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32884B1 - 스타일러스 펜을 인식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스타일러스 펜을 인식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32884B1
KR102732884B1 KR1020190095799A KR20190095799A KR102732884B1 KR 102732884 B1 KR102732884 B1 KR 102732884B1 KR 1020190095799 A KR1020190095799 A KR 1020190095799A KR 20190095799 A KR20190095799 A KR 20190095799A KR 102732884 B1 KR102732884 B1 KR 102732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lus pen
electronic device
processing method
button
communication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7099A (ko
Inventor
강병훈
박상휘
박창병
이주훈
최현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5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32884B1/ko
Priority to PCT/KR2020/010324 priority patent/WO2021025457A1/ko
Priority to EP20849884.0A priority patent/EP3992761A4/en
Priority to US16/978,123 priority patent/US11874978B2/en
Publication of KR20210017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32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3288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2Pen holder integrated in th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ctive external devices, e.g. active pens, for transmitting changes in electrical potential to be received by the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확인하도록 설정된 패널, 상기 스타일러스 펜과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설정된 통신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패널에 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검출됨에 기반하여: 상기 패널에 의하여 확인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 1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패널에 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검출되지 않음에 기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에 포함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버튼의 눌림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고,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에 포함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버튼의 눌림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제 2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 밖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스타일러스 펜을 인식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ELECTRONIC DEVICE FOR RECOGNIZING STYLUS PE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스타일러스 펜을 인식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된 특정한(specified) 입력 장치(예: 스타일러스 펜)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전자 장치는, 펜 기능을 가지는 입력 장치(본 개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스타일러스 펜"이라는 용어로 언급될 수 있다)에 의하여 지정된 전자 장치상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전자기 유도(Electro magnetic resonance, 이하 EMR이라 함)방식을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을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채널 별로 자기장에 의하여 발생되는 유도 기전력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은, 전자 장치와 근거리 통신(예: 블루투스 저 에너지(BLE))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은,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의 하우징 상에 배치되는 버튼의 눌림 상태에 대한 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전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는 수신한 정보에 기반하여 지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에 구비된 버튼이 눌린 지 여부에 따라, 전자 장치는 지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스타일러스 펜에 구비된 버튼의 온/오프 여부에 따라 명령을 송신하는 방식으로는, 소수의 전자 장치의 동작들만이 버튼의 조작 조합에 매칭되어 실행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에 기반한 다양한 동작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효과적인 제어가 어려울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패널(예: 디지타이저 또는 터치 패널)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스타일러스 펜이 패널이 인식 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패널 처리 결과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확인하고, 스타일러스 펜이 패널이 인식 가능한 범위 밖에 있는 경우에는 통신 모듈에서 수신한 통신 신호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확인하도록 설정된 패널, 상기 스타일러스 펜과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설정된 통신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패널에 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검출됨에 기반하여: 상기 패널에 의하여 확인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 1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패널에 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검출되지 않음에 기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에 포함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버튼의 눌림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고,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에 포함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버튼의 눌림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제 2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은, 버튼, 코일 및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공진 회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움직임,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자세, 또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통신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회로는, 전자 장치의 패널로부터의 송신 신호가 확인되지 않음에 기반하여: 상기 버튼의 눌림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버튼의 눌림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하여 센싱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버튼의 눌림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전자 장치의 패널로부터의 상기 송신 신호가 확인되는 경우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가 송신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패널(예: 디지타이저 또는 터치 패널)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스타일러스 펜이 패널이 인식 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패널 처리 결과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확인하고, 스타일러스 펜이 패널이 인식 가능한 범위 밖에 있는 경우에는 통신 모듈에서 수신한 통신 신호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인식 가능한 범위 밖에서의 펜의 위치가 확인 가능함에 따라, 제스처 대응 기능 수행, 커서 이동의 마우스 기능의 추가적인 스타일러스 펜에 의한 조작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스타일러스 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한다.
도 6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전자 장치 삽입 시의 스타일러스 펜 및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전자 장치의 삽입 시의 상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스타일러스 펜의 삽입 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전자 장치 탈거 시의 스타일러스 펜 및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스타일러스 펜 사이의 삽입/탈거 시의 동작들을 도시한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 및 전자 장치 사이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스타일러스 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4a 및 14b는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에어 마우스 모드에서의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5a 및 15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마우스 종료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들을 도시한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모드에서의 스타일러스 펜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BLE 모드에서의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2))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101)의 사시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문서에서의 스타일러스 펜(201)은 도 1의 전자 장치(102)가 아닌 도 1의 입력 장치(150)에 대응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의 전자 장치(101)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타일러스 펜(201)이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하우징(210)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210)의 일 부분, 예를 들면, 측면(210a)의 일 부분에는 홀(211)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홀(211)과 연결된 수납 공간인 제1 내부 공간(2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타일러스 펜(201)은 제1 내부 공간(212)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스타일러스 펜(201)은, 스타일러스 펜(201)을 전자 장치(101)의 제1 내부 공간(212)으로부터 꺼내기 용이하도록, 일 단부에 눌림 가능한 제1 버튼(20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버튼(201a)이 눌리면, 제1 버튼(201a)과 연계 구성된 반발 메커니즘(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예: 스프링)에 의한 반발 메커니즘)이 작동하여, 제1 내부 공간(212)으로부터 스타일러스 펜(201)이 이탈될 수 있다.
도 3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예: 도 2의 스타일러스 펜(201))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프로세서(220), 메모리(230), 공진 회로(287), 충전 회로(288), 배터리(289), 통신 회로(290), 안테나(297), 트리거 회로(298) 및/또는 센서(299)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201)의 프로세서(220), 공진 회로(287)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통신 회로(290)의 적어도 일부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또는 칩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20), 공진 회로(287) 및/또는 통신 회로(290)는 메모리(230), 충전 회로(288), 배터리(289), 안테나(297), 트리거 회로(298) 및/또는 센서(299)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220)는, 커스터마이즈드(customized) 하드웨어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너릭(generic)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20)는, 스타일러스 펜(201)에 구비된 다양한 센서들, 데이터 측정 모듈, 입출력 인터페이스, 스타일러스 펜(201)의 상태 또는 환경을 관리하는 모듈 또는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드웨어적인 구성 요소(기능)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요소(프로그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20)는 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버튼(예: 버튼(337))의 눌림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센서(299)에 의하여 획득된 센싱 정보, 및/또는 센싱 정보에 기반하여 계산된 정보(예: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와 연관된 정보)를, 통신 회로(290)를 통하여 전자 장치(101)로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공진 회로(287)는, 전자 장치(101)의 디지타이저(예: 표시 장치(160))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장 신호에 기반하여 공진될 수 있으며, 공진에 의하여 전자기 공명 방식(electro-magnetic resonance, EMR) 입력 신호(또는, 자기장 및)를 방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전자기 공명 방식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 상의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디지타이저 내의 복수 개의 채널들(예: 복수 개의 루프 코일들) 각각에서, 전자기 공명 방식 입력 신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유도 기전력(예: 출력 전류)의 크기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에서는, 전자 장치(101) 및 스타일러스 펜(201)이 EMR 방식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것과 같이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 전자 장치(101)는 ECR(electrically coupled resonance) 방식에 기반하여 전기장에 기반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의 공진 회로는, 전기장에 의하여 공진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201)에서의 공진에 의한 복수 개의 채널들(예: 전극들)에서의 전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전위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를 확인할 수도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은, AES(active electrostatic)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그 구현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아울러, 전자 장치(101)는 터치 패널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연관된 커패시턴스(셀프 커패시턴스 또는 뮤추얼 커패시턴스)의 변경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을 검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타일러스 펜(201)에는 공진 회로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패널", 또는 "센싱 패널"은, 디지타이저 및 TSP(touch screen panel)를 포괄하는 용어로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메모리(230)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동작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101)와의 통신을 위한 정보 및 스타일러스 펜(201)의 입력 동작에 관련된 주파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메모리(230)는, 센서(299)의 센싱 데이터로부터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에 대한 정보(예: 좌표 정보, 및/또는 변위 정보)를 계산하기 위한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 알고리즘, 또는 처리 루프)을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230)는, 통신 회로(290)의 통신 스택을 저장할 수도 있다. 구현에 따라, 통신 회로(290) 및/또는 프로세서(220)는 전용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공진 회로(287)는, 코일(coil)(또는, 인덕터(inductor)) 및/또는 캐패시터(capacit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진 회로(287)는, 입력되는 전기장 및/또는 자기장(예: 전자 장치(101)의 디지타이저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장 및/또는 자기장)에 기반하여 공진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이 EMR 방식에 의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스타일러스 펜(201)은 전자 장치(101)의 유도성 패널(inductive panel)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장(electromagnetic field)에 기반하여,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이 AES 방식에 의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스타일러스 펜(201)은 전자 장치(101)와 용량 결합(capacity coupling)을 이용하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이 ECR 방식에 의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스타일러스 펜(201)은 전자 장치의 용량성(capacitive)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장(electric field)에 기반하여,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진 회로(287)는 사용자의 조작 상태에 따라 전자기장의 세기 또는 주파수를 변경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진 회로(287)는, 호버링 입력, 드로잉 입력, 버튼 입력 또는 이레이징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다양한 주파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진 회로(287)는, 복수 개의 커패시터의 연결 조합에 따라 다양한 공진 주파수를 제공할 수 있거나, 또는 가변 인덕터, 및/또는 가변 커패시터에 기반하여 다양한 공진 주파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충전 회로(288)는 스위칭 회로에 기반하여 공진 회로(287)와 연결된 경우, 공진 회로(287)에서 발생되는 공진 신호를 직류 신호로 정류하여 배터리(289)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타일러스 펜(201)은 충전 회로(288)에서 감지되는 직류 신호의 전압 레벨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에 스타일러스 펜(201)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스타일러스 펜(201)은 충전 회로(288)에서 확인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패턴을 확인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289)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동작에 요구되는 전력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289)는, 예를 들어, 리튬-이온 배터리, 또는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충전식 또는 교환식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289)는 충전 회로(288)로부터 제공받은 전력(예를 들어, 직류 신호(직류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회로(290)는, 스타일러스 펜(201)과 전자 장치(101)의 통신 모듈(190) 간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290)는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상태 정보, 입력 정보, 및/또는 위치와 연관된 정보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회로(290)는 트리거 회로(298)를 통해 획득한 스타일러스 펜(201)의 방향 정보(예: 모션 센서 데이터), 마이크로 폰을 통해 입력된 음성 정보 또는 배터리(289)의 잔량 정보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회로(290)는, 센서(299)로부터 획득된 센싱 데이터, 및/또는 센싱 데이터에 기반하여 확인된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와 연관된 정보를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회로(290)는, 스타일러스 펜(201)에 구비된 버튼(예: 버튼(337))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예로, 근거리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BLE(bluetooth low energy), NFC, Wi-Fi direc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297)는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101))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타일러스 펜(201)은, 복수의 안테나(297)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 중에,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297)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297)를 통하여, 통신 회로(290)는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 전자 장치와 교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트리거 회로(298)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또는 센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버튼의 입력 방식(예를 들어, 터치 또는 눌림) 또는 종류(예를 들어, EMR 버튼 또는 BLE 버튼)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트리거 회로(298)는 버튼의 입력 신호 또는 센서(299)를 통한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로 트리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센서(299)는,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및/또는 지자계 센서(geomagnetic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리니어한 움직임 및/또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3축에 대한 가속도에 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회전과 관련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지자계 센서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절대 좌표계 내에서의 향하는 방향에 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299)는, 움직임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뿐만 아니라, 스타일러스 펜(201)의 내부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는 센서, 예를 들어, 배터리 잔량 감지 센서, 압력 센서, 광 센서, 온도 센서, 생체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프로세서(220)는, 센서(299)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통신 회로(290)를 통하여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220)는, 센서(299)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와 연관된 정보(예: 스타일러스 펜(201)의 좌표 및/또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변위)를, 통신 회로(290)를 통하여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도 있다.
도 3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예: 도 2의 스타일러스 펜(201))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스타일러스 펜(201)은 스타일러스 펜(201)의 외형을 구성하는 펜 하우징(300)과 펜 하우징(300) 내부의 내부 조립체(inner assembly)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조립체는, 스타일러스 펜(201) 내부에 실장되는 여러 부품들이 함께 결합된 상태에서, 펜 하우징(300) 내부에 1 회의 조립 동작으로 삽입될 수 있다.
펜 하우징(300)은, 제1 단부(300a) 및 제2 단부(300b) 사이에 길게 연장된 모양을 가지며, 내부에 제2 내부 공간(3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펜 하우징(300)은 단면이 장축과 단축으로 이루어진 타원형일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타원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전술한, 전자 장치(101)의 제1 내부 공간(212) 또한 펜 하우징(300)의 형상에 대응하여 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펜 하우징(300)은, 적어도 일부분이 합성 수지(예: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성 재질(예: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펜 하우징(300)의 제1 단부(300a)는 합성 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펜 하우징(300)의 재질에 대해서는 이 밖에 다양한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조립체(inner assembly)는, 펜 하우징(300)의 형상에 대응하여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내부 조립체는 길이 방향을 따라 크게 3가지의 구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내부 조립체는, 펜 하우징(300)의 제1 단부(300a)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코일부(310), 펜 하우징(300)의 제2 단부(300b)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이젝션 부재(ejection member, 320) 및 펜 하우징(300)의 몸통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회로기판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부(310)는, 상기 내부 조립체가 상기 펜 하우징(300)에 완전히 삽입되면 제1 단부(300a)의 외부로 노출되는 펜 팁(311), 패킹 링(312), 복수 회 권선된 코일(313) 및/또는 펜 팁(311)의 가압에 따른 압력의 변화를 획득하기 위한 필압 감지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킹 링(312)은 에폭시(epoxy), 고무, 우레탄 또는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패킹 링(312)은 방수 및 방진의 목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코일부(310) 및 회로기판부(330)를 침수 또는 먼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코일(313)은 설정된 주파수 대역(예: 500kHz)에서 공진 주파수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소자(예: 용량성 소자(capacitor))와 조합되어 일정 정도의 범위에서 코일(313)이 형성하는 공진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이젝션 부재(320)는, 전자 장치(예: 도 2의 101)의 제1 내부 공간(212)으로부터 스타일러스 펜(201)을 빼내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젝션 부재(320)는 샤프트(321)와 상기 샤프트(321)의 둘레에 배치되며, 이젝션 부재(320)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는 이젝션 몸체(322) 및 버튼부(323)(예: 도 2의 제1 버튼(20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조립체가 상기 펜 하우징(300)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샤프트(321) 및 이젝션 몸체(322)를 포함한 부분은 상기 펜 하우징(300)의 제2 단부(300b)에 의해 둘러싸이고, 버튼부(323)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2 단부(300b)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젝션 몸체(322) 내에는 도시되지 않은 복수의 부품들, 예를 들면, 캠 부재들 또는 탄성 부재들이 배치되어 푸시-풀(push-pull)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버튼부(323)는 실질적으로 샤프트(321)와 결합하여 이젝션 몸체(322)에 대하여 직선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버튼부(323)는 사용자가 손톱을 이용해 스타일러스 펜(201)을 빼낼 수 있도록 걸림 구조가 형성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타일러스 펜(201)은 샤프트(321)의 직선 왕복 운동을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함으로써, 또 다른 입력 방식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회로기판부(330)는, 인쇄회로기판(332), 상기 인쇄회로기판(332)의 적어도 일면을 둘러싸는 베이스(331) 및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331)의 상면에는 인쇄회로기판(332)이 배치되는 기판안착부(333)가 형성되고, 인쇄회로기판(332)은 기판안착부(333)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332)은 제1 면과 제2 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면에는 코일(313)과 연결되는 가변용량 커패시터 또는 스위치(334)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면에는 충전 회로, 배터리(336) 또는 통신 회로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인쇄회로기판(332)의 제1 면과 제2 면은 일실시예에 따르면, 위/아래로 적층된 구조에서 서로 다른 적층면을 의미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3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인쇄회로기판의 서로 다른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배터리(336)는 EDLC(electric double layered capacitor)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회로는 코일(313) 및 배터리 사이에 위치하며, 전압 검출 회로(voltage detector circuitry) 및 정류기(rect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336)는 반드시 인쇄회로기판(332)의 제2 면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배터리(336)의 위치는 회로기판(330)의 다양한 실장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는, 도 3b에 도시된 예와 같은 안테나 구조물(339) 및/또는 인쇄회로기판(332)에 임베디드(embedded)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332) 상에는 스위치(334)가 구비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에 구비되는 제2 버튼(337)은 스위치(334)를 누르는데 이용되고 펜 하우징(300)의 측면 개구부(30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버튼(337)은 지지부재(338)에 의해 지지되면서, 제2 버튼(337)에 작용하는 외력이 없으면, 지지부재(338)가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여 제2 버튼(337)을 일정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복원 또는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버튼(337)은, 물리 키, 터치 키, 모션 키, 압력 키, 키 리스(key less)의 방식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버튼의 구현 형태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회로기판부(330)는 예를 들면, 오-링(O-ring)과 같은 패킹 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331)의 양단에 탄성체로 제작된 오-링이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331)와 상기 펜 하우징(300) 사이에 밀봉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재(338)는 부분적으로 상기 측면 개구부(302)의 주위에서 상기 펜 하우징(300)의 내벽에 밀착하여 밀봉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회로기판부(330)도 적어도 일 부분에 상기 코일부(310)의 패킹 링(312)과 유사한 방수, 방진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은, 베이스(331)의 상면에 배터리(336)가 배치되는 배터리 안착부(333a)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안착부(333a)에 탑재될 수 있는 배터리(336)는, 예를 들어, 실린더형(cylinder type)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은, 마이크로 폰(미도시) 및/또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폰 및/또는 스피커는 인쇄회로기판(332)에 직접 연결되거나, 인쇄회로기판(332)과 연결된 별도의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 폰 및/또는 스피커는 스타일러스 펜(301)의 긴 방향으로 제2 버튼(337)과 평행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스타일러스 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펜 컨트롤러(410)를 포함할 수 있다. 펜 컨트롤러(410)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411,4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코일(411,412)을 통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예: 도 2의 스타일러스 펜(201))에 충전용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코일(411,412)은 스타일러스 펜(201)이 전자 장치(101)의 수납 공간으로 삽입된 경우, 스타일러스 펜(201)의 코일(421)과 물리적으로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나, 배치 위치에는 제한이 없다. 한편, 수납 공간으로의 삽입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 전자 장치(101)는 수납 공간 이외에도, 스타일러스 펜(201)이 장착(또는, 부착)될 수 있는 영역(또는, 공간)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스타일러스 펜(201)은 해당 영역(또는, 공간)에 탈부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의 스타일러스펜(201)의 수납 공간 내의 위치 시의 동작은, 다른 실시예에서 장착 영역(또는, 공간)에 부착된 경우에 수행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펜 컨트롤러(410)의 적어도 일부의 기능은 프로세서(12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펜 컨트롤러(410) 및 프로세서(120)가 통합되어 적어도 일부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펜 컨트롤러(410)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표현은 프로세서(120)에 의하여 수행되거나, 또는 프로세서(120)로부터 독립적인 제어 회로에 의하여 수행됨을 의미할 수 있다. 펜 컨트롤러(410)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411,412)이외에도 제어 회로(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로부터 독립적인 제어 회로), 인버터, 및/또는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펜 컨트롤러(410)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코일(411,412)에 충전을 위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펜 컨트롤러(410)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411,412)을 통하여, 패턴을 가지는 신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 패턴은, 스타일러스 펜(201)의 제어를 위하여 스타일러스 펜(201)과 미리 공유된 것으로, 예를 들어 충전 개시 지시 패턴, 충전 종료 지시 패턴, 검출 패턴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충전 신호, 또는 제어를 위한 패턴을 가지는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코일(411,412)은 2개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 그 숫자에는 제한이 없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201)의 공진회로(420)(예: 도 3a의 공진 회로(287))는 코일(421),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422,423), 및/또는 스위치(424)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424)가 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코일(421) 및 커패시터(422)가 공진 회로를 구성할 수 있으며, 스위치(424)가 온 상태인 경우에는 코일(421)과 커패시터들(422,423)이 공진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424)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공진 회로(420)의 공진 주파수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201)으로부터의 신호의 주파수에 기반하여, 스위치(424)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201)의 버튼(337)이 눌림/릴리즈되는 경우, 스위치(424)가 온/오프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버튼(337)의 눌림 여부를, 디지타이저를 통하여 확인되는 수신 신호의 주파수에 기반하여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정류기(431,435)는, 공진 회로(420)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파형의 신호(VPEN)를 정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충전 스위치 컨트롤러(SWchg ctrl)(432)는, 정류기(431)로부터 출력되는 정류된 신호(VM)를 수신할 수 있다. 정류된 신호(VM)에 기반하여, 충전 스위치 컨트롤러(432)는, 공진 회로(420)에서 발생되는 신호가 충전용 신호인지 또는 위치 검출을 위한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스위치 컨트롤러(432)는, 예를 들어 정류된 신호(VM)의 전압의 크기에 기반하여 공진 회로(420)에서 발생되는 신호가 충전용 신호인지 또는 위치 검출을 위한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충전 스위치 컨트롤러(432)는, 정류된 신호(VM)의 파형에 기반하여 충전 개시용 패턴을 가지는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충전용 신호인 것으로 확인되면, 충전 스위치 컨트롤러(432)는 충전 스위치(SWchg)(436)를 온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충전 개시용 패턴을 가지는 신호가 검출되면, 충전 스위치 컨트롤러(432)는, 충전 스위치(SWchg)(436)를 온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충전 스위치 컨트롤러(432)는 충전 개시 신호(chg_on)를 충전 스위치(436)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정류된 신호(VIN)이 충전 스위치(436)를 통하여 배터리(battery)(437)(예: 도 3a의 배터리(289))로 전달될 수 있다. 배터리(437)는, 수신한 정류된 신호(VIN)를 이용하여 충전될 수 있다. 과전압 보호 회로(over-voltage protection circuit: OVP)(433)는 배터리 전압(VBAT)을 확인할 수 있으며, 배터리 전압이 과전압 임계치를 초과하면 충전 스위치(436)를 오프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로드 스위치 컨트롤러(SWL ctrl)(434)는, 배터리 전압이 동작 전압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로드 스위치(SWL)(438)를 온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로드 스위치(438)가 온 상태가 되면, 배터리(437)로부터의 전력이 BLE 통신 회로 및 컨트롤러(BLE + controller)(439)(예: 도 3a의 통신 회로(290) 및 프로세서(220))로 전달될 수 있다. BLE 통신 회로 및 컨트롤러(439)는 수신한 전력을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버튼 제어 회로(button control)(440)는, 스타일러스 펜(201)과 전자 장치(101)와의 거리가 임계 거리보다 큰 경우, 버튼(예: 버튼(337))의 입력에 대한 정보를 BLE 통신 회로 및 컨트롤러(439)로 전달할 수 있다. BLE 통신 회로 및 컨트롤러(439)는 수신한 버튼 입력에 대한 정보를, 안테나(441)(예: 도 3a의 안테나(297))를 통하여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센서(450)(예: 도 3a의 센서(299))는, 자이로 센서(451) 및/또는 가속도 센서(452)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451) 및/또는 가속도 센서(452)에 의하여 획득된 센싱 데이터는 BLE 통신 회로 및 컨트롤러(439)로 전달될 수 있다. BLE 통신 회로 및 컨트롤러(439)는,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안테나(441)를 통하여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또는, BLE 통신 회로 및 컨트롤러(439)는, 수신한 센싱 데이터에 기반하여 확인된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와 연관된 정보(예: 스타일러스 펜(201)의 좌표 및/또는 변위)를 확인할 수 있다. BLE 통신 회로 및 컨트롤러(439)는, 확인된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와 연관된 정보를, 안테나(441)를 통하여,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BLE 통신 회로 및 컨트롤러(439)는, 스타일러스 펜(201)이 전자 장치(101)로부터 인출된 경우, 가속도 센서(452)를 활성화할 수 있다. BLE 통신 회로 및 컨트롤러(439)는, 버튼(예: 버튼(337))이 눌러지는 경우, 자이로 센서(451)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한편, 활성화 시점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 센서별 활성화 시점에는 제한이 없다. 아울러, 센서(450)는 지자계 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가속도 센서(452)만이 활성화된 경우, 스타일러스 펜(201)은 전자 장치(101)로 가속도 센서(452)에 의하여 측정된 가속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1)는 펜 신호에 기반하여 확인된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와 가속도 정보에 동시에 기반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센싱 패널 컨트롤러(sensing panel controller)(511), 프로세서(512)(예: 프로세서(120)), 블루투스 컨트롤러(513)(예: 통신 모듈(190)), 및/또는 안테나(514)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센싱 패널(503), 센싱 패널(503)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display assembly)(502), 및/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502) 상에 배치되는 윈도우(window)(501)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센싱 패널 (503)이 디지타이저로 구현된 경우에는, 상측 또는 하측에, 사용자의 터치를 센싱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이 더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구현에 따라 디스플레이 어셈블리(502)의 상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센싱 패널(503)는 디지타이저(digitizer)로 구현되어 복수 개의 루프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디지타이저(digitizer)로 구현된 경우, 센싱 패널(503)은, 루프 코일들에 전기적인 신호(예: 전송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소자(예: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 패널(503)는, 루프 코일들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예: 입력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소자(예: 증폭기, 커패시터, ADC)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 패널(503)은, 루프 코일들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신호들의 크기(예: 채널 별 변환된 디지털 값들)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를 확인하여 프로세서(120)로 출력할 수 있다. 또는, 구현에 따라서, 프로세서(120)가, 루프 코일들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신호들의 크기(예: 채널 별 변환된 디지털 값들)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를 확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센싱 패널(503)은, 루프 코일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코일은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은 주변에 형성된 자기장에 의하여 공진될 수 있으며, 공진에 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으로부터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으로부터 형성된 자기장에 의하여, 루프 코일들 각각으로부터 전류가 출력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루프 코일들 채널 별 전류의 크기(예: 변환된 디지털 값들)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루프 코일들의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하여, 1개의 축(예: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일들 및 다른 1개의 축(예: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일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그 배열 형태에는 제한이 없다. 센싱 패널 컨트롤러(511)는, 센싱 패널(503)의 복수 개의 루프 코일 중 적어도 일부에 전송 신호(Tx)를 인가할 수 있으며, 전송 신호(Tx)를 수신한 루프 코일은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센싱 패널 컨트롤러(511)는, 시분할적으로, 복수 개의 루프 코일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수신 신호(Rx)를 수신할 수 있다. 센싱 패널 컨트롤러(511)는, 수신 신호(Rx)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예: 도 2의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를 프로세서(512)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루프 코일별(예를 들어, 채널 별) 수신 신호(Rx)의 크기가 상이할 수 있으며, 수신 신호의 크기들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가 확인될 수 있다. 아울러, 전자 장치(101)는, 수신 신호의 주파수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버튼(예: 버튼(337))의 눌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신호의 주파수가 제 1 주파수인 경우에는,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버튼이 눌린 상태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수신 신호의 주파수가 제 2 주파수인 경우에는 전자 장치(110)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버튼이 릴리즈 상태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센싱 패널이 터치 스크린 패널(TSP)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센싱 패널(503)은 전극으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0)의 위치를 확인할 수도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502)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센서 전극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502)의 내측에 위치하는 인-셀(in-cell)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또는 센서 전극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502) 상에 위치하는 온-셀(on-cell)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1)는 터치 패널 전극에서의 커패시턴스(상호 커패시턴스 및/또는 셀프 커패시턴스)의 변경에 기반하여 펜을 검출할 수도 있다. 디지타이저 또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의 펜 신호를 센싱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센싱 패널(503)로 명명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로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를 확인하는 경우에는,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통신 신호에 기반하여 버튼의 눌림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센싱 패널 컨트롤러(511)는, 수신 신호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전자 장치(101)로의 삽입(또는, 결합)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으며, 이를 프로세서(512)로 전달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서, 센싱 패널 컨트롤러(511)는 센싱 패널(503)과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도 4의 펜 컨트롤러(410)는 센싱 패널 컨트롤러(510)와 하나의 IC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512)는, 삽입 여부에 기반하여 무선 충전을 위한 신호를 송출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512)는, 삽입 여부에 기반하여 블루투스 컨트롤러(513)를 제어하여, 만약 무선 통신 연결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타일러스 펜(201)으로의 무선 통신을 연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스타일러스 펜(201)의 장착 시에는 충전 용량 정보를, 예를 들어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으며, 펜 탈거 시에는 버튼 눌림, 센서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아울러, 프로세서(512)는, 스타일러스 펜(201)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센싱 패널 컨트롤러(511)로 충전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12)는, 스타일러스 펜(201)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제스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제스처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512)는, 제스처에 매핑된 기능을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할 수 있다. 블루투스 컨트롤러(513)는, 스타일러스 펜(201)과, 안테나(514)를 통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502)는,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501)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502)의 적어도 일부가 시각적으로 노출 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전자 장치 삽입 시의 스타일러스 펜 및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601 동작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예: 도 2의 스타일러스 펜(201))이 전자 장치(1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수납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타일러스 펜(201)을 전자 장치(101)의 수납 공간으로 삽입할 수 있으며, 해당 동작이 스타일러스 펜(201)의 능동적인 동작이 아님에 기반하여 점선으로 처리하였다. 도 6a의 실시예는, 스타일러스 펜(201)과 전자 장치(101)와 통신 연결이 형성되지 않은 스타일러스 펜(201)이 전자 장치(101)에 삽입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된다. 본 개시에서, 전자 장치(101), 또는 스타일러스 펜(201)이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것은,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프로세서(120) 또는 스타일러스 펜(201)에 포함된 프로세서(220)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 또는 스타일러스 펜(201)이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것은,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프로세서(120) 또는 스타일러스 펜(201)에 포함된 프로세서(220)가 다른 하드웨어로 하여금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1), 또는 스타일러스 펜(201)이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것은,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프로세서(120) 또는 스타일러스 펜(201)에 포함된 프로세서(220)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이 실행됨 또는 인스트럭션이 저장됨을 의미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60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삽입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수납 공간 코일(예: 코일(411,412))를 통하여 송신된 송신 신호에 대응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으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신호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삽입을 감지할 수 있으나, 삽입 감지 방식에는 제한이 없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605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초기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리셋 명령을 스타일러스 펜(201)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연결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 아이들(idle) 상태, 스턱(stuck) 상태, 연결 이력이 없는 스타일러스 펜(201)이 삽입됨이 확인되면, 리셋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607 동작에서, 스타일러스 펜(201)는, 리셋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201)은, 기존의 BLE 연결을 해제하고, BLE 통신 모듈을 초기화할 수 있다. 609 동작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은, 애드버타이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201)은 애드버타이즈먼트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611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삽입된 스타일러스 펜(201)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한 애드버타이즈먼트 신호에 기반하여, 삽입된 스타일러스 펜(201)을 확인할 수 있다. 61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애드버타이즈먼트 신호에 대응하는 연결 요청(connection request)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은, 615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와 통신 연결(communication connection)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전자 장치의 삽입 시의 상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621 동작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이 전자 장치(101)의 수납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623 동작에서, 삽입이 확인되면, 625 동작에서, 충전을 개시(charge start)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충전 개시를 나타내는 패턴의 신호를 수납 공간의 코일(411,412)을 통하여 전달하거나, 또는 통신 모듈을 통하여 충전 개시를 나타내는 통신 신호를 스타일러스 펜(201)으로 전달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은 충전 개시를 나타내는 정보를 확인하고, 충전 개시(chg_on)를 627 동작에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201)은, 정류기(435)를 배터리(437)에 연결하도록 충전 스위치(436)를 제어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은 수납 공간 내의 위치함(garage in)을 629 동작에서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631 동작에서, 리셋 개시(reset start)의 명령을 스타일러스 펜(201)으로 전달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은 633 동작에서 리셋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201)은 BLE 모듈을 초기화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635 동작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은 애드버타이징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637 동작에서 스타일러스 펜을 위한 스캔을 개시할 수 있으며, 639 동작에서 스캔을 지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임 아웃(예: 40초) 기간 동안 전자 장치(101)는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삽입된 스타일러스 펜의 검색(search)을 641 동작에서 개시할 수 있다. 637 동작, 639 동작, 및 641 동작은, 구현에 따라서 하나의 동작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64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 및 스타일러스 펜(201)은 검색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충전 개시 신호를 송신한 이후에, 애드버타이즈먼트 신호를 송신하는 스타일러스 펜(201)이 존재하는지를 검색할 수 있다. 아울러, 전자 장치(101)는, 충전 개시 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애드버타이즈먼트 신호를 송신하는 스타일러스 펜(201)이 존재하는지를 검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201)은 충전 개시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애드버타이즈먼트 신호를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충전 개시 신호를 송신한 이후의 수신된 애드버타이즈먼트 신호를 확인함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에 삽입된 스타일러스 펜(201)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에 기반하여, 645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삽입된 스타일러스 펜(201)을 검출할 수 있다. 647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연결 요청(connect request)을 스타일러스 펜(201)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649 동작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이 연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651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 및 스타일러스 펜(201)이 연결될 수 있다. 653 동작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은 데스크립터(descriptor)를 설정(set)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데스크립터를 확인할 수 있다. 데스크립터는, 예를 들어 활성화된 기능(예: 버튼 이벤트, 배터리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정보)에 대한 설정일 수 있으며,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655 동작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은 데스크립터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201)과 리셋/통신 연결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고 확인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631의 리셋 개시 과정부터 651의 연결 과정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6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스타일러스 펜의 삽입 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661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의 수납 공간으로 스타일러스 펜(201)이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201)은 최초 삽입 이후에 수납 공간으로부터 탈거되었다가 재삽입될 수 있다. 66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삽입을 감지할 수 있다. 665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충전 활성화를 스타일러스 펜(201)에 명령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수납 공간 코일을 통한 패턴을 가지는 신호의 송신, 또는 통신 모듈을 통한 통신 신호의 송신에 기반하여, 충전 활성화를 명령할 수 있다. 667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충전 모드를 개시할 수 있다. 669 동작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은, 스타일러스 펜(201)의 삽입을 감지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은, 전자 장치(101)로부터 수신된 정보, 또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공진 회로(또는, 정류기 출력단)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에 기반하여 삽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671 동작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은, 센서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은, 일부 센서를 비활성화할 수도 있으며, 또는 센서 비활성화를 생략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67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 및 스타일러스 펜(201)는, 충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673의 충전 동작은, 667의 충전 모드 개시 이후 바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그 수행 시점에는 제한이 없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전자 장치 탈거 시의 스타일러스 펜 및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701 동작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예: 도 2의 스타일러스 펜(201))은, 전자 장치(1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수납 공간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자 장치(101)의 수납 공간으로부터 스타일러스 펜(201)을 꺼낼 수 있다. 70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탈거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수납 공간 코일(411,412)에서의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 미수신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탈거를 감지할 수 있으나, 탈거 감지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전자 장치(101)는, 홀 센서와 같은 검출 센서로부터의 센싱 데이터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삽입/탈거를 확인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705 동작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은, 스타일러스 펜(201)의 탈거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201)은, 정류기(431)의 출력단의 전압(VM)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로부터의 신호 미수신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탈거를 감지할 수 있으나, 탈거 감지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탈거가 감지된 경우, 스타일러스 펜(201)은 전자 장치(101)와 파라미터(예: 연결 인터벌(connection interval) 및/또는 슬레이브 레이튼시(slave latency))를 교환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201)은, 707 동작에서, 탈거 감지에 기반하여, 가속도 센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은, 활성화된 가속도 센서를 통하여, 709 동작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의 가속도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스타일러스 펜(201)은, 센싱된 가속도 정보를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1)는, 수신한 가속도 정보에 기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은, 가속도 센서를 활성화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전력을 소모하는 자이로 센서는,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201)은, 711 동작에서, 버튼(예: 버튼(337))의 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 버튼 입력이 확인되면, 스타일러스 펜(201)은, 713 동작에서, 자이로 센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은 활성화된 자이로 센서를 통하여, 715 동작에서, 회전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717 동작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은, 센싱 결과에 기반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201)은, 가속도 센서 및/또는 자이로 센서를 통하여 획득한 센싱 정보를,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스타일러스 펜(201)은,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통하여 획득한 센싱 정보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좌표(예: 2차원 좌표, 또는 3차원 좌표)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된 좌표를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스타일러스 펜(201)은,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통하여 획득한 센싱 정보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좌표(예: 2차원 좌표, 또는 3차원 좌표)의 변위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된 변위 정보를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은, 가속도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정보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초기 자세(orientation)을 추정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위치에 대한 정보를 보정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719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수신한 정보에 기반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센싱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센싱 정보에 기반한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제스처를 확인하고, 제스처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제스처를 확인하고, 제스처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201)은, 펜 버튼의 입력이 해제될 때까지 정보를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버튼의 입력 해제가 검출되기 전까지 확인된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제스처를 확인할 수 있다. 버튼의 입력 해제가 검출되면, 스타일러스 펜(201)은 자이로 센서를 다시 비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은, 탈거 감지시부터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모두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버튼 입력 이전의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 정보는, 제스처 방향에 대한 보정에 이용될 수 있으며, 제스처 인식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초기 자세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기준으로 한 변위를 이용하여 제스처를 인식할 수도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스타일러스 펜 사이의 삽입/탈거 시의 동작들을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201)(예: 도 2의 스타일러스 펜(201))이 전자 장치(1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 최초 수납된 경우(801), 스타일러스 펜(201) 및 전자 장치(101)는 통신 모듈의 초기화 및 통신 연결을 수행(803)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수납 공간으로부터 스타일러스 펜(201)이 빠지는 경우(811), 전자 장치(101) 및 스타일러스 펜(201)은 제스처 모드(813), 에어 마우스 모드(815), BLE 모드(817), 또는 펜 모드(819)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제스처 모드(813), 에어 마우스 모드(815), BLE 모드(817), 또는 펜 모드(819)는, 스타일러스 펜(201)으로부터의 통신 신호, 또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는 방식에 대한 것으로, 처리 방식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201)이, 센싱 패널(예: 디지타이터 및/또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인식 가능 영역 이내(in-range)에 위치하는 경우, 전자 장치(101) 및 스타일러스 펜(201)은 펜 모드(819)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201)이, 센싱 패널의 인식 가능 영역 바깥(out-range)에 위치하는 경우, 전자 장치(101) 및 스타일러스 펜(201)은 제스처 모드(813), 에어 마우스 모드(815) 또는 BLE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각 모드에 대한 진입 조건 및 모드 별 동작에 대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201)이 전자 장치(101)로 탈거 이후에 재삽입되는 경우(821), 스타일러스 펜(201)은 센서를 비활성화하고 충전(823)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201)은, 최초 삽입 시에도 센서 비활성화 및 충전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의 실시예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 및 전자 장치 사이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901 동작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예: 도 2의 스타일러스 펜(201))의 탈거를 확인할 수 있다. 90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패널로부터의 신호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이 검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1)가 EMR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센싱 패널(503)로부터 출력되는 수신 신호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이 검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스타일러스 펜(201)은 전자 장치(101)의 패널로부터 인식 가능한 범위(h)내에 위치할 수 있다. 센싱 패널(503)은, 제 1 기간 동안 송신 신호(1001)(예: 자기장)를 출력할 수 있다. 송신 신호(1001)에 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 내의 공진 회로에서 공진이 발생될 수 있으며, 공진에 의한 수신 신호(1002)가 발생될 수 있다. 센싱 패널(503)는, 제 2 기간 동안의 수신 신호(1002)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수신 신호(1002)의 세기가 임계 세기를 초과하는 경우, 스타일러스 펜(201)을 검출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스타일러스 펜(201)이 전자 장치(101)의 패널로부터 인식 가능한 범위(h) 밖에 위치하는 경우, 스타일러스 펜(201)으로부터의 수신 신호가 발생하지 않거나, 또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수신 신호의 세기가 임계 세기 미만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201)을 검출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터치 패널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101)는, 터치 패널에서의 커패시턴스 변경의 크기가 임계 변경 크기 미만인 경우, 스타일러스 펜(201)을 검출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스타일러스 펜(201)은 송신 신호(1001)의 세기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이 인식 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201)과 제 1 통신 방식(예: EMR을 이용한 통신 방식)에 기반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통신 방식의 이용 시, 전자 장치(101)는 디지타이저와 같은 센싱 패널(503)을 이용하며, 스타일러스 펜(201)은 공진 코일(예: 코일(421))을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1)는, 제 2 통신 방식(예: BLE를 이용한 통신 방식)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과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201)이 검출된 것으로 확인되면(903-예), 전자 장치(101)는 905 동작에서 패널로부터의 신호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907 동작에서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 1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에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거나, 또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에 따라 드로잉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추가적으로 스타일러스 펜(201)의 버튼 눌림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버튼의 눌림 여부에 더 기반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1)는, 패널에서 확인되는 신호의 주파수 또는 통신 모듈을 통하여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버튼의 눌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1)는, 인식 가능한 범위(h) 내에서 통신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반하여 제스처가 확인되는 경우, 인식 가능한 범위(h) 밖에서의 통신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반하여 제스처가 확인되는 경우와는 상이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식 가능한 범위(h)내의 스타일러스 펜(201)으로부터의 통신 신호에 의한 상측 스와이프 제스처가 확인되면, 전자 장치(101)는 업-스크롤을 수행할 수 있다. 인식 가능한 범위(h)밖의 스타일러스 펜(201)으로부터의 통신 신호에 의한 상측 스와이프 제스처가 확인되면, 전자 장치(101)는 확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인식 가능한 범위(h) 내의 스타일러스 펜(201)으로부터의 통신 신호에 의한 제스처를 무시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201)이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903-아니오), 전자 장치(101)는 909 동작에서 통신 신호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또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버튼 눌림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0에서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201)이 인식 가능한 범위(h) 밖에 있는 경우, 스타일러스 펜(201)은 패널로부터의 송신 신호(1011)을 수신하지 못하며, 이에 따라 공진에 의한 수신 신호가 발생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201)은 전자 장치(101)와 통신 신호(1012)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통신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또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버튼 눌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911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확인 결과에 대응하는 제 2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들에 포함된 정보에 기반하여 처리 모드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된 처리 모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201)이 인식 가능한 범위(h) 내에 위치하는 경우, 스타일러스 펜(201)은 전자 장치(101)의 센싱 패널(503)로부터의 송신 신호(1001)를 검출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은, 송신 신호(1001)가 검출되는 경우에는, 버튼의 눌림이 확인되어도, 확인된 버튼의 눌림을 나타내는 정보를 블루투스 컨트롤러(513)로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버튼이 눌린 상태에서도, 스타일러스 펜(201)은 버튼의 눌림 여부를 나타내는 통신 신호를 전자 장치(101)로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201)이 인식 가능한 범위(h) 바깥에 위치하는 경우, 스타일러스 펜(201)은 통신 신호(1012)를 전자 장치(101)와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스타일러스 펜(201)은 통신 신호(1012)를 송수신하는 동안, 인식 가능한 범위(h) 내로 진입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타일러스 펜(201)은 전자 장치(101)의 센싱 패널(503)로부터의 송신 신호(1001)를 검출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은, 통신 신호(1012)의 송신이 시작된 경우에는, 센싱 패널(503)로부터의 송신 신호(1001)가 검출된다 하더라도, 통신 신호(1012)의 송신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1101 동작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예: 도 2의 스타일러스 펜(201))의 탈거를 확인할 수 있다. 110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패널로부터의 신호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검출이 실패됨을 확인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은 전자 장치(101)의 패널로부터 인식 가능한 범위 밖에 있을 수 있다. 1105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통신 신호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스타일러스 펜(201)의 버튼 눌림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1107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처리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으면서, 스타일러스 펜(201)의 버튼(337)의 조작(눌림-릴리즈)이 확인되면, 전자 장치(101)는 처리 모드를 BLE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1109 동작에서 버튼 눌림 여부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버튼(337)의 롱-프레스가 확인되면, 처리 모드를 에어 마우스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1111 동작에서 마우스 모드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버튼(337)이 눌린 상태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의 움직임이 검출되면, 전자 장치(101)는 처리 모드를 제스처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1113 동작에서 제스처에 매핑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처리 모드의 설정 조건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 제한은 없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스타일러스 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201)(예: 도 2의 스타일러스 펜(201))은, 1201 동작에서, 버튼 눌림을 확인할 수 있다. 1203 동작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은 버튼 눌림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전자 장치(1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1205 동작에서, 통신 신호에 기반하여, 버튼 눌림을 확인할 수 있다. 1207 동작, 1209 동작, 1211 동작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은 전자 장치(101)로 통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버튼이 릴리즈되기 이전에는, 스타일러스 펜(201)은 버튼이 눌린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스타일러스 펜(201)은 버튼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통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스타일러스 펜(201)은,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기 전에는 통신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1207 동작, 1209 동작, 1211 동작은 생략될 수도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은 1213 동작에서, 버튼의 릴리즈를 확인할 수 있다. 1215 동작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은 버튼 릴리즈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1217 동작에서 롱-프레스가 확인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버튼 눌림 시점과 버튼 릴리즈 시점 사이의 시간이 임계 시간(예: 약 3초)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롱-프레스가 확인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아울러, 전자 장치(101)는, 버튼이 눌린 상태에서의 스타일러스 펜(201)의 정지 상태가 확인되거나, 또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제스처가 확인되지 않은 경우, 롱-프레스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1207 동작, 1209 동작, 1211 동작에서 수신한 통신 신호에 포함된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정지 상태 또는 제스처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롱-프레스가 확인된 경우(1217-예), 전자 장치(101)는 1219 동작에서 에어 마우스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롱-프레스가 확인되지 않은 경우(1217-아니오), 1221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BLE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은, 버튼이 일정 시간 동안 눌린 상태를 유지하다가 릴리즈됨을 확인하고, 이에 기반하여 롱-프레스의 발생을 확인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은, 롱-프레스의 발생을 확인하면, 롱-프레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1)는, 통신 신호에 포함된 정보가 롱-프레스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여, 에어 마우스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다. 롱-프레스를 확인하는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아울러, 롱-프레스 검출은, 에어 마우스 모드의 진입 조건의 예시적인 것으로, 에어 마우스 모드의 진입 조건에는 제한이 없다. 스타일러스 펜(201)은, 롱-프레스, 숏-프레스, 또는 더블-프레스를 포함하는 버튼 눌림 정보를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으며, 버튼 눌림 정보에는 제한이 없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201)(예: 도 2의 스타일러스 펜(201))은 1301 동작에서, 에어 마우스 모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1303 동작에서 에어 마우스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롱-프레스 검출에 기반하여 에어 마우스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은, 롱-프레스 검출에 기반하여 에어 마우스 모드를 확인하거나, 또는 전자 장치(101)로부터의 처리 모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에어 마우스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은 1305 동작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1307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포인터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지속적으로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시 중인 포인터의 위치를 연속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1309 동작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은 버튼의 눌림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1311 동작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은, 펜의 버튼의 릴리즈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131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버튼의 눌림 및 릴리즈를 확인하여, 포인터 위치에 대한 클릭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1)는, 버튼의 눌림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 이후,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드래그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1315 동작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은 에어 마우스 모드가 해제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UI를 통한 사용자 입력(예: 해제 아이콘 클릭)에 기반하여 에어 마우스 모드를 종료할 수 있으며, 이를 스타일러스 펜(201)에 통지할 수 있다. 에어 마우스 모드가 해제되는 것을 확인하면(1315-예), 스타일러스 펜(201)은 1317 동작에서, 에어 마우스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자 장치(101)는 에어 마우스 종료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201)으로부터 에어 마우스 종료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전자 장치(101)에 설정된 에어 마우스 종료 이벤트를 확인함으로써 에어 마우스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도 14a 및 14b는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에어 마우스 모드에서의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4a를 참조하면, 에어 마우스 모드에서, 사용자는, 스타일러스 펜(201)(예: 도 2의 스타일러스 펜(201))의 버튼(337)을 누른 상태에서 좌에서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1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에어 마우스 모드에서, 버튼(337)의 눌림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통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포인터(140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버튼이 눌린 상태에서의 포인터 이동에 기반하여 드래그 제스처에 대응하는 드로잉 오브젝트(1403)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스쳐 모드에서도 드래그 제스처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예: 제스쳐의 종류 또는 제스쳐 입력 궤적)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확인함으로써 자신이 입력하는 제스쳐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201)의 버튼(337)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시킨 경우, 전자 장치(101)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통신 신호에 기반하여, 포인터(140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4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도킹 스테이션(1420)에 연결될 수도 있으며, 도킹 스테이션(1420)을 통하여 외부 표시 장치(1410)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도킹 스테이션(1420)을 통한 연결은 단순히 예시적이며, 전자 장치(101)는 중간 매개 장치 없이 직접적으로 외부 표시 장치(1410)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1)는, 표시되는 화면을 외부 표시 장치(1410)로 송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드래그 제스처의 처리 결과의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외부 표시 장치(1410)로 송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표시 장치(1410)는, 드래그 제스처에 따라서 포인터(1411)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외부 표시 장치(1410)는, 처리 결과에 따라 이동한 포인터(1411) 및 드로잉 오브젝트(1413)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에어 마우스 모드에서는,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이동을 포인터 이동으로서 처리할 수 있으며, 스타일러스 펜(201)의 버튼의 눌림 및 릴리즈를 레거시 마우스 버튼의 눌림 및 릴리즈로서 처리할 수 있으나, 제한은 없다.
도 15a 및 15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마우스 종료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들을 도시한다.
도 15a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서, 1501 동작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예: 도 2의 스타일러스 펜(201))이 전자 장치(1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 삽입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1503 동작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의 삽입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1505 동작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으로 충전 개시를 명령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은 1507 동작에서, 충전 개시를 확인하여 충전을 개시할 수 있다. 1509 동작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은 수납 공간 내의 위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1507 동작에서 에어 마우스 모드 종료를 스타일러스 펜(201)에 명령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을 통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에 에어 마우스 모드 종료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1)는, 수납 공간 코일에, 에어 마우스 모드 종료에 대응하는 패턴의 신호를 인가할 수도 있다. 1509 동작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은 에어 마우스 모드를 종료하고, 파라미터(예: 연결 인터벌 및/또는 슬레이브 레이튼시)를 변경하고, 이를 전자 장치(101)에 통지할 수 있다. 1511 동작에서, 스타일러스 펜(201) 및 전자 장치(101)는 파라미터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5a의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가 에어 마우스 모드 종료를 스타일러스 펜(201)에 명령할 수 있다.
도 15b의 1521 동작, 1523 동작, 1525 동작, 1527 동작, 1529 동작, 1535 동작, 및 1537 동작에 대하여서는 도 15a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201)은 수납 공간 내의 위치를 확인함에 기반하여, 1531 동작에서 에어 마우스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은 일정 기간(예: 5초)을 대기한 이후에 에어 마우스 모드를 종료할 수도 있으나, 다른 구현 예에서는 대기 기간 없이 바로 에어 마우스 모드를 종료할 수도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은, 에어 마우스 모드의 종료를 전자 장치(101)로 통지할 수도 있으며, 전자 장치(101)는 1535 동작에서 에어 마우스 모드를 종료할 수도 있다. 도 15b의 실시예에서는, 스타일러스 펜(201)이 에어 마우스 모드 종료를 전자 장치(101)에 명령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다른 스타일러스 펜이 전자 장치(101)에 삽입되는 경우 에어 마우스 모드가 의도하지 않게 종료되는 것이 방지될 수도 있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모드에서의 스타일러스 펜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201)(예: 도 2의 스타일러스 펜(201))은 1601 동작에서 버튼 눌림을 확인할 수 있다. 1603 동작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은 버튼 눌림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전자 장치(1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1605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통신 신호에 기반하여, 버튼 눌림을 확인할 수 있다. 1607 동작, 1609 동작, 1611 동작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은 통신 신호들을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으며, 통신 신호들 각각에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161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반하여 제스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따른 좌표의 이동 궤적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동 궤적에 대응되는 제스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6에서는, 전자 장치(101)가 버튼 릴리즈 이전에 제스처를 확인하는 것과 같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 버튼 릴리즈가 확인되면 이 때 제스처를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1615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스처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반하여 제스처가 확인되면 이를 트리거로 제스처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실시간으로 제스처의 검출 여부를 모니터링하다가 제스처가 검출되면, 이를 트리거로 하여 제스처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버튼의 릴리즈가 트리거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트리거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정지가 확인되면, 정지 이전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확인된 제스처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1617 동작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은, 버튼 릴리즈를 확인할 수 있다. 1619 동작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은 버튼 릴리즈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1621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통신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반하여 버튼 릴리즈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버튼 릴리즈 확인에 기반하여 모드를 종료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1)는 버튼 릴리즈를 제스처에 대응하는 동작 수행의 트리거로 설정할 수도 있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버튼(337)이 눌러진 상태에서의 스타일러스 펜(201)(예: 도 2의 스타일러스 펜(201))의 이동에 따른 복수의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후보 제스처로서 서클 제스처(circle gesture) 및 스와이프 제스처(swipe gesture)를 확인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스와이프 제스처를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에서 스와이프 제스처에 매핑된 기능이 갤러리 이미지 전환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인 제 1 이미지(1701)를, 제 1 이미지(1701)의 적어도 일부와 제 2 이미지(1702)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자 장치(101)는, 이후 제 2 이미지(1702)의 전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미지 전환이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1)는 어플리케이션별로, 제스처에 대응하는 동작을 매핑시켜 저장할 수 있다. 표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별 제스처에 매핑된 기능을 나타낸다.
어플리케이션 상/하측 스와이프 제스처 좌/우측 스와이프 제스처 시계/반시계 방향 제스처
카메라 촬영 전: 전후 카메라 전환 촬영전: 모드 전환촬영중: N/A 후면 카메라 촬영 중:
zoom in/out
갤러리 detail/detail view 확인 previous/next 사진 확인 즐겨찾기 추가/해제
노트 스크롤 업/다운 모드 탭 전환 핸드라이트 텍스트 변환/취소
인터넷 스크롤 업/다운 previous/next 화면 확인 새로 고침
뮤직 미설정 previous/next 트랙 볼륨 업/다운
비디오 미설정 previous/next 파일 볼륨 업/다운
오피스 프리젠테이션 시작 페이지 이동 특수 기능 실행/종료
표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예: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상태(state)(예: 촬영 전 상태 또는 촬영 중 상태)에 대하여, 제스처에 상이한 기능을 매핑할 수도 있다.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예: 뮤직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특정 제스처(예: 상/하측 스와이프 제스처)에 기능이 매핑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1)는, 어플리케이션에 제한되지 않는 글로벌 제스처에 대한 기능 또한 설정할 수도 있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BLE 모드에서의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BLE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201)(예: 도 2의 스타일러스 펜(201))으로부터 버튼의 눌림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버튼의 눌림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에서와 같이 버튼의 눌림이 확인되면, 전자 장치(101)는 포어 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서, 버튼 눌림에 대응하여 매핑된 동작(예: selfie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프리뷰 이미지(1810)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1901 동작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예: 도 2의 스타일러스 펜(201))은, 스타일러스 펜(201)의 탈거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201)은, 공진 회로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패턴 및/또는 크기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탈거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스타일러스 펜(201)은, 전자 장치(1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로부터의 통신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탈거를 확인할 수도 있다. 1903 동작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은, 복수 개의 센서들 중 일부를 활성화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센서들 중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는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1905 동작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은, 활성화된 센서에 의하여 센싱된 데이터에 기반한 정보를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201)은 가속도 센서를 활성화하고, 가속도 센서에 의하여 센싱된 정보 또는 센싱된 정보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가속도 센싱 정보에 기반하여 이차원 제스처를 확인하여 해당 제스처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1)는 다른 정보를 가속도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보정하거나, 또는 다른 정보 및 가속도 센싱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확인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타일러스 펜(201)은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된 정보를, 스타일러스 펜(201)의 자세를 확인하는데 이용하며, 전자 장치(101)로는 송신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201)은 1907 동작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의 버튼이 눌린 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의 버튼이 눌린 것으로 확인되면(1907-예), 스타일러스 펜(201)은 1909 동작에서, 비활성화 상태인 센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201)은 비활성화 상태였던 나머지 센서(예: 자이로 센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1911 동작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은 복수 개의 센서들에 의하여 센싱된 데이터에 기반한 정보를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201)은, 자이로 센서에 의한 회전 정보 및 가속도 센서에 의한 리니어한 가속도 정보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변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가 활성화되기 이전에 획득되었던 가속도 정보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초기 자세를 확인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스타일러스 펜(201)은 초기 자세를 기준으로 한 변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변위 정보는,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변위 정보 이외에도 좌표 정보가 계산될 수도 있다. 1913 동작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은, 스타일러스 펜(201)의 버튼이 릴리즈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버튼이 릴리즈된 것으로 확인되면(1913-예), 스타일러스 펜(201)은 1915 동작에서 복수 개의 센서들 중 일부를 활성화하고, 나머지 센서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실시예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은, 탈거가 확인되면 복수 개의 센서들 전체를 활성화하거나, 또는 버튼이 눌러짐이 확인되면 복수 개의 센서들 전체를 활성화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으며, 센서 각각의 활성화 시점에는 제한이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등적으로 센서가 활성화됨에 따라서, 소모 전력이 감소될 수 있어, 스타일러스 펜(201)의 사용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은, 상술한 바와 같이 버튼의 롱-프레스가 검출되면, 에어 마우스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은 에어 마우스 모드로 진입한 경우에는, 버튼의 릴리즈가 검출된다 하더라도 복수 개의 센서들의 활성화를 유지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은, 활성화된 복수 개의 센서들을 이용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이후, 에어 마우스 모드가 종료되면, 스타일러스 펜(201)은 일부 센서들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은, 제스처 모드로 진입한 경우에는, 버튼의 릴리즈가 검출되면 일부 센서들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은 펜 모드에서는, 자이로 센서는 활성화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버튼이 눌림이 확인되더라도 자이로 센서가 활성화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에 포함된 센서는, 환경변화(예: 외부충격, 온도, 습도)로 초래되는 오차를 개선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또는 필요한 경우 보정이 필요하다. 스타일러스 펜(201)은, 자체적으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거나, 또는 전자 장치(101)의 명령에 기반하여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은, 전자 장치(101)에 삽입된 이후, 지정된 주기(예: 4시간)마다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스타일러스 펜(201)은, 사용자 사용조건 아님이 확인되는 경우(예: 센서의 센싱 값 변화가 임계 값 이하),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은, 예를 들어 사용 조건이 아닌 경우에 확인되는 센싱 데이터를 오프셋(offset)으로 저장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은, 추후 센싱되는 센싱 데이터를 오프셋으로 보정함으로써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은, 새로운 오프셋을 확인하기 전까지 기존의 오프셋을 저장하였다가, 보정 과정에서 이용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를 확인하도록 설정된 패널(예: 센싱 패널(503)),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과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설정된 통신 모듈(예: 통신 모듈(190)),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상기 패널(예: 센싱 패널(503))에 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이 검출됨에 기반하여: 상기 패널(예: 센싱 패널(503))에 의하여 확인된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 1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패널(예: 센싱 패널(503))에 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이 검출되지 않음에 기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으로부터, 상기 통신 모듈(예: 통신 모듈(190))을 통하여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에 포함된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의 버튼(예: 버튼(337))의 눌림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고,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에 포함된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의 버튼(예: 버튼(337))의 눌림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제 2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예: 표시 장치(1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상기 패널(예: 센싱 패널(503))에 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이 검출되지 않음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통신 신호에 기반하여, 제 1 처리 방식을 확인하고,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예: 표시 장치(160))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처리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제 2 통신 신호에 포함된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통신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의 버튼(예: 버튼(337))의 롱-프레스가 확인됨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처리 방식을 확인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 1 처리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제 3 통신 신호에 기반하여, 마우스 클릭 기능에 매핑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 1 처리 방식의 종료 이벤트가 확인되면 상기 제 1 처리 방식을 종료하고 상기 제 1 처리 방식의 종료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으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예: 통신 모듈(190))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으로부터 상기 제 1 처리 방식의 종료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가 상기 통신 모듈(예: 통신 모듈(190))을 통하여 수신되면, 상기 제 1 처리 방식을 종료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상기 패널(예: 센싱 패널(503))에 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이 검출되지 않음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제 4 통신 신호에 기반하여, 제 2 처리 방식을 확인하고, 상기 제 2 처리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 중 제 5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에 포함된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제스처를 확인하고, 상기 제스처에 매핑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 2 처리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제스처가 할당될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제스처에 매핑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 2 처리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4 통신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의 버튼(예: 버튼(337))의 눌림을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5 통신 신호에 포함된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스처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5 통신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상기 통신 모듈(예: 통신 모듈(190))을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제 6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6 통신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의 상기 버튼(예: 버튼(337))의 릴리즈를 확인함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처리 방식을 종료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상기 패널(예: 센싱 패널(503))에 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이 검출되지 않음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제 7 통신 신호에 포함된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의 상기 버튼(예: 버튼(337))의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상기 패널(예: 센싱 패널(503))에 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이 검출됨에 기반하여: 상기 패널(예: 센싱 패널(503))에서 확인되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으로부터 발생된 수신 신호의 주파수에 기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의 상기 버튼(예: 버튼(337))의 눌림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 및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의 상기 버튼(예: 버튼(337))의 눌림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는, 버튼(예: 버튼(337)), 코일 및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공진 회로(예: 공진 회로(287)),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의 움직임,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의 자세, 또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센서(299)), 통신 모듈(예: 통신 회로(290)), 및 적어도 하나의 제어 회로(예: 프로세서(220))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회로(예: 프로세서(220))는,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패널(예: 센싱 패널(503))로부터의 송신 신호가 확인되지 않음에 기반하여: 상기 버튼(예: 버튼(337))의 눌림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버튼(예: 버튼(337))의 눌림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센서(299))에 의하여 센싱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버튼(예: 버튼(337))의 눌림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예: 통신 회로(290))을 제어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상기 패널(예: 센싱 패널(503))로부터의 상기 송신 신호가 확인되는 경우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가 송신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회로(예: 프로세서(220))는, 상기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상기 패널(예: 센싱 패널(503))로부터의 상기 송신 신호가 확인되지 않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의 적어도 일부가 송신된 이후에 상기 송신 신호가 확인됨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의 다른 일부의 송신을 유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회로(예: 프로세서(220))는, 상기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상기 패널(예: 센싱 패널(503))로부터의 상기 송신 신호가 확인되는 경우에는, 상기 버튼(예: 버튼(337))의 눌림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예: 통신 회로(290))로의 전달을 삼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회로(예: 프로세서(2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의 제 1 처리 방식을 확인하고, 상기 제 1 처리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처리 방식 확인 이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센서(299))에 의하여 확인된 센싱 데이터에 기반하여 확인된 시계열적인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예: 통신 회로(290))을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회로(예: 프로세서(220))는, 상기 버튼(예: 버튼(337))의 롱-프레스가 확인됨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처리 방식을 확인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회로(예: 프로세서(220))는, 상기 제 1 처리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처리 방식 확인 이후 상기 버튼(예: 버튼(337))의 눌림 또는 상기 버튼(예: 버튼(337))의 릴리즈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예: 통신 회로(290))을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회로(예: 프로세서(220))는, 상기 제 1 처리 방식의 종료 이벤트가 확인되면 상기 제 1 처리 방식을 종료하고 상기 제 1 처리 방식의 종료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예: 통신 회로(290))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로부터 상기 제 1 처리 방식의 종료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가 상기 통신 모듈(예: 통신 회로(290))을 통하여 수신되면, 상기 제 1 처리 방식을 종료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회로(예: 프로세서(220))는, 상기 제 1 처리 방식이 적용 중인 도중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센서(299))를 모두 활성화하고, 상기 제 1 처리 방식이 적용되기 이전과, 상기 제 1 처리 방식이 종료된 이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센서(299)) 중 일부를 비활성화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회로(예: 프로세서(220))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으로부터의 통신 신호의 제 2 처리 방식을 확인하고, 상기 제 2 처리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처리 방식의 종료 이벤트 검출 이전까지 상기 제 2 처리 방식 확인 이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센서(299))에 의하여 확인된 센싱 데이터에 기반하여 확인된 시계열적인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예: 통신 회로(290))을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회로(예: 프로세서(220))는, 상기 버튼(예: 버튼(337))의 눌림이 확인됨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처리 방식을 확인하고, 상기 버튼(예: 버튼(337))의 릴리즈가 확인됨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처리 방식의 종료 이벤트를 검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컴퓨터 장치,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마스터 장치 또는 태스크 수행 장치)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마스터 장치 또는 태스크 수행 장치)의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1)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확인하도록 설정된 패널;
    상기 스타일러스 펜과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설정된 통신 회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 시에,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패널에 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검출됨에 기반하여:
    상기 패널에 의하여 확인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 1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패널에 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검출되지 않음에 기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하여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에 포함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버튼의 눌림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에 포함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버튼의 눌림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반하여 제 2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의 제 1 처리 방식을 확인하고,
    상기 제 1 처리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처리 방식의 확인 이후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하여 확인된 센싱 데이터에 기반한 시계열적인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패널에 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검출되지 않음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통신 신호에 기반하여,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처리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제 2 통신 신호에 포함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통신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버튼의 롱-프레스가 확인됨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처리 방식을 확인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 1 처리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제 3 통신 신호에 기반하여, 마우스 클릭 기능에 매핑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 1 처리 방식의 종료 이벤트가 확인되면 상기 제 1 처리 방식을 종료하고 상기 제 1 처리 방식의 종료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상기 제 1 처리 방식의 종료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가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하여 수신되면, 상기 제 1 처리 방식을 종료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패널에 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검출되지 않음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제 4 통신 신호에 기반하여, 제 2 처리 방식을 확인하고,
    상기 제 2 처리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제 5 통신 신호에 포함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제스처를 확인하고,
    상기 제스처에 매핑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 2 처리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제스처가 할당될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제스처에 매핑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 2 처리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4 통신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버튼의 눌림을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5 통신 신호에 포함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스처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5 통신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제 6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6 통신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상기 버튼의 릴리즈를 확인함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처리 방식을 종료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패널에 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검출되지 않음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제 7 통신 신호에 포함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상기 버튼의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패널에 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검출됨에 기반하여:
    상기 패널에서 확인되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발생된 수신 신호의 주파수에 기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상기 버튼의 눌림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 및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상기 버튼의 눌림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1. 스타일러스 펜에 있어서,
    버튼;
    코일 및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공진 회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움직임,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자세, 또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통신 회로; 및
    적어도 하나의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회로는,
    전자 장치의 패널로부터의 송신 신호가 확인되지 않음에 기반하여:
    상기 버튼의 눌림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버튼의 눌림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하여 센싱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버튼의 눌림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패널로부터의 상기 송신 신호가 확인되는 경우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가 송신되지 않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회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의 제 1 처리 방식을 확인하고,
    상기 제 1 처리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처리 방식의 확인 이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하여 확인된 센싱 데이터에 기반한 시계열적인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스타일러스 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회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패널로부터의 상기 송신 신호가 확인되지 않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의 적어도 일부가 송신된 이후에 상기 송신 신호가 확인됨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의 다른 일부의 송신을 유지하도록 설정되는 스타일러스 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회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패널로부터의 상기 송신 신호가 확인되는 경우에는, 상기 버튼의 눌림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 회로로의 전달을 삼가하도록 설정된 스타일러스 펜.
  14. 삭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회로는,
    상기 버튼의 롱-프레스가 확인됨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처리 방식을 확인하도록 설정된 스타일러스 펜.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회로는,
    상기 제 1 처리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처리 방식 확인 이후 상기 버튼의 눌림 또는 상기 버튼의 릴리즈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스타일러스 펜.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회로는,
    상기 제 1 처리 방식의 종료 이벤트가 확인되면 상기 제 1 처리 방식을 종료하고 상기 제 1 처리 방식의 종료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 1 처리 방식의 종료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가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하여 수신되면, 상기 제 1 처리 방식을 종료하도록 설정된 스타일러스 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회로는,
    상기 제 1 처리 방식이 적용 중인 도중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모두 활성화하고,
    상기 제 1 처리 방식이 적용되기 이전과, 상기 제 1 처리 방식이 종료된 이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중 일부를 비활성화하도록 설정된 스타일러스 펜.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회로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의 통신 신호의 제 2 처리 방식을 확인하고,
    상기 제 2 처리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처리 방식의 종료 이벤트 검출 이전까지 상기 제 2 처리 방식 확인 이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하여 확인된 센싱 데이터에 기반하여 확인된 시계열적인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스타일러스 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회로는,
    상기 버튼의 눌림이 확인됨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처리 방식을 확인하고, 상기 버튼의 릴리즈가 확인됨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처리 방식의 종료 이벤트를 검출하도록 설정된 스타일러스 펜.

  21.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에 전자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패널에 의하여 스타일러스 펜이 검출됨에 기반하여:
    상기 패널에 의하여 확인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 1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패널에 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검출되지 않음에 기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통신 회로를 통하여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에 포함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버튼의 눌림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에 포함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버튼의 눌림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반하여 제 2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의 제 1 처리 방식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처리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처리 방식의 확인 이후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하여 확인된 센싱 데이터에 기반한 시계열적인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190095799A 2019-08-06 2019-08-06 스타일러스 펜을 인식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ctive KR102732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799A KR102732884B1 (ko) 2019-08-06 2019-08-06 스타일러스 펜을 인식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CT/KR2020/010324 WO2021025457A1 (ko) 2019-08-06 2020-08-05 스타일러스 펜을 인식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20849884.0A EP3992761A4 (en) 2019-08-06 2020-08-05 ELECTRONIC DEVICE FOR RECOGNIZING PIN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16/978,123 US11874978B2 (en) 2019-08-06 2020-08-05 Electronic device for recognizing stylus pe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799A KR102732884B1 (ko) 2019-08-06 2019-08-06 스타일러스 펜을 인식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099A KR20210017099A (ko) 2021-02-17
KR102732884B1 true KR102732884B1 (ko) 2024-11-25

Family

ID=74503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799A Active KR102732884B1 (ko) 2019-08-06 2019-08-06 스타일러스 펜을 인식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74978B2 (ko)
EP (1) EP3992761A4 (ko)
KR (1) KR102732884B1 (ko)
WO (1) WO20210254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390A (ko) * 2021-01-20 2022-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전자 펜 포인터 표시 방법
CN114020385A (zh) * 2021-11-01 2022-02-0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及系统
CN116107469B (zh) * 2021-11-11 2025-01-03 荣耀终端有限公司 功能模式切换方法、电子设备及系统
KR102758468B1 (ko) * 2022-06-07 2025-01-22 주식회사 하이딥 입력 시스템
CN118051130B (zh) * 2022-06-28 2025-03-21 荣耀终端股份有限公司 演示控制的方法、装置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39690A1 (en) * 2014-11-14 2016-05-19 Apple Inc. Stylus With Inertial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7685A (ja) * 1999-10-18 2001-04-27 Hitachi Information Systems Ltd ペン操作とマウス操作の切換え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用いた情報機器
KR20060125375A (ko) 2005-06-02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우스 기능을 구비한 스타일러스 펜과 그의 마우스 기능구현방법
US9329703B2 (en) 2011-06-22 2016-05-03 Apple Inc. Intelligent stylus
US8797301B2 (en) * 2012-02-15 2014-08-05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Active stylus to host data transmitting method
KR102084041B1 (ko) 2012-08-24 2020-03-04 삼성전자 주식회사 펜 기능 운용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58006A (ko) 2012-11-05 2014-05-14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 펜 입력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전자 펜 입력 방법
US8773405B1 (en) * 2013-01-10 2014-07-08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Stylus and related human interface devices with dynamic power control circuits
KR102017696B1 (ko) * 2013-01-29 2019-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
US9342162B2 (en) 2013-01-29 2016-05-1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40109062A (ko) * 2013-03-05 2014-09-15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제스쳐 인식 방법 및 장치
KR102106779B1 (ko) 2013-06-28 2020-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펜 입력 처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이 적용되는 장치
KR102081817B1 (ko) * 2013-07-01 2020-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타이저 모드 전환 방법
KR102065409B1 (ko) * 2013-09-04 2020-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4636010B (zh) * 2013-11-08 2018-07-10 禾瑞亚科技股份有限公司 发信器与其发信方法
KR102180236B1 (ko) * 2014-02-20 2020-11-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입력 처리 방법 및 장치
US10042439B2 (en) * 2014-12-11 2018-08-07 Micros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teractive stylus and display device
CN113031791B (zh) * 2015-01-19 2024-04-16 株式会社和冠 位置指示器
US9639183B2 (en) * 2015-04-20 2017-05-02 Wacom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stylus and stylus sensor controller
US10528159B2 (en) * 2017-01-19 2020-01-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put pen gesture-based display control
US10719148B2 (en) * 2018-07-10 2020-07-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upling a pen device to a companion device based on pen proximity
US11269428B2 (en) * 2018-09-09 2022-03-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hanging a mode of operation of a computing device by a pen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39690A1 (en) * 2014-11-14 2016-05-19 Apple Inc. Stylus With Inertial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87930A1 (en) 2022-06-16
WO2021025457A1 (ko) 2021-02-11
US11874978B2 (en) 2024-01-16
EP3992761A4 (en) 2022-08-24
EP3992761A1 (en) 2022-05-04
KR20210017099A (ko)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81964B1 (ko) 스타일러스 펜에 의한 제스처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05865B1 (ko) 입력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732884B1 (ko) 스타일러스 펜을 인식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98813B1 (ko) 스타일러스 펜과 페어링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102573727B1 (ko) 스타일러스 펜을 인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739763B1 (ko) 스타일러스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11934596B2 (en)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stylus pe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475781B1 (ko) 배터리를 충전하는 디지털 펜 및 그 동작 방법
KR102780470B1 (ko) 스타일러스 펜에 의한 제스처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00309B1 (ko) 펜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76127B1 (ko) 전자 장치와 연결된 스타일러스 펜과 연관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102745890B1 (ko) 원격 인터렉션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734609B1 (ko) 스타일러스 펜 및 스타일러스 펜을 인식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2567320A (zh) 包括按钮的电子装置以及用于电子装置中的操作的方法
KR20200013891A (ko)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758246B1 (ko) 에어 제스처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과 연관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저장 매체
KR20210110980A (ko)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7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8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1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