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30050B1 -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30050B1
KR102730050B1 KR1020220032280A KR20220032280A KR102730050B1 KR 102730050 B1 KR102730050 B1 KR 102730050B1 KR 1020220032280 A KR1020220032280 A KR 1020220032280A KR 20220032280 A KR20220032280 A KR 20220032280A KR 102730050 B1 KR102730050 B1 KR 102730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material
support rubber
pneumatic tire
ti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5223A (ko
Inventor
김병립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2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30050B1/ko
Publication of KR20230135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5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30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3005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002Noise damping elements provided in the tyre structure or attached thereto, e.g. in the tyre in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81Parts of pneumatic tyre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00Compositions of natural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81Parts of pneumatic tyre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D2030/0682Inner lin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아니하면서도 흠음제를 손쉽게 탈부착 할 수 있으며, 흡음재가 이탈하지 아니하는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트레드부(100)와 사이드월부(200) 및 비드부(300) 포함하며, 상기 트레드부(100)와 사이드월부(200)부에 타이어의 내면을 형성하는 이너라이너(400)가 설치는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이너라이너(400)의 표면에 상기 이너라이너(400)와 같이 가류되어 설치되는 지지고무부(600)와; 상기 지지고무부(600) 위에 설치되는 흡음재(700)와; 상기 흡음재(700)를 상기 지지고무부(60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800); 을 포함하는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Pneumatic tire with sound absorbing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아니하면서도 흠음제를 손쉽게 탈부착 할 수 있으며, 흡음재가 이탈하지 아니하는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차 시장의 급성장으로 인해, 차량의 엔진 소음등이 현격히 줄어들었다. 이에 운전자가 직관적으로 느낄 수 있는 소음은 노면에서 타이어를 타고 올라오는 소음이 가장 큰데, 이러한 소음을 차단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실제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제품들은 완성품 타이어(가류후) 내부 이너라이너 고무위에, 3~4줄의 접착제를 원주방향으로 도포한 뒤, 폴리우레탄 소재의 흡음재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접착제 도포 시기 (주변 환경_온도, 압력, 기후조건등)과 도포량과 부착을 위해 가해지는 힘의 크기 편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속 주행시 트레드에서 발생하는 열이 타이어 내부에 전달되면서, 이너라이너부와 흡음재간 접착제에 공극이 발생하고, 접착력 저하로 인해 흠음제가 이탈되어 더 큰 소음과 진동을 유발한다. 특히 이렇게 떨어져 나간 경우, 림에서 탈착하여, 표면을 갈아낸 뒤 재 장착을 하거나, 안되면 새로 사야하는등 안전과 환경적인 문제를 추가적으로 야기한다. 또한, 흡음재를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의 사용은 최근 친환경 제품으로 나아가고 있는 각 타이어 제조사의 방향과 정반대 방향으로 가기에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흡음재를 손쉽게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국내외 다양한 타이어 제조사들은 흡음재를 이너라이너 양끝에 부착하거나, 피자삼발이 같은 형상의 지지대를 부착한 후 흡음재를 부착하거나, 사이드월부에 부착하거나, 실란트를 활용하여 흡음재 를 부착하는 등 의 방법 등이 제시되었으나, 실제 복잡한 제조 프로세스 및 실제 적용이 불가능한 경우 등이 많아, 현재 모든 흡음재는 접착제를 이너라이너부에 도포하여 부착한 타이어를 출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흡음재를 미부착한 경우엔 개인이 접착제와 흡음재를 사서 부착하는 방식도 있으나, 접착제 도포의 어려움과 정량적인 부착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하, 관련된 선행문헌을 살펴본다. 하기 선행문헌에서의 식별부호는 본원발명과는 무관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21889호 '타이어 흡음재 부착장치'는 타이어의 내부면에 흡음재를 부착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타이어를 수직상태로 세운 위치에서 흡음재를 타이어의 이너라이너(Inner-liner)에 부착시킴에 따라 흡음재의 부착정도와 부착성능이 향 상되는 타이어 흡음재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컨베이어와 같은 운반수단을 통해 이송된 타이어의 내부면인 이너라이너에 외부에서 공급되는 흡음재를 누름 압착롤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가 세워진 상태로 진입되면 타이어를 수직상태로 유지 회전시키는 수직핸들링부와, 외부에서 흡음재 가이드를 통해 흡음재를 타이어의 내부로 안내하는 흡음재 안내가이드부, 상기 타이어 내부로 안내된 흡음재를 타이어의 내부면인 이너라이너에 부착하는 흡음재 압착부 및, 상기 흠음재가 부착된 타이어를 인출하는 타이어 인출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제10-1921889호 역시 흡음재의 부착은 접착제를 이용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579호 '흡음재 고정밴드를 구비하는 타이어 흡음재고정구조 및 이의 포함하여 제조되는 타이어'는 타이어에 흡음재를 부착 고정시키는 타이어의 흡음재고정구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타이어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흡음재, 신축가능한 소재로 되고, 상기 타이어의 내부 표면과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흡음재를 타이어의 이너라이너에 밀착시키고, 밀착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가압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개의 흡음재 고정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가압부는 신장되었다가 수축하면서 상기 흡음재의 상면에 하방 압력을 가하며, 별도의 접착층을 도포하지 않기 때문에 흡음재 부착 공정을 용이하게 하고, 타이어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도 흡음재를 타이어의 내부 표면에 견고하게 부착 고정시킬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 타이어의 흡음재고정구조에 관한 기술을 제공한다. 제10-177579호는 흡음재의 부착에 있어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아니하는 이점이 있으나, 고속주행시 흡음재가 이탈할 수 있는 우려가 있으며, 흡음재의 교체가 용이하지 아니한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21889호 '타이어 흡음재 부착장치' 등록일자 2018년11월20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579호 '흡음재 고정밴드를 구비하는 타이어 흡음재고정구조 및 이의 포함하여 제조되는 타이어' 등록일자 2017년08월31일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흡음재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고무부를 이너라이너에 일체화시켜 흡음재를 탈부착할 수 있는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트레드부(100)와 사이드월부(200) 및 비드부(300) 포함하며, 상기 트레드부(100)와 사이드월부(200)부에 타이어의 내면을 형성하는 이너라이너(400)가 설치는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이너라이너(400)의 표면에 상기 이너라이너(400)와 같이 가류되어 설치되는 지지고무부(600)와; 상기 지지고무부(600) 위에 설치되는 흡음재(700)와; 상기 흡음재(700)를 상기 지지고무부(60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800); 을 포함하는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흡음재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고무부를 이너라이너에 일체화시켜 흡음재를 탈부착할 수 있는 타이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타이어 내측 혹은 이너라이너에 지지고무브를 가류할 때, 브래더의 압력이 국부적으로 불균일하게 작용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때 지지대 고무 역시 가류 후 그 형상이 기존 몰드 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타이어의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에 나아가, 흡음재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해당 타이어는 판매시 지지고무부만이 부착된 상태에 서 출시된 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흡음재를 지지고무브에 올린 후, 고정핀 혹은 나사로 고정 함이 가능한 타이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여 탈부착이 자유로운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의 제1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의 제3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로 20km/h 속도로 주행한 시험결과의 그래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로 100km/h 속도로 주행한 시험결과의 그래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의 시험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의 제1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트레드부(100)와 사이드월부(200) 및 비드부(300) 포함하며, 상기 트레드부(100)와 사이드월부(200)부에 타이어의 내면을 형성하는 이너라이너(400)가 설치는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이너라이너(400)의 표면에 상기 이너라이너(400)와 같이 가류되어 설치되는 지지고무부(600)와; 상기 지지고무부(600) 위에 설치되는 흡음재(700)와; 상기 흡음재(700)를 상기 지지고무부(60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800); 을 포함하는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를 제공한다.
상기 지지고무부(600)는 1-20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비드부(300)와의 이격거리(d1)는 10mm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드부(300)와의 이격거리(d1)는 상기 비드부(300)와의 수직거리를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최단거리를 지칭할 수 있다. 상기의 이격거리(d1)은 비드부의 기계적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아니하기 위한 최소한의 거리를 제한하는 것으로서 유의미하다. 도2에서는 4개의 지지고무부(600)가 90도의 간격으로 설치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지지고무부(600)는 타이어의 내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도2에서의 도시된 지지고무부(600)는 설치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표시이며, 실제 타이어의 측면에서는 보이지 아니한다.
상기 지지고무부(600)는 고무30~99.799wt% 필러 0.1~50wt%, 오일 0.1~50wt% 및 유황 0.001~30wt%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무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선택되는 하나이고; 상기 필러는 카본, 실리카, 유기필러 중 선택되는 하나이며; 상기 오일은 식물성오일 또는 석유계오일 중선택되는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러는 지지고무부(600)의 강성 등의 물성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며, 오일 및 유황은 고무의 가류에 필요한 것으로서 고무의 경화 및 이너라이너(400)에의 접합에 관여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제조된 지지고무부(600)는 1-100의 경도를 가지며, 100%의 모듈러스가 10~50kgf/cm2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고무부(600)는 0.001~100mm의 두께(d2)를 가지며, 상기 지지고무부(600)의 폭과 길이는 상기 두께(d2)의 10배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고무부(600)의 폭과 길이가 상기 두께(d2)의 10배 이하일 경우, 노면에서 전달되는 열이 흡음재의 물리적 성질 (열노화)이 약화되어, 빠른 시간내에 삭는 경우가 발생하며, 100mm이상인 경우, 주행시 발생하는 스탠딩 웨이브 발생으로 인해 종래의 흡음재 부착보다 공명음 감소효과가 떨어진다. 지지대 고무의 가로와 세로길이는 두께보다 10배이상 값이여야 하며, 이하일 경우, 흡음재 부착시 쉽게 이탈한다.
상기 흡음재(700)는 직경이 0.01~1mm이고 길이가 0.1mm~100m의 합성섬유가 얽힌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음재(700)의 재료로서, 폴리우레탄을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우레탄은 섬유가 얽힌 구조 또는 폼(foam)의 구조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재질에 갈음하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을 15μm로 가공한 재질(상표명 thinsulate로 알려진 바 있음, 이하 신슐레이트라 함)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의 신슐레이트를 적용한 경우 폴리우레탄 재질의 적용 대비 5%의 성능 개선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고정핀(800)은 상기 지지고무부(600)와 상기 흡음재(700)를 체결하는 것으로서, 나사, 리벳, 압박핀 등의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고무부(600)가 타이어의 양측 숄더부 저부에 위치하고, 상기 흡음재(700)가 그 위에 설치되는 구성을 도시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의 제3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고무부(600)가 타이어의 양측 사이드월부에 설치되고, 기 흡음재(700)가 그 사이에 설치되는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이에 나아가, 상기 지지고무부(600)를 150~200도의 온도에서 1~5분 동안 1차 가류하는 단계(s100); 1차 가류된 상기 지지고무부(600)를 가류전 그린타이어의 이너라이너(400)의 내측면에 부착하는 단계(s200); 지지고무부(600)가 설치된 그린타이어를 가류하는 단계(s300); 상기 지지고무부(600)에 고정핀(800)으로 흡음재(700)를 설치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는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지지고무부(600)를 150~200도의 온도에서 1~5분 동안 1차 가류하는 단계(s100)에서 가장 바람직한 온도는 180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180도에 2분 가류한 지지고무부의 두께(d2)는 6mm이다.
1차 가류된 상기 지지고무부(600)를 가류전 그린타이어의 이너라이너(400)의 내측면에 부착하는 단계(s200)에서, 상기 지지고무부를 가류전 타이어 내측에 지지대에 도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고무부를 90도 간격으로 부착한다. 부착위치는 타이어 내측이면 어느 위치든 해당되며, 최소 1개 이상을 부착하여야만 한다.
지지고무부(600)가 설치된 그린타이어를 가류하는 단계(s300)에서, 가류 후 지지대 고무의 두께를 측정한 결과 6mm로가류전과 차이가 없으며, 일체화되어 타이어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타이어 단면 확인 결과 흡음재 지지대 고무가 부착된 바닥면과 타이어 내측부간 브라다가 닿지 않는 부분이 미가류되는 양상은 없었고, 지지대 고무가 부착된 부위로부터 타이어 바깥쪽에 수직으로 내렸을 때 위치한 트레드 고무의 물성과, 그 옆에 위치한 지지대 고무의 영향을 받지 않는 트레드 고무의 물성간 차이는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브라다가 타이어 내부를 밀었을때, 지지대 고무로 인한 눌리는 부위는 나일론 및 스틸 재질의 코드의 배열에 변형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그외 부위와 비교시 변형 역시 없음을 확인하였다.
가류 후 브라다 손상 여부 확인결과 100 사이클(회)을 돌렸을 때, 브라다의 변형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가류시 브라다 팽창압력의 변화는 지지대 고무 미부착시와 차이가 없었다. 타이어 커팅하여 지지대 고무의 단면 및 가로, 세로, 높이 모두 측정시 가류전과 동일한 크기를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로 20km/h 속도로 주행한 시험결과의 그래프이다. 20km/h 속도로 주행한 시험결과의 그래프에서 210~230Hz의 구간에서 본 발명의 흡음재를 적용한 구간은 낮은 결과값을 보였으나, 흡음재를 적용하지 아니한 대조군에서는 높은 결과값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는 본 발명의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로 100km/h 속도로 주행한 시험결과의 그래프이다. 100km/h 속도로 주행한 시험결과의 그래프에서 210~230Hz의 구간에서 본 발명의 흡음재를 적용한 구간은 20km/h 속도로 주행한 시험결과의 그래프에서의 결과값보다는 상대적으로 높지만 흡음재를 적용하지 아니한 대조군에서의 결과값보다 현저히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7은 본 발명의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의 시험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도7의 시험에서는 205/55R16 H308 타이어 내부에 지지대 고무를 도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90도 간격으로 부착하여, 가류한 후, 지지대 고무위에 흡음재 소재를 올린 다음 PLA소재의 고정핀으로 고정하였다. 캠버 3도 및 하중 350kg, 200km/h로 고속내구 시험 주행시, 흡음재 소재 및 고정핀 이탈 없었으며, 시험도로(용인AMG Speedway)에서 시험차량(아반떼 HD)으로 160km/h 속도로 2시간 주행시 역시, 흡음재 소재 및 고정핀 이탈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래의 접착제부착방식으로 할 경우, 고속주행시 접착제와 타이어 내부간 열이 발생하여 일부 이탈되는 사례가 확인되었으며, 작업성 역시 정량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접착제를 발라지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나, 본원발명과 같이 지지대고무를 활용할 경우, 고정핀의 삽입위치만 확인하면 되기에 작업성도 용이하고 매우 정량적인 작업이 용이하며, 흡음재가 이탈되는 사례는 발생하지 않았다.
추가적으로 종래의 폴리우레탄(PU)소재의 폼(Foam)을 대체하기 위해, 경량화된 제품인 신슐레이트를 부착평가한 결과, 흡음효과가 우레탄 실험군 대비 5%이상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트레드부
200: 사이드월부
300: 비드부
400: 이너라이너
500: 벨트부
600: 지지고무부
700: 흡음재
800: 고정핀

Claims (7)

  1. 트레드부(100)와 사이드월부(200) 및 비드부(300) 포함하며, 상기 트레드부(100)와 사이드월부(200)부에 타이어의 내면을 형성하는 이너라이너(400)가 설치되는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이너라이너(400)의 표면에 상기 이너라이너(400)와 같이 가류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고무부(600)와;
    상기 복수의 지지고무부(600)와 결합하는 흡음재(700)와;
    상기 흡음재(700)를 상기 복수의 지지고무부(60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800);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고무부(600) 중 하나의 지지고무부(600)는 상기 공기입타이어의 일측 사이드월부에 인접한 상기 이너라이너(400)의 일측 부위 내면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고무부(600) 중 다른 지지고무부(600)는 상기 공기입타이어의 타측 사이드월부에 인접한 상기 이너라이너(400)의 타측 부위 내면에 설치되고,
    상기 흡음재(700)의 일측단은 상기 고정핀(800)에 의해 상기 하나의 지지고무부(600)와 결합하며, 상기 흡음재(700)의 타측단은 상기 고정핀(800)에 의해 상기 다른 지지고무부(600)와 결합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고무부(600)와 상기 흡음재(700)는, 상기 트레드부(100)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이너라이너(400)의 일측 부위와 상기 이너라이너(400)의 타측 부위 사이에 형성된 상기 이너라이너(400)의 중앙 부위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고무부(600)는 고무30~99.799wt% 필러 0.1~50wt%, 오일 0.1~50wt% 및 유황 0.001~30wt%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무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선택되는 하나이고;
    상기 필러는 카본, 실리카, 유기필러 중 선택되는 하나이며;
    상기 오일은 식물성오일 또는 석유계오일 중선택되는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고무부(600)는
    1-100의 경도를 가지며, 100%의 모듈러스가 10~50kgf/cm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고무부(600)는 0.001~100mm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지지고무부(600)의 폭과 길이는 상기 두께의 10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700)는 직경이 0.01~1mm이고 길이가 0.1mm~100m의 합성수지의 섬유가 얽힌 구조 또는 폼(foam) 구조 중 선택되는 하나의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
  7. 청구항 1에 의한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지지고무부(600)를 150~200도의 온도에서 1~5분 동안 1차 가류하는 단계(s100);
    1차 가류된 상기 지지고무부(600)를 가류전 그린타이어의 이너라이너(400)의 내측면에 부착하는 단계(s200);
    지지고무부(600)가 설치된 그린타이어를 가류하는 단계(s300);
    상기 지지고무부(600)에 고정핀(800)으로 흡음재(700)를 설치하는 단계(s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의 제조방법.
KR1020220032280A 2022-03-15 2022-03-15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 Active KR102730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280A KR102730050B1 (ko) 2022-03-15 2022-03-15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280A KR102730050B1 (ko) 2022-03-15 2022-03-15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5223A KR20230135223A (ko) 2023-09-25
KR102730050B1 true KR102730050B1 (ko) 2024-11-14

Family

ID=88190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280A Active KR102730050B1 (ko) 2022-03-15 2022-03-15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300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7623A (ja) * 2001-10-24 2003-05-08 Bridgestone Corp タイヤ用スポンジムース環体の保管方法及びその保管具
JP4525800B2 (ja) 2008-06-20 2010-08-18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騒音低減装置及びこれを装着した空気入りタイヤ
JP2012025319A (ja) * 2010-07-27 2012-02-09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01932B1 (ko) 2016-02-22 2017-12-28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흡음 부재를 가진 타이어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7579B1 (ko) 1995-12-29 1999-05-15 권문구 저잔류변형율과 고회복율을 가지는 고충진고무탄성체 조성물
JP5126395B1 (ja) * 2011-07-20 2013-01-23 横浜ゴム株式会社 ゴム積層体
KR101921889B1 (ko) 2016-11-14 2019-02-13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흡음재 부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7623A (ja) * 2001-10-24 2003-05-08 Bridgestone Corp タイヤ用スポンジムース環体の保管方法及びその保管具
JP4525800B2 (ja) 2008-06-20 2010-08-18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騒音低減装置及びこれを装着した空気入りタイヤ
JP2012025319A (ja) * 2010-07-27 2012-02-09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01932B1 (ko) 2016-02-22 2017-12-28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흡음 부재를 가진 타이어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5223A (ko) 202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2500B2 (en) Pneumatic tire with cushion rubb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7581577B2 (en) Low noise pneumatic tire
WO2015076383A1 (ja) 空気入りタイヤ
EP2098385B1 (en) Pneumatic tire
US6406575B1 (en) Process for producing a pneumatic tire
US20140246133A1 (en) Tire containing a component for reducing vibration-generated noise in a tire and method for reducing tire noise
EP2452838A1 (en) Puncture sealant laminate and pneumatic tire comprising such a laminate
EP3192668B1 (en) Pneumatic tire
US10052919B2 (en) Tire with pre-stressed toroidal element
RU2537058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невматической шины
US20020066512A1 (en) Pneumatic tire
CN102149534A (zh) 集成的增强补片
KR102730050B1 (ko) 흡음재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1235783A (ja) 更生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109572B (zh) 缺气保用轮胎以及用于制造缺气保用轮胎的方法
EP3366496B1 (en) Run flat t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6682860B2 (ja) 空気入りタイヤ
EP0426389B1 (en) A pneumatic tyre
US20230074596A1 (en) Pneumatic tire
KR20250074376A (ko) 공기입 타이어와 이의 제조방법
JP2002205515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01269945A (ja) タイヤの製造方法及びタイヤ
JP2006234579A (ja) 取り付け部材、空気入りタイヤ及び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KR102730034B1 (ko) 센서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타이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센서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타이어
US20180244113A1 (en) Run flat t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