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29793B1 - 약품 용기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약품 용기 검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29793B1 KR102729793B1 KR1020220056852A KR20220056852A KR102729793B1 KR 102729793 B1 KR102729793 B1 KR 102729793B1 KR 1020220056852 A KR1020220056852 A KR 1020220056852A KR 20220056852 A KR20220056852 A KR 20220056852A KR 102729793 B1 KR102729793 B1 KR 1027297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fting
- container
- medicine container
- module
- coupl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0—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a container or its cont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them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plan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63—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65G21/2072—Laterial guidance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33—Position of the art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10—Scanning
- G01N2201/104—Mechano-optical scan, i.e. object and beam mov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용기 검사 장치는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 롤러 및 상기 회전 롤러에 권취되어 회전하는 벨트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 상기 벨트에 안착되어 상기 컨베이어 장치 구동 시 이동하며, 검사 대상 약품 용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약품 용기 고정 지그;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약품 용기를 회전 시키는 약품 용기 회전부; 및 상기 약품 용기 회전부에 의해 상기 약품 용기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약품 용기를 촬영하여 상기 약품 용기 내부에 충진된 약품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약품 용기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약품이 충진된 약품 용기 내부 영상을 획득함으로써, 약품 용기의 수위 및 이물질 포함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약품 용기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정제나 캡슐 형태의 의약품은 먼저 외형적인 형상의 불량 유무를 판별하여 선별한 후 정제나 캡슐 낱개의 중량차의 누적으로 계수에 오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선별된 각각의 개체를 계수하여 용기에 충진하거나 포장하며 이때 이물질 검사도 병행한다.
캡슐이나 정제의 형상 불량 유무 판별은 진동형 피더를 이용하여 개체를 이송하면서 감지 센서에 의하여 파악된 검사대상물을 CCD를 이용한 머신비전으로 이미지 좌표를 생성하고 좌표에서 검사 대상물의 면적에 해당되는 픽셀 수를 카운트하여 기준면적과 비교하는 방식에 의하거나 리니어 센서 어레이(Linear Sensor Array)를 이용하여 검사 대상물의 길이에 해당하는 픽셀수를 계산하여 기준과 대비하여 불량 유무를 판별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었다.
그러나 전술한 방법은 액상의 약품이 충진된 용기에 적용하기 어렵다. 또한, 약품이 충진된 용기가 불투명 재질로 구비되는 경우 일반적인 영상 촬영 기법으로는 용기 내부에 포함된 약품이 용기에 적절한 수위로 충진이 되었는지 또는 약품 내부에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지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액상 약품이 충진된 용기를 검사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용기 내부에 충진된 약품이 정량으로 충진이 되었는지 여부 및 약품에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약품 용기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용기 검사 장치는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 롤러 및 상기 회전 롤러에 권취되어 회전하는 벨트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 상기 벨트에 안착되어 상기 컨베이어 장치 구동 시 이동하며, 검사 대상 약품 용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약품 용기 고정 지그;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약품 용기를 회전 시키는 약품 용기 회전부; 및 상기 약품 용기 회전부에 의해 상기 약품 용기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약품 용기를 촬영하여 상기 약품 용기 내부에 충진된 약품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품 용기 회전부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결합된 제1 승강 모듈; 상기 제1 승강 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승강 모듈에 의해 승강하는 제2 승강 모듈; 및 상기 제2 승강 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승강 모듈 구동 시 승강하고, 상기 약품 용기의 상부를 지지하여 상기 약품 용기를 가압 회전시키는 가압 회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승강 모듈은, 상기 고정 프레임에 결합된 가이드 프레임;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제1 승강 커넥터;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승강 커넥터를 승강시키는 제1 승강 모터; 및 상기 제1 승강 커넥터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승강 커넥터와 연동하여 승강하는 제1 승강 브라켓;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승강 모듈은, 상기 제1 승강 브라켓에 연결된 제2 승강 모터; 상기 제2 승강 모터 구동 시 적어도 일부가 승강하는 제2 승강 브라켓; 및 상기 제2 승강 브라켓의 일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압 회전 모듈이 결합된 제2 승강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승강 브라켓은 상기 제2 승강 모터의 회전 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승강 모터 구동시 승강하는 승강 파트; 및 상기 승강 파트가 내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승강 커넥터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승강 모터와의 상대위치가 고정된 승강 안내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 회전 모듈은 상기 제2 승강 커넥터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약품 용기의 상부에 접촉되어 상기 약품 용기를 회전시키는 파지 회전 로드가 구비된 회전 모터; 및 상기 제2 승강 브라켓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 모터가 상기 약품 용기를 회전 시키는 경우 상기 파지 회전 로드를 상기 약품 용기가 배치된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는 IR 카메라(infrared camear)로 구비되어 상기 약품 용기 내측의 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약품 용기 고정 지그의 내측에는 상기 약품 용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장치는 상기 약품 용기 고정 지그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 인식 센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장치는 상기 약품 용기 고정 지그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약품 용기 고정 지그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컨베이어 장치 구동 시 상기 벨트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용기 검사장치는 약품 용기에 약품이 정량으로 충진되어 있는지 여부 및 약품에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용기 검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약품 용기 회전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약품 용기 회전부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승강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제2 승강 모듈 및 가압 회전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약품 용기 회전부의 하부에 약품 용기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약품 용기 회전부가 하강하여 약품 용기 상단에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약품 용기 회전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약품 용기 회전부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승강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제2 승강 모듈 및 가압 회전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약품 용기 회전부의 하부에 약품 용기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약품 용기 회전부가 하강하여 약품 용기 상단에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용기 검사 장치(1)는 약품 용기(B) 내부에 충진된 약품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약품이 약품 용기(B)에 정량으로 충진되었는지 여부 및 약품 속에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약품 용기(B)에 충진되는 약품은 액상의 약품에 해당할 수 있다.
약품 용기 검사 장치(1)는 일 예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 롤러(110) 및 회전 롤러(110)에 권취되어 회전하는 벨트(120)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100), 벨트(120)에 안착되어 컨베이어 장치(100) 구동 시 이동하며, 검사 대상 약품 용기(B)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약품 용기 고정 지그(200), 컨베이어 장치(1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약품 용기(B)를 회전시키는 약품 용기 회전부(300) 및 약품 용기 회전부(300)에 의해 약품 용기(B)가 회전하는 경우 약품 용기(B)를 촬영하여 약품 용기(B) 내부에 충진된 약품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 장치(100)는 약품 용기(B)의 이송을 위해 구비될 수 있으며, 컨베이어 장치(100)에 인접하게 약품 용기 회전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약품 용기 회전부(300)를 컨베이어 장치(100)에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컨베이어 장치(100)에는 약품 용기(B)의 검사를 위한 다양한 검사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컨베이어 장치(100)는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회전 롤러(11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롤러(110)에는 벨트(120)가 권취될 수 있으며, 회전 롤러(110) 구동 시 벨트(120)가 연동하여 회전됨으로써 약품 용기(B)는 이송될 수 있다.
컨베이어 장치(100)에는 가이드 레일(130)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130)은 벨트(120)의 길이 방향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30)은 약품 용기 고정 지그(20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으며, 약품 용기 고정 지그(200)가 컨베이어 장치(100)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30)에는 약품 용기 고정 지그(200)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 인식 센서(131)가 구비될 수 있다. 위치 인식 센서(131)는 예를 들어, 광학센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가이드 레일(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위치 인식 센서(131)는 고정 지그(200)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구성에 해당하는한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다양한 센서로 대체될 수 있다.
컨베이어 장치(100)는 벨트 가압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벨트 가압기(140)는 벨트(120)를 가압하여 벨트(120)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컨베이어 장치(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벨트(120)를 상향 가압할 수 있다.
약품 용기 고정 지그(200)는 약품 용기(B)를 직립 상태로 고정시켜 이송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약품 용기 고정 지그(200)는 벨트(120)의 상면에 안착되어 벨트(12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약품 용기 고정 지그(200) 이동 시 약품 용기 고정 지그(200)는 가이드 레일(13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약품 용기 고정 지그(200)의 측면이 가이드 레일(130)에 간헐적으로 지지되거나 하부 플랜지(미도시)가 가이드 레일(130) 내측으로 삽입되어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약품 용기 고정 지그(200)가 벨트(120) 내측에 안정적으로 배치되는 경우 약품 용기 고정 지그(200)는 가이드 레일(130)과 소정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이송될 수도 있다.
약품 용기 고정 지그(200)의 내측에는 약품 용기(B)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베어링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베어링은 볼베어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약품 용기(B)는 약품 용기 고정 지그(200)에 직립 삽입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컨베이어 장치(100)의 일측에는 약품 용기 회전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약품 용기 회전부(300)는 약품 용기(B)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약품 용기(B)가 약품 용기 고정 지그(200)에 안착된 상태로, 컨베이어 장치(100)에 의해 약품 용기 회전부(300)의 하부로 이동하면, 약품 용기 회전부(300)는 약품 용기(B)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부(400)는 약품 용기(B)의 전 측면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약품 용기 회전부(300)의 상세 구성은 후술한다.
카메라부(400)는 약품 용기(B)를 촬영하여 약품 용기(B)에 충진된 약품의 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부(400)는 IR 카메라(infrared camera)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400)는 약품 용기 회전부(300)에 의해 약품 용기(B)가 회전하는 상태에서 약품의 상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약품 용기 회전(300)가 소정 각도로 약품 용기(B)를 회전시킨 후, 약품 용기(B)의 회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약품의 상태 이미지를 획득할 수도 있다.
카메라부(400)가 약품 용기(B)를 촬영하면 약품의 상태 이미지가 흑백으로 출력될 수 있다. 출력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약품 용기(B)에 약품이 정량으로 충진되었는지 여부 및 약품 내부에 이물질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카메라부(400)는 영상 출력을 위한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400)는 예를 들어, 카메라 고정 프레임(410), 카메라 고정 프레임(410)에 결합되는 카메라(420) 및 조명 장치(43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고정 프레임(410)은 카메라(420)를 전후/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조명 장치(430)는 약품 용기(B)에 빛을 조사하여 카메라(420)의 영상 촬영을 보조할 수 있다.
도 2는 약품 용기 회전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약품 용기 회전부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약품 용기 회전부(300)는 고정 프레임(310), 고정 프레임(310)에 결합된 제1 승강 모듈(320), 제1 승강 모듈(320)에 결합되어 제1 승강 모듈(320)에 의해 승강하는 제2 승강 모듈(330) 및 제2 승강 모듈(330)에 결합되어 제2 승강 모듈(330) 구동 시 승강하고, 약품 용기(B)의 상부를 지지하여 약품 용기(B)를 가압 회전시키는 가압 회전 모듈(34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프레임(310)은 제1 승강 모듈(320), 제2 승강 모듈(330) 및 가압 회전 모듈(340)을 직/간접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310)은 예를 들어, 뉘어진 'ㄷ'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310)은 컨베이어 장치(100)에 인접하게 배치되거나 컨베이어 장치(1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승강 모듈(320)은 고정 프레임(3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는 제1 승강 모듈(320)이 한 쌍으로 구비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나, 제1 승강 모듈(320)은 구조적/설계적 필요에 따라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승강 모듈(320)은 일 예로, 고정 프레임(310)에 결합된 가이드 프레임(321), 가이드 프레임(321)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가이드 프레임(32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제1 승강 커넥터(322), 가이드 프레임(321)에 결합되고 제1 승강 커넥터(322)를 승강시키는 제1 승강 모터(323) 및 제1 승강 커넥터(322)에 결합되어 제1 승강 커넥터(322)와 연동하여 승강하는 제1 승강 브라켓(324)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321)은 고정 프레임(310)에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321)의 내측에는 제1 승강 커넥터(322)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승강 커넥터(322)의 바디 파트(322a)가 가이드 프레임(32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바디 파트(322a)의 단부에서 돌출 절곡된 절곡 파트(322b)가 가이드 프레임(321)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이드 프레임(321)에는 절곡 파트 노출 슬릿(321b)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321)의 일측에는 배선 프레임(321a)이 구비될 수 있다. 배선 프레임(321a)의 내부에는 약품 용기 회전부(300)의 구동을 위한 전선이 배치될 수 있다. 배선 프레임(321a)은 가이드 프레임(321) 또는 고정 프레임(31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배선 프레임(321a)이 결합되는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가이드 프레임(321)의 일단에는 제1 승강 모터(323)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승강 모터(323)는 구동시 승강 커넥터(322)를 승강시킬 수 있다. 승강 모터(323)는 일 예로, 가이드 프레임(321)의 상단에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 승강 브라켓(324)은 제1 승강 커넥터(322)에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승강 브라켓(324)은 제1 승강 커넷터(322)의 절곡 파트(322b)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승강 커넥터(322)와 함께 승강될 수 있다.
제1 승강 브라켓(324)은 예를 들어, 절곡 파트(322b)에 결합되는 제1 수직 플레이트(324a) 및 제1 수직 플레이트(324a)의 하단에 연결된 제1 수평 플레이트(324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수직 플레이트(324a)와 제1 수평 플레이트(324b)는 별개의 부재로 제작되어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승강 브라켓(324)은 제1 수직 플레이트(324a)와 제2 수평 플레이트(324b)의 결합력을 향상 시키기위 한 지지 리브(324c)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리브(324c)는 'ㄴ'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1 수직 플레이트(324a) 및 제1 수평 플레이트(324b)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수평 플레이트(324b)에는 제2 승강 모듈(330)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 숭강 모듈 안착홈(324b-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승강 모듈(330)은 제1 승강 브라켓(320)에 연결된 제2 승강 모터(331), 제2 승강 모터(331) 구동 시 적어도 일부가 승강하는 제2 승강 브라켓(332) 및 제2 승강 브라켓(332)의 일면에 결합되고 가압 회전 모듈(340)이 결합된 제2 승강 커넥터(3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승강 모터(331)는 제1 승강 브라켓(320)의 제1 수평 플레이트(324b)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승강 모터(331)는 제1 수평 플레이트(324b)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제2 승강 모터(331)의 샤프트(331a)는 제1 수평 플레이트(324b)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샤프트(331a)에는 커플링(331b)이 결합될 수 있다. 커플링(331b)은 제2 승강 브라켓(332)의 승강 파트(332a)에 연결될 수 있다. 샤프트(331a)의 개방된 단부에는 캡부재(331c)가 결합될 수 있다. 캡부재(331c)는 제2 승강 브라켓(332)의 승강 안내파트(332b)에 결합될 수 있다. 샤프트(331a)회전시 커플링(331b)은 승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승강 브라켓(332)의 승강 파트(332a)는 승강될 수 있다.
제2 승강 브라켓(332)은 제2 승강 모터(331)의 회전시 샤프트(331a)에 연결되어 제2 승강 모터(331) 구동 시 승강하는 승강 파트(332a) 및 승강 파트(332a)가 내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2 승강 커넥터(333)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 승강 모터(331)와의 상대 위치가 고정된 승강 안내 파트(332b)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 파트(332a)의 내측에는 커플링(331b)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승강 파트(332a)는 승강 안내 파트(332b)에 형성된 슬라이드홈(332b-3)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홈(332b-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일면에는 제2 승강 커넥터(333)가 결합될 수 있다.
승강 안내 파트(332b)는 제1 수평 플레이트(324b)에 결합되는 제2 수직 플레이트(332b-1) 및 제2 수직 플레이트(332b-1)의 상부에 경합된 제2 수평 플레이트(332b-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직 플레이트(332b-1)은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수직 플레이트(332b-1)에는 승강 파트(332a)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슬라이드홈(332b-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직 플레이트(332b-1)의 상부에는 제2 수평 플레이트(332b-2)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수평 플레이트(332b-2)는 슬라이드홈(332b-3)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수평 플레이트(332b-2)의 돌출된 단부에는 가압 실린더(342)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승강 커넥터(333)는 제2 승강 브라켓(332)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승강 커넥터(333)는 제2 수직 플레이트(332b-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승강 커넥터(333)의 슬라이드 이동을 위해 제2 수직 플레이트(332b-1)와 제2 승강 커넥터(333) 사이에는 승강 가이드(334)가 구비될 수 있다. 승강 가이드(334)는 제2 수직 플레이트(332b-1)에 결합된 수파트(334a) 및 제2 승강 커넥터(333)에 결합되고 내측에 수파트(334a)가 삽입되어 슬라이드이동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암파트(334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승강 가이드(334)는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위해 별도의 단턱파트(334c)를 포함할 수 있다. 단턱파트(334c)는 제2 수직 플레이트(332b-1)의 상단 및 하단에 결합되어 수파트(334a) 및 암파트(334b)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승강 커넥터(333)는 수평 패널(333a)과 수직 패널(333b)을 포함할 수 잇다. 수직 패널(333b)은 승강 가이드(334)를 통해 제2 수직 플레이트(332b-1)에 연결될 수 있다. 수직 패널(333b)에는 제2 승강 브라켓(332)의 제2 수평 플레이트(332b-2)가 관통하는 관통홈(333b-1)이 형성될 수 있다. 수평 패널(333a)은 수직 패널(333b)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수평 패널(333a)과 수직 패널(333b)은 별개의 부재로 제작되거나, 하나의 부재를 절곡하여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수평 패널(333a)에는 회전 모터(341)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모터(341)는 수평 패널(333a)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회전 모터(341)의 파지 회전 로드(341c)는 수평 패널(333a)에 형성된 개구(333a-1)를 통해 상부로 노출될 수 있다.
가압 회전 모듈(340)은 약품 용기(B)를 가압하여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가압 회전 모듈(340)은 예를 들어, 제2 승강 커넥터(333)의 저면에 결합되고, 약품 용기(B)의 상부에 접촉되어 약품 용기(B)를 회전시키는 파지 회전 로드(341c)가 구비된 회전 모터(341) 및 제2 승강 브라켓(332)에 연결되고 회전 모터(341)가 약품 용기(B)를 회전시키는 경우, 파지 회전 로드(341c)를 약품 용기(B)가 배치된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실린더(34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모터(341)는 전기를 공급받아 파지 회전 로드(341c)를 회전시키고, 수평 플레이트(333a)에 연결된 모터 파트(341a), 모터 파트(341a)에 의해 회전하는 파지 회전 로드(341c) 및 파지 회전 로드(341c)의 단부에 구비되고, 선택적으로 약품 용기(B)의 상부를 파지하는 파지부(341b)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 실린더(342)는 회전 모터(341) 구동시 회전 모터(341)를 약품 용기(B) 방향으로 가압하여 파지부(341b)가 약품 용기(B)로부터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압 실린더(342)는 가압 로드(342a)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압 로드(342a)는 회전 모터(341)의 파지 회전 로드(341c)를 가압할 수 있다. 가압 로드(342a)가 파지 회전 로드(341c)를 가압하는 경우, 파지 회전 로드(341c)는 가압력에 의해 소정 거리 하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용기 검사 장치(1)의 구동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약품 용기 회전부 하부에 약품 용기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은 약품 용기 회전부가 하강하여 약품 용기 상단에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승강 모듈(320)은 검사 대상 약품 용기(B)의 종류에 대응하여 제1 승강 브라켓(324)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승강 모듈(320)은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약품 용기(B)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로 제1 승강 브라켓(324)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 회전 모듈(340)의 초기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약품 용기(B)는 약품 용기 고정 지그(200)에 직립 안착되어 컨베이어 장치(100)에 공급될 수 있다. 컨베이어 장치(100)의 벨트(120)에 약품 용기 고정 지그(200)가 안착되면, 컨베이어 장치(100)는 회전 롤러(110)를 회전시켜 벨트(120)가 회전하게 할 수 있다. 벨트(120)의 회전에 따라 약품 용기(B)는 이송될 수 있다. 여기서, 컨베이어 장치(100)의 위치 인식 센서(131)에 약품 용기(B)가 인식되면, 컨베이어 장치(100)는 기설정된 거리만큼 약품 용기(B)가 이송되도록 회전 롤러(110)의 회전양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컨베이어 장치(100)는 위치 인식 센서(131)에 인식된 약품 용기(B)가 가압 회전 모듈(34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이송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약품 용기(B)가 가압 회전 모듈(340)의 하부에 배치되면, 제2 승강 모듈(330)은 회전 모터(341)의 파지부(341b)가 약품 용기(B)의 상부에 접촉하도록 가압 회전 모듈(340)을 하강시킬 수 있다.
파지부(341b)가 약품 용기(B)의 하부에 접촉하면 가압 실린더(342)는 파지 회전 로드(341c)를 가압하여 파지부(341b)와 약품 용기(B)가 보다 견고히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회전 모터(341)가 구동되어 약품 용기(B)는 회전할 수 있다. 약품 용기 고정 지그(200) 내부에 구비된 베어링에 의해 약품 용기(B)는 원활히 회전할 수 있다.
약품 용기(B)가 회전하는 경우, 카메라부(400)부는 약품 용기(B)의 측면을 촬영하여 약품 용기(B) 내부에 충진된 약품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약품 용기(B)내부에 약품이 정량 충진되어 있는지 여부 및 약품에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용기 검사 장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1: 약품 용기 검사 장치 100: 컨베이어 장치
110: 회전 롤러 120: 벨트
130: 가이드 레일 140: 벨트 가압기
200: 약품 용기 고정 지그 300: 약품 용기 회전부
310: 고정 프레임 320: 제1 승강 모듈
321: 가이드 프레임 322: 제1 승강 커넥터
323: 제1 승강 모터 324: 제1 승강 브라켓
330: 제2 승강 모듈 331: 제2 승강 모터
332: 제2 승강 브라켓 333: 제2 승강 커넥터
334: 승강 가이드 340: 가압 회전 모듈
341: 회전 모터 342: 가압 실린더
400: 카메라부
110: 회전 롤러 120: 벨트
130: 가이드 레일 140: 벨트 가압기
200: 약품 용기 고정 지그 300: 약품 용기 회전부
310: 고정 프레임 320: 제1 승강 모듈
321: 가이드 프레임 322: 제1 승강 커넥터
323: 제1 승강 모터 324: 제1 승강 브라켓
330: 제2 승강 모듈 331: 제2 승강 모터
332: 제2 승강 브라켓 333: 제2 승강 커넥터
334: 승강 가이드 340: 가압 회전 모듈
341: 회전 모터 342: 가압 실린더
400: 카메라부
Claims (10)
-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 롤러 및 상기 회전 롤러에 권취되어 회전하는 벨트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
상기 벨트에 안착되어 상기 컨베이어 장치 구동 시 이동하며, 검사 대상 약품 용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약품 용기 고정 지그;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약품 용기를 회전시키는 약품 용기 회전부; 및
상기 약품 용기 회전부에 의해 상기 약품 용기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약품 용기를 촬영하여 상기 약품 용기 내부에 충진된 약품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되,
상기 약품 용기 회전부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결합된 제1 승강 모듈;
상기 제1 승강 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승강 모듈에 의해 승강하는 제2 승강 모듈; 및
상기 제2 승강 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승강 모듈 구동 시 승강하고, 상기 약품 용기의 상부를 지지하여 상기 약품 용기를 가압 회전시키는 가압 회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승강 모듈은,
상기 고정 프레임에 결합된 가이드 프레임;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제1 승강 커넥터;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승강 커넥터를 승강시키는 제1 승강 모터; 및
상기 제1 승강 커넥터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승강 커넥터와 연동하여 승강하는 제1 승강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승강 모듈은,
상기 제1 승강 브라켓에 연결된 제2 승강 모터;
상기 제2 승강 모터 구동 시 적어도 일부가 승강하는 제2 승강 브라켓; 및
상기 제2 승강 브라켓의 일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압 회전 모듈이 결합된 제2 승강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회전 모듈은
상기 제2 승강 커넥터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약품 용기의 상부에 접촉되어 상기 약품 용기를 회전시키는 파지 회전 로드가 구비된 회전 모터; 및
상기 제2 승강 브라켓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 모터가 상기 약품 용기를 회전 시키는 경우 상기 파지 회전 로드를 상기 약품 용기가 배치된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약품 용기 검사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승강 브라켓은
상기 제2 승강 모터의 회전 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승강 모터 구동시 승강하는 승강 파트; 및
상기 승강 파트가 내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승강 커넥터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승강 모터와의 상대위치가 고정된 승강 안내 파트;를 포함하는,
약품 용기 검사장치.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IR 카메라(infrared camera)로 구비되어 상기 약품 용기 내측의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약품 용기 검사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용기 고정 지그의 내측에는 상기 약품 용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이 구비되는,
약품 용기 검사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장치는 상기 약품 용기 고정 지그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 인식 센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약품 용기 검사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장치는 상기 약품 용기 고정 지그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약품 용기 고정 지그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컨베이어 장치 구동 시 상기 벨트를 따라 이동하는,
약품 용기 검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56852A KR102729793B1 (ko) | 2022-05-09 | 2022-05-09 | 약품 용기 검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56852A KR102729793B1 (ko) | 2022-05-09 | 2022-05-09 | 약품 용기 검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57177A KR20230157177A (ko) | 2023-11-16 |
KR102729793B1 true KR102729793B1 (ko) | 2024-11-14 |
Family
ID=88964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56852A Active KR102729793B1 (ko) | 2022-05-09 | 2022-05-09 | 약품 용기 검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2979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625407B (zh) * | 2024-07-17 | 2024-11-29 | 宁波坤行健医药科技有限公司 | 一种药品异物检测设备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2504B1 (ko) * | 2017-09-18 | 2018-06-28 | 이춘학 | 용기 누설 및 성형불량 검사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837311B1 (en) * | 1996-05-02 | 2004-07-21 | Sankyo Manufacturing Company, Ltd. | Noncontact inspection apparatus |
KR101866181B1 (ko) * | 2016-11-04 | 2018-06-11 | (주)아모레퍼시픽 | 용기 내부의 이물질 검사 장치 |
KR102231223B1 (ko) * | 2019-09-11 | 2021-03-24 |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 화장품병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
-
2022
- 2022-05-09 KR KR1020220056852A patent/KR10272979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2504B1 (ko) * | 2017-09-18 | 2018-06-28 | 이춘학 | 용기 누설 및 성형불량 검사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57177A (ko) | 2023-1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74634B1 (ko) | 인라인 엑스-레이 차폐 도어유닛 및 이를 구비한 엑스-레이 검사시스템 | |
KR20140066551A (ko) | 릴-투-릴 검사장치 및 릴-투-릴 검사방법 | |
KR101954416B1 (ko) | 검사 장치 | |
KR101499462B1 (ko) | 백라이트 유닛의 소형 비전 검사장치 | |
KR102026684B1 (ko) | 장구형 웜의 비전 검사기 | |
KR102729793B1 (ko) | 약품 용기 검사장치 | |
CZ275993A3 (en) | Apparatus for checking eye lenses | |
CN112881405B (zh) | 一种检测装置及检测方法 | |
KR101762158B1 (ko) | 외관 검사 장치 | |
CN219455925U (zh) | 一种输液软袋检测装置 | |
CN115372374B (zh) | 一种农药颗粒剂包衣法生产线成品检测装置 | |
CN106871801B (zh) | 一种在传送带上自动检测锂电池参数的机器视觉检测系统 | |
CN115254680A (zh) | 一种显示屏的异物自动检测设备 | |
JP2021117174A (ja) | チューブ容器検査装置 | |
KR102493691B1 (ko) | 모바일 디바이스 외관 촬영 장치 | |
CN117563970A (zh) | 水果品质自动检测装置 | |
KR20180049947A (ko) | 용기 내부의 이물질 검사 장치 | |
KR102511789B1 (ko) | 의약용기 비젼 검사장치 | |
KR101923719B1 (ko) | 바이오 메디컬용 채혈관의 외관 검사장치 | |
CN108020560A (zh) | 纸浆制品表面缺陷检测装置 | |
CN211426043U (zh) | 一种钢网检测设备 | |
CN207215729U (zh) | 光学膜视觉智能检测设备的检测单元 | |
CN209061635U (zh) | 衣服尺寸检测系统 | |
JP5651084B2 (ja) | 異物検査装置 | |
JP2950645B2 (ja) | 円筒内壁面の欠陥検査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30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