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34676B1 - Conductive particles for electrical test, connector for electrical test and fabrication method of conductive particles - Google Patents

Conductive particles for electrical test, connector for electrical test and fabrication method of conductive part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34676B1
KR102734676B1 KR1020220087735A KR20220087735A KR102734676B1 KR 102734676 B1 KR102734676 B1 KR 102734676B1 KR 1020220087735 A KR1020220087735 A KR 1020220087735A KR 20220087735 A KR20220087735 A KR 20220087735A KR 102734676 B1 KR102734676 B1 KR 102734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main body
particle
conductive particles
test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77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40010319A (en
Inventor
김형준
유은지
김종원
정영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Priority to KR1020220087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34676B1/en
Priority to PCT/KR2023/005369 priority patent/WO2024014667A1/en
Priority to TW112126413A priority patent/TWI859978B/en
Publication of KR20240010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03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34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3467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33Sockets for IC's or transistors
    • G01R1/0441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maintenance of measuring instruments, e.g. of probe t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3Contacting devices, e.g. sockets, burn-in boards or mounting fix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6Testing of IC packages; Test features related to IC pack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전성 입자에 대한 것으로서, 피검사 디바이스와 검사장치의 사이에 배치되어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와 검사장치의 패드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검사용 커넥터에 사용되며, 탄성 절연물질 내에 다수개가 분포되어 피검사 디바이스의 접촉시 상호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 전달을 위한 도전로를 형성하는 도전성 입자로서, 저면에는 평평한 하면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면에서 상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고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본체부의 저면보다 폭이 좁으며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는, 저면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라운드된 곡면부가 형성되어 있는 도전성 입자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ductive particle, and is used in a test connector that is arranged between a test device and a test apparatus and electrically connects a terminal of the test device and a pad of the test apparatus, the conductive particle being distributed in a plurality within an elastic insulating material so that when the test device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onductive particle comes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conductive path for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the conductive particle including: a body part having a flat lower surface arranged on a lower surface, the width of which decreases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and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a protrusion part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art and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ody part, the width of which is narrower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art, and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wherein the body part has a curved surface part that becomes rounder toward the top from the lower surface.

Description

전기적 검사를 위한 도전성 입자, 검사용 커넥터 및 도전성 입자의 제조방법{Conductive particles for electrical test, connector for electrical test and fabrication method of conductive particles}Conductive particles for electrical test, connector for electrical test and fabrication method of conductive particles

본 발명은 피검사 디바이스를 검사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전기적 검사를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전성 입자, 검사용 커넥터 및 그 도전성 입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onductive particles used to perform electrical testing by electrically connecting a test device to a test apparatus, a test connecto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onductive particles.

피검사 디바이스의 전기적 검사를 위해, 피검사 디바이스와 검사장치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커넥터가 당해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커넥터는 검사장치의 전기 신호를 피검사 디바이스에 전달하고, 피검사 디바이스의 전기 신호를 검사장치에 전달한다. 이러한 커넥터로서, 도전성 러버 시트가 당해 분야에 알려져 있다.For electrical testing of a test device, a connector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test device and the test apparatus is widely used in the field. The connector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of the test apparatus to the test device, and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of the test device to the test apparatus. As such a connector, a conductive rubber sheet is known in the field.

도전성 러버 시트는 피검사 디바이스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할 수 있다. 도전성 러버 시트는, 피검사 디바이스와 검사장치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며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도전부와, 도전부들을 이격 및 절연시키는 절연부를 가진다. 절연부는 경화된 실리콘 러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ductive rubber sheet can be elastically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device to be tested. The conductive rubber sheet has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that electrically connect the device to be tested and the test apparatus and transmit electric signals, and an insulating part that separates and insulates the conductive parts. The insulating part can be made of hardened silicone rubber.

도 1는 종래의 도전성 러버 시트에 대한 기술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전성 러버시트(10)는 도전부(11)와 절연부(12)로 이루어지고, 도전부(11)는 실리콘 고무 내에 다수의 구형태의 도전성 입자(11a)가 두께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게 된다. Figure 1 illustrates a technology for a conventional conductive rubber sheet. The conductive rubber sheet (10) is composed of a conductive portion (11) and an insulating portion (12), and the conductive portion (11) is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spherical conductive particles (11a) are arrang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within the silicone rubber.

이러한 구형태의 도전성 입자(11a)는 다른 도전성 입자들 또는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와의 접촉면적이 거의 점접촉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접촉면적이 낮으며 이에 따라서 전기접속능력이 떨어짐은 물론, 실리콘 고무와의 결합력도 낮으므로 반복적인 검사과정에서 도전성 입자(11a)가 도전부(11)에서 쉽게 이탈되는 문제가 있다.These spherical conductive particles (11a) are configured so that the contact area with other conductive particles or the terminal of the device to be tested is almost point contact, so the contact area is low, and accordingly, not only is the electrical connection ability low, but the bonding strength with the silicone rubber is also low,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ductive particles (11a) are easily detached from the conductive portion (11) during repeated inspection processes.

도 2는 종래의 다른 도전성 러버 시트(20)에 대한 기술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전부(21)는 실리콘 고무 내에 다수의 기둥형 도전성 입자(21a)가 두께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게 된다.Figure 2 illustrates a technology for a conventional conductive rubber sheet (20), in which the conductive portion (21) is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columnar conductive particles (21a) are arrang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within the silicone rubber.

이러한 기둥형 도전성 입자(21a)는, 커넥터로 제작시 러버 시트의 탄성이 구형입자로 제작된 시트와 대비할 때 전체적으로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즉, 도전성 입자가 기둥형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인접한 다른 기둥형 입자 또는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와 면접촉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전기접속 능력면에서는 구형 도전성 입자에 비해서 우수하나,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기둥형 입자의 특성상 전체적으로 러버 시트의 탄성을 저하시킨다. 이에 따라 외력이 가해졌을 때 도전성 러버 시트의 탄성변형이 다소 어려워지고 외력, 예를 들어 피검사 디바이스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을 충분하게 흡수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게 된다. These columnar conductive particles (21a) have a problem that, when manufactured into a connector, the elasticity of the rubber sheet is lower overall compared to a sheet manufactured into spherical particles. That is, since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formed into a columnar shape, they can come into surface contact with other adjacent columnar particles or terminals of a device to be tested, so the contact area increases,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capability is superior to that of spherical conductive particles. Howev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umnar particles that are elongated in one direction, the elasticity of the rubber sheet as a whole is reduced. Accordingly,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conductive rubber sheet becomes somewhat difficult, and in some cases, the external force, for example, the pressure applied from the device to be tested, cannot be sufficiently absorbed.

도 3은 종래의 다른 도전성 러버 시트에 사용되는 도전성 입자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4는 도 3의 도전성 입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다.FIG. 3 illustrates conductive particles used in other conventional conductive rubber sheets, and FIG. 4 illustrat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onductive particles of FIG. 3.

도 3에 도시된 도전성 입자(31a)는 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중앙구멍에 실리콘 고무가 채워지므로 실리콘 고무와의 결합력이 우수하고, 링형상의 특성상 인접한 다른 도전성 입자 또는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와 선, 면 접촉이 가능하게 되어 접촉면적이 증가되고, 이에 따라서 전기적 접속능력 및 내구성이 우수하다.The conductive particle (31a) illustrated in Fig. 3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since the central hole is filled with silicone rubber, it has excellent bonding strength with silicone rubber, an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ing shape, it is possible to make line or surface contact with other adjacent conductive particles or terminals of a device to be tested, so that the contact area increases, and accordingly, the electrical connection ability and durability are excellent.

도 3에 도시된 도전성 입자(31a)는 설계자가 원하는 형태로 제작하기 위하여 멤스(Micro Electro Mechnical System) 제조기술을 이용하여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웨이퍼 기판(40)을 마련한 후에(도 4(a)), 그 기판(40)에 포토레지스트 층(41)을 도포하고(도 4(b)), 포토레지스트 층(41)을 패터닝하여 소정의 홈(42)을 마련하며(도 4(c)), 그 홈(42)에 도금층(31a')을 형성한 후에 도금층(31')의 상면을 평탄화하여 도전성 입자를 제조하게 된다. (도 4(d)), 이후에 도전성 입자를 포토레지스트 층(41)에서 제거하여 분리하면 소정의 도전성 입자를 얻어내게 된다. The conductive particles (31a) illustrated in FIG. 3 are manufactured using MEMS (Micro Electro Mechnical System) manufacturing technology to be manufactured in a shape desired by the designer. Specifically, as illustrated in FIG. 4, after preparing a silicon wafer substrate (40) (FIG. 4(a)), a photoresist layer (41) is applied to the substrate (40) (FIG. 4(b)), the photoresist layer (41) is patterned to form a predetermined groove (42) (FIG. 4(c)), a plating layer (31a') is formed in the groove (42), and the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ing layer (31') is flattened to manufacture conductive particles (FIG. 4(d)). Thereafter,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separated by removing them from the photoresist layer (41), thereby obtaining predetermined conductive particles.

이러한 종래의 링형 도전성 입자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원하는 도전성 입자의 두께보다 포토레지스트 층의 두께를 두껍게 해야 하기 때문에 포토레지스트 소모량이 많아지게 되고, 또한 도전성 입자의 균일한 형상과 표면처리를 위하여 평탄화 공정(CMP)이 필요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생산성이 낮아지게 된다.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for manufacturing ring-shaped conductive particles, the thickness of the photoresist layer must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desired conductive particles, which increases the consumption of photoresist, and also requires a planarization process (CMP) to ensure a uniform shape and surface treatment of the conductive particles, which increases the overall cost and lowers productivity.

또한, 입자의 표면이 매끈하고 요철이 없기 때문에 실리콘 고무와의 접착력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urface of the particles is smooth and uneve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erms of adhesion to silicone rubber.

또한, 멤스 제조기술로 제조한 도전성 입자의 경우 상면과 하면에는 고전도성 소재를 이용하여 표면에 도금층을 추가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상하면에 도금층을 형성하는 경우 측면은 도금층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전도성이 낮은 금속소재가 도전성 입자의 측면에 그대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다른 도전성 입자와 측면이 접촉하였을 때 접촉저항이 증가되어 도전성 러버 시트의 전체적인 전기적 접속능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conductive particles manufactured using MEMS manufacturing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form a plating layer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using a highly conductive material. However, when a plating layer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 plating layer is not formed on the side surfaces, so a metal material with low conductivity is directly expos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conductive particles. Accordingly, when the side surfaces come into contact with other conductive particles, the contact resistance increases, which causes a problem in that the overall electrical connection ability of the conductive rubber sheet is reduced.

한편, 도전성 입자의 측면 도금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멤스기술이 적용된 도전성 입자를 분리한 후에 별도로 바렐 도금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나, 도전성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도금 과정 중 도전성 입자들이 뭉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서 공정난이도가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서 전체적으로 비용이 증가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perform side plating of conductive particles, a barrel plating method can be used separately after separating the conductive particles to which MEMS technology has been applied. However, as the size of the conductive particles becomes smaller, the phenomenon of the conductive particles clumping together during the plating process may occur, which increases the difficulty of the process and may increase the overall cost.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제조가 용이하고 저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도전성능이 향상된 전기적 검사를 위한 도전성 입자, 검사용 커넥터 및 그 도전성 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has a technical object of providing conductive particles for electrical inspection, a connector for inspectio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onductive particles, which are easy to manufacture and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and have improved conductive performance.

상술한 기술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검사용 커넥터는, The inspection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urpose is:

피검사 디바이스와 검사장치의 사이에 배치되어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와 검사장치의 패드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검사용 커넥터에 사용되며, 탄성 절연물질 내에 다수개가 분포되어 피검사 디바이스의 접촉시 상호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 전달을 위한 도전로를 형성하는 도전성 입자로서,It is used in a test connector that is placed between a test device and a test apparatus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 terminal of the test device and the pad of the test apparatus to each other, and is a conductive particle that is distributed in large numbers within an elastic insulating material and forms a conductive path for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by contacting each other when the test device is in contact.

저면에는 평평한 하면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면에서 상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고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 본체부; 및A flat bottom surface is arranged on the bottom surface, and a main body portion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whose width decreases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and

상기 본체부의 하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본체부의 저면보다 폭이 좁으며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 돌출부를 포함하되,A protrusion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has a narrower width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상기 본체부는,The above main body part,

저면에서 상단으로 라운드된 곡면부가 형성된다.A curved surface is formed that is round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상기 도전성 입자에서,In the above challenging particles,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는 저면과 평행한 평탄면이 마련될 수 있다.A flat surface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above main body.

상기 도전성 입자에서,In the above challenging particles,

상기 본체부의 상단은 볼록한 곡면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본체부는 전체적으로 반구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upper part of the above main body has a convex curved shape, so that the main body can have an overall hemispherical shape.

상기 도전성 입자에서,In the above challenging particles,

상기 도전성 입자의 본체부는The main body of the above challenging particle

막대형, 격자형, 삼각형, 별형, S형 및 더블 S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It can have any of the following shapes: bar, grid, triangle, star, S-shape, and double S-shape.

상기 도전성 입자에서,In the above challenging particles,

상기 도전성 입자의 본체부는,The main body of the above challenging particle is,

H형, X형, O형, C형, S형, N형, V형, W형, Z형 및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이나 각 형상이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It can have any one of the following shapes: H type, X type, O type, C type, S type, N type, V type, W type, Z type, and + type, or a shape in which multiple of each shape are connected continuously.

상기 도전성 입자에서,In the above challenging particles,

상기 본체부는,The above main body part,

다른 소재가 다층으로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It can be composed of multiple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상기 도전성 입자에서,In the above challenging particles,

상기 다른 소재는, The other materials mentioned above are,

강자성체 금속소재, 고탄성 금속소재, 고도전성 금속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ferromagnetic metal materials, high-elasticity metal materials, and high-conductivity metal materials.

상기 도전성 입자에서,In the above challenging particles,

상기 돌출부는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 protrusions may be configured in multiple nu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도전성 입자에서,In the above challenging particles,

복수의 돌출부는 본체의 저면 중앙에 대하여 등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spaced at equal intervals relative to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상기 도전성 입자에서,In the above challenging particles,

상기 본체부의 저면을 제외한 나머지 외면에는 고전도층이 피복될 수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except for the bottom surface, may be coated with a high-conductivity layer.

상기 도전성 입자에서,In the above challenging particles,

상기 돌출부의 저면에는 고전도층이 피복될 수 있다.The lower surface of the above protrusion may be coated with a high-conductivity layer.

상기 도전성 입자에서,In the above challenging particles,

상기 본체부와 돌출부 사이는 내측으로 오목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A concave space can be formed inwardly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protrusion.

상술한 기술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검사용 커넥터는,The inspection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urpose is: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와 검사장치의 패드 사이에 배치되어 단자와 패드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검사용 커넥터에 있어서,In a test connector that is placed between the terminal of the test device and the pad of the test device to electrically connect the terminal and the pad to each other,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와 대응되는 위치마다 탄성 절연물질 내에 다수의 도전성 입자가 두께방향으로 분포된 도전부와,A conductive part in which a number of conductive particles are distribut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within an elastic insulating material at each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of the test device,

상기 도전부를 절연하면서 지지하는 절연부로 이루어지되,It is composed of an insulating part that supports and insulates the above-mentioned challenging part,

상기 도전성 입자는,The above challenging particles are,

저면에는 평평한 하면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면에서 상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고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본체부; 및A flat bottom surface is arranged on the bottom surface, and a main body portion that decreases in width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and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상기 본체부의 하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의 저면보다 폭이 좁으며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 돌출부를 포함하고,A protrusion is formed by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has a narrower width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상기 본체부는, 저면에서 상단으로 라운드된 곡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main body part can be formed with a curved surface that is round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전성 입자의 제조방법은, 피검사 디바이스와 검사장치의 사이에 배치되어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와 검사장치의 패드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검사용 커넥터에 사용되며, 탄성 절연물질 내에 다수개가 분포되어 피검사 디바이스의 접촉시 상호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 전달을 위한 도전로를 형성하게 하는 도전성 입자의 제조방법으로서,The method for manufacturing conductive 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purpose is a method for manufacturing conductive particles that are used in a test connector that is arranged between a test device and a test apparatus and electrically connects a terminal of the test device and a pad of the test apparatus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are distributed in an elastic insulating material so that they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test device is in contact to form a conductive path for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a)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a) a step of preparing a substrate;

(b) 상기 기판 상에 성형층을 형성하는 단계;(b) a step of forming a molding layer on the substrate;

(c) 상기 성형층 중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여 입자형성용 홈을 형성하는 단계;(c) a step of forming a groove for particle formation by remov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above molding layer;

(d) 상기 입자형성용 홈 내부에 제1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d) a step of forming a first plating layer inside the groove for forming particles;

(e) 상기 입자형성용 홈 주변에 제1도금층과 일체로 연결되며 상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는 제2도금층을 돌출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e) a step of forming a second plating layer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plating layer around the particle forming groove and having a width that decreases as it goes upward; may be included.

상기 제조방법에서,In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e) 단계 이후에,(e) After step,

(f) 성형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f)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removing the forming layer.

상기 제조방법에서,In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a) 단계에서 상기 기판에는 전도성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In step (a), a conductive coating layer can be formed on the substrate.

상기 제조방법에서,In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f) 단계 이후에,After step (f),

(g) 기판에 형성된 전도성 코팅층을 제거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g) A step of removing a conductive coating layer formed on the substrate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제조방법에서,In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상기 (c) 단계와, (d) 단계 사이에는,Between steps (c) and (d) above,

(c-1) 고전도성 소재를 성형층의 두께보다 얇게 도금하여 제3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c-1) A step of forming a third plating layer by plating a highly conductive material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molding layer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제조방법에서,In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상기 (e) 단계이후에,After step (e) above,

(e-1) 상기 제2도전층 위에 고도전성 금속을 도금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e-1) A step of plating a highly conductive metal 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제조방법에서,In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d) 단계에서, At step (d),

제1도금층은, 서로 다른 금속소재를 이용하여 나누어서 도금처리하여, 서로 다른 소재가 다층으로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plating layer can be formed by plating different metal materials separately, so that different materials are laminated in multiple layers.

상기 제조방법에서,In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e) 단계에서, At step (e),

제2도금층은, 서로 다른 금속소재를 이용하여 나누어서 도금처리하여, 서로 다른 소재가 다층으로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plating layer can be formed by plating different metal materials separately, so that different materials are laminated in multiple layers.

본 발명의 도전성 입자는 평평한 저면부를 가지는 본체부와, 그 본체부의 저면에서 돌출된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어서, 다른 도전성 입자와 접촉시 면접촉이 가능하여 접촉면적 증가로 인한 전기적 전도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The conductive p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in body having a flat bottom portion and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so that surface contact is possible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another conductive particle, thereby improving electrical conductivity due to an increase in the contact area.

또한 본 발명의 도전성 입자는 본체부가 포토레지스트보다 높게 도금하여 형성되므로 입자 제조를 위한 포토레지스트의 두께를 기존보다 얇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체적인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ductive 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by plating the main body higher than the photoresist, the thickness of the photoresist for particle manufacturing can be made thinner than before, and thu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도전성 입자는 도금과정에서 서로 다른 소재를 사용함으로서 여러 재료가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어서 다양한 물리적 특성을 가지는 도전성 입자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ductive 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by laminating various materials by using different materials in the plating process, so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conductive particles having various physical properties can be easily manufactured.

도 1은 종래의 검사용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검사용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종래의 도전성 입자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도전성 입자를 제조 모습에 대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검사용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의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의 검사용 커넥터의 다른 배열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5 내지 도 7의 검사용 커넥터에 사용되는 도전성 입자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도전성 입자의 평면도, 측면도, 배면도.
도 10은 도전성 입자의 다양한 단면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8의 도전성 입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 내지 도 16은 검사용 커넥터 내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입자들이 서로 접촉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입자의 단면도.
도 18은 도 17의 도전성 입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입자의 평면도, 측면도, 배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입자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입자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도 21의 도전성 입자가 마련된 도전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도전성 입자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Figure 1 is a drawing showing a conventional inspection connector.
Figure 2 is a drawing showing a conventional inspection connector.
Figure 3 is a drawing showing a conventional challenging particle.
Figure 4 is a drawing of a manufacturing process for the challenging particles of Figure 3.
FIG. 5 is a drawing showing an inspection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operating diagram of Figure 5.
Fig. 7 is a drawing showing another arrangement form of the inspection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conductive particles used in the inspection connectors of Figures 5 to 7.
Figure 9 is a plan view, side view, and back view of the challenging particle of Figure 8.
Figure 10 is a drawing showing various cross-sectional views of a challenging particle.
Fig. 11 is a drawing show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hallenging particles of Fig. 8.
FIGS. 12 to 16 are drawings showing conductive particl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ing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ithin an inspection connector.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ductive part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drawing show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hallenging particles of Fig. 17.
FIG. 19 is a plan view, a side view, and a back view of a conductive partic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0 is a drawing showing a challenging partic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is a drawing showing a challenging particl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2 is a drawing showing a conductive part provided with the conductive particles of Fig. 21.
FIG. 23 is a drawing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challenging 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provid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cope of right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below or the specific description of these embodiments.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All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disclosure,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disclosure belongs. All terms used in this disclosure have been selected for the purpose of more clearly describing this disclosure and are not selected to limit the scope of rights under this disclosure.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xpressions “including,” “comprising,” “having,” and the like, used in this disclosure, should be understood as open-ended terms implying the possibility of including other embodi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the phrase or sentence in which the expression is included.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The singular forms described in this disclosure may include plural meanings unless otherwise stated, and the same applies to the singular forms recited in the claims.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expressions “first,” “second,” etc. used in this disclosure ar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multiple components, and do not limit the order or importance of the components.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disclosure,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aid component can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said other component, or can be connected or connected via a new other component.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상방"의 방향지시어는 커넥터가 검사장치에 대해 위치하는 방향에 근거하고, "하방"의 방향지시어는 상방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상하 방향"의 방향지시어는 상방 방향과 하방 방향을 포함하지만, 상방 방향과 하방 방향 중 특정한 하나의 방향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directional designator "upward" as used in this disclosure is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or is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inspection device, and the directional designator "downward" means the opposite direction of upwar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irectional designator "upward/downward" as used in this disclosure includes the upward direction and the downward direction, but does not mean a specific direction among the upward direction and the downward direction.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예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The embodiments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amples illustrated in the attached drawings. In the attached drawing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below, the description of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may be omitted. However, even if the description of a component is omitted, it is not intended that such a component is not included in any embodiment.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들은, 두개의 전자 디바이스의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 두개의 전자 디바이스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커넥터에 관련된다. 실시예들의 커넥터의 적용예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전자 디바이스 중 하나는 검사장치가 될 수 있고, 상기 두개의 전자 디바이스 중 다른 하나는 검사장치에 의해 검사되는 피검사 디바이스가 될 수 있지만, 커넥터의 적용예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들의 커넥터는 전기 접속이 필요한 임의의 두개의 전자 디바이스에 접촉하여 전기 접속을 실행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의 커넥터가 검사장치와 피검사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경우, 실시예들의 커넥터는 피검사 디바이스의 전기적 검사 시에 검사장치와 피검사 디바이스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실시예들의 커넥터는, 피검사 디바이스의 제조 공정 중 후공정에서, 피검사 디바이스의 최종적인 적기적 검사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들의 커넥터가 적용되는 검사의 예가 전술한 검사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the examples illustrated in the attached drawings relate to a connector positioned between two electronic device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two electronic devices. In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connector of the embodiments, one of the two electronic devices may be a test device, and the other of the two electronic devices may be a test target device tested by the test device, but the application examples of the connector are not limited thereto. The connector of the embodiments may be used to contact any two electronic devices that require electrical connection to perform electrical connection. When the connector of the embodiments is used in a test device and a test target device, the connector of the embodiments may be used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test device and the test target device during electrical testing of the test target device. As an example, the connector of the embodiments may be used for final timely testing of the test target device in a post-proces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test target device. However, the application examples of the test to which the connector of the embodiments is applied are not limited to the aforementioned tests.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가 적용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실시예의 설명을 위해, 커넥터(100), 커넥터(100)가 배치되는 전자 디바이스, 커넥터(100)와 접촉되는 전자 디바이스의 예시적 형상을 도시한다.Fig. 5 illustrates an example of application of a connector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5 illustrates exemplary shapes of a connector (100), an electronic device on which the connector (100) is placed, and an electronic device in contact with the connector (100),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는 두개의 전자 디바이스의 사이에 배치되어, 접촉을 통해 두개의 전자 디바이스 간의 전기적 접속을 실행한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두개의 전자 디바이스 중 하나는 검사장치(140)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검사장치(140)에 의해 검사되는 피검사 디바이스(150) 일 수 있다. 피검사 디바이스(150)의 전기적 검사 시에, 커넥터(100)는 검사장치(140)와 피검사 디바이스(150)에 각각 접촉되어 검사장치(140)와 피검사 디바이스(150)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Referring to FIG. 5, a connector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placed between two electronic devices to perform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two electronic devices through contact. In the example illustrated in FIG. 5, one of the two electronic devices may be a test device (140), and the other may be a test target device (150) tested by the test device (140). During an electrical test of the test target device (150), the connector (100) contacts the test device (140) and the test target device (150), respectively, to electrically connect the test device (140) and the test target device (150) to each other.

피검사 디바이스(150)는 반도체 패키지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반도체 패키지는, 반도체 IC 칩과 다수의 리드 프레임(lead frame)과 다수의 단자(151)를 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육면체 형태로 패키징한 반도체 디바이스이다. 상기 반도체 IC 칩은 메모리 IC 칩 또는 비메모리 IC 칩이 될 수 있다. 상기 단자(151)로서, 핀, 솔더볼(solder ball)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피검사 디바이스(150)는 그 하측에 반구형의 다수의 단자(151)를 가진다.The device to be inspected (150) may be a semiconductor packag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miconductor package is a semiconductor device in which a semiconductor IC chip, a plurality of lead frames,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151) are packaged in a hexahedral shape using a resin material. The semiconductor IC chip may be a memory IC chip or a non-memory IC chip. As the terminal (151), a pin, a solder ball, or the like may be used. The device to be inspected (150) illustrated in FIG. 5 has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terminals (151) on its lower side.

검사장치(140)는 피검사 디바이스(150)의 전기적 특성, 기능적 특성, 동작 속도 등을 검사할 수 있다. 검사장치(140)는, 검사가 수행되는 보드 내에, 전기적 테스트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응답 신호를 받을 수 있는 다수의 패드(141)를 가질 수 있다. 커넥터(100)는 검사장치(140)의 상측에 배치되며 도전부(110)가 검사장치(140)의 패드(141)와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피검사 디바이스(150)의 단자(151)는 커넥터(100)를 통해 대응하는 검사장치(140)의 패드(141)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커넥터(100)가 피검사 디바이스(150)의 단자(151)와 이것에 대응하는 검사장치(140)의 패드(141)를 상하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킴으로써, 검사장치(140)에 의해 피검사 디바이스(150)의 검사가 수행된다.The inspection device (140) can inspect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functional characteristics, operating speed, etc. of the device to be inspected (150). The inspection device (140) can have a plurality of pads (141) capable of outputting electrical test signals and receiving response signals within a board on which inspection is performed. The connector (100) is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spection device (140) and can be arranged so that the conductive portion (110) is in contact with the pad (141) of the inspection device (140). The terminal (151) of the device to be inspected (1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ad (141) of the corresponding inspection device (140) through the connector (100). The connector (100) electrically connects the terminal (151) of the device to be inspected (150) and the pad (141) of the inspection device (140) corresponding thereto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by inspecting the device to be inspected (150) by the inspection device (140).

커넥터(100)의 대부분은 탄성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커넥터(100)는 상하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외력이 상하 방향에서의 하방으로 커넥터(100)에 가해지면, 커넥터(100)는 하방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외력은, 푸셔 장치(미도시)가 피검사 디바이스(150)를 검사장치(140) 측으로 눌러서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외력에 의해, 피검사 디바이스(150)의 단자(151)와 커넥터(100)가 상하 방향으로 접촉될 수 있고, 커넥터(100)와 검사장치(140)의 패드(141)가 상하 방향으로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커넥터(100)는 원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Most of the connector (100) can be made of an elastic insulating material, and the connector (100) can have elasticity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downward to the connector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nnector (100) can be elastically deformed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external force can be generated when a pusher device (not shown) pushes the device to be tested (150) toward the inspection device (140). By this external force, the terminal (151) of the device to be tested (150) and the connector (100) can be brought into vertical contact, and the pad (141) of the connector (100) and the inspection device (140) can be brought into vertical contact.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connector (100)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이러한 검사용 커넥터(100)는, 도전부(110)와, 절연부(120)로 이루어진다.This inspection connector (100) consists of a conductive part (110) and an insulating part (120).

상기 도전부(110)는 피검사 디바이스(150)의 단자(151)와 대응되는 위치마다 탄성 절연물질 내에 다수의 도전성 입자(111)가 두께방향(상하방향)으로 분포된 것이다. 이러한 도전부(110)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고 있고 피검사 디바이스(150)의 단자(151) 수에 대응하는 숫자를 가지고 있으며, 복수개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게 된다. The above conductive portion (110) is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111) distribut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within an elastic insulating material at each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151) of the device to be tested (150). The conductive portion (110) has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erminals (151) of the device to be tested (150), and a plurality of them are arranged horizont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도전부(110)를 구성하는 탄성 절연물질은, 가교 구조를 갖는 고분자 물질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성 절연물질을 얻기 위해서 이용할 수 있는 경화성의 고분자 물질 형성 재료로서는, 여러가지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그 구체예로서는, 폴리부타디엔 고무, 천연 고무, 폴리이소프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 등의 공액 디엔계 고무 및 이들의 수소 첨가물, 스티렌-부타디엔-디엔 블록 공중합체 고무, 스티렌-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 등의 블록 공중합체 고무 및 이들 수소 첨가물, 클로로프렌 고무, 우레탄 고무, 폴리에스테르계 고무, 에피클로로히드린 고무, 실리콘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The elastic insulating material constituting the conductive portion (110) is preferably a polymer material having a crosslinked structure. Various materials can be used as the curable polymer material forming material that can be used to obtain such an elastic insulating material, and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conjugated diene rubbers such as polybutadiene rubber, natural rubber, polyisoprene rubber, styrene-butadiene copolymer rubber, and acrylonitrile-butadiene copolymer rubber and hydrogenated products thereof, block copolymer rubbers such as styrene-butadiene-diene block copolymer rubber and styrene-isoprene block copolymer and hydrogenated products thereof, chloroprene rubber, urethane rubber, polyester rubber, epichlorohydrin rubber, silicone rubber, ethylene-propylene copolymer rubber, and ethylene-propylene-diene copolymer rubber.

이상에 있어서, 얻어지는 검사용 커넥터(100)에 내후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공액 디엔계 고무 이외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성형 가공성 및 전기 특성 측면에서, 실리콘 고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above, when weather resistance is required for the obtained inspection connector (100), it is preferable to use something other than conjugated diene rubber, and particularly, from the viewpoint of molding processability and electrical properties, it is preferable to use silicone rubber.

실리콘 고무로서는, 액상 실리콘 고무를 가교 또는 축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액상 실리콘 고무는, 축합형의 것, 부가형의 것, 비닐기나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것 등 중의 어느 것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디메틸 실리콘 생고무, 메틸비닐실리콘 생고무, 메틸페닐비닐 실리콘 생고무 등을 들 수 있다.As the silicone rubber, a crosslinked or condensed liquid silicone rubber is preferable. The liquid silicone rubber may be any of a condensed type, an addition type, a type containing a vinyl group or a hydroxyl group, etc. Specifically, dimethyl silicone raw rubber, methyl vinyl silicone raw rubber, methyl phenyl vinyl silicone raw rubber, etc. can be mentioned.

상기 도전성 입자(111)는, 탄성 절연물질 내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도전부(110) 내에서 복수의 도전성 입자(111)가 접촉하여 상하방향으로 도전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도전성 입자(111)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버섯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본체부(112)와 돌출부(113)로 이루어진다.The above conductive particles (111) are combined within an elastic insulating material.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111) come into contact within a conductive portion (110) to form a conductive pa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S. 8 to 10, the conductive particles (111) have an overall mushroom-like shape and are composed of a main body (112) and a protrusion (113).

상기 본체부(112)는 저면에 평평한 하면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면에서 상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는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본체부(112)의 정상으로서 상부 중앙에는 저면과 평행한 평탄면(112a)이 마련될 수 있다. The above main body (112) may be configured to have a flat bottom surface arranged on the lower surface and a width that decreases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and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 flat surface (112a)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center as the top of the main body (112).

본체부(112)의 측면은 상측에 비하여 하측의 폭이 증가되는 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접한 도전성 입자(111)와 접촉시 면을 따라서 쉽게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하여 도전부(110)의 탄성변형률을 높일 수 있게 한다. 즉, 피검사 디바이스(150)에 의하여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도전부(110)가 쉽게 탄성변형됨으로서 가압력을 충분하게 흡수할 수 있다.The side of the main body (112) may have a surface shape in which the width of the lower side increases compared to the upper side. Accordingly, when in contact with an adjacent conductive particle (111), it is possible to easily slide along the surface, thereby increasing the elastic deformation rate of the conductive part (110). That is,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by the inspection device (150), the conductive part (110) is easily elastically deformed, thereby sufficiently absorbing the applied force.

다만, 본체부(11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 중앙에 평탄면(112a)이 없이 전체적으로 반구형상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However, the shape of the main body (112)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n overall hemispherical shape without a flat surface (112a) in the upper center.

본체부(112)는, 철, 코발트, 니켈 등의 자성을 갖는 금속소재 또는 이들의 합금 또는 이들 금속을 함유하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이 우수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탄성이 우수한 소재로는 니켈-코발트 합금 소재가 적용가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main body (112) may be composed of a magnetic metal material such as iron, cobalt, nickel, or an alloy thereof, or a material containing these metal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material with excellent elasticity may be used. A nickel-cobalt alloy material may be applied as a material with excellent elasticity,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체부(112)는 전체가 하나의 금속소재 또는 하나의 합금소재로만 이루어지거나, 자성을 나타내는 강자성체 금속소재와, 도전성이 우수한 고도전성 금속소재 또는 고탄성 금속소재가 적층되어 교대로 배치되거나 다양한 적층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고도전성 소재는 금, 은, 팔라듐, 로듐, 구리와 같은 도전성능이 우수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0(a)에서는 하나의 소재로 본체부(112)가 구성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10(b)에서는 자성체층(1121)과 고전도층(1122)이 교대로 적층된 상태로 본체부(112)가 구성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The main body (112) may be entirely made of one metal material or one alloy material, or a ferromagnetic metal material exhibiting magnetism and a highly conductive metal material or a highly elastic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conductivity may be alternately laminated or arranged in various laminated manners. The highly conductive material may be a material having excellent conductivity such as gold, silver, palladium, rhodium, or copper. Fig. 10(a) shows a main body (112) formed of one material, and Fig. 10(b) shows a main body (112) formed by alternately laminating a magnetic layer (1121) and a highly conductive layer (1122).

예를 들어, 도 10(b)에서 본체부(112)는 니켈과 같은 자성체층(1121)과, 구리와 같은 고도전층(1122)이 교대로 적층된 상태로 일체화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른 소재가 적층되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하나의 본체부(112)만으로도 자성체의 기능과 고도전체의 기능이 동시에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전기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자성체층(1121)은 자력에 의하여 도전성 입자(111)의 집합을 용이하게 하고, 고도전층(1122)은 다른 도전성 입자(111)와 접촉시 저항을 낮게 할 수 있다.For example, in Fig. 10(b), the main body (112) may be integrally arranged in a state in which a magnetic layer (1121) such as nickel and a high-conductivity layer (1122) such as copper are alternately laminated. In this case, when different materials are laminated and arranged, the functions of the magnetic body and the high-conductivity layer can be implemented simultaneously with only one main body (112), and thu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various electrical characteristics can be achieved. At this time, the magnetic layer (1121) facilitates the collection of conductive particles (111) by magnetic force, and the high-conductivity layer (1122) can lower the resistance when in contact with other conductive particles (111).

상기 본체부(112)의 외면에는 금, 은, 팔라듐, 로듐, 구리 과 같은 도전성능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진 고전도층(115)이 피복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전도층(115)은 본체부(112)의 상면과 측면을 덮고 있으며, 저면에는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2) may be covered with a high-conductivity layer (115) made of a material with excellent conductive properties, such as gold, silver, palladium, rhodium, or copper. This high-conductivity layer (115) covers the upper surface and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112), and may not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고전도층(115)이 본체부(112)의 외면에 피복되어 있는 경우에는 인접한 도전성 입자(111)와 접촉시 접촉저항을 낮게 하고 도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특히, 고전도층(115)이 본체부(112) 내부의 고도전층(11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도전성능을 보다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주파 신호전달시 와전류를 감소시켜 고주파 신호가 잘 전달될 수 있다.When the high-conductivity layer (115) is co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2), the contact resistance can be reduced and the conductive performance can be improved when in contact with adjacent conductive particles (111). In particular, since the high-conductivity layer (115)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igh-conductivity layer (1122) inside the main body (112), the conductive performance can be further improved. In addition, the eddy current can be reduced when transmitting a high-frequency signal, so that the high-frequency signal can be transmitted well.

상기 돌출부(113)는 상기 본체부(112)의 하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본체부(112)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112)의 저면보다 폭이 좁으며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돌출부(113)는 본체부(112)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 자성, 고도전성, 탄성소재 등 다양한 금속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The above protrusion (113)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2) and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2). It has a narrower width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2) and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sion (113)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main body (112),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etal materials such as magnetic, highly conductive, and elastic materials may be used as needed.

상기 돌출부(113)는 본체부(112) 저면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원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돌출부(113)와 본체부(112)의 사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114)에 도전부(110)를 구성하는 실리콘 고무가 채워지게 됨으로서 도전성 입자(111)와 실리콘 고무 간의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전성 입자(111)가 도전부(110)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게 한다.The above protrusion (113)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12), and a concave portion (114) that is concave inwardly may be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 (113) and the main body (112). Since the concave portion (114) is filled with the silicone rubber forming the conductive portion (110),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conductive particles (111) and the silicone rubber can be further improved, thereby preventing the conductive particles (111) from being easily separated from the conductive portion (110).

상기 돌출부(113)는 전체가 하나의 금속소재 또는 하나의 합금소재로만 이루어지거나, 자성을 나타내는 금속소재와, 도전성이 우수한 고도전성 소재가 적층되어 교대로 배치되거나 다양한 적층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고도전성 소재는 금, 은, 팔라듐, 로듐, 구리와 같은 도전성능이 우수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The above protrusion (113) may be entirely made of one metal material or one alloy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exhibiting magnetism and a highly conductive material having excellent conductivity may be laminated and alternately arranged, or may be arranged in various laminated manners. The highly conductive material may be a material having excellent conductivity, such as gold, silver, palladium, rhodium, or copper.

또한, 본체부(112)는 전체적으로 도금에 의하여 제조되고 반구형태로 이루어져서 요철이 없으나, 본체부(112)의 저면에서 돌출되는 돌출부(113)가 요철의 기능을 수행하게 됨으로 실리콘 고무와의 결합력이 보다 증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12) is manufactured entirely by plating and has a hemispherical shape, so it has no unevenness, but the protrusion (113)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12) performs the function of unevenness, so that the bonding strength with the silicone rubber can be further increased.

돌출부(113)의 길이는 한정되지 않으나, 본체부(112)보다 작은 치수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서 본체부(112)보다 긴 치수를 가지는 가느다란 기둥형태를 가질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protrusion (113) is not limited, but may have a smaller dimension than the main body (112),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a slender column shape with a longer dimension than the main body (112) as needed.

상기 돌출부(113)의 저면에는 금, 은, 팔라듐, 로듐, 구리와 같은 도전성능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진 고전도층(115)이 피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113) 저면에 마련된 고전도층(115)은 인접한 다른 도전성 입자(111)와 접촉시 접촉저항을 감소시키고 도전성능을 보다 향상시키게 한다.The bottom surface of the above protrusion (113) may be covered with a high-conductivity layer (115) made of a material with excellent conductivity, such as gold, silver, palladium, rhodium, or copper. The high-conductivity layer (115)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trusion (113) in this way reduces contact resistance when in contact with other adjacent conductive particles (111) and further improves conductivity.

도 10(c)는 고전도층(115)가 본체부(112)의 상면, 측면, 저면과, 돌출부(113)를 전체적으로 덮고 있는 형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고전도층(115)가 본체부(112)와 돌출부(113)을 전체적으로 덮고 있는 경우에는 전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Figure 10(c) shows a form in which the high-conductivity layer (115) entirely covers the top, side, bottom, and protrusions (113) of the main body (112). In this case, when the high-conductivity layer (115) entirely covers the main body (112) and protrusions (113), conductivity can be further improved.

상기 절연부(120)는 커넥터(100)의 사각형의 탄성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도전부(110)는 절연부(120)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등간격 또는 부등간격으로 서로간에 이격되고 절연된다. 절연부(120)는 하나의 탄성체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도전부(110)는 절연부(120)의 두께 방향(상하 방향)에서 절연부(120)에 박혀 있다. 절연부(120)는 탄성 고분자 재료로 이루어져, 상하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탄성을 가진다. 절연부(120)는 도전부(110)를 그 형상으로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도전부(110)를 상하 방향으로 유지시킨다.The above insulating portion (120) can form a rectangular elastic region of the connector (100). A plurality of conductive portions (1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equal or unequal interv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insulating portion (120) and are insulated. The insulating portion (120) is formed as a single elastic body, and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ortions (110) are embedded in the insulating portion (120) in the thickness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insulating portion (120). The insulating portion (120) is made of an elastic polymer material and has elasticity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insulating portion (120) not only maintains the conductive portion (110) in its shape, but also maintains the conductive portion (110)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절연부(120)는 경화된 실리콘 러버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액상의 실리콘 러버가 커넥터(100)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 금형 내에 주입되고 경화됨으로써, 절연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절연부(120)를 성형하기 위한 액상의 실리콘 러버 재료로서,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 축합형 액상 실리콘 고무, 비닐기나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액상 실리콘 고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액상 실리콘 러버 재료는, 디메틸실리콘 생고무, 메틸비닐실리콘 생고무, 메틸페닐비닐실리콘 생고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sulating portion (120) may be formed of a cured silicone rubber material. For example, the insulating portion (120) may be formed by injecting and curing liquid silicone rubber into a mold for forming the connector (100). As the liquid silicone rubber material for forming the insulating portion (120), an addition-type liquid silicone rubber, a condensation-type liquid silicone rubber, a liquid silicone rubber containing a vinyl group or a hydroxyl group, or the like may be used. As a specific example, the liquid silicone rubber material may include dimethyl silicone raw rubber, methyl vinyl silicone raw rubber, methyl phenyl vinyl silicone raw rubber, or the like.

본 발명의 검사용 커넥터(100)에서 도전성 입자(111)의 제조방법을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method for manufacturing conductive particles (111) in the inspection connec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as follows.

먼저, 실리콘 웨이퍼, 규소, 세라믹 등의 기판(130)을 준비한 후에, 그 표면에 전해도금을 위한 얇은 전도성 코팅층(130a; 티타늄, 구리)를 형성시켜 놓는다. (도 11(a))First, a substrate (130) such as a silicon wafer, silicon, or ceramic is prepared, and then a thin conductive coating layer (130a; titanium, copper) for electroplating is formed on the surface. (Fig. 11(a))

이후에, 상기 기판(130)의 일면에 성형층(131)을 형성한다. (도 11(b)) 이때 성형층(131)은 포토레지스트층으로서, 원하는 도전성 입자(111)보다 얇은 두께를 기판(130)의 일면에 형성하게 되며, 이에 따라서 포토레지스트의 소모량이 감소되어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Afterwards, a molding layer (131)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130). (FIG. 11(b)) At this time, the molding layer (131) is a photoresist layer, and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130) to a thickness thinner than the desired conductive particles (111), and accordingly, the amount of photoresist consumed is reduced, which can reduce the cost.

이후에, 상기 성형층(131) 중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여 입자형성용 홈(132)을 형성한다. (도 11(c)) 구체적으로 성형층(131)에 노광, 현상공정을 이용하여 원하는 형태의 홈(132)을 형성한다.Thereafter, at least a portion of the above-mentioned molding layer (131) is removed to form a groove (132) for particle formation. (FIG. 11(c)) Specifically, a groove (132) of a desired shape is formed on the molding layer (131) using an exposure and development process.

이후에, 상기 입자형성용 홈(132) 내부에 고도전성 소재로 제3도금층(116')을 형성한다.(도 11(d)) 제3도금층(116')은 돌출부(113)의 하면에 형성된 고전도층(115)으로서, 성형층(131)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고 있게 된다. Afterwards, a third plating layer (116') is formed using a highly conductive material inside the particle forming groove (132). (FIG. 11(d)) The third plating layer (116') is a highly conductive layer (115)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13) and has a thickness thinner than that of the forming layer (131).

이후에, 상기 입자형성용 홈(132) 내부에 제조후 돌출부(113)가 되는 제1도금층(113')을 도금형성한 후에, 추가적으로 도금을 수행하여 성형층(131) 이상으로 돌출되는 제2도금층(112')을 제조함으로서, 돌출부(113)와 본체부(112)를 함께 제조한다. 이때 제2도금층(112')은 본체부(112)가 되는 도금층으로서, 입자형성용 홈(132) 주변에 배치되며 제1도금층(113')과 일체로 연결되며, 상방향으로 갈수록 좌우폭이 감소되는 대략 반구형상을 가지게 된다. (도 11(e))Afterwards, after forming the first plating layer (113') that becomes the protrusion (113) after manufacturing inside the particle forming groove (132), additional plating is performed to manufacture the second plating layer (112') that protrudes beyond the forming layer (131), thereby manufacturing the protrusion (113) and the main body (112) together. At this time, the second plating layer (112') is a plating layer that becomes the main body (112), is arranged around the particle forming groove (132), is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first plating layer (113'), and has an approximately hemispherical shape in which the width decreases as it goes upward. (Fig. 11(e))

이때, 제1, 2 도금층(112', 113')은 하나의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나, 자성소재와, 고도전성 소재를 순차적으로 또는 번갈아가면서 도금하여 서로 다른 재료로 이루어진 도금층이 적층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plating layers (112', 113') can be manufactured using a single material, but it is also possible to laminate plating layer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by sequentially or alternately plating a magnetic material and a highly conductive material.

이후에, 제2도금층(112') 위에 고도전성 금속(115')을 도금형성하게 된다. (도 11(f)) 이때, 도금형성된 고도전성 금속(115')은 본체(112)의 외면을 덮고 있는 고전도층(115)이 된다.Afterwards, a high-conductivity metal (115') is plated and formed on the second plating layer (112'). (Fig. 11(f)) At this time, the plated high-conductivity metal (115') becomes a high-conductivity layer (115) covering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2).

이후 성형층(131)을 제거한 후에, 기판(130)의 전도성 코팅층(130a)을 제거한다. 구체적으로 기판(130)에서 전도성 코팅층(130a)을 에칭으로 제거하여 도전성 입자(111)가 분리될 수 있게 한다. 이후에는 기판(130)으로부터 도전성 입자(111)를 분리하게 되는 것이다. (도 11(g))After the molding layer (131) is removed,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130a) of the substrate (130) is removed. Specifically,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130a) is removed from the substrate (130) by etching so that the conductive particles (111) can be separated. Thereafter, the conductive particles (111) are separated from the substrate (130). (Fig. 11(g))

이러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도전성 입자(111)는 성형층(131)의 두께를 기존과 같이 도전성 입자(111)의 두께보다 두껍게 할 필요가 없어서 성형층(131)(포토레지시트층)의 양을 전체적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The conductive particles (111) manufactured by this manufacturing method do not need to have a thickness of the molding layer (131)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particles (111) as in the past, so the overall amount of the molding layer (131) (photoresist layer)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또한 성형층(131)에서 돌출된 반구형상의 부분을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이용하여 도전성 입자(111)를 제조하고 있으므로, 도금 후에 평탄화작업이 필요없게 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ductive particles (111) are manufactured by using the protruding hemispherical portion from the molding layer (131) as is without removing i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flattening work is not required after plating.

또한, 본 발명은 기판(130)에서 돌출된 제2도금층(112')에 고도전성 금속을 도금형성하여, 본체부(112) 측면과 상면에 고도전층(115)이 피복할 수 있게 되는데 이에 따라서 기존과 달리 별도의 바렐도금방식을 사용하지 않고도 측면에 고도전성 금속층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high-conductivity metal by plating a second plating layer (112') protruding from a substrate (130), so that a high-conductivity layer (115) can be coated on the side and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2). Accordingly,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a high-conductivity metal layer can be formed on the side without using a separate barrel plating method, so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greatly reduced.

이러한 본 발명의 도전성 입자(111)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The challenging particles (111)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effects.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장치(140)에 검사용 커넥터(100)가 탑재된 상태에서 피검사 디바이스(150)를 인서트 등에 의하여 운반하여 검사용 커넥터(100)의 상측에 피검사 디바이스(150)를 위치시킨다.As shown in Fig. 5, with the inspection connector (100) mounted on the inspection device (140), the inspection device (150) is transported by an insert or the like and the inspection device (15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spection connector (100).

이후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사 디바이스(150)를 하강시켜 피검사 디바이스(150)의 단자(151)가 검사용 커넥터(100)에 접촉될 수 있게 한다. 이때 푸셔(미도시)에 의하여 피검사 디바이스(150)를 가압하여 도전부(110)가 하측 방향으로 압축되고 수평방향으로 팽창되면서 도전성 입자(111)들이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 도통로가 형성되게 한다. 이후에 검사장치(140)로부터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서 소정의 전기적 검사가 수행된다. Thereafter, as shown in Fig. 6, the test device (150) is lowered so that the terminal (151) of the test device (150)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test connector (100). At this time, the test device (150) is pressed by a pusher (not shown) so that the conductive portion (110) is compressed downward and expanded horizontally, and the conductive particles (111)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n electrical path. Thereafter, when an electrical signal is applied from the test device (140), a predetermined electrical test is performed.

한편, 도 5에서는 도전성 입자들이 서로 일정한 형태로 상하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입자들이 서로 다양한 형태로 배열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5에서는 본체부가 상측에 돌출부가 하측에 위치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배열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전성 입자 중 어느 것은 세워거나 다른 것은 눕혀지거나 기울어지는 등 다양한 배열형태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Meanwhile, although FIG. 5 illustrates that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arranged vertically in a certain shape,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s illustrated in FIG. 7, the conductive particles may be arranged in various shapes. That is, although FIG. 5 illustrates a shape in which the main body is arranged vertically with the protrusions positioned at the top and the bottom,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s illustrated in FIG. 7, it is possible for some of the conductive particles to be arranged vertically, while others are laid down or tilted, etc.

도 12 내지 도 16은 검사과정에서 도전성 입자(111)가 다른 도전성 입자(111) 또는 피검사 디바이스(150)의 볼형 단자(151)와 접촉되는 모습의 일예를 나타낸다.Figures 12 to 16 show examples of how a conductive particle (111) comes into contact with another conductive particle (111) or a ball-shaped terminal (151) of a device to be tested (150) during an inspection process.

먼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입자(111)가 피검사 디바이스(150)의 볼형 단자(151)와 접촉시 본체부(112)의 외각 가장자리의 예리한 부분이 볼형 단자(151)에 접촉함으로서 볼형 단자(151)에 묻어 있는 산화막을 관통하여 내부에 쉽게 침투할 수 있어서 저항을 낮추는데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예리한 부분이 볼형 단자(151)에 접촉함으로서 구형에 비하여 접촉압이 크게 증가하는 효과도 있게 된다.First, as illustrated in Fig. 12, when the conductive particle (11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all-shaped terminal (151) of the test device (150), the sharp portion of the outer edge of the main body (11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all-shaped terminal (151), thereby easily penetrating the oxide film on the ball-shaped terminal (151) and penetrating into the inside, thereby contributing to lowering the resistance. The sharp portion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ball-shaped terminal (151) also has the effect of greatly increasing the contact pressure compared to a spherical shape.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입자(111)가 피검사 디바이스(150)의 볼형 단자(151)와 접촉시 본체부(112)의 외각 가장자리의 예리한 부분과, 돌출부(113)의 예리한 부분이 함께 볼형 단자(151)에 접촉함으로서 볼형 단자(151)에 묻어 있는 산화막을 관통하여 볼형 단자(151) 내부에 쉽게 침투할 수 있어서 저항을 낮추는데 기여할 수 있게 되며,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전기적 접속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본체부(112)의 저면에 마련된 돌출부(113)가 볼형 단자(151)에 접촉됨으로서 접촉면적을 확장시키는 효과가 있게 된다.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13, when the conductive particle (11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all-shaped terminal (151) of the test device (150), the sharp portion of the outer edge of the main body (112) and the sharp portion of the protrusion (113) come into contact with the ball-shaped terminal (151) together, thereby penetrating the oxide film on the ball-shaped terminal (151) and easily penetrating into the inside of the ball-shaped terminal (151), thereby contributing to lowering the resistance, and increasing the contact area, thereby improv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capability. In particular, the protrusion (113)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all-shaped terminal (151), thereby having the effect of expanding the contact area.

도전성 입자들의 접촉에 대해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입자(111)는 본체부(112)의 측면끼리 접촉시 본체부(112)의 상측 곡면부분은 입자간의 접촉시 서로 미끄러지기 쉽기 때문에 도전부(110)의 탄성을 좋게 하고 이에 따라서 도전부(110)의 압축률이 커질 수 있게 하여 가압력을 충분하게 흡수가능하게 한다.As for the contact of the conductive particles, as shown in Fig. 14, when the conductive particles (111) come into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112), the upper curved portion of the main body (112) is prone to slipping when the particle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ich improves the elasticity of the conductive portion (110), and thus increases the compressibility of the conductive portion (110), enabling sufficient absorption of the applied force.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전성 입자(111)는 본체부(112)의 평평한 저면들이 서로 접촉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면접촉이 가능하게 되어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접촉저항이 감소되고 이에 따라서 전기적 접속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15, the conductive particles (11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flat bottom surfaces of the main body (112)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surface contact is possible, so the contact area increases, the contact resistance decreases, and thus, there is an effect of greatly improv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capability.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3)의 표면에 고전도층(115)이 피복되어 있어서 접촉저항이 높은 내부소재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서 다른 입자의 곡면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전성 입자의 돌출부(113)가 다른 반구형 입자의 본체부(112)의 상면과 접촉함으로서 접촉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16, since the surface of the protrusion (113) is covered with a high-conductivity layer (115), the internal material with high contact resistance is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curved surface of another particle. In other words, the protrusion (113) of the conductive particle can be prevented from increasing the contact resistance by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2) of another hemispherical particle.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도전성 입자(111)의 일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과 같이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 example of a conductive particle (111) has been described,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odified as follows.

도 17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입자(211)를 나타내고, 도 18은 도 17의 도전성 입자(211)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Fig. 17 shows a conductive particle (21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Fig. 18 shows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onductive particle (211) of Fig. 17.

제1 실시예에서는 도전성 입자(111)의 표면에 고전도층(115)이 피복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부(212)와 돌출부(213)로만 이루어지는 도전성 입자(211)도 가능하다. In the first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a high-conductivity layer (115) is coated on the surface of a conductive particle (111),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conductive particle (211) composed only of a main body (212) and a protrusion (213) is also possible.

이러한 도전성 입자(211)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웨이퍼, 규소, 세라믹 등의 기판(130)에 전도성 소재를 코팅하여 전도성 코팅층(미도시)을 형성한 후에 (도 18(a)), 원하는 도전성 입자(211)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성형층(131)(포토레지스트층)을 기판(130)에 도포한 후에, (도 18(b)), 기판(130)에 노광, 현상공정을 수행하여 입자 형성용 홈을 형성하고, (도 18(c)), 도금공정으로 입자형성용 홈(132) 내부의 홈 주변에 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도금층(211')을 형성한 후에,(도 18(d)), 성형층(131)과, 전도성 코팅층을 에칭으로 제거한 후에 도전성 입자(111)를 기판(130)으로부터 분리해낸다.(도 18(e)) These conductive particles (211) are formed by coating a conductive material on a substrate (130) such as a silicon wafer, silicon, or ceramic as shown in FIG. 18 to form a conductive coating layer (not shown) (FIG. 18(a)), then applying a molding layer (131) (photoresist layer) having a thickness thinner than the desired conductive particles (211) to the substrate (130), (FIG. 18(b)), performing an exposure and development process on the substrate (130) to form a groove for particle formation, (FIG. 18(c)), forming a plating layer (211') so as to protrude upward around the groove inside the particle formation groove (132) through a plating process, (FIG. 18(d)), removing the molding layer (131) and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by etching, and then separating the conductive particles (111) from the substrate (130). (FIG. 18(e))

제2 실시예에 의한 도전성 입자(111)는 간단한 제조공정으로서 도전부(110)의 탄성률을 높게 하고, 면접촉에 의한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며, 볼형 단자(151)에 접촉압이 증가되도록 하며, 돌출부에 의하여 실리콘 고무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게 한다.The conductive particle (11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can have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elasticity of the conductive portion (110) through a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increasing the contact area by surface contact, increasing the contact pressure on the ball-shaped terminal (151), and increasing the bonding strength with the silicone rubber by the protrusion.

도 19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입자(311)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3 실시예에 의한 도전성 입자(311)는 본체부(312)의 저면에 돌출부(313)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복수의 돌출부(313)는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돌출부(313)가 본체부(112)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게 되는 경우에는 돌출부(313)들 사이의 공간으로 실리콘 고무가 침투하여 실리콘 고무와의 결합력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으며, 다른 도전성 입자(111)와 접촉시 접촉저항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Fig. 19 shows a conductive particle (31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nd illustrates that the conductive particle (31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313)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312).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313) may be spaced apart at equal intervals,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In this case, when a plurality of protrusions (313)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2), silicone rubber can penetrate into the space between the protrusions (313) to further increase the bonding strength with the silicone rubber, and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contact resistance from increasing when in contact with other conductive particles (111).

도 20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입자(411)는 나타내고 있는데, 제4 실시예에 의한 도전성 입자(411)는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면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바의 형상을 가지는 본체부(412)의 저면에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돌출부(41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시한다. Fig. 20 shows a conductive particle (411)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conductive particle (411)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has a body part (412) having a shape of a bar extending in one direction while having a semicircular cross-section, and a protrusion (413) extending in one directio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제4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입자(411)는 다른 도전성 입자(411)와의 접촉면적을 크게 증가시킬 뿐 아니라, 볼형 단자와 접촉시 접촉압을 크게 하며, 다른 도전성 입자(411)와 접촉시 측면의 곡면부분에서 미끄러져서 도전부(410)의 탄성률을 높게 하고, 실리콘 고무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The conductive particle (411)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not only greatly increases the contact area with other conductive particles (411), but also increases the contact pressure when in contact with a ball-shaped terminal, and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elasticity of the conductive portion (410) by sliding on the curved portion of the side when in contact with other conductive particles (411), and increasing the bonding strength with silicone rubber.

도 21는 제5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입자(511)로서, 도 20의 도전성 입자(511)에서 본체부(512)의 상면, 측면에 고전도층(515)가 마련되고, 돌출부(513)의 저면에 고전도층(516)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도전성 입자(511)는 접촉되는 본체부(512), 돌출부(513)가 저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외층을 구성하는 고전도층(515, 516)이 다른 도전성 입자(511)과 접촉함으로서 접촉저항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Fig. 21 illustrates a conductive particle (511)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in which a high-conductivity layer (515)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and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512) of the conductive particle (511) of Fig. 20, and a high-conductivity layer (516)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513). Such a conductive particle (511)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a large increase in contact resistance due to the high-conductivity layers (515, 516) forming the outer layer coming into contact with other conductive particles (511) even when the main body (512) and the protrusion (513) that are in contact are made of a low-conductivity material.

도 22는 도 21의 도전성 입자(511)가 도전부(510)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일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도전성 입자(511)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선형상을 가지는 경우에는 도전부(510) 내에서 불규칙하게 섞여 있는 것이 가능하다. Fig. 22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conductive particles (511) of Fig. 21 are arranged inside the conductive portion (510). In this case, when the conductive particles (511) have a linear shape extending in one direction, they can be irregularly mixed inside the conductive portion (510).

도 23은, 도전성 입자(611)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도전성 입자(111)는 격자형태(도 23(a))이거나, 삼각형태이거나(도 23(b)), 별형(도 23(c)), 삼각대(도 23(d)), S형(도 23(e)), 더블 S형(도 23(f))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FIG. 23 shows various embodiments of the conductive particles (611). The conductive particles (111) can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lattice shape (FIG. 23(a)), a triangular shape (FIG. 23(b)), a star shape (FIG. 23(c)), a tripod shape (FIG. 23(d)), an S shape (FIG. 23(e)), and a double S shape (FIG. 23(f)).

이러한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는 다른 도전성 입자(611)와 결합시 접촉면적이 넓을 뿐 아니라, 다른 도전성 입자(611)와 얽혀서 도전부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내부의 공간으로 인하여 도전성 입자(611) 자체의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되거나 실리콘 고무와의 결합력이 증대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도전부의 변형을 쉽게 하고, 전기적 접속능력을 증대시키며 도전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In the case of having such a shape, not only is the contact area wide when combined with other conductive particles (611), but also the conductive particles (61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ntangled with each other and separated from the conductive portion, and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conductive particles (611) themselves is enabled due to the internal space, or the bonding strength with the silicone rubber is increased, so that the deformation of the conductive portion as a whole is facilitated, the electrical connection ability is increased, and the effect of preventing separation from the conductive portion is achieved.

또한 S형(도 23(e)), 더블 S형(도 23(f))은 도전성 입자 자체의 형상으로 인하여 탄성력이 증가되고, 도전성 입자끼리의 결합력도 우수해서 전체적으로 전체적으로 도전부의 변형을 쉽게 하고, 전기적 접속능력을 증대시키며 도전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In addition, the S type (Fig. 23(e)) and double S type (Fig. 23(f)) have increased elasticity due to the shape of the conductive particles themselves, and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conductive particles is also excellent, so that the overall conductive portion can be easily deformed, the electrical connection ability can be increased, and the effect of preventing detachment from the conductive portion is achieved.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도전성 입자의 본체부가 막대형, 격자형, 삼각형, 별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H형, X형, O형, C형, S형, N형, V형, W형, Z형 및 +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이나 각 형상이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상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때 돌출부도 본체부보다 폭이 좁으면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main body of the conductive particle is exemplified as being formed in a rod shape, a grid shape, a triangle shape, and a star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any one shape among H type, X type, O type, C type, S type, N type, V type, W type, Z type, and + type, or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each shape are continuously connected. In this case, the protrusion may also have a corresponding shape while being narrower than the main body.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들 및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검사용 커넥터 110...도전부
111...도전성 입자 112...본체부
112a...평탄면 113...돌출부
114...오목부 115...고전도층
120...절연부
100...Inspection connector 110...Conductor
111...challenging particle 112...body
112a...flat surface 113...protrusion
114...concave 115...high-conductivity layer
120...insulating part

Claims (21)

피검사 디바이스와 검사장치의 사이에 배치되어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와 검사장치의 패드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검사용 커넥터에 사용되며,
탄성 절연물질 내에 다수개가 분포되어 피검사 디바이스의 접촉시 상호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 전달을 위한 도전로를 형성하는 도전성 입자로서,
저면에는 평평한 하면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면에서 상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고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본체부의 저면보다 폭이 좁으며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는,
저면에서 상단으로 라운드된 곡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입자.
It is used in a test connector that is placed between the test device and the test device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 terminal of the test device and the pad of the test device to each other.
Conductive particles that are distributed in large numbers within an elastic insulating material and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device under test comes into contact, thereby forming a conductive path for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A flat bottom surface is arranged on the bottom surface, and a main body portion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whose width decreases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and
A protrusion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has a narrower width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The above main body part,
A challenging particle characterized by having a curved surface formed round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는 저면과 평행한 평탄면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입자.
In the first paragraph,
A conductive part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has a flat surface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단은 볼록한 곡면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본체부는 전체적으로 반구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입자.
In the first paragraph,
A conductive part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has a convex curved shape, so that the main body has an overall hemispherical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입자의 본체부는,
막대형, 격자형, 삼각형, 별형, S형 및 더블 S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입자.
In the first paragraph,
The main body of the above challenging particle is,
A challenging particle characterized by having any one of a rod-like, lattice-like, triangular, star-like, S-shaped, and double S-shaped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입자의 본체부는,
H형, X형, O형, C형, S형, N형, V형, W형, Z형 및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이나 각 형상이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입자.
In the first paragraph,
The main body of the above challenging particle is,
A conductive particle characterized by having one of the following shapes: H type, X type, O type, C type, S type, N type, V type, W type, Z type, and + type, or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each shape are continuously conn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입자의 본체부는,
다른 소재가 다층으로 적층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입자.
In the first paragraph,
The main body of the above challenging particle is,
A challenging particle characterized by being composed of multiple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소재는,
강자성체 금속소재, 고탄성 금속소재, 고도전성 금속소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입자.
In Article 6,
The other materials mentioned above are,
A conductive particl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y one of a ferromagnetic metal material, a high-elasticity metal material, and a high-conductivity metal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입자.
In the first paragraph,
A conductive part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protrusions are configured in multiple nu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돌출부는 본체의 저면 중앙에 대하여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입자.
In the first paragraph,
A conductive particl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spaced at equal intervals relative to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저면을 제외한 나머지 외면에는 고전도층이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입자.
In the first paragraph,
A conductive part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except for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is covered with a high-conductivity layer.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저면에는 고전도층이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입자.
In clause 1 or 9,
A conductive part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above protrusion is coated with a high-conductivity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돌출부 사이는 내측으로 오목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입자.
In the first paragraph,
A conductive particle characterized in that a concave space is formed inwardly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protrusion.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와 검사장치의 패드 사이에 배치되어 단자와 패드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검사용 커넥터에 있어서,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와 대응되는 위치마다 탄성 절연물질 내에 다수의 도전성 입자가 두께방향으로 분포된 도전부와,
상기 도전부를 절연하면서 지지하는 절연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도전성 입자는,
저면에는 평평한 하면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면에서 상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고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의 저면보다 폭이 좁으며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저면에서 상단으로 라운드된 곡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용 커넥터.
In a test connector that is placed between the terminal of the test device and the pad of the test device to electrically connect the terminal and the pad to each other,
A conductive part in which a number of conductive particles are distribut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within an elastic insulating material at each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of the test device,
It is composed of an insulating part that supports and insulates the above-mentioned challenging part,
The above challenging particles are,
A flat bottom surface is arranged on the bottom surface, and a main body portion that decreases in width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and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A protrusion is formed by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has a narrower width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 inspection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dy portion is formed with a curved surface that is round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피검사 디바이스와 검사장치의 사이에 배치되어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와 검사장치의 패드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검사용 커넥터에 사용되며,
탄성 절연물질 내에 다수개가 분포되어 피검사 디바이스의 접촉시 상호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 전달을 위한 도전로를 형성하게 하는 도전성 입자의 제조방법으로서,
(a)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기판 상에 성형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성형층 중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여 입자형성용 홈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입자형성용 홈 내부에 제1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입자형성용 홈 주변에 제1도금층과 일체로 연결되며 상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는 제2도금층을 돌출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입자의 제조방법.
It is used in a test connector that is placed between the test device and the test device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 terminal of the test device and the pad of the test device to each oth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conductive particles that are distributed in large numbers within an elastic insulating material and contact each other when a test device is in contact to form a conductive path for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a) a step of preparing a substrate;
(b) a step of forming a molding layer on the substrate;
(c) a step of forming a groove for particle formation by remov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above molding layer;
(d) a step of forming a first plating layer inside the groove for forming particles;
(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ductive particl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tep of forming a second plating layer tha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plating layer around the particle forming groove and whose width decreases as it goes upward.
제14항에 있어서
(e) 단계 이후에,
(f) 성형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입자의 제조방법.
In Article 14
(e) After step,
(f) A method for producing a conductive particle,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removing a forming layer.
제14항에 있어서,
(a) 단계에서 상기 기판에는 전도성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입자의 제조방법.
In Article 14,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ductive particle, characterized in that in step (a), a conductive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substrate.
제16항에 있어서,
(f) 단계 이후에,
(g) 기판에 형성된 전도성 코팅층을 제거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입자의 제조방법.
In Article 16,
After step (f),
(g) A method for manufacturing conductive particle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step of removing a conductive coating layer formed on a substrat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와, (d) 단계 사이에는,
(c-1) 고전도성 소재를 성형층의 두께보다 얇게 도금하여 제3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입자의 제조방법.
In Article 14,
Between steps (c) and (d) above,
(c-1) A method for manufacturing conductive particle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step of forming a third plating layer by plating a highly conductive material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molding lay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이후에,
(e-1) 상기 제2도금층 위에 고도전성 금속을 도금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입자의 제조방법.
In Article 14,
After step (e) above,
(e-1) A method for manufacturing conductive particle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step of plating a highly conductive metal on the second plating layer.
제14항에 있어서,
(d) 단계에서,
제1도금층은, 서로 다른 금속소재를 이용하여 나누어서 도금처리하여, 서로 다른 소재가 다층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입자의 제조방법.
In Article 14,
At step (d),
A method for manufacturing conductive partic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plating layer is formed by plating different materials separately using different metal materials, and is formed by laminating different materials in multiple layers.
제14항에 있어서,
(e) 단계에서,
제2도금층은, 서로 다른 금속소재를 이용하여 나누어서 도금처리하여, 서로 다른 소재가 다층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입자의 제조방법.
In Article 14,
At step (e),
A method for manufacturing conductive partic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plating layer is formed by plating separately using different metal materials, so that different materials are laminated in multiple layers.
KR1020220087735A 2022-07-15 2022-07-15 Conductive particles for electrical test, connector for electrical test and fabrication method of conductive particles Active KR1027346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735A KR102734676B1 (en) 2022-07-15 2022-07-15 Conductive particles for electrical test, connector for electrical test and fabrication method of conductive particles
PCT/KR2023/005369 WO2024014667A1 (en) 2022-07-15 2023-04-20 Conductive particles for electrical testing, testing connector, and conductive particle manufacturing method
TW112126413A TWI859978B (en) 2022-07-15 2023-07-14 Conductive particle, test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nductive part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735A KR102734676B1 (en) 2022-07-15 2022-07-15 Conductive particles for electrical test, connector for electrical test and fabrication method of conductive part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0319A KR20240010319A (en) 2024-01-23
KR102734676B1 true KR102734676B1 (en) 2024-11-27

Family

ID=89536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735A Active KR102734676B1 (en) 2022-07-15 2022-07-15 Conductive particles for electrical test, connector for electrical test and fabrication method of conductive particle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734676B1 (en)
TW (1) TWI859978B (en)
WO (1) WO2024014667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520B1 (en) 2015-02-03 2015-06-03 (주)티에스이 Testing socket including conductive particles having combinable shape
KR101936782B1 (en) 2017-11-20 2019-01-09 (주)티에스이 Pitchless rubber socket for tes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0824B1 (en) * 1999-01-29 2001-10-17 김영환 A capacitor and a fabricating method thereof in semiconductor device
KR101339166B1 (en) * 2012-06-18 2013-12-09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Test socket with conductive powder having through-hol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1465085B1 (en) * 2013-01-21 2014-11-2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lexible conductive metal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739536B1 (en) * 2016-05-11 2017-05-24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Test socket and conductive particle
KR102124997B1 (en) * 2018-10-05 2020-06-22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Manufacturing method of conductive particle and conductive particle manufactured by the method
WO2020251043A1 (en) * 2019-06-13 2020-12-1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Conductive particles, conductive material, and connection structure
KR102204910B1 (en) * 2019-11-26 2021-01-19 김규선 Test socket
KR102393083B1 (en) * 2020-08-21 2022-05-03 주식회사 스노우 Conductive particle and testing socket compr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520B1 (en) 2015-02-03 2015-06-03 (주)티에스이 Testing socket including conductive particles having combinable shape
KR101936782B1 (en) 2017-11-20 2019-01-09 (주)티에스이 Pitchless rubber socket for tes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14667A1 (en) 2024-01-18
TWI859978B (en) 2024-10-21
TW202405829A (en) 2024-02-01
KR20240010319A (en) 202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59577B (en) There is the test jack of high density conductive unit and for the method manufacturing this test jack
EP1768214B1 (en) Inspection equipment for circuit device with anisotropic conductive connector
US20040012383A1 (en) Electric resistance measuring connector and measuring device and measuring method for circuit board electric resistance
CN105527472B (en) Test bench
JP3753145B2 (en) Anisotropic conductive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dapte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ical inspection device for circuit device
JP2002203879A (en) Probe device for wafer inspection
TW201932847A (en) Conductive contact and anisotropic conductive sheet with the same
JP2018141652A (en) Inspection jig of electrical characteristic
JP5018612B2 (en) Anisotropic conductiv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anisotropic conductive sheet
JP2006318923A (en) Conductive rubber sheet, connector and jig for electrical inspection of circuit board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conductive rubber sheet
KR102734676B1 (en) Conductive particles for electrical test, connector for electrical test and fabrication method of conductive particles
WO2021106754A1 (en) Probe sheet and probe sheet production method
KR101726399B1 (en) Test socket having bottom metal plate bum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WO2021106753A1 (en) Probe sheet and production method for probe sheet
KR20190125842A (en) Anisotropic conductive sheet
TWI542086B (en) Anisotropic conductive connector, manufacturing and device thereof
TW202509480A (en) Test socket and apparatus for testing a semiconductor package
JP2000292484A (en) Semiconductor device connection device, semiconductor device inspection device, and inspection method
KR101735520B1 (en) Test socket having top metal plate bum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20190050688A (en) Anisotropic conductive sheet
KR20200111538A (en) Conductive powder and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including same
JP3726431B2 (en) Circuit device inspection jig
JP2004227829A (en) Anisotropic conductive sheet,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inspection apparatus for circuit device
JP2004227828A (en) Inspection device for anisotropic conductive connector device and circuit device
JP2008027818A (en) Composite conductive sheet, anisotropic conductive connector and adapt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18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