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32601B1 - 올리고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올리고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32601B1
KR102732601B1 KR1020210006655A KR20210006655A KR102732601B1 KR 102732601 B1 KR102732601 B1 KR 102732601B1 KR 1020210006655 A KR1020210006655 A KR 1020210006655A KR 20210006655 A KR20210006655 A KR 20210006655A KR 102732601 B1 KR102732601 B1 KR 102732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vent
oligomer
sedimentation tank
separation tower
strea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4418A (ko
Inventor
육경석
김현석
선민호
송종훈
이홍민
황문섭
이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210006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32601B1/ko
Priority to EP22739594.4A priority patent/EP4105192B1/en
Priority to PCT/KR2022/000346 priority patent/WO2022154398A1/ko
Priority to JP2022555687A priority patent/JP7442925B2/ja
Priority to CN202280002727.6A priority patent/CN115135626B/zh
Priority to US17/910,228 priority patent/US11964925B2/en
Publication of KR20220104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4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32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3260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00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a smaller number of carbon atoms
    • C07C2/02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a smaller number of carbon atoms by addition between unsaturated hydrocarbons
    • C07C2/04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a smaller number of carbon atoms by addition between unsaturated hydrocarbons by oligomerisation of well-defined unsaturated hydrocarbons without ring formation
    • C07C2/06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a smaller number of carbon atoms by addition between unsaturated hydrocarbons by oligomerisation of well-defined unsaturated hydrocarbons without ring formation of alkenes, i.e. acycl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7C2/08Catalyt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DFLOTATION; DIFFERENTIAL SEDIMENTATION
    • B03D3/00Differential sedimen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1/00Aliphatic unsaturated hydrocarbons
    • C07C11/02Alkenes
    • C07C11/107Alkenes with six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07C7/09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fractional conden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07C7/148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treatment giving rise to a chemical modification of at least one compound
    • C07C7/152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treatment giving rise to a chemical modification of at least one compound by forming adducts or comple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70Pre-treatment of the materials to be mix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70Pre-treatment of the materials to be mixed
    • B01F23/706Evaporating solvents or dispersion liquids, e.g. water, at least part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80After-treatment of the 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80After-treatment of the mixture
    • B01F23/807Extracting components from the mixture, e.g. by adsorption, absorption or distil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63/00Purification; Separ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63/00Purification; Separ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B63/02Purification; Separ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treatment giving rise to a chemical mod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63/00Purification; Separ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B63/04Use of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31/00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 C07C2531/02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 C07C2531/12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containing organo-metall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 C07C2531/14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containing organo-metall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of aluminium or bor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올리고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량체 스트림 및 용매 스트림을 반응기로 공급하여 올리고머화 반응시켜 반응 생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반응기 배출 스트림을 분리 장치로 공급하고, 분리 장치 하부 배출 스트림은 침전조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침전조에 유기계 응집제를 투입하여 고분자를 침전시켜 제거하고, 고분자가 제거된 분리 장치 하부 배출 스트림을 고비점 분리탑으로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고비점 분리탑에서 하부 배출 스트림으로부터 고비점 물질을 제거하고,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상부 배출 스트림은 용매 분리탑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올리고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올리고머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OLIGOMER}
본 발명은 올리고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틸렌의 올리고머화 반응 생성물로부터 폴리에틸렌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고 용매의 재사용 시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올리고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파 올레핀(alpha-olefin)은 공단량체, 세정제, 윤활제, 가소제 등에 쓰이는 중요한 물질로 상업적으로 널리 사용되며, 특히 1-헥센과 1-옥텐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의 제조 시, 폴리에틸렌의 밀도를 조절하기 위한 공단량체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알파 올레핀은 대표적으로 에틸렌의 올리고머화 반응을 통해 제조되고 있다. 상기 에틸렌의 올리고머화 반응이 수행되는 반응기 형태로서, 기상의 에틸렌을 반응물로 사용하여 촉매를 포함하는 액상의 반응 매체를 포함하는 반응 영역과 접촉을 통해 에틸렌의 올리고머화 반응(삼량체화 반응 또는 사량체화 반응)을 수행하는 기포탑 반응기(bubble column reactor)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기포탑 반응기는 반응기의 하부에 설치된 다공 분산판을 통해 기상 반응물이 액상의 반응 매체를 포함하는 반응 영역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분산되고, 분산된 기체의 힘에 의해 와류(turbulence)가 발생하여 자연적인 혼합이 이루어지면서, 반응이 수행된다.
상기 올리고머화 반응의 결과로 0.1 내지 5 중량% 정도의 고분자 물질,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이 부산물로서 소량 생성되어 액상의 반응 매체 속에 부유하게 되는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반응기의 내벽 및 다공 분산판에 파울링(fouling) 현상에 의해 축적되어 전체 공정의 운전을 중단(shut down)하고 세척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올리고머화 반응 생성물로부터 상기 고분자 물질을 제거하여 올리고머 및 용매를 회수하기 위해 반응기 후단에 고비점 분리탑과 용매 분리탑을 운영해야 하는데, 상기 고비점 분리탑과 용매 분리탑으로 공급되는 유량이 증가할수록, 반응 생성물에 폴리에틸렌이 많이 포함될수록 분리를 위한 에너지 비용과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반응기로부터 후단의 고비점 분리탑 또는 용매 분리탑으로 올리고머화 반응 생성물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폴리에틸렌에 의한 펌프의 파울링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하게 된다.
JP 3839818 B2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언급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올리고머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반응 생성물 내 부유하는 고분자를 제거하고, 용매를 회수하여 재사용하며, 올리고머를 고순도로 분리하는데 있어,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고 분리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량체 스트림 및 용매 스트림을 반응기로 공급하여 올리고머화 반응시켜 반응 생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반응기 배출 스트림을 분리 장치로 공급하고, 분리 장치 하부 배출 스트림은 침전조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침전조에 유기계 응집제를 투입하여 고분자 물질을 침전시켜 제거하고, 고분자가 제거된 분리 장치 하부 배출 스트림을 고비점 분리탑으로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고비점 분리탑에서 하부 배출 스트림으로부터 고비점 물질을 제거하고,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상부 배출 스트림은 용매 분리탑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올리고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올리고머화 반응 생성물로부터 고분자 물질 및 용매를 분리하는 고비점 분리탑 및 용매 분리탑의 전단에 침전조를 도입함으로써, 상기 고비점 분리탑 및 용매 분리탑으로 공급되는 반응 생성물의 유량 및 고분자 물질의 함량을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고비점 분리탑 및 용매 분리탑에서 분리를 위한 시간 및 에너지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침전조에 유기계 응집제를 투입함으로써, 침전조에서 고비점 물질을 침전시켜 제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이에 따라서, 올리고머화 반응 생성물로부터 용매 및 부산물을 제거하고 고순도의 올리고머를 수득하는 전체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침전조에서 용매의 함량이 높은 상층액 스트림을 고비점 분리탑을 거치지 않고 바로 용매 분리탑으로 공급함으로써, 고비점 분리탑으로 공급되는 스트림의 유량을 감소시켜 상기 고비점 분리탑에서의 에너지 사용량을 보다 낮출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올리고머 제조방법에 대한 공정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비교예에 따른 올리고머 제조방법에 대한 공정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상부"는 용기 내의 장치의 전체 높이로부터 50% 이상의 높이에 해당하는 부분을 의미하며, "하부"는 용기 내지 장치의 전체 높이로부터 50% 미만의 높이에 해당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스트림(stream)"은 공정 내 유체(fluid)의 흐름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고, 또한, 이동 라인(배관) 내에서 흐르는 유체 자체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트림"은 각 장치를 연결하는 배관 내에서 흐르는 유체 자체 및 유체의 흐름을 동시에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는 기체(gas), 액체(liquid) 및 고체(solid)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 양의 정수인 "C#"란 용어는 #개 탄소 원자를 가진 모든 탄화수소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C10"란 용어는 1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탄화수소 화합물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C#+"란 용어는 #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가진 모든 탄화수소 분자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C10+'란 용어는 10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가진 탄화수소의 혼합물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하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올리고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올리고머 제조방법은, 단량체 스트림 및 용매 스트림을 반응기(100)로 공급하여 올리고머화 반응시켜 반응 생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반응기(100) 배출 스트림을 분리 장치(200)로 공급하고, 분리 장치(200) 하부 배출 스트림은 침전조(300)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침전조(300)에 유기계 응집제를 투입하여 고분자 물질을 침전시켜 제거하고, 고분자가 제거된 분리 장치 하부 배출 스트림을 고비점 분리탑(400)으로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고비점 분리탑에서 하부 배출 스트림으로부터 고비점 물질을 제거하고,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상부 배출 스트림은 용매 분리탑(500)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량체 스트림 및 용매 스트림을 반응기(100)로 공급하여 올리고머화 반응시켜 반응 생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반응기(100)는 촉매 및 용매의 존재 하에서 단량체를 올리고머화 반응시켜 올리고머를 제조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응기(100)는 연속 공정에 적합한 반응기일 수 있으며, 연속흐름 완전혼합 반응기(continuous stirred-tank reactor), 관 흐름 반응기(plug flow reactor) 및 기포탑 반응기(bubble column reacto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반응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연속적으로 올리고머 생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량체는 에틸렌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틸렌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스트림이 반응기(100)로 공급되어 올리고머화 반응을 걸쳐 목적하는 올리고머인 알파 올레핀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올리고머화 반응은 반응기(100)의 하부 내지 중부 영역의 반응매체에서 수행되며, 촉매 및 조촉매의 존재 하에 용매에 용해된 액체 상태로 단량체의 올리고머화 반응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올리고머화 반응은, 단량체가 소중합되는 반응을 의미할 수 있다. 중합되는 단량체의 개수에 따라 삼량화(trimerization), 사량화(tetramerization)라고 불리며, 이를 총칭하여 다량화(multimerization)라고 한다.
상기 알파 올레핀은 공단량체, 세정제, 윤활제, 가소제 등에 쓰이는 중요한 물질로 상업 적으로 널리 사용되며, 특히 1-헥센과 1-옥텐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의 제조 시, 폴리에틸렌의 밀도를 조절하기 위한 공단량체로 많이 사용된다. 상기 1-헥센 및 1-옥텐과 같은 알파 올레핀은 예를 들어, 에틸렌의 삼량체화 반응 또는 사량체화 반응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의 올리고머화 반응은, 상기 반응 시스템과 통상의 접촉 기술을 응용하여 용매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서 균질 액상 반응, 촉매가 일부 용해되지 않거나 전부 용해되지 않는 형태인 슬러리 반응, 2상 액체/액체 반응, 또는 생성물이 주 매질로 작용하는 벌크상 반응 또는 가스상 반응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촉매는 전이금속 공급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이금속 공급원은 예를 들어, 크로뮴(III) 아세틸아세토네이트, 크로뮴(III) 클로라이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크로뮴(III) 2-에틸헥사노에이트, 크로뮴(III) 트리스(2,2,6,6-테트라메틸-3,5-헵테인디오네이트), 크로뮴(III) 벤조일아세토네이트, 크로뮴(III) 헥사플루오로-2,4-펜테인디오네이트, 크로뮴(III) 아세테이트하이드록사이드, 크로뮴(III) 아세테이트, 크로뮴(III) 부티레이트, 크로뮴(III) 펜타노에이트, 크로뮴(III) 라우레이트 및 크로뮴(III) 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조촉매는 예를 들어, 트리메틸 알루미늄(trimethyl aluminium), 트리에틸 알루미늄(triethyl aluminium), 트리이소프로필 알루미늄(triisopropyl aluminium), 트리이소부틸 알루미늄(triisobutyl aluminum), 에틸알루미늄 세스퀴클로라이드(ethylaluminum sesquichloride), 디에틸알루미늄 클로라이드(diethylaluminum chloride), 에틸 알루미늄 디클로라이드(ethyl aluminium dichloride), 메틸알루미녹산(methylaluminoxane), 개질된 메틸알루미녹산(modified methylaluminoxane) 및 보레이트(Bor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촉매 및 용매의 존재 하에 단량체를 올리고머화시키는 과정에서는 올리고머 생성물 외에 부산물로서 폴리에틸렌과 같은 고분자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는 반응기 내 액상의 반응매체에 부유하게 되는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반응기 내벽 및 다공판에 파울링 현상으로 인해 축적되어 일정 두께로 쌓이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경우, 반응기의 운전을 중단(shut down)해야 하기 때문에 운전 시간 감소에 따른 생산량 감소뿐만 아니라 세척 과정에서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반응 생성물 내 고분자를 제거하고, 반응물 대비 많은 양이 사용되는 용매를 회수하여 재사용하기 위해 고비점 분리탑(400)과 용매 분리탑(500)을 구비하여야 한다. 이 때, 상기 고비점 분리탑(400)과 용매 분리탑(500)으로 공급되는 스트림 유량 및 고분자의 함량이 높을수록 분리를 위한 에너지 비용과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반응 생성물 내 고분자를 제거하기 위하여 고비점 분리탑(400)과 용매 분리탑(500) 전단에 침전조(300)를 구비함으로써, 고비점 분리탑(400)과 용매 분리탑(500)에서 분리를 위해 사용되는 에너지 비용을 절감시켰고,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상기 침전조(300)에서 유기계 응집제(flocculant)를 투입하여 고분자를 침전시켜 제거함으로써, 침전조(300)에서 고비점 물질을 침전시켜 제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이에 따라서, 올리고머화 반응 생성물로부터 용매 및 부산물을 제거하고 고순도의 올리고머를 수득하는 전체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기계 응집제는 상기 침전조(300)로 연결되어 구비된 별도의 응집제 공급라인(310)을 통해 침전조(3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침전조(300)에서 용매의 함량이 높은 상층액 스트림을 고비점 분리탑(400)을 거치지 않고 바로 용매 분리탑(500)으로 공급함으로써, 고비점 분리탑(400)으로 공급되는 유량을 낮춰 에너지 고비점 분리탑(400)에서의 에너지 사용량을 보다 절감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 스트림은 반응기(100) 하부에 구비된 단량체 스트림 공급라인을 통해 반응기(100)로 공급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단량체는 기체 상태로 반응기(100)에 공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상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스트림은 반응기(100)로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기상의 단량체는 반응기(100)로 공급되는 용매에 용해되어 액상으로 올리고머화 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단량체 스트림은 나프타 열분해 공정(Naphtha Cracking Center, NCC)에서 공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나프타 열분해 공정은, 나프타, C2 및 C3 탄화수소 화합물 및 프로판 등을 각각 공급 원료로 투입하여, 각각의 열분해로에서 열분해를 실시하는 단계; 각각의 열분해로에서 열분해되어 수소, C1, C2 및 C3 이상의 탄화수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를 냉각하는 단계; 냉각된 열분해 가스를 압축하는 단계; 및 수소, C1, C2 및 C3 이상의 탄화수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열분해 압축 스트림을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단량체 스트림은 나프타 열분해로부터 분리되는 에틸렌 단량체(C2)를 포함하는 스트림일 수 있다.
상기 용매 스트림은 반응기(100) 하부 측면에 구비된 용매 스트림 공급라인을 통해 반응기(10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n-펜탄, n-헥산, n-헵탄,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옥탄, 시클로옥탄, 데칸, 도데칸, 벤젠, 자일렌, 1,3,5-트리메틸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클로로벤젠, 디클로로벤젠 및 트리클로로벤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경우에 따라서 2종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높은 온도로 기상의 에틸렌 단량체를 액화시킬 수 있으며, 기상의 에틸렌 단량체가 용매에 용해되는 용해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반응기(100)에서 단량체 스트림 및 용매 스트림이 공급되어 수행되는 올리고머화 반응은, 10 ℃ 내지 180 ℃, 30 ℃ 내지 150 ℃ 또는 50 ℃ 내지 120 ℃의 온도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올리고머화 반응은 10 bar.g 내지 70 bar.g의 압력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올리고머화 반응은 10 bar.g 내지 70 bar.g, 20 bar.g 내지 65 bar.g 또는 20 bar.g 내지 40 bar.g의 압력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온도 범위 및 압력 범위 내에서 에틸렌을 올리고머화 반응시킬 때, 원하는 알파 올레핀에 대해 선택도가 우수할 수 있고, 부산물의 양이 저감될 수 있으며, 연속 공정의 운용상 효율을 상승시키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반응기(100)에서 올리고머화 반응 시 발생되는 부산물, 예를 들어, 고분자는 상기 반응기(100) 배출 스트림 내 0.1 중량% 내지 5 중량%, 0.1 중량% 내지 4 중량% 또는 1 중량% 내지 3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반응기(100) 배출 스트림은 액상의 제1 스트림 및 기상의 제2 스트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응기(100)에서 올리고머화 반응을 통해 목적하는 올리고머 생성물을 포함된 액상의 반응 생성물은 제1 스트림으로서 반응기(100) 하부 측면, 예를 들어, 상기 용매 공급라인 형성되는 반응기(100) 하부 측면과 대향되는 방향에 이격되어 구비된 생성물 배출라인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생성물 배출라인은 용매 공급라인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성물 배출라인은 반응기(100)로부터 분리 장치(200)로 연결되어 반응 생성물을 분리 장치(200)로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기(100)에서 용매에 용해되지 않아 올리고머화 반응에 참여하지 못한 기상의 미반응 단량체를 포함하는 제2 스트림은 반응기(100) 상부에 구비된 미반응 단량체 배출라인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상의 제2 스트림은 응축기(110)를 거쳐 액상으로 응축되어, 제1 스트림과 함께 분리 장치(200)에 공급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스트림과 제2 스트림은 별도의 라인으로 분리 장치(200)에 공급되거나, 하나의 라인으로 합류시킨 후 분리 장치(200)에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응기(100) 배출 스트림은 분리 장치(200)로 공급되어, 반응 생성물 내 미반응 단량체 및 이량체를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리 장치(200)에서는 공급되는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반응기(100) 배출 스트림으로부터 미반응 단량체 및 이량체를 상부 배출 스트림으로서 분리하여 반응기(100)로 순환시켜 재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분리 장치(200) 상부 배출 스트림은 반응기(100)로의 흐름성을 확보하기 위해 압축기(210)를 거친 후 반응기(100)로 순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 장치(200) 하부 배출 스트림은 미반응 단량체가 대부분 제거된 반응 생성물로서 침전조(30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분리 장치(200)는 상부로 단량체 및 이량체를 포함하는 저비점 물질을 선택적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운전 온도 및 운전 압력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분리 장치(200)의 운전 온도는 20 ℃ 내지 250 ℃, 30 ℃ 내지 200 ℃ 또는 40 ℃ 내지 160 ℃일 수 있고, 운전 압력은 10 bar.g 내지 30 bar.g, 10 bar.g 내지 25 bar.g 또는 10 bar.g 내지 20 bar.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리 장치(200) 하부 배출 스트림은 침전조(300)로 공급되며, 상기 침전조(300)에서 반응 생성물 내 고분자를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침전조(300)에서는 반응 생성물 내 부유하는 고분자를 응집체로 침전시키고, 상기 침전조(300) 하부로 배출시켜 폐기 처리하거나 다양한 루트로 재활용할 수 있다.
상기 침전조(300)에는 유기계 응집제(flocculant)가 투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침전조(300)에서 반응 생성물 내 고분자를 침전시켜 제거하는 과정은 유기계 응집제의 존재 하에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침전조(300)에서 고비점 물질을 침전시켜 제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이에 따라서, 올리고머화 반응 생성물로부터 용매 및 부산물을 제거하고 고순도의 올리고머를 수득하는 전체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침전조(300)에서 상층액 내 용매 외 고분자의 함량이 최소화되어 후술하는 용매 추출라인(320)을 통해 용매 분리탑(500)으로 고순도의 용매를 포함하는 상층액 스트림을 공급할 수 있어, 용매 분리탑(500)에서 분리를 위해 사용되는 에너지 비용을 보다 절감시킬 수 있다.
상기 유기계 응집제(flocculant)는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아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크릴아미드는 비이온성 응집제로서, 액체 속에 현탁되어 있는 고체 입자의 표면과 상기 응집제 사이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흡착에 의한 가교 작용을 통하여 상기 고체 입자들의 조대화, 즉 응집을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고체 입자들이 응집되어 형성된 응집체는 액체 내에서 침전 속도가 빨라지면서 침전을 촉진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폴리아크릴아미드는 상기 반응 생성물 내 분산된 폴리에틸렌의 고체 입자들을 응집시켜 응집체를 형성함으로써, 침전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계 응집제를 투입하는 조건 하에서 상기 침전조(300)를 가동하여 반응 생성물 내 고분자를 침전시켜 제거함으로써, 상기 침전조(300)의 가동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침전조(300)의 가동 시간은 1 시간 이하, 40 분 이하 또는 1분 내지 10 분일 수 있다.
상기 침전조(300)는 상기 반응 생성물 내 고분자를 침전시켜 제거하기 위해서 가동 온도 및 가동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침전조(300)의 가동 온도는 10 ℃ 내지 90 ℃, 10 ℃ 내지 85 ℃ 또는 20 ℃ 내지 80 ℃로 제어하고, 가동 압력은 0.1 kg/cm2 내지 3 kg/cm2, 0.5 kg/cm2 내지 2 kg/cm2 또는 0.5 kg/cm2 내지 1.5 kg/cm2로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침전조(300)의 가동 압력은 비활성 기체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비활성 기체는 예를 들어, 질소(N2) 및 아르곤(Ar)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활성 기체는 질소(N2)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침전조(300)에서 폴리아크릴아미드를 유기계 응집제로 사용함과 동시에, 가동 온도 및 가동 압력을 상기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분리 장치(200) 하부 배출 스트림 내 포함된 고분자의 응집 및 침전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고분자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8만 내지 15만 g/mol, 9만 내지 13만 g/mol, 또는 9만 내지 12만 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고분자에 대해서 폴리아크릴아미드를 유기계 응집제로 사용하고, 가동 온도 및 가동 압력을 상기와 같이 제어하는 경우, 응집 및 침전 효과를 향상시켜 침전조(300) 가동 시간을 최대한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침전조(300)에서 반응 생성물 내 고분자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침전조(300) 내에서는 용매의 함량이 높은 상층액과 올리고머의 함량이 높은 하층액으로 층분리될 수 있다. 상기 침전조(300)에서 분리된 상층액은 용매의 함량이 높고, 용매 외 불순물을 거의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고비점 분리탑(400)으로 공급되지 않고, 바로 용매 분리탑(50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침전조(300) 상층액 내 용매의 함량은 90 중량% 이상, 90 중량% 내지 100% 또는 95 중량% 내지 100 중량%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침전조(300)에서 고분자를 제거함과 동시에 용매 외 불순물이 거의 포함되지 않은 상층액을 고비점 분리탑(400)을 거치지 않고 용매 분리탑(500)으로 바로 공급함으로써, 고비점 분리탑(400)으로 공급되는 유량이 감소함에 따라 고비점 분리탑(400)에서 분리를 위한 에너지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상기 침전조(300)에서 층분리되는 상층액과 하층액은 분리 장치(200) 하부 배출 스트림 내 포함된 용매 및 올리고머 함량에 따라서 상이할 수 있으며, 상기 침전조(300) 상층액 스트림을 용매 분리탑(500)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용매 분리탑(500)으로부터 연결되어 침전조(300) 내 상층액이 형성된 영역까지 연장되어 구비된 용매 추출라인(32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용매 추출라인(320)의 임의의 영역에는 펌프(330)가 설치되어 침전조(300) 상층액 스트림을 용매 분리탑(500)으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전조(300) 하층액 스트림은 올리고머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고비점 분리탑(40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침전조(300) 하층부 스트림 내 고분자의 함량은 10 중량% 이하, 0.1 중량% 내지 5 중량% 또는 0.1 중량% 내지 3 중량%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기(100) 배출 스트림 내 고분자 함량 대비 상기 침전조(300) 하층부 스트림 내 고분자의 함량비는 1:0.01 내지 1:0.05, 1:0.01 내지 1:0.04 또는 1:0.01 내지 1:0.03일 수 있다. 이는, 상기 반응기(100) 배출 스트림 내 포함된 고분자의 95% 이상이 침전조(300)에서 제거되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비점 분리탑(400)과 더불어 용매 분리탑(500)에서 분리 시 요구되는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침전조(300) 하층액 스트림을 고비점 분리탑(400)으로 공급하고, 상기 고비점 분리탑(400)에서 침전조(300) 하층액 스트림 내 포함된 고비점 물질을 증류를 통해 제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침전조(300)의 하층액만을 고비점 분리탑(400)으로 공급하기 때문에 고비점 분리탑(400)으로 공급되는 유량이 감소하고, 상기 하층액 내 고분자의 함량이 적기 때문에 고비점 분리탑(400)에서의 분리를 위한 에너지 비용이 절감되고, 분리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비점 분리탑(400)에서 고비점 물질은 하부 배출 스트림으로부터 제거하고, 나머지 성분, 즉, 올리고머의 함량이 높은 상부 배출 스트림은 용매 분리탑(500)으로 공급하여 올리고머를 정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매 분리탑(500)에서는 용매와 올리고머의 비점 차이를 통해 용매와 올리고머를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침전조(300) 상층액 스트림과 고비점 분리탑(400) 상부 배출 스트림은 용매 분리탑(500)으로 공급되고, 상기 용매 분리탑(500)에서 용매와 올리고머를 분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올리고머가 비점이 다른 2종 이상의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용매 분리탑(500)은 2기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점이 다른 2종 이상의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용매 분리탑에서 고비점 올리고머를 분리하고, 제2 용매 분리탑에서 용매와 저비점 올리고머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용매 분리탑(500)에서 분리된 용매 스트림은 용매 분리탑(500) 하부로 배출되고, 이는 반응기(100)로 순환시켜 재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원료 비용을 절감하여 올리고머 생성물의 단가를 낮춰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올리고머 제조방법에서는 필요한 경우, 증류 컬럼, 컨덴서, 리보일러, 밸브, 펌프, 분리기 및 혼합기 등의 장치를 추가적으로 더 설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올리고머 제조방법을 기재 및 도면에 도시하였으나, 상기의 기재 및 도면의 도시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한 핵심적인 구성만을 기재 및 도시한 것으로, 상기 기재 및 도면에 도시한 공정 및 장치 이외에, 별도로 기재 및 도시하지 않은 공정 및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올리고머 제조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적절히 응용되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들 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도 1에 도시된 공정 흐름도에 따라, 알파 올레핀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반응기(100) 하부로 기상의 에틸렌 단량체 스트림을 113 kg/hr로 공급하고, 하부 측면으로 메틸시클로헥산을 7 kg/hr 공급하고, 촉매 및 조촉매를 공급하여 에틸렌 단량체를 올리고머화 반응시켜 올리고머인 알파 올레핀을 포함하는 반응 생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상기 반응 생성물 내 포함된 고분자의 함량은 1.9 중량%로 확인하였고, 상기 반응기(100)의 온도를 70 ℃, 압력을 40 bar.g로 설정하였다.
상기 반응기(100) 배출 스트림은 분리 장치(200)로 공급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상의 제2 스트림은 응축기(110)를 통해 액상으로 응축시킨 후 분리 장치(200)로 공급하고, 액상의 제1 스트림은 바로 분리 장치(200)로 공급하였다.
상기 분리 장치(200)에서 기상의 미반응 단량체를 포함하는 상부 배출 스트림은 압축기(210)를 통과하여 반응기(100)로 공급하였고, 하부 배출 스트림은 침전조(300)로 공급하였다.
상기 침전조(300)에서 공급된 분리 장치(200) 하부 배출 스트림을 응집제 공급라인(310)을 통해 투입된 폴리아크릴아미드(PAA)의 양이 0.1 kg, 가동 온도는 20 ℃, 가동 압력은 1 kg/cm2으로 제어한 상태에서 20 분 동안 체류시켜 층분리시켰다. 이 때, 침전된 고분자는 하부로 배출시켜 제거한 후 상층액과 하층액은 6.5 kg/hr의 유량으로 고비점 분리탑(400)으로 공급하였다. 이 때, 상층액 내 용매의 함량은 99 중량%이고, 하층액 내 고분자의 함량은 0.25 중량%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상기 고비점 분리탑(400)에서는 하부로 고비점 물질을 제거하였고, 상부 배출 스트림은 용매 분리탑(500)으로 공급하였으며, 상기 용매 분리탑(500)에서는 측부로 올리고머인 알파 올레핀을 회수하고, 하부 배출 스트림은 반응기(100)로 순환시켰다.
실시예 2
도 2에 도시된 공정 흐름도에 따라, 알파 올레핀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에서, 침전조(300)에서 침전된 고분자는 하부로 배출시켜 제거한 후 용매의 함량은 99 중량%인 상층액은 3.0 kg/hr의 유량으로 용매 추출라인(320)을 통해 펌프(330)를 이용하여 용매 분리탑(500)으로 공급하였고, 고분자의 함량이 0.25 중량%인 하층액은 3.5 kg/hr의 유량으로 고비점 분리탑(400)으로 공급하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2에서, 상기 침전조(300)의 가동 온도를 40 ℃로 제어하여 40 분 동안 가동시켜 층분리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이 때, 상기 침전조(300)에서 침전된 고분자는 하부로 배출시켜 제거하고, 용매의 함량이 98 중량%인 상층액은 3.0 kg/hr의 유량으로 용매 추출라인(320)을 통해 펌프(330)를 이용하여 용매 분리탑(500)으로 공급하였으며, 고분자의 함량이 0.34 중량%인 하층액은 3.5 kg/hr의 유량으로 고비점 분리탑(400)으로 공급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3에서, 상기 침전조(300)에 폴리아크릴아미드(PAA)를 0.5 kg으로 투입하여 10 분 동안 가동시켜 층분리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이 때, 상기 침전조(300)에서 침전된 고분자는 하부로 배출시켜 제거하고, 용매의 함량이 99 중량%인 상층액은 3.0 kg/hr의 유량으로 용매 추출라인(320)을 통해 펌프(330)를 이용하여 용매 분리탑(500)으로 공급하였으며, 고분자의 함량이 0.22 중량%인 하층액은 3.5 kg/hr의 유량으로 고비점 분리탑(400)으로 공급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3에서, 상기 침전조(300)에 폴리아크릴아미드(PAA)를 1.0 kg으로 투입하여 6 분 동안 가동시켜 층분리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이 때, 상기 침전조(300)에서 침전된 고분자는 하부로 배출시켜 제거하고, 용매의 함량이 99 중량%인 상층액은 3.0 kg/hr의 유량으로 용매 추출라인(320)을 통해 펌프(330)를 이용하여 용매 분리탑(500)으로 공급하였으며, 고분자의 함량이 0.21 중량%인 하층액은 3.5 kg/hr의 유량으로 고비점 분리탑(400)으로 공급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2에서, 상기 침전조(300)의 가동 온도를 80 ℃로 제어하여 38 분 동안 가동시켜 층분리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이 때, 상기 침전조(300)에서 침전된 고분자는 하부로 배출시켜 제거하고, 용매의 함량이 98 중량%인 상층액은 3.0 kg/hr의 유량으로 용매 추출라인(320)을 통해 펌프(330)를 이용하여 용매 분리탑(500)으로 공급하였으며, 고분자의 함량이 0.36 중량%인 하층액은 3.5 kg/hr의 유량으로 고비점 분리탑(400)으로 공급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6을 참조하면, 침전조(300)에서 유기계 응집제로서 폴리아크릴아미드를 투입하여 올리고머화 반응 생성물 내 고분자를 제거함으로써, 단시간 내 후단 공정으로 이송되는 스트림의 고분자 함량을 최소화하였다. 이를 통해 후단 장치인 고분자 분리탑(400) 및 용매 분리탑(500)에서 분리를 위한 시간 및 에너지가 절감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침전조(300)에서 용매의 함량이 높은 상층액을 별도의 용매 추출라인(320)을 이용하여 용매 분리탑(500)으로 이송하고, 하층액을 고비점 분리탑(400)으로 이송한 실시예 2 내지 6의 경우, 고비점 분리탑(400)으로 이송되는 유량이 감소하여 고분자 분리탑(400)에서 분리를 위한 시간 및 에너지가 더욱 절감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비교예 1
하기 도 3에 도시된 공정 흐름도에 따라서 알파 올레핀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반응기(100) 하부로 기상의 에틸렌 단량체 스트림을 113 kg/hr로 공급하고, 하부 측면으로 메틸시클로헥산을 7 kg/hr 공급하고, 촉매 및 조촉매를 공급하여 에틸렌 단량체를 올리고머화 반응시켜 올리고머인 알파 올레핀을 포함하는 반응 생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상기 반응 생성물 내 포함된 고분자의 함량은 1.9 중량%로 확인하였고, 상기 반응기(100)의 온도를 70 ℃, 압력을 40 bar.g로 설정하였다.
상기 반응기(100) 배출 스트림은 분리 장치(200)로 공급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상의 제2 스트림은 응축기(110)를 통해 액상으로 응축시킨 후 분리 장치(200)로 공급하고, 액상의 제1 스트림은 바로 분리 장치(200)로 공급하였다.
상기 분리 장치(200)에서 기상의 미반응 단량체를 포함하는 상부 배출 스트림은 압축기(210)를 통과하여 반응기(100)로 공급하였고, 고분자의 함량이 2.2 중량%인 하부 배출 스트림은 10 kg/hr의 유량으로 고비점 분리탑(400)으로 공급하였다.
상기 고비점 분리탑(400)에서는 하부로 고비점 물질을 제거하였고, 상부 배출 스트림은 용매 분리탑(500)으로 공급하였으며, 상기 용매 분리탑(500)에서는 측부로 올리고머인 알파 올레핀을 회수하고, 하부 배출 스트림은 반응기(100)로 순환시켰다.
비교예 2
도 4에 도시된 공정 흐름도에 따라, 알파 올레핀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반응기(100) 하부로 기상의 에틸렌 단량체 스트림을 113 kg/hr로 공급하고, 하부 측면으로 메틸시클로헥산을 7 kg/hr 공급하고, 촉매 및 조촉매를 공급하여 에틸렌 단량체를 올리고머화 반응시켜 올리고머인 알파 올레핀을 포함하는 반응 생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상기 반응 생성물 내 포함된 고분자의 함량은 1.9 중량%로 확인하였고, 상기 반응기(100)의 온도를 70 ℃, 압력을 40 bar.g로 설정하였다.
상기 반응기(100) 배출 스트림은 분리 장치(200)로 공급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상의 제2 스트림은 응축기(110)를 통해 액상으로 응축시킨 후 분리 장치(200)로 공급하고, 액상의 제1 스트림은 바로 분리 장치(200)로 공급하였다.
상기 분리 장치(200)에서 기상의 미반응 단량체를 포함하는 상부 배출 스트림은 압축기(210)를 통과하여 반응기(100)로 공급하였고, 하부 배출 스트림은 침전조(300)로 공급하였다.
상기 침전조(300)에서는 분리 장치(200) 하부 배출 스트림을 가동 온도는 20 ℃, 가동 압력은 1 kg/cm2인 조건에서 2 시간 동안 가동시켜 층분리시켰다. 이 때, 침전된 고분자는 하부로 배출시켜 제거한 후 상층액과 하층액은 6.5 kg/hr의 유량으로 고비점 분리탑(400)으로 공급하였다. 이 때, 상층액 내 용매의 함량은 97 중량%이고, 하층액 내 고분자의 함량은 1.4 중량%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상기 고비점 분리탑(400)에서는 하부로 고비점 물질을 제거하였고, 상부 배출 스트림은 용매 분리탑(500)으로 공급하였고, 상기 용매 분리탑(500)에서는 측부로 올리고머인 알파 올레핀을 회수하고, 용매를 포함하는 하부 배출 스트림은 반응기(100)로 순환시켰다.
비교예 3
상기 비교예 2에서, 상기 침전조(300)의 가동 온도를 40 ℃로 제어하여 2 시간 동안 가동시켜 층분리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이 때, 상기 침전조(300)에서 상층액 내 용매의 함량은 95 중량%이고, 하층액 내 고분자의 함량은 1.9 중량%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비교예 4
상기 비교예 2에서, 상기 침전조(300)의 가동 온도를 80 ℃로 제어하여 2 시간 동안 가동시켜 층분리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이 때, 상기 침전조(300)에서 상층액 내 용매의 함량은 92 중량%이고, 하층액 내 고분자의 함량은 2.3 중량%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비교예 5
상기 비교예 2에서, 상기 침전조(300)를 20 분 동안 가동시켜 층분리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이 때, 상기 침전조(300)에서 상층액 내 용매의 함량은 73 중량%이고, 하층액 내 고분자의 함량은 8.1 중량%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상기 비교예 1은 침전조를 구비하지 않고 올리고머를 제조한 것으로서,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2 내지 5 대비 고비점 분리탑(400)으로 공급되는 스트림의 유량 및 고분자 함량이 증가하여 고비점 분리탑(400) 및 용매 분리탑(500)에서 분리를 위한 시간 및 에너지가 매우 증가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비교예 2 내지 5를 참조하면, 침전조(300)에서 유기계 응집제를 투입하지 않은 경우, 2 시간 동안 층분리를 하더라도 올리고머화 반응 생성물 내 고분자를 실시예와 같이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어려운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후단 장치인 고분자 분리탑(400) 및 용매 분리탑(500)에서 분리를 위한 시간 및 에너지가 증가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과 같이 침전조를 20 분 동안 가동한 비교예 4의 경우, 상층액의 용매 순도가 현저히 낮고, 하층액의 고분자 함량이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비교예 1 내지 4를 통해서는 실시예에서 얻을 수 있는 후단 장치에서의 분리를 위한 가동 시간 단축 및 에너지 절감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더불어, 침전조(300)에서 고분자 제거 및 층분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침전조(300) 상층액을 별도의 용매 추출라인(320)을 이용하여 용매 분리탑(500)으로 이송할 경우, 상층액 내 불순물이 다량 포함되어 있고, 하층액 내 고분자의 함량이 높아, 고비점 분리탑(400) 및 용매 분리탑(500)에서 분리를 위한 가동 시간 단축 및 에너지 사용량 절감 효과를 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올리고머의 품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100: 반응기
110: 응축기
200: 분리 장치
210: 압축기
300: 침전조
310: 응집제 공급라인
320: 용매 추출라인
330: 펌프
400: 고비점 분리탑
500: 용매 분리탑

Claims (11)

  1. 단량체 스트림 및 용매 스트림을 반응기로 공급하여 올리고머화 반응시켜 반응 생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반응기 배출 스트림을 분리 장치로 공급하고, 분리 장치 하부 배출 스트림은 침전조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침전조에 유기계 응집제를 투입하여 고분자를 침전시켜 제거하고, 고분자가 제거된 분리 장치 하부 배출 스트림을 고비점 분리탑으로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고비점 분리탑에서 하부 배출 스트림으로부터 고비점 물질을 제거하고,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상부 배출 스트림은 용매 분리탑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기계 응집제는 폴리아크릴아미드인 올리고머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8만 내지 15만 g/mol인 올리고머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의 가동 시간은 1 시간 이하인 올리고머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의 가동 시간은 40 분 이하인 올리고머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의 가동 온도는 10 ℃ 내지 90 ℃이고, 가동 압력은 0.1 kg/cm2 내지 3 kg/cm2인 올리고머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에서는 분리 장치 하부 배출 스트림을 용매를 포함하는 상층액과,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하층액으로 층분리시키며, 상기 상층액 스트림은 용매 분리탑으로 공급하고, 하층액 스트림은 고비점 분리탑으로 공급하는 올리고머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 분리탑으로부터 연결되어 침전조 내 상층액이 형성된 영역까지 연장되어 구비된 용매 추출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용매 추출라인을 통해 용매를 포함하는 침전조 상층액 스트림을 용매 분리탑으로 공급하는 올리고머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 상층액 내 용매의 함량은 90 중량% 이상인 올리고머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 분리탑에서 용매가 분리된 올리고머를 수득하는 것인 올리고머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는 에틸렌 단량체를 포함하고, 올리고머는 알파 올레핀을 포함하며, 고분자는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것인 올리고머 제조방법.
KR1020210006655A 2021-01-18 2021-01-18 올리고머 제조방법 Active KR102732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655A KR102732601B1 (ko) 2021-01-18 2021-01-18 올리고머 제조방법
EP22739594.4A EP4105192B1 (en) 2021-01-18 2022-01-10 Method for preparing oligomer
PCT/KR2022/000346 WO2022154398A1 (ko) 2021-01-18 2022-01-10 올리고머 제조방법
JP2022555687A JP7442925B2 (ja) 2021-01-18 2022-01-10 オリゴマーの製造方法
CN202280002727.6A CN115135626B (zh) 2021-01-18 2022-01-10 制备低聚物的方法
US17/910,228 US11964925B2 (en) 2021-01-18 2022-01-10 Method for preparing oligom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655A KR102732601B1 (ko) 2021-01-18 2021-01-18 올리고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418A KR20220104418A (ko) 2022-07-26
KR102732601B1 true KR102732601B1 (ko) 2024-11-19

Family

ID=82448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655A Active KR102732601B1 (ko) 2021-01-18 2021-01-18 올리고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64925B2 (ko)
EP (1) EP4105192B1 (ko)
JP (1) JP7442925B2 (ko)
KR (1) KR102732601B1 (ko)
CN (1) CN115135626B (ko)
WO (1) WO2022154398A1 (ko)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0121A (en) * 1975-12-15 1977-04-26 Shell Oil Company Oligomerization reaction system
US5286806C1 (en) 1993-05-14 2001-01-30 Cytec Tech Corp Methods of making and using high molecular weight acrylamide polymers
JP3540828B2 (ja) * 1993-11-30 2004-07-07 三菱化学株式会社 1−ヘキセンの製造方法
KR100414008B1 (ko) 1995-03-02 2004-04-29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α-올레핀올리고머의제조방법
DE19803658A1 (de) 1998-01-30 1999-08-05 Basf Ag Verwendung von anionischen Flockungsmitteln bei der organisch-wässrigen Phasentrennung
JP2003096129A (ja) 2001-09-21 2003-04-03 Tonen Chem Corp ポリオレフィンの精製方法
JP4289880B2 (ja) 2001-12-28 2009-07-01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高分子凝集剤
JP4177354B2 (ja) * 2004-05-26 2008-11-05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樹脂粒子含有廃水の処理方法
DE102005005506A1 (de) * 2005-02-04 2006-08-10 Basell Polyolefin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Polymerisation von Ethylen
EP1752433B1 (en) 2005-08-10 2012-10-03 Linde AG Improved drying process for linear alpha-olefins
CA2672385C (en) * 2006-12-28 2014-10-14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tion of .alpha.-olefin low polymers using chromium catalyst
FR2926812B1 (fr) 2008-01-28 2010-04-30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d'oligomerisation des olefines utilisant un catalyseur a base de silice-alumine.
SG183230A1 (en) * 2010-03-09 2012-09-27 Exxonmobil Chem Patents Inc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 trimerization
US20130102826A1 (en) 2011-05-24 2013-04-25 James R. Lattner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lpha Olefin Oligomers
RU2471762C1 (ru) * 2011-06-22 2013-01-1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СИБУР Холдинг" (ОАО "СИБУР Холдинг") Способ выделения продуктов олигомеризации олефинов и разложения остатков катализатора олигомеризации
US8524972B1 (en) * 2012-04-18 2013-09-03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Low temperature steam stripping for byproduct polymer and solvent recovery from an ethylene oligomerization process
JP6459587B2 (ja) * 2014-02-25 2019-01-30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α−オレフィン低重合体の製造方法
MY182516A (en) * 2014-09-22 2021-01-25 Mitsubishi Chem Corp Production method and production apparatus of ?-olefin oligomer
WO2016105226A1 (en) * 2014-12-23 2016-06-30 Public Joint Stock Company "Sibur Holding" Methods of precipitating polymer and deactivated organometallic catalyst in an olefin oligomerization reaction
JP6711029B2 (ja) * 2015-03-25 2020-06-17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α−オレフィン低重合体の製造方法
KR101928765B1 (ko) 2015-06-09 2018-1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틸렌을 회수하기 위한 분리방법 및 분리공정 시스템
KR20180035586A (ko) * 2016-09-29 2018-04-06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반응 또는 (공)중합 반응의 부산물을 제거하는 방법
JP6804944B2 (ja) * 2016-11-18 2020-12-23 出光興産株式会社 α−オレフィン低重合体の製造方法
SG11201908106RA (en) * 2017-03-14 2019-10-30 Saudi Arabian Oil Co Process for ethylene oligomerization to produce alpha-olefins
CN110603239A (zh) * 2017-05-09 2019-12-20 埃克森美孚化学专利公司 使用具有高产物纯度的催化剂失活的线性α-烯烃方法
WO2018208373A1 (en) * 2017-05-09 2018-11-15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Linear alpha olefin process using temperature control in oligomerization reactor
WO2019182664A1 (en) * 2018-03-23 2019-09-26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Linear alpha olefin processes
CN110621705A (zh) * 2017-05-09 2019-12-27 埃克森美孚化学专利公司 包括使用分壁蒸馏塔的溶剂纯化的线性α-烯烃方法
WO2018208374A1 (en) * 2017-05-09 2018-11-15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Linear alpha olefin process using solvent flash drum for olefin separation
KR102383417B1 (ko) 2018-12-10 2022-04-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틸렌 올리고머화 반응 생성물의 분리방법
WO2020171730A1 (en) * 2019-02-22 2020-08-27 Public Joint Stock Company "Sibur Holding" A method for separating olefin oligomerization products (vari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05192A4 (en) 2023-10-25
EP4105192A1 (en) 2022-12-21
EP4105192B1 (en) 2024-08-14
JP7442925B2 (ja) 2024-03-05
JP2023517134A (ja) 2023-04-21
US20230098226A1 (en) 2023-03-30
KR20220104418A (ko) 2022-07-26
CN115135626A (zh) 2022-09-30
WO2022154398A1 (ko) 2022-07-21
CN115135626B (zh) 2024-05-10
US11964925B2 (en) 202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12846B1 (ko) 올리고머 제조방법
US11939278B2 (en) Method of producing oligomer
KR102732601B1 (ko) 올리고머 제조방법
KR102592638B1 (ko) 알파 올레핀 제조 방법 및 알파 올레핀 제조 장치
KR102577661B1 (ko) 올리고머 제조 방법 및 올리고머 제조 장치
KR102602865B1 (ko) 올리고머 제조 방법 및 올리고머 제조 장치
KR102690910B1 (ko) 스파저 및 이를 포함하는 반응기
KR102585400B1 (ko) 올리고머 제조 방법 및 올리고머 제조 장치
KR102728114B1 (ko) 올리고머 제조 장치
JP7625324B2 (ja) 反応液移送システム
US20250122314A1 (en) Separation method for a reaction product ofolefin oligomerization, and method and device for preparing ethylene oligomer utilizing the separation method
KR20250068090A (ko) 올리고머화 반응 부산물의 처리 방법
CN120166985A (zh) 制备低聚物的方法
KR20230051054A (ko) 반응액 이송 시스템
KR20240174214A (ko)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18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6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101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