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상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상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의 모든 설명에서 전후좌우상하의 방향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방향표를 기준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파레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파레트 본체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러너 보강부재의 일측부를 제1러너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러너 보강부재의 타측부를 제2러너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커넥터를 제1러너 및 제2러너에 체결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커넥터를 제1러너 및 제2러너에 체결하여 러너 조립체의 조립을 완성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의 러너 조립체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배열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판 보강부재를 파레트 본체에 삽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에서의 러너 조립체들과 도 11에서의 파레트 본체를 결합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서의 러너 조립체들과 파레트 본체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판 발굽을 조립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1러너 및 제2러너에 커넥터가 체결된 상태를 수평방향으로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의 A-A 부분을 절취하여 1행 중앙 체결캡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의 B-B 부분을 절취하여 1행 우측 체결캡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의 B-B 부분을 절취하여 2행 우측 체결캡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체결캡과 제2러너의 결합 상태를 수직방향으로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파레트(100)는, 물품의 생산 현장이나 각종 물품의 보관 창고 등에서 해당 물품의 적재 및 운반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조립식 파레트(10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립식 파레트(100)는, 여러 구성들, 즉 여러 부품들의 조립을 통해 하나의 파레트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조립식 파레트(100)는, 파레트 본체(1000)를 포함할 수 있다. 파레트 본체(1000)는, 물품의 적재를 위한 구성일 수 있다. 파레트 본체(1000)는, 물품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면을 제공할 수 있다. 파레트 본체(1000)는,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파레트 본체(1000)는, 상판(1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판(1100)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판일 수 있다. 상판(1100)은, 수평 방향으로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상판(1100)은, 물품의 적재를 위해 상면이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판(1100)의 상면은, 물품이 직접적으로 올려지는 적재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은, 적재면인 상판(1100)의 상면에 올려진 채 보관 창고나 생산 시설 등에 보관될 수 있다. 또한, 물품은, 적재면인 상판(1100)의 상면에 올려진 채 조립식 파레트(100)를 지게차나 핸드카 등의 별도 운반 수단을 통해 운반함에 따라 필요한 장소로 운반될 수 있다.
상판(1100)은, 발굽 장착홀(1110)을 포함할 수 있다. 발굽 장착홀(1110)은, 상판(11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발굽 장착홀(1110)은, 상판(110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발굽 장착홀(1110)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굽 장착홀(1110)은, 상판(1100)의 상면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발굽 장착홀(1110)은, 필요에 따라 개수를 달리하여 상판(1100)에 형성될 수 있다.
발굽 장착홀(1110)에는, 상판 발굽(1120)이 조립될 수 있다. 상판 발굽(1120)은, 복수 개의 발굽 장착홀(1110)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판 발굽(1120)은, 상판(1100)의 상면에 올려지는 물품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상판 발굽(1120)은, 물품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을 지닌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판 발굽(1120)은, 고무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판 발굽(1120)은, 물품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 개의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판 발굽(1120)의 돌기는, 상판 발굽(112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판 발굽(1120)의 돌기는, 상판(1100)의 상면보다 상측으로 다소 돌출될 수 있다. 상판 발굽(1120)의 돌기는, 상판(1100)의 상면에 적재되는 물품에 접촉하여 압착될 수 있다. 상판 발굽(1120)의 돌기는, 상판(1100)의 상면에 적재되는 물품에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물품의 미끄러짐을 막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판(1100)은, 보강부재 조립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재 조립부(1130)는, 후술할 상판 보강부재(1300)를 상판(1100)에 조립시키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보강부재 조립부(1130)는, 상판(1100)의 하면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재 조립부(1130)는, 상판(1100)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재 조립부(1130)는, 상판(1100)의 하면에서 서로 평행하게 하측으로 돌출되는 좌측벽 및 우측벽과, 좌측벽의 하단 및 우측벽의 하단을 연결하는 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재 조립부(1130)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부재 조립부(1130)는, 상판(1100)의 전단에서 후단까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보강부재 조립부(1130)는, 상판(1100)을 전후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상판(110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재 조립부(1130)는, 상판(1100)의 하면을 포함하여 직사각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재 조립부(1130)의 내부에는, 후술할 상판 보강부재(1300)를 삽입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보강부재 조립부(1130)는, 일단과 타단에 출입구(1131)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구(1131)는, 보강부재 조립부(1130)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출입구(1131)는, 보강부재 조립부(1130)의 내부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킬 수 있다. 출입구(1131)는, 후술할 체결캡(1200)의 일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출입구(1131)는, 상판(1100)과 후술할 체결캡(1200)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재 조립부(1130)의 내부 공간은, 전후 양측 출입구(1131)로 인해 전후 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다. 보강부재 조립부(1130)의 내부 둘레 단면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강부재 조립부(1130)의 내부 둘레 단면은, 후술할 상판 보강부재(1300)의 외부 둘레 단면에 대응할 수 있다.
보강부재 조립부(1130)에는, 안내홀(1132)이 형성될 수 있다. 안내홀(1132)은, 보강부재 조립부(1130)의 전후 양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안내홀(1132)은, 각각의 출입구(1131)에 대응하도록 출입구(1131)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안내홀(1132)은, 보강부재 조립부(1130)의 좌측벽, 우측벽 및 바닥부에 걸쳐 연속적으로 절개되어 벌어진 구멍일 수 있다. 즉, 안내홀(1132)은, 보강부재 조립부(1130)의 좌측벽, 우측벽 및 바닥부에 걸쳐 일부분이 잘려 나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안내홀(1132)은, 출입구(1131)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안내홀(1132)은, 출입구(1131)의 내측으로 직접 연통될 수 있다. 안내홀(1132)은, 출입구(1131)의 내측에 연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안내홀(1132)은, 출입구(1131)의 하단에서 보강부재 조립부(1130)의 하면 일정 위치까지 경사지게 절개될 수 있다. 안내홀(1132)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전후 폭이 커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재 조립부(1130)는, 안내홀(1132)로 인해 전단과 후단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폐쇄 안내부(1133)를 가질 수 있다. 폐쇄 안내부(1133)는, 출입구(113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폐쇄 안내부(1133)는, 출입구(1131)와 인접하게 대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폐쇄 안내부(1133)는, 보강부재 조립부(1130)의 좌측벽의 전후 양단과 우측벽의 전후 양단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폐쇄 안내부(1133)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대응하는 인접한 출입구(1131)에 점점 접근하는 형태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폐쇄 안내부(1133)는, 파레트 본체(1000)와 러너 조립체(2000)의 결합 시, 대응하는 후술할 회전 돌기(2145, 2245, 2430)를 안내하여 출입구(1131)를 폐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도 15 및 16 참조).
보강부재 조립부(1130)에는, 절개홀(1135)이 형성될 수 있다. 절개홀(1135)은, 보강부재 조립부(1130)의 하부 좌우 양측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는 대칭되는 형상의 구멍일 수 있다. 절개홀(1135)은, 후술할 체결캡(12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절개홀(1135)은, 후술할 체결캡(1200)의 내부 공간과 보강부재 조립부(1130)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켜줄 수 있다.
보강부재 조립부(1130)는, 후술할 체결캡(1200)이 배열되는 열에 대응하여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부재 조립부(1130)는,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도록 세 개가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개수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보강부재 조립부(1130)는, 상판(1100)의 하면 좌측, 하면 중앙, 하면 우측에 각각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3열로 위치할 수 있다.
상판(1100)에는, 상판 리브(11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판 리브(1140)는, 상판(1100)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판 리브(1140)는, 상판(1100)을 보강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상판 리브(1140)는, 상판(1100)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리브와 상판(1100)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리브와 상판(1100)의 사선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판 리브(1140)는, 후술할 체결캡(1200) 내부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파레트 본체(1000)는, 체결캡(1200)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캡(1200)은, 파레트 본체(1000)를 후술할 러너 조립체(2000)와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체결캡(1200)은, 상판(1100)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캡(1200)은, 상판(1100)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캡(1200)의 내부에는, 하면에 개구부를 갖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캡(1200)은, 전체적으로 모서리측이 라운드지게 형성된 직사각형 블록 형상일 수 있다. 즉, 체결캡(1200)은, 상판(1100)의 하면에 각각의 상단이 일체로 연결되고, 상호 일체로 형성되는 전측벽, 후측벽, 좌측벽 및 후측벽을 가질 수 있다.
체결캡(1200)의 내부에는, 상판(1100)의 하면에 형성되는 상판 리브(1140)의 일부분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판 리브(1140)는, 체결캡(1200)의 내부 상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체결캡(1200)의 내부에는, 상판(1100)의 하면에 형성되는 보강부재 조립부(1130)의 일부분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부재 조립부(1130)는, 체결캡(1200)의 내부 상면에 걸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체결캡(1200)의 내부 상면은, 체결캡(1200)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판(1100)의 하면일 수 있다.
체결캡(1200)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캡(1200)은, 총 9개를 제공할 수 있다. 9개의 체결캡(1200)은, 상판(1100)의 하면에 일정 간격을 갖는 3행 3열(3*3)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3행 3열의 체결캡(1200)은, 전방측에서부터 후방측으로 1행 체결캡(1200), 2행 체결캡(1200), 3행 체결캡(1200) 순으로 칭할 수 있고, 좌측에서 우측으로 1열 체결캡(1200), 2열 체결캡(1200), 3열 체결캡(1200) 순으로 칭할 수 있다. 1열 체결캡(1200)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2열 체결캡(1200)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3열 체결캡(1200)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1열 체결캡(1200)과 3열 체결캡(1200)은, 상호 대칭되게 배치될 뿐,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1열 체결캡(1200)은, 상판(1100)의 하면 좌측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보강부재 조립부(1130)와 교차할 수 있다. 2열 체결캡(1200)은, 상판(1100)의 하면 중앙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보강부재 조립부(1130)와 교차할 수 있다. 3열 체결캡(1200)은, 상판(1100)의 하면 우측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형성되는 보강부재 조립부(1130)와 교차할 수 있다. 즉, 보강부재 조립부(1130)는, 대응하는 열의 체결캡(1200)을 가로지를 수 있다.
출입구(1131)는, 체결캡(1200)의 일측벽을 관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구(1131)는, 1행 체결캡(1200)의 전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3행 체결캡(1200)의 후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입구(1131)는, 하나의 보강부재 조립부(1130)의 전후 양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안내홀(1132) 및 폐쇄 안내부(1133)는, 체결캡(12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안내홀(1132) 및 폐쇄 안내부(1133)는, 1행 체결캡(1200) 각각의 내부에 위치하는 보강부재 조립부(1130)의 전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안내홀(1132)은, 1행 체결캡(1200)의 전측벽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안내홀(1132) 및 폐쇄 안내부(1133)는, 3행 체결캡(1200) 각각의 내부에 위치하는 보강부재 조립부(1130)의 후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안내홀(1132)은, 3행 체결캡(1200)의 후측벽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2행 체결캡(1200) 각각의 내부에는, 안내홀(1132) 및 폐쇄 안내부(1133)가 미존재할 수 있다. 왜냐 하면, 안내홀(1132) 및 폐쇄 안내부(1133)는, 출입구(1131)의 폐쇄를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2행 체결캡(1200)에는, 출입구(1131)를 갖지 않기 때문에 안내홀(1132) 및 폐쇄 안내부(1133)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체결캡(1200)은, 체결편(1210)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편(1210)은, 체결캡(1200)의 양측벽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편(1210)은, 체결캡(1200)의 전측벽 내면 및 후측벽 내면에 각각 대향하는 방향으로 복수 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체결캡(1200)의 전측벽 내면에 형성되는 체결편(1210)과 체결캡(1200)의 후측벽 내면에 형성되는 체결편(1210)은, 서로 전후 대칭될 수 있다. 체결편(1210)은, 하면을 경사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체결편(1210)의 하면은, 체결캡(1200)의 내부 중앙을 향해 점점 높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체결캡(1200)에 형성되는 체결편(1210)은, 대응하는 후술할 제1연결대 체결홈, 제1연결대 체결홈, 제2연결대 체결홈, 제1지지대 체결홈, 제2지지대 체결홈(2243)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파레트 본체(1000)와 후술할 러너 조립체(2000)는, 상호 간에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캡(1200)의 내부에는, 도피 안내부(1134)가 형성될 수 있다. 도피 안내부(1134)는, 일측이 보강부재 조립부(1130)의 하면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이 체결캡(1200)의 전측벽 또는 후측벽에 일체로 연결되는 삼각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피 안내부(1134)는, 보강부재 조립부(1130)의 바닥부 외면(바닥부 하면)에서 체결캡(1200)의 전측벽 또는 후측벽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피 안내부(1134)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체결캡(1200)의 인접한 전측벽 또는 인접한 후측벽에 점점 가까워지는 형태로 경사진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도피 안내부(1134)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체결캡(1120)의 중심에 점점 접근하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도피 안내부(1134)는, 폐쇄 안내부(1133)보다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피 안내부(1134)는, 보강부재 조립부(1130)의 하면과 1행 체결캡(1200)의 후측벽 내면이 만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피 안내부(1134)는, 보강부재 조립부(1130)의 하면과 2행 체결캡(1200)의 전측벽 내면 및 후측벽 내면이 만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피 안내부(1134)는, 보강부재 조립부(1130)의 하면과 3행 체결캡(1200)의 전측벽 내면이 만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피 안내부(1134)는, 파레트 본체(1000)와 러너 조립체(2000)의 결합 시, 대응하는 후술할 회전 돌기(2145, 2245, 2430)를 안내하여 회전 돌기(2145, 2245, 2430)를 도피 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도 15 내지 도 17 참조).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파레트 본체(1000)는, 상판 보강부재(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판 보강부재(1300)는, 상판(1100) 및 이를 포함하는 파레트 본체(1000)를 전체적으로 보강하기 위한 부재일 수 있다. 상판 보강부재(1300)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판 보강부재(1300)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판 보강부재(1300)는, 중공을 갖는 금속 재질의 사각 파이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판 보강부재(1300)는, 철심일 수 있다. 상판 보강부재(130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판 보강부재(1300)는, 보강부재 조립부(1130)를 통해 상판(1100)에 조립될 수 있다. 상판 보강부재(1300)는, 보강부재 조립부(1130)에 수용되어 상판(1100) 및 이를 포함하는 파레트 본체(1000)를 보강할 수 있다. 상판 보강부재(1300)는, 보강부재 조립부(1130)에 형성된 출입구(1131)를 통해 보강부재 조립부(113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조립될 수 있다. 상판 보강부재(1300)는, 필요에 따라 보강부재 조립부(1130)의 내부 공간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판 보강부재(1300)는, 적재되는 물품의 하중에 따라 복수 개의 보강부재 조립부(1130) 각각에 설치되거나, 복수 개의 보강부재 조립부(1130) 중 일부에 설치되거나, 복수 개의 보강부재 조립부(1130) 모두에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상판 보강부재(1300)는, 출입구(1131)를 통해 보강부재 조립부(113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보강부재 조립부(1130)의 전후 양측에 각각 형성된 폐쇄 안내부(113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판 보강부재(1300)는, 안내홀(1132)로 돌출되지 않도록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판 보강부재(1300)는, 하면 전후 양단이 전후 양측 폐쇄 안내부(1133) 하단으로부터 이격되거나 전후 양측 폐쇄 안내부(1133) 하단에 일치되도록 보강부재 조립부(113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는, 폐쇄 안내부(1133)에 의해 안내되는 후술할 회전 돌기(2145, 2245, 2430)가 상판 보강부재(1300)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일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조립식 파레트(100)는, 러너 조립체(2000)를 포함할 수 있다. 러너 조립체(2000)는, 파레트 본체(1000) 및 파레트 본체(1000)에 적재되는 물품을 지지하기 위한 다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러너 조립체(2000)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러너 조립체(2000)는, 파레트 본체(100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러너 조립체(2000)는, 분할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러너 조립체(2000)는, 동일한 형상으로 분할 제공되는 제1러너(2100) 및 제2러너(2200)를 포함할 수 있다. 러너 조립체(2000)는, 큰 크기의 단일체로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분할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제품 생산 시 변형이 줄어들고, 러너 조립체의 제작을 위한 사출 성형기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기준 사출가를 절감할 수 있다.
러너 조립체(200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러너 조립체(2000)는, 세 개로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러너 조립체(2000)는,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위치할 수 있다. 각각의 러너 조립체(2000)는,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d)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러너 조립체(2000) 간의 일정 간격(d)은, 운반 수단(지게차나 핸드카 등)에 마련되는 포크부의 폭보다 큰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는, 운반 수단의 포크부가 이웃하는 두 러너 조립체(2000) 사이로 원활히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각각의 러너 조립체(2000)는, 서로 동일한 것이며, 편의 상 전방 러너 조립체(2000), 중앙 러너 조립체(2000) 및 후방 러너 조립체(2000)로 칭할 수 있다. 전방 러너 조립체(2000), 중앙 러너 조립체(2000) 및 후방 러너 조립체(2000)는, 각각 1행 체결캡(1200), 2행 체결캡(1200) 및 3행 체결캡(1200)에 결합되어 파레트 본체(1000)를 지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러너 조립체(2000)는, 제1러너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러너(2100)는, 러너 조립체(2000)의 분할체일 수 있다. 제1러너(2100)는, 러너 조립체(2000)의 외형의 좌측 절반을 형성할 수 있다. 제1러너(2100)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될 수 있다. 제1러너(2100)는, 사출 성형기에 의해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제1러너(2100)는, 제1러너 보드(2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러너 보드(2110)는, 조립식 파레트(100)에서 지면에 안착되는 구성일 수 있다. 제1러너 보드(2110)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러너 보드(2110)는, 상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러너 보드(2110)에는, 제1러너 보드 발굽(2150)이 조립될 수 있다. 제1러너 보드 발굽(2150)은, 제1러너 보드(2110)에 형성되는 장착홀(미도시)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러너 보드 발굽(2150)은, 조립식 파레트(100)가 안착되는 바닥(예를 들면, 지면 등)에서 제1러너(210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제1러너 보드 발굽(2150)은, 제1러너(210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상판 발굽(1120)과 동일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제1러너 보드 발굽(2150)은, 물품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 개의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제1러너 보드 발굽(2150)의 돌기는, 제1러너 보드 발굽(215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러너 보드 발굽(2150)의 돌기는, 제1러너 보드(2110)의 하면보다 하측으로 다소 돌출될 수 있다. 제1러너 보드 발굽(2150)의 돌기는, 제1러너 보드(2110)의 하면과 맞닿는 바닥에 접촉하여 압착될 수 있다. 제1러너 보드 발굽(2150)의 돌기는, 조립식 파레트(100)가 안착되는 바닥에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조립식 파레트(100)의 미끄러짐을 막을 수 있다.
제1러너 보드(2110)에는, 제1보강부재 삽입홈(21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보강부재 삽입홈(2111)은, 후술할 러너 보강부재(2300)를 러너 조립체(2000)에 조립시키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제1보강부재 삽입홈(2111)은,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보강부재 삽입홈(2111)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보강부재 삽입홈(2111)은, 일단이 개방될 수 있고, 타단이 폐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보강부재 삽입홈(2111)은, 우측단이 개방되어 입구를 형성할 수 있고, 좌측단이 막혀 폐쇄될 수 있다.
제1러너(2100)는, 제1연결대(2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대(2120)는, 제1러너 보드(2110)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연결대(2120)는, 제1러너 보드(2110)의 우측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1연결대(2120)는, 전측벽, 후측벽, 좌측벽 및 우측벽을 가질 수 있다. 제1연결대(2120)는, 상면이 개방된 사각 블록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대(2120)의 각 측벽 상단 일부분은, 파레트 본체(1000)의 상판 리브(1140)가 수용된 채 올려져 지지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대(2120)는, 대응하는 체결캡(1200)과 조립되어 상판(1100)을 지지할 수 있다.
제1연결대(2120)의 양측벽에는, 제1연결대 리브(2121), 제1연결대 돌출부(2122) 및 제1연결대 안내편(212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대 리브(2121), 제1연결대 돌출부(2122) 및 제1연결대 안내편(2124)은, 제1연결대(2120)의 내측으로 함몰된 전측벽 외면과 후측벽 외면에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대 리브(2121)는, 제1연결대(2120)의 전측벽 외면 하단과 후측벽 외면 하단에서 각각 상측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대 리브(2121)의 상면은 제1연결대(2120)에 가까워질수록 점점 높아지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제1연결대 리브(2121)는, 대응하는 체결편(1210)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대 안내편(2124)은, 제1연결대 리브(212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연결대 안내편(2124)은, 제1연결대 리브(2121)와 이격될 수 있다. 제1연결대 안내편(2124)은, 제1연결대(2120)의 내측으로 함몰된 전측벽 외면 중앙부와 후측벽 외면 중앙부에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대 안내편(2124)의 상면은 제1연결대(2120)에 가까워질수록 점점 높아지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제1연결대 안내편(2124)은, 제1연결대 리브(2121)와 동일하게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연결대 안내편(2124)의 하면은, 제1연결대 돌출부(212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1연결대 돌출부(2122)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대 돌출부(2122)는, 복수 개의 제1연결대 안내편(2124)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대 돌출부(2122)는, 제1연결대 리브(2121)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연결대 리브(2121)와 제1연결대 돌출부(2122)의 사이에는, 제1연결대 체결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대 체결홈은, 제1연결대 리브(2121)와 제1연결대 돌출부(2122) 간의 이격된 공간일 수 있다. 제1연결대 체결홈은, 제1연결대(2120)와 결합되는 체결캡(1200)의 체결편(1210)을 수용하여 상호 대응하는 제1연결대 돌출부(2122)와 체결편(1210) 간의 걸림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
제1연결대(2120)에는, 제1커넥터 삽입부(213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넥터 삽입부(2130)는, 제1러너(2100)와 후술할 제2러너(2200) 간의 결합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제1커넥터 삽입부(2130)는, 후술할 제2커넥터 삽입부(2230)와 함께 후술할 커넥터(2400)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제1커넥터 삽입부(2130)는, 제1연결대(212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커넥터 삽입부(2130)는, 제1연결대(2120)의 우측벽 외면에서 우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넥터 삽입부(2130)는, 제1연결대(2120)의 우측벽 외면 전단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전방부와, 제1연결대(2120)의 우측벽 외면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중앙부와, 제1연결대(2120)의 우측벽 외면 후단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후방부와, 제1커넥터 삽입부(2130)의 전방부, 중앙부 및 후방부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커넥터 삽입부(2130)는, 대략 상측으로 뻗은 삼지창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넥터 삽입부(2130)는, 후술할 커넥터(2400)와 체결될 수 있다. 제1커넥터 삽입부(2130)의 중앙부는, 하부를 지나는 제1보강부재 삽입홈(2111)으로 인해 하부 일부분이 전후 대칭되는 형태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넥터 삽입부(2130)에는, 제1보강부재 삽입홈(2111)의 입구가 위치할 수 있다.
제1커넥터 삽입부(2130)에는, 제1커넥터 삽입홈(213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넥터 삽입홈(2131)은, 우측면 및 상면이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넥터 삽입홈(2131)은, 제1커넥터 삽입부(2130)의 전방부와 중앙부 사이에 형성되는 전측 제1커넥터 삽입홈(2131)과, 제1커넥터 삽입부(2130)의 후방부와 중앙부 사이에 형성되는 후측 제1커넥터 삽입홈(2131)을 포함할 수 있다. 전측 제1커넥터 삽입홈(2131)에는, 후술할 커넥터(2400)의 제1몸체(2410) 좌측부(좌측 절반)가 삽입될 수 있다. 후측 제1커넥터 삽입홈(2131)에는, 후술할 커넥터(2400)의 제2몸체(2420) 좌측부(좌측 절반)가 삽입될 수 있다.
전측 제1커넥터 삽입홈(2131)의 내부면과 후측 제1커넥터 삽입홈(2131)의 내부면에는, 제1요철부(213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요철부(2132)는, 전측 제1커넥터 삽입홈(2131)의 내부면인 제1커넥터 삽입부(2130)의 전방부 후면, 제1커넥터 삽입부(2130)의 중앙부 전면 및 제1커넥터 삽입부(2130)의 연결부 전측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요철부(2132)는, 후측 제1커넥터 삽입홈(2131)의 내부면인 제1커넥터 삽입부(2130)의 후방부 전면, 제1커넥터 삽입부(2130)의 중앙부 후면 및 제1커넥터 삽입부(2130)의 연결부 후측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요철부(2132)는, 오목홈과 볼록돌기가 좌우 방향으로 반복해서 나열되는 형태로 올록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전측 제1커넥터 삽입홈(2131)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제1요철부(2132)는, 후술할 커넥터(2400)의 제3요철부(2411)의 좌측부와 치합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후측 제1커넥터 삽입홈(2131)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제1요철부(2132)는, 후술할 커넥터(2400)의 제4요철부(2421) 좌측부와 치합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러너(2100)는, 제1지지대(2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대(2140)는, 제1러너 보드(2110)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지지대(2140)는, 제1러너 보드(2110)의 좌측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1지지대(2140)는, 제1연결대(2120)의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지지대(2140)는, 전측벽, 후측벽, 좌측벽 및 우측벽을 가질 수 있다. 제1지지대(2140)는, 상면이 개방된 사각 블록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대(2140)는, 제1연결대(2120)의 횡방향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제1지지대(2140)의 각 측벽 상단 일부분은, 파레트 본체(1000)의 상판 리브(1140)가 수용된 채 지지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대(2140)는, 대응하는 체결캡(1200)과 조립되어 상판(1100)을 지지할 수 있다.
제1지지대(2140)의 양측벽에는, 제1지지대 리브(2141), 제1지지대 돌출부(2142) 및 제1지지대 안내편(214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대 리브(2141), 제1지지대 돌출부(2142) 및 제1지지대 안내편(2144)은, 제1지지대(2140)의 내측으로 함몰된 전측벽 외면과 후측벽 외면에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대 리브(2141)는, 제1지지대(2140)의 전측벽 외면 하단과 후측벽 외면 하단에서 각각 상측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대 리브(2141)의 상면은 제1지지대(2140)에 가까워질수록 점점 높아지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제1지지대 리브(2141)는, 대응하는 체결편(1210)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대 안내편(2144)은, 제1지지대 리브(214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지지대 안내편(2144)은, 제1지지대 리브(2141)와 이격될 수 있다. 제1지지대 안내편(2144)은, 제1지지대(2140)의 내측으로 함몰된 전측벽 외면 중앙부와 후측벽 외면 중앙부에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대 안내편(2144)의 상면은 제1지지대(2140)에 가까워질수록 점점 높아지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제1지지대 안내편(2144)은, 제1지지대 리브(2141)와 동일하게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지지대 안내편(2144)의 하면은, 제1지지대 돌출부(214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1지지대 돌출부(2142)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대 돌출부(2142)는, 복수 개의 제1지지대 안내편(2144)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대 돌출부(2142)는, 제1지지대 리브(2141)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지지대 리브(2141)와 제1지지대 돌출부(2142)의 사이에는, 제1지지대 체결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대 체결홈은, 제1지지대 리브(2141)와 제1지지대 돌출부(2142) 간의 이격된 공간일 수 있다. 제1지지대 체결홈은, 제1지지대(2140)와 결합되는 체결캡(1200)의 체결편(1210)을 수용하여 상호 대응하는 제1지지대 돌출부(2142)와 체결편(1210) 간의 걸림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 체결캡(1200)과 제1지지대(2140)는, 제1지지대 돌출부(2142)와 체결편(1210) 간의 걸림결합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제1지지대(2140)는, 제1회전 돌기(21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 돌기(2145)는, 제1지지대(2140)의 양측벽에 각각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회전 돌기(2145)는, 한 쌍이 전후 방향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측 제1회전 돌기(2145)는, 제1지지대(2140)의 전측벽 우측 상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후측 제1회전 돌기(2145)는, 제1지지대(2140)의 후측벽 우측 상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대(2140)의 전측벽에서 전측 제1회전 돌기(2145)가 형성되는 부분의 상단은 다른 부분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대(2140)의 후측벽에서 후측 제1회전 돌기(2145)가 형성되는 부분의 상단은 다른 부분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제1회전 돌기(2145)는, 파레트 본체(1000)와 러너 조립체(2000) 간의 조립에 따라 가변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회전 돌기(2145)는, 파레트 본체(1000)와 러너 조립체(2000) 간의 조립에 따라 회전하여 파레트 본체(1000)의 출입구(1131)를 폐쇄할 수 있다.
제1회전 돌기(2145)는, 제1지지대(2140)의 측벽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목부와, 목부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측 제1회전 돌기(2145)의 목부는, 제1지지대(2140)의 전측벽 상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후측 제1회전 돌기(2145)의 목부는, 제1지지대(2140)의 후측벽 상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회전 돌기(2145)는, 헤드부의 좌우 양측면에서 좌우로 각각 돌출되고, 헤드부의 상단에 대해 하측으로 단차진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 돌기(2145)의 양측 단차부는, 폐쇄 안내부(1133)에 의해 눌러져 안내될 수 있다. 헤드부의 제1회전 돌기(2145)의 목부와 헤드부는, 제1회전 돌기(2145)의 목부 하단을 기준으로 제1지지대(2140)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회전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회전 돌기(2145)는, 파레트 본체(1000)와 러너 조립체(2000) 간의 조립 시, 안내홀(1132)에 수용된 채 폐쇄 안내부(1133)에 의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압되어 폐쇄 안내부(1133)의 경사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제1회전 돌기(2145)는, 파레트 본체(1000)와 러너 조립체(2000) 간의 조립 시, 도피 안내부(1134)에 의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압되어 도피 안내부(1134)의 경사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제1회전 돌기(2145)가 폐쇄 안내부(1133)의 경사에 의해 안내될 경우, 제1회전 돌기(2145)의 목부와 헤드부는, 제1지지대(2140)의 외측으로 회전하여 기울어질 수 있고, 제1회전 돌기(2145)의 헤드부는, 출입구(1131)를 폐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회전 돌기(2145)의 헤드부는, 출입구(1131)를 폐쇄함으로써 보강부재 조립부(1130)에 삽입 설치되는 상판 보강부재(1300)가 파레트 본체(100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1회전 돌기(2145)가 도피 안내부(1134)의 경사에 의해 안내될 경우, 제1회전 돌기(2145)의 목부와 헤드부는, 제1지지대(2140)의 내측으로 회전하여 기울어짐으로써 파레트 본체(1000)와 러너 조립체(2000) 간의 조립에 방해되지 않게 도피할 수 있다.
도 2 및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러너 조립체(2000)는, 제2러너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러너(2200)는, 러너 조립체(2000)의 분할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러너 조립체(2000)는, 앞서 설명한 제1러너(2100)와 제2러너(2200)로 분할 제공될 수 있다. 제2러너(2200)는, 러너 조립체(2000)의 외형의 우측 절반을 형성할 수 있다. 제2러너(2200)는, 제1러너(210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러너(2200)는, 제1러너(2100)와 대칭되도록 조립될 뿐, 실질적으로 제1러너(2100)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제2러너(2200)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될 수 있다. 제2러너(2200)는, 사출 성형기에 의해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제2러너(2200)는, 제1러너(2100)와 동일한 것이기 때문에 제1러너(2100)와 동일한 사출 성형기에 의해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제1러너(2100)와 제2러너(2200)의 성형을 위한 사출 성형기는, 러너 조립체(2000)를 단일체로 사출 성형할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사출 성형기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러너 조립체(2000)는, 서로 분할되는 제1러너(2100)와 제2러너(2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제품 생산 시 변형이 줄어들고, 제작을 위한 사출 성형기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기준 사출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제2러너(2200)의 일단은, 제1러너(2100)의 일단에 맞닿게 배치될 수 있다.
제2러너(2200)는, 제2러너 보드(2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러너 보드(2210)는, 조립식 파레트(100)에서 지면에 안착되는 구성일 수 있다. 제2러너 보드(2210)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러너 보드(2210)는, 상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러너 보드(2210)에는, 제2러너 보드 발굽(2250)이 조립될 수 있다. 제2러너 보드 발굽(2250)은, 제2러너 보드(2210)에 형성되는 장착홀(미도시)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2러너 보드 발굽(2250)은, 조립식 파레트(100)가 안착되는 바닥(예를 들면, 지면 등)에서 제2러너(220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제2러너 보드 발굽(2250)은, 제2러너(220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상판 발굽(1120)과 동일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제2러너 보드 발굽(2250)은, 물품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 개의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제2러너 보드 발굽(2250)의 돌기는, 제2러너 보드 발굽(225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러너 보드 발굽(2250)의 돌기는, 제2러너 보드(2210)의 하면보다 하측으로 다소 돌출될 수 있다. 제1러너 보드 발굽(2150)의 돌기는, 제2러너 보드(2210)의 하면과 맞닿는 바닥에 접촉하여 압착될 수 있다. 제2러너 보드 발굽(2250)의 돌기는, 조립식 파레트(100)가 안착되는 바닥에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조립식 파레트(100)의 미끄러짐을 막을 수 있다.
제2러너 보드(2210)에는, 제2보강부재 삽입홈(22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보강부재 삽입홈(2211)은, 후술할 러너 보강부재(2300)를 러너 조립체(2000)에 조립시키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제2보강부재 삽입홈(2211)은,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보강부재 삽입홈(2211)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보강부재 삽입홈(2211)은, 일단이 개방될 수 있고, 타단이 폐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보강부재 삽입홈(2211)은, 좌측단이 개방되어 입구를 형성할 수 있고, 우측단이 막혀 폐쇄될 수 있다. 제2보강부재 삽입홈(2211)의 좌측 개방단은, 제1보강부재 삽입홈(2111)의 우측 개방단과 대향하여 직접 연통될 수 있다. 제1보강부재 삽입홈(2111)과 제2보강부재 삽입홈(2211)은, 제1러너(2100)의 제1커넥터 삽입부(2130)와 제2러너(2200)의 제2커넥터 삽입부(2230)가 서로 대칭되게 맞닿을 경우, 서로 연통되어 외부와 폐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러너 조립체(2000)는, 제1보강부재 삽입홈(2111)과 제2보강부재 삽입홈(2211)에 후술할 러너 보강부재(2300)가 삽입된 상태일 경우, 자연스럽게 별도 부재 없이 러너 보강부재(2300)의 외부 노출 및 외부 이탈을 막을 수 있다.
제2러너(2200)는, 제2연결대(2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연결대(2220)는, 제2러너 보드(2210)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연결대(2220)는, 제2러너 보드(2210)의 좌측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2연결대(2220)는, 전측벽, 후측벽, 좌측벽 및 우측벽을 가질 수 있다. 제2연결대(2220)는, 상면이 개방된 사각 블록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연결대(2220)의 각 측벽 상단 일부분은, 파레트 본체(1000)의 상판 리브(1140)가 수용된 채 올려져 지지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2연결대(2220)는, 제1연결대(2120)와 함께 연결지지대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연결대(2120)와 제2연결대(2220)로 이루어진 상기 연결지지대는, 대응하는 체결캡(1200)에 삽입되는 형태로 조립되어 상판(1100)을 지지할 수 있다.
제2연결대(2220)의 양측벽에는, 제2연결대 리브(2221), 제2연결대 돌출부(2222) 및 제2연결대 안내편(2224)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연결대 리브(2221), 제2연결대 돌출부(2222) 및 제2연결대 안내편(2224)은, 제2연결대(2220)의 내측으로 함몰된 전측벽 외면과 후측벽 외면에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연결대 리브(2221)는, 제2연결대(2220)의 전측벽 외면 하단과 후측벽 외면 하단에서 각각 상측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연결대 리브(2221)의 상면은 제2연결대(2220)에 가까워질수록 점점 높아지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제2연결대 리브(2221)는, 대응하는 체결편(1210)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제2연결대 안내편(2224)은, 제2연결대 리브(222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연결대 안내편(2224)은, 제2연결대 리브(2221)와 이격될 수 있다. 제2연결대 안내편(2224)은, 제2연결대(2220)의 내측으로 함몰된 전측벽 외면 중앙부와 후측벽 외면 중앙부에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연결대 안내편(2224)의 상면은 제2연결대(2220)에 가까워질수록 점점 높아지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제2연결대 안내편(2224)은, 제2연결대 리브(2221)와 동일하게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연결대 안내편(2224)의 하면은, 제2연결대 돌출부(222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2연결대 돌출부(2222)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연결대 돌출부(2222)는, 복수 개의 제2연결대 안내편(2224)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연결대 돌출부(2222)는, 제2연결대 리브(2221)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연결대 리브(2221)와 제2연결대 돌출부(2222)의 사이에는, 제2연결대 체결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연결대 체결홈은, 제2연결대 리브(2221)와 제2연결대 돌출부(2222) 간의 이격된 공간일 수 있다. 제2연결대 체결홈은, 제2연결대(2220)와 결합되는 체결캡(1200)의 체결편(1210)을 수용하여 상호 대응하는 제2연결대 돌출부(2222)와 체결편(1210) 간의 걸림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
제2연결대(2220)에는, 제2커넥터 삽입부(223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커넥터 삽입부(2230)는, 제1러너(2100)와 제2러너(2200) 간의 결합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제2커넥터 삽입부(2230)는, 제1커넥터 삽입부(2130)와 함께 후술할 커넥터(2400)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제2커넥터 삽입부(2230)는, 제2연결대(222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커넥터 삽입부(2230)는, 제2연결대(2220)의 좌측벽 외면에서 좌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커넥터 삽입부(2230)는, 제2연결대(2220)의 좌측벽 외면 전단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전방부와, 제2연결대(2220)의 좌측벽 외면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중앙부와, 제2연결대(2220)의 좌측벽 외면 후단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후방부와, 제2커넥터 삽입부(2230)의 전방부, 중앙부 및 후방부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커넥터 삽입부(2230)는, 대략 상측으로 뻗은 삼지창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커넥터 삽입부(2230)는, 후술할 커넥터(2400)와 체결될 수 있다. 제2커넥터 삽입부(2230)의 중앙부는, 하부를 지나는 제2보강부재 삽입홈(2211)으로 인해 하부 일부분이 전후 대칭되는 형태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커넥터 삽입부(2230)에는, 제2보강부재 삽입홈(2211)의 입구가 위치할 수 있다. 제2커넥터 삽입부(2230)는, 제1커넥터 삽입부(2130)와 맞대어져 접촉할 수 있다. 제2커넥터 삽입부(2230)의 좌측면은, 제1커넥터 삽입부(2130)의 우측면에 마주한 채 접촉할 수 있다.
제2커넥터 삽입부(2230)에는, 제2커넥터 삽입홈(223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커넥터 삽입홈(2231)은, 좌측면 및 상면이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커넥터 삽입홈(2231)은, 제2커넥터 삽입부(2230)의 전방부와 중앙부 사이에 형성되는 전측 제2커넥터 삽입홈(2231)과, 제2커넥터 삽입부(2230)의 후방부와 중앙부 사이에 형성되는 후측 제2커넥터 삽입홈(2231)을 포함할 수 있다. 전측 제2커넥터 삽입홈(2231)과 후측 제2커넥터 삽입홈(2231)은, 각각 전측 제1커넥터 삽입홈(2131)과 후측 제1커넥터 삽입홈(2131)에 좌우로 직접 연통할 수 있다. 전측 제2커넥터 삽입홈(2231)에는, 후술할 커넥터(2400)의 제1몸체(2410) 우측부(우측 절반)가 삽입될 수 있다. 후측 제2커넥터 삽입홈(2231)에는, 후술할 커넥터(2400)의 제2몸체(2420) 우측부(우측 절반)가 삽입될 수 있다.
전측 제2커넥터 삽입홈(2231)의 내부면과 후측 제2커넥터 삽입홈(2231)의 내부면에는, 제2요철부(223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요철부(2232)는, 전측 제2커넥터 삽입홈(2231)의 내부면인 제2커넥터 삽입부(2230)의 전방부 후면, 제2커넥터 삽입부(2230)의 중앙부 전면 및 제2커넥터 삽입부(2230)의 연결부 전측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요철부(2232)는, 후측 제2커넥터 삽입홈(2231)의 내부면인 제2커넥터 삽입부(2230)의 후방부 전면, 제2커넥터 삽입부(2230)의 중앙부 후면 및 제2커넥터 삽입부(2230)의 연결부 후측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요철부(2232)는, 오목홈과 볼록돌기가 좌우 방향으로 반복해서 나열되는 형태로 올록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요철부(2232)는, 제1요철부(2132)와 이어지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전측 제2커넥터 삽입홈(2231)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제2요철부(2232)는, 후술할 커넥터(2400)의 제3요철부(2411)의 우측부와 치합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후측 제2커넥터 삽입홈(2231)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제2요철부(2232)는, 후술할 커넥터(2400)의 제4요철부(2421) 우측부와 치합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제2러너(2200)는, 제2지지대(2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지지대(2240)는, 제2러너 보드(2210)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지지대(2240)는, 제2러너 보드(2210)의 우측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2지지대(2240)는, 제2연결대(2220)의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지지대(2240)는, 전측벽, 후측벽, 좌측벽 및 우측벽을 가질 수 있다. 제2지지대(2240)는, 상면이 개방된 사각 블록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대(2240)는, 제2연결대(2220)의 횡방향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제2지지대(2240)의 각 측벽 상단 일부분은, 파레트 본체(1000)의 상판 리브(1140)가 수용된 채 지지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대(2240)는, 대응하는 체결캡(1200)과 조립되어 상판(1100)을 지지할 수 있다.
제2지지대(2240)의 양측벽에는, 제2지지대 리브(2241), 제2지지대 돌출부(2242) 및 제2지지대 안내편(2244)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대 리브(2241), 제2지지대 돌출부(2242) 및 제2지지대 안내편(2244)은, 제2지지대(2240)의 내측으로 함몰된 전측벽 외면과 후측벽 외면에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대 리브(2241)는, 제2지지대(2240)의 전측벽 외면 하단과 후측벽 외면 하단에서 각각 상측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대 리브(2241)의 상면은 제2지지대(2240)에 가까워질수록 점점 높아지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제2지지대 리브(2241)는, 대응하는 체결편(1210)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대 안내편(2244)은, 제2지지대 리브(224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지지대 안내편(2244)은, 제2지지대 리브(2241)와 이격될 수 있다. 제2지지대 안내편(2244)은, 제2지지대(2240)의 내측으로 함몰된 전측벽 외면 중앙부와 후측벽 외면 중앙부에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대 안내편(2244)의 상면은 제2지지대(2240)에 가까워질수록 점점 높아지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제2지지대 안내편(2244)은, 제2지지대 리브(2241)와 동일하게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지지대 안내편(2244)의 하면은, 제2지지대 돌출부(224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2지지대 돌출부(2242)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대 돌출부(2242)는, 복수 개의 제2지지대 안내편(2244)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대 돌출부(2242)는, 제2지지대 리브(2241)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지지대 리브(2241)와 제2지지대 돌출부(2242)의 사이에는, 제2지지대 체결홈(224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대 체결홈(2243)은, 제2지지대 리브(2241)와 제2지지대 돌출부(2242) 간의 이격된 공간일 수 있다. 제2지지대 체결홈은, 제2지지대(2240)와 결합되는 체결캡(1200)의 체결편(1210)을 수용하여 상호 대응하는 제2지지대 돌출부(2242)와 체결편(1210) 간의 걸림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 체결캡(1200)과 제2지지대(2240)는, 제2지지대 돌출부(2242)와 체결편(1210) 간의 걸림결합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제2지지대(2240)는, 제2회전 돌기(22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회전 돌기(2245)는, 제2지지대(2240)의 양측벽에 각각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회전 돌기(2245)는, 한 쌍이 전후 방향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측 제2회전 돌기(2245)는, 제2지지대(2240)의 전측벽 좌측 상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후측 제2회전 돌기(2245)는, 제2지지대(2240)의 후측벽 좌측 상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대(2240)의 전측벽에서 전측 제2회전 돌기(2245)가 형성되는 부분의 상단은 다른 부분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지지대(2240)의 후측벽에서 후측 제2회전 돌기(2245)가 형성되는 부분의 상단은 다른 부분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제2회전 돌기(2245)는, 파레트 본체(1000)와 러너 조립체(2000) 간의 조립에 따라 가변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회전 돌기(2245)는, 파레트 본체(1000)와 러너 조립체(2000) 간의 조립에 따라 회전하여 파레트 본체(1000)의 출입구(1131)를 폐쇄할 수 있다.
제2회전 돌기(2245)는, 제2지지대(2240)의 측벽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목부와, 목부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측 제2회전 돌기(2245)의 목부는, 제2지지대(2240)의 전측벽 상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후측 제2회전 돌기(2245)의 목부는, 제2지지대(2240)의 후측벽 상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회전 돌기(2245)는, 헤드부의 좌우 양측면에서 좌우로 각각 돌출되고, 헤드부의 상단에 대해 하측으로 단차진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회전 돌기(2245)의 양측 단차부는, 폐쇄 안내부(1133)에 의해 눌러져 안내될 수 있다. 제2회전 돌기(2245)의 목부와 헤드부는, 제2회전 돌기(2245)의 목부 하단을 기준으로 제2지지대(2240)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회전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회전 돌기(2245)는, 파레트 본체(1000)와 러너 조립체(2000) 간의 조립 시, 안내홀(1132)에 수용된 채 폐쇄 안내부(1133)에 의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압되어 폐쇄 안내부(1133)의 경사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제2회전 돌기(2245)는, 파레트 본체(1000)와 러너 조립체(2000) 간의 조립 시, 도피 안내부(1134)에 의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압되어 도피 안내부(1134)의 경사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제2회전 돌기(2245)가 폐쇄 안내부(1133)의 경사에 의해 안내될 경우, 제2회전 돌기(2245)의 목부와 헤드부는, 제2지지대(2240)의 외측으로 회전하여 기울어질 수 있고, 제2회전 돌기(2245)의 헤드부는, 출입구(1131)를 폐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회전 돌기(2245)의 헤드부는, 출입구(1131)를 폐쇄함으로써 보강부재 조립부(1130)에 삽입 설치되는 상판 보강부재(1300)가 파레트 본체(100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2회전 돌기(2245)가 도피 안내부(1134)의 경사에 의해 안내될 경우, 제2회전 돌기(2245)의 목부와 헤드부는, 제2지지대(2240)의 내측으로 회전하여 기울어짐으로써 파레트 본체(1000)와 러너 조립체(2000) 간의 조립에 방해되지 않게 도피할 수 있다.
제1연결대(2120), 제1지지대(2140), 제2연결대(2220) 및 제2지지대(2240)의 내부에는, 안착 리브(2001)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안착 리브(2001)는, 제1연결대(2120), 제1지지대(2140), 제2연결대(2220) 및 제2지지대(2240) 각각의 내부 바닥 및 적어도 일측벽 내면에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안착 리브(2001)는, 전후 또는 좌우로 수직하게 기립된 복수 개의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착 리브(2001)에는, 파레트 본체(1000)의 상판 리브(1140)가 올려져 안착될 수 있다. 안착 리브(2001)는, 제1연결대(2120), 제1지지대(2140), 제2연결대(2220) 및 제2지지대(2240)를 보강하는 역할과 더불어, 상판 리브(114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러너 조립체(2000)는, 러너 보강부재(2300)를 포함할 수 있다. 러너 보강부재(2300)는, 러너 조립체(2000)를 보강하기 위한 부재일 수 있다. 러너 보강부재(2300)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러너 보강부재(2300)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러너 보강부재(2300)는, 상판 보강부재(1300)와 마찬가지로 중공을 갖는 금속 재질의 사각 파이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러너 보강부재(2300)는, 철심일 수 있다. 러너 보강부재(230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러너 보강부재(2300)와 상판 보강부재(1300)는, 조립식 파레트(100)를 전체적으로 고르게 보강할 수 있도록 서로 교차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러너 보강부재(2300)는, 러너 조립체(2000)에 삽입될 수 있다. 러너 보강부재(2300)의 일단은, 제1러너(2100)의 일단인 우측단을 통해 제1러너(2100)에 삽입 설치될 수 있고, 러너 보강부재(2300)의 타단은, 제2러너(2200)의 일단인 좌측단을 통해 제2러너(2200)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러너 보강부재(2300)는, 좌측부(좌측 절반)가 제1보강부재 삽입홈(2111)의 우측 개방단을 통해 제1보강부재 삽입홈(2111)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러너 보강부재(2300)는, 우측부(우측 절반)가 제2보강부재 삽입홈(2211)의 좌측 개방단을 통해 제2보강부재 삽입홈(2211)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러너 보강부재(2300)는, 제1러너(2100) 및 제2러너(2200)의 내부에 수용되어 러너 조립체(2000)를 보강할 수 있다. 러너 보강부재(2300)는, 필요에 따라 러너 조립체(2000)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러너 보강부재(2300)는, 적재되는 물품의 하중에 따라 러너 조립체(2000)에 설치되거나, 러너 조립체(2000)에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1러너(2100)와 제2러너(2200)는, 러너 보강부재(2300)가 삽입된 후 후술할 커넥터(2400)와의 체결을 위해 대향하는 단부(제1커넥터 삽입부의 우측면과 제2커넥터 삽입부의 좌측면)가 서로 맞닿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러너 조립체(2000)는, 커넥터(24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2400)는, 제1러너(2100)와 제2러너(2200)를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커넥터(2400)는, 서로 맞닿은 제1커넥터 삽입부(2130)와 제2커넥터 삽입부(2230)에 동시에 체결되어 제1러너(2100)와 제2러너(2200)를 고정시킨 상태로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커넥터(2400)는, 분할 제공되는 제1러너(2100) 및 제2러너(2200) 간의 체결 강도를 보완해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넥터(2400)는, 체결캡(1200)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제1러너(2100)의 제1연결대(2120) 및 제2러너(2200)의 제2연결대(2220) 간의 체결 강도를 보다 향상시켜줄 수 있다.
커넥터(2400)는, 제1몸체(2410) 및 제2몸체(2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몸체(2410) 및 제2몸체(2420)는, 최상부 일부분이 서로 일체로 연결되고, 그 하부로는 서로 분할되어 이격되어 있다. 제1몸체(2410) 및 제2몸체(2420)는, 전후 방향으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몸체(2410) 및 제2몸체(2420)는, 제1커넥터 삽입홈(2131) 및 제2커넥터 삽입홈(223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몸체(2410)의 후측 하부와 및 제2몸체(2420)의 전측 하부는, 제1커넥터 삽입부(2130) 및 제2커넥터 삽입부(2230)의 단차에 대응하도록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2400)가 제1러너(2100) 및 제2러너(2200)에 체결될 경우, 제1몸체(2410)의 좌측 절반은, 전측 제1커넥터 삽입홈(2131)에 삽입될 수 있고, 제1몸체(2410)의 우측 절반은, 전측 제2커넥터 삽입홈(2231)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2몸체(2420)의 좌측 절반은, 후측 제1커넥터 삽입홈(2131)에 삽입될 수 있고, 제2몸체(2420)의 우측 절반은, 후측 제2커넥터 삽입홈(2231)에 삽입될 수 있다.
제1몸체(2410) 및 제2몸체(2420)에는, 각각 제3요철부(2411)와 제4요철부(24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3요철부(2411)는, 제1몸체(2410)의 전측벽 외면(전면), 후측벽 외면(후면), 바닥부 외면(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4요철부(2421)는, 제2몸체(2420)의 전측벽 외면(전면), 후측벽 외면(후면), 바닥부 외면(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2400)가 제1러너(2100) 및 제2러너(2200)에 체결될 경우, 제3요철부(2411)의 좌측 절반은, 전측 제1커넥터 삽입홈(2131)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제1요철부(2132)에 치합될 수 있고, 제3요철부(2411)의 우측 절반은, 전측 제2커넥터 삽입홈(2231)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제2요철부(2232)에 치합될 수 있다. 또한, 제4요철부(2421)의 좌측 절반은, 후측 제1커넥터 삽입홈(2131)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제1요철부(2132)에 치합될 수 있고, 제4요철부(2421)의 우측 절반은, 후측 제2커넥터 삽입홈(2231)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제2요철부(2232)에 치합될 수 있다. 커넥터(2400)는, 이와 같이 제1러너(2100) 및 제2러너(2200)에 치합되어 제1러너(2100) 및 제2러너(2200)에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커넥터(2400)는, 제3회전 돌기(2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회전 돌기(2430)는, 제1몸체(2410)와 제2몸체(2420)에 각각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3회전 돌기(2430)는, 한 쌍이 전후 방향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측 제3회전 돌기(2430)는, 제1몸체(2410)의 전측벽 상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후측 제3회전 돌기(2430)는, 제2몸체(2420)의 후측벽 상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3회전 돌기(2430)가 형성되는 제1몸체(2410)의 전측벽 상단과 제2몸체(2420)의 후측벽의 상단은 이를 제외한 제1몸체(2410) 및 제2몸체(2420)의 다른 측벽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제3회전 돌기(2430)는, 파레트 본체(1000)와 러너 조립체(2000) 간의 조립에 따라 가변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회전 돌기(2430)는, 파레트 본체(1000)와 러너 조립체(2000) 간의 조립에 따라 회전하여 파레트 본체(1000)의 출입구(1131)를 폐쇄할 수 있다.
제3회전 돌기(2430)는, 커넥터(2400)의 전후 양측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목부와, 목부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측 제3회전 돌기(2430)의 목부는, 제1몸체(2410)의 전측벽 상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후측 제3회전 돌기(2430)의 목부는, 제2몸체(2420)의 후측벽 상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3회전 돌기(2430)는, 헤드부의 좌우 양측면에서 좌우로 각각 돌출되고, 헤드부의 상단에 대해 하측으로 단차진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3회전 돌기(2430)의 양측 단차부는, 폐쇄 안내부(1133)에 의해 눌러져 안내될 수 있다. 제3회전 돌기(2430)의 목부와 헤드부는, 제3회전 돌기(2430)의 목부 하단을 기준으로 커넥터(2400)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회전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회전 돌기(2430)는, 파레트 본체(1000)와 러너 조립체(2000) 간의 조립 시, 안내홀(1132)에 수용된 채 폐쇄 안내부(1133)에 의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압되어 폐쇄 안내부(1133)의 경사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제3회전 돌기(2430)는, 파레트 본체(1000)와 러너 조립체(2000) 간의 조립 시, 도피 안내부(1134)에 의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압되어 도피 안내부(1134)의 경사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제3회전 돌기(2430)가 폐쇄 안내부(1133)의 경사에 의해 안내될 경우, 제3회전 돌기(2430)의 목부와 헤드부는, 커넥터(2400)의 외측으로 회전하여 기울어질 수 있고, 제3회전 돌기(2430)의 헤드부는, 출입구(1131)를 폐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회전 돌기(2430)의 헤드부는, 출입구(1131)를 폐쇄함으로써 보강부재 조립부(1130)에 삽입 설치되는 상판 보강부재(1300)가 파레트 본체(100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3회전 돌기(2430)가 도피 안내부(1134)의 경사에 의해 안내될 경우, 제3회전 돌기(2430)의 목부와 헤드부는, 커넥터(2400)의 내측으로 회전하여 기울어짐으로써 파레트 본체(1000)와 러너 조립체(2000) 간의 조립에 방해되지 않게 도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파레트(100)의 조립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강부재 삽입홈(2111)의 개방된 우측단을 통해 러너 보강부재(2300)를 제1보강부재 삽입홈(2111)에 삽입시킨다.
러너 보강부재(2300)는, 좌측단을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제1보강부재 삽입홈(2111)에 삽입시킴으로써 제1러너(210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러너 보강부재(2300)는, 좌측 절반이 제1보강부재 삽입홈(2111)에 삽입될 수 있으며, 제1보강부재 삽입홈(2111)에 삽입된 러너 보강부재(2300)의 좌측 절반은, 제1러너(21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보강부재 삽입홈(2211)의 개방된 좌측단을 통해 러너 보강부재(2300)를 제2보강부재 삽입홈(2211)에 삽입시킨다.
러너 보강부재(2300)는, 우측단을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제2보강부재 삽입홈(2211)에 삽입시킴으로써 제2러너(220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러너 보강부재(2300)는, 우측 절반이 제2보강부재 삽입홈(2211)에 삽입될 수 있으며, 제2보강부재 삽입홈(2211)에 삽입된 러너 보강부재(2300)의 우측 절반은, 제2러너(22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러너(2100) 및 제2러너(2200)에 러너 보강부재(2300)가 삽입될 경우, 제1러너(2100)의 우측단과 제2러너(2200)의 좌측단은, 서로 맞대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러너(2100) 및 제2러너(2200)는, 제1커넥터 삽입부(2130)의 우측면과 제2커넥터 삽입부(2230)의 좌측면을 상호 접촉시켜 맞닿게 함으로써 서로 맞대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제1보강부재 삽입홈(2111) 및 제2보강부재 삽입홈(2211)은, 서로 연통한 채 외부로부터 폐쇄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러너 보강부재(2300)는, 외부로부터 폐쇄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1보강부재 삽입홈(2111) 및 제2보강부재 삽입홈(2211)을 통해 제1러너(2100)와 제2러너(220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가 되어 제1러너(2100)와 제2러너(22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고, 외부로의 이탈 또한 방지될 수 있다.
다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러너(2100) 및 제2러너(2200)를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해 커넥터(2400)를 준비시킨다.
커넥터(2400)는,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제1커넥터 삽입홈(2131) 및 제2커넥터 삽입홈(223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1커넥터 삽입부(2130) 및 제2커넥터 삽입부(2230)의 직상방에 위치하도록 준비시킬 수 있다.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준비된 커넥터(2400)를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커넥터 삽입부(2130) 및 제2커넥터 삽입부(2230)에 체결시킨다.
커넥터(2400)의 제1몸체(2410)는, 전측 제1커넥터 삽입홈(2131) 및 전측 제2커넥터 삽입홈(2231)에 삽입될 수 있고, 커넥터(2400)의 제2몸체(2420)는, 후측 제1커넥터 삽입홈(2131) 및 후측 제2커넥터 삽입홈(223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전측 제1커넥터 삽입홈(2131)의 내부면에 형성된 제1요철부(2132)는, 제1몸체(2410)의 제3요철부(2411) 좌측 절반과 치합될 수 있고, 전측 제2커넥터 삽입홈(2231)의 내부면에 형성된 제2요철부(2232)는, 제1몸체(2410)의 제3요철부(2411) 우측 절반과 치합될 수 있다. 또한, 후측 제1커넥터 삽입홈(2131)의 내부면에 형성된 제1요철부(2132)는, 제2몸체(2420)의 제4요철부(2421) 좌측 절반과 치합될 수 있고, 후측 제2커넥터 삽입홈(2231)의 내부면에 형성된 제2요철부(2232)는, 제2몸체(2420)의 제4요철부(2421) 우측 절반과 치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2400)에 형성된 제3요철부(2411) 및 제4요철부(2421)는, 제1러너(2100)에 형성된 제1요철부(2132) 및 제2러너(2200)에 형성된 제2요철부(2232)에 각각 좌우 절반씩 동시에 치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커넥터(2400)는, 제1러너(2100)와 제2러너(2200) 간의 체결 강도를 보완하여 제1러너(2100)와 제2러너(220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9와 같은 상태가 될 경우, 러너 조립체(2000)는, 한 개의 조립이 완성된 상태일 수 있다.
다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9에서 조립이 완성된 러너 조립체(2000)를 복수 개 배치시킨다.
러너 조립체(2000)는, 전방 러너 조립체(2000), 중앙 러너 조립체(2000) 및 후방 러너 조립체(2000)와 같이 세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세 개의 러너 조립체(2000)는,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도록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다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 보강부재(1300)를 3행 3열의 체결캡(1200)을 포함하는 파레트 본체(1000)의 보강부재 조립부(1130)에 삽입시킨다.
상판 보강부재(1300)는, 파레트 본체(1000)의 전측에 위치하는 출입구(1131)를 통해 전측에서 후측 방향으로 보강부재 조립부(1130)에 삽입되거나 파레트 본체(1000)의 후측에 위치하는 출입구(1131)를 통해 후측에서 전측 방향으로 보강부재 조립부(1130)에 삽입될 수 있다. 상판 보강부재(1300)는, 필요에 따라 파레트 본체(1000)에 형성된 세 개의 보강부재 조립부(1130)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판 보강부재(1300)의 하면 전후 양단은, 보강부재 조립부(1130)에 형성된 전후 양측 폐쇄 안내부(1133) 하단으로부터 각각 이격되거나 전후 양측 폐쇄 안내부(1133) 하단에 일치하도록 보강부재 조립부(1130)에 삽입될 수 있다.
다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0의 상태로 배치된 세 개의 러너 조립체(2000)의 직상방에 상판 보강부재(1300)가 삽입된 파레트 본체(1000)를 준비시킨다.
파레트 본체(1000)는, 러너 조립체(2000)의 제1연결대(2120), 제2연결대(2220), 제1지지대(2140) 및 제2지지대(2240)에 체결캡(1200)을 수직 방향으로 체결시키기 위해 세 개의 러너 조립체(2000) 직상방에 위치하도록 준비시킬 수 있다.
다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레트 본체(1000)를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세 개의 러너 조립체(2000)와 결합시킨다.
파레트 본체(1000)와 러너 조립체(2000) 간의 결합 시, 파레트 본체(1000)의 상판 리브(1140)는, 러너 조립체(2000)의 안착 리브(2001)에 안착된 채 지지될 수 있다. 상판 리브(1140)의 하단은, 제1지지대(2140), 제2지지대(2240), 제1연결대(2120), 제2연결대(2220) 및 커넥터(2400) 각각의 상단 일측을 눌러주어 제1러너(2100), 제2러너(2200), 커넥터(2400) 및 체결캡(1200) 간의 체결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파레트 본체(1000)는, 하부에 배치되는 전방 러너 조립체(2000), 중앙 러너 조립체(2000) 및 후방 러너 조립체(2000)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방 러너 조립체(2000)의 제1지지대(2140), 중앙 러너 조립체(2000)의 제1지지대(2140) 및 후방 러너 조립체(2000)의 제1지지대(2140)는, 각각 대응하는 1열 체결캡(1200)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전방 러너 조립체(2000)의 제1, 2연결대(2120, 2220), 중앙 러너 조립체(2000)의 제1, 2연결대(2120, 2220) 및 후방 러너 조립체(2000)의 제1, 2연결대(2120, 2220)는, 각각 대응하는 2열 체결캡(120)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전방 러너 조립체(2000)의 제2지지대(2240), 중앙 러너 조립체(2000)의 제2지지대(2240) 및 후방 러너 조립체(2000)의 제2지지대(2240)는, 각각 대응하는 3열 체결캡(1200)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1열 체결캡(1200)은, 체결편(1210)과 제1지지대 체결홈 간의 끼움을 통해 걸림결합이 이루어져 각각에 대응하는 제1지지대(2140)에 체결되어 장착될 수 있다. 2열 체결캡(1200)은, 체결편(1210)과 제1, 2연결대 체결홈 간의 끼움을 통해 걸림결합이 이루어져 각각에 대응하는 제1, 2연결대(2120, 2220)에 체결되어 장착될 수 있다. 3열 체결캡(1200)은, 체결편(1210)과 제2지지대 체결홈(2243) 간의 끼움을 통해 걸림결합이 이루어져 각각에 대응하는 제1지지대(2140)에 체결되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제1지지대(2140)의 전후측 제1회전 돌기(2145), 제2지지대(2240)의 전후측 제2회전 돌기(2245) 및 커넥터(2400)의 전후측 제3회전 돌기(2430)는, 적어도 폐쇄 안내부(1133)와 도피 안내부(1134)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가압되어 안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방 러너 조립체(2000)의 전측 제1회전 돌기(2145), 전측 제2회전 돌기(2245) 및 전측 제3회전 돌기(2430)는, 각각에 대응하는 보강부재 조립부(1130)의 전단측 안내홀(1132)에 삽입된 채, 폐쇄 안내부(1133)에 의해 가압될 수 있고, 폐쇄 안내부(1133)에 의해 가압된 전방 러너 조립체(2000)의 전측 제1회전 돌기(2145), 전측 제2회전 돌기(2245) 및 전측 제3회전 돌기(2430)는, 폐쇄 안내부(1133)의 경사를 따라 외측으로 회전하여 각각에 대응하는 전측 출입구(1131)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전방 러너 조립체(2000)의 후측 제1회전 돌기(2145), 후측 제2회전 돌기(2245) 및 후측 제3회전 돌기(2430)는, 각각에 대응하는 보강부재 조립부(1130)의 도피 안내부(1134)에 의해 가압될 수 있고, 도피 안내부(1134)에 의해 가압된 전방 러너 조립체(2000)의 후측 제1회전 돌기(2145), 후측 제2회전 돌기(2245) 및 후측 제3회전 돌기(2430)는, 도피 안내부(1134)의 경사를 따라 내측으로 회전하여 제1지지대(2140), 제2지지대(2240) 및 제1, 2연결대(2120, 2220)와 이에 대응하는 체결캡(1200) 간의 결합에 방해되지 않도록 도피할 수 있다.
중앙 러너 조립체(2000)의 전후측 제1회전 돌기(2145), 전후측 제2회전 돌기(2245) 및 전후측 제3회전 돌기(2430)는, 각각에 대응하는 보강부재 조립부(1130)의 도피 안내부(1134)에 의해 가압될 수 있고, 도피 안내부(1134)에 의해 가압된 중앙 러너 조립체(2000)의 전후측 제1회전 돌기(2145), 전후측 제2회전 돌기(2245) 및 전후측 제3회전 돌기(2430)는, 도피 안내부(1134)의 경사를 따라 내측으로 회전하여 제1지지대(2140), 제2지지대(2240) 및 제1, 2연결대(2120, 2220)와 이에 대응하는 체결캡(1200) 간의 결합에 방해되지 않도록 도피할 수 있다.
후방 러너 조립체(2000)의 전측 제1회전 돌기(2145), 전측 제2회전 돌기(2245) 및 전측 제3회전 돌기(2430)는, 각각에 대응하는 보강부재 조립부(1130)의 도피 안내부(1134)에 의해 가압될 수 있고, 도피 안내부(1134)에 의해 가압된 후방 러너 조립체(2000)의 전측 제1회전 돌기(2145), 전측 제2회전 돌기(2245) 및 전측 제3회전 돌기(2430)는, 도피 안내부(1134)의 경사를 따라 내측으로 회전하여 제1지지대(2140), 제2지지대(2240) 및 제1, 2연결대(2120, 2220)와 이에 대응하는 체결캡(1200) 간의 결합에 방해되지 않도록 도피할 수 있다. 또한, 후방 러너 조립체(2000)의 후측 제1회전 돌기(2145), 후측 제2회전 돌기(2245) 및 후측 제3회전 돌기(2430)는, 각각에 대응하는 보강부재 조립부(1130)의 후단측 안내홀(1132)에 삽입된 채, 폐쇄 안내부(1133)에 의해 가압될 수 있고, 폐쇄 안내부(1133)에 의해 가압된 후방 러너 조립체(2000)의 후측 제1회전 돌기(2145), 후측 제2회전 돌기(2245) 및 후측 제3회전 돌기(2430)는, 폐쇄 안내부(1133)의 경사를 따라 외측으로 회전하여 각각에 대응하는 후측 출입구(1131)를 폐쇄할 수 있다.
보강부재 조립부(1130)에 삽입되는 상판 보강부재(1300)는, 출입구(1131)를 폐쇄하는 제1회전 돌기(2145), 제2회전 돌기(2245) 및 제3회전 돌기(2430)에 의해 외부로의 노출을 피할 수 있고, 보강부재 조립부(1130) 내에서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립된 파레트 본체(1000)와 러너 조립체(2000)에는, 추가적으로 상판 발굽(1120), 제1러너 보드 발굽(2150) 및 제2러너 보드 발굽(2250)이 장착되어 도 1과 같이 조립식 파레트(100)의 조립이 완성될 수 있다.
조립식 파레트(100)의 조립 과정을 설명함에 있어서, 러너 조립체(2000)의 조립을 먼저 수행하고, 이후 파레트 본체(1000)를 조립하여 러너 조립체(2000)와 결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파레트 본체(1000)를 먼저 조립하고, 이후 러너 조립체(2000)를 조립하여 파레트 본체(1000)와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조립식 파레트(100)를 조립하는 순서는, 도 1과 같은 조립식 파레트(100)가 완성될 수 있다면 위 설명과 다른 순서로 조립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