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30085B1 -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and aircraft health management pparatus - Google Patents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and aircraft health management 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30085B1 KR102730085B1 KR1020230194752A KR20230194752A KR102730085B1 KR 102730085 B1 KR102730085 B1 KR 102730085B1 KR 1020230194752 A KR1020230194752 A KR 1020230194752A KR 20230194752 A KR20230194752 A KR 20230194752A KR 102730085 B1 KR102730085 B1 KR 1027300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risk factor
- format type
- data format
- compon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00—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40—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2045/0085—Devices for aircraft health monitoring, e.g. monitoring flutter or vibr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은, 운행중인 항공기의 구성 요소 별로 수집된 운영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식별하는 과정, 식별된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이 미리 설정된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이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과 다른 경우,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으로 변환시키는 과정 및 판단 과정에서 기준 데이터 포맷과 동일한 데이터 포맷 타입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 운영 데이터 및 변환 과정에 의해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으로 변환된 운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성 요소 별로 위험 요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위험 요소 판단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이 디스플레이부에서 전시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 타입인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과 다른 경우,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따라서, 구성 요소 별로 위험 요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에서 전시할 수 있는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으로 판단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에 구애 받지 않고, 구성 요소 별로 위험 요소인지 여부를 판단한 판단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전시할 수 있다.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rocess for storing operational data collected for each component of an operating aircraft, a process for identifying a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onal data, a proces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ata format type of the identified operational data is identical to a preset reference data format type, a process for converting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onal data into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when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onal data is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and a risk factor determination process for determining whether each component is a risk factor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operational data determined to have the same data format type as the reference data format in the determination process and the operational data converted into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by the conversion proces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is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which is a data format type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can be converted into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Accordingly, in generating judgment data for determining whether each component is a risk factor, the judgment data can be generated in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ly, judgment data that determines whether each component is a risk factor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regardless of the data format of the operating data.
Description
본 발명은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 및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공기의 운영 중에 획득된 운영 데이터를 이용하여 항공기의 건전성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 및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and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and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capable of stably managing the health of an aircraft using operational data acquired during operation of the aircraft.
항공기 사고가 발생하는 원인으로는 크게 기체 결함, 인적 요인 및 자연 재해가 있다. 그 중 기체 결함에 의한 항공기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항공기가 감항성을 유지해야 한다.The main causes of aircraft accidents are aircraft defects, human factors, and natural disasters. In order to prevent aircraft accidents caused by aircraft defects, aircraft must maintain airworthiness.
종래에는 항공기의 운항 시작 전 및 항공기의 운항 종료 후에, 감항 당국으로부터 인가 받은 프로그램에 따라 항공기의 구성 요소에 대한 정기적인 교체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를 예방적 건전성 관리라고 한다.Traditionally, regular replacement work on aircraft components was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aircraft was put into service according to a program approved by the airworthiness authority. This is called preventive health management.
그런데, 예방적 건전성 관리 방법으로는 구성 요소를 관리하더라도, 항공기의 운항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교체 주기에 도달하지 않았더라도 돌발 상황과 같은 다른 요인들에 의해서 구성 요소에 결함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구성 요소가 아직 결함이 발생되지 않은 상태이더라도 일시적으로 이상 동작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예방적 건전성 관리 방법으로 항공기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는데 한계가 있다.However, even if the components are managed using the preventive health management method, problems may occur in the operation of the aircraft. This is because defects in the components may occur due to other factors such as unexpected situations even before the replacement cycle has been reached. In addition, even if the components have not yet developed defects, abnormal operation may occur temporarily. Therefore, there is a limit to the stable management of the aircraft using the preventive health management method.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항공기의 운영 중에 운영 데이터를 수집하고, 운영 데이터를 분석하여 결함이 발생될 또는 결함이 발생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위험 요소를 도출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To address these issues, methods are being developed to collect operational data during aircraft operation and analyze the operational data to identify risk factors that are likely to cause or have caused defects.
그러나, 구성 요소 별로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이 다르고, 항공기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는 특정 데이터 포맷 타입을 가지는 데이터만을 전시할 수 있다. 따라서, 운영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험 요소를 도출하더라도 도출된 데이터를 조종사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에 전시하기 어렵다.However,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onal data is different for each component, and the display unit equipped on the aircraft can only display data having a specific data format type. Therefore, even if risk factors are derived using the operational data, it is difficult to display the derived data on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pilot can confirm it.
본 발명은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에 구애 받지 않고, 디스플레이부에서 전시할 수 있는 위험 요소 판단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 및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and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capable of generating risk factor judgment data that can be displayed on a display unit regardless of the data format of operational dat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은, 운행중인 항공기의 구성 요소 별로 수집된 운영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식별하는 과정; 상기 식별된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이 미리 설정된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이 상기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과 다른 경우, 상기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으로 변환시키는 과정; 및 상기 판단 과정에서 기준 데이터 포맷과 동일한 데이터 포맷 타입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 운영 데이터 및 상기 변환 과정에 의해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으로 변환된 운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성 요소 별로 위험 요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위험 요소 판단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rocess for storing operational data collected for each component of an operating aircraft; a process for identifying a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onal data; a proces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ata format type of the identified operational data is identical to a preset reference data format type; a process for converting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onal data into a reference data format type when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onal data is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and a risk factor determination process for determining whether a component is a risk factor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operational data determined to have a data format type identical to the reference data format in the determination process and the operational data converted into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by the conversion process.
상기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은, 항공기의 조종실에 구비되며 조종사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 타입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standard data format type can be set as a data format type that can be displayed on a display section equipped in the cockpit of an aircraft and visually confirmed by a pilot.
상기 위험 요소 판단 과정에서 판단한 판단 결과를 포함하는 판단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은 상기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일 수 있다.The data format type of the judgment data including the judgment result determined in the above risk factor judgment process may be the above reference data format type.
상기 구성 요소 별로 수집된 운영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있어서, 구성 요소 별로, 수집된 시간에 따른 복수의 운영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위험 요소 판단 과정은, 구성 요소 별로, 시간에 따른 복수의 운영 데이터 중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복수의 운영 데이터 중에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위험 요소로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In storing the collected operation data for each component, a plurality of operation data according to the collected time are stored for each component, and the risk factor determination process may include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bnormal operation data is included among the plurality of operation data according to the collected time for each component; and a process of determining the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abnormal operation data as a risk factor if the plurality of operation data includes abnormal operation data.
상기 구성 요소 별로 수집된 운영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있어서, 구성 요소 별로, 수집된 시간에 따른 복수의 운영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위험 요소 판단 과정은, 구성 요소 별로, 시간에 따른 복수의 운영 데이터 중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복수의 운영 데이터 중에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발생된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위험 요소로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In storing the collected operation data for each component, a plurality of operation data according to the collected time are stored for each component, and the risk factor determination process may include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bnormal operation data is included among the plurality of operation data according to the collected time for each component; and a process of determining the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abnormal operation data as a risk factor if the time at which the abnormal operation data is generated exceeds a preset reference time when the abnormal operation data is included among the plurality of operation data.
상기 복수의 운영 데이터 중에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은, 복수의 운영 데이터 중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 운영 데이터 범위를 벗어나는 운영 데이터를 비정상 운영 데이터로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bnormal operation data is included among the above plurality of operation data may include a process of determining operation data that falls outside a preset standard operation data range among the plurality of operation data as abnormal operation data.
상기 위험 요소 판단 과정 이후에 실시되며, 위험 요소로 판단된 구성 요소에 대한 위험 등급을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위험 등급을 판단하는 과정은, 비정상 운영 데이터와 기준 운영 데이터 간의 차이에 따라 위험 요소로 판단된 구성 요소의 위험 등급을 주의 등급 또는 상기 주의 등급에 비해 더 위험도가 높은 경고 등급으로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A process for determining a risk level for a component determined as a risk factor, which is performed after the above risk factor determination process; and the process for determining the risk level may include a process for determining the risk level of a component determined as a risk factor as a caution level or a warning level with a higher risk level than the caution level, based on a difference between abnormal operation data and reference operation data.
상기 위험 요소 판단 과정의 판단 결과를 포함하는 판단 데이터를 가상화 플랫폼인 위험 요소 저장부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process of storing judgment data including the judgment result of the above risk factor judgment process in a risk factor storage unit, which is a virtualization platform.
상기 위험 요소 판단 과정의 판단 결과를 포함하는 판단 데이터를 가상화 플랫폼인 위험 요소 저장부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위험 요소 저장부는 판단 데이터에 포함된 위험 등급에 따라 분류하여 판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It includes a process of storing judgment data including the judgment result of the above risk factor judgment process in a risk factor storage unit which is a virtualization platform, and the risk factor storage unit can store the judgment data by classifying it according to the risk level included in the judgment data.
상기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 및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은 이더넷 타입, ARINC 818 타입, ARINC 429 타입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data format type and reference data format type of the above operating data can be any one of the Ethernet type, ARINC 818 type, and ARINC 429 type.
위험 요소로 판단된 구성 요소에 대한 정비 및 교체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maintenance and replacement may be performed on components identified as hazardou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는 운행중인 항공기의 구성 요소 별로 수집된 운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운영 데이터부; 상기 운영 데이터부로부터 전달된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부; 상기 식별부에서 식별된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으로 변환시킬 필요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는 변환 필요 판단부; 상기 변환 필요 판단부에서 변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변환부; 및 상기 변환 필요 판단부에서 변환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운영 데이터 및 상기 변환부에서 변환된 운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성 요소 별로 위험 요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위험 요소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operation data unit capable of storing operation data collected for each component of an operating aircraft; an identification unit capable of identifying a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data unit; a conversion necessity determination unit capable of determining whether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on data identified by the identification unit needs to be converted into a reference data format type; a conversion unit capable of converting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on data determined to require conversion by the conversion necessity determination unit into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and a risk factor determination unit capable of determining whether a component is a risk factor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operation data determined to require conversion by the conversion necessity determination unit and the operation data converted by the conversion unit.
상기 변환 필요 판단부는, 상기 식별부에서 식별된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이 상기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과 동일한 경우, 상기 식별된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변경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식별부에서 식별된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이 상기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과 다른 경우, 상기 식별된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상기 기준 데이터 포맷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above conversion necessity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that there is no need to change the data format type of the identified operating data if the data format type of the identified operating data in the identification unit is the same as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and may determine that there is a need to change the data format type of the identified operating data to the reference data format if the data format type of the identified operating data in the identification unit is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상기 변환 필요 판단부에는 상기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이 설정되며, 항공기의 조종실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 타입을 상기 기준 데이터 포맷으로 설정할 수 있다.The above conversion necessity judgment unit sets the above standard data format type, and a data format type that can be displayed on a display unit equipped in the cockpit of an aircraft and visually confirmed by a user can be set as the above standard data format.
상기 위험 요소 판단부는, 구성 요소 별로 위험 요소인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포함하는 판단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위험 요소 판단부에서 생성된 판단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은 상기 기준 데이터 포맷일 수 있다.The above risk factor determination unit generates determination data including the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each component is a risk factor, and the data format type of the determination data generated by the risk factor determination unit may be the above reference data format.
상기 운영 데이터부에 구성 요소 별 운영 데이터가 저장되는데 있어서, 구성 요소 별로 복수의 운영 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복수의 운영 데이터를 시간에 따라 정리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데이터 포맷 타입을 변환하지 않은 복수의 운영 데이터 및 상기 변환부에서 데이터 포맷 타입을 변환한 복수의 운영 데이터 중 하나를 시간에 따라 정리할 수 있다.In the above operation data section, the operation data for each component is stored, and a plurality of operation data are stored for each component, and a data processing section is included that organizes the plurality of operation data over time; and the data processing section can organize one of the plurality of operation data whose data format type has not been converted and the plurality of operation data whose data format type has been converted by the conversion section over time.
상기 위험 요소 판단부는, 복수의 운영 데이터 중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 운영 데이터 범위를 벗어나는 운영 데이터를 비정상 운영 데이터로 판단하며,The above risk factor judgment unit judges operation data that falls outside the preset standard operation data range among multiple operation data as abnormal operation data.
상기 위험 요소 판단부는, 위험 요소로 판단된 구성 요소에 대한 위험 등급을 판단하고, 상기 위험 요소 판단부는, 비정상 운영 데이터와 기준 운영 데이터 간의 차이에 따라 위험 요소로 판단된 구성 요소의 위험 등급을 주의 등급 또는 상기 주의 등급에 비해 더 위험도가 높은 경고 등급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above risk factor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a risk level for a component determined to be a risk factor, and the risk factor determination unit can determine the risk level of a component determined to be a risk factor as a caution level or a warning level with a higher risk level than the caution level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abnormal operation data and the standard operation data.
상기 위험 요소 판단부에서 위험 요소로 판단된 구성 요소에 대한 판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위험 요소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 요소 저장부는 가상화 플랫폼일 수 있다.The risk factor storage unit may include a risk factor storage unit capable of storing judgment data on components judged as risk factors in the risk factor judgment unit, and the risk factor storage unit may be a virtualization platform.
상기 위험 요소 저장부는, 위험 등급이 주의 등급으로 판단된 구성 요소에 대한 판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제1저장부; 및 위험 등급이 경고 등급으로 판단된 구성 요소에 대한 판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제2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risk factor storage unit may include a first storage unit capable of storing judgment data for components whose risk level is determined to be a caution level; and a second storage unit capable of storing judgment data for components whose risk level is determined to be a warning level.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이 디스플레이부에서 전시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 타입인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과 다른 경우,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따라서, 구성 요소 별로 위험 요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에서 전시할 수 있는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으로 판단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에 구애 받지 않고, 구성 요소 별로 위험 요소인지 여부를 판단한 판단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전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is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which is a data format type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can be converted into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Accordingly, in generating judgment data for determining whether each component is a risk factor, the judgment data can be generated in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ly, judgment data that determines whether each component is a risk factor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regardless of the data format of the operating data.
이로 인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에 전시된 판단 데이터를 확인하여, 구성 요소 별 위험 요소 여부 및 위험 요소로 판단된 구성 요소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위험 요소로 판단된 구성 요소에 대한 정비 또는 교체를 실시할 수 있어, 항공기의 건전성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Due to this, the user can easily check whether there is a risk factor for each component and which components are judged to be risk factors by checking the judgment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ly, maintenance or replacement can be performed on components judged to be risk factors, thereby stably managing the health of the aircraf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 및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에 연결된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운영 데이터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의 각 구성으로 전달되는 과정 및 데이터 포맷 타입이 변환되는 과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and a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operational data is transmitted to each component of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rocess in which a data format type is converted.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only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order to expla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present the same components.
항공기는 동체, 날개, 엔진, 착륙 장치, 동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기, 동체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기, 동체에 설치된 각종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항공기는 이착륙, 비행, 임무 수행 등 항공기의 운항을 위해 구비되는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n aircraft may include a fuselage, wings, engines, landing gear, a pressure regulator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of the fuselage, a temperature regulator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fuselage, and various sensors installed on the fuselage. In addition, an aircraft may include electronic devices for aircraft operation, such as takeoff and landing, flight, and mission performance.
센서는 항공기가 이동하는 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속도 센서, 항공기의 자세를 검출할 수 있는 자세 센서, 항공기의 고도를 검출할 수 있는 고도 센서, 항공기가 승강하는 속도(즉, 승강률)를 검출할 수 있는 승강률 검출 센서, 항공기의 선회율을 포함하는 정보를 검출하는 선회 센서 및 항공기 기수의 현재 방위를 검출하는 방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항공기에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항공기의 이륙, 착륙 및 비행을 위한 다양한 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sensors may include a speed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speed at which the aircraft is moving, an attitude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n attitude of the aircraft, an altitude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n altitude of the aircraft, a climb rate detection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speed at which the aircraft ascends and descends (i.e., a climb rate), a turn sensor detecting information including a turn rate of the aircraft, and a heading sensor detecting a current heading of the aircraft. Of course, the aircraft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and may further be equipped with various sensors for takeoff, landing, and flight of the aircraft.
또한, 항공기는 조종사가 탑승할 수 있는 구역인 조종실을 구비하고, 조종실에는 조종부 및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aircraft has a cockpit, which is an area where a pilot can board, and the cockpit can be equipped with a control unit and a display unit.
조종부는 항공기에 구비된 각 구성 요소와 연결 또는 연동되어,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조종사가 조종 또는 통제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구성 요소 별 상태, 항공기의 현재 위치, 비행 방향 및 비행 경로 등을 조종사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전시 또는 표시하는 장치일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be a device that is connected or linked to each component equipped in the aircraft, so that the pilot can control or manipulate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s. The display unit may be a device that displays or displays the status of each componen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ircraft, the flight direction, and the flight path so that the pilot can visually check them.
전자 장치는 항공기의 운행 또는 동작을 위한 전자 장치와 임무 수행을 위한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전자 장치가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전자 장치 중 적어도 일부는 다른 전자 장치 및 관제소 중 적어도 하나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들은 유선 네트워크망 및 무선 네트워크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와 관제소는 무선 네트워크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n electronic device for operating or working on the aircraft and a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a mission. In addition,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may be provided, and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may transmit or receive data to at least one of the other electronic devices and the control center. At this time, the electronic devices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or signals using at least one of a wired network and a wireless network. 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control center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using a wireless network.
이하에서는 항공기에 구비되는 또는 항공기를 구성하는 장치, 부품 등을 '구성 요소'로 명명한다. 예를 들어 항공기의 구성 요소는 동체, 날개, 엔진, 착륙 장치, 압력 조절기, 온도 조절기, 각종 센서 및 전자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항공기의 구성 요소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항공기에 구비되는 또는 항공기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Hereinafter, devices, parts, etc. equipped in or constituting an aircraft are referred to as 'components'. For example, components of an aircraft may include a fuselage, wings, engines, landing gear, pressure regulators, temperature regulators, various sensors, and electronic devices. Of course, components of an aircraft are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and may refer to all elements equipped in or constituting an aircraft.
디스플레이부는 특정 포맷(format)을 가지는 데이터를 표시 또는 전시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일 수 있다. 항공기에서 수집될 수 있는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의 타입(type)은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타입(type)의 데이터 포맷, ARINC 818(Aeronautical Radio, Incorporated 818) 타입의 데이터 포맷, ARINC 429(Aeronautical Radio, Incorporated 429) 타입의 데이터 포맷 등이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복수 타입의 데이터 포맷들 중 어느 하나 타입의 데이터 포맷을 가지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전시할 수 있고, 그 외에 다른 타입의 데이터 포맷을 가지는 데이터는 전시할 수 없도록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디스플레이부는 데이터 포맷이 ARINC 429 타입인 데이터를 전시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는 ARINC 429 타입 외에 다른 타입의 데이터를 전시할 수 없도록 마련된 것일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or exhibit data having a specific format. The types of data formats of operational data that may be collected from an aircraft may include, for example, an Ethernet type data format, an ARINC 818 (Aeronautical Radio, Incorporated 818) type data format, an ARINC 429 (Aeronautical Radio, Incorporated 429) type data format, etc. The display unit may be configured to process and exhibit data having a data format of any one of a plurality of data formats, and may not be configured to exhibit data having any other type of data format.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data having an ARINC 429 type data format.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may be configured to not be configured to exhibit data of any other type other than the ARINC 429 type.
'데이터 포맷'은 '데이터 버스' 또는 '데이터의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포맷의 타입이 이더넷인 데이터'는 이더넷을 이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고, '데이터 포맷의 타입이 ARINC 818인 데이터'는 ARINC 818을 이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으며, '데이터 포맷의 타입이 ARINC 429인 데이터'는 ARINC 429를 이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Data format' can mean 'data bus' or 'data format'. In addition, 'data whose data format type is Ethernet' can mean data that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using Ethernet, 'data whose data format type is ARINC 818' can mean data that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using ARINC 818, and 'data whose data format type is ARINC 429' can mean data that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using ARINC 429.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포맷의 타입은 여러 타입이 있을 수 있으며, 그 타입(type)은 워드(word)의 길이 또는 워드의 비트 길이, 메시지 구조, 통신 프로토콜, 데이터 타입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달라질 수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타입은 부호가 없는 정수형(unsigned short), unsighed char 등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re may be several types of data formats, and the type may vary depending on at least one of the word length or the word bit length, message structure, communication protocol, and data type. And, the data type may be an unsigned short, an unsigned char, etc.
메시지 구조는 복수의 메지시 필드를 포함하고, 복수의 메시지 필드는 부여된 순번대로 나열될 수 있다. 복수의 메시지 필드 각각에는 데이터(data)가 입력될 수 있고, 각 메시지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는 서로 다르거나 일부 동일할 수 있다.복수의 메시지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는 운영 데이터가 전달 또는 의미하는 '내용(contents)일 수 있다. 복수의 메시지 필드에는 서로 다른 분야의 데이터 또는 내용이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다른 타입의 데이터 포맷은 각 필더에 입력되는 데이터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데이터 포맷 타입은 제1 내지 제5메시지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제1메시지 필드에 A 분야 데이터, 제2메시지 필드에 B 분야 데이터, 제3메시지 필드에 C 분야 데이터, 제4메시지 필드에 D 분야 데이터, 제5메시지 필드에 E 분야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일 데이터 포맷 타입은 제1 내지 제5메시지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제1메시지 필드에 E 분야 데이터, 제2메시지 필드에 D 분야 데이터, 제3메시지 필드에 C 분야 데이터, 제4메시지 필드에 B 분야 데이터, 제5메시지 필드에 A 분야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다.A message structure includes a plurality of message fields, and the plurality of message fields can be listed in an assigned order. Data can be entered into each of the plurality of message fields, and the data entered into each message field can be different or partially the same. The data entered into the plurality of message fields can be 'contents' that the operation data conveys or means. Data or contents of different fields can be entered into the plurality of message fields. And, different types of data formats can have different data entered into each field. For example, one data format type can include first to fifth message fields, and field A data can be entered into the first message field, field B data can be entered into the second message field, field C data can be entered into the third message field, field D data can be entered into the fourth message field, and field E data can be entered into the fifth message field. And another data format type can include first to fifth message fields, and E field data can be entered in the first message field, D field data can be entered in the second message field, C field data can be entered in the third message field, B field data can be entered in the fourth message field, and A field data can be entered in the fifth message field.
항공기의 운영 중에 항공기의 구성 요소 별로 그 운영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그런데 구성 요소 별 운영 데이터는 그 데이터 포맷의 타입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항공기의 운영 중에 제1구성 요소에 대한 운영 데이터는 데이터 포맷이 이더넷 타입일 수 있고, 제2구성 요소에 대한 운영 데이터는 데이터 포맷이 ARINC 818 타입일 수 있으며, 제3구성 요소에 대한 운영 데이터는 데이터 포맷이 ARINC 429 타입일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는 예를 들어 데이터 포맷의 타입이 ARINC 429인 데이터를 전시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일 수 있다.During operation of an aircraft, operational data can be collected for each component of the aircraft. However, the operational data for each component may have different data format types. For example, during operation of an aircraft, operational data for a first component may have an Ethernet data format, operational data for a second component may have an ARINC 818 data format, and operational data for a third component may have an ARINC 429 data format.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data whose data format type is, for example, ARINC 429.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구성 요소에 대한 운영 데이터를 제1운영 데이터, 제2구성 요소에 대한 운영 데이터를 제2운영 데이터, 제3구성 요소에 대한 운영 데이터를 제3운영 데이터로 명명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elow, the operational data for the first component is referred to as the first operational data, the operational data for the second component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operational data, and the operational data for the third component is referred to as the third operational data.
항공기의 운영 중에 획득된 구성 요소 별 운영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 요소 별로 정비 또는 교체가 필요한 위험 요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판단 결과에 대한 데이터(이하, 판단 데이터)는 특정 타입의 데이터 포맷을 가지며, 그 타입은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에 따라 결정도리 수 있다. 즉, 제1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이 이더넷인 경우, 제1구성 요소가 위험 요소인지 여부를 판단한 판단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은 이더넷 타입일 수 이다. 다른 예로, 제2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이 ARINC 818인 경우, 제2구성 요소가 위험 요소인지 여부를 판단한 판단 데이터의 포맷은 ARINC 818 타입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3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이 ARINC 429인 경우, 제3구성 요소가 위험 요소인지 여부를 판단한 판단 데이터의 포맷은 ARINC 429 타입일 수 있다. 그런데, 판단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이 디스플레이부에서 지원하지 않는 또는 사용하지 않는 데이터 포맷인 경우, 판단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전시할 수 없다.By using the component-specific operational data acquir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aircraf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each component is a risk factor requiring maintenance or replacement. At this time, the data for the judgment result (hereinafter, judgment data) has a specific type of data format, and the type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onal data. That is, if the data format type of the first operational data is Ethernet, the data format of the judgment data that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component is a risk factor may be Ethernet type. As another example, if the data format type of the second operational data is ARINC 818, the format of the judgment data that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component is a risk factor may be ARINC 818 type. As another example, if the data format type of the third operational data is ARINC 429, the format of the judgment data that determines whether the third component is a risk factor may be ARINC 429 type. However, if the data format of the judgment data is a data format that is not supported or used by the display unit, the judgment data cannot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실시예들에 따른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 및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는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에 구애 받지 않고, 디스플레이부에서 전시할 수 있는 위험 요소 판단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실시예들에 따른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 및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는,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을 변환시켜, 구성 요소 별로 위험 요소인지 여부를 판단한 판단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전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실시예들에서는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과 디스플레이부에서 전시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의 타입이 다른 경우,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을 변환시켜 디스플레이부에서 전시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 타입으로 판단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and the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can generate risk factor judgment data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regardless of the data format of the operating data. That is, the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and the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can convert the data format of the operating data and display judgment data that determines whether each component is a risk factor on the display unit. More specifically, in the embodiments, when the data format of the operating data and the type of the data format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re different, the data format of the operating data can be converted to generate judgment data in a data format type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 및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에 연결된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운영 데이터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의 각 구성으로 전달되는 과정 및 데이터 포맷 타입이 변환되는 과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operational data is transmitted to each component of the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rocess in which a data format type is converted.
도 1을 참조하면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100)는 구동 중인 항공기로부터 수집된 운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운영 데이터부(110),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변환시킬 수 있고, 운영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 요소 별로 위험 요소 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예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100) may include an operation data unit (110) capable of storing operation data collected from an operating aircraft, a prediction unit (120) capable of converting a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on data, and determining whether each component is a risk factor using the operation data.
또한,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100)는 운영 데이터부(110) 및 예지부(12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30) 및 사용자가 제어부(130)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제어부(130)와 연결된 조작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100) may include a control unit (130)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operation data unit (110) and the prediction unit (120), and an operating unit (140)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30) so that a user can input a command to the control unit (130).
그리고,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100)는 운영 데이터부(110), 제어부(130), 예지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0)와 연결된 연결부(150) 및 예지부(120)에서 위험 요소로 판단한 구성 요소를 위험 등급에 따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는 위험 요소 저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100) may include a connection unit (150) connected to the operation data unit (110), the control unit (130), the prediction unit (120), and the display unit (10), and a risk factor storage unit (160) capable of storing components determined as risk factors by the prediction unit (120) by classifying them according to risk level.
상술한 바와 같은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100)는 항공기에 설치될 수 있다.The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100) as described above can be installed in an aircraft.
연결부(150)에는 운영 데이터부(110), 제어부(130), 예지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0)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운영 데이터부(110)에 저장된 운영 데이터는 연결부(150)를 통해 예지부(120)로 전달될 수 있고, 예지부(120)의 판단한 결과(판단 데이터)는 연결부(15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0)로 전달될 수 있다.The connection unit (150) may be connected to an operation data unit (110), a control unit (130), a prediction unit (120), and a display unit (10). Accordingly, the operation data stored in the operation data unit (110) may be transmitted to the prediction unit (120) through the connection unit (150), and the judgment result (judgment data) of the prediction unit (120) may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10) through the connection unit (150).
연결부(150)는 신호 라인, 네트워크 라인, 전원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자 및 메인 보드 중 적어도 하나에 운영 데이터부, 제라인, 데이터 전송 라인 등이 연결될 수 있는 단자 및 단자와 연결된 메인 보드를 어부, 예지부, 조작부 및 디스플레이부가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150) may include a signal line, a network line, and a power supply. In addition, a terminal and a main board connected to the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an operating data part, a control line, a data transmission line, etc., among the terminals and the main board, and a fishing part, a prediction part, an operation part, and a display part may be connected.
조작부(140)는 연결부(150)를 통해 제어부(130) 및 디스플레이부(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조작부(140)를 통해 입력하는 명령 신호는 연결부(150)를 통해 제어부(130)로 전달될 수 있고, 제어부(130)로 입력된 명령 신호는 사용자가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0)에 전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항공기에 탑승하는 조종사이거나, 항공기의 건전성을 관리하기 위한 사람일 수 있다.The operating unit (140) can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30) and the display unit (10) through the connection unit (150). Accordingly, a command signal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operating unit (140)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30) through the connection unit (150), and the command signal input to the control unit (130)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 so that the user can monitor it. Here, the user can be a pilot boarding the aircraft or a person managing the health of the aircraft.
제어부(130)는 운영 데이터부(110)에 저장된 구성 요소 별 운영 데이터를 예지부(120)로 전달할 수 있도록 운영 데이터부(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변환시키거나, 예지부(120)에서 판단한 결과(판단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0)로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예지부(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위험 요소 저장부(160)에 저장된 판단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0)로 전송할 수 있도록 위험 요소 저장부(1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조작부(140)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명령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운영 데이터부(110)예지부(120), 위험 요소 저장부(16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data unit (110) so that the operation data for each component stored in the operation data unit (110) can be transmitted to the prediction unit (12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rediction unit (120) so that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on data can be converted, or the result (judgment data) determined by the prediction unit (120) can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1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risk factor storage unit (160) so that the judgment data stored in the risk factor storage unit (160) can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1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operation data unit (110), the prediction unit (120), and the risk factor storage unit (160) according to a command input from the operation unit (140), as described above.
항공기를 이륙시키기 위해 항공기를 구동시킨다. 이에, 항공기를 이륙시키기 전에 항공기는 구동 중인 상태일 수 있다. 즉, 이륙 전에 항공기에 포함된 복수의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이륙을 위한 구동 중인 상태이다. 또한, 항공기를 착륙시킨 후에도 항공기가 소정 시간 동안 구동된다. 예를 들어 항공기가 활주로에 착륙된 후에 활주를 따라 이동하는 등, 소정 시간 동안 항공기의 구성 요소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요소가 구동 중인 상태이다. 이에, 운영 데이터부(110)는 항공기를 이륙시키기 전과 항공기를 착륙시킨 후에 항공기로부터 운영 데이터를 제공 받아 수집 및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항공기가 이륙된 후 착륙하기 전까지 항공기는 비행중이다. An aircraft is driven to take off. Accordingly, the aircraft may be in a driven state before taking off. That is, some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included in the aircraft are in a driven state for takeoff before takeoff. In addition, the aircraft is driven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fter landing the aircraft. For example,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aircraft are in a driven stat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such as when the aircraft moves along the runway after landing on the runway. Accordingly, the operational data unit (110) may receive, collect, and store operational data from the aircraft before taking off and after landing the aircraft. In addition, the aircraft is in flight after taking off and before landing.
운영 데이터부(11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 중인 항공기로부터 발생되는 운영 데이터가 수집되어 저장된다. 운영 데이터부(110)에 운영 데이터가 저장되는데 있어서, 구성 요소 별로 운영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구성 요소 별 운영 데이터는 구성 요소의 동작 상태, 신호 출력, 수신되는 신호, 측정되는 값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성 요소 별로 운영 데이터가 다를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 별로 획득되는 운영 데이터는 수치 형태, 영상 형태, 메시지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 별로 획득되는 운영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는 다른 운영 데이터와 데이터 포맷의 타입이 다를 수 있다. 즉, 운영 데이터 별로 데이터 포맷의 종류가 다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al data section (110) collects and stores operational data generated from an operating aircraft. When the operational data is stored in the operational data section (110), the operational data may be stored for each component. The operational data for each compon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operating status of the component, signal output, received signal, measured value, etc., and the operational data may be different for each component. In addition, the operational data acquired for each component may be in at least one of a numerical form, an image form, and a message form. In addition, at least some of the operational data acquired for each component may have a different type of data format from other operational data. In other words, the type of data format may be different for each operational data.
운영 데이터부(110)에 저장되는 구성 요소 별 운영 데이터에는 구성 요소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 발생되는 정상 운영 데이터(이하, 정상 운영 데이터), 구성 요소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할 때 발생되는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The component-specific operational data stored in the operational data section (110) may include normal operational data (hereinafter, “normal operational data”) generated when the component operates normally, and abnormal operational data generated when the component operates abnormally.
예지부(120)는 운영 데이터부(110)로부터 전달된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디스플레이부(10)에서 전시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 타입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또한, 예지부(120)는 구성 요소 별 운영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구성 요소가 위험 요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예지부(120)는 항공기의 구성 요소 중에서 위험 요소를 예지할 수 있다.The prediction unit (120) can convert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data unit (110) into a data format type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 In addition, the prediction unit (120) can use the operation data for each component to determine whether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a risk factor. In other words, the prediction unit (120) can predict a risk factor among the components of the aircraft.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부(10)에서 전시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의 타입 또는 디스플레이부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의 타입을 '기준 타입' 또는 '기준 타입의 데이터 포맷'으로 정의한다.Hereinafter, the type of data format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 or the type of data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on the display unit is defined as a ‘reference type’ or a ‘data format of the reference type.’
도 1을 참조하면, 예지부(120)는 운영 데이터부(110)에 저장된 운영 데이터를 전달 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121), 인터페이스부(121)로부터 전달된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부(122),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이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과 비교하여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변경시킬 필요가 있는지 판단하는 변환 필요 판단부(123) 및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변환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prediction unit (120) may include an interface unit (121) capable of receiving operation data stored in the operation data unit (110), an identification unit (122) capable of identifying a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interface unit (121), a conversion necessity determination unit (123) capable of determining whether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on data needs to be changed by comparing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on data with a reference data format type, and a conversion unit (124) capable of converting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on data to a reference data format type.
또한, 예지부(120)는 구성 요소 별로, 운영 데이터를 시간에 따른 운영 데이터로 정리 또는 나타낼 수 있는 데이터 처리부(125) 및 시간에 따른 운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가 위험 요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위험 요소 판단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diction unit (120) may include a data processing unit (125) that can organize or display operational data as operational data over time for each component, and a risk factor determination unit (126) that determines whether a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operational data is a risk factor using the operational data over time.
인터페이스부(121)는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수단이다. 인터페이스부(121)는 서로 다른 타입의 데이터 포맷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복수의 프로토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인터페이스부(121)는 운영 데이터부(110)에 저장된 운영 데이터를 모두 수신할 수 있도록, 복수의 프로토콜 모듈을 포함하며, 복수의 프로토콜 모듈은 서로 다른 타입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21)는 이더넷 타입의 데이터 포맷(이하, 제1타입 데이터 포맷)을 송수신할 수 있는 이더넷 프로토콜 모듈, ARINC 818 타입의 데이터 포맷(이하, 제2타입 데이터 포맷)을 송수신할 수 있는 ARINC 818 프로토콜 모듈 및 ARINC 429 타입의 데이터 포맷(이하, 제3타입 데이터 포맷)을 송수신할 수 있는 ARINC 429 프로토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인터페이스부(121)에 구비되는 프로토콜 모듈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성 요소 별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에 따라 그에 맞는 프로토콜 모듈로 교체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21) is a mea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e interface unit (121)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ocol modules so as to be able to transmit and receive different types of data formats. That is, the interface unit (121) includes a plurality of protocol modules so as to be able to receive all of the operating data stored in the operating data unit (110), and the plurality of protocol modules may be of different types.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121) may include an Ethernet protocol modul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Ethernet type data format (hereinafter, a first type data format), an ARINC 818 protocol modul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ARINC 818 type data format (hereinafter, a second type data format), and an ARINC 429 protocol modul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ARINC 429 type data format (hereinafter, a third type data format). Of course, the protocol module equipped in the interface section (121)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may be replaced or added with a suitable protocol module depending on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for each component.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운영 데이터부(110)에 저장되는 구성 요소 별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이 제1타입 데이터 포맷(이더넷 타입의 데이터 포맷), 제2타입 데이터 포맷(ARINC 818 타입의 데이터 포맷) 및 제3타입 데이터 포맷(ARINC 429 타입의 데이터 포맷) 중 어느 하나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타입 데이터 포맷, 제2타입 데이터 포맷 및 제3타입 데이터 포맷 각각을 제1타입, 제2타입 및 제3타입으로 약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 example will be given of a case where the data format of the component-specific operation data stored in the operation data section (110) is one of the first type data format (Ethernet type data format), the second type data format (ARINC 818 type data format), and the third type data format (ARINC 429 type data format). 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irst type data format, the second type data format, and the third type data format are abbreviated as the first type, the second type, and the third type, respectively.
인터페이스부(121)는 연결부(150)와 식별부(122)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연결부(150)를 통해 인터페이스부(121)로 수신된 운영 데이터는 식별부(122)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부(1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포맷 타입이 서로 다른 운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복수의 프로토콜 모듈을 포함한다. 이에, 운영 데이터부(110)에 저장된 운영 데이터는 그 데이터 포맷 타입에 구애 받지 않고,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식별부(122)로 전달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21) can connect the connection unit (150) and the identification unit (122). Accordingly, the operation data received by the interface unit (121) through the connection unit (150) can be transmitted to the identification unit (122). At this time, the interface unit (121) includes a plurality of protocol modules so that operation data having different data format types can be received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operation data stored in the operation data unit (110) can be transmitted to the identification unit (122) through the interface unit (121) regardless of the data format type.
식별부(122)는 인터페이스부(121)로부터 운영 데이터를 전달 받고, 전달 받은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식별, 구별 또는 구분할 수 있다. 즉, 인터페이스부(121)로부터 식별부(122)로 전달된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이 제1 내지 제3타입 중 어떤 타입인지를 식별 또는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식별부(122)는 예를 들어 운영 데이터가 가지는 워드 포맷(word format) 및 비트(bit) 수, 워드의 영역 별 데이터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식별부(122)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을 이용하여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unit (122) receives the operation data from the interface unit (121) and can identify, distinguish, or classify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on data received. In other words, it can identify or determine which of the first to third types of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interface unit (121) to the identification unit (122) is used. At this time, the identification unit (122) can identify the type of the data format of the operation data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word format, the number of bits, and the data type by word area of the operation data, for example. 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unit (122) can identify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on data b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변환 필요 판단부(123)는 식별부(122)에서 식별된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이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변환 필요 판단부(123)는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과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을 비교하여, 상기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이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이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과 다른 경우, 변환 필요 판단부(123)는 상기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으로 변경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반대로,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이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과 같은 경우, 변환 필요 판단부(123)는 상기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으로 변경시킬 필요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변환 필요 판단부(123)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을 이용하여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과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변환 필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version necessity determination unit (123) determines whether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identified by the identification unit (122) is the same as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That is, the conversion necessity determination unit (123) compares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with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to determine whether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is the same as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If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is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the conversion necessity determination unit (123) determines that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needs to be changed to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Conversely, if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is the same as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the conversion necessity determination unit (123) determines that there is no need to change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to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At this time, the conversion necessity determination unit (123) can determine whether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is the same as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b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determine whether conversion is necessary.
변환부(124)는 변환 필요 판단부(123)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과 동일하게 변환시킨다. 즉, 변환 필요 판단부(123)에서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이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과 다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변환부(124)는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으로 변환시킨다. 이때, 변환부(124)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변환 방법을 이용하여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변환시킨다.The conversion unit (124) converts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to be the same as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according to the judgment result of the conversion necessity judgment unit (123). That is, if the conversion necessity judgment unit (123) determines that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is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the conversion unit (124) converts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to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At this time, the conversion unit (124) converts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using a generally well-known conversion method.
인터페이스 통제 문서(Interface Control Document: ICD)에는 다양한 또는 서로 다른 복수의 데이터 포맷 타입의 구조 또는 규격에 대해 규정되어 있다. 실시예에 따른 변환부(124)에서 데이터 포맷 타입을 변환시키는데 있어서, 인터페이스 통제 문서(ICD)를 기준으로 변환하는 일반적인 변환 방법을 사용한다. 즉, 변환부(124)는 인터페이스 통제 문서(ICD)에 포함된 데이터 포맷 타입 별 규정을 기준으로,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변환부(124)는 인터페이스 통제 문서(ICD)가 저장된 인터페이스 통제 문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인터페이스 통제 문서부는 변환부(124)의 구성일 수 있다.An Interface Control Document (ICD) specifies the structure or specifications of various or different data format types. In the conversion unit (124)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en converting the data format type, a general conversion method of converting based on the Interface Control Document (ICD) is used. That is, the conversion unit (124) can convert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on data into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based on the regulations for each data format type included in the Interface Control Document (ICD). To this end, the conversion unit (124) can include an interface control document section in which the Interface Control Document (ICD) is stored. That is, the interface control document section can be a configuration of the conversion unit (124).
그리고 인터페이스 통제 문서부에 저장된 인터페이스 통제 문서(ICD)에는 항공기에서 발생될 수 있는 복수의 데이터 포맷 타입에 대한 구조 또는 규격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통제 문서부에 저장된 인터페이스 통제 문서(ICD)에는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에 대한 구조 또는 규격이 포함될 수 있다.And the interface control document (ICD) stored in the interface control document section may include a structure or specification for multiple data format types that may occur in the aircraft. In addition, the interface control document (ICD) stored in the interface control document section may include a structure or specification for a reference data format type.
변환부(124)는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으로 변환시킨다. 예를 들어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이 제2타입(ARINC 818)이고,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이 제3타입(ARINC 429)인 경우, 데이터 포맷 타입이 제2타입(ARINC 818)인 운영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제3타입(ARINC 429))으로 변환시킨다. 이때, 인터페이스 통제 문서(ICD)에는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 예를 들어 제3타입(ARINC 429)이 저장되어 있고, 운영 데이터가 가지는 데이터 포맷 타입 예를 들어 제2타입(ARINC 818)이 저장되어 있다. 이에, 변환부(124)의 변환 알고리즘은 인터페이스 통제 문서(ICD)에 포함된 제3타입(ARINC 429)의 구조(또는 규격) 및 제2타입(ARINC 818)의 구조(또는 규격)를 이용하여,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때, 변환부(124)는 인터페이스 통제 문서(ICD)를 이용하여 데이터 포맷 타입을 변환하는 일반적인 방법 또는 잘 알려진 방법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The conversion unit (124) converts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into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For example, if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is the second type (ARINC 818) and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is the third type (ARINC 429), the operating data whose data format type is the second type (ARINC 818) is converted into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the third type (ARINC 429)). At this time, the interface control document (ICD) stores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for example, the third type (ARINC 429), and stores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for example, the second type (ARINC 818). Accordingly, the conversion algorithm of the conversion unit (124) can convert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into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by using the structure (or standard) of the third type (ARINC 429) and the structure (or standard) of the second type (ARINC 818) included in the interface control document (ICD). At this time, the conversion unit (124) can convert the data format type using a general method or a well-known method using an interface control document (ICD).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예를 들어 설명한다.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은 제1 내지 제5메시지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제1메시지 필드에 E 분야 데이터, 제2메시지 필드에 D 분야 데이터, 제3메시지 필드에 C 분야 데이터, 제4메시지 필드에 B 분야 데이터, 제5메시지 필드에 A 분야 데이터가 입력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은 제1 내지 제5메시지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제1메시지 필드에 A 분야 데이터, 제2메시지 필드에 B 분야 데이터, 제3메시지 필드에 C 분야 데이터, 제4메시지 필드에 D 분야 데이터, 제5메시지 필드에 E 분야 데이터가 입력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변환부(124)에서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으로 변환시키는데 있어서, 운영 데이터의 A 분야 데이터를 제1메시지 필드, B 분야 데이터가 제2메시지 필드, C 분야 데이터가 제3메시지 필드, D 분야 데이터가 제4메시지 필드, E 분야 데이터가 제5메시지 필드로 입력시키는 방법으로 데이터 포맷 타입을 변환시킬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분야 별로 메시지 필드를 변경시키는 것 외에도,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에 부합하도록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변환시킨다. 변환부(124)는 인터페이스 통제 문서(ICD)에 포함된 데이터 포맷 타입 별 구조(또는 규격)을 이용하여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To explain more specifically, an example is given below.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onal data may include the first to fifth message fields, and may be a state in which E field data is entered in the first message field, D field data is entered in the second message field, C field data is entered in the third message field, B field data is entered in the fourth message field, and A field data is entered in the fifth message field. In addition,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may include the first to fifth message fields, and may be a structure in which A field data is entered in the first message field, B field data is entered in the second message field, C field data is entered in the third message field, D field data is entered in the fourth message field, and E field data is entered in the fifth message field. In converting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into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in the conversion unit (124), the data format type can be converted by inputting the data in the A field of the operating data into the first message field, the data in the B field into the second message field, the data in the C field into the third message field, the data in the D field into the fourth message field, and the data in the E field into the fifth message field. Of course, in addition to changing the message field by field as described above,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is converted to conform to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The conversion unit (124) can convert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into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by using the structure (or standard) for each data format type included in the Interface Control Document (ICD).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제1운영 데이터는 데이터 포맷 타입이 제1타입(제1타입 데이터 포맷)이고, 제2운영 데이터는 데이터 포맷 타입이 제2타입(제2타입 데이터 포맷)이며, 제3운영 데이터는 데이터 포맷 타입이 제3타입(제3타입 데이터 포맷)일 수 있다. 그리고,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은 제3타입(제3타입 데이터 포맷)일 수 있다.This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FIG. 2. For example, the first operation data may have a data format type of type 1 (type 1 data format), the second operation data may have a data format type of type 2 (type 2 data format), and the third operation data may have a data format type of type 3 (type 3 data format). In addition,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may be type 3 (type 3 data format).
제1 내지 제3운영 데이터가 변환 필요 판단부(123)로 전달되면, 변환 필요 판단부(123)는 제1 내지 제3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과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을 비교한다. 그리고, 변환 필요 판단부(123)는 제1 내지 제3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과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변환 필요 판단부(123)는 제1 및 제2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과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이 다르고, 제3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과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변환 필요 판단부(123)는 제1 및 제2운영 데이터에 대해서는 데이터 포맷 타입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제3운영 데이터에 대해서는 데이터 포맷 타입을 변경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first to third operating data are transmitted to the conversion necessity determination unit (123), the conversion necessity determination unit (123) compares the data format types of the first to third operating data with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Then, the conversion necessity determination unit (123) determines whether the data format types of the first to third operating data and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are the same. At this time, the conversion necessity determination unit (123) can determine that the data format types of the first and second operating data and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are different, and that the data format of the third operating data and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are the same. Therefore, the conversion necessity determination unit (123) can determine that the data format type of the first and second operating data needs to be changed, and that the data format type of the third operating data does not need to be changed.
이에, 제1 및 제2운영 데이터는 변환부(124)로 전달되고, 제3운영 데이터는 변환부(124)로 전달되지 않는다. 그리고 변환부(124)는 입력된 제1 및 제2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기준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시킨다. 이때, 제3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은 기준 데이터 포맷과 동일하기 때문에 변환되지 않는다.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operation data are transmitted to the conversion unit (124), and the third operation data is not transmitted to the conversion unit (124). Then, the conversion unit (124) converts the data format type of the input first and second operation data into the reference data format. At this time, the data format type of the third operation data is not converted because it is the same as the reference data format.
데이터 처리부(125)는 운영 데이터를 시간에 따른 데이터로 정리 또는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항공기의 운영 중에 실시간으로 운영 데이터가 획득되며, 획득된 운영 데이터가 운영 데이터부(110)로 전달되어 저장된다. 즉, 구성 요소 별로 복수의 운영 데이터가 수집되어 저장되며, 복수의 운영 데이터는 수집 또는 저장된 시간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성 요소의 구동 또는 운영에 의한 복수의 제1운영 데이터가 획득되며, 복수의 제1운영 데이터는 수집 또는 저장된 시간이 다를 수 있다. 또한, 제2구성 요소의 구동 또는 운영에 의한 복수의 제2운영 데이터가 획득되며, 복수의 제2운영 데이터는 수집 또는 저장된 시간이 다를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25)는 운영 데이터를 획득된 시간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부(125)는 시간에 따른 운영 데이터의 변화 경향성을 나타나도록 표(table) 또는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125)는 제1구성 요소에 대한 복수의 제1운영 데이터를 시간에 따라 정리하여 표(table) 또는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25)는 제2구성 요소에 대한 복수의 제3운영 데이터를 시간에 따라 정리하여 표(table) 또는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다.The data processing unit (125) organizes or displays the operational data as data over time. More specifically, the operational data is acquired in real tim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aircraft, and the acquired operational data is transmitted to and stored in the operational data unit (110). That is, multiple operational data are collected and stored for each component, and the multiple operational data may have different collection or storage times. For example, multiple first operational data are acquired by driving or operating the first component, and the multiple first operational data may have different collection or storage times. In addition, multiple second operational data are acquired by driving or operating the second component, and the multiple second operational data may have different collection or storage times. The data processing unit (125) can classify the operational data according to the time at which it was acquired. In addition, the data processing unit (125) can display the change trend of the operational data over time in a table or graph. For example, the data processing unit (125) can organize multiple first operational data for the first component over time and display them in a table or graph. In addition, the data processing unit (125) can organize multiple third operation data for the second component over time and display them in a table or graph.
데이터 처리부(125)로 전달되는 운영 데이터는 데이터 포맷의 타입이 변환되지 않은 운영 데이터이거나, 변환부(124)에서 데이터 포맷 타입이 변환된 운영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변환 필요 판단부(123)에서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과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운영 데이터 포맷 타입을 변경하지 않는다. 즉, 운영 데이터를 변환부(124)로 전송하지 않는다. 이에, 운영 데이터를 변환부(124)를 거치지 않고 데이터 처리부(125)로 전송한다. 다른 말로 설명하면, 인터페이스부(121), 식별부(122) 및 변환 필요 판단부(123) 중 어느 하나로 수신된 운영 데이터를 그대로 데이터 처리부(125)로 전송한다. 또 다른 말로 설명하면, 인터페이스부(121), 식별부(122) 및 변환 필요 판단부(123) 중 어느 하나로 수신된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변환시키지 않고, 운영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부(125)로 전송한다. 다른 예로, 변환 필요 판단부(123)에서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과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이 다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운영 데이터를 변환부(124)로 전송하여 상기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변환시킨다. 이에 변환부(124)를 거쳐 데이터 포맷 타입이 변환된 운영 데이터가 데이터 처리부(125)로 전송된다. 따라서, 데이터 처리부(125)로 입력되는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은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과 동일할 수 있다.The operational data transmitted to the data processing unit (125) may be operational data whose data format type has not been converted, or operational data whose data format type has been converted by the conversion unit (124). For example, if the conversion necessity determination unit (123) determines that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onal data and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are the same, the format type of the operational data is not changed as described above. In other words, the operational data is not transmitted to the conversion unit (124). Accordingly, the operational data is transmitted to the data processing unit (125) without going through the conversion unit (124). In other words, the operational data received by any one of the interface unit (121), the identification unit (122), and the conversion necessity determination unit (123) is transmitted as is to the data processing unit (125). In other words,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onal data received by any one of the interface unit (121), the identification unit (122), and the conversion necessity determination unit (123) is not converted, and the operational data is transmitted to the data processing unit (125). As another example, if the conversion necessity judgment unit (123) determines that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is different from the standard data format type, the operating data is transmitted to the conversion unit (124) to convert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Accordingly, the operating data whose data format type has been converted through the conversion unit (124) is transmitted to the data processing unit (125). Accordingly,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input to the data processing unit (125) may be the same as the standard data format type.
도 2를 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및 제2운영 데이터는 변환부(124)로 전달되며, 변환부(124)는 제1 및 제2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으로 변환시킨다. 즉, 변환부(124)는 제1 및 제2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과 동일하게 변환시킨다. 그리고, 변환부(124)에서 데이터 포맷 타입이 변환된 제1 및 제2운영 데이터가 데이터 처리부(125)로 전달된다. 반면, 제3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은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과 동일하기 때문에 변환부(124)로 전달되지 않는다. 이에, 인터페이스부(121), 식별부(122) 및 변환 필요 판단부(123) 중 어느 하나로 수신된 제3운영 데이터가 그대로 데이터 처리부(125)로 전달된다.To explain more specifically with an example of Fig. 2, the first and second operation data are transmitted to the conversion unit (124), and the conversion unit (124) converts the data format type of the first and second operation data into a reference data format type. That is, the conversion unit (124) converts the data format type of the first and second operation data into the same as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Then, the first and second operation data whose data format type has been converted by the conversion unit (124) are transmitted to the data processing unit (125). On the other hand, the data format type of the third operation data is not transmitted to the conversion unit (124) because it is the same as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Accordingly, the third operation data received by any one of the interface unit (121), the identification unit (122), and the conversion necessity determination unit (123) is transmitted as is to the data processing unit (125).
상기에서는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과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을 비교하여 변환 필요 여부를 판단한 후에, 변환된 또는 변환되지 않은 운영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부(125)로 전달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In the above, an example is described of comparing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with the standard data format type to determine whether conversion is necessary, and then transmitting the converted or unconverted operating data to the data processing unit (125).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식별부(122)에서 식별한 후에, 데이터 처리부(125)로 전달하여 시간 순에 따라 운영 데이터를 정리한 다음, 시간에 따른 운영 데이터를 변환 필요 판단부(123)로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운영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부(125)로 전달하여 시간 순에 따라 운영 데이터를 정리한 다음, 식별부(122) 및 변환 필요 판단부(123)로 전달할 수 있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after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is identified in the identification unit (122),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data processing unit (125) to organize the operating data in chronological order, and then the operating data according to time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version necessity determination unit (123). As another example, the operating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data processing unit (125) to organize the operating data in chronological order, and then transmitted to the identification unit (122) and the conversion necessity determination unit (123).
운영 데이터는 구성 요소 별로 실시간으로 획득된다. 이에, 구성 요소 별 운영 데이터는 복수개일 수 있으며, 복수의 운영 데이터는 수집 또는 저장된 시간에 따라 나누어질 수 있다. 구성 요소 별로 획득된 복수의 운영 데이터에는 정상 운영 데이터 및 비정상 운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성 요소의 운영 또는 구동에 의해 획득된 복수의 제1운영 데이터에는 정상 운영 데이터 및 비정상 운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2구성 요소의 운영 또는 구동에 의해 획득된 복수의 제2운영 데이터에는 정상 운영 데이터 및 비정상 운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The operational data is acquired in real time for each component. Accordingly, there may be multiple sets of operational data for each component, and the multiple sets of operational data may be divided according to the time at which they were collected or stored. The multiple sets of operational data acquired for each compon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normal operational data and abnormal operational data. For example, the multiple sets of first operational data acquired by the operation or operation of the first compon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normal operational data and abnormal operational data. In addition, the multiple sets of second operational data acquired by the operation or operation of the second compon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normal operational data and abnormal operational data.
위험 요소 판단부(126)는 복수의 운영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운영 데이터에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다시 말해, 위험 요소 판단부(126)는 복수의 운영 데이터에 포함된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탐색한다. 예를 들어, 위험 요소 판단부(126)는 복수의 제1운영 데이터에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복수의 제2운영 데이터에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The risk factor determination unit (126) analyzes a plurality of operation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 plurality of operation data includes abnormal operation data. In other words, the risk factor determination unit (126) searches for abnormal operation data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operation data. For example, the risk factor determination unit (126) determines whether the plurality of first operation data includes abnormal operation data and determines whether the plurality of second operation data includes abnormal operation data.
위험 요소 판단부(126)는 미리 설정된 기준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탐색 또는 구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위험 요소 판단부(126)에는 구성 요소 별로 '기준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구성 요소 별 '기준 데이터'는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그리고 기준 데이터는 소정의 범위를 가지는 데이터일 수 있다. 그리고, 위험 요소 판단부(126)는 복수의 운영 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 중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 운영 데이터 범위에 포함되는 운영 데이터를 정상 운영 데이터로 판단한다. 반대로, 위험 요소 판단부(126)는 복수의 운영 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 중에서 기준 운영 데이터 범위를 벗어나는 운영 데이터를 비정상 운영 데이터로 판단한다.The risk factor determination unit (126) can search for or distinguish abnormal operation data using preset reference data. To this end, the risk factor determination unit (126) can store 'reference data' for each component. The 'reference data' for each component can be the same or different. And the reference data can be data having a predetermined range. And, the risk factor determination unit (126) determines operation data included in the preset reference operation data range among the data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operation data as normal operation data. Conversely, the risk factor determination unit (126) determines operation data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operation data that falls outside the reference operation data range as abnormal operation data.
위험 요소 판단부(126)는 복수의 운영 데이터에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위험 요소로 판단한다. 즉, 위험 요소 판단부(126)는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위험 요소(제1위험 요소)로 판단한다.If abnormal operation data is included in multiple operation data, the risk factor determination unit (126) determines the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operation data as a risk factor. That is, the risk factor determination unit (126) determines the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abnormal operation data as a risk factor (first risk factor).
상기에서는 복수의 운영 데이터에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위험 요소로 판단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발생된 시간에 따라,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위험 요소로 판단하거나 위험 요소로 판단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복수의 운영 데이터에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면서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발생된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위험 요소로 판단하거나 위험 요소로 판단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로, 복수의 운영 데이터에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면서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발생된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위험 요소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위험 요소 판단부(126)는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험 요소를 판단하거나,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발생된 시간을 이용하여 위험 요소를 판단할 수 있다.In the above, when multiple operation data include abnormal operation data,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abnormal operation data is judged as a risk facto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depending on the time at which the abnormal operation data was generated, the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abnormal operation data may or may not be judged as a risk factor. That is, when multiple operation data include abnormal operation data and the time at which the abnormal operation data was generated is within a preset reference time range, the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abnormal operation data may or may not be judged as a risk factor. As another example, when multiple operation data include abnormal operation data and the time at which the abnormal operation data was generated is outside a preset reference time range, the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abnormal operation data may be judged as a risk factor. That is, the risk factor judgment unit (126) may determine a risk factor using the abnormal operation data or may determine a risk factor using the time at which the abnormal operation data was generated.
위험 요소 판단부(126)는 위험 요소로 판단된 구성 요소에 대해, 위험 등급을 판단할 수 있다. 위험 등급은 주의 단계 및 주의 단계에 비해 위험도가 높은 경고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위험 요소 판단부(126)는 위험 요소로 판단한 구성 요소의 위험 등급을 주의 단계 및 경고 단계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운영 데이터가 기준 운영 데이터 범위를 벗어나면서, 그 차이가 미리 설정된 기준 차이 이하인 경우 주의 단계로 판단하고, 기준 차이를 초과하면 경고 단계로 판단할 수 있다.The risk factor determination unit (126) can determine the risk level for a component determined as a risk factor. The risk level can include a caution level and a warning level with a higher risk level than the caution level, and the risk factor determination unit (126) can determine the risk level of a component determined as a risk factor as either a caution level or a warning level. At this time, if the operating data exceeds the standard operating data range and the difference is below the preset standard difference, it can be determined as a caution level, and if it exceeds the standard difference, it can be determined as a warning level.
한편, 일 구성 요소로부터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발생된 이유는, 상기 일 구성 요소 자체의 문제이거나, 상기 일 구성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하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구성 요소로부터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발생된 이유는, 상기 일 구성 요소 자체 및 상기 일 구성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하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한 것일 수 있다.Meanwhile, the reason why abnormal operation data is generated from a component may be due to a problem with the component itself or another component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component. In addition, the reason why abnormal operation data is generated from a component may be due to the component itself and another component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component.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구성 요소는 이륙 전 상태, 비행 중 상태, 착륙 후 상태 모두에서 제2구성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3구성 요소는 이륙 전 상태 및 착륙 후 상태에서는 제4구성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하고, 비행 중 상태에서는 제5구성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6구성 요소는 이륙 전 상태에서는 제7구성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하고, 비행 중 상태에서는 제8구성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하며, 착륙 후 상태에는 제9구성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0구성 요소는 이륙 전 상태, 비행 중 상태, 착륙 후 상태에서 모두 어떠한 구성 요소와도 연계되지 않고 단독으로 동작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can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second component in all of the pre-takeoff state, the in-flight state, and the post-landing state. As another example, the third component can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fourth component in the pre-takeoff state and the post-landing state, and in conjunction with the fifth component in the in-flight state. As another example, the sixth component can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seventh component in the pre-takeoff state, in conjunction with the eighth component in the in-flight state, and in conjunction with the ninth component in the post-landing state. As another example, the tenth component can operate independently without being associated with any component in all of the pre-takeoff state, the in-flight state, and the post-landing state.
따라서, 위험 요소 판단부(126)는 제1위험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하는 구성 요소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위험 요소(제2위험 요소)를 추가로 도출한다. 즉, 일 구성 요소에 대한 운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일 구성 요소가 제1위험 요소로 판단된 경우, 위험 요소 판단부(126)는 상기 일 구성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하는 구성 요소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일 구성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하는 다른 구성 요소가 있는 경우, 위험 요소 판단부(126)는 상기 다른 구성 요소를 위험 요소(제2위험 요소)로 추가 판단한다.Therefore, the risk factor determination unit (126) additionally derives a risk factor (second risk factor) depending on whether there is a component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risk factor. That is, if the one component is determined to be the first risk factor using the operation data for the one component, the risk factor determination unit (126)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component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one component. At this time, if there is another component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one component, the risk factor determination unit (126) additionally determines the other component as a risk factor (second risk factor).
그리고, 제2위험 요소의 위험 등급은 제1위험 요소의 위험 등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위험 요소의 위험 등급이 주의 단계인 경우, 위험 요소 판단부(126)는 제2위험 요소의 위험 등급을 주의 단계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위험 요소의 위험 등급이 경고 단계인 경우, 위험 요소 판단부(126)는 제2위험 요소의 위험 등급을 경고 단계로 판단할 수 있다.And, the risk level of the second risk factor may vary depending on the risk level of the first risk factor. If the risk level of the first risk factor is a caution level, the risk factor determination unit (126) may determine the risk level of the second risk factor as a caution level. As another example, if the risk level of the first risk factor is a warning level, the risk factor determination unit (126) may determine the risk level of the second risk factor as a warning level.
위험 요소 판단부(126)에서 판단되는 판단 결과에 대한 데이터(판단 데이터)는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일 수 있다. 즉, 위험 요소 판단부(126)로 전송되는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이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이므로, 위험 요소 판단부(126)에서 판단한 판단 데이터는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으로 생성될 수 있다.Data (judgment data) for the judgment result judged by the risk factor judgment unit (126) may be a standard data format type. That is, since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onal data transmitted to the risk factor judgment unit (126) is a standard data format type, the judgment data judged by the risk factor judgment unit (126) may be generated in a standard data format type.
위험 요소 판단부(126)의 산출물인 판단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1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0)는 판단 데이터부의 데이터 포맷 타입에 따라, 상기 판단 데이터를 전시할 수 있거나, 전시할 수 없다. 즉, 판단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이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과 동일한 경우, 판단 데이터를 전시할 수 있다. 그러나, 판단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이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과 다른 경우, 판단 데이터를 전시할 수 없다.The judgment data, which is the output of the risk factor judgment unit (126), can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10). At this time, the display unit (10) can display the judgment data or cannot display it, depending on the data format type of the judgment data unit. That is, if the data format type of the judgment data is the same as the standard data format type, the judgment data can be displayed. However, if the data format type of the judgment data is different from the standard data format type, the judgment data cannot be displayed.
실시예에 따른 위험 요소 판단부(126)에서 출력되는 판단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은 기준 데이터 포맷과 동일할 수 있다. 이에, 위험 요소 판단부(126)에서 출력되는 판단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10)로 전송되면, 디스플레이부(10)는 상기 판단 데이터를 전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0)는 위험 요소로 판단된 구성 요소를 식별할 수 있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판단 데이터를 전시할 수 있다.The data format type of the judgment data output from the risk factor judgment unit (126)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the same as the reference data format. Accordingly, when the judgment data output from the risk factor judgment unit (126)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10), the display unit (10) can display the judgment data.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0) can display the judgment data including data that can identify a component determined to be a risk factor.
위험 요소 저장부(160)는 위험 요소 판단부(126)에서 위험 요소로 판단한 구성 요소에 대한 판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위험 요소 저장부(160)는 위험 등급에 따라 판단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 요소 저장부(160)는 주의 등급으로 판단된 위험 요소에 대한 판단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저장부 및 경고 등급으로 판단된 위험 요소에 대한 판단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위험 요소 판단부(126)에서 판단 데이터가 전송되면, 위험 요소 저장부(160)는 판단 데이터에 포함된 위험 등급에 따라 제1저장부 또는 제2저장부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주의 등급으로 판단된 위험 요소에 대한 판단 데이터는 제1저장부에 자동 저장되고, 경고 등급으로 판단된 위험 요소에 대한 판단 데이터는 제2저장부에 자동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위험 요소 저장부(160)는 가상화 플랫폼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도커(Docker)일 수 있다.The risk factor storage unit (160) can store judgment data for components judged as risk factors by the risk factor judgment unit (126). At this time, the risk factor storage unit (160) can separately store judgment data according to the risk level. For example, the risk factor storage unit (160) can include a first storage unit that stores judgment data for risk factors judged as a caution level and a second storage unit that stores judgment data for risk factors judged as a warning level. Then, when judgment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risk factor judgment unit (126), the risk factor storage unit (160) can classify and store the judgment data in the first storage unit or the second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risk level included in the judgment data. That is, judgment data for risk factors judged as a caution level can be automatically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and judgment data for risk factors judged as a warning level can be automatically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This risk factor storage unit (160) can be a virtualization platform, and a more specific example can be Docker.
디스플레이부(10)에서 판단 데이터를 전시하는데 있어서, 위험 요소 저장부(160)에 저장된 판단 데이터를 불러들여 전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작부(140)를 이용하여 위험 요소 저장부(160)의 제1저장부에 저장된 판단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0)로 전송하라는 명령을 제어부(130)로 입력하면, 제어부(130)는 제1저장부에 저장된 판단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10)로 전송되도록 위험 요소 저장부(1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위험 등급에 따라 구성 요소를 파악할 수 있다.When displaying judgment data on the display unit (10), judgment data stored in the risk factor storage unit (160) can be loaded and displayed. For example, when a user inputs a command to transmit judgment data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of the risk factor storage unit (160) to the control unit (130) using the operation unit (140) to the display unit (10), the control unit (13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risk factor storage unit (160) so that the judgment data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10). Accordingly, components can be identified according to risk level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앞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At this time, any content that overlaps with the previously described content will be omitted or briefly described.
이때, 기준 데이터 포맷의 타입이 제3타입 즉, ARINC 429 타입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제1구성 요소에 대한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이 제1타입이고, 제2구성 요소에 대한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이 제2타입이며, 제3구성 요소에 대한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이 제3타입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At this time, an example is given where the type of the standard data format is the third type, i.e., the ARINC 429 type. In addition, an example is given where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onal data for the first component is the first type,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onal data for the second component is the second type, and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onal data for the third component is the third type.
항공기를 이륙시켜 비행시키는 운영이 시작되면, 구성 요소 별로 운영 데이터가 수집된다. 그리고, 구성 요소 별로 수집된 운영 데이터는 운영 데이터부(110)로 전달되어 저장될 수 있다(S10). 운영 데이터부(110)에는 구성 요소 별로 운영 데이터가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의 구동 시간에 따라 운영 데이터가 수집될 수 있고, 이에 시간 별로 운영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운영 데이터의 수집 및 저장은 항공기의 구동 중에 실시될 수 있다.When the operation of taking off and flying the aircraft begins, the operational data is collected for each component. Then, the operational data collected for each component can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al data unit (110) and stored (S10). The operational data can be stored in the operational data unit (110) by dividing it by component. In addition, the operational data can be collect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time of the component, and the operational data can be stored by time. The collection and storage of the operational data as described above can be performed while the aircraft is in operation.
항공기의 운영 중에 또는 항공기 운영이 종료된 후에, 구성 요소 중 위험 요소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운영 데이터부(110)에 저장된 운영 데이터를 예지부(120)의 인터페이스부(121)로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 가 조작부(140)를 이용하여 운영 데이터부(110)로 '운영 데이터 전송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30)는 입력된 명령에 따라 운영 데이터부(110)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운영 데이터부(110)에 저장된 운영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121)로 전송시킨다.During operation of the aircraft or after the end of aircraft oper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risk factor among the components. To this end, the operation data stored in the operation data unit (110) is transmitted to the interface unit (121) of the prediction unit (120). More specifically, the user can input an 'operation data transmission command' to the operation data unit (110) using the operating unit (140).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data unit (110) according to the input command, and transmits the operation data stored in the operation data unit (110) to the interface unit (121).
인터페이스부(121)는 운영 데이터부(110)로부터 전송된 운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부(121)는 복수의 프로토콜 모듈을 포함하며, 복수의 프로토콜 모듈은 서로 다른 타입일 수 있다. 이에, 운영 데이터부(110)에 포함된 구성 요소 별 운영 데이터의 테이터 포맷 타입이 다르더라도, 각 운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21) can receive the operat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operating data unit (110). At this time, the interface unit (121) includes a plurality of protocol modules, and the plurality of protocol modules can be of different types. Accordingly, even if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for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operating data unit (110) is different, each operating data can be received.
인터페이스부(121)로 전송된 운영 데이터는 식별부(122)로 전송된다. 식별부(122)는 수신된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식별한다(S20). 예를 들어, 수신된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이 제1 내지 제3타입 중 무엇인지를 식별 또는 구분한다.The operational data transmitted to the interface unit (121) is transmitted to the identification unit (122). The identification unit (122) identifies the data format type of the received operational data (S20). For example, it identifies or distinguishes whether the data format type of the received operational data is one of the first to third types.
다음으로, 변환 필요 판단부(123)는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과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30). 그리고, 변환 필요 판단부(123)는 동일 여부 판단 결과에 따라,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 변환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Next, the conversion necessity judgment unit (123) determines whether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and the standard data format type are the same (S30). Then, the conversion necessity judgment unit (123) determines whether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needs to be convert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y are the same.
예를 들어,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과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이 동일한 경우(S30 --> 예), 변환 필요 판단부(123)는 상기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에 대해 변환이 필요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운영 데이터는 데이터 처리부(125)로 전송된다. 즉, 운영 데이터가 변환부(124)를 거치지 않고 데이터 처리부(125)로 바로 전송된다. 이때, 데이터 처리부(125)로 전송되는 운영 데이터는 그 데이터 포맷 타입이 기준 데이터 타입과 동일하다.For example, if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and the standard data format type are the same (S30 --> Yes), the conversion necessity determination unit (123) determines that conversion is not necessary for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Accordingly, the operating data is transmitted to the data processing unit (125). That is, the operating data is transmitted directly to the data processing unit (125) without going through the conversion unit (124). At this time,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transmitted to the data processing unit (125) is the same as the standard data type.
다른 예로,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과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이 다른 경우(S30 --> 아니오), 변환 필요 판단부(123)는 상기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에 대해 변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운영 데이터는 변환부(124)로 전송된다. 그리고, 변환부(124)는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으로 변환시킨다(S31). 예를 들어,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이 제1타입이고,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이 제3타입인 경우, 변환부(124)는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제3타입으로 변환시킨다. 그리고, 변환부(124)에서 데이터 포맷 타입이 변환된 운영 데이터는 데이터 처리부(125)로 전송된다.As another example, if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is different from the standard data format type (S30 --> No), the conversion necessity determination unit (123) determines that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requires conversion. Accordingly, the operating data is transmitted to the conversion unit (124). Then, the conversion unit (124) converts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to the standard data format type (S31). For example, if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is the first type and the standard data format type is the third type, the conversion unit (124) converts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to the third type. Then, the operating data whose data format type has been converted by the conversion unit (124) is transmitted to the data processing unit (125).
데이터 처리부(125)는 운영 데이터를 시간에 따른 데이터로 정리 또는 나타낸다(S41).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125)는 운영 데이터를 획득된 시간에 따라 구분할 수 있고, 시간에 따른 운영 데이터의 변화 경향성이 나타나도록 표(table) 또는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다.The data processing unit (125) organizes or displays the operational data as data over time (S41). For example, the data processing unit (125) can classify the operational data according to the time it was acquired, and display it as a table or graph so that the change trend of the operational data over time is shown.
위험 요소 판단부(126)는 시간에 따른 운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가 위험 요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먼저 위험 요소 판단부(126)는 복수의 운영 데이터에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50). 이때, 위험 요소 판단부(126)는 구성 요소 별로, 복수의 운영 데이터에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1구성 요소의 운영 또는 구동에 의해 획득된 복수의 제1운영 데이터에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제2구성 요소의 운영 또는 구동에 의해 획득된 복수의 제1운영 데이터에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이때, 복수의 운영 데이터에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S50--> 아니오), 위험 요소 판단부(126)는 상기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가 위험 요소가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S62). 반대로, 복수의 운영 데이터에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S50--> 예), 위험 요소 판단부(126)는 상기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포함하는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위험 요소로 판단한다(S61). 또한, 위험 요소 판단부(126)는 위험 요소에 위험 등급을 판단할 수 있다.The risk factor determination unit (126) determines whether the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operation data is a risk factor using the operation data over time. To this end, the risk factor determination unit (126) first determines whether the plurality of operation data includes abnormal operation data (S50). At this time, the risk factor determination unit (126) determines whether the plurality of operation data includes abnormal operation data for each component. For example, it determines whether the plurality of first operation data acquired by the operation or operation of the first component includes abnormal operation data, and determines whether the plurality of first operation data acquired by the operation or operation of the second component includes abnormal operation data. At this time, if the plurality of operation data does not include abnormal operation data (S50--> No), the risk factor determination unit (126) determines that the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operation data is not a risk factor (S62). Conversely, if the plurality of operation data includes abnormal operation data (S50--> Yes), the risk factor determination unit (126) determines that the component that generated the operation data including the abnormal operation data is a risk factor (S61). Additionally, the risk factor judgment unit (126) can determine the risk level for the risk factor.
위험 요소 판단부(126)에서의 판단 데이터는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으로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위험 요소 판단부(126)는 판단 결과를 디스플레이부(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부(10)는 판단 데이터를 전시할 수 있다.The judgment data in the risk factor judgment unit (126) can be generated in a standard data format type. Then, the risk factor judgment unit (126) can transmit the judgment result to the display unit (10). Accordingly, the display unit (10) can display the judgment data.
판단 데이터에는 구성 요소 별로 위험 요소인지를 판단한 결과 및 위험 요소로 판단된 구성 요소를 식별할 수 있는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판단 데이터에는 위험 등급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 또는 조종사는 디스플레이부(10)에 전시된 판단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험 요소로 판단된 구성 요소가 무엇인지 판단 또는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위험 요소로 판단된 구성 요소에 대한 위험 등급을 판단 또는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위험 요소로 판단된 구성 요소에 대해 정비 또는 교체를 실시할 수 있다(S70). 이때, 위험 요소의 위험 등급에 따라, 정비를 실시하거나, 교체를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 요소로 판단된 구성 요소의 위험 등급이 주의 단계인 경우 구성 요소에 대한 정비를 실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위험 요소로 판단된 구성 요소의 위험 등급이 경고 단계인 경우 구성 요소에 대한 교체를 실시할 수 있다.The judgment data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results of judging whether each component is a risk factor and data that can identify the component judged as a risk factor. In addition, the judgment data may include a risk level. Accordingly, the user or pilot can use the judgment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 to judge or recognize which component is judged as a risk factor. In addition, the risk level of the component judged as a risk factor can be judged or recognized. Then, maintenance or replacement can be performed on the component judged as a risk factor (S70). At this time, maintenance or replacement can be performed depending on the risk level of the risk factor. For example, if the risk level of the component judged as a risk factor is a caution level, maintenance can be performed on the component. As another example, if the risk level of the component judged as a risk factor is a warning level, replacement can be performed on the component.
상기에서는 위험 요소 판단부(126)에서의 판단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10)로 바로 전송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위험 요소 판단부(126)에서의 판단 데이터는 위험 요소 저장부(160)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위험 요소 저장부(160)에 저장된 판단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0)로 전송할 수 있다.In the above,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judgment data from the risk factor judgment unit (126)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10). However, this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judgment data from the risk factor judgment unit (126) may be transmitted to and stored in the risk factor storage unit (160). In addition, the judgment data stored in the risk factor storage unit (160) may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10).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이 디스플레이부(10)에서 전시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 타입인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과 다른 경우,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구성 요소 별로 위험 요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있어서, 디스플레이부(10)에서 전시할 수 있는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으로 판단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에 구애 받지 않고, 디스플레이부(10)에서 전시할 수 있는 위험 요소 판단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is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which is a data format type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can be converted to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Accordingly, in generating judgment data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each component is a risk factor, the judgment data can be generated in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 In other words, risk factor judgment data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 can be generated regardless of the data format of the operating data.
이에, 구성 요소 별로 위험 요소인지 여부를 판단한 판단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0)에 전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0)에 전시된 판단 데이터를 확인하여, 구성 요소 별 위험 요소 여부 및 위험 요소로 판단된 구성 요소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위험 요소로 판단된 구성 요소에 대한 정비 또는 교체를 실시할 수 있어, 항공기의 건전성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judgment data that determines whether each component is a risk factor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check whether each component is a risk factor and the components determined to be risk factors by checking the judgment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 Accordingly, maintenance or replacement can be performed on components determined to be risk factors, thereby stably managing the health of the aircraft.
122: 식별부 123: 변환 필요 판단부
124: 변환부122: Identification section 123: Conversion requirement judgment section
124: Conversion section
Claims (19)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식별하는 과정;
상기 식별된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이 미리 설정된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이 상기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과 다른 경우, 상기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으로 변환시키는 과정; 및
상기 판단하는 과정에서 기준 데이터 포맷과 동일한 데이터 포맷 타입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 운영 데이터 및 상기 변환시키는 과정에 의해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으로 변환된 운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성 요소 별로 위험 요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위험 요소 판단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구성 요소 별로 수집된 운영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있어서, 구성 요소 별로, 수집된 시간에 따른 복수의 운영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위험 요소 판단 과정은,
구성 요소 별로, 시간에 따른 복수의 운영 데이터 중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복수의 운영 데이터 중에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위험 요소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제1위험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하는 다른 구성 요소를 제2위험 요소로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The process of storing operational data collected for each component of an aircraft in operation;
The process of identifying the data format type of operational data;
A proces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ata format type of the identified operating data is the same as a preset reference data format type;
When the data format type of the above operating data is different from the above reference data format type, a process of converting the data format type of the above operating data to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and
Including a risk factor determination process for determining whether each component is a risk factor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operating data determined to have the same data format type as the reference data format in the above determination process and the operating data converted to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by the above conversion process;
In storing the operational data collected for each component above, multiple operational data are stored for each component according to the collected time.
The above risk factor assessment process is: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bnormal operating data is included among multiple operating data over time, by component;
If abnormal operation data is included among the above multiple operation data, a process of determining the first risk factor using the abnormal operation data; and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process of determining another component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risk factor as a second risk factor.
상기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은, 항공기의 조종실에 구비되며 조종사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 타입으로 설정되는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In claim 1,
The above-mentioned standard data format type is a method for managing aircraft health, wherein the data format type is set to a data format type that can be displayed on a display section equipped in the cockpit of an aircraft and visually confirmed by a pilot.
상기 위험 요소 판단 과정에서 판단한 판단 결과를 포함하는 판단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은 상기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인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In claim 1,
The data format type of the judgment data including the judgment result determined in the above risk factor judgment process is the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which is the above standard data format type.
상기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위험 요소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운영 데이터 중에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제1위험 요소로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In claim 1,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first risk factor using the above abnormal operation data is as follows: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process for determining a component that has generated the abnormal operating data as a first risk factor when the above-mentioned plurality of operating data includes abnormal operating data;
상기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위험 요소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운영 데이터 중에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발생된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발생시킨 구성 요소를 제1위험 요소로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In claim 1,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first risk factor using the above abnormal operation data is as follows: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process for determining a component that has generated the abnormal operation data as a first risk factor if the time at which the abnormal operation data is generated exceeds a preset reference time when the above-described plurality of operation data includes abnormal operation data;
상기 복수의 운영 데이터 중에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은,
복수의 운영 데이터 중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 운영 데이터 범위를 벗어나는 운영 데이터를 비정상 운영 데이터로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In claim 4 or claim 5,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bnormal operation data is included among the above multiple operation data is as follows: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including a process of determining operational data that falls outside a preset standard operational data range among multiple operational data as abnormal operational data.
상기 위험 요소 판단 과정 이후에 실시되며, 위험 요소로 판단된 구성 요소에 대한 위험 등급을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위험 등급을 판단하는 과정은,
비정상 운영 데이터와 기준 운영 데이터 간의 차이에 따라 제1위험 요소로 판단된 구성 요소의 위험 등급을 주의 등급 또는 상기 주의 등급에 비해 더 위험도가 높은 경고 등급으로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제2위험 요소로 판단된 다른 구성 요소에 대한 등급을 상기 제1위험 요소로 판단된 구성 요소의 등급과 동일하게 판단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In claim 6,
It is carried out after the above risk factor assessment process, and includes a process of assessing the risk level for components assessed as risk factors;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above risk level is: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risk level of a component determined as a first risk factor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abnormal operation data and the reference operation data as a caution level or a warning level with a higher risk level than the above caution level; and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process for determining a grade for another component determined as the second risk factor as the same as the grade for the component determined as the first risk factor;
상기 위험 요소 판단 과정의 판단 결과를 포함하는 판단 데이터를 가상화 플랫폼인 위험 요소 저장부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In claim 1,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process of storing judgment data including the judgment result of the above risk factor judgment process in a risk factor storage unit, which is a virtualization platform.
상기 위험 요소 판단 과정의 판단 결과를 포함하는 판단 데이터를 가상화 플랫폼인 위험 요소 저장부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위험 요소 저장부는 판단 데이터에 포함된 위험 등급에 따라 분류하여 판단 데이터를 저장하는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In claim 7,
It includes a process of storing judgment data including the judgment result of the above risk factor judgment process in a risk factor storage unit, which is a virtualization platform.
The above risk factor storage unit is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that stores judgment data by classifying it according to the risk level included in the judgment data.
상기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 및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은 이더넷 타입, ARINC 818 타입, ARINC 429 타입 중 어느 하나인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In claim 1,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wherein the data format type and reference data format type of the above operating data are any one of the Ethernet type, ARINC 818 type, and ARINC 429 type.
위험 요소로 판단된 구성 요소에 대한 정비 및 교체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하는 항공기 건전성 관리 방법.In claim 1,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that performs at least one of maintenance and replacement for components determined to be at risk.
상기 운영 데이터부로부터 전달된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부;
상기 식별부에서 식별된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으로 변환시킬 필요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는 변환 필요 판단부;
상기 변환 필요 판단부에서 변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변환부; 및
상기 변환 필요 판단부에서 변환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운영 데이터 및 상기 변환부에서 변환된 운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성 요소 별로 위험 요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위험 요소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영 데이터부에 구성 요소 별 운영 데이터가 저장되는데 있어서, 구성 요소 별로 복수의 운영 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위험 요소 판단부는,
구성 요소 별로, 시간에 따른 복수의 운영 데이터 중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운영 데이터 중에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비정상 운영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위험 요소를 판단하며,
상기 제1위험 요소와 연계되어 동작하는 다른 구성 요소를 제2위험 요소로 판단하는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An operational data section capable of storing operational data collected for each component of an aircraft in operation;
An identification unit capable of identifying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above operating data unit;
A conversion necessity judgment unit capable of determining whether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onal data identified in the above identification unit needs to be converted to a standard data format type;
A conversion unit capable of converting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onal data determined to require conversion in the conversion necessity judgment unit to a standard data format type; and
A risk factor determination unit capable of determining whether each component is a risk factor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operational data determined as unnecessary for conversion in the conversion necessity determination unit and the operational data converted in the conversion unit;
In the above operation data section, operation data for each component is stored, and multiple operation data are stored for each component.
The above risk factor assessment department is,
For each component, determine whether abnormal operation data is included among multiple operation data over time,
If abnormal operation data is included among the above multiple operation data, the first risk factor is determined using the abnormal operation data.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that determines another component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risk factor as a second risk factor.
상기 변환 필요 판단부는,
상기 식별부에서 식별된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이 상기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과 동일한 경우, 상기 식별된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변경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식별부에서 식별된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이 상기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과 다른 경우, 상기 식별된 운영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을 상기 기준 데이터 포맷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In claim 12,
The above conversion necessity judgment unit is,
If the data format type of the operation data identified in the above identification section is the same as the above reference data format typ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need to change the data format type of the identified operation data.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that determines that the data format type of the identified operational data needs to be changed to the reference data format when the data format type of the identified operational data in the above identification section is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data format type.
상기 변환 필요 판단부에는 상기 기준 데이터 포맷 타입이 설정되며,
항공기의 조종실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 타입을 상기 기준 데이터 포맷으로 설정하는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In claim 12,
The above conversion necessity judgment unit sets the above standard data format type,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that sets the data format type that can be displayed on a display section that is installed in the cockpit of an aircraft and can be visually confirmed by a user to the above-mentioned reference data format.
상기 위험 요소 판단부는, 구성 요소 별로 위험 요소인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포함하는 판단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위험 요소 판단부에서 생성된 판단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타입은 상기 기준 데이터 포맷인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In claim 12,
The above risk factor judgment unit generates judgment data including the results of judging whether each component is a risk factor,
The data format type of the judgment data generated by the above risk factor judgment unit is the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which is the above standard data format.
상기 복수의 운영 데이터를 시간에 따라 정리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데이터 포맷 타입을 변환하지 않은 복수의 운영 데이터 및 상기 변환부에서 데이터 포맷 타입을 변환한 복수의 운영 데이터 중 하나를 시간에 따라 정리하는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In claim 12,
A data processing unit that organizes the above plurality of operating data over time;
The above data processing unit is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that organizes one of a plurality of operating data whose data format type has not been converted and a plurality of operating data whose data format type has been converted by the conversion unit over time.
상기 위험 요소 판단부가 구성 요소 별로, 시간에 따른 복수의 운영 데이터 중 비정상 운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데 있어서,
상기 위험 요소 판단부는, 복수의 운영 데이터 중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 운영 데이터 범위를 벗어나는 운영 데이터를 비정상 운영 데이터로 판단하며,
상기 위험 요소 판단부는, 상기 제1위험 요소로 판단된 구성 요소에 대한 위험 등급을 판단하고, 상기 제2위험 요소로 판단된 다른 구성 요소에 대한 등급을 상기 제1위험 요소로 판단된 구성 요소의 등급과 동일하게 판단하며,
상기 위험 요소 판단부는, 비정상 운영 데이터와 기준 운영 데이터 간의 차이에 따라 제1위험 요소로 판단된 구성 요소의 위험 등급을 주의 등급 또는 상기 주의 등급에 비해 더 위험도가 높은 경고 등급으로 판단하는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In claim 12,
In determining whether abnormal operation data is included among multiple operation data over time for each component, the above risk factor judgment unit:
The above risk factor judgment unit judges operation data that falls outside the preset standard operation data range among multiple operation data as abnormal operation data.
The above risk factor assessment unit assesses the risk level for the component assessed as the first risk factor, and assesses the level for another component assessed as the second risk factor to be the same as the level for the component assessed as the first risk factor.
The above risk factor judgment unit is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that judges the risk level of a component judged as the first risk factor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abnormal operation data and the reference operation data as a caution level or a warning level with a higher risk level than the caution level.
상기 위험 요소 판단부에서 위험 요소로 판단된 구성 요소에 대한 판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위험 요소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 요소 저장부는 가상화 플랫폼인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In claim 17,
Includes a risk factor storage unit capable of storing judgment data on components judged as risk factors in the above risk factor judgment unit,
The above risk factor storage unit is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that is a virtualized platform.
상기 위험 요소 저장부는,
위험 등급이 주의 등급으로 판단된 구성 요소에 대한 판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제1저장부; 및
위험 등급이 경고 등급으로 판단된 구성 요소에 대한 판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제2저장부;를 포함하는 항공기 건전성 관리 장치.In claim 18,
The above risk factor storage unit is,
A first storage unit capable of storing judgment data for components whose risk level is judged to be a caution level; and
An aircraft health management device including a second storage unit capable of storing judgment data on components whose risk rating is determined to be a warning rat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94752A KR102730085B1 (en) | 2023-12-28 | 2023-12-28 |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and aircraft health management 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94752A KR102730085B1 (en) | 2023-12-28 | 2023-12-28 |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and aircraft health management 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30085B1 true KR102730085B1 (en) | 2024-11-14 |
Family
ID=93459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94752A Active KR102730085B1 (en) | 2023-12-28 | 2023-12-28 |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and aircraft health management 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30085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70122909A1 (en) * | 2012-10-27 | 2017-05-04 | Valerian Goroshevskiy | Non-destructive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structural defects |
KR20200008550A (en) | 2017-06-15 | 2020-01-28 | 오로라 플라이트 사이언시스 코퍼레이션 | Autonomous aircraft soundness system and method |
KR20210014830A (en) * | 2019-07-30 | 2021-02-10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Drone battery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
US20210130005A1 (en) * | 2019-10-31 | 2021-05-06 | Ge Aviation Systems Llc | Method and system to abstract data from an avionics device |
JP2023536677A (en) * | 2020-07-31 | 2023-08-29 | ノースロップ グラマン システムズ コーポレーション | Vehicle level failure prediction for improved maintenance of vehicles |
-
2023
- 2023-12-28 KR KR1020230194752A patent/KR10273008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70122909A1 (en) * | 2012-10-27 | 2017-05-04 | Valerian Goroshevskiy | Non-destructive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structural defects |
KR20200008550A (en) | 2017-06-15 | 2020-01-28 | 오로라 플라이트 사이언시스 코퍼레이션 | Autonomous aircraft soundness system and method |
KR20210014830A (en) * | 2019-07-30 | 2021-02-10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Drone battery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
US20210130005A1 (en) * | 2019-10-31 | 2021-05-06 | Ge Aviation Systems Llc | Method and system to abstract data from an avionics device |
JP2023536677A (en) * | 2020-07-31 | 2023-08-29 | ノースロップ グラマン システムズ コーポレーション | Vehicle level failure prediction for improved maintenance of vehicl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637560B2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assisting in the maintenance of aircraft and other mobile platforms | |
US11603213B2 (en) | System and method for auto-execution of aircraft check lists | |
US10657735B2 (en) | System and method for adaptable trend detection for component condition indicator data | |
US8838326B2 (en) |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faults | |
RU2388661C2 (en) | Method to control aircraft engine | |
US9714081B1 (en) | System and method for avionics integrity and protection | |
EP1455313A1 (en) | Aircraft condition analysis and management system | |
US10395439B2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assisting in the maintenance of aircraft and other mobile platforms using occurrence probabilities of potential causes of a detected event | |
EP2070052B1 (en) | Responding to aircraft excursions from flight envelopes | |
US20110196881A1 (en) |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information in an aircraft | |
EP3745380A1 (en) | Method and system for flight safety analytics display | |
US8514104B1 (en) | Integrated minimum equipment decision support system | |
US20090326738A1 (en) | Device for aiding to take a decision concerning the ability of an aircraft to start a flight | |
US8219276B2 (en) | Method and device for aiding the maintenance of a system | |
KR102730085B1 (en) | Aircraft health management method and aircraft health management pparatus | |
US9188977B2 (en) | Methods and devices for managing maintenance information in an aircraft | |
US20190013997A1 (en) |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degradation in performance of a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 |
CN109116831A (en) | The design method of the modal aliasing fault logic door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Dynamic fault tree | |
EP3952257A1 (en) | Aircraft network monitoring and attestation | |
US20240132230A1 (en) |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Fault Diagnosis Of Systems | |
KR102806700B1 (en) | Aircraft health management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 |
KR102730084B1 (en) | Aircraft health management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 |
KR102121383B1 (en) | Bench test system for aviation equipment | |
EP4439430A1 (en)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logging and reporting of aircraft maintenance events | |
RU2592467C1 (en) | Device for control of technical state of engine unit (varian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12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404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6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1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