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29976B1 - 엘리베이터용 도르래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도르래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29976B1
KR102729976B1 KR1020230015400A KR20230015400A KR102729976B1 KR 102729976 B1 KR102729976 B1 KR 102729976B1 KR 1020230015400 A KR1020230015400 A KR 1020230015400A KR 20230015400 A KR20230015400 A KR 20230015400A KR 102729976 B1 KR102729976 B1 KR 102729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rotating
bearing
belt
rotating pa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5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122987A (ko
Inventor
윤여황
Original Assignee
티케이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케이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케이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15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29976B1/ko
Publication of KR20240122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22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29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2997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5/00Main component parts of mining-hoist winding devices
    • B66B15/02Rope or cable carriers
    • B66B15/04Friction sheaves; "Koepe" pull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도르래는 외측면에 엘리베이터 벨트가 감기는 벨트 안착부가 형성되고, 서로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고, 각각 개별로 회전 가능한 복수의 회전부, 각각의 회전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베어링부, 베어링부가 고정되는 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도르래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PULLY FOR ELEVATOR AND ELEVATOR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도르래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에는 많은 승객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승강장치가 개발 및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승강장치는 건물의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소정 공간인 승강로를 따라 상하로 직선운동하며 승객이나 화물 등을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는 운반수단이다.
일반적인 승강장치는 사람이나 화물을 탐재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 엘리베이터 카의 반대편에 매달려 있는 무게추, 케이지와 균형추를 상호 연결하는 벨트, 벨트를 감아 엘리베이터 카를 승강시키는 전동기, 및 벨트가 감겨 힘의 방향을 바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르래를 포함한다.
종래의 도르래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각각의 홈에 벨트가 감겨져 있어, 벨트의 두께가 다를 경우, 두께 공차로 인해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하더라도 두께 공차의 길이만큼 차이가 발생한다. 아울러, 도르래는 바른 속도로 회전을 하기 때문에 벨트 두께 차이로 인해 동일한 직경의 도르래와 벨트 사이에 미끌림이 발생하며, 이는 진동 및 소음으로 에너지가 발산하게 된다. 이로 인해, 벨트의 표면이 마모되어 벨트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나아가 엘리베이터를 사용하는 고객의 안전을 위협하거나 사용시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998392호(발명의 명칭: 엘리베이터 플랫벨트 이탈 및 파손 안전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벨트를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체에 적용하여 두께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미끌림을 해소하여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엘리베이터용 도르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상 진동 및 소음으로 인해 벨트 수명저하로 발생하는 안전 위협 및 승객의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더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도르래는 외측면에 엘리베이터 벨트가 감기는 벨트 안착부가 형성되고, 서로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고, 각각 개별로 회전 가능한 복수의 회전부, 각각의 회전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베어링부, 베어링부가 고정되는 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엘리베어터 카, 평형추, 엘리베이터 카 및 평형추를 연결하는 복수의 벨트, 복수의 벨트가 권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용 도르래, 및 복수의 벨트에 구동력을 인가하여 엘리베이터카를 승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벨트를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체에 적용하여 두께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미끌림을 완전히 없애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상 진동 및 소음으로 인해 벨트 수명저하로 발생하는 안전 위협 및 승객의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르래의 정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르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의 확대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도르래(100)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10)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엘리베이터 카(11), 평형추(12), 복수의 벨트(13), 엘리베이터 도르래(100), 및 구동부(14)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카(11)는 건물 내부에 마련된 승강로에 설치되어, 승강로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11)는 승객이나 화물을 실어 나르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탑승공간이 마련되고, 탑승구를 통해 탑승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일측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도어를 구비하며, 건물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승강로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평형추(12)는 엘리베이터 카(11)의 이동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승강로에 설치된다.
벨트(13)는 엘리베이터 카(11)와 평형추(12)가 서로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양단부에 각각 엘리베이터 카(11)와 평형추(12)가 연결된다. 벨트(13)는 종래에 사용되는 로프나 와이어와는 달리 플랫한 형상을 가지며, 우레탄고무 등의 내부에 강철 코드가 삽입된 형태를 갖는다. 이를 통해, 엘리베이터의 저소음 구동이 가능하다.
엘리베이터 도르래(100)는 벨트(13)가 권취되어, 힘의 작용 방향을 바꾸는 역할을 한다.
구동부(14)는 벨트(13)에 연결되며, 엘리베이터 카(11)가 승강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예시적으로, 구동부(14)는 승강로의 상부에 별도로 마련된 기계실에 위치하며, 엘리베이커 카를 승강하기 위해 벨트(13)에 접촉하여 구름 마찰되는 휠 및 휠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르래(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르래(100)의 정면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르래(100)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의 확대이다.
엘리베이터 도르래(100)는 복수의 회전부(110), 복수의 베어링부(120) 및 축부(130)를 포함한다.
복수의 회전부(110)는 외측면에 엘리베이터 벨트(13)가 감기는 벨트 안착부(111)가 형성되고, 서로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회전부(1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좌측 및 우측 둘레부가 원주방향으로 돌출되어 벨트 가이드부(112)가 형성되고, 벨트 가이드부(112)의 사이에 엘리베이터 벨트(13)의 내측면이 접촉되는 벨트 안착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벨트 가이드부(112)는 엘리베이터 벨트(13)가 이탈되지 않도록 엘리베이터 벨트(13)의 두께를 고려하여 적절한 높이로 제작되며, 벨트 안착부(111)는 엘리베이터 벨트(13)의 폭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벨트(13)는 벨트 가이드부(112)에 의해 좌우이동이 제한되며, 벨트 안착부(111)에 내측면이 접촉되어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110)는 각각 개별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회전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가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벨트(13)의 개수에 따라 2개 또는 4개 이상 구비될 수도 있다.
베어링부(120)는 회전부(110)의 내측에 위치하며, 각각의 회전부(110)에 복수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베어링부(120)는 회전부(110)의 내측 좌측에 위치하는 제1 베어링부(121) 및 회전부(110)의 내측 우측에 위치하는 제2 베어링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베어링부(120)는 볼 베어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는 않는다.
베어링부(120)는 내경의 내측면이 축부(130)의 외주면에 접촉되고, 외경의 외측면이 회전부(110)의 내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베어링부(120)는 내경이 후술되는 파도워셔(wave washer, 151, 152)에 의해 고정되고, 외경의 외측면에 회전부(110)가 접촉되어, 회전부(110)가 축부(130)에 고정된 상태에서 원활히 회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베어링부(120)는 회전부(110)의 내측에 복수가 구비되어, 회전부(110)가 폭이 넓은 엘리베이터 벨트(13)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베어링부(120)를 축부(130)에 고정하기 위해 스냅링(140) 및 파도워셔(151, 152)를 포함할 수 있다.
스냅링(140)은 회전부(11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스냅링(140)은 최좌측에 구비된 회전부(110)의 좌측, 최우측에 구비된 회전부(110)에 우측, 및 회전부(110)의 사이에 각각 1개씩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는 않고, 회전부(110)의 사이의 간격이 넓을 경우, 회전부(11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1개씩 구비될 수도 있다.
파도워셔(151, 152)는, 도 3을 참조하면, 회전부(110)의 좌측에 위치한 스냅링(140)과 제1 베어링부(121) 사이에 위치하고, 제1 베어링부(121)로 탄성력을 가하는 제1 파도워셔(151) 및 회전부(110)의 우측에 위치한 스냅링(140)과 제2 베어링부(122) 사이에 위치하고, 제2 베어링부(122)로 탄성력을 가하는 제2 파도워셔(152)를 포함할 수 있다.
파도워셔(151, 152)는 도넛 형상을 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파형으로 굽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도워셔(151, 152)는 베어링부(120)의 내경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베어링부(120)의 내경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할 뿐만 아니라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엘리베이터 시스템
11 : 엘리베이터 카 12 : 평형추
13 : 벨트 14 : 구동부
100 : 엘리베이터용 도르래
110 : 회전체
120 : 베어링부 121 : 제1 베어링부
122 : 제2 베어링부
130 : 축부
140 : 스냅링
151 : 제1 파도워셔 152 : 제2 파도워셔

Claims (4)

  1. 엘리베이터용 도르래에 있어서,
    외측면에 엘리베이터 벨트가 감기는 벨트 안착부가 형성되고, 서로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고, 각각 개별로 회전 가능한 복수의 회전부;
    각각의 상기 회전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베어링부;
    상기 베어링부가 고정되는 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베어링부는 상기 회전부의 내측 좌측에 위치하는 제1 베어링부; 및 상기 회전부의 내측 우측에 위치하는 제2 베어링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부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축부에 고정된 스냅링;
    상기 회전부의 좌측에 위치한 스냅링과 상기 제1 베어링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베어링부의 내경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제1 파도 워셔; 및
    상기 회전부의 우측에 위치한 스냅링과 상기 제2 베어링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베어링부의 내경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제2 파도 워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도 워셔 및 제2 파도 워셔는 원주방향을 따라 파형으로 굽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가 회전되는 축방향으로 상기 회전부를 탄성지지하는 것인, 엘리베이터용 도르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도르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
    평형추;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평형추를 연결하는 복수의 벨트;
    상기 복수의 벨트가 권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용 도르래; 및
    상기 복수의 벨트에 구동력을 인가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카를 승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20230015400A 2023-02-06 2023-02-06 엘리베이터용 도르래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Active KR102729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5400A KR102729976B1 (ko) 2023-02-06 2023-02-06 엘리베이터용 도르래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5400A KR102729976B1 (ko) 2023-02-06 2023-02-06 엘리베이터용 도르래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22987A KR20240122987A (ko) 2024-08-13
KR102729976B1 true KR102729976B1 (ko) 2024-11-15

Family

ID=92395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5400A Active KR102729976B1 (ko) 2023-02-06 2023-02-06 엘리베이터용 도르래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299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63631A1 (en) * 2018-02-28 2019-08-29 Thyssenkrupp Ag Elevator Sheav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7676U (ko) * 1993-05-31 1994-12-10 모터의 베어링 예압장치
KR101998392B1 (ko) 2018-10-19 2019-09-27 주식회사 금강엔지니어링 엘리베이터 플렛벨트 이탈 및 파손 안전 감지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63631A1 (en) * 2018-02-28 2019-08-29 Thyssenkrupp Ag Elevator Sheav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22987A (ko) 2024-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58791C (zh) 利用可移动的曳引机构输送载荷的电梯
EP1591403B1 (en) Traction elevator system having multiple machines
CN106573761B (zh) 用于电梯系统的滑轮
EP3056461B1 (en) Arrangement and elevator
EP2987758A1 (en) Elevator
CN109650215B (zh) 索轮组件、补偿器和升降机装置
JPWO2008114344A1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US20130056305A1 (en) Elevator With Cogged Belt and Pulley and With Counterweight
JP6762690B2 (ja) エレベータ
KR102729976B1 (ko) 엘리베이터용 도르래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EP2969876B1 (en) Traction sheave for elevator system
US20170088400A1 (en) Traction geared machine for elevator
CN110891890B (zh) 曳引工具驱动装置中的导向轮
KR200272583Y1 (ko) 주차설비의 승강기 구동장치
KR101238084B1 (ko) 엘리베이터장치
KR102092078B1 (ko) 엘리베이터용 2:1 로프 체결방식에 적용되는 매달림 시브
EP1870370A1 (en) Elevator device
JPWO2007007400A1 (ja) エレベータ装置
CN120191813A (zh) 电梯安全装置和启动电梯安全装置的方法
JP4114431B2 (ja) 駆動装置
JPWO2006043317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4999949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WO2017158793A1 (ja) エレベータ装置、搬送装置及び被ガイド部材
JP6579446B2 (ja) エレベータ用駆動装置
CN117068903A (zh) 电梯的调速器及电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2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6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409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0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