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26624B1 - 차단성이 향상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차단성이 향상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26624B1
KR102726624B1 KR1020200000389A KR20200000389A KR102726624B1 KR 102726624 B1 KR102726624 B1 KR 102726624B1 KR 1020200000389 A KR1020200000389 A KR 1020200000389A KR 20200000389 A KR20200000389 A KR 20200000389A KR 102726624 B1 KR102726624 B1 KR 102726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houlder
blocking member
cosmetic container
tube hea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4670A (ko
Inventor
김관섭
권현준
윤호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ublication of KR20210044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26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2662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36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applying contents to surfaces
    • B65D35/38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44Closures
    • B65D35/46Closures with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36Closures with frangible parts adapted to be pierced, torn or removed, to provide discharge openings
    • B65D47/38Closures with frangible parts adapted to be pierced, torn or removed, to provide discharge openings with piercing means arranged to act subsequently as a valve to control the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b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튜브몸체와, 상기 튜브몸체에 결합되며 입구부가 형성된 튜브헤드와, 상기 튜브헤드의 입구부 내측으로 일정구간 삽입되어 빛 또는 산소의 유입을 차단하는 금속 재질의 차단부재와, 상기 튜브헤드의 입구부에 결합되며 관통부가 형성된 숄더 및 상기 숄더에 결합되며 토출구가 형성된 노즐을 포함하되, 상기 차단부재가 관통부의 작동에 의해 뚫리면서 내용물유로가 확보되는 동시에, 상기 튜브몸체 내부가 적어도 한 곳 이상에서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성이 향상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단성이 향상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Tubular cosmetic containers with improved barrier properties}
본 발명은 튜브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튜브헤드의 내측에 금속 재질의 차단부재를 삽입하여 내부로 빛 또는 산소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에 따라, 튜브몸체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변질 및 그에 따른 품질 저하를 방지하는 차단성이 향상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인체의 겉모습을 미화시켜 용모의 결점을 커버하고, 매력적으로 보이게 하거나 피부, 모발 등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물품이다.
상기 화장품은 사용 목적에 따라 기초 화장품, 색조 화장품, 기능성 화장품으로 분류되고, 그 특성에 따라 액상이나 겔 형태 또는 고형이나 분말의 형태로 제작되어 다양한 형태의 화장품 용기에 저장, 사용된다.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에 대한 용기의 개발도 필요하게 되었는데, 일반적으로 액상 또는 겔상 화장품은 사용성 및 편의성을 위해 튜브 용기에 충전하여 사용 시에 사용자가 손에 덜거나, 화장도구를 이용하여 피부에 도포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일반적으로 튜브용기는 내부에 점성이 높은 겔상 물질을 담아 보관하고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튜브몸체와, 상기 튜브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토출구가 형성된 숄더 및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튜브뚜껑으로 이루어지되, 사용 시 연질의 튜브몸체를 가압하면 상기 숄더의 토출구를 통해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튜브용기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튜브용기와, 라미네이트 튜브용기 및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튜브용기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알루미늄 재질의 용기는 튜브 자체의 기밀성과 빛과 공기를 차단해 주는 비 투과성의 안전성이 입증되어 내용물의 보존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으나, 사용자가 내용물의 추출을 위하여 튜브를 압착할 때 튜브가 찌그러진 상태 그대로를 유지하기 때문에 외관이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용기 내의 내용물이 완전히 배출되지 않으며, 양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근래 들어 합성수지 재질의 튜브용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화장품을 담는데 쓰이는 튜브형 화장품용기는 주로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High-Density Polyethylene)을 주재료로 하여 튜브헤드 및 튜브몸체를 별도로 성형하는데, 상기 튜브몸체의 일측단은 열가압하여 밀봉시켜주고, 타측단에는 토출구를 가진 상기 튜브헤드를 접착 혹은 열 가압 등의 방법을 통해 결합시켜서 튜브용기 형태로 만들어 주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튜브용기는 튜브용기 전체 또는 튜브헤드 부분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튜브용기의 내측으로 빛 또는 산소가 유입되면서 상기 튜브용기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쉽게 변질되어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75503호로 튜브형 화장품 용기가 개시되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일측단이 밀봉된 몸체가 몸체 내부에 충입된 내용물이 토출되는 토출구를 가진 숄더와 일체로 결합되어서 구성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중앙에 끼움돌기가 돌출된 차단부재를 상기 숄더 내측에 끼워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고, 이를 통해 숄더부분에서 산소의 투과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며, 튜브형 화장품용기 내부에 충입된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하여 그 사용기간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차단부재의 중앙에 형성된 내용물 유로가 항상 개방되어 있고, 이로 인해 튜브형 화장품 용기를 유통 보관할 때는 물론, 사용할 때마다 상기 개방된 내용물 유로를 통해 빛 또는 산소가 몸체 내부로 유입되어 결국에는 내용물이 변질되는 구조적인 한계가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숄더에 차단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작업이 불편하여 제조원가가 상승되고, 이로 인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기술은 튜브형 화장품 용기를 준비하고, 상기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몸체 내부로 차단부재를 밀어 넣은 후, 상기 차단부재를 계속 밀어주어 몸체 내부에서 상기 차단부재의 끼움돌기가 토출구의 입구부에 억지 끼워지도록 해야 하며, 또한 상기 숄더와 차단부재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서는 서로 맞닿는 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열을 가하여 숄더와 차단부재를 융착하는 과정을 추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5503호(2005. 03. 11. 공고). "튜브형 화장품 용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튜브헤드의 내측에 금속 재질의 차단부재를 삽입하여 입구부를 완전히 막고, 상기 차단부재가 숄더의 관통부에 의해 뚫리면서 내용물유로가 확보되는 동시에, 튜브몸체 내부가 밀폐되도록 함으로써, 튜브헤드 내부로 빛 또는 산소가 유입되는 것을 항상 안정적으로 차단하여 튜브몸체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변질 및 그에 따른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단성이 향상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튜브몸체와, 상기 튜브몸체에 결합되며 입구부가 형성된 튜브헤드와, 상기 튜브헤드의 입구부 내측으로 일정구간 삽입되어 빛 또는 산소의 유입을 차단하는 금속 재질의 차단부재와, 상기 튜브헤드의 입구부에 결합되며 관통부가 형성된 숄더 및 상기 숄더에 결합되며 토출구가 형성된 노즐을 포함하되, 상기 차단부재가 관통부의 작동에 의해 뚫리면서 내용물유로가 확보되는 동시에, 상기 튜브몸체 내부가 적어도 한 곳 이상에서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성이 향상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숄더에는 노즐의 토출구를 개폐하는 튜브뚜껑이 더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헤드와 숄더가 서로 스크류 결합되어 상기 숄더의 회전에 의해 관통부가 차단부재를 향해 이동되면서 상기 차단부재를 뚫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는 튜브헤드의 내측에 인서트 사출 또는 이중 사출 방식으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는 일측이 폐쇄되고, 타측이 개방되어 튜브헤드의 입구부 내측을 덮으면서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의 폐쇄된 단부에는 절단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단홈의 일측에 연결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의 외측에는 날개부가 형성되어 튜브헤드의 내측벽 안쪽으로 파고 들어갈 수 있다.
또한, 상기 숄더의 관통부는 외주연이 튜브헤드의 입구부 내주연에 밀착된 상태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숄더와 튜브헤드 사이에는 상기 숄더의 하부 이동을 방지하는 스토퍼링이 제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에는 체크밸브가 형성되어 숄더의 내용물통로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가 관통될 때, 상기 숄더의 관통부 외주연과 튜브헤드의 입구부 내주연이 밀착된 부분, 상기 숄더의 내측 하부면과 튜브헤드의 입구부 상단이 밀착된 부분 및 노즐의 체크밸브에 의해 3중으로 튜브몸체 내부가 밀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튜브헤드의 내측에 삽입된 차단부재가 숄더의 관통부에 의해 뚫리면서 내용물유로가 확보되는 동시에, 튜브몸체 내부가 밀폐되도록 함으로써, 튜브헤드의 내부로 빛 또는 산소가 유입되는 것을 항상 안정적으로 차단하여 튜브몸체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변질 및 그에 따른 품질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차단부재를 튜브헤드의 내측에 인서트 사출 또는 이중 사출 방식으로 부착함으로써,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조립 공정이 단순화되어 생산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스토퍼링을 분리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숄더를 회전시켜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유로가 확보되고 튜브뚜껑이 분리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튜브몸체를 가압하여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차단부재에 날개부가 형성된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차단성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단성이 향상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튜브몸체(10)와, 튜브헤드(20)와, 차단부재(30)와, 숄더(40) 및 노즐(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튜브몸체(10)의 내부에는 일정한 크기의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에는 액상 또는 겔상 내용물이 수용된다. 특히, 상기 튜브몸체(10) 내에 수용된 내용물은 레티놀(retinol, 비타민 A의 한 종류로 순수비타민이라고도 하며, 피부의 표피세포가 원래의 기능을 유지하는데에 중요한 역할을 함)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튜브몸체(10)는 사용자가 가압함에 따라 형태가 변형되면서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튜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튜브몸체(10)는 용이하게 가압될 수 있도록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튜브몸체(1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에서 아래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는 유선형으로, 하부는 씰링(sealing)되고, 상부는 개방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튜브헤드(20)는 튜브몸체(10)의 개방된 부분을 감싸면서 결합된다. 이때, 상기 튜브헤드(20)는 가압에 의해 쉽게 찌그러지지 않도록 튜브몸체(10) 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상기 튜브헤드(20)의 일측에는 입구부(22)가 형성되는데, 상기 입구부(22)는 튜브몸체(10) 내에 수용된 내용물이 출입하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튜브헤드(20)는 튜브몸체(10)와 마찬가지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사출 시 용융되어 상기 튜브몸체(10)와 접합된다.
그리고 상기 입구부(22)의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후술할 숄더(40)와 스크류 결합된다.
상기 차단부재(30)는 튜브헤드(20)의 입구부(22) 내측으로 일정구간 삽입되어 빛 또는 산소의 유입을 차단하게 되며, 얇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30)는 얇은 금속의 내, 외측에 플라스틱 수지가 합지된 시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금속과 플라스틱 수지는 접착제로 붙여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단부재(30)는 튜브헤드(20)의 내측에 인서트 사출 또는 이중 사출 방식으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튜브몸체(10)를 사출 성형하고, 이와 같이 사출 성형된 튜브몸체(10)와 금속 재질의 차단부재(30)를 튜브헤드(20) 금형의 주형공간 내에 삽입한 후, 상기 튜브헤드(20) 금형 내의 주형공간에 용융된 합성수지를 주입하여 상기 튜브몸체(10) 및 차단부재(30)와 접합한다.
이때, 상기 튜브헤드(20)는 튜브몸체(10)와 동일한 소재로 사출 성형되며, 상기 차단부재(30)의 표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층을 형성하여 튜브헤드(20)의 사출 시 사출 온도와 반응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차단부재(30)의 표면에 에칭(etching, 화학약품을 사용하여 금속, 세라믹, 반도체 등의 표면을 부식시키는 것) 방식을 적용하여, 금속 재질의 차단부재(30)와 합성수지 재질의 튜브헤드(20)가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재(30)가 얇은 금속의 내, 외측에 플라스틱 수지를 합지한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되, 최외층의 플라스틱 수지가 튜브헤드(20)와 동일한 소재일 경우에는 차단부재(30)의 인서트 사출 또는 이중 사출 성형 시 상기 차단부재(30)의 최외층이 열에 의해 녹으면서 튜브헤드(20) 내주면에 부착되기 때문에 별도의 접착제가 필요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차단부재(30)를 튜브헤드(20)의 내측에 인서트 사출 또는 이중 사출 방식으로 부착함으로써, 차단부재(30)를 갖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조립 공정이 단순화되어 생산성이 증대되는 것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차단부재(30)는 일측이 폐쇄되고, 타측이 개방되어 튜브헤드(20)의 입구부(22) 내측을 덮으면서 막게 된다. 즉, 상기 차단부재(30)가 폐쇄된 부분으로부터 개방된 부분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모자 형태로 형성되며, 차단부재(30)의 폐쇄된 부분이 튜브헤드(20)의 입구부(22) 안쪽으로 삽입되는 동시에, 외주연이 튜브헤드(20)의 내주연에 밀착되면서 튜브몸체(10) 내부를 밀폐하게 된다.
또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차단부재(30)의 폐쇄된 단부에는 절단홈(32)이 형성되고, 상기 절단홈(32)의 일측에 연결리브(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단홈(32)은 차단부재(30)의 폐쇄된 단부가 관통부(42)에 의해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정 구간이 끊긴 링 형상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리브(34)는 관통부(42)에 의해 절단되지 않는 구간으로, 절단홈(32)을 따라 절단된 부분이 차단부재(30)로부터 분리되면서 튜브몸체(10) 내에 수용된 내용물과 섞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재(30)의 어느 일면 즉, 튜브헤드(20)와 맞닿는 면에는 차단부재(30)와 튜브헤드(20) 간의 부착력 보완을 위해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는데, 상기 접착제는 사출 온도와 같은 고온에서 반응하는 특수 접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차단부재에 날개부가 형성된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차단부재(30)의 외측에는 날개부(36)가 형성되어 튜브헤드(20)의 내측벽 안쪽으로 파고들어갈 수 있다. 즉, 상기 차단부재(30)의 상부 외주연에 링 형상의 날개부(36)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차단부재(30)의 인서트 사출 또는 이중 사출 시 상기 날개부(36)가 튜브헤드(20)의 내측벽 안쪽으로 파고들어간 상태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숄더(40)의 관통부(42)로 차단부재(30)의 폐쇄된 단부를 누를 때, 상기 차단부재(30)의 상부가 일그러지면서 튜브몸체(10) 내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숄더(4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튜브헤드(20)의 입구부(22)를 감싸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 작동에 의해 상기 차단부재(30)를 천공(穿孔)하게 된다.
상기 숄더(40)는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하부외벽(41)과, 상기 하부외벽(41)의 안쪽에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관통부(42)와, 상기 하부외벽(41)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상부외벽(4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외벽(41)의 내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튜브헤드(20)의 입구부(22)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고, 상기 상부외벽(43)의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후술할 튜브뚜껑(70)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42)는 양측 단부가 개방된 중공형 원통 형태로써, 일측 단부가 사선 형태로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분이 튜브헤드(20)의 입구부(22) 안쪽으로 삽입되어 차단부재(30)의 폐쇄된 단부와 인접하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부(42)는 외주연이 튜브헤드(20)의 입구부(22) 내주연에 타이트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튜브헤드(20)와 숄더(40)가 서로 스크류 결합되어 상기 숄더(40)의 회전에 의해 관통부(42)가 튜브헤드(20)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차단부재(30)의 폐쇄된 단부를 뚫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숄더(40)의 관통부(42)는 외주연이 튜브헤드(20)의 입구부(22) 내주연에 밀착된 상태로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외벽(41)과 관통부(42) 사이의 하부면에는 밀폐돌륜(46)이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숄더(40)가 하부로 이동되었을 때 튜브헤드(20)의 입구부(22) 상단을 압박하면서 튜브몸체(10) 내부의 밀폐력을 보완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외벽(41)의 내주연에는 제1 경사면(44a)과 제1 제한턱(44b)으로 이루어진 제1 일방향돌기(44)가 형성되고, 튜브헤드(20)의 외주연에는 제2 경사면(24a)과 제2 제한턱(44b)로 이루어진 제2 일방향돌기(24)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일방향돌기(44)와 제2 일방향돌기(24)에 의해 숄더(40)의 회전 방향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상기 숄더(40)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 일방향돌기(44)의 제1 경사면(44a)이 제2 일방향돌기(24)의 제2 경사면(24a)을 타고 넘어가면서 숄더(40)가 회전되는 반면,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일방향돌기(44)의 제1 제한턱(44b)이 제2 일방향돌기(24)의 제2 제한턱(24b)에 걸려 숄더(40)가 회전되지 않게 되다.
또한, 상기 숄더(40)와 튜브헤드(20) 사이에는 상기 숄더(40)의 하부 이동을 방지하는 스토퍼링(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링(60)은 튜브헤드(20)의 외주연을 감싸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숄더(40)가 사용자의 의도한 바와 다르게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링(60)은 숄더(40)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며,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숄더(40)로부터 뜯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노즐(50)은 숄더(40)의 일측에 결합되며,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구(52)가 형성된다.
상기 노즐(50)은 내부에 내용물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하부연장부(51)가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숄더(40)의 개방된 일측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연장부(51)의 반대편은 점차적으로 직경이 줄어드는 형태이고, 그 단부에 토출구(5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노즐(50)에는 체크밸브(54)가 형성되어 숄더(40)의 중앙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54)는 튜브몸체(10)가 가압될 때 발생되는 내용물의 토출 압력에 의해 상부로 들리면서 내용물이 통과하고, 튜브몸체(10)의 가압이 해제될 때, 내용물의 토출 압력이 사라지면서 원위치되어 숄더(40)의 중앙 통로를 막게 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50)의 하부에는 체크밸브(54)의 용이한 설치를 위해 밸브설치판(56)이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밸브설치판(56)은 원판 형태로 중앙에 내용물이 유입되는 유입홀(56a)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홀(56a)의 외측으로 체그밸브(54)를 받치는 받침돌륜(56b)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숄더(40)에는 노즐(50)의 토출구(52)를 개폐하는 튜브뚜껑(70)이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튜브뚜껑(70)의 하부 내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숄더(40)의 상부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에서는 숄더(40)와 튜브뚜껑(70)이이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더컷 결합 또는 돌기와 홈의 결합 또는 강제 끼움 결합 또는 자력에 의한 결합 등 다양한 결합 방식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튜브뚜껑(70)의 내측 하부면에는 밀폐돌기(72)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밀폐돌기(72)는 숄더(40)와 튜브뚜껑(70)의 결합 시 토출구(52)로 삽입되어 상기 토출구(52)를 보다 효과적으로 밀폐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는 상술한 구성들을 통해 차단성을 보다 향상시키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 사용 전 얇은 금속 재질의 차단부재(30)가 튜브헤드(20)의 입구부(22) 내측으로 일정 구간 삽입되어 상기 입구부(22)를 완전히 막고 있다가, 사용 시 상기 숄더(40)의 회전에 의해 관통부(42)가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차단부재(30)의 폐쇄된 단부를 뚫어 상기 관통부(42)의 중앙으로 내용물유로(38)가 확보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튜브헤드(20)와 숄더(40) 및 노즐(50)의 체크밸브(54)에 의해 적어도 한 곳 이상에서 튜브몸체(10) 내부가 밀폐된다. 여기서, 상기 내용물유로(38)는 관통부(42)에 의한 차단부재(30)의 관통 시 튜브몸체(10) 및 튜브헤드(20)의 내부와 연결된 관통부(42)의 중앙 통로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상기 차단부재(30)가 관통부(42)에 의해 관통될 때, 상기 숄더(40)의 관통부(42) 외주연과 튜브헤드(20)의 입구부(22) 내주연이 밀착된 부분, 상기 숄더(40)의 내측 하부면과 튜브헤드(20)의 입구부(22) 상단이 밀착된 부분 및 노즐(50)의 체크밸브(54)에 의해 3중으로 튜브몸체(10) 내부가 밀폐되는 것이다.
따라서,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유통 또는 보관 중은 물론, 사용 중에도 튜브헤드(20)의 내부로 빛 또는 산소가 유입되는 것을 보다 안정적으로 차단하여, 튜브몸체(10)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변질 및 그에 따른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단성이 향상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의 사용을 예시한 도면으로써,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단성이 향상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스토퍼링을 분리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숄더를 회전시켜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가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유로가 확보되고 튜브뚜껑이 분리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튜브몸체를 가압하여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튜브헤드(20)와 숄더(40) 사이에 부착된 스토퍼링(60)을 뜯어내 제거한다.
이후,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튜브몸체(10)와 튜브헤드(20)로부터 숄더(40)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숄더(40)가 튜브헤드(20)와 스크류 결합되면서 하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숄더(40)와 함께 관통부(42)도 하측으로 이동되어 차단부재(30)의 폐쇄된 단부를 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숄더(40)의 관통부(42) 외주연은 튜브헤드(20)의 입구부(22) 내주연에 타이트하게 밀착된 상태로 작동하게 된다.
이후, 상기 숄더(40)를 더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숄더(40)의 관통부(42)가 차단부재(30)의 폐쇄된 단부를 뚫어 내용물유로(38)가 확보된다. 이때, 상기 차단부재(30)의 폐쇄된 단부에는 절단홈(32)이 형성되어 있어 차단부재(30)의 상단이 깔끔하게 절단되고, 연결리브(34)가 형성되어 있어 절단된 부분이 차단부재(30)에 매달려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숄더(40)로부터 튜브뚜껑(70)을 분리하여 노즐(50)의 토출구(52)를 개방한다.
이후,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튜브몸체(10)를 가압하면 튜브몸체(10) 내에 토출 압력이 발생되고, 이와 같은 토출압력에 의해 내용물이 내용물유로(38)를 거쳐 노즐(50)에 설치된 체크밸브(54)를 밀어 개방한 다음, 상기 노즐(50)의 토출구(52)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하, 하기 실시예, 비교예, 시험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차단성이 향상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차단성 향상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차단성이 향상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제조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튜브몸체와, 상기 튜브몸체에 결합되며 입구부가 형성된 튜브헤드, 상기 튜브헤드의 입구부 내측으로 일정구간 삽입되어 빛 또는 산소의 유입을 차단하고 금속 재질이 포함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도록 실시예 1의 차단성이 향상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알루미늄 튜브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제조하되, 튜브몸체와 튜브헤드를 알루미늄소재로 일체화하여 알루미늄튜브를 제조하였다. 다만, 차단부재는 포함하지 않았다.
비교예 2. 폴리호일 튜브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제조하되, 튜브몸체와 튜브헤드를 폴리호일(알루미늄 호일 원단이 중심층을 구성하는 PE재질의 시트)소재로 일체화하여 폴리호일 튜브를 제조하였다. 다만, 차단부재는 포함하지 않았다.
실험예 1. 차단성 실험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2의 튜브에 대하여 차단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2의 튜브에 레티놀 내용물을 주입하고 시간 경과에 따른 레티놀 유효성분의 잔존량을 비교하여 실시되었다. 레티놀은 빛, 산소, 온도 등에 민감한 성분으로서 해당 요인에 의해 유효성분의 잔존량에 큰 영향을 받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단성이 향상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는 산소에 대한 차단성을 높인 구조로서, 본 실험예에서는 산소에 의한 유효 성분 잔존량에 대해 효과성 검증을 진행한다. 본 실험은 초기 유효성분 함량 대비 90% 이상을 보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선, 레티놀 내용물의 초기 유효성분 함유량을 측정하고,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2의 튜브 용기에 주입하였다. 그 다음, 40℃의 항온조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2의 튜브 용기를 비치하고 2주 간격으로 초기 유효성분 대비 잔존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초기 유효성분 함유량을 100%로 기준하여, 2주, 4주, 8주 경과 후의 잔존량을 측정해 표 1 및 도 9에 나타내었다.
초기 레티놀 유효성분 함유량(%) 2주 경과 후의 레티놀 유효성분의 잔존량(%) 4주 경과 후의 레티놀 유효성분의 잔존량(%) 8주 경과 후의 레티놀 유효성분의 잔존량(%)
실시예 1 100 98.8 95.7 91.8
비교예 1 100 98.4 94.4 87.1
비교예 2 100 95.3 90.3 78.8
그 결과, 실시예 1의 차단성이 향상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는 2주, 4주, 8주 경과 후의 레티놀 유효성분의 잔존량이 초기 유효성분 함량에 대해 90% 이상을 보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비교예 1 및 2의 튜브 용기는 2주, 4주까지는 90%의 잔존량을 유지하다가, 8주가 경과하면서부터는 목표치인 90%에 비해 현저히 낮은 잔존량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차단성이 향상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높은 산소 차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단성이 향상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는, 튜브몸체와 튜브헤드 및 상기 튜브헤드의 내측에 인서트 사출 또는 이중 사출 방식으로 부착되는 차단부재의 결합구조를 통해 종래의 알루미늄튜브 및 폴리호일튜브에 비해 산소 차단성이 증대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튜브몸체 20: 튜브헤드
22: 입구부 24: 제2 일방향돌기
30: 차단부재 32: 절단홈
34: 연결리브 38: 내용물유로
40: 숄더 42: 관통부
44: 제1 일방향돌기 50: 노즐
52: 토출구 60: 스토퍼링
70: 튜브뚜껑

Claims (11)

  1.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튜브몸체;
    상기 튜브몸체에 결합되며 입구부가 형성된 튜브헤드;
    상기 튜브헤드의 입구부 내측으로 일정구간 삽입되어 빛 또는 산소의 유입을 차단하고 금속 재질이 포함되는 차단부재;
    상기 튜브헤드의 입구부에 결합되며 관통부가 형성된 숄더 및
    상기 숄더에 결합되며 토출구가 형성된 노즐을 포함하되,
    상기 차단부재가 관통부의 작동에 의해 뚫리면서 내용물유로가 확보되는 동시에, 상기 튜브몸체 내부가 적어도 한 곳 이상에서 밀폐되며,
    상기 숄더의 관통부는 외주연이 튜브헤드의 입구부 내주연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튜브헤드의 내벽을 따라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성이 향상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에는 노즐의 토출구를 개폐하는 튜브뚜껑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성이 향상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헤드와 숄더가 서로 스크류 결합되어 상기 숄더의 회전에 의해 관통부가 차단부재를 향해 이동되면서 상기 차단부재를 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성이 향상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튜브헤드의 내측에 인서트 사출 또는 이중 사출 방식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성이 향상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일측이 폐쇄되고, 타측이 개방되어 튜브헤드의 입구부 내측을 덮으면서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성이 향상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의 폐쇄된 단부에는 절단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단홈의 일측에 연결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성이 향상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의 외측에는 날개부가 형성되어 튜브헤드의 내측벽 안쪽으로 파고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성이 향상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와 튜브헤드 사이에는 상기 숄더의 하부 이동을 방지하는 스토퍼링이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성이 향상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에는 체크밸브가 형성되어 숄더의 내용물통로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성이 향상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가 관통될 때, 상기 숄더의 관통부 외주연과 튜브헤드의 입구부 내주연이 밀착된 부분, 상기 숄더의 내측 하부면과 튜브헤드의 입구부 상단이 밀착된 부분 및 노즐의 체크밸브에 의해 3중으로 튜브몸체 내부가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성이 향상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
KR1020200000389A 2019-10-15 2020-01-02 차단성이 향상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 Active KR1027266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826 2019-10-15
KR20190127826 2019-10-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670A KR20210044670A (ko) 2021-04-23
KR102726624B1 true KR102726624B1 (ko) 2024-11-06

Family

ID=75738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389A Active KR102726624B1 (ko) 2019-10-15 2020-01-02 차단성이 향상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266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967B1 (ko) * 2021-10-13 2023-02-07 (주)연우 내용물 용기
KR102549913B1 (ko) * 2021-12-24 2023-06-30 펌텍코리아(주) 튜브형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7025A (ja) * 2006-02-17 2007-08-30 Shiseido Co Ltd 液体吐出器
JP4929591B2 (ja) 2004-12-21 2012-05-09 東洋製罐株式会社 スパウ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2656A (en) * 1969-06-23 1971-10-12 Bell Telephone Labor Inc Liquid crystal device with lower means located behind the liquid crystal cell
JPS60172659A (ja) * 1984-02-08 1985-09-06 関西チユ−ブ株式会社 積層チユ−ブ
JPH07112749A (ja) * 1993-08-23 1995-05-02 Yoshino Kogyosho Co Ltd チューブ容器
KR200375503Y1 (ko) 2004-11-03 2005-03-11 주식회사 태평양 튜브형 화장품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29591B2 (ja) 2004-12-21 2012-05-09 東洋製罐株式会社 スパウト
JP2007217025A (ja) * 2006-02-17 2007-08-30 Shiseido Co Ltd 液体吐出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670A (ko) 2021-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6782B2 (en) Single use unit dosage dispensing closure
US86781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additives to a container
RU2404097C2 (ru) Деталь для слива из емкости
US7249690B2 (en) Independent off-bottle dispensing closure
KR102726624B1 (ko) 차단성이 향상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
US20130043273A1 (en) Metering device for the metered dispension of fluid preparation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EP1513617B1 (fr)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lusieurs fluides comportant au moins deux poches souples et deux pompes.
US5165572A (en) Dispensing container for liquid products
CA2510805A1 (en) Tamper evident closure assemblies
US9975683B2 (en) Cap with additive chamber and associated packaging unit
CN207107413U (zh) 盖外操作的外刺穿式容器封闭装置及其包装容器
FR2806271A1 (fr) Dispositif pour le melange extemporane d'au moins deux produits
US20200262693A1 (en) Single use capsule for machines for the dispensing of infused beverages
WO2022008431A1 (en) Recipient to dispense or receive a product for in situ mixing
US3599837A (en) Plastic dispensing container and closure therefor
JP6396192B2 (ja) 二重容器
KR101426393B1 (ko) 공기유입 차단 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CN102107752B (zh) 一种防回流双腔软管
CN219361919U (zh) 一种能够储存液体或固体粉末的瓶盖及瓶装饮料
US7677413B2 (en) Pierceable dispenser container and closure
US20190127132A1 (en) Container with a Receiving Area and Method for Removing a Substance from the Receiving Area of a Container
KR20110107369A (ko) 반고체 제품용 기밀 실링된 투여 메카니즘을 갖는 패키징 엘리먼트
KR200301248Y1 (ko) 이중튜브
US20070272703A1 (en) Pierceable dispenser container and closure
KR20210006770A (ko) 이종 내용물 혼합형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