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25675B1 - Loading module, and insertion unit and detachable endoscop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oading module, and insertion unit and detachable endoscop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25675B1
KR102725675B1 KR1020220006187A KR20220006187A KR102725675B1 KR 102725675 B1 KR102725675 B1 KR 102725675B1 KR 1020220006187 A KR1020220006187 A KR 1020220006187A KR 20220006187 A KR20220006187 A KR 20220006187A KR 102725675 B1 KR102725675 B1 KR 102725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ole
module
operating
detachab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61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10097A (en
Inventor
지현수
Original Assignee
(주) 태웅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태웅메디칼 filed Critical (주) 태웅메디칼
Priority to KR1020220006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25675B1/en
Publication of KR20230110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00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25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2567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10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modular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21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 A61B1/00128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mechanical, e.g. for tub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33Drive units for endoscopic tools inserted through or with the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35Oversleeves mounted on the endoscope prior to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means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e.g. by using a sanitary shea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7Constructional details of force transmission elements, e.g. control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7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upper alimentary canal, e.g. oesophagoscopes, gastrosc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단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양단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관통홀이 구비된 바디와, 상기 수용공간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력부와, 복수개의 상기 관통홀 중 제1 관통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제1 연결관과, 복수개의 상기 관통홀 중 제2 관통홀에 결합되고, 상기 가력부와 연결되는 작동와이어가 관통 삽입되는 제2 연결관을 포함하는, 가력모듈을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ading module including a body having a receiving space provided at a tip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penetrating both ends, a loading unit rotatably arranged in the receiving space, a first connecting pipe coupled to a first through hole among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space, and a second connecting pipe coupled to a second through hole among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having an operating wire connected to the loading unit inserted therethrough.

Description

가력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삽입유닛 및 착탈형 내시경{Loading module, and insertion unit and detachable endoscope including the same}{Loading module, and insertion unit and detachable endoscop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력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삽입유닛, 그리고 착탈형 내시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rce module, an insertion unit including the same, and a detachable endoscope.

일반적으로 내시경을 이용하는 시술은 인체를 크게 절개하지 않고 작은 구멍을 통해 카메라가 설치된 내시경과 시술도구를 삽입한 다음, 체내에서 내시경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통해 환자의 환부를 살피면서 시술을 진행하는 것이다. 특히, 복강경 수술에서부터 시작된 내시경 시술은 개복수술에 비하여 절개 부위가 작기 때문에 흉터부위도 작게 되고, 출혈도 적어 시술 후 환자의 회복 시간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In general, procedures using endoscopy are performed by inserting an endoscope with a camera and surgical tools through a small hole without making a large incision in the body, and then examining the patient's affected area through the images captured by the endoscope inside the body. In particular, endoscopic procedures starting from laparoscopic surgery have the advantage of smaller incisions than open surgery, resulting in smaller scars, less bleeding, and faster recovery times for patients after the procedure.

종래의 통상적인 내시경은 인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이를 제어하는 조작부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부의 내부를 관통하여 다수의 관로 및 가이드들이 내장되어 있으며, 특히 체내에 삽입되는 삽입부 선단에 고가의 CCD와 같은 촬상 소자 등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부만을 조작부로부터 분리하여 새로 교체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의료용 내시경의 위생 기능을 보다 강화하는 추세에 맞추어 체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삽입부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서로 결합하여 연결사용하거나 서로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착탈형 내시경이 이용되고 있다.In the past, a typical endoscope had an insertion part to be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and an operating part to control it as an integrated structure, and a number of conduits and guides were built in through the interior of each part, and in particular, an expensive imaging element such as a CCD was equipped at the tip of the insertion part to be inserted into the body, so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difficult to separate the insertion part from the operating part and replace it with a new one. Accordingly, in line with the trend of strengthening the sanitary function of medical endoscopes, various types of detachable endoscopes are being used in which the insertion part to be inserted into the body and the operating part to operate the insertion part can be combined for use or stored separately.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신체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의 선단이 타원형이 아닌, 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삽입부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는 착탈형 내시경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tachable endoscope capable of minimizing the size of an insertion portion by configuring the tip of the insertion portion inserted into the body to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rather than an oval shap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력모듈은, 선단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양단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관통홀이 구비된 바디와, 상기 수용공간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력부와, 복수개의 상기 관통홀 중 제1 관통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제1 연결관과, 복수개의 상기 관통홀 중 제2 관통홀에 결합되고, 상기 가력부와 연결되는 작동와이어가 관통 삽입되는 제2 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task, a loading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dy having a receiving space provided at a tip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penetrating both ends, a loading unit rotatably arranged in the receiving space, a first connecting pipe coupled to a first through hole among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space, and a second connecting pipe coupled to a second through hole among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having an operating wire connected to the loading unit inserted therethrough.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관통홀 중 제3 관통홀에 결합되는 제3 연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에 결합 시, 상기 제2 연결관과 상기 제3 연결관은 상기 제1 연결관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ird connecting tube coupled to a third through hole among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is further included, and when coupled to the body, the second connecting tube and the third connecting tube can be arranged on both sides with the first connecting tube interposed therebetwee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관은, 상기 제2 관통홀 내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보다 큰 직경으로 갖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중간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nnecting tube may have an insertion portion that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and an intermediate protrusion portion that protrudes radially outwardly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insertion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선단을 덮도록 결합되고, 상기 바디와 결합 시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연통부를 구비한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ver may be further included that is coupled to cover the front end of the body and has a connecting portion that connects the receiving space with the outside when coupled with the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may have at least a partially circular cross-sec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내시경용 삽입유닛은, 선단에 배치되는 가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task, a detachable endoscope insertion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orce module arranged at a tip end.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내시경은, 일단이 신체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된 가력모듈을 구비한 삽입유닛과, 상기 삽입유닛의 타단에 결합되고, 조작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삽입유닛의 상기 일단이 굴곡 운동하도록 작동시키는 조작유닛과, 상기 조작유닛 상기 삽입유닛을 탈찰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task, a detachable endoscop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sertion unit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a body and a force module rotatably arranged on the one end, an operating unit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insertion unit and operating the one end of the insertion unit to perform a bending movement using an operating module, and a detachable unit that detachably couples the insertion unit to the operating uni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가력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삽입유닛 및 착탈형 내시경은, 가력모듈의 바디에 복수개의 관통홀, 가력부 및 조명촬영부의 배치를 조절하여 공간효율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가력모듈이 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타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경우와 비교하여, 신체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유닛의 삽입단부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ce module and the insertion unit and detachable endoscope including the same can be configured to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by adjusting the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 force section, and an illumination photographing section in the body of the force module to improve space efficiency. As a result, the size of the insertion end of the insertion unit inserted into the body can be minimized compared to a case where the cross-section has an oval shape.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내시경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의 (a)는 삽입유닛에 구비된 삽입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유닛에 구비된 제1 착탈모듈과 제2 착탈모듈이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유닛에 구비된 제1 착탈모듈과 제2 착탈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1 착탈모듈과 제2 착탈모듈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제1 착탈모듈과 제2 착탈모듈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내시경에 구비된 가력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내시경에 구비된 커버 및 커버가 분리된 가력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분리된 가력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의 (a)는 Ⅱ-Ⅱ'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력모듈의 조립 과정 중 일부 단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력모듈의 조립 과정 중 다른 일부 단계를 도시한다.
FIG. 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detachable endoscop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of FIG. 1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sertion end provided in an insertion uni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first detachable module and the second detachable module provided in the detachable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rst detachable module and a second detachable module provided in a detachable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first detachable module and the second detachable module of Figure 2.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first detachable module and the second detachable module of Figure 3.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rce module provided in a detachable endoscop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ver and a force module with the cover separated, provided in a detachable endoscop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rce module with a separated co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of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viewed from the direction Ⅱ-Ⅱ'.
FIG. 9 illustrates some steps in the assembly process of a force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llustrates another part of the assembly process of a force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refo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assigned similar drawing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join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 between. Also,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that other components are excluded,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but that other components can be includ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s" or "has"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understood t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내시경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의 (a)는 삽입유닛에 구비된 삽입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유닛에 구비된 제1 착탈모듈과 제2 착탈모듈이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유닛에 구비된 제1 착탈모듈과 제2 착탈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1 착탈모듈과 제2 착탈모듈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은 도 3의 제1 착탈모듈과 제2 착탈모듈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detachable endoscop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of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insertion end portion provided in an insertion uni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before a first detachable module and a second detachable module provided in a detachable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rst detachable module and a second detachable module provided in a detachable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side of the first detachable module and the second detachable module of FIG. 2.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side of the first detachable module and the second detachable module of FIG. 3.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착탈형 내시경(10)은 신체 내부의 장기(臟器)를 검사 및 시술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검사 및 시술 대상부는 예를 들어, 십이지장(duodenum)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6, a detachable endoscope (10) may be a device for examining and performing procedures on organs inside the body. Here, the subject of the examination and procedure may be, for example, the duodenum.

착탈형 내시경(10)은 조작유닛(100)과, 삽입유닛(200)과, 착탈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착탈형 내시경(10)은 내시경 제어 관리 시스템(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조인트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detachable endoscope (10) may include an operating unit (100), an insertion unit (200), and a detachable unit (300). In addition, the detachable endoscope (10) may further include a joint unit (not shown)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ndoscope control management system (not shown).

조작유닛(100)은, 사용자가 삽입유닛(2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조작하는 부분으로, 조작모듈(H)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조작모듈(H)은 제1 조작부(H10)와, 제2 조작부(H20)와, 제3 조작부(H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ing unit (100) is a part that a user operat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insertion unit (200), and may be equipped with an operating module (H). At this time, the operating module (H) may include a first operating unit (H10), a second operating unit (H20), and a third operating unit (H30).

조작유닛(100)의 일단(이하, 제1 결합단부)에는, 탈착 가능한 삽입유닛(200)이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삽입유닛(200)이 조작유닛(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1 조작부(H10)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켜 삽입유닛(200)의 선단(이하, 삽입단부)을 상하방향으로 굴곡 운동시키거나, 제2 조작부(H20)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한 삽입단부를 좌우방향으로 굴곡 운동시킬 수 있다.A detachable insertion unit (200) can be selectively connected to one end (hereinafter, the first connection end) of the operating unit (100). When the insertion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unit (100), the user can rotate the first operating unit (H10) left-right to cause the front end (hereinafter, the insertion end) of the insertion unit (200) to bend up and down, or rotate the second operating unit (H20) left-right to cause the insertion end to bend left-right.

사용자는 제3 조작부(H3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후술할 가력모듈(400)의 회동 작동[예컨대, 가력부(420)의 회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user can control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force module (400) described later (e.g., rotation of the force unit (420)) by rotating the third operating unit (H30) in one direction.

제3 조작부(H30)는 조작유닛(100)의 내부에 배치된 리프팅 유닛(lifting unit)(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리프팅 유닛은 일 실시예로서, 유압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리프팅 유닛은, 유압공급부(미도시)와 선형이동축(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압공급부는, 제3 조작부(H30)의 조작에 기초하여, 후술할 중간연결부재(105)와 연결되는 선형이동축에 유압을 공급할 수 있다.The third operating unit (H30) may be connected to a lifting unit (not shown) arranged inside the operating unit (100). The lifting unit may be operated hydraulically, as an example. In this case, the lifting unit may include a hydraulic supply unit (not shown) and a linear movement shaft (not shown). At this time, the hydraulic supply unit may supply hydraulic pressure to the linear movement shaft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105) described later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third operating unit (H30).

이때, 삽입유닛(200)이 조작유닛(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제3 조작부(H30)가 좌우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이하, 조작방향)으로 회전하면, 유압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유압으로 인해, 선형이동축이 후방(-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간연결부재(105)와, 제2 중간연결본체(315), 그리고 이와 결합된 제2 삽입단연결본체(345)와 제2 작동와이어(205)가 조작유닛(100)을 향해 당겨지는 방향(이하, 가력방향)(예컨대, -Y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2 작동와이어(205)와 연결된 가력모듈(400)에 가력방향(-Y축 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가력모듈(400)이 회동 작동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At this time, when the third operating part (H30) is rotated in on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hereinafter, the operating direction) by the user while the insertion unit (200) is coupled to the operating unit (100), the linear movement axis can move backward (in the -Y-axis direction) due to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by the hydraulic supply part. Accordingly,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105), the second intermediate connecting body (315), and the second insertion connecting body (345) and the second operating wire (205) coupled thereto move in the direction (hereinafter, the force direction) (e.g., the -Y-axis direction) in which they are pulled toward the operating unit (100), so that force can be applied to the applying module (400) connected to the second operating wire (205) in the force direction (in the -Y-axis direction). As a result, the applying module (400) can rotat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리프팅 유닛은 유방 방식 외의 다른 방식으로 작동됨으로써 가력모듈(400)이 회동 작동하도록 조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리프팅 유닛이 유압 방식으로 작동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lifting unit may be operated in a manner other than the breast method so that the force module (400) can be operated to rotate. However,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an embodiment in which the lifting unit operates in a hydraulic manner.

삽입유닛(200)은 내시경 시술 시, 일부(즉, 삽입단부)가 신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삽입단부는 삽입유닛(200)의 양단 중 조작유닛(100)과 결합되는 단부(이하, 제2 결합단부)의 반대측 단부일 수 있다.During an endoscopic procedure, a portion (i.e., an insertion end) of the insertion unit (200) can be inserted into the body. At this time, the insertion end may be the end opposite to the end (hereinafter, the second joining end) that is joined to the operating unit (100) among the two ends of the insertion unit (200).

삽입유닛(200)은 일 실시예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가늘고 긴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삽입유닛(200)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유닛(100)에 의해 굴곡 방향이 조절될 수 있도록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유닛(200)의 외측 표면을 형성하는 커버가, 수지 조성물과 같은 유연한 튜브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sertion unit (200) may, as an example, be a thin and long cylindrical shape with a hollow space formed t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insertion unit (200)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the bending direction can be adjusted by the operating unit (100)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cover forming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unit (200) may be made of a flexible tube material such as a resin composition.

한편, 조작유닛(100)은 내시경 시술 시 이용되는 액체와 기체를 투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와 조작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조작유닛(100)의 제1 결합단부와 착탈유닛(300)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삽입유닛(200)의 일부(예를 들어, 제2 결합단부 또는 그 주변부)에는, 클립을 갖는 내시경 처치구와 같은 시술도구를 삽입유닛(200) 내부로 진출입시키기 위한 출입구(510) 및 이를 개폐하는 캡(511)을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operating unit (100) may be equipped with an operating switch and an operating button for injecting or discharging liquid and gas used in an endoscopic procedure. A part of the insertion unit (200) (e.g., the second connecting end or its surroundings) tha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end of the operating unit (100) through the connecting/detaching unit (300) may be equipped with an entrance (510) for introducing and exiting a surgical tool, such as an endoscopic instrument having a clip, into and out of the insertion unit (200), and a cap (51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ntrance (510).

착탈유닛(300)은 조작유닛(100)과 삽입유닛(200)을 착탈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착탈유닛(300)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착탈모듈(300a)과, 제2 착탈모듈(300b)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유닛(100)과 삽입유닛(200)은, 제1 착탈모듈(300a)과 제2 착탈모듈(300b)의 결합 또는 결합 해제에 의해,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The detachable unit (300) can detachably connect the operating unit (100) and the insertion unit (200). At this time, the detachable unit (300) can include a first detachable module (300a) and a second detachable module (300b) that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The operating unit (100) and the insertion unit (200) can be connected or separated by coupling or decoupling the first detachable module (300a) and the second detachable module (300b).

제1 착탈모듈(300a)은 조작유닛(10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되며, 제1 모듈본체(310)와, 제1 중간연결부와, 제2 중간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착탈모듈(300b)은 삽입유닛(20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되며, 제2 모듈본체(330)와, 제1 삽입단연결부와, 제2 삽입단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detachable module (300a) is arranged to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operating unit (100) and may include a first module body (310), a first intermediate connection portion, and a second intermediate connection portion. In addition, the second detachable module (300b) is arranged to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insertion unit (200) and may include a second module body (330), a first insertion connection portion, and a second insertion connection portion.

도면에 도면번호를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제1 중간연결부를 도면번호 320으로 지칭하고, 제2 중간연결부를 도면번호 320'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또한, 제1 삽입단연결부를 도면번호 340으로 지칭하고, 제2 삽입단연결부를 도면번호 340'로 지칭하기로 한다.Although the drawing numbers are not indicated in the drawing,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irst intermediate connecting part will be referred to as drawing number 320 and the second intermediate connecting part will be referred to as drawing number 320' hereinafter. In addition, the first insertion connecting part will be referred to as drawing number 340 and the second insertion connecting part will be referred to as drawing number 340'.

제1 모듈본체(310)는, 그 길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양단을 관통하는 제1 중간중공부 및 이와 이격 배치되는 제2 중간중공부가 형성된 하우징일 수 있다. The first module body (310) may be a housing in which a first intermediate hollow portion extending through both 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Y-axis direction) and a second intermediate hollow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ntermediate hollow portion are formed.

제1 중간연결부(320)는 제1 연결와이어(101, 102, 103, 104)를 매개로 하여, 조작모듈(H)과 삽입단연결부(34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1 중간연결부(320)는 제1 중간연결본체(311, 312, 313, 314)와, 제1 연결단부(E1, E2, E3, E4)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intermediate connecting part (320) can connect the operating module (H) and the insertion connecting part (340) via the first connecting wire (101, 102, 103, 104). At this time, the first intermediate connecting part (320) can be equipped with a first intermediate connecting body (311, 312, 313, 314) and a first connecting end (E1, E2, E3, E4).

제1 중간연결본체(311, 312, 313, 314)는 일 예로, 세장형 원기둥 형태를 갖는 바(bar)로 형성되어, 제1 중간중공부 내로 관통 삽입될 수 있다. The first intermediate connecting body (311, 312, 313, 314) is formed as a bar having an elongated cylindrical shape, for example, and can be inserted through the first intermediate hollow portion.

제1 연결단부(E1, E2, E3, E4)는, 제1 걸림부재(331, 332, 333, 334)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end (E1, E2, E3, E4) can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rst engaging member (331, 332, 333, 334).

제1 연결단부(E1, E2, E3, E4)는 제1 삽입홈(321, 322, 323, 324)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삽입홈(321, 322, 323, 324)은 제1 연결단부(E1, E2, E3, E4)로부터, 길이방향 내측(예컨대, -Y축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삽입홈(321, 322, 323, 324)에는, 제1 연결단부(E1, E2, E3, E4)의 측면을 관통하는 관통부(N)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end portion (E1, E2, E3, E4)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insertion groove (321, 322, 323, 324). The first insertion groove (321, 322, 323, 324) may be formed concavely inward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g., in the -Y-axis direction) from the first connecting end portion (E1, E2, E3, E4). At this time, a penetration portion (N) penetrating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end portion (E1, E2, E3, E4) may be formed in the first insertion groove (321, 322, 323, 324).

제1 착탈모듈(300a)과 제2 착탈모듈(300b)이 결합될 때, 제1 걸림부재(331, 332, 333, 334)가 제1 삽입홈(321, 322, 323, 324)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걸림부재(331, 332, 333, 334)는 삽입된 상태로 길이방향(Y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후방(-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걸림부재(331, 332, 333, 334)의 일 측단부(후술할 '걸림돌기부')가 관통부(N)에 걸림 고정되어, 제1 걸림부재(331, 332, 333, 334)와 제1 연결단부(E1, E2, E3, E4)가 결합될 수 있다.When the first detachable module (300a) and the second detachable module (300b) are combined, the first engaging member (331, 332, 333, 334)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321, 322, 323, 324).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engaging member (331, 332, 333, 334) can move rearward (in the -Y-axis direction) while rotating arou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Y-axis direction) while being inserted. In this case, one end portion (a 'catching projection portion' to be described later) of the first catching member (331, 332, 333, 334) is caught and fixed in the penetration portion (N), so that the first catching member (331, 332, 333, 334) and the first connecting end portion (E1, E2, E3, E4) can be connected.

제1 연결단부(E1, E2, E3, E4)는 제1 중간연결본체(311, 312, 313, 314)의 일단에 배치되어, 삽입유닛(200)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중간연결본체(311, 312, 313, 314)의 타단은 제1 연결와이어(101, 102, 103, 104)의 일단과 연결되며, 제1 연결와이어(101, 102, 103, 104)의 타단은 제1 조작부(H10) 또는 제2 조작부(H20)와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end (E1, E2, E3, E4) may be arranged at one end of the first intermediate connecting body (311, 312, 313, 314) so as to face the insertion unit (200). 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first intermediate connecting body (311, 312, 313, 314)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wire (101, 102, 103, 104),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wire (101, 102, 103, 104)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operating unit (H10) or the second operating unit (H20).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제1 조작부(H10) 또는 제2 조작부(H20) 조작에 의해, 제1 연결와이어(101, 102, 103, 104)가 길이방향(Y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직선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결와이어(101, 102, 103, 104)에 연결된 제1 중간연결본체(311, 312, 313, 314)가 동일한 방향으로 왕복 직선운동할 수 있다.In this case, by the user's manipulation of the first operating unit (H10) or the second operating unit (H20), the first connecting wire (101, 102, 103, 104) can reciprocate linearly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Y-axis direction). Accordingly, the first intermediate connecting body (311, 312, 313, 314)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wire (101, 102, 103, 104) can reciprocate linearly in the same direction.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걸림부재(331, 332, 333, 334)가 제1 연결단부(E1, E2, E3, E4)에 걸림 고정됨으로써, 제1 중간연결부(320)와 제1 삽입단연결부(340)는 서로 결합되어, 조작모듈(H)의 조작에 의해 일체로 동작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engaging member (331, 332, 333, 334) is engaged and fixed to the first connecting end (E1, E2, E3, E4), so that the first intermediate connecting part (320) and the first inserting end connecting part (34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can operate as one unit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module (H).

제2 중간연결부(320')는 중간연결부재(105)를 매개로 하여, 조작모듈(H)과 가력모듈(400)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2 중간연결부(320')는 제2 중간연결본체(315)와, 제2 연결단부(E5)를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intermediate connecting part (320') can connect the operating module (H) and the force module (400) via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105). At this time, the second intermediate connecting part (320') can be equipped with a second intermediate connecting body (315) and a second connecting end (E5).

제2 중간연결본체(315)는 제2 중간중공부 내로 관통 삽입될 수 있다. 제2 연결단부(E5)는, 제1 착탈모듈(300a)과 제2 착탈모듈(300b)이 결합될 때, 제2 걸림부재(335)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intermediate connecting body (315)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intermediate hollow section. The second connecting end (E5) can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econd engaging member (335) when the first detachable module (300a) and the second detachable module (300b) are coupled.

제2 연결단부(E5)는 제2 중간연결본체(315)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중간연결본체(315)의 타단에는 중간연결부재(10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중간연결부재(105)는, 리프팅 유닛을 매개로 하여 제3 조작부(H30)에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ng end (E5) may be arranged at one end of the second intermediate connecting body (315). At this time, an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105)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intermediate connecting body (315). At this time,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105)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operating unit (H30) via a lifting unit.

중간연결부재(105)는 도면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중간연결본체(315)로부터, 길이방향(Y축 방향)과 평행하게 후방(-Y축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중간연결부재(105)의 후단에는 리프팅 유닛의 선형이동축과 걸림 결합되기 위한, 걸림용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중간연결부재(105)가 선형이동축의 선단에 구비된 걸림홈(미도시) 내로 삽입된 후 걸림용 돌출부가 걸림홈 내에서 걸림 고정가 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중간연결부재(105) 및 제2 중간연결본체(315)가 리프팅 유닛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로서 중간연결부재(105)는 연결와이어(미도시)를 매개로 하여 선형이동축과 연결될 수도 있다.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105) may be formed to protrude rearward (in the -Y-axis direction)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Y-axis direction) from the second intermediate connecting body (315), as exemplarily illustrated in the drawing. At this time, a hooking protrusion may b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105) to be hooked and connected with the linear moving shaft of the lifting unit. In this case, after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105) is inserted into a hooking groove (not shown)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linear moving shaft, the hooking protrusion may be hooked and fixed within the hooking groove. Thereby,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105) and the second intermediate connecting body (315) may be coupled to the lifting unit.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s another embodiment,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105) may be connected to the linear moving shaft via a connecting wire (not shown).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제3 조작부(H30)를 조작방향으로 조작함에 따라, 유압공급부에서 공급한 유압에 의해 선형이동축 및 이에 연결된 중간연결부재(105)가 가력방향(-Y축 방향)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2 중간연결본체(315) 및 제2 연결단부(E5)가 가력방향(-Y축 방향)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operates the third operating unit (H30) in the operating direction, the linear movement shaft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105) connected thereto can move linearly in the direction of application (-Y-axis direction) by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from the hydraulic supply unit. At the same time, the second intermediate connecting body (315) and the second connecting end (E5) can move linearly in the direction of application (-Y-axis direction).

제1 중간연결부(320)는 두 쌍의 제1 중간연결본체(311, 312, 313, 3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응되도록, 제1 모듈본체(310)에는 제1 중간중공부가 두 쌍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두 쌍의 제1 중간중공부 내로, 제1 중간연결본체(311, 312, 313, 314)가 각각 한 개씩 관통 삽입될 수 있다.The first intermediate connecting portion (320) may include two pairs of first intermediate connecting bodies (311, 312, 313, 314). Correspondingly, two pairs of first intermediate hollow portions may be formed in the first module body (310). In this case, one first intermediate connecting body (311, 312, 313, 314) may be inserted into each of the two pairs of first intermediate hollow portions.

제1 중간연결본체(311, 312, 313, 314)는, 제1 모듈본체(310) 내에서, 폭 방향(X축 방향) 및/또는 높이 방향(Z축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제1 중간연결본체(311, 312)는 제1 모듈본체(310) 내부의 상측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다른 한 쌍의 제1 중간연결본체(313, 314)는 제1 모듈본체(310) 내부의 하측에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intermediate connecting bodies (311, 312, 313, 314) may b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X-axis direction) and/or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within the first module body (310). More specifically, a pair of first intermediate connecting bodies (311, 312) may b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on the upper side within the first module body (310), and the other pair of first intermediate connecting bodies (313, 314) may b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on the lower side within the first module body (310).

이러한 경우, 제2 중간중공부는 제1 중간연결본체(311, 312, 313, 314)에 의해 둘러싸여 획정된 '제1 모듈본체(310)의 내부공간'을 지나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2 중공부 내로 관통 삽입되는 제2 중간연결부(320')는, 제1 중간연결본체(311, 312, 313, 314)의 가운데에 위치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intermediate hollow portion may extend past the 'internal space of the first module body (310)' defined and surrounded by the first intermediate connecting body (311, 312, 313, 314). At this time, the second intermediate connecting portion (320') penetrated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hollow portion may b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intermediate connecting body (311, 312, 313, 314).

제1 및 제2 중간연결본체(311, 312, 313, 314, 315)의 연결단부들[즉 제1 및 제2 연결단부(E1, E2, E3, E4, E5)]는 제1 모듈본체(310)로부터 삽입유닛(200)을 향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단부(E1, E2, E3, E4)와 반대측에 배치된 제1 중간연결본체(311, 312, 313, 314)의 타단에는, 제1 연결와이어(101, 102, 103, 104)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중간연결본체(315)의 타단에는 전술한 중간연결부재(105)가 구비되어 리프팅 유닛과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ing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connecting bodies (311, 312, 313, 314, 315) (i.e.,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ends (E1, E2, E3, E4, E5)) may be arrang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first module body (310) toward the insertion unit (200). 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ing wires (101, 102, 103, 104)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other ends of the first intermediate connecting bodies (311, 312, 313, 314) arrang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first connecting ends (E1, E2, E3, E4). In addition,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105)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intermediate connecting body (315) so as to be connected to a lifting unit.

제2 착탈모듈(300b)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모듈본체(330)와, 제1 삽입단연결부(340)와, 제2 삽입단연결부(340')를 구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detachable module (300b) may be equipped with a second module body (330), a first insertion connection part (340), and a second insertion connection part (340').

제2 모듈본체(330)는, 그 길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양단을 관통하는 제1 삽입단중공부 및 이와 이격 배치되는 제2 삽입단중공부가 형성된 하우징일 수 있다.The second module body (330) may be a housing in which a first insertion end hollow portion extending through both 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Y-axis direction) and a second insertion end hollow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nsertion end hollow portion are formed.

제1 삽입단연결부(340)는 삽입유닛(200)의 삽입단부가 굴곡 운동하도록 제1 작동와이어(201, 202, 203, 204)를 매개로 하여, 사용자의 조작모듈(H) 조작에 의해 가해진 힘을 삽입단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1 삽입단연결부(340)는 제1 삽입단연결본체(341, 342, 343, 344)와, 제1 걸림부재(331, 332, 333, 334)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insertion connection part (340) can transmit the force applied by the user's manipulation of the operation module (H) to the insertion part via the first operating wire (201, 202, 203, 204) so that the insertion part of the insertion unit (200) can perform a bending movement. At this time, the first insertion connection part (340) can be equipped with a first insertion connection body (341, 342, 343, 344) and a first engaging member (331, 332, 333, 334).

제1 삽입단연결본체(341, 342, 343, 344)는 일 예로, 세장형 원기둥 형태를 갖는 바(bar)로서 형성되어, 제2 모듈본체(330)의 제1 삽입단중공부 내로 관통 삽입될 수 있다.The first insertion connection body (341, 342, 343, 344) is formed as a bar having an elongated cylindrical shape, for example, and can be inserted through the first insertion connection cavity of the second module body (330).

제1 삽입단연결본체(341, 342, 343, 344)는 일 표면에 렉기어(rack gear)가 형성된 '렉기어부(L)'를 구비할 수 있다. 렉기어부(L)는, 제1 삽입단연결본체(341, 342, 343, 344)의 표면들 중 제2 모듈본체(330)의 중심을 향하는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렉기어부(L)는, 제1 삽입단연결본체(341, 342, 343, 344)의 길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The first insertion-connected body (341, 342, 343, 344) may be provided with a 'rack gear portion (L)' having a rack gear formed on one surface. The rack gear portion (L) may be arranged on a surface of the first insertion-connected body (341, 342, 343, 344) facing the center of the second module body (330). In addition, the rack gear portion (L) may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first insertion-connected body (341, 342, 343, 344).

제1 걸림부재(331, 332, 333, 334)는, 제1 연결단부(E1, E2, E3, E4)의 제1 삽입홈(321, 322, 323, 324) 내로 삽입되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engaging member (331, 332, 333, 334) can be detachably connect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321, 322, 323, 324) of the first connecting end (E1, E2, E3, E4).

제1 걸림부재(331, 332, 333, 334)는 제1 삽입단연결본체(341, 342, 343, 344)의 일단에 배치되어, 제1 착탈모듈(300a)과 결합 시, 조작유닛(100)과 마주볼 수 수 있다. 이때, 제1 삽입단연결본체(341, 342, 343, 344)의 타단에는 제1작동와이어(201, 202, 203, 204)의 일단이 연결되며, 제1 작동와이어(201, 202, 203, 204)의 타단은 삽입단부의 내측에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engaging member (331, 332, 333, 334) is arranged at one end of the first insertion-end connecting body (341, 342, 343, 344) so that it can face the operating unit (100) when combined with the first detachable module (300a). At this time, one end of the first operating wire (201, 202, 203, 204)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insertion-end connecting body (341, 342, 343, 344),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operating wire (201, 202, 203, 204) can b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insertion end.

이때, 제1 걸림부재(331, 332, 333, 334)는 제1 삽입홈(321, 322, 323, 324)의 길이방향 내측으로 오목한 깊이와 유사한 돌출길이, 바람직하게는 더 짧은 돌출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걸림부재(331, 332, 333, 334)가 제1 삽입홈(321, 322, 323, 324) 내에 삽입 시, 제1 걸림부재(331, 332, 333, 334)와 제1 삽입홈(321, 322, 323, 324) 사이에 소정의 유격이 존재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engaging member (331, 332, 333, 334) may be formed with a protrusion length similar to the concave dep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insertion groove (321, 322, 323, 324), preferably with a shorter protrusion length. Accordingly, when the first engaging member (331, 332, 333, 334)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321, 322, 323, 324), a predetermined gap may exist between the first engaging member (331, 332, 333, 334) and the first insertion groove (321, 322, 323, 324).

제2 삽입단연결부(340')는 가력모듈(400)이 회동 작동하도록, 제2 작동와이어(205)를 매개로 하여 사용자의 제3 조작부(H30) 조작에 의해 가해진 힘을 가력모듈(4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2 삽입단연결부(340')는 제2 삽입단연결본체(345)와, 만곡형 연결부재(346)와, 제2 걸림부재(335)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insertion connection part (340') can transmit the force applied by the user's third operating part (H30) to the force module (400) via the second operating wire (205) so that the force module (400) can rotate. At this time, the second insertion connection part (340') can include a second insertion connection body (345), a curved connecting member (346), and a second engaging member (335).

제2 삽입단연결본체(345)는, 제1 삽입단중공부와 이격된 제2 삽입단중공부 내로 관통 삽입될 수 있다.The second insertion unit connecting body (345) can be inserted through a penetration into the second insertion unit hollow spac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nsertion unit hollow space.

만곡형 연결부재(346)는 내부에 작동와이어(205)가 수용되기 위한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만곡형 연결부재(346)는 제2 삽입단연결본체(345)과 가력모듈(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작동와이어(205)는 만곡형 연결부재(346) 내부의 중공부를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제2 삽입단연결본체(345)로부터 가력모듈(40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작동와이어(205)의 일단은 제2 삽입단연결본체(345)와 연결되고, 작동와이어(205)의 타단은 가력모듈(4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curved connecting member (346) may have a hollow portion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the operating wire (205). At this time, the curved connecting member (346) may be arranged between the second insertion-end connecting body (345) and the force module (400). In this case, the operating wire (205) may be arranged to pass through the hollow portion inside the curved connecting member (346) and may extend from the second insertion-end connecting body (345) toward the force module (400). At this time, one end of the operating wire (205)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insertion-end connecting body (345), and the other end of the operating wire (205) may be connected to the force module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만곡형 연결부재(346)는 제2 삽입단연결부(340')의 길이방향(Y축 방향)에 대해 만곡된 만곡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만곡부를 통해, 만곡형 연결부재(346)의 내부 중공부 내부에 배치된 작동와이어(205)의 굽힘 방향, 굽힘 정도 등 배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The curved connecting member (346) may have a curved portion that is curv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second insertion connecting member (340'). Through this curved portion, the bending direction, bending degree, and other arrangement states of the operating wire (205) arranged inside the inner hollow portion of the curved connecting member (346) can be adjusted.

구체적으로, 제2 작동와이어(205)는 그 일단이 제2 삽입단연결본체(345)에 연결된 상태로, 타단이 삽입단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2 작동와이어(205)의 상기한 일단과 타단 사이의 일부가, 만곡형 연결부재(346)를 따라 만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작동와이어(205)의 전체 길이 중에서, 만곡형 연결부재(346)를 지나 연장되는 길이부가 삽입유닛(200)의 내부에서, 길이방향(Y축 방향)으로 삽입유닛(200)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삽입단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operating wire (205)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insertion connection body (345) and the other end extended toward the insertion end. At this time, a portion between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operating wire (205) may be extended while being curved along the curved connecting member (346). Accordingly, among the entire length of the second operating wire (205), a length portion extending past the curved connecting member (346) may be arranged to extend toward the insertion end so as to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insertion unit (2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axis direction) within the insertion unit (200).

또한, 만곡형 연결부재(346)를 통해 제2 모듈본체(330) 내부의 제한된 공간 내에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제1 삽입단연결부(340)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제2 삽입단연결부(340')를 배치할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insertion connection part (340') can be positioned so as not to affect the first insertion connection part (340)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within a limited space inside the second module body (330) through the curved connection part (346), thereby improving space utilization.

제2 걸림부재(33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연결단부(E5)의 제2 삽입홈(325) 내로 삽입되어,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걸림부재(335)는, 제2 삽입단연결본체(345)의 양 단부 중 만곡형 연결부재(346)의 반대측 단부에서, 길이방향 외측(-Y축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삽입단연결본체(345)의 타단에는 작동와이어(205)의 일단이 연결되고, 제2 작동와이어(205)의 타단은 가력모듈(400)과 연결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catch member (335)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325) of the second connecting end (E5) and can be detachably coupled. The second catch member (335) can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axis direction) at an end opposite to the curved connecting member (346) among the two ends of the second insertion connecting body (345). At this time, one end of the operating wire (205) can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insertion connecting body (345),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operating wire (205) can be connected to the force module (400).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제3 조작부(H30)를 조작방향으로 조작함에 따라, 유압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유압에 의해 선형이동축 및 이에 연결된 중간연결부재(105)및 제2 중간연결본체(315)가 가력방향(-Y축 방향)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the user operates the third operating unit (H30) in the operating direction, the linear movement shaft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105) and the second intermediate connecting body (315) connected thereto can move linearly in the direction of application (-Y-axis direction) by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by the hydraulic supply unit.

이때, 제2 연결단부(E5)가 제2 걸림부재(335)와 걸림 고정됨으로써 제2 중간연결부(320')와 제2 삽입단연결부(340')는 서로 결합되어, 조작모듈(H)의 조작에 의해 일체로 동작할 수 있다. 제2 중간연결부(320')의 구체적인 특징 및 제2 삽입단연결부(340')와 결합 방식 및 결합 후 작동 방식은, 전술한 제1 중간연결부(320)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second connecting end (E5) is fixedly engaged with the second engaging member (335), so that the second intermediate connecting end (320') and the second insertion connecting end (34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can operate as one unit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module (H). The specific features of the second intermediate connecting end (320') and the method of coupling with the second insertion connecting end (340') and the method of operation after coupling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ose of the first intermediate connecting end (320) described above, so that a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삽입단연결부(340)는 두 쌍의 제1 삽입단연결본체(341, 342, 343, 3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응되도록, 제2 모듈본체(330)에는 제1 삽입단중공부가 두 쌍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두 쌍의 제1 삽입단중공부 내로, 제1 삽입단연결본체(341, 342, 343, 344)가 각각 한 개씩 관통 삽입될 수 있다.The first insertion connection part (340) may include two pairs of first insertion connection bodies (341, 342, 343, 344). Correspondingly, two pairs of first insertion hollow sections may be formed in the second module body (330). In this case, one first insertion connection body (341, 342, 343, 344) may be inserted through each of the two pairs of first insertion hollow sections.

제1 삽입단연결본체(341, 342, 343, 344)는 제2 모듈본체(330) 내에서, 폭 방향(X축 방향) 및/또는 높이 방향(Z축 방향)으로 서로 대칭 배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제1 삽입단연결본체(341, 342)는 제2 모듈본체(330) 내부의 상측에 한 쌍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한 쌍의 제1 삽입단연결본체(341, 342)에 구비된 렉기어부(L)들이 서로 마주볼 수 있다. 그리고, 다른 한 쌍의 제1 삽입단연결본체(343, 344)는 제2 모듈본체(330) 내부의 하측에 한 쌍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한 쌍의 제1 삽입단연결본체(343, 344)에 구비된 렉기어부(L)들이 서로 마주볼 수 있다.The first insertion-end connecting bodies (341, 342, 343, 344) can b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X-axis direction) and/or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within the second module body (330). More specifically, a pair of first insertion-end connecting bodies (341, 342) are arranged side by side as a pair on the upper side within the second module body (330), so that the rack gear parts (L) provided in the pair of first insertion-end connecting bodies (341, 342) can face each other. In addition, another pair of first insertion-end connecting bodies (343, 344) are arranged side by side as a pair on the lower side within the second module body (330), so that the rack gear parts (L) provided in the pair of first insertion-end connecting bodies (343, 344) can face each other.

이때, 제2 삽입단연결부(3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모듈본체(330)의 내부공간에서, 두 쌍의 제1 삽입단연결본체(341, 342, 343, 344)에 의해 둘러싸여 획정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삽입단연결본체(345)는 두 쌍의 제14 삽입단연결본체(341, 342, 343, 344)의 가운데에 위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insertion connection part (340') may be arranged in an area defined by surrounding two pairs of first insertion connection bodies (341, 342, 343, 344)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second module body (330)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second insertion connection body (345) may be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e two pairs of 14th insertion connection bodies (341, 342, 343, 344).

제2 모듈본체(330)는 피니언 기어 유닛(pinion gear unit)(P)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피니언 기어 유닛(P)은 제1 피니언 기어(P10)와, 제2 피니언 기어(P20)를 포함할 수 있다(도 4 및 도 5 참조).The second module body (330) may be equipped with a pinion gear unit (P). At this time, the pinion gear unit (P) may include a first pinion gear (P10) and a second pinion gear (P20) (see FIGS. 4 and 5).

제1 피니언 기어(P10)는, 제1-1 삽입단연결본체(341)와 제1-2 삽입단연결본체(342) 사이에 배치되어, 제1-1 삽입단연결본체(341)의 제1 렉기어부(L) 및 제1-2 삽입단연결본체(342)의 제2 렉기어부(L)와 동시에 맞물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맞물림 결합 상태로, 제1 피니언 기어(P10)는 사용자의 조작모듈(H) 조작에 따라, 길이방향(Y축 방향)에 수직한 제1 중심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first pinion gear (P10) is arranged between the first-first insertion-connection body (341) and the first-second insertion-connection body (342), and can be simultaneously meshed with the first rack gear portion (L) of the first-first insertion-connection body (341) and the second rack gear portion (L) of the first-second insertion-connection body (342). In this meshed state, the first pinion gear (P10) can rotate around the first central axis portion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Y-axis direction)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of the operation module (H).

제2 피니언 기어(P20)는, 제1-3 삽입단연결본체(343)와 제1-4 삽입단연결본체(344) 사이에 배치되어, 제1-3 삽입단연결본체(343)의 제3 렉기어부(L) 및 제1-4 삽입단연결본체(344)의 제4 렉기어부(L)와 동시에 맞물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맞물림 결합 상태로, 제2 피니언 기어(P20)는 사용자의 조작모듈(H) 조작에 따라, 길이방향(Y축 방향)에 수직한 제2 중심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second pinion gear (P20) is arranged between the 1-3 insertion-connection body (343) and the 1-4 insertion-connection body (344), and can be simultaneously meshed with the third rack gear portion (L) of the 1-3 insertion-connection body (343) and the fourth rack gear portion (L) of the 1-4 insertion-connection body (344). In this meshed state, the second pinion gear (P20) can rotate around the second central axis portion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Y-axis direction)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of the operation module (H).

제2 중심축부는, 제1 중심축부와 동일선상에 배치되지만, 서로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피니언 기어(P10)와, 제2 피니언 기어(P20)는 제1 중심축부 또는 제2 중심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안, 서로의 회전 운동을 간섭(또는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The second central axis portion may be arranged on the same line as the first central axis portion, but may be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independently rotatable. Accordingly, the first pinion gear (P10) and the second pinion gear (P20) may not interfere with (or hinder) each other's rotational motion while rotating around the first central axis portion or the second central axis portion.

상술한 경우, 제2 모듈본체(330)는, 제1 삽입단연결본체(341, 342, 343, 344)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공간의 가운데를 지나, 길이방향(Y축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가이드 홀(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홀'은 제1 피니언 기어(P10)와 제2 피니언 기어(P20) 사이에 배치되며, 이때 제2 삽입단연결본체(345)는 가이드 홀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어 길이방향(Y축)과 평행하게 왕복 직선운동할 수 있다. 이처럼, 가이드 홀이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제1 피니언 기어(P10)와, 제2 피니언 기어(P20) 사이를 지나 연장됨으로써, 피니언 기어들(P10, P2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In the case described above, the second module body (330)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hole (not shown) formed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axis direction) through the center of the internal space surrounded by the first insertion-connection bodies (341, 342, 343, 344). This 'guide hole' is arranged between the first pinion gear (P10) and the second pinion gear (P20), and at this time, the second insertion-connection body (345) is inserted and arranged inside the guide hole so as to reciprocate linearly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Y-axis). In this way, since the guide hole extends between the first pinion gear (P10) and the second pinion gear (P20) that rotat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e rotation of the pinion gears (P10, P20) may not be impeded.

제2 모듈본체(330)는 그 상면 및 하면에, 길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형 가이드슬릿(G)을 구비할 수 있다. 직선형 가이드슬릿(G)은 제2 모듈본체(330)의 상면에 제1-1 삽입단연결본체(341) 및 제1-2 삽입단연결본체(342)와 각각 마주보도록 한 쌍 구비된 '상면 직선형 가이드슬릿'과, 제2 모듈본체(330)의 하면에 제1-3 삽입단연결본체(343) 및 제1-4 삽입단연결본체(344)와 각각 마주보도록 한 쌍 구비된 '하면 직선형 가이드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module body (330) may be provided with a straight guide slit (G)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Y-axis direction) on its upper and lower surfaces. The straight guide slit (G) may include a pair of 'upper surface straight guide slit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module body (330) to face the first-first insertion-connection body (341) and the first-second insertion-connection body (342), respectively, and a pair of 'lower surface straight guide slit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module body (330) to face the first-third insertion-connection body (343) and the first-fourth insertion-connection body (344), respectively.

이때, 제1-1 삽입단연결본체(341) 및 제1-2 삽입단연결본체(342)는 각각 상측을 향해 연장되어, 상면 직선형 가이드슬릿(G)에 삽입되는 '상면 가이드 돌출부재(I)'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3 삽입단연결본체(343) 및 제1-4 삽입단연결본체(344)는 각각 하측을 향해 연장되어, 하면 직선형 가이드슬릿(G)에 삽입되는 '하면 가이드 돌출부재(I)'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 가이드 돌출부재(I)는 대응되는 직선형 가이드슬릿(G)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제1 삽입단연결본체(341, 342, 343, 344)의 왕복 직선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first insertion-connection body (341) and the first-second insertion-connection body (342) may each be provided with an 'upper-surface guide protrusion member (I)' that extends upward and is inserted into an upper-surface linear guide slit (G). In addition, the first-third insertion-connection body (343) and the first-fourth insertion-connection body (344) may each be provided with a 'lower-surface guide protrusion member (I)' that extends downward and is inserted into a lower-surface linear guide slit (G). In this case, each guide protrusion member (I) can guide the reciprocating linear motion of the first insertion-connection body (341, 342, 343, 344) by moving along the corresponding linear guide slit (G).

제1 삽입단연결본체(341, 342, 343, 344) 각각의 일단에는 제1 걸림부재(331, 332, 333, 334)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삽입단연결본체(341, 342, 343, 344) 각각의 타단에는 제1 작동와이어(201, 202, 203, 204)가 연결될 수 있다.A first engaging member (331, 332, 333, 334)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insertion connecting bodies (341, 342, 343, 344). In addition, a first operating wire (201, 202, 203, 204)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first insertion connecting bodies (341, 342, 343, 344).

내시경 시술 시, 시술도구는 삽입유닛(200)에 구비된 출입구(510)를 통해 삽입유닛(200) 내로 삽입되어 내부통로부(U1)를 지나 삽입단부를 통과하여 환자 신체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During an endoscopic procedure, the surgical tool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unit (200) through the entrance (510) provided in the insertion unit (200), pass through the internal passage (U1), and enter the patient's body through the insertion end.

이때, 삽입유닛(200)의 삽입단부에는 가력모듈(400)이 배치될 수 있다. 가력모듈(400)은 삽입단부를 통해 인출되는 시술도구를 가력하여, 시술도구의 선단이 시술대상부를 향하도록 벤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t this time, a force module (400) may be placed at the insertion end of the insertion unit (200). The force module (400) may apply force to a surgical tool pulled out through the insertion end to bend the tip of the surgical tool so that it faces the surgical target, and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내시경에 구비된 가력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내시경에 구비된 커버 및 커버가 분리된 가력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분리된 가력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의 (a)는 Ⅱ-Ⅱ'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력모듈의 조립 과정 중 일부 단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력모듈의 조립 과정 중 다른 일부 단계를 도시한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rce module equipped in a detachable endosc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ver and a force module with the cover separated, equipped in a detachable endosc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rce module with the cover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of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viewed from the direction Ⅱ-Ⅱ'. FIG. 9 illustrates some steps during the assembly process of a forc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llustrates other steps during the assembly process of a forc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가력모듈(400)은 모듈본체(400a)와, 커버부(40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모듈본체(400a)는 바디(410)와, 가력부(420)와, 제1 연결관(411)과, 제2 연결관(412)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6 to 10, the force module (400) may include a module body (400a) and a cover part (400b). At this time, the module body (400a) may include a body (410), a force part (420), a first connecting pipe (411), and a second connecting pipe (412).

바디(410)는 가력모듈(400)의 다른 구성들이 배치되는 부분으로, 전술한 삽입유닛(200)의 삽입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The body (410) is a part where other components of the force module (400) are placed, and can be connected to the insertion end of the insertion unit (200) described above.

바디(410)는 길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삽입유닛(200)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선단부(Ea)'와, 삽입유닛(200)의 내측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후단부(E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디(410)는 선단부(Ea)와 후단부(Eb) 사이에 배치되는 '돌출부(Eab)'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410) may include a 'leading end (Ea)' positioned so as to face the outside of the insertion unit (2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axis direction), and a 'rear end (Eb)'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insertion unit (200). In addition, the body (410) may further include a 'protruding end (Eab)' positioned between the leading end (Ea) and the rear end (Eb).

돌출부(Eab)는 선단부(Ea)와 후단부(Eb)를 분리하여 구획하는 경계(境界)부일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Eab)는 바디(410)의 외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바디(4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양단이 서로 만나는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sion (Eab) may be a boundary portion that separates and partitions the front end (Ea) and the rear end (Eb). This protrusion (Eab) may protrude radially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410) and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that extend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410) so that both ends meet each other.

바디(41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선단부(Ea)는 도 8의 Ⅱ-Ⅱ'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이 원(circle)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선단부(Ea)의 상기한 원형 단면의 직경(R)은 10.5 내지 14.5m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3.5mm일 수 있다.The body (410) may have at least a partially circular cross-section. As an example, the tip portion (Ea) may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when viewed in the direction Ⅱ-Ⅱ' of FIG. 8. At this time, the diameter (R) of the circular cross-section of the tip portion (Ea) may be 10.5 to 14.5 mm, and preferably 13.5 mm.

한편, 도면에서는 선단부(Ea)의 상기한 단면이 '원'의 일 부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선단부(Ea)의 상기한 단면은 완전한 원 형상일 수도 있다. 이때, 돌출부(Eab)는 위와 동일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 형상이, 선단부(Ea)보다 큰 직경의 원 형상일 수 있다. Meanwhile, in the drawing, the above-mentioned cross-section of the tip portion (Ea) is depicted as a shape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a 'circ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bove-mentioned cross-section of the tip portion (Ea) may be a complete circular shape. In this case, the protrusion portion (Eab) may have a circular shape with a larger diameter than the tip portion (Ea) when viewed from the same direction as above.

선단부(Ea)는 수용공간(A)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수용공간(A)은 선단부(Ea)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판부(A10)와 제2 판부(A20)에 의해 획정될 수 있다. The tip portion (Ea) may have an accommodation space (A). This accommodation space (A) may be defined by a first plate portion (A10) and a second plate portion (A20) that protrude outwardly from the tip portion (Ea).

일 실시예로서, 제1 판부(A10)는 선단부(Ea)의 일 측면에 배치되고, 길이방향 외측(Y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판부(A20)는 선단부(Ea)의 중심 또는 그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길이방향 외측(Y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제1 판부(A10)와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제1 판부(A10)와 제2 판부(A20)는 서로 나란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rst plate (A10) may be arranged on one side of the tip portion (Ea) and may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Y-axis direction). The second plate (A20) may be arranged at the center of the tip portion (Ea) or at a position adjacent thereto and may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Y-axis direction)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late (A10). At this time, the first plate (A10) and the second plate (A20) may be parallel to each other.

이러한 경우, 수용공간(A)은 제1 판부(A10)와 제2 판부(A20)에 의해 양측의 경계가 획정된 공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공간(A)은, 폭 방향(X축 방향)으로 양 측이 제1 판부(A10)와 제2 판부(A20)에 의해 폐쇄되는 반면, 높이방향(Z축 방향)으로 상·하측이 개방됨으로써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ceiving space (A) may be a space whose boundaries on both sides are defined by the first plate portion (A10) and the second plate portion (A20). Specifically, the receiving space (A) may be clos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X-axis direction) by the first plate portion (A10) and the second plate portion (A20), while the upper and lower sides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are open, thereby forming an open portion.

바디(410)는, 바디(410)의 양단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개의 관통홀(H)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개의 관통홀(H)은 후단부(Eb)에서, 길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돌출부(Eab)를 지나, 선단부(Ea)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관통홀(H)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body (41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H) formed by penetrating both ends of the body (410).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H)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rear end (Eb)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Y-axis direction) and pass through the protrusion (Eab) to the front end (Ea).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H) may b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일 실시예로서, 관통홀(H)은 세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세 개의 관통홀(H)을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관통홀(H1)과, 제2 관통홀(H2)과, 제3 관통홀(H3)이라 지징하기로 한다(도 8 참조). 이때, 제1 관통홀(H1)과, 제2 관통홀(H2)과, 제3 관통홀(H3)은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관통홀(H1)은 가장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As an example, three through holes (H) may be provided, an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se three through holes (H) are referred to as a first through hole (H1), a second through hole (H2), and a third through hole (H3) (see FIG. 8). At this time, the first through hole (H1), the second through hole (H2), and the third through hole (H3) may be formed with different diameters. For example, the first through hole (H1) may have the largest diameter.

제1 관통홀(H1)과, 제2 관통홀(H2)과, 제3 관통홀(H3)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관통홀(H1)은 길이방향(Y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수용공간(A)과 동일선상에 배치됨으로써 수용공간(A)과 연통될 수 있다.The first through hole (H1), the second through hole (H2), and the third through hole (H3) can b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the first through hole (H1) can be connected to the accommodation space (A) by being arranged on the same line as the accommodation space (A)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Y-axis direction).

일 실시예로서, 제1 관통홀(H1)은, 도면의 ZX 평면과 평행한 방향(즉, 도 8의 Ⅱ-Ⅱ' 방향)으로 바라볼 때, 바디(410)의 중심에서 일 측으로 편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관통홀(H1)은 도면을 기준으로, 바디(410)의 중심에 대해서, 좌측(X축 방향)으로 편향되거나, 또는 좌측(X축 방향)과 하측(-Z축 방향)으로 동시에 편항될 수 있다[도 8의 확대도(a) 참조]. As an example, the first through hole (H1) may be arranged to be biased to one side from the center of the body (410) when view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ZX plane of the drawing (i.e., the II-II' direction of FIG. 8). Specifically, the first through hole (H1) may be biased to the left (in the X-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dy (410) with respect to the drawing, or may be biased to the left (in the X-axis direction) and downward (in the -Z-axis direction) at the same time [see the enlarged view (a) of FIG. 8].

제2 관통홀(H2)과 제3 관통홀(H3)은, 제1 관통홀(H1)을 사이에 두고, 제1 관통홀(H1)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관통홀(H1)이 바디(410)의 중심에 대해, 좌측(X축 방향)과 하측(-Z축 방향)으로 편향 배치되는 경우, 제2 관통홀(H2)은 제1 관통홀(H1)보다 좌측(X축 방향) 및 상측(Z축 방향)으로 편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through hole (H2) and the third through hole (H3) may b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through hole (H1), with the first through hole (H1) interposed therebetwee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through hole (H1) is arranged to be biased to the left (in the X-axis direction) and downward (in the -Z-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dy (410), the second through hole (H2) may be arranged to be biased to the left (in the X-axis direction) and upward (in the Z-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through hole (H1).

또한, 제3 관통홀(H3)은 바디(410)의 중심에 대해, 우측(-X축) 및 상측(Z축 방향)으로 편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3 관통홀(H3)은 후술할 조명촬영부(430)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면의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제3 관통홀(H3)은 조명촬영부(430)에 구비된 이미지센서의 바로 위에 배치될 수 있다[도 8의 확대도(a) 및 도 10(b) 참조].In addition, the third through hole (H3) may be arranged to be biased to the right (-X axis) and upward (Z 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dy (410). At this time, the third through hole (H3) may be arrang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lighting photographing unit (430) to be described later. More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the up-down direction of the drawing, the third through hole (H3) may be arranged directly above the image sensor provided in the lighting photographing unit (430) [see enlarged view (a) of FIG. 8 and (b) of FIG. 10].

다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관통홀(H1)은 우측(-X축 방향) 및 상측(Z축 방향) 중 적어도 하나로 편항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관통홀(H2)과 제3 관통홀(H3)이 위에서 설명한 것과 반대 방향으로 편향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first through hole (H1) may be biased toward at least one of the right side (-X-axis direction) and the upper side (Z-axis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second through hole (H2) and the third through hole (H3) may be bias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at described above.

이처럼 제1, 제2 및 제3 관통홀(H1, H2, H3)이, 각각 바디(410)의 중심에 대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편향 배치됨에 따라, 이러한 관통홀들(H1, H2, H3) 사이사이에 후술할 가력부(420) 및 조명촬영부(430)가 배치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바디(410)는, 다수의 관통홀(H1, H2, H3), 가력부(420) 및 조명촬영부(430)가 모두 배치된 상태로, 전술한 바와 같은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바디(410)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 비해 단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삽입유닛(200)의 삽입단부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first, second, and third through-holes (H1, H2, H3) are arranged in different directions relative to the center of the body (410), a space can be secured between these through-holes (H1, H2, H3) for the loading unit (420) and the light-photography unit (430) to be described later to be arranged. Accordingly, the body (410) can be formed to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as described above, with all of the through-holes (H1, H2, H3), the loading unit (420), and the light-photography unit (430) arranged therein. In this case, the body (410) can minimize the size of the insertion end of the insertion unit (200) by reducing the cross-sectional area compared to when it is formed in an oval shape.

가력모듈(400)은 복수개의 연결관(411, 412, 4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연결관(411, 412, 413)은, 양단을 관통하는 중공부가 형성된 파이프(pipe) 형태일 수 있다.The force module (4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ng pipes (411, 412, 413). These plurality of connecting pipes (411, 412, 413) may be in the form of a pipe with a hollow portion formed through both ends.

일 실시예로서, 가력모듈(400)은 관통홀(H1, H2, H3)에 대응되도록, 3 개의 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3 개의 연결관을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연결관(411)과, 제2 연결관(412)과, 제3 연결관(413)으로 지칭하기로 한다.As an example, the force module (400) may include three connecting pipes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s (H1, H2, H3), an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se three connecting pipes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connecting pipe (411), a second connecting pipe (412), and a third connecting pipe (413).

제1 연결관(411)은 제1 관통홀(H1)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관(411)의 선단은 제1 관통홀(H1) 내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제1 연결관(411)의 후단은 가력모듈(400)이 결합된 삽입유닛(200) 내부를 향해 돌출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pipe (411) can be coupled to the first through hole (H1). Specifically, the front end of the first connecting pipe (411)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H1) and coupled, and the rea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pipe (411) can be positioned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inside of the insertion unit (200) to which the force module (400) is coupled.

제1 연결관(411)의 상기한 후단은 삽입유닛(200) 내부에 배치된 내부통로부(U1)가 연결될 수 있다. 내부통로부(U1)는 삽입유닛(200)에 구비된 출입구(510)와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내시경 시술에 이용되는 시술 장비가 출입구(510)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삽입유닛(200)에는 출입구(510)와 다른 위치(예컨대,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된 추가 출입구(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한 내부통로부(U1)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출입구를 통해, 흡입장치(미도시)의 흡입노즐(미도시)이 삽입될 수 있다. 이처럼 삽입된 시술 장비 및/또는 흡입노즐은, 내부통로부(U1) 및 이와 연통된 제1 연결관(411)을 통해 가력모듈(400)의 외부로 인출되어, 내시경 시술을 수행하거나, 시술 과정에서 발생된 오염물질(예컨대, 피)을 흡입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rea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tube (411) can be connected to an internal passage (U1) arranged inside the insertion unit (200). The internal passage (U1) can be communicated with an entrance (510) provided in the insertion unit (200). In this case, a surgical device used for an endoscopic procedure can be inserted through the entrance (510). In addition, the insertion unit (200) can be provided with an additional entrance (not shown) arranged at a different position (for example, an opposite position) from the entrance (510) and can be connected to the above-mentioned internal passage (U1). A suction nozzle (not shown) of a suction device (not shown) can be inserted through this additional entrance. The inserted surgical device and/or suction nozzle can be pulled out of the force module (400) through the internal passage (U1) and the first connecting pipe (411) connected thereto to perform an endoscopic procedure or to suction and discharge contaminants (e.g., blood) generated during the procedure.

제2 연결관(412)은 제2 관통홀(H2)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연결관(412)은 후술할 중간연결부재연결통로부(U2)를 매개로 하여, 만곡형 연결부재(346)와 연통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ng pipe (412)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through hole (H2). The second connecting pipe (412) can communicate with the curved connecting member (346) via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passage (U2) described later.

제2 연결관(412)은 도 9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412a)와, 연결부(412b)와, 중간돌출부(412c)를 구비할 수 있다. 삽입부(412a)는 제2 관통홀(H2)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일 수 있다. 연결부(412b)는 삽입부(412a)의 반대측 단부로서, 제2 관통홀(H2) 외부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ing tube (412) may have an insertion portion (412a), a connection portion (412b), and an intermediate protrusion portion (412c), as exemplarily illustrated in FIG. 9. The insertion portion (412a) may be a portion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H2). The connection portion (412b) may be positioned as an end por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portion (412a) and protruding outward from the second through hole (H2).

연결부(412b)와 삽입부(412a) 사이에는 중간돌출부(412c)가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Eab)는 제2 연결관(412)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2 관통홀(H2) 내로의 삽입부(412a)의 삽입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Eab)에 의해 삽입부(412a)와 연결부(412b)가 구획될 수 있다.An intermediate protrusion (412c)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412b) and the insertion portion (412a). The protrusion (Eab) is formed to protrude radially outwardly from the second connecting tube (412), thereby determining the insertion length of the insertion portion (412a)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H2). The insertion portion (412a) and the connecting portion (412b) may be partitioned by this protrusion (Eab).

연결부(412b)에는 연결통로부(U2)가 연결될 수 있다. 연결통로부(U2)는 내부에 중공부가 마련된 파이프 형태로 구비되어, 제2 연결관(412) 내부의 중공부와 연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연결관(412)의 일단[즉, 삽입부(412a)]은 제2 관통홀(H2) 내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결관(412)의 타단[즉, 연결부(412b)]에는 연결통로부(U2)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통로부(U2)는 가력모듈(400)이 결합된 삽입유닛(200) 내부를 통해 후방(-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전술한 만곡형 연결부재(346)와 연결될 수 있다. A connecting passage (U2)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412b). The connecting passage (U2)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ipe having a hollow portion insid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hollow portion inside the second connecting pipe (412). Specifically,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pipe (412) [i.e., the insertion portion (412a)] may be inserted into and joined to the second through hole (H2). In addition, a connecting passage (U2) may be join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pipe (412) [i.e., the connecting portion (412b)]. This connecting passage (U2) may extend rearward (in the -Y-axis direction) through the inside of the insertion unit (200) to which the force module (400) is joined,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urved connecting member (346) described above.

이때, 제2 연결관(412) 내부의 중공부는, 연결통로부(U2) 내부의 중공부를 통해, 만곡형 연결부재(346) 내부의 중공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만곡형 연결부재(346)를 통과한 제2 작동와이어(205)는, 연결통로부(U2) 내부를 지나, 제2 연결관(412) 내부로 삽입된 후 가력모듈(400)을 향해 연장됨으로써, 가력부(420)와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ollow portion inside the second connecting pipe (412) can be connected to the hollow portion inside the curved connecting member (346) through the hollow portion inside the connecting passage (U2). Accordingly, the second operating wire (205) passing through the curved connecting member (346) can be connected to the applying member (420) by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passage (U2),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ng pipe (412), and then extending toward the applying module (400).

제3 연결관(413)은 제3 관통홀(H3)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연결관(413)은 제3 관통홀(H3)을 관통하도록 삽입되며, 이에 따라 제3 연결관(413)의 선단은 선단부(Ea) 외측으로 돌출되고, 제3 연결관(413)의 후단은 후단부(Eb)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The third connecting pipe (413) can be connected to the third through hole (H3). Specifically, the third connecting pipe (413) is inserted so as to penetrate the third through hole (H3), and accordingly, the front end of the third connecting pipe (413) can be arranged to protrude outwardly from the front end (Ea), and the rear end of the third connecting pipe (413) can be arranged to protrude outwardly from the rear end (Eb).

제3 연결관(413)의 상기한 후단은 삽입유닛(200) 내부를 통과하도록 배치된 '유체통로부(U3)'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유체통로부(U3)는 일 예로, 삽입유닛(200)의 내부에서 내부통로부(U1)와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유체통로부(U3)는 내부통로부(U1)와 동일한 구성을 의미할 수도 있다.The aforementioned rear end of the third connecting pipe (413) may be connected to a 'fluid passage part (U3)' arranged to pass through the interior of the insertion unit (200). At this time, the fluid passage part (U3)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nal passage part (U1) within the interior of the insertion unit (200), for example. As another example, the fluid passage part (U3) may mea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internal passage part (U1).

공급장치(미도시)의 주입노즐은, 출입구(510)를 통해 삽입된 후 유체통로부(U3)를 지나 제3 연결관(413)과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시경 시술이 완료된 후 세척 작업 수행 시, 공급장치에서 공급된 물 또는 공기를, 제3 연결관(413)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관통홀(H3)이 조명촬영부(430)의 이미지센서 바로 위에 배치됨으로써, 제3 연결관(413)을 통해 배출되는 물 또는 공기에 의해 이미지센서가 세척될 수 있다.The injection nozzle of the supply device (not shown) can be inserted through the inlet (510) and then communicated with the third connecting pipe (413) through the fluid passage (U3). Accordingly, when performing a cleaning operation after the endoscopic procedure is completed, the water or air supplied from the supply device can be moved to the third connecting pipe (413).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hird through hole (H3) is arranged directly above the image sensor of the light photographing unit (430), the image sensor can be cleaned by the water or air discharged through the third connecting pipe (413).

가력부(420)는 바디(410)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가력부(420)는 바디(410)의 수용공간(A) 내에 배치되어, 제1 판부(A10)와 제2 판부(A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가력부(420)는 가력홈(CH)을 구비할 수 있다.The loading member (420) may be rotatably arranged in the body (410). As an example, the loading member (420) may be arranged in the receiving space (A) of the body (410) and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plate (A10) and the second plate (A20). At this time, the loading member (420) may be provided with a loading groove (CH).

가력홈(CH)은 가력부(420)의 상면에서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력부(420)의 상면은, 도면을 기준으로 상측을 바라보는 가력부(420)의 일 표면일 수 있다. 이때, 가력홈(CH)은 가력부(4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가력부(42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The loading groove (CH) may be formed to be concave toward the insid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portion (420). 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portion (420) may be a surface of the loading portion (420) that faces upward based on the drawing. At this time, the loading groove (CH) may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ading portion (420) and have a length that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at of the loading portion (420).

시술도구는, 제1 연결관(411) 내부를 지나 제1 관통홀(H1)을 통해 수용공간(A) 내로 인출되는 경우, 가력홈(CH)과 마주볼 수 있다. 이후, 가력부(420)가 회동하여 시술도구를 가력 시, 시술도구는 가력홈(CH) 내 수용되고 가력홈(CH) 내면에 맞닿은 상태로 가력되어 벤딩될 수 있다.When the surgical tool is pulled out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tube (411) and into the receiving space (A)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H1), it can face the applying groove (CH). Thereafter, when the applying portion (420) rotates to apply force to the surgical tool, the surgical tool is received in the applying groove (CH) and applied force whil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applying groove (CH), thereby being bent.

가력부(420)는 바디(410)의 길이방향(Y축 방향)에 수직한 회전축(C)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가력부(420)는 전술한 수용공간(A)의 '개방부'를 통해 제1 회전방향(R1) 또는 제2 회전방향(R2)으로 회전할 수 있다(도 1 참조). 이때, 가력부(420)의 회전 운동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The force member (420) can rotate around a rotation axis (C)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body (410). The force member (420) can rotate in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R1) or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R2) through the 'opening' of the aforementioned receiving space (A) (see FIG. 1). At this time,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force member (420) can be operated in the following manner.

일 예로, 사용자가 제3 조작부(H30)를 조작방향으로 조작함에 따라, 중간연결부재(105) 및 이와 연결된 제2 작동와이어(205)가 후방(-Y축 방향)으로 당겨져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작동와이어(205)의 선단에 연결된 가력부(420)가 후방(-Y축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가력부(420)는 회전축(C)을 중심으로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user operates the third operating member (H30) in the operating direction,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105) and the second operating wire (205) connected thereto can be pulled and moved backward (in the -Y-axis direction). Accordingly, the force member (420) connected to the tip of the second operating wire (205) can be pulled backward (in the -Y-axis direction), and thereby the force member (420) can be rotated in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R1) about the rotational axis (C).

이처럼, 내시경 시술 시 제3 조작부(H30) 조작을 통해 가력부(420)를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연결관(411)을 통해 삽입단부 외부로 인출된 시술 장비(또는 흡입노즐)를 가력하여, 제1 회전방향(R1)으로 벤딩시킬 수 있다. 이때, 제3 조작부(H30)의 회전 각도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가력부(420) 및 이에 의한 시술 장비(또는 흡입노즐)의 회전 반경을 조절할 수 있다.In this way, by manipulating the third operating unit (H30) during an endoscopic procedure to rotate the force unit (420) in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R1), the procedure equipment (or suction nozzle) pulled out of the insertion end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tube (411) can be applied to bend it in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R1). At this time,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rotational angle of the third operating unit (H30), the rotational radius of the force unit (420) and the procedure equipment (or suction nozzle) thereby can be adjusted.

다른 예로, 내시경 시술이 완료되거나, 시술 장비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제3 조작부(H30)에 가한 힘을 제거하여 가력부(420)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an endoscopic procedure is completed or when replacement of the procedure equipment is required, the user can remove the force applied to the third operating unit (H30) to return the force unit (420) to its original position.

이때, 제3 조작부(H30)에 탄성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는 제3 조작부(H30)가 조작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압축 변형된 후, 제3 조작부(H30)에 가한 힘이 제거되면 조작방향의 반대방향으로의 탄성복원력을 발생시켜, 제3 조작부(H30)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형이동축에 가해진 유압이 제거되어, 중간연결부재(105) 및 제2 작동와이어(205)가 가력방향의 반대방향(Y축 방향)으로 다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력부(420)는, 제2 회전방향(R2)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함으로써, 시술장비(또는 흡입노즐)에 가한 힘이 제거되어 벤딩 전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an elastic member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third operating part (H30). This elastic member is compressed and deformed as the third operating part (H30) is rotated in the operating direction, and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third operating part (H30) is removed, it generates an elastic restoring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perating direction, thereby returning the third operating part (H30) to the original position. Accordingly, the hydraulic pressure applied to the linear movement shaft is removed, so that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105) and the second operating wire (205) can move again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pplying direction (Y-axis direction). Accordingly, the applying part (420) rotates in the second rotational direction (R2)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thereby removing the force applied to the treatment device (or suction nozzle) and returning it to the state before bending.

조명촬영부(430)는 내시경 시술 시, 체내를 조명하는 광원 및 체내를 촬영하는 이미지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조명촬영부(430)는 바디(410)의 선단부(Ea)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조명촬영부(430)는 제2 판부(A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조명촬영부(430)는 제2 판부(A20)를 사이에 두고, 수용공간(A)과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3 관통홀(H3) 및 제3 연결관(413)이 조명촬영부(430)의 상측(Z축 방향) 바로 위에 배치됨으로써, 바디(410) 상에 여러 구성요소들을 밀집되도록 배치시켜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light photographing unit (430) may be equipped with a light source for illuminating the body and an image sensor for photographing the body during an endoscopic procedure. The light photographing unit (430) may be installed at the front end (Ea) of the body (410). As an example, the light photographing unit (43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plate portion (A20). In this case, the light photographing unit (430) may be arranged to face the receiving space (A) with the second plate portion (A20) interposed therebetween. At this time, the third through hole (H3) and the third connecting pipe (413) are arranged directly above the upper side (Z-axis direction) of the light photographing unit (430), thereby allowing multiple components to be densely arranged on the body (410) to improve space utilization.

커버(400b)는 모듈본체(400a)의 외부를 덮어 보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400b)는 바디(41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커버(400b)는 수용공간(A)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연통부(B)를 구비할 수 있다.The cover (400b) can cover and protect the exterior of the module body (400a). Specifically, the cover (400b) can have a receiving groove into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body (410) is inserted and received. In addition, the cover (400b) can have a connecting portion (B) that connects the receiving space (A) with the exterior.

구체적으로, 바디(410)의 선단부(Ea) 또는, 선단부(Ea)와 돌출부(Eab)가 커버(400b)의 수용홈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연통부(B)는, 커버(400b)와 모듈본체(400a) 결합 시, 바디(410)의 수용공간(A)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공간(A)은 커버(400b)가 결합된 경우에도, 연통부(B)를 통해 외부와 연통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연통부(B)를 통해 시술 장비 및 흡입노즐이 가력모듈(400)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연통부(B)를 통해, 가력부(420)의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ip end (Ea) of the body (410) or the tip end (Ea) and the protrusion (Eab) can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of the cover (400b). At this time, the communicating portion (B) can be arrang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space (A) of the body (410) when the cover (400b) and the module body (400a) are combined. Accordingly, the receiving space (A) can mainta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mmunicating portion (B) even when the cover (400b) is combined. The treatment equipment and the suction nozzle can be withdrawn to the outside of the force module (400) through the communicating portion (B). In addition, the force portion (420) can be rotated in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R1) through the communicating portion (B).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가력모듈(400) 및 이를 포함하는 삽입유닛(200) 및 착탈형 내시경(10)은, 가력모듈(400)의 바디(410)에 복수개의 관통홀(H1, H2, H3), 가력부(420) 및 조명촬영부(430)의 배치를 조절하여 공간효율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가력모듈(400)이 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타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경우와 비교하여, 신체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유닛(200)의 삽입단부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rce module (400) and the insertion unit (200) including the force module and the detachable endoscope (10) can be configured to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by improving space efficiency by adjusting the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H1, H2, H3), a force section (420), and an illumination photographing section (430) in the body (410) of the force module (400). As a result, the size of the insertion end of the insertion unit (200) inserted into the body can be minimized compared to a case where the cross-section has an oval shap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component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착탈형 내시경
100: 조작유닛
200: 삽입유닛
300: 착탈유닛
400: 가력모듈
H: 조작모듈
10: Detachable endoscope
100: Operating unit
200: Insertion Unit
300: Detachable Unit
400: Force module
H: Operation module

Claims (7)

가력모듈에 있어서,
선단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양단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관통홀이 구비된 바디;
상기 수용공간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력부;
복수개의 상기 관통홀 중 제1 관통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제1 연결관;
복수개의 상기 관통홀 중 제2 관통홀에 결합되고, 상기 가력부와 연결되는 작동와이어가 관통 삽입되는 제2 연결관; 및
복수개의 상기 관통홀 중 제3 관통홀에 결합되는 제3 연결관;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은, 상기 가력모듈의 길이방향에 대한 상기 바디의 수직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수직단면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향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3 관통홀은 상기 수직단면의 중심으로부터 타측으로 편향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관통홀은 상기 제1 관통홀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제3 관통홀은 상기 제2 관통홀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력모듈.
In the force module,
A body having a receiving space at the tip and a plurality of penetration holes extending through both ends;
A load unit rotatably arranged in the above-mentioned receiving space;
A first connecting pipe connected to a first through hole among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space;
A second connecting tube connected to a second through hole among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through which an operating wire connected to the force unit is inserted; and
A third connecting tube coupled to a third through hole among the plurality of above through holes;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re arranged at a position that is deflected to one side from the center of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bod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rce module, and the third through hole is arranged at a position that is deflected to the other side from the center of the vertical cross section.
A force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through hole is locat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third through hole is locat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second through hol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 결합 시, 상기 제2 연결관과 상기 제3 연결관은 상기 제1 연결관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는, 가력모듈.
In the first paragraph,
A force module, wherein when combined with the above body, the second connecting tube and the third connecting tube are arranged on both sides with the first connecting tube in betwee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관은,
상기 제2 관통홀 내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보다 큰 직경으로 갖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중간돌출부;를 구비하는, 가력모듈.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second connecting pipe is,
A force module comprising: an insertion portion that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and an intermediate protrusion portion that protrudes radially outwardly so as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insertion por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선단을 덮도록 결합되고, 상기 바디와 결합 시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연통부를 구비한 커버;를 더 포함하는, 가력모듈.
In the first paragraph,
A force module further comprising a cover coupled to cover the tip of the body and having a connecting portion that connects the receiving space with the outside when coupled with the bod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형 단면을 갖는, 가력모듈.
In the first paragraph,
A force module, wherein the body has at least a partially circular cross-section.
선단에 배치되는,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력모듈을 포함하는, 착탈형 내시경용 삽입 유닛.A detachable endoscopic insertion unit comprising a force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rranged on a tip. 일단이 신체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된 제6 항에 따른 가력모듈을 구비한 삽입유닛;
상기 삽입유닛의 타단에 결합되고, 조작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삽입유닛의 상기 일단이 굴곡 운동하도록 작동시키는 조작유닛; 및
상기 조작유닛 상기 삽입유닛을 탈찰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유닛;을 포함하는, 착탈형 내시경.

An insertion unit having a force module according to claim 6, which is inserted into the body at one end and is rotatably arranged at the other end;
An operating unit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insertion unit and operating the one end of the insertion unit to perform a bending motion using an operating module; and
A detachable endoscope comprising: a detachable unit that detachably connects the above operating unit and the above insertion unit.

KR1020220006187A 2022-01-14 2022-01-14 Loading module, and insertion unit and detachable endoscope including the same Active KR1027256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187A KR102725675B1 (en) 2022-01-14 2022-01-14 Loading module, and insertion unit and detachable endoscop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187A KR102725675B1 (en) 2022-01-14 2022-01-14 Loading module, and insertion unit and detachable endoscope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0097A KR20230110097A (en) 2023-07-21
KR102725675B1 true KR102725675B1 (en) 2024-11-05

Family

ID=87430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6187A Active KR102725675B1 (en) 2022-01-14 2022-01-14 Loading module, and insertion unit and detachable endoscope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2567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87632B2 (en) * 2016-06-08 2020-11-1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Endoscope
KR102190218B1 (en) * 2019-09-11 2020-12-11 (주) 태웅메디칼 Detachable endoscope having a wire buffer
JP6986439B2 (en) * 2017-12-27 2021-12-22 Hoya株式会社 Endoscope and ris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87632B2 (en) * 2016-06-08 2020-11-1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Endoscope
JP6986439B2 (en) * 2017-12-27 2021-12-22 Hoya株式会社 Endoscope and riser
KR102190218B1 (en) * 2019-09-11 2020-12-11 (주) 태웅메디칼 Detachable endoscope having a wire buff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0097A (en) 2023-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07036B2 (en) Treatment endoscope
CN104902828B (en) Paranasal sinus approach system
JP4691361B2 (en) Endoscopic imaging system with removable deflection device
WO2012014656A1 (en) Rigid scope
JP4990336B2 (en) Surgical instruments
JPH11276422A (en) Ultrasonic endoscope
CN111526798B (en) Endoscope with a lens
CN102215735A (en) Surgical endoscope
JP7536338B2 (en) Detachable duodenal endoscope
JP5866162B2 (en) Surgical endoscope and method for replacing surgical instrument of surgical endoscope
CN201775682U (en) Endoscope for laser surgery
KR102725677B1 (en) Insertion unit and detachable endoscope comprising the same
CN217593053U (en) Ureter passage sheath and ureter lithotripsy instrument
KR102725675B1 (en) Loading module, and insertion unit and detachable endoscope including the same
JP7638546B2 (en) Detachable endoscope
KR20230110096A (en) Opening and closing unit and endoscope and endoscope system including the same
JPH1199124A (en) Guide manipulator and work support device
JP2001277177A (en) Work supporting device
CN112603547A (en) Surgical instrument, slave operation device, and surgical robot
KR102725676B1 (en) Detachable endoscope
JP2012245061A (en) Ultrasonic endoscope
JP2023076883A (en) Endoscope hood and endoscope device
KR20100000280A (en) Surgical instrument
JP6006077B2 (en) Endoscope
KR20230110100A (en) Detachable endosco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0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