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23922B1 - mobile water dispensable apparatus - Google Patents
mobile water dispensable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23922B1 KR102723922B1 KR1020220090234A KR20220090234A KR102723922B1 KR 102723922 B1 KR102723922 B1 KR 102723922B1 KR 1020220090234 A KR1020220090234 A KR 1020220090234A KR 20220090234 A KR20220090234 A KR 20220090234A KR 102723922 B1 KR102723922 B1 KR 1027239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handle
- water
- fire
- suction pum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5/00—Portable extinguishers with power-driven pump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5/00—Portable extinguishers with power-driven pumps
- A62C25/005—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4—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djustable, e.g. in height; linearly shifting cas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62B5/061—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both ends or periphery of cart fitted with hand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10—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wheel axles to increase stabil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이동형 살수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동형 살수장치는,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흡입하여 고압으로 배출하기 위한 흡입펌프모터와 상기 흡입펌프모터에 동력을 제공하는 엔진과 상기 흡입펌프모터로부터 배출된 고압수를 외부로 토출하는 관창이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전방바퀴와 후방바퀴; 및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는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방바퀴는 서로간의 간격이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재발생시 소방차가 진입하기 힘든 장소, 지형이 험준한 지역, 도로가 협소한 도심 골목 지역으로 용이하게 이동한 후 소방살수차, 강, 개울 등의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주변으로 살포할 수 있는바, 특히 화재발생시 초기 화재 진압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A mobile sprinkler device is disclosed. The mobile sprinkl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ame in which a suction pump motor for sucking water from a water source and discharging it at high pressure, an engine for providing power to the suction pump motor, and a nozzle for discharging high pressure water discharged from the suction pump motor to the outside are installed; a plurality of front wheels and rear wheel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and a handle provided on the frame, wherein the plurality of front wheel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installed so that the gap between them can be variably adjus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ire breaks out, it can be easily moved to a place where it is difficult for a fire truck to enter, an area with rugged terrain, an urban alley with narrow roads, and then water can be supplied from a water source such as a fire sprinkler, a river, or a stream, and sprayed to the surrounding area, so that in particular, when a fire breaks out, initial fire suppression can be carried out quickly.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살수작업이 요구되는 장소로 이동시켜 소방용수, 농업용수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이동형 살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sprinkler device that can be moved by a user to a location where sprinkler work is required to provide water for firefighting, agricultural use, etc.
일반적으로 기후가 건조한 봄철에 산불이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여러 곳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산불이 발생하는 경우 국가재난상황이 발생되고 지역 소방서 및 관련 소방업체의 소방 장비가 총 동원되어도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기 어려운 실정이 있다. 일 예로, 근래 강원도 대형산불의 경우, 화재발생 지역 및 주변 지역의 모든 소방차가 총 동원되어도 쉽게 화재를 진압하지 못한 경우이다.In general, forest fires occur frequently in the spring when the climate is dry, and when forest fires occur simultaneously in multiple places, a national disaster occurs, and even if all the firefighting equipment of local fire departments and related firefighting companies are mobilized, it is difficult to quickly extinguish the fire.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recent large-scale forest fire in Gangwon Province, even if all the fire trucks in the fire area and surrounding areas were mobilized, it was not easy to extinguish the fire.
대형 소방차는 대형의 물탱크를 구비하므로 전체의 폭과 높이, 그리고 너비 등이 크게 되어 진입을 위한 넓은 통행로가 없는 경우에는 화재 현장에 가깝게 접근할 수 없게 되고, 그에 따라 신속한 초기 진압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에는 주택가의 골목길 등이나 상가, 백화점 등의 좁은 통행로밖에 없는 장소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대형 소방차를 접근 가능한 곳까지 진입시킨 후 소방차나 소화전에 연결한 소방호스를 들고 소방수가 화재현장까지 달려가 물을 분사하는 방식으로 화재를 진압하였으나 소방수가 골목길 등의 좁은 통행로의 각종 장애물을 피해 무거운 소방호스를 화재현장까지 운반하는 시간이 너무 많이 소요되어 초기 진압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Since large fire trucks are equipped with large water tanks, their overall width, height, and depth are large, and in cases where there is no wide passageway for entry, they cannot approach the scene of the fire closely,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y cannot quickly put out the fire at an early stage. In other words, in the past, when a fire broke out in a place where there was only a narrow passageway, such as an alleyway in a residential area, a commercial building, or a department store, a large fire truck would enter an accessible area, and then a firefighter would run to the scene of the fire with a fire hose connected to the fire truck or a fire hydrant and spray water to put out the fire. However,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took too much time for the firefighter to avoid various obstacles in the narrow passageway, such as an alleyway, and carry the heavy fire hose to the scene of the fire, so there were many cases where the initial put-out failed.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살수작업이 요구되는 장소로 이동시켜 소방용수, 농업용수 등을 주변으로 분사할 수 있으며, 특히 화재발생시 소방차가 진입하기 힘든 장소, 지형이 험준한 지역, 도로가 협소한 도심 골목 지역으로 용이하게 이동한 후 소방살수차, 강, 개울 등의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주변으로 살포할 수 있는 이동형 살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sprinkler device that can be moved by a user to a place where sprinkler work is required to spray firefighting water, agricultural water, etc., into the surrounding area, and in particular, can be easily moved to a place where it is difficult for a fire truck to enter in the event of a fire, an area with rugged terrain, an urban alley with narrow roads, and then receive water from a fire sprinkler truck, a river, a stream, or a water source and spray it into the surrounding area.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흡입하여 고압으로 배출하기 위한 흡입펌프모터와 상기 흡입펌프모터에 동력을 제공하는 엔진과 상기 흡입펌프모터로부터 배출된 고압수를 외부로 토출하는 관창이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전방바퀴와 후방바퀴; 및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는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방바퀴는 서로간의 간격이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형 살수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sprinkler device is provided, comprising: a frame in which a suction pump motor for sucking water from a water source and discharging it at high pressure, an engine for providing power to the suction pump motor, and a nozzle for discharging high pressure water discharged from the suction pump motor to the outside are installed; a plurality of front wheels and rear wheel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and a handle provided on the frame, wherein the plurality of front wheels are installed so that the intervals between them can be variably adjusted.
상기 프레임에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전방바퀴와 상기 제1 및 제2 전방바퀴가 각각 고정되는 전방바퀴 블록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간격 조절부가 마련되고, 상기 간격 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서로다른 방향의 제1 및 제2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나사산에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전방바퀴가 결합되는 간격조절 회전봉; 상기 간격조절 회전봉의 일측에 마련되는 회전레버; 및 상기 간격조절 회전봉과 이격되게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에 따른 상기 간격조절 회전봉의 회전시, 상기 제1 및 제2 전방바퀴가 서로 접근 또는 이격되도록 상기 전방바퀴 블록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봉을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may include a gap adjusting member configured to adjust a gap between a pair of first and second front wheels and front wheel blocks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front wheels are respectively fixed, and the gap adjusting member may include: a gap adjusting rotary rod rotatably provided on the frame, having first and second screw threads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on both sides of the center, and the first and second front wheels being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screw threads, respectively; a rotating lev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gap adjusting rotary rod; and a guide rod fixed to the fram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ap adjusting rotary rod, and guiding movement of the front wheel blocks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front wheels approach or separate from each other when the gap adjusting rotary rod rotates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rotating lever.
상기 핸들은 서로 이격되는 제1 및 제2 핸들바와 상기 제1 및 제2 핸들바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핸들바의 중앙부위가 상기 프레임의 후방 상단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핸들이 특정자세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핸들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핸들 회전방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The handle includes first and second handleba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connecting bar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handlebars, the central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bars are provided so as to be hingedly rotatable at the rear upper portion of the frame, and the frame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rotation prevention portion for preventing rotation of the handle when the handle is rotated in a specific posture.
상기 핸들 회전방지부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핸들바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핸들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above handle rotation prevention unit can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contact the first and second handle bars by user operation to limit rotation of the handle.
상기 핸들 회전방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관통봉; 및 상기 연결바가 상기 제1 및 제2 핸들바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핸들이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핸들바의 하측에 접촉하여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관통봉의 양측에 각각 내측으로 삽입 또는 외측으로 인출가능하게 마련되는 걸림봉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handle rotation prevention unit may include a through-rod fixed to the frame and having a through-hole formed therein; and a catch rod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hrough-rod so as to be inserted inwardly or withdrawn outwardly so as to limit rotation by contacting the lower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 bars when the handle is rotated so that the connecting bar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first and second handle bars.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전개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프레임을 지면에 고정 지지할 수 있는 프레임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may further include a frame support member that is configured to be deployable outwardly of the frame and can support the frame by fixing it to the ground.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전방하부 좌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단부에 제1 지지다리부가 마련되는 제1 프레임 지지부; 상기 프레임의 후방하부 좌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단부에 제2 지지다리부가 마련되는 제2 프레임 지지부; 상기 프레임의 전방하부 우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단부에 제3 지지다리부가 마련되는 제3 프레임 지지부; 및 상기 프레임의 후방하부 우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단부에 제4 지지다리부가 마련되는 제4 프레임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support may include a first frame support that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front lower left side of the frame and has a first support leg provided at an end; a second frame support that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rear lower left side of the frame and has a second support leg provided at an end; a third frame support that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front lower right side of the frame and has a third support leg provided at an end; and a fourth frame support that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rear lower right side of the frame and has a fourth support leg provided at an end.
상기 제1 내지 제4 지지다리부는, 상기 프레임의 수평상태를 조절 가능하도록 높낮이 조절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to fourth supporting legs may have a height-adjustable structure so as to adjust the horizontal state of the frame.
상기 흡입펌프모터와 상기 관창 사이를 연결하는 고압수 유동관이 마련되고, 상기 흡입펌프모터에는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도록 소방 연결구가 마련되며,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소방 연결구와 상기 급수원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호스가 적재되도록 적재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A high-pressure water flow pipe is provided to connect the suction pump motor and the water inlet, a fire connection port is provided to the suction pump motor to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source, and a loading space can be provided in the frame to load a connecting hose connecting the fire connection port and the water source.
상기 프레임에는 외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전방바퀴와 후방바퀴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에서 프레임을 들어서 이동할 수 있도록 복수의 보조 이동바가 더 마련될 수 있다.The above frame may further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uxiliary moving bars so as to be able to lift and move the frame while rotating outward and keeping the front and rear wheels off the ground.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이동형 살수장치에 의하면, 화재발생시 소방차가 진입하기 힘든 장소, 지형이 험준한 지역, 도로가 협소한 도심 골목 지역으로 용이하게 이동한 후 소방살수차, 강, 개울 등의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주변으로 살포할 수 있는바, 특히 화재발생시 초기 화재 진압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obile sprinkl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hen a fire breaks out, it can easily move to a place where it is difficult for a fire truck to enter, an area with rugged terrain, or an urban alley with narrow roads, and then receive water from a fire sprinkler, a river, a stream, or a water source and spray it around, so that in particular, when a fire breaks out, initial fire suppression can be carried out quickly.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살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살수장치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살수장치에서 전방바퀴의 간격을 조절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살수장치에서 한 쌍의 전방바퀴의 간격을 최소로 하고 핸들을 접은 후 프레임의 후방을 들어올려 손수레 형태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살수장치에서 핸들 회전방지부에 의한 핸들의 회전 허용 또는 불가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살수장치에서 프레임 지지부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살수장치가 프레임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물 살수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살수장치의 제1 내지 제4 지지다리부의 높낮이 조절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살수장치의 보조 이동바가 외측으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s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mobile sprinkl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ottom view showing a mobile sprinkl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rawing showing a structure for adjusting the spacing between front wheels in a mobile sprink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rawing showing a mobile sprink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a pair of front wheels is minimized, the handle is folded, and the rear of the frame is lifted to move in the form of a handcart.
FIG. 6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rotation of the handle is permitted or prohibited by a handle rotation prevention unit in a mobile sprink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rawing showing a frame support part unfolded in a mobile sprink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water is sprayed while the mobile sprinkl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by a frame support member.
FIG. 9 is a drawing showing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first to fourth supporting legs of the mobile sprink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uxiliary moving bar of a mobile sprinkl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outwar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only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살수장치는 사용자가 살수작업이 요구되는 장소로 이동시켜 소방용수, 농업용수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재발생시 소방차가 진입하기 힘든 장소, 지형이 험준한 지역, 도로가 협소한 도심 골목 지역으로 용이하게 이동한 후 소방살수차, 강, 개울 등의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주변으로 살포할 수 있다.A mobile sprink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ved by a user to a location where sprinkler work is required to provide water for firefighting, agricultural use, etc. Specifically, it can be easily moved to a location where fire trucks have difficulty entering in the event of a fire, an area with rugged terrain, an urban alley with narrow roads, and then receive water from a fire sprinkler truck, a river, a stream, or a water source and spray it around.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살수장치는 프레임(100), 전방바퀴(200), 후방바퀴(300), 핸들(400), 프레임 지지부(5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3, a mobile sprink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100), a front wheel (200), a rear wheel (300), a handle (400), and a frame support (500).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살수장치는 화재발생에 따른 소방수 공급이 필요한 경우, 농업용수 부족에 따른 농업용수 공급이 필요한 경우 등의 상황에서 사용자가 이동형 살수장치를 적절한 장소로 수동으로 이동시킨 후, 소방살수차, 강, 개울 등의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주변 지역으로 살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형 살수장치는 대상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된 상태를 유지한채 주변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바, 사용자가 이동형 살수장치 주변에 위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안정적인 분사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Before going into specifics, the mobile sprinkl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situations such as when a supply of fire fighting water is required due to a fire, when a supply of agricultural water is required due to a shortage of agricultural water, etc., by a user manually moving the mobile sprinkler to an appropriate location, and then receiving water from a water source such as a fire sprinkler truck, a river, or a stream, and spraying the water into the surrounding area. In addition, the mobile sprink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pray water into the surrounding area while maintaining a stably fixed installation state on the target ground, so that a stable spraying state can be maintained even when the user is not located around the mobile sprinkler.
덧붙이자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살수장치는 소방차가 쉽게 진입하기 힘든 비포장 도로, 미끄럼길, 진흙길, 눈길에서 소방차에 비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바, 소방차가 진입하지 못하는 화재발생지역도 쉽게 진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sprinkl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ove more easily than a fire truck on unpaved roads, slippery roads, muddy roads, and snowy roads where fire trucks have difficulty entering, and can easily enter fire-related areas where fire trucks cannot enter.
먼저, 프레임(100)은 대략 직육면체 외관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프레임이 서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흡입하여 고압으로 배출하기 위한 흡입펌프모터(110)와 흡입펌프모터(110)에 동력을 제공하는 엔진(120)과 흡입펌프모터(110)로부터 배출된 고압수를 외부로 토출하는 관창(130)이 설치된다. 여기서, 관창(130)은 화재진압을 위한 고압수 분사노즐이 아닌 농업용수 분사를 위한 저압 분사노즐로 대체될 수도 있다.First, the frame (100) is formed by a plurality of frames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roughly rectangular hexahedron, and a suction pump motor (110) for sucking water from a water source and discharging it at high pressure, an engine (120) for providing power to the suction pump motor (110), and a nozzle (130) for discharging high-pressure water discharged from the suction pump motor (110) to the outside are installed. Here, the nozzle (130) may be replaced with a low-pressure spray nozzle for spraying agricultural water instead of a high-pressure water spray nozzle for fire suppress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흡입펌프모터(110)와 관창(130) 사이를 연결하도록 고압수 유동관(140)이 마련되고, 흡입펌프모터(110)에는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도록 소방 연결구(111)가 마련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igh-pressure water flow pipe (140) is provided to connect between a suction pump motor (110) and a nozzle (130), and a fire connection port (111) is provided to the suction pump motor (110) to supply water from a water source.
또한, 프레임(100)에는 소방 연결구(111)와 급수원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호스(150)가 적재 보관하도록 적재공간(160)이 마련된다. 즉, 본 발명은 소방살수차, 강, 개울로부터 연결호스(150)를 통해 물을 공급받은 후 흡입펌프모터(110)를 통해 고압으로 고압수 유동관(140)으로 토출하며 관창(130)을 통해 외부로 고압 분사할 수 있다. 부연해서, 강, 개울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경우 연결호스(150)의 단부에는 양수펌프가 더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loading space (160) is provided in the frame (100) to store a connecting hose (150) connecting a fire hose (111) and a water source.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water from a fire sprinkler, a river, or a stream through a connecting hose (150), and then discharges the water at high pressure through a suction pump motor (110) into a high pressure water flow pipe (140) and sprays the water at high pressure to the outside through a nozzle (130). In addition, when water is supplied from a river or a stream, a water pump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hose (15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레임(100)에는 미사용시 연결호스(150)를 권취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별도의 적재공간(160)이 마련되어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10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loading space (160) in which the connecting hose (150) can be stored in a coiled state when not in use.
또한, 도 1, 도 2, 도 5,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압수 유동관(140)에는 소방호스 연결구(142)가 마련되며, 사용자는 소방호스 연결구(142)에 일반 소방호스를 연결하고 소방호스를 화재 지역 근방까지 직접 끌고가서 소방호스의 단부에 마련된 소방호스 노즐을 통해 물을 분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관창(130)을 통한 물 분사작업은 별도의 밸브 off를 통해 이루어지지 않으며, 상기 소방호스 노즐을 통해서만 물 분사가 이루어진다. 프레임(100)에는 상기 일반 소방호스를 적재할 수 있는 별도의 적재공간이 추가적으로 마련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 2, 5, 7, and 8, a fire hose connection port (142) is provided in the high-pressure water flow pipe (140), and a user can connect a general fire hose to the fire hose connection port (142), drag the fire hose directly to the vicinity of a fire area, and spray water through a fire hose nozzle provided at the end of the fire hose. In this case, the water spraying operation through the nozzle (130) is not performed through a separate valve off, and water is sprayed only through the fire hose nozzle. A separate loading space in which the general fire hose can be loaded is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frame (100).
다음,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하부에는 한 쌍의 전방바퀴(200)와 한 쌍의 후방바퀴(300)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한 쌍의 전방바퀴(200)는 서로간의 간격이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Next, as shown in FIGS. 3 and 4, a pair of front wheels (200) and a pair of rear wheels (300) ar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frame (10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front wheels (200) are installed so that the gap between them can be variably adjusted.
구체적으로, 한 쌍의 전방바퀴(200)는 필요에 따라 서로간의 간격이 감소, 예를 들어 서로 최접근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좁은 도로, 좁은 농로 등을 따라 한층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부연하자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한 쌍의 전방바퀴(200)를 서로간에 최대한 근접하게 되도록 이동시키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핸들(400)을 손으로 잡고 후방바퀴(30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프레임(100)을 위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전방바퀴(200) 만을 이용하여 좁은 길도 신속/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일륜 손수레 구조 형태로 변환하여 이동할 수 있다.Specifically, a pair of front wheels (200) can move with the distance between them reduced as needed, for example, in a state where they come closest to each other, in which case it is possible to move more easily along narrow roads, narrow farm roads, etc. To elaborate, as shown in FIG. 4(b), a user moves a pair of front wheels (200) to come as close to each other as possible, and as shown in FIG. 5, by holding the handle (400) described later with his/her hand and lifting the frame (100) so that the rear wheel (300) is separated from the ground, he/she can quickly/easily move on a narrow road using only the front wheels (200). In other words, it can be moved by converting into a one-wheeled handcart structur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한 쌍의 후방바퀴(300)는 방향 조절이 용이하도록 프레임 하부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즉, 프레임(100) 하부에 한 쌍의 후방바퀴(300)를 고정하는 브래킷이 설치되고, 프레임(100) 길이방향에 대한 후방바퀴(300)의 이동방향(길이방향)과의 사이 경사각을 자유롭게 조절하도록 이러한 브래킷이 프레임(100) 하부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rear wheels (300) may be installed in a rotatably manner at the bottom of the frame to facilitate direction adjustment. That is, a bracket for fixing a pair of rear wheels (300)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frame (100), and the bracket is installed in a rotatably manner at the bottom of the frame (100) to freely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between the direction of movement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ar wheels (300)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00).
다음,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및 제2 전방바퀴(210,220)는 전방바퀴 블록(230)에 각각 결합되고, 전방바퀴 블록(230)은 프레임(100)에 위치 이동이 가변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마련된다.Next, as shown in FIGS. 3 and 4, a pair of first and second front wheels (210, 220) are each coupled to a front wheel block (230), and the front wheel block (230) is provided so that its positional movement is variable on the frame (100).
이를 위해, 프레임(100)에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전방바퀴(210,220)와 제1 및 제2 전방바퀴(210,220)가 각각 고정되는 전방바퀴 블록(230)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간격 조절부(600)가 마련된다.To this end, a gap adjustment unit (600) is provided in the frame (100) to adjust the gap between a pair of first and second front wheels (210, 220) and a front wheel block (230)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front wheels (210, 220) are respectively fixed.
구체적으로 간격 조절부(600)는 간격조절 회전봉(610), 회전레버(620), 가이드봉(630)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gap adjustment unit (600) includes a gap adjustment rotary rod (610), a rotary lever (620), and a guide rod (630).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격조절 회전봉(610)은 프레임(100)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그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서로다른 방향의 제1 및 제2 나사산(611,612)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1 나사산은 왼나사, 제2 나사산은 오른나사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전방바퀴(210,220), 즉 한 쌍의 전방바퀴 블록(230)은 제1 및 제2 나사산(611,612)이 형성된 부위에 각각 나사결합되도록 대응하는 나사산이 관통홀 내면에 형성된다. 간격조절 회전봉(610)의 양단은 베어링 등을 통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As illustrated in FIG. 4, the gap-adjusting rotary shaft (610) is rotatably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frame (100), and first and second screw threads (611, 612) in different direct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thereof. For example, the first screw thread may be a left-hand screw thread, and the second screw thread may be a right-hand screw thread. Here, the first and second front wheels (210, 220), i.e., a pair of front wheel blocks (230), are formed with corresponding screw thread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so that they are screw-coupled to the portions where the first and second screw threads (611, 612) are formed, respectively. Both ends of the gap-adjusting rotary shaft (610) are rotatably supported on the frame via bearings or the like.
회전레버(62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간격조절 회전봉(610)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간격조절 회전봉(610)의 일측에 마련된다.The rotary lever (62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terval adjustment rotary rod (610) to allow the user to rotate the interval adjustment rotary rod (610)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while holding it with his/her hand.
가이드봉(630)은 간격조절 회전봉(610)과 이격되게 프레임(100)에 고정되며, 간격조절 회전봉(610)과 평행한 상태로 양단이 프레임에 고정된다. The guide rod (630) is fixed to the frame (100) at a distance from the spacing adjustment rotary rod (610), and both ends are fixed to the frame in a state parallel to the spacing adjustment rotary rod (61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한 쌍의 전방바퀴 블록(230)에는 각각 간격조절 회전봉(610)과 가이드봉(630)이 관통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며, 간격조절 회전봉(610)과 나사 결합되는 부위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가이드봉(630)이 관통되는 관통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러한 결합 구조를 통해, 회전레버(620)의 정역 회전시 한 쌍의 전방바퀴 블록(230)은 가이드봉(630)에 의해 가이드된 상태로 서로 접근하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간격조절 회전봉과 가이드봉의 길이를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rough hole is formed in a pair of front wheel blocks (230) so that a gap adjustment rotary rod (610) and a guide rod (630) pass through them, respectively, and a screw thread is formed in a portion where the gap adjustment rotary rod (610) is screw-connected, while a screw thread is not formed in the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guide rod (630) passes through. Through this coupling structure, when the rotary lever (620)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the pair of front wheel blocks (230) can reciprocally move along the length of the gap adjustment rotary rod and the guide rod in a direction in which they approach or move away from each other while being guided by the guide rod (630).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회전레버(620)를 회전시켜 한 쌍의 전방바퀴(200)가 서로간에 최대한 근접하게 되도록 이동시키고, 후술하는 핸들(400)을 손으로 잡고 후방바퀴(30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프레임(100)을 위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전방바퀴(200) 만을 이용하여 좁은 길도 신속/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the user rotates the rotary lever (620) to move a pair of front wheels (200) as close to each other as possible, holds the handle (400) described below with his hand, and lifts the frame (100) up so that the rear wheels (300) are separated from the ground,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move quickly and easily on a narrow road using only the front wheels (200).
다음,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400)은 서로 이격되는 제1 및 제2 핸들바(410,420)와 제1 및 제2 핸들바(410,420)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바(430)를 포함하여 대략 'ㄷ'자 형태로 이루어진다.Next,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handle (400)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 'ㄷ' shape, including first and second handlebars (410, 42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connecting bar (430) connecting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bars (410, 420).
여기서, 제1 및 제2 핸들바(410,420)의 중앙부위가 프레임(100)의 후방 상단에 힌지축 등을 통해 힌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Here, the central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bars (410, 420) are provided to be hinge-rotatable via a hinge axis or the like at the rear upper portion of the frame (100).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일 예로 핸들(400)을 프레임(100)의 후방 측면에 대략 평행상태로 배치한 후, 연결바(430) 부분을 손으로 잡고 프레임(100)을 밀거나 당겨서 이동시키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400)의 제1 및 제2 핸들바(410,420)가 프레임(100)의 상부에 대략 평행상태가 되도록 회전시킨 후 제1 핸들바와 제2 핸들바의 단부를 양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후방바퀴(30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프레임(100)을 위로 들어올린 상태로 전방바퀴(200) 만을 이용하여 좁은 길도 신속/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Accordingly, as illustrated in FIG. 1, the user may, for example, place the handle (400)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rear side of the frame (100), hold the connecting bar (430) portion with his or her hand, and use it to push or pull the frame (100) to move it. As anothe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2, the user may rotate the first and second handlebars (410, 420) of the handle (400) to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100), and then hold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bars with both hands, and then lift the frame (100) so that the rear wheel (300) is separated from the ground as described above, and use it to quickly and easily move on a narrow road using only the front wheel (200).
후자(後者)의 경우, 제1 및 제2 핸들바(410,420)는 부분적으로 프레임(100)의 상부에 접촉하여 더 이상의 하측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In the latter case, the first and second handlebars (410, 420) may partially contact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100) and thus be restricted from further downward rotation.
한편, 전자(前者)의 경우에서 특히 연결바(430) 부분을 손으로 잡고 프레임(100)을 전방(후방바퀴에서 전방바퀴를 향하는 방향)으로 밀면서 이동시키는 용도로 사용할 경우, 전방바퀴가 울퉁불퉁한 지표면, 자갈, 바퀴 등에 걸려 원만하게 이동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주행 관성의 작용에 의해 연결바(430)는 전방으로 더 이동하고 제1 및 제2 핸들바(410,420)의 하단은 상측으로 회전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Meanwhile, in the former case, especially when the connecting bar (430) is held by hand and the frame (100) is pushed forward (in the direction from the rear wheel to the front wheel) for the purpose of moving, in a situation where the front wheel gets caught on an uneven ground surface, gravel, wheel, etc. and cannot move smoothly, the connecting bar (430) moves further forward due to the action of driving inertia, and the lower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bars (410, 420) rotate upward.
이 경우, 핸들의 갑작스런 자세 변화와 더불어 전방바퀴가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함에 따라, 사용자가 넘어지거나 다치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화재진압과 같이 신속하게 이동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이러한 사고발생의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In this case, a safety accident may occur in which the user falls or gets injured due to the sudden change in the handlebar position and the front wheel not moving forward. In particular, the probability of such accidents occurring increases in situations where quick movement is required, such as firefighting.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도 1,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0)에는 핸들(400)이 특정자세로 회전한 상태에서 핸들(40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핸들 회전방지부(700)가 마련된다.To prevent this, as shown in FIGS. 1, 2, and 6, a handle rotation prevention part (700) is provided on the frame (100) to prevent rotation of the handle (400) when the handle (400) is rotated in a specific posture.
여기서, 상기 '특정자세'라 함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자(前者)의 경우와 같이 이동시키고자 핸들(400)이 프레임(100)의 후방 측면에 대략 평행상태로 배치된 경우를 의미한다.Here, the above-mentioned 'specific posture' means a case where the handle (400) is positioned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rear side of the frame (100) to move it, as in the former case, as illustrated in FIG. 1.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핸들 회전방지부(700)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제1 및 제2 핸들바(410,420)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핸들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이루어진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rotation prevention unit (700) is configured to restrict rotation of the handle by selectively contacting the first and second handle bars (410, 420) by user operation.
구체적으로, 도 1,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 회전방지부(700)는 관통봉(710)과 걸림봉(720)을 포함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 2, and 6, the handle rotation prevention part (700) includes a through rod (710) and a catch rod (720).
관통봉(710)은 프레임(100)에 고정되며 내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공이 형성된다.The through-hole (710) is fixed to the frame (100) and has a through-hole formed along its length inside.
걸림봉(720)은 관통봉(710)의 양측에 각각 내측으로 삽입 또는 외측으로 인출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러한 걸림봉(720)은 관통봉의 외측으로 인출될때 관통봉으로부터 완전히 이탈하지 않도록 관통봉(710)과 걸림봉(720) 사이에는 별도의 이탈방지구조가 마련된다.The catch bar (72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hrough bar (710)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ward or withdrawn outward. To prevent the catch bar (720) from being completely detached from the through bar when it is withdrawn outward from the through bar, a separate detachment prevention structure is provided between the through bar (710) and the catch bar (720).
따라서, 사용자는 연결바(430)가 제1 및 제2 핸들바(410,420)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도 1,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400)이 회전한 상태에서, 한 쌍의 걸림봉(720)을 외측으로 일정길이 이상 인출시켜 사용한다.Accordingly, the user uses the handle (400) by pulling out a pair of catch bars (720) outward by a certain length or more, as shown in FIG. 1 and FIG. 6(a), with the handle (400) rotated so that the connecting bar (430)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first and second handle bars (410, 420).
이때, 제1 및 제2 핸들바(410,420)의 하측 양단부는 한 쌍의 걸림봉(720)에 각각 접촉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1 및 제2 핸들바가 상측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bars (410, 420) can each come into contact with a pair of catch bars (720), thereby restricting the first and second handlebars from rotating upwar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걸림봉(720)의 외면에는 제1 및 제2 핸들바와의 접촉 충격에 의해 상호간에 표면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무, 실리콘, 에폭시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완충커버(미도시)가 더 부착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uffer cover (not shown) made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silicone, or epoxy may be further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atch bar (720) to prevent mutual surface damage from occurring due to contact imp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handle bars.
사용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살수차를 소방용수, 농업용수의 살포가 요구되는 장소로 이동시킨 후, 소방 연결구(111)에 연결호스(150)를 장착하여 소방살수차로부터 소방용수를 공급받거나 강이나 개울가에 설치한 양수펌프로부터 흡입된 농업용수를 공급받아 관창(130) 또는 분사노즐을 통해 주변으로 고압 분사시키게 된다.The user moves the mobile water sprinkl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location where spraying of firefighting water or agricultural water is required, and then attaches a connection hose (150) to a fire connection port (111) to receive firefighting water from the fire sprinkler or to receive agricultural water sucked from a water pump installed near a river or stream, and then sprays it at high pressure into the surrounding area through a nozzle (130) or a spray nozzle.
이때, 관창(130)을 통해서는 상당한 압력의 고압수가 분출되는데 이러한 고압분출에 의해 프레임(100)이 대상 지면에 안정적으로 설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좌우/전후 방향으로 흔들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흔들림이 급격히 증가하면 이동형 살수차가 전복되는 상황도 발생할 수 있다.At this time, high-pressure water of considerable pressure is ejected through the nozzle (130), and due to this high-pressure ejection, the frame (100) may not be stably installed and fixed on the target ground and may shake in the left/right/front/backward directions. If this shaking increases rapidly, the mobile water sprinkler vehicle may overturn.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1 내지 도 3,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살수차는 프레임(100)의 외측으로 전개 가능하게 마련되어 프레임(100)을 지면에 고정 지지할 수 있는 프레임 지지부(500)를 더 포함한다.To prevent this, as shown in FIGS. 1 to 3 and FIGS. 7 to 9, the mobile water sprinkl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rame support member (500) that is arranged to be deployable outward from the frame (100) and can support the frame (100) to the ground.
프레임 지지부(500)는 프레임(100) 측으로 접히거나 외측으로 펼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프레임(100)으로부터 4방향으로 전개되는 제1 내지 제4 프레임 지지부(510,520,530,540)를 포함한다.The frame support (500) has a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toward the frame (100) or unfolded outward, and includes first to fourth frame support parts (510, 520, 530, 540) that unfold in four directions from the frame (100).
제1 프레임 지지부(510)는 프레임(100)의 전방하부 좌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단부에 제1 지지다리부(511)가 마련되고, 제2 프레임 지지부(520)는 프레임(100)의 후방하부 좌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단부에 제2 지지다리부(521)가 마련된다.The first frame support member (510)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frame (100) and has a first support leg member (511) provided at an end thereof, and the second frame support member (520)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rear lower portion of the frame (100) and has a second support leg member (521) provided at an end thereof.
또한, 제3 프레임 지지부(530)는 프레임(100)의 전방하부 우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단부에 제3 지지다리부(531)가 마련되고, 제4 프레임 지지부(540)는 프레임(100)의 후방하부 우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단부에 제4 지지다리부(541)가 마련된다.In addition, the third frame support member (530)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front lower right side of the frame (100) and has a third support leg member (531) provided at an end thereof, and the fourth frame support member (540)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rear lower right side of the frame (100) and has a fourth support leg member (541) provided at an en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4 프레임 지지부(510,520,530,540)는 각각 그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외관과 상기 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삽입 또는 외측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외관에 결합되는 내관을 포함하는 형태를 가질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fourth frame supports (510, 520, 530, 540) may each be formed with a structure whose length can be adjusted. For example, they may have a form including an inner tube coupled to the outer tube so that they can be inserted inwardly or withdrawn outward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tube and the inner tube.
따라서, 관창(130)을 통해 고압의 소방수를 분사시키기 전에 사용자는 4개의 제1 내지 제4 프레임 지지부(510,520,530,540)를 프레임 외측으로 외측으로 회전시키고 제1 내지 제4 지지다리부(511,521,531,541)를 지면에 접촉 지지시켜 프레임을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Therefore, before spraying high-pressure fire water through the nozzle (130), the user can stably fix the frame to the ground by rotating the four first to fourth frame support members (510, 520, 530, 540) outwardly toward the outside of the frame and supporting the first to fourth support legs (511, 521, 531, 541) by making contact with the groun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살수차가 경사진 지형에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 고압수의 안정적인 분사 유지를 위해 프레임(100)이 수평면에 대해 전체적으로 수평상태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when the mobile water sprinkl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installed on a sloped terrain, it is preferable that the frame (100) be installed so that it is entirely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in order to maintain stable spraying of high-pressure water.
이를 위해, 제1 내지 제4 지지다리부(511,521,531,541)는, 프레임(100)의 수평상태를 조절 가능하도록 높낮이 조절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To this end, the first to fourth supporting legs (511, 521, 531, 541) have a height-adjustable structure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horizontal state of the frame (100).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프레임 지지부(510,520,530,540)의 단부에는 제1 내지 제4 지지다리부(511,521,531,541)가 삽입 가능하도록 체결홀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체결홀의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제1 내지 제4 지지다리부(511,521,531,541)의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나사 결합되는 위치 조절을 통해 지표면에 대한 제1 내지 제4 프레임 지지부(510,520,530,54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illustrated in FIG. 9, fastening holes are provided at the ends of the first to fourth frame supports (510, 520, 530, 540) so that the first to fourth support legs (511, 521, 531, 541) can be inserted therein. Screw threads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astening holes and screw thread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to fourth support legs (511, 521, 531, 541) corresponding thereto. The height of the first to fourth frame supports (510, 520, 530, 540) relative to the ground surface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screw-joining position.
도 1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0)에는 외측으로 회전하여 전방바퀴(200)와 후방바퀴(30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에서 프레임(100)을 들어서 이동할 수 있도록 복수의 보조 이동바(170)가 더 마련된다.As shown in FIG. 1 and FIG. 10, the frame (1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uxiliary moving bars (170) so that the frame (100) can be lifted and moved while rotating outward and keeping the front wheels (200) and the rear wheels (300) away from the ground.
부연하자면, 자갈길 등과 같은 표면이 고르지 않은 곳은 바퀴를 통해 이동하기가 쉽지 않은바, 이러한 험지를 이동해야 할 경우에는 다수의 작업자가 보조 이동바(170)를 손으로 잡고 프레임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에서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보조 이동바(170)는 프레임(100)에 힌지 회전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프레임(100)의 좌우 양측 부분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To elaborate, since it is not easy to move on wheels on uneven surfaces such as gravel roads, when moving on such rough terrain, multiple workers can quickly move the frame by holding the auxiliary moving bar (170) with their hands and keeping the frame away from the ground. The auxiliary moving bar (17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ame (100) through hinge rotation, and at least one can be provided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100).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ct construction and operation as illustrated and described. Rath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numer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프레임 110: 흡입펌프모터
130: 관창 140: 고압수 유동관
150: 연결호스 170: 보조 이동바
200: 전방바퀴 300: 후방바퀴
400: 핸들 410: 제1 핸들바
420: 제2 핸들바 500: 프레임 지지부
600: 간격 조절부 610: 간격조절 회전봉
620: 회전레버 630: 가이드봉
700: 핸들 회전방지부 710: 관통봉
720: 걸림봉100: Frame 110: Suction pump motor
130: Pipe 140: High pressure water flow pipe
150: Connecting hose 170: Auxiliary moving bar
200: Front wheel 300: Rear wheel
400: Handle 410: 1st handlebar
420: 2nd handlebar 500: Frame support
600: Gap adjustment part 610: Gap adjustment rotary rod
620: Rotating lever 630: Guide rod
700: Handle rotation prevention part 710: Through bar
720: Hanging pin
Claims (10)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전방바퀴와 후방바퀴; 및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는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방바퀴는 서로간의 간격이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핸들은 서로 이격되는 제1 및 제2 핸들바와 상기 제1 및 제2 핸들바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핸들바의 중앙부위가 상기 프레임의 후방 상단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핸들이 특정자세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핸들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핸들 회전방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핸들 회전방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관통봉; 및
상기 연결바가 상기 제1 및 제2 핸들바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핸들이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핸들바의 하측에 접촉하여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관통봉의 양측에 각각 내측으로 삽입 또는 외측으로 인출가능하게 마련되는 걸림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살수장치.A frame having a suction pump motor for sucking water from a water source and discharging it at high pressure, an engine for providing power to the suction pump motor, and a nozzle for discharging the high pressure water discharged from the suction pump motor to the outside;
A plurality of front wheels and rear wheel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above frame; and
Including a handle provided on the above frame,
The above plurality of front wheels are installed so that the gap between them can be variably adjusted.
The handle includes first and second handleba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connecting bar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handlebars, the central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bars are provided so as to be hingedly rotatable at the rear upper portion of the frame, and the frame is provided with a handle rotation prevention part for preventing rotation of the handle when the handle is rotated in a specific posture.
The above handle rotation prevention part is,
A through-rod fixed to the above frame and having a through-hole formed therein; and
A mobile sprinkl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atch bar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hrough bar so as to be inserted inwardly or withdrawn outwardly, respectively, to contact the lower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 bars and limit rotation when the handle is rotated so that the connecting bar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first and second handle bars.
상기 프레임에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전방바퀴와 상기 제1 및 제2 전방바퀴가 각각 고정되는 전방바퀴 블록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간격 조절부가 마련되고,
상기 간격 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서로다른 방향의 제1 및 제2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나사산에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전방바퀴가 결합되는 간격조절 회전봉;
상기 간격조절 회전봉의 일측에 마련되는 회전레버; 및
상기 간격조절 회전봉과 이격되게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에 따른 상기 간격조절 회전봉의 회전시, 상기 제1 및 제2 전방바퀴가 서로 접근 또는 이격되도록 상기 전방바퀴 블록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살수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frame is provided with a gap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the gap between a pair of first and second front wheels and front wheel blocks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front wheels are respectively fixed.
The above spacing adjustment part,
A gap-adjusting rotary rod that is rotatable on the frame and has first and second screw threads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on both sides of the center, and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front wheels are coupled, respectively, to the first and second screw threads;
A rotary lev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above spacing adjustment rotary rod; and
A mobile sprinkler devic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guide rod fixed to the fram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ap-adjusting rotary rod,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front wheel block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ront wheels approach or separate from each other when the gap-adjusting rotary rod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ry lever.
상기 핸들 회전방지부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핸들바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핸들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살수장치.In the first paragraph,
A mobile sprinkl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rotation prevention unit is configured to restrict rotation of the handle by selectively contacting the first and second handle bars by user operation.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전개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프레임을 지면에 고정 지지할 수 있는 프레임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살수장치.In the first paragraph,
A mobile sprinkler device characterized by further including a frame support member that is arranged to be deployable outside the frame and can support the frame fixedly on the ground.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전방하부 좌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단부에 제1 지지다리부가 마련되는 제1 프레임 지지부;
상기 프레임의 후방하부 좌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단부에 제2 지지다리부가 마련되는 제2 프레임 지지부;
상기 프레임의 전방하부 우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단부에 제3 지지다리부가 마련되는 제3 프레임 지지부; 및
상기 프레임의 후방하부 우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단부에 제4 지지다리부가 마련되는 제4 프레임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살수장치.In Article 6,
The above frame support member,
A first frame support member that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front lower left side of the above frame and has a first support leg member provided at an end thereof;
A second frame support member that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lower left rear side of the above frame and has a second support leg member provided at an end thereof;
A third frame support member that is rotatable on the front lower right side of the above frame and has a third support leg member provided at the end; and
A mobile sprinkler devic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fourth frame support member that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lower right rear side of the frame and has a fourth support leg member provided at an end thereof.
상기 제1 내지 제4 지지다리부는, 상기 프레임의 수평상태를 조절 가능하도록 높낮이 조절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살수장치.In Article 7,
A mobile sprinkl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to fourth supporting legs have a height-adjustable structure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horizontal state of the frame.
상기 흡입펌프모터와 상기 관창 사이를 연결하는 고압수 유동관이 마련되고, 상기 흡입펌프모터에는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도록 소방 연결구가 마련되며,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소방 연결구와 상기 급수원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호스가 적재되도록 적재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살수장치.In the first paragraph,
A mobile sprinkl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high-pressure water flow pipe is provided connecting the suction pump motor and the nozzle, a fire connection port is provided on the suction pump motor to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source, and a loading space is provided on the frame to load a connecting hose connecting the fire connection port and the water source.
상기 프레임에는 외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전방바퀴와 후방바퀴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에서 프레임을 들어서 이동할 수 있도록 복수의 보조 이동바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살수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A mobile sprinkl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frame is furth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uxiliary moving bars so that the frame can be lifted and moved while rotating outward and keeping the front and rear wheels separated from the groun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90234A KR102723922B1 (en) | 2022-07-21 | 2022-07-21 | mobile water dispensable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90234A KR102723922B1 (en) | 2022-07-21 | 2022-07-21 | mobile water dispensable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12806A KR20240012806A (en) | 2024-01-30 |
KR102723922B1 true KR102723922B1 (en) | 2024-10-29 |
Family
ID=89715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90234A Active KR102723922B1 (en) | 2022-07-21 | 2022-07-21 | mobile water dispensable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23922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3190Y1 (en) * | 2010-08-05 | 2012-10-23 | 주식회사 릴텍산업 | Movable hose reel having a foldable handle |
KR101262955B1 (en) * | 2013-01-07 | 2013-05-09 | 송기원 | Multipurpose spreader |
JP2016500602A (en) * | 2012-10-17 | 2016-01-14 | イヴェコ・マギルス・アー・ゲーIveco Magirus Ag | Work vehicle equipped with a monitoring system for monitoring the position of the vehicl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5060B1 (en) * | 2007-12-26 | 2011-02-16 | 진명이십일 (주) | Compact All Purpose Sprinkler |
KR102304364B1 (en) | 2019-11-21 | 2021-09-23 | 주식회사 대진정공 | caterpillar type mini water sprinkling vehicle for loading to fire truck |
-
2022
- 2022-07-21 KR KR1020220090234A patent/KR10272392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3190Y1 (en) * | 2010-08-05 | 2012-10-23 | 주식회사 릴텍산업 | Movable hose reel having a foldable handle |
JP2016500602A (en) * | 2012-10-17 | 2016-01-14 | イヴェコ・マギルス・アー・ゲーIveco Magirus Ag | Work vehicle equipped with a monitoring system for monitoring the position of the vehicle |
KR101262955B1 (en) * | 2013-01-07 | 2013-05-09 | 송기원 | Multipurpose spread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12806A (en) | 2024-0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089728B2 (en) | Truck mounted firefighting platform assembly | |
US6860332B1 (en) | Fluid dispensing arrangement and skid pan for a vehicle | |
US10780830B2 (en) | Mounted retractable catwalk for trucks, utility, construction, and industrial vehicles and equipment | |
US12234135B2 (en) | Fire apparatus | |
US6811161B1 (en) | Fire engine having extension ladder and lateral stabilizers | |
US20080271901A1 (en) | Compact mobile fire attack vehicle mountable to an emergency vehicle | |
KR102037176B1 (en) | Pesticide sprayer of tractor | |
KR20170085810A (en) | All Terrain Vehicles for Fire Suppression | |
US5310115A (en) | Sprayer having a folding boom | |
US10773112B2 (en) | Wildland urban interface firefighting apparatus | |
KR102723922B1 (en) | mobile water dispensable apparatus | |
KR102132868B1 (en) | water pipe connecting type fire engine work platform capable of rotating with 360 degree | |
US12246678B2 (en) | Mounted retractable catwalk for trucks, utility, construction, and industrial vehicles and equipment | |
KR101903110B1 (en) | Electric vehicle for fire-fighting with firefighting monitor | |
JP3871633B2 (en) | Self-propelled granule spraying device | |
JP2019076043A (en) | Riding type chemical spreader | |
KR102808839B1 (en) | mobile electric vehicle fire suppression equipment | |
KR100421801B1 (en) | Fire Fighting Cart | |
CN207619907U (en) | Sprinkling truck with rear operation console | |
JP2010116673A (en) | Road sprinkler | |
CA2965639A1 (en) | Mounted retractable catwalk for trucks, utility, construction, and industrial vehicles and equipment | |
CN221451573U (en) | Fire extinguishing system and fire extinguishing device thereof | |
JP2019076044A (en) | Sulky pesticide spray machine | |
US11974566B2 (en) | Boom section for an agricultural machine | |
KR102675397B1 (en) | mobile fire car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10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