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28038B1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28038B1
KR102728038B1 KR1020227002331A KR20227002331A KR102728038B1 KR 102728038 B1 KR102728038 B1 KR 102728038B1 KR 1020227002331 A KR1020227002331 A KR 1020227002331A KR 20227002331 A KR20227002331 A KR 20227002331A KR 102728038 B1 KR102728038 B1 KR 102728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lighting device
light
arm
configur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2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4890A (ko
Inventor
제이콥 다이슨
윌리엄 존 다르빌
이셰이 헬무트
앤서니 제임스 홀
데이비드 레오니
페이 웨버
시몬 트리스토퍼 다비
Original Assignee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24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4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28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2803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5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with a lamp housing maintained at a distance from the floor or ground via a support, e.g. standing lamp for ambient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26Pivoted ar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05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of the fibre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9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s guides being of the hollow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2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 F21S6/003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for task lighting, e.g. for reading or desk work, e.g. angle poise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5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with a lamp housing maintained at a distance from the floor or ground via a support, e.g. standing lamp for ambient lighting
    • F21S6/008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with a lamp housing maintained at a distance from the floor or ground via a support, e.g. standing lamp for ambient lighting with a combination of direct and indirect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5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mag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200/0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조명 장치는 광을 본체로 들여보내는 어퍼처를 갖는 광 투과성 본체를 포함한다. 광원은 조명 장치가 제1 구성 및 제2 구성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채택할 수 있도록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제1 구성에서 광원은 광원에서 방출된 광이 방을 비추기 전에 본체를 통과하도록 어퍼처 위에 위치한다. 제2 구성에서 광원은 광원에서 방출된 광에 의해 방이 직접 조명되도록 조리개에서 측방향으로 이격된다.

Description

조명 장치
본 발명은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명 장치가 다수의 상이한 구성 중 하나로 배치될 수 있는 다기능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작업 영역을 조명하기 위한 플로어 스탠딩, 데스크 스탠딩 및 벽걸이형 램프에는 광원이 관절 지지부에 장착되는, 잘 알려진 Anglepoise® 램프가 포함된다. 지지부는 스탠드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1 아암과, 제1 아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2 아암을 포함한다. 광원은 그에 대한 피벗 운동을 위해 제2 아암의 단부에 장착된다. 각각의 피벗 축은 일반적으로 평행하며 함께 광원 아래에 있는 작업 영역의 조명을 최적화하기 위해 램프를 다양한 구성으로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을 본체로 들여보내는 어퍼처를 갖는 본체; 조명 장치로 하여금 광원이 본체의 내부를 조명하도록 배치된 제1 구성 및 광원이 어퍼처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제2 구성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채택할 수 있도록 하는,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한 광원; 및 장치가 제1 구성에 있을 때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본체 내로 유도하기 위해 적재 위치(stowed position)와 전개 위치(deployed position) 사이에서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한 도광체(light guide)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광 투과성 본체이다. 광원이 광 투과성 본체의 내부를 조명하도록 배치될 때, 조명 장치는 광 투과성 본체를 통과한 광에 의해 실내 또는 기타 외부 환경이 조명되는 제1 또는 "실내 조명" 구성에 배치된다. 광 투과성 본체가 형성되는 재료 또는 광 투과성 본체 내부에 있는 필터의 색상에 따라, 이는 방이 광 투과성 본체의 외부 표면에서 방출되는 비교적 따뜻한 및/또는 확산 광에 의해 조명되도록 할 수 있다. 광원이 광 투과성 본체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로 이동할 때 조명 장치는 제2 또는 "작업 조명" 구성에 배치되며, 이 구성에서 방, 작업 영역 또는 기타 작업 표면은 광원에서 방출되는 광에 의해 직접 조명된다. 이는 작업 영역이 광원에 의해 방출되는 상대적으로 차갑거나 강한 광에 의해 조명될 수 있도록 한다.
조명 장치의 제1 구성에서, 광원은 광 투과성 본체의 내부를 조명하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광원은 바람직하게는 조명 장치의 구성 사이의 신속한 전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광 투과성 본체의 외부에 배열된다. 광 투과성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중공형이고, 일 실시예에서 광원에 의해 조명되는 내부 표면을 갖는 파이프 또는 튜브의 형태이다. 튜브는 일정하거나 튜브의 길이를 따라 변할 수 있는 규칙적이거나 불규칙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브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 튜브는 원통형 또는 원뿔대(frusto-conical) 모양일 수 있다. 튜브가 규칙적인 단면을 갖는 경우, 광원은 바람직하게는 본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외경 또는 형상을 가지므로, 조명 장치가 제1 구성에 있을 때 본체 및 광원이 균일한 외관을 나타낸다.
광 투과성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광이 본체에 들어갈 수 있는 어퍼처를 규정하는 개방 단부를 포함하고, 조명 장치의 제1 구성에서 광원은 바람직하게는 본체의 개방 단부 위에 위치된다. 이는 광원이 본체의 내부를 비출 수 있도록 하여, 본체에서 수용한 광은 본체로부터 방출되기 전에 본체를 통과한다.
조명 장치가 제1 구성일 때, 광원으로부터 본체로 들어오는 광량을 최대화하고, 따라서 광원에서 본체의 내부로 들어오지 않는 광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치가 제1 구성에 있을 때 본체의 개방 단부와 맞물리도록 광원을 배치하면 광원에서 본체로 들어오는 광량이 증가할 수 있지만 엔지니어링 허용 오차가 타이트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광원과 본체 중 적어도 하나가 마모될 수 있다. 대신에,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 장치는 장치가 제1 구성에 있을 때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본체로 유도하기 위해 적재 위치와 전개 위치 사이에서 본체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도광체를 포함한다. 이는 광원이 본체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하고 본체와 결합하지 않고 다른 구성 요소들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하면서도 광원에서 본체로 들어오는 광량을 최대화할 수 있다.
도광체는 본체와 광원 중 하나에 의해 지지되거나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광체는 광원에 장착될 수 있다. 도광체는 적재 위치에서 광원을 둘러싸고 광원 및 광원에서 방출된 광을 본체 내부로 유도하는 본체 사이의 길이 방향 갭 주위로 도광체가 연장되는 전개 위치까지 광원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슬리브(sleeve) 형태일 수 있다.
도광체는 조명 장치가 제1 구성에 있을 때 적재 위치와 전개 위치 사이에서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광체는 광원이 적재 위치와 전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광원과 본체의 외부 표면 위로 미끄러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도광체는 전개 위치에 있을 때 도광체가 광원 및 본체의 외부 표면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광체는 강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조명 장치는 도광체를 적재 위치 및 전개 위치 중 선택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은 도광체를 적재 위치에 유지하고 도광체가 전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광체를 해제하기 위한 캐치(catch)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광체는 본체에 장착되거나 본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전술된 예와 유사하게, 도광체는 적재 위치에서 본체를 둘러싸고 도광체가 광원과 본체 사이에 위치한 길이 반향 간격 주위로 연장되어 광원에서 방출된 광을 본체로 유도하여 전개 위치까지 본체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슬리브 형태일 수 있다. 즉, 도광체는 조명 장치가 제1 구성에 있을 때 적재 위치와 전개 위치 사이에서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광체는 광원이 적재 위치와 전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광원과 본체의 외부 표면 위로 미끄러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도광체는 또한 도광체가 전개 위치에 있을 때 광원 및 본체의 외부 표면을 파지할 수 있도록 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광체는 강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조명 장치는 도광체를 적재 위치 및 전개 위치 중 선택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광체는 적재 위치에 있을 때 본체에 의해 지지되고, 바람직하게는 적재 위치에 있을 때 본체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된다. 도광체는 적재 위치에 있을 때 본체 내부에 실질적으로 완전히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논의된 바와 같이,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개방 단부를 가지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개방 단부는 개방 상단부이고 하단부은 상단부에 대향하여 위치된다. 상단부는 바람직하게 하단부보다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즉 본체의 각 단부가 본체의 수직 길이 방향 축 상에서 실질적으로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재 위치에서 도광체는 본체의 개방 단부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광체가 적재 위치에서 전개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도광체는 바람직하게는 광원을 향해 이동한다. 따라서, 전개 위치에 있을 때, 도광체는 바람직하게는 본체의 개방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본체로 안내한다.
본체의 하단부는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장치의 베이스에 인접하여 위치하거나 이에 의해 폐쇄된다. 베이스는 벽걸이형, 책상 장착형 또는 바닥 설치형일 수 있다. 본체 또는 베이스는 USB 충전기 및 근접 센서 중 하나 이상과 같은 조명 장치의 추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의 개방 단부 및 폐쇄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본체의 길이 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직교한다.
본체는 전체가 반투명 재료로 형성될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본체는 하나 이상의 반투명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반투명 섹션은 유리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와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체는 천공될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천공된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천공된 본체 또는 본체의 천공된 섹션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본체는 반투명 튜브 또는 파이프, 및 튜브 주위로 연장되거나 튜브를 둘러싸고 적어도 하나의 천공 섹션을 포함하는 천공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장치가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하는 (내부) 튜브와 함께 장치가 제1 구성에 있을 때 원하는 조명 효과를 생성하기 위해 본체의 외부 표면에 대해 필요에 따라 천공이 분포되도록 할 수 있다. 반투명 튜브는 폴리카보네이트 재료와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슬리브는 불투명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광체가 적재 위치에 있을 때, 본체의 개방 단부와 본체의 천공된 부분(들)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은 바람직하게는 광원으로부터 광이 방출되는 어퍼처를 정의하는 배플(baffle) 및 발광 장치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도광체의 전개 위치에서 도광체는 바람직하게는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본체 내로 유도하기 위해 배플과 맞물린다. 전술된 바와 같이, 도광체는 배플의 어퍼처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위치에 있을 때 광원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배플의 하부 주위로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광체는 장치가 제1 구성에 있을 때 본체를 향하는 광원의 벽과 맞물리도록 배열된다. 이 벽은 바람직하게는 광원으로부터 광이 방출되는 어퍼처를 정의하는 배플의 환형 벽이다. 환형 벽은 원형 내주 및/또는 원형 외주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환형 벽은 하나 이상의 규칙적이거나 불규칙한 다각형 주변부를 가질 수 있다. 도광체는 바람직하게는 광원과 결합하기 위한 환형 벽을 포함한다. 도광체의 환형 벽은 배플의 환형 벽과 유사하거나 유사하지 않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광체는 바람직하게는 본체 내로 광을 유도하기 위해 환형 벽의 내주에 따라 관형 내벽을 포함한다. 내벽은 형상이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타원형 단면과 같은 비원형 단면, 또는 규칙적이거나 불규칙한 다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환형 벽의 외주 주위로부터 광의 재방출을 억제하기 위해, 도광체는 바람직하게 환형 벽의 외주에 의존하고 도광체가 적재 위치와 전개 위치 사이를 이동할 때 본체의 내면을 따라 미끄러지는 관형 외벽을 더 포함한다.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적재 위치에 있을 때 도광체를 지지하기 위한 선반을 포함하고, 도광체는 전개 위치를 향해 이동할 때 렛지(ledge)에서 멀어지게 이동한다. 렛지는 본체의 내부 튜브에 연결되거나 지지되거나 본체의 천공된 슬리브에 연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렛지는 바람직하게는 환형 형상이다. 대안적으로, 렛지는 본체 주위에 이격된 복수의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은 적재 위치에 있을 때 렛지 위에 놓이고 전재 위치에 있을 때 렛지에서 멀어진다.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조명 장치가 제1 구성을 채택함에 따라 도광체가 전개 위치를 향하도록 촉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는 조명 장치가 제1 구성을 채택할 때 도광체가 배치된 위치를 향해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촉진 수단은 장치가 제1 구성을 채택할 때 도광체를 배플로 촉진하는 탄성적으로 편향된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촉진 수단은 조명 장치가 제1 구성을 채택함에 따라 도광체를 연장된 위치를 향해 자기적으로 끌어당기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광원 및 도광체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영구 자석을 포함할 수 있고, 광원 및 도광체 중 다른 하나가 영구 자석 쪽으로 끌어당겨지는 강자성 재료로 형성되거나 이러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광원 및 도광체 중 다른 하나는 또한 광원 및 도광체 중 하나의 자석(들)과 반대 극성인 적어도 하나의 영구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광원은 한 쌍의 영구 자석을 포함하고, 도광체는 장치가 제1 구성을 채택함에 따라 광원의 영구 자석 쪽으로 끌어당겨지는 한 쌍의 영구 자석을 포함한다. 영구 자석의 자기장의 강도는 도광체가 전개 위치로 상승하고 광원이 제1 구성에 있을 때만 자기 인력을 통해 광원에 부착되어 장치가 제1 구성에서 멀어질 때 적재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광체가 배치된 위치로 조기 이동하여 장치의 제1 구성으로의 이동이 방해되는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조명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광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조명 장치가 다른 구성을 채택함에 따라 광원은 지지부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은 본체의 내부가 광원에 의해 조명되는 위치에서 작업 영역이 광원에 의해 직접 조명되는 위치로 사용자에 의해 지지부를 따라 미끄러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지지부는 조명 장치의 구성을 조정하기 위해 광 투과성 본체에 대해 움직일 수 있다. 지지부는 유연할 수 있으며, 본체에 대해 광원을 이동시키기 위해 구부러지거나, 비틀리거나 또는 모양이 변경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지지부는 본체에 대해 병진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는 광원이 선형 또는 곡선 경로를 따라 본체에 대해 이동하도록 미끄러질 수 있다. 추가적인 대안으로서, 지지부는 광원이 아치형 또는 원형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다. 사용자가 조명 장치의 구성을 조정하기 위해 본체에 대해 지지부를 스윙하기만 하면 되므로 선회 지지부가 바람직하다.
지지부는 본체와 이격되도록 베이스에 연결될 수 있고, 지지부는 베이스 및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여 조명 장치의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지지부는 본체의 길이 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피벗 축을 중심으로 본체에 대해 피벗 가능하다. 조명 장치가 제1 구성에서 제2 구성으로 이동할 때, 지지부에 의해 휩쓸리는 호(arc)는 본체의 길이 방향 축에 직교하고 지지부의 길이 방향 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지지부는 본체에 연결된 관절식 지지부의 형태이다. 지지부는 바람직하게는 본체의 길이 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본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지지부는 바람직하게는 본체의 개방 단부 또는 어퍼처에 인접한 본체에 연결된다. 지지부는 바람직하게는 본체에 연결되는 제1 아암, 및 광원을 지지하고 제1 아암에 대해 이동 가능한 제2 아암을 포함한다. 제2 아암은 바람직하게는 본체의 길이 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피벗 축을 중심으로 제1 아암에 대해 피벗 가능하다. 지지부의 아암은 바람직하게는 조명 장치가 제1 구성에 있을 때 지지부의 아암이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제2 아암이 제1 아암 위에 놓이도록 배열된다. 장치의 완전히 확장된 제2 구성에서, 지지부의 아암은 바람직하게는 광원과 본체 사이의 거리를 최대화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선형 배열로 되어 있다. 즉, 제2 아암이 조명 장치의 구성을 변경하기 위해 이동함에 따라 제2 아암에 의해 휩쓸리는 호는 바람직하게는 본체의 길이 방향 축에 직교하고 제2 아암의 길이 방향 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 위치한다.
본체는 베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이는 베이스에 대해 지지부로부터 제1 아암이 돌출되는 방향을 조정할 수 있게 하고, 이는 차례로 조명 장치가 작업 조명 구성에 있을 때 베이스에 대해 광원이 채택할 수 있는 다른 위치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지지부는 제1 아암이 본체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본체에 장착될 수 있다. 이 두 가지 대안에서, 지지부는 본체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베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본체의 길이 방향 축은 바람직하게는 본체에 연결된 지지부의 단부를 통과하므로 지지부는 바람직하게는 지지부의 단부를 통과하고 바람직하게는 지지부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베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광원은 본체에 대해 두 가지 다른 위치 중 하나, 즉 조명 장치가 제1 구성에 있을 때 제1 위치, 및 조명 장치가 제2 구성에 있을 때 제2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들 제1 및 제2 위치는 본체에 대한 광원의 이동 말단의 어느 한쪽 끝에 위치할 수 있다. 본체에 대한 광원의 현재 위치에 따라 광원을 제1 및 제2 위치 중 하나로 촉진하기 위한 바이어싱 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광원은 본체에 대해 다른 제2 위치의 범위 중 하나를 채택할 수 있고, 따라서 조명 장치는 다른 제2 또는 작업 조명, 구성의 범위를 채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본체에 대한 작업 영역의 위치에 따라 광원에 의해 채택될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지지부의 아암은 사용자가 광원을 베이스에 대해 이동하는 경로의 원하는 위치에 광원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광원의 위치가 사용자에 의해 일단 결정되면 부주의로 이동할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조명 장치는 일련의 단계 이동에서 서로 다른 위치 사이에서 본체에 대해 광원을 이동시키기 위한 인덱싱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장치는 서로 다른 위치 사이에서 광원을 이동시키기 위한 랙(rack) 및 피니언(pinion) 기구 또는 캠(cam)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랙 기어는 직선 또는 곡선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조명 장치는 지지부의 아암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억제하기 위해 제2 아암을 제1 아암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장치는 제2 아암을 제1 아암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 또는 그립 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 장치는 제1 아암에 대한 다수의 위치 중 하나에 제2 아암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조명 장치는 제1 아암에 대해 제2 아암과 함께 이동하도록 제2 아암에 연결된 멈춤쇠(detent)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아암은 제2 아암이 제1 아암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제1 아암에 대해 제2 아암을 유지함에 따라 제1 아암에 연결된 구성요소에 제공된 다수의 리세스(recess)중 하나에 진입한다.
지지부는 바람직하게는 제2 아암을 제1 아암에 연결하기 위한 조인트 섹션을 포함한다. 조인트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본체에서 떨어진 제1 아암의 단부로부터 직립하는 스피곳(spigot)에 장착되어 조인트 섹션과 제2 아암이 피봇 축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한다. 이러한 스피곳은 제1 아암에 직접 위치하거나 본체에서 멀리 떨어진 제1 아암의 단부에 연결된 다른 조인트 섹션에 위치할 수 있다.
본체에 대한 광원의 위치에 따라 조명 장치가 제1 구성을 향하도록 촉진하기 위한 바이어싱 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바이어싱 기구는 조명 장치를 제1 구성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2 아암과 접촉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바이어싱 기구는 본체에 대한 광원의 위치에 따라,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아암에 대한 제2 아암의 각도 위치에 따라 조명 장치를 제1 구성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조인트 섹션과 맞물리도록 배열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바이어싱 기구는 제1 아암에 장착되고 조인트 섹션을 향해 편향되는 멈춤쇠를 포함한다. 멈춤쇠가 조인트 섹션을 향하도록 촉진하기 위해 스프링 또는 다른 탄성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조인트 섹션은 피벗 축 주위로 연장되고 멈춤쇠에 의해 맞물리는 트랙 또는 홈, 바람직하게는 원형 홈을 포함할 수 있다. 홈에는 바람직하게 리세스가 형성되며, 리세스는 는 제1 아암에 대한 제2 아암의 각도 위치에 따라 멈춤쇠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리세스는 바람직하게는 만곡되거나 오목한 형태이다. 멈춤쇠는 바람직하게는 홈과 맞물리고 홈을 향하도록 촉진되는 원형 롤러를 포함한다. 조명 장치가 제1 구성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멈춤쇠는 홈의 리세스에 들어가 조명 장치의 해당 구성에서 광원과 본체 사이가 정확히 정렬되도록 하기 위해 조명 장치를 제1 구성으로 촉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 아암은 또한 조인트 섹션에 대해 움직일 수 있다. 이는 조명 장치가 작업 조명 구성에 있을 때 광원이 본체에 대해 채택할 수 있는 다른 위치 및/또는 방향의 수를 추가로 증가시킬 수 있다.
조명 장치의 제1 구성에서, 광원은 광원의 광축이 바람직하게는 본체의 길이 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본체에 대해 배향된다. 작업 조명 구성에 있을 때 광원은 본체에 대해 이러한 방향으로 유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아암은 제2 축에 각이 진, 바람직하게는 직교하는 제3 축을 중심으로 조인트 섹션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광원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제2 아암은 바람직하게는 제3 축을 중심으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8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70°,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약 360°로 회전 가능하다. 이는 조명 장치가 작업 표면 또는 작업 영역을 조명하기 위한 "다운라이팅" 구성 또는 벽 및/또는 천장과 같은 2차 실내 표면에서 광원에 의해 직접 방출되는 광의 반사에 의한 일반적인 실내 조명인 "업라이팅" 구성을 채택할 수 있도록 본체에 대한 광원의 광축 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광원의 광축은 또한 예를 들어 독서 자료 또는 다른 작업 영역의 조명을 최적화하기 위해 다운라이팅 조명 구성에 있을 때 또는 업라이팅 조명 구성에 있을 때 본체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해 기울어지거나 기울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벽이나 다른 보조 실내 표면의 조명을 최적화한다. 이들은 조명 장치의 각진(angled)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제3 축은 바람직하게는 제2 축과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교한다. 제3 축은 바람직하게는 제2 아암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하다.
바이어싱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광원의 광축이 본체의 길이 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광원을 촉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광원 촉진 수단은 장치가 제1 구성에 접근함에 따라 제3 축을 중심으로 제2 아암을 회전시키도록 제2 아암과 맞물리기 위한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구는 제1 아암에 위치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광원 촉진 수단은 방향을 향해 광원을 자기적으로 촉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광원 촉진 수단은 제1 아암에 연결된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아암에 연결된 제2 영구 자석을 포함하며, 제2 자석은 제1 자석과 반대 극성이다. 장치가 제1 구성에 접근함에 따라 제2 자석이 제1 자석에 이끌리게 되어 광원의 광축이 본체의 길이 방향 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제2 아암의 방향이 조정된다.
지지부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한 본체에 장착된다.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베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지지부는 바람직하게는 본체의 길이 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수평", "수직", "횡방향", "상부" 및 "하부"는 정상 사용 시 조명 장치의 구성요소의 상대적인 방향 또는 위치를 지칭하기 위한 맥락에서 사용된다.
이동 가능한 도광체는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으로 선택적으로 조명될 수 있는 광 파이프와 같은 다수의 상이한 본체 중 하나를 갖는 조명 장치 이외의 광학 장치에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광이 본체로 들어가는 어퍼처가 있는 본체; 광원; 장치가 본체의 내부를 조명하도록 배치된 제1 구성 및 광원이 어퍼처로부터 측면으로 이격되는 제2 구성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채택할 수 있도록 광원과 본체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 및 장치가 제1 구성에 있을 때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본체 내로 유도하기 위해 적재 위치와 전개 위치 사이에서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한 도광체를 포함하는 광학 장치를 제공한다. 상대적인 이동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은 본체에 대해 광원을 이동시키기 위한 지지부, 또는 광원에 대해 본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식 지지부와 같은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와 관련하여 전술된 특징은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설명될 것이며, 여기에서:
도 1은 조명 장치가 실내 조명 구성에 있는, 조명 장치의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표시된 영역 A의 클로즈업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표시된 영역 C의 클로즈업이다.
도 8은 도 6에 표시된 영역 D의 클로즈업이다.
도 9는 조명 장치가 작업 조명 구성에 있는 조명 장치의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표시된 영역 F의 클로즈업이다.
도 14는 조명 장치가 업라이팅 조명 구성에 있는 조명 장치의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조명 장치(10)의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조명 장치(10)는 책상 램프의 형태이지만, 대안적인 실시예로 플로어 스탠딩 램프 및 벽걸이 조명일 수 있다. 개략적으로, 조명 장치(10)는 베이스(14)에 장착된 본체(12), 본체(12)에 연결된 지지부(16), 및 지지부(16)에 의해 지지되는 광원(18)을 포함한다. 조명 장치(10)가 다양한 다양한 구성을 채택할 수 있도록 본체(12)에 대해 광원(18)을 이동시킨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2)는 이 실시예에서 일정한 원형 단면을 갖는 파이프 형태인 관형 하우징(20)을 포함한다. 하우징(20)은 하우징(20)의 길이 방향 축이 베이스(14)에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베이스(14)에 장착되며, 베이스(14)는 베이스(14)가 수평면에 위치될 때 하우징(20)이 수직이 되도록 형상화된다. 이 실시예에서, 하우징(20)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료일 수 있는 불투명 재료로 형성된다. 하우징(20)은 본체(12)의 길이 방향 축 주위로 그리고 본체(12)의 길이를 따라 적어도 절반 연장되는 천공된 섹션(22) 형태의 광 투과성 섹션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본체(12)는 투명 튜브(24)는 하우징(20)의 천공 섹션(22)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투명 튜브(24)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은 베이스(14)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고 광원(18)으로부터 본체(12)로 광이 들어가는 어퍼처(28)을 정의하는 개방된 상단부(26)를 갖는다. 하우징(20)의 상단부(26)는 하우징(20)의 길이 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평면에 위치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본체(12)는 환형 상부 본체 조인트(30) 및 하우징(20)과 투명 튜브(24)를 함께 연결하는 하부 본체 조인트(31)를 포함한다. 본체(12)는 광원(18), 및 투명 필터 커버(34)를 포함한다. 하부 본체 조인트(31)는 본체(12)의 하부 내부 하우징(36)에 연결되며, 이 실시예에서는 USB 포트(40)를 통해 외부 장치의 USB 충전을 제공하기 위한 회로(38)를 수용한다. 내부 하우징(36)은 또한 본체(12)의 하단부를 폐쇄하여 본체(12)로부터 광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반사 재료 층(42)은 하우징(20)의 천공된 섹션(22)을 향해 입사광을 반사하도록 내부 하우징(36)의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18)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 케이블(44)은 본체(12)를 통해 연장되고 케이블 잭(46)에서 종료된다. 주 전원 리드(47)는 주 전원 공급 장치가 연결될 수 있는 정지부(30)에 위치한 추가 전기 접점에 케이블 잭(46)에 연결된다. 케이블 잭(46)은 베이스(14)의 중공 샤프트(48)를 통과한다. 샤프트(48)는 본체(12)의 하부 본체 조인트(31)에 볼트로 연결된다. 샤프트(48)는 베이스(14)의 디스크형 본체(50)에 장착된다 베이스(14)의 본체(50)는 사용 중에 장치(10)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추(52)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48)는 베이스의 본체(50)에 장착되어 샤프트(48)가 본체(12)의 길이 방향 축과 동일선상에 있는 제1 축(X1)을 중심으로 본체(5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이는 본체(12)가 제1 축(X1)을 중심으로 베이스(14)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조립하는 동안 샤프트(48)는 내부 환형 플랜지(54)를 포함하는 환형 중앙 섹션(52)에 의해 수용된다. 나사산이 있는 캡(56)은 샤프트(48)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내부 환형 플랜지(54)가 샤프트(48)와 캡(56) 사이에 끼워져 본체(12)를 베이스(14)에 고정하는 동시에 본체(12)가 제1 축(X1)을 중심으로 베이스(14)에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지지부(16)는 지지부(16)가 본체(1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본체(12)에 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지지부(16)가 본체(12)의 길이 방향 축에 직교하도록 한다. 이 실시예에서, 지지부(16)는 상부 본체 조인트(30)에 연결된 칼라(collar)(60)에 의해 본체(12)의 상단(26)에 연결되어 지지부(16)가 제1 축(X1)을 중심으로 본체(12)와 함께 회전하도록 한다.
지지부는 제1 단부에서 본체(12)에 연결되는 제1 아암(62)을 포함한다. 제 1 아암(62)은 2개의 평행한 측벽(64), 측벽(64)의 하단 사이에 수직으로 위치된 하부 벽(66), 및 하부 벽(66)에 평행하고 일반적으로 상단과 상단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는 상부 벽(68)을 포함한다. 챔버(69)는 하부 벽(66)과 상부 벽(68) 사이에 위치된다. 케이블(44)은 광원(18)을 향해 챔버(69) 내에서 연장된다.
지지부(16)의 제1 조인트 섹션(70)은 예를 들어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1 아암(62)의 제2 단부에 연결된다. 제1 조인트 섹션(70)은 제1 조인트 섹션(70)이 제1 아암(62)에 부착될 때 본체(12)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한 길이 방향 축을 갖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스피곳(72)을 포함한다. 제2 케이블 잭(74)은 스피곳(72) 내에 수용된다. 제2 조인트 섹션(76)이 제1 조인트 섹션(70)에 장착되어 제2 조인트 섹션(76)이 스피곳(72)의 길이 방향 축과 동일선상에 있는 제2 축(X2)을 중심으로 제1 조인트 섹션(70)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제2 조인트 섹션(76)은 일반적으로 모양이 원통형이고, 제2 조인트 섹션(76)이 제1 조인트 섹션(70)에 장착될 때 스피곳(72)을 수용하는 원통형 리세스를 포함한다. 리세스는 제2 조인트 섹션(76)이 광원(18)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케이블(79)에 제1 케이블(44)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제1 조인트 섹션(70)에 장착됨에 따라 제2 케이블 잭(74)과 맞물리는 제3 케이블 잭(78)을 수용한다.
지지부(16)의 제2 아암(80)은 제2 조인트 섹션(76)에 장착되어, 제2 아암(80)이 축을 중심으로 제2 조인트 섹션(76)의 회전과 함께 제2 축(X2)을 중심으로 피벗한다. 제1 아암(62)과 유사하게, 제2 아암(80)은 2개의 평행한 측벽(82), 측벽(82)의 하단 사이에 수직으로 위치된 하부 벽(84), 및 하부 벽(84)에 평행하고 위치하는 상부 벽(86)을 포함하고, 일반적으로 측벽(82)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중간에 위치한다. 하부 벽(84)과 상부 벽(86)은 제2 축(X2)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제2 조인트 섹션(76)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중공 샤프트(88)를 수용하는 원통형 리세스를 형성한다. 이는 또한 제2 아암(80)이 제2 조인트 섹션(76)에 대해, 따라서 제1 아암(62)에 대해, 제2 축(X2)에 직교하고 바람직하게 교차하는 제3 축(X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하부 벽(84) 및 상부 벽(86)은 또한 리세스(88)로부터 제2 아암(80)의 제2 단부까지 연장되는 챔버(90)를 그 사이에 한정한다. 제2 케이블(79)은 제3 케이블 잭(78)으로부터 중공 샤프트(88) 및 챔버(90)를 통해 광원(18)을 향해 연장된다.
광원(18)은 제2 아암(80)의 제2 단부에 장착된다. 도 7을 참조하면, 광원(18)은 광원(18)의 광축(O)을 중심으로 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94)를 포함한다. LED(94)는 LED(94)로부터 방출된 광을 광원(18)으로부터 멀어지게 지향시키기 위한 반사 배플(96)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LED(94)는 기판(97) 상에 장착되고, 이는 차례로 열 전도성 플레이트(98) 상에 장착된다. LED는 제2 케이블(79)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PCB)(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열 전도판(98)은 조명 장치(10) 사용 시 LED(94)에서 방출된 열이 히트파이프(102)로 전달되도록 히트파이프(102)에 장착된다. 히트파이프(102)는 광원(18)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2 아암(80)의 상벽(86)에 지지된다. 조명 장치(10)의 사용 중 히트 파이프(102)에서 방출된 열은 제2 아암(80)의 측벽(82) 상단 사이에 위치한 어퍼처를 통해 외부 환경으로 유입된다.
제2 아암(80)은 유지 기구(104)에 의해 제1 아암(62)에 유지된다. 특히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유지 기구(104)는 제1 아암(62)의 상부 벽(68)에 위치하는 멈춤쇠(106)를 포함하고, 제1 조인트 섹션(70)과 상부 벽(68)에 부착된 정지 부재(110) 사이에서 연장되는 로드(108)를 따라 이동 가능하다. 로드(108) 주위로 연장되는 압축 스프링(112)은 정지 부재(110)로부터 멀어지도록 멈춤쇠(106)를 촉진한다. 멈춤쇠(106)는 멈춤쇠(106)에 장착된 롤러 지지부(116)에 의해 롤러(114)에 연결된다. 스프링(112)의 작용 하에, 롤러(114)는 제2 조인트 섹션(76)의 외부 원통형 표면에 대해 촉진되어, 제2 조인트 섹션(76)이 제1 조인트 섹션에 장착됨에 따라 제2 조인트 섹션(76) 주위로 연장되는 원형 홈(116)으로 들어간다. 롤러(114)와 홈(116) 사이의 맞물림은 조명 장치(10)를 사용하는 동안 제2 아암이 제1 아암(62)으로부터 들어올려지는 것을 방지한다.
광원(18)은 본체(12)에 대해 이동 가능하여 조명 장치(10)가 제1 구성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채택할 수 있게 하며, 여기서 광원(18)은 본체(12)의 내부를 조명하여 외부 환경이 본체(12)로부터 방출된 광 또는 광원(18)이 외부 환경을 직접 조명하도록 위치되는 제2 구성에 의해 조명되도록 위치된다. 도 1 내지 도 8은 제1 또는 "실내 조명" 구성의 조명 장치(10)를 도시한다. 이러한 제1 구성에서, 제2 아암(80)은 제1 아암(62)에 대해 배향되어 제2 아암(80)이 제1 아암(62)에 평행하고 실질적으로 그 위에 놓이도록 한다. 이 구성에서, 광원(18)은 광축(O)이 제1 축(X1)과 동일선상에 있도록 본체(12)의 개방된 상단부(26) 바로 위에 위치된다.
지지부(16)는 조명 장치(10)가 제1 구성에 있을 때 광원(18)으로부터 외부 환경으로 광이 방출되는 어퍼처(122)를 규정하는 배플(96)의 하부 환형 벽(120)이 본체(12)의 개방 상단부(26)로부터 이격되도록 설계된다. 광원(18)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본체(12)로 유도하기 위해, 조명 장치(10)는 광원(18)에 의해 방출된 광을 본체(12)로 유도하기 위한 도광체(130)를 포함한다.
도광체(130)는 조명 장치(10)가 제1 구성에 있을 때 광원(18)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본체(12) 내로 유도하기 위해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 위치 사이에서 본체(12)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조명 장치(10)가 제2 구성에 있을 때 도 9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도광체(130)는 적재 위치에 있을 때 본체(12)에 의해 지지된다. 이 실시예에서, 도광체(130)는 본체(12) 내부에 위치한 돌출부에 의해 지지되고, 이 실시예에서는 지지부(16)를 본체(12)에 연결하는 칼라(60)에 의해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별도의 지지 렛지가 본체(12) 내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도 7 및 13을 참조하면, 도광체(130)는 조명 장치(10)가 제1 구성에 있을 때 광원(18)을 향하는 환형 벽(132)을 포함하고, 이 환형 벽은 광원(18)으로부터 본체(12)로 들어가기 위해 방출된 광이 통과하는 어퍼처(134)를 규정한다. 도광체(130)는 본체(12) 내로 광을 유도하기 위해 환형 벽(132)의 내주에 의존하는 내부 관형 벽(136)을 더 포함한다. 내부 관형 벽(136)의 내부 표면은 반사면을 포함한다. 도광체(130)는 또한 환형 벽(132)의 외주에 의존하는 외부 관형 벽(138)을 포함하며, 이는 본체(12)의 하우징(22)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경을 갖고, 도광체(130)가 적재 위치와 전개 위치 사이를 이동할 때 하우징(22)의 내부 표면을 따라 미끄러진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체(130)는 바람직하게는 적재 위치에 있을 때 본체(12) 내에 실질적으로 완전히 위치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광체(130)의 상부 표면이 본체(12)의 개방된 상단부(26)와 같은 높이가 되도록 하여, 도광체(130)는 적재 위치에 있을 때 본체(12)로부터 돌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도광체(130)는 적재 위치에 있을 때 본체(12)로부터 돌출될 수 있지만, 적재 위치에 있을 때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서 조명 장치(10)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도 9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 위치에 있을 때 도광체(130)는 본체(12)의 개방 상단부(26)와 하우징(22)의 천공된 부분(24) 사이에 위치하여 본체(12)의 정면, 측면 또는 후면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광체(130)는 칼라(60)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고, 그에 따라 광원(12)을 향하여 이동하며, 적재 위치에서 전개 위치로 이동한다. 전개 위치에 있을 때, 도광체(130)는 바람직하게는 광원(18)과 결합하여 광원(18)으로부터 본체(12) 내로 통과할 때 조명 장치(10)로부터 방출된 미광(stray light)이 실질적으로 없도록 한다. 광은 본체(12) 내의 임의의 반사 표면에 의해 본체(12)의 천공된 섹션(24)을 향해 반사되고, 여기서 광은 외부 환경으로 방출된다.
도광체(130)는 바람직하게는 조명 장치(10)가 제1 구성을 채택함에 따라 전개된 위치를 향하도록 촉진된다. 이 실시예에서, 환형 벽(132)의 상부 표면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체가 전개 위치에 있을 때 배플(96)의 하부 환형 벽(120)과 맞물린다. 예를 들어, 도광체(130)는 조명 장치(10)가 제1 구성을 채택함에 따라 광원(18)을 향해 자기적으로 이끌릴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체(130)는 조명 장치(10)가 제1 구성을 채택함에 따라 광원(18)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쌍의 영구 자석(142)에 이끌리게 되는 제1 쌍의 영구 자석(140)을 비교한다. 자석(140, 142) 사이에 생성된 자기장의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자석(140, 142) 사이의 자기 인력이 도광체(130)의 중량보다 크도록 하여, 조명 장치(10)가 제1 구성을 채택함에 따라, 도광체(130)는 지지 칼라(60)로부터 상승하여 광원(18)에 부착된다. 전개 위치에 있을 때, 도광체(130)는 적재 위치와 전개 위치 사이를 이동할 때 본체(12)의 길이 방향 축에 중심을 유지하도록 본체(12)로부터 부분적으로만 돌출된다.
제1 구성에서, 제2 아암(80)은 제2 축(X2)을 중심으로 수동으로 회전되어 광원(18)을 본체(12)의 개방된 상단부(26)로부터 측방향으로 멀리 이동시키고, 따라서 조명 장치(10)를 광원(10)에서 방출된 광이 작업 표면 또는 다른 작업 영역을 직접 조명할 수 있는 제2 구성인 "작업 조명" 구성에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 내지 도 13은 제1 아암(62)과 제2 아암(80)이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 축(X2)을 중심으로 제2 아암(80)이 180°회전한 후의 제1 작업 조명 구성의 조명 장치(10)를 도시한다. 조명 장치(10)가 작업 조명 구성에 있을 때, 사용자는 본체를 회전시켜 베이스(14)에 대한 광원(18)의 각도 위치를 제1 축(X1)에 대해 조정할 수 있다.
제2 축(X2)을 중심으로 제2 아암(80)이 회전한 후, 광원(18)의 광축(O)은 본체(12)의 길이 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작업 조명 구성은 조명 장치(10)가 위치한 작업 표면의 작업 영역을 조명하는 데 가장 유용하며 조명 장치(10)의 다운라이팅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사용자는 사용자가 들고 있는 독서 자료와 같은 다른 표면, 또는 조명 장치(10)가 위치하는 방의 벽 또는 천장을 조명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는 제3 축(X3)을 중심으로 제2 아암(80)을 회전시킴으로써 광원(18)의 광축(O)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구성에서 시작하여, 사용자는 제2 아암(80)을 아 중공 샤프트(88)를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따라서 제3 축(X3)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광축(O)이 180°회전하도록 한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조명 구성에서 광축(O)은 본체(12)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하지만 광원(18)은 조명 장치(10)가 위치되는 작업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고 있다.
제2 구성에서, 조명 장치(10)는 필요에 따라 제2 축(X2) 및 제3 축(X3)에 대한 제2 아암(80)의 회전에 의해 실내 조명 구성으로 돌아갈 수 있다. 조명 장치(10)가 실내 조명 구성으로 돌아갈 때 광원(18)과 본체(12)의 정확한 정렬을 보장하기 위해 조명 장치(10)는 광원(18)과 같은 조명 장치(10)를 실내 조명 구성으로 촉진하기 위한 바이어싱 기구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바이어싱 기구는 홈(118) 상에 형성된 오목한 리세스(150)를 포함한다. 리세스(150)는 조명 장치(10)가 제1 구성에 있을 때 롤러(114)가 리세스(150)에 위치되도록 트랙 상에 위치된다. 조명 장치(10)가 제1 구성에 접근할 때 제1 아암(62)과 제2 아암(80)이 정확하게 정렬되도록 하고 광축(O)이 제1 축(X1)과 평행하도록 하기 위해, 바이어싱 기구는 제1 아암(62)에 연결되는 제1 아암 영구 자석(152) 및 제2 아암(80)에 연결되는 제2 아암 영구자석(154)을 더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아암 영구 자석(152)은 롤러(114)에 장착되고, 제2 아암 영구 자석(154)은 조명 장치가 제1 구성에 있을 때 롤러(114) 바로 위에 위치한 지지부(156)에 장착된다. 조명 장치(10)가 제1 구성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제2 아암 영구 자석(154)은 제1 아암 영구 자석(152)을 향해 끌어당겨지고, 이는 제2 아암(80)이 제1 아암(62)을 향해 회전하게 하여 제1 아암 영구 자석(152)과 제2 아암 영구 자석(154)은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따라서 광축(O)은 제1 축(X1)과 평행하다. 동시에, 롤러(114)는 리세스(150)에 들어가고, 스프링(112)의 편향력 하에서, 롤러(114)가 리세스(150)에 완전히 들어갈 때까지 제2 조인트 섹션(76)이 제2 축(X2)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촉진하고 조명 장치(10)가 제1 구성으로 돌아가도록 한다. 조명 장치(10)가 제1 구성에서 제2 구성으로 후속적으로 이동될 때, 제2 축(X2)을 중심으로 제2 아암을 회전시킴으로써, 도광체(130)의 이동이 본체(12)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제한됨에 따라 광원(18)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쌍의 영구 자석(142)은 제1 쌍의 영구 자석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한다. 자석 쌍이 이격됨에 따라, 자석 사이의 인력이 감소하여 도광체(130)가 광원(130)으로부터 칼라(60) 위로 떨어져 적재 위치로 돌아가게 한다.

Claims (25)

  1. 조명 장치로서,
    광을 본체로 들여보내는 어퍼처를 갖는 본체;
    상기 조명 장치로 하여금 광원이 상기 본체의 내부를 조명하도록 배치된 제1 구성 및 상기 광원이 상기 어퍼처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제2 구성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채택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한 광원; 및
    상기 장치가 상기 제1 구성에 있을 때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상기 본체 내로 유도하기 위해 적재 위치(stowed position)와 전개 위치(deployed position) 사이에서 상기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한 도광체(light guide)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체는 상기 적재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본체에 의해 지지되는,
    조명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체는 상기 적재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본체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는,
    조명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체는 상기 적재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본체 내에 완전히 위치되는,
    조명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체는 상기 적재 위치로부터 상기 전개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광원을 향해 이동하는,
    조명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어퍼처를 규정하는 개방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광체는 상기 전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본체의 상기 개방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조명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체는 상기 전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광원과 결합하는,
    조명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체는 상기 장치가 제1 구성에 있을 때 상기 본체를 향하는 상기 광원의 벽과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조명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발광 장치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광이 방출되는 어퍼처를 규정하는 배플(baffle)을 포함하고, 상기 배플은 상기 장치가 상기 제1 구성에 있을 때 상기 본체를 향하는 환형 벽을 포함하며, 상기 도광체는 상기 배플의 상기 환형 벽과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조명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체는 상기 광원과 결합하기 위한 환형 벽, 및 상기 환형 벽의 내주(inner periphery)에 의존하는 상기 본체 내로 광을 유도하기 위한 관형 벽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체는 상기 환형 벽의 외주에 의존하는 관형 벽을 포함하고, 상기 도광체가 적재 위치와 전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상기 본체의 내부 표면을 따라 미끄러지는,
    조명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체는 전개된 구성 상태에서 상기 광원에 부착되는,
    조명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가 상기 제1 구성을 채택함에 따라, 상기 도광체가 상기 전개 위치를 향하도록 촉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촉진 수단은 상기 조명 장치가 상기 제1 구성을 채택함에 따라 상기 도광체를 상기 전개 위치를 향해 자기적으로 끌어당기도록 구성되는,
    조명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적어도 하나의 영구 자석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튜브 형태인,
    조명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지지부에 연결되는,
    조명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 축에 직교하는,
    조명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조명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제1 아암, 및 상기 광원을 지지하고 상기 제1 아암에 대해 이동 가능한 제2 아암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아암을 상기 제1 아암에 연결하기 위한 조인트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 섹션은 상기 제1 아암에 대해 상기 제2 아암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2 아암은 상기 조인트 섹션에 대해 이동 가능한,
    조명 장치.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대한 상기 광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조명 장치가 상기 제1 구성을 향하도록 촉진하기 위한 바이어싱 기구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싱 기구는 상기 광원으로 하여금 상기 광원의 광축이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한 방향을 향하게끔 촉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광축을 촉진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광원을 상기 방향을 향해 자기적으로 촉진하도록 구성되는,
    조명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광축을 촉진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광원을 상기 방향을 향해 자기적으로 촉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광원의 광축을 촉진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1 아암에 연결된 제1 영구 자석, 및 상기 제 2 아암에 연결된 제2 영구 자석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KR1020227002331A 2019-06-24 2020-04-17 조명 장치 Active KR1027280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909010.9A GB2585009B (en) 2019-06-24 2019-06-24 A lighting device
GB1909010.9 2019-06-24
PCT/GB2020/050965 WO2020260850A1 (en) 2019-06-24 2020-04-17 A ligh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4890A KR20220024890A (ko) 2022-03-03
KR102728038B1 true KR102728038B1 (ko) 2024-11-11

Family

ID=67511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2331A Active KR102728038B1 (ko) 2019-06-24 2020-04-17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859791B2 (ko)
KR (1) KR102728038B1 (ko)
CN (1) CN114041027B (ko)
GB (1) GB2585009B (ko)
WO (1) WO20202608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76759B (en) 2018-08-31 2021-09-22 Dyson Technology Ltd A lighting device
US20250213029A1 (en) 2023-01-19 2025-07-03 Sharkninja Operating Llc Hair care appliance with powered attachment
US20240245190A1 (en) 2023-01-19 2024-07-25 Sharkninja Operating Llc Identification of hair care appliance attachmen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04497A (ja) * 2010-03-26 2011-10-13 Kowa Co Led照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48313A (en) 1936-04-27 1936-07-21 Rindsberger Mfg Corp Fixture
US2164390A (en) 1938-06-10 1939-07-04 Faries Mfg Co Joint for dental brackets
US2242303A (en) 1939-11-24 1941-05-20 Paul H Irmischer Swivel joint
US2488898A (en) 1948-06-18 1949-11-22 Lamp Hardware Inc Articulated bracket for bridge lamp arms or the like
US2665330A (en) 1949-09-26 1954-01-05 Lan J Wong Wall outlet and fixture mounting
DE1156728B (de) 1962-05-09 1963-11-07 Quarzlampen Gmbh Operationsleuchte
US3983386A (en) 1975-05-07 1976-09-28 Fred Schallenkammer Swing arm lamp
US4121280A (en) 1976-10-28 1978-10-17 Chapman Earle F Articulated light fixture
US4347557A (en) 1979-04-09 1982-08-31 I. W. Industries, Inc. Swivel joint
US4381538A (en) 1981-10-13 1983-04-26 I. W. Industries, Inc. Lamp swivel
US4449169A (en) 1982-10-15 1984-05-15 Jerome Warshawsky Vertical swing bracket
US4726552A (en) 1985-05-20 1988-02-23 Jerome Warshawsky Lamp swivel
US4692849A (en) 1985-08-16 1987-09-08 Vantine Allan D Le Heat free examination light with fully rotatable head and arm
US4880193A (en) 1986-11-14 1989-11-14 Jerome Warshawsky Less than 360 degree lamp swivel
US4821159A (en) 1988-01-29 1989-04-11 Pike Machine Products Co. Overlapped lamp swivel for after assembly finishing
US5097400A (en) * 1991-03-29 1992-03-17 Luxo Lamp Corporation Halogen lamp
US5342137A (en) 1993-01-11 1994-08-30 Peng Chih Wen Swing arm
DE19516758A1 (de) 1995-05-06 1996-11-07 Aeg Lichttechnik Gmbh Beleuchtungssystem
WO1999026015A1 (de) 1997-11-19 1999-05-27 Wella Aktiengesellschaft Stativ
US6877885B2 (en) 2002-06-20 2005-04-12 Paul Eusterbrock Floor lamp having improved dimmer configuration
US6981780B2 (en) 2002-12-31 2006-01-03 Zag Industries Ltd. Tool box with light
CN100516629C (zh) * 2005-03-30 2009-07-22 徐佳义 多功能灯具
ITFI20060135A1 (it) 2006-05-31 2007-12-01 Targetti Sankey Spa Dispositivo di illuminazione con sistema ad attrazzione magnetica per l'orientazione del fascio luminoso
CN201062733Y (zh) 2007-07-24 2008-05-21 石建功 折叠式节能台灯
JP4951453B2 (ja) 2007-09-28 2012-06-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タンド型照明器具
DE102007058173A1 (de) 2007-12-01 2009-06-18 Veigel, Gunter, Dipl.-Ing. Leuchte mit hochstehendem Lichtleiter
US7896568B2 (en) 2008-03-05 2011-03-01 Richard Warren Atkinson Articulite
ATE477452T1 (de) 2008-06-20 2010-08-15 Trumpf Medizin Systeme Gmbh & Co Kg Operationsleuchte mit aufhängevorrichtung
CN201351829Y (zh) 2008-12-30 2009-11-25 邑昇实业股份有限公司 发光二极管台灯
US8002448B2 (en) 2009-02-20 2011-08-23 Eiso Enterprise Co., Ltd. Table lamp
CN102094894B (zh) 2009-12-14 2013-02-1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双轴铰链及使用该双轴铰链的照明设备
TWI379967B (en) 2010-03-22 2012-12-21 Avermedia Information Inc Document camera and its light box
CN101806994B (zh) * 2010-03-26 2011-10-12 圆展科技股份有限公司 实物投影机及其光箱
US10874294B2 (en) 2010-12-01 2020-12-29 David J. Ahearn Track lighting system
TW201243220A (en) 2011-03-17 2012-11-01 Rambus Inc Lighting assembly with adjustable light output
KR20120006657U (ko) 2011-03-18 2012-09-26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Led 스탠드
WO2012131560A2 (en) * 2011-03-28 2012-10-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ight-output device with movable light-guide system
CN103133967A (zh) * 2011-11-22 2013-06-05 吴明番 一种多发光器led护眼台灯
JP5861110B2 (ja) 2011-11-22 2016-02-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器具
CN104094047B (zh) * 2012-02-07 2018-01-12 三菱电机株式会社 光源装置
US9274210B2 (en) 2012-10-19 2016-03-01 Qualcomm Incorporated Indoor radio ranging based on a subset of subcarriers employed by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WO2014071751A1 (zh) 2012-11-07 2014-05-15 迈柯唯医疗设备(苏州)有限公司 医用吊塔、用于医用吊塔的整体包装装置及方法
CN103813225B (zh) * 2012-11-12 2018-06-29 新加坡振源科技私人有限公司 一种照明音箱
US10422504B2 (en) * 2014-08-31 2019-09-24 Abl Ip Holding, Llc Luminaire for illuminating a task surface and providing additional diffuse proximity lighting
KR101655556B1 (ko) 2014-11-03 2016-09-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무드등과 독서등 겸용 램프
JP6671030B2 (ja) 2016-03-09 2020-03-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装置
CN105927894A (zh) 2016-06-22 2016-09-07 广东百事泰电子商务股份有限公司 可拆卸式多用途台灯
CN106594570A (zh) 2016-12-01 2017-04-26 曹云霞 一种关节机构
CN206592990U (zh) 2017-03-30 2017-10-27 佛山市威斯泰电器有限公司 展示灯
CN206943903U (zh) 2017-04-28 2018-01-30 东莞市桑和照明电器有限公司 一种灯体带有新型触摸开关的灯具
CN207112466U (zh) 2017-06-22 2018-03-16 陈秀英 一种防辐射led台灯
GB2565553B (en) 2017-08-15 2019-10-30 Dyson Technology Ltd A lighting device
CN207094300U (zh) 2017-08-18 2018-03-13 马海艳 一种具有空气净化功能的智能家具
US10591006B2 (en) 2017-11-10 2020-03-17 American Sterilizer Company Automatically actuated split-collar active mechanical brake for surgical lighting systems
GB2576759B (en) 2018-08-31 2021-09-22 Dyson Technology Ltd A lighting device
GB2576758B (en) 2018-08-31 2021-09-22 Dyson Technology Ltd A light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04497A (ja) * 2010-03-26 2011-10-13 Kowa Co Led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01909010D0 (en) 2019-08-07
KR20220024890A (ko) 2022-03-03
GB2585009B (en) 2021-10-13
US11859791B2 (en) 2024-01-02
GB2585009A (en) 2020-12-30
WO2020260850A1 (en) 2020-12-30
CN114041027B (zh) 2024-03-19
US20220357001A1 (en) 2022-11-10
CN114041027A (zh) 2022-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9423B2 (en) Lighting device
KR102728038B1 (ko) 조명 장치
US11415279B2 (en) Lighting device
US8721124B2 (en) Retractable light assembly
GB2565553B (en) A lighting device
CN100529521C (zh) 带有发光二极管的便携式照明装置
WO2018120175A1 (zh) 一种台灯
US10101011B2 (en) Light unit
US8851702B2 (en) Collapsible lantern
CN220355256U (zh) 一种照明装置
CN218327619U (zh) 可水平移动的灯具
RU2799095C2 (ru) Электр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освещения и компоненты и их зарядный и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механизмы
CN216556852U (zh) 一种照明装置
CN216383926U (zh) 一种可调节照射角度的灯具
JP5345661B2 (ja) 照明器具
TWI822625B (zh) 照明裝置
CN208951732U (zh) 一种光源可旋转的工作灯
JP2003249116A (ja) 作業用電灯
CN115949896A (zh) 照明装置
TWM646835U (zh) 桌燈
KR20120120833A (ko) 이중 광원형 손전등
CN1715735A (zh) 一种灯具
MXPA99011479A (en) Ligh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2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