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817B1 - 디지타이저 모드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타이저 모드 전환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1817B1 KR102081817B1 KR1020130076743A KR20130076743A KR102081817B1 KR 102081817 B1 KR102081817 B1 KR 102081817B1 KR 1020130076743 A KR1020130076743 A KR 1020130076743A KR 20130076743 A KR20130076743 A KR 20130076743A KR 102081817 B1 KR102081817 B1 KR 1020818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put unit
- mode
- digitizer
- signal
- user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ctive external devices, e.g. active pens, for transmitting changes in electrical potential to be received by the digitis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를 위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사용자 기기의 디지타이저 모드 제어 방법에 있어서, 디지타이저를 스캔하여 입력 유닛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입력 유닛이 위치한 지점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 결과에 대응되는 모드로 상기 디지타이저의 모드 변환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의 전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따른 사용자 기기의 후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 유닛과 디지타이저의 내부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 유닛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입력 유닛블록도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와 입력 유닛간의 송수신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의 디지타이저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을 도시한다.
도 9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의 모드를 변환하기 위해 입력 유닛과의 거리를 구간을 도시한다.
도 9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의 모드를 변환하기 위해 입력 유닛과의 거리를 세부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 유닛에 대응하여 사용자 기기의디지타이저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 유닛에 대응하여 사용자 기기의 디지타이저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을 도시한다.
도 12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 유닛의 종류를 확인하기 위한 송수신을 도시한다.
도 1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와 종류가 제1 입력 유닛간에 송수신을 도시한다.
도 12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와 제2 입력 유닛간에 송수신을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가 입력 유닛으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디지타이저의 모드를 결정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필드 | 진동 소자 활성 | 진동 세기 | 진동 소자 비활성 |
정보 | 1 | 125 125 131 131 0 | 2 |
130: 서브 통신 모듈 140: 멀티미디어 모듈
150: 카메라 모듈 160: 입/출력 모듈
168: 입력 수단 170: 센서 모듈
180: 전원 공급부 190: 터치 스크린
Claims (26)
- 전자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상기 전자 장치의 디지타이저 모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입력 유닛에 송신하는 동작과,
송신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된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유닛을 검출하는 동작과,
수신된 상기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유닛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동작과,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입력 유닛 사이의 거리를 확인하는 동작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측정 결과 및 상기 확인된 거리에 따라 상기 디지타이저의 모드를 전환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디지타이저의 상기 모드를 전환하는 상기 동작은, 상기 확인된 거리가 임계 거리보다 큰 경우 상기 디지타이저의 상기 모드를 수동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임계값과의 비교 결과 및 상기 확인된 거리의 상기 임계 거리와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디지타이저의 상기 모드를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입력 유닛에 대응하는 영역에서의 전압을 포함하는,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하는 동작은, 상기 디지타이저의 상기 모드를 상기 수동 모드 및 디지털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동작은, 상기 피드백 신호, 상기 피드백 신호의 세기, 상기 피드백 신호의 수신 여부, 상기 피드백 신호의 위상, 시간에 따른 상기 피드백 신호의 세기 변화량, 시간에 따른 상기 피드백 신호의 수신 여부, 시간에 따른 상기 피드백 신호의 위상 변화 값, 상기 피드백 신호를 이용한 디지털 통신 값, 상기 입력 유닛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임계값과 비교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하는 동작은, 상기 입력 유닛에 대응하는 영역에서의 전압이 상기 임계값보다 작거나 상기 입력 유닛과의 거리가 상기 임계 거리보다 큰 경우 상기 디지타이저의 상기 모드를 상기 수동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하는 동작은, 상기 입력 유닛에 대응하는 영역에서의 전압이 상기 임계값보다 작지 않거나 상기 입력 유닛과의 거리가 상기 임계 거리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디지타이저의 상기 모드를 디지털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하는 동작은, 상기 입력 유닛에 기반하여 상기 디지타이저의 상기 모드를 상기 수동 모드로 구동하는 경우 상기 입력 유닛으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하는 동작은, 상기 입력 유닛에 기반하여 상기 디지타이저의 상기 모드를 디지털 모드로 구동하는 경우 상기 입력 유닛과의 디지털 통신 수행 및 상기 입력 유닛에 포함된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의 송신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하는 동작은, 상기 입력 유닛에 기반하여 상기 디지타이저의 상기 모드를 디지털 모드로 구동하는 경우 상기 입력 유닛과의 거리에 기반하여 복수의 모드들로 구분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하는 동작은, 상기 입력 유닛과의 호버링 또는 터치를 감지하지 않는 제1 모드, 상기 입력 유닛과의 호버링을 감지하는 제2 모드 및 상기 입력 유닛과의 터치를 감지하는 제3 모드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유닛과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모드 중 적어도 하나와 송수신되는 신호는 상기 입력 유닛으로 전원을 공급, 상기 입력 유닛의 터치를 감지, 상기 입력 유닛에 구비된 버튼의 입력을 감지, 상기 입력 유닛의 식별자 및 상기 입력 유닛에 대응하는 (X, Y) 좌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하는 동작은, 상기 입력 유닛에 기반하여 상기 디지타이저의 상기 모드를 디지털 모드로 구동하는 경우, 상기 입력 유닛의 배터리의 유무를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하는 동작은, 상기 입력 유닛에 기반하여 상기 디지타이저의 상기 모드를 상기 디지털 모드로 구동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모드는 상기 입력 유닛의 집적회로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의 유무에 기반하여 수동 디지털 모드 또는 능동 디지털 모드로 구분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하는 동작은, 상기 피드백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전원의 유무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통해 상기 입력 유닛의 종류를 판별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디지타이저 모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지타이저와,
송수신기,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입력 유닛에 송신하도록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고,
송신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된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유닛을 검출하고,
수신된 상기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측정하고,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입력 유닛 사이의 거리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측정 결과 및 상기 확인된 거리에 따라 상기 디지타이저의 모드를 전환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지타이저의 상기 모드를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확인된 거리가 임계 거리보다 큰 경우 상기 디지타이저의 상기 모드를 수동 모드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측정된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임계값과 비교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측정된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 및 확인된 상기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디지타이저의 상기 모드를 상기 수동 모드 또는 디지털 모드로 전환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지타이저의 상기 모드를 디지털 모드로 구동하는 경우 상기 입력 유닛과의 디지털 통신 및 상기 입력 유닛에 포함된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의 송신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타이저의 상기 모드가 상기 디지털 모드로 구동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유닛으로부터 피드백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입력 유닛에 배터리의 유무에 대응하여 상기 디지타이저의 상기 모드를 수동 디지털 모드 또는 능동 디지털 모드로 전환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유닛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입력 유닛에 포함된 집적회로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받는 디지털 타입의 입력 유닛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유닛이 수동 타입의 입력 유닛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지타이저의 상기 모드를 상기 수동 모드로 변환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전자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상기 전자 장치의 디지타이저 모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서 통신 기능을 갖춘 입력 유닛에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입력 유닛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입력 유닛 사이의 거리를 확인하는 동작과,
수신된 상기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측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측정 결과 및 상기 확인된 거리에 따라 상기 디지타이저의 동작 모드를 확인하는 동작과,
상기 디지타이저의 상기 확인된 동작 모드에서 상기 입력 유닛과 통신을 수행하는 동작, 및
확인된 상기 거리가 임계 거리보다 큰 경우 상기 디지타이저의 상기 동작 모드를 수동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디지타이저를 스캔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피드백 신호에 상기 입력 유닛에 대응하는 영역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디지타이저의 일부 영역을 스캔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6743A KR102081817B1 (ko) | 2013-07-01 | 2013-07-01 | 디지타이저 모드 전환 방법 |
US14/313,208 US9977529B2 (en) | 2013-07-01 | 2014-06-24 | Method for switching digitizer mode |
PCT/KR2014/005861 WO2015002440A1 (en) | 2013-07-01 | 2014-07-01 | Method for switching digitizer mode |
EP14820091.8A EP3017353B1 (en) | 2013-07-01 | 2014-07-01 |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digitizer mode |
CN201410310462.3A CN104281317B (zh) | 2013-07-01 | 2014-07-01 | 用于切换数字化器模式的方法 |
AU2014284843A AU2014284843B2 (en) | 2013-07-01 | 2014-07-01 | Method for switching digitizer mod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6743A KR102081817B1 (ko) | 2013-07-01 | 2013-07-01 | 디지타이저 모드 전환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3626A KR20150003626A (ko) | 2015-01-09 |
KR102081817B1 true KR102081817B1 (ko) | 2020-02-26 |
Family
ID=52115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76743A Active KR102081817B1 (ko) | 2013-07-01 | 2013-07-01 | 디지타이저 모드 전환 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9977529B2 (ko) |
EP (1) | EP3017353B1 (ko) |
KR (1) | KR102081817B1 (ko) |
CN (1) | CN104281317B (ko) |
AU (1) | AU2014284843B2 (ko) |
WO (1) | WO201500244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86393B1 (ko) * | 2014-01-02 | 2020-12-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JP6258103B2 (ja) * | 2014-03-31 | 2018-01-10 | 株式会社東芝 | ワイヤレス給電システムおよびアクティブスタイラスペン |
TWI511007B (zh) * | 2014-04-23 | 2015-12-01 | Wistron Corp | 光學觸控裝置及光學觸控方法 |
KR102250856B1 (ko) * | 2014-04-30 | 2021-05-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터치 입력 검출 방법, 터치 입력 감지 장치, 및 좌표 표시 장치 |
US10521041B2 (en) * | 2014-08-13 | 2019-12-31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Resonant line driver including energy transfer inductor for driving capacitive-load lines |
KR20160092360A (ko) * | 2015-01-27 | 2016-08-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스타일러스 펜 및 터치 패널 |
US10681479B2 (en) | 2015-01-30 | 2020-06-09 | Cassia Networks Inc. |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bluetooth audio transmission |
US9769594B2 (en) | 2015-01-30 | 2017-09-19 | Cassia Networks Inc. |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increasing wireless communication range |
US10178494B2 (en) | 2015-01-30 | 2019-01-08 | Cassia Networks Inc. | Bluetooth transparent relay |
EP3534245B1 (en) * | 2015-02-09 | 2020-11-18 | Wacom Co., Ltd. |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system, sensor controller, and stylus |
JP6617417B2 (ja) * | 2015-03-05 | 2019-12-11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
CN104881192B (zh) * | 2015-05-28 | 2018-11-16 | 努比亚技术有限公司 | 操作识别方法和装置以及终端 |
KR102543381B1 (ko) | 2015-06-29 | 2023-06-14 |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 위치 검출 장치 및 그 위치 지시기 |
JP2017062662A (ja) * | 2015-09-25 | 2017-03-30 | ソニー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KR102453528B1 (ko) * | 2015-10-14 | 2022-10-1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전자기 유도 패널,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 유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US20170315631A1 (en) * | 2016-04-29 | 2017-11-02 | Qualcomm Incorporated | System and method for multimode stylus |
KR101819517B1 (ko) * | 2016-08-17 | 2018-01-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입력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EP3519010B1 (en) * | 2016-09-27 | 2022-01-19 | Medtrum Technologies Inc. | Delivery safety ensuring method and wearable medical system using the method |
WO2018074098A1 (ja) * | 2016-10-18 | 2018-04-26 | 株式会社ワコム | ペアリング方法、位置検出システム、位置指示器、及び位置検出装置 |
US10635246B2 (en) | 2017-03-10 | 2020-04-28 |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 Capacitance sensing and inductance sensing in different modes |
KR102318806B1 (ko) * | 2017-05-11 | 2021-10-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펜을 충전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CN107992151B (zh) * | 2017-12-12 | 2020-07-31 | 鄂尔多斯市源盛光电有限责任公司 | 电压控制电路及其方法、面板和显示装置 |
CN110162194B (zh) * | 2018-02-14 | 2024-06-18 | 株式会社和冠 | 电子笔的电子电路及电子笔 |
KR102230673B1 (ko) | 2018-03-12 | 2021-03-22 | 최해용 | 컬링 게임 장치 |
KR102475781B1 (ko) * | 2018-08-09 | 2022-12-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배터리를 충전하는 디지털 펜 및 그 동작 방법 |
KR102498813B1 (ko) * | 2018-09-28 | 2023-02-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스타일러스 펜과 페어링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
US20210271328A1 (en) * | 2018-11-19 | 2021-09-02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Virtual input devices |
CN109710094A (zh) * | 2019-01-16 | 2019-05-03 | 深圳市绘王动漫科技有限公司 | 位置检测系统及电子手写笔 |
KR102724467B1 (ko) | 2019-07-26 | 2024-11-0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전자 펜의 상태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의 디지타이저 패널 제어 방법 |
KR102732884B1 (ko) * | 2019-08-06 | 2024-11-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스타일러스 펜을 인식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WO2021040296A1 (en) * | 2019-08-23 | 2021-03-0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for determining proximity of at least one object using electronic device |
KR102596709B1 (ko) * | 2021-02-04 | 2023-11-02 | 주식회사 하이딥 | 스타일러스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
TWI821643B (zh) * | 2021-03-17 | 2023-11-11 |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 電子裝置 |
KR20230030715A (ko) | 2021-08-25 | 2023-03-0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
JP2023183222A (ja) * | 2022-06-15 | 2023-12-27 | 株式会社ワコム | 位置検出回路、位置検出方法、及び位置検出システム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30057491A1 (en) * | 2011-09-06 | 2013-03-07 | Chun-Hsueh Chu | Controlling system and acontrolling method of a touch panel, and a stylus pen for applying to the touch panel |
Family Cites Families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306063B1 (en) | 1987-09-02 | 1994-08-10 | The Laitram Corporation | Portable computer with large screen display |
JPH06119090A (ja) * | 1992-10-07 | 1994-04-28 | Hitachi Ltd | 省電力制御方式 |
US5444192A (en) * | 1993-07-01 | 1995-08-22 | Integral Information Systems | Interactive data entry apparatus |
US5568409A (en) * | 1994-12-14 | 1996-10-22 | Tritech Microelectronics International Pte Ltd. | Tablet with system power saving features including reactivation by pen contact after inactive period |
EP0911720A1 (en) | 1997-10-23 | 1999-04-28 | Hewlett-Packard Company | User input device |
GB0319945D0 (en) * | 2003-08-26 | 2003-09-24 | Synaptics Uk Ltd | Inductive sensing system |
JP2005149140A (ja) | 2003-11-14 | 2005-06-09 | Wacom Co Ltd | 位置検出装置及び位置指示器 |
CN1328653C (zh) | 2004-03-19 | 2007-07-25 | 郦东 | 一种在便携式终端上进行手写输入的方法及系统 |
TWI291161B (en) * | 2004-07-15 | 2007-12-11 | N trig ltd | Automatic switching for a dual mode digitizer |
US7847789B2 (en) * | 2004-11-23 | 2010-12-07 | Microsoft Corporation | Reducing accidental touch-sensitive device activation |
US7320111B2 (en) | 2004-12-01 | 2008-01-15 | Oded Volovitz | Method for assigning large sets of characters in different modes to keys of a number keypad for low keypress-data-entry ratio |
US7612767B1 (en) | 2005-08-24 | 2009-11-03 | Griffin Technology, Inc. | Trackpad pen for use with computer touchpad |
US20080150917A1 (en) * | 2006-12-20 | 2008-06-26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Oscillator circuit for use in an untethered stylus |
KR100905463B1 (ko) | 2007-07-02 | 2009-07-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도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JP4872113B2 (ja) | 2007-09-10 | 2012-02-08 | 株式会社ワコム | 位置検出装置 |
KR100955339B1 (ko) * | 2008-04-22 | 2010-04-29 | 주식회사 애트랩 | 접촉 및 접근을 감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과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 패널을 이용하는 접촉 및 접근 감지방법 |
US8278571B2 (en) | 2009-04-03 | 2012-10-02 | Pixart Imaging Inc. | Capacitive touchscreen or touchpad for finger and active stylus |
JP5513933B2 (ja) * | 2009-06-30 | 2014-06-04 |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 タッチセンサおよび表示装置 |
KR101059098B1 (ko) | 2009-12-24 | 2011-08-24 | 이성호 | 터치패널의 터치셀 구조, 그를 이용한 터치패널 및 터치입력 검출방법 |
KR20120056465A (ko) * | 2010-11-25 | 2012-06-04 | 삼성전기주식회사 | 터치패널 제어장치 |
US8797301B2 (en) * | 2012-02-15 | 2014-08-05 |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 Active stylus to host data transmitting method |
US9720701B2 (en) * | 2012-09-10 | 2017-08-01 | Intel Corporation | Providing support for device states |
US9958966B2 (en) * | 2012-10-16 | 2018-05-01 | Atmel Corporation | Active stylus communication and position system |
US10642376B2 (en) * | 2012-11-28 | 2020-05-05 | Intel Corporation | Multi-function stylus with sensor controller |
US20140267184A1 (en) * | 2013-03-14 | 2014-09-18 | Elwha Llc | Multimode Stylus |
-
2013
- 2013-07-01 KR KR1020130076743A patent/KR102081817B1/ko active Active
-
2014
- 2014-06-24 US US14/313,208 patent/US9977529B2/en active Active
- 2014-07-01 WO PCT/KR2014/005861 patent/WO2015002440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07-01 AU AU2014284843A patent/AU2014284843B2/en not_active Ceased
- 2014-07-01 CN CN201410310462.3A patent/CN104281317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07-01 EP EP14820091.8A patent/EP301735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30057491A1 (en) * | 2011-09-06 | 2013-03-07 | Chun-Hsueh Chu | Controlling system and acontrolling method of a touch panel, and a stylus pen for applying to the touch pane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4281317B (zh) | 2019-01-18 |
WO2015002440A1 (en) | 2015-01-08 |
EP3017353A1 (en) | 2016-05-11 |
KR20150003626A (ko) | 2015-01-09 |
CN104281317A (zh) | 2015-01-14 |
EP3017353B1 (en) | 2022-03-02 |
EP3017353A4 (en) | 2017-07-12 |
AU2014284843A1 (en) | 2015-12-17 |
US9977529B2 (en) | 2018-05-22 |
US20150002425A1 (en) | 2015-01-01 |
AU2014284843B2 (en) | 2019-06-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81817B1 (ko) | 디지타이저 모드 전환 방법 | |
KR102160767B1 (ko) | 제스처를 감지하여 기능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 |
KR102184288B1 (ko) | 입력 유닛에 햅틱 효과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 |
US9977497B2 (en) | Method for providing haptic effect set by a user in a portable terminal,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portable terminal | |
KR102031142B1 (ko) | 영상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
KR102178845B1 (ko) | 햅틱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 |
KR102091077B1 (ko) | 입력 유닛의 피드백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과, 이를 제공하는 상기 입력 유닛 및 방법 | |
KR102090964B1 (ko) |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 |
KR102104910B1 (ko) | 입력 유닛에 촉각 피드백을 제공하는 휴대 장치 및 그 방법 | |
US9195357B2 (en) | System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use by portable and other devices | |
US20140160045A1 (en) |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a pen | |
US20140210758A1 (en) | Mobile terminal for generating haptic pattern and method therefor | |
KR102155836B1 (ko) | 터치 스크린 상에서 객체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 |
US20140317499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cking and unlocking of portable terminal | |
KR101815720B1 (ko) | 진동 제어 방법 및 장치 | |
KR20140111790A (ko) | 가상 키보드에서 난수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 및 장치 | |
US20140340336A1 (en) |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ouch screen and system thereof | |
KR102091710B1 (ko) | 좌표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US20140348334A1 (en) |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etecting earphone connection | |
KR20150008963A (ko) | 스크린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 |
US10101830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according to floating inpu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5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7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0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