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21350B1 - Device for unloading and loading logs - Google Patents

Device for unloading and loading log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21350B1
KR102721350B1 KR1020230143975A KR20230143975A KR102721350B1 KR 102721350 B1 KR102721350 B1 KR 102721350B1 KR 1020230143975 A KR1020230143975 A KR 1020230143975A KR 20230143975 A KR20230143975 A KR 20230143975A KR 102721350 B1 KR102721350 B1 KR 102721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g
support
loading device
transport chain
unload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39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경제
김상욱
하태성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장흥군버섯산업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장흥군버섯산업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장흥군버섯산업연구원
Priority to KR1020230143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2135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21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2135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co-operating units, e.g. interconnected by piv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50Inoculation of spawn
    • A01G18/55Forming inoculation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65G67/12Loading elongated articles, e.g. rails, lo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82Wooden articles, e.g. logs, trunks or p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61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 B65G2812/0267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68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and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원목 접종 작업의 자동화를 위한 원목 하차 및 적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원목 하차 적재 장치는, 후측과 전측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고 외주면에 기어코그가 구비된 한 쌍의 회전샤프트; 상기 기어코그에 치합되도록 상기 한 쌍의 회전샤프트가 양단에 결합된 폐곡선 형상의 이송체인; 상기 이송체인에 소정 간격으로 결합되되 그 전측받침은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를 갖고 그 후측받침은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를 가져 가운데가 오목한 형상을 가진 홀더컵; 및 상기 한 쌍의 회전샤프트와 상기 이송체인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모터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수평면에 대한 상기 이송체인의 윗부분의 상대적인 경사는 상기 이송체인에 대한 상기 홀더컵의 전측받침 및 후측받침의 상대적인 경사보다 작아 상기 홀더컵 위에 안착된 원목부재가 구르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목 하차 적재 장치는 원목부재의 낙하 및 구름을 방지하여 접종된 원목부재의 품질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A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for automating log grafting work is disclosed. The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air of rotating shafts arranged horizontally at the rear and front sides and having gear cogs on their outer peripheries; a closed-curve shaped transport chain having the pair of rotating shafts coupled to both ends so as to mesh with the gear cogs; a holder cup coupled to the transport chai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front support thereof having an upward slope toward the front and the rear support thereof having an upward slope toward the rear and having a concave shape in the middle; and a motor configured to rotate at least one of the pair of rotating shafts and the transport chain, wherein the relative inclina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port chai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may be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relative inclinations of the front support and the rear support of the holder cup with respect to the transport chain so that a log member resting on the holder cup does not roll. Such a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can prevent the log material from falling and rolling, thereby maintaining a high level of quality of the inoculated log material.

Description

원목 하차 및 적재 장치{DEVICE FOR UNLOADING AND LOADING LOGS}DEVICE FOR UNLOADING AND LOADING LOGS

본 발명은 버섯의 재배를 위한 원목 접종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원목 접종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는 원목 자동접종기의 원목 하차 및 적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log inoculation for mushroom cultiv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of an automatic log inoculation machine capable of automating log inoculation work.

원목 접종은 버섯 재배를 위한 기법으로서, 특별한 가공을 하지 않은 통나무(즉, 원목)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구멍을 천공한 후 구멍 내에 버섯종균을 삽입하여 원목에서 버섯이 성장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현재까지 다양한 버섯 재배 기법이 개발된 바 있으나, 수백 년 전부터 사용되어 온 원목 접종 방법은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원목 접종 방법이 매우 친환경적이고 여기에 사용되는 원목은 비교적 까다로운 요건이 요구되는 일부 버섯 균사에 적합한 배양 환경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Log inoculation is a technique for mushroom cultivation, in which a number of holes are drilled at regular intervals in a log (i.e., log) that has not been specially processed, and mushroom spawn is inserted into the holes to cause mushrooms to grow on the log. Although various mushroom cultivation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to date, the log inoculation method, which has been used for hundreds of years, is still widely used because the log inoculation method is very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the logs used can provide a suitable culture environment for some mushroom mycelia that require relatively strict requirements.

원목 접종을 위해 원목부재에 구멍을 천공하고 종균을 삽입하는 작업이 무수히 많이 반복되므로 자동화에 대한 요구가 많지만, 원목부재의 형상은 접종 작업의 자동화를 어렵게 한다. Since the work of drilling holes in logs and inserting spores for log inoculation is repeated countless times, there is a great demand for automation, but the shape of logs makes it difficult to automate the inoculation work.

예를 들어, 원목부재의 측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홀에 종균체가 삽입되며, 이와 같이 접종이 완료된 원목부재는 세심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운반 과정에서 원목부재는 적지 않은 높이에서 낙하하게 되거나 굴러 다닐 수 있는데, 이는 원목부재의 표면에 흠집 및 파손을 야기할 수 있고, 삽입홀에 삽입된 종균체 혹은 종균체를 고정하기 위해 주입된 씰링재 등이 지정된 위치로부터 이탈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현상은 원목부재가 균사 배양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기 어렵게 하여 생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pawn is inserted into an insertion hol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n the side of a log member, the log member that has been inoculated in this way must be handled carefully. During the transport process, the log member may fall from a considerable height or roll around, which may cause scratches and damage to the surface of the log member, and there is a risk that the spawn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r the sealing material injected to fix the spawn may come off from the designated position. This phenomenon may make it difficult for the log member to provide an optimal environment for mycelial cultivation, which may reduce produc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은 원목 접종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는 원목 자동접종기에서 원목을 하차하고 별도의 대차 등에 적재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capable of unloading logs from an automatic log inoculation machine capable of automating log inoculation work and loading them onto a separate cart, etc.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원목 하차 적재 장치는, 후측과 전측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고 외주면에 기어코그가 구비된 한 쌍의 회전샤프트; 상기 기어코그에 치합되도록 상기 한 쌍의 회전샤프트가 양단에 결합된 폐곡선 형상의 이송체인; 상기 이송체인에 소정 간격으로 결합되되 그 전측받침은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를 갖고 그 후측받침은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를 가져 가운데가 오목한 형상을 가진 홀더컵; 및 상기 한 쌍의 회전샤프트와 상기 이송체인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모터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수평면에 대한 상기 이송체인의 윗부분의 상대적인 경사는 상기 이송체인에 대한 상기 홀더컵의 전측받침 및 후측받침의 상대적인 경사보다 작아 상기 홀더컵 위에 안착된 원목부재가 구르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may include: a pair of rotating shafts arranged horizontally at the rear and front sides and having gear cogs on their outer peripheries; a closed-curve shaped transport chain having the pair of rotating shafts coupled to both ends so as to mesh with the gear cogs; a holder cup coupled to the transport chai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front support thereof having an upward slope toward the front and the rear support thereof having an upward slope toward the rear and having a concave shape in the middle; and a motor configured to rotate at least one of the pair of rotating shafts and the transport chain, wherein the relative inclina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port chain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plane may be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relative inclinations of the front support and the rear support of the holder cup with respect to the transport chain so that a log member resting on the holder cup does not roll.

본 발명에 따른 원목 하차 적재 장치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목 하차 적재 장치는 관통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조절판; 및 상기 조절판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샤프트가 결합된 슬라이드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판은 체결홀이 형성된 돌출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드편은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체결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For example, the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plate having a through-slit formed therein; and a slide piece movably coupled to the control plate and coupled with the rotating shaft. The control plate may include a protruding support portion having a fastening hole formed therein, and the slide piece may include a fastening bolt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원목 하차 적재 장치는 상기 이송체인의 전측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된 언로더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언로더는, 상기 원목부재가 안착되도록 구성된 서포트; 및 상기 서포트를 하강시키는 리프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리프트가 상기 서포트를 하강시키면 상기 서포트에 안착된 상기 원목부재는 상기 이송체인의 전측에서 상기 홀더컵 위에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언로더는, 상기 리프트의 상부에 결합된 중간부재; 및 상기 중간부재와 상기 서포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서포트를 상기 중간부재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이 경우 상기 리프트는 상기 중간부재를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서포트를 하강시킬 수 있다. The log unloading load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unloader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ront side of the transport chain, wherein the unloader may include: a support configured to allow the log member to be seated; and a lift configured to lower the support, and when the lift lowers the support, the log member seated on the support may be configured to be seated on the holder cup at the front side of the transport chain. The unloader may further include: an intermediate memb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ift; and an elastic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intermediate member and the support to elastically support the support with respect to the intermediate member, in which case the lift may lower the support by lowering the intermediate member.

원목 하차 적재 장치는 상기 이송체인의 후측에서 상기 홀더컵 위에 안착된 원목부재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스태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태커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프레임; 상기 가로프레임으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프레임; 상기 가로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트랙롤러; 상기 트랙롤러를 회전시켜 상기 가로프레임 및 상기 세로프레임을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1 구동부; 상기 세로프레임에 세로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클램프베이스; 상기 클램프베이스를 세로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2 구동부; 상기 클램프베이스에 가로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클램프디스크; 및 상기 클램프디스크를 가로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트랙롤러에 의한 상기 세로프레임의 전후 방향의 이동가능한 범위는 상기 이송체인의 후측에 인접한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g unloading load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tacker configured to move a log member settled on the holder cup at the rear side of the transport chain. The stacker may include a horizontal frame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 vertical frame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horizontal frame; at least one track roller rotatab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 first driving unit configured to rotate the track roller to move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in a forward-backward direction; a clamp base movably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in a vertical direction; a second driving unit configured to move the clamp base in a vertical direction; a clamp disc movably connected to the clamp bas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pressing unit configured to move the clamp disc in a horizontal direction, wherein a range of movement of the vertical frame in the forward-backward direction by the track roller may include a position adjacent to the rear side of the transport chain.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른 원목 하차 적재 장치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프레임; 상기 가로프레임으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프레임; 상기 가로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트랙롤러; 상기 트랙롤러를 회전시켜 상기 가로프레임 및 상기 세로프레임을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1 구동부; 상기 세로프레임에 세로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클램프베이스; 상기 클램프베이스를 세로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2 구동부; 상기 클램프베이스에 가로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클램프디스크; 및 상기 클램프디스크를 가로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may include: a horizontal frame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 vertical frame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horizontal frame; at least one track roller rotatab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 first driving unit configured to rotate the track roller to move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in a forward-backward direction; a clamp base movably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in a vertical direction; a second driving unit configured to move the clamp base in a vertical direction; a clamp disk movably connected to the clamp bas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pressure unit configured to move the clamp disk in a horizontal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원목 하차 적재 장치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목 하차 적재 장치는 상기 트랙롤러가 맞물리는 트랙레일을 구비한 하우징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프레임은 상기 원목부재를 적재하기 위한 대차의 일부를 정렬하도록 구성된 가이드레일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For example, the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frame having a track rail with which the track rollers engage. The housing frame may also include a guide rail configured to align a portion of a bogie for loading the log member.

원목 하자 적재 장치는 상기 원목부재를 적재하기 위한 대차의 지정된 영역에 원목부재가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logging loader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that detects whether a log is placed in a designated area of a cart for loading the log.

원목 하자 적재 장치는 상기 트랙롤러에 의한 상기 세로프레임의 전후 방향의 이동가능한 범위 이내로 상기 원목부재를 이송하는 컨베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는, 후측과 전측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고 외주면에 기어코그가 구비된 한 쌍의 회전샤프트; 상기 기어코그에 치합되도록 상기 한 쌍의 회전샤프트가 양단에 결합된 폐곡선 형상의 이송체인; 상기 이송체인에 소정 간격으로 결합되되 그 전측받침은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를 갖고 그 후측받침은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를 가져 가운데가 오목한 형상을 가진 홀더컵; 및 상기 한 쌍의 회전샤프트와 상기 이송체인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gging defect load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nveyor that transports the log material within a range of movement in the forward/reverse direction of the vertical frame by the track roller. The conveyor may include: a pair of rotating shafts arranged horizontally at the rear and front sides and having gear cogs on their outer peripheries; a transport chain having a closed curve shape in which the pair of rotating shafts are connected at both ends so as to mesh with the gear cogs; a holder cup connected to the transport chai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front support thereof having an upward slope toward the front and the rear support thereof having an upward slope toward the rear and having a concave shape in the middle; and a motor configured to rotate at least one of the pair of rotating shafts and the transport chain.

원목 하자 적재 장치는 또한 상기 원목부재를 공급하는 언로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언로더는, 상기 원목부재가 안착되도록 구성된 서포트; 및 상기 서포트를 하강시키는 리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gging loader may further include an unloader for supplying the log material. The unloader may include a support configured to secure the log material; and a lift for lowering the support.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아래의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 to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xamined above, various effects including the following can be expec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established only when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are exhibi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공이 완료된 원목부재를 자동으로 하차하고 대차에 적재할 수 있는 원목 하차 적재 장치가 제공된다. 특히, 원목 하차 적재 장치는 원목부재의 낙하 및 구름을 방지하여 접종된 원목부재의 품질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unloading processed logs and loading them onto a cart is provided. In particular, the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can prevent the logs from falling and rolling, thereby maintaining the quality of the grafted logs at a high leve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목 자동접종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목 하차 적재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목 하차 적재 장치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목 하차 적재 장치의 언로더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목 하차 적재 장치의 컨베이어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목 하차 적재 장치의 스태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목 하차 적재 장치의 스태커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목 하차 적재 장치의 스태커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목 하차 적재 장치의 스태커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대차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exemplarily showing an automatic log inocula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exemplarily showing a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exemplarily showing a part of a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exemplarily showing an unloader of a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exemplarily showing a portion of a conveyor of a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exemplarily showing a stacker of a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exemplarily showing a portion of a stacker of a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exemplarily showing a portion of a stacker of a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exemplarily showing a cart that can be used with a stacker of a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has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specific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or "has"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drawing symbo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전측", "후측", "상측", "하측", "전후 방향", "가로 방향", "세로 방향" 등의 표현을 사용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측"이라 함은 원목 자동접종기(1000)에 가까운 쪽을 지칭하고자 하는 것이고, "후측"이라 함은 원목 자동접종기(1000)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지칭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측" 또는 "상부"라 함은 원목 자동접종기(1000)가 도면에 묘사된 방향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전후 방향"은 위에 설명된 전측과 후측을 잇는 직선의 방향이고, "가로 방향"은 좌측과 우측을 잇는 직선의 방향이고, "세로 방향"은 상측과 하측을 잇는 직선의 방향을 지칭하려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목 자동접종기(1000)의 실제 사용시에는 명세서에서 언급된 전측, 후측, 상측, 하측 방향이 실제 전측, 후측, 상측, 하측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ollowing expressions are used in this specification: “front”, “rear”, “upper”, “lower”, “front-and-rear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etc.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ront” is intended to refer to the side closer to the automatic log inoculator (1000), and “rear” is intended to refer to the side further away from the automatic log inoculator (1000). “Upper” or “top” is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utomatic log inoculator (1000) is depicted in the drawing. The “front-and-rear direction” is the direction of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described above, the “horizontal direction” is the direction of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and the “vertical direction” is intended to refer to the direction of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Of course, when the log automatic inoculator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tually used, the front, rear, upper, and lower directions mentioned in the specification may not match the actual front, rear, upper, and lower direc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목 자동접종기(1000)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목 자동접종기(1000)에서는, 제어부(900)의 제어 하에 컨베이어(100)와 로더(200)가 원목부재(10)를 공급하고, 클램프(300)가 원목부재(10)를 고정한 상태로 원목부재(10)를 회전 및 이동시키면서 가공부(400)가 원목 접종을 위해 원목부재(10)의 측면을 가공하여 접종할 수 있다. 접종이 완료된 원목부재(30)는 그 후 언로더(500), 컨베이어(600) 및 스태커(700)를 포함할 수 있는 원목 하차 적재 장치에 의해 대차(50)에 적재될 수 있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exemplarily showing an automatic log inoculation machin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in an automatic log inoculation machin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veyor (100) and a loader (200) supply a log member (10)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 unit (900), a clamp (300) fixes the log member (10) while rotating and moving the log member (10) so that a processing unit (400) can process and inoculate the side of the log member (10) for log inoculation. The log member (30) on which the inoculation is completed can then be loaded onto a cart (50) by a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that may include an unloader (500), a conveyor (600), and a stacker (700).

원목 자동접종기(1000)의 클램프(300)는 한 쌍의 클램프디스크 사이에 원목부재(10)를 배치한 후 클램프디스크를 서로를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원목부재(10)의 양단을 가압하여 고정한다. 원목 자동접종기(1000)의 클램프(300)는 이와 같이 고정된 원목부재(10)를 제어부(900)의 제어에 따라 가공부(400) 아래에서 회전 및 이동시킬 수 있고, 가공부(400)는 원목부재(10)에 삽입홀을 천공하고, 종균체를 삽입하고, 그 위에 씰링재를 주입하는 등의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원목부재(10)의 모든 지정된 영역에 원주 방향을 따라 가공이 완료되면, 클램프(300)는 가공이 완료된 원목부재(30)를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킨 후, 클램프(300)의 클램프디스크를 서로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킴으로써 원목부재(30)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The clamp (300) of the automatic log inoculator (1000) places a log member (10) between a pair of clamp disks and then presses and fixes both ends of the log member (10) by moving the clamp disks toward each other. The clamp (300) of the automatic log inoculator (1000) can rotate and move the fixed log member (10) under the processing unit (400)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900), and the processing unit (400) can perform processing such as drilling an insertion hole in the log member (10), inserting a fungus, and injecting a sealing material thereon. When processing is complet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all designated areas of the log member (10), the clamp (300) moves the processed log member (30) to a designated position, and then the clamp disks of the clamp (300) are moved away from each other to release the fixation of the log member (3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목 자동접종기용 원목 하차 적재 장치는 이 때 분리되는 원목부재(30)를 수령하여 다른 위치로 이동시킨 후 별도의 대차(50)에 적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목 하차 적재 장치는 원목부재(30)를 원목 자동접종기(1000)의 클램프(300)로부터 하차하고 이를 대차(50)에 적재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목 하차 적재 장치는 원목 자동접종기(1000)의 일부로 구현될 수도 있고 원목 자동접종기(1000)와 독립적인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면에는 원목 하차 적재 장치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부(900)가 원목 자동접종기(1000)의 일부인 것으로 묘사되어 있지만, 이는 한 가지 예에 불과하며, 제어부(900)가 원목 하차 적재 장치만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for the log automatic inoculator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the separated log material (30) at this time, move it to another location, and then load it onto a separate cart (50). That is, the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unloads the log material (30) from the clamp (300) of the log automatic inoculator (1000) and loads it onto the cart (50). The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part of the log automatic inoculator (1000) or may be implemented as an independent device from the log automatic inoculator (1000). Although the control unit (900) that controls various components of the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is depicted in the drawing as being a part of the log automatic inoculator (1000), this is only one example, and the control unit (900)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only the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목 하차 적재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목 하차 적재 장치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컨베이어(600)의 일부가 생략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목 하차 적재 장치의 언로더(500)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목 하차 적재 장치의 컨베이어(600)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목 하차 적재 장치의 스태커(700)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목 하차 적재 장치의 스태커(700)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목 하차 적재 장치의 스태커(70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대차(50)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exemplarily showing a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exemplarily showing a part of a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art of a conveyor (600) is omitted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exemplarily showing an unloader (500) of a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exemplarily showing a part of a conveyor (600) of a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exemplarily showing a stacker (700) of a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 and 8 are perspective views exemplarily showing a part of a stacker (700) of a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exemplarily showing a cart (50) that can be used with a stacker (700) of a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목 하차 적재 장치는 언로더(500), 컨베이어(600) 및 스태커(70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이 함께 사용될 때 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As illustrated in FIG. 2, a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e or more of an unloader (500), a conveyor (600), and a stacker (700), but a greater effect may be obtained when these are used together.

언로더(500)는 원목 자동접종기(1000)의 클램프(300)로부터 분리되는 원목부재(30)를 필요한 위치로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언로더(500)는 원목 자동접종기(1000)의 클램프(300)의 이동경로 아래에 위치할 수 있고, 컨베이어(6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컨베이어모듈(601, 60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언로더(500)는 크게 언로더프레임(510), 서포트(520), 리프트(530), 중간부재(540) 및 탄성부재(55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nloader (500) lowers the log material (30) separated from the clamp (300) of the log automatic inoculator (1000) to a required posi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unloader (500) may be positioned below the movement path of the clamp (300) of the log automatic inoculator (1000) and between a pair of conveyor modules (601, 602) constituting the conveyor (600). Referring to FIG. 4, the unloader (500) may largely include an unloader frame (510), a support (520), a lift (530), an intermediate member (540), and an elastic member (550).

언로더프레임(510)은 언로더(500)의 본체를 이루는 프레임으로서 언로더(500)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지지할 수 있다. 언로더프레임(510)의 상부에는 리프트(530)의 이동샤프트(542)가 통과하기 위한 관통홀과 서포트(520) 하부에 결합된 가이드로드(524)가 통과하기 위한 관통홀 등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로드(524)가 통과하는 관통홀의 하부에는 가이드로드(524)가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돕는 가이드슬리브(514)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언로더프레임(510)의 하부에는 원목 자동접종기(1000)의 본체 및/또는 컨베이어(600)의 컨베이어프레임(610)에 대한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512)가 구비될 수 있다.The unloader frame (510) is a frame forming the main body of the unloader (500) and can support other components of the unloader (500). A through hole for passing a moving shaft (542) of a lift (530) and a through hole for passing a guide rod (524)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a support (520) may b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unloader frame (510). A guide sleeve (514)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the through hole for passing the guide rod (524) so as to help maintain the guide rod (524) in an aligned state. Meanwhile, a coupling member (512) for coupling to the main body of the log automatic inoculator (1000) and/or the conveyor frame (610) of the conveyor (60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the unloader frame (510).

서포트(520)는 원목 자동접종기(1000)의 클램프(300)로부터 분리되는 원목부재(30)가 안착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서포트(520)의 전측받침(521)은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를 가질 수 있고, 서포트(520)의 후측받침(522)은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서포트(520)는 이로써 가운데가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후술하는 컨베이어(600)의 홀더컵(640)과 유사한 또는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그 위에 안착된 원목부재(30)가 구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upport (520) corresponds to a portion where a log member (30) separated from a clamp (300) of a log automatic inoculator (1000) is seated. The front support (521) of the support (520) may have an upward slope toward the front, and the rear support (522) of the support (520) may have an upward slope toward the rear. The support (520) may thus have a concave shape in the middle, and may have a shape similar to or identical to the holder cup (640) of the conveyor (600) described below. This shape may prevent the log member (30) seated thereon from rolling.

서포트(520)의 하부에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로드(524)가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서포트(520)의 양측에 한 쌍의 가이드로드(524)가 구비되어 서포트(520)가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도록 도울 수 있다.One or more guide rods (524)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520). In a preferred embodiment, a pair of guide rods (524)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520) to help the support (520) maintain a stable posture.

도 2 및 도 3에는 서포트(520)가 컨베이어(6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컨베이어모듈(601, 602) 사이에 위치하지만, 서포트(520)가 하강하면서 서포트(520)에 안착된 원목부재(30)를 컨베이어(600)의 홀더컵(640)으로 옮길 수 있는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일부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서포트(520)가 컨베이어(600)의 좌우 양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In FIGS. 2 and 3, the support (520) is positioned between a pair of conveyor modules (601, 602) forming the conveyor (600), but may be formed at another location so that the log member (30) secured on the support (520) can be moved to the holder cup (640) of the conveyor (600) as the support (520) is lowered. For example, in some embodiments not shown, a pair of supports (520) may be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nveyor (600).

리프트(530)는 서포트(520)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는 리프트(530)가 중간부재(540)를 상승 및 하강시킴으로써 서포트(520)를 상승 및 하강시킨다. The lift (530) can serve to raise and lower the support (520). 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the lift (530) raises and lowers the intermediate member (540) to raise and lower the support (520).

서포트(520)에 아직 원목부재(30)가 안착되지 않은 경우, 리프트(530)는 서포트(520)를 상승시켜 원목 자동접종기(1000)의 클램프(300)가 고정하고 있는 원목부재(30) 아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리프트(530)는 서포트(520)가 원목 자동접종기(1000)의 클램프(300) 사이의 원목부재(30)에 접촉할 때까지 서포트(520)를 상승시킬 수도 있고, 원목부재(30)에 접촉하지는 않지만 원목부재(30)가 분리되어 낙하하더라도 손상을 초래하지 않을 정도로 원목부재(30)로부터의 거리가 작은 위치까지 서포트(520)를 상승시킬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가공 전의 원목부재(10)가 원목 자동접종기(1000)에 로딩될 때 제어부(900)가 원목부재(10)의 대략적인 직경을 추정할 수 있고, 리프트(530)는 이 때 추정된 원목부재(30)의 직경에 기초하여 서포트(520)의 상승 높이를 결정할 수도 있다.If the log member (30) is not yet secured to the support (520), the lift (530) can raise the support (520) and move it below the log member (30) that the clamp (300) of the log automatic inoculation device (1000) is securing. The lift (530) can raise the support (520) until the support (520) contacts the log member (30) between the clamps (300) of the log automatic inoculation device (1000), or can raise the support (520) to a position where the distance from the log member (30) is small enough that damage is not caused even if the log member (30) is separated and falls, but does not contact the log member (30). In some embodiments, when a raw material (10) before processing is loaded into a raw material automatic inoculation machine (1000), the control unit (900) can estimate the approximate diameter of the raw material (10), and the lift (530) can determine the elevation height of the support (520) based on the estimated diameter of the raw material (30).

원목 자동접종기(1000)의 클램프(300)로부터 분리된 원목부재(30)가 서포트(520)에 안착된 후에는, 리프트(530)가 서포트(520)를 하강시켜 원목부재(30)가 컨베이어(600)의 홀더컵(640)에 안착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목 하차 적재 장치가 컨베이어(600)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리프트(530)는 원목부재(30)가 스태커(700)의 클램프디스크(870)에 고정될 수 있는 높이로 서포트(520)를 하강시킬 수 있다.After the log member (30) separated from the clamp (300) of the log automatic inoculator (1000) is placed on the support (520), the lift (530) can lower the support (520) so that the log member (30) can be placed on the holder cup (640) of the conveyor (600). If the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clude the conveyor (600), the lift (530) can lower the support (520) to a height at which the log member (30) can be fixed to the clamp disk (870) of the stacker (700).

중간부재(540)는 리프트(53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리프트(530)의 이동샤프트(542)가 중간부재(54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서포트(520)는 중간부재(540) 위에 지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중간부재(540)가 생략된 채 서포트(520)가 리프트(530)의 이동샤프트(542)에 직접 결합될 수 있지만, 도면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중간부재(540)가 포함되는 경우 서포트(520)와 리프트(530) 사이에 탄성부재(550)를 더 쉽게 배치할 수 있게 된다.The intermediate member (54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ift (530), for example, the moving shaft (542) of the lift (53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540). The support (520) may be supported on the intermediate member (540). In some embodiments, the intermediate member (540) may be omitted and the support (520)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moving shaft (542) of the lift (530), but when the intermediate member (540) is included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elastic member (550) may be more easily arranged between the support (520) and the lift (530).

탄성부재(550)는 서포트(520)와 중간부재(540) 사이에 개재될 수 있고, 서포트(520)를 중간부재(540)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는 서포트(520)의 하부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가이드로드(524)가 언로더프레임(510)에 형성된 관통홀 및 가이드슬리브(514)를 통과하고, 서포트(520)와 중간부재(540) 사이의 구간에서 가이드로드(524)의 외주면에 코일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550)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서포트(520)에 비교적 큰 중량의 원목부재(30)가 배치되더라도 서포트(520)가 이를 강하게 저항하지 않게 되고, 탄성부재(550)가 일종의 쇽업소버 역할을 하며 탄성 변형을 통해 원목부재(30)의 중량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결국 원목부재(30)의 표면에 흠집 또는 파손이 발생하거나 종균체 및/또는 실링재가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550) can be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520) and the intermediate member (540), and can elastically support the support (520) with respect to the intermediate member (540). In the example illustrated in FIG. 4, a guide rod (524)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520) passes through a through hole and a guide sleeve (514) formed in the unloader frame (510), and an elastic member (550) in the form of a coil spring is arrang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rod (524) in the section between the support (520) and the intermediate member (540). Due to this structure, even if a relatively heavy log member (30) is placed on the support (520), the support (520) does not strongly resist it, and the elastic member (550) acts as a kind of shock absorber and absorbs the impact due to the weight of the log member (30) through elastic deformation. This ultimately prevents the occurrence of scratches or damage on the surface of the log member (30) or the separation of the seed and/or sealant.

컨베이어(600)는 원목부재(30)를 스태커(700)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컨베이어(600)는 원목 자동접종기(1000)의 클램프(300)의 이동경로 아래에 위치할 수 있고, 컨베이어(600)의 전측에는 언로더(50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컨베이어(600)는 크게 컨베이어프레임(610), 회전샤프트(620), 이송체인(630), 홀더컵(640), 조절판(650), 슬라이드편(660) 및 모터(6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컨베이어(600)가 한 쌍의 컨베이어모듈(601, 602)을 포함한다.The conveyor (600) serves to move the log material (30) to the stacker (700). As illustrated in FIG. 1,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onveyor (600) may be positioned below the movement path of the clamp (300) of the log automatic inoculator (1000), and an unloader (500) may be arranged on the front side of the conveyor (600). Referring to FIGS. 1 to 5, the conveyor (600) may largely include a conveyor frame (610), a rotating shaft (620), a transfer chain (630), a holder cup (640), a control plate (650), a slide piece (660), and a motor (670). In addition, in the example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conveyor (600) includes a pair of conveyor modules (601, 602).

컨베이어프레임(610)은 컨베이어(600)의 본체를 이루는 프레임으로서 컨베이어(600)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지지할 수 있다. 컨베이어(600)가 한 쌍의 컨베이어모듈(601, 602)로 구성된 경우, 컨베이어프레임(610)은 각 컨베이어모듈(601, 602)의 외형을 이룰 수 있고, 또한 각 컨베이어모듈(601, 602)과 모터(670)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프레임(6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veyor frame (610) is a frame forming the main body of the conveyor (600) and can support other components of the conveyor (600). When the conveyor (600) is composed of a pair of conveyor modules (601, 602), the conveyor frame (610) can form the outer shape of each conveyor module (601, 602) and can also include a frame (612) that supports each conveyor module (601, 602) and the motor (670) from below.

회전샤프트(620)는 각 컨베이어모듈(601, 602)의 후측과 전측에서 가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그 외주면에 기어코그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샤프트(620)의 소정 위치에는 코그휠(622)이 구비될 수 있고, 코그휠(622)의 외주면에 기어코그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600)의 후측에서 두 컨베이어모듈(601, 602)은 하나의 회전샤프트(620)를 공유할 수 있다. 공유되는 회전샤프트(620)에는 동력전달체인(676)에 의해 모터(670)의 구동휠과 연결된 피동휠(624)이 형성될 수 있다. 두 컨베이어모듈(601, 602)이 하나의 회전샤프트(620)를 공유하므로 이들 각각의 이송체인(630)은 동일한 속도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각 컨베이어모듈(601, 602)에서 후측의 회전샤프트(620)의 양단은 슬라이드편(660)에 결합될 수 있다.The rotating shaft (620) may be arranged horizontally at the rear and front sides of each conveyor module (601, 602), and may have a gear cog provided on its outer surface. For example, a cog wheel (622)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rotating shaft (620), and a gear cog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g wheel (622). As illustrated in FIG. 3, two conveyor modules (601, 602) at the rear side of the conveyor (600) may share one rotating shaft (620). A driven wheel (624) connected to a driving wheel of a motor (670) by a power transmission chain (676) may be formed on the shared rotating shaft (620). Since the two conveyor modules (601, 602) share one rotating shaft (620), their respective transport chains (630) may move at the same speed. Meanwhile, both ends of the rear rotary shaft (620) of each conveyor module (601, 602) can be connected to a slide piece (660).

이송체인(630)은 홀더컵(640) 및 그 위에 안착되는 원목부재(30)를 운반하는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이송체인(630)은 폐곡선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전측 및 후측 회전샤프트(620)가 이송체인(630)의 양단에 결합될 수 있다. 컨베이어(600)가 두 개의 컨베이어모듈(601, 602)을 포함하는 경우, 각 컨베이어모듈(601, 602)은 하나 이상의 이송체인(630)을 포함할 수 있고, 각 컨베이어모듈(601, 602)의 이송체인(630)은 다수의 홀더컵(64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는 2개의 컨베이어모듈(601, 602) 각각 2개의 이송체인(630)을 포함하고, 각 홀더컵(640)이 2개의 이송체인(630)에 의해 지지된다. 이송체인(630)은 두 컨베이어모듈(601, 602)에서 홀더컵(640)의 위치가 나란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The transport chain (630) may correspond to a portion that transports the holder cup (640) and the log member (30) that is placed thereon. The transport chain (630) may be configured in a closed curve shape, and front and rear rotary shafts (620) may b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transport chain (630). When the conveyor (600) includes two conveyor modules (601, 602), each conveyor module (601, 602) may include one or more transport chains (630), and the transport chain (630) of each conveyor module (601, 602) may move a plurality of holder cups (640). In the example illustrated in FIG. 3, each of two conveyor modules (601, 602) includes two transfer chains (630), and each holder cup (640) is supported by two transfer chains (630). The transfer chains (630) can be mounted so that the positions of the holder cups (640) are parallel in the two conveyor modules (601, 602).

이송체인(630)은 회전샤프트(620)의 기어코그에 치합되도록 구성되어 회전샤프트(620)가 회전하면 이송체인(630)이 이에 대응하여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즉, 회전샤프트(620)가 회전하면, 그 회전력이 코그휠(622)의 기어코그에 의해 이송체인(630)에 전달되어 이송체인(630) 중 윗부분(631)은 후측을 향해 이동하고 아랫부분(632)은 전측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The transport chain (630) is configured to mesh with the gear cog of the rotary shaft (620), so that when the rotary shaft (620) rotates, the transport chain (630) can rotate in response thereto. That is, when the rotary shaft (620) rotates, its rotational power is transmitted to the transport chain (630) by the gear cog of the cog wheel (622), so that the upper part (631) of the transport chain (630) can move toward the rear, and the lower part (632) can move toward the front.

홀더컵(640)은 원목부재(30)를 실제로 접촉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홀더컵(640)은 소정 간격으로 이송체인(630)에 결합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두 컨베이어모듈(601, 602)에서 홀더컵(640)의 위치가 나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홀더컵(640)의 전측받침(641)은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를 갖고 후측받침(642)은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를 가질 수 있고, 이로써 홀더컵(640)은 가운데가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holder cup (640) corresponds to a portion that actuall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g member (30). The holder cup (640) can be coupled to the conveying chain (63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s of the holder cups (640) in the two conveyor modules (601, 602)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y are parallel. The front support (641) of the holder cup (640) can have an upward slope toward the front, and the rear support (642) can have an upward slope toward the rear, so that the holder cup (640) can have a concave shape in the middle.

각 컨베이어모듈(601, 602)에서 이송체인(630)의 윗부분(631)을 따라 이동하는 홀더컵(640)에는 원목부재(30)가 안착되어 이송되는데, 원목 하차 적재 장치의 구성에 따라 이송체인(630)의 윗부분(631)이 후측을 향할수록 하향 경사를 가질 수도 있고 상향 경사를 가질 수도 있고 물론 수평을 이룰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이송체인(630)의 윗부분(631)이 후측을 향할수록 하향 경사를 가진다. 여기서, 홀더컵(640)은 수평면에 대한 이송체인(630)의 윗부분(631)의 상대적인 경사가 이송체인(630)에 대한 홀더컵(640)의 전측받침(641) 및 후측받침(642)의 상대적인 경사보다 작아 홀더컵(640) 위에 안착된 원목부재(30)가 구르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A log member (30) is placed and transported on a holder cup (640) that moves along the upper part (631) of the transport chain (630) in each conveyor module (601, 602).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the upper part (631) of the transport chain (630) may have a downward slope or an upward slope as it faces the rear, or may be horizontal. In the example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upper part (631) of the transport chain (630) has a downward slope as it faces the rear. Here, the holder cup (640)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relative inclination of the upper portion (631) of the transport chain (630)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is smaller than the relative inclinations of the front support (641) and the rear support (642) of the holder cup (640) with respect to the transport chain (630), so that the wooden member (30) placed on the holder cup (640) does not roll.

조절판(650)은 회전샤프트(620)의 전측, 후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어 회전샤프트(620)의 위치를 조절하고 이송체인(63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조절판(650)은 컨베이어프레임(610)에 고정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조절판(650)에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관통슬릿(655)이 형성되어 있고, 조절판(650)의 관통슬릿(655)은 컨베이어프레임(610)에 형성된 관통슬릿(615)과 정렬되어 있다. 조절판(650)은 슬라이드레일(652)을 포함하는데, 이는 슬라이드편(660)이 조절판(65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한다. 조절판(650)에는 가로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지지부(654)가 형성될 수 있고, 돌출지지부(654)에는 체결홀(665)이 형성될 수 있다. The control plate (650) is provided on the front, rear, or both sides of the rotary shaft (620) to control the position of the rotary shaft (620) and to control the tension of the transport chain (630). The control plate (650) can be fixed to the conveyor frame (610). In the example shown in the drawing, a through slit (655)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formed on the control plate (650), and the through slit (655) of the control plate (650) is aligned with the through slit (615) formed on the conveyor frame (610). The control plate (650) includes a slide rail (652), which allows the slide piece (660) to move relatively to the control plate (650). A protruding support portion (654) protru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formed on the control plate (650), and a fastening hole (665) can be formed on the protruding support portion (654).

슬라이드편(660)은 회전샤프트(620)의 단부가 결합된 부분으로서 조절판(650)에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샤프트(620)는 컨베이어프레임(610)에 형성된 관통슬릿(615)과 조절판(650)에 형성된 관통슬릿(655)을 통과하여 슬라이드편(660)에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조절판(650)을 슬라이드편(660)의 외측에 배치하거나 조절판(650)과 슬라이드편(660)을 모두 컨베이어프레임(610)의 내측에 배치하는 경우 등 일부 실시예에서는 컨베이어프레임(610)의 관통슬릿(615)과 조절판(650)의 관통슬릿(655) 중 하나 이상이 생략될 수도 있다.The slide piece (660) is a portion where an end of the rotary shaft (620) is connected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plate (650) so as to be mov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rotary shaft (620) can be connected to the slide piece (660) by passing through a through slit (615) formed in the conveyor frame (610) and a through slit (655) formed in the control plate (650). Of course, in some embodiments, such as when the control plate (650) is arranged on the outside of the slide piece (660) or when both the control plate (650) and the slide piece (660) are arranged on the inside of the conveyor frame (610), at least one of the through slit (615) of the conveyor frame (610) and the through slit (655) of the control plate (650) may be omitted.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600)에서 회전샤프트(620)는 코그휠(622)이 고정된 샤프트부(66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따라서 샤프트부(662)는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된 샤프트부(662)는 슬라이드편(660)에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다. 물론, 코그휠(622)을 샤프트부(662)에 고정하고 샤프트부(662)가 슬라이드편(66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5, in a conveyor (6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otary shaft (620) is rotatably coupled to a shaft portion (662) to which a cogwheel (622) is fixed, and thus the shaft portion (662) is configured not to rotate. The shaft portion (662) configured not to rotate is coupled and fixed to a slide piece (660). Of course, the cogwheel (622) may be fixed to the shaft portion (662) and the shaft portion (662)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lide piece (660).

슬라이드편(660)은 체결볼트(664)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볼트(664)는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돌출지지부(654)의 체결홀(665)에 삽입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볼트(664)에는 하나 이상의 너트에 의해 돌출지지부(654)에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조절판(650)과 슬라이드편(660)의 이와 같은 구조는 샤프트(620)의 위치를 미세조정할 수 있게 하여 필요에 따라 이송체인(63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The slide piece (660) may include a fastening bolt (664). The fastening bolt (664) may exten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may be formed to have a sufficient length to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665) of the protruding support member (654). The fastening bolt (664) may be fixed to the protruding support member (654) in one or two directions by one or more nuts. This structure of the adjustment plate (650) and the slide piece (660) allows for fine adjustment of the position of the shaft (620), thereby allowing for adjustment of the tension of the transport chain (630) as needed.

일부 실시예에서는 돌출지지부(654)를 기준으로 슬라이드편(660)을 향하는 쪽에서 체결볼트(664)의 외주면에 탄성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는 돌출지지부(654)를 기준으로 슬라이드편(660)의 반대쪽에서 체결볼트(664)의 외주면에 너트가 체결되어 슬라이드편(660) 및 이에 결합된 회전샤프트(620)가 전측으로 이동하는 범위를 제한하는데, 돌출지지부(654)를 기준으로 슬라이드편(660)에 가까운 쪽에는 탄성부재(미도시)가 컨베이어모듈(601, 602)의 전측 단부를 향해 슬라이드편(660)을 가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미도시)는 이송체인(630)이 필요한 장력을 유지하게 하면서도 홀더컵(640)에 원목부재(30)가 안착되는 등 충격이 가해질 때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an elastic member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astening bolt (664) on the side facing the slide piece (660) with respect to the protruding support member (654). For example, in FIG. 5, a nut is fasten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astening bolt (664)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lide piece (660) with respect to the protruding support member (654) to limit the range in which the slide piece (660) and the rotary shaft (620) coupled thereto move forward. An elastic member (not shown) on the side closer to the slide piece (660) with respect to the protruding support member (654) may press the slide piece (660) toward the front end of the conveyor module (601, 602). Such an elastic member (not shown) may serve to absorb shock when an impact is applied, such as when the wooden member (30) is seated on the holder cup (640), while allowing the transport chain (630) to maintain the necessary tension.

모터(670)는 회전샤프트(620)와 이송체인(630)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컨베이어모듈(601, 602)이 하나의 회전샤프트(620)를 공유하는 경우, 모터(670)는 구동휠을 회전시킬 수 있고, 이는 동력전달체인(676) 등에 의해 회전샤프트(620)의 피동휠(624)에 연결될 수 있다. 모터(670)가 회전함에 따라 구동휠은 피동휠(624)을 필요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양측 컨베이어모듈(601, 602)이 공유하는 회전샤프트(620)가 회전함에 따라 양측 컨베이어모듈(601, 602)의 이송체인(630)이 동일한 속도로 회전될 수 있다.The motor (670) may be configured to rotate at least one of the rotary shaft (620) and the transport chain (630).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when a plurality of conveyor modules (601, 602) share one rotary shaft (620), the motor (670) may rotate the driving wheel, which may be connected to the driven wheel (624) of the rotary shaft (620) by a power transmission chain (676), etc. As the motor (670) rotates, the driving wheel may rotate the driven wheel (624) in a required direction, and as the rotary shaft (620) shared by both conveyor modules (601, 602) rotates, the transport chains (630) of both conveyor modules (601, 602) may rotate at the same speed.

홀더컵(640) 위에 원목부재(30)가 공급되면, 홀더컵(640)과 원목부재(30)는 이송체인(630)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평면에 대한 이송체인(630)의 윗부분(631)의 상대적인 경사가 이송체인(630)에 대한 홀더컵(640)의 전측받침(641) 및 후측받침(642)의 상대적인 경사보다 작아 홀더컵(640) 위에 안착된 원목부재(30)는 굴러 떨어지지 않는다. 조절판(650)과 슬라이드편(660)은 원목부재(30)의 중량으로 인해 이송체인(630)이 아래로 쳐지는 정도를 제한할 수 있다.When the log member (30) is supplied on the holder cup (640), the holder cup (640) and the log member (30) can be moved backward by the transport chain (630). As described above, the relative inclination of the upper part (631) of the transport chain (630)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is smaller than the relative inclination of the front support (641) and the rear support (642) of the holder cup (640) with respect to the transport chain (630), so that the log member (30) placed on the holder cup (640) does not roll down. The control plate (650) and the slide piece (660) can limit the degree to which the transport chain (630) sags downward due to the weight of the log member (30).

스태커(700)는 원목부재(30)를 대차(50)에 적재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컨베이어(600)의 후측은 스태커(700)가 차지하는 공간 내측에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현하자면, 스태커(700)의 세로프레임(740)의 이동가능한 범위는 컨베이어(600)의 이송체인(630)의 후측에 인접한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제1 구동부(760)가 컨베이어(600)의 동력전달체인(676)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제1 구동부(760)의 외측 커버에 홈이 형성되어 있다.The stacker (700) serves to load the log material (30) onto the cart (50).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rear side of the conveyor (600) may be included within the space occupied by the stacker (700). Specifically, the movable range of the vertical frame (740) of the stacker (700) may include a position adjacent to the rear side of the transport chain (630) of the conveyor (600). In the example illustrated in the drawing, a groove is formed in the outer cover of the first driving unit (760) so that the first driving unit (76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chain (676) of the conveyor (6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목 하차 적재 장치가 컨베이어(600)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스태커(700)의 세로프레임(740)의 이동가능한 범위는 언로더(500)가 설치된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스태커(700)는 하우징프레임(710), 가로프레임(730, 732), 세로프레임(740), 트랙롤러(750), 제1 구동부(760), 클램프베이스(770), 제2 구동부(780), 클램프디스크(870) 및 가압부(880)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스태커(700) 중 이동하는 부분을 이동부(702)라 지칭하기로 한다.In a case where the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clude a conveyor (600), the movable range of the vertical frame (740) of the stacker (700) may include a position where the unloader (500) is installed. Referring to FIGS. 6 to 8, the stacker (700) may include a housing frame (710), horizontal frames (730, 732), a vertical frame (740), a track roller (750), a first driving unit (760), a clamp base (770), a second driving unit (780), a clamp disc (870), and a pressurizing unit (88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moving part of the stacker (700) will be referred to as a moving unit (702).

하우징프레임(710)은 스태커(700) 중 이동하지 않는 부분을 고정 및 지지하는 프레임에 해당한다. 하우징프레임(710)은 다양한 수직부분(712)과 수평부분(714)을 포함하여 이동부(702)를 에워쌀 수 있고 그 이동범위를 정의할 수 있다. 하우징프레임(710)은 또한 가이드레일(716) 및 트랙레일(7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스태커(700)가 하우징프레임(710) 없이 구현될 수도 있다.The housing frame (710) corresponds to a frame that fixes and supports a non-moving portion of the stacker (700). The housing frame (710) may include various vertical portions (712) and horizontal portions (714) to surround the moving portion (702) and define its range of movement. The housing frame (710) may also include a guide rail (716) and a track rail (720). In some embodiments, the stacker (700) may be implemented without the housing frame (710).

가이드레일(716)은 대차(50)의 일부를 정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716)을 예를 들어 대차(50)의 일부에 대응하는 높이에서 해당 부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작업자 또는 자동화 장치는 대차(50)를 가이드레일(716)에 접촉하도록 배치함으로써 대차(50)를 필요한 위치에 정렬시킬 수 있게 된다.The guide rail (716) may be configured to align a portion of the bogie (50). The guide rail (716)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the bogie (50), for example,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at portion. An operator or an automated device may align the bogie (50) to a required position by placing the bogie (50) in contact with the guide rail (716).

트랙레일(720)은 스태커(700)의 트랙롤러(750)가 맞물려 이동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트랙레일(720)은 전후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될 수 있고, 스태커(700)의 이동하는 부분이 트랙롤러(750)에 의해 이동가능한 범위를 정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스태커(700)의 트랙롤러(750)가 트랙레일(720)을 따라 움직이지 않고 지면 위를 구르며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트랙레일(720)은 생략될 수도 있다. 다만, 트랙레일(720)을 구비함으로 인해 이동부(702)의 각 부분과 대차(50)를 더 높은 정확도로 정렬시킬 수 있고, 트랙롤러(750)의 마모 등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The track rail (720) corresponds to a part where the track roller (750) of the stacker (700) engages and moves. The track rail (720) can be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can define a range in which a moving part of the stacker (700) can move by the track roller (750). In some embodiments, the track roller (750) of the stacker (700) can be formed so that it rolls on the ground rather than moving along the track rail (720). In this case, the track rail (720) may be omitted. However, by providing the track rail (720), each part of the moving part (702) and the bogie (50) can be aligned with higher accuracy, and wear of the track roller (750) can be prevented, thereby increasing durability.

가로프레임(730, 732)은 이동부(702)의 일부로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이동부(702)가 하측에 구비된 가로프레임(730)과 상측에 구비된 가로프레임(732)을 포함하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이동부(702)가 상측과 하측 중 어느 한쪽에만 가로프레임(730, 732)을 포함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물론, 하측에 가로프레임(730)을 구비하는 것과 상측과 하측에 가로프레임(730, 732)을 구비하는 것이 이동부(702)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가시킬 것임은 당연하다.The horizontal frame (730, 732) corresponds to a portion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a part of the moving part (702). In the example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moving part (702) is depicted as including a horizontal frame (730) provided on the lower side and a horizontal frame (732) provided on the upper side, but an embodiment in which the moving part (702) includes a horizontal frame (730, 732) on only one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is also possible. Of cours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providing the horizontal frame (730) on the lower side and providing the horizontal frames (730, 732)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will increas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moving part (702).

세로프레임(740)은 가로프레임(730, 732)으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세로프레임(740)은 클램프베이스(770)의 세로 방향 운동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세로프레임(740)은 예를 들어 세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샤프트(742)를 포함할 수 있고, 클램프베이스(770)는 가이드샤프트(742)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세로프레임(740)이 좌우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The vertical frame (740) may extend vertically from the horizontal frames (730, 732). The vertical frame (740) may serve to support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lamp base (770). The vertical frame (740) may include, for example, a guide shaft (742) extending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lamp base (770) may be movably coupled to the guide shaft (742).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vertical frame (740) may be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트랙롤러(750)는 가로프레임(730)과 세로프레임(740) 중 적어도 하나 혹은 이동부(702)의 기타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트랙롤러(750)는 이동부(702)가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트랙롤러(750) 중 일부가 회전샤프트(850)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제어부(900)의 제어에 따라 제1 구동부(760)의 모터(830)가 회전하면 그 회전력이 회전샤프트(850)에 전달되어 트랙롤러(750)가 회전된다.The track roller (750) can be rotatably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frame (730) and the vertical frame (740) or to another location of the moving part (702). The track roller (750) allows the moving part (702) to mov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In the example shown in the drawing, some of the track rollers (750) are connected to an end of a rotary shaft (850), and when the motor (830) of the first driving part (760) rotate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part (900), the rotational power is transmitted to the rotary shaft (850), causing the track roller (750) to rotate.

제1 구동부(760)는 제어부(900)의 제어 하에 트랙롤러(75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8에는 제1 구동부(760)의 외측 커버가 생략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예에서는 제1 구동부(760)의 모터(830)가 제어부(900)의 제어에 따라 구동휠(832)을 회전시키고, 모터(830)의 회전력은 구동휠(832)과 피동휠(842)을 연결하는 벨트 또는 체인(미도시)에 의해 전달샤프트(840)에 전달된다. 복수의 전달샤프트(840)의 코그휠(844)은 벨트 또는 체인(미도시) 등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복수의 전달샤프트(840)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전달샤프트(840)의 회전력은 구동휠(846)과 피동휠(856)을 연결하는 벨트(856)에 의해 회전샤프트(850)에 전달되고, 각 회전샤프트(850)의 단부에 결합된 트랙롤러(750)는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물론, 제1 구동부(760)가 트랙롤러(750)를 회전시키는 데에는 다양한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The first driving unit (760) rotates the track roller (75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900). In FIG. 8, the outer cover of the first driving unit (760) is omitted. In the example illustrated in FIG. 8, the motor (830) of the first driving unit (760) rotates the driving wheel (832)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900), and the rotational power of the motor (830)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shaft (840) by a belt or chain (not shown) connecting the driving wheel (832) and the driven wheel (842). The cog wheels (844) of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shafts (84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belt or chain (not shown), etc., so that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shafts (840)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The rotational power of the transmission shaft (840) is transmitted to the rotary shaft (850) by the belt (856) connecting the driving wheel (846) and the driven wheel (856), and the track rollers (750) connected to the ends of each rotary shaft (850) can all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Of course, various structures can be used for the first driving unit (760) to rotate the track rollers (750).

클램프베이스(770)는 원목부재(30)를 파지할 클램프디스크(870)를 지지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클램프베이스(770)는 세로프레임(740)에 결합되되 세로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clamp base (770) corresponds to a part that supports a clamp disk (870) that holds a wooden member (30). The clamp base (770) is coupled to a vertical frame (740) and can be coupl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2 구동부(780)는 제어부(900)의 제어 하에 클램프베이스(770)를 세로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7에는 제2 구동부(780) 주변의 외측 커버(734)가 생략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예에서는 제2 구동부(780)가 모터의 형태로 구현되어 있고, 그 좌측과 우측에 1차 전달샤프트(790)와 2차 전달샤프트(800)가 하나씩 구비되어 있다. 제2 구동부(780)의 구동휠(782)은 일측의 1차 전달샤프트(790)와 직접 치합되어 있고 타측의 1차 전달샤프트(790)와는 다른 코그휠(784)을 사이에 두고 치합되어 있어 양측의 1차 전달샤프트(79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The second driving unit (780) functions to move the clamp base (770) in the vertical direc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900). In FIG. 7, the outer cover (734) around the second driving unit (780) is omitted. In the example illustrated in FIG. 7, the second driving unit (780)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otor, and a primary transmission shaft (790) and a secondary transmission shaft (800)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respectively. The driving wheel (782) of the second driving unit (780) is directly engaged with the primary transmission shaft (790) on one side, and is engaged with the primary transmission shaft (790) on the other side via a different cog wheel (784), so that the primary transmission shafts (790) on both sides rotate in different directions.

1차 전달샤프트(790)의 회전력은 구동휠(796)과 피동휠(806)을 연결하는 벨트 또는 체인(미도시) 등에 의해 2차 전달샤프트(800)에 전달되고, 2차 전달샤프트(800)의 회전력은 클램프베이스(770)에 연결되고 구동휠(808)의 기어코그에 치합된 체인(미도시)에 의해 클램프베이스(770)의 상승 또는 하강 움직임을 일으킨다. 도 7에는 2차 전달샤프트(800)의 회전력을 클램프베이스(770)에 전달하는 체인(미도시)이 생략되어 있지만, 체인의 윗부분은 롤러(818)에 걸쳐지고 체인의 아랫부분은 롤러(828)에 걸쳐져 관통홀(825)을 통해 아래로 연장되어 클램프베이스(770)에 연결될 것임을 이해할 수 있다. 물론, 제2 구동부(780)가 클램프베이스(770)를 세로 방향을 이동시키는 데에는 다양한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The rotational power of the primary transmission shaft (790) is transmitted to the secondary transmission shaft (800) by a belt or chain (not shown) connecting the driving wheel (796) and the driven wheel (806), and the rotational power of the secondary transmission shaft (800) causes the clamp base (770) to move upward or downward by a chain (not shown) connected to the clamp base (770) and meshed with the gear cog of the driving wheel (808). Although the chain (not shown) transmitting the rotational power of the secondary transmission shaft (800) to the clamp base (770) is omitted in FIG. 7,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upper part of the chain is spanned over the roller (818) and the lower part of the chain is spanned over the roller (828) and extends downward through the through hole (825) to be connected to the clamp base (770). Of course, various structures can be used for the second driving unit (780) to move the clamp base (770) in the vertical direction.

클램프디스크(870)는 스태커(700)에 제공되는 원목부재(30)를 양단에서 가압하여 들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클램프디스크(870)는 클램프베이스(770)에 가로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각 클램프디스크(870)에서 내측을 향하는 표면에는 복수의 스파이크가 구비될 수 있고, 그 반대측에 해당하는 외측 표면에는 클램프베이스(770)에 연결되는 기구가 구비될 수 있다.The clamp disc (870) serves to lift the raw material (30) provided to the stacker (700) by applying pressure from both ends. To this end, the clamp disc (870) can be movably coupled to the clamp base (77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plurality of spikes can be provided on the surface facing inward of each clamp disc (870), and a mechanism connected to the clamp base (770) can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pposite side.

가압부(880)는 클램프디스크(870)를 가로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부분에 해당한다. 가압부(880)는 예를 들어 공압식 액츄에이터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다양한 전동식, 공압식, 수압식 및 기구식 구조 중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The pressurizing portion (880) corresponds to a portion that moves the clamp disc (87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pressurizing portion (88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for example, a pneumatic actuator, but may utilize one of various electric, pneumatic, hydraulic, and mechanical structures.

도 8을 참조하면, 클램프베이스(770)는 서로 중첩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내측부재(772)와 외측부재(774)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가로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부재(772)의 측면의 외측 표면에는 슬라이드레일이 구비될 수 있고, 외측부재(774)의 측면의 내측 표면에는 해당 슬라이드레일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773)가 구비될 수 있으며, 클램프디스크(870)는 외측부재(774)에 결합될 수 있다. 가압부(880)가 작동하면 가압부(880)의 이동샤프트는 외측부재(774)를 이동시킴으로써 그에 결합된 클램프디스크(870)를 함께 이동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clamp base (770) may include an inner member (772) and an outer member (774) that include overlapping portions, and these may be coupled to be relatively movable with respect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or example, a slide rail may be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a side surface of the inner member (772), a coupling member (773) that is movably coupled to the slide rail may be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a side surface of the outer member (774), and a clamp disc (870) may be coupled to the outer member (774). When the pressurizing member (880) operates, the moving shaft of the pressurizing member (880) may move the outer member (774), thereby moving the clamp disc (870) coupled thereto.

이와 같이, 스태커(700)의 이동부(702)는 공급된 원목부재(3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클램프디스크(870)를 이동시켜 원목부재(30)의 양단을 가압하여 클램프디스크(870) 사이에 원목부재(30)를 고정시킬 수 있고, 그 후 원목부재(30)를 대차(50)의 지정된 위치 또는 기타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원목부재(30)를 파지한 상태에서, 제1 구동부(760)가 트랙롤러(750)를 회전하게 하여 필요한만큼 원목부재(3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제2 구동부(780)가 클램프베이스(770)를 이동시키게 하여 필요한만큼 원목부재(30)를 세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900)는 원목부재(30)를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킨 후 가압부(880)를 제어하여 클램프베이스(770)가 서로 벌어지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원목부재(30)가 클램프베이스(770)로부터 분리되어 해당 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moving part (702) of the stacker (700) can move the clamp disc (87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lied log member (30) to pressurize both ends of the log member (30) to fix the log member (30) between the clamp discs (870), and then move the log member (30) to a designated position of the cart (50) or other position. In a state where the log member (30) is gripped, the first driving part (760) can rotate the track roller (750) to move the log member (30) forward and backward as much as necessary, and the second driving part (780) can move the clamp base (770) to move the log member (30)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much as necessary. The control unit (900) can move the wooden member (30) to a set position and then control the pressurizing unit (880) to cause the clamp bases (770) to separate from each other, so that the wooden member (30) can be separated from the clamp base (770) and settl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한편, 도 9에는 스태커(70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대차(50)가 묘사되어 있다. 대차(50)는 하나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진 선반(51, 52)을 포함할 수 있고, 각 선반(51, 52)은 하나 이상의 원목부재(30)를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선반(51, 52)에서 원목부재(30)가 안착될 지정된 위치에는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원목부재(30)가 해당 위치에 안착되면 대차(50)가 이동할 때에도 원목부재(30)가 구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FIG. 9 depicts a cart (50) that can be used with a stacker (700). The cart (50) can include shelves (51, 52) formed of one or more layers, and each shelf (51, 52) can support one or more log members (30). As illustrated, a groove formed concavely downward can be formed at a designated position on each shelf (51, 52) where the log member (30) is to be seated. As a result, when the log member (30) is seat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the log member (30) can be prevented from rolling even when the cart (50) moves.

대차(50)의 하부에는 지지프레임(54)이 구비될 수 있고, 지지프레임(56)에는 걸림부(56)가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하우징프레임(710)의 가이드레일(716)이 대차(50)의 지지프레임(54)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프레임(54)중 좌측 및 후측 변이 가이드레일(716)에 접촉하도록 대차(50)가 하우징프레임(710)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되면, 대차(50)의 걸림부(56)가 하우징프레임(710)의 일부에 걸쳐지면서 대차(50)가 해당 위치에서 임시로 고정될 수 있다.A support frame (54)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ogie (50), and a catch (56) may be provided on the support frame (56). In the example shown in the drawing, the guide rail (716) of the housing frame (71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frame (54) of the bogie (50). When the bogie (50) is placed at a designated position of the housing frame (710) so that the left and rear sides of the support frame (54) come into contact with the guide rail (716), the catch (56) of the bogie (50) may be hung over a part of the housing frame (710) so that the bogie (50) may be temporarily fixed at that posi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목 하차 적재 장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대차(50)가 하우징프레임(710)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원목 하차 적재 장치의 센서는 대차(50)의 지정된 영역에 이미 배치된 원목부재(30)가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원목 하차 적재 장치의 제어부(900)는 센서의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스태커(700)의 클램프디스크(870)가 파지하고 있는 원목부재(30)를 대차(50)의 빈 자리에 배치할 수 있다. The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and when the cart (50) is placed at a designated position of the housing frame (710), the sensor of the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may detect whether a log member (30) is already placed in a designated area of the cart (50). The control unit (900) of the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may place the log member (30) being gripped by the clamp disc (870) of the stacker (700) in an empty space of the cart (50)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목 하차 적재 장치의 작동을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원목 자동접종기(1000)에서 원목부재(30)의 가공이 완료되고 원목 자동접종기(1000)의 클램프(300)가 원목부재(30)를 언로더(500) 위의 위치로 이동시키면, 제어부(900)는 언로더(500)의 리프트(530)를 제어하여 서포트(520)가 원목부재(30) 아래의 소정 위치로 상승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리프트(530)는 서포트(520)가 원목부재(30)에 접촉할 때까지 서포트(520)를 상승하게 할 수 있고, 언로더(500)에는 서포트(520)가 원목부재(30)를 지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별도의 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When the processing of the log member (30) is completed in the log automatic inoculation machine (1000) and the clamp (300) of the log automatic inoculation machine (1000) moves the log member (30) to a position above the unloader (500), the control unit (900) can control the lift (530) of the unloader (500) to cause the support (520) to rise to a predetermined position below the log member (30). In some embodiments, the lift (530) can cause the support (520) to rise until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g member (30), and the unloader (500) can be equipped with a separate sensor (not shown) that can detect whether the support (520) is supporting the log member (30).

한편, 제어부(900)는 또한 컨베이어(600)의 모터(670)를 제어하여 컨베이어모듈(601, 602)의 홀더컵(640)이 원목부재(30) 아래의 위치에 배치되게 할 수 있다. 홀더컵(640)이 지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시점은 서포트(520)가 지정된 높이에 배치되는 시점과 동일할 수도 있지만, 약간의 시간차가 있어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900) can also control the motor (670) of the conveyor (600) to cause the holder cup (640) of the conveyor module (601, 602) to be placed at a position below the log member (30). The time at which the holder cup (640) is placed at a designated position may be the same as the time at which the support (520) is placed at a designated height, but there may also be a slight time difference.

서포트(520)와 홀더컵(640)이 지정된 위치에 다다르면, 클램프(300)는 원목부재(30)의 파지를 해제할 수 있고, 원목부재(30)는 서포트(520)의 상부에 지지될 수 있다. 언로더(500)의 탄성부재(550)는 원목부재(30)가 서포트(520)로 옮겨오면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When the support (520) and the holder cup (640) reach the designated position, the clamp (300) can release the grip of the log member (30), and the log member (30) can be suppor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520). The elastic member (550) of the unloader (500) can absorb shock that may occur when the log member (30) is moved to the support (520).

제어부(900)는 언로더(500)의 리프트(530)를 제어하여 서포트(520)가 하강하게 할 수 있다. 원목부재(30)를 지지하고 있는 서포트(520)가 하강하면서 원목부재(30)는 컨베이어(600)의 홀더컵(640)에 안착하게 된다.The control unit (900) can control the lift (530) of the unloader (500) to lower the support (520). As the support (520) supporting the log member (30) is lowered, the log member (30) is settled on the holder cup (640) of the conveyor (600).

이어서, 제어부(900)는 컨베이어(600)의 모터(670)를 제어하여 원목부재(30)를 지지하고 있는 홀더컵(640)을 스태커(700)를 향해 이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홀더컵(640)의 전측받침(641)과 후측받침(642)은 원목부재(30)의 구름을 방지하는 각도를 가지므로, 원목부재(30)는 홀더컵(640)에서 이탈하지 않게 이송될 수 있다.Next, the control unit (900) can control the motor (670) of the conveyor (600) to transport the holder cup (640) supporting the log member (30) toward the stacker (700).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support (641) and the rear support (642) of the holder cup (640) have angles that prevent the log member (30) from rolling, so the log member (30) can be transport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holder cup (640).

원목부재(30)를 지지하고 있는 홀더컵(640)이 스태커(700)의 이동부(702)의 이동가능한 범위 내에 도달하면, 제어부(900)는 스태커(700)를 제어하여 클램프디스크(870)가 홀더컵(640)의 원목부재(30) 양측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공 전의 원목부재(10)가 원목 자동접종기(1000)에 상차되는 과정 또는 이송되는 과정 중에 제어부(900)가 원목부재(10)의 직경을 추정한 경우, 제어부(900)는 추정된 직경에 기초하여 클램프디스크(870)의 적정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When the holder cup (640) supporting the log member (30) reaches the movable range of the moving part (702) of the stacker (700), the control unit (900) can control the stacker (700) to cause the clamp disc (870) to move to both sides of the log member (30) of the holder cup (64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trol unit (900) estimates the diameter of the log member (10) during the process of loading or transporting the log member (10) before processing into the log automatic inoculator (1000), the control unit (900) can determine the appropriate height of the clamp disc (870) based on the estimated diameter.

제어부(900)의 제어에 따라, 가압부(880)는 원목부재(30) 양측의 클램프디스크(870)를 서로를 향해 이동하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원목부재(30)가 클램프디스크(870)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제어부(900)는 정해진 규칙에 따라 또는 대차(50)에서 빈 자리의 위치에 관한 센서의 검출값에 따라 원목부재(30)가 적재될 위치를 지정할 수 있고, 제1 구동부(760)와 제2 구동부(780)를 제어하여 클램프디스크(870) 및 그 사이에 고정된 원목부재(30)를 대차(50)의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대차(50)의 각 선반(51, 52)에 원목부재(30)를 적재할 수 있는 위치가 복수인 경우, 제어부(900)가 원목부재(30)의 적재 위치는 다른 위치로 적재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로 결정될 것임은 당연하다.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900), the pressurizing unit (880) can move the clamp disks (870) on both sides of the log member (30) toward each other, so that the log member (30) can be fixed between the clamp disks (870). The control unit (900) can designate a position where the log member (30) is to be loaded according to a set rule or a detection value of a sensor regarding the position of an empty space in the cart (50), and control the first driving unit (760) and the second driving unit (780) to move the clamp disks (870) and the log member (30) fixed therebetween to a designated position on the cart (50). If there are multiple locations where the log material (30) can be loaded on each shelf (51, 52) of the cart (50), it is natural that the control unit (900) will determine the loading location of the log material (30) to be a loca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loading it to another location.

클램프디스크(870) 사이에 고정된 원목부재(30)가 지정된 위치에 다다르면, 제어부(900)는 가압부(880)를 제어하여 클램프디스크(870)가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클램프디스크(870) 사이의 원목부재(30)에 대한 파지가 해제될 수 있다. 원목부재(30)는 이와 같이 대차(50)에 적재될 수 있고, 대차(50)의 모든 자리에 원목부재(30)가 적재되면 작업자 또는 자동화 장치는 대차(50)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고 비어 있는 새 대차(50)를 해당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When the log member (30) fixed between the clamp discs (870) reaches a designated position, the control unit (900) can control the pressurizing unit (880) to move the clamp discs (870) away from each other, so that the grip on the log member (30) between the clamp discs (870) can be released. The log member (30) can be loaded onto the cart (50) in this way, and when the log member (30) is loaded onto all the positions of the cart (50), a worker or an automated device can move the cart (50) to another location and place a new, empty cart (50)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이상 제시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가공이 완료된 원목부재(30)를 자동으로 하차하여 대차(50)에 적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목 하차 적재 장치는 원목부재(30)의 이송 과정에서 원목부재(30)가 낙하하거나 구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접종된 원목부재(30)의 품질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esented above, the processed log material (30) can be automatically unloaded and loaded onto a cart (50). In particular, the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log material (30) from falling or rolling during the transport process of the log material (30), thereby maintaining the quality of the grafted log material (30) at a high level.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1000: 원목 자동접종기
10: 가공 전 원목부재 30: 가공이 완료된 원목부재
100: 컨베이어 200: 로더
300: 클램프 400: 가공부
500: 언로더 600: 컨베이어
700: 스태커
1000: Automatic log inoculation machine
10: Raw wood material before processing 30: Raw wood material after processing
100: Conveyor 200: Loader
300: Clamp 400: Machining section
500: Unloader 600: Conveyor
700: Stacker

Claims (12)

후측과 전측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고 외주면에 기어코그가 구비된 한 쌍의 회전샤프트;
상기 기어코그에 치합되도록 상기 한 쌍의 회전샤프트가 양단에 결합된 폐곡선 형상의 이송체인;
상기 이송체인에 소정 간격으로 결합되되 그 전측받침은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를 갖고 그 후측받침은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를 가져 가운데가 오목한 형상을 가진 홀더컵; 및
상기 한 쌍의 회전샤프트와 상기 이송체인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체인의 전측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된 언로더를 더 포함하되,
상기 언로더는,
원목부재가 안착되도록 구성된 서포트; 및
상기 서포트를 하강시키는 리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가 상기 서포트를 하강시키면 상기 서포트에 안착된 상기 원목부재는 상기 이송체인의 전측에서 상기 홀더컵 위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 하차 적재 장치.
A pair of rotating shafts arranged transversely at the rear and front sides and having gear cogs on their outer surfaces;
A closed-curve shaped transmission chain having a pair of rotating shafts connected at both ends to mesh with the gear cog;
A holder cup having a concave shape in the middle, the front support being connected to the above-mentioned transport chai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rear support being inclined upward toward the front, and the rear support being inclined upward toward the rear; and
A motor configured to rotate at least one of the pair of rotary shafts and the transport chain,
Further comprising an unloader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ront side of the above transport chain,
The above unloader,
Supports configured to allow the timber member to be secured; and
Including a lift for lowering the above support,
A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lift lowers the support, the log member mounted on the support is mounted on the holder cup at the front side of the transport chain.
제 1 항에 있어서,
조절판; 및
상기 조절판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샤프트가 결합된 슬라이드편을 더 포함하는 원목 하차 적재 장치.
In paragraph 1,
Control panel; and
A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lide piece movably connected to the above control plate and having the above rotation shaft connected thereto.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은 체결홀이 형성된 돌출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편은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 하차 적재 장치.
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control plate includes a protruding support part having a fastening hole formed therein,
A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slide piece includes a fastening bolt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above fastening hole.
제 1 항에 있어서,
수평면에 대한 상기 이송체인의 윗부분의 상대적인 경사는 상기 이송체인에 대한 상기 홀더컵의 전측받침 및 후측받침의 상대적인 경사보다 작아 상기 홀더컵 위에 안착된 원목부재가 구르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 하차 적재 장치.
In paragraph 1,
A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lative inclina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transport chai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is smaller than the relative inclination of the front and rear supports of the holder cup with respect to the transport chain, so that the log member placed on the holder cup does not rol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더는,
상기 리프트의 상부에 결합된 중간부재; 및
상기 중간부재와 상기 서포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서포트를 상기 중간부재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는 상기 중간부재를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서포트를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 하차 적재 장치.
In paragraph 1,
The above unloader,
An intermediate member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bove lift; and
It further includes an elastic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intermediate member and the support to elastically support the support with respect to the intermediate member.
A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 lowers the support by lowering the intermediate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체인의 후측에서 상기 홀더컵 위에 안착된 원목부재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스태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태커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프레임;
상기 가로프레임으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프레임;
상기 가로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트랙롤러;
상기 트랙롤러를 회전시켜 상기 가로프레임 및 상기 세로프레임을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1 구동부;
상기 세로프레임에 세로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클램프베이스;
상기 클램프베이스를 세로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2 구동부;
상기 클램프베이스에 가로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클램프디스크; 및
상기 클램프디스크를 가로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랙롤러에 의한 상기 세로프레임의 전후 방향의 이동가능한 범위는 상기 이송체인의 후측에 인접한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 하차 적재 장치.
In paragraph 1,
Further comprising a stacker configured to move a log member placed on the holder cup at the rear side of the above transport chain,
The above stacker,
A horizontal frame extending horizontally;
A vertical frame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above horizontal frame;
At least one track roller rotatably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 first driving unit configured to rotate the track roller to move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 clamp base movably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econd driving unit configured to move the clamp base in a vertical direction;
A clamp disc movably coupled to the clamp bas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ncluding a pressurizing part configured to move the above clamp disc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ange of movemen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f the vertical frame by the track roller includes a position adjacent to the rear side of the transport chain.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프레임;
상기 가로프레임으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프레임;
상기 가로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트랙롤러;
상기 트랙롤러를 회전시켜 상기 가로프레임 및 상기 세로프레임을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1 구동부;
상기 세로프레임에 세로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클램프베이스;
상기 클램프베이스를 세로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2 구동부;
상기 클램프베이스에 가로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클램프디스크; 및
상기 클램프디스크를 가로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랙롤러에 의한 상기 세로프레임의 전후 방향의 이동가능한 범위 이내로 원목부재를 이송하는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컨베이어는,
후측과 전측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고 외주면에 기어코그가 구비된 한 쌍의 회전샤프트;
상기 기어코그에 치합되도록 상기 한 쌍의 회전샤프트가 양단에 결합된 폐곡선 형상의 이송체인;
상기 이송체인에 소정 간격으로 결합되되 그 전측받침은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를 갖고 그 후측받침은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를 가져 가운데가 오목한 형상을 가진 홀더컵; 및
상기 한 쌍의 회전샤프트와 상기 이송체인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 하차 적재 장치.
A horizontal frame extending horizontally;
A vertical frame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above horizontal frame;
At least one track roller rotatably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 first driving unit configured to rotate the track roller to move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 clamp base movably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econd driving unit configured to move the clamp base in a vertical direction;
A clamp disc movably coupled to the clamp bas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ncluding a pressurizing part configured to move the above clamp disc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urther comprising a conveyor for transporting a log material within the range of movemen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f the vertical frame by the track roller,
The above conveyor,
A pair of rotating shafts arranged transversely at the rear and front sides and having gear cogs on their outer surfaces;
A closed-curve shaped transmission chain having a pair of rotating shafts connected at both ends to mesh with the gear cog;
A holder cup having a concave shape in the middle, the front support being connected to the above-mentioned transport chai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rear support being inclined upward toward the front, and the rear support being inclined upward toward the rear; and
A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motor configured to rotate at least one of the pair of rotating shafts and the transport chai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롤러가 맞물리는 트랙레일을 구비한 하우징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원목 하차 적재 장치.
In paragraph 7,
A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housing frame having a track rail with which the above track rollers engag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프레임은 상기 원목부재를 적재하기 위한 대차의 일부를 정렬하도록 구성된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 하차 적재 장치.
In Article 8,
A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using frame includes a guide rail configured to align a portion of a cart for loading the log material.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원목부재를 적재하기 위한 대차의 지정된 영역에 원목부재가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원목 하차 적재 장치.
In paragraph 7,
A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a log is placed in a designated area of a cart for loading the log.
삭제delete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프레임;
상기 가로프레임으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프레임;
상기 가로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트랙롤러;
상기 트랙롤러를 회전시켜 상기 가로프레임 및 상기 세로프레임을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1 구동부;
상기 세로프레임에 세로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클램프베이스;
상기 클램프베이스를 세로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2 구동부;
상기 클램프베이스에 가로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클램프디스크; 및
상기 클램프디스크를 가로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가압부를 포함하고,
원목부재를 공급하는 언로더를 더 포함하되,
상기 언로더는,
상기 원목부재가 안착되도록 구성된 서포트; 및
상기 서포트를 하강시키는 리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 하차 적재 장치.
A horizontal frame extending horizontally;
A vertical frame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above horizontal frame;
At least one track roller rotatably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 first driving unit configured to rotate the track roller to move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 clamp base movably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econd driving unit configured to move the clamp base in a vertical direction;
A clamp disc movably coupled to the clamp bas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ncluding a pressurizing part configured to move the above clamp disc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cluding an unloader that supplies the raw materials,
The above unloader,
A support configured to allow the above wooden member to be secured; and
A log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lift for lowering the above support.
KR1020230143975A 2023-10-25 2023-10-25 Device for unloading and loading logs Active KR1027213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3975A KR102721350B1 (en) 2023-10-25 2023-10-25 Device for unloading and loading lo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3975A KR102721350B1 (en) 2023-10-25 2023-10-25 Device for unloading and loading log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21350B1 true KR102721350B1 (en) 2024-10-23

Family

ID=93286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3975A Active KR102721350B1 (en) 2023-10-25 2023-10-25 Device for unloading and loading log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2135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9259479A (en) * 2024-10-25 2025-01-07 江苏万木春木业有限公司 Wood processing technolog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4969A (en) * 1994-01-25 1995-08-08 Sekisui Chem Co Ltd Supply device for cylindrical body
JPH10218349A (en) * 1997-02-06 1998-08-18 Kyoei Kogyo Kk Intermittent transferring device for raw wood
KR20120108962A (en) * 2009-08-21 2012-10-05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Article transfer device and stacker crane with same
KR102240299B1 (en) * 2019-10-18 2021-04-14 이상우 Tensioner Device for Chain Convey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4969A (en) * 1994-01-25 1995-08-08 Sekisui Chem Co Ltd Supply device for cylindrical body
JPH10218349A (en) * 1997-02-06 1998-08-18 Kyoei Kogyo Kk Intermittent transferring device for raw wood
KR20120108962A (en) * 2009-08-21 2012-10-05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Article transfer device and stacker crane with same
KR102240299B1 (en) * 2019-10-18 2021-04-14 이상우 Tensioner Device for Chain Convey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9259479A (en) * 2024-10-25 2025-01-07 江苏万木春木业有限公司 Wood processing technolog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21350B1 (en) Device for unloading and loading logs
KR101631279B1 (en) Door-lock automatic assembly system
US5500507A (en) Laser beam machining device and laser beam machining method
KR102070069B1 (en) Apparatus for sorting fruit by using weight
KR101559349B1 (en) An arranging apparatus for transporting tires
KR101991293B1 (en) Fruit auto loading apparatus for fruit sorting
US5964562A (en) Rotating elevator mechanism for article transfer in an automated storage system
CN108687658B (en) Workpiece machining equipment
KR101244121B1 (en) Changing unit of transfer direction for a plate
KR102111901B1 (en) Automatic mounting system for bolt of shock absorber
CN112960330A (en) Automatic plate loader
CN110524889B (en) Positioning system of non-contact smart card manufacturing equipment
JPH0853108A (en) Automatic fruit and vegetable packing equipment
KR102499376B1 (en) System for automatic transfer of stones
CN213678841U (en) Sucking disc formula feed structure
CN112193793A (en) Jacking transplanter equipment
CN115365716B (en) A double-head welding machine
KR101146345B1 (en) Filter assembling apparatus for battery
CN215297451U (en) Circuit board boxing system and circuit board production line
CN214003163U (en) A lift transport system
KR102671692B1 (en) Device for loading, rotating, and conveying a log in an automatic log inoculation apparatus
CN219771184U (en) Tray material receiving and feeding device
KR101374226B1 (en) Air blowing apparatus for tray and jig
KR20120006774A (en) Conveyor Device for Goods Transfer
KR100681500B1 (en) Automatic Unloading Device of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10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3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0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