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29604B1 - Apparatus for transferring display glas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ransferring display gla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29604B1
KR102729604B1 KR1020230075156A KR20230075156A KR102729604B1 KR 102729604 B1 KR102729604 B1 KR 102729604B1 KR 1020230075156 A KR1020230075156 A KR 1020230075156A KR 20230075156 A KR20230075156 A KR 20230075156A KR 102729604 B1 KR102729604 B1 KR 102729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transport device
vacuum
display substrate
b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51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웅
윤경자
Original Assignee
와이엠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엠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이엠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75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2960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29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2960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용 기판 흡착 이송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기판 흡착 이송장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Display Glass)을 흡착 이송하는 장소를 이루되 판면에 복수 개의 배큠 라인(Vaccum Line)이 형성되는 이송장치 본체; 및 상기 기판에 대해 변경 가능한 커팅 패턴(Cutting Pattern)에 대응하기 위해 상기 이송장치 본체 상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배큠 블록(Vaccum Block)을 포함하며, 상기 배큠 블록은, 블록 바디; 상기 블록 바디의 일측에 복수 개로 마련되되 상기 기판을 진공으로 흡착하는 흡착 패드; 및 상기 블록 바디의 측벽에 연결되며, 상기 배큠 라인에 연통 가능한 피팅을 포함한다.A display substrate suction transport device is disclosed. The display substrate suction transpo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ransport device body having a place for suction-transporting a display substrate (Display Glass) and having a plurality of vacuum lines formed on a plate surface; and a plurality of vacuum blocks positionally movably arranged on the transport device body to correspond to a changeable cutting pattern for the substrate, wherein the vacuum blocks include: a block body; a plurality of suction pad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lock body and suctioning the substrate by vacuum; and a fitting connected to a side wall of the block body and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vacuum lines.

Description

디스플레이용 기판 흡착 이송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display glass}{Apparatus for transferring display glas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용 기판 흡착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용 기판(Display Glass)에 대한 커팅 패턴(Cutting Pattern)이 변경되더라도 종전처럼 전체 장비를 새로 제작하지 않고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부품만 국부적으로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다양한 커팅 패턴에 대한 대응이 가능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종래보다 교체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줄이면서 제품의 생산성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흡착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substrate suction and transport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display substrate suction and transport device, which enables response to various cutting patterns since only part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s need to be locally replaced without having to manufacture the entire equipment anew as in the past even when the cutting pattern for the display substrate (Display Glass) is changed, thereby reducing the cost and time for replacement compared to the past while contributing to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the product.

LCD 또는 OLED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Display Glass)의 커팅(Cutting) 공정에서 원판을 공정에서 요구하는 작은 사이즈(Size)의 단위 기판으로 레이저 커팅(Laser Cutting)한 후, 단위 기판들의 이송을 위해 도 1과 같은 디스플레이용 기판 흡착 이송장치(1)를 이용해서 후(後) 공정으로 운반한다.In the cutting process of a display substrate (Display Glass) used as an LCD or OLED, a raw plate is laser cut into unit substrates of a small size (Size) required in the process, and then a display substrate suction transport device (1) such as that shown in Fig. 1 is used to transport the unit substrates to a subsequent process.

통상의 디스플레이용 기판 흡착 이송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이송장치 본체(10)와, 이송장치 본체(10) 상에 마련되되 단위 기판을 진공압으로 흡착하는 복수 개의 흡착 패드(20)를 포함한다.A typical display substrate suction transport device (1) includes a transfer device body (10) as shown in Fig. 1, and a plurality of suction pads (20) provided on the transfer device body (10) to suction a unit substrate using vacuum pressure.

복수 개의 흡착 패드(20)는 이송장치 본체(10) 상에서 등간격으로 고정 설치된다. 이때, 커팅한 단위 기판의 사이즈에 맞게 흡착 패드(20)의 위치와 수량이 결정된다.A plurality of suction pads (20) are fixedly installed at equal intervals on the transport device body (10). At this time, the position and quantity of the suction pads (20)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ut unit substrate.

그런데, 종래기술에서는 제품 사이즈별로 이송장치 본체(10)에 고정 타입으로 흡착 패드(20)들을 장착해서 사용해 왔기 때문에, 사이즈 변경 시 다시 말해, 원판에서 커팅되는 단위 기판의 커팅 패턴(Cutting Pattern)이 변경될 때마다 그것에 맞게 장치를 새로 제작해야 해서 비용이 많이 소요될뿐더러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since the suction pads (20) were fixedly mounted on the main body (10) of the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oduct size, when the size was changed, that is, when the cutting pattern of the unit substrate cut from the original plate was changed, the device had to be newly manufactured to match it, which not only cost a lot of money but also took a lot of time to work on.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2-0075135호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pplication No. 10-2002-0075135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용 기판(Display Glass)에 대한 커팅 패턴(Cutting Pattern)이 변경되더라도 종전처럼 전체 장비를 새로 제작하지 않고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부품만 국부적으로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다양한 커팅 패턴에 대한 대응이 가능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종래보다 교체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줄이면서 제품의 생산성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흡착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substrate suction and transport device that can respond to various cutting patterns by locally replacing only part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s without manufacturing the entire equipment anew as in the past even when the cutting pattern for the display substrate (Display Glass) is changed, thereby reducing the cost and time for replacement compared to the past and contributing to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the product.

상기 목적은, 디스플레이용 기판(Display Glass)을 흡착 이송하는 장소를 이루되 판면에 복수 개의 배큠 라인(Vaccum Line)이 형성되는 이송장치 본체; 및 상기 기판에 대해 변경 가능한 커팅 패턴(Cutting Pattern)에 대응하기 위해 상기 이송장치 본체 상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배큠 블록(Vaccum Block)을 포함하며, 상기 배큠 블록은, 블록 바디; 상기 블록 바디의 일측에 복수 개로 마련되되 상기 기판을 진공으로 흡착하는 흡착 패드; 및 상기 블록 바디의 측벽에 연결되며, 상기 배큠 라인에 연통 가능한 피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흡착 이송장치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achieved by a display substrate suction and transfer device, comprising: a transfer device body having a place for suction and transferring a display substrate (Display Glass) and having a plurality of vacuum lines formed on a surface; and a plurality of vacuum blocks arranged so as to be positionally movable on the transfer device body in order to correspond to a changeable cutting pattern for the substrate, wherein the vacuum blocks include: a block body; a plurality of suction pad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lock body and suctioning the substrate by vacuum; and a fitting connected to a side wall of the block body and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vacuum lines.

상기 배큠 블록은, 상기 블록 바디의 하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철 금속인 상기 이송장치 본체에 자기적으로 탈부착되는 복수 개의 마그네트(Magnet)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vacuum block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block body and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magnets that are magnetical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transport device body made of iron metal.

상기 이송장치 본체에는 상기 배큠 블록들을 줄지어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블록 연결봉이 마련되며, 상기 블록 바디에는 상기 블록 연결봉이 통과하는 통과구가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transport device body is provided with a block connecting rod that connects the above vacuum blocks in a row so that they can move, and a passage through which the block connecting rod passes may be formed in the block body.

상기 블록 연결봉에 연결된 상기 배큠 블록 간의 간격 얼라인(Align) 설정을 위해 마련되는 얼라인 바(Align Bar); 및 상기 블록 연결봉의 단부에 마련되며, 해당 위치에서 상기 얼라인 바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볼 캐쳐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 alignment bar provided to align the gap between the vacuum blocks connected to the block connecting rod; and a ball catcher provided at an end of the block connecting rod and guiding the position of the alignment bar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블록 바디에는 단차진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얼라인 바에는 상기 블록 바디의 단차부가 배치되는 복수 개의 블록 배치부가 형성되되 복수 개의 블록 배치부는 복수 개의 격벽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The above block body has a stepped portion formed therein, and the align bar has a plurality of block arrangement portions formed therein, in which the stepped portions of the block body are arranged, and the plurality of block arrangement portions can be partitioned by a plurality of bulkheads.

상기 배큠 블록들의 낙하 방지를 위해 상기 배큠 블록들을 연결하는 상기 블록 연결봉에 일단부가 결합하며, 타단부에 후크 걸림블록이 결합하는 낙하 방지용 바; 및 상기 이송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낙하 방지용 바를 지지하는 바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above-mentioned vacuum blocks from falling, the above-mentioned vacuum blocks may further include a fall prevention bar having one end joined to the block connecting rod connecting the above-mentioned vacuum blocks and a hook catch block joined to the other end; and a bar support member that is detachably joined to the main body of the transport device and supports the fall prevention bar.

상기 이송장치 본체의 양 단부 영역에는 상기 바 지지대의 탑재를 위한 지지대 탑재용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A support mounting slot for mounting the bar support may be formed at both end areas of the above-mentioned transport device body.

상기 바 지지대에는 상기 낙하 방지용 바의 후크 걸림블록이 선택적으로 걸리거나 걸림해제되는 회전식 잠금 걸고리가 마련되며, 상기 회전식 잠금 걸고리는 걸고리 브래킷에 의해 상기 바 지지대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The above bar support is provided with a rotary locking hook that selectively engages or releases the hook engaging block of the above fall prevention bar, and the rotary locking hook can be rotatably engaged on the bar support by a hook bracket.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용 기판(Display Glass)에 대한 커팅 패턴(Cutting Pattern)이 변경되더라도 종전처럼 전체 장비를 새로 제작하지 않고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부품만 국부적으로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다양한 커팅 패턴에 대한 대응이 가능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종래보다 교체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줄이면서 제품의 생산성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cutting pattern for a display substrate (Display Glass) is changed, only the part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s need to be locally replaced without having to manufacture the entire equipment anew as before, thereby enabling response to various cutting patterns, and thereby contributing to improved productivity of the product while reducing the cost and time for replacement compared to before.

도 1은 종래 디스플레이용 기판 흡착 이송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 흡착 이송장치의 상면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2의 디스플레이용 기판 흡착 이송장치에 대한 바닥면 구조도이다.
도 4의 (a)와 (b)는 각각 배큠 블록을 10열 및 8열로 배치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B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8은 도 5의 C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배큠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2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이미지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바 지지대가 분리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배큠 블록에 대한 위치 변경 프로세스이다.
Figure 1 is a rear view of a conventional display substrate suction transport device.
FIG. 2 is a top structural diagram of a display substrate adsorption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ottom surface structural diagram of the display substrate adsorption transport device of Figure 2.
Figures 4 (a) and (b) are examples of arranging vacuum blocks in 10 rows and 8 rows, respectively.
Figure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Figure 3.
Figure 6 is an enlarged view of area B of Figure 5.
Figure 7 is a partially exploded view of Figure 6.
Figure 8 is an enlarged view of area C of Figure 5.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acuum block.
Figure 10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ure 9.
Figure 11 is an enlarged view of area A of Figure 2.
Figure 12 is an image of Figure 11.
Figure 13 is a drawing of the bar support separated from Figure 12.
Figures 14 and 15 are position change processes for the vacuum block.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and functional explanatio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s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an have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that can realize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the purpose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must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by.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eanings of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it is said that an element is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at other element, but there may also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Meanwhile,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such as "between" and "direct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 singular express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he terms "comprises" or "have" should be understoo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but not to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evant art,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한다.Now,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 흡착 이송장치의 상면 구조도, 도 3은 도 2의 디스플레이용 기판 흡착 이송장치에 대한 바닥면 구조도, 도 4의 (a)와 (b)는 각각 배큠 블록을 10열 및 8열로 배치한 예시도, 도 5는 도 3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5의 B 영역의 확대도, 도 7은 도 6의 부분 분해도, 도 8은 도 5의 C 영역의 확대도, 도 9는 배큠 블록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저면 사시도, 도 11은 도 2의 A 영역의 확대도, 도 12는 도 11의 이미지, 도 13은 도 12에서 바 지지대가 분리된 도면, 도 14 및 도 15는 배큠 블록에 대한 위치 변경 프로세스이다.FIG. 2 is a top view of a display substrate suction and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ottom view of the display substrate suction and transport device of FIG. 2, FIGS. 4 (a) and 4 (b) are examples of arranging vacuum blocks in 10 rows and 8 rows, respectively, FIG.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FIG. 3,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rea B of FIG. 5, FIG. 7 is a partial exploded view of FIG. 6,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area C of FIG. 5,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block, FIG. 10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 9, FIG. 11 is an enlarged view of area A of FIG. 2, FIG. 12 is an image of FIG. 11, FIG. 13 is a view in which a bar support is separated in FIG. 12, and FIGS. 14 and 15 are position change processes for vacuum blocks.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 흡착 이송장치(100)는 디스플레이용 기판(Display Glass)에 대한 커팅 패턴(Cutting Pattern)이 변경되더라도 종전처럼 전체 장비를 새로 제작하지 않고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부품만 국부적으로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다양한 커팅 패턴에 대한 대응이 가능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종래보다 교체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줄이면서 제품의 생산성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display substrate suction and transpor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respond to various cutting patterns because only part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s need to be locally replaced without having to manufacture the entire equipment anew as before even if the cutting pattern for the display substrate (Display Glass) is changed, thereby reducing the cost and time for replacement compared to before and contributing to improved product productivity.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 흡착 이송장치(100)는 이송장치 본체(110)와, 이송장치 본체(110) 상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배큠 블록(120, Vaccum Block)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substrate suction transpor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pable of providing such effects may include a transport device body (110) and a plurality of vacuum blocks (120, Vaccum Block) positionally arranged on the transport device body (110).

이송장치 본체(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 흡착 이송장치(100)의 외관 구조물로서 디스플레이용 기판(Display Glass)을 흡착 이송하는 장소를 이룬다. 이러한 이송장치 본체(110)에 배큠 블록(120)들을 포함해서 아래 구성, 구조들이 위치별로 탑재될 수 있다.The transport device body (110) is an outer structure of the display substrate suction transpor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orms a place for suction-transporting a display substrate (Display Glass). The following configurations and structures, including vacuum blocks (120), can be mounted on the transport device body (110) according to location.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이송장치 본체(110)에 복수 개의 배큠 라인(111, Vaccum Line)이 형성된다. 배큠 라인(111)은 배큠 블록(120)과 연결되며, 배큠 블록(120)의 피팅(123)을 통해 흡착 패드(122)에 진공압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도 14 및 도 15처럼 흡착 패드(122)를 통해 기판이 진공 흡착될 수 있도록 한다.As illustrated in FIG. 2, a plurality of vacuum lines (111) are formed in the transport device body (110). The vacuum lines (111) are connected to the vacuum block (120), and a vacuum pressure is formed in the suction pad (122) through the fitting (123) of the vacuum block (120), thereby allowing the substrate to be vacuum-absorbed through the suction pad (122) as illustrated in FIGS. 14 and 15.

배큠 블록(120)은 기판에 대해 변경 가능한 커팅 패턴(Cutting Pattern)에 대응하기 위해 이송장치 본체(110) 상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도 1의 고정 타입이었던 종래와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 흡착 이송장치(100)에 적용되는 배큠 블록(120)은 이송장치 본체(110) 상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사이즈 변경 시 다시 말해, 원판에서 커팅되는 단위 기판의 커팅 패턴(Cutting Pattern)이 변경되더라도 종전처럼 전체 장비를 새로 제작하지 않고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부품만 국부적으로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다양한 커팅 패턴에 대한 대응이 가능해질 수 있다.The vacuum block (120) is positioned so as to be movable on the transport device body (110) in order to correspond to a changeable cutting pattern for the substrate. That is, unlike the conventional fixed type of FIG. 1, the vacuum block (120) applied to the display substrate suction transpor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ositioned so as to be movable on the transport device body (110). Therefore, even when the size is changed, that is, even when the cutting pattern of a unit substrate cut from a plate is changed, instead of manufacturing the entire equipment anew as before, only the part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s need to be locally replaced, thereby enabling response to various cutting patterns.

이러한 배큠 블록(120)은 블록 바디(121)와, 블록 바디(121)의 일측에 복수 개로 마련되되 기판을 진공으로 흡착하는 흡착 패드(122)와, 블록 바디(121)의 측벽에 연결되며, 배큠 라인(111)에 연통 가능한 피팅(123)을 포함한다.This vacuum block (120) includes a block body (121), a plurality of suction pads (12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lock body (121) to vacuum-absorb a substrate, and a fitting (123) connected to a side wall of the block body (121) and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vacuum line (111).

블록 바디(121)의 하단부에는 철 금속인 이송장치 본체(110)에 자기적으로 탈부착되는 복수 개의 마그네트(124, Magnet)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마그네트(124)는 블록 바디(121)의 하단부에 2개 적용되어 있지만, 이의 개수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마그네트(124)는 블록 바디(121)의 하단부에 매입되는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magnets (124) that are magnetical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transport device body (110) made of iron metal ar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block body (121). In this embodiment, two magnets (124) are applied to the lower end of the block body (121),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number of magnets. The magnets (124) may be applied in a form embedded in the lower end of the block body (121).

블록 바디(121)의 일측에는 단차진 단차부(121b)가 형성된다. 단차부(121b)를 통해 배큠 블록(120)의 블록 바디(121)가 얼라인 바(140, Align Bar)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블록 바디(121)에는 블록 연결봉(130)이 통과하는 통과구(121a)가 형성된다.A stepped portion (121b)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lock body (121). Through the stepped portion (121b), the block body (121) of the vacuum block (120) can be placed on an align bar (140). In addition, a passage (121a) through which a block connecting rod (130) passes is formed in the block body (121).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해당 대형 사이즈 기판의 최대의 열에 대응할 수 있게끔 하나의 행을 구성하여 1개의 제품 당 1개의 배큠 블록(120)으로 흡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도 4처럼 배큠 블록(120)의 폭을 최소화해서 제품의 열 개수가 줄어들면 몇몇 제품에 대해서 배큠 블록(120) 2개로 흡착되게 함으로 배큠 블록(120)의 제거를 재고할 수 있다. 가령 최대 열의 10개인 원장 사이즈(도 4의 (a))에서 8열의 패턴이 필요한 경우 2개의 제품에 대하여 각 2개의 배큠 블록(120)으로 흡착하게 끔 배큠 블록(120)의 위치를 도 4의 (b)처럼 구성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one row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maximum number of rows of the large-size substrate, so that one vacuum block (120) can be sucked per product. Accordingly, as shown in FIG. 4, if the width of the vacuum block (120) is minimized so that the number of rows of products is reduced, the removal of the vacuum block (120) can be reconsidered by sucking two vacuum blocks (120) for some products.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an 8-column pattern is required in a maximum 10-row ledger size ((a) of FIG. 4), the positions of the vacuum blocks (120) can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4 (b) so that two products are sucked by two vacuum blocks (120) each.

이처럼 배큠 블록(120)들을 줄지어 연결하기 위해 블록 연결봉(130)이 마련된다. 블록 연결봉(130)은 이송장치 본체(110)에 마련되되 배큠 블록(120)들을 줄지어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수단이다. 블록 연결봉(130)의 사용을 위해 블록 바디(121)에는 블록 연결봉(130)이 통과하는 통과구(121a)가 형성된다.In order to connect the vacuum blocks (120) in a row like this, a block connecting rod (130) is provided. The block connecting rod (130) is provided in the transport device body (110) and is a means for connecting the vacuum blocks (120) in a row so that they can move. In order to use the block connecting rod (130), a passage (121a) through which the block connecting rod (130) passes is formed in the block body (121).

그리고, 블록 연결봉(130)에 연결된 배큠 블록(120) 간의 간격 얼라인(Align) 설정을 위해 얼라인 바(140, Align Bar)가 적용된다.And, an alignment bar (140) is applied to set the spacing alignment between the vacuum blocks (120) connected to the block connecting rod (130).

얼라인 바(140)에는 블록 바디(121)의 단차부(121b)가 배치되는 복수 개의 블록 배치부(141)가 형성되되 복수 개의 블록 배치부(141)는 복수 개의 격벽(142)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블록 배치부(141)들의 간격은 서로 다를 수 있다.The align bar (14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block placement sections (141) in which step sections (121b) of block bodies (121) are arranged, and the plurality of block placement sections (141) can be partitioned by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42). The spacing between the block placement sections (141) can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이러한 얼라인 바(140)의 위치 가이드를 위해 볼 캐쳐(150)가 마련된다. 볼 캐쳐(150)는 블록 연결봉(130)의 단부에 마련되며, 해당 위치에서 얼라인 바(140)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A ball catcher (150) is provided to guide the position of the alignment bar (140). The ball catcher (150)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block connecting rod (130) and serves to guide the position of the alignment bar (140) at that position.

볼 캐쳐(150)는 가이드 바(151)를 포함한다. 도 6 및 도 7처럼 볼 캐쳐(150)의 가이드 바(151)가 얼라인 바(140)에 삽입되는 형태로 얼라인 바(140)가 결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얼라인 바(140)의 정확한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The ball catcher (150) includes a guide bar (151).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guide bar (151) of the ball catcher (150) can be inserted into the alignment bar (140) to be combined with the alignment bar (140), thereby enabling the precise position of the alignment bar (140) to be set.

그리고, 배큠 블록(120)들의 위치 이동 시 배큠 블록(120)들의 낙하 방지를 위해 낙하 방지용 바(160)와 바 지지대(170)가 더 구비된다.In addition, a fall prevention bar (160) and a bar support (170) are additionally provided to prevent the vacuum blocks (120) from falling when the position of the vacuum blocks (120) is moved.

낙하 방지용 바(160)는 배큠 블록(120)들의 낙하 방지를 위해 마련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낙하 방지용 바(160)의 일단부는 배큠 블록(120)들을 연결하는 블록 연결봉(130)에 결합한다. 그리고, 낙하 방지용 바(160)의 타단부에는 후크 걸림블록(161)이 결합한다.The fall prevention bar (160) is a structure provided to prevent the vacuum blocks (120) from falling. One end of the fall prevention bar (160) is connected to a block connecting rod (130) that connects the vacuum blocks (120). In addition, a hook catch block (161)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all prevention bar (160).

바 지지대(170)는 이송장치 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되 낙하 방지용 바(160)를 지지하는 수단이다. 바 지지대(170)가 이송장치 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지지대 탑재용 슬롯(113)이 이송장치 본체(110)에 형성된다. 지지대 탑재용 슬롯(113)은 이송장치 본체(110)의 양 단부 영역에 형성되되 해당 위치에서 바 지지대(170)가 탑재되는 장소를 이룬다.The bar support (170) is a means for supporting a bar (160) for preventing falling, which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transport device body (110). A slot (113) for mounting the support is formed in the transport device body (110) so that the bar support (170) can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transport device body (110). The slot (113) for mounting the support is formed in the area of both ends of the transport device body (110), and forms a place where the bar support (170) is mounted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바 지지대(170)에는 낙하 방지용 바(160)의 후크 걸림블록(161)이 선택적으로 걸리거나 걸림해제되는 회전식 잠금 걸고리(171)가 마련된다. 그리고, 회전식 잠금 걸고리(171)는 걸고리 브래킷(172)에 의해 바 지지대(170)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The bar support (170) is provided with a rotary locking hook (171) that selectively engages or releases the hook block (161) of the fall prevention bar (160). In addition, the rotary locking hook (171)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r support (170) by a hook bracket (172).

도 14처럼 배큠 블록(120)을 이송장치 본체(110)의 평판에서 분리하면 마그네트(124)의 자력이 미치지 않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자력이 해제됨에 따라 배큠 블록(120)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낙하 방지용 바(160)의 끝단에 후크 걸림블록(161)이 형성된다. 후크 걸림블록(161)은 지지대 탑재용 슬롯(113) 내의 바닥턱(115)에 걸림으로써 배큠 블록(120)의 낙하를 방지한다.As shown in Fig. 14, when the vacuum block (120) is separated from the flat plate of the transport device body (110),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124) is no longer applied, and the vacuum block (120) can move freely. 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vacuum block (120) from falling as the magnetic force is released, a hook catch block (161)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all prevention bar (160). The hook catch block (161) prevents the vacuum block (120) from falling by being caught on the bottom ledge (115) in the support mounting slot (113).

이에, 도 4처럼 배큠 블록(120)의 폭을 최소화해서 제품의 열 개수가 줄어들면 몇몇 제품에 대해서 배큠 블록(120) 2개로 흡착되게 함으로 배큠 블록(120)의 제거를 재고할 수 있는데, 가령 최대 열의 10개인 원장 사이즈(도 4의 (a))에서 8열의 패턴이 필요한 경우 2개의 제품에 대하여 각 2개의 배큠 블록(120)으로 흡착하게 끔 배큠 블록(120)의 위치를 도 4의 (b)처럼 구성함으로써 종전처럼 장치를 새로 제작해야 하는데 따른 로스(loss) 발생을 없앨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4, by minimizing the width of the vacuum block (120), the number of rows of products is reduced, and for some products, the removal of the vacuum block (120) can be reconsidered by having two vacuum blocks (120) adsorb them.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a pattern of 8 rows is required in a master size of up to 10 rows ((a) of FIG. 4), the positions of the vacuum blocks (120) are configured as shown in FIG. 4 (b) so that two products are adsorbed by two vacuum blocks (120) each, thereby eliminating the loss that would otherwise occur due to having to manufacture a new device as befor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용 기판(Display Glass)에 대한 커팅 패턴(Cutting Pattern)이 변경되더라도 종전처럼 전체 장비를 새로 제작하지 않고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부품만 국부적으로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다양한 커팅 패턴에 대한 대응이 가능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종래보다 교체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줄이면서 제품의 생산성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ich operates based on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even if the cutting pattern for the display substrate (Display Glass) is changed, instead of manufacturing the entire equipment anew as before, only the part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s need to be locally replaced, thereby enabling response to various cutting patterns, and thereby contributing to improved productivity of the product while reducing the cost and time for replacement compared to before.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디스플레이용 기판 흡착 이송장치 110 : 이송장치 본체
111 : 배큠 라인 113 : 지지대 탑재용 슬롯
120 : 배큠 블록 121 : 블록 바디
121a : 통과구 121b : 단차부
122 : 흡착 패드 123 : 피팅
124 : 마그네트 130 : 블록 연결봉
140 : 얼라인 바 141 : 블록 배치부
142 : 격벽 150 : 볼 캐쳐
160 : 낙하 방지용 바 161 : 후크 걸림블록
170 : 바 지지대 171 : 회전식 잠금 걸고리
172 : 걸고리 브래킷
100: Display substrate suction transfer device 110: Transfer device body
111: Back line 113: Slot for mounting support
120: Back block 121: Block body
121a : Passage 121b : Step
122 : Suction pad 123 : Fitting
124 : Magnet 130 : Block connecting rod
140: Alignment bar 141: Block placement section
142 : Bulkhead 150 : Ball catcher
160: Fall prevention bar 161: Hook catch block
170 : Bar support 171 : Rotating locking hook
172 : Hook bracket

Claims (8)

디스플레이용 기판(Display Glass)을 흡착 이송하는 장소를 이루되 판면에 복수 개의 배큠 라인(Vaccum Line)이 형성되는 이송장치 본체; 및
상기 기판에 대해 변경 가능한 커팅 패턴(Cutting Pattern)에 대응하기 위해 상기 이송장치 본체 상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배큠 블록(Vaccum Block)을 포함하며,
상기 배큠 블록은,
블록 바디;
상기 블록 바디의 일측에 복수 개로 마련되되 상기 기판을 진공으로 흡착하는 흡착 패드; 및
상기 블록 바디의 측벽에 연결되며, 상기 배큠 라인에 연통 가능한 피팅을 포함하고,
상기 배큠 블록은,
상기 블록 바디의 하단부에 마련되며, 철 금속인 상기 이송장치 본체에 자기적으로 탈부착되는 복수 개의 마그네트(Magnet)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흡착 이송장치.
A transport device body that forms a place for suction-transporting a display substrate (Display Glass) and has a plurality of vacuum lines formed on the plate surface; and
It includes a plurality of vacuum blocks that are positionally movable on the transport device body to correspond to a changeable cutting pattern for the substrate.
The above vacuum block is,
block body;
A plurality of suction pad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above block body to vacuum-absorb the substrate; and
Connected to the side wall of the above block body and including a fitting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above vacuum line,
The above vacuum block is,
A display substrate suction trans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magnets that are magnetical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transport device body made of iron metal and ar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block bod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 본체에는 상기 배큠 블록들을 줄지어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블록 연결봉이 마련되며,
상기 블록 바디에는 상기 블록 연결봉이 통과하는 통과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흡착 이송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transport device body is provided with a block connecting rod that connects the above vacuum blocks in a row so that they can be moved.
A display substrate suction and trans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assage through which the block connecting rod passes is formed in the block bod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연결봉에 연결된 상기 배큠 블록 간의 간격 얼라인(Align) 설정을 위해 마련되는 얼라인 바(Align Bar); 및
상기 블록 연결봉의 단부에 마련되며, 해당 위치에서 상기 얼라인 바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볼 캐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흡착 이송장치.
In the third paragraph,
An align bar provided to set the spacing alignment between the vacuum blocks connected to the block connecting rod; and
A display substrate suction and transport device characterized by further including a ball catcher provided at an end of the above block connecting rod and guiding the position of the above alignment bar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바디에는 단차진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얼라인 바에는 상기 블록 바디의 단차부가 배치되는 복수 개의 블록 배치부가 형성되되 복수 개의 블록 배치부는 복수 개의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흡착 이송장치.
In paragraph 4,
The above block body has a stepped portion formed,
A display substrate adsorption and trans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block arrangement portions are formed on the above-mentioned align bar, in which the step portions of the above-mentioned block bodies are arranged, and the plurality of block arrangement portions are partitioned by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큠 블록들의 낙하 방지를 위해 상기 배큠 블록들을 연결하는 상기 블록 연결봉에 일단부가 결합하며, 타단부에 후크 걸림블록이 결합하는 낙하 방지용 바; 및
상기 이송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낙하 방지용 바를 지지하는 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흡착 이송장치.
In paragraph 4,
A fall prevention bar having one end joined to the block connecting rod connecting the above-mentioned vacuum blocks to prevent the above-mentioned vacuum blocks from falling, and having a hook-catching block joined to the other end; and
A display substrate suction trans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bar support that supports the fall prevention bar and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transport device bod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 본체의 양 단부 영역에는 상기 바 지지대의 탑재를 위한 지지대 탑재용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흡착 이송장치.
In Article 6,
A display substrate suction trans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support mounting slot for mounting the bar support is formed in the area of both ends of the transport device bod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 지지대에는 상기 낙하 방지용 바의 후크 걸림블록이 선택적으로 걸리거나 걸림해제되는 회전식 잠금 걸고리가 마련되며,
상기 회전식 잠금 걸고리는 걸고리 브래킷에 의해 상기 바 지지대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흡착 이송장치.
In Article 6,
The above bar support is provided with a rotating locking hook that selectively engages or releases the hook block of the above fall prevention bar.
A display substrate suction and trans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mentioned rotary locking hook is rotatably coupled on the bar support by a hook bracket.
KR1020230075156A 2023-06-12 2023-06-12 Apparatus for transferring display glass Active KR1027296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5156A KR102729604B1 (en) 2023-06-12 2023-06-12 Apparatus for transferring display gla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5156A KR102729604B1 (en) 2023-06-12 2023-06-12 Apparatus for transferring display glas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29604B1 true KR102729604B1 (en) 2024-11-13

Family

ID=93458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5156A Active KR102729604B1 (en) 2023-06-12 2023-06-12 Apparatus for transferring display glas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29604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2321A (en) * 2000-06-30 2002-01-15 Shibaura Mechatronics Corp Substrate transfer device
KR20020075135A (en) 2001-03-23 2002-10-04 이범준 Specialized Sing-Selecting Remote Controller by Keyboard
JP2002299406A (en) * 2001-03-29 2002-10-11 Dainippon Screen Mfg Co Ltd Substrate transportation and substrate processor using the same
JP2005335956A (en) * 2004-05-27 2005-12-08 Quanta Display Inc Substrate transfer device
KR20060064230A (en) * 2004-12-08 2006-06-13 주식회사 에이디피엔지니어링 Test board disassembly jig
KR20080075276A (en) * 2007-02-12 2008-08-18 주식회사 케이엔제이 Polishing Table and Support Method of Flat Panel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2321A (en) * 2000-06-30 2002-01-15 Shibaura Mechatronics Corp Substrate transfer device
KR20020075135A (en) 2001-03-23 2002-10-04 이범준 Specialized Sing-Selecting Remote Controller by Keyboard
JP2002299406A (en) * 2001-03-29 2002-10-11 Dainippon Screen Mfg Co Ltd Substrate transportation and substrate processor using the same
JP2005335956A (en) * 2004-05-27 2005-12-08 Quanta Display Inc Substrate transfer device
KR20060064230A (en) * 2004-12-08 2006-06-13 주식회사 에이디피엔지니어링 Test board disassembly jig
KR20080075276A (en) * 2007-02-12 2008-08-18 주식회사 케이엔제이 Polishing Table and Support Method of Flat Panel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50085B (en) Additional tape reel holding device
WO2013114478A1 (en) Bottom reception pin placement method and bottom reception pin return method
KR102729604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display glass
WO2013077177A1 (en) Component mounting line
JP3704308B2 (en) Method for mounting components on a substrate
JP7266103B2 (en) Backup pin automatic placement system for mounters
CN207464146U (en) A kind of axle housing sand core stereo garage supporting plate
JP4661711B2 (en) Electronic component feeder
CN102026538A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device
JP4494910B2 (en) Surface mount equipment
CN108423406B (en) Bottom frame of substrate bearing device, substrate bearing device and substrate conveying mechanism
JP2012004209A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metho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device, and backup pin arrangement method
JP4013656B2 (en) Tape feeder
JP4947408B2 (en) Array mask support device
CN104425335A (en) Equipment used for holding substrate
KR101334582B1 (en) Multi-bonding machine and multi-bonding unit used for the same
JP2009182025A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method, apparatus and line
KR101113409B1 (en) Ething nozzle device and et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3851852B2 (en) Tray-type electronic component feeder
KR101786800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substrate
KR20240132569A (en) Mask Cassette
JP7381250B2 (en) parts mounting machine
JP6684893B2 (en) How to take out parts
JP2003243894A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equipment
JP2025065027A (en) PRINT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RINTING SYSTEM - Patent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6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