데이터를 비교한다.In addition, when searching for the second abnormal operation data, the search unit (100) compares the second operation data with the second reference operation data and selects data that deviates from or does not match the second reference operation data as the second abnormal operation data. At this time, the second operation data and the second reference operation data are compared for each component.

또한,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탐색하는데 있어서, 탐색부(100)는 제3운영 데이터와 제3기준 운영 데이터를 비교하여, 제3기준 운영 데이터를 벗어나는 또는 부합하지 않는 데이터를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로 선별한다. 이때, 구성 요소 별로 제3운영 데이터와 제3기준 운영 데이터를 비교한다.In addition, when searching for the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the search unit (100) compares the third operation data with the third reference operation data and selects data that deviates from or does not match the third reference operation data as the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At this time, the third operation data and the third reference operation data are compared for each component.

탐색부(100)는 제1 내지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제1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하는 과정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1운영 데이터부(500a)에는 구성 요소 별로 제1운영 데이터가 수집되어 저장되어 있다. 이에 탐색부(100)는 제1운영 데이터부(500a)에 저장된 제1운영 데이터를 탐색하여, 비정상 운영 데이터(제1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선별하여 찾을 수 있다. 물론, 제1운영 데이터 중에서 비정상 운영 데이터(제1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없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하지 않는다.The search unit (100) searches for a component that has generated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To explain more specifically,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a component that has generated the first abnormal operation data will be explained with an example. In the first operation data unit (500a), first operation data is collected and stored for each component. Accordingly, the search unit (100) searches for the first operation data stored in the first operation data unit (500a) to select and find a component that has generated the abnormal operation data (the first abnormal operation data). Of course, there may be no abnormal operation data (the first abnormal operation data) among the first operation data. In this case, the component that has generated the abnormal operation data is not searched for.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탐색부(100)는 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할 수 있고,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할 수 있다. 물론, 제2운영 데이터 중에서 비정상 운영 데이터(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없거나, 제3운영 데이터 중에서 비정상 운영 데이터(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없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비정상 운영 데이터(제2 및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하지 않는다.In the same way, the exploration unit (100) can explore the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second abnormal operation data, and can explore the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Of course, there may be no abnormal operation data (the second abnormal operation data) among the second operation data, or there may be no abnormal operation data (the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among the third operation data. In such a case, the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abnormal operation data (the second and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is not explored.

이와 같이 탐색부(100)에서 기준 운영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내지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탐색하거나,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하는 것은,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In this way, searching for the first to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using the reference operation data in the exploration unit (100) or searching for the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abnormal operation data can be performed using pre-learned artificial intelligence.

탐색부(100)에서 제1운영 데이터 중 제1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있는지 탐색하는 과정 및 제1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하는 과정은, 항공기의 이륙 전에 실시될 수 있다. 물론, 제1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있는지 탐색하는 과정 및 제1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하는 과정은, 항공기가 이륙하고 있는 시간, 이륙된 항공기가 비행하고 있는 시간, 항공기가 착륙하고 있는 시간 및 항공기의 착륙이 종료된 후의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시간에 실시될 수도 있다.The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presence of the first abnormal operation data among the first operation data in the search unit (100) and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first abnormal operation data may be performed before the takeoff of the aircraft. Of course,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presence of the first abnormal operation data and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first abnormal operation data may be performed at least one of the times when the aircraft is taking off, the time when the aircraft is flying after taking off, the time when the aircraft is landing, and the time after the landing of the aircraft is completed.

또한, 탐색부(100)에서 제2운영 데이터 중 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탐색하는 과정 및 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하는 과정은, 항공기의 비행 중에 실시될 수 있다. 물론, 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탐색하는 과정 및 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하는 과정은, 항공기가 착륙하고 있는 시간 및 항공기의 착륙이 종료된 후의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동안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에 실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second abnormal operation data among the second operation data in the search unit (100) and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second abnormal operation data can be performed during the flight of the aircraft. Of course,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second abnormal operation data and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second abnormal operation data can be performed during at least one of the times during which the aircraft is landing and the time after the landing of the aircraft is completed.

그리고, 탐색부(100)에서 제3운영 데이터 중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탐색하고,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하는 과정은, 항공기가 착륙된 후에 실시될 수 있다. 물론,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탐색하고,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하는 과정은 항공기를 착륙시키고 구동을 종료한 후에 실시될 수도 있다.And,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among the third operation data in the search unit (100) and searching for the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can be performed after the aircraft lands. Of course,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and searching for the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can also be performed after the aircraft lands and stops operating.

제1비정상 운영 데이터부(200a)는 탐색부(100)에서 탐색한 제1비정상 운영 데이터(이륙 전 비정상 운영 데이터) 및 제1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저장한다. 또한, 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부(200b)는 탐색부(100)에서 탐색한 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비행 중 비정상 운영 데이터) 및 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저장한다. 그리고,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부(200c)는 탐색부(100)에서 탐색한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착륙 후 비정상 운영 데이터) 및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제1 내지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부(200a 내지 200c)와 탐색부(100)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first abnormal operation data section (200a) stores the first abnormal operation data (abnormal operation data before takeoff) searched by the search section (100) and the components that generated the first abnormal operation data. In addition, the second abnormal operation data section (200b) stores the second abnormal operation data (abnormal operation data during flight) searched by the search section (100) and the components that generated the second abnormal operation data. In addition, the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section (200c) stores the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abnormal operation data after landing) searched by the search section (100) and the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At this time, the first to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sections (200a to 200c) and the search section (100)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제1 내지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부(200a 내지 200c)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칩 또는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는 수단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내지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부(200a 내지 200c)는 네트워크 기반의 클라우드 컴퓨팅일 수 있다.The first to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units (200a to 200c) may be a means including a memory chip or memory element capable of storing data.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to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units (200a to 200c) may be network-based cloud computing.

도출부(300)는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험 요소를 도출한다. 즉, 도출부(300)는 제1비정상 운영 데이터, 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라도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위험 요소로 도출한다.The derivation unit (300) derives risk factors using abnormal operation data. That is, the derivation unit (300) derives a component that causes at least one of the first abnormal operation data, the second abnormal operation data, and the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as a risk factor.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가정한다. n 개의 구성 요소 중에서 제1구성 요소는 이륙 전 수집된 운영 데이터(제1운영 데이터), 비행 중 수집된 운영 데이터(제2운영 데이터) 및 착륙 후 수집된 운영 데이터(제3운영 데이터) 중에서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발생되지 않았다. 즉, 제1구성 요소에 의해 제1 내지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발생하지 않았다.To explain with a more specific example, assume as follows. Among n components, the first component did not generate any abnormal operation data among the operational data collected before takeoff (the first operational data), the operational data collected during the flight (the second operational data), and the operational data collected after landing (the third operational data). In other words, the first to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were not generated by the first component.

그러나, 제2구성 요소는 이륙 전 수집된 운영 데이터(제1운영 데이터) 및 착륙 후 수집된 운영 데이터(제3운영 데이터) 중에서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발생되지 않았으나, 비행 중 수집된 운영 데이터(제2운영 데이터) 중에서는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발생되었다. 즉, 제2구성 요소에 의해 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발생되었고, 제1 및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는 발생하지 않았다.However, the second component did not generate abnormal operation data among the operational data collected before takeoff (the first operational data) and the operational data collected after landing (the third operational data), but generated abnormal operation data among the operational data collected during the flight (the second operational data). In other words, the second abnormal operation data was generated by the second component, and the first and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were not generated.

또 다른 예로, 제3구성 요소는 비행 중 수집된 운영 데이터(제2운영 데이터) 중에서는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발생되지 않았으나, 이륙 전 수집된 운영 데이터(제1운영 데이터) 및 착륙 후 수집된 운영 데이터(제3운영 데이터) 중에서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발생되었다. 즉, 제3구성 요소에 의해 제1 및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발생되었고, 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는 발생하지 않았다.As another example, the third component did not generate any abnormal operational data among the operational data collected during the flight (second operational data), but generated abnormal operational data among the operational data collected before takeoff (first operational data) and the operational data collected after landing (third operational data). In other words, the third component generated the first and third abnormal operational data, but did not generate the second abnormal operational data.

또 다른 예로, 제4구성 요소는 이륙 전 수집된 운영 데이터(제1운영 데이터), 비행 중 수집된 운영 데이터(제2운영 데이터), 착륙 후 수집된 운영 데이터(제3운영 데이터) 각각에서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발생되었다. 즉, 제4구성 요소에 의해 제1 내지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발생되었다.As another example, the fourth component generated abnormal operational data from each of the operational data collected before takeoff (the first operational data), the operational data collected during flight (the second operational data), and the operational data collected after landing (the third operational data). In other words, the first to third abnormal operational data were generated by the fourth component.

이러한 경우, 도출부(300)는 제2구성 요소, 제3구성 요소, 제4구성 요소를 위험 요소(제1위험 요소)로 도출한다. 즉, 도출부(300)는 제2 내지 제4구성 요소에 결함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으며, 비행 중에 사고를 발생시킬 위험이 있는 구성 요소로 판단한다.In this case, the derivation unit (300) derives the second component, the third component, and the fourth component as risk factors (first risk factors). That is, the derivation unit (300) determine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a defect occurring in the second to fourth components, and that they are components that have a risk of causing an accident during flight.

한편, 일 구성 요소로부터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발생된 이유는, 상기 일 구성 요소 자체의 문제이거나, 상기 일 구성 요소와 연계된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구성 요소로부터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발생된 이유는, 상기 일 구성 요소 및 상기 일 구성 요소와 연계된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일 구성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하는 다른 구성 요소는, 이륙 전, 비행 중, 착륙 후 상태에 따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reason why abnormal operation data is generated from a component may be due to a problem with the component itself or another component linked to the component. In addition, the reason why abnormal operation data is generated from the component may be due to the component itself and another component linked to the component. In addition, the other components that operate in connection with the component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depending on the state before takeoff, during flight, and after landing.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구성 요소는 이륙 전 상태, 비행 중 상태, 착륙 후 상태 모두에서 제2구성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3구성 요소는 이륙 전 상태 및 착륙 후 상태에서는 제4구성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하고, 비행 중 상태에서는 제5구성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6구성 요소는 이륙 전 상태에서는 제7구성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하고, 비행 중 상태에서는 제8구성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하며, 착륙 후 상태에는 제9구성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0구성 요소는 이륙 전 상태, 비행 중 상태, 착륙 후 상태에서 모두 어떠한 구성 요소와도 연계되지 않고 단독으로 동작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can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second component in all of the pre-takeoff state, the in-flight state, and the post-landing state. As another example, the third component can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fourth component in the pre-takeoff state and the post-landing state, and in conjunction with the fifth component in the in-flight state. As another example, the sixth component can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seventh component in the pre-takeoff state, in conjunction with the eighth component in the in-flight state, and in conjunction with the ninth component in the post-landing state. As another example, the tenth component can operate independently without being associated with any component in all of the pre-takeoff state, the in-flight state, and the post-landing state.

따라서, 도출부(300)는 제1위험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하는 구성 요소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위험 요소(제2위험 요소)를 추가로 더 도출한다. 또한, 이륙 전, 비행 중, 착륙 후에 제1위험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하는 구성 요소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이에, 도출부(300)는 제1 내지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 중에서 발생된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무엇이냐에 따라 제1위험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한 구성 요소를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구성 요소를 제2위험 요소로 도출한다. 이때, 추가로 도출되는 제2위험 요소는 하나 또는 복수개일 수 있다. Accordingly, the derivation unit (300) additionally derives a risk factor (second risk factor) depending on whether there is a component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risk factor. In addition, the components that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risk factor before takeoff, during flight, and after landing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Accordingly, the derivation unit (300) can extract a component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risk factor depending on which abnormal operation data occurred among the first to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and derive the extracted component as the second risk factor. At this time, the additionally derived second risk factor may be one or more.

앞에서 설명한 예 중에서 제1위험 요소로 제1구성 요소가 도출된 경우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제1구성 요소는 이륙 전, 비행 중, 착륙 후에 모두 제2구성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한다. 이에, 제1위험 요소로 제1구성 요소가 도출된 경우, 도출부(300)는 제2구성 요소를 제2위험 요소로 도출한다.The following is an explanation of the case in which the first component is derived as the first risk factor among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mponen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second component before takeoff, during flight, and after landing. Accordingly, in the case in which the first component is derived as the first risk factor, the derivation unit (300) derives the second component as the second risk factor.

다른 예로, 이륙 전 및 착륙 후에 제3구성 요소에 의한 비정상 운영 데이터(제1 및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발생되었고, 비행 중에는 제3구성 요소에 의한 비정상 운영 데이터(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 도출부(300)는 제3구성 요소를 제1위험 요소로 도출한다. 제3구성 요소는 이륙 전 및 착륙 후에 제4구성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하고, 비행 중에는 제5구성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한다. 이에, 도출부(300)는 이륙 전 및 착륙 후에 제3구성 요소(제1위험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하는 제4구성 요소를 제2위험 요소로 도출한다.As another example, if abnormal operation data (first and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are generated by the third component before takeoff and after landing, and abnormal operation data (second abnormal operation data) are not generated by the third component during the flight, the derivation unit (300) derives the third component as the first risk factor. The third componen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fourth component before takeoff and after landing, and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fifth component during the flight. Accordingly, the derivation unit (300) derives the fourth component, which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third component (first risk factor) before takeoff and after landing, as the second risk factor.

또 다른 예로, 비행 중에 제10구성 요소에 의한 비정상 운영 데이터(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발생되었고, 이륙 전 및 착륙 후에는 제10구성 요소에 의한 비정상 운영 데이터(제1 및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발생되지 않았다. 그리고, 제10구성 요소는 이륙 전, 비행 중, 착륙 후에 모두 어떠한 구성 요소와도 연계되지 않고 단독으로 동작한다. 이에, 도출부(300)는 제10구성 요소를 제1위험 요소로 도출한다. 그리고, 이륙 전, 비행 중, 착륙 후에 제10구성 요소(제1위험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하는 구성 요소가 없으므로, 도출부(300)는 제2위험 요소를 도출하지 않는다.As another example, abnormal operation data (second abnormal operation data) was generated by the 10th component during the flight, and abnormal operation data (first and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were not generated by the 10th component before takeoff and after landing. In addition, the 10th component operates independently without being linked to any other component before takeoff, during the flight, and after landing. Accordingly, the derivation unit (300) derives the 10th component as the first risk factor.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component that operates in connection with the 10th component (first risk factor) before takeoff, during the flight, and after landing, the derivation unit (300) does not derive the second risk factor.

상술한 바와 같이 도출부(300)에서 위험 요소를 도출하는데 있어서, 도출부(300)는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위험 요소를 도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출부(300)는 인공지능 기반의 분석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deriving risk factors in the derivation unit (300), the derivation unit (300) can derive risk factors using pre-learned artificial intelligence. To this end, the derivation unit (300) can include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analysis system.

도출부(300)는 도출한 위험 요소에 대한 정보를 정보 제공부(4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도출부(300)에서 제공하는 위험 요소에 대한 정보는, 위험 요소에 해당하는 구성 요소에 대한 명칭 및 설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출부(300)에서 복수의 위험 요소가 도출되는 경우, 복수의 위험 요소 각각에 대한 정보를 정보 제공부(400)로 전달한다.The derivation unit (300) can transmit information on the derived risk factors to the information provision unit (400).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on the risk factors provided by the derivation unit (300) can include at least one of the name and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risk factor. In addition, when multiple risk factors are derived from the derivation unit (300), information on each of the multiple risk factors is transmitted to the information provision unit (400).

정보 제공부(400)는 도출부(300)에서 도출한 위험 요소에 대한 정보를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 또는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는 예를 들어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있도록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400) may include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or displays information on risk factors derived from the derivation unit (300) so that a worker can check them.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for example, a monitor device that displays information so that a worker can check it with the naked eye.

상술한 바와 같은 탐색부(100), 제1 내지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부(200a 내지 200c), 도출부(300) 및 정보 제공부(400) 중 적어도 하나는 항공기 및 지상에 위치한 관제소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search unit (100), the first to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units (200a to 200c), the derivation unit (300), and the information provision unit (400) described above may be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control stations located on the aircraft and the ground.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와 도 3은 하나의 순서도를 분리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S50'의 이후의 과정을 나타내었다.Figures 2 and 3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are separate flowcharts, and Figure 3 illustrates the process after 'S50'.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앞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At this time, any content that overlaps with the previously described content will be omitted or briefly described.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륙을 위해 항공기를 구동시킨다(S10). 즉, 항공기의 운영을 개시한다(S10). 그리고, 구성 요소 별로 운영 데이터(제1운영 데이터)를 수집하고(S21), 이를 제1운영 데이터부(500a)에 저장한다. 이때 구성 요소 별로 수집되는 제1운영 데이터는 이륙 전 수집되는 데이터로서 '이륙 전 운영 데이터'이다. 다음으로, 탐색부(100)는 제1운영 데이터 중에서 비정상 운영 데이터(제1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있는지 판단 또는 탐색한다(S22). 이때, 제1운영 데이터 중에서 비정상 운영 데이터(제1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S22-->아니오), 탐색부(100)는 비정상 운영 데이터(제1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하지 않는다. 그러나, 제1운영 데이터 중에서 비정상 운영 데이터(제1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S22-->예), 탐색부(100)는 비정상 운영 데이터(제1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한다(S23).First, as illustrated in FIG. 2, the aircraft is driven for takeoff (S10). That is, the operation of the aircraft is initiated (S10). Then, the operational data (first operational data) is collected for each component (S21) and stored in the first operational data unit (500a). At this time, the first operational data collected for each component is data collected before takeoff and is 'pre-takeoff operational data'. Next, the search unit (100) determines or searches for abnormal operational data (first abnormal operational data) among the first operational data (S22). At this time, if there is no abnormal operational data (first abnormal operational data) among the first operational data (S22-->No), the search unit (100) does not search for the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abnormal operational data (first abnormal operational data). However, if abnormal operation data (first abnormal operation data) exists among the first operation data (S22-->Yes), the search unit (100) searches for the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abnormal operation data (first abnormal operation data) (S23).

이후, 항공기를 이륙시켜(S30), 항공기 비행시킨다. 다음으로, 구성 요소 별로 운영 데이터(제2운영 데이터)를 수집하고(S41), 이를 제2운영 데이터부(500b)에 저장한다. 이때 수집되는 제2운영 데이터는 비행 중에 수집되는 데이터로서 '비행 중 운영 데이터'이다. 이후, 탐색부(100)는 제2운영 데이터 중에서 비정상 운영 데이터(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있는지 판단 또는 탐색한다(S42). 이때, 제2운영 데이터 중에서 비정상 운영 데이터(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S42-->아니오), 탐색부(100)는 비정상 운영 데이터(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하지 않는다. 반대로, 제2운영 데이터 중에서 비정상 운영 데이터(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S42-->예), 탐색부(100)는 비정상 운영 데이터(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한다(S43).Thereafter, the aircraft is taken off (S30) and flown. Next, operational data (second operational data) is collected for each component (S41) and stored in the second operational data unit (500b). The second operational data collected at this time is data collected during the flight and is 'in-flight operational data'. Thereafter, the exploration unit (100) determines or explores whether there is abnormal operational data (second abnormal operational data) among the second operational data (S42). At this time, if there is no abnormal operational data (second abnormal operational data) among the second operational data (S42-->No), the exploration unit (100) does not explore the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abnormal operational data (second abnormal operational data). Conversely, if there is abnormal operational data (second abnormal operational data) among the second operational data (S42-->Yes), the exploration unit (100) explores the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abnormal operational data (second abnormal operational data) (S43).

다음으로, 항공기가 착륙되면(S50), 구성 요소 별로 운영 데이터(제3운영 데이터)를 수집하고(S61), 이를 제3운영 데이터부(500c)에 저장한다. 이때 수집되는 제3운영 데이터는 착륙 후 수집되는 데이터로서 '착륙 후 운영 데이터'이다. 다음으로, 탐색부(100)는 제3운영 데이터 중에서 비정상 운영 데이터(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있는지 판단 또는 탐색한다(S62). 이때, 제3운영 데이터 중에서 비정상 운영 데이터(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S62-->아니오), 탐색부(100)는 비정상 운영 데이터(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하지 않는다. 그러나, 제3운영 데이터 중에서 비정상 운영 데이터(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S62-->예), 탐색부(100)는 비정상 운영 데이터(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한다(S63).Next, when the aircraft lands (S50), operational data (third operational data) is collected for each component (S61) and stored in the third operational data unit (500c). The third operational data collected at this time is data collected after landing and is 'post-landing operational data'. Next, the exploration unit (100) determines or explores whether there is abnormal operational data (third abnormal operational data) among the third operational data (S62). At this time, if there is no abnormal operational data (third abnormal operational data) among the third operational data (S62-->No), the exploration unit (100) does not explore the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abnormal operational data (third abnormal operational data). However, if there is abnormal operational data (third abnormal operational data) among the third operational data (S62-->Yes), the exploration unit (100) explores the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abnormal operational data (third abnormal operational data) (S63).

이후, 착륙된 항공기의 구동이 종료된다(S70). 즉, 항공기의 운영이 종료된다(S70). 항공기의 구동이 종료되면(S70), 도출부(300)는 위험 요소를 도출한다(S81). 즉, 도출부(300)는 제1비정상 운영 데이터, 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라도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제1위험 요소로 도출한다(S81).After that, the operation of the landed aircraft is terminated (S70). That is, the operation of the aircraft is terminated (S70). When the operation of the aircraft is terminated (S70), the derivation unit (300) derives a risk factor (S81). That is, the derivation unit (300) derives a component that has generated at least one of the first abnormal operation data, the second abnormal operation data, and the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as the first risk factor (S81).

또한, 제1위험 요소에 의해 발생된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제1 내지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 중 어느 것이냐에 따라, 추가로 제2위험 요소를 도출하거나 도출하지 않는다. 이를 위해 먼저, 제1 내지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되는데 있어서, 제1위험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하는 구성 요소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2). 그리고, 제1 내지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되는데 있어서 제1위험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하는 구성 요소가 없는 경우(S82-->아니오), 도출부(300)는 제2위험 요소를 도출하지 않는다(S83). 그러나, 제1 내지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되는데 있어서 제1위험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하는 구성 요소가 있는 경우(S82-->예), 도출부(300)는 제2위험 요소를 도출한다(S84). 즉, 도출부(300)는 제1 내지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되는데 있어서 제1위험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하는 구성 요소를 제2위험 요소로 도출한다.In addi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abnormal operation data generated by the first risk factor is among the first to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a second risk factor is additionally derived or not derived. To this end, first,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is genera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component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risk factor (S82). Then,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is generated, and there is no component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risk factor (S82-->No), the derivation unit (300) does not derive the second risk factor (S83). However,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is generated, and there is a component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risk factor (S82-->Yes), the derivation unit (300) derives the second risk factor (S84). That is, the derivation unit (300) derives a component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risk factor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occurs as a second risk factor.

도출부(300)에서 위험 요소가 도출되면, 위험 요소에 대한 정보가 정보 제공부(400)로 전달된다. 즉, 도출된 위험 요소에 대한 명칭 및 설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가 정보 제공부(400)로 전달된다. 이에, 정보 제공부(400)는 도출부(300)에서 도출한 위험 요소에 대한 정보를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S85).When a risk factor is derived from the derivation unit (300), information about the risk factor is transmitted to the information provision unit (400). That is,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name and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derived risk factor is transmitted to the information provision unit (400). Accordingly, the information provision unit (400) displays information about the risk factor derived from the derivation unit (300) so that the worker can confirm it (S85).

그리고, 작업자는 정보 제공부(400)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확인하여, 위험 요소로 도출된 구성 요소에 대한 정비를 실시한다(S90). 즉, 위험 요소로 도출된 구성 요소를 점검한 후, 점검 결과에 따라 구성 요소를 교체하거나 수리한다.Then, the worker checks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nformation provider (400) and performs maintenance on the components identified as risk factors (S90). That is, after inspecting the components identified as risk factors, the components are replaced or repaired according to the inspection results.

상기에서는 제1운영 데이터 중에서 제1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있는지 판단하고(S22) 및 제1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하는 과정(S23)이 항공기의 이륙 전에 실시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제1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있는지 탐색하고(S22) 및 제1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하는 과정(S23)은, 항공기가 이륙하고 있는 시간, 이륙된 항공기가 비행하고 있는 시간, 항공기가 착륙하고 있는 시간 및 항공기의 착륙이 종료된 후의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동안에 실시될 수 있다.In the above,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first abnormal operation data among the first operation data (S22) and searching for a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first abnormal operation data (S23) are performed before the takeoff of the aircraft. However,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whether there is first abnormal operation data (S22) and searching for a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first abnormal operation data (S23) may be performed during at least one of the times when the aircraft is taking off, the time when the taken-off aircraft is flying, the time when the aircraft is landing, and the time after the landing of the aircraft is completed.

또한, 상기에서는 제2운영 데이터 중 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있는지 탐색하고(S42), 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하는 과정(S43)이 항공기의 비행 중에 실시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있는지 탐색하고(S42), 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하는 과정(S43)은, 항공기가 착륙하고 있는 시간 및 항공기의 착륙이 종료된 후의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동안에 실시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bove described process of searching for second abnormal operation data among the second operation data (S42) and searching for a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second abnormal operation data (S43) is performed during the flight of the aircraft.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second abnormal operation data (S42) and searching for a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second abnormal operation data (S43) may be performed during at least one of the time when the aircraft is landing and the time after the landing of the aircraft is completed.

그리고, 상기에서는 제3운영 데이터 중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있는지 탐색하고(S62),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하는 과정(S63)이 항공기를 착륙시킨 후에 실시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3운영 데이터 중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있는지 탐색하고(S62),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하는 과정(S63)은, 항공기를 착륙시키고 구동을 종료(S70)한 후에 실시될 수도 있다.And, in the above, it was explained that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among the third operation data (S62) and searching for a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S63) is performed after landing the aircraft.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among the third operation data (S62) and searching for a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S63) may be performed after landing the aircraft and terminating operation (S70).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항공기의 위험 요소를 예지적으로 도출할 수 있다. 즉, 항공기를 이륙 시키기 전, 비행 중, 착륙 후 각각의 상황에 대한 운영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운영 데이터로부터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도출하여, 위험 요소를 예지적으로 도출한다. 이에, 이미 결함이 발생된 상태이거나, 향후 결함 발생 가능성이 있는 구성 요소를 위험 요소로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위험 요소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항공기의 운행을 종료 한 후에, 도출된 위험 요소를 교체하거나 점검을 실시함으로써, 항공기의 건전성을 보다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isk factors of an aircraft can be derived predictively. That is, operational data for each situation before takeoff, during flight, and after landing of an aircraft are collected, and abnormal operational data is derived from the collected operational data, thereby predictively deriving risk factors. Accordingly, components that have already developed defects or are likely to develop defects in the future can be derived as risk factors. Therefore, reliability of risk factors can be improved. In addition, by replacing or inspecting the derived risk factors after the operation of the aircraft is terminated, the health of the aircraft can be managed more stably.

또한, 항공기가 착륙된 후에 항공기에 대한 점검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모든 구성 요소에 대해 점검하지 않고, 도출된 위험 요소에 대해서 점검을 실시함으로써, 점검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conducting an inspection of an aircraft after it has landed, there is an effect of shortening the inspection time by conducting an inspection of identified risk factors rather than inspecting all components.

100: 탐색부
200a: 제1비정상 운영 데이터부
200b: 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부
200c: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부
300: 도출부
400: 정보 제공부
100: Exploration Department
200a: 1st Abnormal Operation Data Section
200b: 2nd Abnormal Operation Data Section
200c: 3rd Abnormal Operation Data Section
300: Derivative
400: Information Department

Claims (20)

항공기의 이륙 전, 이륙 후 비행 중, 착륙 후 각각의 상태에서 수집되는 구성 요소 별 운영 데이터 중에서,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탐색하는 과정; 및
항공기의 구성 요소 중, 상기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위험 요소로 도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위험 요소 도출 과정;
을 포함하고,
상기 위험 요소 도출 과정은,
상기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제1위험 요소로 도출하는 과정; 및
상기 제1위험 요소를 도출한 후에, 상기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발생되는데 있어서 상기 제1위험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하는 구성 요소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제2위험 요소를 추가로 도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abnormal operation data among the component-specific operational data collected in each state of the aircraft before takeoff, during flight after takeoff, and after landing; and
A risk factor derivation process including a process of deriving a risk factor from among the components of an aircraft, the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above abnormal operation data;
Including,
The above risk factor derivation process is:
The process of deriving the component that caused the above abnormal operation data as the first risk factor; and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process of additionally deriving a second risk factor, after deriving the first risk factor, depending on whether there is a component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risk factor when the abnormal operation data is generated;
청구항 1에 있어서,
항공기의 구동을 개시하는 과정;
구동이 개시된 항공기를 이륙시키는 과정;
이륙된 항공기를 비행시키는 과정;
비행이 종료된 항공기를 착륙시키는 과정;
착륙된 항공기의 구동을 종료하는 과정; 및
상기 항공기의 이륙 전, 이륙 후 비행 중, 착륙 후, 각각의 상태에서 구성 요소 별 운영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항공기의 이륙 전 구성 요소 별 운영 데이터는, 항공기를 구동시킨 후 항공기를 이륙시키기 전에 수집되며,
상기 비행 중 구성 요소 별 운영 데이터는, 항공기를 이륙시킨 후 항공기를 착륙시키기 전에 실시되고,
상기 착륙 후 구성 요소 별 운영 데이터는, 항공기를 착륙시킨 후에 실시되며,
상기 위험 요소 도출 과정은, 상기 항공기의 구동을 종료한 후 실시되는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
In claim 1,
The process of initiating operation of an aircraft;
The process of taking off an aircraft whose operation has been initiated;
The process of flying an aircraft that has taken off;
The process of landing an aircraft whose flight has ended;
The process of terminating the operation of a landed aircraft; and
A process of collecting operational data for each component in each state, before takeoff, during flight after takeoff, and after landing of the aircraft;
The pre-takeoff component operation data of the above aircraft is collected after the aircraft is put into operation and before the aircraft takes off.
The above in-flight component operation data is conducted after takeoff and before landing of the aircraft.
The above post-landing component-specific operational data is conducted after landing the aircraft.
The above risk factor derivation process is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implemented after the operation of the aircraft is terminate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탐색하는 과정은,
항공기를 이륙시키기 전에 수집된 구성 요소 별 운영 데이터 중, 비정상 운영 데이터인 제1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탐색하는 과정;
항공기의 비행 중에 수집된 구성 요소 별 운영 데이터 중, 비정상 운영 데이터인 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탐색하는 과정; 및
항공기를 착륙 시킨 후에 수집된 구성 요소 별 운영 데이터 중, 비정상 운영 데이터인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탐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제1위험 요소로 도출하는 과정은,
항공기의 복수의 구성 요소 중, 제1 내지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제1위험 요소로 도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
In claim 2,
The process of exploring the above abnormal operation data is:
The process of exploring the first abnormal operation data, which is abnormal operation data among the component-specific operation data collected before taking off the aircraft;
The process of exploring the second abnormal operation data, which is abnormal operation data among the component-specific operation data collected during the flight of the aircraft; and
It includes a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which is abnormal operation data, among the component-specific operation data collected after landing the aircraft;
The process of deriving the component that caused the above abnormal operation data as the first risk factor is as follows: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process of deriving a component that has generated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among a plurality of aircraft components as a first risk facto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하는 과정은,
상기 제1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탐색된 경우, 항공기의 복수의 구성 요소 중에서 상기 제1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하는 과정;
상기 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탐색된 경우, 항공기의 복수의 구성 요소 중에서 상기 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하는 과정; 및
상기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탐색된 경우, 항공기의 복수의 구성 요소 중에서 상기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
In claim 3,
Including a process of exploring the component that caused the above abnormal operating data,
The process of exploring the component that caused the above abnormal operating data is as follows:
When the above first abnormal operation data is detected, a process of detecting a component among multiple components of the aircraft that generated the first abnormal operation data;
When the above second abnormal operation data is searched, a process of searching for a component among multiple components of the aircraft that generated the second abnormal operation data; and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process of searching for a component among multiple components of the aircraft that generated the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when the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is detecte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하는 과정은, 항공기의 이륙 전 시간, 항공기가 이륙하고 있는 시간, 이륙된 항공기가 비행하고 있는 시간, 항공기가 착륙하고 있는 시간 및 항공기의 착륙이 종료된 후의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동안에 실시되며,
상기 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하는 과정은, 이륙된 항공기가 비행하고 있는 시간, 항공기가 착륙하고 있는 시간 및 항공기의 착륙이 종료된 후의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동안에 실시되며,
상기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하는 과정은, 항공기의 착륙이 종료된 후의 시간에 실시되는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
In claim 4,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above first abnormal operation data is performed during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times: the time before the aircraft takes off, the time the aircraft is taking off, the time the aircraft is flying after taking off, the time the aircraft is landing, and the time after the landing of the aircraft is completed.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above second abnormal operation data is performed during at least one of the time when the aircraft is flying after takeoff, the time when the aircraft is landing, and the time after the landing of the aircraft is completed.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component that caused the above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is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implemented at a time after the aircraft landing is completed.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위험 요소를 추가로 도출하는데 있어서, 제1 내지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되는데 있어서, 상기 제1위험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하는 구성 요소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제2위험 요소를 추가로 도출하는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
In claim 3,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for additionally deriving the second risk factor, wherein,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occurs, the second risk factor is additionally derived depending on whether there is a component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risk facto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위험 요소를 추가로 도출하는 과정은,
상기 제1 내지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되는데 있어서, 상기 제1위험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하는 구성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위험 요소에 의해 상기 제1 내지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되는데 있어서, 상기 제1위험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하는 구성 요소를 제2위험 요소로 도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
In claim 6,
The process of additionally deriving the second risk factor is as follows:
In the event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occurs, if there is a component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risk factor,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process of deriving a component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risk factor as a second risk factor,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is generated by the first risk factor.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기의 구동이 종료된 후, 상기 도출된 위험 요소에 대한 정비를 실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
In any one of claims 1 to 7,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process of performing maintenance on the identified risk factors after the operation of the aircraft has ended;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요소 도출 과정에서 도출된 위험 요소에 대한 정보를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과정; 및
상기 항공기의 구동이 종료된 후, 상기 제공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험 요소에 대한 정비를 실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
In any one of claims 1 to 7,
A process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risk factors derived from the above risk factor derivation process so that workers can check it; and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process of performing maintenance on the risk factors using the provided information after the operation of the aircraft is terminated;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탐색하는 과정,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탐색하는 과정 및 위험 요소를 도출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는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
In any one of claims 4 to 7,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rocesses of exploring the above abnormal operation data, the process of exploring the component that caused the abnormal operation data, and the process of deriving risk factors is performe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항공기의 이륙 전, 이륙 후 비행 중, 착륙 후 각각의 상태에서 수집되는 구성 요소 별 운영 데이터 중에서,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탐색할 수 있는 탐색부; 및
항공기의 구성 요소 중, 상기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제1위험 요소로 도출할 수 있는 도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출부는, 상기 제1위험 요소를 도출한 후에, 비정상 운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되는데 있어서, 상기 제1위험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하는 구성 요소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제2위험 요소를 추가로 도출하는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
An exploration unit capable of exploring abnormal operation data among the component-specific operational data collected in each state of the aircraft before takeoff, during flight after takeoff, and after landing; and
Among the components of the aircraft, a derivation unit capable of deriving the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above abnormal operation data as the first risk factor;
The above-mentioned derivation unit is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that, after deriving the first risk factor, additionally derives a second risk factor depending on whether there is a component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risk factor when at least one of the abnormal operation data occurs.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탐색부는,
항공기의 이륙 전에 수집되는 구성 요소 별 제1운영 데이터 중에서 비정상인 데이터인 제1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탐색하고,
항공기가 이륙된 후에 비행 중에 수집되는 구성 요소 별 제2운영 데이터 중에서 비정상인 데이터인 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탐색하며,
항공기의 착륙 후에 수집되는 구성 요소 별 제3운영 데이터 중에서 비정상인 데이터인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탐색하는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
In claim 11,
The above exploration section,
Among the first operational data collected by each component before takeoff of the aircraft, the first abnormal operational data, which is abnormal data, is explored.
After the aircraft takes off, we explore the second abnormal operation data, which is abnormal data among the second operation data collected during the flight by component.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that searches for abnormal third-order operation data, which is abnormal data among the third-order operation data collected by each component after the landing of the aircraft.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탐색부와 도출부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
In claim 12,
The above-mentioned exploration unit and derivation unit are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청구항 12에 있어서,
구성 요소 별로 상기 제1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비정상 운영 데이터부;
구성 요소 별로 상기 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비정상 운영 데이터부; 및
구성 요소 별로 상기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부와 상기 도출부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
In claim 12,
A first abnormal operation data section storing the first abnormal operation data for each component;
A second abnormal operation data section storing the second abnormal operation data for each component; and
Includes a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section storing the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by component;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the first to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sections and the derivation section.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도출부에서 제1위험 요소를 도출하는데 있어서,
항공기의 복수의 구성 요소 중, 제1 내지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제1위험 요소로 도출하는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
In claim 12,
In deriving the first risk factor from the above derivation section,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that derives a component that has generated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among multiple components of the aircraft as a first risk factor.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도출부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위험 요소로 도출하는데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제1위험 요소로 도출하고,
상기 도출부에서 제2위험 요소를 추가로 도출하는데 있어서, 제1 내지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되는데 있어서, 상기 제1위험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하는 구성 요소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제2위험 요소를 추가로 도출하는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
In claim 15,
In the above derivation section, in deriving a component that has generated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as a risk factor, the component that has generated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is derived as a first risk factor, and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that additionally derives a second risk factor in the above-described derivation section,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occurs, and depending on whether there is a component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risk factor, a second risk factor is additionally derived.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출부에서 도출된 위험 요소에 대한 정보를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
In any one of claims 11 to 16,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including an information provision unit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risk factors derived from the above-mentioned derivation unit so that a worker can check them.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탐색부 및 도출부는 항공기 및 지상에 위치한 관제소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
In claim 11,
The above search and extraction units are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s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control stations located on the aircraft and the ground.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비정상 운영 데이터부는 항공기 및 지상에 위치한 관제소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
In claim 14,
The first to third abnormal operation data units are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s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control stations located on the aircraft and the ground.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부는 항공기 및 항공기 및 지상에 위치한 관제소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
In claim 17,
The above information providing unit is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aircraft and the control stations located on the aircraft and the ground.
KR1020230149115A 2023-11-01 2023-11-01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and aircraft health management pparatus Active KR1027366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9115A KR102736683B1 (en) 2023-11-01 2023-11-01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and aircraft health management 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9115A KR102736683B1 (en) 2023-11-01 2023-11-01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and aircraft health management 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36683B1 true KR102736683B1 (en) 2024-12-02

Family

ID=93848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9115A Active KR102736683B1 (en) 2023-11-01 2023-11-01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and aircraft health management 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3668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47670A1 (en) * 2017-11-15 2019-05-16 The Boeing Company Real Time Streaming Analytics for Flight Data Processing
KR20200008550A (en) 2017-06-15 2020-01-28 오로라 플라이트 사이언시스 코퍼레이션 Autonomous aircraft soundness system and method
KR20200140999A (en) * 2019-06-06 2020-12-17 더 보잉 컴파니 Data driven machine learning for modeling aircraft senso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8550A (en) 2017-06-15 2020-01-28 오로라 플라이트 사이언시스 코퍼레이션 Autonomous aircraft soundness system and method
US20190147670A1 (en) * 2017-11-15 2019-05-16 The Boeing Company Real Time Streaming Analytics for Flight Data Processing
KR20200140999A (en) * 2019-06-06 2020-12-17 더 보잉 컴파니 Data driven machine learning for modeling aircraft senso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756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ssisting in the maintenance of aircraft and other mobile platforms
US10839622B2 (en) Aircraft maintenance condition detection
EP2760001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helicopter health and location
EP2266880A1 (en) Method of automated fault analysis and diagnostic testing of an aircraft
CN106462158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maintenance of aircraft and other mobile platforms using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potential causes of detected events
CN103970122B (en) A kind of airplane fault method for real-time monitoring based on ACMS and system
EP3040863A1 (en) Method of identifying faults in an aircraft
CN103944971A (en) General aviation aircraft fault intelligent processing system based on cloud service
US12080178B2 (en)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a flight management system with an external device
US9950809B2 (en) System for assisting in a dispatch decision of an aircraft and related process
GB2496395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ggregating health management information
US20090326738A1 (en) Device for aiding to take a decision concerning the ability of an aircraft to start a flight
KR102736683B1 (e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and aircraft health management pparatus
US10528923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ssisting with aircraft maintenance using predetermined maintenance programs
US2020001329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ir turbulence within an air space
KR102730085B1 (e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and aircraft health management pparatus
KR102730081B1 (e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and aircraft health management pparatus
KR102806700B1 (en) Aircraft health management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KR102736684B1 (en) Reliability evaluation method and reliability evaluation apparatus for risk factor derivation apparatus for predictive maintenance of aircraft
KR102730084B1 (en) Aircraft health management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US20240419177A1 (en) Smart drone rescue and mission rescheduling on a swarm of drones
JP3676323B2 (en) Integrated health management system
e Lima Development of an Aircraft Health Monitoring Program for Predictive Maintenance
CN114040268A (en) An aircraft health monitoring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Wardas REMOTE DIAGNOSTICS OF AIRCRAFT GROUND SUPPORT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11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4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1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